KR20130070539A - 유도 납땜을 이용해 태양전지의 전류 수집 바아에 전기 전도성 리본을 연결시키기 위한 납땜장치 - Google Patents

유도 납땜을 이용해 태양전지의 전류 수집 바아에 전기 전도성 리본을 연결시키기 위한 납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70539A
KR20130070539A KR1020120147555A KR20120147555A KR20130070539A KR 20130070539 A KR20130070539 A KR 20130070539A KR 1020120147555 A KR1020120147555 A KR 1020120147555A KR 20120147555 A KR20120147555 A KR 20120147555A KR 20130070539 A KR20130070539 A KR 201300705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rrent
section
sections
solder
current pa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475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클라우디오 마이쎄어
브레드 엠 딩글
파스칼 쥬테어
페터 모르프
Original Assignee
코맥스 홀딩 아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맥스 홀딩 아게. filed Critical 코맥스 홀딩 아게.
Publication of KR201300705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7053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1/00Soldering, e.g. brazing, or unsoldering
    • B23K1/002Soldering by means of induction he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00Tools, devices, or special appurtenances for soldering, e.g. brazing, or unsolde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methods
    • B23K3/04Heating appliances
    • B23K3/047Heating appliances electric
    • B23K3/0475Heating appliances electric using induction effects, e.g. Kelvin or skin effe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1/00Soldering, e.g. brazing, or unsoldering
    • B23K1/0008Soldering, e.g. brazing, or unsolder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work
    • B23K1/0016Brazing of electronic compon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00Tools, devices, or special appurtenances for soldering, e.g. brazing, or unsolde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methods
    • B23K3/08Auxiliary devices therefor
    • B23K3/087Soldering or brazing jigs, fixtures or clamping mea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04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adapted as photovoltaic [PV] conversion devi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04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adapted as photovoltaic [PV] conversion devices
    • H01L31/042PV modules or arrays of single PV cells
    • H01L31/05Electrical interconnection means between PV cells inside the PV module, e.g. series connection of PV cells
    • H01L31/0504Electrical interconnection means between PV cells inside the PV module, e.g. series connection of PV cells specially adapted for series or parallel connection of solar cells in a modul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18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thes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18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thes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31/1876Particular processes or apparatus for batch treatment of the devices
    • H01L31/188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automatic interconnection of solar cells in a modul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30Assembling printed circuits with electric components, e.g. with resistor
    • H05K3/32Assembling printed circuits with electric components, e.g. with resistor electrically connecting electric components or wires to printed circuits
    • H05K3/34Assembling printed circuits with electric components, e.g. with resistor electrically connecting electric components or wires to printed circuits by soldering
    • H05K3/3494Heating methods for reflowing of sold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101/00Articles made by soldering, welding or cutting
    • B23K2101/36Electric or electronic devices
    • B23K2101/40Semiconductor devic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10Details of components or other objects attached to or integrated in a printed circuit board
    • H05K2201/10007Types of components
    • H05K2201/10143Solar cell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3/00
    • H05K2203/10Using electric, magnetic and electromagnetic fields; Using laser light
    • H05K2203/101Using electrical induction, e.g. for heating during solder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rmat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nnections Effected By Soldering, Adhesion, Or Permanent Deformation (AREA)
  • Photovoltaic Devices (AREA)
  • Resistance Welding (AREA)

Abstract

유도 납땜을 이용해, 직선형 납땜선 (L) 을 따라 태양전지 (1) 의 직선형 전류 수집 바아 (3) 에 전기 전도성 리본 (5) 을 연결시키기 위한 납땜장치 (15) 는 상기 전류 수집 바아 (3) 의 표면에 상기 리본 (5) 을 억누르기 위한, 상기 납땜선 (L) 을 따라 배치된 다수의 홀드다운 요소 (P1-P11) 와, 교류 (I) 를 위해 상기 납땜선 (L) 을 따라 뻗어 있는 전류경로 (21A) 를 가진 유도 안테나 (20A) 를 포함하며, 상기 교류 (I) 는, 상기 납땜선 (L) 에서 및/또는 상기 납땜선의 주변에서 교번자기장 (H1-H10) 을 발생시키도록 상기 전류경로 (21A) 를 따라 안내되어 있다. 상기 전류경로 (21A) 는, 상기 납땜선 (L) 의 섹션들 중 적어도 하나 안의 교번자기장 (H1) 이 상기 납땜선 (L) 의 섹션들 중 적어도 다른 하나 안의 교번자기장 (H2) 에 대해 역위상에 있도록, 상기 납땜선 (L) 의 일렬로 잇달아 배치된 다수의 섹션을 따라 뻗어 있다.

Description

유도 납땜을 이용해 태양전지의 전류 수집 바아에 전기 전도성 리본을 연결시키기 위한 납땜장치{SOLDERING DEVICE FOR CONNECTING AN ELECTRICALLY CONDUCTIVE RIBBON TO A BUSBAR OF A SOLAR CELL BY MEANS OF INDUCTIVE SOLDERING}
본 발명은 태양전지의 직선형 전류 수집 바아에 전기 전도성 리본을 연결시키기 위한 납땜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납땜장치는 유도 납땜을 통해, 즉 서로 연결되어야 하는 부품들의 유도가열을 통해 납땜연결을 만들어내는 납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유형의 납땜장치는 솔라 모듈 ("태양광 모듈") 에서 전기적 연결을 만들어내기 위해 사용된다. 태양광 모듈은 일반적으로 다수의 태양전지를 포함하며, 상기 태양전지들은 각각의 태양전지에 부딪치는 빛을 광기전 효과를 근거로 전기 에너지로 변환시켜야 하는 과제를 갖는다. 이를 위해, 각각의 개별적인 태양전지는 일반적으로 광전 층구조를 포함하며, 상기 층구조는 상기 태양전지에 부딪치는 빛의 적어도 일부를 흡수한다. 상기 빛의 흡수를 통해, 상기 층구조 안에서는 한편으로는 전하 운반체가 발생하고, 상기 전하 운반체는 상기 층구조 안에서 전류를 발생시킬 수 있다. 이 이외에, 상기 태양전지의 앞면 (또는 윗면) 과 상기 태양전지의 뒷면 (또는 아랫면) 사이의 전압이 발생된다. 상기 솔라 모듈을 형성하는 상기 개별적인 태양전지들은 일반적으로 서로 나란히 평탄한 표면 상에 배치되어 있고, 그리고 모든 태양전지들이 전기적으로 직렬로 접속되어 있도록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따라서 상기 솔라 모듈은 상기 개별적인 태양전지들에 의해 발생된 전압들의 합계에 상응하는 출력전압을 제공할 수 있다.
2 개의 태양전지를 전기적으로 직렬로 접속시키기 위해, 일반적으로 한 태양전지의 앞면과 다른 태양전지의 뒷면 사이의 전기적 연결이 만들어져야 한다. 이러한 유형의 전기적 연결은 일반적으로 유연한 전기 전도성 리본을 이용해 실현되며, 이때 각각 상기 리본의 한 섹션은 상기 한 태양전지의 앞면에 고정되어야 하고, 상기 리본의 다른 섹션은 상기 다른 태양전지의 뒷면에 고정되어야 한다.
이러한 유형의 전기적 연결의 제조의 최적화와 관련하여, 무엇보다도 여러 가지 유형의 태양전지들 간의 구조적인 차이들이 영향을 미친다.
예컨대“표준”태양전지들이 공지되어 있으며, 상기 표준 태양전지들은 태양전지의 한쪽에 (앞면) 부딪치는 빛만을 광전자를 이용해 변환시킬 수 있게 설계되어 있다. 이러한 유형의“표준”태양전지들에 있어서, 뒷면은 일반적으로 금속으로 만들어진 (빛이 투과하지 않는) 층으로 (이하,“금속층”) 표면이 덮혀 있다. 이와는 달리, 전기 에너지로 변환되어야 하는 빛을 투과시켜야 하는 상기 앞면은 일반적으로 서로 평행으로 배치된 다수의 도체트랙을 갖추고 있다. 상기 뒷면 상의 상기 금속층과 상기 앞면 상의 도체트랙들은 전기적 접촉부들로서 사용되고, 상기 전기적 접촉부들은, 상기 태양전지 안에 광전자를 이용해 발생된 전하 운반체를 수용할 수 있다. 이 이외에, 상기 태양전지의 상기 앞면은 다수의 (일반적으로 2 개 내지 4 개의) 전류 수집 바아를 갖추고 있으며, 상기 전류 수집 바아들은 서로 평행으로 그리고 직선으로 각각 상기 도체트랙들에 대해 수직으로 뻗어 있다. 이 전류 수집 바아들 각각은 상기 각각의 태양전지의 상기 앞면에서의 상기 각각의 도체트랙들 사이의 전기적 연결을 형성하며, 상기 태양전지의 상기 앞면에서의 상기 개별적인 도체트랙들에 의해 수용된 전하 운반체들을 수집하고, 그리고 상기 각각의 전류 수집 바아를 따라 이 전하 운반체들을 운반하는 것을 가능하게 해야 하는 과제를 갖는다. 이러한 유형의 2 개의“표준”태양전지를 전기적으로 직렬로 접속시키기 위해서는, 한 태양전지의 앞면에 있는 전류 수집 바아들 각각을 유연한 전기 전도성 리본을 이용해 다른 태양전지의 뒷면에 있는 금속층과 연결시키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 이외에, 이른바 바이페이셜 (bifacial) 태양전지들 또는“양면”태양전지들이 공지되어 있다. 바이페이셜 태양전지들은 -“표준”태양전지들과는 달리 - 태양전지의 앞면에 부딪치는 빛 뿐만 아니라 태양전지의 뒷면에 부딪치는 빛도 전기 에너지로 변환시키도록 설계되어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유형의 바이페이셜 태양전지들에 있어서는, 일반적으로 상기 앞면 뿐만 아니라 상기 뒷면도 빛을 투과시켜야 한다. 이러한 이유로 인해, 바이페이셜 태양전지의 뒷면은“표준”태양전지의 뒷면과는 달리 금속층으로 표면이 덮혀 있지 않다. 오히려, 바이페이셜 태양전지에서는 앞면 뿐만 아니라 뒷면도 서로 나란히 배치된 다수의 도체트랙을 갖추고 있으며, 상기 도체트랙들은 전기적 접촉부들로서, 상기 태양전지 안에 광전자를 이용해 발생된 전하 운반체들을 수용하는데 쓰인다. 이 이외에, 상기 태양전지의 앞면 뿐만 아니라 뒷면도 각각 다수의 (일반적으로 2 개 내지 4 개의) 전류 수집 바아를 갖추고 있으며, 상기 전류 수집 바아들은 서로 평행으로 그리고 직선으로 상기 태양전지의 앞면 상의 또는 뒷면 상의 상기 각각의 도체트랙들에 대해 각각 수직으로 뻗어 있고, 그리고 상기 각각의 도체트랙들을 서로 연결시킨다. 이러한 유형의 2 개의 바이페이셜 태양전지를 전기적으로 직렬로 접속시키기 위해서는, 한 태양전지의 앞면에 있는 전류 수집 바아들 각각을 유연한 전기 전도성 리본을 이용해 다른 태양전지의 뒷면에 있는 전류 수집 바아들 중 하나와 연결시키는 것이 일반적이다.
EP 2 103 373 A1 에는 유도 납땜을 이용해 전류 수집 바아와 전도성 리본 사이의 납땜연결이 만들어짐으로써 태양전지의 상기 전류 수집 바아에 상기 전기 전도성 리본을 연결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납땜장치가 공지되어 있으며, 상기 납땜연결은 직선형 선, 이하“납땜선”이라고 불리운다, 을 따라 상기 전류 수집 바아의 세로방향에서 뻗어 있다. 상기 납땜장치는, 상기 리본이 연결되어야 하는 상기 전류 수집 바아의 표면에 상기 리본을 억누르기 위한 다수의 홀드다운 요소를 포함한다. 그러므로, 납땜연결을 만들어내기 위해, 예컨대 상기 리본의 세로방향 섹션은 상기 납땜선을 따라 상기 전류 수집 바아의 표면 위에 놓여지고, 그리고 납땜연결을 만들어내는 동안 상기 홀드다운 요소들을 이용해 유지될 수 있다. 납땜연결을 만들어내는 것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상기 전류 수집 바아의 상기 표면은 땜납, 예컨대 연납을 갖추고 있다. 상기 홀드다운 요소들은 본 예에서 핀으로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핀들은 상기 납땜선을 따라 일렬로 잇달아 배치되어 있고, 상기 전류 수집 바아의 표면에 대해 각각 수직으로 뻗어 있으며, 그리고 상기 홀드다운 요소들을 상기 리본과 접촉시킬 수 있기 위해 상기 납땜선에 대해 상대적으로 움직일 수 있다. 이 이외에, 상기 납땜장치는, 교류를 위해 상기 납땜선을 따라 뻗어 있는 전류경로를 가진 유도 안테나를 포함한다. 상기 전류경로는 구부러진 관으로부터 성형된 유도루프 안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유도루프는 U 모양이고, 그리고 이에 상응하여, 평행으로 그리고 서로 간격을 두고 배치된, 그리고 상기 납땜선에 대해 본질적으로 평행으로 뻗어 있는 2 개의 레그를 구비한다. 상기 유도루프의 이 두 레그는 (고주파) 교류를 위한 발전기에 연결되어 있고, 이때 상기 발전기에 의해 발생된 교류는, 상기 두 레그 중 하나 안의 교류가 각각 상기 두 레그 중 다른 것 안의 교류에 대해 역위상에 있도록 상기 유도루프의 상기 두 레그를 통해 흐른다. 이때, 상기 교류는, 상기 납땜선에서 또는 상기 납땜선의 주변에서 교번자기장을 발생시키도록 상기 유도루프의 상기 두 레그 안에서 안내되어 있고, 상기 교번자기장은 상기 납땜선에서, 상기 교류가 존재해 있는 상기 납땜선의 전체 영역에서 각각 동일한 위상을 갖는다. 상기 교번자기장은, 상기 전류 수집 바아 안에서 및/또는 상기 리본 안에서 전자기 유도를 통해 와전류들을 발생시켜야 하는 과제를 가지며, 상기 와전류들은 상기 전류 수집 바아와 상기 리본의 가열을 가능하게 하고, 따라서 땜납이 우선 녹을 수 있으며, 그리고 결국, 상기 납땜선을 따라 뻗어 있는, 상기 리본과 상기 전류 수집 바아 사이의 납땜연결이 발생될 수 있다. 상기 유도루프는 상기 납땜선을 따라 잇달아 배치된 다수의 확장부 및 좁아진 부분을 구비하며, 이때 상기 확장부들 각각 안에는 (즉, 상기 유도루프의 상기 두 레그 사이에는) 상기 홀드다운 요소들 중 하나가 배치되어 있다. 본 경우에서, 상기 유도루프는 - 상기 유도루프의 상기 두 레그의 배열에 상응하여 - 각각 교번자기장을 발생시키며, 상기 교번자기장은 상기 각각의 확장부들에서, 상기 좁아진 부분들에서보다 보다 큰 장의 세기를 갖는다. 상기 홀드다운 요소들에 대해 상대적인 상기 유도루프의 이 배열은, 가열하기 위해 필요한 에너지의 가능한 한 효율적인 이용에 있어서, 즉 가능한 한 높은 에너지효율에 있어서 상기 전류 수집 바아 또는 상기 리본의 가능한 한 집중적인 가열을 가능하게 해야 한다.
하지만, 상기 언급된 납땜장치의 상기 유도 안테나는 유도가열시 문제로 여겨지는 여러 가지 효과를 나타낸다. 일반적으로, 상기 유도 안테나에 의해 발생된 교번자기장은, 오로지 각각의 전류 수집 바아 또는 상기 전류 수집 바아에 연결되어야 하는 상기 리본에만 제한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전류 수집 바아 밖의 상기 태양전지의 영역들에서도 뻗어 있는 공간영역 (spatial area) 안에도 존재한다. 그렇기 때문에, 상기 교번자기장은 한편으로는 각각의 전류 수집 바아 안에서 또는 상기 전류 수집 바아에 연결되어야 하는 상기 리본 안에서 국부적인 와전류들을 유도하고, 그리고 이러한 방식으로 상기 전류 수집 바아 안에서 또는 상기 연결되어야 하는 리본 안에서 가열전력을 발생시키기는 한다. 하지만, 상기 교번자기장은 상기 각각의 전류 수집 바아 밖의 상기 태양전지의 영역들을 통해 흐르는 전류들도 유도한다. 그 결과, 상기 각각의 전류 수집 바아 밖의 상기 태양전지의 영역에서도 가열전력이 발생되고, 그리고 이로써 이 영역들의 국부적인 가열이 발생된다.
이는 한편으로는 상기 각각의 전류 수집 바아 또는 상기 전류 수집 바아에 연결되어야 하는 상기 리본의 가열의 에너지효율과 관련하여 원칙적으로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 상기 유도 안테나의 상기 교번자기장에 의해 유도된 - 상기 각각의 전류 수집 바아 밖의 상기 태양전지의 영역들을 통해 흐를 수 있는 전류들이 상기 태양전지 또는 상기 리본을 공간적으로 비균일하게 가열하는 것이 단점이 된다. 이 비균일한 가열은 장소의 함수로서의 상기 태양전지의 온도 또는 상기 리본의 온도의 큰 변화를 초래한다. 상기 비균일한 가열로 인해, 특히 상기 전류 수집 바아의 온도 또는 상기 리본의 온도는 상기 납땜선을 따라 심하게 변화할 수 있다.
이는 큰 거리에 걸쳐 (예컨대 상기 전류 수집 바아의 전체 길이에 걸쳐) 가능한 한 균일하게 형성되어야 하는 납땜연결의 제조와 관련하여 특히 문제가 된다. 상기 태양전지의 상기 비균일한 가열 때문에, 예컨대, 유도가열시 상기 전류 수집 바아의 온도와 상기 리본의 온도는 상기 납땜선을 따라 변화하고, 따라서 상기 전류 수집 바아의 표면에서의 상기 언급된 땜납이 상기 납땜선의 특정 섹션들에서 녹지 않거나 또는 부분적으로만 녹는 위험이 존재하며, 따라서 상기 납땜선의 이 섹션들을 따라 납땜연결이 발생하지 않거나 또는 불충분하게만 부하에 견디어낼 수 있는 납땜연결이 발생할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는, 유도가열시 상기 전류 수집 바아의 온도와 상기 리본의 온도가 상기 납땜선을 따라 변화하고, 따라서 상기 연결되어야 하는 리본이 국부적으로 과열되거나 또는 손상되는 위험이 존재한다.
예컨대 전류 수집 바아의 전체 길이에 걸쳐 뻗어 있는 리본이 종래의 유도 안테나를 써서 유도적으로 상기 전류 수집 바아의 전체 길이에 걸쳐 가열되면, 예컨대, 상기 리본 또는 상기 전류 수집 바아의 온도가 특히 상기 각각의 전류 수집 바아의 두 단부에서 특히 엄청나게 올라갈 수 있다는 것이 밝혀질 수 있다. 또한, 이웃한 2 개의 전류 수집 바아 사이의 태양전지의 가장자리 근처에서 상기 태양전지의 심한 가열이 밝혀질 수 있다. 이 경우, 유도 납땜시 상기 리본이 상기 전류 수집 바아의 두 단부에서 과열되고, 그리고 경우에 따라서는 손상되는 위험이 존재한다. 상기 언급된 효과들은, 바이페이셜 태양전지의 전류 수집 바아들 중 하나에 상기 리본이 상기 언급된 유도 안테나를 이용해 유도적으로 납땜되는 경우 특히 심각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언급된 단점들을 피하고, 유도 안테나를 써서 유도 납땜을 이용해 직선형 납땜선을 따라 태양전지의 전류 수집 바아에 전기 전도성 리본을 연결시키기 위한 납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며, 이때 상기 유도 안테나는, 상기 전류 수집 바아 및/또는 상기 리본을 가능한 한 균일하게 유도적으로 가열하고, 따라서 상기 납땜선을 따른 상기 전류 수집 바아의 온도 또는 상기 리본의 온도의 공간적 변화가 납땜 동안 감소되어 있도록 그리고 상기 리본 또는 상기 태양전지의 국부적인 과열이 저지되도록 형성되어 있어야 한다.
이 목적은 특허청구항 제 1 항의 특징들을 가진 납땜장치를 통해 달성된다.
이 납땜장치는 상기 전류 수집 바아의 표면에 상기 리본을 억누르기 위한 다수의 홀드다운 요소를 포함하며, 이때 상기 홀드다운 요소들은 상기 납땜선을 따라 일렬로 잇달아 배치되어 있다. 이 이외에, 상기 납땜장치는, 교류를 위해 상기 납땜선을 따라 뻗어 있는 전류경로를 가진 유도 안테나를 포함하며, 이때 상기 교류는, 상기 납땜선에서 및/또는 상기 납땜선의 주변에서 교번자기장을 발생시키도록 상기 전류경로를 따라 안내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전류경로는, 상기 납땜선의 섹션들 중 적어도 하나 안의 교번자기장이 상기 납땜선의 섹션들 중 적어도 다른 하나 안의 교번자기장에 대해 역위상에 있도록, 상기 납땜선의 일렬로 잇달아 배치된 다수의 섹션을 따라 뻗어 있다.
이와 관련하여, 선행기술과의 차이를 명확하게 하기 위해, EP 2 103 373 A1 에 공지된 유도 안테나의 경우에는 교류가, 납땜선을 따라 - 교번자기장이 존재해 있는 상기 납땜선의 전체 영역에서 - 각각 동일한 위상을 갖는 교번자기장을 발생시키도록 상기 납땜선을 따라 안내되어 있다는 것을 다시 한 번 참조하도록 한다.
이와는 달리, 본 발명에 따른 납땜장치의 경우, (교류를 위한 전류경로의 상응하는 구현형태를 통해) 교류는, 납땜선의 여러 가지 섹션에서 위상과 관련하여 서로 구별되는 교번자기장들을 발생시키도록 상기 납땜선을 따라 안내되어 있다. 일 실시변형에서, 상기 납땜선의 일렬로 잇달아 배치된 예컨대 2 개의 섹션이 제공되어 있을 수 있으며, 그리고 교류를 위한 전류경로는, 상기 교류가 이 섹션들 각각 안에서 교번자기장을 발생시키도록 상기 납땜선을 따라 뻗어 있고, 이때 이 섹션들 중 하나 안의 교번자기장은 이 섹션들 중 다른 것 안의 교번자기장에 대해 역위상에 있다. 이에 상응하여, 상기 납땜선의 이 섹션들 중 상기 하나 안의 교번자기장은 상기 납땜선의 이 섹션들 중 상기 다른 것 안의 교번자기장에 대해 각각 반대로 향해 있다. 이때, 상기 납땜선의 상기 각각의 섹션들 안의 교번자기장들의 각각의 장의 세기들은, 장의 세기의 양과 관련하여 동일할 수 있다. 다른 실시변형에 따르면, 상기 납땜선의 일렬로 잇달아 배치된 2 개보다 많은 섹션이 제공되어 있을 수 있고, 그리고 교류를 위한 전류경로는, 상기 교류가 이 섹션들 각각 안에서 교번자기장을 발생시키도록 상기 납땜선을 따라 뻗어 있으며, 이때 바로 잇달아 배치되어 있는 (이웃한) 각각 2 개의 섹션들 안의 교번자기장들은 서로 역위상에 있다. 따라서, 마지막에 언급된 이 실시변형에 따르면, 상기 납땜선의 일렬로 잇달아 배치된 3 개 이상의 섹션들 안의 교번자기장들은, 이 섹션들 중 적어도 2 개 안의 교번자기장들이 서로 동위상에 있도록 발생 가능하며, 그리고 이 2 개의 섹션들 사이에는 상기 납땜선의 그 밖의 섹션이 배치되어 있고, 이 섹션 안에서 교번자기장은 상기 납땜선의 상기 언급된 2 개의 섹션들 안의 교번자기장들과 관련하여 역위상에 있으며, 상기 2 개의 섹션들 안에서 각각의 교번자기장들은 서로 동위상에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납땜장치의 경우에는 교번자기장들이 상기 납땜선의 여러 가지 섹션에서 각각 서로 역위상에 있음으로써, 상기 태양전지 안의 교번자기장들을 이용해 전자기 유도에 의해 유도될 수 있는 전류들에게, 그들의 공간적 분배 및/또는 그들의 전류강도와 관련하여, 유도된 전류들이 상기 리본이 납땜되어야 하는 상기 전류 수집 바아 밖의 상기 태양전지의 영역들에서 가능한 한 적은 열을 발생시키도록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가능성이 만들어져 있다. 이 이외에, 상기 유도된 전류들의 공간적 분배는, 상기 유도된 전류들이 상기 전류 수집 바아 밖의 상기 태양전지의 영역에서 경우에 따라서는 발생시키는 열이 공간적으로 가능한 한 균일하게 분배되어 있도록 최적화될 수 있다. 이를 기초로 하여, 상기 태양전지 또는 상기 연결되어야 하는 리본의 국부적인 과열이 저지될 수 있는 것이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납땜장치의 상기 언급된 장점들은 예컨대 태양전지에 전기 전도성 리본을 유도 납땜할 때 뚜렷해지며, 상기 태양전지는 - 상기 언급된“표준”태양전지들 또는 바이페이셜 태양전지들처럼 - 서로 나란히 배치된 그리고 다수의 도체트랙을 통해 서로 연결된 다수의 전류 수집 바아를 구비한다. 이러한 이유로 인해, 하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납땜장치는 상기 각각의 리본이 이러한 유형의 (다수의 전류 수집 바아를 구비하는) 태양전지의 전류 수집 바아들 중 하나에 납땜되어야 하는 경우를 위해 설명되어야 하며, 이때 이 하나의 전류 수집 바아와 상기 리본 사이의 납땜연결은 각각 이 하나의 전류 수집 바아의 세로방향에서 뻗어 있는 납땜선을 따라 만들어져야 한다.
상기 리본이 납땜되어야 하는 상기 하나의 전류 수집 바아는 하기의 설명에서 편의상“제 1”전류 수집 바아라고 불리운다.
설명을 간단하게 하기 위해 (일례로서), 만들어져야 하는 납땜연결이 본질적으로 상기 제 1 전류 수집 바아의 전체 길이에 걸쳐 뻗어 있어야 한다고 가정되어야 한다. 이에 상응하여, 하기의 설명에서는, 연결되어야 하는 상기 리본이 납땜시 상기 납땜선을 따라 본질적으로 상기 제 1 전류 수집 바아의 전체 길이에 걸쳐 상기 제 1 전류 수집 바아와 접촉하게 되어 있다고 가정되어 있다. 이 이외에, 유도 안테나를 이용해 발생된 교번자기장들은, 상기 납땜선을 따라 본질적으로 상기 제 1 전류 수집 바아의 전체 길이에 걸쳐 뻗어 있는 공간영역 안에 존재한다고 가정되어 있다.
본 발명은, 유도 납땜시 상기 리본과 상기 제 1 전류 수집 바아를 가열시키는데 일반적으로 와전류들 (상기 와전류들은 유도 안테나에 의해 발생된, 상기 리본 및/또는 상기 제 1 전류 수집 바아 안의 교번자기장들을 이용해 유도될 수 있다) 만 기여하는 것이 아니라는 숙고를 근거로 하고 있다. 이 와전류들은 상기 리본 안의 및/또는 상기 제 1 전류 수집 바아 안의 교번자기장들에 의해 전자기 유도를 이용해“국부적으로”유도되며, 그리고 이에 상응하여, 공간적으로 본질적으로 상기 리본 및/또는 상기 제 1 전류 수집 바아에 제한되어 있는 경로들을 따라 흐른다.
상기 제 1 전류 수집 바아가 다수의 도체트랙을 통하여 (적어도) 하나의 그 밖의 전류 수집 바아 (이하,“제 2”전류 수집 바아라고 불리운다) 와 연결되어 있음으로써, 상기 태양전지 안에는 유도 납땜시 일반적으로 링 모양으로 닫혀 있는 하나 또는 다수의 전류경로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전류경로들은 전류를 각각 링 모양으로 닫혀 있는 경로를 따라 상기 리본 및/또는 상기 제 1 전류 수집 바아를 통해서 뿐만 아니라 상기 제 1 전류 수집 바아 밖의 상기 태양전지의 영역을 통해서도 안내한다 (예컨대 상기 제 2 전류 수집 바아의 세로방향 섹션을 통해, 그리고 상기 리본을 상기 제 1 전류 수집 바아를 통하여 상기 제 2 전류 수집 바아의 상기 세로방향 섹션의 단부들 중 각각 하나와 연결시키는 도체트랙들을 통해).
특히 도 1 및 도 2 와 관련하여 설명되는 바와 같이, 유도 안테나에 의해 발생된 교번자기장들은 전자기 유도를 이용해 전류들을 유도할 수 있으며, 상기 전류들은 상기 언급된 링 모양의 전류경로들 중 하나를 따라 안내되어 있다. 이러한 유형의 링 모양의 전류경로 안에서 전자기적으로 유도되는 전류는 하기에서는 (전자기적으로 유도된)“2 차”교류라고 불리어야 한다 (“2 차”교류라는 명칭은 - 도 1 및 도 2 와 관련하여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트랜스포머”와의 비교에 근거를 두고 있으며, 이때 상기 유도 안테나의 전류경로와 상기 태양전지 안에 형성된 상기 링 모양의 각각의 전류경로들은 그들의 전자기적 상호작용과 관련하여 서로,“1 차측 권선”과“2 차측 권선”을 포함하는 전형적인“트랜스포머”에 상응하여 거동한다고 가정되어 있고, 이때 상기 유도 안테나의 전류경로는 상기 트랜스포머의 상기 1 차측 권선의 기능을 가지며, 상기 태양전지 안에 형성된 링 모양의 각각의 전류경로는 상기 트랜스포머의 상기 2 차측 권선의 기능을 갖는다).
전자기적으로 유도될 수 있는 상기 2 차 교류를 위한 전류경로는 예컨대 다음과 같이 각각 (링 모양으로) 잇달아 배치된 다수의 섹션으로 구성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섹션들 중 하나는 상기 리본의 세로방향 섹션 및/또는 상기 제 1 전류 수집 바아의 세로방향 섹션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그리고 이로써 2 차 교류를 상기 전류경로의 이 섹션에서 상기 리본 및/또는 상기 제 1 전류 수집 바아를 따라 안내할 수 있다; 상기 전류경로의 그 밖의 섹션은 상기 리본의 상기 언급된 세로방향 섹션의 단부들 중 하나를 (상기 제 1 전류 수집 바아를 통하여) 상기 제 2 전류 수집 바아와 연결시키는 제 1 도체트랙에 의해 또는 다수의 도체트랙으로 이루어진 제 1 그룹에 의해 형성되어 있을 수 있으며, 그리고 이로써 2 차 교류를 상기 리본의 상기 세로방향 섹션의 상기 한 단부와 상기 제 2 전류 수집 바아 사이의 상기 전류경로의 이 섹션에서 각각의 도체트랙들을 통해 안내할 수 있다; 상기 전류경로의 그 밖의 섹션은 상기 제 2 전류 수집 바아의 섹션에 의해 형성되어 있을 수 있으며, 그리고 이로써 2 차 교류를 상기 전류경로의 이 섹션에서 상기 제 2 전류 수집 바아를 따라 안내할 수 있다; 상기 전류경로의 그 밖의 섹션은 상기 리본의 상기 언급된 세로방향 섹션의 다른 단부를 (상기 제 1 전류 수집 바아를 통하여) 상기 제 2 전류 수집 바아와 연결시키는 제 2 도체트랙에 의해 또는 다수의 도체트랙으로 이루어진 제 2 그룹에 의해 형성되어 있을 수 있으며, 그리고 이로써 2 차 교류를 상기 리본의 상기 세로방향 섹션의 상기 다른 단부와 상기 제 2 전류 수집 바아 사이의 상기 전류경로의 이 섹션에서 각각의 도체트랙들을 통해 안내할 수 있다.
2 차 전류들을 위한 상기 언급된 전류경로들의 공간적 구조에 상응하여, 상기 유도된 2 차 전류들은 일반적으로 각각 상기 리본의 섹션 안에서 및/또는 상기 제 1 전류 수집 바아의 섹션 안에서 뿐만 아니라 상기 제 2 전류 수집 바아의 섹션 안에서, 그리고 각각 상기 리본의 상기 섹션의 단부들 중 하나와 상기 제 2 전류 수집 바아의 상기 섹션의 단부들 중 하나 사이에서 2 차 교류를 안내하는 각각의 도체트랙들 안에서도 열의 발생을 초래한다.
상기 유도된 2 차 전류들은, 본 발명에 의해 해결되는 문제들의 본질적인 원인으로 여겨질 수 있다. 특히, 이 2 차 전류들에서의 문제는, 가열전력의 본질적인 부분이 상기 제 1 전류 수집 바아의 외부에서 또는 상기 제 1 전류 수집 바아에 납땜되어야 하는 상기 리본의 외부에서 발생된다는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상기 유도된 2 차 전류들은 상기 제 2 전류 수집 바아의 가열을 초래하고, 그리고 특히 상기 제 1 전류 수집 바아와 상기 제 2 전류 수집 바아 사이의 도체트랙들의 특히 강한 가열을 초래한다 (일반적으로 이 도체트랙들이 비교적 큰 전기저항을 갖기 때문에 그러하며, 따라서 상기 도체트랙들 안의 각각의 2 차 교류는 상기 리본 안에서 또는 상기 제 1 전류 수집 바아 또는 상기 제 2 전류 수집 바아 안에서보다 보다 큰 가열전력을 발생시킨다).
이 이외에, 상기 유도된 2 차 전류들이 각각 링 모양으로 닫혀 있는 전류경로 안에서 안내되어 있다는 것이 문제가 된다. 그 결과, 상기 유도된 2 차 전류들이 각각의 (링 모양의) 전류경로를 따라 열을 발생시키기 때문에, 이 2 차 전류들은 태양전지의 공간적으로 비균일한 가열을 초래한다. 그러므로, 상기 2 차 교류는 상기 리본 또는 상기 태양전지의 국부적인 과열의 원인이 될 수 있다 (각각 유도된 2 차 교류의 전류강도에 따라).
도 1 및 도 2 와 관련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상기 유도된 2 차 전류들은 그들의 공간적 분배 및/또는 그들의 전류강도와 관련하여 일련의 파라미터들에 의해 영향을 받을 수 있다. 상기 각각의 2 차 전류들의 전류경로들의 공간적 연장은 본질적으로 유도 안테나를 이용해 발생된 교번자기장들의 공간적 분배에 의해 결정된다.
유도 안테나가 예컨대 교번자기장을 상기 납땜선의 미리 정해져 있는 섹션 안에서, 이 교번자기장의 위상이 상기 납땜선의 미리 정해져 있는 이 섹션을 따라 일정하도록 발생시키면, 이 교번자기장은 2 차 교류를 유도하고, 상기 2 차 교류의 공간적 연장은 본질적으로 상기 납땜선의 상기 미리 정해져 있는 섹션 (상기 섹션 안에서 이 교번자기장의 위상은 일정하다) 의 길이에 의해 정해져 있다: 유도된 2 차 교류의 전류경로는 상기 리본 안에서 또는 상기 제 1 전류 수집 바아 안에서 각각 상기 납땜선의 상기 미리 정해져 있는 섹션 (상기 섹션 안에서 이 교번자기장의 위상은 일정하다) 을 따라 뻗어 있으며, 그리고 상기 제 1 전류 수집 바아와 상기 제 2 전류 수집 바아 사이에 뻗어 있는, 그리고 - 상기 제 1 전류 수집 바아의 방향으로 - 상기 납땜선의 상기 미리 정해져 있는 섹션의 길이와 본질적으로 일치하는 길이를 가진 태양전지의 영역의 주변에서 상기 리본 또는 상기 제 1 전류 수집 바아의 외부에서 뻗어 있다 (도 1 및 도 2). 이로부터, 각각 상기 납땜선의 상기 미리 정해져 있는 섹션의 두 단부의 영역에서 상기 리본의 온도, 상기 제 1 전류 수집 바아의 온도 및 상기 도체트랙들의 온도의 특히 심한 국부적 상승이 발생한다. 이때, 상기 납땜선의 상기 미리 정해져 있는 섹션 (상기 섹션 안에서 교번자기장의 위상은 일정하다) 의 길이가 크면 클수록, 유도된 2 차 교류 (교번자기장의 미리 정해져 있는 장의 세기에 있어서) 의 전류강도는 더 크다 (도 2 와 관련하여 설명되는 바와 같이).
이는 유도 안테나에 의해 발생된 교번자기장이 상기 납땜선을 따라 상기 제 1 전류 수집 바아의 전체 길이에 걸쳐 일정한 위상을 가지면, 유도된 2 차 전류들이 유도 납땜시 태양전지의 가열의 특히 심한 비균일성 및 특히 심한 국부적 과열을 초래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 상황은 - 언급한 바와 같이 - 선행기술에 따른 유도 안테나를 이용한 유도 납땜시, 예컨대 EP 2 103 373 A1 에 공지된 바와 같이, 발생되어 있다). 이 경우, 교번자기장은 본 예에서 본질적으로 링 모양의 전류경로 안에서 2 차 교류를 유도하며, 상기 전류경로는 상기 2 차 교류를 태양전지의 특히 큰 영역 둘레로 안내한다: 이 2 차 교류는 본질적으로 상기 리본 또는 상기 제 1 전류 수집 바아를 따라 (상기 제 1 전류 수집 바아의 전체 길이에 걸쳐), 또한 상기 제 2 전류 수집 바아를 따라 (상기 제 2 전류 수집 바아의 전체 길이에 걸쳐), 추가적으로 상기 태양전지의 한 가장자리의 근처에서 상기 제 1 전류 수집 바아의 단부들 중 하나와 상기 제 2 전류 수집 바아의 단부들 중 하나를 연결시키는 도체트랙들로 이루어진 제 1 그룹을 통해, 그리고 게다가, 상기 태양전지의 다른 하나의 가장자리의 근처에서 상기 제 1 전류 수집 바아의 단부들 중 다른 것과 상기 제 2 전류 수집 바아의 단부들 중 다른 것을 연결시키는 도체트랙들로 이루어진 제 2 그룹을 통해 흐른다. 이 이외에, 이 2 차 전류들의 전류강도는 본 경우 (교번자기장의 미리 정해져 있는 장의 세기와 관련하여) 특히 크다 (도 1). 그 결과, 이 2 차 교류는 상기 제 1 전류 수집 바아의 단부들에서는 상기 리본의 개별적인 섹션들 또는 상기 제 1 전류 수집 바아의 특히 강한 국부적 과열을 초래하고, 그리고 태양전지의 2 개의 여러 가지 공간영역에서는 상기 언급된 도체트랙들의 제 1 및 제 2 그룹의 강한 가열을 초래한다.
각각의 태양전지의 비균일한 가열의 이 형태는 바이페이셜 태양전지들의 경우에 특히 극단적으로 뚜렷이 나타나 있다는 것을 참조하도록 한다. 바이페이셜 태양전지들에 있어서, 실험적인 연구들이 나타내는 바와 같이, 특히 태양전지 안의 2 차 전류들은, 유도적으로 발생된 와전류들이 상기 리본 또는 상기 태양전지에서 발생시키는 가열전력보다 훨씬 더 큰 (일반적으로 100% 이상 만큼) 가열전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그 결과, 바이페이셜 태양전지에서의 유도 납땜시, 유도된 2 차 전류들을 이용한 유도가열은 유도된 와전류들을 이용한 가열의 기여와 비교하여 우세한 역할을 한다. 표준 태양전지들의 경우, 유도된 2 차 전류들이 각각의 태양전지의 가열에 중요한 기여를 한다; 전형적으로, 이 기여는, 유도된 와전류들이 상기 리본에서 또는 상기 제 1 전류 수집 바아에서 발생시키는 가열전력과 동일한 자릿수를 가진다. 물론,“표준”태양전지들의 경우, 유도된 2 차 전류들은, 바이페이셜 태양전지들의 경우에서보다는 덜 심한, 상기 리본 또는 상기 제 1 전류 수집 바아의 가열의 비균일성을 초래한다. 이는“표준”태양전지들의 뒷면이 (전기 전도성) 금속층으로 덮혀 있다는 데에 그 원인이 있다. 그러므로, 유도 안테나에 의해 발생된 교번자기장들은 이 금속층 안에서도 와전류들을 유도할 수 있다. 이 와전류들은 특히 상기 제 1 전류 수집 바아의 근처에서 상기 금속층의 상대적인 강한 가열을 초래하며, 그리고 이로써 간접적으로 (열전도를 통하여) 상기 제 1 전류 수집 바아 또는 상기 리본의 가열에 기여한다. 이 이외에, 상기 태양전지의 상기 뒷면에서의 상기 금속층 안에서 유도된 와전류들은 교번자기장들을 발생시키고, 상기 교번자기장들은 유도 안테나에 의해 발생된 교번자기장들을 부분적으로 보상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표준 태양전지들의 경우에서는, 태양전지의 가열에의 유도된 2 차 전류들의 기여는 유도된 와전류들의 상응하는 기여와 비교하여 감소되어 있다 (바이페이셜 태양전지들과 비교하여). 이와는 달리, 바이페이셜 태양전지들의 경우에는, 태양전지의 뒷면에서의 표면을 덮는 금속층이 (그리고 이에 상응하여, 표준 태양전지들에서는 존재하는, 이러한 금속층 안에서 유도된 와전류들의 영향도) 존재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납땜장치의 경우에는, 상기 언급된 유도된 2 차 전류들이 (유도 안테나의 전류경로의 구현형태에 따라 거의) 공간적으로 각각 보다 균일하게 태양전지에 걸쳐 분배되어 있고, 따라서 이 2 차 전류들의 상기 언급된 불리한 효과들이 (거의) 감소되거나 또는 저지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납땜장치의 경우, 유도 안테나의 전류경로는, 상기 납땜선의 섹션들 중 적어도 하나 안의 교번자기장이 상기 납땜선의 섹션들 중 적어도 다른 하나 안의 교번자기장에 대해 역위상에 있도록, 상기 납땜선의 일렬로 잇달아 배치된 다수의 섹션을 따라 뻗어 있다. 이로 인해, 특히, 상기 납땜선의 여러 가지 섹션 안에 존재하는 그리고 각각 서로 역위상에 있는 교번자기장들이 각각 다수의 여러 가지 2 차 전류들을 유도하는 것이 달성되며, 상기 2 차 전류들은 서로 역위상으로 여러 가지 전류경로에서 흐르고, 이때 각각의 전류경로들은 각각, 상기 납땜선을 따라 잇달아 배치된 태양전지의 여러 가지 영역에서 공간적으로 서로 분리되어 형성되어 있다. 이에 상응하여, 이 전류경로들 각각은, 각각 상기 제 1 전류 수집 바아를 따른 연장이 상기 전류 수집 바아의 전체 길이의 단지 일부일 뿐인 태양전지의 섹션에서 상기 제 1 전류 수집 바아와 상기 제 2 전류 수집 바아 사이에 뻗어 있다. 이로부터 다수의 장점이 발생한다.
제 1 장점으로서, 예컨대, 여러 가지 유도된 2 차 전류들이 각각의 전류경로들을 따라 발생시키는 가열전력이 공간적으로 보다 균일하게 태양전지에 걸쳐 분배되는 것이 달성된다 (교번자기장이 납땜선을 따라, 상기 교번자기장이 존재해 있는 상기 납땜선의 전체 영역에서 각각 동일한 위상을 갖는 상기 언급된 선행기술과 비교하여). 추가적으로, 여러 가지 유도된 2 차 전류들 각각의 전류강도가 (교번자기장의 미리 정해져 있는 장의 세기에 있어서) 감소되어 있는 것이 달성된다 (납땜선을 따라, 교번자기장이 존재해 있는 상기 납땜선의 전체 영역에서 각각 동일한 위상을 갖는 교번자기장에 의해 선행기술에 따라 유도될 수 있는 2 차 전류의 전류강도와 비교하여). 이는 - 그 밖의 장점으로서 - 각각의 개별적인 유도된 2 차 교류의 가열전력이 (교번자기장의 미리 정해져 있는 장의 세기에 있어서) 감소되어 있다는 효과를 갖는다. 그 결과, 유도된 2 차 전류들로 인해 태양전지 또는 상기 제 1 전류 수집 바아에 연결되어야 하는 상기 리본의 국부적인 과열이 발생하는 위험도 감소되어 있다 (왜냐하면 특히 상기 언급된 장점들에 따르면, 여러 가지 유도된 2 차 전류들은 그들의 공간적 분배를 근거로 한편으로는 태양전지의 공간적으로 보다 균일한 가열을 초래하고, 그리고 각각의 개별적인 2 차 교류는 감소된 가열전력을 발생시키기 때문이다).
상기 유도 안테나의 상기 전류경로를 따라 안내된 교류는 공간의 특정 점에서 교번자기장을 발생시키며, 상기 교번자기장의 장의 세기는 알다시피 특히 상기 유도 안테나의 상기 전류경로에 대해 상대적인 상기 점의 배열에 의해 좌우된다. 이때, 상기 공간의 상기 각각의 점에서의 장의 세기는 이 장의 세기에의 여러 가지 기여의 중첩으로서 결정될 수 있으며, 이때 이 기여들은 각각 상기 유도 안테나의 상기 전류경로의 개별적인 섹션들에 할당될 수 있고, 그리고 각각 상기 전류경로의 상기 각각의 섹션을 통해 흐르는 교류에 의해 발생된다. 이때, 상기 전류경로의 상기 각각의 섹션에 할당될 수 있는, 상기 공간의 특정 점에서 작용하는 상기 교번자기장의 자기장의 세기에의 기여는 (비오-사바르의 법칙에 상응하여) 다수의 파라미터에 의해 좌우된다: 자기장의 세기의 양과 관련하여서는 상기 교류의 전류강도에 의해, 그리고 상기 전류경로의 상기 각각의 섹션으로부터의 상기 점의 간격에 의해 좌우되며, 이때 상기 전류강도의 함수로서 상기 장의 세기에의 상기 기여의 양은 증대하는 전류강도와 더불어 더 커지고, 상기 점이 상기 전류경로의 상기 섹션으로부터 멀리 떨어져 있으면 있을수록 더 작아진다; 상기 기여의 위상과 관련하여서는 상기 전류경로의 상기 각각의 섹션 안의 상기 교류의 전류흐름 방향에 의해 좌우되며, 이때 상기 전류흐름 방향의 방향전환은 180°만큼 장의 세기에의 상기 기여의 위상의 변경 (위상 이동) 을 초래한다.
상기 교번자기장이 본 발명에 따라 상기 납땜선의 섹션들 중 적어도 하나 안에서, 상기 납땜선의 섹션들 중 적어도 다른 하나 안의 교번자기장에 대해 역위상에 있는 것을 달성하기 위해, 당업자는, 각각 전류경로의 하나 또는 다수의 섹션이 상기 납땜선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섹션으로부터의 또는 상기 납땜선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른 섹션으로부터의 적합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도록, 그리고 전류경로의 각각의 섹션들 안의 교류의 현재의 전류흐름 방향이 각각 적합하게 상기 납땜선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섹션에 대해 상대적으로 또는 상기 납땜선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른 섹션에 대해 상대적으로 향해 있도록 유도 안테나의 전류경로를 설계할 수 있다. 전류경로의 다수의 섹션을 본 발명의 의미에서“적합하게”납땜선의 각각의 섹션들에 대해 상대적으로 배치시키는 가능성들의 개수가 제한이 없다는 것은 (임의적으로 많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그렇기 때문에, 하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납땜장치의 가능한 실현을 위한 몇개의 예들만 설명되어야 한다. 이 실현형태들은 일반적으로 납땜선에 대해 상대적인 유도 안테나의 각각의 전류경로의 섹션들의 서로 다른 기하학적 배열들에 의해 서로 구별된다.
본 발명에 따른 납땜장치의 일 실시형태는, 유도 안테나의 전류경로가 적어도 제 1 섹션과 제 2 섹션을 구비하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이때 상기 전류경로의 상기 제 1 섹션은 납땜선이 놓여 있는 납땜평면에서 상기 납땜선의 섹션들 중 적어도 하나를 따라 - 공기 틈새에 의해 상기 납땜선의 섹션들 중 이 적어도 하나로부터 분리되어 - 뻗어 있고, 그리고 상기 전류경로의 상기 제 2 섹션은 상기 납땜평면에서 상기 납땜선의 섹션들 중 적어도 다른 하나를 따라 - 공기 틈새에 의해 상기 납땜선의 섹션들 중 이 적어도 다른 하나로부터 분리되어 - 뻗어 있다. 이 이외에, 상기 전류경로의 상기 제 1 섹션의 한 단부는, 상기 전류경로의 상기 제 1 섹션과 상기 제 2 섹션이 전기적으로 직렬로 접속되어 있도록 그리고 상기 전류경로의 상기 제 1 섹션 안의 교류가 상기 전류경로의 상기 제 2 섹션 안의 교류에 대해 역위상에 있도록 상기 전류경로의 상기 제 2 섹션의 한 단부와 연결되어 있다.
이와 관련하여, 태양전지가 놓여 있는 평면에 대해 본질적으로 수직으로 정렬되어 있는, 그리고 게다가 상기 납땜선을 따라 뻗어 있는 평면은“납땜평면”이라고 불리어야 한다. 이에 상응하여, 상기 납땜평면은 상기 납땜선에 대해 평행으로 정렬되어 있고, 상기 납땜선은 상기 납땜평면에 놓여 있다.
상기 전류경로의 상기 제 1 섹션이 상기 납땜평면에서 상기 납땜선의 섹션들 중 상기 적어도 하나를 따라 - 공기 틈새에 의해 상기 납땜선의 섹션들 중 이 적어도 하나로부터 분리되어 - 뻗어 있음으로써, 상기 납땜선의 섹션들 중 상기 적어도 하나 안에 존재하는 교번자기장이, 상기 전류경로의 상기 제 1 섹션을 통해 흐르는 교류가 상기 납땜선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섹션 안에서 발생시키는 교번자기장에 본질적으로 상응한다라는 것을 위한 전제조건이 만들어져 있다. 상응하여, 상기 전류경로의 상기 제 2 섹션이 상기 납땜평면에서 상기 납땜선의 섹션들 중 상기 적어도 다른 하나를 따라 - 공기 틈새에 의해 상기 납땜선의 섹션들 중 이 적어도 다른 하나로부터 분리되어 - 뻗어 있음으로써, 상기 납땜선의 섹션들 중 상기 적어도 다른 하나 안에 존재하는 교번자기장이, 상기 전류경로의 상기 제 2 섹션을 통해 흐르는 교류가 상기 납땜선의 섹션들 중 상기 적어도 다른 하나 안에서 발생시키는 교번자기장에 본질적으로 상응한다라는 것을 위한 전제조건이 만들어져 있다.
이때, 상기 전류경로의 상기 제 1 섹션과 상기 납땜선의 섹션들 중 상기 적어도 하나 사이의 공기 틈새의 폭은, 상기 전류경로의 상기 제 2 섹션을 통해 흐르는 교류가 상기 납땜선의 섹션들 중 상기 적어도 하나 안에서, 상기 전류경로의 상기 제 1 섹션을 통해 흐르는 교류가 상기 납땜선의 섹션들 중 상기 적어도 하나 안에서 발생시키는 자기장의 세기와 비교하여 보다 작거나 또는 무시해도 될 정도인 자기장의 세기를 발생시킬 정도로 작을 수 있다. 상응하여, 상기 전류경로의 상기 제 2 섹션과 상기 납땜선의 섹션들 중 상기 적어도 다른 하나 사이의 공기 틈새의 폭은, 상기 전류경로의 상기 제 1 섹션을 통해 흐르는 교류가 상기 납땜선의 섹션들 중 상기 적어도 다른 하나 안에서, 상기 전류경로의 상기 제 2 섹션을 통해 흐르는 교류가 상기 납땜선의 섹션들 중 상기 적어도 다른 하나 안에서 발생시키는 자기장의 세기와 비교하여 보다 작거나 또는 무시해도 될 정도인 자기장의 세기를 발생시킬 정도로 작을 수 있다.
이 이외에, 상기 전류경로의 상기 제 1 섹션과 상기 제 2 섹션이 전기적으로 직렬로 접속되어 있고, 그리고 상기 전류경로의 상기 제 1 섹션 안의 교류가 상기 전류경로의 상기 제 2 섹션 안의 교류에 대해 역위상에 있음으로써, 상기 납땜선의 섹션들 중 상기 적어도 하나 안의 교번자기장이 각각 상기 납땜선의 섹션들 중 상기 적어도 다른 하나 안의 교번자기장에 대해 역위상에 있는 것이 보장되어 있다.
이러한 실시형태의 유도 안테나는, 상기 납땜선의 각각의 섹션들에서, 각각 상기 납땜평면에 대해 본질적으로 수직으로 또는 태양전지의 표면에 대해 평행으로 정렬된 교번자기장들을 발생시키기에 특히 적합하다. 이 실시형태는 비교적 간단한 수단들을 갖고 실현될 수 있는데, 왜냐하면 특히 상기 납땜선의 섹션들 중 하나 안에 존재하는 교번자기장을 발생시키기 위해 상기 전류경로의 단지 하나의 유일한 섹션만 제공되어 있기 때문이다. 이 구상의 범위에서, 상기 납땜선의 바로 잇달아 배치된 각각 2 개의 섹션들 안의 교번자기장들이 서로 역위상에 있도록, 상기 납땜선의 잇달아 배치된 3 개 이상의 섹션들에서 각각 교번자기장을 발생시키는 것도 간단한 방식으로 가능하다. 이를 위해, 각각 상기 납땜선의 각각의 섹션을 따라 전류경로의 섹션이 배치되어 있을 수 있고, 이때 상기 전류경로의 섹션들은 상기 납땜선을 따라 잇달아 배치되어 있으며, 그리고 상기 전류경로의 바로 잇달아 배치된 2 개의 섹션들 안의 교류가 각각 역위상에 있도록 전기적으로 직렬로 접속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납땜장치의 이 실시형태의 전류경로는 여러 가지 기술을 이용해 실현될 수 있다. 원칙적으로, 상기 전류경로를 - 예컨대 EP 2 103 373 A1 에 공지된 선행기술에 따른 전류경로처럼 - 종래의 관으로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며, 이때 이 관은 종래의 굽힘기술을 이용해, 본 발명의 실시에 적합한 형태를 갖출 수 있다. 대안적으로, 상기 전류경로는 하나 또는 다수의 전기 전도성 고체로부터 형성되어 있을 수 있고, 이때 상기 전류경로의 여러 가지 섹션은 상기 각각의 고체의 가공, 예컨대 절삭 가공을 통해 실현 가능하다.
상기 언급된 실시형태의 개선형태에서, 상기 전류경로의 상기 제 1 섹션과 상기 전류경로의 상기 제 2 섹션은 각각 직선으로 그리고 상기 납땜선에 대해 본질적으로 평행으로 뻗어 있다. 이 경우, 교류가 상기 전류경로의 상기 제 1 섹션의 주변에서 발생시키는 교번자기장은 상기 납땜선의 섹션들 중 상기 적어도 하나를 따라 본질적으로 균일하다. 이로써, 상기 리본 또는 상기 제 1 전류 수집 바아가 상기 납땜선의 섹션들 중 이 적어도 하나를 따라 본질적으로 균일하게, 전자기적으로 유도된 전류들에 의해 가열될 수 있는 것이 보장되어 있다. 이 이외에, 교류가 상기 전류경로의 상기 제 2 섹션의 주변에서 발생시키는 교번자기장은 상기 납땜선의 섹션들 중 상기 적어도 다른 하나를 따라 마찬가지로 본질적으로 균일하다. 이로써, 상기 리본 또는 상기 제 1 전류 수집 바아가 상기 납땜선의 섹션들 중 이 적어도 다른 하나를 따라 마찬가지로 본질적으로 균일하게, 전자기적으로 유도된 전류들에 의해 가열될 수 있는 것이 보장되어 있다.
추가적으로, 상기 전류경로의 상기 제 1 섹션과 상기 전류경로의 상기 제 2 섹션은, 상기 납땜평면에서 뻗어 있는 하나의 직선 상에 잇달아 놓여 있을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납땜선의 섹션들 중 상기 적어도 하나 안에서 발생된 교번자기장은 상기 납땜선의 섹션들 중 상기 적어도 다른 하나 안에서 발생된 교번자기장에 대해 역위상에 있다. 추가적으로, 상기 납땜선의 섹션들 중 상기 적어도 하나 안의, 그리고 상기 납땜선의 섹션들 중 상기 적어도 다른 하나 안의 이 교번자기장들이 본질적으로 동일한 장의 세기를 갖는 것이 달성된다. 이로써, 상기 리본 안의 또는 상기 제 1 전류 수집 바아 안의 교번자기장들이 상기 납땜선의 섹션들 중 상기 적어도 하나의 영역에서, 상기 납땜선의 섹션들 중 상기 적어도 다른 하나의 영역에서와 거의 동일한 가열전력을 발생시키는 것이 추가적으로 보장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납땜장치의 상기 언급된 실시형태들의 개선형태들은 각각, 상기 홀드다운 요소들이 각각 상기 납땜평면에서 상기 납땜선에 대해 본질적으로 수직으로 뻗어 있도록 형성되어 있을 수 있고, 그리고 이 홀드다운 요소들 중 적어도 3 개는, 상기 홀드다운 요소들 중 일렬로 바로 잇달아 배치되어 있는 각각 2 개 사이에 각각 중간 공간이 형성되어 있도록 상기 납땜선을 따라 일렬로 잇달아 배치되어 있다. 이 경우, 상기 전류경로의 상기 제 1 섹션은 상기 홀드다운 요소들 중 각각 2 개 사이의 상기 중간 공간들 중 하나 안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전류경로의 상기 제 2 섹션은 상기 홀드다운 요소들 중 각각 2 개 사이의 상기 중간 공간들 중 다른 하나 안에 배치되어 있다. 이 개선형태들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유도 안테나의 상기 전류경로의 각각의 섹션들과 조합된 상기 홀드다운 요소들의 콤팩트한 배열을 보장한다.
상기 각각의 홀드다운 요소들은 예컨대 핀으로서 (상기 핀들의 세로축들은 각각 상기 납땜평면에서, 상기 납땜선에 대해 수직으로 정렬되어 있다) 형성되어 있을 수 있고, 그리고 그들의 세로축들의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각각 배치되어 있을 수 있다 (선행기술에, 예컨대 EP 2 103 373 A1 에 공지된 바와 같이). 이 홀드다운 요소들은 바람직하게는 세라믹 재료로 형성된 원통형 핀이며, 상기 핀들은 전기 전도력을 갖고 있지 않고, 그리고 특히 또한 자화될 수 없다. 이 홀드다운 요소들은 전형적으로 8 내지 25 mm 의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을 수 있고, 대략 3 mm 의 지름을 가질 수 있다. 이 조건하에, 이 홀드다운 요소들은 통례적인 리본들을 (이것들은 전형적으로 1 내지 3 mm 의 폭을 갖는다) 태양전지들의 통례적인 전류 수집 바아들 (이것들은 전형적으로 마찬가지로 1 내지 3 mm 의 폭을 갖는다) 상에 유지시키기에 매우 적합하다.
상기 전류경로의 상기 제 1 섹션과 상기 전류경로의 상기 제 2 섹션은 예컨대 직선으로 형성되어 있을 수 있고, 그리고 상기 홀드다운 요소들 중 각각 2 개 사이의 각각의 중간 공간 안에서 상기 납땜선에 대해 본질적으로 평행으로 뻗어 있을 수 있다. 이때, 바람직하게는, 상기 전류경로의 상기 제 1 섹션과 상기 전류경로의 상기 제 2 섹션은, 각각의 중간 공간 안에서 각각 직선으로 각각 2 개의 홀드다운 요소들 사이의 비어 있는 전체 거리에 걸쳐 뻗어 있도록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이를 근거로 하여, 각각의 홀드다운 요소들 사이의 중간 공간들 안에서는 각각 교번자기장들이 발생될 수 있고, 상기 교번자기장들은 각각의 중간 공간들 안에서 각각 본질적으로 각각 2 개의 홀드다운 요소들 사이의 비어 있는 전체 거리에 걸쳐 균일하게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 상기 전류경로는 바람직하게는 전기 전도성 고체 안에 형성되어 있을 수 있고, 이때 상기 전류경로의 여러 가지 섹션은 상기 고체의 가공, 예컨대 절삭 가공을 통해 실현되어 있다. 상기 전기 전도성 고체의 이러한 유형의 가공을 이용해, 각각 2 개의 홀드다운 요소들 사이의 비어 있는 전체 거리에 걸쳐 (비어 있는 이 거리가 단지 8 내지 25 mm 일지라도) 직선으로 뻗어 있는 전류경로의 섹션을 실현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납땜장치의 다른 실시형태는, 유도 안테나의 전류경로가 상기 납땜선을 따라 교류를 안내하기 위한 적어도 4 개의 여러 가지 섹션을 구비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기 납땜선이 놓여 있는 납땜평면의 제 1 측면에서 상기 납땜평면에 대한 간격을 두고 상기 납땜선의 섹션들 중 상기 적어도 하나를 따라 - 공기 틈새에 의해 상기 납땜선의 섹션들 중 이 적어도 하나로부터 분리되어 - 뻗어 있는 제 1 섹션; 상기 납땜평면의 상기 제 1 측면과 마주하고 있는 상기 납땜평면의 제 2 측면에서 상기 납땜평면에 대한 간격을 두고 상기 납땜선의 섹션들 중 상기 적어도 다른 하나를 따라 - 공기 틈새에 의해 상기 납땜선의 섹션들 중 이 적어도 다른 하나로부터 분리되어 - 뻗어 있는 제 2 섹션; 상기 납땜평면의 상기 제 1 측면에서 상기 납땜평면에 대한 간격을 두고 상기 납땜선의 섹션들 중 상기 적어도 다른 하나를 따라 - 공기 틈새에 의해 상기 납땜선의 섹션들 중 이 적어도 다른 하나로부터 분리되어 - 뻗어 있는 제 3 섹션; 상기 납땜평면의 상기 제 2 측면에서 상기 납땜평면에 대한 간격을 두고 상기 납땜선의 섹션들 중 상기 적어도 하나를 따라 - 공기 틈새에 의해 상기 납땜선의 섹션들 중 이 적어도 하나로부터 분리되어 - 뻗어 있는 제 4 섹션. 이때, 상기 전류경로의 상기 제 1 섹션과, 상기 전류경로의 상기 제 2 섹션과, 상기 전류경로의 상기 제 3 섹션과, 상기 전류경로의 상기 제 4 섹션은 전기적으로 일렬로 직렬접속되어 있고, 따라서 상기 전류경로의 상기 제 1 섹션 안의 교류는 상기 전류경로의 상기 제 2 섹션 안의 교류와 동위상에 있으며, 상기 전류경로의 상기 제 3 섹션 안의 교류에 대해서는 그리고 상기 전류경로의 상기 제 4 섹션 안의 교류에 대해서는 역위상에 있다.
이와 관련하여, 태양전지가 놓여 있는 평면에 대해 본질적으로 수직으로 정렬되어 있는, 그리고 게다가 상기 납땜선을 따라 뻗어 있는 평면은“납땜평면”이라고 불리어야 한다. 이에 상응하여, 상기 납땜평면은 상기 납땜선에 대해 평행으로 정렬되어 있고, 상기 납땜선은 상기 납땜평면에 놓여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납땜장치의 이 실시형태의 경우, 상기 전류경로의 상기 제 1 섹션과 상기 전류경로의 상기 제 4 섹션은, 교류에 의해 상기 납땜선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섹션 안에서 발생되는 교번자기장의 장의 세기가 본질적으로 2 개의 기여의 중첩, 즉 상기 전류경로의 상기 제 1 섹션을 통해 흐르는 교류가 상기 납땜선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섹션 안에서 발생시키는 장의 세기와 상기 전류경로의 상기 제 4 섹션을 통해 흐르는 교류가 상기 납땜선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섹션 안에서 발생시키는 장의 세기의 중첩이도록 상기 납땜선에 대해 상대적으로 배치되어 있다.
이에 상응하여, 상기 전류경로의 상기 제 2 섹션과 상기 전류경로의 상기 제 3 섹션은, 교류에 의해 상기 납땜선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른 섹션 안에서 발생되는 교번자기장의 장의 세기가 본질적으로 2 개의 기여의 중첩, 즉 상기 전류경로의 상기 제 2 섹션을 통해 흐르는 교류가 상기 납땜선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른 섹션 안에서 발생시키는 장의 세기와 상기 전류경로의 상기 제 3 섹션을 통해 흐르는 교류가 상기 납땜선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른 섹션 안에서 발생시키는 장의 세기의 중첩이도록 상기 납땜선에 대해 상대적으로 배치되어 있다.
상기 전류경로의 상기 제 1 섹션과 상기 납땜선의 섹션들 중 상기 적어도 하나 사이의 공기 틈새의 폭, 또는 상기 전류경로의 상기 제 4 섹션과 상기 납땜선의 섹션들 중 상기 적어도 하나 사이의 폭은, 상기 전류경로의 상기 제 2 섹션을 통해 흐르는 교류와 상기 전류경로의 상기 제 3 섹션을 통해 흐르는 교류가 상기 납땜선의 섹션들 중 상기 적어도 하나 안에서, 상기 전류경로의 상기 제 1 섹션을 통해 흐르는 교류와 상기 전류경로의 상기 제 4 섹션을 통해 흐르는 교류가 상기 납땜선의 섹션들 중 상기 적어도 하나 안에서 발생시키는 자기장의 세기와 비교하여 보다 작거나 또는 무시해도 될 정도인 자기장의 세기를 각각 발생시킬 정도로 작을 수 있다.
상응하여, 상기 전류경로의 상기 제 2 섹션과 상기 납땜선의 섹션들 중 상기 적어도 다른 하나 사이의 공기 틈새의 폭, 또는 상기 전류경로의 상기 제 3 섹션과 상기 납땜선의 섹션들 중 상기 적어도 다른 하나 사이의 공기 틈새의 폭은, 상기 전류경로의 상기 제 1 섹션을 통해 흐르는 교류와 상기 전류경로의 제 4 섹션을 통해 흐르는 교류가 상기 납땜선의 섹션들 중 상기 적어도 다른 하나 안에서, 상기 전류경로의 상기 제 2 섹션을 통해 흐르는 교류와 상기 전류경로의 상기 제 3 섹션을 통해 흐르는 교류가 상기 납땜선의 섹션들 중 상기 적어도 다른 하나 안에서 발생시키는 자기장의 세기와 비교하여 보다 작거나 또는 무시해도 될 정도인 자기장의 세기를 각각 발생시킬 정도로 작을 수 있다.
상기 전류경로의 상기 제 1 섹션과 상기 전류경로의 상기 제 4 섹션이 상기 납땜평면의 여러 가지 측면에 배치되어 있고, 그리고 상기 전류경로의 상기 제 1 섹션 안의 교류가 상기 전류경로의 상기 제 4 섹션 안의 교류에 대해 역위상에 있음으로써, 상기 납땜선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섹션 안의 교번자기장이 각각 상기 납땜선에서 상기 납땜평면에 대해 본질적으로 평행으로, 그리고 상기 납땜선에 대해 수직으로 향해 있는 것이 달성된다. 이 이외에, 이 교번자기장의 장의 세기가 상기 납땜평면에 대해 수직인 방향에 있어서 상기 납땜평면으로부터의 간격이 커짐과 더불어 비교적 많이 감소하는 것이 달성된다. 이에 상응하여, 상기 납땜선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섹션의 영역 안의 상기 발생된 교번자기장은 국부적으로 강하게 상기 리본 또는 상기 제 1 전류 수집 바아에 집중되어 있고, 그리고 상기 납땜선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섹션의 영역에서 상기 리본 또는 상기 제 1 전류 수집 바아의 집중적인 유도가열을 가능하게 한다 (국부적으로 상기 리본 안에 또는 상기 제 1 전류 수집 바아 안에 발생되는 와전류들을 이용해).
상기 전류경로의 상기 제 2 섹션과 상기 전류경로의 상기 제 3 섹션이 상기 납땜평면의 여러 가지 측면에 배치되어 있고, 그리고 상기 전류경로의 상기 제 2 섹션 안의 교류가 상기 전류경로의 상기 제 3 섹션 안의 교류에 대해 역위상에 있음으로써, 상기 납땜선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른 섹션 안의 교번자기장이 각각 상기 납땜선에서 상기 납땜평면에 대해 본질적으로 평행으로, 그리고 상기 납땜선에 대해 수직으로 향해 있는 것이 달성된다. 이 이외에, 이 교번자기장의 장의 세기가 상기 납땜평면에 대해 수직인 방향에 있어서 상기 납땜평면으로부터의 간격이 커짐과 더불어 비교적 많이 감소하는 것이 달성된다. 이에 상응하여, 상기 납땜선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른 섹션의 영역 안의 상기 발생된 교번자기장은 국부적으로 강하게 상기 리본 또는 상기 제 1 전류 수집 바아에 집중되어 있고, 그리고 상기 납땜선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른 섹션의 영역에서 상기 리본 또는 상기 제 1 전류 수집 바아의 집중적인 유도가열을 가능하게 한다 (국부적으로 상기 리본 안에 또는 상기 제 1 전류 수집 바아 안에 발생되는 와전류들을 이용해).
상기 전류경로의 상기 제 1 섹션 안의 교류가 상기 전류경로의 상기 제 2 섹션 안의 교류와 동위상에 있고, 상기 전류경로의 상기 제 3 섹션 안의 교류에 대해서는 그리고 상기 전류경로의 상기 제 4 섹션 안의 교류에 대해서는 역위상에 있음으로써, 상기 납땜선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섹션 안의 교번자기장이 상기 납땜선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른 섹션 안의 교번자기장에 대해 역위상에 있는 것이 추가적으로 달성된다.
이 구상의 범위에서, 상기 납땜선의 바로 잇달아 배치된 각각 2 개의 섹션 안의 교번자기장들이 서로 역위상에 있도록, 상기 납땜선의 잇달아 배치된 3 개 이상의 섹션들 안에 각각 교번자기장을 발생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이를 위해, 각각 상기 납땜선의 각각의 섹션을 따라 상기 전류경로의 2 개의 여러 가지 섹션이 상기 납땜평면의 여러 가지 측면에 배치되어 있을 수 있고, 이때 상기 전류경로의 상기 섹션들은 상기 납땜선을 따라 각각 한쌍씩 잇달아 배치되어 있으며, 그리고, 상기 전류경로의 바로 잇달아 배치된 2 개의 섹션 안에서 상기 납땜평면의 동일한 측면에 배치되어 있는 각각 2 개의 섹션 중 하나 안의 교류가 각각 상기 전류경로의 이 2 개의 섹션 중 다른 것 안의 교류에 대해 역위상에 있도록 전기적으로 직렬로 접속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납땜장치의 이 실시형태의 상기 전류경로는 여러 가지 기술을 이용해 실현될 수 있다. 원칙적으로, 상기 전류경로를 - 예컨대 EP 2 103 373 A1 에 공지된 선행기술에 따른 전류경로처럼 - 통례적인 관으로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며, 이때 이 관은 통례적인 굽힘기술을 이용해 적합한 형태를 갖출 수 있다. 대안적으로, 상기 전류경로는 하나 또는 다수의 전기 전도성 고체로부터 형성되어 있을 수 있고, 이때 상기 전류경로의 여러 가지 섹션은 상기 각각의 고체의 가공, 예컨대 절삭 가공을 통해 실현 가능하다.
상기 언급된 실시형태의 개선형태는, 상기 전류경로의 상기 제 1 섹션 및/또는 상기 전류경로의 상기 제 2 섹션 및/또는 상기 전류경로의 상기 제 3 섹션 및/또는 상기 전류경로의 상기 제 4 섹션이 각각 직선으로 상기 납땜선에 대해 본질적으로 평행으로 뻗어 있다는 것에 의해 특징지어져 있다. 이 개선형태는 상기 납땜선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섹션 안의 교번자기장의 개선된 균일성, 및 상기 납땜선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른 섹션 안의 교번자기장의 개선된 균일성을 초래한다.
이 이외에, 상기 언급된 실시형태의 경우, 상기 전류경로의 상기 제 1 섹션과 상기 전류경로의 상기 제 4 섹션은 서로 상대적으로 상기 납땜평면과 관련하여 거울 대칭적으로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상기 전류경로의 상기 제 2 섹션과 상기 전류경로의 상기 제 3 섹션은 서로 상대적으로 상기 납땜평면과 관련하여 거울 대칭적으로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이는 상기 납땜선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섹션 안의 교번자기장의 개선된 균일성 및/또는 상기 납땜선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른 섹션 안의 교번자기장의 개선된 균일성을 초래한다. 이 이외에, 상기 전류경로의 상기 각각의 섹션의 거울 대칭적인 배열은 상기 납땜평면에 대해 평행으로의 교번자기장의 정렬 (상기 납땜선의 각각의 섹션들 안에서), 및 상기 리본 또는 상기 제 1 전류 수집 바아에의 교번자기장의 개선된 집중을 가능하게 한다.
이 이외에, 상기 언급된 실시형태는, 상기 전류경로의 상기 제 1 섹션과 상기 제 3 섹션은 제 1 직선을 따라 뻗어 있고, 상기 전류경로의 상기 제 2 섹션과 상기 제 4 섹션은 제 2 직선을 따라 뻗어 있도록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이는 상기 납땜선을 따라 상기 납땜선의 다수의 섹션에 걸친 교번자기장의 개선된 균일성을 초래한다.
상기 언급된 실시형태의 경우, 상기 전류경로는 예컨대, 상기 전류경로의 상기 제 1 섹션과 상기 제 2 섹션은 제 1 도체섹션의 잇달아 배치된 세로방향 섹션들로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전류경로의 상기 제 3 섹션과 상기 제 4 섹션은 제 2 도체섹션의 잇달아 배치된 세로방향 섹션들로서 형성되어 있도록 설계되어 있을 수 있고, 이때 상기 제 1 도체섹션과 상기 제 2 도체섹션은 서로 꼬여져 있다. 이렇게 설계된 전류경로는, - 예컨대 EP 2 103 373 A1 에 공지된 선행기술에 따른 전류경로처럼 - 통례적인 관으로 형성될 수 있다는 장점을 갖는다. 상기 관은 상기 관의 섹션들의 굽힘 및/또는 꼬임에 의해 적합하게 성형될 수 있고, 따라서 이 실시형태의 상기 전류경로는 간단한 수단들을 갖고 실현 가능하다.
상기 언급된 실시형태의 경우, 홀드다운 요소들은, 상기 홀드다운 요소들이 각각 상기 납땜평면에서 상기 납땜선에 대해 본질적으로 수직으로 뻗어 있도록 실현되어 있을 수 있고, 그리고 이 홀드다운 요소들 중 적어도 3 개는, 상기 홀드다운 요소들 중 일렬로 바로 잇달아 배치되어 있는 각각 2 개 사이에 각각 중간 공간이 형성되어 있도록 상기 납땜선을 따라 일렬로 잇달아 배치되어 있다. 이 경우, 상기 전류경로는 예컨대, 상기 전류경로의 상기 제 1 섹션과 상기 제 4 섹션은 상기 홀드다운 요소들 중 각각 2 개 사이의 상기 중간 공간들 중 하나 안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전류경로의 상기 제 2 섹션과 상기 제 3 섹션은 상기 홀드다운 요소들 중 각각 2 개 사이의 상기 중간 공간들 중 다른 하나 안에 배치되어 있도록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이 실시형태는 바람직하게는 유도 안테나의 상기 전류경로의 각각의 섹션들과 조합된 상기 홀드다운 요소들의 콤팩트한 배열을 보장한다. 상기 각각의 홀드다운 요소들은 이 경우에도 예컨대 핀으로서 (상기 핀들의 세로축들은 각각 상기 납땜평면에서, 상기 납땜선에 대해 수직으로 정렬되어 있다) 형성되어 있을 수 있고, 그리고 그들의 세로축들의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각각 배치되어 있다. 상기 전류경로의 상기 각각의 섹션들이 각각 상기 홀드다운 요소들 중 각각 2 개 사이의 상기 중간 공간들 중 하나 안에 배치되어 있음으로써, 상기 리본 또는 상기 제 1 전류 수집 바아에의 교번자기장의 특히 강한 집중이 가능해진다. 이는 상기 리본 또는 상기 제 1 전류 수집 바아의 특히 집중적인 유도가열을 가능하게 한다 (국부적으로 상기 리본 안에 또는 상기 제 1 전류 수집 바아 안에 발생되는 와전류들을 이용해).
상기 언급된 실시형태의 대안적인 변형에 있어서, 상기 유도 안테나의 상기 전류경로는, 상기 전류경로의 상기 제 1 섹션과 상기 전류경로의 상기 제 4 섹션 사이에는 비어 있는 공간영역이 형성되어 있고, 그리고 상기 홀드다운 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가 이 비어 있는 공간영역을 통해 뻗어 있도록 및/또는 상기 전류경로의 상기 제 2 섹션과 상기 전류경로의 상기 제 3 섹션 사이에는 비어 있는 공간영역이 형성되어 있고, 그리고 상기 홀드다운 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가 이 비어 있는 공간영역을 통해 뻗어 있도록 설계되어 있다. 이렇게 설계된 전류경로는, - 예컨대 EP 2 103 373 A1 에 공지된 선행기술에 따른 전류경로처럼 - 통례적인 관으로 제조될 수 있으며 (상기 관의 섹션들의 굽힘 및/또는 꼬임에 의해), 그리고 이에 상응하여 간단한 수단들을 갖고 실현 가능하다는 장점을 가진다.
본 발명에 따른 납땜장치의 그 밖의 실시형태에서, 유도 안테나는, 상기 유도 안테나의 전류경로가 고리 모양의 도체이도록 설계되어 있고, 상기 도체는 2 개의 레그를 구비하며, 이때 한 레그의 한 단부는 다른 레그의 한 단부와 연결되어 있다. 상기 2 개의 레그 중 적어도 하나는 구불 구불한 형태로 상기 납땜선을 따라 뻗어 있고, 그리고 상기 납땜선이 놓여 있는 납땜평면을 다수의 분리된 장소들에서 가로지르며, 따라서 이 레그는, 그의 세로방향에서 잇달아 뒤따르는 다수의 세로방향 섹션을 구비하고, 상기 세로방향 섹션들은 - 각각, 만곡된 및/또는 일부 섹션들에서는 만곡된 및/또는 일부 섹션들에서는 직선인 곡선을 따라 - 교대로 상기 납땜평면의 한 측면에서 그리고 상기 납땜평면의 다른 측면에서 뻗어 있다. 이 전류경로는 마찬가지로 통례적인 관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관의 섹션들의 굽힘에 의해), 그리고 이에 상응하여 간단한 수단들을 갖고 실현 가능하다.
상기 언급된 실시형태의 개선형태에서, 상기 고리 모양의 도체의 상기 2 개의 레그는, 상기 2 개의 레그가, 상기 납땜평면에 대해 수직으로 및/또는 태양전지의 표면에 대해 평행으로 정렬되어 있는 평면에서 뻗어 있도록 형성되어 있고, 그리고 상기 2 개의 레그 중 상기 다른 것은 상기 2 개의 레그 중 상기 하나에 대해 평행으로 뻗어 있다. 이 경우, 교류는, 상기 2 개의 레그 중 상기 하나 안의 교류가 상기 2 개의 레그 중 상기 다른 것 안의 교류에 대해 역위상에 있도록 상기 고리 모양의 도체 안으로 커플링인 (coupling in) 될 수 있다. 상기 2 개의 레그의 배열은 교번자기장이 특히 상기 두 레그 사이에 집중되는 것을 초래하며, 그리고 상기 리본 또는 상기 제 1 전류 수집 바아의 집중적인 유도가열을 가능하게 한다 (국부적으로 상기 리본 안에 또는 상기 제 1 전류 수집 바아 안에 발생되는 와전류들을 이용해).
이하, 본 발명의 그 밖의 상세 내용들, 및 특히 본 발명에 따른 납땜장치의 예시적인 실시형태들을 첨부된 도면들을 근거로 설명한다.
도 1 은 전기 전도성 리본과 태양전지의 한쪽에 있는 직선형 전류 수집 바아 사이의 납땜연결을 만들어낼 때, 상기 전류 수집 바아에서 그리고 상기 전류 수집 바아의 주변에서 교번자기장을 발생시키는 (상기 교번자기장은 상기 전류 수집 바아의 전체 길이에 걸쳐 동위상에 있다) 유도 안테나를 가진 납땜장치의 개략적인 투시도 (선행기술에 상응하여);
도 2 는 전기 전도성 리본과 태양전지의 한쪽에 있는 직선형 전류 수집 바아 사이의 납땜연결을 만들어낼 때, 상기 전류 수집 바아에서 그리고 상기 전류 수집 바아의 주변에서 교번자기장을 발생시키는 (이때, 본 발명에 따르면, 납땜선의 제 1 섹션 안의 교번자기장은 납땜선의 제 2 섹션 안의 교번자기장에 대해 역위상에 있다) 유도 안테나를 가진 납땜장치의 개략적인 투시도;
도 3 은 유도 안테나, 및 태양전지에 리본을 억누르기 위한 핀 형태의 다수의 홀드다운 요소를 포함한 본 발명에 따른 납땜장치의 제 1 실시형태의 투시도;
도 4 는 납땜선의 여러 가지 섹션을 위해 유도 안테나를 이용해 발생 가능한 교번자기장들을 나타내는 (이때, 상기 유도 안테나는 확대되어 도 3 과는 다른 조망에 따라 도시되어 있다), 도 3 에 따른 납땜장치의 투시도;
도 5 는 각각 유도 안테나의 전류경로의 섹션들이 형성되어 있는 2 개의 전기 전도성 고체를 포함한 도 4 에 따른 유도 안테나의 분해도;
도 6 은 도 5 에 따른 전기 전도성 고체들을 확대시켜 나타낸 투시도;
도 7 내지 도 10 은 도 5 또는 도 6 에 따른 전기 전도성 고체들의 측면도들;
도 11 은 다른 조망에 따른, 도 4 에 따른 유도 안테나;
도 12 는 도 4 에 따른 유도 안테나의 측면도;
도 13 은 도 12 에 따른 절단평면들 (A-A, B-B, C-C, D-D) 을 위한 도 4 에 따른 유도 안테나의 4 개의 횡단면;
도 14 는 도 4 에 따른 유도 안테나의 전류경로의 제 1 변형의 개략적인 도면;
도 15 는 도 4 에 따른 유도 안테나의 전류경로의 제 2 변형의 개략적인 도면;
도 16 은 도 11 에서와 동일한 투시도로 나타낸 도 3 에 따른 유도 안테나 (이때, 추가적으로, 유도 안테나의 전류경로의 여러 가지 섹션 안의 교류의 각각의 (현재의) 전류방향들과, 교류에 의해 전류경로의 각각의 섹션들의 주변에서 발생된 교번자기장들의 (현재의) 방향들이 도시되어 있다);
도 17 은 교류에 의해 유도 안테나의 전류경로의 주변에서 발생 가능한 교번자기장의 장선들을 나타내는, 도 12 에 따른 절단평면 (B-B) 을 위한 도 4 에 따른 유도 안테나의 횡단면;
도 18 은 납땜선의 여러 가지 섹션을 위해 유도 안테나를 이용해 발생한 교번자기장들을 나타내는, 유도 안테나, 및 태양전지에 리본을 억누르기 위한 핀 형태의 다수의 홀드다운 요소를 포함한 본 발명에 따른 납땜장치의 제 2 실시형태의 투시도;
도 19 는 도 18 에서와는 다른 조망에 따라 도시되어 있는, 도 18 에 따른 유도 안테나의 투시도;
도 20 은 도 19 에서와 동일한 투시도로 나타낸 도 18 에 따른 유도 안테나 (이때, 추가적으로, 유도 안테나의 여러 가지 섹션 안의 교류의 각각의 (현재의) 전류방향들과, 교류에 의해 전류경로의 각각의 섹션들의 주변에서 발생된 교번자기장들의 (현재의) 방향들이 도시되어 있다);
도 21 은 각각 유도 안테나의 전류경로의 여러 가지 섹션이 형성되어 있는 2 개의 전기 전도성 고체를 포함한 도 18 에 따른 유도 안테나의 분해도;
도 22 내지 도 25 는 각각 측면도로 나타낸, 도 21 에 따른 전기 전도성 고체들;
도 26 은 도 18 에 따른 유도 안테나의 전류경로의 개략적인 도면;
도 27 은 납땜선의 여러 가지 섹션들 위해 유도 안테나를 이용해 발생 가능한 교번자기장들을 나타내는, 유도 안테나, 및 태양전지에 리본을 억누르기 위한 핀 형태의 다수의 홀드다운 요소를 포함한 본 발명에 따른 납땜장치의 제 3 실시형태의 투시도;
도 28 은 도 27 에서와는 다른 조망에 따라 도시되어 있는, 도 27 에 따른 유도 안테나의 투시도;
도 29 는 각각 하나 또는 다수의 전기 전도성 고체 (상기 고체들 안에는 각각 유도 안테나의 전류경로의 여러 가지 섹션이 형성되어 있다) 로 이루어진 3 개의 서로 나란히 배치된 그룹들을 포함한 도 27 에 따른 유도 안테나의 분해도;
도 30 은 4 개의 여러 가지 도면들 (a) 내지 (d) 로 나타낸 (도 (a) 는 도 29 에 따른 전기 전도성 고체들로 이루어진 3 개의 그룹을 도 29 에서와는 다른 조망에 따라 나타내고, 도면 (b), (c) 및 (d) 는 전기 전도성 고체들로 이루어진 이 3 개의 그룹을 각각 분리시켜 투시도로 나타낸다) 도 29 에 따른 전기 전도성 고체들;
도 31 내지 도 33 은 도 29 에 따른 전기 전도성 고체들로 이루어진 3 개의 그룹을 각각 분리시켜 나타낸 측면도;
도 34 는 도 27 에 따른 유도 안테나의 전류경로의 개략적인 도면;
도 35 는 도 27 에 따른 유도 안테나의 (각각의 납땜선을 향하는) 아랫면을 위에서 내려다본 도면;
도 36 은 도 27 에 따른 유도 안테나의 측면도;
도 37 은 도 36 에 따른 절단평면들 (A-A, B-B, C-C, D-D) 을 위한 도 27 에 따른 유도 안테나의 4 개의 횡단면;
도 38 은 도 27 에 따른 유도 안테나의 아랫 부분의 투시도 (이 아랫 부분은 위쪽에서 도 36 에 따른 절단평면 (XXXVIII-XXXVIII) 을 따라 절단되어 있다);
도 39 는 투시적으로 나타낸 도 27 에 따른 유도 안테나의 아랫 부분의 2 개의 도면 (a) 와 (b) (이 아랫 부분은 위쪽에서 도 36 에 따른 절단평면 (XXXIX-XXXIX) 을 따라 절단되어 있고, 도면 (b) 에는 유도 안테나의 전류경로의 여러 가지 섹션 안의 교류의 (현재의) 전류흐름 방향들이 표시되어 있으며, 도면 (a) 에는 이 전류흐름 방향들이 표시되어 있지 않다);
도 40 은 교류에 의해 유도 안테나의 전류경로의 주변에서 발생 가능한 교번자기장의 장선들을 나타내는, 도 36 에 따른 절단평면 (B-B) 을 위한 도 27 에 따른 유도 안테나의 횡단면;
도 41 은 유도 안테나, 및 태양전지에 리본을 억누르기 위한 스프링 요소들 형태의 다수의 홀드다운 요소를 포함한 본 발명에 따른 납땜장치의 제 4 실시형태의 투시도;
도 42 는 도 41 에 따른 납땜장치의 단부 섹션;
도 43 은 납땜장치의 (납땜선을 향하는) 아랫면을 위에서 내려다본 도 41 에 따른 납땜장치의 도면;
도 44 는 도 41 에 따른 납땜장치의 측면도;
도 45A 는 납땜선의 제 1 섹션을 위해 유도 안테나를 이용해 발생 가능한 교번자기장을 나타내는, 도 44 안의 절단평면 (A-A) 을 따른 횡단면에 있어서의 도 41 에 따른 납땜장치;
도 45B 는 납땜선의 제 2 섹션을 위해 유도 안테나를 이용해 발생 가능한 교번자기장을 나타내는, 도 44 안의 선 (B-B) 을 따른 횡단면에 있어서의 도 41 에 따른 납땜장치;
도 46 은 납땜선의 여러 가지 섹션을 위해 유도 안테나를 이용해 발생 가능한 교번자기장들을 나타내는, 유도 안테나 및 핀 형태의 다수의 홀드다운 요소를 포함한 본 발명에 따른 납땜장치의 제 5 실시형태의 투시도;
도 47 은 납땜선의 여러 가지 섹션을 위해 유도 안테나를 이용해 발생 가능한 교번자기장들을 나타내는, 유도 안테나 및 핀 형태의 다수의 홀드다운 요소를 포함한 본 발명에 따른 납땜장치의 제 6 실시형태의 투시도이다.
하기의 상세한 도면 설명에서, 동일한 또는 동일하게 작용하는 부품들은 편의상 동일한 참조부호들로 표시되어 있다.
도 1 내지 도 47 에는 여러 가지 납땜장치가 도시되어 있으며, 상기 납땜장치들은 각각, 유도 납땜을 이용해, 직선 납땜선을 따라 뻗어 있는 전기 전도성 리본과 태양전지 사이의 납땜연결을 만들어내기에 적합하다. 이러한 이유로 인해, 도 4 내지 도 47 에서 참조부호“L”로 표시되어 있는 (수학적인) 직선은 각각 이러한 유형의 납땜선을 나타낸다.
“교번자기장”은 알다시피 2 개의 여러 가지 물리적 변수, 즉“자기장의 세기”(H-장) 와“자속 밀도”(B-장) 에 의해 특징지어져 있다. 하기의 설명에서,“교번자기장”이라는 개념의 사용시 일반적으로 H-장과 B-장이 엄격히 구별되지 않으며, 따라서“교번자기장”이라는 개념은 - 달리 설명되어 있지 않은 한 - 문맥에 따라 선택적으로 H-장 또는 B-장으로 해석될 수 있다. 이하, 여러 가지 교번자기장과 관련지울 수 있기 위해, 특수한 교번자기장의 형식적인 표시를 위한 참조부호로서 알파벳“H”또는 숫자와 조합된 알파벳“H”(예컨대, H1, H2, 등등) 가 사용된다.
도 1 은 태양전지 (1) 및 3 개의 전기 전도성 리본 (5, 5', 5'') 과 조합된 (종래의) 납땜장치 (8) 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며, 이때 상기 납땜장치 (8) 는 유도 납땜을 이용해 리본들 (5, 5', 5'') 을 태양전지 (1) 에 고정시키기 위해 사용된다. 태양전지 (1) 는 예컨대“표준”태양전지로서 또는 바이페이셜 (bifacial) 태양전지로서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태양전지 (1) 는 앞면 (윗면) 과 뒷면 (아랫면) 을 포함하며, 이때 상기 앞면에는 본질적으로 평탄한 표면 (1-1) 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뒷면에는 본질적으로 평탄한 표면 (1-2) 이 형성되어 있다. 태양전지 (1) 는 윗면 (1-1) 에 다수의 평행하는 도체트랙 (4) 을 구비하며, 그리고 추가적으로 3 개의 직선 전류 수집 바아 (3, 3', 3'') 를 구비한다. 전류 수집 바아들 (3, 3', 3'') 은 본 예에서 평행하며, 그리고 각각 서로 간격을 두고, 각각의 도체트랙 (4) 들에 대해 수직으로 태양전지 (1) 의 전체 표면 (1-1) 에 걸쳐 (태양전지 (1) 의 한 가장자리 (1') 로부터 태양전지 (1) 의 다른 한 가장자리 (1'') 로) 뻗어 있도록, 그리고 각각 모든 도체트랙 (4) 들 사이의 전기적 연결을 형성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도 1 은 작동 상태에 있는 납땜장치 (8) 를 나타내며, 상기 작동 상태에서 전류 수집 바아들 (3, 3', 3'') 각각은 표면 (1-1) 에서 리본들 (5, 5', 5'') 중 하나의 각각 하나의 세로방향 섹션 으로 덮혀 있다. 알아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리본 (5) 은 전류 수집 바아 (3) 의 세로축에 대해 평행으로 정렬되어 있으며, 그리고 전류 수집 바아 (3) 의 윗면 (1-1) 에서 접근 가능한 표면을 본질적으로 전류 수집 바아 (3) 의 전체 길이에 걸쳐 덮도록 그리고 본질적으로 전류 수집 바아 (3) 의 전체 길이에 걸쳐 전류 수집 바아 (3) 와 접촉하에 있도록 전류 수집 바아 (3) 위에 놓여져 있다. 리본들 (5', 5'') 도 상응하여 전류 수집 바아들 (3, 3'') 위에 놓여져 있다. 본 예에서, 이 전류 수집 바아들과 상기 각각의 리본들 사이의 납땜연결을 만들어내는 것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전류 수집 바아들 (3, 3', 3'') 이 각각 각각의 리본들 (5, 5', 5'') 을 향하는 그들의 윗면들에 땜납, 예컨대 연납을 갖추고 있다고 가정되어 있다. 대안적으로, 전류 수집 바아들 (3, 3', 3'') 대신 리본들 (5, 5', 5'') 을 이러한 유형의 땜납으로 코팅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도 1 이 암시하는 바와 같이, 본 경우에서 납땜선 (L) 은 수학적인 직선의 형태로 리본 (5) 을 향하는 전류 수집 바아 (3) 의 윗면에서, 전류 수집 바아 (3) 의 세로축에 대해 평행으로 뻗어 있다. 이에 상응하여, 납땜장치 (8) 는 리본 (5) 과 전류 수집 바아 (3) 사이의 (직선으로 뻗어 있는) 납땜연결이 전류 수집 바아 (3) 의 전체 길이에 걸쳐 만들어져야 하는 상황에서 도시되어 있다. 이를 위해, 납땜장치 (8) 는 교류를 위한 전류경로를 가진 유도 안테나 (10) 를 포함하며, 상기 교류는 리본들 (5, 5', 5'') 또는 전류 수집 바아들 (3, 3', 3'') 의 유도가열을 위해 적합한 교번자기장을 발생시키기 위해 사용된다. 본 예에서, 장방형 도체 (, 11) 는 유도 안테나 (10) 의 전류경로를 형성하며, 이때 유도루프 형태의 도체 (11) 는 본질적으로 표면 (1-1) 에 대해 수직으로 배치된 (도 1 에 도시되어 있지 않은) 평면에서 (상기 평면에는 납땜선 (L) 도 놓여 있다) 뻗어 있고, 그리고 게다가 2 개의 단부를 구비하며, 상기 단부들은 예컨대 800-900 kHz 범위의 주파수를 가진 고주파 교류 (I) 를 위한 발전기 (9) 에 연결되어 있고, 따라서 발전기 (9) 에 의해 각각 발생된 교류 (I) 는 도체 (11) 를 따라 흐른다. 도 1 에 암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도체 (11) 는 특히 직선 섹션 (11-1) 을 포함하고, 상기 섹션은 전류 수집 바아들 (3, 3', 3'') 과 거의 동일한 길이를 가지며, 그리고 공기 틈새에 의해 납땜선 (L) 으로부터 분리되어, 납땜선 (L) 에 대해 본질적으로 평행으로 뻗어 있다.
교류 (I) 가 납땜장치 (8) 의 작동 중 도체 (11) 를 통해 흐르면, 섹션 (11-1) 안의 교류 (I) 의 현재의 전류흐름 방향은 납땜선 (L) 을 따라 섹션 (11-1) 의 전체 길이에 걸쳐 각각 동일하다. 그러므로, 교류 (I) 는 섹션 (11-1) 의 주변에서, 그리고 이에 상응하여 납땜선 (L) 에서 교번자기장 (H) 을 발생시키며, 상기 교번자기장은 납땜선 (L) 에서 본질적으로 섹션 (11-1) 의 전체 길이에 걸쳐 균일하고, 그리고 특히 동일한 장의 세기 및 동일한 위상을 갖는다. 도 1 에서, I 로 표시되어 있으며 도체 (11) 의 섹션에 대해 평행으로 향한 화살표는 특정 시점을 위한 교류 (I) 의 전류흐름 방향을 표시한다. 이 이외에, - 동일한 시점을 위해 - 교류 (I) 가 납땜선 (L) 의 주변에서 발생시키는 교번자기장 (H) 의 각각의 장의 세기를 위한 다수의 장선이 도시되어 있으며, 이때 각각의 장선들에는 각각 화살표들이 표시되어 있고, 상기 화살표들은 각각의 장선을 따른 장의 세기의 현재의 방향을 표시한다. 상기 언급된 상황에서, 교류 (I) 는 납땜선 (L) 에서 본질적으로 전류 수집 바아 (3) 의 전체 길이에 걸쳐 교번자기장 (H) 을 발생시키며, 상기 교번자기장은 납땜선 (L) 에서 각각 표면 (1-1) 에 대해 평행으로 그리고 납땜선 (L) 에 대해 수직으로 향해 있다 (상기 납땜선에서의 교번자기장 (H) 의 방향을 특징지우는, 그리고 이에 상응하여 납땜선 (L) 을 가로질러야 하는 상응하는 장선들은 도 1 에 도시되어 있지 않다). 이에 상응하여, 리본 (5) 안의 또는 전류 수집 바아 (3) 안의 이 교번자기장 (H) 으로부터 전자기 유도를 이용해 각각 (도 1 에 도시되어 있지 않은) 와전류들이 유도될 수 있으며, 상기 와전류들은 각각 국부적으로 리본 (5) 안에서 또는 전류 수집 바아 (3) 안에서 흐르고, 그리고 리본 (5) 안에서 또는 전류 수집 바아 (3) 안에서 가열전력을 발생시킨다. 이때, 이 와전류들에 의해 리본 (5) 안에서 또는 전류 수집 바아 (3) 안에서 발생된 가열전력의 크기는 특히 리본 (5) 의 전기저항 또는 전류 수집 바아 (3) 의 전기저항, 및 리본 (5) 안의 또는 전류 수집 바아 (3) 안의 교번자기장 (H) 의 장의 세기에 좌우된다. 본 경우, 리본 (5) 과 전류 수집 바아 (3) 사이의 납땜연결을 발생시키기 위해, 교류 (I) 의 전류강도는, 상기 와전류들에 의해 리본 (5) 안에서 또는 전류 수집 바아 (3) 안에서 발생된 가열전력이 땜납의 용해, 그리고 이로써 납땜선 (L) 을 따른 납땜연결의 제조를 야기시키기에 충분히 클 정도로 치수화되어 있을 수 있다.
도 1 에 도시되어 있는 장선들의 공간적 진로가 암시하는 바와 같이, 유도 안테나 (10) 의 경우, 교류 (I) 에 의해 발생된 교번자기장 (H) 은 태양전지 (1) 에서 전류 수집 바아 (3) 의 외부에도 존재한다: 교번자기장 (H) 의 장선들은 전류 수집 바아 (3) 와 전류 수집 바아 (3'') 사이의 영역에서 뿐만 아니라 전류 수집 바아 (3) 와 전류 수집 바아 (3') 사이의 영역에서도 태양전지 (1) 의 표면 (1-1) 을 가로지르며, 그리고 그 결과 표면 (1-1) 을 통과한 자기흐름을 발생시키고, 상기 자기흐름은 시간의 함수로서 교류 (I) 의 각각의 주파수에 상응하여 변화한다. 이에 상응하여, 유도 안테나 (10) 의 경우 교번자기장 (H) 은 태양전지 (1) 에서 전류 수집 바아 (3) 와 전류 수집 바아 (3'') 사이의 영역에서 뿐만 아니라 전류 수집 바아 (3) 와 전류 수집 바아 (3') 사이의 영역에서도 전자기 유도를 이용해 전압을 유도할 수 있고, 그리고 그 결과 전류들을 발생시키며, 상기 전류들은 태양전지 (1) 에서 전류 수집 바아 (3) 의 외부에서도 흐른다. 이는 도 1 에 편의상, 본질적으로 전류 수집 바아 (3) 로부터 전류 수집 바아 (3') 까지 뻗어 있는 그리고 전류 수집 바아들 (3, 3') 을 포함하는 태양전지 (1) 의 부분을 위해서만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1 이 암시하는 바와 같이, 교류 (I) 에 의해 발생된 교번자기장 (H) 은 태양전지 (1) 에서 전류 수집 바아 (3) 의 외부에서 예컨대 와전류 (Iw) 들을 유도할 수 있다. 이러한 유형의 와전류 (Iw) 들은 각각 본질적으로 원형 경로들 상에서 교번자기장 (H) 의 방향 둘레로 순환하며, 그리고 이에 상응하여 도 1 에 각각 원형 곡선을 따라 뻗어 있는 화살표들에 의해 나타내져 있고, 이때 이 화살표들은 각각의 와전류 (Iw) 의 현재의 전류흐름 방향을 나타낸다. 도 1 이 또한 암시하는 바와 같이, 각각의 와전류 (Iw) 는 각각 교번자기장 (Hw) 을 발생시키며, 이 교번자기장은 각각 (상기 와전류의 각각의 전류흐름 방향에 상응하여), 교류 (I) 에 의해 발생된 교번자기장 (H) 을 국부적으로 완전히 또는 부분적으로 보상하도록 (각각의 와전류가 유도되는 상기 태양전지의 영역 안의 전기저항의 크기에 따라) 향해 있다.
각각 2 개의 여러 가지 도체트랙 (4) 은 전류 수집 바아 (3) 의 섹션을 통해서 뿐만 아니라 전류 수집 바아 (3') 의 섹션을 통해서도 연결되어 있으며, 그리고 그 결과 링 모양으로 닫혀 있는 전류경로를 형성하고, 상기 전류경로는, 교류 (I) 에 의해 발생된 교번자기장 (H) 이 전자기 유도를 통해 이 전류경로에서 전압을 유도할 수 있도록 표면 (1-1) 에서 뻗어 있다. 이에 상응하여, 모든 도체트랙 (4) 들 전체와 전류 수집 바아들 (3, 3') 은 전체 표면 (1-1) 에 걸쳐 분배된 전기 전도성“망”을 형성하며, 상기 망은 이 링 모양으로 닫혀 있는 다수의 전류경로로 이루어져 있고, 이때 각각의 전류경로들은 전기적으로 서로 연결되어 있다. 교류 (I) 에 의해 발생된 교번자기장 (H) 은 전류 수집 바아 (3) 와 전류 수집 바아 (3') 사이의 영역에서 본질적으로 전류 수집 바아들 (3 또는 3') 의 전체 길이에 걸쳐 존재하기 때문에, 교번자기장 (H) 은 상기 언급된 링 모양으로 닫혀 있는 다수의 전류경로에서 전자기 유도를 통해 전압들을 유도할 수 있고, 그리고 이에 상응하여 교류들을 발생시킬 수 있으며, 상기 교류들은 각각 각각의 링 모양으로 닫혀 있는 상기 전류경로를 따라, 그리고 이로써 각각 적어도 일부 섹션들에 걸쳐 전류 수집 바아들 (3, 3') 및 개별적인 도체트랙 (4) 들을 따라 안내되어 있다.
본 예에서, 전류 수집 바아 (3) 는 리본 (5) 과 접촉되어 있고, 전류 수집 바아 (3') 는 리본 (5') 과 접촉되어 있다. 이 경우, 전류 수집 바아 (3) 와 리본 (5) 사이의 전기적 연결 및 전류 수집 바아 (3') 와 리본 (5') 사이의 전기적 연결이 존재한다고 가정될 수 있다 (특히 유도 납땜에 있어서 일반적으로 항상 각각의 전류 수집 바아와 상기 전류 수집 바아에 연결되어야 하는 리본 사이의 이러한 유형의 전기적 연결은 적어도 제조되어야 하는 납땜연결의 전체 길이에 걸쳐 실현되기 때문에, 이 가정은 현실적이다).
전류 수집 바아 (3) 와 리본 (5) 사이의 전기적 연결이 존재하는 경우, 특히 각각의 도체트랙 (4) 들이 리본 (5) 의 세로방향 섹션을 통해 (각각 전류 수집 바아 (3) 에 대해 평행으로) 연결되어 있을 수 있기 때문에, 리본 (5) 도 각각 2 개의 여러 가지 도체트랙 (4) 및 전류 수집 바아 (3') 의 섹션과 함께 각각 하나의 링 모양으로 닫혀 있는 전류경로를 형성할 수 있다는 것에 주의하도록 한다. 이 전류경로에서, 교번자기장 (H) 은 전자기 유도를 통해 이에 상응하여 교류를 발생시킬 수 있고, 상기 교류는 적어도 일부 섹션들에 걸쳐 리본 (5), 전류 수집 바아 (3') 및 각각의 도체트랙 (4) 들을 따라 안내되어 있다.
이 이외에, 전류 수집 바아 (3') 와 리본 (5') 사이의 전기적 연결이 존재하는 경우, 특히 각각의 도체트랙 (4) 들이 리본 (5') 의 세로방향 섹션을 통해 (각각 전류 수집 바아 (3') 에 대해 평행으로) 연결되어 있을 수 있기 때문에, 리본 (5') 도 각각 2 개의 여러 가지 도체트랙 (4) 및 전류 수집 바아 (3) 의 섹션과 함께 (또는 대안적으로 리본 (5) 의 섹션과 함께) 각각 하나의 링 모양으로 닫혀 있는 전류경로를 형성할 수 있다는 것에 주의하도록 한다. 이러한 유형의 전류경로에서, 교번자기장 (H) 은 전자기 유도를 통해 이에 상응하여 교류를 발생시킬 수 있고, 상기 교류는 적어도 일부 섹션들에 걸쳐 리본 (5'), 전류 수집 바아 (3) (또는 대안적으로 리본 (5) 을 따라) 및 각각의 도체트랙 (4) 들을 따라 안내되어 있다.
이하, 도 1 과 관련하여, 유도 안테나 (10) 의 경우 교류 (I) 에 의해 발생된 교번자기장 (H) 이 상기 언급된 링 모양으로 닫혀 있는, 도체트랙 (4) 들과 전류 수집 바아들 (3, 3') 및/또는 리본들 (5, 5') 로 형성된 전류경로들에서 발생시키는 교류들의 공간적 분배가 설명된다.
유도 안테나 (10) 의 (도체 (11) 에 의해 형성된) 전류경로와, 도체트랙 (4) 들, 전류 수집 바아들 (3, 3') 및/또는 리본들 (5, 5') 로 형성된 링 모양의 전류경로들은 그들의 전자기적 상호작용과 관련하여 서로,“1 차측 권선”과“2 차측 권선”을 포함하는 전형적인“트랜스포머”에 상응하여 거동한다는 것을 참조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유도 안테나의 전류경로는 트랜스포머의 1 차측 권선의 기능을 가지며, 도체트랙 (4) 들, 전류 수집 바아들 (3, 3') 및/또는 리본들 (5, 5') 로 형성된 상기 각각의 링 모양의 전류경로는 트랜스포머의 2 차측 권선의 기능을 갖는다. 이에 상응하여, 도체트랙 (4) 들, 전류 수집 바아들 (3, 3') 및/또는 리본들 (5, 5') 로 이루어진 링 모양의 전류경로에서 유도되는 교류는 트랜스포머의 2 차측 권선 안에 흐르는 교류들에 적용될 수 있는 공지의 물리적 규칙성을 충족시킨다는 것을 수긍할 수 있다. 트랜스포머의 2 차측 권선과의 이러한 비교를 근거로, 이와 관련하여, 상기 유도 안테나에 의해 발생된 교번자기장 (H) 을 이용해 전자기 유도를 통해 상기 태양전지 안에 형성된 링 모양의 전류경로에서 (예컨대, 도체트랙 (4) 들, 전류 수집 바아들 (3, 3') 및/또는 리본들 (5, 5') 로 형성된 링 모양의 전류경로에서) 유도되는 교류는 (전자기적으로 유도된)“2 차”교류라고 불리어야 한다.
이하, 유도 안테나 (10) 의 교류 (I) 에 의해 발생된 교번자기장 (H) 이 유도하는 2 차 교류들은 IS 로 표시된다. 편의상 도 1 에는 전류 수집 바아들 (3, 3') 및/또는 리본들 (5, 5') 안에서, 그리고 전류 수집 바아 (3) 와 전류 수집 바아 (3') 사이에 뻗어 있는 태양전지 (1) 의 영역에서 흐르는 2 차 교류 (IS) 들만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이 2 차 교류 (IS) 들의 전류경로들은 도 1 에 화살표들을 가진 선들에 의해 나타나 있으며, 이때 각각의 화살표들은 각각의 2 차 교류 (IS) 의 현재의 전류흐름 방향을 표시한다. 도 1 에서, FS 는 전류 수집 바아들 (3, 3') 과 태양전지 (1) 의 가장자리들 (1', 1'') 에 의해 한정된 태양전지 (1) 의 표면 (1-1) 에서의 면적을 표시한다. 이 경우, 면적 (FS) 의 영역 안에서의 교번자기장 (H) 의 공간적 분배는, 링 모양으로 닫혀 있는 전류경로들에서 오로지 면적 (FS) 의 외부 가장자리만을 따라 안내되어 있는 유도된 2 차 교류 (IS) 들과 부합한다: 도 1 이 암시하는 바와 같이, 2 차 교류 (IS) 들은 본질적으로
- 전류 수집 바아 (3) 를 따라 및/또는 리본 (5) 을 따라 흐르며, 이때 가장자리 (1') 와 가장자리 (1'') 사이의 전류 수집 바아 (3) 안의 또는 리본 (5) 안의 2 차 교류 (IS) 의 전류흐름 방향은 각각 동일하고,
- 태양전지 (1) 의 가장자리 (1') 의 근처에서, 가장자리 (1') 의 근처에 배치되어 있는, 가장자리 (1') 를 향하는 전류 수집 바아 (3) 의 단부를 가장자리 (1') 를 향하는 전류 수집 바아 (3') 의 단부와 연결시키는 하나 또는 다수의 도체트랙 (4) 을 따라 흐르며,
- 전류 수집 바아 (3') 를 따라 및/또는 리본 (5') 을 따라 흐르고, 이때 가장자리 (1') 와 가장자리 (1'') 사이의 전류 수집 바아 (3') 안의 또는 리본 (5') 안의 2 차 교류 (IS) 의 전류흐름 방향은 각각 동일하며 (하지만, 전류 수집 바아 (3) 안의 또는 리본 (5) 안의 2 차 교류 (IS) 의 전류흐름 방향에 대해 반대로),
- 태양전지 (1) 의 가장자리 (1'') 의 근처에서, 가장자리 (1'') 의 근처에 배치되어 있는, 가장자리 (1'') 를 향하는 전류 수집 바아 (3) 의 단부를 가장자리 (1'') 를 향하는 전류 수집 바아 (3') 의 단부와 연결시키는 하나 또는 다수의 도체트랙 (4) 을 통해 흐른다.
이때, 도 1 에서 알아볼 수 있는 바와 같이, 2 차 교류 (IS) 들의 현재의 전류흐름 방향은, 교류 (IS) 들이 각각 면적 (FS) 의 영역에서 교번자기장 (Hs) 을 발생시키도록 형성되어 있고, 이 교번자기장은 교류 (I) 에 의해 발생된 교번자기장 (H) 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보상한다 (자기장 (Hs) 의 각각의 방향은 도 1 에 상응하는 화살표로 표시되어 있다).
이에 상응하여, 2 차 교류 (IS) 들은 오로지 면적 (FS) 의 외부 가장자리에서만, 즉 전류 수집 바아들 (3, 3') 에서 (각각 이 전류 수집 바아들의 전체 길이에 걸쳐) 및/또는 리본들 (5, 5') 에서 (각각 이 리본들의 전체 길이에 걸쳐), 그리고 게다가 전류 수집 바아 (3) 와 전류 수집 바아 (3') 사이의 가장자리 (1') 에서 또는 가장자리 (1'') 에서 납땜선 (L) 의 방향으로 각각 전류 수집 바아들 (3 또는 3') 의 길이와 비교하여 비교적 작은 거리에 걸쳐 뻗어 있는 태양전지 (1) 의 2 개의“좁은”영역들에서 전류 수집 바아 (3) 와 전류 수집 바아 (3') 사이에서만 가열전력을 발생시킨다.
2 차 교류 (IS) 들의 전류강도는 특히, 전류 수집 바아들 (3, 3') 및 도체트랙 (4) 들의 전기 전도율과 비교한 리본들 (5, 5') 의 전기 전도율로 인해, 특히 리본 (5) 과 전류 수집 바아 (3) 사이의 또는 리본 (5') 과 전류 수집 바아 (3') 사이의 전기적 연결이 만들어져 있으면 비교적 클 수 있다. 리본들 (5, 5') 은 바람직하게는 금속 (예컨대, 구리 또는 알루미늄) 으로 제조되어 있을 수 있고, 그러므로 일반적으로 전류 수집 바아들 (3, 3') 의 전기저항 및 도체트랙 (4) 들의 전기저항보다 훨씬 작은 전기저항을 갖는다 (전류 수집 바아들 (3, 3') 과 태양전지 (1) 의 도체트랙 (4) 들이 통례적인 기술에 따라 실현되어 있다는 가정하에). 도체트랙 (4) 들의 높은 전기저항 때문에, 2 차 교류 (IS) 들은 특히 가장자리들 (1', 1'') 의 근처에서 태양전지 (1) 의 강한 가열을 초래한다. 이에 상응하여, 2 차 교류 (IS) 에 의해, 납땜되어야 하는 리본 (5) 도 가열되며, 이때 가장자리들 (1' 또는 1'') 에 인접한 리본 (5) 의 섹션들이 특히 강하게 가열된다. 그 결과, 2 차 교류 (IS) 는 리본 (5) 과 태양전지 (1) 의 비균일한 가열을 초래한다.
도 2 는 태양전지 (1) 및 3 개의 전기 전도성 리본 (5, 5', 5'') 과 조합된, 유도 납땜을 위해 적합한 본 발명에 따라 형성된 납땜장치 (15) 를 나타낸다. 도 1 에 따른 납땜장치 (8) 와의 비교를 가능하게 하기 위해, 도 1 의 도면과 도 2 의 도면은 태양전지 (1) 및 리본들 (5, 5', 5'') 과 관련하여 동일하다. 상응하여, 도 2 에서 납땜장치 (15) 는, 납땜선 (L) 을 따라 전류 수집 바아 (3) 의 전체 길이에 걸쳐 전류 수집 바아 (3) 와 리본 (5) 사이의 납땜연결을 만들어내기 위해 준비되어 있는 상태에서 도시되어 있다.
도 1 과는 달리, 도 2 에는 추가적으로 납땜평면 (LE) 이 도시되어 있으며, 상기 납땜평면은 태양전지 (1) 의 표면 (1-1) 에 대해 수직으로 배치되어 있고, 이때 납땜선 (L) 은 납땜평면 (LE) 에 놓여 있다. 알아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납땜장치 (15) 는 리본 (5) 을 억누르기 위한 다수의 홀드다운 요소, 본 예에서는 원통형 핀 형태의 3 개의 홀드다운 요소 (P1, P2, P3) 를 포함하며, 상기 홀드다운 요소들은 납땜평면 (LE) 에서 납땜선 (L) 에 대해 수직으로 뻗어 있고, 그리고 리본 (5) 에게 전류 수집 바아 (3) 의 표면에 대해 수직으로 향한 힘을 가하도록 납땜선 (1) 을 따라 일렬로 잇달아 배치되어 있다. 이때, 홀드다운 요소들 (P1, P3) 은 태양전지 (1) 의 가장자리 (1', 1'') 에 배치되어 있고, 그리고 이에 상응하여 리본 (5) 을 가장자리 (1', 1'') 에서 전류 수집 바아 (3) 상에 유지시키며, 반면 홀드다운 요소 (P2) 는 홀드다운 요소 (P1) 와 홀드다운 요소 (P3) 사이에 배치되어 있고, 그리고 리본 (5) 을 가장자리 (1') 와 가장자리 (1'') 사이의 중간에 놓여 있는 전류 수집 바아 (3) 의 부위에서 유지시킨다.
도 2 가 암시하는 바와 같이, 납땜장치 (15) 는 교류를 위한 전류경로를 가진 유도 안테나 (10A) 를 포함하며, 이때 상기 전류경로는 장방형 도체 (11A) 의 형태로 실현되어 있다. 도체 (11A) 는 교류 (I) 를 위한 (그의 기능과 관련하여 도 1 에 따른 발전기 (9) 와 동일한) 발전기 (9) 에 연결되어 있는 2 개의 단부를 포함하며, 따라서 발전기 (9) 에 의해 각각 발생된 교류 (I) 는 도체 (11A) 를 따라 흐른다. 도 2 에서, 참조부호 (I) 로 표시된, 그리고 도체 (11A) 를 따라 향해 있는 화살표들은 각각 특정 시점을 위한 도체 (11A) 안의 교류 (I) 의 현재의 전류흐름 방향을 나타낸다.
도체 (11A) 는 (도체 (11) 와 비슷하게), 교류 (I) 가 납땜선 (L) 에서 그리고 납땜선 (L) 의 주변에서 본질적으로 전류 수집 바아 (3) 의 전체 길이에 걸쳐 교번자기장을 발생시키도록 납땜선 (L) 을 따라 뻗어 있다. 도 1 에 따른 납땜장치 (8) 와의 비교를 가능하게 하기 위해, 유도 안테나 (10A) 의 전류경로 (도체 (11A)) 는, 교류 (I) 가 납땜선 (L) 에서 및/또는 납땜선 (L) 의 주변에서 교번자기장을 발생시키도록 형성되어 있고, 상기 교번자기장은 그의 공간적 분배와 관련하여 (예컨대 납땜선 (L) 에서의 및/또는 납땜선 (L) 의 주변에서의 장선들의 진로에 의해 특징지어진) 도 1 에 따른 유도 안테나 (10) 의 교번자기장 (H) 과 본질적으로 일치하며, 하지만 도 2 에 따른 유도 안테나 (10A) 의 경우는 홀드다운 요소 (P1) 와 홀드다운 요소 (P2) 사이에 뻗어 있는 납땜선 (L) 의 섹션 안의 교류 (I) 에 의해 발생된 교번자기장이 홀드다운 요소 (P2) 와 홀드다운 요소 (P3) 사이에 뻗어 있는 납땜선 (L) 의 섹션 안의 교번자기장에 대해 역위상에 있다는 (즉, 반대를 향한) 본질적인 차이를 갖는다.
도 2 에서 알아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도체 (11A) 는 다수의 세로방향 섹션 을 포함하며, 상기 세로방향 섹션들은, 도체 (11A) 가 2 개의 서로 나란히 배치된 루프 (loop) 를 형성하도록 납땜평면 (LE) 에서 뻗어 있고, 이때 이 루프들 중 하나는 홀드다운 요소 (P1) 와 홀드다운 요소 (P2) 사이의 중간 공간 (Z1) 에 배치되어 있으며, 이 루프들 중 다른 것은 홀드다운 요소 (P2) 와 홀드다운 요소 (P3) 사이의 중간 공간 (Z2) 에 배치되어 있고, 이 루프들 중 상기 하나 안의 교류 (I) 의 전류흐름 방향은 이 루프들 중 상기 다른 것 안의 교류 (I) 의 전류흐름 방향과 반대이다. 도체 (11A) 는 특히 제 1 섹션 (11A-1) 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섹션은 납땜평면 (LE) 에서 홀드다운 요소 (P1) 와 홀드다운 요소 (P2) 사이의 중간 공간 (Z1) 에서 - 공기 틈새에 의해 납땜선 (L) 으로부터 분리되어 - 본질적으로 직선으로 그리고 납땜선 (L) 에 대해 본질적으로 평행으로 뻗어 있다. 도체 (11A) 는 또한 제 2 섹션 (11A-2) 을 포함하며, 상기 제 2 섹션은 납땜평면 (LE) 에서 홀드다운 요소 (P2) 와 홀드다운 요소 (P3) 사이의 중간 공간 (Z2) 에서 - 공기 틈새에 의해 납땜선 (L) 으로부터 분리되어 - 본질적으로 직선으로 그리고 납땜선 (L) 에 대해 본질적으로 평행으로 뻗어 있다. 도 2 에서 알아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섹션들 (11A-1, 11A-2) 은, 섹션 (11A-1) 안의 교류 (I) 의 전류흐름 방향이 섹션 (11A-2) 안의 교류 (I) 의 전류흐름 방향에 대해 반대이도록 직렬로 접속되어 있으며, 즉 이로써 교류 (I) 는 섹션 (11A-1) 에서, 섹션 (11A-2) 안의 교류 (I) 에 대해 역위상에 있다. 섹션 (11A-1) 안의 교류 (I) 의 전류흐름 방향이 섹션 (11A-2) 안의 교류 (I) 의 전류흐름 방향에 대해 반대임으로써, 교류 (I) 가 홀드다운 요소 (P1) 와 홀드다운 요소 (P2) 사이에 뻗어 있는 납땜선 (L) 의 섹션에서 발생시키는 교번자기장 (H1) 은 교류 (I) 가 홀드다운 요소 (P2) 와 홀드다운 요소 (P3) 사이에 뻗어 있는 납땜선 (L) 의 섹션에서 발생시키는 교번자기장 (H2) 에 대해 각각 반대로 향해 있다. 그러므로, 유도 안테나 (10A) 의 경우, - 본 발명에 상응하여 - 상기 납땜선 (L) 의 적어도 하나의 섹션 안의 교번자기장은 상기 납땜선 (L) 의 적어도 하나의 다른 섹션 안의 교번자기장에 대해 역위상에 있다. 이때, 상기 납땜선에서의 교번자기장은 홀드다운 요소 (P1) 와 홀드다운 요소 (P2) 사이의 영역에서 뿐만 아니라 홀드다운 요소 (P2) 와 홀드다운 요소 (P3) 사이의 영역에서도 각각 납땜선 (L) 에 대해 본질적으로 수직으로 그리고 태양전지 (1) 의 표면 (1-1) 에 대해 평행으로 (또는 납땜평면 (LE) 에 대해 수직으로) 향해 있다 (도 2 에 도시되어 있지 않음).
도 2 에는, 교류 (I) 가 도체 (11) 의 섹션 (11A-1) 의 주변에서 홀드다운 요소 (P1) 와 홀드다운 요소 (P2) 사이의 영역에서 납땜선 (L) 의 주변에서 발생시키는 교번자기장 (H1) 의 각각의 장의 세기를 위한 다수의 장선이 도시되어 있으며, 이때 각각의 장선들에는 각각 화살표들이 표시되어 있고, 상기 화살표들은 각각의 장선을 따른 교번자기장 (H1) 의 장의 세기의 현재의 방향을 표시한다. 상응하여, 도 2 에는, 교류 (I) 가 도체 (11) 의 섹션 (11A-2) 의 주변에서 홀드다운 요소 (P2) 와 홀드다운 요소 (P3) 사이의 영역에서 납땜선 (L) 의 주변에서 발생시키는 교번자기장 (H2) 의 각각의 장의 세기를 위한 다수의 장선이 도시되어 있으며, 이때 각각의 장선들에는 각각 화살표들이 표시되어 있고, 상기 화살표들은 교번자기장 (H2) 의 장의 세기의 현재의 방향을 표시한다. 도 2 가 암시하는 바와 같이, 교번자기장들 (H1, H2) 의 장선들은 납땜선 (L) 의 주변에서 각각 본질적으로 동일한 진로를 갖고, 이때 교번자기장들 (H1, H2) 은 - 장의 세기의 현재의 방향을 표시하기 위한, 장선들에 표시된 화살표들에 상응하여 - 서로 반대 방향을 가지며, 그리로 이로써 서로 역위상에 있다.
도 2 에서 알아볼 수 있는 바와 같이, 교번자기장들 (H1, H2) 의 장선들은 전류 수집 바아 (3) 와 전류 수집 바아 (3'') 사이의 영역에서 뿐만 아니라 전류 수집 바아 (3) 와 전류 수집 바아 (3') 사이의 영역에서도 태양전지 (1) 의 표면 (1-1) 을 가로지르며, 그리고 그 결과 표면 (1-1) 을 통과한 자기흐름을 발생시키고, 상기 자기흐름은 시간의 함수로서 교류 (I) 의 각각의 주파수에 상응하여 변화한다. 이에 상응하여, 유도 안테나 (10A) 의 경우 교번자기장들 (H1, H2) 은 태양전지 (1) 에서 전류 수집 바아 (3) 와 전류 수집 바아 (3'') 사이의 영역에서 뿐만 아니라 전류 수집 바아 (3) 와 전류 수집 바아 (3') 사이의 영역에서도 전자기 유도를 이용해 전압들을 유도할 수 있고, 그리고 그 결과 전류들을 발생시킬 수 있으며, 상기 전류들은 태양전지 (1) 에서 전류수집 바아 (3) 의 외부에서도 흐른다 (와전류들, 2 차 교류들). 이는 도 2 에 편의상, 본질적으로 전류 수집 바아 (3) 로부터 전류 수집 바아 (3') 까지 뻗어 있는 그리고 전류 수집 바아들 (3, 3') 을 포함하는 태양전지 (1) 의 부분을 위해서만 도시되어 있다.
도 2 에서, FS1 은 한편으로는 전류 수집 바아들 (3, 3') 에 의해 한정된, 그리고 다른 한편으로는 납땜선 (L) 의 방향으로 - 태양전지 (1) 의 가장자리 (1') 로부터 시작하여 - 전류 수집 바아 (3) 의 절반 길이와 같은 거리 만큼 뻗어 있는, 태양전지 (1) 의 표면 (1-1) 에서의 본질적으로 직사각형인 면적을 표시한다. 상응하여, FS2 는 한편으로는 전류 수집 바아들 (3, 3') 에 의해 한정된, 그리고 다른 한편으로는 납땜선 (L) 의 방향으로 - 태양전지 (1) 의 가장자리 (1'') 로부터 시작하여 -, 전류 수집 바아 (3) 의 절반 길이와 같은 거리 만큼 뻗어 있는, 태양전지 (1) 의 표면 (1-1) 에서의 본질적으로 직사각형인 면적을 표시한다. 이에 상응하여, 면적들 (FS1, FS2) 은 동일한 표면적을 가지며, 이때 이 표면적은 도 1 에 따른 면적 (FS) 의 표면적의 50% 이다.
교번자기장들 (H1, H2) 이 서로 역위상에 있기 때문에, 면적 (FS1) 의 영역에서의 태양전지 (1) 안의 교번자기장 (H1) 은 각각 전자기 유도를 이용해, 면적 (FS2) 의 영역에서의 교번자기장 (H2) 이 유도하는 전압들에 대해 역위상에 있는 전압들을 발생시킨다.
이에 상응하여, 교번자기장들 (H1, H2) 은 면적들 (FS1, FS2) 의 영역에서 각각 여러 가지 전류흐름 방향을 가진 와전류 (Iw) 들을 발생시킨다 (각각의 교번자기장 (H1, H2) 의 방향에 따라). 이 이외에, 교번자기장들 (H1, H2) 각각은 면적들 (FS1, FS2) 의 영역에서 각각 2 차 교류들을 발생시키며, 이때 교번자기장 (H1) 에 의해 발생된 2 차 교류들과 교번자기장 (H2) 에 의해 발생된 2 차 교류들은 공간적으로 분리되어 태양전지 (1) 의 이웃한 영역들에서 흐른다.
유도 안테나 (10A) 의 교번자기장 (H1) 이 유도하는 2 차 교류들은 하기에서 IS1 으로 표시된다. 상응하여, 유도 안테나 (10A) 의 교번자기장 (H2) 이 유도하는 2 차 교류들은 하기에서 IS2 으로 표시된다. 편의상 도 2 에는, 전류 수집 바아들 (3, 3') 및/또는 리본들 (5, 5') 에서 그리고 전류 수집 바아 (3) 와 전류 수집 바아 (3') 사이에 뻗어 있는 태양전지 (1) 의 영역에서 흐르는 2 차 교류들 (IS1, IS2) 만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이 2 차 교류들 (IS1, IS2) 의 전류경로들은 도 2 에 화살표들로 표시된 선들에 의해 나타나 있으며, 이때 각각의 화살표들은 각각의 2 차 교류 (IS1 또는 IS2) 의 현재의 전류흐름 방향을 표시한다.
도 2 에서 알아볼 수 있는 바와 같이, 2 차 교류 (IS1) 들의 현재의 전류흐름 방향은, 교류 (IS1) 들이 각각 교번자기장 (HS1) 을 발생시키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교번자기장은 면적 (FS1) 의 영역에서의 교번자기장 (H1) 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보상한다 (교번자기장 (HS1) 의 각각의 방향은 도 1 에 상응하는 화살표에 의해 표시되어 있다). 상응하여, 2 차 교류 (IS2) 들의 현재의 전류흐름 방향은, 교류 (IS2) 들이 각각 교번자기장 (HS2) 을 발생시키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교번자기장은 면적 (FS2) 의 영역에서의 교번자기장 (H2) 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보상한다 (교번자기장 (HS2) 의 각각의 방향은 도 2 에 상응하는 화살표에 의해 표시되어 있다).
도 2 에서 알아볼 수 있는 바와 같이, 2 차 교류 (IS1) 들은 - 면적 (FS1) 의 영역에서의 교번자기장 (H1) 의 공간적 분배에 상응하여 - 링 모양으로 닫혀 있는 전류경로들에서 안내되어 있으며, 상기 전류경로들은 본질적으로 면적 (FS1) 의 외부 가장자리를 따라 뻗어 있다. 이와 반대로, 2 차 교류 (IS2) 들은 - 면적 (FS2) 의 영역에서의 교번자기장 (H2) 의 공간적 분배에 상응하여 - 링 모양으로 닫혀 있는 전류경로들에서 안내되어 있으며, 상기 전류경로들은 본질적으로 면적 (FS2) 의 외부 가장자리를 따라 뻗어 있다.
이에 따르면, 2 차 교류 (IS1) 의 전류경로들은: 홀드다운 요소 (P1) 와 홀드다운 요소 (P2) 사이에 뻗어 있는 리본 (5) 의 섹션 및/또는 홀드다운 요소 (P1) 와 홀드다운 요소 (P2) 사이에 뻗어 있는 전류 수집 바아 (3) 의 섹션을 통해; 가장자리 (1') 에 또는 가장자리 (1') 의 주변에 배치된, 전류 수집 바아 (3) 와 전류 수집 바아 (3') 사이에 뻗어 있는 하나 또는 다수의 도체트랙 (4) 을 통해; 리본 (5') 의 섹션 및/또는 전류 수집 바아 (3') 의 섹션을 통해; 홀드다운 요소 (P2) 의 근처에 배치된, 그리고 이 부위에서 전류 수집 바아 (3) 와 전류 수집 바아 (3') 사이에 뻗어 있는 하나 또는 다수의 도체트랙 (4) 을 통해 뻗어 있다.
이와 반대로, 2 차 교류 (IS2) 의 전류경로들은: 홀드다운 요소 (P2) 와 홀드다운 요소 (P3) 사이에 뻗어 있는 리본 (5) 의 섹션 및/또는 홀드다운 요소 (P2) 와 홀드다운 요소 (P3) 사이에 뻗어 있는 전류 수집 바아 (3) 의 섹션을 통해; 가장자리 (1'') 에 또는 가장자리 (1'') 의 주변에 배치된, 전류 수집 바아 (3) 와 전류 수집 바아 (3') 사이에 뻗어 있는 하나 또는 다수의 도체트랙 (4) 을 통해; 리본 (5') 의 섹션 및/또는 전류 수집 바아 (3') 의 섹션을 통해; 홀드다운 요소 (P2) 의 근처에 배치된, 그리고 이 부위에서 전류 수집 바아 (3) 와 전류 수집 바아 (3') 사이에 뻗어 있는 하나 또는 다수의 도체트랙 (4) 을 통해 뻗어 있다.
도 2 에서 알아볼 수 있는 바와 같이, 2 차 교류 (IS1) 들의 현재의 전류방향이 2 차 교류 (IS2) 들의 현재의 전류방향에 대해 반대로 향해 있도록, 2 차 교류들 (IS1, IS2) 은 리본 (5) 또는 전류 수집 바아 (3) 를 따라 리본 (5) 또는 전류 수집 바아 (3) 의 각각 여러 가지 섹션들에서 흐른다. 상응하여, 2 차 교류 (IS1) 들의 현재의 전류방향이 2 차 교류 (IS2) 들의 현재의 전류방향에 대해 반대로 향해 있도록, 2 차 교류들 (IS1, IS2) 은 리본 (5') 또는 전류 수집 바아 (3') 를 따라 리본 (5') 또는 전류 수집 바아 (3') 의 각각 여러 가지 섹션들에서 흐른다.
하지만, 도 2 에서 또한 알아볼 수 있는 바와 같이, 2 차 교류들 (IS1, IS2) 은 홀드다운 요소 (P2) 의 근처에 배치되어 있는, 그리고 이 부위에서 전류 수집 바아 (3) 와 전류 수집 바아 (3') 사이에 뻗어 있는 도체트랙 (4) 들에서는 각각 동일한 방향으로 흐르며, 그러므로 이 도체트랙들에서는 각각 동위상에 있다. 이로부터, 홀드다운 요소 (P2) 의 근처에 배치되어 있는, 그리고 이 부위에서 전류 수집 바아 (3) 와 전류 수집 바아 (3') 사이에 뻗어 있는 도체트랙 (4) 들에서는, 2 차 교류들 (IS1, IS2) 의 각각의 전류강도들의 합계와 같은 전류강도를 가진, 전류 수집 바아 (3) 와 전류 수집 바아 (3') 사이의 전류흐름이 발생한다.
그 결과, 도 1 에 따른 납땜장치 (8) 의 유도 안테나 (10) 를 써서 발생 가능한 2 차 교류 (IS) 들과는 달리, 유도 안테나 (10A) 를 써서 유도된 2 차 교류들 (IS1, IS2) 은, 전류 수집 바아 (3) 에서, 전류 수집 바아 (3') 에서 및/또는 리본 (5) 에서 및/또는 리본 (5') 에서, 그리고 태양전지 (1) 의 가장자리 (1') 에서 또는 가장자리 (1'') 에서 뻗어 있는 도체트랙 (4) 들에서만 가열전력을 발생시키는 것이 아니다. 추가적으로, 2 차 교류들 (IS1, IS2) 은, 홀드다운 요소 (P2) 의 근처에 배치되어 있는 그리고 이 부위에서 전류 수집 바아 (3) 와 전류 수집 바아 (3') 사이에 뻗어 있는 도체트랙 (4) 들에서 가열전력을 발생시킨다. 이로부터, 특히 홀드다운 요소 (P2) 의 근처에서 리본 (5) 의 추가적인 가열이 발생한다.
도체트랙 (4) 들은 일반적으로 비교적 큰 전기저항을 가지며, 2 차 교류들 IS (유도 안테나 (10) 의 경우) 또는 IS1 및 IS2 (유도 안테나 (10A) 의 경우) 는 특히 각각의 도체트랙 (4) 에서 비교적 큰 가열전력을 발생시킬 수 있기 때문에, 그 결과 유도 안테나 (10A) 의 경우 2 차 교류들 (IS1, IS2) 은 (바람직하게는), 2 차 교류들 (IS1, IS2) 에 의해 발생된 가열전력이 공간적으로 보다 균일하게 전체 표면 (1-1) 또는 태양전지 (1) 의 전체 부피에 걸쳐 분배되어 있다는 효과를 갖는다 (유도 안테나 (10) 의 경우에서의 2 차 교류 (IS) 들이 태양전지 (1) 에서 발생시키는 가열전력의 공간적 분배와 비교하여).
이 이외에, 유도 안테나 (10A) 를 이용해 유도될 수 있는 2 차 교류들 (IS1, IS2) 의 전류강도와 관련하여, 2 차 교류들 (IS1, IS2) 의 전류강도는 유도 안테나 (10A) 를 이용해 유도될 수 있는 2 차 교류 (IS1) 들의 전류강도와 비교하여 일반적으로 감소되어 있다는 것은 언급할 가치가 있다 (이때, 납땜선 (L) 에서의 교번자기장들 (H, H1, H2) 의 장의 세기들이 각각 그들의 양과 관련하여 동일하다고 가정되어 있다).
이 감소는 무엇보다도, 유도 안테나 (10) 의 경우 교번자기장 (H) 이 2 차 교류 (IS) 들의 각각의 전류경로들을 따라 전자기 유도를 이용해, 유도 안테나 (10A) 의 경우 교번자기장 (H1) 이 2 차 교류 (IS1) 들의 각각의 전류경로들을 따라 또는 교번자기장 (H2) 이 2 차 교류 (IS2) 들의 각각의 전류경로들을 따라 전자기 유도를 이용해 발생시킬 수 있는 전압보다 큰 전압을 발생시킬 수 있다는 데에 근거를 두고 있다. 이는 유도 안테나 (10) 의 경우 교번자기장 (H) 이 면적 (FS) 에서, 유도 안테나 (10A) 의 경우 교번자기장 (H1) 이 면적 (FS1) 에서 또는 교번자기장 (H2) 이 면적 (FS2) 에서 발생시키는 자기흐름 보다 큰 자기흐름을 발생시키기 때문에 그런 것이다. 2 차 교류들 (IS1, IS2) 의 전류강도들의 감소의 크기는 각각의 전류경로들의 개별적인 섹션들의 전기저항들에 의해 좌우된다 (예컨대, 전류 수집 바아들 (3, 3'), 리본들 (5, 5') 및 도체트랙 (4) 들의 각각의 전기저항들). 2 차 교류들 (IS1, IS2) 의 전류강도들은 예컨대 2 차 교류 (IS) 들의 전류강도에 비해 대략 계수 2 만큼 감소되어 있을 수 있다 (예컨대, 도체트랙 (4) 들의 전기저항이 전류 수집 바아들 (3 또는 3') 및/또는 리본들 (5, 5') 의 전기저항들과 비교하여 비교적 크다면). 이로부터, 마찬가지로, 2 차 교류들 (IS1, IS2) 이 태양전지 (1) 에서 발생시키는 전체 가열전력의 감소가 (예컨대 계수 2 만큼) 발생한다 (유도 안테나 (10) 의 경우에서의 2 차 교류 (IS) 들의 상응하는 가열전력과 비교하여).
유도 안테나 (10A) 의 장점들에 관한 상기 언급된 설명들은, 납땜선 (L) 의 2 개의 (납땜선 (L) 을 따라 잇달아 배치된) 섹션들에는 각각 2 개의 교번자기장 (도 2 에 따른 예에서 H1 및 H2) 이 존재하고, 상기 교번자기장들은 서로 역위상에 있으며, 이때 이 교번자기장들 각각은 상기 납땜선을 따라, 전류 수집 바아의 길이의 절반에 달하는 상기 납땜선의 섹션에 걸쳐 뻗어 있다는 데에 근거를 두고 있다. 상기 언급된 장점들은 (태양전지에 걸친, 각각 유도된 2 차 교류들에 의해 발생된 가열전력의 보다 균일한 분배, 각각 유도된 2 차 교류들의 전체 가열전력의 감소), - 유도 안테나 (10A) 를 이용해 발생 가능한 두 교번자기장 (H1, H2) 대신에 - 각각 3 개 이상의 여러 가지 교번자기장을 납땜선 (L) 의 3 개 이상의 잇달아 배치된 섹션들의 열 (row) 에서, 상기 교번자기장들이 상기 납땜선 (L) 의 섹션들 중 일렬로 바로 잇달아 배치된 각각 2 개에서 각각 서로 역위상에 있도록 발생시키는 유도 안테나를 이용해 더욱 향상되어 실현될 수 있다. 예컨대, 이러한 유형의 유도 안테나는 n개의 (n>2 을 가진) 여러 가지 교번자기장을 납땜선의 n개의 여러 가지 섹션에서 발생시키도록 설계되어 있을 수 있고, 이때 예컨대 납땜선의 이 섹션들 각각은, 단지 전류 수집 바아 (3) 의 길이의 1/n배에 달하는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이 유도 안테나의 교번자기장들은 - 유도 안테나 (10A) 를 이용해 태양전지에서 유도 가능한 두 2 차 교류 (IS1, IS2) 대신에 - 통틀어 n개의 여러 가지 2 차 교류를 유도하며, 이때 이 2 차 교류들 각각은, 교번자기장들 중 하나가 존재해 있는 납땜선 (L) 의 섹션들 중 하나를 따라서만 뻗어 있는 태양전지의 영역에 제한되어 있다. 그 결과, 교번자기장들의 개수 (n) 가 크면 클수록, 그리고 그 결과 납땜선의 각각의 섹션들의 길이가 짧으면 짧을수록, 유도된 2 차 교류들에 의해 발생된 가열전력은 더 균일하게 태양전지에 걸쳐 분배되어 있다. 상응하여, 각각 유도된 2 차 교류들의 전체 가열전력의 감소가 실현될 수 있고, 상기 감소는 교번자기장들의 개수 (n) 가 크면 클수록 또는 납땜선의 각각의 섹션들의 길이가 짧으면 짧을수록 더 크다.
도 3 은 3 개의 태양전지 (1) 와 조합된 본 발명에 따른 납땜장치 (15) 의 투시도를 나타내며, 상기 태양전지들은 일렬로 잇달아 배치되어 있고, 그리고 각각 태양전지의 앞면에 형성된 표면 (1-1) 에 3 개의 전류 수집 바아 (3) 를 구비한다. 이 납땜장치 (15) 는 태양전지 (1) 들 중 각각 2 개를 도시되어 있는 리본 (5) 들을 이용해 연결시켜야 하는 과제를 갖는다. 이를 위해, 각각의 리본 (5) 의 한 섹션은 서로 연결되어야 하는 태양전지 (1) 들 중 하나의 뒷면에서의 표면 (1-2) 에 납땜되어야 하며, 그리고 리본 (5) 의 다른 섹션은 서로 연결되어야 하는 태양전지 (1) 들 중 다른 것의 표면 (1-1) 에서의 전류 수집 바아 (3) 들 중 하나에 납땜되어야 한다. 도 1 에서,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태양전지 (1) 들 중 가운데 있는 것과 오른쪽에 있는 것의 전류 수집 바아 (3) 들 각각은 리본 (5) 들 중 각각 하나로 덮혀 있고, 그러므로 볼 수 없다. 본 예에서, 납땜장치 (15) 는 전류 수집 바아 (3) 들 중 하나의 표면에 리본 (5) 을 억누르기 위한 다수의 홀드다운 장치 (N) 와 교번자기장들을 발생시키기 위한 유도 안테나 (20) 를 포함한다. 유도 안테나 (20) 의 적합한 포지셔닝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유도 안테나 (20) 는 (도시되어 있지 않은 장치를 써서) 태양전지 (1) 들에 대해 상대적으로 움직일 수 있다. 본 예에서, 홀드다운 장치 (N) 들 각각은 태양전지 (1) 의 표면 (1-1) 에 대해 수직으로 뻗어 있는 핀 형태의 홀드다운 요소 (P) 및 질량 (M) 을 포함하며, 이때 상기 질량 (M) 은, 홀드다운 요소 (P) 에게 무거운 짐을 지우기 위해, 그리고 이로써 홀드다운 요소 (P) 에게 표면 (1-1) 에 대해 수직으로 향한 힘을 가하기 위해 사용된다.
도 3 에 따른 납땜장치 (15) 의 유도 안테나 (20) 는 본 발명에 따르면 다수의 변형으로 실현될 수 있다. 그러므로, 도 4 내지 도 47 과 관련하여 하기에서는 납땜장치 (15) 의 적어도 6개의 여러 가지 실시형태가 설명되어야 하며, 상기 실시형태들은 특히 각각 여러 가지 유도 안테나를 포함함으로써 서로 구별되고, 상기 유도 안테나들은 본 발명에 따라 형성되어 있으며, 도 3 에 따른 유도 안테나 (20) 의 가능한 실현형태 또는 변형들로 여겨질 수 있다. 이때, 납땜장치 (15) 의 여러 가지 실시형태는 - 유도 안테나의 구조에 따라 - 홀드다운 요소들의 여러 가지 실시형태를 포함할 수도 있다 (도 3 에 따른 홀드다운 장치 (N) 또는 홀드다운 요소 (P) 들 대신에). 이하, 도 4 내지 도 47 에 나타나 있는 유도 안테나들은 20A, 20B, 20C, 20D, 20E, 20F 로 표시된다.
유도 안테나들 (20A-20F) 은 (예들의 의미에서) 각각, 교번자기장들이 납땜선 (L) 의 섹션들 중 일렬로 바로 잇달아 배치된 각각 2 개에서 각각 서로 역위상에 있도록, 상기 납땜선의 잇달아 배치된 2 개를 초과하는 섹션들의 열 (row) 에서 교번자기장들을 발생시키기 위해 형성되어 있다.
도 4 내지 도 17 은 (제 1 변형에서) 유도 안테나 (20A) 를 가진 납땜장치 (15) 를 나타낸다.
도 4 는 태양전지 (1) 와 조합된 유도 안테나 (20A) 와 11개의 홀드다운 요소들 (P1-P11) 을 포함한 납땜장치 (15) 를 나타내며, 이때 태양전지 (1) 의 표면 (1-1) 에 배치되어 있는 전류 수집 바아 (3) 는 리본 (5) 과 접촉되어 있고, 상기 리본은 전류 수집 바아 (3) 의 세로방향에서 뻗어 있다. 이 이외에, 도 4 에서 납땜선 (L) 은 수학적인 직선의 형태로 표시되어 있다.
알아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납땜선 (L) 은 리본 (5) 을 향하는 전류 수집 바아 (3) 의 표면에서, 전류 수집 바아 (3) 의 세로방향으로 뻗어 있다. 추가적으로, 도 4 에는 납땜평면 (LE), 즉 태양전지 (1) 의 표면 (1-1) 에 대해 본질적으로 수직으로 뻗어 있는, 그리고 납땜선 (L) 이 놓여 있는 평면이 표시되어 있다. 홀드다운 요소들 (P1-P11) 은 납땜선 (L) 을 따라 일렬로 잇달아 배치되어 있으며, 그리고 본 예에서 납땜평면 (LE) 에서 납땜선 (L) 에 대해 본질적으로 수직으로 뻗어 있다. 이때, 홀드다운 요소들 (P1-P11) 은 각각 장방형 (예컨대 원통형) 핀으로서 형성되어 있으며, 그리고 전류 수집 바아 (3) 의 표면에 리본 (5) 을 억누르는 것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각각 태양전지 (1) 의 표면 (1-1) 에 대해 본질직으로 수직으로 움직일 수 있다.
전류 수집 바아 (3) 와 리본 (5) 은 예컨대 (태양전지 (1) 의 표면 (1-1) 에 대해 평행으로) 1 내지 3 mm 의 폭을 가질 수 있다. 홀드다운 요소들 (P1-P11) 은 예컨대 3 mm 의 지름을 가질 수 있고, 그리고 홀드다운 요소들 (P1-P11) 중 일렬로 바로 잇달아 배치된 2 개 사이의 간격이 예컨대 8 내지 24 mm 에 달하도록 납땜선 (L) 을 따라 일렬로 잇달아 배치되어 있을 수 있다.
도 4 가 또한 암시하는 바와 같이, 유도 안테나 (20A) 는, 교류 (I) 를 위해 납땜선 (L) 을 따라 뻗어 있는 전류경로 (21A) 를 포함하며, 이때 교류 (I) 는, 납땜선 (L) 에서 및/또는 납땜선 (L) 의 주변에서 교번자기장을 발생시키도록 전류경로 (21A) 를 따라 안내되어 있다. 본 예에서, 전류경로 (21A) 는 각각 일부 섹션들에 걸쳐, 제 1 전기 전도성 고체 (30) 안에 그리고 제 2 전기 전도성 고체 (40) 안에 형성되어 있으며 (이는 하기에서 도 5 내지 도 10, 도 14 및 도 15 와 관련하여 상세히 설명된다), 이때, 고체들 (30, 40) 은 - 공기 틈새 (LS) 에 의해 납땜선 (L) 으로부터 분리되어 - 납땜선 (L) 을 따라 뻗어 있고, 그리고 고체들 (30, 40) 의 개별적인 섹션들은 교류 (I) 를 납땜선 (L) 을 따라 안내한다. 이에 따르면, 고체들 (30, 4) 은 (상응하여 고체들 (30, 40) 의 개별적인 섹션들도) 각각 전류경로 (21A) 의 여러 가지 섹션을 형성한다.
교류 (I) 를 발생시키기 위해, 도 4 에 따르면 발전기 (9) 가 제공되어 있다 (도 1 및 도 2 에 따른 발전기 (9) 에 상응하여). 이때, 발전기 (9) 에 의해 발생된 (고주파) 교류 (I) 는 2 개의 (도 4 에 참조부호 110 또는 112 로 표시된) 전기적 연결부를 통하여 전류경로 (21A) 안으로 (또는 고체들 (30, 40) 안으로) 커플링인될 수 있거나 또는 전류경로 (21A) 밖으로 (또는 고체들 (30, 40) 밖으로) 커플링아웃 (coupling out) 될 수 있다. 도 4 에서, 참조부호 (I) 로 표시된 화살표들은 각각 특정 (임의로 선택된) 시점을 위한 교류 (I) 의 현재의 전류흐름 방향을 나타낸다. 도 4 에 따른 도면에서, 참조부호 110 으로 표시된 전기적 연결부는 현재“전류 커플링인 요소”의 기능을 가지며, 상기 전류 커플링인 요소는 전류를 표시되어 있는 전류흐름 방향의 방향으로 전류경로 (21A) 안으로 커플링인한다. 상응하여, 도 4 에 따른 도면에서, 참조부호 112 로 표시된 전기적 연결부는 현재“전류 커플링아웃 요소”의 기능을 가지며, 상기 전류 커플링아웃 요소는 전류를 표시되어 있는 전류흐름 방향의 방향으로 전류경로 (21A) 밖으로 커플링아웃한다. 교류 (I) 가 현재 전류경로 (21A) 의 특정 섹션들에서 갖고 있는 전류흐름 방향은 교류 (I) 에 의해 발생된 교번자기장들의 방향과 관련하여 중요하기 때문에, 하기에서는 편의상, 110 또는 112 로 표시된 연결부들 안의 교류 (I) 의 도 4 내지 도 17 에 도시되어 있는 현재의 전류흐름 방향들에 상응하여“전류 커플링인 요소 (110)”또는“전류 커플링아웃 요소 (112)”라는 명칭들이 사용되어야 한다 (교류 (I) 의 현재의 전류흐름 방향이 시간의 함수로서 주기적으로 바뀌고, 따라서 다른 시점에서는, 110 으로 표시되어 있는 연결부는“전류 커플링아웃 요소”의 기능을 떠맡고, 112 로 표시되어 있는 연결부는“전류 커플링인 요소”의 기능을 떠맡을 수 있을지라도).
도 4 가 또한 암시하는 바와 같이, 납땜장치 (15) 는 전기 전도성 고체들 (30, 40) 을 냉각시키기 위한 (선택적인) 냉각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 에는 제 1 히트싱크 (60) 와 제 2 히트싱크 (70) 가 도시되어 있다. 제 1 히트싱크 (60) 와 제 2 히트싱크 (70) 는 - 서로 간격을 두고 - 납땜선 (L) 의 세로방향에서 뻗어 있으며, 이때 고체들 (30, 40) 은, 고체들 (30, 40) 의 개별적인 영역들이 히트싱크들 중 하나 (60 또는 70) 와 열적 접촉하에 있도록 이 히트싱크들 (50, 70)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상기 (선택적인) 냉각장치에 관한 그 밖의 상세 내용은 하기에서 설명된다.
도 4 에 따르면, 유도 안테나 (20A) 안에는 통틀어 11개의 (관통하는) 채널 (K1-K11) 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채널들은 납땜평면 (LE) 에서 각각 납땜선 (L) 에 대해 본질적으로 수직으로 뻗어 있고, 이때 채널들 (K1-K11) 각각 안에는 홀드다운 요소들 (P1-P11) 중 하나가 배치되어 있으며, 따라서 홀드다운 요소들 (P1-P11) 각각은 채널들 (K1-K11) 중 하나 안에 안내되어 있다. 도 4 가 또한 암시하는 바와 같이, 홀드다운 요소들 (P1-P11) 은, 상기 홀드다운 요소들 (P1-P11) 중 일렬로 바로 잇달아 배치된 각각 2 개 사이에 중간 공간이 형성되어 있도록 납땜선 (L) 을 따라 일렬로 잇달아 배치되어 있다: 이 중간 공간들 각각은 도 4 에 (홀드다운 요소들 (P1-P11) 중 각각 2 개 사이에서 뻗어 있는) 이중 화살표, 및 참조부호 Z1, Z2, Z3, Z4, Z5, Z6, Z7, Z8, Z9, Z10 으로 표시되어 있다 (이에 따르면, 본 경우, 납땜선 (L) 을 따라 배치된 10개의 여러 가지 중간 공간 (Z1-Z10) 이 존재한다).
이 중간 공간들 (Z1, Z2, Z3, Z4, Z5, Z6, Z7, Z8, Z9, Z10) 각각은 납땜선 (L) 의 통틀어 10개의 섹션들 중 하나와 정확히 부합하며, 상기 섹션들은 이하 L1, L2, L3, L4, L5, L6, L7, L8, L9, L10 으로 표시되고, 그리고 도 14 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이 순서로 일렬로 잇달아 배치되어 있다. 본 경우, 납땜선 (L) 의 상기 언급된 섹션들 (L1-L10) 각각의 단부들은 홀드다운 요소들 (P1-P11) 의 세로축들과 납땜선 (L) 과의 교차점들에 의해 결정되어 있다: 홀드다운 요소 (P1) 는 예컨대 납땜선의 섹션 (L1) 의 한 단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홀드다운 요소 (P2) 는 섹션 (L1) 의 다른 단부에 배치되어 있고, 따라서 납땜선 (L) 의 세로방향 섹션 (L1) 은 중간 공간 (Z1) 을 통해 (나머지 중간 공간들 (Z2-Z10) 을 통해서가 아니라) 뻗어 있다; 상응하여, 홀드다운 요소 (P2) 는 납땜선의 섹션 (L2) 의 한 단부에 배치되어 있고, 그리고 홀드다운 요소 (P3) 는 섹션 (L2) 의 다른 단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따라서 납땜선 (L) 의 세로방향 섹션 (L2) 은 중간 공간 (Z2) 을 통해 (나머지 중간 공간들 (Z1 및 Z3-Z10) 을 통해서가 아니라) 뻗어 있다; 비슷한 방식으로, 나머지 세로방향 섹션들 (L3-L10) 각각은, 홀드다운 요소들 (P3-P11) 중 납땜선 (L) 을 따라 바로 잇달아 배치된 각각 2 개 사이에 뻗어 있으며, 그리고 이로써 중간 공간들 (Z3-Z10) 중 각각 하나를 통해 뻗어 있다 (도 4 및 도 14).
교류 (I) 는, 납땜선 (L) 의 여러 가지 섹션들 (L1-L10) 에서 또는 중간 공간들 (Z1-Z10) 에서 교번자기장들을 발생시키도록 유도 안테나 (20A) 의 전류경로 (21A) 에서 납땜선 (L) 을 따라 안내되어 있고, 상기 교번자기장들은 하기에서는 H1, H2, H3, H4, H5, H6, H7, H8, H9, H10 으로 표시된다: 여기서, 표시“Hi”(i=1-10 을 가진) 는 납땜선 (L) 의 섹션“Li”안에 또는 중간 공간“Zi”(각각 i=1-10 를 가진) 안에 존재하는 교번자기장을 나타낸다.
도 4 에서, H1, H2, H3, H4, H5, H6, H7, H8, H9, H10 으로 표시되어 있는 화살표들은 각각 납땜선 (L) 의 여러 가지 섹션들 (L1-L10) 안의 교번자기장들 (H1, H2, H3, H4, H5, H6, H7, H8, H9, H10) 의 장의 세기의 방향을 나타낸다 (각각 상기 납땜선 안의 장소를 위해, 그리고 각각 교류 (I) 의 표시되어 있는 현재의 전류흐름 방향을 위해). 알아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납땜선 (L) 에서의 교번자기장들 (H1-H10) 각각은 각각 납땜평면 (LE) 에 대해 본질적으로 수직으로 그리고 납땜선 (L) 에 대해 수직으로 향해 있다. 이때, 섹션들 (L1, L3, L5, L7, L9) 안의 교번자기장들 (H1, H3, H5, H7, H9) 은 각각 동일한 방향을 가지며, 그리고 이로써 서로 동위상에 있다. 이와는 달리, 섹션들 (L2, L4, L6, L8, L10) 안의 교번자기장들 (H2, H4, H6, H8, H10) 은 교번자기장들 (H1, H3, H5, H7, H9) 에 대해 반대로 향해 있으며, 따라서 섹션들 (L1, L3, L5, L7, L9) 안의 교번자기장들 (H1, H3, H5, H7, H9) 은 각각 섹션들 (L2, L4, L6, L8, L10) 안의 교번자기장들 (H2, H4, H6, H8, H10) 에 대해 역위상에 있다.
이하, 도 5 내지 도 15 와 관련하여, 유도 안테나 (20A) 의 전류경로 (21A) 의 구조적인 상세 내용이 설명된다.
도 5 는 도 4 에 따른 유도 안테나 (20A) 의 개별적인 구성요소들을 분해도로 나타내며, 이때 각각의 구성요소들은 납땜평면 (LE) 에 대해 수직인 방향에서 서로 분리되어 있다. 알아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유도 안테나 (20A) 는 제 1 전기 전도성 고체 (30), 제 2 전기 전도성 고체 (40), 제 1 히트싱크 (60) 및 제 2 히트싱크 (70) 에 대해 추가적으로 특히 2 개의 절연바디 (90) 포함하며, 상기 절연바디들은 전기적으로 절연시키는 재료로 제조되어 있다. 이 절연바디 (90) 들 중 하나는, 제 1 히트싱크 (60) 와 전기 전도성 고체 (30) 사이의 전기적 절연을 초래하기 위해 제 1 히트싱크 (60) 와 전기 전도성 고체 (30)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이 절연바디 (90) 들 중 다른 것은, 제 2 히트싱크 (70) 와 전기 전도성 고체 (40) 사이의 전기적 절연을 초래하기 위해 제 2 히트싱크 (70) 와 전기 전도성 고체 (40)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도 5 에서 또한 알아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도 4 에 따른 유도 안테나 (20A) 는 또한 다수의 절연바디 (80) 를 포함하며, 상기 절연바디들은, 이 고체들 (30, 40) 사이의 전기적 절연을 달성하기 위해 (납땜선 (L) 을 따라 분배되어) 전기 전도성 고체 (30) 와 전기 전도성 고체 (40)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도 5 에서 또한 알아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도 4 에 따른 유도 안테나 (20A) 는 고정수단 (100) 들을 포함하며, 상기 고정수단들은, 전기 전도성 고체들 (30, 40) 과 제 1 히트싱크 (60) 와 제 2 히트싱크 (70) 와 절연바디들 (80, 90) 을 기계적으로 서로 연결시키기 위해, 그리고 유도 안테나 (20A) 가 하나의 유닛을 형성하도록 결합시키기 위해 사용되고, 상기 유닛은 통째로 납땜선 (L) 을 따라 미리 정해져 있는 위치에 유지될 수 있다. 이 이외에, 유도 안테나 (20A) 는 (제 1) 단락요소 (101) 를 포함하며, 상기 단락요소는 제 1 히트싱크 (60) 또는 전류 커플링인 요소 (110) 와 고체 (30) 사이의 전기적 연결을 만들어내기 위해 사용된다. 이 이외에, 유도 안테나 (20A) 는 하나 또는 다수의 (제 2) 단락요소 (102) 를 포함하며, 상기 단락요소는 고체 (30) 와 고체 (40) 사이의 전기적 연결을 만들어내기 위해 사용된다. 추가적으로, 유도 안테나 (20A) 는 적어도 하나의 (제 3) 단락요소 (103) 를 포함하며, 상기 단락요소는 제 2 히트싱크 (70) 또는 전류 커플링아웃 요소 (112) 와 고체 (40) 사이의 전기적 연결을 만들어내기 위해 사용된다.
고정수단 (100) 들과 단락요소들 (101, 102, 103) 은 본 예에서 나사들로서 설계되어 있다. 물론, 고정수단 (100) 들과 단락요소들 (101, 102, 103) 은 각각 그들의 기능과 관련하여 마찬가지로 적합한 다른 수단 (예컨대 리벳) 에 의해 대체될 수 있다. 유도 안테나 (20A) 의 조립시 고정수단 (100) 들을 적합하게 배치할 수 있기 위해, 제 1 히트싱크 (60), 제 2 히트싱크 (70), 고체 (30), 고체 (40) 및 절연바디들 (80, 90) 은 상응하여 배치된 보어들을 구비하며, 상기 보어들 안으로 각각의 고정수단 (100) 들이 삽입될 수 있다 (도 5 에서, 이러한 유형의 보어들은 참조부호 32, 42, 62, 72, 82, 92 로 표시되어 있다). 상응하여, 제 1 히트싱크 (60), 제 2 히트싱크 (70), 고체 (30), 고체 (40) 및 절연바디들 (80, 90) 은 적합하게 배치된 보어들을 구비하며, 상기 언급된 전기적 연결들을 만들어낼 수 있기 위해 상기 보어들 안으로 단락요소들 (101, 102, 103) 이 삽입될 수 있다 (도 5 에서, 단락요소 (101) 를 위한 이러한 유형의 보어들은 참조부호 33, 43, 63, 73, 93 으로 표시되어 있고, 단락요소 (102) 를 위한 보어들은 참조부호 34, 44, 64, 74, 84, 94 로 표시되어 있으며, 단락요소 (103) 를 위한 보어들은 참조부호 35, 45, 65, 75, 85, 95 로 표시되어 있다).
도 5 에서 볼 수 있는 유도 안테나 (20A) 의 모든 부품들이, 도 4 에 도시되어 있는 형태로 (작동 준비된) 유도 안테나 (20A) 를 형성하도록 결합되어 있으면, 단락요소들 (101, 102, 103) 은, (제 1 전기 전도성) 고체 (30) 를 통하여 그리고 (제 2 전기 전도성) 고체 (40) 를 통하여 전류 커플링인 요소 (110) 와 전류 커플링아웃 요소 (112) 사이의 교류 (I) 를 위한 지속적인 전기적 연결이 존재하는 것을 보장하며, 이때 고체들 (30, 40) 의 각각의 섹션들은 전기적으로 직렬로 접속되어 있다. 이에 따르면, 단락요소들 (101, 102, 103) 은 전류경로 (21A) 의 구성요소들로 여겨질 수 있다. 이는 도 12 내지 도 15 와 관련하여 상세히 설명된다.
도 6 은 유도 안테나 (20A) 의 (제 1 전기 전도성) 고체 (30) 와 (제 2 전기 전도성) 고체 (40) 를 각각 분리시켜 보이고 있다 (도 5 에서와는 다른 조망에 따라). 알아볼 수 있는 바와 같이, 고체 (30) 는, 일렬로 잇달아 배치된 그리고 서로 평행으로 뻗어 있는 통틀어 11개의 장방형 리세스 (30-1, 30-2, 30-3, 30-4, 30-5, 30-6, 30-7, 30-8, 30-9, 30-10, 30-11) 를 구비한다. 상응하여, 고체 (40) 는, 일렬로 잇달아 배치된 그리고 서로 평행으로 뻗어 있는 통틀어 11개의 장방형 리세스 (40-1, 40-2, 40-3, 40-4, 40-5, 40-6, 40-7, 40-8, 40-9, 40-10, 40-11) 를 구비한다. 유도 안테나 (20A) 의 고체들 (30, 40) 이 도 4 에 도시되어 있는 배열에 있어서 서로 상대적으로 그리고 홀드다운 요소들 (P1-P11) 에 대해 상대적으로 위치하도록, 상기 고체들이 배치되어 있으면, 고체 (30) 안에 형성된 리세스들 (30-1, 30-2, 30-3, 30-4, 30-5, 30-6, 30-7, 30-8, 30-9, 30-10, 30-11) 중 각각 하나는 고체 (40) 안에 형성된 리세스들 (40-1, 40-2, 40-3, 40-4, 40-5, 40-6, 40-7, 40-8, 40-9, 40-10, 40-11) 중 각각 하나와 함께 채널들 (K1-K11) 중 각각 하나를 형성한다. 도 4 와 도 6 와의 비교가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예컨대 리세스들 (30-1, 40-1) 은 홀드다운 요소 (P1) 를 위한 채널 (K1) 을 형성하고, 리세스들 (30-i, 40-i) 은 홀드다운 요소 (Pi) 를 위한 채널 (Ki) 을 형성하며, 이때 i=2-11 이다.
도 7 및 도 8 은 납땜선 (L) 에 대해 상대적인 배열에 있어서 고체들 (30, 40) 을 분리시켜 각각 나타내며, 상기 배열은 도 4 에 따른 고체들 (30, 40) 의 배열과 동일하다. 도 7 은 고체 (30) 를 측면도로 (도 4 에 따른 납땜평면 (LE) 에 대해 수직인 시선 방향으로) 나타내며, 도 8 은 고체 (40) 를 측면도로 (도 4 에 따른 납땜평면 (LE) 에 대해 수직인 시선 방향으로) 나타낸다. 도 7 및 도 8 에서 알아볼 수 있는 바와 같이, 고체들 (30, 40) 은 납땜선 (L) 에 대해 본질적으로 평행으로 뻗어 있으며, 각각 공기 틈새 (LS) 에 의해 납땜선 (L) 으로부터 분리되어 있다. 도 7 에 따른 고체 (30) 의 배열과 도 8 에 따른 고체 (40) 의 배열과의 비교를 가능하게 하기 위해, 도 7 에서 뿐만 아니라 도 8 에는 각각 각각의 중간 공간들 (Z1-Z11) 의 공간적 위치들이 (도 4 에서 정의된 바와 같이) 표시되어 있고, 따라서 도 7 및 도 8 에서, 홀드다운 요소들 (P1-P11) 및 납땜선의 섹션들 (L1-L10) (도 14 에서 정의된 바와 같이) 과 관련된 고체들 (30, 40) 의 상대적인 배열을 알 수 있다.
고체들 (30, 40) 은, 교류 (I) 를 납땜선 (L) 을 따라 여러 가지 중간 공간들 (Z1-Z10) 을 통해 납땜선 (L) 에 대한 간격을 두고 안내하는 기능을 가지며, 상기 간격은 납땜선 (L) 을 따라 변화한다.
도 7 이 암시하는 바와 같이, 고체 (30) 는 서로 연결된 11개의 여러 가지 섹션들의 배열체로 여겨질 수 있고, 상기 섹션들은 납땜선 (L) 을 따라 일렬로 잇달아 배치되어 있으며, 그리고 여러 가지 중간 공간들 (Z1-Z10) 을 통해 납땜선 (L) 과 관련된 여러 가지 간격들 (D1 또는 D2) (D2>D1 을 가진) 을 두고 뻗어 있다.
이하, 납땜선 (L) 에 대한 간격 및 기능과 관련하여 서로 구별되는, 고체 (30) 의 섹션들로 이루어진 2 개의 여러 가지 그룹이 구별되어야 한다: 고체 (30) 의 섹션들의“제 1 그룹”은 5개의 섹션을 포함하며, 상기 섹션들은 도 7 에서 30-A1, 30-A2, 30-A3, 30-A4, 30-A5 로 표시되어 있고; 고체 (30) 의 섹션들의“제 2 그룹”은 6개의 섹션을 포함하며, 상기 섹션들은 도 7 에서 30-B1, 30-B2, 30-B3, 30-B4, 30-B5, 30-B6 으로 표시되어 있다.
이와 관련하여 고체 (30) 의 어느 영역들이 상기 언급된 섹션들 중 하나로 해석되어야 하는가를 표시하기 위해, 도 7 에서 섹션들 (30-A1, 30-A2, 30-A3, 30-A4, 30-A5) 각각은 파선으로 형성된 직사각형으로 둘러싸여 있다 (고체 (30) 의 나머지 섹션들과 섹션들 (30-A1, 30-A2, 30-A3, 30-A4, 30-A5) 의 경계를 정하기 위해). 이때, 도 7 에 도시되어 있는 직사각형들과 고체 (30) 사이의 교차선들은 각각 고체 (30) 의 각각의 섹션들 사이의 가상적인 경계를 표시한다. 명확하게 하기 위해, 도 9 는 고체 (30) 의 도면을 나타내며, 상기 도면에서 섹션들 (30-A1, 30-A2, 30-A3, 30-A4, 30-A5) 은 섹션들 (30-B1, 30-B2, 30-B3, 30-B4, 30-B5, 30-B6) 로부터 분리되어 있고 (각각 도 9 에 표시되어 있는 파선들을 따라) 그리고 섹션들 (30-B1, 30-B2, 30-B3, 30-B4, 30-B5, 30-B6) 에 대해 납땜선 (L) 의 방향으로 옮겨져 있다 (도 7 안의 고체 (30) 의 도면과 비교하여).
도 7 및 도 9 에서 알아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미리 정해져 있는 방향에서 납땜선 (L) 을 따라 각각 교대로, 고체 (30) 의 섹션들의 제 1 그룹에 속하는 섹션과 고체 (30) 의 섹션들의 제 2 그룹에 속하는 섹션이 잇달아 뒤따르도록, 고체 (30) 의 여러 가지 섹션들은 납땜선 (L) 을 따라 일렬로 잇달아 배치되어 있다.
이때, 제 1 그룹에 속하는 섹션들 (30-A1, 30-A2, 30-A3, 30-A4, 30-A5) 은 납땜선 (L) 으로부터의 그들의 간격과 관련하여 그리고 그들의 기능과 관련하여 제 2 그룹에 속하는 섹션들 (30-B1, 30-B2, 30-B3, 30-B4, 30-B5, 30-B6) 과 구별된다.
고체 (30) 의 섹션들 (30-A1, 30-A2, 30-A3, 30-A4, 30-A5) 은 본 예에서 각각 장방형 형태를 가지며, 그리고 본 예에서 각각 납땜선 (L) 과 관련된 간격 (D1) 을 두고 각각 납땜선 (L) 에 대해 본질적으로 평행으로 뻗어 있다. 도 4 에 따른 유도 안테나 (20A) 에서, 고체 (30) 는 섹션들 (30-A1, 30-A2, 30-A3, 30-A4, 30-A5) 이 납땜평면 (LE) 에 놓여 있도록 배치되어 있다. 하기에서 분명해지듯이, 섹션들 (30-A1, 30-A2, 30-A3, 30-A4, 30-A5) 은, 교류 (I) 가 이 섹션들의 주변에서 또는 납땜선 (L) 에서 교번자기장들 (H1, H3, H5, H7, H9) 을 발생시키도록 교류 (I) 를 납땜선을 따라 안내하는 기능을 갖는다. 이 기능 때문에, 섹션들 (30-A1, 30-A2, 30-A3, 30-A4, 30-A5) 은 하기에서 고체 (30) 또는 전류경로 (21A) 의“교번자기장을 발생시키는”섹션들이라고도 불리어야 한다.
섹션 (30-A1) 은 중간 공간 (Z1) 안에 배치되어 있고, 이때 섹션 (30-A1) 의 두 단부는 중간 공간 (Z1) 을 넘어 멀리 뻗어 있으며, 따라서 리세스 (30-1) 는 상기 두 단부 중 하나를 통해 뻗어 있고, 리세스 (30-2) 는 상기 두 단부 중 다른 것을 통해 뻗어 있다.
섹션 (30-A2) 은 중간 공간 (Z3) 안에 배치되어 있고, 이때 섹션 (30-A2) 의 두 단부는 중간 공간 (Z3) 을 넘어 멀리 뻗어 있으며, 따라서 리세스 (30-3) 는 상기 두 단부 중 하나를 통해 뻗어 있고, 리세스 (30-4) 는 상기 두 단부 중 다른 것을 통해 뻗어 있다.
섹션 (30-A3) 은 중간 공간 (Z5) 안에 배치되어 있고, 이때 섹션 (30-A3) 의 두 단부는 중간 공간 (Z5) 을 넘어 멀리 뻗어 있으며, 따라서 리세스 (30-5) 는 상기 두 단부 중 하나를 통해 뻗어 있고, 리세스 (30-6) 는 상기 두 단부 중 다른 것을 통해 뻗어 있다.
섹션 (30-A4) 은 중간 공간 (Z7) 안에 배치되어 있고, 이때 섹션 (30-A4) 의 두 단부는 중간 공간 (Z7) 을 넘어 멀리 뻗어 있으며, 따라서 리세스 (30-7) 는 상기 두 단부 중 하나를 통해 뻗어 있고, 리세스 (30-8) 는 상기 두 단부 중 다른 것을 통해 뻗어 있다.
섹션 (30-A5) 은 중간 공간 (Z9) 안에 배치되어 있고, 이때 섹션 (30-A5) 의 두 단부는 중간 공간 (Z9) 을 넘어 멀리 뻗어 있으며, 따라서 리세스 (30-9) 는 상기 두 단부 중 하나를 통해 뻗어 있고, 리세스 (30-10) 는 상기 두 단부 중 다른 것을 통해 뻗어 있다.
도 7 이 또한 암시하는 바와 같이, 섹션들 (30-B1, 30-B2, 30-B3, 30-B4, 30-B5, 30-B6) 은, 이 섹션들 중 일렬로 바로 잇달아 배치된 각각 2 개가 납땜선 (L) 에 대해 수직으로 뻗어 있는 틈새 (T) 에 의해 분리되어 있도록 (이 섹션들 사이의 전기적 절연을 달성하기 위해서) 일렬로 잇달아 납땜선 (L) 을 따라 배치되어 있다.
다른 한편으로는, 섹션들 (30-B1, 30-B2, 30-B3, 30-B4, 30-B5) 중 각각 2 개는 납땜선 (L) 을 향하는 쪽에서 섹션들 (30-A1, 30-A2, 30-A3, 30-A4, 30-A5) 중 하나를 통하여 서로 연결되어 있다. 도 7 에서 알아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섹션 (30-A1) 은 그의 두 단부 중 하나에서는 섹션 (30-B1) 과 연결되어 있고, 그의 두 단부 중 다른 것에서는 섹션 (30-B2) 과 연결되어 있다. 이 이외에, 섹션 (30-A2) 은 그의 두 단부 중 하나에서는 섹션 (30-B2) 과 연결되어 있고, 그의 두 단부 중 다른 것에서는 섹션 (30-B3) 과 연결되어 있다. 이 이외에, 섹션 (30-A3) 은 그의 두 단부 중 하나에서는 섹션 (30-B3) 과 연결되어 있고, 그의 두 단부 중 다른 것에서는 섹션 (30-B4) 과 연결되어 있다. 이 이외에, 섹션 (30-A4) 은 그의 두 단부 중 하나에서는 섹션 (30-B4) 과 연결되어 있고, 그의 두 단부 중 다른 것에서는 섹션 (30-B5) 과 연결되어 있다. 이 이외에, 섹션 (30-A5) 은 그의 두 단부 중 하나에서는 섹션 (30-B5) 과 연결되어 있고, 그의 두 단부 중 다른 것에서는 섹션 (30-B6) 과 연결되어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섹션들 (30-A1, 30-A2, 30-A3, 30-A4, 30-A5) 이 이 순서로 전기적으로 직렬로 접속되어 있도록 연결되어 있는 것이 보장되어 있다.
도 8 이 암시하는 바와 같이, 고체 (40) 는 (고체 (30) 처럼) 마찬가지로 서로 연결된 11개의 여러 가지 섹션들의 선형 배열체로 여겨질 수 있으며, 상기 섹션들은 납땜선 (L) 을 따라 일렬로 잇달아 배치되어 있고, 그리고 납땜선 (L) 과 관련된 서로 다른 간격들 (D1 또는 D2) (D2>D1 을 가진) 을 두고 여러 가지 중간 공간들 (Z1-Z10) 을 통해 뻗어 있다.
이하, 고체 (40) 의 섹션들로 이루어진 2 개의 여러 가지 그룹이 구별되어야 하며, 상기 그룹들은 납땜선 (L) 에 대한 그들의 간격 및 그들의 기능과 관련하여 서로 구별된다: 고체 (40) 의 섹션들의“제 1 그룹”은 5개의 섹션을 포함하며, 상기 섹션들은 도 8 에서 40-A1, 40-A2, 40-A3, 40-A4, 40-A5 로 표시되어 있다; 고체 (40) 의 섹션들의“제 2 그룹”은 6개의 섹션을 포함하며, 상기 섹션들은 도 8 에서 40-B1, 40-B2, 40-B3, 40-B4, 40-B5, 40-B6 으로 표시되어 있다.
이와 관련하여 고체 (40) 의 어느 영역들이 상기 언급된 섹션들 중 하나로 해석되어야 하는가를 표시하기 위해, 도 8 에서 섹션들 (40-A1, 40-A2, 40-A3, 40-A4, 40-A5) 은 파선으로 형성된 직사각형으로 둘러싸여 있다 (고체 (40) 의 나머지 섹션들과 섹션들 (40-A1, 40-A2, 40-A3, 40-A4, 40-A5) 의 경계를 정하기 위해). 이때, 도 8 에 도시되어 있는 직사각형들과 고체 (40) 사이의 교차선들은 각각 고체 (40) 의 각각의 섹션들 사이의 가상적인 경계들을 표시한다. 명확하게 하기 위해, 도 10 은 고체 (40) 의 도면을 나타내며, 상기 도면에서 섹션들 (40-A1, 40-A2, 40-A3, 40-A4, 40-A5) 은 섹션들 (40-B1, 40-B2, 40-B3, 40-B4, 40-B5, 40-B6) 로부터 분리되어 있고, 그리고 섹션들 (40-B1, 40-B2, 40-B3, 40-B4, 40-B5, 40-B6) 에 대해 납땜선 (L) 의 방향으로 옮겨져 있다 (도 8 안의 고체 (40) 의 도면과 비교하여).
도 8 및 도 10 에서 알아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미리 정해져 있는 방향에서 납땜선 (L) 을 따라 각각 교대로, 고체 (40) 의 섹션들의 제 1 그룹에 속하는 섹션과 고체 (40) 의 섹션들의 제 2 그룹에 속하는 섹션이 잇달아 뒤따르도록, 고체 (40) 의 여러 가지 섹션들은 납땜선 (L) 을 따라 일렬로 잇달아 배치되어 있다.
이때, 제 1 그룹에 속하는 섹션들 (40-A1, 40-A2, 40-A3, 40-A4, 40-A5) 은 납땜선 (L) 으로부터의 그들의 간격 및 그들의 기능과 관련하여 제 2 그룹에 속하는 섹션들 (40-B1, 40-B2, 40-B3, 40-B4, 40-B5, 40-B6) 과 구별된다.
고체 (40) 의 섹션들 (40-A1, 40-A2, 40-A3, 40-A4, 40-A5) 은 본 예에서 각각 장방형 형태를 가지며, 본 예에서 각각 납땜선과 관련된 간격 (D1) 을 두고 납땜선 (L) 에 대해 본질적으로 평행으로 뻗어 있다. 도 4 에 따른 유도 안테나 (20A) 에서, 고체 (40) 는 섹션들 (40-A1, 40-A2, 40-A3, 40-A4, 40-A5) 이 납땜평면 (LE) 에 놓여 있도록 배치되어 있다. 하기에서 분명해지듯이, 섹션들 (40-A1, 40-A2, 40-A3, 40-A4, 40-A5) 은, 교류 (I) 가 이 섹션들의 주변에서 또는 납땜선 (L) 에서 교번자기장들 (H2, H4, H6, H8, H10) 을 발생시키도록 교류 (I) 를 납땜선을 따라 안내하는 기능을 갖는다. 이 기능 때문에, 섹션들 (40-A1, 40-A2, 40-A3, 40-A4, 40-A5) 은 하기에서 고체 (40) 또는 전류경로 (21A) 의“교번자기장을 발생시키는”섹션들이라고도 불리어야 한다.
섹션 (40-A1) 은 중간 공간 (Z2) 안에 배치되어 있고, 이때 섹션 (40-A1) 의 두 단부는 중간 공간 (Z2) 을 넘어 멀리 뻗어 있으며, 따라서 리세스 (40-2) 는 상기 두 단부 중 하나를 통해 뻗어 있고, 리세스 (40-3) 는 상기 두 단부 중 다른 것을 통해 뻗어 있다.
섹션 (40-A2) 은 중간 공간 (Z4) 안에 배치되어 있고, 이때 섹션 (40-A2) 의 두 단부는 중간 공간 (Z4) 을 넘어 멀리 뻗어 있으며, 따라서 리세스 (40-4) 는 상기 두 단부 중 하나를 통해 뻗어 있고, 리세스 (40-5) 는 상기 두 단부 중 다른 것을 통해 뻗어 있다.
섹션 (40-A3) 은 중간 공간 (Z6) 안에 배치되어 있고, 이때 섹션 (40-A3) 의 두 단부는 중간 공간 (Z6) 을 넘어 멀리 뻗어 있으며, 따라서 리세스 (40-6) 는 상기 두 단부 중 하나를 통해 뻗어 있고, 리세스 (40-7) 는 상기 두 단부 중 다른 것을 통해 뻗어 있다.
섹션 (40-A4) 은 중간 공간 (Z8) 안에 배치되어 있고, 이때 섹션 (40-A4) 의 두 단부는 중간 공간 (Z8) 을 넘어 멀리 뻗어 있으며, 따라서 리세스 (40-8) 는 상기 두 단부 중 하나를 통해 뻗어 있고, 리세스 (40-9) 는 상기 두 단부 중 다른 것을 통해 뻗어 있다.
섹션 (40-A5) 은 중간 공간 (Z10) 안에 배치되어 있고, 이때 섹션 (40-A5) 의 두 단부는 중간 공간 (Z10) 을 넘어 멀리 뻗어 있으며, 따라서 리세스 (40-10) 는 상기 두 단부 중 하나를 통해 뻗어 있고, 리세스 (40-11) 는 상기 두 단부 중 다른 것을 통해 뻗어 있다.
도 8 이 또한 암시하는 바와 같이, 섹션들 (40-B1, 40-B2, 40-B3, 40-B4, 40-B5, 40-B6) 은, 이 섹션들 중 일렬로 바로 잇달아 배치된 각각 2 개가 납땜선 (L) 에 대해 수직으로 뻗어 있는 틈새 (T) 에 의해 분리되어 있도록 (이 섹션들 사이의 전기적 절연을 달성하기 위해) 일렬로 잇달아 납땜선 (L) 을 따라 배치되어 있다.
다른 한편으로는, 섹션들 (40-B1, 40-B2, 40-B3, 40-B4, 40-B5, 40-B6) 중 각각 2 개는 납땜선 (L) 을 향하는 쪽에서 섹션들 (40-A1, 40-A2, 40-A3, 40-A4, 40-A5) 중 하나를 통하여 서로 연결되어 있다. 도 8 에서 알아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섹션 (40-A1) 은 그의 두 단부 중 하나에서는 섹션 (40-B1) 과 연결되어 있고, 그의 두 단부 중 다른 것에서는 섹션 (40-B2) 과 연결되어 있다. 이 이외에, 섹션 (40-A2) 은 그의 두 단부 중 하나에서는 섹션 (40-B2) 과 연결되어 있고, 그의 두 단부 중 다른 것에서는 섹션 (40-B3) 과 연결되어 있다. 이 이외에, 섹션 (40-A3) 은 그의 두 단부 중 하나에서는 섹션 (40-B3) 과 연결되어 있고, 그의 두 단부 중 다른 것에서는 섹션 (40-B4) 과 연결되어 있다. 이 이외에, 섹션 (40-A4) 은 그의 두 단부 중 하나에서는 섹션 (40-B4) 과 연결되어 있고, 그의 두 단부 중 다른 것에서는 섹션 (40-B5) 과 연결되어 있다. 이 이외에, 섹션 (40-A5) 은 그의 두 단부 중 하나에서는 섹션 (40-B5) 과 연결되어 있고, 그의 두 단부 중 다른 것에서는 섹션 (40-B6) 과 연결되어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섹션들 (40-A1, 40-A2, 40-A3, 40-A4, 40-A5) 이 이 순서로 전기적으로 직렬로 접속되어 있도록 연결되어 있는 것이 보장되어 있다.
도 7 및 도 8 이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고체들 (30, 40) 은 납땜선 (L) 및 중간 공간들 (Z1-Z10) 과 관련된 그들의 배열과 관련하여 다음의 방식으로 상호 보완적이다:
고체 (30) 의 섹션들 (30-A1, 30-A2, 30-A3, 30-A4, 30-A5) 은 납땜선 (L) 을 따라 각각 잇달아 (이 순서로) 중간 공간들 (Z1, Z3, Z5, Z7, Z9) 중 하나 안에 각각 납땜선 (L) 에 대한 간격 (D1) 을 두고 배치되어 있고, 그리고 중간 공간들 (Z2, Z4, Z6, Z8, Z10) 을 통해 뻗어 있지 않으며, 반면 고체 (30) 의 섹션들 (30-B2, 30-B3, 30-B4, 30-B5, 30-B6) 은 중간 공간들 (Z2, Z4, Z6, Z8, Z10) 을 통해 각각 납땜선에 대한 간격 (D2) 을 두고 뻗어 있고, 이때 D2 는 각각 간격 D1 보다 크다; 다른 한편으로는, 섹션들 (40-A1, 40-A2, 40-A3, 40-A4, 40-A5) 은 납땜선 (L) 을 따라 각각 잇달아 (이 순서로) 중간 공간들 (Z2, Z4, Z6, Z8, Z10) 안에 각각 납땜선 (L) 에 대한 간격 (D1) 을 두고 배치되어 있고, 반면 고체 (40) 의 섹션들 (40-B1, 40-B2, 40-B3, 40-B4, 40-B5) 은 중간 공간들 (Z1, Z3, Z5, Z7, Z9) 을 통해 각각 납땜선에 대한 간격 (D2) 을 두고 뻗어 있으며, 이때 D2 는 각각 간격 D1 보다 크다.
본 예에서, 간격들 (D1, D2) 은, 차이 (D2-D1) 가 각각 납땜선 (L) 에 대해 수직인 그리고 납땜평면 (LE) 에 대해 평행인 각각의 중간 공간들 (Z1-Z10) 안의 고체 (30) 의 섹션들 (30-A1, 30-A2, 30-A3, 30-A4, 30-A5) 및 고체 (40) 의 섹션들 (40-A1, 40-A2, 40-A3, 40-A4, 40-A5) 의 연장부보다 각각 크도록 선택되어 있다 (도 9 및 도 10 에서, 각각 이러한 유형의 연장부 - 각각“HL”을 가진 - 는 중간 공간 (Z9) 를 위한 섹션 (30-A5) 의 경우에, 그리고 중간 공간 (Z10) 을 위한 섹션 (40-A5) 의 경우에 도시되어 있다). 이로 인해, 고체들 (30, 40) 은 도 4 에 따른 홀드다운 요소들 (P1-P11) 과 조합하여 배열될 수 있고, 상기 배열에 있어서 고체들 (30, 40) 은 서로 나란히 배치되어 있으며, 그리고 고체 (30) 의 섹션들 (30-A1, 30-A2, 30-A3, 30-A4, 30-A5) 과 고체 (40) 의 섹션들 (40-A1, 40-A2, 40-A3, 40-A4, 40-A5) 은 일렬로 잇달아 중간 공간들 (Z1-Z10) 중 각각 하나 안에 배치되어 있다 (도 7 및 도 8 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고체들 (30, 40) 의 이러한 유형의 배열은 도 4 에 따른 유도 안테나 (20A) 의 경우 실현되어 있다. 이는 특히 도 11 에서 알 수 있다. 도 11 은, 도 4 에 따른 배열에 있어서 납땜선 (L) 또는 태양전지 (1) 를 향해 있는 유도 안테나 (20A) 의 측면을 바라보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조망에 따른 도 4 에 따른 유도 안테나 (20A) 를 나타낸다. 도 11 에서, 한편으로는 홀드다운 요소들 (P1-P11) 을 위한 채널들 (K1-K11) 을 알아볼 수 있다 (홀드다운 요소들 (P1-P11) 은 도 11 에 도시되어 있지 않다). 이 이외에, 고체 (40) 의 섹션들 (40-A1, 40-A2, 40-A3, 40-A4, 40-A5) 에 대해 상대적인 고체 (30) 의 섹션들 (30-A1, 30-A2, 30-A3, 30-A4, 30-A5) 의 배열을 알아볼 수 있다. 알아볼 수 있는 바와 같이, 고체 (30) 의 교번자기장을 발생시키는 섹션들 (30-A1, 30-A2, 30-A3, 30-A4, 30-A5) 과 고체 (40) 의 교번자기장을 발생시키는 섹션들 (40-A1, 40-A2, 40-A3, 40-A4, 40-A5) 은 교대로 일렬로 잇달아 배치되어 있고, 따라서 고체 (30) 의 교번자기장을 발생시키는 섹션 다음에는 각각 고체 (40) 의 교번자기장을 발생시키는 섹션이 뒤따른다 (또는 정반대로).
도 11 은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의 유도 안테나 (20A) 를 나타내며,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 고체 (30) 의 섹션들 (30-A1, 30-A2, 30-A3, 30-A4, 30-A5) 과 섹션들 (40-A1, 40-A2, 40-A3, 40-A4, 40-A5) 은, 함께 일렬로 잇달아 하나의 직선 (G) 을 따라 - 도 11 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 뻗어 있도록 형성 및 배치되어 있다. 이는 납땜선 (L) 을 따른 교번자기장들 (H1-H10) 의 균일성과 관련하여 바람직하다.
교번자기장들 (H1-H10) 의 균일성과 관련하여, 고체들 (30, 40) 의“교번자기장을 발생시키는”섹션들 (30-A1, 30-A2, 30-A3, 30-A4, 30-A5, 40-A1, 40-A2, 40-A3, 40-A4, 40-A5) 이 각각 장방형 섹션을 포함하는 것이 중요하고, 상기 장방형 섹션은 직선으로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일정한 횡단면을 갖고 납땜평면 (LE) 에서 채널들 (K1-K11) 중 각각 2 개 사이에 뻗어 있다. 이하, 이 장방형의 직선 섹션들은 LA1, LA2, LA3, LA4, LA5, LA6, LA7, LA8, LA9, LA10 으로 표시되며, 도 8 및 도 9 에 표시되어 있다 (납땜선 (L) 의 방향으로의 상기 각각의 장방형 섹션의 연장부를 표시하는 구부러진 괄호를 이용해).
도 11 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유도 안테나 (20A) 의 경우 장방형 섹션들 (LA1-LA10) 은, 각각 직선 (G) 을 따라 뻗어 있도록 바람직하게는 일렬로 잇달아 배치되어 있을 수 있다. 직선 (G) 은 바람직하게는 납땜평면 (LE) 에서 납땜선 (L) 에 대해 본질적으로 평행으로 뻗어 있다. 이는 납땜선 (L) 을 따른 교번자기장들 (H1-H10) 의 균일성과 관련하여 바람직하다.
이하, 도 12 및 도 13 과 관련하여, 고정수단 (100) 들 및 단락요소들 (101, 102, 103) 의 기능들이 설명된다. 도 12 는 납땜선 (L) 에 대한 간격 (D1) 을 두고, 납땜선 (L) 을 따라 평행으로 정렬된, 도 4 에 따른 유도 안테나 (20A) 의 측면도를 나타낸다 (D1 은 도 7 및 도 8 에 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납땜선 (L) 으로부터의 고체들 (30, 40) 의 간격을 나타낸다). 도 13 은 도 12 에 표시되어 있는 여러 가지 절단평면들 (A-A, B-B, C-C, D-D) 을 따른 유도 안테나 (20A) 의 4 개의 횡단면을 나타낸다. 이 절단평면들은 각각 납땜선 (L) 에 대해 수직으로 향해 있고, 그리고 유도 안테나 (20A) 와 관련하여 여러 가지 위치에서 납땜선 (L) 을 따라 유도 안테나 (20A) 의 제 1 단부 (20A') 와 제 2 단부 (20A'')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도 13 에 따른 절단평면들 (B-B, C-C, D-D) 을 따른 유도 안테나 (20A) 의 횡단면들이 암시하는 바와 같이, 고정수단 (100) 들은 (본 예에서는 나사들) 히트싱크 (60) 와 히트싱크 (70) 사이의 강성 연결을 만들어내고, 그리고 이때 히트싱크들 (60, 70), 고체들 (30, 40) 및 절연바디들 (80, 90) 안의 보어들을 (즉, 히트싱크 (6) 안의 보어 (62) 들, 히트싱크 (70) 안의 보어 (72) 들, 고체 (30) 안의 보어 (32) 들, 고체 (40) 안의 보어 (42) 들, 절연바디 (80) 안의 보어 (82) 들, 절연바디 (90) 안의 보어 (92) 들) 관통해 안내되어 있으며, 따라서 고체들 (30, 40) 과 절연바디들 (80, 90) 은 이러한 방식으로 히트싱크들 (60, 70) 과 관련하여 안정적인 위치에 유지되어 있다. 도 5 내지 도 10 에서 알 수 있듯이, 보어들 (32, 42) 은 고체 (30) 의 섹션들 (30-B1, 30-B2, 30-B3, 30-B4, 30-B5, 30-B6) 안에 또는 고체 (40) 의 섹션들 (40-B1, 40-B2, 40-B3, 40-B4, 40-B5, 40-B6) 안에 배치되어 있다. 이에 따르면, 특히, 고체 (30) 의 섹션들 (30-B1, 30-B2, 30-B3, 30-B4, 30-B5, 30-B6) 또는 고체 (40) 의 섹션들 (40-B1, 40-B2, 40-B3, 40-B4, 40-B5, 40-B6) 은 고체들 (30, 40) 의 교번자기장을 발생시키는 섹션들 (30-A1, 30-A2, 30-A3, 30-A4, 30-A5, 40-A1, 40-A2, 40-A3, 40-A4, 40-A5) 을 유도 안테나 (20A) 에서의 미리 정해져 있는 위치에 유지시키는 기능을 갖는다.
도 4 에 따른 유도 안테나 (20A) 의 경우, 히트싱크들 (60, 70) 이 전기 전도성 재료로 구성되어 있다고 가정되어 있다. 고정수단 (100) 들이 고체들 중 하나 (30 또는 40) 와 히트싱크들 중 하나 (60 또는 70) 사이의 전기적 단락을 초래하는 것을 막기 위해, 고정수단 (100) 들은 바람직하게는 전기적으로 절연시키는 재료로 구성된다.
도 5 및 도 12 와 조합하여 도 13 에서 알아볼 수 있는 바와 같이, 고체 (30) 가 히트싱크 (60) 에 대해 유도 안테나 (20A) 의 두 단부 (20A', 20A'') 사이의 전체 영역에서 절연바디 (90) 를 이용해 전기적으로 절연되어 있도록, 고체 (30) 와 히트싱크 (60) 사이에는 절연바디 (90) 들 중 하나가 배치되어 있다. 이 이외에, 고체 (40) 가 히트싱크 (70) 에 대해 유도 안테나 (20A) 의 두 단부 (20A', 20A'') 사이의 전체 영역에서 절연바디 (90) 를 이용해 전기적으로 절연되어 있도록, 고체 (40) 와 히트싱크 (70) 사이에는 절연바디 (90) 들 중 하나가 배치되어 있다. 이 이외에, 고체 (30) 가 고체 (40) 에 대해 유도 안테나 (20A) 의 두 단부 (20A', 20A'') 사이의 전체 영역에서 절연바디 (80) 를 이용해 전기적으로 절연되어 있도록, 고체 (30) 와 고체 (40) 사이에는 절연바디 (80) 가 배치되어 있다.
도 5 및 도 12 와 조합하여 도 13 이 암시하는 바와 같이, 단락요소들 (101, 103) 은 (본 예에서는 예컨대 전기 전도성 재료로 만들어진 나사들) 유도 안테나 (20A) 의 단부 (20A') 의 근처에서 한편으로는 고체 (30) 와 히트싱크 (60) 사이의 전기적 연결을 만들어내고, 다른 한편으로는 고체 (40) 와 히트싱크 (70) 사이의 전기적 연결을 만들어내는 기능을 갖는다. 도 13 에서 알아볼 수 있듯이, 절단평면 (A-A) 안의 단락요소들 (101, 103) 은, 단락요소 (101) 는 히트싱크 (60) 와 고체 (30) 의 섹션 (30-B1) 사이의 전기적 단락을 만들어내고, 단락요소 (103) 는 히트싱크 (70) 와 고체 (40) 의 섹션 (40-B1) 사이의 전기적 단락을 만들어내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를 위해, 단락요소 (101) 는, 히트싱크 (60) 에 대한 그리고 고체 (30) 에 대한 접촉하에 고체 (30) 의 섹션 (30-B1) 안의 보어 (33) 를 통해서 뿐만 아니라 히트싱크 (60) 안의 보어 (63) 를 통해 뻗어 있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 배열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히트싱크 (70) 또는 절연바디 (90) 또는 고체 (40) 는 보어 (73 또는 93 또는 43) 를 구비하며, 상기 보어들을 관통해 단락요소 (101) 가 안내되어 있고, 이때 보어들 (93 또는 43) 은 도 5 에는 참조부호들로 표시되어 있으나, 도 13 에는 표시되어 있지 않다). 상응하여, 단락요소 (103) 는, 히트싱크 (70) 에 대한 그리고 고체 (40) 에 대한 접촉하에 고체 (40) 의 섹션 (40-B1) 안의 보어 (45) 를 통해서 뿐만 아니라 히트싱크 (70) 안의 보어 (75) 를 통해 뻗어 있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 배열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절연바디 (90) 는 보어 (95) 를 구비하며, 상기 보어를 관통해 단락요소 (103) 가 안내되어 있고, 이때 보어들 (45, 75, 95) 은 도 5 에는 참조부호들로 표시되어 있으나, 도 13 에는 표시되어 있지 않다).
도 4 와 관련하여, 유도 안테나 (20A) 의 경우 전류 커플링인 요소 (110) 는 히트싱크 (60) 와 연결되어 있고, 전류 커플링아웃 요소 (112) 는 히트싱크 (70) 와 연결되어 있다는 것을 참조하도록 한다. 그 결과, 단락요소 (101) 는, 도 12 및 도 1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치되어 있는 경우, 전류 커플링인 요소 (110) 와 고체 (30) 의 섹션 (30-B1) 사이의 전기적 연결을 실현시킨다. 상응하여, 단락요소 (103) 는, 도 12 및 도 1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치되어 있는 경우, 전류 커플링아웃 요소 (112) 와 고체 (40) 의 섹션 (40-B1) 사이의 전기적 연결을 실현시킨다.
도 5 및 도 12 와 조합하여 도 13 과 관련하여, 도 5 에 따른 각각의 단락요소 (102) 는 (본 경우, 예컨대 전기 전도성 재료로 만들어진 나사), 유도 안테나 (20A) 의 단부 (20A'') 의 근처에서 고체 (30) 와 고체 (40) 사이의 전기적 연결을 만들어내는 기능을 갖는다는 것을 참조하도록 한다. 도 4 에 도시되어 있는 유도 안테나 (20A) 의 실시형태의 경우, 단락요소 (102) 를 이용해 유도 안테나 (20A) 의 단부 (20A'') 로부터의 다수의 여러 가지 간격을 두고 고체 (30) 와 고체 (40) 사이의 이러한 유형의 전기적 연결을 실현시키는 가능성이 존재한다. 본 경우, 예컨대, 고체 (30) 의 섹션들 (30-B2, 30-B3, 30-B4, 30-B5, 30-B6) 중 각각 하나를 고체 (40) 의 섹션들 (40-B2, 40-B3, 40-B4, 40-B5, 40-B6) 중 하나와 단락요소 (102) 를 이용해 연결시키는 가능성이 제공되어 있다. 이 가능성은 본 경우 고체 (30) 는 섹션들 (30-B2, 30-B3, 30-B4, 30-B5, 30-B6) 각각 안에 각각 2 개의 보어 (34) 를 구비하고, 그리고 고체 (40) 는 섹션들 (40-B2, 40-B3, 40-B4, 40-B5, 40-B6) 각각 안에 각각 2 개의 보어 (44) 를 구비함으로써 실현되어 있다. 이때, 보어들 (34, 44) 은, 각각 단락요소 (102) 가 고체 (30) 와의 접촉하에 보어 (34) 들 중 각각 하나를 통해 뻗어 있고 그리고 추가적으로 고체 (40) 와의 접촉하에 보어 (44) 들 중 각각 하나를 통해 뻗어 있을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도 5 및 도 13 과 관련하여, 절연바디들 (80 또는 90) 은 보어들 (84 또는 94) 을 구비하며, 단락요소 (102) 는, 상기 단락요소가 보어들 중 하나 (34 또는 44) 안에 안착하면 전술한 보어들을 통해 뻗어 있다는 것을 참조하도록 한다. 도 12 가 나타내는 바와 같이, 히트싱크 (70) 는 다수의 보어 (74) 를 포함하며, 상기 보어들은, 고체 (30) 안의 각각의 보어 (34) 들과 고체 (40) 안의 각각의 보어 (44) 들이 보어 (74) 들 중 각각 하나를 통해 접근 가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도 12 및 도 13 에 따른 본 예에서, 유도 안테나 (20A) 는 절단평면 (C-C) 에서 뿐만 아니라 절단평면 (D-D) 에서도 각각 단락요소 (102) 를 구비한다. 절단평면 (D-D) 에 배치되어 있는 단락요소 (102) 는 고체 (30) 의 섹션 (30-B6) 과 고체 (40) 의 섹션 (40-B6) 사이의 전기적 단락을 만들어낸다. 절단평면 (C-C) 에 배치되어 있는 단락요소 (102) 는 고체 (30) 의 섹션 (30-B5) 과 고체 (40) 의 섹션 (40-B5) 사이의 전기적 단락을 만들어낸다.
도 14 및 도 15 는 2 개의 여러 가지 변형을 위한, 도 4 및 도 12 에 따른 유도 안테나 (20A) 의 전류경로 (21A) 의 개략적인 도면들을 나타내며, 상기 변형들은, 단락요소 (102) 가 유도 안테나 (20A) 의 단부 (20A'') 로부터의 서로 다른 간격들을 두고 배치되어 있음으로써 서로 구별된다. 이때 각각, 교류 (I) 를 위한 발전기 (9) 는 - 도 4 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 전류 커플링인 요소 (110) 또는 전류 커플링아웃 요소 (112) 에 연결되어 있다고 가정되어 있으며, 따라서 발전기 (9) 에 의해 발생된 교류 (I) 는 전류 커플링인 요소 (110) 와 전류 커플링아웃 요소 (112) 사이의 전류경로 (21A) 에서 흐를 수 있고, 그리고 이때 납땜선 (L) 에서 교번자기장 또는 교번자기장들을 발생시킨다.
도 14 는, 고체 (30) 의 섹션 (30-B6) 이 고체 (40) 의 섹션 (40-B6) 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를 위한, 납땜선 (L) 에 대해 상대적인 유도 안테나 (20A) 의 전류경로 (21A) 의 배열을 나타낸다. 도 14 에서, V1, V2, V3 으로 표시된 파선들은 각각 발전기 (9) 와 고체들 (30 또는 40) 사이에 또는 고체 (30) 와 고체 (40) 사이에 존재하는 전기적 연결을 나타낸다. 전기적 연결 (V1) 은 발전기 (9) 와 고체 (30) 의 섹션 (30-B1) 사이의 이미 언급된 연결을 나타낸다 (예컨대, 고체 (30) 의 섹션 (30-B1) 안의 도 14 에 도시되어 있는 보어 (33) 안에 배치되어 있는, 그리고 섹션 (30-B1) 과 히트싱크 (60) 또는 전류 커플링인 요소 (110) 사이의 전기적 연결을 담당하는 단락요소 (101) 를 이용해 실현됨). 상응하여, 전기적 연결 (V2) 은 고체 (30) 의 섹션 (30-B6) 과 고체 (40) 의 섹션 (40-B6) 사이의 이미 언급된 연결을 나타낸다. 이 연결 (V2) 은 - 도 12 및 도 13 과 관련하여 기술된 바와 같이 - 단락요소 (102) 를 이용해 실현되어 있고, 상기 단락요소는 고체 (30) 의 섹션 (30-B6) 의 보어 (34) 안에서 뿐만 아니라 고체 (40) 의 섹션 (40-B6) 의 보어 (44) 안에서도 안착한다. 상응하여, 전기적 연결 (V3) 은 발전기 (9) 와 고체 (40) 의 섹션 (40-B1) 사이의 이미 언급된 연결을 나타낸다 (예컨대, 고체 (40) 의 섹션 (40-B1) 안의 도 14 에 도시되어 있는 보어 (45) 안에 배치되어 있는, 그리고 섹션 (40-B1) 과 히트싱크 (70) 또는 전류 커플링아웃 요소 (112) 사이의 전기적 연결을 담당하는 단락요소 (103) 를 이용해 실현됨).
도 14 에는, - 편의상 - 고체 (30) 의 배열과 고체 (40) 의 배열이 서로 포개어져 배치된 - 각각 납땜선 (L) 에 대해 상대적인 - 2 개의 도면으로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이유로 인해, 도 14 는 그의 윗 부분에는 측면에서 바라본 (도 4 에 따른 납땜평면 (LE) 에 대해 수직인 시선 방향으로, 도 7 안의 고체 (30) 의 도면에 상응하여) 도체 (30) 의 도면을 포함하고, 그의 아랫 부분에는 측면에서 바라본 (도 4 에 따른 납땜평면 (LE) 에 대해 수직인 시선 방향으로, 도 8 안의 고체 (40) 의 도면에 상응하여) 고체 (40) 의 도면을 포함한다.
도 14 에 따르면, 납땜선 (L) 및 중간 공간들 (Z1-Z10) 과 관련하여 고체 (30) 는, 섹션들 (30-A1, 30-A2, 30-A3, 30-A4, 30-A5) 이 각각 중간 공간들 (Z1, Z3, Z5, Z7, Z9) 중 하나 안에서 뻗어 있도록 배치되어 있다 (각각 납땜선 (L) 에 대해 본질적으로 평행으로, 도 7 안의 고체 (30) 의 도면에 상응하여). 상응하여, 도 14 에 따르면, 납땜선 (L) 및 중간 공간들 (Z1-Z10) 과 관련하여 고체 (40) 는, 섹션들 (40-A1, 40-A2, 40-A3, 40-A4, 40-5) 이 각각 중간 공간들 (Z2, Z4, Z6, Z8, Z10) 중 하나 안에서 뻗어 있도록 배치되어 있다 (각각 납땜선 (L) 에 대해 본질적으로 평행으로, 도 8 안의 고체 (40) 의 도면에 상응하여).
이 이외에, 도 14 에는, 10개의 여러 가지 섹션 (L1, L2, L3, L4, L5, L6, L7, L8, L9, L10) 으로의 납땜선 (L) 의 분할이 도시되어 있으며, 상기 섹션들은 상기 언급된 순서로 일렬로 잇달아 배치되어 있고, 이때 섹션들 (L1-L10) 각각은 중간 공간들 (Z1, Z2, Z3, Z4, Z5, Z6, Z7, Z8, Z9, Z10) 중 정확히 하나에 걸쳐 뻗어 있다 (이에 상응하여, 섹션 (Li) 은 중간 공간 (Zi) 에 걸쳐 뻗어 있고, 이때 i=1-10 이다).
도 14 에 따르면, 전류경로 (20A) 는 이 전류경로의 2 개의 섹션의 직렬접속으로 해석될 수 있으며, 상기 섹션들은 도 14 에 21A-1 과 21A-2 로 표시되어 있다:“섹션 21A-1”은 고체 (30) 안에 형성되어 있는 전류경로 (21A) 의 섹션을 나타낸다; 상응하여,“섹션 21A-2”은 고체 (40) 안에 형성되어 있는 전류경로 (21A) 의 섹션을 나타낸다.
이때, 고체 (30) 의 섹션들 (30-B1, 30-A1, 30-B2, 30-A2, 30-B3, 30-A3, 30-B4, 30-A4, 30-B5, 30-A5, 30-B6) 은 각각 전류경로 (21A) 의 섹션 (21A-1) 의“섹션들”을 형성하며, 상기 섹션들은 그들의 편에서 (상기 언급된 순서로) 전기적으로 직렬로 접속되어 있다: 이미 언급한 바와 같이, 고체 (30) 의 섹션들 (30-A1, 30-A2, 30-A3, 30-A4, 30-A5) 의 단부들은, 섹션들 (30-A1, 30-A2, 30-A3, 30-A4, 30-A5) 이 각각 전기적으로 직렬로 접속되어 있도록 고체 (30) 의 섹션들 (30-B2, 30-B3, 30-B4, 30-B5) 중 각각 하나를 통하여 연결되어 있다 (도 7). 상응하여, 고체 (40) 의 섹션들 (40-B1, 40-A1, 40-B2, 40-A2, 40-B3, 40-A3, 40-B4, 40-A4, 40-B5, 40-A5, 40-B6) 은 각각 전류경로 (21A) 의 섹션 (21A-1) 의“섹션들”을 형성하며, 상기 섹션들은 그들의 편에서 (상기 언급된 순서로) 전기적으로 직렬로 접속되어 있다: 이미 언급한 바와 같이, 고체 (40) 의 섹션들 (40-A1, 40-A2, 40-A3, 40-A4, 40-A5) 의 단부들은, 섹션들 (40-A1, 40-A2, 40-A3, 40-A4, 40-A5) 이 각각 전기적으로 직렬로 접속되어 있도록 고체 (40) 의 섹션들 (40-B2, 40-B3, 40-B4, 40-B5) 중 각각 하나를 통하여 연결되어 있다 (도 8).
고체 (30) 의 섹션 (30-B1) 과 고체 (40) 의 섹션 (40-B1) 이 발전기 (9) 와 연결되어 있고 (도 14 안의 전기적 연결들 (V1 또는 V2) 을 통하여), 그리고 고체 (30) 의 섹션 (30-B6) 이 고체 (40) 의 섹션 (40-B6) 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음으로써 (도 14 안의 연결 (V2) 에 따라), 전류경로 (21A) 의 섹션들 (21A-1, 21A-2) 은, 교류 (I) 가 섹션 (21A-1) 에서 뿐만 아니라 섹션 (21-A2) 에서도 납땜선 (L) 을 따라 각각 유도 안테나 (20A) 의 단부 (20A') 와 단부 (20A'') 사이에서 흐를 수 있도록, 하지만 전류경로 (21A) 의 섹션 (21A-1) 안의 교류 (I) 가 전류경로 (21A) 의 섹션 (21A-2) 안의 교류 (I) 에 대해 역위상에 있도록 전기적 연결 (V2) 을 통하여 직렬로 접속되어 있다.
이 실태를 명확하게 하기 위해, 도 14 에 각각 참조부호 (I) 로 표시되어 있는 화살표들은 특정 시점을 위한, 발전기 (9) 에 의해 발생된 교류 (I) 의 현재의 전류흐름 방향을 표시하며, 이때 도 14 에 따른 도면 안의 교류 (I) 의 현재의 전류흐름 방향은 도 4 에 따른 도면 안의 교류 (I) 의 현재의 전류흐름 방향과 일치한다. 교류 (I) 는, 알아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전기적 연결 (V1) 과 전기적 연결 (V2) 사이에서는 각각 전류경로 (21A) 의 섹션 (21A-1) 을 통해 흐르고, 그리고 전기적 연결 (V2) 과 전기적 연결 (V3) 사이에서는 각각 전류경로 (21A) 의 섹션 (21A-2) 을 통해 흐른다. 이 이외에, 참조부호 (I1) 로 표시되어 있는 화살표들은 전류경로 (21A) 의 섹션 (21A-1) 안의 교류 (I) 의 현재의 전류흐름 방향을 나타내며, 참조부호 (I2) 로 표시되어 있는 화살표들은 전류경로 (21A) 의 섹션 (21A-2) 안의 교류 (I) 의 현재의 전류흐름 방향을 나타낸다 (동일한 특정 시점을 위해).
도 14 에서 알아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전류경로 (21A) 의 섹션 (21A-1) 은, 고체 (30) 의 섹션들 (30-A1, 30-A2, 30-A3, 30-A4, 30-A5) 안의 교류 (I) 가 각각 납땜선 (L) 에 대해 본질적으로 평행으로 그리고 각각 동일한 방향으로 흐르도록 섹션들 (L1-L10) 을 따라 또는 중간 공간들 (Z1-Z10) 을 통해 뻗어 있다 (납땜선 (L) 을 따라 섹션 (L1) 으로부터 섹션 (L10) 방향으로 가리키는 도 14 에 표시되어 있는 화살표 (I1) 들에 상응하여). 이 이외에, 전류경로 (21A) 의 섹션 (21A-2) 은, 고체 (40) 의 섹션들 (40-A1, 40-A2, 40-A3, 40-A4, 40-A5) 안의 교류 (I) 가 각각 납땜선 (L) 에 대해 본질적으로 평행으로 그리고 각각 동일한 방향으로 흐르도록 섹션들 (L1-L10) 을 따라 또는 중간 공간들 (Z1-Z10) 을 통해 뻗어 있다 (납땜선 (L) 을 따라 섹션 (L10) 으로부터 섹션 (L1) 방향으로 가리키는 도 14 에 표시되어 있는 화살표 (I2) 들에 상응하여). 도 14 에서 알아볼 수 있는 바와 같이, 고체 (30) 의 섹션들 (30-A1, 30-A2, 30-A3, 30-A4, 30-A5) 안의 교류 (I) 의 현재의 전류흐름 방향은 (도 14 안의 전류흐름 방향 (I1) 에 상응하여) 각각 고체 (40) 의 섹션들 (40-A1, 40-A2, 40-A3, 40-A4, 40-A5) 안의 교류 (I) 의 전류흐름 방향과 반대이다 (도 14 안의 전류흐름 방향 (I2) 에 상응하여). 이에 상응하여, 고체 (30) 의 섹션들 (30-A1, 30-A2, 30-A3, 30-A4, 30-A5) 안의 교류 (I) 는 각각 동위상에 있고 그리고 고체 (30) 의 섹션들 (30-A1, 30-A2, 30-A3, 30-A4, 30-A5) 안에서, 각각 고체 (40) 의 섹션들 (40-A1, 40-A2, 40-A3, 40-A4, 40-A5) 안의 교류 (I) 에 대해 역위상에 있다.
도 14 가 암시하는 바와 같이, 중간 공간들 (Z1-Z10) 각각을 통해 전류경로 (21A) 의 섹션 (21A-1) 의 일부 뿐만 아니라 전류경로 (21A) 의 섹션 (21A-2) 의 일부도 각각 납땜선 (L) 에 대해 본질적으로 평행으로 뻗어 있다. 이때, (이미 도 7 및 도 8 과 관련하여 설명된 바와 같이) 중간 공간들 (Z1, Z3, Z5, Z7, Z9) 각각 안에서 섹션 (21A-1) 은, 중간 공간들 (Z1, Z3, Z5, Z7, Z9) 중 하나를 통해 뻗어 있는 전류경로 (21A) 의 섹션 (21A-1) 의 각각의 부분이 (즉, 고체 (30) 의 섹션들 (30-A1, 30-A2, 30-A3, 30-A4, 30-A5) 중 하나) 전류경로 (21A) 의 섹션 (21A-2) 의 상응하는 부분 (즉, 고체 (40) 의 섹션들 (40-B1, 40-B2, 40-B3, 40-B4, 40-B5) 중 하나) 보다 납땜선 (L) 에 대한 보다 작은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도록 섹션 (21A-2) 에 대해 상대적으로 뻗어 있다.
다른 한편으로는, 중간 공간들 (Z2, Z4, Z6, Z8, Z10) 안에서 섹션 (21A-1) 은, 중간 공간들 (Z2, Z4, Z6, Z8, Z10) 중 하나를 통해 뻗어 있는 전류경로 (21A) 의 섹션 (21A-2) 이 (즉, 고체 (40) 의 섹션들 (40-A1, 40-A2, 40-A3, 40-A4, 40-A5) 중 하나) 전류경로 (21A) 의 섹션 (21A-1) 의 상응하는 부분 (즉, 고체 (30) 의 섹션들 (30-B2, 30-B3, 30-B4, 30-B5, 30-B6)) 보다 납땜선 (L) 에 대한 보다 작은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도록 섹션 (21A-2) 에 대해 상대적으로 뻗어 있다.
고체들 (30, 40) 의 각각의 섹션들의 이 배열은 교류에 의해 발생된 교번자기장들 (H1-H10) 과 관련하여 (도 4 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다음과 같은 중요성을 갖는다. 도 14 에서 알아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예에서 섹션들 (30-A1, 40-A1, 30-A2, 40-A2, 30-A3, 40-A3, 30-A4, 40-A4, 30-A5, 40-A5) 은 이 순서로 일렬로 잇달아 납땜선 (L) 을 따라 각각 납땜선 (L) 에 대한 간격 (D1) 을 두고 뻗어 있으며, 그리고 이때 공기 틈새 (LS) 에 의해 상기 납땜선으로부터 분리되어 있다. 간격 (D1) 과 비교하여, 납땜선 (L) 으로부터의 고체 (40) 의 섹션들 (40-B1, 40-B2, 40-B3, 40-B4, 40-B5) 및 고체 (30) 의 섹션들 (30-B2, 30-B3, 30-B4, 30-B5, 30-B6) 의 각각의 간격들은, 고체 (40) 의 섹션들 (40-B1, 40-B2, 30-B3, 40-B4, 40-B5) 및 섹션들 (30-B2, 30-B3, 30-B4, 30-B5, 30-B6) 안에서 흐르는 교류 (I) 가, 교류 (I) 가 납땜선 (L) 에서 발생시키는 교번자기장들 (H1-H10) 에 전혀 기여하지 않거나 또는 비교적 적은 (무시해도 될 정도의) 기여를 하도록 크기가 선택되어 있다. 이에 상응하여, 고체 (30) 의 섹션들 (30-A1, 30-A2, 30-A3, 30-A4, 30-A5) 을 통해 흐르는 교류 (I) 는 교번자기장들 (H1, H3, H5, H7, H9) 을 발생시키고, 상기 교번자기장들은 중간 공간들 (Z1, Z3, Z5, Z7, Z9) 안에 또는 섹션들 (L1, L3, L5, L7, L9) 안에 존재한다. 상응하여, 고체 (40) 의 섹션들 (40-A1, 40-A2, 40-A3, 40-A4, 40-A5) 을 통해 흐르는 교류 (I) 는 교번자기장들 (H2, H4, H6, H8, H10) 을 발생시키고, 상기 교번자기장들은 중간 공간들 (Z2, Z4, Z6, Z8, Z10) 안에 또는 섹션들 (L2, L4, L6, L8, L10) 안에 존재한다. 고체 (30) 의 섹션들 (30-A1, 30-A2, 30-A3, 30-A4, 30-A5) 안의 교류 (I) 는 (언급한 바와 같이) 고체 (40) 의 섹션들 (40-A1, 40-A2, 40-A3, 40-A4, 40-A5) 안의 교류 (I) 에 대해 역위상에 있기 때문에, 교번자기장들 (H1, H3, H5, H7, H9) 이 각각 교번자기장들 (H2, H4, H6, H8, H10) 에 대해 역위상에 있는 것이 각각 보장되어 있다.
이하,“유도 안테나의 유효 길이”라는 개념은, 그 안에 상기 각각의 유도 안테나에 의해 발생된 교번자기장들이 존재하는 납땜선의 섹션의 길이를 표시한다. 도 14 에서,“Leff”라는 표시를 가진 화살표는 전류경로 (21A) 의 본 구현형태를 위한 유도 안테나 (20A) 의 유효 길이를 나타낸다. 유도 안테나 (20A) 의 경우 단락요소 (102) 가 유도 안테나 (20A) 의 단부 (20A'') 로부터 여러 가지 간격을 두고 배치될 수 있음으로써, 유도 안테나 (20A) 의 유효 길이를 간단한 방식으로 변경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관련하여서는, 도 15 의 하기의 설명이 참조된다). 이“유효 길이”는 각각 적합하게 선택될 수 있고, 그리고 경우에 따라서는 전류 수집 바아 (3) 의 길이 및 상기 전류 수집 바아에 연결되어야 하는 리본 (5) 의 길이 또는 각각 만들어져야 하는 납땜연결의 길이에 따라 맞춰질 수 있다.
도 15 는 납땜선 (L) 에 대해 상대적인 유도 안테나 (20A) 의 전류경로 (21A) 의 배열을 나타내며, 이때 도 15 에 따른 배열은, 도 15 에 도시되어 있는 전류경로 (21A) 의 배열의 경우에는 고체 (30) 의 섹션 (30-B5) 이 고체 (40) 의 섹션 (40-B4) 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는 점에 의해서만 도 14 에 도시되어 있는 전류경로 (21A) 의 배열과 구별된다. 도 15 에서, V1 또는 V3 로 표시된 파선들은 각각 전기적 연결들을 나타내며, 상기 전기적 연결들은 발전기 (9) 와 고체 (30) 의 섹션 (30-B1) 또는 고체 (40) 의 섹션 (40-B1) 사이에 존재한다 (도 14 안의 연결들 (V1 또는 V3) 에 상응하여). 상응하여, V2 로 표시된 파선은 고체 (30) 의 섹션 (30-B5) 과 고체 (40) 의 섹션 (40-B4) 사이의 상기 언급된 전기적 연결을 나타낸다.
도 15 에서, 21A-1 은 고체 (30) 안에 형성되어 있는 전류경로 (21A) 의 섹션 (21A-1) 을 표시한다; 상응하여, 21A-2 는 고체 (40) 안에 형성되어 있는 전류경로 (21A) 의 섹션 (21A-2) 을 표시한다. 알아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전류경로 (21A) 의 섹션 (21A-1) 은 고체 (30) 의 섹션들 (30-B1, 30-A1, 30-B2, 30-A2, 30-B3, 30-A3, 30-B4, 30-A4, 30-B5) 을 포함하고, 전류경로 (21A) 의 섹션 (21A-2) 은 고체 (40) 의 섹션들 (40-B1, 40-A1, 40-B2, 40-A2, 40-B3, 40-A3, 40-B4) 을 포함한다. 이때, 전류경로 (21A) 의 섹션들 (21A-1, 21A-2) 은, 발전기 (9) 에 의해 발생된 교류 (I) 가 고체 (30) 의 섹션들 (30-A1, 30-A2, 30-A3, 30-A4) 및 고체 (40) 의 섹션들 (40-A1, 40-A2, 40-A3) 을 통해 흐르도록 연결들 (V1, V2, V3) 을 이용해 직렬로 접속되어 있다. 도 15 에서, 참조부호 (I1) 를 가진 화살표들은 전류경로 (21A) 의 섹션 (21A-1) 안의 교류 (I) 의 현재의 전류흐름 방향을 표시하며, 참조부호 (I2) 를 가진 화살표들은 전류경로 (21A) 의 섹션 (21A-2) 안의 교류 (I) 의 현재의 전류흐름 방향을 표시한다 (각각 특정 시점을 위해). 알아볼 수 있는 바와 같이, 고체 (30) 의 섹션들 (30-A1, 30-A2, 30-A3, 30-A4) 안의 교류 (I) 는 고체 (40) 의 섹션들 (40-A1, 40-A2, 40-A3) 안의 교류 (I) 에 대해 역위상에 있다.
본 경우, 교류 (I) 는 고체 (30) 의 섹션 (30-A5) 및 고체 (40) 의 섹션 (40-A4, 40-A5) 을 통해 흐를 수 없다. 이에 상응하여, 도 15 에 따른 전류경로 (21A) 는, 교류 (I) 가 적어도 중간 공간들 (Z1, Z2, Z3, Z4, Z5, Z6, Z7) 을 통해 뻗어 있는 납땜선 (L) 의 섹션 안에서 교번자기장들을 발생시키도록 교류 (I) 를 납땜선 (L) 을 따라 안내하기 위해 형성되어 있다 (도 4 에 따른 교번자기장들 (H1-H7) 에 상응하여). 도 15 에서,“Leff”라는 표시를 가진 화살표는 도 15 에 따라 형성된 전류경로 (21A) 를 위한 유도 안테나 (20A) 의 상응하는 유효 길이를 나타낸다. 알아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도 15 에 따라 형성된 전류경로 (21A) 를 위한 유도 안테나 (20A) 의 유효 길이 (Leff) 는 도 14 에 따라 형성된 전류경로 (21A) 를 위한 것보다 짧다.
도 16 은 도 11 에 상응하는 도면으로, 도 11 에 따른 유도 안테나 (20A) 를 나타낸다. 도 16 의 경우, 유도 안테나 (20A) 의 전류경로 (21A) 는 도 14 에 도시되어 있는 전류경로 (21A) 의 변형에 상응하여 형성되어 있다고 가정되어 있다. 도 16 에는, 각각 참조부호들 (I, I1, I2) 로 표시된 화살표들이 도시되어 있으며, 상기 화살표들은 도 14 의 경우에서의 I, I1, I2 로 표시된 상응하는 화살표들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이에 상응하여, 각각 특정 시점을 위해, I1 로 표시된 화살표들은 도 11 에 표시되어 있는 고체 (30) 의 장방형 섹션들 (LA1, LA3, LA5, LA7, LA9) 안의 교류 (I) 의 현재의 전류방향을 표시하며, I2 로 표시된 화살표들은 도 11 에 표시되어 있는 고체 (40) 의 장방형 섹션들 (LA2, LA4, LA6, LA8, LA10) 안의 교류 (I) 의 현재의 전류방향을 표시한다. 추가적으로, 도 16 에는 화살표들 (H1, H2, H3, H4, H5, H6, H7, H8, H9. H10) 이 도시되어 있으며, 상기 화살표들은, 도 4 에 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교류 (I) 에 의해 발생된 교번자기장들 (H1-H10) 의 자기장의 세기의 현재의 방향을 나타낸다. 이에 상응하여, 도 16 안의 Hi 로 표시된 화살표는 도 14 에 따른 중간 공간 (Zi) 안의 납땜선 (L) 에서의 교번자기장 (Hi) 의 장의 세기의 현재의 방향을 표시하며, 이때 i=1-10 이다. 이에 따르면, 도 14 는, 전류경로 (21A) 의 각각의 섹션들의 주변에서 발생되는 교번자기장들의 현재의 방향과의 상호 관계하에, 서로 반대인 전류흐름 방향들 (I1 또는 I2) 을 가진 전류경로 (21A) 의 여러 가지 섹션을 나타낸다. 전류경로 (21A) 의 여러 가지 섹션을 분명히 알아볼 수 있으며, 그들의 주변에서 각각의 교번자기장들은 반대방향을 향해 있고, 그리고 이로써 서로 역위상에 있다.
도 17 은 도 4 에 따른 태양전지 (1) 및 리본 (5) 과 조합된, 도 12 에 따른 절단평면 (B-B) 을 따른 횡단면에 있어서의 유도 안테나 (20A) 를 나타내며, 이때 리본 (5) 은 납땜선 (L) 을 따라 태양전지 (1) 의 전류 수집 바아 (3) 의 세로방향으로 뻗어 있다. 특히 장방형 섹션 (LA4) 의 횡단면을 볼 수 있으며, 상기 장방향 섹션은 고체 (40) 의 섹션 (40-A2) 의 부분이고 (도 10 참조), 그리고 납땜평면 (LE) 에서 - 공기 틈새 (LS) 에 의해 납땜선 (L) 으로부터 분리되어 - 납땜선 (L) 에 대해 본질적으로 평행으로 중간 공간 (Z4) 을 통해 뻗어 있다. 이로부터, 납땜평면 (LE) 에 대해 수직인 유도 안테나 (20A) 의 장방형 섹션이 (LA4) (장방형 섹션들 (LA1-LA10) 각각처럼) 대략 전류 수집 바아 (3) 의 폭 및/또는 전기 전도성 리본 (5) 의 폭만한 치수를 가질 수 있다는 것을 알아볼 수 있다. 본 예에서, 장방형 섹션 (LA4) 은 (장방형 섹션들 (LA1-LA10) 각각처럼) 납땜평면 (LE) 에 대해 대칭적으로 배치되어 있고, 그리고 정사각형 횡단면을 가지며, 상기 횡단면은 예컨대 1.5 mm x 1.5 mm 의 표면적을 가질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유도 안테나는 1 내지 3 mm 의 폭을 가진 리본 (5) 들 또는 전류 수집 바아 (3) 들을 납땜하기에 적합하다. 이 이외에, 도 17 에는 교번자기장들의 다수의 장선들의 공간적 진로가 파선들을 이용해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으며, 상기 파선들은 도 17 에 도시되어 있는 장방형 섹션 (LA4) 을 각각 닫혀 있는 곡선의 형태로 둘러싼다. 각각의 장선들은 각각 (본 경우 참조부호 H 로 표시된) 화살표 꼭대기를 갖고 있고, 상기 화살표 꼭대기는, 각각 도 4 에 표시되어 있는 교류 (I) 의 현재의 전류방향을 위해, 각각의 장선을 따른 교번자기장의 현재의 방향을 표시한다. 도 17 에서 알아볼 수 있는 바와 같이, 교번자기장의 각각의 장선들은 납땜평면 (LE) 에 대해 대칭적으로 뻗어 있다. 이에 따르면, 납땜선 (L) 에서의 교번자기장 (H4) 은 도 17 에 따라 납땜평면 (LE) 에 대해 수직으로, 그리고 이로써 태양전지 (1) 의 표면 (1-1) 에 대해 본질적으로 평행으로 향해 있다.
도 4 및 도 5 와 관련하여 이미 언급한 바와 같이, 도 4 에 따른 본 발명에 따른 납땜장치 (15) 는 선택적으로, 히트싱크들 (30, 40) 을 냉각시키기 위한 냉각장치를 갖추고 있을 수 있다. 교류 (I) 가 - 도 14 및 도 15 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 고체들 (30, 40) 을 통해 흐르면, 특히 장방형 섹션들 (LA1-LA10) 안에서 교류 (I) 의 전류밀도가 비교적 크기 때문에 장방형 섹션들 (LA1-LA10) 이 가장 강하게 가열될 수 있다. 본 경우에서, 각각 장방형 섹션들 (LA1-LA10) 안에서 발생된 열을 열전도를 이용해 고체 (30) 의 섹션들 (30-B1, 30-B2, 30-B3, 30-B4, 30-B5, 30-B6) 중 하나 또는 다수를 통하여 및/또는 고체 (40) 의 섹션들 (40-B1, 40-B2, 40-B3, 40-B4, 40-B5, 40-B6) 중 하나 또는 다수를 통하여 배출시키는 가능성이 존재한다. 그렇기 때문에, 고체 (30) 의 섹션들 (30-B1, 30-B2, 30-B3, 30-B4, 30-B5, 30-B6) 중 하나 또는 다수를 냉각시킴으로써 및/또는 고체 (40) 의 섹션들 (40-B1, 40-B2, 40-B3, 40-B4, 40-B5, 40-B6) 중 하나 또는 다수를 냉각시킴으로써, 장방형 섹션들 (LA1-LA10) 은 필요시 간접적으로 냉각될 수 있다. 도 4, 도 5, 도 13 및 도 17 이 암시하는 바와 같이, 냉각장치와 조합된 도 4 에 따른 유도 안테나 (20A) 가 나타나 있으며, 상기 냉각장치는 예컨대 이미 언급된 히트싱크들 (60, 70) 을 포함한다. 도 4 및 도 5 에 따른 예에서, 히트싱크 (60) 는 절연바디 (90) 를 통하여 고체 (30) 의 섹션들 (30-B1, 30-B2, 30-B3, 30-B4, 30-B5, 30-B6) 과 열적 접촉하에 있다. 상응하여, 히트싱크 (70) 는 절연바디 (90) 를 통하여 고체 (40) 의 섹션들 (40-B1, 40-B2, 40-B3, 40-B4, 40-B5, 40-B6) 과 열적 접촉하에 있다. 효과적인 냉각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절연바디 (90) 들은 바람직하게는 전기적으로 절연시키는 열전도성 재료로 제조되어 있을 수 있다. 절연바디 (90) 들에 대해 대안적으로, 고체 (30) 의 섹션들 (30-B1, 30-B2, 30-B3, 30-B4, 30-B5, 30-B6) 위에 및/또는 고체 (40) 의 섹션들 (40-B1, 40-B2, 40-B3, 40-B4, 40-B5, 40-B6) 위에 도포되어 있는, 전기적으로 절연시키는 열전도성 재료로 만들어진 코팅부, 및/또는 히트싱크들 (60 또는 70) 위에 도포되어 있는, 전기적으로 절연시키는 열전도성 재료로 만들어진 코팅부가 제공되어 있는 것도 생각해볼 수 있다.
도 4 가 암시하는 바와 같이, 전류 커플링인 요소 (110) 는 전기 전도성 재료로 구성된 냉각유체 라인 (111) 으로서 형성되어 있으며, 이때 냉각유체 라인 (111) 을 통해 냉각유체는 히트싱크 (60) 에게 공급될 수 있고 및/또는 히트싱크 (60) 로부터 배출될 수 있다 (도 4 에서 냉각유체 흐름 KF 를 나타내는, KF 로 표시된 화살표를 이용해 암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이 이외에, 전류 커플링아웃 요소 (112) 는 전기 전도성 재료로 구성된 냉각유체 라인 (113) 으로서 형성되어 있으며, 이때 냉각유체 라인 (113) 을 통해 냉각유체는 히트싱크 (70) 에게 공급될 수 있고 및/또는 히트싱크 (70) 로부터 배출될 수 있다 (도 2 에서 냉각유체 흐름 KF 을 나타내는, KF 로 표시된 화살표를 이용해 암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이때, 냉각유체 라인 (111) 은 히트싱크 (60) 안에 형성된 냉각채널 (61) 안으로 통하며, 상기 냉각채널은 납땜선 (L) 을 따라 히트싱크 (60) 의 한 단부로부터 히트싱크 (60) 의 다른 단부로 뻗어 있다. 상응하여, 냉각유체 라인 (113) 은 히트싱크 (70) 안에 형성된 냉각채널 (71) 안으로 통하며, 상기 냉각채널은 납땜선 (L) 을 따라 히트싱크 (70) 의 한 단부로부터 히트싱크 (70) 의 다른 단부로 뻗어 있다. 이때, 두 냉각채널 (61, 71) 은 특히 두 히트싱크 (60, 70) 의 다른 단부에서, (전기적으로 절연시키는) 연결라인 (115) 를 통하여 서로 연결되어 있다. 이로 인해, 두 히트싱크 (60, 70) 에게 하나의 냉각유체 순환부를 공급하는 것이 가능하다. 하지만, 두 히트싱크 (60, 70) 각각이 자기 자신의 냉각유체 순환부를 구비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도 4 에 도시되어 있는 유도 안테나 (20A) 의 실시형태의 그 밖의 변형에 따르면, 발전기 (9) 에 의해 발생된 교류 (I) 를 냉각유체 라인들 (111, 113) 을 통하여 고체들 (30, 40) 안으로 커플링인하거나 또는 고체들 (30, 40) 밖으로 커플링아웃하지 않는 것도 가능하다. 대안적으로, 교류 (I) 는 바로 히트싱크들 (60, 70) 을 통하여 커플링인되거나 또는 커플링아웃될 수도 있다. 예컨대, 발전기 (9) 는 교류를 커플링인하기 위해 또는 커플링아웃하기 위해 바로 히크싱크들 (60, 70) 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을 수도 있다. 고체 (30) 는 단락요소 (101) 를 통하여 히트싱크 (60) 와 연결되어 있고, 그리고 또한 고체 (40) 는 단락요소 (103) 를 통하여 히트싱크 (70) 와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이를 위해 원칙적으로 히트싱크들 (60, 70) 의 임의의 영역들이 발전기 (9) 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예컨대, 히트싱크 (60) 는 냉각제 라인 (111) 으로부터 멀리 향하는 단부에서, 그리고 히트싱크 (70) 는 냉각제 라인 (113) 으로부터 멀리 향하는 단부에서 전기적으로 발전기 (9) 와 연결될 수 있다.
유도 안테나 (20A) 는, 교번자기장들이 이 교번자기장들 (H1-H10) 이 존재해 있는 납땜선 (L) 의 본질적으로 전체 영역에서 균일하도록, 큰 장의 세기를 가진 교번자기장들 (H1-H10) 의 발생을 가능하게 한다. 고체 (30) 의 교번자기장을 발생시키는 섹션들 (30-A1, 30-A2, 30-A3, 30-A4, 30-A5) 과 고체 (40) 의 교번자기장을 발생시키는 섹션들 (40-A1, 40-A2, 40-A3, 40-A4, 40-A5) 이 직선으로 형성되어 있을 수 있고, 그리고 또한 고체들 (30, 40) 의 교번자기장을 발생시키는 상기 모든 섹션들이 하나의 직선 상에서 상기 납땜선에 대해 본질적으로 평행으로 뻗어 있도록 일렬로 잇달아 배치되어 있을 수 있다는 것은 교번자기장들의 균일성을 개선시키는데 특히 기여한다. 또한, 장방형 섹션들 (LA1-LA10) 이 직선으로 그리고 납땜선 (L) 에 대해 평행으로 뻗어 있을 수 있고, 그리고 그들의 전체 길이에 걸쳐 일정한 횡단면을 가질 수 있다는 것은 교번자기장들의 균일성을 개선시키는데 특히 기여한다.
고체들 (30, 40) 은 예컨대 절삭 가공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즉, 고체들 (30, 40) 이 매우 정밀하게 재생산 가능한 방식으로 제조될 수 있는 것이 보장되어 있다.
도 18 내지 도 26 은 본 발명에 따른 납땜장치 (15) 의 제 2 변형을 나타내며, 상기 변형은 유도 안테나 (20B) 를 포함한다. 납땜장치 (15) 의 이 변형은 일련의 상세 내용과 관련하여 도 4 내지 도 17 에 따른 납땜장치 (15) 와 동일하다. 구조적으로 또는 기능적으로 동일한, 도 4 내지 도 17 또는 도 18 내지 도 26 에 도시되어 있는 특징들은 각각 동일한 참조부호들을 갖고 있다. 이하, 본질적으로 도 18 내지 도 26 에 따른 변형에서의 납땜장치 (15) 와 도 4 내지 도 17 에 따른 변형에서의 납땜장치 (15) 간의 차이들이 설명된다.
도 18 은 태양전지 (1) 와 조합된 유도 안테나 (20B) 와 11개의 홀드다운 요소 (P1-P11) 를 포함한 납땜장치 (15) 를 나타내며, 이때 태양전지 (1) 의 표면 (1-1) 에 배치되어 있는 전류 수집 바아 (3) 는 리본 (5) 과 접촉되어 있고, 상기 리본은 전류 수집 바아 (3) 의 세로방향에서 뻗어 있다. 이 이외에, 도 4 에는 수학적인 직선 형태의 납땜선 (L) 이 표시되어 있다. 알아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납땜선 (L) 은 리본 (5) 을 향하는 전류 수집 바아 (3) 의 표면에서, 전류 수집 바아 (3) 의 세로방향으로 뻗어 있다. 추가적으로, 도 4 에는 납땜평면 (LE), 즉 태양전지 (1) 의 표면 (1-1) 에 대해 본질적으로 수직으로 뻗어 있는, 그리고 납땜선 (L) 이 놓여 있는 평면이 표시되어 있다.
도 18 에 따른 홀드다운 요소들 (P1-P11) 은 도 4 에 따른 홀드다운 요소들 (P1-P11) 처럼 형성 및 배치되어 있고, 즉 도 18 에 따른 홀드다운 요소들 (P1-P11) 은 납땜평면 (LE) 에서 납땜선 (L) 에 대해 본질적으로 수직으로 뻗어 있으며, 그리고 이 홀드다운 요소들 (P1-P11) 사이에 중간 공간들 (Z1-Z10) 이 형성되어 있도록 납땜선 (L) 을 따라 일렬로 잇달아 배치되어 있고, 이때 홀드다운 요소들 (P1-P11) 각각은 유도 안테나 (20B) 안에 형성되어 있는 채널들 (K1-K11) 중 하나 안에 안내되어 있다.
도 18 이 암시하는 바와 같이, 유도 안테나 (20B) 는 (고주파) 교류 (I) 를 위한 전류경로 (21B) 를 포함하며, 상기 교류는 발전기 (9) 를 이용해 발생 가능하고, 그리고 전류 커플링인 요소 (110) 및/또는 전류 커플링아웃 요소 (112) 를 통하여 전류경로 (21B) 안으로 커플링인될 수 있거나 또는 전류경로 (21B) 밖으로 커플링아웃될 수 있으며, 이때 교류 (I) 는, 납땜선 (L) 에서 및/또는 납땜선 (L) 의 주변에서 교번자기장을 발생시키도록 전류경로 (21B) 를 따라 안내되어 있다. 본 예에서, 전류경로 (21B) 는 각각 일부 섹션들에 걸쳐, 제 1 전기 전도성 고체 (130) 안에, 그리고 제 2 전기 전도성 고체 (140) 안에 형성되어 있으며, 이때 고체들 (130, 140) 은 - 공기 틈새 (LS) 에 의해 납땜선 (L) 으로부터 분리되어 - 납땜선 (L) 을 따라 뻗어 있고, 그리고 고체들 (130, 140) 의 개별적인 섹션들은 교류 (I) 를 납땜선 (L) 을 따라 안내한다. 이에 따르면, 고체들 (130, 140) 은 (상응하여 고체들 (130, 140) 의 개별적인 섹션들도) 각각 전류경로 (21B) 의 여러 가지 섹션을 형성한다.
유도 안테나 (20B) 는 오로지 전류경로 (21B) 에 의해서만 도 4 에 따른 유도 안테나 (20A) 와 구별된다. 이는 특히 유도 안테나 (20B) 의 분해도를 포함한 도 21 에서 알 수 있다. 도 21 과 도 5 와의 비교가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도 안테나 (20B) 는 유도 안테나 (20A) 와 동일한 부품들을 포함하며, 유도 안테나 (20B) 의 경우에는 유도 안테나 (20A) 의 고체 (30) 가 고체 (130) 에 의해 대체되어 있고, 유도 안테나 (20A) 의 고체 (40) 가 고체 (140) 에 의해 대체되어 있다는 차이만을 갖는다.
유도 안테나 (20A) 와 유도 안테나 (20B) 간의 상기 언급된 차이들로 인해, 유도 안테나 (20B) 를 이용해서는, 유도 안테나 (20A) 를 이용해 발생 가능한 교번자기장들과는 다른, 납땜선 (L) 과 관련된 공간적 분배를 갖는 교번자기장들이 발생될 수 있다.
교류 (I) 는, 납땜선 (L) 의 5개의 여러 가지 섹션 (상기 섹션들은 하기에서 L1, L2, L3, L4, L5 으로 표시되며, 그리고 각각의 중간 공간들 (Z1-Z10) 과 관련된 그들의 공간적 위치는 도 26 에 도시되어 있다) 안에서 교번자기장들을 발생시키도록 유도 안테나 (20B) 의 전류경로 (21B) 에서 납땜선 (L) 을 따라 안내되어 있으며, 상기 교번자기장들은 하기에서 H1, H2, H3, H4, H5 로 표시된다: 여기서, 표시“Hi”(i=1-5 을 가진) 은 납땜선 (L) 의 섹션“Li”(각각 i=1-5 을 가진) 안에 존재하는 교번자기장을 표시한다. 도 26 이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납땜선의 섹션들 (L1-L5) 각각은 중간 공간들 (Z1-Z10) 중 각각 2 개에 걸쳐 뻗어 있으며, 상기 중간 공간들은 납땜선 (L) 을 따라 바로 잇달아 배치되어 있다; 즉, 섹션 (L1) 은 중간 공간들 (Z1, Z2) 에 걸쳐 뻗어 있고, 섹션 (L2) 은 중간 공간들 (Z3, Z4) 에 걸쳐 뻗어 있으며, 섹션 (L3) 은 중간 공간들 (Z5, Z6) 에 걸쳐 뻗어 있고, 섹션 (L4) 은 중간 공간들 (Z7, Z8) 에 걸쳐 뻗어 있으며, 섹션 (L5) 은 중간 공간들 (Z9, Z10) 에 걸쳐 뻗어 있다.
도 18 에서, H1, H2, H3, H4, H5 로 표시된 화살표들은 각각 납땜선 (L) 의 여러 가지 섹션 (L1-L5) 안의 교번자기장들 (H1, H2, H3, H4, H5) 의 장의 세기의 방향을 나타낸다 (각각 중간 공간들 (Z1-Z10) 중 하나를 위해, 그리고 각각 도 18 에 참조부호 I 로 표시된 화살표들에 의해 표시되어 있는 교류 (I) 의 현재의 전류흐름 방향을 위해). 도 18 및 도 26 에서 알아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납땜선 (L) 에서의 교번자기장들 (H1-H5) 은 각각 납땜평면 (LE) 에 대해 본질적으로 수직으로, 그리고 납땜선 (L) 에 대해 수직으로 향해 있다. 이때, 중간 공간들 (Z1, Z2, Z5, Z6, Z9, Z10) 안의 섹션들 (L1, L3, L5) 안의 교번자기장들 (H1, H3, H5) 은 각각 동일한 방향을 가지며, 그리고 이로써 서로 동위상에 있다. 이와는 달리, 중간 공간들 (Z3, Z4, Z7, Z8) 안의 섹션들 (L2, L4) 안의 교번자기장들 (H2, H4) 은 교번자기장들 (H1, H3, H5) 에 대해 반대로 향해 있으며, 따라서 섹션들 (L1, L3, L5) 안의 교번자기장들 (H1, H3, H5) 은 각각 섹션들 (L2, L4) 안의 교번자기장들 (H2, H3) 에 대해 역위상에 있다.
교번자기장들 (H1-H5) 의 상기 언급된 공간적 분배를 보장하기 위해, 고체들 (130, 140) 은 도 22 내지 도 25 에 따라 구조화되어 있다.
도 22 및 도 23 은 고체들 (130, 140) 을 분리시켜 각각 납땜선 (L) 에 대해 상대적인 배열에 있어서 나타내며, 상기 배열은 도 18 에 따른 고체들 (130, 140) 의 배열과 동일하다. 도 22 는 고체 (130) 를 측면도로 (도 18 에 따른 납땜평면 (LE) 에 대해 수직인 시선 방향으로) 나타내며, 도 23 은 고체 (140) 를 측면도로 (도 18 에 따른 납땜평면 (LE) 에 대해 수직인 시선 방향으로) 나타낸다. 도 22 및 도 23 에서 알아볼 수 있는 바와 같이, 고체들 (130, 140) 은 납땜선 (L) 에 대해 본질적으로 평행으로 뻗어 있고, 그리고 각각 공기 틈새 (LS) 에 의해 납땜선 (L) 으로부터 분리되어 있다. 도 22 에 따른 고체 (130) 의 배열과 도 23 에 따른 고체 (140) 의 배열과의 비교를 가능하게 하기 위해, 도 22 에서 뿐만 아니라 도 23 에서는 각각 각각의 중간 공간들 (Z1-Z11) 의 공간적 위치들이 (도 18 에서 정의된 바와 같이) 표시되어 있으며, 따라서 도 22 및 도 23 에서는, 홀드다운 요소들 (P1-P11) 및 납땜선의 섹션들 (L1-L5) 과 관련된 고체들 (130, 140) 의 상대적 배열을 (도 26 에서 정의된 바와 같이) 알 수 있다.
도 22 가 암시하는 바와 같이, 고체 (130) 는 (유도 안테나 (20A) 의 고체 (30) 와 비슷하게) 서로 연결된 여러 가지 섹션의 선형 배열체로 여겨질 수 있으며, 상기 섹션들은 납땜선 (L) 을 따라 일렬로 잇달아 배치되어 있고, 그리고 여러 가지 중간 공간 (Z1-Z10) 을 통해, 납땜선 (L) 과 관련된 여러 가지 간격 (D1 또는 D2) (D2>D1 을 가진) 을 두고 뻗어 있다.
도 22 에서 알아볼 수 있는 바와 같이, 고체 (130) 는 3 개의 섹션 (130-A1, 130-A2, 130-A3) 으로 이루어진 제 1 그룹을 포함하고, 상기 섹션들은 각각 장방형 형태를 가지며, 그리고 본 예에서 각각 납땜선 (L) 과 관련된 간격 (D1) 을 두고 각각 납땜선 (L) 에 대해 본질적으로 평행으로 뻗어 있다. 섹션 (130-A1) 은 중간 공간들 (Z1, Z2) 을 통해 뻗어 있고, 섹션 (130-A2) 은 중간 공간들 (Z5, Z6) 을 통해 뻗어 있으며, 섹션 (130-A3) 은 중간 공간들 (Z9, Z10) 을 통해 뻗어 있다. 이 이외에, 고체 (130) 는 섹션들 (130-B1, 130-B2, 130-B3, 130-B4, 130-B5, 130-B6, 130-B7) 로 이루어진 제 2 그룹을 포함하고, 상기 섹션들은 섹션들 (130-A1, 130-A2, 130-A3) 보다 납땜선 (L) 에 대한 보다 큰 간격을 갖는다.
이와 관련하여, 고체 (130) 의 어느 영역들이 상기 언급된 섹션들 중 하나로 해석되어야 하는가를 표시하기 위해, 도 22 에서 섹션들 (130-A1, 130-A2, 130-A3) 각각은 파선으로 형성된 직사각형으로 둘러싸여 있다. 명확하게 하기 위해, 도 24 는 고체 (130) 의 도면을 나타내며, 상기 도면에서 섹션들 (130-A1, 130-A2, 130-A3) 은 섹션들 (130-B1, 130-B2, 130-B3, 130-B4, 130-B5, 130-B6, 130-B7) 로부터 분리되어 있고 (각각 도 24 에 표시되어 있는 파선들을 따라), 그리고 섹션들 (130-B1, 130-B2, 130-B3, 130-B4, 130-B5, 130-B6, 130-B7) 에 대해 납땜선 (L) 의 방향으로 옮겨져 있다 (도 22 안의 고체 (130) 의 도면과 비교하여).
도 22 가 또한 암시하는 바와 같이, 섹션들 (130-B1, 130-B2, 130-B3, 130-B4, 130-B5, 130-B6, 130-B7) 은, 이 섹션들 중 일렬로 바로 잇달아 배치된 각각 2 개가 납땜선 (L) 에 대해 수직으로 뻗어 있는 틈새 (T) 에 의해 분리되어 있도록 (이 섹션들 사이의 전기적 절연을 달성하기 위해) 일렬로 잇달아 납땜선 (L) 을 따라 배치되어 있다.
다른 한편으로는, 섹션들 (130-B1, 130-B2, 130-B3, 130-B4, 130-B5, 130-B6, 130-B7) 중 각각 2 개는 납땜선 (L) 을 향하는 쪽에서, 섹션들 (130-A1, 130-A2, 130-A3) 중 하나를 통하여 서로 연결되어 있다. 도 22 에서 알아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섹션 (130-A1) 은 그의 두 단부 중 하나에서는 섹션 (130-B1) 과 연결되어 있고, 그의 두 단부 중 다른 것에서는 섹션 (130-B3) 과 연결되어 있다. 이 이외에, 섹션 (130-A2) 은 그의 두 단부 중 하나에서는 섹션 (130-B3) 과 연결되어 있고, 그의 두 단부 중 다른 것에서는 섹션 (130-B5) 과 연결되어 있다. 이 이외에, 섹션 (130-A3) 은 그의 두 단부 중 하나에서는 섹션 (130-B5) 과 연결되어 있고, 그의 두 단부 중 다른 것에서는 섹션 (130-B7) 과 연결되어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섹션들 (130-A1, 130-A2, 130-A3) 이 이 순서로 전기적으로 직렬로 접속되어 있도록 연결되어 있는 것이 보장되어 있다.
하기에서 분명해지듯이, 섹션들 (130-A1, 130-A2, 130-A3) 은, 교류 (I) 가 이 섹션들의 주변에서 또는 납땜선 (L) 에서 교번자기장들 (H1, H3, H5) 을 발생시키도록 교류 (I) 를 상기 납땜선을 따라 안내하는 기능을 갖는다. 이 기능 때문에, 섹션들 (130-A1, 130-A2, 130-A3) 은 하기에서는 고체 (130) 또는 전류경로 (21B) 의“교번자기장을 발생시키는”섹션들이라고도 불리어야 한다.
도 23 이 암시하는 바와 같이, 고체 (140) 는 (유도 안테나 (20A) 의 고체 (40) 와 비슷하게) 서로 연결된 여러 가지 섹션들의 선형 배열체로 여겨질 수 있고, 상기 섹션들은 납땜선 (L) 을 따라 일렬로 잇달아 배치되어 있으며, 그리고 여러 가지 중간 공간 (Z1-Z10) 을 통해, 납땜선 (L) 과 관련된 간격들 (D1 또는 D2) (D2>D1 을 가진) 을 두고 뻗어 있다.
도 23 에서 알아볼 수 있는 바와 같이, 고체 (140) 는 2 개의 섹션 (140-A1, 140-A2) 으로 이루어진 제 1 그룹을 포함하고, 상기 섹션들은 각각 장방형 형태를 가지며, 그리고 본 예에서 각각 납땜선 (L) 과 관련된 간격 (D1) 을 두고, 각각 납땜선 (L) 에 대해 본질적으로 평행으로 뻗어 있다. 이때, 섹션 (140-A1) 은 중간 공간들 (Z3, Z4) 을 통해 뻗어 있고, 섹션 (140-A2) 는 중간 공간들 (Z7, Z8) 을 통해 뻗어 있다. 이 이외에, 고체 (140) 는 섹션들 (140-B1, 140-B2, 140-B3, 140-B4, 140-B5) 로 이루어진 제 2 그룹을 포함하며, 상기 섹션들은 섹션들 (140-A1, 140-A2) 보다 납땜선 (L) 으로부터의 보다 큰 간격을 갖는다.
이와 관련하여, 고체 (140) 의 어느 영역들이 상기 언급된 섹션들 중 하나로 해석되어야 하는가를 표시하기 위해, 도 23 에서 섹션들 (140-A1, 140-A2) 각각은 파선으로 형성된 직사각형으로 둘러싸여 있다. 명확하게 하기 위해, 도 25 는 고체 (140) 의 도면을 나타내며, 상기 도면에서 섹션들 (140-A1, 140-A2) 은 섹션들 (140-B1, 140-B2, 140-B3, 140-B4, 140-B5) 로부터 분리되어 있고 (각각 도 25 에 표시되어 있는 파선들을 따라), 그리고 섹션들 (140-B1, 140-B2, 140-B3, 140-B4, 140-B5) 에 대해 납땜선 (L) 의 방향으로 옮겨져 있다 (도 23 안의 고체 (140) 의 도면과 비교하여).
도 23 이 또한 암시하는 바와 같이, 섹션들 (140-B1, 140-B2, 140-B3, 140-B4, 140-B5) 은, 이 섹션들 중 일렬로 바로 잇달아 배치된 각각 2 개가 납땜선 (L) 에 대해 수직으로 뻗어 있는 틈새 (T) 에 의해 분리되어 있도록 (이 섹션들 사이의 전기적 절연을 달성하기 위해) 일렬로 잇달아 납땜선 (L) 을 따라 배치되어 있다.
다른 한편으로는, 섹션들 (140-B1, 140-B2, 140-B3, 140-B4, 140-B5) 중 가각 2 개는 납땜선 (L) 을 향하는 쪽에서, 섹션들 (140-A1, 140-A2) 중 하나를 통하여 서로 연결되어 있다. 도 23 에서 알아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섹션 (140-A1) 은 그의 두 단부 중 하나에서는 섹션 (140-B1) 과 연결되어 있고, 그의 두 단부 중 다른 것에서는 섹션 (140-B3) 과 연결되어 있다. 이 이외에, 섹션 (140-A2) 은 그의 두 단부 중 하나에서는 섹션 (140-B3) 과 연결되어 있고, 그의 두 단부 중 다른 것에서는 섹션 (140-B5) 과 연결되어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섹션들 (140-A1, 140-A2) 이 이 순서로 전기적으로 직렬로 접속되어 있도록 연결되어 있는 것이 보장되어 있다.
하기에서 분명해지듯이, 섹션들 (140-A1, 140-A2) 은, 교류 (I) 가 이 섹션들의 주변에서 또는 납땜선 (L) 에서 교번자기장들 (H2, H4) 을 발생시키도록 교류 (I) 를 납땜선 (L) 을 따라 안내하는 기능을 갖는다. 이 기능 때문에, 섹션들 (140-A1, 140-A2) 은 하기에서는 고체 (140) 또는 전류경로 (21B) 의“교번자기장을 발생시키는”섹션들이라고도 불리어야 한다.
도 19 와 관련하여, 고체 (130) 의 교번자기장을 발생시키는 섹션들 (130-A1, 130-A2, 130-A3) 과 고체 (140) 의 교번자기장을 발생시키는 섹션들 (140-A1, 140-A2) 은 교대로 일렬로 잇달아 배치되어 있고, 따라서 고체 (130) 의 교번자기장을 발생시키는 섹션 다음에는 각각 고체 (140) 의 교번자기장을 발생시키는 섹션이 뒤따른다 (또는 정반대로). 또한, 도 19 는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의 유도 안테나 (20B) 를 나타내며, 상기 유도 안테나에 있어서 고체 (130) 의 교번자기장을 발생시키는 섹션들 (130-A1, 130-A2, 130-A3) 과 고체 (140) 의 교번자기장을 발생시키는 섹션들 (140-A1, 140-A2) 은, 그들이 함께 납땜평면 (LE) 에서 일렬로 잇달아 하나의 직선 (G) 을 따라 - 도 19 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 뻗어 있도록 형성 및 배치되어 있다. 이는 납땜선 (L) 을 따른 교번자기장들 (H1-H5) 의 균일성과 관련하여 바람직하다.
도 26 은 도 18 에 따른 유도 안테나 (20B) 의 전류경로 (21B) 의 개략적인 도면을 나타낸다. 이때, 교류 (I) 를 위한 발전기 (9) 가 - 도 18 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 전류 커플링인 요소 (110) 또는 전류 커플링아웃 요소 (112) 에 연결되어 있다고 가정되어 있고, 따라서 발전기 (9) 에 의해 발생된 교류 (I) 는 전류 커플링인 요소 (110) 와 전류 커플링아웃 요소 (112) 사이의 전류경로 (21B) 에서 흐를 수 있으며, 그리고 이때 납땜선 (L) 에서 교번자기장 또는 교번자기장들을 발생시킨다.
도 26 은 고체 (130) 의 섹션 (130-B7) 이 고체 (140) 의 섹션 (140-B5) 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을 위한, 납땜선 (L) 에 대해 상대적인 유도 안테나 (20B) 의 전류경로 (21B) 의 배열을 나타낸다. 도 26 에서, V1, V2 또는 V3 로 표시되어 있는 파선들은 각각 전기적 연결을 나타내며, 상기 전기적 연결들은 발전기 (9) 와 고체들 (130, 140) 사이에, 또는 고체 (130) 와 고체 (140) 사이에 존재한다. 전기적 연결 (V1) 은 발전기 (9) 와 고체 (130) 의 섹션 (130-B1) 사이의 전기적 연결을 나타낸다 (예컨대, 도 26 에 도시되어 있는 고체 (130) 의 섹션 (130-B1) 안의 보어 (133) 안에 배치되어 있는, 그리고 섹션 (130-B1) 과 히트싱크 (60) 또는 전류 커플링인 요소 (110) 사이의 전기적 연결을 담당하는 단락요소 (101) 를 이용해 실현됨). 상응하여, 전기적 연결 (V2) 은 고체 (30) 의 섹션 (130-B7) 과 고체 (140) 의 섹션 (140-B5) 사이의 이미 언급된 연결을 나타낸다. 이 연결 (V2) 은 단락요소 (102) 를 이용해 실현될 수 있으며, 상기 단락요소는 고체 (130) 의 섹션 (130-B7) 의 보어 (134) 안에 뿐만 아니라 고체 (140) 의 섹션 (140-B5) 의 보어 (144) 안에도 안착해 있다. 상응하여, 전기적 연결 (V3) 은 발전기 (9) 와 고체 (140) 의 섹션 (140-B1) 사이의 전기적 연결을 나타낸다 (예컨대, 도 26 에 도시되어 있는 고체 (140) 의 섹션 (140-B1) 안의 보어 (145) 안에 배치되어 있는, 그리고 섹션 (140-B1) 과 히트싱크 (70) 또는 전류 커플링아웃 요소 (112) 사이의 전기적 연결을 담당하는 단락요소 (103) 를 이용해 실현됨).
도 26 에서, - 편의상 - 고체 (130) 의 배열과 고체 (140) 의 배열은 서로 포개어져 배치된 2 개의 도면으로 - 각각 납땜선 (L) 에 대해 상대적으로 -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이유로 인해, 도 26 은 윗 부분에는, 옆면에서 바라본 고체 (130) 의 도면을 포함하고 (도 18 에 따른 납땜평면 (LE) 에 대해 수직인 시선 방향으로, 도 22 안의 고체 (130) 의 도면에 상응하여), 그리고 아랫 부분에는, 옆면에서 바라본 고체 (140) 의 도면을 포함한다 (도 18 에 따른 납땜평면 (LE) 에 대해 수직인 시선 방향으로, 도 23 안의 고체 (140) 의 도면에 상응하여). 또한, 도 26 에는 여러 가지 (이미 언급된) 섹션들 (L1, L2, L3, L4, L5) 로의 납땜선 (L) 의 분할이 도시되어 있으며, 상기 섹션들은 상기 언급된 순서로 일렬로 잇달아 배치되어 있다.
도 26 에 따르면, 전류경로 (21B) 는 이 전류경로의 2 개의 섹션의 직렬접속으로 해석될 수 있으며, 상기 섹션들은 도 26 에 21B-1 과 21B-2 로 표시되어 있다:“섹션 21B-1”은 고체 (130) 안에 형성되어 있는 전류경로 (21B) 의 섹션을 나타낸다; 상응하여,“섹션 21B-2”는 고체 (140) 안에 형성되어 있는 전류경로 (21B) 의 섹션을 나타낸다.
전류경로 (21B) 의 섹션들 (21B-1, 21-B2) 은, 교류 (I) 가 섹션 (21B-1) 안에서 뿐만 아니라 섹션 (21-B2) 안에서도 납땜선 (L) 을 따라 안내되어 있도록, 하지만 전류경로 (21B) 의 섹션 (21B-1) 안의 교류 (I) 가 전류경로 (21B) 의 섹션 (21B-2) 안의 교류 (I) 에 대해 역위상에 있도록 전기적 연결 (V2) 을 통하여 직렬로 접속되어 있다. 이 실태를 명확하게 하기 위해, 도 26 안에 각각 참조부호 I 로 표시되어 있는 화살표들은 특정 시점을 위한, 발전기 (9) 에 의해 발생된 교류 (I) 의 현재의 전류흐름 방향을 표시하며, 이때 도 26 에 따른 도면에서의 교류 (I) 의 현재의 전류흐름 방향은 도 18 에 따른 도면에서의 교류 (I) 의 현재의 전류흐름 방향과 일치한다. 교류 (I) 는, 알아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전기적 연결 (V1) 와 전기적 연결 (V2) 사이에서는 각각 전류경로 (21B) 의 섹션 (21B-1) 을 통해 흐르고, 전기적 연결 (V2) 와 전기적 연결 (V3) 사이에서는 각각 전류경로 (21B) 의 섹션 (21B-2) 을 통해 흐른다. 이 이외에, 참조부호 I1 을 가진 화살표들은 전류경로 (21B) 의 섹션 (21B-1) 안의 교류 (I) 의 현재의 전류흐름 방향을 표시하고, 참조부호 I2 를 가진 화살표들은 전류경로 (21B) 의 섹션 (21B-2) 안의 교류 (I) 의 현재의 전류흐름 방향을 표시한다 (동일한 특정 시점을 위한).
도 22 내지 도 26 에서 알아볼 수 있는 바와 같이, 고체 (130) 의 섹션들 (130-A1, 130-A2, 130-A3) 안의 교류 (I) 의 현재의 전류흐름 방향은 (도 26 안의 전류흐름 방향 (I1) 에 상응하여) 각각 고체 (140) 의 섹션들 (140-A1, 140-A2) 안의 교류 (I) 의 전류흐름 방향에 대해 반대이다 (도 26 안의 전류흐름 방향 (I2) 에 상응하여). 이에 상응하여, 고체 (130) 의 섹션들 (130-A1, 130-A2, 130-A3) 안의 교류 (I) 는 각각 동위상에 있고 그리고 고체 (130) 의 섹션들 (130-A1, 130-A2, 130-A3) 안에서, 각각 고체 (140) 의 섹션들 (140-A1, 140-A2) 안의 교류 (I) 에 대해 역위상에 있다.
도 22 내지 도 26 에서 알아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예에서 섹션들 (130-A1, 140-A1, 130-A2, 140-A2, 130-A3) 은 이 순서로 일렬로 잇달아 납땜선 (L) 을 따라 각각 납땜선 (L) 에 대한 간격 (D1) 을 두고 뻗어 있으며, 그리고 이때 공기 틈새 (LS) 에 의해 납땜선 (L) 으로부터 분리되어 있다. 간격 (D1) 과 비교하여, 납땜선 (L) 으로부터의 고체 (140) 의 섹션들 (140-B1, 140-B3, 140-B5) 과 고체 (130) 의 섹션들 (130-B3, 130-B5, 130-B7) 의 각각의 간격들은, 고체 (140) 의 섹션들 (140-B1, 140-B3, 140-B5) 안에 그리고 고체 (130) 의 섹션들 (130-B3, 130-B5, 130-B7) 안에 흐르는 교류 (I) 가, 교류 (I) 가 납땜선 (L) 에서 발생시키는 교번자기장들에 기여를 하지 않거나 또는 비교적 적은 (무시해도 될 정도의) 기여를 하도록 크기가 선택되어 있다.
이에 상응하여, 고체 (130) 의 섹션들 (130-A1, 130-A2, 130-A3) 을 통해 흐르는 교류 (I) 는 교번자기장들 (H1, H3, H5) 을 발생시키고, 상기 교번자기장들은 중간 공간들 (Z1, Z2, Z5, Z6, Z9, Z10) 안에 또는 납땜선 (L) 의 섹션들 (L1, L3, L5) 안에 존재한다. 상응하여, 고체 (140) 의 섹션들 (140-A1, 140-A2) 을 통해 흐르는 교류 (I) 는 교번자기장들 (H2, H4) 을 발생시키고, 상기 교번자기장들은 중간 공간들 (Z3, Z4, Z7, Z8) 안에 또는 섹션들 (L2, L4) 안에 존재한다. 고체 (130) 의 섹션들 (130-A1, 130-A2, 130-A3) 안의 교류 (I) 가 고체 (140) 안의 섹션들 (140-A1, 140-A2) 안의 교류 (I) 에 대해 역위상에 있기 때문에, 교번자기장들 (H1, H3, H5) 이 각각 교번자기장들 (H2, H4) 에 대해 역위상에 있는 것이 각각 보장되어 있다. 본 경우, 유도 안테나 (21B) 의 유효 길이는 납땜선 (L) 의 모든 섹션 (L1-L5) 에 걸쳐 뻗어 있다 (도 26 에서 참조부호 Leff 를 가진 이중 화살표에 의해 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도 20 은 도 19 에 상응하는 도면으로, 도 18 에 따른 유도 안테나 (20B) 를 나타낸다. 도 20 의 경우, 유도 안테나 (20B) 의 전류경로 (21B) 는 도 26 에 도시되어 있는 전류경로 (21B) 의 실시형태에 상응하여 형성되어 있다고 가정되어 있다. 도 20 에는, 각각 참조부호들 (I, I1, I2) 로 표시된 화살표들이 도시되어 있으며, 상기 화살표들은 도 26 의 경우에서의 I, I1, I2 로 표시되어 있는 상응하는 화살표들과 같은 의미를 갖는다. 이에 상응하여, 각각 특정 시점을 위해, I1 로 표시된 화살표들은 도 19 에 표시되어 있는 고체 (130) 의 섹션들 (130-A1, 130-A2, 130-A3) 안의 교류 (I) 의 현재의 전류방향을 표시하고, I2 로 표시된 화살표들은 도 19 에 표시되어 있는 고체 (140) 의 장방향 섹션들 (140-A1, 140-A2) 안의 교류 (I) 의 현재의 전류방향을 표시한다. 추가적으로, 도 20 에는 화살표들 (H1, H2, H3, H4, H5) 이 도시되어 있으며, 상기 화살표들은 교류 (I) 에 의해 발생된 교번자기장들 (H1-H5) 의 - 도 18 에 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 자기장의 세기의 현재의 방향을 나타낸다. 이에 상응하여, 도 20 안의 Hi 로 표시된 화살표는 도 26 에 따른 섹션 (Li) 안의 납땜선 (L) 에서의 교번자기장 (Hi) 의 장의 세기의 현재의 방향을 표시하며, 이때 i=1-5 이다. 이에 따르면, 도 20 은, 전류경로 (21B) 의 각각의 섹션들의 주변에서 발생되는 교번자기장들의 현재의 방향과의 상호 관계하에, 서로 반대인 전류흐름 방향들 (I1 또는 I2) 을 가진 전류경로 (21A) 의 여러 가지 섹션을 나타낸다. 전류경로 (21B) 의 여러 가지 섹션을 분명히 알아볼 수 있으며, 상기 섹션들의 주변에서 각각의 교번자기장들은 반대로 향해 있고, 그리고 이로써 서로 역위상에 있다.
도 18 내지 도 25 와 관련하여, 고체 (130) 의 교번자기장을 발생시키는 섹션들 (130-A1, 130-A2, 130-A3) 각각과 고체 (140) 의 교번자기장을 발생시키는 섹션들 (140-A1, 140-A2) 은 각각 3 개의 리세스를 구비한다는 것을 참조하도록 하며, 상기 리세스들은 납땜평면 (LE) 에서 납땜선 (L) 에 대해 본질적으로 수직으로 뻗어 있고, 이때 교번자기장을 발생시키는 각각의 섹션의 두 단부 각각에는, 그리고 교번자기장을 발생시키는 각각의 섹션의 두 단부 사이의 중앙에는 각각 상기 3 개의 리세스 중 하나가 형성되어 있다. 이 리세스들은 - 유도 안테나 (20B) 의 고체들 (130, 140) 이 서로 상대적으로 그리고 홀드다운 요소들 (P1-P11) 에 대해 상대적으로 도 18 에 도시되어 있는 배열에 있어서 위치해 있으면 - 홀드다운 요소들 (P1-P11) 을 안내하기 위한 도 18 내지 도 20 에 도시되어 있는 채널들 (K1-K11) 을 형성한다.
도 18 내지 도 25 와 관련하여, 고체 (130) 의 교번자기장을 발생시키는 섹션들 (130-A1, 130-A2, 130-A3) 각각과 고체 (140) 의 교번자기장을 발생시키는 섹션들 (140-A1, 140-A2) 은 각각 2 개의 장방형 섹션을 구비하고, 상기 장방형 섹션들은, 바람직하게는 납땜선 (LE) 에서 각각 직선으로 그리고 납땜선 (L) 에 대해 본질적으로 평행으로 뻗어 있도록 도 18 에 따른 유도 안테나 (20B) 안에 배치되어 있다. 이하, 이 장방형 섹션들은 LB1, LB2, LB3, LB4, LB5, LB6, LB7, LB8, LB9, LB10 으로 표시되며, 그리고 도 24 및 도 25 안에 각각 표시되어 있다 (납땜선 (L) 의 방향으로의 각각의 장방향 섹션의 연장부를 표시하는 구부러진 괄호들을 이용해). 이 장방형 섹션들 각각은, 홀드다운 요소들 (P1-P11) 중 각각 2 개 사이의 또는 채널들 (K1-K11) 중 2 개 사이의 중간 공간들 (Z1-Z10) 중 각각 하나를 통해 뻗어 있도록 배치되어 있다. 장방향 섹션들 (LB1, LB2, LB3, LB4, LB5, LB6, LB7, LB8, LB9, LB10) 각각은 그의 전체 길이에 걸쳐 일정한 횡단면을 가질 수 있다. 도 19, 도 24 및 도 25 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장방형 섹션들 (LB1, LB2, LB3, LB4, LB5, LB6, LB7, LB8, LB9, LB10) 은, 직선 (도 19 안의 직선 (G)) 을 따라 뻗어 있도록 일렬로 잇달아 배치되어 있을 수 있다. 고체 (130) 의 교번자기장을 발생시키는 섹션들 (130-A1, 130-A2, 130-A3) 과 고체 (140) 의 교번자기장을 발생시키는 섹션들 (140-A1, 140-A2) 의 이러한 구현형태는 납땜선 (L) 을 따른 교번자기장들의 매우 균일한 공간적 분배를 가능하게 한다.
도 27 내지 도 40 은 본 발명에 따른 납땜장치 (15) 의 제 3 변형을 나타내며, 상기 변형은 (고주파) 교류 (I) 를 위한 전류경로 (21C) 를 가진 유도 안테나 (20C) 를 포함한다. 납땜장치 (15) 의 이 변형은 일련의 상세 내용과 관련하여 도 4 및 도 17 에 따른 납땜장치 (15) 와 동일하다. 구조적으로 또는 기능적으로 동일한, 도 4 내지 도 17 또는 도 27 내지 도 40 에 도시되어 있는 특징들은 각각 동일한 참조부호들을 갖고 있다. 이하, 본질적으로, 도 27 내지 도 40 에 따른 변형에서의 납땜장치 (15) 와 도 4 내지 도 17 에 따른 변형에서의 납땜장치 (15) 간의 차이들이 설명된다.
도 27 은 태양전지 (1) 와 조합된 유도 안테나 (20C) 와 11개의 홀드다운 요소 (P1-P11) 를 포함한 납땜장치 (15) 를 나타내며, 이때 태양전지 (1) 의 표면에 배치되어 있는 전류 수집 바아 (3) 는 리본 (5) 과 접촉되어 있고, 상기 리본은 전류 수집 바아 (3) 의 세로방향에서 뻗어 있다. 또한, 도 27 에는, 수학적인 직선 형태의 납땜선 (L) 이 표시되어 있다. 알아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납땜선 (L) 은 리본 (5) 을 향하는 전류 수집 바아 (3) 의 표면에서, 전류 수집 바아 (3) 의 세로방향으로 뻗어 있다. 추가적으로, 도 27 에는 납땜평면 (LE), 즉 태양전지 (1) 의 표면 (1-1) 에 대해 본질적으로 수직으로 뻗어 있는, 그리고 납땜선 (L) 이 놓여 있는 평면이 표시되어 있다.
도 27 에 따른 홀드다운 요소들 (P1-P11) 은 도 4 에 따른 홀드다운 요소들 (P1-P11) 처럼 형성 및 배치되어 있고, 즉 도 27 에 따른 홀드다운 요소들 (P1-P11) 은 납땜평면 (LE) 에서 납땜선 (L) 에 대해 본질적으로 수직으로 뻗어 있으며, 그리고 이 홀드다운 요소들 (P1-P11) 사이에 중간 공간들 (Z1-Z10) 이 형성되어 있도록 납땜선 (L) 을 따라 일렬로 잇달아 배치되어 있고, 이때 홀드다운 요소들 (P1-P11) 각각은 유도 안테나 (20C) 안에 형성되어 있는 채널들 (K1-K11) 중 하나 안에 안내되어 있다.
도 27 이 암시하는 바와 같이, 유도 안테나 (20C) 는, (도 27 에 도시되어 있지 않은) 발전기 (예컨대 도 4 에 따른 발전기 (9)) 를 이용해 발생 가능한, 그리고 전류 커플링인 요소 (110) 및/또는 전류 커플링아웃 요소 (112) 를 통하여 전류경로 (21C) 안으로 커플링인될 수 있거나 또는 전류경로 (21C) 밖으로 커플링아웃될 수 있는 (고주파) 교류 (I) 를 위한 전류경로 (21C) 를 포함하며, 이때 교류 (I) 는, 납땜선 (L) 에서 및/또는 납땜선 (L) 의 주변에서 교번자기장을 발생시키도록 전류경로 (21C) 를 따라 안내되어 있다.
본 예에서, 전류경로 (21C) 는 각각 일부 섹션들에 걸쳐, 다수의 여러 가지 전기 전도성 고체 안에 형성되어 있으며, 이때 이 고체들 중 하나 또는 다수로 이루어진 3 개의 여러 가지 그룹이 구별될 수 있다: 이 고체들에는, (도 27 에 암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전기 전도성 고체 (150), 하나 또는 다수의 전기 전도성 고체로 이루어진 그룹 (160), 및 하나 또는 다수의 전기 전도성 고체로 이루어진 그룹 (170) 이 속하며, 이때 고체 (150) 와, 그룹 (160) 에 속하는 고체들과, 그룹 (170) 에 속하는 고체들은 - 공기 틈새 (LS) 에 의해 납땜선 (L) 으로부터 분리되어 - 납땜선 (L) 을 따라 뻗어 있고, 이 고체들의 개별적인 섹션들은 납땜선 (L) 을 따라 교류 (I) 를 안내한다. 이에 따르면, 고체 (150), 그룹 (160) 에 속하는 고체들, 및 그룹 (170) 에 속하는 고체들은 (상응하여 이 고체들의 개별적인 섹션들도) 각각 전류경로 (21C) 의 여러 가지 섹션을 형성한다.
하기에서 더욱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특히 도 29 내지 도 40 과 관련하여), 유도 안테나 (20C) 는 본질적으로 전류경로 (21C) 에 의해 도 4 에 따른 유도 안테나 (20A) 와 구별된다. 유도 안테나 (20A) 와 유도 안테나 (20C) 간의 차이로 인해, 유도 안테나 (20C) 를 이용해서는, 유도 안테나 (20A) 를 이용해 발생 가능한 교번자기장들과 다른, 납땜선 (L) 과 관련된 공간적 분배를 갖는 교번자기장들이 발생될 수 있다.
교류 (I) 는, 납땜선 (L) 의 10개의 여러 가지 섹션 (상기 섹션들은 하기에서는 L1, L2, L3, L4, L5, L6, L7, L8, L9, L10 으로 표시되며, 각각의 중간 공간들 (Z1-Z10) 과 관련된 그들의 공간적 위치는 도 31 에 도시되어 있다) 안에서 교번자기장들을 발생시키도록 유도 안테나 (20C) 의 전류경로 (21C) 에서 납땜선 (L) 을 따라 안내되어 있고, 상기 교번자기장들은 하기에서는 H1, H2, H3, H4, H5, H6, H7, H8, H9, H10 으로 표시된다: 이때, 표시“Hi”(i=1-10 을 가진) 은 납땜선 (L) 의 섹션“Li”(각각 i=1-10 을 가진) 안에 존재하는 교번자기장을 표시한다. 도 27 및 도 31 이 나타내는 바와 같이, 납땜선 (L) 의 섹션들 (L1-L10) 각각은 각각 중간 공간들 (Z1-Z10) 중 하나를 통하여 뻗어 있다.
도 27 에서, H1, H2, H3, H4, H5, H6, H7, H8, H9, H10 으로 표시된 화살표들은 각각 납땜선 (L) 의 여러 가지 섹션 (L1-L10) 안의 교번자기장들 (H1, H2, H3, H4, H5, H6, H7, H8, H9, H10) 의 장의 세기의 방향을 나타낸다 (각각 중간 공간들 (Z1-Z10) 중 하나 또는 납땜선 (L) 의 섹션들 (L1-L10) 중 하나를 위해, 그리고 각각 도 27 에 참조부호 I 를 가진 화살표들에 의해 표시되어 있는 교류 (I) 의 현재의 전류흐름 방향을 위해). 도 27 에서 알아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납땜선 (L) 에서의 교번자기장들 (H1-H10) 각각은 각각 납땜평면 (LE) 에 대해 본질적으로 평행으로 그리고 납땜선 (L) 에 대해 수직으로 향해 있다. 이때, 중간 공간들 (Z1, Z3, Z5, Z7, Z9) 안의 섹션들 (L1, L3, L5, L7, L9) 안의 교번자기장들 (H1, H3, H5, H7, H9) 은 각각 동일한 방향을 가지며, 그리고 이로써 서로 동위상에 있다. 이와는 달리, 중간 공간들 (Z2, Z4, Z6, Z8, Z10) 안의 섹션들 (L2, L4, L6, L8, L10) 안의 교번자기장들 (H2, H4, H6, H8, H10) 은 교번자기장들 (H1, H3, H5, H7, H9) 에 대해 반대로 향해 있으며, 따라서 섹션들 (L1, L3, L5, L7, L9) 안의 교번자기장들 (H1, H3, H5, H7, H9) 은 각각 섹션들 (L2, L4, L6, L8, L10) 안의 교번자기장들 (H2, H4, H6, H8, H10) 에 대해 역위상에 있다.
교번자기장들 (H1-H10) 의 상기 언급된 공간적 분배를 보장하기 위해, 고체 (150), 그룹 (160) 에 속하는 고체들, 및 그룹 (170) 에 속하는 고체들은 도 29 내지 도 33 에 따라 구조화되어 있고, 그리고 도 29, 및 도 34 내지 도 39 에 따라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이하, 도 29 내지 도 34 와 관련하여, 유도 안테나 (20C) 의 전류경로 (21C) 의 구조적인 상세 내용이 설명된다.
도 29 는 도 27 에 따른 유도 안테나 (20C) 의 개별적인 구성요소들을 분해도로 나타내며, 이때 각각의 구성요소들은 납땜평면 (LE) 에 대해 수직인 방향에서 서로 분리되어 있다. 알아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유도 안테나 (20C) 는 본 예에서 - 고체 (150), 고체들로 이루어진 그룹 (160), 및 고체들로 이루어진 그룹 (170) 에 대해 추가적으로 - (선택적인) 히트싱크들 (60, 70), (전기적으로 절연시키는 재료로 만들어진) 2 개의 절연바디 (90), 및 (전기적으로 절연시키는 재료로 만들어진) 2 개의 절연바디 (80) 를 포함한다. 유도 안테나 (20C) 의 히트싱크들 (60, 70) 또는 절연바디들 (80, 90) 은 도 4 에 따른 유도 안테나 (20A) 의 상응하는 히트싱크들 (60, 70) 또는 절연바디들 (80, 90) 과 적어도 기능적인 면에서는 동일하며, 하지만 예컨대 그들의 형태 또는 고정수단들을 위한 보어들 또는 단락요소들의 배열과 관련하여서는 서로 구별될 수 있다.
고체 (150) 와, 고체들로 이루어진 그룹 (160) 과, 고체들로 이루어진 그룹 (170) 은 서로 나란히 배치되어 있고, 그리고 히트싱크 (60) 와 히트싱크 (70) 사이에 본질적으로 서로 평행으로 미리 정해져 있는 방향으로 뻗어 있다 (도 27 에 따라 납땜평면 (LE) 에 대해 그리고 납땜선 (L) 에 대해 본질적으로 평행으로). 이때, 고체 (150) 는 고체들로 이루어진 그룹 (160) 과 고체들로 이루어진 그룹 (170)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히트싱크들 (60, 70), 고체 (150), 그룹 (160) 에 속하는 고체들, 및 그룹 (170) 에 속하는 고체들은 절연바디들 (80, 90) 을 이용해 각각 서로 전기적으로 절연되어 있다. 히트싱크 (60) 와 그룹 (160) 에 속하는 고체들 사이의 전기적 절연을 달성하기 위해, 절연바디 (90) 들 중 하나는 히트싱크 (60) 와 고체들로 이루어진 그룹 (160)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고체 (150) 와 그룹 (160) 에 속하는 고체들 사이의 전기적 절연을 달성하기 위해, 절연바디 (80) 들 중 하나는 고체들로 이루어진 그룹 (160) 과 고체 (150)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고체 (150) 와 그룹 (170) 에 속하는 고체들 사이의 전기적 절연을 달성하기 위해, 절연바디 (80) 들 중 하나는 고체 (150) 와 고체들로 이루어진 그룹 (170)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이 이외에, 히트싱크 (70) 와 그룹 (170) 에 속하는 고체들 사이의 전기적 절연을 달성하기 위해, 절연바디 (90) 들 중 하나는 고체들로 이루어진 그룹 (170) 과 히트싱크 (70)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도 29 에서 또한 알아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도 27 에 따른 유도 안테나 (20C) 는 고정수단 (100) 들을 포함하며, 상기 고정수단들은, 고체 (150) 와, 고체들로 이루어진 그룹 (160) 과, 고체들로 이루어진 그룹 (170) 과, 히트싱크들 (60, 70) 과, 절연바디들 (80, 90) 을 기계적으로 서로 연결시키기 위해, 그리고 유도 안테나 (20C) 가 하나의 유닛을 형성하도록 결합시키기 위해 사용되고, 상기 유닛은 통째로 납땜선 (L) 과 관련된 미리 정해져 있는 위치에 유지될 수 있다.
이 이외에, 유도 안테나 (20C) 는 단락요소 (101) 를 포함하며, 상기 단락요소는 히트싱크 (60) 또는 전류 커플링인 요소 (110) 와 고체 (150) 사이의 전기적 연결을 만들어내기 위해 사용된다. 이 이외에, 유도 안테나 (20C) 는 적어도 하나의 단락요소 (102A) 를 포함하며, 상기 단락요소는 고체 (150) 와 그룹 (160) 에 속하는 고체들 중 적어도 하나 사이의 전기적 연결을 만들어내기 위해 사용된다. 추가적으로, 유도 안테나 (20C) 는 하나 또는 다수의 단락요소 (102B) 및 하나 또는 다수의 단락요소 (102C) 를 포함한다. 각각의 단락요소들 (102B, 102C) 은, 그룹 (160) 에 속하는 고체들과 그룹 (170) 에 속하는 고체들 사이의 전기적 연결을 만들어내기 위해 사용된다. 이 이외에, 유도 안테나 (20C) 는 적어도 하나의 단락요소 (103) 를 포함하며, 상기 단락요소는 히트싱크 (70) 또는 전류 커플링아웃 요소 (112) 와 배열체 (170) 에 속하는 고체 사이의 전기적 연결을 만들어내기 위해 사용된다.
고정수단 (100) 들과 단락요소들 (101, 102A, 102B, 102C, 103) 은 본 예에서 나사들로서 설계되어 있으며, 하지만 물론 그들의 기능과 관련하여 적합한 다른 수단들에 의해 대체될 수도 있다. 유도 안테나 (20C) 의 조립시 고정수단 (100) 들과 단락요소들 (101, 102A, 102B, 102C, 103) 을 적합하게 배치시킬 수 있기 위해, 히트싱크 (60), 히트싱크 (70), 고체 (150), 그룹 (160) 에 속하는 고체들, 그룹 (170) 에 속하는 고체들, 및 절연바디들 (80, 90) 은 상응하여 배치된 보어들을 구비하며, 상기 보어들 안으로 각각의 고정수단 (100) 들 또는 단락요소들 (101, 102A, 102B, 102C, 103) 이 삽입될 수 있다 (이는 여기에서 상세히 설명될 필요가 없다).
도 27 에 도시되어 있는 형태에서의 (작동 준비된) 유도 안테나 (20C) 를 형성하도록, 도 29 에서 볼 수 있는 유도 안테나 (20C) 의 모든 부품들이 결합되어 있으면, 단락요소들 (101, 102A, 102B, 102C, 103) 은, 고체 (150), 고체들로 이루어진 그룹 (160), 및 고체들로 이루어진 그룹 (170) 을 통하여 전류 커플링인 요소 (110) 와 전류 커플링아웃 요소 (112) 사이의 교류 (I) 를 위한 지속적인 전기적 연결을 담당하며, 이때 각각 상기 언급된 고체들의 섹션들은 전기적으로 직렬로 접속되어 있다. 이에 따르면, 단락요소들 (101, 102A, 102B, 102C, 103) 은 전류경로 (21C) 의 구성요소들로 여겨질 수 있다. 이는 도 34 내지 도 39 와 관련하여 상세히 설명된다.
도 30 은 고체 (150), 및 그룹들 (160, 170) 에 속하는 고체들의 구조적인 상세 내용을 나타낸다. 도 30 은 (a) (b) (c) (d) 로 표시되어 있는 4 개의 여러 가지 도면을 포함한다. 도 30 안의 도면 (a) 는 도 27 에 따른 유도 안테나 (20C) 안에 존재하는 그룹 (160) 의 고체들, 고체 (150), 및 그룹 (160) 의 고체들의 배열을 분해도로 나타내며, 이때 그룹 (170) 의 고체들은 고체 (150) 로부터 납땜평면 (LE) 에 대해 수직으로 분리되어 있고, 그룹 (160) 의 고체들도 마찬가지로 고체 (150) 로부터 납땜 평면 (LE) 에 대해 수직으로 분리되어 있다. 도 30 안의 도면들 (b) 내지 (d) 는 고체 (150), 및 고체들의 그룹들 (160, 170) 을 각각 분리시켜 나타낸다.
도 30 안의 도면 (c) 에서 알아볼 수 있는 바와 같이, 고체 (150) 는 본 예에서, LC1, LD1, LC2, LD2, LC3, LD3, LC4, LD4, LC5, LD5 로 표시되어 있는, 그리고 이 순서로 일렬로 잇달아 배치되어 있는 10개의 여러 가지 장방형 섹션과, 마찬가지로 일렬로 잇달아 배치되어 있는 11개의 섹션 (150-1, 150-2, 150-3, 150-4, 150-5, 150-6, 150-7, 150-8, 150-9, 150-10, 150-11) 을 포함하며, 이때 이 섹션들 (150-1, 150-2, 150-3, 150-4, 150-5, 150-6, 150-7, 150-8, 150-9, 150-10, 150-11) 중 일렬로 바로 잇달아 배치된 각각 2 개는 장방형 섹션들 (LC1, LD1, LC2, LD2, LC3, LD3, LC4, LD4, LC5, LD5) 중 각각 하나를 통하여 서로 연결되어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장방형 섹션들 (LC1, LD1, LC2, LD2, LC3, LD3, LC4, LD4, LC5, LD5) 중 각각 2 개는, 섹션들 (LC1, LD1, LC2, LD2, LC3, LD3, LC4, LD4, LC5, LD5) 이 이 순서로 직렬로 접속되어 있도록 섹션들 (150-2, 150-3, 150-4, 150-5, 150-6, 150-7, 150-8, 150-9, 150-10) 중 각각 하나를 통하여 서로 연결되어 있다.
도 30 안의 도면 (b) 에서 알아볼 수 있는 바와 같이, 그룹 (170) 은 6개의 분리된 고체 (170-1, 170-2, 170-3, 170-4, 170-5, 170-6) 를 포함한다. 고체들 (170-1, 170-2, 170-3, 170-4, 170-5) 은 본질적으로 동일한 구조를 갖는다: 이 고체들 (170-1, 170-2, 170-3, 170-4, 170-5) 각각은 도 30 에 LF1, LF2, LF3, LF4, LF5 로 표시되어 있는 하나의 장방형 섹션, 및 상기 장방형 섹션과 연결된 2 개의 레그 (leg) 를 포함하며, 이때 이 레그들 중 하나는 상기 장방형 섹션의 한 단부와 연결되어 있고, 이 레그들 중 다른 것은 상기 장방형 섹션의 다른 단부와 연결되어 있다. 이 레그들 각각은 보어들을 구비하며, 상기 보어들은 고정수단 (100) 들 중 하나 또는 단락요소들 (102B, 102C) 중 하나를 수용하기 위해 사용된다.
도 30 안의 도면 (d) 에서 알아볼 수 있는 바와 같이, 그룹 (160) 은 6개의 분리된 고체 (160-1, 160-2, 160-3, 160-4, 160-5, 160-6) 를 포함한다. 고체들 (160-2, 160-3, 160-4, 160-5, 160-6) 은 본질적으로 동일한 구조를 갖는다: 이 고체들 (160-2, 160-3, 160-4, 160-5, 160-6) 각각은 도 30 에 LG1, LG2, LG3, LG4, LG5 로 표시되어 있는 하나의 장방형 섹션과, 상기 장방형 섹션과 연결된 2 개의 레그를 포함하며, 이때 이 레그들 중 하나는 상기 장방형 섹션의 한 단부와 연결되어 있고, 이 레그들 중 다른 것은 상기 장방형 섹션의 다른 단부와 연결되어 있다. 이 레그들 각각은 보어들을 구비하며, 상기 보어들은 고정수단 (100) 들 중 하나 또는 단락요소들 (102B, 102C) 중 하나를 수용하기 위해 사용된다.
도 31 내지 도 33 은 고체 (150), 그룹 (160) 의 고체들, 및 그룹 (170) 의 고체들을 분리시켜 각각 납땜선 (L) 에 대해 상대적인 배열에 있어서 나타내며, 상기 배열은 도 27 에 따른 이 고체들의 배열과 동일하다. 도 31 은 고체 (150) 를, 도 32 는 고체들 (170-1, 170-2, 170-3, 170-4, 170-5, 170-6) (그룹 170) 을, 도 33 은 고체들 (160-1, 160-2, 160-3, 160-4, 160-5, 160-6) (그룹 160) 을 각각 도 27 에 따른 납땜평면 (LE) 에 대해 수직인 시선 방향으로 바라본 측면도로 나타낸다. 도 31 내지 도 33 에는, 각각의 중간 공간들 (Z1-Z11) 의 공간적 위치들이 (도 27 에서 정의된 바와 같이) 표시되어 있으며, 따라서 도 31 내지 도 33 에서는, 홀드다운 요소들 (P1-P11) 과 관련된 고체 (150), 고체들 (170-1, 170-2, 170-3, 170-4, 170-5, 170-6) (그룹 170), 및 고체들 (160-1, 160-2, 160-3, 160-4, 160-5, 160-6) (그룹 160) 의 상대적 배열을 알아볼 수 있다. 이 이외에, 납땜선 (L) 의 각각의 섹션들 (L1-L10) 이 도시되어 있다.
도 31 내지 도 33 에서 알아볼 수 있는 바와 같이, 고체 (150), 고체들 (170-1, 170-2, 170-3, 170-4, 170-5, 170-6) (그룹 170), 및 고체들 (160-1, 160-2, 160-3, 160-4, 160-5, 160-6) (그룹 160) 은 납땜선 (L) 에 대해 본질적으로 평행으로 뻗어 있으며, 그리고 각각 공기 틈새 (LS) 에 의해 납땜선 (L) 으로부터 분리되어 있고, 이때 이 고체들의 개별적인 섹션들은 납땜선 (L) 과 관련된 서로 다른 간격들 (D1 또는 D2) (D2>D1 을 가진) 을 두고 뻗어 있을 수 있다.
본 경우, 고체 (150) 의 섹션들 (LC1, LD1, LC2, LD2, LC3, LD3, LC4, LD4, LC5, LD5), 고체들 (160-2, 160-3, 160-4, 160-5, 160-6) (그룹 160) 의 섹션들 (LG1, LG2, LG3, LG4, LG5), 및 고체들 (170-1, 170-2, 170-3, 170-4, 170-5) (그룹 170) 의 섹션들 (LF1, LF2, LF3, LF4, LF5) 은, 이 섹션들을 통해 흐르는 교류 (I) 가 본질적으로 교번자기장들 (H1-H10) 을 발생시키도록 교류 (I) 를 납땜선 (L) 을 따라 상기 납땜선의 근처에서 안내하는 기능을 갖는다.
이 기능 때문에, 섹션들 (LC1, LD1, LC2, LD2, LC3, LD3, LC4, LD4, LC5, LD5) 은 하기에서는 고체 (150) 의 또는 전류경로 (21C) 의“교번자기장을 발생시키는”섹션들이라고도 불리어야 한다. 상응하여, 섹션들 (LG1, LG2, LG3, LG4, LG5) 각각은 각각의 고체 (160-2, 160-3, 160-4, 160-5, 160-6) (그룹 160) 의 또는 전류경로 (21C) 의“교번자기장을 발생시키는”섹션이라고도 불리어야 한다. 상응하여, 섹션들 (LF1, LF2, LF3, LF4, LF5) 각각은 각각의 고체 (170-1, 170-2, 170-3, 170-4, 170-5) (그룹 170) 의 또는 전류경로 (21C) 의“교번자기장을 발생시키는”섹션이라고도 불리어야 한다.
도 27, 도 28, 도 31 내지 도 33, 및 도 35 와 관련하여, 전류경로 (21C) 의 경우 납땜선 (L) 의 섹션들 (L1-L10) 각각에서는, 교번자기장을 발생시키는 각각 2 개의 섹션이 한쌍씩 서로 나란히 납땜선 (L) 의 여러 가지 쪽에 배치되어 있다는 것을 참조하도록 한다.
도 31 에서 알아볼 수 있는 바와 같이, 고체 (150) 의 경우 교번자기장을 발생시키는 섹션들 (LC1, LD1, LC2, LD2, LC3, LD3, LC4, LD4, LC5, LD5) 각각은 납땜선 (L) 의 섹션들 (L1-L10) 중 각각 하나에 배치되어 있으며, 그리고 각각 납땜선 (L) 에 대해 본질적으로 평행으로 뻗어 있다 (도 31). 즉, 섹션 (LC1) 은 섹션 (L1) 에 위치해 있고, 섹션 (LD1) 은 섹션 (L2) 에 위치해 있으며, 섹션 (LC2) 은 섹션 (L3) 에 위치해 있고, 섹션 (LD2) 은 섹션 (L4) 에 위치해 있으며, 섹션 (LC3) 은 섹션 (L5) 에 위치해 있고, 섹션 (LD3) 은 섹션 (L6) 에 위치해 있으며, 섹션 (LC4) 은 섹션 (L7) 에 위치해 있고, 섹션 (LD4) 은 섹션 (L8) 에 위치해 있으며, 섹션 (LC5) 은 섹션 (L9) 에 위치해 있고, 섹션 (LD5) 은 섹션 (L10) 에 위치해 있다. 이때, 고체 (150) 의 교번자기장을 발생시키는 상기 섹션들은, 각각 납땜선 (L) 을 따라 각각 교대로 납땜평면 (LE) 의 여러 가지 측면에, 그리고 각각 납땜평면 (LE) 에 대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도록 일렬로 잇달아 납땜선 (L) 을 따라 배치되어 있다는 것에 주의하도록 한다: 특히 도 35 에서 알아볼 수 있는 바와 같이, 고체 (150) 의 (납땜선 (L) 의 섹션들 L1, L3, L5, L7, L9 에 배치된) 섹션들 (LC1, LC2, LC3, LC4, LC5) 은 납땜평면 (LE) 의 제 1 측면 (S1) 에 위치해 있고, 그리고 고체 (150) 의 (납땜선 (L) 의 섹션들 L2, L4, L6, L8, L10 에 배치된) 섹션들 (LD1, LD2, LD3, LD4, LD5) 은 납땜평면 (LE) 의 상기 측면 (S1) 과 마주하고 있는 측면 (S2) 에 위치해 있다. 이때, 고체 (150) 자체는 납땜평면 (LE) 에 놓여 있다: 도 27, 도 30 및 도 40 에서 알아볼 수 있는 바와 같이, 고체 (150) 의 적어도 섹션들 (150-1, 150-2, 150-3, 150-4, 150-5, 150-6, 150-7, 150-8, 150-9, 150-10, 150-11) 은 납땜평면 (LE) 에 놓여 있고, 그리고 본 경우 납땜평면 (LE) 의 측면 (S1) 에서의 고체 (150) 의 섹션들 (LC1, LC2, LC3, LC4, LC5) 과 측면 (S2) 에 배치된 고체 (150) 의 섹션들 (LD1, LD2, LD3, LD4, LD5) 사이의 기계적 및 전기적 연결을 보장한다.
도 32, 도 33 및 도 35 에서 알아볼 수 있는 바와 같이, 고체들 (170-1, 170-2, 170-3, 170-4, 170-5) 의 교번자기장을 발생시키는 모든 섹션들 (LF1, LF2, LF3, LF4, LF5) 은 납땜선 (L) 을 따라 일렬로 잇달아 각각 납땜평면 (LE) 의 측면 (S2) 에 상기 납땜평면에 대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고, 고체들 (160-2, 160-3, 160-4, 160-5, 160-6) 의 교번자기장을 발생시키는 모든 섹션들 (LG1, LG2, LG3, LG4, LG5) 은 납땜선 (L) 을 따라 일렬로 잇달아 각각 납땜평면 (LE) 의 측면 (S1) 에 상기 납땜평면에 대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이 이외에, 고체들 (170-1, 170-2, 170-3, 170-4, 170-5) 의 교번자기장을 발생시키는 섹션들 (LF1, LF2, LF3, LF4, LF5) 은, 교번자기장을 발생시키는 섹션들 (LF1, LF2, LF3, LF4, LF5) 이 고체 (150) 의 교번자기장을 발생시키는 섹션들 (LC1, LC3, LC4, LC5) 중 하나와 조합하여 상기 납땜선의 동일한 섹션에 배치되어 있도록 고체 (150) 에 대해 상대적으로 배치되어 있다. 이때, 고체 (170-1) 의 섹션 (LF1) 은 섹션 (LC1) 과 함께 납땜선 (L) 의 섹션 (L1) 에 배치되어 있고, 고체 (170-2) 의 섹션 (LF2) 은 섹션 (LC2) 과 함께 납땜선의 섹션 (L3) 에 배치되어 있으며, 고체 (170-3) 의 섹션 (LF3) 은 섹션 (LC3) 과 함께 납땜선의 섹션 (L5) 에 배치되어 있고, 고체 (170-4) 의 섹션 (LF4) 은 섹션 (LC4) 과 함께 납땜선의 섹션 (L7) 에 배치되어 있으며, 고체 (170-5) 의 섹션 (LF5) 은 섹션 (LC5) 과 함께 납땜선의 섹션 (L9) 에 배치되어 있다.
상응하여, 고체 (160-2) 의 섹션 (LG1) 은 섹션 (LD1) 과 함께 납땜선 (L) 의 섹션 (L2) 에 배치되어 있고, 고체 (160-3) 의 섹션 (LG2) 은 섹션 (LD2) 과 함께 납땜선 (L) 의 섹션 (L4) 에 배치되어 있으며, 고체 (160-4) 의 섹션 (LG3) 은 섹션 (LD3) 과 함께 납땜선 (L) 의 섹션 (L6) 에 배치되어 있고, 고체 (160-5) 의 섹션 (LG4) 은 섹션 (LD4) 과 함께 납땜선 (L) 의 섹션 (L8) 에 배치되어 있으며, 고체 (160-6) 의 섹션 (LG5) 은 섹션 (LD5) 과 함께 납땜선 (L) 의 섹션 (L10) 에 배치되어 있다.
이하, 도 34, 및 36 내지 도 34 와 관련하여, 유도 안테나 (20C) 의 전류경로 (21C) 의 실현형태가 기술된다.
도 34 는 도 27 에 따른 유도 안테나 (20C) 의 전류경로 (21C) 의 개략적인 도면을 나타낸다. 이때, 교류 (I) 를 위한 발전기 (9) 는 전류 커플링인 요소 (110) 또는 전류 커플링아웃 요소 (112) 에 연결되어 있다고 가정되어 있고, 따라서 발전기 (9) 에 의해 발생된 교류 (I) 는 전류 커플링인 요소 (110) 와 전류 커플링아웃 요소 (112) 사이의 전류경로 (21C) 에서 흐를 수 있으며, 그리고 이때 납땜선 (L) 에서 교번자기장 또는 교번자기장들을 발생시킨다.
도 34 에서, V1, V2, V3, V4, V5 로 표시된 파선들은 전기적 연결들을 나타내며, 상기 전기적 연결들은, 고체 (150) 를 그룹 (160) 의 하나 또는 다수의 고체와, 그룹 (170) 의 하나 또는 다수의 고체와, 발전기 (9) 와 연결시키기 위해 사용된다.
전기적 연결 (V1) 은 고체 (150) 의 섹션 (150-1) 과 발전기 (9) 사이의 전기적 연결을 나타낸다. 이 연결을 실현시키기 위해 단락요소 (101) 가 사용되며, 상기 단락요소는, 고체 (150) 의 섹션 (150-1) 을 히트싱크 (60) 와, 그리고 이로써 전류 커플링인 요소 (110) 와 연결시키도록 배치되어 있다 (예컨대, 도 37 및 도 38 에서 알아볼 수 있는 바와 같이, 히트싱크 (60) 안의 보어 안에, 그리고 섹션 (150-1) 안의 보어 안에).
전기적 연결 (V2) 은 고체 (150) 의 섹션 (150-11) 과 그룹 (160) 의 고체 (160-6) 사이의 전기적 연결을 나타낸다. 이 연결을 실현시키기 위해 단락요소 (102A) 가 사용되며, 이 단락요소는, 고체 (150) 의 섹션 (150-1) 을 히트싱크 (60) 와 연결시키도록 배치되어 있다 (예컨대, 도 36, 도 37 및 도 38 에서 알아볼 수 있는 바와 같이, 고체 (150) 의 섹션 (150-11) 안의 보어 안에, 그리고 고체 (160-6) 안의 보어 안에).
전기적 연결 (V3) 은 그룹 (170) 의 고체 (170-1) 와 발전기 (9) 사이의 전기적 연결을 나타낸다. 이 연결을 실현시키기 위해 단락요소 (103) 가 사용되며, 상기 단락요소는, 고체 (170-1) 를 히트싱크 (70) 와, 그리고 이로써 전류 커플링아웃 요소 (112) 와 연결시키도록 배치되어 있다 (예컨대, 도 36, 도 37 및 도 39 에서 알아볼 수 있는 바와 같이, 히트싱크 (70) 안의 보어 안에, 그리고 고체 (170-1) 안의 보어 안에).
각각의 전기적 연결 (V4) 과 각각의 전기적 연결 (V5) 은, 각각 그룹 (160) 의 고체들 중 하나를 그룹 (170) 의 고체들 중 하나와 연결시키는 기능을 가지며, 따라서 그룹 (160) 의 각각의 고체의 교번자기장을 발생시키는 섹션과 그룹 (170) 의 각각의 고체의 교번자기장을 발생시키는 섹션은 각각의 전기적 연결 (V4 또는 V5) 을 통하여 전기적으로 직렬로 접속되어 있다. 각각의 전기적 연결 (V4) 을 실현시키기 위해 단락요소 (102B) 가 사용되고, 전기적 연결 (V5) 을 실현시키기 위해 단락요소 (102C) 가 사용된다. 전류경로 (21C) 의 본 실현형태는 다수의 전기적 연결 (V4, V5) 을 포함하며, 이때 단락요소들 (102B, 102C) 의 상응하는 배열은 도 36 내지 도 39 에서 알아볼 수 있다.
도 34 에 따르면, 전류경로 (21C) 는 이 전류경로의 2 개의 섹션의 직렬접속으로 해석될 수 있으며, 상기 섹션들은 도 34 에 21C-1 과 21C-2 로 표시되어 있다:“섹션 21C-1”은 고체 (150) 안에 형성되어 있는 전류경로 (21C) 의 섹션을 나타낸다; 상응하여,“섹션 21C-2”는 그룹 (160) 과 그룹 (170) 의 각각의 고체들 안에 (그룹 (160) 과 그룹 (170) 의 각각의 고체들을 연결시키는 각각의 단락요소들 (102B 또는 102C) 안에도) 형성되어 있는 전류경로 (21C) 의 섹션을 나타낸다. 이때, 고체 (150) 의 교번자기장을 발생시키는 섹션들 (LC1, LD1, LC2, LD2, LC3, LD3, LC4, LD4, LC5, LD5) 은, 전류경로 (21C) 의 섹션 (21-C1) 안에 이 순서로 전기적으로 직렬로 접속되어 있도록 연결되어 있다. 이 이외에, 그룹들 (160, 170) 의 고체들의 교번자기장을 발생시키는 섹션들은, 교번자기장을 발생시키는 섹션들 (LF1, LG1, LF2, LG2, LF3, LG3, LF4, LG4, LF5, LG5) 이 전류경로 (21C) 의 섹션 (21-C2) 안에 이 순서로 전기적으로 직렬로 접속되어 있도록 전기적 연결들 (V4, V5) 을 통하여 서로 연결되어 있다.
전류경로 (21B) 의 섹션들 (21C-1, 21-C2) 은, 교류 (I) 가 섹션 (21C-1) 안에서 뿐만 아니라 섹션 (21-C2) 안에서도 납땜선 (L) 을 따라 안내되어 있도록, 하지만 전류경로 (21C) 의 섹션 (21C-1) 안의 교류 (I) 가 전류경로 (21C) 의 섹션 (21C-2) 안의 교류 (I) 에 대해 역위상에 있도록 전기적 연결 (V2) 을 통하여 직렬로 접속되어 있다. 이 실태를 명확하게 하기 위해, 도 34 에 각각 참조부호 I 를 가진 화살표들은 특정 시점을 위한, 발전기 (9) 에 의해 발생된 교류 (I) 의 현재의 전류흐름 방향을 표시하며, 이때 도 34 에 따른 도면 안의 교류 (I) 의 현재의 전류흐름 방향은 도 27 에 따른 도면 안의 교류 (I) 의 현재의 전류흐름 방향과 일치한다. 교류 (I) 는, 알아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전기적 연결 (V1) 과 전기적 연결 (V2) 사이에서는 각각 전류경로 (21C) 의 섹션 (21C-1) 을 통해 흐르고, 전기적 연결 (V2) 과 전기적 연결 (V3) 사이에서는 각각 전류경로 (21C) 의 섹션 (21C-2) 을 통해 흐른다. 이 이외에, 참조부호 I1 을 가진 화살표들은 전류경로 (21C) 의 섹션 (21C-1) 안의 교류 (I) 의 현재의 전류흐름 방향을 표시하며, 참조부호 I2 를 가진 화살표들은 (동일한 특정 시점을 위한) 전류경로 (21C) 의 섹션 (21C-2) 안의 교류 (I) 의 현재의 전류흐름 방향을 표시한다.
도 34 에서 알아볼 수 있는 바와 같이, 고체 (150) 의 교번자기장을 발생시키는 섹션들 안의 (즉, 섹션들 LC1, LD1, LC2, LD2, LC3, LD3, LC4, LD4, LC5, LD5 안의) 교류 (I) 의 현재의 전류흐름 방향은 각각 그룹 (160) 의 고체들의 교번자기장을 발생시키는 섹션들 안의 (즉, 섹션들 LG1, LG2, LG3, LG4, LG5 안의) 현재의 전류흐름 방향에 대해, 그리고 그룹 (170) 의 고체들의 교번자기장을 발생시키는 섹션들 안의 (즉, 섹션들 LF1, LF2, LF3, LF4, LF5 안의) 현재의 전류흐름 방향에 대해 반대로 향해 있다. 그 결과, 교류 (I) 는 고체 (150) 의 교번자기장을 발생시키는 섹션들 안에서 각각, 그룹들 (160, 170) 의 고체들의 교번자기장을 발생시키는 섹션들 안의 교류 (I) 에 대해 역위상에 있다.
이 실태를 명확하게 하기 위해, 도 39 이 또한 참조된다. 도 39 는 도 27 에 따른 유도 안테나 (20C) 의 아랫 부분의 2 개의 도면 (a) 와 (b) 를 투시도로 나타내며, 이때 이 아랫 부분은 위쪽에서 도 36 에 따른 절단평면 XXXIX-XXXIX 을 따라 절단되어 있고, 따라서 한편으로는 단락요소들 (102B, 102C, 103) 의 공간적 배열을 볼 수 있으며, 그리고 다른 한편으로는 고체 (150) 와 그룹들 (160, 170) 의 고체들의 교번자기장을 발생시키는 섹션들의 공간적 배열을 볼 수 있다. 이때, 도면 (b) 에서, 각각 도시되어 있는 화살표들은 단락요소들 (102B, 102C, 103) 안의, 그리고 고체 (150) 와 그룹들 (160, 170) 의 고체들의 교번자기장을 발생시키는 섹션들 안의 교류 (I) 의 현재의 전류흐름 방향을 표시한다.
언급한 바와 같이, 유도 안테나 (20C) 의 경우 납땜선 (L) 의 섹션들 (L1-L10) 각각에는, 고체 (150) 의 교번자기장을 발생시키는 섹션들 중 하나와 그룹 (160) 또는 그룹 (170) 의 고체들 중 하나의 교번자기장을 발생시키는 섹션이 배치되어 있다. 각각의 고체들의 교번자기장을 발생시키는 섹션들은 납땜선 (L) 과 관련된 본질적으로 동일한 간격을 가질 수 있다. 그러므로, 유도 안테나 (20C) 의 경우, 교류 (I) 가 상기 납땜선의 한 특정 섹션에서 발생시키는 교번자기장은 각각, 교류 (I) 가 고체들의 교번자기장을 발생시키는 2 개의 여러 가지 섹션의 주변에서 발생시키는 교번자기장들의 중첩이다. 이 실태를 명확하게 하기 위해, 도 40 이 참조된다.
도 40 은 도 4 에 따른 태양전지 (1) 및 리본 (5) 과 조합된, 도 36 에 따른 절단평면 (B-B) 을 따른 횡단면에 있어서의 유도 안테나 (20C) 를 나타내며, 이때 리본 (5) 은 납땜선 (L) 을 따라 태양전지 (1) 의 전류 수집 바아 (3) 의 세로방향으로 뻗어 있다. 도 36 에 따른 절단평면 (B-B) 은 상기 납땜선의 섹션 (L1) 의 영역에 놓여 있다. 도 40 에서는, 특히 고체 (150) 의 교번자기장을 발생시키는 섹션 (LC1) 과 고체 (170-1) 의 교번자기장을 발생시키는 섹션 (LF1) 을 볼 수 있다. 섹션들 (LC1, LF1) 은 납땜평면 (LE) 의 여러 가지 측면 (S1 또는 S2) 에서 납땜선 (L) 에 대해, 그리고 납땜평면 (LE) 에 대해 본질적으로 평행으로 뻗어 있다. 이 이외에, 도 40 에는, 교번자기장의 다수의 장선의 공간적 진로가 파선들을 이용해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으며, 상기 파선들은 교번자기장을 발생시키는 섹션들 (LC1, LF1) 을 둘러싼다. 각각의 장선들은 각각 (이 경우 참조부호 H 로 표시된) 화살표 꼭대기를 갖고 있으며, 상기 화살표 꼭대기는, 각각 도 27 에 표시되어 있는 교류 (I) 의 현재의 전류방향을 위해, 각각의 장선을 따른 교번자기장의 현재의 방향을 표시한다. 본 경우, 교번자기장을 발생시키는 섹션들 (LC1, LF1) 은 각각 정사각형 횡단면을 가지며, 그리고 납땜평면 (LE) 에 대해 대칭적으로 배치되어 있다. 이에 상응하여, 교번자기장의 장선들은 마찬가지로 납땜평면 (LE) 에 대해 대칭적으로 뻗어 있다. 섹션 (LC1) 안의 교류 (I) 는 섹션 (LF1) 안의 교류 (I) 에 대해 역위상에 있기 때문에, (교류 (I) 가 섹션 (LC1) 의 주변에서 발생시키는 교번자기장과 교류 (I) 가 섹션 (LF1) 의 주변에서 발생시키는 교번자기장의 중첩에 의해) 납땜선 (L) 에서는 교번자기장이 발생하며, 상기 교번자기장은 납땜평면 (LE) 에 대해 평행으로 향해 있다. 도 40 에서, 참조부호 H1 를 가진 화살표는 섹션 (L1) 의 영역 안의 납땜선 (L) 상의 한 점 (point) 을 위한 이 교번자기장의 장의 세기를 나타낸다.
상기 납땜선의 섹션 (L2) 에서, 고체 (150) 의 교번자기장을 발생시키는 섹션 (LD1) 은 납땜평면 (LE) 의 측면 (S2) 에 배치되어 있고, 고체 (160-2) 의 교번자기장을 발생시키는 섹션 (LG1) 은 납땜평면 (LE) 의 측면 (S1) 에 배치되어 있으며, 그리고 섹션 (LC1) 안의 교류 (I) 는 섹션 (LD1) 안의 교류 (I) 에 대해서는 동위상에 있고, 그리고 교번자기장을 발생시키는 섹션들 (LF1, LG1) 안의 교류 (I) 에 대해서는 역위상에 있다는 것을 참조하도록 한다. 이에 상응하여, 납땜선 (L) 에서의 섹션 (L2) 안의 교류 (I) 는 교번자기장 (도 27 에 따른 H2) 을 발생시키며, 상기 교번자기장은 도 40 에 따른 교번자기장 (H1) 에 대해 반대로 향해 있고, 그리고 이로써 상기 납땜선의 섹션 (L1) 안의 교번자기장 (H1) 에 대해 역위상에 있다.
고체 (150) 의 교번자기장을 발생시키는 섹션들은, 납땜선 (L) 을 따라 각각의 섹션들 (L1-L10) 에서 교대로 납땜평면 (LE) 의 한 측면에 그리고 납땜평면 (LE) 의 다른 측면에 배치되어 있도록 납땜선 (L) 을 따라 일렬로 잇달아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납땜선의 일렬로 바로 잇달아 뒤따르는 2 개의 섹션들 안의 교번자기장들은 각각 서로 역위상에 있다.
고체 (150) 와 그룹들 (160, 170) 의 고체들의 교번자기장을 발생시키는 섹션들의 상기 배열은, 납땜평면 (LE)에 대해 수직인 방향에 있어서 극단적으로 좁은 공간영역에 집중되어 있는 그리고 유도 안테나 (20C) 의 유효 길이 (Leff) 의 전체 영역에 걸쳐 균일한 교번자기장의 발생을 가능하게 한다. 교번자기장들의 균일성을 최적화하기 위해, 전류경로 (21C) 의 여러 가지 섹션은 예컨대 다음과 같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예컨대, 고체 (150) 와 그룹들 (160, 170) 의 고체들의 교번자기장을 발생시키는 여러 가지 섹션은, 특히 도 28 및 도 30 내지 도 34 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각각 직선으로 납땜선 (L) 에 대해 본질적으로 평행으로 뻗어 있도록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예컨대, 한쌍씩 배치되어 있는, 교번자기장을 발생시키는 여러 가지 섹션 (예컨대, 섹션들 (LC1 과 LF1) 및/또는 섹션들 (LD1 과 LG1) 은 도 35 및 도 40 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납땜평면 (LE) 과 관련하여 서로 상대적으로 거울 대칭적으로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예컨대, 고체 (150) 의 섹션들 (LC1, LC2, LC3, LC4 및/또는 LC5) 은 하나의 직선 상에 (예컨대, 도 30 안의 도면 (c) 에 따른 직선 (G1) 상에) 배치되어 있을 수 있고, 그리고 이 직선을 따라 뻗어 있을 수 있다. 상응하여, 고체 (150) 의 섹션들 (LD1, LD2, LD3, LD4 및/또는 LD5) 은 하나의 직선 상에 (예컨대, 도 30 안의 도면 (c) 에 따른 직선 (G2) 상에) 배치되어 있을 수 있고, 그리고 이 직선을 따라 뻗어 있을 수 있다. 예컨대, 고체 (150) 의 섹션들 (LC1, LC2, LC3, LC4 및/또는 LC5) 과 섹션들 (LG1, LG2, LG3, LG4, LG5) 은 하나의 직선 상에 (예컨대 도 28 에 따른 직선 (G1) 상에) 놓여 있을 수 있고, 그리고 이 직선을 따라 뻗어 있을 수 있다. 마찬가지로, 고체 (150) 의 섹션들 (LD1, LD2, LD3, LD4 및/또는 LD5) 과 섹션들 (LF1, LF2, LF3, LF4, LF5) 은 하나의 직선 상에 (예컨대, 도 28 에 따른 직선 (G2) 상에) 놓여 있을 수 있고, 그리고 이 직선을 따라 뻗어 있을 수 있다. 이때, 상기 언급된 직선들은 납땜평면 (LE) 에 대해 평행으로 놓여 있다.
이 이외에, 한쌍씩 납땜선 (L) 의 섹션들 (L1-L10) 중 하나에 배치되어 있는, 교번자기장을 발생시키는 섹션들은 (예컨대, 섹션들 (LC1 과 LF1) 및/또는 섹션들 (LG1 과 LD1)) 각각 홀드다운 요소들 (P1-P11) 중 각각 2 개 사이의 중간 공간들 (Z1-Z10) 중 하나 안에 배치되어 있을 수 있으며, 그리고 예컨대 도 27 및 도 35 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이 2 개의 홀드다운 요소들 중 하나로부터 이 2 개의 홀드다운 요소들 중 다른 것까지 바람직하게는 직선으로 뻗어 있을 수 있다.
이하, 도 41 내지 도 47 과 관련하여, 본 발명에 따른 납땜장치 (15) 의 3 개의 여러 가지 변형이 설명되며, 상기 변형들은, 납땜장치 (15) 의 각각의 변형의 유도 안테나 안의 교류 (I) 가 관의 형태로 형성되어 있는 전류경로에서 안내되어 있다는 공통점을 가진다. 교류 (I) 에 의해 발생된 열을 배출시키기 위해, 이러한 유형의 관은 예컨대 상기 관을 통해 흐르는 냉각유체를 이용해 직접적으로 냉각될 수 있다. 교류 (I) 를 납땜선 (L) 을 따라 납땜선 (L) 에 대한 서로 다른 간격들을 두고 안내할 수 있기 위해, 이러한 유형의 관은 예컨대 굽힘에 의해 적합하게 성형되어야 한다. 이와 관련하여, 이러한 유형의 관은, 상기 관의 손상을 저지하기 위해 5 mm 보다 큰 곡률반경을 갖고만 구부러질 수 있다는 것에 주의하도록 한다. 이는 구부러진 관의 형태로 실현되어야 하는 전류경로의 공간요구와 관련하여 여러 가지 주변조건을 초래한다. 이는 특히 상기 리본을 억누르기 위한 각각의 홀드다운 요소들의 형성에 있어 특히 중요하다. 예컨대, 유도 안테나들 (21A-21C) 과 관련하여 나타나 있는 홀드다운 요소들 (P1-P11) 이 구부러진 관으로 형성된 전류경로와 조합되어야 하면, 5 mm 보다 큰 곡률반경을 가진 상기 관은 각각의 홀드다운 요소들 둘레에 안내되어야 한다. 이와 관련하여, 예컨대, 홀드다운 요소들 (P1-P11) 은 전형적으로 8 내지 24 mm 의 간격들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는 것에 주의하도록 한다. 이 상황에서, 구부러진 관으로 형성된 전류경로는 홀드다운 요소들 (P1-P11) 에 대해 상대적인 임의적으로 작은 간격들을 두고 배치될 수 없다.
도 41 내지 도 44, 도 45A 및 도 45B 는 본 발명에 따른 납땜장치 (15) 의 제 4 변형을 나타내며, 상기 변형은 (고주파) 교류 (I) 를 위한 전류경로 (21D) 를 가진 유도 안테나 (20D) 를 포함한다.
도 41 은 유도 안테나 (20D) 를 투시도로 나타낸다. 유도 안테나 (20D) 의 전류경로 (21D) 는 관 형태의 전기적 도체 (200) 로 구성되며, 이때 이 도체 (200) 의 각각의 섹션은 전류경로 (21D) 의 섹션을 형성한다. 도체 (200) 는 고리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고, 그리고 본질적으로 평행으로 뻗어 있는 2 개의 도체섹션을 포함하며, 즉 도체 (200) 의 제 1 단부 (200') 를 형성하는 제 1 도체섹션 (200-1) 과 도체 (200) 의 제 2 단부 (200'') 를 형성하는 제 2 도체섹션 (200-2) 을 포함한다. 도체 (200) 의 두 단부 (200', 200'') 는 교류 (I) 를 위한 (도 41 내지 도 44, 도 45A 및 도 45B 에 도시되어 있지 않은) 발전기를 위한 연결부들로서 사용되며, 따라서 교류 (I) 는 두 단부 (200', 200'') 를 통하여 도체 (200) 안으로 커플링인될 수 있거나 또는 도체 (200) 밖으로 커플링아웃될 수 있다. 이 이외에, 도체 (200) 의 두 단부 (200', 200'') 를 냉각유체를 위한 라인에 연결시키는 것이 가능하고, 따라서 냉각유체 흐름 (KF) 은 도체 (200) 를 통해 흐를 수 있다.
도 41 이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도 안테나 (20D) 는 또한 지지 구조체 (210) 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 구조체에는 도체 (200) 가 고정되어 있고, 그리고 상기 지지 구조체는, 도체 (200) 를 태양전지에 대해 상대적으로 배치시키고 그리고 상기 태양전지에 대해 상대적인 위치에 유지시키기 위해 사용된다 (도 45A 및 도 45B 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전기적 도체 (200) 를 지지 구조체 (210) 에 고정시키기 위해, 두 도체섹션 (200-1, 200-2) 은 각각 지지 구조체 (210) 의 전방 단부섹션 (210') 및 후방 단부섹션 (210'') 과 연결되어 있다.
도 41 내지 도 44, 도 45A 및 도 45B 와 관련하여 도시되어 있는 본 발명에 따른 납땜장치 (15) 또는 유도 안테나 (20D) 와 관련하여, 납땜장치 (15) 는 본 예에서 홀드다운 요소들 (230, 231) 을 포함하며, 상기 홀드다운 요소들은 탄성 구조체들로서 형성되어 있고, 그리고 고정수단 (232) 들을 이용해 지지 구조체 (210) 에 고정되어 있다는 것을 참조하도록 한다. 본 예에서, 홀드다운 요소들 (230, 231) 은 지지 구조체 (210) 의 마주하고 있는 쪽들에 고정되어 있다.
유도 안테나 (20D) 를 이용해 리본 (5) 을 태양전지 (1) 의 전류 수집 바아 (3) 에 납땜하기 위해, 지지 구조체 (210) 는 태양전지 (1) 에 대해 미리 정해져 있는 위치로 데려가질 수 있으며, 상기 위치에서, 지지 구조체 (210) 뿐만 아니라 도체 (200) 도 전류 수집 바아 (3) 의 세로방향으로 뻗어 있다. 이러한 유형의 상황은 도 44, 도 45A 및 도 45B 에 도시되어 있다. 도 44 는 유도 안테나 (20D) 를 측면도로 나타내며, 이때 지지 구조체 (210) 는 납땜선 (L) 에 대해 평행으로 뻗어 있다. 도 45A 는 도 44 에 따른 절단평면 (A-A) 을 통한 절단에 있어서의 유도 안테나 (20D) 의 횡단면을 나타내며, 도 45B 는 도 44 에 따른 절단평면 (B-B) 을 통한 절단에 있어서의 유도 안테나 (20D) 의 횡단면을 나타내고, 이때 절단평면들 (A-A, B-B) 은 납땜선 (L) 에 대해 수직으로 정렬되어 있다.
도 45A 및 도 45B 에 따른 도면에서, 납땜선 (L) 은 전류 수집 바아 (3) 의 표면에서, 전류 수집 바아 (3) 의 세로방향으로 뻗어 있으며, 리본 (5) 은 전류 수집 바아 (3) 의 표면 상에 놓여 있고, 그리고 납땜선 (L) 의 세로방향에서 뻗어 있다. 도 45A 및 도 45B 에는 또한 납땜평면 (LE) 이 도시되어 있으며, 상기 납땜평면은 태양전지 (1) 의 표면에 대해 본질적으로 수직으로 배치되어 있고, 이때 납땜선 (LE) 은 납땜평면 (L) 에 놓여 있다.
도 45A 및 도 45B 에 도시되어 있는 상황에서, 도체섹션들 (200-1, 200-2) 은 - 공기 틈새 (LS) 에 의해 납땜선 (L) 으로부터 분리되어 - 납땜선 (L) 을 따라 뻗어 있다.
도 45A 및 도 45B 에서 또한 알아볼 수 있는 바와 같이, 홀드다운 요소 (230) 들은 각각 적어도 하나의 섹션 (230e) 을 구비하며, 상기 섹션은 공기 틈새 (LS) 안으로 돌출한다. 상응하여, 홀드다운 요소 (231) 들은 각각 적어도 하나의 섹션 (231e) 을 구비하며, 상기 섹션은 마찬가지로 공기 틈새 (LS) 안으로 돌출한다. 지지 구조체 (210) 가 도 45A 및 도 45B 에 따른 미리 정해져 있는 위치로 데려가져 있으면, 각각 참조부호 (230a) 로 표시된 섹션 (230e) 의 영역은 리본 (5) 과 접촉하게 되며, 그리고 각각 참조부호 (231a) 로 표시된 섹션 (231e) 의 영역은 리본 (5) 과 접촉하게 되고, 이때 홀드다운 요소들 (230, 231) 은, 상기 각각의 적어도 하나의 섹션 (230e, 231e) 과 함께, 전류 수집 바아 (3) 의 표면에 대해 수직으로 향한 힘 (F) 이 리본 (5) 에 전달되도록 변형되어 있다. 알아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적어도 각각의 영역 (230a) 안의) 섹션 (230e) 들과 (적어도 각각의 영역 (231a) 안의) 섹션 (231e) 들은 각각 전류 수집 바아 (3) 의 표면에 대해 접선으로 뻗어 있다. 알아볼 수 있는 바와 같이, 홀드다운 요소들 (230, 231) 은, 홀드다운 요소 (230) 들의 각각의 섹션 (230e) 들과 홀드다운 요소 (231) 들의 각각의 섹션 (231e) 들이 비어 있는 공간영역 (R) 을 한정하도록 납땜선 (L) 을 따라 일렬로 잇달아 배치되어 있다. 이 비어 있는 공간 (R) 은 지지 구조체 (210) 와 각각의 섹션들 (230e, 231e) 사이에 납땜선 (L) 의 세로방향으로 지지 구조체 (210) 의 전체 길이에 걸쳐 뻗어 있으며, 그리고 도체 (200) 를 수용하기 위한 자리를 제공한다 (도 41).
도 41 내지 도 44, 도 45A 및 도 45B 가 나타내는 바와 같이, 두 도체섹션 (200-1, 200-2) 은 납땜평면 (LE) 에 대해 또는 납땜선 (L) 에 대해 본질적으로 평행으로 배치되어 있다. 두 도체섹션 (200-1, 200-2) 은 일직선이 아니다. 특히 도 42 내지 도 44 에서 알아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도체섹션 (200-1) 은 직선 섹션들 (A1, A2) 의 연속으로 구성되며, 상기 섹션들은 각각 납땜선 (L) 에 대한 서로 다른 간격을 갖는다. 이때, 도체섹션 (200-1) 의 세로방향으로, 섹션들 (A1, A2) 은 각각 교대로 서로 나란히 뒤따른다. 이때, 섹션 (A1) 은 섹션 (A2) 보다 납땜선 (L) 으로부터의 보다 작은 간격을 갖는다. 도체섹션 (200-2) 은 (도체섹션 (200-1) 과 비슷하게) 직선 섹션들 (B1, B2) 의 연속으로 구성되며, 상기 섹션들은 각각 납땜선 (L) 에 대한 서로 다른 간격을 갖는다. 이때, 도체섹션 (200-2) 의 세로방향으로, 섹션들 (B1, B2) 은 각각 교대로 서로 나란히 뒤따른다. 이때, 섹션 (B1) 은 섹션 (B2) 보다 납땜선 (L) 에 대한 보다 작은 간격을 갖는다. 이때, 도체섹션들 (200-1, 200-2) 은, 도체섹션 (200-1) 의 섹션 (A1) 들과 도체섹션 (200-2) 의 섹션 (B1) 들이, 특히 도 43 및 도 44 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교대로 잇달아 하나의 직선 (G) 상에 놓여 있도록 서로 상대적으로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직선은 납땜평면 (LE) 에서, 납땜선 (L) 에 대해 본질적으로 평행으로 뻗어 있다.
교류 (I) 를 위한 발전기가 도체 (200) 의 단부들 (200', 200'') 에 연결되어 있으면, 그리고 이로써 교류 (I) 가 두 단부 (200', 200'') 를 통하여 도체섹션들 (200-1, 200-2) 안으로 커플링인되거나 또는 도체섹션들 (200-1, 200-2) 밖으로 커플링아웃되면, 이 교류 (I) 는, 교류 (I) 가 납땜선 (L) 에서 및/또는 납땜선 (L) 의 주변에서 교번자기장을 발생시키도록 전류경로 (21D) 를 통해 흐른다. 이때, 교류 (I) 는 도체섹션 (200-1) 으로 형성되어 있는 전류경로 (21D) 의 섹션 안에서, 도체섹션 (200-2) 으로 형성되어 있는 전류경로 (21D) 의 섹션 안의 교류 (I) 에 대해 역위상에 있다. 도 41 및 도 43 에서, 참조부호 I 를 가진 화살표들은 도체 (200) 또는 전류경로 (21D) 의 여러 가지 섹션 안의 교류 (I) 의 현재의 전류흐름 방향을 표시한다 (특정 시점을 위한): 알아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도체섹션 (200-1) 으로 형성된 전류경로 (21D) 의 섹션 안의 교류 (I) 의 현재의 전류흐름 방향은 도체섹션 (200-2) 으로 형성된 전류경로 (21D) 의 섹션 안의 교류 (I) 의 현재의 전류흐름 방향에 대해 반대로 향해 있다. 그 결과, 모든 섹션 (A1) 들 안의 교류 (I) 의 현재의 전류흐름 방향은 각각의 섹션 (B1) 들 안의 교류 (I) 의 현재의 전류흐름 방향에 대해 반대로 향해 있으며, 즉 교류 (I) 는 모든 섹션 (A1) 들에서 각각 동위상에 있고 그리고 섹션 (A1) 들 각각 안에서, 섹션 (B1) 들 안의 교류 (I) 에 대해서는 각각 역위상에 있다.
언급한 바와 같이, 섹션들 (A2, B2) 은 섹션들 (A1, B1) 보다 상기 납땜선에 대한 보다 큰 간격을 갖는다. 본 경우에서, 상기 납땜선에 대한 섹션들 (A2, B2) 의 간격들은, 도체섹션 (200-1) 의 섹션 (A1) 에 놓여 있는 납땜선 (L) 의 영역들에서 교번자기장이 본질적으로 이 섹션 (A1) 안의 교류 (I) 에 의해 결정되어 있도록 선택되어 있다. 상응하여, 도체섹션 (200-2) 의 섹션 (B1) 에 놓여 있는 납땜선 (L) 의 영역들에서, 교번자기장은 본질적으로 이 섹션 (B1) 안의 교류 (I) 에 의해 결정된다.
도 44 에는, 납땜선 (L) 의 여러 가지 섹션이 참조부호 L1, L2, L3, L4, L5, L6, L7, L8, L9 로 표시되어 있다. 도 43 및 도 44 에서 알아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납땜선 (L) 의 섹션들 (L1-L9) 각각은 홀드다운 요소 (230) 들 중 하나와 홀드다운 요소 (231) 들 중 하나 사이에 뻗어 있다. 이때, 섹션들 (L1, L3, L5, L7, L9) 에서는 각각 도체섹션 (200-2) 의 섹션 (B1) 들 중 하나가 납땜선 (L) 을 따라 뻗어 있다 (각각 공기 틈새에 의해 납땜선 (L) 으로부터 분리되고, 그리고 납땜선 (L) 에 대해 본질적으로 평행으로). 상응하여, 납땜선 (L) 의 섹션들 (L2, L4, L6, L8) 에서는 각각 도체섹션 (200-1) 의 섹션 (A1) 들 중 하나가 납땜선 (L) 을 따라 뻗어 있다 (각각 공기 틈새에 의해 납땜선 (L) 으로부터 분리되고, 그리고 납땜선 (L) 에 대해 본질적으로 평행으로).
도체섹션 (200-1) 의 모든 섹션 (A1) 들 안의 교류 (I) 가 각각 동위상에 있고 그리고 섹션 (A1) 들 각각 안에서, 섹션 (B1) 들 안의 교류 (I) 에 대해서는 각각 역위상에 있기 때문에, 섹션들 (L2, L4, L6, L8) 안의 교류 (I) 가 발생시키는 교번자기장들은 섹션들 (L1, L3, L5, L7) 안의 교류 (I) 가 발생시키는 교번자기장들에 대해 각각 역위상에 있다. 이 실태를 명확하게 하기 위해, 도 45A 및 도 45B 가 참조된다. 도 45A 에서, 참조부호 H1 으로 표시된 화살표는 섹션 (L1) 의 가운데에 놓여 있는 납땜선 (L) 상의 한 점에서의 교번자기장의 (도 41 에 표시되어 있는 교류 (I) 의 현재의 전류흐름 방향을 위해) 자기장의 세기 (H1) 의 현재의 방향을 나타낸다. 도 45B 에서, 참조부호 H2 로 표시되어 있는 화살표는 섹션 (L2) 의 가운데에 놓여 있는 납땜선 (L) 상의 한 점에서의 교번자기장의 (도 41 에 표시되어 있는 교류 (I) 의 현재의 전류흐름 방향을 위해) 자기장의 세기의 현재의 방향을 나타낸다. 알아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섹션 (L1) 안의 자기장의 세기 (H1) 는 섹션 (L2) 안의 자기장의 세기 (H2) 에 대해 반대로 향해 있다 (그리고 이로써 역위상에 있다). 이때, 납땜선 (L) 에서의 자기장의 세기들 (H1, H2) 은 각각 납땜평면 (LE) 에 대해 본질적으로 수직으로 향해 있다.
도 46 은 본 발명에 따른 납땜장치 (15) 의 제 5 변형을 나타내며, 상기 변형은 (고주파) 교류 (I) 를 위한 전류경로 (21E) 를 가진 유도 안테나 (20E) 를 포함한다.
도 46 은 납땜평면 (LE) 및 납땜선 (L) 에 대해 상대적인 배열에 있어서 유도 안테나 (20E) 를 투시도로 나타내며, 이때 납땜선 (L) 은 납땜평면 (LE) 에 놓여 있다. 유도 안테나 (20E) 의 전류경로 (21E) 는 관 형태의 전기적 도체 (250) 로 구성되며, 이때 도체 (250) 의 각각의 섹션은 전류경로 (21E) 의 섹션을 형성한다.
도체 (250) 는 고리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납땜선 (L) 을 따라 뻗어 있는 2 개의 도체섹션 (251, 252) 을 포함한다. 이 이외에, 유도 안테나 (20E) 는 도체 (250) 를 위한 지지 구조체 (260) 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 구조체는 본 예에서 납땜평면 (LE) 에 배치되어 있고, 그리고 납땜선 (L) 을 따라 뻗어 있다. 이때, 도체 (250) 는 지지 구조체 (260) 의 납땜선 (L) 을 향하는 쪽에 배치되어 있고, 그리고 상기 지지 구조체에 고정되어 있다.
이 이외에, 납땜장치 (15) 는 태양전지의 전류 수집 바아의 표면에 리본을 억누르기 위한 다수의 홀드다운 장치로 이루어진 배열체를 포함하며, 상기 홀드다운 장치들 중 도 46 에서는 2 개의 홀드다운 장치 (N1, N2) 를 볼 수 있고, 이때 홀드다운 장치 (N1) 는 홀드다운 요소 (P1) 를 포함하며, 홀드다운 장치 (N2) 는 홀드다운 요소 (P2) 를 포함한다. 홀드다운 요소들 (P1, P2) 은 (도 4 에 따른 홀드다운 요소들 (P1, P2) 처럼) 핀으로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핀들은 납땜평면 (LE) 에서 납땜선 (L) 에 대해 본질적으로 수직으로 뻗어 있고, 그리고 각각 지지 구조체 (260) 안에 형성된 채널 안에 배치되어 있다.
도 46 에는 지지 구조체 (260) 의 일부와 전류경로 (21E) 또는 도체 (250) 의 일부만 도시되어 있다는 것을 참조하도록 한다. 즉, 도 46 에서는, 전기적으로 직렬로 접속되어 있도록 도체섹션들 (251, 252) 이 서로 연결되어 있는 것을 볼 수 없다.
도체 (250) 는 교류 (I) 를 위한 (도 46 에 도시되어 있지 않은) 발전기에 연결될 수 있으며, 따라서 교류 (I) 는 도체 (250) 안으로 커플링인될 수 있거나 또는 도체 (250) 밖으로 커플링아웃될 수 있고, 그리고 도체섹션들 (251, 252) 안에서 납땜선 (L) 을 따라 흐를 수 있다. 도 46 에서, 참조부호 I 를 가진 화살표들은 전류경로 (250E) 또는 도체섹션들 (251, 252) 의 여러 가지 섹션 안의 교류 (I) 의 현재의 전류방향을 표시한다. 알아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도체섹션 (251) 안의 교류 (I) 의 현재의 전류흐름 방향은 도체섹션 (252) 안의 교류 (I) 의 현재의 전류흐름 방향에 대해 반대로 향해 있고, 따라서 도체섹션 (251) 안의 교류 (I) 는 도체섹션 (252) 안의 교류 (I) 에 대해 역위상에 있다.
도 46 에서 알아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도체섹션들 (251, 252) 은, 도체섹션 (251) 뿐만 아니라 도체섹션 (252) 도 납땜평면 (LE) 의 제 1 측면에서 뻗어 있는 하나 또는 다수의 섹션을 구비하도록, 그리고 도체섹션 (251) 뿐만 아니라 도체섹션 (252) 도 납땜평면 (LE) 의 제 1 측면 (S1) 과 마주하고 있는 제 2 측면 (S2) 에서 뻗어 있는 하나 또는 다수의 섹션을 구비하도록 구부러져 있고, 그리고 서로 꼬여져 있다.
도 46 에서 알아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도체섹션 (251) 은 섹션 (251-A1) 을 구비하며, 상기 섹션은 전류경로 (21E) 의 제 1 섹션을 형성하고, 그리고 납땜평면 (LE) 의 제 1 측면 (S1) 에서 납땜평면 (LE) 에 대한 간격을 두고 납땜선 (L) 의 제 1 섹션 (L1) 을 따라 - 공기 틈새에 의해 납땜선 (L) 의 이 섹션 (L1) 로부터 분리되어 - 뻗어 있다 (알아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섹션 (L1) 은 홀드다운 요소 (P1) 의 근처에 있다). 이 이외에, 도체섹션 (251) 은 섹션 (251-B1) 을 구비하며, 상기 섹션은 전류경로 (21E) 의 제 2 섹션을 형성하고, 그리고 납땜평면 (LE) 의 측면 (S2) 에서 납땜평면 (LE) 에 대한 간격을 두고 납땜선 (L) 의 제 2 섹션 (L2) 을 따라 - 공기 틈새에 의해 납땜선 (L) 의 이 섹션 (L2) 으로부터 분리되어 - 뻗어 있다 (알아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섹션 (L2) 은 홀드다운 요소 (P2) 의 근처에 있다).
도 46 에서 알아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도체섹션 (252) 은 섹션 (252-A1) 을 구비하며, 상기 섹션은 전류경로 (21E) 의 제 3 섹션을 형성하고, 그리고 납땜평면 (LE) 의 측면 (S1) 에서 납땜평면 (LE) 에 대한 간격을 두고 납땜선 (L) 의 섹션 (L2) 을 따라 - 공기 틈새에 의해 납땜선 (L) 의 이 섹션 (L2) 로부터 분리되어 - 뻗어 있다. 이 이외에, 도체섹션 (252) 은 섹션 (252-B1) 을 구비하며, 상기 섹션은 전류경로 (21E) 의 제 4 섹션을 형성하고, 그리고 납땜평면 (LE) 의 측면 (S2) 에서 납땜평면 (LE) 에 대한 간격을 두고 납땜선 (L) 의 섹션 (L1) 을 따라 - 공기 틈새에 의해 납땜선 (L) 의 이 섹션 (L1) 으로부터 분리되어 - 뻗어 있다.
언급한 바와 같이, 또는 도체섹션들 (251, 252) 안의 교류 (I) 의 도시되어 있는 전류흐름 방향들을 근거로 도 46 에서 알아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섹션 (251-A1) (즉, 전류경로 (21E) 의 제 1 섹션) 과, 섹션 (251-B1) (즉, 전류경로 (21E) 의 제 2 섹션) 과, 섹션 (252-A1) (즉, 전류경로 (21E) 의 제 3 섹션) 과, 섹션 (252-B1) (즉, 전류경로 (21E) 의 제 4 섹션) 은 전기적으로 일렬로 직렬접속되어 있고, 따라서 섹션 (251-A1) 안의 교류 (I) 는 섹션 (251-B1) 안의 교류 (I) 와 동위상에 있으며, 섹션 (252-A1) 안의 교류 (I) 에 대해서는 그리고 섹션 (252-B1) 안의 교류 (I) 에 대해서는 역위상에 있다.
본 예에서, 섹션들 (251-A1, 252-B1) 은 납땜평면 (LE) 의 여러 가지 측면 (S1, S2) 에 배치되어 있고, 그리고 섹션 (L1) 의 영역에서 각각 납땜선 (L) 에 대한 거의 동일한 간격을 두고 납땜선 (L) 을 따라 뻗어 있으며, 이때 섹션 (251-A1) 안의 교류 (I) 의 전류흐름 방향은 섹션 (252-B1) 안의 교류 (I) 의 전류흐름 방향에 대해 반대로 향해 있다. 그렇기 때문에, 교류 (I) 는 섹션 (L1) 의 영역에서 교번자기장 (H1) 을 발생시키며, 상기 교번자기장은, 섹션 (251-A1) 을 통해 흐르는 교류가 이 섹션의 주변에서 발생시키는 교번자기장과 섹션 (252-B1) 을 통해 흐르는 교류가 이 섹션의 주변에서 발생시키는 교번자기장의 중첩으로 인해 발생한다. 도 46 에서, 참조부호 H1 으로 표시된 화살표들은 섹션 (L1) 안에 놓여 있는 납땜선 (L) 상의 점들을 위한 교번자기장의 자기장의 세기를 나타낸다 (도 46 에 표시되어 있는 교류 (I) 의 전류흐름 방향을 위해).
상응하여, 섹션들 (252-A1, 251-B1) 은 납땜평면 (LE) 의 여러 가지 측면 (S1, S2) 에 배치되어 있고, 그리고 섹션 (L2) 의 영역에서 각각 납땜선 (L) 에 대한 거의 동일한 간격을 두고 납땜선 (L) 을 따라 뻗어 있으며, 이때 섹션 (252-A1) 안의 교류 (I) 의 전류흐름 방향은 섹션 (251-B1) 안의 교류 (I) 의 전류흐름 방향에 대해 반대로 향해 있다. 그렇기 때문에, 교류 (I) 는 섹션 (L2) 의 영역에서 교번자기장 (H2) 를 발생시키며, 상기 교번자기장은, 섹션 (252-A1) 을 통해 흐르는 교류가 이 섹션의 주변에서 발생시키는 교번자기장과 섹션 (251-B1) 을 통해 흐르는 교류가 이 섹션의 주변에서 발생시키는 교번자기장의 중첩으로 인해 발생한다. 도 46 에서, 참조부호 H2 로 표시된 화살표들은 섹션 (L2) 안에 놓여 있는 납땜선 (L) 상의 점들을 위한 교번자기장의 자기장의 세기를 나타낸다 (도 46 에 표시되어 있는 교류 (I) 의 전류흐름 방향을 위해).
알아볼 수 있는 바와 같이, 교번자기장들 (H1, H2) 은 납땜평면 (LE) 에 대해 본질적으로 평행으로 그리고 납땜선 (L) 에 대해 수직으로 향해 있다. 교번자기장 (H1) 의 현재의 방향은 교번자기장 (H2) 의 현재의 방향에 대해 반대로 향해 있고, 따라서 섹션 (L1) 안의 교번자기장 (H1) 은 섹션 (L2) 안의 교번자기장 (H2) 에 대해 역위상에 있다.
교번자기장들 (H1 또는 H2) 의 좋은 균일성을 달성하기 위해, 섹션 (251-A1) 은 납땜평면 (LE) 과 관련하여 섹션 (252-B1) 에 대해 거울 대칭적으로 형성되어 있을 수 있고, 또는 섹션 (252-A1) 은 납땜평면 (LE) 과 관련하여 섹션 (251-B1) 에 대해 거울 대칭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때, 도체섹션들 (251, 252) 은 서로 꼬여져 있을 수 있다.
본 예에서, 섹션 (251-A1) 과 섹션 (252-B1) 사이에는 비어 있는 공간영역 (R1) 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공간영역은, 홀드다운 요소 (P1) 가 이 비어 있는 공간영역 (R1) 을 통해 뻗어 있도록 치수화되어 있다. 상응하여, 섹션 (251-B1) 과 섹션 (252-A1) 사이에는 비어 있는 공간영역 (R2) 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공간영역은, 홀드다운 요소 (P2) 가 이 비어 있는 공간영역 (R2) 을 통해 뻗어 있도록 치수화되어 있다.
도 47 은 본 발명에 따른 납땜장치 (15) 의 제 6 변형을 나타내며, 상기 변형은 (고주파) 교류 (I) 를 위한 전류경로 (21F) 를 가진 유도 안테나 (20F) 를 포함한다.
도 47 은 납땜평면 (LE) 및 납땜선 (L) 에 대해 상대적인 배열에 있어서 유도 안테나 (20F) 를 투시도로 나타내며, 이때 납땜선 (L) 은 납땜평면 (LE) 에 놓여 있다. 유도 안테나 (20F) 의 전류경로 (21F) 는 관 형태의 전기적 도체 (300) 로 구성되며, 이때 도체 (300) 의 각각의 섹션은 전류경로 (21F) 의 섹션을 형성한다.
이 이외에, 유도 안테나 (20F) 는 도체 (300) 를 위한 지지 구조체 (310) 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 구조체는 본 예에서 납땜평면 (LE) 에 배치되어 있고, 그리고 납땜선 (L) 을 따라 뻗어 있다. 이때, 도체 (300) 는 지지 구조체 (310) 의 납땜선 (L) 을 향하는 쪽에 배치되어 있고, 그리고 상기 지지 구조체에 고정되어 있다.
이 이외에, 납땜장치 (15) 는 태양전지의 전류 수집 바아의 표면에 리본을 억누르기 위한 다수의 홀드다운 장치 (N1-N5) 로 이루어진 배열체를 포함한다. 홀드다운 장치들 (N1, N2, N3, N4, N5) 각각은 홀드다운 요소 (P1, P2, P3, P4, P5) 를 포함하며, 이때 홀드다운 요소들 (P1-P5) 은 (도 4 에 따른 홀드다운 요소들 (P1-P11) 처럼) 핀으로서 형성되어 있고, 상기 핀들은 납땜평면 (LE) 에서 납땜선 (L) 에 대해 본질적으로 수직으로 뻗어 있으며, 그리고 각각 지지 구조체 (310) 안에 형성되어 있는 채널 안에 배치되어 있다. 이때, 홀드다운 요소들 (P1-P5) 은 일렬로 잇달아 납땜선 (L) 을 따라 배치되어 있다.
도 47 에서 알아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도체 (300) 는 고리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2 개의 레그 (leg, 300-1, 300-2) 를 구비하고, 이때 레그 (300-1) 의 한 단부는 레그 (300-2) 의 한 단부와 연결되어 있다. 레그 (300-1) 는, 다수의 분리된 장소들에서 납땜평면 (LE) 을 가로지르도록 구불구불한 형태로 납땜선 (L) 을 따라 뻗어 있으며, 따라서 레그 (300-1) 는, 그의 세로방향에서 잇달아 뒤따르는 다수의 세로방향 섹션 을 구비하고, 상기 세로방향 섹션들은 - 각각, 만곡된 및/또는 일부 섹션들에서는 만곡된 및/또는 일부 섹션들에서는 직선인 곡선을 따라 - 교대로 납땜평면 (LE) 의 한 측면 (S1) 에서 그리고 납땜평면 (LE) 의 다른 측면 (S2) 에서 뻗어 있다. 본 예에서, 레그 (300-1) 는 각각 2 개의 분리된 장소들에서, 2 개의 이웃한 홀드다운 요소들 (P1 과 P2, 또는 P2 와 P3, 또는 P3 와 P4, 또는 P4 와 P5) 사이의 납땜평면 (LE) 을 가로지른다.
레그들 (300-1, 300-2) 은, 납땜평면 (LE) 에 대해 수직으로 및/또는 태양전지의 표면에 대해 평행으로 배치되어 있는 평면에서 뻗어 있을 수 있다. 레그 (300-2) 는 레그 (300-1) 에 대해 평행으로 뻗어 있을 수 있다 (도 47 에 따른 도면에서처럼). 본 예에서, 레그 (300-2) 는 (레그 (300-1) 처럼) 각각 2 개의 분리된 장소들에서, 2 개의 이웃한 홀드다운 요소들 (P1 과 P2, 또는 P2 와 P3, 또는 P3 와 P4, 또는 P4 와 P5) 사이의 납땜평면 (LE) 을 가로지른다.
교류 (I) 를 위한 발전기는 레그들 (300-1, 300-2) 에 연결될 수 있고, 따라서 교류 (I) 는 도체 (300) 안으로 커플링인될 수 있거나 또는 도체 (300) 밖으로 커플링아웃될 수 있고, 그리고 레그들 (300-1, 300-2) 안에서 납땜선 (L) 을 따라 흐를 수 있다. 도 47 에서, 참조부호 I 를 가진 화살표들은 전류경로 (25F) 의 여러 가지 섹션 안의 또는 레그들 (300-1, 300-2) 안의 교류 (I) 의 현재의 전류방향을 표시한다. 알아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레그 (300-1) 안의 교류 (I) 의 현재의 전류흐름 방향은 레그 (300-2) 안의 교류 (I) 의 현재의 전류흐름 방향에 대해 반대로 향해 있고, 따라서 레그 (300-1) 안의 교류 (I) 는 레그 (300-2) 안의 교류 (I) 에 대해 역위상에 있다. 교류 (I) 는, 납땜선 (L) 에서 교번자기장을 발생시키도록 도체 (300) 안에 안내되어 있다. 도 47 에서 알아볼 수 있는 바와 같이, 교류 (I) 는 납땜선 (L) 에서 교번자기장들을 발생시키며, 상기 교번자기장들은 납땜평면 (LE) 에 대해 본질적으로 평행으로 그리고 납땜선 (L) 에 대해 수직으로 향해 있다. 본 예에서, 참조부호들 (H1-18) 을 가진 화살표들은 각각 납땜선 (L) 상의 여러 가지 점들을 위한 교번자기장들의 장의 세기의 현재의 방향을 표시한다 (각각 도 47 에 표시되어 있는 교류 (I) 의 현재의 전류흐름 방향을 위해).
알아볼 수 있는 바와 같이, 교번자기장들 (H1, H3, H5, H7, H9, H11, H13, H15, H17) 은 동위상에 있다. 이 이외에, 교번자기장들 (H1, H3, H5, H7, H9, H11, H13, H15, H17) 각각은 교번자기장들 (H2, H4, H6, H8, H10, H12, H14, H16, H18) 각각에 대해 역위상에 있다.

Claims (14)

  1. 유도 납땜을 이용해, 직선형 납땜선 (L) 을 따라 태양전지 (1) 의 직선형 전류 수집 바아 (3) 에 전기 전도성 리본 (5) 을 연결시키기 위한 납땜장치 (15) 로서, 상기 납땜장치는:
    상기 전류 수집 바아 (3) 의 표면에 상기 리본 (5) 을 억누르기 위한 다수의 홀드다운 요소들 (P1-P11; 230, 231) 을 포함하며, 상기 홀드다운 요소들 (P1-P11; 230, 231) 은 상기 납땜선 (L) 을 따라 일렬로 잇달아 배치되어 있고;
    상기 납땜장치는, 교류 (I) 를 위해 상기 납땜선 (L) 을 따라 뻗어 있는 전류경로 (21A; 21B; 21C; 21D; 21E; 21F) 를 가진 유도 안테나 (20A; 20B; 20C; 20D; 20E; 20F) 를 포함하며, 상기 교류 (I) 는, 상기 납땜선 (L) 에서 및/또는 상기 납땜선 (L) 의 주변에서 교번자기장 (H1, H2) 을 발생시키도록 상기 전류경로 (21A; 21B; 21C; 21D; 21E; 21F) 를 따라 안내되어 있는, 유도 납땜을 이용해 태양전지의 전류 수집 바아에 전기 전도성 리본을 연결시키기 위한 납땜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류경로 (21A; 21B; 21C; 21D; 21E; 21F) 는, 상기 납땜선 (L) 의 섹션들 중 적어도 하나 (L1) 안의 교번자기장 (H1) 이 상기 납땜선 (L) 의 섹션들 중 적어도 다른 하나 (L2) 안의 교번자기장 (H2) 에 대해 역위상에 있도록, 상기 납땜선 (L) 의 일렬로 잇달아 배치된 다수의 섹션 (L1-L10) 을 따라 뻗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 납땜을 이용해 태양전지의 전류 수집 바아에 전기 전도성 리본을 연결시키기 위한 납땜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 안테나 (20A, 20B, 20D) 의 상기 전류경로 (21A; 21B; 21D) 는:
    제 1 섹션 (30-A1; 130-A1; B1) 을 구비하며, 상기 제 1 섹션은 상기 납땜선 (L) 이 놓여 있는 납땜평면 (LE) 에서 상기 납땜선 (L) 의 섹션들 중 상기 적어도 하나 (L1) 를 따라 - 공기 틈새 (LS) 에 의해 상기 납땜선 (L) 의 섹션들 중 상기 적어도 하나 (L1) 로부터 분리되어 - 뻗어 있고;
    상기 전류경로는 제 2 섹션 (40-A1; 140-A1; A1) 을 구비하며, 상기 제 2 섹션은 상기 납땜평면 (LE) 에서 상기 납땜선 (L) 의 섹션들 중 상기 적어도 다른 하나 (L2) 를 따라 - 공기 틈새 (LS) 에 의해 상기 납땜선 (L) 의 섹션들 중 상기 적어도 다른 하나 (L2) 로부터 분리되어 - 뻗어 있고;
    상기 전류경로 (21A; 21B; 21D) 의 상기 제 1 섹션 (30-A1; 130-A1; B1) 의 한 단부는, 상기 전류경로 (21A; 21B; 21D) 의 상기 제 1 섹션과 상기 제 2 섹션이 전기적으로 직렬로 접속되어 있도록 그리고 상기 전류경로 (21A; 21B; 21D) 의 상기 제 1 섹션 (30-A1; 130-A1; B1) 안의 교류 (I) 가 상기 전류경로 (21A; 21B; 21D) 의 상기 제 2 섹션 (40-A1; 140-A1; A1) 안의 교류에 대해 역위상에 있도록 상기 전류경로 (21A; 21B; 21D) 의 상기 제 2 섹션 (40-A1; 140-A1; A1) 의 한 단부와 연결되어 있는, 유도 납땜을 이용해 태양전지의 전류 수집 바아에 전기 전도성 리본을 연결시키기 위한 납땜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전류경로 (21A; 21B; 21D) 의 상기 제 1 섹션 (30-A1; 130-A1; B1) 과 상기 전류경로 (21A; 21B; 21D) 의 상기 제 2 섹션 (40-A1; 140-A1; A1) 은 각각 직선으로 그리고 상기 납땜선 (L) 에 대해 본질적으로 평행으로 뻗어 있는, 유도 납땜을 이용해 태양전지의 전류 수집 바아에 전기 전도성 리본을 연결시키기 위한 납땜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전류경로 (21A; 21B; 21D) 의 상기 제 1 섹션 (30-A1; 130-A1; B1) 과 상기 전류경로 (21A; 21B; 21D) 의 상기 제 2 섹션 (40-A1; 140-A1; A1) 은, 상기 납땜평면 (LE) 에서 뻗어 있는 하나의 직선 (G) 상에 잇달아 놓여 있는, 유도 납땜을 이용해 태양전지의 전류 수집 바아에 전기 전도성 리본을 연결시키기 위한 납땜장치.
  5. 제 2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홀드다운 요소들 (P1-P11) 은 각각 상기 납땜평면 (LE) 에서 상기 납땜선 (L) 에 대해 본질적으로 수직으로 뻗어 있으며, 그리고 이 홀드다운 요소들 (P1-P11) 중 적어도 3 개는, 상기 홀드다운 요소들 (P1-P11) 중 일렬로 바로 잇달아 배치되어 있는 각각 2 개 사이에 각각 중간 공간 (Z1-Z10) 이 형성되어 있도록 상기 납땜선 (L) 을 따라 일렬로 잇달아 배치되어 있고, 그리고
    상기 전류경로 (21A) 의 상기 제 1 섹션 (30-A1) 은 상기 홀드다운 요소들 중 각각 2 개 (P1, P2) 사이의 상기 중간 공간들 중 하나 (Z1) 안에 배치되어 있으며, 그리고 상기 전류경로 (21A) 의 상기 제 2 섹션 (40-A1) 은 상기 홀드다운 요소들 중 각각 2 개 (P2, P3) 사이의 상기 중간 공간들 중 다른 하나 (Z2) 안에 배치되어 있는, 유도 납땜을 이용해 태양전지의 전류 수집 바아에 전기 전도성 리본을 연결시키기 위한 납땜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 안테나 (20C, 20E) 의 상기 전류경로 (21C; 21E) 는:
    제 1 섹션 (LC1; 251-A1) 을 구비하며, 상기 제 1 섹션은 상기 납땜선 (L) 이 놓여 있는 납땜평면 (LE) 의 제 1 측면 (S1) 에서 상기 납땜평면 (LE) 에 대한 간격을 두고 상기 납땜선 (L) 의 섹션들 중 상기 적어도 하나 (L1) 를 따라 - 공기 틈새 (LS) 에 의해 상기 납땜선 (L) 의 섹션들 중 상기 적어도 하나 (L1) 로부터 분리되어 - 뻗어 있고;
    상기 전류경로는 제 2 섹션 (LD1; 251-B1) 을 구비하며, 상기 제 2 섹션은 상기 납땜평면 (LE) 의 상기 제 1 측면 (S1) 과 마주하고 있는 상기 납땜평면 (LE) 의 제 2 측면 (S2) 에서 상기 납땜평면 (LE) 에 대한 간격을 두고 상기 납땜선 (L) 의 섹션들 중 상기 적어도 다른 하나 (L2) 를 따라 - 공기 틈새 (LS) 에 의해 상기 납땜선 (L) 의 섹션들 중 상기 적어도 다른 하나 (L2) 로부터 분리되어 - 뻗어 있고;
    상기 전류경로는 제 3 섹션 (LG1; 252-A1) 을 구비하며, 상기 제 3 섹션은 상기 납땜평면 (LE) 의 상기 제 1 측면 (S1) 에서 상기 납땜평면 (LE) 에 대한 간격을 두고 상기 납땜선 (L) 의 섹션들 중 상기 적어도 다른 하나 (L2) 를 따라 - 공기 틈새 (LS) 에 의해 상기 납땜선 (L) 의 섹션들 중 상기 적어도 다른 하나 (L2) 로부터 분리되어 - 뻗어 있고;
    상기 전류경로는 제 4 섹션 (LF1; 252-B1) 을 구비하며, 상기 제 4 섹션은 상기 납땜평면 (LE) 의 상기 제 2 측면 (S2) 에서 상기 납땜평면 (LE) 에 대한 간격을 두고 상기 납땜선 (L) 의 섹션들 중 상기 적어도 하나 (L1) 를 따라 - 공기 틈새 (LS) 에 의해 상기 납땜선 (L) 의 섹션들 중 상기 적어도 하나 (L1) 로부터 분리되어 - 뻗어 있고;
    상기 전류경로의 상기 제 1 섹션 (LC1; 251-A1) 과 상기 전류경로의 상기 제 2 섹션 (LD1; 251-B1) 과 상기 전류경로의 상기 제 3 섹션 (LG1; 252-A1) 과 상기 전류경로의 상기 제 4 섹션 (LF1; 252-B1) 은 전기적으로 일렬로 직렬접속되어 있고, 따라서 상기 전류경로 (21C; 21E) 의 상기 제 1 섹션 (LC1; 251-A1) 안의 교류 (I) 는 상기 전류경로의 상기 제 2 섹션 (LD1; 251-B1) 안의 교류 (I) 와 동위상에 있으며, 상기 전류경로의 상기 제 3 섹션 (LG1; 252-A1) 안의 교류 (I) 에 대해서는 그리고 상기 전류경로의 상기 제 4 섹션 (LF1; 252-B1) 안의 교류 (I) 에 대해서는 역위상에 있는, 유도 납땜을 이용해 태양전지의 전류 수집 바아에 전기 전도성 리본을 연결시키기 위한 납땜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전류경로 (21C; 21E) 의 상기 제 1 섹션 (LC1; 251-A1) 및/또는 상기 전류경로 (21C; 21E) 의 상기 제 2 섹션 (LD1; 251-B1) 및/또는 상기 전류경로 (21C; 21E) 의 상기 제 3 섹션 (LG1; 252-A1) 및/또는 상기 전류경로 (21C; 21E) 의 상기 제 4 섹션 (LF1; 252-B1) 은 각각 직선으로 상기 납땜선 (L) 에 대해 본질적으로 평행으로 뻗어 있는, 유도 납땜을 이용해 태양전지의 전류 수집 바아에 전기 전도성 리본을 연결시키기 위한 납땜장치.
  8. 제 6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전류경로 (21C; 21E) 의 상기 제 1 섹션 (LC1; 251-A1) 과 상기 전류경로 (21C; 21E) 의 상기 제 4 섹션 (LF1; 252-B1) 은 서로 상대적으로 상기 납땜평면 (LE) 과 관련하여 거울 대칭적으로 형성되어 있고 및/또는 상기 전류경로 (21C; 21E) 의 상기 제 2 섹션 (LD1; 251-B1) 과 상기 전류경로 (21C; 21E) 의 상기 제 3 섹션 (LG1; 252-A1) 은 서로 상대적으로 상기 납땜평면 (LE) 과 관련하여 거울 대칭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유도 납땜을 이용해 태양전지의 전류 수집 바아에 전기 전도성 리본을 연결시키기 위한 납땜장치.
  9. 제 6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류경로 (21C; 21E) 의 상기 제 1 섹션 (LC1; 251-A1) 과 상기 제 3 섹션 (LG1; 252-A1) 은 제 1 직선 (G1) 을 따라 뻗어 있고, 상기 전류경로 (21C; 21E) 의 상기 제 2 섹션 (LD1; 251-B1) 과 상기 제 4 섹션 (LF1; 252-B1) 은 제 2 직선 (G2) 을 따라 뻗어 있는, 유도 납땜을 이용해 태양전지의 전류 수집 바아에 전기 전도성 리본을 연결시키기 위한 납땜장치.
  10. 제 6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전류경로 (21E) 의 상기 제 1 섹션 (251-A1) 과 상기 제 2 섹션 (251-B1) 은 제 1 도체섹션 (251) 의 잇달아 배치된 세로방향 섹션들로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전류경로 (21E) 의 상기 제 3 섹션 (252-A1) 과 상기 제 4 섹션 (252-B1) 은 제 2 도체섹션 (252) 의 잇달아 배치된 세로방향 섹션들로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 1 도체섹션 (251) 과 상기 제 2 도체섹션 (252) 은 서로 꼬여져 있는, 유도 납땜을 이용해 태양전지의 전류 수집 바아에 전기 전도성 리본을 연결시키기 위한 납땜장치.
  11. 제 6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홀드다운 요소들 (P1-P11) 은 각각 상기 납땜평면 (LE) 에서 상기 납땜선 (L) 에 대해 본질적으로 수직으로 뻗어 있으며, 그리고 이 홀드다운 요소들 (P1-P11) 중 적어도 3 개는, 상기 홀드다운 요소들 (P1-P11) 중 일렬로 바로 잇달아 배치되어 있는 각각 2 개 사이에 각각 중간 공간 (Z1-Z10) 이 형성되어 있도록 상기 납땜선 (L) 을 따라 일렬로 잇달아 배치되어 있고, 그리고
    상기 전류경로 (21C) 의 상기 제 1 섹션 (LC1) 과 상기 제 4 섹션 (LF1) 은 상기 홀드다운 요소들 중 각각 2 개 (P1, P2) 사이의 상기 중간 공간들 중 하나 (Z1) 안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전류경로 (21C) 의 상기 제 2 섹션 (LD1) 과 상기 제 3 섹션 (LG1) 은 상기 홀드다운 요소들 중 각각 2 개 (P2, P3) 사이의 상기 중간 공간들 중 다른 하나 (Z2) 안에 배치되어 있는, 유도 납땜을 이용해 태양전지의 전류 수집 바아에 전기 전도성 리본을 연결시키기 위한 납땜장치.
  12. 제 6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류경로 (21E) 의 상기 제 1 섹션 (251-A1) 과 상기 전류경로 (21E) 의 상기 제 4 섹션 (252-B1) 사이에는 비어 있는 공간영역 (spatial area, R1) 이 형성되어 있으며, 그리고 상기 홀드다운 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 (P1) 는 상기 비어 있는 공간영역 (R1) 을 통해 뻗어 있고 및/또는 상기 전류경로 (21E) 의 상기 제 2 섹션 (251-B1) 과 상기 전류경로 (21E) 의 상기 제 3 섹션 (252-A1) 사이에는 비어 있는 공간영역 (R2) 이 형성되어 있으며, 그리고 상기 홀드다운 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 (P2) 는 상기 비어 있는 공간영역 (R2) 을 통해 뻗어 있는, 유도 납땜을 이용해 태양전지의 전류 수집 바아에 전기 전도성 리본을 연결시키기 위한 납땜장치.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 안테나 (20F) 의 상기 전류경로 (21F) 는 고리 모양의 도체 (300) 이며, 상기 도체는 2 개의 레그 (leg, 300-1, 300-2) 를 구비하고, 한 레그 (300-1) 의 한 단부는 다른 레그 (300-2) 의 한 단부와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2 개의 레그 중 적어도 하나 (300-1) 는 구불구불한 형태 (meander form) 로 상기 납땜선 (L) 을 따라 뻗어 있고, 그리고 상기 납땜선 (L) 이 놓여 있는 납땜평면 (LE) 을 다수의 분리된 장소들에서 가로지르며, 따라서 이 하나의 레그 (300-1) 는, 그의 세로방향에서 잇달아 뒤따르는 다수의 세로방향 섹션을 구비하고, 상기 세로방향 섹션들은 - 각각, 만곡된 및/또는 일부 섹션들에서는 만곡된 및/또는 일부 섹션들에서는 직선인 곡선을 따라 - 교대로 상기 납땜평면 (LE) 의 한 측면 (S1) 에서 그리고 상기 납땜평면의 다른 측면 (S2) 에서 뻗어 있는, 유도 납땜을 이용해 태양전지의 전류 수집 바아에 전기 전도성 리본을 연결시키기 위한 납땜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2 개의 레그 (300-1, 300-2) 는, 상기 납땜평면 (LE) 에 대해 수직으로 및/또는 상기 태양전지 (1) 의 표면 (1-1) 에 대해 평행으로 배치되어 있는 평면에서 뻗어 있으며, 그리고 상기 2 개의 레그 중 상기 다른 레그 (300-2) 은 상기 2 개의 레그 중 상기 한 레그 (300-1) 에 대해 평행으로 뻗어 있고, 그리고 상기 2 개의 레그 중 상기 한 레그 (300-1) 안의 교류 (I) 는 상기 2 개의 레그 중 상기 다른 레그 (300-2) 안의 교류 (I) 에 대해 역위상에 있는, 유도 납땜을 이용해 태양전지의 전류 수집 바아에 전기 전도성 리본을 연결시키기 위한 납땜장치.
KR1020120147555A 2011-12-19 2012-12-17 유도 납땜을 이용해 태양전지의 전류 수집 바아에 전기 전도성 리본을 연결시키기 위한 납땜장치 KR2013007053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1405372.1A EP2607008B1 (de) 2011-12-19 2011-12-19 Lötvorrichtung zum Befestigen eines elektrisch leitfähigen Bandes an einer Stromsammelschiene einer Solarzelle mittels induktivem Löten
EP11405372.1 2011-12-1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70539A true KR20130070539A (ko) 2013-06-27

Family

ID=454445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47555A KR20130070539A (ko) 2011-12-19 2012-12-17 유도 납땜을 이용해 태양전지의 전류 수집 바아에 전기 전도성 리본을 연결시키기 위한 납땜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EP (1) EP2607008B1 (ko)
KR (1) KR20130070539A (ko)
CN (1) CN103157863B (ko)
ES (1) ES2613033T3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148645A (zh) * 2018-08-31 2019-01-04 杭州瞩日能源科技有限公司 太阳能电池片多轨道串焊系统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838123B1 (de) * 2013-08-14 2016-03-16 Komax Holding AG Löteinrichtung zum Verbinden von Solarzellen
CN104551292A (zh) * 2013-10-22 2015-04-29 苏州沃特维自动化系统有限公司 一种电池片焊接装置及焊接工艺
EP2958155B1 (en) 2014-06-20 2016-10-19 Vismunda S.r.l. Plant and system for the automatic horizontal assembly of photovoltaic panels with front-back connection of the cells and pre-fixing
US10580920B2 (en) * 2016-04-20 2020-03-03 Novasolix, Inc. Solar antenna array fabrication
CN106825839A (zh) * 2017-03-22 2017-06-13 无锡先导智能装备股份有限公司 汇流条的供料机构以及供料方法
CN107363363A (zh) * 2017-06-28 2017-11-21 普尔思(苏州)无线通讯产品有限公司 一种电路板焊接点胶生产线
CN107552909B (zh) * 2017-09-30 2020-07-17 无锡奥特维科技股份有限公司 汇流条焊接方法
CN110293353B (zh) * 2018-03-22 2021-09-03 无锡市正罡自动化设备有限公司 一种串焊机及太阳能电池串的焊接方法
CN110116250A (zh) * 2019-05-06 2019-08-13 格力电器(合肥)有限公司 一种高频钎焊工装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53475A (ja) * 2003-02-18 2004-09-09 Sharp Corp 太陽電池モジュール並びに太陽電池モジュールの製造方法およびその製造方法に用いる熱源
DE102006006715B4 (de) * 2005-02-18 2016-10-20 Komax Holding Ag 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Ausrichten und Befestigen eines Bandes an einer Solarzelle
CN100391674C (zh) * 2005-05-25 2008-06-04 张长增 高频线路连接器的高频感应焊接方法
CN1880001A (zh) * 2005-06-17 2006-12-20 上海太阳能科技有限公司 太阳电池的焊接方法及其专用焊接设备
DE102005036130A1 (de) * 2005-07-26 2007-02-01 Ernst Knoll Feinmechanik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Herstellen eines Solarzellenstring
US20100038358A1 (en) * 2008-03-20 2010-02-18 Dingle Brad M Inductive soldering device
EP2103373B1 (de) 2008-03-20 2011-09-14 Komax Holding AG Löteinrichtung zum Verbinden von Solarzell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148645A (zh) * 2018-08-31 2019-01-04 杭州瞩日能源科技有限公司 太阳能电池片多轨道串焊系统
CN109148645B (zh) * 2018-08-31 2020-05-15 杭州瞩日能源科技有限公司 太阳能电池片多轨道串焊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S2613033T3 (es) 2017-05-22
CN103157863A (zh) 2013-06-19
CN103157863B (zh) 2016-05-11
EP2607008B1 (de) 2016-11-09
EP2607008A1 (de) 2013-06-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070539A (ko) 유도 납땜을 이용해 태양전지의 전류 수집 바아에 전기 전도성 리본을 연결시키기 위한 납땜장치
EP2459340B1 (en) Inductive soldering device with at least one loop element, having two arms positioned at different distances from a surface of a workpiece
US7003014B2 (en) Electric heater for thermal treatment furnace
JP5420276B2 (ja) 太陽電池を接続するためのはんだ付け装置
WO2010001749A1 (ja) 平面コイル
US8134440B2 (en) Planar-helical undulator
TW201413996A (zh) 互連多個太陽能電池的裝置和方法
KR20130070535A (ko) 태양전지에 전기 전도성 리본을 연결하기 위한 납땜장치
WO2013002028A1 (ja) ガラス母材用加熱炉
KR20100138739A (ko) 램프 점등 장치 및 필라멘트 램프
RU2397622C2 (ru) Плавильная печь с индуктором в виде одного витка, состоящего из множества проводников
ATE391335T1 (de) Transformatormodul für ein schweissgerät
CN114720858A (zh) 一种led布线电路板钎焊均匀性通电检测装置
CN216353717U (zh) 平面磁性元件及电源模块
US5744784A (en) Low-loss induction coil for heating and/or melting metallic materials
US2853636A (en) Current equalization device for conductors to the electrodes in alternating current electro-furnaces
JP5679754B2 (ja) 直流抵抗溶接機用トランス
CN103295750B (zh) 焊接变压器、焊接变压器组合体及焊接装置
US7575455B2 (en) Eccentric polygonal main lead flexible connector assembly
KR101442989B1 (ko) 초전도 직류 리액터
KR102221523B1 (ko) 유도가열 방식의 용접 장치
KR20200000316A (ko) 트위스트 타입의 고주파 파워 케이블
KR101030578B1 (ko) 2인1 트랜스포머 및 이를 이용한 인버터
CN215588225U (zh) 一种电磁焊接头
JPH0237689A (ja) 誘導加熱コイル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