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68537A - 윈도우 및 선루프 개폐장치 - Google Patents

윈도우 및 선루프 개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68537A
KR20130068537A KR1020110135793A KR20110135793A KR20130068537A KR 20130068537 A KR20130068537 A KR 20130068537A KR 1020110135793 A KR1020110135793 A KR 1020110135793A KR 20110135793 A KR20110135793 A KR 20110135793A KR 20130068537 A KR20130068537 A KR 201300685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nroof
gesture
window
vibration
vibration patter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357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석범
이종복
노희진
박성민
홍기범
김성운
석동희
민정상
오광명
최진하
신동수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1357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68537A/ko
Publication of KR201300685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6853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7/00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 B60J7/02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of sliding type, e.g. comprising guide shoes
    • B60J7/04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of sliding type, e.g. comprising guide shoes with rigid plate-like element or elements, e.g. open roofs with harmonica-type folding rigid panels
    • B60J7/043Sunroofs e.g. sliding above the ro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 B60J1/02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arranged at the vehicle front, e.g. structure of the glazing, mounting of the glazing
    • B60J1/04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arranged at the vehicle front, e.g. structure of the glazing, mounting of the glazing adjust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 B60J1/08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arranged at vehicle sides
    • B60J1/12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arranged at vehicle sides adjust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7/00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 B60J7/02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of sliding type, e.g. comprising guide shoes
    • B60J7/04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of sliding type, e.g. comprising guide shoes with rigid plate-like element or elements, e.g. open roofs with harmonica-type folding rigid panels
    • B60J7/057Driving or actuating arrangements e.g. manually operated levers or knob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운전자가 윈도우나 선루프를 두드리거나 쓸어내리는 동작 또는 쓸어올리는 동작으로 윈도우나 선루프의 개폐를 조절할 수 있는 윈도우 및 선루프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윈도우 또는 선루프, 상기 윈도우 또는 선루프에 설치된 진동 감지 센서와 터치 센서, 상기 진동 감지 센서와 터치 센서에서 인식된 진동이나 제스처 정보가 소정의 진동 패턴이나 제스처와 일치하는지 판단하는 진동 및 터치 인식부, 상기 윈도우 또는 선루프의 개폐를 구동하는 액추에이터, 상기 진동이나 제스처 정보가 소정의 진동 패턴이나 제스처와 일치하는 경우 소정의 진동 패턴이나 제스처에 대응하는 액추에이터 제어를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윈도우 또는 선루프 개폐장치임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윈도우 및 선루프 개폐장치{Open-Close System for Window and Sunroof}
본 발명은 운전자가 윈도우나 선루프를 두드리거나 쓸어내리는 동작 또는 쓸어올리는 동작으로 윈도우나 선루프의 개폐를 조절할 수 있는 윈도우 및 선루프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윈도우나 선루프를 열거나 닫기 위해서는 버튼을 동작해야 했다. 운전자는 버튼을 작동하기 위해 손으로 대략적인 위치를 더듬게 되는데, 아직 차량에 익숙해지지 않은 운전자에게 이는 상당한 집중력 분산을 일으키게 된다.
또한 윈도우나 선루프를 여는 정도를 조절하기 위해서는 운전자가 계속 윈도우나 선루프의 위치를 인식하며 버튼을 조절해야 하는데 이는 버튼 작동보다 더 큰 집중력 분산을 일으킨다.
따라서 이러한 동작은 운전자의 집중력 분산으로 인한 사고의 원인이 되어 왔다.
이에 본 발명은 운전자가 시선을 윈도우나 선루프에 이동시키지 않아도 윈도우나 선루프를 두드리거나 쓰는 동작으로 해당 장치를 운전자가 원하는 위치까지 작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윈도우 및 선루프 개폐장치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윈도우 또는 선루프,
상기 윈도우 또는 선루프에 설치된 진동 감지 센서와 터치 센서,
상기 진동 감지 센서와 터치 센서에서 인식된 진동이나 제스처 정보가 소정의 진동 패턴이나 제스처와 일치하는지 판단하는 진동 및 터치 인식부,
상기 윈도우 또는 선루프의 개폐를 구동하는 액추에이터,
상기 진동이나 제스처 정보가 소정의 진동 패턴이나 제스처와 일치하는 경우 소정의 진동 패턴이나 제스처에 대응하는 액추에이터 제어를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윈도우 또는 선루프 개폐장치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소정의 진동 패턴이나 제스처는 노크 후 여는 방향 또는 닫는 방향으로 쓸기 제스처이고,
상기 소정의 진동 패턴이나 제스처에 대응하는 액추에이터 제어는 윈도우 또는 선루프의 완전 열림 또는 완전 닫힘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소정의 진동 패턴이나 제스처는 노크 후 여는 방향 또는 닫는 방향으로 쓸기 제스처이고,
상기 소정의 진동 패턴이나 제스처에 대응하는 액추에이터 제어는 윈도우 또는 선루프가 여는 방향으로 행한 쓸기 제스처의 동작 길이에 해당하는 길이만큼 열림 또는 닫는 방향으로 행한 쓸기 제스처의 동작 길이에 해당하는 길이만큼 닫힘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소정의 진동 패턴이나 제스처는 동일 위치에 대한 2회 노크이고,
상기 소정의 진동 패턴이나 제스처에 대응하는 액추에이터 제어는 윈도우 또는 선루프의 완전 열림 또는 완전 닫힘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소정의 진동 패턴이나 제스처는 서로 다른 두 위치에 대한 2회 노크이고,
상기 소정의 진동 패턴이나 제스처에 대응하는 액추에이터 제어는 윈도우 또는 선루프가 2회째 노크 위치까지 열리거나 닫히는 동작일 수 있다.
상기한 발명에 의하면 탑승자가 버튼을 찾거나 계속 눌러서 윈도우나 선루프를 열고 닫는 것보다 직관적으로 해당 장치를 두드리거나 쓸기 동작으로 조작할 수 있으므로 쉽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운전자가 운행 중에 장치 조작에 의해 시선 분산을 막을 수 있으며 다른 장치와의 혼란이 없어 쉽게 장치를 조작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선루프 개폐장치의 개요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선루프 개폐장치에 입력되는 신호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선루프를 기준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 설명할 내용이 윈도우에도 그대로 적용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선루프 개폐장치의 개요도이다.
선루프 프레임(1)에는 선루프(2)가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선루프(2)는 액추에이터(6)의 구동에 의해 개폐가 이루어진다.
선루프 프레임 일측에는 진동 감지 센서(3)가 설치되어 있다. 선루프 진동 감지 센서는 선루프 프레임에 체결되어 있어 선루프에 충격이 가해졌을 경우 그 충격이 선루프 프레임을 통해 진동 감지 센서에 감지될 수 있다.
또한 선루프(2)의 실내측 표면에는 터치패널(4)이 부착되어 있다. 터치 패널은 운전자가 패널 표면을 접촉할 경우 이를 감지하며 최소한 접촉 위치, 접촉 방향을 감지할 수 있다.
진동 감지 센서(3)와 터치패널(4)은 진동 및 터치 인식부(5)와 연결되어 감지된 진동이나 제스처 신호를 전달받는다.
진동 및 터치 인식부(5)는 내장된 소정의 진동 및 제스처 신호 데이터들과 진동 감지 센서(3) 및 터치패널(4)로부터 전달받은 신호를 비교하여 전달받은 신호와 일치하는 소정 데이터가 있는지 판단한다.
일치하는 소정 데이터가 없는 경우 진동 및 터치 인식부는 입력이 잘못되었음을 소리 등으로 운전자에게 전달한다.
일치하는 소정 데이터가 있는 경우 진동 및 터치 인식부는 해당 데이터에 대응하는 선루프 개폐 신호를 제어부(7)에 전달하고, 제어부는 전달받은 개폐 신호에 따라 액추에이터(6)를 구동 제어한다.
이하, 도 2를 참조하여 상기 구성에 따른 본 발명의 작동에 대해 설명한다.
(1) 운전자가 선루프를 노크한 후 여는 방향으로 선루프를 쓸어내리면 진동감지센서는 1회 진동을 감지하고 터치패널은 쓸어내림 동작의 시작점과 끝점을 감지한다.
그러면 진동감지센서와 터치패널은 해당 동작을 진동 및 터치 인식부(5)에 전달한다.
진동 및 터치 인식부는 해당 신호가 미리 저장되어 있는 소정의 신호와 일치하는지 판단한다.
1회 노크와 터치패널 쓸어내림 동작은 미리 저장된 소정의 신호와 일치하며, 이러한 신호에 따르는 액추에이터 제어는 선루프 완전 열기 또는 쓸기 제스처의 동작 길이에 해당하는 길이만큼 선루프 열기이다. 이에 제어부(7)는 액추에이터(6)가 선루프(2)를 완전히 또한 해당 길이만큼 열수 있도록 제어한다.
(2) 운전자가 선루프를 노크한 후 닫는 방향으로 선루프를 쓸어올리면 진동감지센서는 1회 진동을 감지하고 터치패널은 쓸어올림 동작의 시작점과 끝점을 감지한다.
그러면 진동감지센서와 터치패널은 해당 동작을 진동 및 터치 인식부(5)에 전달한다.
진동 및 터치 인식부는 해당 신호가 미리 저장되어 있는 소정의 신호와 일치하는지 판단한다.
1회 노크와 터치패널 쓸어올림 동작은 미리 저장된 소정의 신호와 일치하며, 이러한 신호에 따르는 액추에이터 제어는 선루프 완전 닫기 또는 쓸기 제스처의 동작 길이에 해당하는 길이만큼 선루프 닫기이다. 이에 제어부(7)는 액추에이터(6)가 선루프(2)를 완전히 또한 해당 길이만큼 닫을 수 있도록 제어한다.
(3) 운전자가 선루프를 1회 노크한 후 별도의 동작을 행하지 않은 경우, 진동감지센서는 1회 진동을 감지하고 터치패널은 1회 터치위치 외에 다른 감지를 하지 않는다.
그러면 진동감지센서와 터치패널은 해당 동작을 진동 및 터치 인식부(5)에 전달한다.
진동 및 터치 인식부는 해당 신호가 미리 저장되어 있는 소정의 신호와 일치하는지 판단한다.
1회 노크는 미리 저장된 어떠한 소정의 신호와도 일치하지 않는다. 따라서 진동 및 터치 인식부는 소리를 발생시키어 입력이 잘못되었음을 운전자에게 알린다.
(4) 운전자가 선루프를 2회 동일 위치에 노크한 후 별도의 동작을 행하지 않은 경우, 진동감지센서는 2회 진동을 감지하고 터치패널은 2회 동일한 터치위치 외에 다른 감지를 하지 않는다.
그러면 진동감지센서와 터치패널은 해당 동작을 진동 및 터치 인식부(5)에 전달한다.
진동 및 터치 인식부는 해당 신호가 미리 저장되어 있는 소정의 신호와 일치하는지 판단한다.
동일 위치에 대한 2회 노크는 미리 저장된 소정의 신호와 일치하며, 이러한 신호에 따르는 액추에이터 제어는 선루프 완전 열기 또는 완전 닫기 동작이다. 이에 제어부(7)는 액추에이터(6)가 선루프(2)를 완전히 열거나 닫을 수 있도록 제어한다.
(5) 운전자가 선루프를 2회 다른 위치에 노크한 후 별도의 동작을 행하지 않은 경우, 진동감지센서는 2회 진동을 감지하고 터치패널은 2회 다른 터치위치 외에 다른 감지를 하지 않는다.
그러면 진동감지센서와 터치패널은 해당 동작을 진동 및 터치 인식부(5)에 전달한다.
진동 및 터치 인식부는 해당 신호가 미리 저장되어 있는 소정의 신호와 일치하는지 판단한다.
다른 위치에 대한 2회 노크는 미리 저장된 소정의 신호와 일치하며, 이러한 신호에 따르는 액추에이터 제어는 선루프가 2회째 노크 위치까지의 열기 또는 닫기 동작이다. 이에 제어부(7)는 액추에이터(6)가 선루프(2)를 2회째 노크 위치까지 열거나 닫을 수 있도록 제어한다.
1 : 선루프 프레임
2 : 선루프
3 : 진동감지센서
4 : 터치패널
5 : 진동 및 터치 인식부
6 : 액추에이터
7 : 제어부

Claims (5)

  1. 윈도우 또는 선루프,
    상기 윈도우 또는 선루프에 설치된 진동 감지 센서와 터치 센서,
    상기 진동 감지 센서와 터치 센서에서 인식된 진동이나 제스처 정보가 소정의 진동 패턴이나 제스처와 일치하는지 판단하는 진동 및 터치 인식부,
    상기 윈도우 또는 선루프의 개폐를 구동하는 액추에이터,
    상기 진동이나 제스처 정보가 소정의 진동 패턴이나 제스처와 일치하는 경우 소정의 진동 패턴이나 제스처에 대응하는 액추에이터 제어를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윈도우 또는 선루프 개폐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진동 패턴이나 제스처는 노크 후 여는 방향 또는 닫는 방향으로 쓸기 제스처이고,
    상기 소정의 진동 패턴이나 제스처에 대응하는 액추에이터 제어는 윈도우 또는 선루프의 완전 열림 또는 완전 닫힘인 윈도우 또는 선루프 개폐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진동 패턴이나 제스처는 노크 후 여는 방향 또는 닫는 방향으로 쓸기 제스처이고,
    상기 소정의 진동 패턴이나 제스처에 대응하는 액추에이터 제어는 윈도우 또는 선루프가 여는 방향으로 행한 쓸기 제스처의 동작 길이에 해당하는 길이만큼 열림 또는 닫는 방향으로 행한 쓸기 제스처의 동작 길이에 해당하는 길이만큼 닫힘인 윈도우 또는 선루프 개폐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진동 패턴이나 제스처는 동일 위치에 대한 2회 노크이고,
    상기 소정의 진동 패턴이나 제스처에 대응하는 액추에이터 제어는 윈도우 또는 선루프의 완전 열림 또는 완전 닫힘인 윈도우 또는 선루프 개폐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진동 패턴이나 제스처는 서로 다른 두 위치에 대한 2회 노크이고, 상기 소정의 진동 패턴이나 제스처에 대응하는 액추에이터 제어는 윈도우 또는 선루프가 2회째 노크 위치까지 열리거나 닫히는 동작인 윈도우 또는 선루프 개폐장치.
KR1020110135793A 2011-12-15 2011-12-15 윈도우 및 선루프 개폐장치 KR2013006853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5793A KR20130068537A (ko) 2011-12-15 2011-12-15 윈도우 및 선루프 개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5793A KR20130068537A (ko) 2011-12-15 2011-12-15 윈도우 및 선루프 개폐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68537A true KR20130068537A (ko) 2013-06-26

Family

ID=488641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35793A KR20130068537A (ko) 2011-12-15 2011-12-15 윈도우 및 선루프 개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68537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69773A (ko) * 2015-12-11 2017-06-21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의 윈도우 제어 장치 및 방법
WO2018110820A1 (ko) * 2016-12-12 2018-06-21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차량의 윈도 글라스를 이용한 편의장치 제어시스템
WO2020185180A1 (en) * 2019-03-14 2020-09-17 Inceelgil Muhittin Controlling car windows using touch screen control panels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69773A (ko) * 2015-12-11 2017-06-21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의 윈도우 제어 장치 및 방법
WO2018110820A1 (ko) * 2016-12-12 2018-06-21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차량의 윈도 글라스를 이용한 편의장치 제어시스템
WO2020185180A1 (en) * 2019-03-14 2020-09-17 Inceelgil Muhittin Controlling car windows using touch screen control panel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86414B2 (en) Method for detecting an actuating motion for an actuator of a motor vehicle equipment element and actuator of a motor vehicle equipment element
KR101550604B1 (ko) 차량용 조작 장치
KR20130068538A (ko) 차량용 스마트 도어
CN103023474A (zh) 用于控制可移动面板的具有锁定控制的接近开关
US20100127882A1 (en) Garage Door Closing Confirmation Systems and Methods
GB2418741A (en) Control system for a sliding roof and powered windows of a vehicle
WO2006074712A3 (de) Eingabe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betrieb derselben
JP5081403B2 (ja) 開閉体移動装置および異常検知システム
KR101484202B1 (ko) 제스쳐 인식 시스템을 갖는 차량
KR101704066B1 (ko) 모션 인식 파워 윈도우
KR20130068537A (ko) 윈도우 및 선루프 개폐장치
JPWO2018147254A1 (ja) 車両用入力装置
KR101339251B1 (ko) 윈도우 개폐 시스템 및 그것의 제어방법
CN105888435B (zh) 汽车滑门速度控制方法和控制装置
KR101844251B1 (ko) 차량의 윈도 글라스를 이용한 편의장치 제어시스템
JP2019120096A (ja) ドア開閉装置及び操作検知装置
US9930165B2 (en) Adjusting system for adjusting a component of a motor vehicle on an adjustment path
JP2019007213A (ja) バックドア開閉装置
KR20060055388A (ko) 자동 도어 센서 및 자동 도어 개폐 제어 방법
KR101562124B1 (ko) 동작 방향성 인식에 따른 테일게이트 구동 프로세스
CN215978962U (zh) 窗户玻璃移动装置和车机系统
JP2018096718A (ja) 検出センサ
KR20130062522A (ko) 차량의 스마트키 시스템
KR20130041420A (ko) 차량 내의 버튼 안내시스템
KR101427758B1 (ko) 스마트키를 이용한 차량 구동장치 및 그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