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62522A - 차량의 스마트키 시스템 - Google Patents

차량의 스마트키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62522A
KR20130062522A KR1020110128806A KR20110128806A KR20130062522A KR 20130062522 A KR20130062522 A KR 20130062522A KR 1020110128806 A KR1020110128806 A KR 1020110128806A KR 20110128806 A KR20110128806 A KR 20110128806A KR 20130062522 A KR20130062522 A KR 201300625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sture
fob
vehicle
control unit
electronic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288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민경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1288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62522A/ko
Publication of KR201300625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6252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1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actuating a signalling devi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1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actuating a signalling device
    • B60R25/1001Alarm systems associated with another car fitting or mechanism, e.g. door lock or knob, ped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1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actuating a signalling device
    • B60R25/1003Alarm systems characterised by arm or disarm fea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1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actuating a signalling device
    • B60R25/1004Alarm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sensor, e.g. current sensing means
    • B60R25/1006Mechanical sensors, e.g. pendulu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1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actuating a signalling device
    • B60R25/1004Alarm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sensor, e.g. current sensing means
    • B60R25/1006Mechanical sensors, e.g. pendulums
    • B60R25/1007Mechanical sensors, e.g. pendulums comprising associated circuitr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1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actuating a signalling device
    • B60R25/1004Alarm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sensor, e.g. current sensing means
    • B60R25/1009Sonic sensors; Signal treatment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1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actuating a signalling device
    • B60R25/1004Alarm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sensor, e.g. current sensing means
    • B60R25/101Fuel level sens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1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actuating a signalling device
    • B60R25/1004Alarm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sensor, e.g. current sensing means
    • B60R25/1012Zone surveillance means, e.g. parking lots, truck depo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1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actuating a signalling device
    • B60R25/1018Alarm system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ed to the general power supp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1/00Power-actuated vehicle locks
    • E05B81/54Electrical circuits
    • E05B81/64Monitoring or sensing, e.g. by using switches or sens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42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type of sensors based on the principle of their operation
    • B60W2420/90Single sensor for two or more measur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40/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occupants
    • B60W2540/215Selection or confirmation of options

Abstract

본 발명은 FOB로 사용자의 제스쳐를 인식하여 그에 따라 차량의 각종 장치들의 조작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FOB의 도난시 누구나 차량을 마음대로 조작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으며, FOB의 물리적 한계에 의해 제약을 받지 않고 다양한 기능을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임의로 설정이 가능하고, 보다 직관적이고 자연스러운 제스쳐에 의해 차량을 제어할 수 있게 됨에 따라 사용 편의성이 획기적으로 향상될 수 있도록 한다.

Description

차량의 스마트키 시스템{SMART KEY SYSTEM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의 스마트키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제스쳐를 인식하여 작동되도록 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HMI(Human Machine Interaction)의 주된 경향 중 하나는 다양한 기능들을 사용자 친화적으로 구현하는 것인데, 그 중 하나로 제스쳐 기능을 꼽을 수 있다. 우리는 일상생활에서 다양한 움직임을 통해 간편하고 빠르게 의사전달을 하고 의사전달에 부가적인 의미를 부여하거나 강조하기도 한다. 이렇듯 제스쳐 기반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상대적으로 다른 인터페이스들에 비해서 직관적이고 다양한 형태의 상호작용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많은 이점이 있다.
한편, 종래 차량의 스마트키 시스템은 사용자가 소지한 FOB에 의해 사용자의 차량 탑승을 자동적으로 인식하여 시동버튼의 조작만으로 차량의 시동이 가능하도록 하고, 도어락의 작동을 FOB에 구비된 스위치의 조작에 의해 무선으로 할 수 있는 등의 기능을 제공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스마트키 시스템은 상기 FOB에 구비되는 스위치의 개수가 제한되고, 따라서 이러한 스위치에 부여할 수 있는 기능은 제한적이며, 사용자가 각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작은 면적에 배치되어 있는 FOB의 다수의 스위치 중 원하는 스위치를 선택하여 조작하여야 하는 불편함을 피하기 어렵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은 FOB는 도난되는 경우 누구나 FOB를 통해 차량의 시동은 물론 모든 조작이 가능하여, 도난에 취약한 단점이 있다.
상기의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
KR 10-2007-0042805 A
본 발명은 FOB로 사용자의 제스쳐를 인식하여 그에 따라 차량의 각종 장치들의 조작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FOB의 도난시 누구나 차량을 마음대로 조작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으며, FOB의 물리적 한계에 의해 제약을 받지 않고 다양한 기능을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임의로 설정이 가능하고, 보다 직관적이고 자연스러운 제스쳐에 의해 차량을 제어할 수 있게 됨에 따라 사용 편의성이 획기적으로 향상될 수 있도록 한 차량의 스마트키 시스템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차량의 스마트키 시스템은
사용자가 잡고 움직여서 제스쳐를 형성하는 FOB와;
상기 제스쳐 형성중 상기 FOB의 가속도를 센싱하는 가속도센서와;
상기 제스쳐 형성중 상기 FOB의 각속도를 센싱하는 자이로센서와;
상기 가속도센서와 자이로센서에 의한 공간상의 FOB 움직임으로부터, 해당 움직임의 특징을 검출하여 파라미터를 결정함으로써 제스쳐를 정의 하고 모델을 만드는 모델링기능과, 상기 모델링된 데이터와 비교하기 위해 해당 움직임의 특징을 검출하여 파라미터를 결정하는 해석기능과, 상기 해석된 제스쳐와 모델링된 제스쳐를 비교하여 상기 해석된 제스쳐에 따라 해당 작동을 수행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인식기능을 수행하는 전자제어유닛과;
상기 전자제어유닛의 결정을 전달받아 해당 작동을 제어하는 컨트롤러 및
상기 컨트롤러의 제어에 의해 상기 해당 작동을 수행하는 액츄에이터;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FOB로 사용자의 제스쳐를 인식하여 그에 따라 차량의 각종 장치들의 조작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FOB의 도난시 누구나 차량을 마음대로 조작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으며, FOB의 물리적 한계에 의해 제약을 받지 않고 다양한 기능을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임의로 설정이 가능하고, 보다 직관적이고 자연스러운 제스쳐에 의해 차량을 제어할 수 있게 됨에 따라 사용 편의성이 획기적으로 향상될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스마트키 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스마트키 시스템의 작동을 설명한 블록도,
도 3은 사용자의 제스쳐를 인식하는 과정을 설명한 블록도,
도 4는 FOB로 제스쳐를 등록하는 과정을 디스플레이장치가 안내하는 과정을 예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적용할 수 있는 제스쳐와 차량동작을 예시한 도표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 차량의 스마트키 시스템은 사용자가 잡고 움직여서 제스쳐를 형성하는 FOB(1)와; 상기 제스쳐 형성중 상기 FOB(1)의 가속도를 센싱하는 가속도센서(3)와; 상기 제스쳐 형성중 상기 FOB(1)의 각속도를 센싱하는 자이로센서(5)와; 상기 가속도센서(3)와 자이로센서(5)에 의한 공간상의 FOB(1) 움직임으로부터, 해당 움직임의 특징을 검출하여 파라미터를 결정함으로써 제스쳐를 정의 하고 모델을 만드는 모델링기능과, 상기 모델링된 데이터와 비교하기 위해 해당 움직임의 특징을 검출하여 파라미터를 결정하는 해석기능과, 상기 해석된 제스쳐와 모델링된 제스쳐를 비교하여 상기 해석된 제스쳐에 따라 해당 작동을 수행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인식기능을 수행하는 전자제어유닛(7)과; 상기 전자제어유닛(7)의 결정을 전달받아 해당 작동을 제어하는 컨트롤러(9) 및 상기 컨트롤러(9)의 제어에 의해 상기 해당 작동을 수행하는 액츄에이터(11)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물론, 상기 컨트롤러(9)와 액츄에이터(11)는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가 다양하게 구비되어, 차량에서 구현할 수 있는 다양한 작동이 제스쳐 기능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즉, 상기 FOB(1)를 공간상으로 움직여서 제스쳐를 형성하면, 이를 해석하여 이미 각 제스쳐에 대하여 미리 모델링하여 기억하여 둔, 도 5와 같은 다수의 제스쳐와 그에 따른 차량 동작의 데이터와 비교하여, 해당되는 제스쳐로 인식이 되면, 이를 트랜스미터와 리시버 사이의 통신으로 전달하여 차체에 구비된 해당 액츄에이터(11)가 작동됨으로써, 원하는 차량 동작이 구현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가속도센서(3)와 자이로센서(5) 및 상기 전자제어유닛(7)은 상기 FOB(1)에 내장되어 있으며, 상기 가속도센서(3)와 자이로센서(5)의 신호는 보상필터(13)에 의해 아날로그 신호의 노이즈가 제거된 후, AD컨버터(15)에 의해 디지털신호로 전환되어 상기 전자제어유닛(7)으로 입력되도록 상기 가속도센서(3)와 자이로센서(5) 및 상기 전자제어유닛(7) 사이에 보상필터(13)와 AD컨버터(15)가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전자제어유닛(7)은 상기 모델링된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17)가 연결되고, 상기 FOB(1)내의 트랜스미터(19)에 연결되어, 차체에 장착된 리시버(21)와 통신하여 상기 제스쳐에 따른 해당 작동의 명령을 전달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한편, 상기 전자제어유닛(7)은 상기 모델링기능과 해석기능 및 인식기능을 수행함으로써,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제스쳐를 인식하는 3단계의 과정을 모두 수행하는 바, 상기 모델링기능은 본격적인 FOB(1)의 제스쳐기능 사용에 앞서, 미리 원하는 제스쳐를 등록하는 것으로서, 사용자가 도 4에 예시된 바와 같은 방법으로 원하는 차량 동작에 대하여 스스로 결정한 제스쳐를 취하면, 이를 상기 가속도센서(3)와 자이로센서(5)의 신호로 받아들여, 그 제스쳐를 독립 배타적으로 구분할 수 있을만한 특징을 검출하고 그것으로 파라미터를 결정하여 해당 제스쳐에 대한 모델링작업을 수행하는 것이다.
상기 해석기능은 상기와 같이 이미 모델링된 제스쳐의 데이터가 있고, 사용자가 실제 제스쳐 기능으로 원하는 차량 동작을 구현하고자 할 때, 사용자가 FOB(1)로 취하는 제스쳐를 상기 모델링 때와 마찬가지의 방법으로 그 움직임의 특징을 검출하고 파라미터를 결정하는 것이며, 상기 인식기능은 상기와 같이 해석기능에 의해 결정된 파라미터의 값들이 상기 모델링되어 입력되어 있는 제스쳐에 의해 정해지는 임계값을 넘는지의 판단에 의해 해당 제스쳐가 입력되었음을 확인하는 것이다.
물론, 상기 전자제어유닛(7)은 상기와 같은 인식기능이 수행되어, 사용자가 입력한 제스쳐의 인식이 완료되면, 그에 따라 상기 FOB(1)내에 내장되어 있는 트랜스미터(19)를 통해 상기 차체의 리시버(21)로 전송함으로써, 해당 기능의 수행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한편, 상기 리시버(21)에는 디스플레이장치(23)가 연결되도록 구성할 수 있는 바, 상기 디스플레이장치(23)는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FOB(1)로 새로운 제스쳐를 모델링하여 등록할 때, 상기 FOB(1)와 통신하면서 사용자의 모델링 작동을 안내하도록 구성된다.
즉, 도 4를 참조하면, 제스쳐 설정모드에 진입하여 제스쳐를 등록하기를 원하는 차량 동작을 선택하도록 제시하고, 이 중 어느 한 차량 동작을 선택한 상태에서 상기 FOB(1)로 사용자가 원하는 제스쳐를 형성하면, 이를 인식하고 모델링하여 저장함으로써 제스쳐의 설정 등록이 완료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FOB(1)에는 도 1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자제어유닛(7)의 작동을 조절하여 상기 제스쳐 기능을 사용하는 상태와 사용하지 않는 상태로 전환할 수 있도록 하는 제스쳐스위치(25)가 더 구비되도록 하여, 상기 제스쳐스위치(25)를 사용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제스쳐기능을 사용할지 아니면, 종래와 동일한 방법으로 사용할지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1; FOB
3; 가속도센서
5; 자이로센서
7; 전자제어유닛
9; 컨트롤러
11; 액츄에이터
13; 보상필터
15; AD컨버터
17; 메모리
19; 트랜스미터
21; 리시버
23; 디스플레이장치
25; 제스쳐스위치

Claims (5)

  1. 사용자가 잡고 움직여서 제스쳐를 형성하는 FOB(1)와;
    상기 제스쳐 형성중 상기 FOB(1)의 가속도를 센싱하는 가속도센서(3)와;
    상기 제스쳐 형성중 상기 FOB(1)의 각속도를 센싱하는 자이로센서(5)와;
    상기 가속도센서(3)와 자이로센서(5)에 의한 공간상의 FOB(1) 움직임으로부터, 해당 움직임의 특징을 검출하여 파라미터를 결정함으로써 제스쳐를 정의 하고 모델을 만드는 모델링기능과, 상기 모델링된 데이터와 비교하기 위해 해당 움직임의 특징을 검출하여 파라미터를 결정하는 해석기능과, 상기 해석된 제스쳐와 모델링된 제스쳐를 비교하여 상기 해석된 제스쳐에 따라 해당 작동을 수행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인식기능을 수행하는 전자제어유닛(7)과;
    상기 전자제어유닛(7)의 결정을 전달받아 해당 작동을 제어하는 컨트롤러(9) 및
    상기 컨트롤러(9)의 제어에 의해 상기 해당 작동을 수행하는 액츄에이터(11);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스마트키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속도센서(3)와 자이로센서(5) 및 상기 전자제어유닛(7)은 상기 FOB(1)에 내장되어 있으며;
    상기 가속도센서(3)와 자이로센서(5)의 신호는 보상필터(13)에 의해 아날로그 신호의 노이즈가 제거된 후, AD컨버터(15)에 의해 디지털신호로 전환되어 상기 전자제어유닛(7)으로 입력되고;
    상기 전자제어유닛(7)은 상기 모델링된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17)가 연결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스마트키 시스템.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전자제어유닛(7)은 상기 FOB(1)내의 트랜스미터(19)를 통하여 차체에 장착된 리시버(21)와 통신하여 상기 제스쳐에 따른 해당 작동의 명령을 전달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스마트키 시스템.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리시버(21)에는 디스플레이장치(23)가 연결되고;
    상기 디스플레이장치(23)는 상기 FOB(1)로 새로운 제스쳐를 모델링하여 등록할 때, 상기 FOB(1)와 통신하면서 사용자의 모델링 작동을 안내하도록 구성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스마트키 시스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FOB(1)에는 상기 전자제어유닛(7)의 작동을 조절하여 상기 제스쳐 기능을 사용하는 상태와 사용하지 않는 상태로 전환할 수 있도록 하는 제스쳐스위치(25)가 더 구비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스마트키 시스템.
KR1020110128806A 2011-12-05 2011-12-05 차량의 스마트키 시스템 KR2013006252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8806A KR20130062522A (ko) 2011-12-05 2011-12-05 차량의 스마트키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8806A KR20130062522A (ko) 2011-12-05 2011-12-05 차량의 스마트키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62522A true KR20130062522A (ko) 2013-06-13

Family

ID=488602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28806A KR20130062522A (ko) 2011-12-05 2011-12-05 차량의 스마트키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62522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9254B1 (ko) * 2012-08-16 2014-05-27 천은봉 휴대용 기기의 움직임 패턴을 이용한 차량 제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제어 방법
KR101650769B1 (ko) * 2015-05-28 2016-08-25 미디어젠(주) 제스처 인식을 이용한 차량용 음성 인식시스템
US10096301B2 (en) 2014-06-11 2018-10-09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for controlling function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KR20190086955A (ko) 2018-01-15 2019-07-2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포브 위치 감지 성능 향상 장치 및 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9254B1 (ko) * 2012-08-16 2014-05-27 천은봉 휴대용 기기의 움직임 패턴을 이용한 차량 제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제어 방법
US10096301B2 (en) 2014-06-11 2018-10-09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for controlling function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KR101650769B1 (ko) * 2015-05-28 2016-08-25 미디어젠(주) 제스처 인식을 이용한 차량용 음성 인식시스템
KR20190086955A (ko) 2018-01-15 2019-07-2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포브 위치 감지 성능 향상 장치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30578B1 (ko) 자동차의 이동 운전의 자동 제어를 위한 방법
KR101550604B1 (ko) 차량용 조작 장치
JP2016538780A (ja) 車両の機能を遠隔制御する方法及び装置
KR101603553B1 (ko) 차량에서 웨어러블 기기를 이용한 제스쳐 인식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차량
CN103526991A (zh) 一种车辆门锁控制系统和方法
US20160259439A1 (en) Multi-touch keyless entry pad
KR20130099717A (ko) 터치 스크린 기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 및 방법
US9052750B2 (en) System and method for manipulating user interface by 2D camera
CN102566754A (zh) 移动装置和包括移动装置的计算系统
KR20130062522A (ko) 차량의 스마트키 시스템
CN102937869A (zh) 一种终端设备触发控制指令的方法和装置
KR20100060547A (ko) 휴대단말기의 모닝콜 제어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휴대단말기
CN111516637A (zh) 一种汽车车门自动控制系统
CN104850220B (zh) 基于动作侦测的作业启始方法及系统
EP2846312A1 (en) Remote key for control of vehicles
US20160306455A1 (en) Motion Based Capacitive Sensor System
KR102187946B1 (ko) 차량 스마트키
CN105426091A (zh) 一种控制黑屏手势处理的方法及终端
US8779904B2 (en) Multimode remote controller comprising an accelerometer, a gyroscope, a capacitive pressure transducer, and a touch pad
KR20170025207A (ko) 터치 패턴을 이용한 차량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CN108463788B (zh) 主动笔及基于主动笔的手势检测方法
CN104866270A (zh) 一种显示模组的显示方法和电子设备
CN105260065B (zh) 信息处理的方法及装置
US20180267618A1 (en) Method for gesture based human-machine interaction,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gesture based human-machine interface system
CN107368246A (zh) 一种基于压力触控的多选处理方法及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