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25207A - 터치 패턴을 이용한 차량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터치 패턴을 이용한 차량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25207A
KR20170025207A KR1020150121265A KR20150121265A KR20170025207A KR 20170025207 A KR20170025207 A KR 20170025207A KR 1020150121265 A KR1020150121265 A KR 1020150121265A KR 20150121265 A KR20150121265 A KR 20150121265A KR 20170025207 A KR20170025207 A KR 201700252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touch pattern
touch
control signal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212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범춘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212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25207A/ko
Publication of KR201700252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2520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transmission of signals between vehicle parts or sub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B60K2350/1024
    • B60K2350/1044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 B60Y2400/304Acceleration sensors
    • B60Y2400/3044Vibration sensors

Abstract

본 발명은 터치 패턴을 이용한 차량 제어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차량의 윈도우 글라스를 터치스크린으로 이용하는 터치 센서를 구현하고 이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로부터의 터치 패턴을 인식한 후 해당 터치 패턴에 상응하는 제어신호를 차량 네트워크로 전송하여 차량 내 각종 기기를 제어함으로써, 사용자가 포브를 분실한 경우에도 차량 내 각종 기기를 용이하게 동작시킬 수 있도록 하는 터치 패턴을 이용한 차량 제어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터치 패턴을 이용한 차량 제어 장치에 있어서, 차량 내 각 기기의 제어신호에 상응하는 터치 패턴을 저장하는 메모리; 차량 네트워크 접속부; 윈도우 글라스에서 발생하는 진동을 감지하는 진동 감지부; 상기 윈도우 글라스에 가해지는 터치를 입력받는 입력부; 및 상기 진동 감지부가 진동을 감지함에 따라 활성화되어, 상기 입력부를 통해 입력받은 터치 패턴에 상응하는 제어신호를 상기 메모리에서 검색하여 차량 네트워크로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터치 패턴을 이용한 차량 제어 장치 및 그 방법{VEHICLE CONTROL APPARATUS USING TOUCH PATTERN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터치 패턴을 이용한 차량 제어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의 윈도우 글라스를 터치스크린으로 이용하는 터치 센서를 구현하고 이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로부터의 터치 패턴을 인식한 후 해당 터치 패턴에 상응하는 제어신호를 차량 네트워크로 전송하여 차량 내 각종 기기를 제어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포브(FOB)는 차량용 리모컨, 스마트키 등을 포함하며, 차량의 소유주가 휴대하면서 차량에 설치된 스마트키 유닛과의 무선통신을 통해 정당한 사용자임을 인증한 후, 차량의 시동 및 차량에 탑재된 각종 편의장치의 작동을 가능하게 한다.
스마트형 포브가 차량의 일정 범위 내에 있는 경우 차량의 도어락이 해제되고, 스마트형 포브가 차량의 실내에 있는 경우에는 스마트형 포브에 구비되는 키를 키 홈에 삽입하는 과정 없이 시동버튼을 누르는 등의 동작만으로 시동을 걸 수 있다.
이렇게 유용한 기능을 가지고 있는 포브를 분실한 경우에 차량의 도어락을 해제하는 것은 물론 시동조차 걸 수 없다. 즉, 종래의 차량 제어 장치는 사용자가 포브를 분실한 경우에 대한 대처방안을 구비하지 못했기 때문에 사용자에게 불편함을 주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공개특허 10-2013-0053915(2013.05.24 공개)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차량의 윈도우 글라스를 터치스크린으로 이용하는 터치 센서를 구현하고 이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로부터의 터치 패턴을 인식한 후 해당 터치 패턴에 상응하는 제어신호를 차량 네트워크로 전송하여 차량 내 각종 기기를 제어함으로써, 사용자가 포브를 분실한 경우에도 차량 내 각종 기기를 용이하게 동작시킬 수 있도록 하는 터치 패턴을 이용한 차량 제어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장치는, 터치 패턴을 이용한 차량 제어 장치에 있어서, 차량 내 각 기기의 제어신호에 상응하는 터치 패턴을 저장하는 메모리; 차량 네트워크 접속부; 윈도우 글라스에서 발생하는 진동을 감지하는 진동 감지부; 상기 윈도우 글라스에 가해지는 터치를 입력받는 입력부; 및 상기 진동 감지부가 진동을 감지함에 따라 활성화되어, 상기 입력부를 통해 입력받은 터치 패턴에 상응하는 제어신호를 상기 메모리에서 검색하여 차량 네트워크로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방법은, 터치 패턴을 이용한 차량 제어 방법에 있어서, 메모리가 차량 내 각 기기의 제어신호에 상응하는 터치 패턴을 저장하는 단계; 진동 감지부가 윈도우 글라스에서 발생하는 진동을 감지하는 단계; 상기 진동 감지부가 진동을 감지함에 따라 제어부가 활성화되는 단계; 입력부가 상기 윈도우 글라스에 가해지는 터치를 입력받는 단계; 및 상기 제어부가 상기 입력부를 통해 입력받은 터치 패턴에 상응하는 제어신호를 상기 메모리에서 검색하여 차량 네트워크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차량의 윈도우 글라스를 터치스크린으로 이용하는 터치 센서를 구현하고 이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로부터의 터치 패턴을 인식한 후 해당 터치 패턴에 상응하는 제어신호를 차량 네트워크로 전송하여 차량 내 각종 기기를 제어함으로써, 사용자가 포브를 분실한 경우에도 차량 내 각종 기기를 용이하게 동작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터치 패턴을 이용한 차량 제어 장치의 일실시예 구성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터치 패턴을 이용한 차량 제어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 흐름도이다.
상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명확해 질 것이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터치 패턴을 이용한 차량 제어 장치의 일실시예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터치 패턴을 이용한 차량 제어 장치는, 메모리(10), 차량 네트워크 접속부(20), 진동 감지부(30), 입력부(40), 및 제어부(50)를 포함한다.
상기 각 구성요소들에 대해 살펴보면, 먼저 메모리(10)는 차량 내 각종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명령으로서의 터치 패턴을 저장한다. 이때, 차량 내 각종 기기는 차량의 도어 잠금/해제를 제어하는 BCM(Body Control Module), 차량의 썬루프 열림/닫힘을 제어하는 썬루프 제어기, 차량의 시동 온/오프를 제어하는 SMK(Smart Key) 시스템 등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메모리(10)는 차량의 도어를 해제하는 명령으로서 제 1 터치 패턴을 저장하고, 차량의 도어를 잠그는 명령으로서 제 2 터치 패턴을 저장하며, 차량의 썬루프를 여는 명령으로서 제 3 터치 패턴을 저장하고, 차량의 썬루프를 닫는 명령으로서 제 4 터치 패턴을 저장하며, 차량의 시동을 켜는 명령으로서 제 5 터치 패턴을 저장하고, 차량의 시동을 끄는 명령으로서 제 6 터치 패턴을 저장한다.
이때, 제 1 터치 패턴은 'ㄱ', 제 2 터치 패턴은 'ㄴ', 제 3 터치 패턴은 'ㄷ', 제 4 터치 패턴은 'ㄹ', 제 5 터치 패턴은 'ㅁ', 제 6 터치 패턴은 'N' 등이 될 수 있다. 이는 일례로서 현재 스마트폰에서 사용되고 있는 모든 터치 패턴을 적용할 수 있다. 아울러, 각 제어 명령에 상응하는 터치 패턴은 사용자가 임의로 설정 가능하다.
이러한 메모리(1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SSD 타입(Solid State Disk type), SDD 타입(Silicon Disk Drive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및 광 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차량 제어 장치는 인터넷(internet)상에서 상기 메모리(1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와 관련되어 동작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차량 네트워크 접속부(20)는 차량 네트워크와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모듈로서, 차량 네트워크로 각종 제어신호를 전송하고 그에 상응하는 응답신호를 수신한다.
이때, 차량 네트워크는 CAN(Controller Area Network), LIN(Local Interconnect Network), 플렉스레이(FlexRay), MOST(Media Oriented System Transport) 등을 포함한다.
다음으로, 진동 감지부(30)는 차량의 운전석 윈도우 글라스 주변에 장착되어 사용자가 윈도우 글라스에 가하는 진동을 감지한다. 즉, 사용자가 터치 패턴을 입력하기 위해서는 아이들 상태인 제어부(50)를 활성화해야 하는데, 이때 진동 감지부(30)는 사용자의 노크를 감지하면 제어부(50)를 활성화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때, 노크의 횟수는 인증정보로 사용될 수 있으며, 따라서 노크의 횟수는 사용자가 임의로 설정 가능하다. 즉, 진동 감지부(30)는 정해진 강도 이상의 진동이 기 설정된 횟수만큼 발생한 경우에 제어부(50)를 활성화한다.
다음으로, 입력부(40)는 차량의 운전석 윈도우 글라스를 터치 스크린으로 이용하는 일종의 터치 센서로서, 제어부(50)가 활성화됨에 따라 함께 활성화되어 사용자로부터의 터치 패턴을 입력받는다.
이때, 터치 센서는 저항막 방식, 정전용량 방식, 적외선 방식, 초음파 방식, 자기장 방식 등 여러 가지 터치 방식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터치스크린에 가해지는 터치(또는 터치 입력)를 감지한다.
일 예로서, 터치 센서는 터치스크린의 특정 부위에 가해진 압력 또는 특정 부위에 발생하는 정전 용량 등의 변화를 전기적인 입력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터치스크린 상에 터치를 가하는 터치 대상체가 터치 센서 상에 터치 되는 위치, 면적, 터치 시의 압력, 터치 시의 정전 용량 등을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터치 대상체는 상기 터치 센서에 터치를 인가하는 물체로서, 예를 들어, 손가락, 터치 펜 또는 스타일러스 펜(Stylus pen), 포인터 등이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터치 센서에 대한 터치 입력이 있는 경우, 그에 대응하는 신호(들)는 터치 제어기로 보내진다. 터치 제어기는 그 신호(들)를 처리한 다음 대응하는 데이터를 제어부(50)로 전송한다. 이로써, 제어부(50)는 윈도우 글라스의 어느 영역이 터치 되었는지 여부 등을 알 수 있게 된다. 여기서, 터치 제어기는 제어부(50)와 별도의 구성요소일 수 있고, 제어부(50) 자체일 수 있다.
다음으로, 제어부(50)는 상기 각 구성요소들이 제 기능을 정상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전반적인 제어를 수행한다.
특히, 제어부(50)는 진동 감지부(30)로부터의 활성화신호에 따라 활성화된다.
또한, 제어부(50)는 메모리(10)에 저장되어 있는 각종 터치 패턴에 상응하는 제어신호를 기반으로, 입력부(40)를 통해 입력받은 터치 패턴에 상응하는 제어신호를 차량 네트워크로 전송한다.
즉, 제어부(50)는 메모리(10)에서 입력부(40)를 통해 입력받은 터치 패턴을 검색하고, 검색된 터치 패턴에 상응하는 제어신호를 차량 네트워크로 전송한다.
그러면, 차량 네트워크에 연결된 BCM, 썬루프 제어기, SMK 시스템은 자신에게 유효한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해당 제어를 수행하게 된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차량 밖에서 기 설정된 노크를 통해 차량 제어 장치를 활성화하고, 윈도우 글라스를 통해 터치 패턴을 입력함으로써 원하는 기기를 동작시킬 수 있다. 즉, 도어를 열거나, 썬루프를 닫거나, 시동을 켤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제어부(50)를 별도의 모듈로 구현하였으나, 차량에 탑재된 AVN(Audio, Vedio, Navigation) 시스템이 제어부(50)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이 경우, AVN 시스템을 통해 차량 내 각 기기의 제어를 위한 터치 패턴을 설정하는 과정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차량이 정차(기어는 P단, 차속은 0kph)하고, 전원이 온인 상태에서,
1) AVN 시스템을 조작하여 차량 제어를 위한 패턴명령 등록화면을 표시한다.
2) 최초 패턴명령 등록시 보안을 위한 패스워드를 등록 요청한다.
3) 패턴명령은 도어 잠금/해제, 썬루프 오픈/클로우즈, 시동 온/오프가 존재하며, 각 항목별 패턴명령은 상이한 패턴으로 정의해야 한다.
4) 패턴 등록한 이후 완료 버튼을 눌러 패턴 등록을 종료한다.
또한, 진동 감지부(30) 및 입력부(40)의 제어는 도어 내부에 장착된 윈도우 모터 제어기가 수행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외장 부저(미도시)를 더 포함하여, 사용자의 노크가 정상적으로 입력되었거나 그렇지 않은 경우를 알리기 위한 안내음을 출력할 수도 있고, 터치 패턴이 정상적으로 입력되었거나 그렇지 않은 경우를 알리기 위한 안내음을 출력할 수도 있다.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터치 패턴을 이용한 차량 제어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 흐름도이다.
먼저, 메모리(10)가 차량 내 각 기기의 제어신호에 상응하는 터치 패턴을 저장한다(201).
이후, 진동 감지부(30)가 윈도우 글라스에서 발생하는 진동을 감지한다(202).
이후, 진동 감지부(30)가 진동을 감지함에 따라 제어부(50)가 활성화된다(203). 즉, 진동을 감지한 진동 감지부(30)가 활성화신호를 제어부(50)로 전송하여 제어부(50)를 활성화시킨다. 이때, 진동 감지부(30)와 제어부(50)는 차량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될 수도 있다.
이후, 입력부(40)가 윈도우 글라스에 가해지는 터치 패턴을 입력받는다(204).
이후, 제어부(50)가 입력부(40)를 통해 입력받은 터치 패턴에 상응하는 제어신호를 메모리(10)에서 검색하여 차량 네트워크로 전송한다(205). 이때, 입력부(40)는 차량 네트워크를 통해 제어부(50)와 연결될 수도 있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방법은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작성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는 당해 분야의 컴퓨터 프로그래머에 의하여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작성된 프로그램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정보저장매체)에 저장되고, 컴퓨터에 의하여 판독되고 실행됨으로써 본 발명의 방법을 구현한다. 그리고 상기 기록매체는 컴퓨터가 판독할 수 있는 모든 형태의 기록매체를 포함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10 : 메모리
20 : 차량 네트워크 접속부
30 : 진동 감지부
40 : 입력부
50 : 제어부

Claims (6)

  1. 차량 내 각 기기의 제어신호에 상응하는 터치 패턴을 저장하는 메모리;
    차량 네트워크 접속부;
    윈도우 글라스에서 발생하는 진동을 감지하는 진동 감지부;
    상기 윈도우 글라스에 가해지는 터치 패턴을 입력받는 입력부; 및
    상기 진동 감지부가 진동을 감지함에 따라 활성화되어, 상기 입력부를 통해 입력받은 터치 패턴에 상응하는 제어신호를 상기 메모리에서 검색하여 차량 네트워크로 전송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터치 패턴을 이용한 차량 제어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 감지부는,
    기 설정된 횟수의 노크를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패턴을 이용한 차량 제어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기는,
    차량의 도어 잠금/해제를 제어하는 BCM(Body Control Module), 차량의 썬루프 열림/닫힘을 제어하는 썬루프 제어기, 차량의 시동 온/오프를 제어하는 SMK(Smart Key) 시스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터치 패턴을 이용한 차량 제어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네트워크는,
    CAN(Controller Area Network), LIN(Local Interconnect Network), 플렉스레이(FlexRay), MOST(Media Oriented System Transport)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패턴을 이용한 차량 제어 장치.
  5. 메모리가 차량 내 각 기기의 제어신호에 상응하는 터치 패턴을 저장하는 단계;
    진동 감지부가 윈도우 글라스에서 발생하는 진동을 감지하는 단계;
    상기 진동 감지부가 진동을 감지함에 따라 제어부가 활성화되는 단계;
    입력부가 상기 윈도우 글라스에 가해지는 터치 패턴을 입력받는 단계; 및
    상기 제어부가 상기 입력부를 통해 입력받은 터치 패턴에 상응하는 제어신호를 상기 메모리에서 검색하여 차량 네트워크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터치 패턴을 이용한 차량 제어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 감지 단계는,
    기 설정된 횟수의 노크를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패턴을 이용한 차량 제어 방법.
KR1020150121265A 2015-08-27 2015-08-27 터치 패턴을 이용한 차량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KR2017002520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1265A KR20170025207A (ko) 2015-08-27 2015-08-27 터치 패턴을 이용한 차량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1265A KR20170025207A (ko) 2015-08-27 2015-08-27 터치 패턴을 이용한 차량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5207A true KR20170025207A (ko) 2017-03-08

Family

ID=584035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21265A KR20170025207A (ko) 2015-08-27 2015-08-27 터치 패턴을 이용한 차량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25207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02415A (ko) * 2018-02-26 2019-09-04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의 윈도우 개폐 제어 장치 및 방법
KR20190118760A (ko) * 2018-04-11 2019-10-21 삼보모터스주식회사 차량 제어권한 인증시스템 및 전달 방법
KR20200037603A (ko) * 2018-10-01 2020-04-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및 그 제어방법
WO2021034286A1 (en) * 2019-08-21 2021-02-25 Oezozan Oezmer Method for entering numerical password to security systems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53915A (ko) 2011-11-16 2013-05-2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제스처 인식을 통한 차량 시스템 제어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53915A (ko) 2011-11-16 2013-05-2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제스처 인식을 통한 차량 시스템 제어 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02415A (ko) * 2018-02-26 2019-09-04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의 윈도우 개폐 제어 장치 및 방법
KR20190118760A (ko) * 2018-04-11 2019-10-21 삼보모터스주식회사 차량 제어권한 인증시스템 및 전달 방법
KR20200037603A (ko) * 2018-10-01 2020-04-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및 그 제어방법
WO2021034286A1 (en) * 2019-08-21 2021-02-25 Oezozan Oezmer Method for entering numerical password to security system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30578B1 (ko) 자동차의 이동 운전의 자동 제어를 위한 방법
US9104243B2 (en) Vehicle operation device
US20150248799A1 (en) Fingerprint identification system for vehicle and vehicle smart key including the same
US10235820B2 (en) Method for safely unlocking and/or locking a vehicle
CN105278677B (zh) 与可穿戴装置通信的车辆计算系统
US10894528B2 (en) Vehicle smart key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170025207A (ko) 터치 패턴을 이용한 차량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US10957133B2 (en) NFC activation of vehicle entry privacy mode
CN103526991A (zh) 一种车辆门锁控制系统和方法
JP4375428B2 (ja) 車載用音声ガイダンス装置
KR102426367B1 (ko) 무선 기기 및 이의 외부 기기와 통신 연결 방법
US20150061843A1 (en) Remote key for control of vehicles
US9588584B2 (en) System and method for processing touch input
US10169612B2 (en) Method for executing a safety-critical function of a computing unit in a cyber-physical system
JP2009018656A (ja) 制御システムおよび方法、固定無線通信装置および方法、携帯無線通信装置および方法
KR102187946B1 (ko) 차량 스마트키
KR20160049293A (ko) 무선 충전 시스템, 무선 충전 장치 및 그를 이용한 비상 시동 방법
JP6400963B2 (ja) 車両制御システム
KR20150108717A (ko) 동작 방향성 인식에 따른 테일게이트 구동 프로세스
KR20130062522A (ko) 차량의 스마트키 시스템
KR20200022590A (ko) 사물인터넷을 이용한 장애인 운전차량의 스마트 액세스 시스템
KR101636297B1 (ko) 트렁크 자동 오픈 시스템 및 그 동작 제어방법
WO2013007573A1 (en) An electronic device providing different accesses to different users through single user interface
JP2017008602A (ja) 車両用ドアロックシステム
KR101983665B1 (ko) 스마트키 연동 터치 패널의 자동 인증 제어장치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