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26367B1 - 무선 기기 및 이의 외부 기기와 통신 연결 방법 - Google Patents

무선 기기 및 이의 외부 기기와 통신 연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26367B1
KR102426367B1 KR1020150158372A KR20150158372A KR102426367B1 KR 102426367 B1 KR102426367 B1 KR 102426367B1 KR 1020150158372 A KR1020150158372 A KR 1020150158372A KR 20150158372 A KR20150158372 A KR 20150158372A KR 102426367 B1 KR102426367 B1 KR 1024263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ion
external device
wireless device
communication
command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583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55331A (ko
Inventor
조영구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583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26367B1/ko
Priority to CN201680056760.1A priority patent/CN108141894B/zh
Priority to PCT/KR2016/012781 priority patent/WO2017082608A1/en
Priority to EP16864534.9A priority patent/EP3342242B1/en
Priority to US15/349,988 priority patent/US10659538B2/en
Publication of KR201700553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553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63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63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4Direct-mode setu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14Session management
    • H04L67/141Setup of application sess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5/00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vehicles
    • G07C5/008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vehicles communicating information to a remotely located station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5/00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vehicles
    • G07C5/08Registering or indicating performance data other than driving, working, idle, or waiting time, with or without registering driving, working, idle or waiting time
    • G07C5/0816Indicating performance data, e.g. occurrence of a malfunction
    • G07C5/0825Indicating performance data, e.g. occurrence of a malfunction using optical mea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2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51Discovery or management thereof, e.g. service location protocol [SLP] or web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56Provisioning of proxy services
    • H04L67/562Brokering proxy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8Access secur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25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external events, e.g. the presence of a sig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1Allocation or use of connection identifier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2205/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roup G07C5/00
    • G07C2205/02Indexing scheme relating to group G07C5/00 using a vehicle scan to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3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 H04W4/4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for vehicles, e.g. vehicle-to-pedestrians [V2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3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 H04W4/4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for vehicles, e.g. vehicle-to-pedestrians [V2P]
    • H04W4/44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for vehicles, e.g. vehicle-to-pedestrians [V2P] for communication between vehicles and infrastructures, e.g. vehicle-to-cloud [V2C] or vehicle-to-home [V2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3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 H04W4/4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for vehicles, e.g. vehicle-to-pedestrians [V2P]
    • H04W4/48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for vehicles, e.g. vehicle-to-pedestrians [V2P] for in-vehicle communic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무선 기기가 외부 기기와 통신 연결하는 방법이 개시된다. 무선 기기의 통신 연결 방법은, 무선 기기와 연결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외부 기기의 고유 정보를 연결 대상 목록에 저장하고, 서버로부터 연결 대기 명령을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연결 대기 명령에 응답하여, 외부 기기와 연결이 가능함을 나타내는 연결 대기 상태로 전환하고, 상기 무선 기기를 검색한 외부 기기-상기 외부 기기는 상기 무선 기기의 연결 대기 상태에 기초하여 상기 무선 기기를 검색함-로부터 연결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연결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외부 기기의 고유 정보가 상기 연결 대상 목록에 등록된 경우, 상기 연결을 요청한 외부 기기와 통신 연결을 수행하고, 상기 외부 기기와의 연결에 따라, 상기 외부 기기로부터 전송된 상기 운송 기기에 관한 명령 데이터를 상기 운송 기기로 전송할 수 있다.

Description

무선 기기 및 이의 외부 기기와 통신 연결 방법{Wireless device and method for communicating with external device thereof}
본 개시는 서버 및 운송 기기와 통신 가능한 무선 기기에서, 외부 기기와 통신 연결을 수행하는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무선 기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기 진단 기기(On Board Diagnosis)는 차량에 문제가 발생하였을 경우 계기판에 MIL(Malfunction Indication Lamp)를 점등하여 운전자가 차량의 이상 유무를 확인하여 점검 받을 수 있게 하는 시스템이다.
자기 진단 기기에는, 예로, OBDⅠ과 OBDⅡ가 있다. OBDⅠ은 ECM(Engine Control Module)에 연결되어 있는 각종 입출력 센서들의 단선/단락으로 인한 고장여부를 판단하며, OBDⅡ는 단선/단락 외의 센서의 Rationality, Performance 및 시스템의 정상여부에 대한 진단을 한다.
자기 진단 기기는 보통은 차량의 전면 또는 운전자의 일 측 하단의 대쉬 보드에 장착이 되어 있다. 자기 진단 기기를 통하여 차량은 자기 진단을 수행할 수 있기 때문에, 차량 수리업체 또는 차량 보험사에서 유용하게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자기 진단 기기를 통하여 운전자의 운전 습관 등의 파악이 가능하여, 운전자는 자기 진단 기기가 제공하는 피드백에 기초하여 운전 습관을 고치거나 차량을 안전하게 주행할 수 있다.
자기 진단 기기는 차량의 상태 정보를 차량의 ECM으로부터 얻을 수 있다. 예를 들어, ECM은 차량 내 다수의 센서 등을 통하여 차량 정보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이 경우, 자기 진단 기기는 차량의 ECM으로부터, 예로, 차량의 연비, RPM(Revolutions Per minute), 차량의 속도 등과 같은 차량에 대한 상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자기 진단 기기는 무선 통신 모듈이 구비되어 무선 기기로서 동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외부 기기(예로, 운전자의 스마트폰)의 제어 명령을 무선 기기(예로, 자기 진단 기기)가 수신하여 운송 기기(예로, 차량)로 전달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무선 기기 및 외부 기기 간에 통신 연결이 요구된다.
통신 연결을 수행하기 위하여, 기기들 각각은 UI(User Interface)를 제공하고, 사용자는 제공된 UI를 이용하여 통신 연결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 기기들이 BT(Bluetooth) 통신 프로토콜을 따르는 경우, 통신 연결을 요청 받는 기기는 UI를 통한 사용자 입력에 따라, 디스커버러블(discoverable) 모드로 전환될 수 있다. 한편, 통신 연결을 요청하는 기기는 주변에 외부 기기를 검색(scan) 후에, 디스커버러블 모드 상태의 주변 기기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스캔 리스트(scan list)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스캔 리스트에서 일 기기를 선택하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선택된 기기와 페어링이 수행될 수 있다. 이 경우, BT 통신 프로토콜을 따르는 기기들 간의 통신 연결을 위하여 사용자에게 UI를 제공하는 과정이 요구될 수 있다.
또는, 통신 연결을 요청 받는 기기가 통신 연결 관련 UI를 제공하지 않는 경우, 통신 연결을 요청하는 기기는 사용자로부터 통신 연결을 요청 받는 기기의 고유 정보(예로, PIN code 등)를 입력 받을 수 있다. 이 경우, 기기의 고유 정보는, 보통은 기기의 제품 포장 상자에 표기되어 있어 보안에 취약하다는 단점이 있을 수 있다. 또한, 통신 연결을 요청하는 기기는 통신 연결을 요청 받는 기기의 디스커버러블 모드로의 변경 시점을 알 수 없기 때문에, 디스커버러블 모드의 온 상태 유지를 위한 배터리 소모가 유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무선 기기(예로, 자기 진단 기기)가 외부 기기와 통신 연결을 시도하는 경우, 통신 연결과 관련하여 사용자의 입력을 받을 수 있는 UI를 제공하는 것이 필요할 수 있다. 그러나, 무선 기기가 운송 기기에 장착되는 경우, 무선 기기는 보통은 사용자의 손이 닿지 않는 대쉬 보드 아래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무선 기기는 운송 기기의 배터리를 이용하기 때문에, 무선 기기의 배터리 소모는 운송 기기의 배터리 방전을 초래할 수 있다. 또한, 제3 자의 운송 기기의 제어는 사용자의 안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무선 기기와 외부 기기 간에 보안 강화의 필요성이 요구된다.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운송 기기와 통신 가능한 무선 기기가 외부 기기와 통신 연결하는 방법은, 상기 무선 기기와 연결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외부 기기의 고유 정보를 연결 대상 목록에 저장하는 동작, 상기 무선 기기와 통신 연결된 서버로부터, 연결 대기 명령을 수신하는 동작, 상기 수신된 연결 대기 명령에 응답하여, 외부 기기와 연결 가능한 상태인 연결 대기 상태로 전환하는 동작, 상기 무선 기기의 연결 대기 상태로의 전환에 기초하여 상기 무선 기기를 검색한 외부 기기로부터, 연결 요청을 수신하는 동작, 상기 연결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연결 요청한 외부 기기의 고유 정보가 상기 연결 대상 목록에 포함된 경우, 상기 연결 요청한 외부 기기와 통신 연결을 수행하는 동작, 상기 연결 요청한 외부 기기와 통신 연결되면, 상기 연결된 외부 기기로부터, 운송 기기에 관한 명령 데이터를 수신하는 동작, 및 상기 운송 기기로, 상기 수신된 운송 기기에 관한 명령 데이터를 전송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무선 기기와 연결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외부 기기의 고유 정보를 연결 대상 목록에 저장하는 동작은,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무선 기기와 연결 가능한 외부 기기의 고유 정보를 수신하는 동작, 및 상기 수신된 외부 기기의 고유 정보를 상기 연결 대상 목록에 저장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운송 기기에 관한 명령 데이터를 상기 운송 기기로 전송하는 동작은, 상기 운송 기기에 관한 명령 데이터가 암호화된 명령 데이터인 경우, 상기 서버에서 수신된 복호화 키를 이용하여 상기 암호화된 명령 데이터를 복호화하는 동작, 및 상기 복호화된 명령 데이터를 상기 운송 기기로 전송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암호화된 명령 데이터는, 상기 무선 기기와 통신 연결된 외부 기기가,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한 암호화 키를 이용하여 암호화한 명령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 요청한 외부 기기와 통신 연결이 수행되면, 상기 연결 대기 상태를 종료하는 동작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 대기 상태는, 디스커버러블(discoverable) 모드 상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외부 기기로부터 연결 요청을 수신하는 동작은, 상기 외부 기기로부터 페어링 요청을 수신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무선 기기는, 상기 외부 기기와 무선 통신 방식에 따라 통신하고, 상기 운송 기기와 유선 통신 방식에 따라 통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운송 기기와 통신 가능한 무선 기기의 통신 연결을 지원하는 서버의 통신 방법은, 상기 무선 기기로, 상기 무선 기기와 연결 가능한 외부 기기의 고유 정보 및 상기 무선 기기를 연결 대기 상태로 전환하기 위한 연결 대기 명령을 전송하는 동작, 및 상기 무선 기기가, 상기 외부 기기의 고유 정보 및 상기 연결 대기 명령에 기초하여 상기 외부 기기와 통신 연결을 수행하는 경우, 상기 무선 기기 또는 상기 외부 기기로부터 상기 무선 기기 및 상기 외부 기기 간의 연결 성공 결과를 수신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외부 기기가 운송 기기와 통신 가능한 무선 기기와 통신 연결하는 방법은, 서버로 상기 외부 기기의 고유 정보를 전송하는 동작, 상기 전송된 외부 기기의 고유 정보에 기초하여 연결 대기 상태로 전환된 상기 무선 기기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검색 리스트를 표시하는 동작, 상기 검색 리스트에서 상기 무선 기기의 식별 정보가 선택되는 경우, 상기 선택된 식별 정보의 무선 기기와 통신 연결을 수행하는 동작, 및 상기 무선 기기와 통신 연결되면, 상기 연결된 무선 기기로 상기 운송 기기에 관한 명령 데이터를 전송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무선 기기는 상기 무선 기기와 연결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외부 기기의 고유 정보를 연결 대상 목록에 저장하는 저장부, 서버 및 운송 기기와 통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된 연결 대기 명령에 응답하여, 외부 기기와 통신 연결이 가능함을 알리는 연결 대기 상태로 전환하고, 상기 무선 기기의 연결 대기 상태에 기초하여 상기 무선 기기를 검색한 외부 기기로부터 수신된 연결 요청을 상기 통신부를 통하여 수신하고, 상기 연결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연결 요청한 외부 기기의 고유 정보가 상기 연결 대상 목록에 포함된 경우, 상기 통신부를 통하여 상기 외부 기기와 연결을 수행하고, 상기 연결 요청한 외부 기기와 통신 연결되면, 상기 통신부를 통하여 상기 외부 기기로부터 전송된 상기 운송 기기에 관한 명령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통신부를 통하여 상기 운송 기기로, 상기 운송 기기로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통신부가,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무선 기기와 연결 가능한 외부 기기의 고유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신된 외부 기기의 고유 정보를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연결 대상 목록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운송 기기에 관한 명령 데이터가 암호화된 명령 데이터인 경우, 상기 서버에서 수신한 복호화 키를 이용하여 상기 암호화된 명령 데이터를 복호화하고, 상기 통신부를 통하여 상기 복호화된 명령 데이터를 상기 운송 기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암호화된 명령 데이터는, 상기 무선 기기와 통신 연결돤 외부 기기가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한 암호화 키를 이용하여 암호화한 명령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연결을 요청한 외부 기기와 통신 연결이 수행되는 경우, 상기 연결 대기 상태를 종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연결 대기 상태는, 디스커버러블(discoverable) 모드 상태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부를 통하여 상기 외부 기기로부터 연결 요청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통신부를 통하여 상기 외부 기기로부터 페어링 요청을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통신부는, 상기 외부 기기와 무선 통신 방식에 따라 통신하고, 상기 운송 기기와 유선 통신 방식에 따라 통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서버는 외부 기기 및 운송 기기와 통신 가능한 무선 기기와 통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통신부를 통하여 상기 무선 기기로 상기 무선 기기와 연결 가능한 외부 기기의 고유 정보 및 상기 무선 기기를 연결 대기 상태로 전환하기 위한 연결 대기 명령을 전송하고, 상기 무선 기기가 상기 외부 기기의 고유 정보 및 상기 연결 대기 명령에 기초하여 상기 외부 기기와 연결이 수행되는 경우, 상기 통신부를 통하여 상기 무선 기기 또는 상기 외부 기기로부터 상기 무선 기기 및 상기 외부 기기 간의 연결 성공 결과를 수신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외부 기기는 디스플레이부, 서버와 통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통신부를 통하여, 상기 서버로 상기 외부 기기의 고유 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하여, 상기 전송된 외부 기기의 고유 정보에 기초하여 연결 대기 상태로 전환된 무선 기기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검색 리스트를 표시하고, 상기 검색 리스트에서 상기 무선 기기의 식별 정보가 선택되는 경우, 상기 통신부를 통하여 상기 무선 기기와 연결을 수행하고, 상기 무선 기기와 연결되면, 상기 통신부를 통하여, 상기 연결된 무선 기기로 운송 기기에 관한 명령 데이터를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또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른,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상기 무선 기기와 연결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외부 기기의 고유 정보를 연결 대상 목록에 저장하는 동작, 상기 무선 기기와 통신 연결된 서버로부터, 연결 대기 명령을 수신하는 동작, 상기 수신된 연결 대기 명령에 응답하여, 외부 기기와 연결 가능한 상태인 연결 대기 상태로 전환하는 동작, 상기 무선 기기의 연결 대기 상태로의 전환에 기초하여 상기 무선 기기를 검색한 외부 기기로부터, 연결 요청을 수신하는 동작, 상기 연결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연결 요청한 외부 기기의 고유 정보가 상기 연결 대상 목록에 포함된 경우, 상기 연결 요청한 외부 기기와 통신 연결을 수행하는 동작, 상기 연결 요청한 외부 기기와 통신 연결되면, 상기 연결된 외부 기기로부터, 운송 기기에 관한 명령 데이터를 수신하는 동작, 및 상기 운송 기기로, 상기 수신된 운송 기기에 관한 명령 데이터를 전송하는 동작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또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른,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상기 무선 기기로, 상기 무선 기기와 연결 가능한 외부 기기의 고유 정보 및 상기 무선 기기를 연결 대기 상태로 전환하기 위한 연결 대기 명령을 전송하는 동작, 및 상기 무선 기기가, 상기 외부 기기의 고유 정보 및 상기 연결 대기 명령에 기초하여 상기 외부 기기와 통신 연결을 수행하는 경우, 상기 무선 기기 또는 상기 외부 기기로부터 상기 무선 기기 및 상기 외부 기기 간의 연결 성공 결과를 수신하는 동작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서버로 상기 외부 기기의 고유 정보를 전송하는 동작, 상기 전송된 외부 기기의 고유 정보에 기초하여 연결 대기 상태로 전환된 상기 무선 기기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검색 리스트를 표시하는 동작, 상기 검색 리스트에서 상기 무선 기기의 식별 정보가 선택되는 경우, 상기 선택된 식별 정보의 무선 기기와 통신 연결을 수행하는 동작, 및 상기 무선 기기와 통신 연결되면, 상기 연결된 무선 기기로 상기 운송 기기에 관한 명령 데이터를 전송하는 동작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무선 기기 및 외부 기기 간의 연결 시에, 무선 기기의 전력 소모가 최소화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외부 기기 및 무선 기기 간에 연결이 일단 수행되면, 이후에는 무선 기기가 별도의 연결 대기 상태를 거치지 않고 외부 기기와의 통신 연결이 가능하게 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무선 기기에 전력을 공급하는 운송 기기의 배터리의 소모가 최소화될 수 있다.
또한, 무선 기기는 외부 기기의 고유 정보를 수신하여, 연결 대상 목록에서 수신된 고유 정보에 대응하는 외부 기기를 대상으로 통신 연결을 수행함으로써, 무선 기기의 통신 보안을 강화할 수 있다.
또한, 제3 자의 외부 기기가 자신의 고유 정보를 사용자의 외부 기기와 동일한 고유 정보로 변조하여 통신 연결을 시도하는 경우에, 서버에서 외부 기기가 인증된 기기인지 확인하는 절차가 수행되어 인증되지 않은 제3 자의 외부 기기와의 통신 연결을 차단할 수 있다.
또한, 통신 연결을 위하여 사용자가 무선 기기를 직접 조작하는 과정이 생략되기 때문에, 무선 기기 및 외부 기기를 연결하는 사용자 동작이 간소화되고 이에 따른 사용자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외부 기기를 교체하는 경우에도, 서버를 통하여 교체된 외부 기기를 등록 하면 신속하고 편리하게 교체한 외부 기기의 연결이 가능할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무선 기기가 운송 기기와 통신 연결하는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a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무선 기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b는, 본 개시의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른 무선 기기의 구성을 상세히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서버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외부 기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무선 기기와 외부 기기 간의 통신 연결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무선 기기와 외부 기기 간의 통신 연결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개시의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른 무선 기기가 외부 기기와 통신 연결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9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서버가 무선 기기의 통신 연결을 지원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0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외부 기기가 무선 기기와 통신 연결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재된다. 그러나, 이는 본 개시에 기재된 기술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개시의 실시 예의 다양한 변경(modifications), 균등물(equivalents), 및/또는 대체물(alternatives)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가진다," "가질 수 있다," "포함한다," 또는 "포함할 수 있다" 등의 표현은 해당 특징(예: 수치, 기능, 동작, 또는 부품 등의 구성요소)의 존재를 가리키며, 추가적인 특징의 존재를 배제하지 않는다.
본 개시에서, "A 또는 B," "A 또는/및 B 중 적어도 하나," 또는 "A 또는/및 B 중 하나 또는 그 이상"등의 표현은 함께 나열된 항목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A 또는 B," "A 및 B 중 적어도 하나," 또는 "A 또는 B 중 적어도 하나"는, (1) 적어도 하나의 A를 포함, (2) 적어도 하나의 B를 포함, 또는 (3) 적어도 하나의 A 및 적어도 하나의 B 모두를 포함하는 경우를 모두 지칭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사용된 "제1," "제2," "첫째," 또는 "둘째,"등의 표현들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순서 및/또는 중요도에 상관없이 수식할 수 있고, 한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뿐 해당 구성요소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어떤 구성요소(예: 제1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예: 제2 구성요소)에 "(기능적으로 또는 통신적으로) 연결되어((operatively or communicatively) coupled with/to)" 있다거나 "접속되어(connected to)"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다른 구성요소(예: 제3 구성요소)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예: 제1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예: 제2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와 상기 다른 구성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요소(예: 제 3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사용된 표현 "~하도록 구성된(또는 설정된)(configured to)"은 상황에 따라, 예를 들면, "~에 적합한(suitable for)," "~하는 능력을 가지는(having the capacity to)," "~하도록 설계된(designed to)," "~하도록 변경된(adapted to)," "~하도록 만들어진(made to)," 또는 "~를 할 수 있는(capable of)"과 바꾸어 사용될 수 있다. 용어 "~하도록 구성된(또는 설정된)"은 하드웨어적으로 "특별히 설계된(specifically designed to)" 것만을 반드시 의미하지 않을 수 있다. 대신, 어떤 상황에서는, "~하도록 구성된 장치"라는 표현은, 그 장치가 다른 장치 또는 부품들과 함께 "~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문구 "A, B, 및 C를 수행하도록 구성된(또는 설정된) 프로세서"는 해당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전용 프로세서(예: 임베디드 프로세서), 또는 메모리 장치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들을 실행함으로써, 해당 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는 범용 프로세서(generic-purpose processor)(예: CPU 또는 application processor)를 의미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사용된 용어들은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다른 실시예의 범위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닐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개시에 기재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본 개시에 사용된 용어들 중 일반적인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동일 또는 유사한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본 개시에서 명백하게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경우에 따라서, 본 개시에서 정의된 용어일지라도 본 개시의 실시 예들을 배제하도록 해석될 수 없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무선 기기가 운송 기기와 통신 연결하는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시스템(1)은 무선 기기(10), 운송 기기(20), 외부 기기(30) 및 서버(4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서, 무선 기기(10)는, 운송 기기(20)과 연결되어 통신을 수행하면서 운송 기기(20)의 상태 정보를 수집하거나, 또는 운송 기기(20)의 기능을 제어할 수 있다. 무선 기기(10)는 예를 들면, 자기 진단 기기(On Board Diagnostics, OBD), 스마트폰(smartphone), 태블릿 PC(tablet personal computer), 이동 전화기(mobile phone), 영상 전화기, 전자책 리더기(e-book reader), 데스크탑 PC(desktop personal computer), 랩탑 PC(laptop personal computer), 넷북 컴퓨터(netbook computer),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MP3 플레이어, 모바일 의료기기, 카메라(camera), 사물 인터넷 장치(internet of things) 또는 웨어러블 장치(wearable device)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는, 무선 기기(10)의 일 예로, 자기 진단 기기(On Board Diagnostics, OBD)를 포함하는 것을 기술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자기 진단 기기는 운송 기기(20)의 상태 정보들을 수집할 수 있다. 상태 정보는, 예를 들어, 운송 기기(20)(예로, 차량)의 속도, 운행 시간, 엔진 회전수(RPM, Revolution Per Minute), 운행 거리, 평균 연비 또는 순간 연비 등의 운행 상태에 대한 정보뿐만 아니라, 냉각수 온도, 흡입공기 온도, 흡기 공기량, 엔진오일 온도, 미션오일 온도, 연료 분사량, 산소 센서 전압, 점화 각도, 탄소 배출량 또는 공연비 학습량 등의 엔진 상태에 대한 정보와, 브레이크 상태, 배터리 전압 또는 에어컨 냉매 압력 등이 될 수 있다.
운송 기기(20)에 문제가 발생한 경우, 자기 진단 기기를 통해 수집한 정보를 통해 운송 기기(20)에 발생한 문제에 대한 정보가 확인될 수 있다. 이러한, 무선 기기(10)의 구성은 도 2a 및 도 2b 에서 보다 상세히 후술될 예정이다.
운송 기기(20)는 사람이 탑승하거나 또는 화물이 적재되어 이동할 수 있는 기기가 될 수 있다. 운송 기기(20)는 사람 또는 운송 기기(20)를 제어하는 기기(예: 인공지능 전자 장치, 자동 항법 장치 등)의 제어에 의하여 이동될 수 있다. 운송 기기(20)에는, 예를 들어, 차량, 비행기, 오토바이, 선박 또는 기차 등이 있을 수 있다.
도 1에서는, 운송 기기(20)의 일 예로, 차량을 대상으로 주로 설명한다. 차량(20)은 운행과 관련된 다양한 기능 등을 전자적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차량용 전자 제어 시스템(미도시)이 장착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차량용 전자 제어 시스템은 무선 기기(10)가 장착되어 차량(20)의 전반적인 구동 기능 제어를 지원하는 시스템이 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배출가스 제어나 엔진 제어, 라이트 제어, 브러쉬 제어 등 다양한 제어를 전자적으로 지원할 수 있다. 차량용 전자 제어 시스템은 무선 기기(10)와의 연결을 위한 차량용 커넥터(예: OBD 단자 또는 OBD 커넥터 등)를 포함할 수 있다. 차량용 커넥터는 다양한 무선 기기(10)의 커넥터에 결합될 수 있도록 다양한 형태 중 적어도 하나의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도 1에서, 외부 기기(30)는 운송 기기(20)에 장착된 무선 기기(10)에 데이터를 전송하거나, 무선 기기(10)로부터 데이터를 획득하는 기기가 될 수 있다.
도 1의 동작 101에서, 외부 기기(30)의 고유 정보가 서버(40)에 등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무선 기기(10)에 설치된 기기 연결 어플리케이션(예로, Device to Device Application)을 통하여 서버(40)에 접속하여, 외부 기기(30)의 고유 정보를 등록할 수 있다. 외부 기기(30)의 고유 정보 등록 요청에 응답하여, 외부 기기(30)는 외부 기기(30)의 고유 정보를 서버(40)로 전송할 수 있다. 고유 정보는, 예로, 맥 어드레스(Mac Address)(예로, 블루투스 맥 어드레스)를 포함할 수 있다.
동작 102에서, 외부 기기(30)의 고유 정보를 수신한 서버(40)는 수신된 외부 기기(30)의 고유 정보를 무선 기기(10)로 전송할 수 있다. 외부 기기(30)의 고유 정보를 수신한 무선 기기(10)는 수신된 외부 기기(30)의 고유 정보를 연결 대상 목록에 등록할 수 있다. 연결 대상 목록은, 예로, 화이트 리스트(white list)로 칭할 수 있다.
또한, 외부 기기(30)의 고유 정보 등록 요청에 응답하여, 외부 기기(30)는 외부 기기(30)의 주변에 위치한 주변 기기를 검색하기 위한 검색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검색 기능은, 예로, 스캔 기능(예로, 블루투스 스캔 기능)이 될 수 있다. 이 경우, 외부 기기(30)의 고유 정보를 수신한 서버(40)는 무선 기기(10)를 연결 대기 상태로 전환하기 위한 연결 대기 명령을 무선 기기(10)로 전송할 수 있다. 연결 대기 명령을 수신한 무선 기기(10)는 무선 기기(10)의 상태를 무선 기기(10)가 주위의 외부 기기와 통신 연결이 가능함을 알리는 연결 대기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연결 대기 상태는, 예로, 디스커버러블(discoverable) 모드 상태가 될 수 있다. 상세하게는, 무선 기기(10)는 무선 기기(10)의 통신 모듈(예로, 블루투스 프레임워크(Bluetooth Framework))의 동작 모드를 디스커버러블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로, 외부 기기(30)의 고유 정보가 무선 기기(10)의 연결 대상 목록에 미리 등록된 상태일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무선 기기(10)에 설치된 기기 연결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외부 기기(30)의 주변에 위치한 주변 기기를 검색하기 위한 검색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외부 기기(30)는 무선 기기(10)를 연결 대기 상태로 전환하는 것을 요청하는 연결 대기 명령을 서버(40)로 전송할 수 있다.
연결 대기 명령을 수신한 서버(40)는, 동작 102에서, 수신된 연결 대기 명령을 무선 기기(10)로 전송할 수 있다. 연결 대기 명령을 수신한 무선 기기(10)는 연결 대기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동작 103에서, 외부 기기(30)는 주변 기기의 검색 결과로서, 검색된 주변 기기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검색 리스트를 표시할 수 있다. 이 경우, 식별 정보는, 주변 기기의 맥 어드레스, 주변 기기의 SSID(Service Set Identifier), 주변 기기의 제품명, 주변 기기의 시리얼 넘버(serial number), 주변 기기를 나타내는 아이콘 등이 될 수 있다.
검색된 주변 기기는, 주변 기기의 상태가 연결 대기 상태인 주변 기기일 수 있다. 이에 따라, 검색 리스트에는 무선 기기(10)의 식별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사용자는 외부 기기(30)와 무선 기기(10) 간에 통신 연결이 수행되도록 검색 리스트에서 무선 기기(10)의 식별 정보를 선택할 수 있다.
사용자의 선택에 응답하여, 동작 104에서, 외부 기기(30)는 선택된 무선 기기(10)로 연결을 요청할 수 있다. 연결 요청은, 예로, 외부 기기(30)가 무선 기기(10)로 연결을 요청하는 페어링 요청을 포함할 수 있다.
연결 요청에 응답하여, 무선 기기(10)는 통신 연결을 요청한 외부 기기(30)가 연결 대상 목록에 등록된 기기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즉, 무선 기기(10)는 통신 연결을 요청한 외부 기기(30)의 식별 정보가 연결 대상 목록에 포함되었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외부 기기(30)의 통신 모듈(예로, 블루투스 프레임워크(Bluetooth Framework))이 페어링 요청에 응답하여, 외부 기기(30)의 식별 정보가 화이트 리스트에 포함되었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판단 결과, 통신 연결을 요청한 외부 기기(30)가 연결 대상 목록에 등록된 기기인 경우, 동작 105에서, 무선 기기(10)는 외부 기기(30)와의 연결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기기(10)는 상기 외부 기기와의 페어링 수락 신호를 외부 기기(30)로 전송하여, 외부 기기와 연결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무선 기기(10)는 외부 기기(30)와의 연결 성공 결과를 서버(4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외부 기기(30)와의 연결이 수행되는 경우, 무선 기기(10)는 연결 대기 상태를 종료할 수 있다.
반면에, 판단 결과, 연결을 요청한 외부 기기가 제3자의 기기인 경우, 무선 기기(10)는 외부 기기와의 연결을 차단할 수 있다.
무선 기기(10)와 외부 기기(30) 간에 연결이 수행되면, 동작 106에서, 외부 기기(30)는 무선 기기(10)로 운송 기기(20)에 관한 명령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운송 기기에 관한 명령 데이터는, 예로, 범용(generic) 명령 데이터 및 개량(enhance) 명령 데이터로 구분될 수 있다. 범용 명령어 데이터는, 예로, ODB 표준을 따르는 명령어 데이터가 될 수 있다. 또한, 개량 명령어 데이터는, 예로, 무선 기기(10)의 제조사 별 또는 운송 기기(20)의 종류 별에 따라 규정된 포맷을 따르는 명령어 데이터가 될 수 있다.
명령 데이터는, 다른 예로, 제어 명령 데이터 및 획득 명령 데이터로 구분될 수 있다. 제어 명령 데이터는, 운송 기기(20)를 제어하는 명령 데이터로서, 라이트(write) 명령어 데이터, 구동(actuation) 명령 데이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획득 명령 데이터는, 운송 기기(20)의 상태 정보를 획득하는 명령 데이터로서 리드(read) 명령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 명령 데이터에는, 운송 기기(20)의 도어(door)를 잠그거나 또는 잠금을 해제하는 명령 데이터, 운송 기기(20)의 창문을 잠그거나 또는 잠금을 해제하는 명령 데이터, 운송 기기(20)의 비상 램프(hazard lamp)를 온 또는 오프하는 명령 데이터, 운송 기기(20)의 우측 또는 좌측 램프를 온 또는 오프하는 명령 데이터, 운송 기기(20)의 경적을 울리는 명령 데이터, 운송 기기(20)의 트렁크(trunk)를 개폐하는 명령 데이터, 운송 기기(20)의 브레이크를 구동시키는 명령 데이터, 운송 기기(20)의 가속 페달을 구동시키는 명령 데이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획득 명령 데이터에는, 운송 기기(20)의 키 코딩(key coding) 개수를 획득하는 명령 데이터, 운송 기기(20)의 엔진 오일 양을 획득하는 명령 데이터, 운송 기기(20)의 안전벨트 착용 여부 상태를 획득하는 명령 데이터, 운송 기기(20)의 배터리 수명 또는 배터리 잔류량을 획득하는 명령 데이터, 운송 기기(20)의 램프의 라이트 상태를 획득하는 명령 데이터, 운송 기기(20)의 기어 상태를 획득하는 명령 데이터, 운송 기기(20)의 핸들 각도를 획득하는 명령 데이터, 운송 기기(20)의 브레이크 상태를 획득하는 명령 데이터, 운송 기기(20)의 속도를 획득하는 명령 데이터, 운송 기기(20)의 엔진 회전수를 획득하는 명령 데이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단계 107에서, 운송 기기(20)에 관한 명령 데이터를 수신한 무선 기기(10)는 수신된 명령 데이터를 운송 기기(20)로 전송할 수 있다.
명령 데이터를 수신한 운송 기기(20)는 수신된 명령 데이터에 따라 제어될 수 있다.
도 2a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무선 기기(10)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a를 참조하면, 무선 기기(10)는 통신부(110), 저장부(120)(또는, 메모리) 및 제어부(130)(또는,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110)는 유선 또는 무선 통신 방식으로 외부 기기(30) 및 운송 기기(20) 중 적어도 하나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부(110)는 무선 통신 방식으로 외부 기기(30)와 통신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110)는 유선 통신 방식으로 운송 기기(20)와 통신할 수 있다.
무선 통신 방식으로 통신을 수행하는 경우, 통신부(110)는, 예를 들어, Wi-Fi, Bluetooth, Zigbee, Picocast 또는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방식으로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 경우, 통신부(110)는 SSID 및 세션 키 등과 같은 각종 연결 정보를 먼저 송수신하고, 상기 연결 정보를 이용하여 통신 연결을 수립(예: 통신 채널 형성 등)한 후 각종 정보들을 송수신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110)는 IEEE, 3G(3rd Generation),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TE(Long Term Evolution),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등과 같은 다양한 통신 표준에 따라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유선 통신 방식으로 통신을 수행하는 경우, 통신부(110)는, 예를 들어, 20핀 커넥터, 16핀 커넥터 또는 USB 커넥터를 이용할 수 있다. 통신부(110)는 On-Board Diagnosis Version I(OBD-1), OBD-2, European On-Board Diagnosis(EOBD), Korean On-Board Diagnosis(KOBD), K-Line, RS-232, CAN(Controller Area Network) 등과 같은 통신 표준에 따라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로, 통신부(110)는 서버(40)로부터 무선 기기(10)와 연결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외부 기기의 고유 정보를 수신하여, 이를 제어부(130)로 전달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로, 통신부(110)는 서버(40)로부터 연결 대기 명령을 수신하여, 이를 제어부(130)로 전달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로, 통신부(110)는 무선 기기(10)의 연결 대기 상태에 기초하여, 무선 기기(10)를 검색한 외부 기기(30)로부터 연결 요청을 수신하여, 이를 제어부(130)로 전달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로, 통신부(110)는 연결 요청한 외부 기기(30)의 고유 정보가 연결 대상 목록에 등록된 경우, 연결 요청한 외부 기기(30)로 연결 수락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로, 통신부(110)는 외부 기기(30)로부터 운송 기기(20)에 관한 명령어 데이터를 수신하여, 이를 운송 기기(20)로 전달할 수 있다.
저장부(120)는 무선 기기(10)에서 실행되고 처리되는 각종 프로그램과 데이터를 저장하며, 비휘발성 메모리 및 휘발성 메모리 중 적어도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비휘발성 메모리는 ROM(Read Only Memory),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등에 대응할 수 있으며, 휘발성 메모리는 RAM(Random Access Memory) 등에 대응할 수 있다. 또한, 저장부(120)는 무선 기기(10)에 장착되는 메모리 카드(미도시)(예: micro SD 카드, 메모리 스틱)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로, 저장부(120)는 무선 기기(10)와 연결 가능한 외부 기기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연결 대상 목록을 저장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무선 기기(1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일 실시 예로, 제어부(130)는 서버(40)로부터 수신된 연결 대기 명령에 응답하여, 무선 기기(10)의 상태를 외부 기기(30)와 통신 연결이 가능함을 알리는 연결 대기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30)는 무선 기기(10)의 연결 대기 상태에 기초하여 무선 기기(10)를 검색한 외부 기기(30)로부터 수신된 연결 요청에 응답하여, 연결 요청한 외부 기기(30)의 고유 정보가 저장부(120)에 저장된 연결 대상 목록에 등록되었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연결 요청한 외부 기기(30)의 고유 정보가 연결 대상 목록에 등록된 경우, 제어부(130)는 통신부(110)를 통하여 외부 기기(30)와 연결을 수행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로, 제어부(130)는 무선 기기(10)와 외부 기기(30)가 연결되면, 통신부(110)를 통하여 외부 기기(30)로부터 전송된 운송 기기(20)에 관한 명령 데이터를 운송 기기(20)로 전송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로, 제어부(130)는 서버(40)로부터 무선 기기(10)와 연결 가능한 외부 기기(30)의 고유 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수신된 외부 기기(30)의 고유 정보를 저장부(120)의 연결 대상 목록에 포함되도록 저장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로, 제어부(130)는 운송 기기(20)에 관한 명령 데이터가 암호화된 명령 데이터인 경우, 서버(40)에서 수신한 복호화 키를 이용하여 암호화된 명령 데이터를 복호화하고, 통신부(110)를 통하여 복호화된 명령 데이터를 운송 기기(20)로 전송할 수 있다. 이 때, 암호화된 명령 데이터는, 외부 기기(30)가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한 암호화 키를 이용하여 암호화한 명령 데이터일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로, 제어부(130)는 연결을 요청한 외부 기기(30)와 연결이 수행되는 경우, 무선 기기(10)의 연결 대기 상태를 종료할 수 있다.
도 2b는, 본 개시의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른 무선 기기(10)의 구성을 상세히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b를 참조하면, 무선 기기(10)는 통신부(110), 저장부(120), 제어부(130) 및 감지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밖에도 무선 기기(10)는 마이크(microphone)와 스피커(speaker)를 구비하는 오디오 처리부(미도시), 터치 기반의 입력을 위한 터치패드(미도시), 물리적인 키 입력을 지원하는 입력부(미도시), 무선 기기(10)의 운용에 따른 화면 데이터 표시를 위한 표시부(미도시), LED 등을 포함하는 발광부(미도시), 그리고 상기와 같은 구성들에 전원 공급을 위한 배터리(battery, 미도시) 등의 구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110)는 유선 또는 무선 통신 방식으로 외부 기기(30), 서버(40) 및 운송 기기(20) 중 적어도 하나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통신부(110)는 제1 통신부(111) 및 제2 통신부(11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통신부(111) 및 제2 통신부(112)는 그 목적, 기능 또는 구성에 따라 구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개시에서, 외부 기기(30) 또는 외부 서버(미도시)와 통신하는 제1 통신부(111)와 운송 기기(20)와 통신을 수행하는 제2 통신부(112)로 구분될 수 있다. 또한, 무선 통신 방식으로 통신하는 제1 통신부(111)와 유선 통신 방식으로 통신하는 제2 통신부(112)로 구분될 수 있다.
제1 통신부(111)는 외부 기기(30) 및 서버(40)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통신 방식으로 통신할 수 있다. 제1 통신부(111)는, 예로, 원거리 통신 모듈(미도시) 및 근거리 통신 모듈(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기기(10)는 원거리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서버(40)와 통신할 수 있다. 원거리 통신 모듈은, 예를 들어, IEEE, 3G(3rd Generation),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TE(Long Term Evolution),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등과 같은 통신 표준에 따라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무선 기기(10)는 근거리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외부 기기(30)와 통신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은, 예로, Wi-Fi, Bluetooth, NFC, Zigbee, Picocast 등과 같은 통신 표준에 따라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제2 통신부(112)는 운송 기기(20)와 유선 통신 방식으로 통신할 수 있다. 제2 통신부(112)는 예로, K-Line 통신 모듈, RS-232 통신 모듈 및 CAN 통신 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통신부(112)는 전술한 통신 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운송 기기(20)와 유선 통신 방식으로 통신할 수 있다
감지부(140)는 무선 기기(10)의 상태 및 운송 기기(20)의 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다양한 센서들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감지부(140)는 가속도 센서(acceleration sensor), 자이로 센서(gyro sensor), 조도 센서(illuminance sensor), 근접 센서(proximity sensor), 압력 센서(pressure sensor), 노이즈 센서(noise sensor)(예컨대, 마이크), 비디오 센서(video sensor)(예컨대, 카메라 모듈), 온도 센서, 충격 센서(shock sensor) 및 타이머 중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감지부(140)는 운송 기기(20)의 상태 값으로서, 운송 기기(20)의 배터리 잔량, 운송 기기(20)의 온도, 운송 기기(20)의 이동 속도, 운송 기기(20)의 충격 여부 및 운송 기기(20)의 가속도 중 적어도 하나를 감지할 수 있다. 또한, 감지부(140)는 무선 기기(10)의 상태 정보로서, 무선 기기(10) 자체의 온도, 배터리 잔량, 동작 상태 중 적어도 하나를 감지할 수 있다.
저장부(120)는 무선 기기(10)에서 실행되고 처리되는 각종 소프트웨어와 데이터를 저장하며, 비휘발성 메모리 및 휘발성 메모리 중 적어도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저장부(120)의 상세한 예들은 앞서 설명한 도 2a의 저장부(120)를 참조한다.
일 실시 예로, 저장부(120)는 무선 기기(10)와 연결 가능한 외부 기기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연결 대상 목록(121)을 저장할 수도 있다. 연결 대상 목록(121)에는, 운송 기기(20)로 명령어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기기(30)의 식별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연결 대상 목록(121)은, 예로, 화이트 리스트(white list)로 칭할 수도 있다.
다른 일 예로, 저장부(120)는 데이터 전송 거부 기기 목록(미도시)을 저장할 수도 있다. 데이터 전송 거부 기기 목록에는, 운송 기기(20)로 명령어 데이터를 전송할 수 없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기기(30)의 식별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이 경우, 운송 기기(20)의 사용자가 이용하는 외부 기기(30)의 식별 정보는 연결 대상 목록(121)에 포함될 수 있다. 반면에, 제3자가 이용하는 외부 기기(30)의 식별 정보는 데이터 전송 거부 기기 목록에 포함될 수 있다.
제어부(130)는 무선 기기(1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제1 제어부(131) 및 제2 제어부(13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제어부(131) 및 제2 제어부(132)는 무선 기기(10)의 동작을 제어하되, 그 목적, 기능 또는 구성에 따라 구분될 수 있다.
제1 제어부(131)는 운영 체제(예로, 안드로이드 OS 또는 타이젠 OS 등) 또는 응용 프로그램의 구동을 위한 AP(application processor)(예로, MSM8916 AP 등) 등이 될 수 있다. 제1 제어부(131)는 제2 제어부(132)와 통신하기 위한 OBD 제어 모듈(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OBD 제어 모듈은, 예로, OBD 에이전트 모듈로 칭할 수도 있다.
제2 제어부(132)는 운송 기기(20)의 자기 진단을 수행하기 위한 MCU(Micro Controller Unit)(예로, OBD-1 또는 OBD-2의 MCU 등) 등이 될 수 있다. 제2 제어부(132)는 제1 제어부(131)로부터 수신된 명령어 데이터의 포맷을 운송 기기(20)로 전달 가능한 다른 포맷(예로, CAN 통신 포맷, KWP2000 통신 포맷 등)으로 변환하여, 운송 기기(20)로 전달할 수 있다.
제1 제어부(131) 및 제2 제어부(132)는 서로 간에 보안 모듈(미도시)을 통하여 데이터를 송신 또는 수신 할 수 있다. 보안 모듈은, 예로, eSE(Embedded Secure Element) 모듈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제어부(131)는 보안 모듈을 통하여, 획득 명령어 데이터를 암호화하여 제2 제어부(132)로 송신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제어부(132)는 획득 명령어 데이터에 대한 응답으로 운송 기기(20)의 상태 정보를 획득하고, 보안 모듈을 통하여 상태 정보를 암호화하여 제1 제어부(131)로 전송할 수 있다.
제1 제어부(131)는 제1 통신부(111)를 통하여 서버(40)로부터 수신 또는 송신할 데이터를 처리하는 서버 클라이언트 모듈(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로, 서버 클라이언트 모듈은 서버(40)로부터 사용자가 등록한 외부 기기(30)의 고유 정보를 수신하여, 수신된 외부 기기(30)의 고유 정보를 연결 대상 목록에 등록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로, 서버 클라이언트 모듈은 서버(40)로부터 연결 대기 명령을 수신하여, 수신된 연결 대기 명령에 따라, 제1 통신부(111)의 일 통신 모듈(예로, 블루투스 프레임워크(Bluetooth Framework))의 동작 모드를 디스커버러블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로, 무선 기기(10)가 외부 기기(30)와 연결되면, 서버 클라이언트 모듈은, 외부 기기(30)와의 연결 성공 결과를 서버(40)로 전송할 수 있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서버(40)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에서, 서버(40)는 무선 기기(10)를 이용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가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40)는 무선 기기(10)를 이용하여 사물 인터넷(IoT; Internet of Things) 환경을 지원하는 서버가 될 수 있다. 특히, 서버(40)는 무선 기기(10) 또는 외부 기기(30)에 보안 솔루션(예로, MDM; Mobile Device Management)을 제공하면서, 사물 인터넷(IoT; Internet of Things) 환경을 지원하는 서버가 될 수 있다. 서버(40)는 클라우드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통상적으로 클라우드 서버는 인터넷 환경에서 떠다니는 구름처럼 고정된 하드웨어에 구애받지 않고 소프트웨어 환경을 이용해서 자료를 등록하고, 등록된 자료를 이용하는 저장 방식으로 이용될 수 있다.
서버(40)는 통신부(410) 및 제어부(430)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도 3에서는, 본 개시 특징이 흐려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본 개시의 관련된 구성요소들만을 기술하기로 한다. 도 3에 도시된 구성요소들 외에 다른 범용적인 구성요소들이 포함될 수 있음을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기술자라면 이해할 수 있다.
통신부(410)는 무선 기기(10) 및 외부 기기(30)와 무선 통신 방식으로 통신할 수 있다. 통신부(410)는, 예를 들어, IEEE, 3G(3rd Generation),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또는 LTE(Long Term Evolution) 등과 같은 다양한 통신 표준에 따라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430)는 서버(4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 예로, 외부 기기(30)로부터 외부 기기(30)의 고유 정보가 수신되면, 제어부(430)는 통신부(410)를 통하여 무선 기기(10)로 무선 기기(10)와 연결 가능한 외부 기기(30)의 고유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로, 외부 기기(30)로부터 운송 기기(20)를 연결 대기 상태로 전환시키기 위한 연결 대기 명령이 수신되면, 제어부(430)는 통신부(410)를 통하여, 무선 기기(10)로 무선 기기(10)를 연결 대기 상태로 전환시키기 위한 연결 대기 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
무선 기기(10)로 외부 기기(30)의 고유 정보 및 연결 대기 명령을 전송하는 것에 기초하여, 무선 기기(10)가 외부 기기(30)와 연결이 수행되면, 제어부(430)는 통신부(410)를 통하여 무선 기기(10) 또는 외부 기기(30)로부터 연결 성공 결과를 수신할 수 있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외부 기기(30)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외부 기기(30)는, 예를 들어, 휴대 단말기, 스마트폰(smartphone), 태블릿 PC(tablet personal computer), 이동 전화기(mobile phone), 영상 전화기, 전자책 리더기(e-book reader), 데스크탑 PC(desktop personal computer), 랩탑 PC(laptop personal computer), 넷북 컴퓨터(netbook computer),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MP3 플레이어, 모바일 의료기기, 카메라(camera) 또는 웨어러블 장치(wearable device)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외부 기기(30)는 통신부(310), 제어부(330), 디스플레이부(350) 및 사용자 입력부(360)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도 4에서는, 본 개시 특징이 흐려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본 개시의 관련된 구성요소들만을 기술하기로 한다. 도 4에 도시된 구성요소들 외에 다른 범용적인 구성요소들이 포함될 수 있음을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기술자라면 이해할 수 있다.
통신부(310)는 무선 기기(10) 및 서버(40)와 유선 통신 방식 또는 무선 통신 방식으로 통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로, 통신부(310)는 서버(40)와 원거리 무선 통신 방식으로 통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부(310)는 서버(40)와 IEEE, 3G(3rd Generation),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또는 LTE(Long Term Evolution) 등과 같은 다양한 통신 표준에 따라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로, 통신부(310)는 무선 기기(10)와 근거리 무선 또는 유선 통신 방식으로 통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부(310)는 무선 기기(10)와 Wi-Fi, Bluetooth, NFC, Zigbee, Picocast 등과 같은 통신 표준에 따라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또는, 통신부(310)는 무선 기기(10)와 USB 또는 RS-232 등과 같은 통신 표준에 따라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로, 통신부(310)는 서버(40)로 외부 기기(30)의 고유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로, 외부 기기(30)의 검색 리스트에서 무선 기기(10)의 식별 정보가 선택되는 경우, 통신부(310)는 무선 기기(10)로 연결 요청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로, 외부 기기(30)와 무선 기기(10)가 연결되면, 통신부(310)는 운송 기기(20)에 관한 명령 데이터를 무선 기기(10)로 전송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350)는 디스플레이 영역에 다양한 화면들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다양한 화면들은, 예로,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이 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은 기기 연결 어플리케이션(예로, OBD device to device application) 실행 화면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다양한 화면들에는 다양한 종류의 컨텐츠(예로, 이미지, 동영상 또는 텍스트), 컨텐츠 또는 외부 기기(30)를 제어할 수 있는 UI 엘리먼트 등이 표시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350)는 다양한 형태의 디스플레이 패널로 구현될 수 있다. 예로, 디스플레이 패널은 LCD(Liquid Crystal Display),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AM-OLED(Active-Matrix Organic Light-Emitting Diode), LcoS(Liquid Crystal on Silicon) 또는 DLP(Digital Light Processing) 등과 같은 다양한 디스플레이 기술로 구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350)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의 형태로 외부 기기(30)의 전면 영역 및, 측면 영역 및 후면 영역 중 적어도 하나에 결합될 수도 있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는 종이처럼 얇고 유연한 기판을 통해 손상 없이 휘거나 구부리거나 말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러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유리 기판뿐 아니라 플라스틱 기판을 사용하여 제조될 수도 있다. 플라스틱 기판을 사용하는 경우, 기판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서 기존의 제조 프로세서를 사용하지 않고 저온 제조 프로세서를 사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플렉서블 액정을 싸고 있는 유리 기판을 플라스틱 필름으로 대체하여, 접고 펼 수 있는 유연성을 부여할 수 있다. 이러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는 얇고 가벼울 뿐만 아니라 충격에도 강하며, 또한 휘거나 굽힐 수 있고 다양한 형태로 제작이 가능하다는 장점을 갖고 있다.
디스플레이부(350)는 사용자 입력부(360)의 터치 패널(미도시)과 결합하여 레이어 구조의 터치 스크린으로 구현될 수 있다. 터치 스크린은 디스플레이 기능뿐만 아니라 터치 입력 위치, 터치된 면적뿐만 아니라 터치 입력 압력까지도 검출하는 기능을 가질 수 있고, 또한 실질적인 터치(real-touch)뿐만 아니라 근접 터치(proximity touch)도 검출하는 기능을 가질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360)는 사용자로부터 다양한 명령어를 입력 받을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360)는 키, 터치 패널 및 펜 인식 패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키(미도시)는 외부 기기(30)의 본체 외관의 전면부나 측면부, 배면부 등의 다양한 영역에 형성된 기계적 버튼, 휠 등과 같은 다양한 유형의 키를 포함할 수 있다.
터치 패널(미도시)은 사용자의 손가락을 이용한 터치 입력을 감지하고, 감지된 터치 신호에 해당하는 터치 이벤트 값을 출력할 수 있다.
펜 인식 패널(미도시)은 사용자의 터치용 펜(예컨대, 스타일러스 펜(stylus pen), 디지타이저 펜(digitizer pen))의 운용에 따른 펜의 근접 입력 또는 터치 입력을 감지하고 감지된 펜 근접 이벤트 또는 펜 터치 이벤트를 출력할 수 있다.
제어부(330)는 외부 기기(3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 예로, 제어부(330)는 외부 기기(30)의 고유 정보에 기초하여 연결 대기 상태로 전환된 무선 기기(10)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검색 리스트가 표시되도록 디스플레이부(350)를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검색 리스트에서 무선 기기(10)의 식별 정보의 선택에 따라, 사용자 입력부(360)로부터 선택 신호가 수신되면, 제어부(330)는 통신부(310)를 통하여 무선 기기(10)와 연결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무선 기기(10)와 외부 기기(30)가 연결되면, 제어부(330)는 통신부(310)를 통하여 연결된 무선 기기(10)로 운송 기기(20)에 관한 명령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무선 기기(10)와 외부 기기(30) 간의 통신 연결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사용자는 서버(40)에 접속하여 사용자 계정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무선 기기(10)를 구매 시에, 사용자 계정을 통하여 로그인하고 구매한 무선 기기(10)를 서버(40)에 등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무선 기기(10)의 고유 정보(501)를 입력하여, 무선 기기(10)의 고유 정보(501)를 서버(40)에 등록할 수 있다. 도 5에서, 무선 기기(10)의 고유 정보(501)는, 예로, 'xxxxxxxxxxxx' 이 될 수 있다.
무선 기기(10)가 서버에 등록되면, 서버(40)는 암호화 키(예로, public key)(503) 및 복호화 키(예로, private key)(502)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40)는 사용자 계정 및 서버(40)의 기기 연결 어플리케이션(예로, OBD device to device application) 실행 결과의 조합으로 암호화 키(503) 및 복호화 키(502)를 생성할 수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무선 기기(10)가 부팅되면 서버(40)는 무선 기기(10)로부터 무선 기기(10)의 고유 정보(504)를 수신하고, 수신된 고유 정보(504)에 기초하여 무선 기기(10)가 서버(40)에 등록된 기기인지 인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40)는 사용자에 의하여 등록된 고유 정보(501)와 수신된 고유 정보(504)의 값이 동일한지를 판단할 수 있다.
인증 결과, 무선 기기(10)가 서버(40)에 등록된 기기인 경우, 서버(40)는 무선 기기(10)를 등록한 사용자 계정을 이용하여 생성한 복호화 키(502)를 무선 기기(10)로 전송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서버(40)는 생성된 복호화 키(502)를 무선 기기(10)의 기기 연결 어플리케이션으로 전송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가 서버(40)에 접속하여 사용자 계정을 생성하고, 무선 기기(10)를 등록한 경우, 동작 511에서, 사용자는 외부 기기(30)를 이용하여 아이디와 패스워드를 입력하여 서버(40)에 로그인을 수행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동작 512에서, 사용자는 무선 기기(10)와 연결이 필요한 외부 기기(30)의 고유 정보를 등록할 수 있다.
또한, 동작 513에서, 외부 기기(30)는 주변에 위치한 주변 기기를 검색하기 위한 검색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사용자가 외부 기기(30)의 고유 정보를 등록하는 경우, 외부 기기(30)의 고유 정보는 사용자가 기 등록한 무선 기기(10)와 매핑하여 등록할 수도 있다. 즉, 사용자는 무선 기기(10)와 연결 가능한 기기들 중 일 기기의 고유 정보로서, 외부 기기(30)의 고유 정보를 등록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서, 사용자가 외부 기기(30)의 고유 정보를 등록한 이력이 없는 경우, 외부 기기(30)의 고유 정보 등록 버튼이 활성화되어 표시될 수도 있다.
사용자가 외부 기기(30)의 고유 정보(505)를 등록하면, 동작 514에서, 외부 기기(30)는 외부 기기(30)의 고유 정보(505)를 서버(40)로 전송할 수 있다. 도 5에서, 외부 기기(30)의 고유 정보(505)는, 예로, 블루투스 맥 어드레스로서, 'qqqqqqqqqqqq' 가 될 수 있다.
또한, 외부 기기(30)는 무선 기기(10)를 연결 대기 상태로 전환을 요청하는 연결 대기 명령(506)을 서버(40)로 전송할 수 있다.
외부 기기(30)의 고유 정보(505) 및 연결 대기 명령(506)을 수신한 서버(40)는, 동작 515에서, 수신된 외부 기기(30)의 고유 정보(505) 및 연결 대기 명령(506)을 무선 기기(10)로 전송할 수 있다.
외부 기기(30)의 고유 정보(505)를 수신한 무선 기기(10)는, 동작 516에서, 수신된 고유 정보(505)를 연결 대상 목록(121)에 등록할 수 있다.
또한, 연결 대기 명령(506)을 수신한 무선 기기(10)는, 동작 517에서, 무선 기기(10)의 상태를 무선 기기(10)가 주위의 외부 기기와 통신 연결이 가능함을 알리는 연결 대기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한편, 검색 기능이 실행 중인 외부 기기(30)는, 동작 518에서, 주변 기기의 검색 결과로서, 검색된 주변 기기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검색 리스트를 표시할 수 있다. 이 경우, 무선 기기(10)가 연결 대기 상태임에 따라, 검색 리스트에는 무선 기기(10)의 식별 정보(518-1)가 포함될 수 있다. 이 경우, 무선 기기(10)의 식별 정보(518-1)를 선택하는 사용자의 선택에 응답하여, 동작 519에서, 외부 기기(30)는 선택된 무선 기기(10)로 연결을 요청할 수 있다.
연결 요청에 응답하여, 동작 520에서, 무선 기기(10)는 연결을 요청한 외부 기기(30)가 연결 대상 목록(121)에 등록된 기기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판단 결과, 연결을 요청한 외부 기기(30)가 연결 대상 목록(121)에 등록된 기기인 경우, 무선 기기(10)는 연결 대기 상태를 종료할 수 있다. 그리고, 동작 521과 같이, 무선 기기(10)는 외부 기기(30)와 연결을 수행할 수 있다.
무선 기기(10)와 외부 기기(30) 간에 연결이 수행되면, 동작 522에서, 무선 기기(10)는 외부 기기(30)와의 연결 성공 결과(507)를 서버(40)로 전송할 수 있다.
연결 성공 결과(507)를 수신한 서버(40)는, 동작 523에서, 기 생성된 암호화 키(503)를 외부 기기(30)로 전송할 수 있다.
암호화 키(503)를 수신한 외부 기기(30)는, 동작 524에서, 수신된 암호화 키를 이용하여 무선 기기(10)와 인증된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외부 기기(30)는 수신된 암호화 키(503)를 이용하여 운송 기기에 관한 명령 데이터를 암호화하여 무선 기기(10)로 전송할 수 있다.
암호화된 명령 데이터를 수신한 무선 기기(10)는 복호화 키(502)를 이용하여 암호화된 명령 데이터를 복호할 수 있다. 그리고, 복호화된 명령 데이터를 운송 기기(20)로 전송할 수 있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무선 기기(10)와 외부 기기(30) 간의 통신 연결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동작 601에서, 사용자가 외부 기기(30)를 통하여 무선 기기(10)의 고유 정보를 등록하는 경우, 외부 기기(30)는 무선 기기(10)의 고유 정보를 서버(40)로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동작 602에서, 서버(40)는 무선 기기(10) 및 외부 기기(30)로 전송할 암호화 키 및 복호화 키를 생성할 수 있다.
동작 603에서, 무선 기기(10)가 부팅되면, 무선 기기(10)는 무선 기기(10)의 고유 정보를 서버(40)로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동작 604에서, 서버(40)는 수신된 무선 기기(10)이 고유 정보를 이용하여 무선 기기(10)를 인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40)는 동작 601에서 수신된 무선 기기(10)의 고유 정보가, 수신된 무선 기기(10)이 고유 정보와 일치하는지 여부에 따라 무선 기기(10)를 인증할 수 있다.
무선 기기가 인증되면, 동작 605에서, 서버(40)는 동작 602에서 생성한 복호화 키를 무선 기기(10)로 전송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동작 606에서, 사용자가 서버(40)에 외부 기기(30)의 고유 정보를 등록하는 경우, 외부 기기(30)는 외부 기기(30)의 고유 정보를 서버(4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동작 607에서, 외부 기기(30)는 외부 기기(30)의 주변에 위치한 주변 기기를 검색하기 위한 검색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동작 608에서, 서버(40)는 외부 기기(30)로부터 수신된 외부 기기(30)의 고유 정보를 무선 기기(10)로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동작 609에서, 무선 기기(10)는 서버(40)로부터 수신된 외부 기기(30)의 고유 정보를 연결 대상 목록에 등록할 수 있다.
또한, 동작 610에서, 외부 기기(30)의 고유 정보를 수신한 서버(40)는 무선 기기(10)로 연결 대기 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동작 611에서, 연결 대기 명령을 수신한 무선 기기(10)는 연결 대기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무선 기기(10)가 연결 대기 상태로 전환됨에 따라, 동작 612에서, 외부 기기(30)는 무선 기기(10)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검색 리스트를 표시할 수 있다.
이 경우, 무선 기기(10)의 식별 정보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동작 613에서, 외부 기기(30)는 무선 기기(10)로 연결 요청을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동작 614에서, 무선 기기(10)는 연결을 요청한 외부 기기(30)가 연결 대상 목록에 등록된 기기인지를 확인할 수 있다.
연결을 요청한 외부 기기(30)가 연결 대상 목록에 등록된 기기인 경우, 동작 615에서, 무선 기기(10)는 외부 기기(30)로 연결 수락을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동작 616에서, 무선 기기(10)와 외부 기기(30) 간에 통신 연결이 수행될 수 있다.
무선 기기(10)와 외부 기기(30) 간에 통신 연결이 수행되면, 동작 617에서, 무선 기기(10)는 서버(40)로 연결 성공 결과를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동작 618에서, 서버(40)는 외부 기기(30)로 암호화 키를 전송할 수 있다.
동작 619에서, 암호화 키를 수신한 외부 기기(30)는 운송 기기에 관한 명령어 데이터를 수신한 암호화 키를 이용하여 암호화여 무선 기기(10)로 전송할 수 있다.
동작 620에서, 암호화된 명령어 데이터를 수신한 무선 기기(10)는 동작 605에서 수신한 복호화 키를 이용하여 암호화된 명령어 데이터를 복호화할 수 있다.
동작 621에서, 무선 기기(10)는 복호화된 명령어 데이터를 운송 기기(20)로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동작 622에서, 운송 기기(20)는 명령어 데이터에 따라 동작할 수 있다.
도 7은, 본 개시의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른 무선 기기(10)와 외부 기기(30) 간의 통신 연결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동작 701에서, 무선 기기(10)는 무선 기기(10)가 연결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외부 기기의 고유 정보를 연결 대상 목록에 저장한 상태일 수 있다.
다음으로, 사용자가 외부 기기(30)의 주변 기기 검색 기능을 실행하는 경우, 동작 702에서, 외부 기기(30)는 검색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또한, 동작 703에서, 외부 기기(30)는 서버(40)로 무선 기기(10)가 연결 대기 상태로 전환하도록 요청하는 연결 대기 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
동작 704에서, 서버(40)는 수신된 연결 대기 명령을 무선 기기(10)로 전송할 수 있다.
동작 705에서, 서버(40)로부터 연결 대기 명령을 수신한 무선 기기(10)는 연결 대기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동작 706에서, 외부 외부 기기(30)는 무선 기기(10)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검색 리스트를 표시할 수 있다.
이 경우, 무선 기기(10)의 식별 정보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동작 707에서, 외부 기기(30)는 무선 기기(10)로 연결 요청을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동작 708에서, 무선 기기(10)는 연결을 요청한 외부 기기(30)가 연결 대상 목록에 등록된 기기인지를 확인할 수 있다.
연결을 요청한 외부 기기(30)가 연결 대상 목록에 등록된 기기인 경우, 동작 709에서, 무선 기기(10)와 외부 기기(30) 간에 통신 연결이 수행될 수 있다.
통신 연결이 수행되면, 동작 710에서, 무선 기기(10)는 운송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운송 기기(20)에 관한 명령어 데이터를 무선 기기(10)로 전송할 수 있다.
동작 711, 무선 기기(10)는 수신된 명령어 데이터를 운송 기기(20)로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동작 712에서, 운송 기기(20)는 명령어 데이터에 따라 동작할 수 있다.
도 8은, 본 개시의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른 무선 기기(10)가 외부 기기(30)와 통신 연결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동작 801에서, 무선 기기(10)는 무선 기기(10)와 연결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외부 기기의 고유 정보를 연결 대상 목록에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로, 무선 기기(10)는 서버(40)로부터 무선 기기(10)와 연결 가능한 외부 기기(30)의 고유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외부 기기(30)의 고유 정보를 연결 대상 목록에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동작 803에서, 무선 기기(10)는 서버(40)로부터 연결 대기 명령을 수신할 수 있다.
동작 805에서, 연결 대기 명령을 수신한 무선 기기(10)는 수신된 연결 대기 명령에 응답하여, 외부 기기와 연결 가능한 상태인 연결 대기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무선 기기(10)가 연결 대기 상태로 전환됨에 따라, 외부 기기(30)는 무선 기기(10)의 연결 대기 상태에 기초하여 무선 기기(10)를 검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외부 기기(30)는 무선 기기(10)로 연결을 요청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응답으로, 동작 807에서, 무선 기기(10)는 무선 기기(10)를 검색한 외부 기기(30)로부터 연결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이 때, 연결 요청은, 예로, 페어링 요청이 될 수 있다.
연결 요청이 수신되면, 동작 808에서, 무선 기기(10)는 연결 요청한 외부 기기(30)의 고유 정보가 연결 대상 목록에 등록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연결 대상 목록에 등록된 경우, 동작 811에서, 무선 기기(10)는 연결을 요청한 외부 기기(30)와 통신 연결을 수행할 수 있다. 이 경우, 무선 기기(10)가 외부 기기(30)와 통신 연결이 수행되는 경우, 무선 기기(10)는 연결 대기 상태를 종료할 수 있다. 연결 대기 상태는, 예로, 디스커버러블 모드 상태를 포함할 수 있다.
반면에, 연결 대상 목록에 등록되지 않은 경우, 동작 813에서, 무선 기기(10)는 연결을 요청한 외부 기기(30)와의 통신 연결을 차단할 수 있다.
동작 815에서, 연결 요청한 외부 기기(30)와 통신 연결되면, 무선 기기(10)는 외부 기기(30)로부터 운송 기기(20)에 관한 명령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수신된 운송 기기(20)에 관한 명령 데이터를 운송 기기(20)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 예로, 암호화된 명령 데이터는 외부 기기(30)가 서버(40)로부터 수신한 암호화 키를 이용하여 암호화한 명령 데이터일 수 있다. 이에 따라, 무선 기기(10)는 서버(40)에서 수신된 복호화 키를 이용하여 암호화된 명령 데이터를 복호화할 수 있다. 그리고, 복호화된 명령 데이터를 운송 기기(20)로 전송할 수 있다.
도 9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서버(40)가 무선 기기(10)의 통신 연결을 지원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동작 901에서, 서버(40)는 무선 기기(10)와 연결 가능한 외부 기기(30)의 고유 정보 및 무선 기기(10)를 연결 대기 상태로 전환하기 위한 연결 대기 명령을 무선 기기(10)로 전송할 수 있다.
동작 903에서, 무선 기기(10)는 외부 기기(30)의 고유 정보 및 연결 대기 명령에 기초하여 외부 기기(30)와 연결이 수행될 수 있다. 이 경우, 서버(40)는 무선 기기(10) 또는 외부 기기(30)로부터 무선 기기(10)와 외부 기기(30) 간의 연결 성공 결과를 수신할 수 있다.
도 10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외부 기기(30)가 무선 기기(10)와 통신 연결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동작 1001에서, 외부 기기(30)는 서버(40)로 외부 기기(30)의 고유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서버(40)는 수신된 외부 기기(30)의 고유 정보 및 무선 기기(10)를 연결 대기 상태로 전환하기 위한 연결 대기 명령을 무선 기기(10)로 전송할 수 있다. 연결 대기 명령을 수신한 무선 기기(10)는 연결 대기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동작 1003에서, 외부 기기(30)는 외부 기기(30)의 고유 정보에 기초하여 연결 대기 상태로 전환된 무선 기기(10)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검색 리스트를 표시할 수 있다.
검색 리스트가 표시되면, 동작 1005에서, 외부 기기(30)는 무선 기기(10)의 식별 정보가 선택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무선 기기(10)의 식별 정보가 선택되면, 동작 1007에서, 외부 기기(30)는 무선 기기(10)와 통신 연결을 수행할 수 있다.
통신 연결이 수행되면, 동작 1009에서, 외부 기기(30)는 연결된 무선 기기(10)로 운송 기기(20)에 관한 명령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장치 (예: 모듈들, 무선 기기(10) 또는 외부 기기(30)) 또는 방법(예: 동작들)은, 예컨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computer-readable storage media)에 유지되는(maintain) 프로그램들 중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에 포함된 명령어(instructions)를 실행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예: 제어부(130))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상기 명령어가 프로세서(예: 제어부(130))에 의해 실행될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명령어에 해당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 때,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는, 예를 들면, 저장부(120)가 될 수 있다.
프로그램은, 예를 들어, 하드디스크, 플로피디스크, 마그네틱 매체 (magnetic media)(예: 자기테이프), 광기록 매체 (optical media)(예: CD-ROM (compact disc read only memory), DVD (digital versatile disc), 자기-광 매체 (magneto-optical media)(예: 플롭티컬 디스크 (floptical disk)), 하드웨어 장치 (예: ROM (read only memory), RAM (random access memory), 또는 플래시 메모리 등) 등과 같은 컴퓨터로 읽을 수 저장 매체에 포함될 수 있다. 이 경우, 저장 매체는 일반적으로 무선 기기(10)의 구성의 일부로 포함되나, 무선 기기(10)의 포트(port)를 통하여 장착될 수도 있으며, 또는 무선 기기(10)의 외부에 위치한 외부 기기(예를 들어, 클라우드, 서버 또는 다른 전자 기기)에 포함될 수도 있다. 또한, 프로그램은 복수의 저장 매체에 나누어 저장될 수도 있으며, 이 때, 복수의 저장 매체의 적어도 일부는 무선 기기(10)의 외부 기기에 위치할 수도 있다.
명령어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하드웨어 장치는 다양한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개시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개시는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개시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Claims (20)

  1. 운송 기기와 통신 가능한 무선 기기가 외부 기기와 통신 연결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무선 기기와 연결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외부 기기의 고유 정보를 연결 대상 목록에 저장하는 동작;
    상기 무선 기기와 통신 연결된 서버로부터, 연결 대기 명령을 수신하는 동작;
    상기 수신된 연결 대기 명령에 응답하여, 외부 기기와 연결 가능한 상태인 연결 대기 상태로 전환하는 동작;
    상기 무선 기기의 연결 대기 상태로의 전환에 기초하여 상기 무선 기기를 검색한 외부 기기(external device which searched the wireless device based on a connection waiting status of the wireless device)로부터, 연결 요청(connection request)을 수신하는 동작;
    상기 연결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연결 요청한 외부 기기의 고유 정보가 상기 연결 대상 목록에 포함된 경우, 상기 연결 요청한 외부 기기와 통신 연결을 수행하는 동작;
    상기 연결 요청한 외부 기기와 통신 연결되면, 상기 연결된 외부 기기로부터, 운송 기기에 관한 명령 데이터를 수신하는 동작;
    상기 운송 기기에 관한 명령 데이터가 암호화된 명령 데이터인 경우, 상기 서버에서 수신된 복호화 키를 이용하여 상기 암호화된 명령 데이터를 복호화하는 동작; 및
    상기 복호화된 명령 데이터를 상기 운송 기기로 전송하는 동작을 포함하며,
    상기 암호화된 명령 데이터는,
    상기 무선 기기와 통신 연결된 외부 기기가,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한 암호화 키를 이용하여 암호화한 명령 데이터를 포함하는 무선 기기의 통신 연결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기기와 연결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외부 기기의 고유 정보를 연결 대상 목록에 저장하는 동작은,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무선 기기와 연결 가능한 외부 기기의 고유 정보를 수신하는 동작; 및
    상기 수신된 외부 기기의 고유 정보를 상기 연결 대상 목록에 저장하는 동작; 을 포함하는 무선 기기의 통신 연결 방법.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요청한 외부 기기와 통신 연결이 수행되면, 상기 연결 대기 상태를 종료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무선 기기의 통신 연결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대기 상태는,
    디스커버러블(discoverable) 모드 상태를 포함하는 무선 기기의 통신 연결 방법.
  7. ◈청구항 7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기기로부터 연결 요청을 수신하는 동작은,
    상기 외부 기기로부터 페어링 요청을 수신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무선 기기의 통신 연결 방법.
  8. ◈청구항 8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기기는,
    상기 외부 기기와 무선 통신 방식에 따라 통신하고,
    상기 운송 기기와 유선 통신 방식에 따라 통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기기의 통신 연결 방법.






  9. 삭제
  10. 삭제
  11. 무선 기기에 있어서,
    상기 무선 기기와 연결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외부 기기의 고유 정보를 연결 대상 목록에 저장하는 저장부;
    서버 및 운송 기기와 통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된 연결 대기 명령에 응답하여, 외부 기기와 통신 연결이 가능함을 알리는 연결 대기 상태로 전환하고,
    상기 무선 기기의 연결 대기 상태에 기초하여 상기 무선 기기를 검색한 외부 기기로부터 수신된 연결 요청을 상기 통신부를 통하여 수신하고,
    상기 연결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연결 요청한 외부 기기의 고유 정보가 상기 연결 대상 목록에 포함된 경우, 상기 통신부를 통하여 상기 외부 기기와 연결을 수행하고,
    상기 연결 요청한 외부 기기와 통신 연결되면, 상기 통신부를 통하여 상기 외부 기기로부터 전송된 상기 운송 기기에 관한 명령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운송 기기에 관한 명령 데이터가 암호화된 명령 데이터인 경우,
    상기 서버에서 수신한 복호화 키를 이용하여 상기 암호화된 명령 데이터를 복호화하고,
    상기 통신부를 통하여 상기 복호화된 명령 데이터를 상기 운송 기기로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암호화된 명령 데이터는,
    상기 무선 기기와 통신 연결돤 외부 기기가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한 암호화 키를 이용하여 암호화한 명령 데이터를 포함하는 무선 기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가,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무선 기기와 연결 가능한 외부 기기의 고유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신된 외부 기기의 고유 정보를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연결 대상 목록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기기.






  13. 삭제
  14. 삭제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연결을 요청한 외부 기기와 통신 연결이 수행되는 경우, 상기 연결 대기 상태를 종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기기.
  16.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대기 상태는,
    디스커버러블(discoverable) 모드 상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기기.
  17.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부를 통하여 상기 외부 기기로부터 연결 요청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통신부를 통하여 상기 외부 기기로부터 페어링 요청을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기기.
  18.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상기 외부 기기와 무선 통신 방식에 따라 통신하고,
    상기 운송 기기와 유선 통신 방식에 따라 통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기기.





  19. 삭제
  20. 삭제
KR1020150158372A 2015-11-11 2015-11-11 무선 기기 및 이의 외부 기기와 통신 연결 방법 KR1024263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8372A KR102426367B1 (ko) 2015-11-11 2015-11-11 무선 기기 및 이의 외부 기기와 통신 연결 방법
CN201680056760.1A CN108141894B (zh) 2015-11-11 2016-11-08 无线设备和与外部设备的通信连接方法
PCT/KR2016/012781 WO2017082608A1 (en) 2015-11-11 2016-11-08 Wireless device and communication connection method with external device
EP16864534.9A EP3342242B1 (en) 2015-11-11 2016-11-08 Wireless device and communication connection method with external device
US15/349,988 US10659538B2 (en) 2015-11-11 2016-11-11 Wireless device and communication connection method with external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8372A KR102426367B1 (ko) 2015-11-11 2015-11-11 무선 기기 및 이의 외부 기기와 통신 연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5331A KR20170055331A (ko) 2017-05-19
KR102426367B1 true KR102426367B1 (ko) 2022-07-29

Family

ID=586679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58372A KR102426367B1 (ko) 2015-11-11 2015-11-11 무선 기기 및 이의 외부 기기와 통신 연결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0659538B2 (ko)
EP (1) EP3342242B1 (ko)
KR (1) KR102426367B1 (ko)
CN (1) CN108141894B (ko)
WO (1) WO201708260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09438B1 (ko) * 2017-06-23 2021-10-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검사 시스템, 차량 및 차량의 제어 방법
KR20190003118A (ko) * 2017-06-30 2019-01-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로봇과 이동 단말기를 포함하는 로봇 시스템
CN109270919B (zh) * 2018-08-31 2019-10-18 深圳市元征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车辆检测数据管理方法、分析方法、设备及服务器
JP7177850B2 (ja) * 2018-11-09 2022-11-24 株式会社ソニー・インタラクティブエンタテインメント 通信装置
JP7297785B2 (ja) * 2018-11-09 2023-06-26 株式会社ソニー・インタラクティブエンタテインメント 通信装置、電子機器および無線接続方法
JP7302964B2 (ja) * 2018-11-29 2023-07-04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運転者支援システム及び運転者支援方法
US11665619B2 (en) * 2020-08-26 2023-05-30 Honda Motor Co., Ltd. Data and connectivity management systems and methods thereof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6010166A2 (en) * 2004-07-20 2006-01-26 Medtronic, Inc. Command sequencing and interlocks for a remotely programmable implantable device
KR101398033B1 (ko) * 2012-02-20 2014-05-30 (주)유인프라웨이 단문메시지를 이용한 원격제어시스템 및 방법
US20140227979A1 (en) * 2011-09-06 2014-08-14 Daimler Ag Automated Method for Coupl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a Central Computation Unit in a Motor Vehicle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088961B1 (en) * 2001-12-28 2015-07-21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for selecting and configuring wireless connections in an electronic device
JP2005197880A (ja) 2004-01-05 2005-07-21 Nec Corp 情報配信システム、情報配信方法、移動体、サーバ及び情報配信端末
US20070296559A1 (en) * 2006-06-26 2007-12-27 Motorola, Inc. Vehicle-based control of a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
US20080082221A1 (en) * 2006-07-14 2008-04-03 David Nagy System for monitoring, controlling, and reporting vehicle operation through onboard diagnostic port
US8116749B2 (en) * 2008-09-08 2012-02-14 Proctor Jr James Arthur Protocol for anonymous wireless communication
KR20100062699A (ko) * 2008-12-02 2010-06-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무선 공유 장치
US20110119743A1 (en) * 2009-11-17 2011-05-19 General Instrument Corporation Communication of content to event attendees
WO2012010210A1 (en) * 2010-07-22 2012-01-26 Deutsche Telekom Ag Mobile device cradle for vehicle applications
EP2434793B1 (en) * 2010-09-23 2014-03-12 BlackBerry Limited Mobile wireless communications device establishing wireless communication links based upon near field communication and related methods
US8442558B2 (en) * 2010-10-07 2013-05-14 Guardity Technologies, Inc. Detecting, identifying, reporting and discouraging unsafe device use within a vehicle or other transport
CN102752029A (zh) * 2011-04-18 2012-10-24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蓝牙配件配对蓝牙设备的方法及蓝牙配件
US8869240B2 (en) * 2011-11-28 2014-10-21 Xerox Corporation Soft method for local secure connection to a device
US10028106B2 (en) * 2012-02-24 2018-07-17 Stopcell, Llc Vehicle wireless device detection
KR20130128797A (ko) * 2012-05-18 2013-11-27 (주)이지텔레매틱스 데이터 쉐어링 서비스를 이용한 차량 원격 제어 시스템
EP2675147B1 (en) 2012-06-11 2022-03-23 Samsung Electronics Co., Ltd. Service providing system in a vehicle including display device and mobile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service using the same
US9374679B2 (en) * 2012-06-11 2016-06-21 Samsung Electronics Co., Ltd. Service providing device, service providing system including user profile server, and service providing method for service providing device
KR101981052B1 (ko) * 2012-12-04 2019-05-22 삼성전자주식회사 공유기를 이용한 Wi-Fi 다이렉트 연결 방법 및 Wi-Fi 다이렉트 연결 기능을 가진 기기
US9218700B2 (en) * 2012-12-14 2015-12-22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Method and system for secure and authorized communication between a vehicle and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s or key fobs
US9008917B2 (en) * 2012-12-27 2015-04-14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Method and system for detecting proximity of an end device to a vehicle based on signal strength information received over a bluetooth low energy (BLE) advertising channel
US8918232B2 (en) * 2013-01-11 2014-12-23 General Motors Llc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between a vehicle and a handheld communications device
US9654960B2 (en) 2013-05-31 2017-05-16 Qualcomm Incorporated Server-assisted device-to-device discovery and connection
US9445447B2 (en) * 2013-06-20 2016-09-13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Pairing a wireless devices within a vehicle
US9844018B2 (en) * 2013-06-20 2017-12-12 Google Technology Holdings LLC Vehicle detection
US20150024688A1 (en) * 2013-07-16 2015-01-22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Automatic Pairing of a Vehicle and a Mobile Communications Device
KR101871424B1 (ko) * 2013-11-11 2018-08-02 엘지전자 주식회사 블루투스 연결 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6010166A2 (en) * 2004-07-20 2006-01-26 Medtronic, Inc. Command sequencing and interlocks for a remotely programmable implantable device
US20140227979A1 (en) * 2011-09-06 2014-08-14 Daimler Ag Automated Method for Coupl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a Central Computation Unit in a Motor Vehicle
KR101398033B1 (ko) * 2012-02-20 2014-05-30 (주)유인프라웨이 단문메시지를 이용한 원격제어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342242A4 (en) 2018-08-08
EP3342242A1 (en) 2018-07-04
EP3342242B1 (en) 2019-09-25
US20170134503A1 (en) 2017-05-11
KR20170055331A (ko) 2017-05-19
WO2017082608A1 (en) 2017-05-18
US10659538B2 (en) 2020-05-19
CN108141894B (zh) 2022-04-01
CN108141894A (zh) 2018-06-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26367B1 (ko) 무선 기기 및 이의 외부 기기와 통신 연결 방법
KR102241297B1 (ko) 제어 방법 및 그 방법을 처리하는 전자장치
US10183680B2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application for vehicle
US2021039774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biometric information in electronic device
US9779557B2 (en) Automotive activity monitor
US10083555B2 (en) Car control method of electronic apparatus and electronic apparatus thereof
US10165406B2 (en) Method of providing route information and electronic device for processing same
KR102471498B1 (ko) 차량을 진단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US20170060567A1 (en) Wireless terminal communicable with external device and server and software updating method thereof
KR102294118B1 (ko) 보안 연결 장치 및 방법
US20170155720A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transport device thereof
US10636234B2 (en) Method for lock device control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US20210073367A1 (en) Vehicle electronic device for performing authentication, mobile device used for vehicle authentication, vehicle authentication system, and vehicle authentication method
CN106713319B (zh) 终端间的远程控制方法、装置、系统及移动终端
KR102490395B1 (ko) 외부 전자 장치의 키를 공유하는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KR102545127B1 (ko) 외부 전자 장치의 키와 관련된 어플리케이션을 관리하는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KR102535053B1 (ko) 무선 단말기 및 이의 명령어 데이터 처리 방법
US20170208074A1 (en) Access detection of an unauthorized device
US11665001B1 (en) Network security using root of trust
US10671710B2 (en) Digital authentication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