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66706A - 증착 장치 및 증착 방법 - Google Patents

증착 장치 및 증착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66706A
KR20130066706A KR1020137012567A KR20137012567A KR20130066706A KR 20130066706 A KR20130066706 A KR 20130066706A KR 1020137012567 A KR1020137012567 A KR 1020137012567A KR 20137012567 A KR20137012567 A KR 20137012567A KR 20130066706 A KR20130066706 A KR 201300667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por deposition
deposition
substrate
mask
limiting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125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05847B1 (ko
Inventor
신이치 가와토
사토시 이노우에
도루 소노다
Original Assignee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300667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667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058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058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1/00Manufacture or treatment specially adapted for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1/00Manufacture or treatment specially adapted for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71/10Deposition of organic active material
    • H10K71/16Deposition of organic active material using physical vapour deposition [PVD], e.g. vacuum deposition or sputtering
    • H10K71/166Deposition of organic active material using physical vapour deposition [PVD], e.g. vacuum deposition or sputtering using selective deposition, e.g. using a mask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14/00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or by ion implantation of the coating forming material
    • C23C14/04Coating on selected surface areas, e.g. using masks
    • C23C14/042Coating on selected surface areas, e.g. using masks using masks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14/00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or by ion implantation of the coating forming material
    • C23C14/06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or by ion implantation of the coating forming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coating material
    • C23C14/12Organic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14/00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or by ion implantation of the coating forming material
    • C23C14/22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or by ion implantation of the coating forming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of coating
    • C23C14/24Vacuum evaporation
    • C23C14/243Crucibles for source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FNON-MECHANICAL REMOVAL OF METALLIC MATERIAL FROM SURFACE;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MULTI-STEP PROCESSES FOR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INVOLVING AT LEAST ONE PROCESS PROVIDED FOR IN CLASS C23 AND AT LEAST ONE PROCESS COVERED BY SUBCLASS C21D OR C22F OR CLASS C25
    • C23F1/00Etching metallic material by chemical means
    • C23F1/02Local etching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25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including organic TFTs [OTFT]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27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comprising two substrates, e.g. display comprising OLED array and TFT driving circuitry on different substrat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3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 H10K59/35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comprising red-green-blue [RGB] subpixels
    • H10K59/353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comprising red-green-blue [RGB] subpixels characterised by the geometrical arrangement of the RGB subpixel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1/00Manufacture or treatment specially adapted for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71/10Deposition of organic active material
    • H10K71/16Deposition of organic active material using physical vapour deposition [PVD], e.g. vacuum deposition or sputtering
    • H10K71/164Deposition of organic active material using physical vapour deposition [PVD], e.g. vacuum deposition or sputtering using vacuum deposition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 Physical Vapour Deposition (AREA)

Abstract

증착원(60), 제한판 유닛(80), 증착 마스크(70)가 이 순서로 배치되어 있다. 제한판 유닛은 제1 방향을 따라 배치된 복수의 제한판(81)을 구비한다. 제1 방향에 인접하는 제한판 간의 제한 공간(82)의 제1 방향 치수가 가장 좁은 최협부(81n)에 대하여 적어도 증착원 측에, 제한 공간의 제1 방향 치수가 최협부보다도 넓은 개소가 형성되도록, 제한 공간을 제1 방향으로 규정하는 제한판의 측면이 구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단부 모서리의 흐려짐이 억제된 피막을, 대형 기판 위의 원하는 위치에 형성할 수 있다.

Description

증착 장치, 증착 방법 및 유기 EL 표시 장치{VAPOR DEPOSITION DEVICE, VAPOR DEPOSITION METHOD, AND ORGANIC EL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기판 위에 소정 패턴의 피막을 형성하기 위한 증착 장치 및 증착 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증착에 의해 형성된 발광층을 구비한 유기 EL(Electro Luminescence)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다양한 상품이나 분야에서 플랫 패널 디스플레이가 활용되고 있어, 플랫 패널 디스플레이의 한층 더한 대형화, 고화질화, 저소비 전력화가 요구되고 있다.
그와 같은 상황하에 유기 재료인 전계 발광(Electro Luminescence)을 이용한 유기 EL 소자를 구비한 유기 EL 표시 장치는, 완전 고체형이며, 저전압 구동 가능, 고속 응답성, 자발광성 등의 점에서 우수한 플랫 패널 디스플레이로서, 높은 주목을 받고 있다.
예를 들면 액티브 매트릭스 방식의 유기 EL 표시 장치에서는, TFT(박막 트랜지스터)가 형성된 기판 위에 박막 형상의 유기 EL 소자가 형성되어 있다. 유기 EL 소자에서는, 한 쌍의 전극 사이에 발광층을 포함하는 유기 EL층이 적층되어 있다. 한 쌍의 전극 중 한쪽에 TFT가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한 쌍의 전극 간에 전압을 인가하여 발광층을 발광시킴으로써 화상 표시가 행해진다.
풀 컬러의 유기 EL 표시 장치에서는, 일반적으로, 적(R), 녹(G), 청(B)의 각 색의 발광층을 구비한 유기 EL 소자가 서브 화소로서 기판 위에 배열 형성된다. TFT를 이용하여, 이들 유기 EL 소자를 선택적으로 원하는 휘도로 발광시킴으로써 컬러 화상 표시를 행한다.
유기 EL 표시 장치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각 색으로 발광하는 유기 발광 재료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발광층을 유기 EL 소자마다 소정 패턴으로 형성할 필요가 있다.
발광층을 소정 패턴으로 형성하는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면, 진공 증착법, 잉크젯법, 레이저 전사법이 알려져 있다. 예를 들면, 저분자형 유기 EL 표시 장치(OLED)에서는, 진공 증착법이 이용되는 경우가 많다.
진공 증착법에서는, 소정 패턴의 개구가 형성된 마스크('섀도 마스크'라고도 함)가 이용된다. 마스크가 밀착 고정된 기판의 피증착면을 증착원에 대향시킨다. 그리고, 증착원으로부터의 증착 입자(성막 재료)를 마스크의 개구를 통하여 피증착면에 증착시킴으로써, 소정 패턴의 박막이 형성된다. 증착은 발광층의 색채마다 행해진다(이것을 「구분 도포 증착」이라고 함).
예를 들면 특허문헌 1, 2에는, 기판에 대하여 마스크를 순차 이동시켜 각 색 발광층의 구분 도포 증착을 행하는 방법이 기재되어 있다. 이러한 방법에서는, 기판과 동등한 크기의 마스크가 사용되며, 증착 시에는 마스크는 기판의 피증착면을 덮도록 고정된다.
이와 같은 종래의 구분 도포 증착법에서는, 기판이 커지면 그것에 수반하여 마스크도 대형화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마스크를 크게 하면, 마스크의 자중 휨이나 신장에 의해, 기판과 마스크의 사이에 간극이 발생하기 쉽다. 게다가, 그 간극의 크기는, 기판의 피증착면의 위치에 따라 서로 다르다. 그로 인해, 고정밀도의 패터닝을 행하는 것이 어려워, 증착 위치의 어긋남이나 혼색이 발생하여 고정밀화의 실현이 곤란하다.
또한, 마스크를 크게 하면, 마스크나 이것을 유지하는 프레임 등이 거대해져서 그 중량도 증가하기 때문에, 취급이 곤란하게 되어 생산성이나 안전성에 지장을 초래할 우려가 있다. 또한, 증착 장치나 그에 부수되는 장치도 마찬가지로 거대화, 복잡화하기 때문에, 장치 설계가 곤란해지고, 설치 비용도 고액으로 된다.
그 때문에, 특허문헌 1, 2에 기재된 종래의 구분 도포 증착법에서는 대형 기판에의 대응이 어려운데, 예를 들어 60인치 사이즈를 초과하는 대형 기판에 대해서는 양산 레벨로 구분 도포 증착하는 것은 곤란하다.
특허문헌 3에는, 증착원과 증착 마스크를, 기판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이동시키면서, 증착원으로부터 방출된 증착 입자를, 증착 마스크의 마스크 개구를 통과시킨 후, 기판에 부착시키는 증착 방법이 기재되어 있다. 이 증착 방법이라면, 대형 기판이더라도, 그에 따라 증착 마스크를 대형화할 필요가 없다.
특허문헌 4에는, 증착원과 증착 마스크의 사이에, 직경이 약 0.1㎜ 내지 1㎜인 원기둥 형상 또는 각기둥 형상의 증착 빔 통과 구멍이 형성된 증착 빔 방향 조정판을 배치하는 것이 기재되어 있다. 증착원의 증착 빔 방사 구멍으로부터 방출된 증착 입자를, 증착 빔 방향 조정판에 형성된 증착 빔 통과 구멍을 통과시킴으로써, 증착 빔의 지향성을 높일 수 있다.
일본 특허 공개 평8-227276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00-188179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04-349101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04-103269호 공보
특허문헌 3에 기재된 증착 방법에 의하면, 기판보다 작은 증착 마스크를 이용할 수 있으므로, 대형 기판에 대한 증착이 용이하다.
그런데, 기판에 대하여 증착 마스크를 상대적으로 이동시킬 필요가 있으므로, 기판과 증착 마스크를 이격시킬 필요가 있다. 특허문헌 3에서는, 증착 마스크의 마스크 개구에는, 여러 방향으로부터 비상한 증착 입자가 입사할 수 있으므로, 기판에 형성된 피막의 폭이 마스크 개구의 폭보다도 확대되어, 피막의 단부 모서리에 흐려짐이 발생해버린다.
특허문헌 4에는, 증착 빔 방향 조정판에 의해, 증착 마스크에 입사하는 증착 빔의 지향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기재되어 있다.
그런데, 실제 증착 공정에서는, 증착 빔 방향 조정판에 형성된 증착 빔 통과 구멍의 내주면에 증착 입자가 부착된다. 증착 빔 방향 조정판은 증착원에 대향하여 배치되어 있으므로, 증착원으로부터의 복사열을 받아 가열되고 있다. 따라서, 증착 빔 통과 구멍의 내주면에 부착된 증착 입자가 재증발한다. 재증발한 증착 입자의 일부는, 증착 빔 통과 구멍의 관통 방향과는 다른 방향으로 비상하여 증착 마스크의 마스크 개구를 통과하여 기판에 부착된다. 즉, 특허문헌 4에서는, 증착 빔의 지향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증착 빔 방향 조정판을 설치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상기 증착 빔 방향 조정판으로부터 재증발한 증착 입자의 지향성을 제어하는 것은 곤란하며, 그 결과, 의도하지 않은 지향성을 갖는 증착 입자가 기판에 부착되어버린다. 따라서, 기판과 증착 마스크가 이격되어 있으면, 기판의 의도하지 않은 개소에 증착 재료가 부착되어, 상기한 특허문헌 3과 마찬가지로 기판에 형성된 피막의 단부 모서리에 흐려짐이 발생하거나, 피막의 형성 위치가 어긋나 버리기도 한다.
본 발명은 단부 모서리의 흐려짐이 억제된 피막을 기판 위의 원하는 위치에 형성할 수 있는, 대형 기판에도 적용 가능한 증착 장치 및 증착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신뢰성 및 표시 품위가 우수한, 대형 유기 EL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증착 장치는, 기판 위에 소정 패턴의 피막을 형성하는 증착 장치로서, 상기 증착 장치는, 적어도 1개의 증착원 개구를 구비한 증착원, 상기 적어도 1개의 증착원 개구와 상기 기판 사이에 배치된 증착 마스크 및 상기 증착원과 상기 증착 마스크 사이에 배치되면서 제1 방향을 따라 배치된 복수의 제한판을 포함하는 제한판 유닛을 구비한 증착 유닛과, 상기 기판과 상기 증착 마스크를 일정 간격만큼 이격시킨 상태에서, 상기 기판의 법선 방향 및 상기 제1 방향에 직교하는 제2 방향을 따라서 상기 기판 및 상기 증착 유닛 중 한쪽을 다른 쪽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이동시키는 이동 기구를 구비한다. 상기 적어도 1개의 증착원 개구로부터 방출되고, 상기 제1 방향에 인접하는 상기 제한판 간의 제한 공간 및 상기 증착 마스크에 형성된 복수의 마스크 개구를 통과한 증착 입자를 상기 기판에 부착시켜서 상기 피막을 형성한다. 상기 제한 공간의 상기 제1 방향의 치수가 가장 좁은 최협부에 대하여 적어도 상기 증착원 측에, 상기 제한 공간의 상기 제1 방향의 치수가 상기 최협부보다도 넓은 개소가 형성되도록, 상기 제한 공간을 상기 제1 방향으로 규정하는 상기 제한판의 측면이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증착 방법은, 기판 위에 증착 입자를 부착시켜 소정 패턴의 피막을 형성하는 증착 공정을 갖는 증착 방법으로서, 상기 증착 공정을 상기한 본 발명의 증착 장치를 이용하여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유기 EL 표시 장치는, 상기한 본 발명의 증착 방법을 이용하여 형성된 발광층을 구비한다.
본 발명의 증착 장치 및 증착 방법에 의하면, 기판 및 증착 유닛 중 한쪽을 다른 쪽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이동시키면서, 증착 마스크에 형성된 마스크 개구를 통과한 증착 입자를 기판에 부착시키므로, 기판보다 작은 증착 마스크를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대형 기판에 대해서도 증착에 의한 피막을 형성할 수 있다.
증착원 개구와 증착 마스크의 사이에 설치된 복수의 제한판이, 제1 방향에 인접하는 제한판 간의 제한 공간에 입사한 증착 입자를, 그 입사 각도에 따라서 선택적으로 포착하므로, 마스크 개구에는, 소정의 입사 각도 이하의 증착 입자만이 입사한다. 이에 의해, 증착 입자의 기판에 대한 최대 입사 각도가 작아지므로, 기판에 형성되는 피막의 단부 모서리에 발생하는 흐려짐을 억제할 수 있다.
제한 공간의 제1 방향 치수가 가장 좁은 최협부에 대하여 적어도 증착원 측에, 제한 공간의 제1 방향 치수가 최협부보다도 넓은 개소가 형성되도록, 제한판의 측면이 구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제한판의 측면 중 최협부보다도 증착원 측의 영역으로부터 재증발하는 증착 입자의 대다수의 비상 방향을 기판과는 반대측으로 향하게 할 수 있다. 또는, 제한판의 측면 중 최협부보다도 증착원 측의 영역으로부터 기판 측을 향하여 재증발한 증착 입자를, 상기 증착 입자가 최협부를 통과하기 전에 제한판의 측면에 충돌시켜 포착할 수 있다. 이들에 의해, 제한판의 측면으로부터 재증발하여 기판에 부착되는 증착 입자 수를 적게 할 수 있다. 그 결과, 단부 모서리의 흐려짐이 억제된 피막을 기판 위의 원하는 위치에 고정밀도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제한판으로부터의 증착 재료의 재증발을 적게 하기 위하여 제한판 유닛을 빈번하게 교환할 필요가 없어지므로, 양산시의 스루풋이 향상되어, 생산성이 향상된다.
본 발명의 유기 EL 표시 장치는, 상기한 증착 방법을 이용하여 형성된 발광층을 구비하므로, 발광층의 위치 어긋남이나 발광층의 단부 모서리의 흐려짐이 억제된다. 따라서, 신뢰성 및 표시 품위가 우수하며, 대형화도 가능한 유기 EL 표시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유기 EL 표시 장치의 개략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유기 EL 표시 장치를 구성하는 화소의 구성을 나타낸 평면도.
도 3은 도 2의 3-3선을 따른 유기 EL 표시 장치를 구성하는 TFT 기판의 화살표 방향에서 본 단면도.
도 4는 유기 EL 표시 장치의 제조 공정을 공정순으로 나타낸 흐름도.
도 5는 신증착법에 따른 증착 장치의 기본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도 5에 도시한 증착 장치의, 기판의 주행 방향과 평행한 방향을 따라 본 정면 단면도.
도 7은 도 5에 도시한 증착 장치에서 제한판 유닛을 생략한 증착 장치의 정면 단면도.
도 8은 피막의 양 단부 모서리의 흐려짐의 발생 원인을 설명하는 단면도.
도 9의 A는 신증착법에서 기판에 피막이 형성되는 모습을 나타낸 확대 단면도이며, B는 신증착법의 문제가 발생하는 원인을 설명하는 확대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따른 증착 장치의 기본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11은 도 10에 도시한 증착 장치의, 기판의 주행 방향과 평행한 방향을 따라 본 정면 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따른 증착 장치에서, 제한판의 측면 작용을 설명하는 확대 단면도.
도 13은 다른 측면 형상을 갖는 제한판을 구비한,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따른 증착 장치의 확대 단면도.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따른 증착 장치에서, 또 다른 측면 형상을 갖는 제한판의 확대 단면도.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따른 증착 장치의, 기판의 주행 방향과 평행한 방향을 따라 본 확대 단면도.
도 16의 A 내지 C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따른 증착 장치에서, 다른 측면 형상을 갖는 제한판의 확대 단면도.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3에 따른 증착 장치의, 기판의 주행 방향과 평행한 방향을 따라 본 확대 단면도.
도 18의 A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3에 따른 증착 장치의, 기판의 주행 방향과 평행한 방향을 따라 본 확대 단면도, B는 A에 도시한 제한판의 확대 단면도.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3에 따른 증착 장치에 이용되는 다른 제한판의 확대 단면도.
본 발명의 증착 장치는, 기판 위에 소정 패턴의 피막을 형성하는 증착 장치로서, 상기 증착 장치는, 적어도 1개의 증착원 개구를 구비한 증착원, 상기 적어도 1개의 증착원 개구와 상기 기판 사이에 배치된 증착 마스크 및 상기 증착원과 상기 증착 마스크 사이에 배치되면서 제1 방향을 따라 배치된 복수의 제한판을 포함하는 제한판 유닛을 구비한 증착 유닛과, 상기 기판과 상기 증착 마스크를 일정 간격만큼 이격시킨 상태에서, 상기 기판의 법선 방향 및 상기 제1 방향에 직교하는 제2 방향을 따라서 상기 기판 및 상기 증착 유닛 중 한쪽을 다른 쪽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이동시키는 이동 기구를 구비한다. 상기 적어도 1개의 증착원 개구로부터 방출되고, 상기 제1 방향에 인접하는 상기 제한판 간의 제한 공간 및 상기 증착 마스크에 형성된 복수의 마스크 개구를 통과한 증착 입자를 상기 기판에 부착시켜서 상기 피막을 형성한다. 상기 제한 공간의 상기 제1 방향의 치수가 가장 좁은 최협부에 대하여 적어도 상기 증착원 측에, 상기 제한 공간의 상기 제1 방향의 치수가 상기 최협부보다도 넓은 개소가 형성되도록, 상기 제한 공간을 상기 제1 방향으로 규정하는 상기 제한판의 측면이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본 발명의 증착 장치에서, 상기 제한 공간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1 방향에 대향하는 상기 제한판의 상기 측면이 면 대칭의 관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증착원 개구로부터 방출되고, 기판에 부착되어 피막을 형성하는 증착 입자의 비상 경로의 설계를 간단화할 수 있다.
상기 최협부는, 상기 제한판의 상기 측면의 상기 증착 마스크측 단부 모서리에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제한판의 측면으로부터 재증발하여 기판에 부착되는 증착 입자의 수를 더욱 적게 할 수 있다.
상기 제한판의 상기 측면은, 상기 기판의 법선 방향을 따라서 상기 최협부로부터 멀어짐에 따라서 상기 제한 공간의 상기 제1 방향의 치수가 확대되도록 경사진 면을 상기 최협부보다도 상기 증착원 측에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이와 같이 경사진 면으로부터 재증발하는 증착 입자의 비상 방향을 기판과는 반대측으로 향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제한판의 측면으로부터 재증발하여 기판에 부착되는 증착 입자의 수를 더욱 적게 할 수 있다.
상기 제한판의 상기 측면의, 상기 최협부보다도 상기 증착원 측의 영역에, 오목 형상의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오목 형상의 오목부의 최심부보다도 증착 마스크측의 영역으로부터 재증발하는 증착 입자의 비상 방향을 기판과는 반대측으로 향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오목 형상의 오목부의 최심부보다도 증착 마스크측의 영역은, 이에 의해 증착원 측의 영역으로부터 재증발한 증착 입자를 충돌시켜서 포착할 수 있다. 따라서, 제한판의 측면으로부터 재증발하여 기판에 부착되는 증착 입자의 수를 더욱 적게 할 수 있다. 또한, 오목 형상의 오목부의 최심부보다도 증착원 측의 영역은, 이에 의해 증착 마스크측의 영역으로부터 박리된 증착 재료가 증착원 위에 낙하하지 않도록 받칠 수 있다.
상기 제한판의 상기 측면에, 상기 제한 공간을 향하여 돌출된 제1 차양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최협부는 상기 제1 차양의 선단에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제1 차양보다도 증착원 측의 영역으로부터 재증발한 증착 입자를 제1 차양에 충돌시켜 포착할 수 있다. 따라서, 제한판의 측면으로부터 재증발하여 기판에 부착되는 증착 입자의 수를 더욱 적게 할 수 있다. 제1 차양의 형상은, 특별히 제한은 없으며, 일정 두께의 박판, 그 선단에 가까워짐에 따라서 두께가 얇아지는 대략 쐐기 형상 단면을 갖는 형상 등, 임의로 설정할 수 있다.
상기에서, 상기 제1 차양은, 그 증착원 측에, 상기 제1 차양의 선단에 가까워짐에 따라서 상기 증착원에 가까워지도록 경사진 면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제1 차양의 증착원 측의 면으로부터 재증발한 증착 입자가 기판에 부착되는 것을 거의 완전하게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제1 차양은, 그 선단에, 상기 제한 공간의 상기 제1 방향의 치수가 상기 증착원에 가까워짐에 따라서 확대되도록 경사진 면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제1 차양의 선단면으로부터 재증발하는 증착 입자의 비상 방향을 기판과는 반대측으로 향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제한판의 측면으로부터 재증발하여 기판에 부착되는 증착 입자의 수를 더욱 적게 할 수 있다.
상기 제한판의 상기 측면의 상기 최협부보다도 상기 증착원 측의 위치에, 상기 제한 공간을 향하여 돌출된 제2 차양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제한판의 측면의, 제2 차양보다도 증착 마스크측의 영역으로부터 박리된 증착 재료를 제2 차양으로 받칠 수 있으므로, 박리된 증착 재료가 증착원 위에 낙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2 차양의 형상도, 특별히 제한은 없으며, 일정 두께의 박판, 그 선단에 가까워짐에 따라서 두께가 얇아지는 대략 쐐기 형상 단면을 갖는 형상 등, 임의로 설정할 수 있다.
상기 제한판의 상기 측면에, 계단 형상의 복수의 단차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제한판의 측면으로부터 재증발하여 기판에 부착되는 증착 입자의 수를 더욱 적게 할 수 있다.
상기 제한 공간의 상기 제2 방향의 치수가 가장 좁은 제2 최협부에 대하여 적어도 상기 증착원 측에, 상기 제한 공간의 상기 제2 방향의 치수가 상기 제2 최협부보다도 넓은 개소가 형성되도록, 상기 제한 공간을 상기 제2 방향으로 규정하는 상기 제한판 유닛의 측면이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제한판 유닛의 측면으로부터 재증발하여 기판에 부착되는 증착 입자의 수를 적게 할 수 있다.
제한판 유닛의 측면에도, 제한판의 측면에 적용되는 각종 바람직한 구성이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 본 발명을 적합한 실시 형태를 개시하면서 상세히 설명한다. 단, 본 발명은 이하의 실시 형태에 한정되지 않는 것은 물론이다. 이하의 설명에서 참조하는 각 도면은, 설명의 편의상, 본 발명의 실시 형태의 구성 부재 중,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해 필요한 주요 부재만을 간략화하여 나타낸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의 각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임의의 구성 부재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이하의 각 도면에서의 부재의 치수는, 실제 구성 부재의 치수 및 각 부재의 치수 비율 등을 충실하게 표현한 것은 아니다.
(유기 EL 표시 장치의 구성)
본 발명을 적용하여 제조 가능한 유기 EL 표시 장치의 일례를 설명한다. 본 예의 유기 EL 표시 장치는, TFT 기판 측으로부터 광을 추출하는 보텀 에미션형으로, 적(R), 녹(G), 청(B)의 각 색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화소(서브 화소)의 발광을 제어함으로써 풀 컬러의 화상 표시를 행하는 유기 EL 표시 장치이다.
우선, 상기 유기 EL 표시 장치의 전체 구성에 대하여 이하에 설명한다.
도 1은, 유기 EL 표시 장치의 개략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유기 EL 표시 장치를 구성하는 화소의 구성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3-3선을 따른 유기 EL 표시 장치를 구성하는 TFT 기판의 화살표 방향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기 EL 표시 장치(1)는 TFT(12: 도 3 참조)가 형성된 TFT 기판(10) 위에 TFT(12)에 접속된 유기 EL 소자(20), 접착층(30), 밀봉 기판(40)이 이 순서로 형성된 구성을 갖는다. 유기 EL 표시 장치(1)의 중앙이 화상 표시를 행하는 표시 영역(19)이며, 이 표시 영역(19) 내에 유기 EL 소자(20)가 배치되어 있다.
유기 EL 소자(20)는 상기 유기 EL 소자(20)가 적층된 TFT 기판(10)을 접착층(30)을 이용하여 밀봉 기판(40)과 접합함으로써 이들 한 쌍의 기판(10, 40) 사이에 봉입되어 있다. 이와 같이 유기 EL 소자(20)가 TFT 기판(10)과 밀봉 기판(40)의 사이에 봉입되어 있음으로써, 유기 EL 소자(20)에의 산소나 수분의 외부로부터의 침입이 방지되고 있다.
TFT 기판(10)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 기판으로서, 예를 들면 유리 기판 등의 투명한 절연 기판(11)을 구비한다. 단, 톱 에미션형의 유기 EL 표시 장치에서는, 절연 기판(11)은 투명할 필요는 없다.
절연 기판(11) 위에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평 방향으로 부설된 복수의 게이트선과, 수직 방향으로 부설되고, 게이트선과 교차하는 복수의 신호선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복수의 배선(14)이 형성되어 있다. 게이트선에는, 게이트선을 구동하는 게이트선 구동 회로(도시생략)가 접속되고, 신호선에는, 신호선을 구동하는 신호선 구동 회로(도시생략)가 접속되어 있다. 절연 기판(11) 위에는, 이들 배선(14)으로 둘러싸인 각 영역에, 적(R), 녹(G), 청(B)의 각 색의 유기 EL 소자(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서브 화소(2R, 2G, 2B)가, 매트릭스 형상으로 배치되어 있다.
서브 화소(2R)는 적색광을 발사하고, 서브 화소(2G)는 녹색 광을 발사하며, 서브 화소(2B)는 청색광을 발사한다. 열 방향(도 2의 상하 방향)으로는 동일한 색의 서브 화소가 배치되고, 행 방향(도 2의 좌우 방향)으로는 서브 화소(2R, 2G, 2B)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반복 단위가 반복하여 배치되어 있다. 행 방향의 반복 단위를 구성하는 서브 화소(2R, 2G, 2B)가 화소(2: 즉, 1 화소)를 구성한다.
각 서브 화소(2R, 2G, 2B)는, 각 색의 발광을 담당하는 발광층(23R, 23G, 23B)을 구비한다. 발광층(23R, 23G, 23B)은, 열 방향(도 2의 상하 방향)으로 스트라이프 형상으로 연장하여 형성되어 있다.
TFT 기판(10)의 구성을 설명한다.
TFT 기판(10)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리 기판 등의 투명한 절연 기판(11) 위에 TFT(12: 스위칭 소자), 배선(14), 층간막(13: 층간 절연막, 평탄화막), 에지 커버(15) 등을 구비한다.
TFT(12)는 서브 화소(2R, 2G, 2B)의 발광을 제어하는 스위칭 소자로서 기능하는 것으로, 서브 화소(2R, 2G, 2B)마다 형성된다. TFT(12)는 배선(14)에 접속된다.
층간막(13)은 평탄화막으로서도 기능하는 것으로, TFT(12) 및 배선(14)을 덮도록 절연 기판(11) 위의 표시 영역(19)의 전체면에 적층되어 있다.
층간막(13) 위에는, 제1 전극(21)이 형성되어 있다. 제1 전극(21)은 층간막(13)에 형성된 콘택트 홀(13a)을 개재하여, TFT(12)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에지 커버(15)는 층간막(13) 위에 제1 전극(21)의 패턴 단부를 피복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에지 커버(15)는 제1 전극(21)의 패턴 단부에서 유기 EL층(27)이 얇아지거나 전계 집중이 일어나거나 함으로써, 유기 EL 소자(20)를 구성하는 제1 전극(21)과 제2 전극(26)이 단락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절연층이다.
에지 커버(15)에는, 서브 화소(2R, 2G, 2B)마다 개구(15R, 15G, 15B)가 형성되어 있다. 이 에지 커버(15)의 개구(15R, 15G, 15B)가, 각 서브 화소(2R, 2G, 2B)의 발광 영역으로 된다. 다시 말하면, 각 서브 화소(2R, 2G, 2B)는, 절연성을 갖는 에지 커버(15)에 의해 구획되어 있다. 에지 커버(15)는 소자 분리막으로서도 기능한다.
유기 EL 소자(20)에 대하여 설명한다.
유기 EL 소자(20)는 저전압 직류 구동에 의한 고휘도 발광이 가능한 발광 소자이며, 제1 전극(21), 유기 EL층(27), 제2 전극(26)을 이 순서대로 구비한다.
제1 전극(21)은 유기 EL층(27)에 정공을 주입(공급)하는 기능을 갖는 층이다. 제1 전극(21)은 상기한 바와 같이 콘택트 홀(13a)을 개재하여 TFT(12)와 접속되어 있다.
유기 EL층(27)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전극(21)과 제2 전극(26)의 사이에, 제1 전극(21) 측으로부터, 정공 주입층 겸 정공 수송층(22), 발광층(23R, 23G, 23B), 전자 수송층(24), 전자 주입층(25)을 이 순서로 구비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1 전극(21)을 양극으로 하고, 제2 전극(26)을 음극으로 하고 있지만, 제1 전극(21)을 음극으로 하고, 제2 전극(26)을 양극으로 하여도 되며, 이 경우에는 유기 EL층(27)을 구성하는 각 층의 순서는 반전된다.
정공 주입층 겸 정공 수송층(22)은 정공 주입층으로서의 기능과 정공 수송층으로서의 기능을 겸비한다. 정공 주입층은, 유기 EL층(27)에의 정공 주입 효율을 높이는 기능을 갖는 층이다. 정공 수송층은, 발광층(23R, 23G, 23B)에의 정공 수송 효율을 높이는 기능을 갖는 층이다. 정공 주입층 겸 정공 수송층(22)은 제1 전극(21) 및 에지 커버(15)를 덮도록, TFT 기판(10)에서의 표시 영역(19)의 전체면에 균일하게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정공 주입층과 정공 수송층이 일체화된 정공 주입층 겸 정공 수송층(22)을 형성하고 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정공 주입층과 정공 수송층이 서로 독립된 층으로서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정공 주입층 겸 정공 수송층(22) 위에는, 발광층(23R, 23G, 23B)이 에지 커버(15)의 개구(15R, 15G, 15B)를 덮도록, 각각, 서브 화소(2R, 2G, 2B)의 열에 대응하여 형성되어 있다. 발광층(23R, 23G, 23B)은, 제1 전극(21) 측으로부터 주입된 홀(정공)과 제2 전극(26) 측으로부터 주입된 전자를 재결합시켜서 광을 출사하는 기능을 갖는 층이다. 발광층(23R, 23G, 23B)은, 각각, 저분자 형광 색소나 금속 착체 등의 발광 효율이 높은 재료를 포함한다.
전자 수송층(24)은 제2 전극(26)으로부터 발광층(23R, 23G, 23B)에의 전자 수송 효율을 높이는 기능을 갖는 층이다.
전자 주입층(25)은 제2 전극(26)으로부터 유기 EL층(27)에의 전자 주입 효율을 높이는 기능을 갖는 층이다.
전자 수송층(24)은 발광층(23R, 23G, 23B) 및 정공 주입층 겸 정공 수송층(22)을 덮도록, 이들 발광층(23R, 23G, 23B) 및 정공 주입층 겸 정공 수송층(22) 위에 TFT 기판(10)에서의 표시 영역(19)의 전체면에 걸쳐 균일하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전자 주입층(25)은 전자 수송층(24)을 덮도록, 전자 수송층(24) 위에 TFT 기판(10)에서의 표시 영역(19)의 전체면에 걸쳐 균일하게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전자 수송층(24)과 전자 주입층(25)은 서로 독립된 층으로서 형성되어 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양자가 일체화된 단일층(즉, 전자 수송층 겸 전자 주입층)으로서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제2 전극(26)은 유기 EL층(27)에 전자를 주입하는 기능을 갖는 층이다. 제2 전극(26)은 전자 주입층(25)을 덮도록, 전자 주입층(25) 위에 TFT 기판(10)에서의 표시 영역(19)의 전체면에 걸쳐 균일하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발광층(23R, 23G, 23B) 이외의 유기층은 유기 EL층(27)으로서 필수가 아니라, 요구되는 유기 EL 소자(20)의 특성에 따라서 취사 선택하면 된다. 또한, 유기 EL층(27)은 필요에 따라서, 캐리어 블로킹층을 더 가져도 된다. 예를 들면, 발광층(23R, 23G, 23B)과 전자 수송층(24)의 사이에 캐리어 블로킹층으로서 정공 블로킹층을 추가함으로써, 정공이 전자 수송층(24)으로 빠져나오는 것을 방지하여, 발광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유기 EL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다음으로, 유기 EL 표시 장치(1)의 제조 방법에 대하여 이하에 설명한다.
도 4는, 상기한 유기 EL 표시 장치(1)의 제조 공정을 공정순으로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유기 EL 표시 장치(1)의 제조 방법은, 예를 들면 TFT 기판·제1 전극의 제조 공정 S1, 정공 주입층·정공 수송층의 형성 공정 S2, 발광층의 형성 공정 S3, 전자 수송층의 형성 공정 S4, 전자 주입층의 형성 공정 S5, 제2 전극의 형성 공정 S6, 밀봉 공정 S7을 이 순서로 구비하고 있다.
이하에, 도 4의 각 공정을 설명한다. 단, 이하에 설명하는 각 구성 요소의 치수, 재질, 형상 등은 어디까지나 일례에 지나지 않으며,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1 전극(21)을 양극으로 하고, 제2 전극(26)을 음극으로 하고 있으며, 이와는 반대로 제1 전극(21)을 음극으로 하고, 제2 전극(26)을 양극으로 하는 경우에는, 유기 EL층의 적층순은 이하의 설명과 반전된다. 마찬가지로, 제1 전극(21) 및 제2 전극(26)을 구성하는 재료도 이하의 설명과 반전된다.
처음에, 절연 기판(11) 위에 공지된 방법으로 TFT(12) 및 배선(14) 등을 형성한다. 절연 기판(11)으로서는, 예를 들면 투명한 유리 기판 또는 플라스틱 기판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는, 절연 기판(11)으로서, 두께가 약 1㎜, 종횡 치수가 500mm×400mm인 직사각형 형상의 유리판을 이용할 수 있다.
계속해서, TFT(12) 및 배선(14)을 덮도록 절연 기판(11) 위에 감광성 수지를 도포하고, 포토리소그래피 기술에 의해 패터닝을 행함으로써, 층간막(13)을 형성한다. 층간막(13)의 재료로서는, 예를 들면 아크릴 수지나 폴리이미드 수지 등의 절연성 재료를 이용할 수 있다. 단, 폴리이미드 수지는 일반적으로 투명이 아니라, 유색이다. 이 때문에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은 보텀 에미션형의 유기 EL 표시 장치(1)를 제조하는 경우에는, 층간막(13)으로서는 아크릴 수지 등의 투명성 수지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층간막(13)의 두께는, TFT(12) 상면의 단차를 해소할 수 있으면 되며,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일 실시예에서는, 아크릴 수지를 이용하여 두께가 약 2㎛인 층간막(13)을 형성할 수 있다.
다음으로, 층간막(13)에, 제1 전극(21)을 TFT(12)에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콘택트 홀(13a)을 형성한다.
다음으로, 층간막(13) 위에 제1 전극(21)을 형성한다. 즉, 층간막(13) 위에 도전막(전극막)을 성막한다. 계속해서, 도전막 위에 포토레지스트를 도포하고, 포토리소그래피 기술을 이용하여 패터닝을 행한 후, 염화제2철을 에칭액으로 하여, 도전막을 에칭한다. 그 후, 레지스트 박리액을 이용하여 포토레지스트를 박리시키고, 나아가 기판 세정을 행한다. 이에 의해, 층간막(13) 위에 매트릭스 형상의 제1 전극(21)이 얻어진다.
제1 전극(21)에 이용되는 도전막 재료로서는, ITO(Indium Tin Oxide: 인듐 주석 산화물), IZO(Indium Zinc Oxide: 인듐 아연 산화물), 갈륨 첨가 산화아연(GZO) 등의 투명 도전 재료, 금(Au), 니켈(Ni), 백금(Pt) 등의 금속 재료를 이용할 수 있다.
도전막의 적층 방법으로서는, 스퍼터링법, 진공 증착법, CVD(Chemical Vapor Deposition, 화학 증착)법, 플라즈마 CVD법, 인쇄법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는, 스퍼터링법에 의해 ITO를 이용하여, 두께가 약 100㎚인 제1 전극(21)을 형성할 수 있다.
다음으로, 소정 패턴의 에지 커버(15)를 형성한다. 에지 커버(15)는 예를 들면 층간막(13)과 마찬가지의 절연 재료를 사용할 수 있어, 층간막(13)과 마찬가지의 방법으로 패터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는, 아크릴 수지를 이용하여, 두께가 약 1㎛인 에지 커버(15)를 형성할 수 있다.
이상에 의해, TFT 기판(10) 및 제1 전극(21)이 제조된다(공정 S1).
다음으로, 공정 S1을 거친 TFT 기판(10)을 탈수를 위해 감압 베이크 처리하고, 나아가 제1 전극(21)의 표면 세정을 위해 산소 플라즈마 처리한다.
다음으로, 상기 TFT 기판(10) 위에 정공 주입층 및 정공 수송층(본 실시 형태에서는 정공 주입층 겸 정공 수송층(22))을 TFT 기판(10)의 표시 영역(19)의 전체면에 증착법에 의해 형성한다(S2).
구체적으로는, 표시 영역(19)의 전체면이 개구된 오픈 마스크를, TFT 기판(10)에 밀착 고정하고, TFT 기판(10)과 오픈 마스크를 함께 회전시키면서, 오픈 마스크의 개구를 통하여 정공 주입층 및 정공 수송층의 재료를 TFT 기판(10)의 표시 영역(19)의 전체면에 증착한다.
정공 주입층과 정공 수송층은, 상기한 바와 같이 일체화되어 있어도 되고, 서로 독립된 층이어도 된다. 층의 두께는, 1층당 예를 들면 10㎚ 내지 100㎚이다.
정공 주입층 및 정공 수송층의 재료로서는, 예를 들면 벤진, 스티릴아민, 트리페닐아민, 포르피린, 트리아졸, 이미다졸, 옥사디아졸, 폴리아릴알칸, 페닐렌디아민, 아릴아민, 옥사졸, 안트라센, 플루오레논, 히드라존, 스틸벤, 트리페닐렌, 아자트리페닐렌 및 이들의 유도체, 폴리실란계 화합물, 비닐카르바졸계 화합물, 티오펜계 화합물, 아닐린계 화합물 등의, 복소환식 또는 쇄상식 공액계의 모노머, 올리고머 또는 폴리머 등을 들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는, 4, 4'-비스 [N-(1-나프틸)-N-페닐아미노]비페닐(α-NPD)을 사용하여, 두께가 30㎚인 정공 주입층 겸 정공 수송층(22)을 형성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정공 주입층 겸 정공 수송층(22) 위에 에지 커버(15)의 개구(15R, 15G, 15B)를 덮도록, 발광층(23R, 23G, 23B)을 스트라이프 형상으로 형성한다(S3). 발광층(23R, 23G, 23B)은, 적색, 녹색, 청색의 각 색별로, 소정 영역을 구분 도포하도록 증착된다(구분 도포 증착).
발광층(23R, 23G, 23B)의 재료로서는, 저분자 형광 색소, 금속 착체 등의 발광 효율이 높은 재료가 이용된다. 예를 들면, 안트라센, 나프탈렌, 인덴, 페난트렌, 피렌, 나프타센, 트리페닐렌, 안트라센, 페릴렌, 피센, 플루오란텐, 아세페난트릴렌, 펜타펜, 펜타센, 코로넨, 부타디엔, 쿠마린, 아크리딘, 스틸벤 및 이들의 유도체, 트리스(8-퀴놀리놀라토)알루미늄 착체, 비스(벤조 퀴놀리놀라토)베릴륨 착체, 트리(디벤조일메틸)페난트롤린 유로퓸 착체, 디톨루일비닐비페닐 등을 들 수 있다.
발광층(23R, 23G, 23B)의 두께는, 예를 들면 10㎚ 내지 100㎚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증착 방법 및 증착 장치는, 이 발광층(23R, 23G, 23B)의 구분 도포 증착에 특히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을 사용한 발광층(23R, 23G, 23B)의 형성 방법의 상세는 후술한다.
다음으로, 정공 주입층 겸 정공 수송층(22) 및 발광층(23R, 23G, 23B)을 덮도록, TFT 기판(10)의 표시 영역(19)의 전체면에 전자 수송층(24)을 증착법에 의해 형성한다(S4). 전자 수송층(24)은 상기한 정공 주입층·정공 수송층의 형성 공정 S2와 마찬가지의 방법에 의해 형성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전자 수송층(24)을 덮도록, TFT 기판(10)의 표시 영역(19)의 전체면에 전자 주입층(25)을 증착법에 의해 형성한다(S5). 전자 주입층(25)은 상기한 정공 주입층·정공 수송층의 형성 공정 S2와 마찬가지의 방법에 의해 형성할 수 있다.
전자 수송층(24) 및 전자 주입층(25)의 재료로서는, 예를 들면 퀴놀린, 페릴렌, 페난트롤린, 비스스티릴, 피라진, 트리아졸, 옥사졸, 옥사디아졸, 플루오레논 및 이들의 유도체나 금속 착체, LiF(불화리튬)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전자 수송층(24)과 전자 주입층(25)은, 일체화된 단일층으로서 형성되어도 되며, 또는 독립된 층으로서 형성되어도 된다. 각 층의 두께는, 예를 들면 1㎚ 내지 100㎚이다. 또한, 전자 수송층(24) 및 전자 주입층(25)의 합계 두께는, 예를 들면 20㎚ 내지 200㎚이다.
일 실시예에서는, Alq(트리스(8-히드록시퀴놀린)알루미늄)을 사용하여 두께 30㎚의 전자 수송층(24)을 형성하고, LiF(불화리튬)을 사용하여 두께가 1㎚인 전자 주입층(25)을 형성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전자 주입층(25)을 덮도록, TFT 기판(10)의 표시 영역(19)의 전체면에 제2 전극(26)을 증착법에 의해 형성한다(S6). 제2 전극(26)은 상기한 정공 주입층·정공 수송층의 형성 공정 S2와 마찬가지의 방법에 의해 형성할 수 있다. 제2 전극(26)의 재료(전극 재료)로서는, 일함수가 작은 금속 등이 적합하게 이용된다. 이러한 전극 재료로서는, 예를 들면 마그네슘 합금(MgAg 등), 알루미늄 합금(AlLi, AlCa, AlMg 등), 금속 칼슘 등을 들 수 있다. 제2 전극(26)의 두께는, 예를 들면 50㎚ 내지 100㎚이다. 일 실시예에서는, 알루미늄을 이용하여 두께가 50㎚인 제2 전극(26)을 형성할 수 있다.
제2 전극(26) 위에는, 제2 전극(26)을 덮도록, 외부로부터 산소나 수분이 유기 EL 소자(20) 내에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보호막을 더 형성하여도 된다. 보호막의 재료로서는, 절연성이나 도전성을 갖는 재료를 이용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질화실리콘이나 산화실리콘을 들 수 있다. 보호막의 두께는, 예를 들면 100㎚ 내지 1000㎚이다.
이상에 의해, TFT 기판(10) 위에 제1 전극(21), 유기 EL층(27) 및 제2 전극(26)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유기 EL 소자(20)를 형성할 수 있다.
계속해서,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기 EL 소자(20)가 형성된 TFT 기판(10)과, 밀봉 기판(40)을 접착층(30)에 의해 접합하고, 유기 EL 소자(20)를 봉입한다. 밀봉 기판(40)으로서는, 예를 들면 두께가 0.4㎚ 내지 1.1mm인 유리 기판 또는 플라스틱 기판 등의 절연 기판을 이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유기 EL 표시 장치(1)가 얻어진다.
이와 같은 유기 EL 표시 장치(1)에서, 배선(14)으로부터의 신호 입력에 의해 TFT(12)를 ON(온)시키면, 제1 전극(21)으로부터 유기 EL층(27)으로 정공이 주입된다. 한편, 제2 전극(26)으로부터 유기 EL층(27)으로 전자가 주입된다. 정공과 전자는 발광층(23R, 23G, 23B) 내에서 재결합하고, 에너지를 실활할 때에 소정 색의 광을 출사한다. 각 서브 화소(2R, 2G, 2B)의 발광 휘도를 제어함으로써, 표시 영역(19)에 소정의 화상을 표시할 수 있다.
이하에, 발광층(23R, 23G, 23B)을 구분 도포 증착에 의해 형성하는 공정 S3을 설명한다.
(신증착법)
발광층(23R, 23G, 23B)을 구분 도포 증착하는 방법으로서, 본 발명자들은, 특허문헌 1, 2와 같은, 증착 시에 기판과 동등한 크기의 마스크를 기판에 고정하는 증착 방법 대신에, 증착원 및 증착 마스크에 대하여 기판을 이동시키면서 증착을 행하는 신규의 증착 방법(이하, 「신증착법」이라고 함)을 검토하였다.
도 5는, 신증착법에 따른 증착 장치의 기본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한 증착 장치의 정면 단면도이다.
증착원(960)과, 증착 마스크(970)와, 이들 사이에 배치된 제한판 유닛(980)으로 증착 유닛(950)을 구성한다. 증착원(960)과 제한판 유닛(980)과 증착 마스크(970)의 상대적 위치는 일정하다. 기판(10)이 증착 마스크(970)에 대하여 증착원(960)과는 반대측을 일정 속도로 화살표(10a)를 따라 이동한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기판(10)의 이동 방향(10a)과 평행한 수평 방향축을 Y축, Y축과 수직인 수평 방향축을 X축, X축 및 Y축에 수직인 상하 방향축을 Z축으로 하는 XYZ 직교 좌표계를 설정한다. Z축은 기판(10)의 피증착면(10e)의 법선 방향과 평행하다.
증착원(960)의 상면에는, 각각의 증착 입자(91)를 방출하는 복수의 증착원 개구(961)가 형성되어 있다. 복수의 증착원 개구(961)는 X축과 평행한 일직선을 따라 일정 피치로 배치되어 있다.
제한판 유닛(980)은 복수의 제한판(981)을 갖는다. 각 제한판(981)의 주면(면적이 최대인 면)은 YZ면과 평행하다. 복수의 제한판(981)은 복수의 증착원 개구(961)의 배치 방향(즉, X축 방향)과 평행하게 일정 피치로 배치되어 있다. X축 방향에 인접하는 제한판(981)과의 사이의, 제한판 유닛(980)을 Z축 방향으로 관통하는 공간을, 제한 공간(982)이라 칭한다.
증착 마스크(970)에는, 복수의 마스크 개구(971)가 형성되어 있다. 복수의 마스크 개구(971)는 X축 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있다.
증착원 개구(961)로부터 방출된 증착 입자(91)는 제한 공간(982)을 통과하고, 또한, 마스크 개구(971)를 통과하여 기판(10)에 부착되어, Y축과 평행한 스트라이프 형상의 피막(90)을 형성한다. 발광층(23R, 23G, 23B)의 각 색별로 반복하여 증착을 행함으로써, 발광층(23R, 23G, 23B)의 구분 도포 증착을 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신증착법에 의하면, 증착 마스크(970)의, 기판(10)의 이동 방향(10a)의 치수 Lm을, 기판(10)의 동일 방향의 치수와는 무관계하게 설정할 수 있다. 따라서, 기판(10)보다도 작은 증착 마스크(970)를 이용할 수 있다. 이로 인해, 기판(10)을 대형화하여도 증착 마스크(970)를 대형화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증착 마스크(970)의 자중 휨이나 신장의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증착 마스크(970)나 이를 유지하는 프레임 등이 거대화·중량화되는 일도 없다. 따라서, 특허문헌 1, 2에 기재된 종래의 증착법의 문제가 해결되어, 대형 기판에 대한 구분 도포 증착이 가능하게 된다.
신증착법에서의 제한판 유닛(980)의 효과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7은, 신증착법에서 제한판 유닛(980)을 생략한 증착 장치를 도 6과 마찬가지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증착원 개구(961)로부터 증착 입자(91)는 소정 퍼짐성(지향성)을 갖고 방출된다. 즉, 도 7에서, 증착원 개구(961)로부터 방출되는 증착 입자(91)의 수는, 증착원 개구(961)의 바로 위 방향(Z축 방향)에서 가장 많고, 바로 위 방향에 대하여 이루는 각도(출사 각도)가 커짐에 따라서 서서히 적어진다. 증착원 개구(961)로부터 방출된 각 증착 입자(91)는 각각의 방출 방향을 향하여 직진한다. 도 7에서는, 증착원 개구(961)로부터 방출되는 증착 입자(91)의 흐름을 화살표로 개념적으로 나타내었다. 화살표의 길이는, 증착 입자 수에 대응한다. 따라서, 각 마스크 개구(971)에는, 그 바로 아래에 위치하는 증착원 개구(961)로부터 방출된 증착 입자(91)가 가장 많이 날아오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비스듬히 아래쪽에 위치하는 증착원 개구(961)로부터 방출된 증착 입자(91)도 날아온다.
도 8은, 도 7의 증착 장치에서, 소정 마스크 개구(971)를 통과한 증착 입자(91)에 의해 기판(10) 위에 형성되는 피막(90)의, 도 7과 마찬가지로 Y축과 평행한 방향을 따라 본 단면도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여러 방향으로부터 날아온 증착 입자(91)가 마스크 개구(971)를 통과한다. 기판(10)의 피증착면(10e)에 도달하는 증착 입자(91)의 수는, 마스크 개구(971)의 바로 위의 영역에서 가장 많고, 이로부터 멀어짐에 따라서 서서히 적어진다. 따라서,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판(10)의 피증착면(10e)에는, 마스크 개구(971)를 바로 위 방향으로 기판(10)에 투영한 영역에, 두꺼우면서 대략 일정한 두께를 갖는 피막 주부(主部)(90c)가 형성되고, 그 양측에, 피막 주부(90c)보다 멀어짐에 따라서 서서히 엷어지는 흐려짐 부분(90e)이 형성된다. 그리고, 이 흐려짐 부분(90e)이 피막(90)의 단부 모서리의 흐려짐을 발생시킨다.
흐려짐 부분(90e)의 폭 We를 작게 하기 위해서는, 증착 마스크(970)와 기판(10)의 간격을 작게 하면 된다. 그러나, 증착 마스크(970)에 대하여 기판(10)을 상대적으로 이동시킬 필요가 있으므로, 증착 마스크(970)와 기판(10)의 간격을 제로로 할 수 없다.
흐려짐 부분(90e)의 폭 We가 크게 되어 흐려짐 부분(90e)이 인접한 서로 다른 색의 발광층 영역에 미치면, 「혼색」이 발생하거나, 유기 EL 소자의 특성이 열화하기도 한다. 혼색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 흐려짐 부분(90e)이 인접한 서로 다른 색의 발광층 영역에 미치지 못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화소(도 2의 서브 화소(2R, 2G, 2B)를 의미함)의 개구 폭을 좁게 하거나 또는, 화소의 피치를 크게 하여, 비발광 영역을 크게 할 필요가 있다. 그런데, 화소의 개구 폭을 좁게 하면, 발광 영역이 작아지므로 휘도가 저하된다. 필요한 휘도를 얻기 위해 전류 밀도를 높게 하면, 유기 EL 소자가 단수명화하거나, 손상되기 쉬워지기도 하여, 신뢰성이 저하된다. 한편, 화소 피치를 크게 하면, 고정밀 표시를 실현할 수 없어, 표시 품위가 저하된다.
이에 비하여, 신증착법에서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증착원(960)과 증착 마스크(970)의 사이에 제한판 유닛(980)이 형성되어 있다.
도 9의 A는, 신증착법에서, 기판(10)에 피막(90)이 형성되는 모습을 나타낸 확대 단면도이다. 본 예에서는, 1개의 제한 공간(982)에 대하여 1개의 증착원 개구(961)가 배치되어 있으며, X축 방향에서, 증착원 개구(961)는 한 쌍의 제한판(981)의 중앙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증착원 개구(961)로부터 방출된 대표적인 증착 입자(91)의 비상 경로를 파선으로 나타내었다. 증착원 개구(961)로부터, 소정 퍼짐성(지향성)을 갖고 방출된 증착 입자(91) 중, 상기 증착원 개구(961)의 바로 위의 제한 공간(982)을 통과하고, 또한 마스크 개구(971)를 통과한 증착 입자(91)가 기판(10)에 부착되어 피막(90)을 형성한다. 한편, 그 X축 방향 성분이 큰 속도 벡터를 갖는 증착 입자(91)는 제한 공간(982)을 규정하는 제한판(981)의 측면(983)에 충돌하여 부착되므로, 제한 공간(982)을 통과할 수 없어, 마스크 개구(971)에 도달할 수는 없다. 즉, 제한판(981)은 마스크 개구(971)에 입사하는 증착 입자(91)의 입사 각도를 제한한다. 여기서, 마스크 개구(971)에 대한 「입사 각도」는, XZ면에의 투영도에서, 마스크 개구(971)에 입사하는 증착 입자(91)의 비상 방향이 Z축에 대하여 이루는 각도로 정의된다.
이와 같이, 복수의 제한판(981)을 구비한 제한판 유닛(980)을 이용함으로써, X축 방향에서의 증착 입자(91)의 지향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흐려짐 부분(90e)의 폭 We를 작게 할 수 있다.
전술한 특허문헌 3에 기재된 종래의 증착 방법에서는, 신증착법의 제한판 유닛(980)에 상당하는 부재가 이용되지 않았다. 또한, 증착원에는, 기판의 상대 이동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을 따른 단일의 슬롯 형상의 개구로부터 증착 입자가 방출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서는, 마스크 개구에 대한 증착 입자의 입사 각도는, 신증착법에 비교하여 커지므로, 피막의 단부 모서리에 유해한 흐려짐이 발생해버린다.
이상과 같이, 신증착법에 의하면, 기판(10)에 형성되는 피막(90)의 단부 모서리의 흐려짐 부분(90e)의 폭 We를 작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신증착법을 이용하여 발광층(23R, 23G, 23B)의 구분 도포 증착을 하면, 혼색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화소 피치를 축소할 수 있으며, 그 경우에는, 고정밀 표시가 가능한 유기 EL 표시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화소 피치를 바꾸지 않고 발광 영역을 확대하여도 되며, 그 경우에는, 고휘도 표시가 가능한 유기 EL 표시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고휘도화를 위하여 전류 밀도를 높게 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유기 EL 소자가 단수명화하거나 손상되거나 하는 경우가 없어, 신뢰성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자들의 검토에 의하면, 신증착법을 이용하여 실제로 기판(10) 위에 피막(90)을 형성하여도, 피막(90)의 단부 모서리의 흐려짐 부분(90e)의 폭 We는 상정한 대로 작게 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는 것을 알아내었다. 또한, 기판(10)의 피증착면(10e)의 의도하지 않은 개소에 증착 재료가 부착되어 버린다는 문제가 있는 것을 알아내었다. 그리고, 이들 문제는, 제한판 유닛(980)의 측면(983)에 부착된 증착 재료가 재증발하는 것에 기인한다는 것을 알아내었다.
이에 대하여, 이하에 설명한다.
도 9의 B는, 신증착법에서 상기한 문제가 발생하는 원인을 설명하는 확대 단면도이다. 도 9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한판 유닛(980)은 고온으로 유지된 증착원(960)의 근방에 대향하여 배치되어 있으므로, 증착원(960)으로부터의 복사열을 받아서 가열된다. 따라서, 제한판(981)의 측면(983) 위의 증착 재료의 부착량이나 주위의 진공도 등의 조건에 따라서는, 측면(983)에 부착된 증착 재료가 증착 입자로서 재증발하는 경우가 있다. 재증발한 증착 입자의 비상 방향은 다각적이며, 그 일부의 증착 입자(92)는 도 9의 B의 이중쇄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마스크 개구(971)를 통과하여, 기판(10)의 피증착면(10e) 위의 원하지 않는 위치에 부착된다. 그 결과, 피막(90)의 단부 모서리에 흐려짐이 발생하거나, 피막(90)의 형성 위치가 어긋나게 되어 버리는 것이다.
제한판(981)으로부터의 증착 재료의 재증발을 적게 하기 위해서는, 제한판 유닛(980)을 자주 교환하면 된다. 그러나, 이것은, 유지 보수 빈도를 증가시키고, 양산시의 스루풋을 저하시켜서, 생산성이 저하된다.
신증착법의 이 문제는, 전술한 특허문헌 4의 증착 장치의 문제와, 그 발생 원리에서 동일하다.
본 발명자들은, 신증착법의 상기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예의 검토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이하에, 본 발명을 적합한 실시 형태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실시 형태 1)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따른 증착 장치의 기본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0에 도시한 증착 장치의 정면 단면도이다.
증착원(60)과, 증착 마스크(70)와, 이들 사이에 배치된 제한판 유닛(80)에 의해 증착 유닛(50)을 구성한다. 기판(10)이 증착 마스크(70)에 대하여 증착원(60)과는 반대측을 일정 속도로 화살표(10a)를 따라 이동한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기판(10)의 이동 방향(10a)과 평행한 수평 방향축을 Y축, Y축과 수직인 수평 방향축을 X축, X축 및 Y축에 수직인 상하 방향축을 Z축으로 하는 XYZ 직교 좌표계를 설정한다. Z축은 기판(10)의 피증착면(10e)의 법선 방향과 평행하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Z축 방향의 화살표의 측(도 11의 지면의 상측)을 「상측」이라고 칭한다.
증착원(60)은 그 상면(즉, 증착 마스크(70)에 대향하는 면)에, 복수의 증착원 개구(61)를 구비한다. 복수의 증착원 개구(61)는 X축 방향과 평행한 직선을 따라 일정 피치로 배치되어 있다. 각 증착원 개구(61)는 Z축과 평행하게 위쪽을 향해 개구된 노즐 형상을 가지며, 증착 마스크(70)를 향하여, 발광층의 재료로 되는 증착 입자(91)를 방출한다.
증착 마스크(70)는 그 주면(면적이 최대인 면)이 XY면과 평행한 판형물이며, X축 방향을 따라서 복수의 마스크 개구(71)가 X축 방향의 서로 다른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마스크 개구(71)는 증착 마스크(70)를 Z축 방향으로 관통하는 관통 구멍이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각 마스크 개구(71)의 개구 형상은 Y축에 평행한 슬롯 형상을 갖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모든 마스크 개구(71)의 형상 및 치수는 동일하여도 되고, 서로 달라도 된다. 마스크 개구(71)의 X축 방향 피치는 일정하여도 되고, 서로 달라도 된다.
증착 마스크(70)는 마스크 텐션 기구(도시생략)에 의해 유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마스크 텐션 기구는, 증착 마스크(70)에, 그 주면과 평행한 방향으로 장력을 인가함으로써, 증착 마스크(70)에 자중에 의한 휨이나 신장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한다.
증착원 개구(61)와 증착 마스크(70)의 사이에, 제한판 유닛(80)이 배치되어 있다. 제한판 유닛(80)은 X축 방향을 따라 일정 피치로 배치된 복수의 제한판(81)을 구비한다. X축 방향에 인접하는 제한판(81)과의 사이의 공간은, 증착 입자(91)가 통과하는 제한 공간(82)이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X축 방향에서, 인접하는 제한판(81)의 중앙에 1개의 증착원 개구(61)가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증착원 개구(61)와 제한 공간(82)이 일대일로 대응한다. 단,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1개의 증착원 개구(61)에 대하여 복수의 제한 공간(82)이 대응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되며, 또는, 복수의 증착원 개구(61)에 대하여 1개의 제한 공간(82)이 대응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본 발명에서, 「증착원 개구(61)에 대응하는 제한 공간(82)」이란, 증착원 개구(61)로부터 방출된 증착 입자(91)가 통과할 수 있도록 설계된 제한 공간(82)을 의미한다.
도 10 및 도 11에서는, 증착원 개구(61) 및 제한 공간(82)의 수는 8개이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이보다 많거나 적어도 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한판 유닛(80)은 대략 직육면체형물(또는 두꺼운 판형물)에, Z축 방향으로 관통하는 관통 구멍을, X축 방향으로 일정 피치로 형성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각 관통 구멍이 제한 공간(82)으로 되고, 인접하는 관통 구멍간의 격벽이 제한판(81)으로 된다. 단, 제한판 유닛(80)의 제조 방법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별개로 제조한 동일 치수의 복수의 제한판(81)을 유지체에 용접 등에 의해 일정 피치로 고정하여도 된다.
제한판(81)을 냉각하기 위한 냉각 장치 또는, 제한판(81)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한 온도 조절 장치가, 제한판 유닛(80)에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증착원 개구(61)와 복수의 제한판(81)은 Z축 방향으로 이격되어 있으며, 또한, 복수의 제한판(81)과 증착 마스크(70)는 Z축 방향으로 이격되어 있다. 증착원(60), 제한판 유닛(80) 및 증착 마스크(70)의 상대적 위치는, 적어도 구분 도포 증착을 행하는 기간 중에는 실질적으로 일정한 것이 바람직하다.
기판(10)은 유지 장치(55)에 의해 유지된다. 유지 장치(55)로서는, 예를 들면 기판(10)의 피증착면(10e)과는 반대측인 면을 정전기력으로 유지하는 정전 척(chuck)을 이용할 수 있다. 이에 의해, 기판(10)의 자중에 의한 휨이 실질적으로 없는 상태에서 기판(10)을 유지할 수 있다. 단, 기판(10)을 유지하는 유지 장치(55)는 정전 척에 한정되지 않으며, 이 이외의 장치이어도 된다.
유지 장치(55)에 유지된 기판(10)은 이동 기구(56)에 의해, 증착 마스크(70)에 대하여 증착원(60)과는 반대측을, 증착 마스크(70)로부터 일정 간격만큼 이격된 상태에서, 일정 속도로 Y축 방향을 따라서 주사(이동)된다.
상기한 증착 유닛(50)과, 기판(10)과, 기판(10)을 유지하는 유지 장치(55)와, 기판(10)을 이동시키는 이동 기구(56)는, 진공 챔버(도시생략) 내에 수납된다. 진공 챔버는 밀봉된 용기이며, 그 내부 공간은 감압되어 소정의 저압력 상태로 유지된다.
증착원 개구(61)로부터 방출된 증착 입자(91)는 제한판 유닛(80)의 제한 공간(82), 증착 마스크(70)의 마스크 개구(71)를 순서대로 통과한다. 증착 입자(91)는 Y축 방향으로 주행하는 기판(10)의 피증착면(즉, 기판(10)의 증착 마스크(70)에 대향하는 측의 면)(10e)에 부착되어 피막(90)을 형성한다. 피막(90)은 Y축 방향으로 연장된 스트라이프 형상으로 된다.
피막(90)을 형성하는 증착 입자(91)는 반드시 제한 공간(82) 및 마스크 개구(71)를 통과한다. 증착원 개구(61)로부터 방출된 증착 입자(91)의 제한 공간(82) 및 마스크 개구(71)를 통과하지 않고 기판(10)의 피증착면(10e)에 도달하는 경우가 없도록, 제한판 유닛(80) 및 증착 마스크(70)가 설계되고, 또 필요에 따라서 증착 입자(91)의 비상을 방해하는 부착 방지판 등(도시생략)이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적색, 녹색, 청색의 각 색별로 증착 재료(91)를 바꾸어 3회의 증착(구분 도포 증착)을 행함으로써, 기판(10)의 피증착면(10e)에 적색, 녹색, 청색의 각 색에 대응한 스트라이프 형상의 피막(90: 즉, 발광층(23R, 23G, 23B))을 형성할 수 있다.
제한판(81)은 도 5 및 도 6에 도시한 신증착법에서의 제한판(981)과 마찬가지로, 속도 벡터의 X축 방향 성분이 큰 증착 입자(91)를 충돌시켜 부착시킴으로써, XZ면에의 투영도에서, 마스크 개구(71)에 입사하는 증착 입자(91)의 입사 각도를 제한한다. 여기서, 마스크 개구(71)에 대한 「입사 각도」는, XZ면에의 투영도에서, 마스크 개구(71)에 입사하는 증착 입자(91)의 비상 방향이 Z축에 대하여 이루는 각도로 정의된다. 그 결과, 큰 입사 각도로 마스크 개구(71)를 통과하는 증착 입자(91)가 저감된다. 따라서, 도 8에 도시한 흐려짐 부분(90e)의 폭 We가 작아지므로, 스트라이프 형상의 피막(90)의 양측 단부 모서리의 흐려짐의 발생이 대폭 억제된다.
마스크 개구(71)에 입사하는 증착 입자(91)의 입사 각도를 제한하기 위해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한판(81)을 이용한다. 제한 공간(82)의 X축 방향 치수는 크며, 또한, 그 Y축 방향 치수는 실질적으로 임의로 설정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증착원 개구(61)로부터 본 제한 공간(82)의 개구 면적이 커지므로, 제한판 유닛(80)에 부착되는 증착 입자량을 적게 할 수 있고, 그 결과, 증착 재료의 낭비를 적게 할 수 있다. 또한, 제한판(81)에 증착 재료가 부착됨에 따른 눈막힘(clogging)이 발생하기 어려워지므로, 장시간의 연속 사용이 가능하게 되어, 유기 EL 표시 장치의 양산성이 향상된다. 또한, 제한 공간(82)의 개구 면적이 크므로, 제한판(81)에 부착된 증착 재료의 세정이 용이하며, 보수가 간단하게 되어, 생산에서의 스톱 로스가 적어, 양산성이 더욱 향상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한 공간(82)을 X축 방향으로 규정하는 제한판(81)의 측면(이하, 단순히 「제한판의 측면」이라고 하는 경우가 있음)(83)이, 제한 공간(82)의 X축 방향의 치수(즉, X축 방향에 대향하는 제한판(81) 사이의 간격)가 증착 마스크(70)에 가까워짐에 따라 좁아지도록 경사져 있다. 즉, 제한 공간(82)의 X축 방향의 치수가 가장 좁은 최협부(81n)는 측면(83)의 상측(증착 마스크(70) 측)의 단부 모서리에 존재하고, 제한 공간(82)의 X축 방향 치수는, 최협부(81n)로부터 증착원(60) 측을 향하여 멀어짐에 따라 넓어진다. 제한 공간(82)을 사이에 두고 X축 방향에 대향하는 한 쌍의 측면(83)은 면 대칭의 관계를 갖는다.
도 12는, 본 실시 형태 1의 증착 장치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12를 이용하여, 제한판(81)의 측면(83)의 작용을 설명한다.
도 9의 B에서 설명한 것과 마찬가지로, 본 실시예에서도 제한판 유닛(980)은 고온으로 유지된 증착원(960)으로부터의 복사열을 받아서 가열된다. 따라서, 측면(83)에 부착된 증착 재료는, 증착 입자로서 재증발하는 경우가 있다. 도 12의 이점쇄선은, 재증발한 증착 입자(92)의 비상 궤적을 예시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이점쇄선 선단의 화살표는 증착 입자(92)의 비상 방향을 나타낸다. 측면(83)으로부터 재증발하는 증착 입자(92)는 여러 방향으로 비상하지만, 일반적으로, 측면(83)의 법선 방향으로 비상하는 증착 입자가 가장 많아지는 분포를 갖는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측면(83)은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경사져 있으므로, 측면(83)의 법선 방향은, 기판(10)이 아니라, 증착원(60) 측을 향하고 있다. 따라서, 측면(983)이 Z축 방향과 대략 평행한 도 9의 B에 비하여, 재증발한 증착 입자 중 기판(10) 측을 향하는 증착 입자의 수는 매우 적다. 이에 의해, 마스크 개구(71)를 통과하여 기판(10)의 피증착면(10e)에 부착되는 증착 입자의 수는 더욱 적어진다. 그 결과, 기판 위의 원하지 않는 위치에 증착 재료가 부착되어, 피막의 단부 모서리에 흐려짐이 발생하거나, 피막의 형성 위치가 어긋나기도 한다고 하는 도 9의 B에서 설명한 신증착법이나 특허문헌 4의 문제를 해소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 형태 1에 의하면, 단부 모서리의 흐려짐이 억제된 피막(90)을 기판(10) 위의 원하는 위치에 고정밀도로 패턴 증착하여 형성할 수 있다. 그 결과, 유기 EL 표시 장치에서, 혼색이 발생하지 않도록 발광 영역 간의 비발광 영역의 폭을 크게 할 필요가 없어진다. 따라서, 고휘도이면서 고정밀의 표시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휘도를 높이기 위해 발광층의 전류 밀도를 높게 할 필요가 없어지므로, 장수명을 실현할 수 있어, 신뢰성이 향상된다.
또한, 제한판(81)으로부터의 증착 재료의 재증발을 적게 하기 위해 제한판 유닛(80)을 자주 교환할 필요가 없어진다. 따라서, 유지 보수 빈도가 감소하여, 양산시의 스루풋이 향상되어, 생산성이 향상된다. 따라서, 증착 비용이 저하되어, 저렴한 유기 EL 표시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 1에서, 측면(83)의 Z축 방향에 대한 경사 각도는, 특별히 제한은 없다. 측면(83)의 Z축 방향에 대한 경사 각도가 커질수록(즉, 측면(83)의 법선 방향이 증착원(60) 측을 향할수록), 측면(83)으로부터 재증발한 증착 입자 중 기판(10)을 향하는 증착 입자의 수가 적어지므로 바람직하다.
상기한 예에서는, 제한판(81)의 측면(83)은 단일한 경사면이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Z축 방향에서 증착 마스크(70) 측에, 도 12의 측면(83)과 마찬가지로 경사진 제1면(83a)을 구비하고, Z축 방향에서 증착원(60) 측에, Z축 방향과 대략 평행한 제2면(83b)을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이 경우, 제1면(83a)의 싱측 단부가 최협부(81n)로 된다. 제1면(83a)은 도 12의 측면(83)과 마찬가지로 경사져 있으므로, 제1면(83a)으로부터 기판(10) 측을 향하여 재증발하는 증착 입자의 수는 매우 적다. 한편, 도 9의 B의 측면(983)으로부터 재증발하는 증착 입자(92)와 마찬가지로, 제2면(83b)으로부터는 기판(10) 측을 향하여 비상하는 증착 입자(92)가 재증발할 수 있지만, 이러한 증착 입자(92)는 제2면(83b)보다 기판(10) 측에 배치된 제1면(83a)에 충돌하여 포착될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도 12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단부 모서리의 흐려짐이 억제된 피막(90)을 기판(10) 위의 원하는 위치에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제한판 유닛(80)의 교환 빈도를 적게 할 수 있으므로, 양산시의 스루풋을 향상시켜,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3에서, 제2면(83b)은 Z축과 평행한 면일 필요는 없으며, 그 법선이 기판(10) 측 또는 증착원(60) 측으로 향한 경사면이어도 된다. 제한판(81)의 측면이, 더욱 많은 면으로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한판(81)의 측면인 증착 마스크(70) 측의 단부 모서리에, 제한 공간(82)을 향하여 돌출된 차양(또는 브림(brim) 또는 플랜지)(85)을 형성하여도 된다. 이 경우, 차양(85)의 선단이 최협부(81n)로 된다. 차양(85)의 하면(증착원(60)에 대향하는 면)(85aa)의 법선 방향은, Z축과 대략 평행하므로, 상기 하면(85aa)으로부터 기판(10) 측을 향하여 재증발하는 증착 입자는 거의 없다. 한편, 차양(85)보다도 하측(증착원(60) 측)인 면(83c)으로부터 기판(10) 측을 향하여 재증발한 증착 입자는, 차양(85)의 하면(85aa)에 충돌하여 포착된다. 따라서, 도 14의 구성에 의하면, 도 12 및 도 13에 비하여, 단부 모서리의 흐려짐이 더욱 억제된 피막(90)을 기판(10) 위의 원하는 위치에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제한판 유닛(80)의 교환 빈도를 더욱 적게 할 수 있으므로, 양산 시의 스루풋을 향상시켜,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4에서는 면(83c)은 Z축 방향과 대략 평행한 평면이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Z축 방향에 대하여 경사진 평면, 또는 곡면 등 임의의 형상을 가져도 된다. 또한, 도 14에서는, 차양(85)은 대략 일정 두께의 박판이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그 선단측만큼 얇아지는 대략 쐐기 형상 단면을 가져도 된다.
(실시 형태 2)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따른 증착 장치의, 기판(10)의 주행 방향과 평행한 방향을 따라서 본 확대 단면도이다. 도 15에서 실시 형태 1에 따른 증착 장치를 도시한 도 10 내지 도 12에 도시한 부재와 동일한 부재에는 동일 부호가 병기되며, 그에 대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에, 실시 형태 1과 상이한 점을 중심으로 본 실시 형태 2를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 2는, 제한판 유닛(80)인 제한판(81)의 XZ면을 따른 단면 형상에서 실시 형태 1과 다르다.
즉,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한 공간(82)을 X축 방향으로 규정하는 제한판(81)의 측면은, 상하 방향(Z축 방향)의 양단이, 제한 공간(82)을 향하여 돌출되고, 상기 양단 사이의 영역이 오목 형상으로 오목해져 있다. 도 15에서는, 제한판(81)의 측면은, Z축 방향에서 증착 마스크(70) 측에, 도 12의 측면(83)과 마찬가지로 경사진 제1면(84a)을 구비하고, Z축 방향에서 증착원(60) 측에, 제1면(84a)과는 역방향으로 경사진 제2면(84b)을 구비한다. 제1면(84a)의 법선 방향은 증착원(60) 측을 향하고 있으며, 제2면(84b)의 법선 방향은 기판(10) 측을 향하고 있다. 제1면(84a) 상측 단부가 최협부(81n)로 된다. 도 12의 이점쇄선은, 재증발한 증착 입자(92)의 비상 궤적을 예시적으로 나타내었다. 이점쇄선의 선단의 화살표는 증착 입자(92)의 비상 방향을 나타낸다.
본 실시 형태 2에 의하면, 제1면(84a)에 부착된 증착 재료가 재증발했다고 하여도, 제1면(84a)은 실시 형태 1의 도 12에 도시한 측면(83)과 동일 방향으로 경사져 있으므로, 도 12에서 설명한 것과 마찬가지로, 재증발한 증착 입자(92) 중 기판(10) 측을 향하는 증착 입자의 수는 매우 적다.
또한, 본 실시 형태 2에 의하면, 실시 형태 1의 측면(83: 도 12 참조)이나 제1면(83a: 도 13 참조)에 비하여, 제한판(81)의 Z축 방향 치수를 크게 하지 않고, 제1면(84a)을 증착원(60)에 대향하도록 보다 크게 경사지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제1면(84a)으로부터 기판(10) 측을 향하여 재증발하는 증착 입자(92)의 수를 실시 형태 1보다도 더욱 적게 할 수 있다.
한편, 제2면(84b)은 증착 마스크(70)에 대향하도록 경사져 있으므로, 도 13의 제2면(83b)에 비하여, 통상적으로 제2면(84b)에는 증착 입자(91)는 부착되기 어렵다. 따라서, 제2면(84a)으로부터 재증발하는 증착 재료는, 실시 형태 1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적다. 단, 제2면(84a)의 기울기나 증착원 개구(61)의 상대적 위치에 따라서는, 멀리 떨어진 증착원 개구(61)로부터 방출된 증착 입자(91)가 제2면(84a)에 부착하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경우에, 제2면(84b)에 부착된 증착 재료가 재증발했다고 하여도, 재증발한 증착 입자(92)는 도 13의 제2면(83b)으로부터 재증발한 증착 입자(92)와 마찬가지로, 제2면(84b)보다 기판(10) 측으로 배치된 제1면(84a)에 충돌하여 포착될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 2에 의하면, 실시 형태 1에 비하여, 단부 모서리의 흐려짐이 더욱 억제된 피막(90)을 기판(10) 위의 원하는 위치에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제한판 유닛(80)의 교환 빈도를 더욱 적게 할 수 있으므로, 양산시의 스루풋을 향상시켜,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 2에 의하면, 제1면(84a)의 하측(증착원(60) 측)에 제2면(84b)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제1면(84a)에 부착된 대량의 증착 재료가 박리되어 낙하했다고 하여도, 상기 증착 재료는 제2면(84b) 위에 낙하하여 포착되므로, 증착원(60) 위에 낙하할 가능성이 저감된다. 제한판(81)으로부터 박리된 증착 재료가 증착원(60) 위에 낙하하여 재증발하면, 기판(10)의 원하지 않는 위치에 증착 입자가 부착되어 버린다. 또한, 제한판(81)으로부터 박리된 증착 재료가 증착원 개구(61) 위에 낙하하면, 증착원 개구(61)가 막히게 되어, 기판(10)의 원하는 위치에 피막이 형성되지 않는다. 본 실시 형태 2에 의하면, 이러한 문제가 발생할 가능성을 저감할 수 있다.
상기한 예에서는, 제한판(81)의 측면이, 서로 역방향으로 경사진 제1면(84a) 및 제2면(84b)으로 구성되어 있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도 16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 15와 마찬가지로 경사진 제1면(84a) 및 제2면(84b)의 사이에, Z축 방향과 대략 평행한 제3면(84c)이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도시는 생략하지만, 제1면(84a) 및 제2면(84b)의 사이에, 경사 방향이 다른 2 이상의 면을 가져도 된다.
또는, 도 16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한판(81)의 측면이 오목 형상인 곡면(84d)이어도 된다. 곡면(84d)은 예를 들면 원통면의 일부나, 임의의 오목 곡면으로 구성할 수 있다. 제한판(81)의 측면은, 도 16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은 단일 곡면(84d)으로 구성되어 있을 필요는 없으며, 예를 들면 곡률이 불연속으로 변화하는 복수의 곡면의 조합이나, 곡면과 평면의 조합으로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또는, 도 16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한판(81) 측면의 상하 방향(Z축 방향)의 양 단부 모서리에, 제한 공간(82)을 향하여 돌출된 차양(또는 브림 또는 플랜지)(85a, 85b)이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상측(증착 마스크(70) 측)의 제1 차양(85a)의 선단이 최협부(81n)로 된다. 제1 차양(85a)은 도 14에 도시한 차양(85)과 마찬가지로, 제한판(81)의 제1 차양(85a)보다도 하측인 영역으로부터 기판(10) 측을 향하여 재증발한 증착 입자를 포착한다. 한편, 하측(증착원(60) 측)의 제2 차양(85b)은 제1 차양(85a)과 제2 차양(85b)의 사이의 이음면(85c)에 증착 입자가 부착되는 것을 방지한다. 제2 차양(85b)의 상면은 XY면과 대략 평행하며, 이것은, 제1 차양(85a)의 하면이나 이음면(85c)에 퇴적된 증착 재료가 가령 박리되었다고 하여도, 상기 증착 재료를 받쳐, 증착원(60) 측으로 낙하하는 것을 방지하는데도 특히 유효하다. 도 16의 C에서는, 이음면(85c)은 Z축 방향과 대략 평행한 평면이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이음면(85c)은 그 법선이 기판(10) 측 또는 증착원(60) 측을 향하도록 경사진 평면이어도 된다. 또는, 평면(85c) 대신에, 임의의 곡면(바람직하게는 오목 곡면)이어도 된다.
(실시 형태 3)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3에 따른 증착 장치의, 기판(10)의 주행 방향과 평행한 방향을 따라서 본 확대 단면도이다. 도 17에서 실시 형태 1에 따른 증착 장치를 도시한 도 10 내지 도 12에 도시한 부재와 동일한 부재에는 동일 부호가 병기되고, 그에 대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에, 실시 형태 1, 2와 상이한 점을 중심으로 본 실시 형태 3을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 3은, 제한판 유닛(80)의 제한판(81)의 XZ면을 따른 단면 형상에서 실시 형태 1, 2와 다르다.
즉,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한 공간(82)을 X축 방향으로 규정하는 제한판(81)의 측면인 상하 방향(Z축 방향)의 양 단부 모서리에, 제한 공간(82)을 향하여 돌출된 차양(또는 브림 또는 플랜지)(86a, 86b)이 형성되어 있다. 상측(증착 마스크(70) 측)의 제1 차양(86a)의 선단이 최협부(81n)로 된다. 제1 차양(86a)은 도 14에 도시한 차양(85) 및 도 16의 C에 도시한 제1 차양(85a)과 달리, 제1 차양(86a)의 선단(최협부(81n))에 가까워짐에 따라서 증착원(60)에 가까워지도록 경사져 있다. 제1 차양(86a)은 대략 균일한 두께의 박판이며, 따라서, 제1 차양(86a)의 하면(증착원(60)에 대향하는 면)(86aa)도, 제1 차양(86a)과 마찬가지로 경사져 있다. 즉, 제1 차양(86a)의 하면(86aa)의 법선 방향은, 제한판(81) 자신(보다 상세하게는, 제1 차양(86a)과 제2 차양(86b)의 사이의 이음면(86c))을 향하고 있다. 따라서, 제1 차양(86a)의 하면(86aa)으로부터 재증발하고, 인접하는 제한판(81)의 제1 차양(86a)의 사이를 통과하여 기판(10) 측을 향하는 증착 입자는, 실질적으로 존재하지 않는다.
또한, 제1 차양(86a)과 제2 차양(86b)의 사이의 이음면(86c)은 도 12에 도시한 측면(83)과 마찬가지로, 제한 공간(82)의 X축 방향의 치수가, 증착원(60)에 가까워짐에 따라서 확대되도록 경사져 있다. 따라서, 이음면(86c)으로부터 재증발한 증착 입자 중 기판(10) 측을 향하는 증착 입자의 수는 매우 적다. 가령 이음면(86c)으로부터 기판(10) 측을 향하여 증착 입자(92)가 재증발했다고 하여도, 그와 같은 증착 입자(92)는 제1 차양(86a)의 하면(86aa)에 충돌하여 포착된다.
따라서, 도 16의 C에 비하여, 단부 모서리의 흐려짐이 더욱 억제된 피막(90)을 기판(10) 위의 원하는 위치에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제한판 유닛(80)의 교환 빈도를 더욱 적게 할 수 있으므로, 양산시의 스루풋을 향상시켜,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하측(증착원(60) 측)의 제2 차양(86b)은 도 16의 C에 도시한 제2 차양(85b)과 마찬가지로, 이음면(86c)에 증착 입자가 부착되는 것을 방지함과 함께, 제1 차양(86a)의 하면(86aa)이나 이음면(85c)으로부터 박리된 증착 재료를 받치게 되어, 증착원(60) 측으로 낙하하는 것을 방지한다.
(실시 형태 4)
도 18의 A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4에 따른 증착 장치의, 기판(10)의 주행 방향과 평행한 방향을 따라서 본 확대 단면도, 도 18의 B는 도 18의 A에 도시한 제한판(81)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18의 A 및 도 18의 B에서 실시 형태 1에 따른 증착 장치를 도시한 도 10 내지 도 12에 도시된 부재와 동일한 부재에는 동일 부호가 병기되며, 그에 대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에, 실시 형태 1 내지 3과 상이한 점을 중심으로 본 실시 형태 4를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 4는, 제한판 유닛(80)인 제한판(81)의 XZ면을 따른 단면 형상에서 실시 형태 1 내지 3과 다르다.
즉, 도 18의 A 및 도 18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한 공간(82)을 X축 방향으로 규정하는 제한판(81)의 측면에, 대략 계단 형상(대략 톱날 형상)의 복수의 단차가 형성되어 있다. 단차는, 증착 마스크(70) 측으로부터 증착원(60) 측을 향하여 순서대로 배치된, 면(87a, 87b, 87c, 87d, 87e, 87f, 87g)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제한판(81)의 상측 단부 모서리에, 제한 공간(82)을 향하여 돌출된 차양(또는 브림 또는 플랜지)(87)이 형성되어 있다. 면(87a)은 차양(87)의 선단면을 구성한다. 최협부(81n)는 면(87a) 상측 단부에 위치하고 있다.
하나 거른 면(87a, 87c, 87e, 87g)의 X축 방향 위치는, 제한 공간(82)의 X축 방향의 치수가 증착원(60)에 가까워짐에 따라 확대되도록, 순서대로 위치 어긋남 되어 있다. 이들 면(87a, 87c, 87e, 87g)의 사이를, 면(87b, 87d, 87f)이 순서대로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대략 계단 형상의 복수의 단차가 형성된 제한판(81)의 측면은, 거시적으로 보면, 증착원(60)에 가까워짐에 따라서, 제한 공간(82)의 X축 방향 치수가 커지도록 경사져 있다.
면(87a, 87c, 87e, 87g)은, 도 12에 도시한 측면(83)과 마찬가지로, 제한 공간(82)의 X축 방향의 치수가, 증착원(60)에 가까워짐에 따라서 확대되도록 경사져 있다. 따라서, 이들 면(87a, 87c, 87e, 87g)으로부터 재증발한 증착 입자 중 기판(10) 측을 향하는 증착 입자의 수는 매우 적다. 가령 면(87c, 87e, 87g)으로부터 기판(10) 측을 향하여 증착 입자가 재증발했다고 하여도, 그와 같은 증착 입자는, 면(87b, 87d, 87f)에 충돌하여 포착된다.
또한, 하나 거른 면(87b, 87d, 87f)은, 도 17에 도시한 제1 차양(86a)의 하면(86aa)과 동일 방향으로 경사져 있으므로, 면(87b, 87d, 87f)으로부터 재증발하고, 인접하는 제한판(81)의 차양(87)의 사이를 통과하여 기판(10) 측을 향하는 증착 입자는, 실질적으로 존재하지 않는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단부 모서리의 흐려짐이 더욱 억제된 피막(90)을 기판(10) 위의 원하는 위치에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제한판 유닛(80)의 교환 빈도를 더욱 적게 할 수 있으므로, 양산시의 스루풋을 향상시켜,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면(87b, 87d, 87f)의 경사 방향은 상기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면(87b, 87d, 87f)은, 그 법선 방향이 Z축과 평행한 면이어도 된다.
또한, 면(87a, 87c, 87e, 87g)의 경사 방향도 상기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면(87a, 87c, 87e, 87g)은, Z축 방향과 평행한 면이어도 된다. 단, 차양(87)의 선단면(87a)은 이 면(87a)으로부터 기판(10) 측을 향하여 재증발하는 증착 입자의 수를 적게 하기 위해서, 도 18의 A 및 도 18의 B에 도시한 방향으로 경사져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한판(81)의 측면인 대략 계단 형상의 단차를 형성하는 경사면의 수는 임의이며, 도 18의 A 및 도 18의 B보다도 많아도 되고 적어도 된다.
도 19와 같이, 차양(87)의 상면이 면(87b)과 평행해지도록, 차양(87)을 박판으로 구성하여도 된다. 이에 의해, 차양(87)의 선단면(87a)의 면적을 작게 할 수 있으므로, 면(87a)으로부터 재증발하는 증착 입자를 적게 할 수 있다. 따라서, 기판(10) 측을 향하여 재증발하는 증착 입자의 수도 적게 할 수 있다. 또는, 차양(87)의 선단면(87a)의 면적을 더욱 작게 하기 위해서, 차양(87)의 단면 형상을, 선단면(87a)에 가까워짐에 따라서 얇아지는 대략 쐐기 형상으로 하여도 된다.
본 실시 형태 4에서, 제한판(81)의 측면의 하측 단부 모서리에, 도 16의 C에 도시한 제2 차양(85b) 및 도 17에 도시한 제2 차양(86b)과 마찬가지의 제2 차양을 형성하여도 된다. 그 경우에는, 제2 차양(85b, 86b)과 마찬가지의 효과가 얻어진다.
상기한 실시 형태 1 내지 4는 예시에 지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형태 1 내지 4에 한정되지 않으며, 적절히 변경할 수 있다.
상기한 실시 형태 1 내지 4에서는, 제한 공간(82)을 X축 방향으로 규정하는 제한판(81)의 측면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이것 외에, 제한 공간(82)을 Y축 방향으로 규정하는 제한판 유닛(80)의 측면(89: 도 10 참조)에 대해서도, 상기한 실시 형태 1 내지 4에서 설명한 제한판(81)의 측면과 동일한 구성을 가져도 된다. 측면(89)에 부착된 증착 재료도 재증발할 가능성은 있으며, 그 경우, 재증발한 증착 입자의 비상 방향(특히 그 X축 방향 성분)을 제어하는 것은 곤란하다. 따라서, 측면(89)을 제한판(81)의 측면과 마찬가지로 구성함으로써, 측면(89)으로부터 재증발한 증착 입자에 기인하여 기판 위의 원하지 않는 위치에 증착 재료가 부착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상기한 실시 형태 1 내지 4에서는, 증착원(60)은 X축 방향에 등피치로 배치된 복수의 노즐 형상의 증착원 개구(61)를 갖지만, 본 발명에서는 증착원 개구의 형상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X축 방향으로 연장된 슬롯 형상의 증착원 개구이어도 된다. 이 경우, 1개의 슬롯 형상의 증착원 개구가, 복수의 제한 공간(82)에 대응하도록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기판(10)의 X축 방향 치수가 큰 경우에는, 상기한 각 실시 형태에 나타낸 증착 유닛(50)을 X축 방향 위치 및 Y축 방향 위치를 서로 다르게 하여 복수개 배치하여도 된다.
상기한 실시 형태 1 내지 4에서는, 부동의 증착 유닛(50)에 대하여 기판(10)이 이동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증착 유닛(50) 및 기판(10) 중 한쪽을 다른 쪽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이동시키면 된다. 예를 들면, 기판(10)의 위치를 일정하게 하고, 증착 유닛(50)을 이동시켜도 되며, 또는, 증착 유닛(50) 및 기판(10)의 양쪽을 이동시켜도 된다.
상기한 실시 형태 1 내지 4에서는, 증착 유닛(50)의 위쪽에 기판(10)을 배치하였지만, 증착 유닛(50)과 기판(10)의 상대적 위치 관계는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증착 유닛(50)의 아래쪽에 기판(10)을 배치하여도 되며, 또는, 증착 유닛(50)과 기판(10)을 수평 방향에 대향하여 배치하여도 된다.
본 발명의 증착 장치 및 증착 방법의 이용 분야는 특별히 제한은 없지만, 유기 EL 표시 장치의 발광층의 형성에 바람직하게 이용할 수 있다.
10: 기판
10e: 피증착면
20: 유기 EL 소자
23R, 23G, 23B: 발광층
50: 증착 유닛
56: 이동 기구
60: 증착원
61: 증착원 개구
70: 증착 마스크
71: 마스크 개구
80: 제한판 유닛
81: 제한판
81n: 제한 공간의 최협부
82: 제한 공간
83: 측면
83a, 84a: 제1면
83b, 84b: 제2면
84c: 제3면
84d: 곡면
83c: 면
85, 87: 차양
85a, 86a: 제1 차양
85b, 86b: 제2 차양
85c, 86c: 이음면
87a, 87b, 87c, 87d, 87e, 87f, 87g: 면
89: 제한판 유닛의 측면
91: 증착 입자
92: 재증발한 증착 입자

Claims (14)

  1. 기판 위에 소정 패턴의 피막을 형성하는 증착 장치로서, 상기 증착 장치는,
    적어도 1개의 증착원 개구를 구비한 증착원, 상기 적어도 1개의 증착원 개구와 상기 기판 사이에 배치된 증착 마스크 및 상기 증착원과 상기 증착 마스크 사이에 배치되면서 제1 방향을 따라 배치된 복수의 제한판을 포함하는 제한판 유닛을 구비한 증착 유닛과,
    상기 기판과 상기 증착 마스크를 일정 간격만큼 이격시킨 상태에서, 상기 기판의 법선 방향 및 상기 제1 방향에 직교하는 제2 방향을 따라서 상기 기판 및 상기 증착 유닛 중 한쪽을 다른 쪽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이동시키는 이동 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적어도 1개의 증착원 개구로부터 방출되고, 상기 제1 방향에 인접하는 상기 제한판 간의 제한 공간 및 상기 증착 마스크에 형성된 복수의 마스크 개구를 통과한 증착 입자를 상기 기판에 부착시켜서 상기 피막을 형성하고,
    상기 제한 공간의 상기 제1 방향의 치수가 가장 좁은 최협부에 대하여 적어도 상기 증착원 측에, 상기 제한 공간의 상기 제1 방향의 치수가 상기 최협부보다도 넓은 개소가 형성되도록, 상기 제한 공간을 상기 제1 방향으로 규정하는 상기 제한판의 측면이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착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한 공간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1 방향에 대향하는 상기 제한판의 상기 측면이 면 대칭의 관계를 갖는, 증착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최협부는, 상기 제한판의 상기 측면의 상기 증착 마스크측 단부 모서리에 형성되어 있는, 증착 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한판의 상기 측면은, 상기 기판의 법선 방향을 따라 상기 최협부로부터 멀어짐에 따라서 상기 제한 공간의 상기 제1 방향의 치수가 확대되도록 경사진 면을 상기 최협부보다도 상기 증착원 측에 갖는, 증착 장치.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한판의 상기 측면의, 상기 최협부보다도 상기 증착원 측의 영역에, 오목 형상의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는, 증착 장치.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한판의 상기 측면에, 상기 제한 공간을 향하여 돌출된 제1 차양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최협부는 상기 제1 차양의 선단에 형성되어 있는, 증착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차양은, 그 증착원 측에, 상기 제1 차양의 선단에 가까워짐에 따라서 상기 증착원에 가까워지도록 경사진 면을 갖는, 증착 장치.
  8.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차양은, 그 선단에, 상기 제한 공간의 상기 제1 방향의 치수가 상기 증착원에 가까워짐에 따라서 확대되도록 경사진 면을 갖는, 증착 장치.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한판의 상기 측면의 상기 최협부보다도 상기 증착원 측의 위치에, 상기 제한 공간을 향하여 돌출된 제2 차양이 형성되어 있는, 증착 장치.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한판의 상기 측면에, 계단 형상의 복수의 단차가 형성되어 있는, 증착 장치.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한 공간의 상기 제2 방향의 치수가 가장 좁은 제2 최협부에 대하여 적어도 상기 증착원 측에, 상기 제한 공간의 상기 제2 방향의 치수가 상기 제2 최협부보다도 넓은 개소가 형성되도록, 상기 제한 공간을 상기 제2 방향으로 규정하는 상기 제한판 유닛의 측면이 구성되어 있는, 증착 장치.
  12. 기판 위에 증착 입자를 부착시켜서 소정 패턴의 피막을 형성하는 증착 공정을 갖는 증착 방법으로서,
    상기 증착 공정을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증착 장치를 이용하여 행하는, 증착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피막이 유기 EL 소자의 발광층인, 증착 방법.
  14. 유기 EL 표시 장치로서,
    제12항에 기재된 증착 방법을 이용하여 형성된 발광층을 구비하는, 유기 EL 표시 장치.
KR1020137012567A 2010-12-21 2011-12-13 증착 장치 및 증착 방법 KR10130584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0284940 2010-12-21
JPJP-P-2010-284940 2010-12-21
PCT/JP2011/078749 WO2012086453A1 (ja) 2010-12-21 2011-12-13 蒸着装置、蒸着方法、及び有機el表示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66706A true KR20130066706A (ko) 2013-06-20
KR101305847B1 KR101305847B1 (ko) 2013-09-06

Family

ID=463137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12567A KR101305847B1 (ko) 2010-12-21 2011-12-13 증착 장치 및 증착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130240870A1 (ko)
JP (1) JP5291839B2 (ko)
KR (1) KR101305847B1 (ko)
CN (1) CN103210113B (ko)
WO (1) WO2012086453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57646A (ko) * 2015-11-17 2017-05-25 주식회사 선익시스템 각도제한판을 갖는 증착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090717A1 (ja) * 2010-12-27 2012-07-05 シャープ株式会社 蒸着装置、蒸着方法、及び有機el表示装置
WO2012098927A1 (ja) * 2011-01-18 2012-07-26 シャープ株式会社 蒸着装置、蒸着方法、有機el素子、及び有機el表示装置
US20140014036A1 (en) * 2011-03-30 2014-01-16 Sharp Kabushiki Kaisha Deposition particle emitting device, deposition particle emission method, and deposition device
KR102070219B1 (ko) * 2013-05-27 2020-01-2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프린팅 마스크 및 유기 발광층 프린팅 장치
JP5856584B2 (ja) * 2013-06-11 2016-02-10 シャープ株式会社 制限板ユニットおよび蒸着ユニット並びに蒸着装置
CN105378139B (zh) * 2013-07-08 2017-06-13 夏普株式会社 蒸镀装置、蒸镀方法和有机电致发光元件的制造方法
JP2015069806A (ja) * 2013-09-27 2015-04-13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表示装置の製造方法
JP6404615B2 (ja) * 2014-06-26 2018-10-10 シャープ株式会社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製造用マスク、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の製造装置、及び、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の製造方法
JP6510223B2 (ja) * 2014-12-11 2019-05-08 株式会社Joled 有機el素子および有機el素子の製造方法
KR20160103611A (ko) * 2015-02-24 2016-09-0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증착 장치
WO2017069036A1 (ja) * 2015-10-20 2017-04-27 シャープ株式会社 制限ユニット、蒸着装置、蒸着膜製造方法、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表示装置の生産方法および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表示装置
CN105177510B (zh) * 2015-10-21 2018-04-03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蒸镀设备及蒸镀方法
KR102632617B1 (ko) * 2016-08-08 2024-02-0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마스크 조립체, 이를 이용한 표시 장치의 제조장치, 이를 이용한 표시 장치의 제조방법 및 표시 장치
KR20220116074A (ko) * 2017-01-17 2022-08-19 다이니폰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증착 마스크 및 증착 마스크의 제조 방법
CN106885549B (zh) * 2017-03-24 2020-07-07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导向管、薄膜厚度传感器及蒸镀设备
CN107190232A (zh) * 2017-07-13 2017-09-22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一种显示基板的蒸镀装置、蒸镀设备及蒸镀方法
US11396694B2 (en) * 2017-07-18 2022-07-26 Boe Technology Group Co., Ltd. Evaporation crucible and evaporation apparatus
CN107745581B (zh) * 2017-10-13 2019-08-23 纳晶科技股份有限公司 导液组件及其使用方法、和应用
KR102180070B1 (ko) * 2017-10-31 2020-11-1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초미세 패턴 증착장치, 이를 이용한 초미세 패턴 증착방법 그리고 초미세 패턴 증착방법에 의해 제작된 전계발광표시장치
CN108172505B (zh) * 2018-01-04 2019-09-24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掩模板及制备方法、膜层制备方法和封装结构
JP7179635B2 (ja) * 2019-02-12 2022-11-29 株式会社アルバック 蒸着源、真空処理装置、及び蒸着方法
CN115298722B (zh) * 2020-04-02 2023-08-29 夏普株式会社 蒸镀掩模、显示面板及显示面板的制造方法
CN113224105B (zh) * 2021-07-08 2021-09-28 苏州芯聚半导体有限公司 彩色化制作方法、彩色基板及显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252706B (en) * 2002-09-05 2006-04-01 Sanyo Electric Co Manufacturing method of organic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
JP2004103269A (ja) * 2002-09-05 2004-04-02 Sanyo Electric Co Ltd 有機el表示装置の製造方法
JP4170179B2 (ja) * 2003-01-09 2008-10-22 株式会社 日立ディスプレイズ 有機elパネルの製造方法および有機elパネル
JP4547130B2 (ja) * 2003-01-30 2010-09-22 株式会社アルバック 蒸着マスクの製造方法
JP2005154879A (ja) * 2003-11-28 2005-06-16 Canon Components Inc 蒸着用メタルマスク及びそれを用いた蒸着パターンの製造方法
JP2005281773A (ja) 2004-03-30 2005-10-13 Hiroshi Takigawa 防着カバー、物質生成装置、及び被処理物
JP4455937B2 (ja) * 2004-06-01 2010-04-21 東北パイオニア株式会社 成膜源、真空成膜装置、有機elパネルの製造方法
JP2008255449A (ja) * 2007-04-09 2008-10-23 Kyushu Hitachi Maxell Ltd 蒸着マスクとその製造方法
JP5620146B2 (ja) * 2009-05-22 2014-11-05 三星ディスプレイ株式會社Samsung Display Co.,Ltd. 薄膜蒸着装置
JP5328726B2 (ja) * 2009-08-25 2013-10-30 三星ディスプレイ株式會社 薄膜蒸着装置及びこれを利用した有機発光ディスプレイ装置の製造方法
KR101434084B1 (ko) * 2010-05-28 2014-09-22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증착 마스크 및 이것을 사용한 유기el 소자의 제조 방법과 제조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57646A (ko) * 2015-11-17 2017-05-25 주식회사 선익시스템 각도제한판을 갖는 증착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291839B2 (ja) 2013-09-18
JPWO2012086453A1 (ja) 2014-05-22
WO2012086453A1 (ja) 2012-06-28
US20130240870A1 (en) 2013-09-19
CN103210113A (zh) 2013-07-17
CN103210113B (zh) 2015-01-28
KR101305847B1 (ko) 2013-09-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05847B1 (ko) 증착 장치 및 증착 방법
JP5766239B2 (ja) 蒸着装置及び蒸着方法
JP5612156B2 (ja) 蒸着方法、蒸着装置、及び有機el表示装置
US9391275B2 (en) Vapor deposition method, vapor deposition device and organic EL display device
KR101097311B1 (ko)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제조하기 위한 유기막 증착 장치
US8669192B2 (en) Vapor deposition device, vapor deposition method, organic EL element and organic EL display device
WO2012121139A1 (ja) 蒸着装置、蒸着方法、及び有機el表示装置
WO2011148750A1 (ja) 蒸着マスク及びこれを用いた有機el素子の製造方法と製造装置
JP5285187B2 (ja) 蒸着装置及び蒸着方法
KR20130036239A (ko) 유기 el 소자의 제조 방법 및 제조 장치
WO2015186796A1 (ja) 蒸着方法及び蒸着装置
KR20130128012A (ko) 증착 방법 및 증착 장치
JP6567349B2 (ja) 蒸着方法及び蒸着装置
US9614155B2 (en) Vapor deposition apparatus, vapor deposition method, and method for producing organic electroluminescent ele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5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