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65140A - 퀵커넥터 체결 확인장치 - Google Patents

퀵커넥터 체결 확인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65140A
KR20130065140A KR1020110131865A KR20110131865A KR20130065140A KR 20130065140 A KR20130065140 A KR 20130065140A KR 1020110131865 A KR1020110131865 A KR 1020110131865A KR 20110131865 A KR20110131865 A KR 20110131865A KR 20130065140 A KR20130065140 A KR 201300651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dicator
slide groove
quick connector
connector
slee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318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93894B1 (ko
Inventor
김균엽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1318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93894B1/ko
Publication of KR201300651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651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38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38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1Arrangement of fuel conduits
    • B60K15/013Arrangement of fuel conduits of gas condu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15/077Fuel tanks with means modifying or controlling distribution or motion of fuel, e.g. to prevent noise, surge, splash or fuel starv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7/00Apparatus or systems for feeding liquid fuel from storage containers to carburettors or fuel-injection apparatus; Arrangements for purifying liquid fue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7/04Feeding by means of driven pum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2015/03328Arrangements or special measures related to fuel tanks or fuel handling
    • B60K2015/03453Arrangements or special measures related to fuel tanks or fuel handling for fixing or mounting parts of the fuel tank together
    • B60K2015/03467Arrangements or special measures related to fuel tanks or fuel handling for fixing or mounting parts of the fuel tank together by clip or snap fit fitting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10Internal combustion engine [ICE] based vehicles
    • Y02T10/12Improving ICE efficienc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Transport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Quick-Acting Or Multi-Walled Pipe Joi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외형면의 축방향을 따라 슬라이드홈이 형성되며, 상기 슬라이드홈의 단부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형성되고, 일단부가 연결관에 체결되는 슬리브; 상기 슬라이드홈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되는 인디케이터; 및 상기 슬리브의 타단부를 둘러싸는 형상으로 체결되며, 슬리브를 따라 일정 구간 직선 이동되면서 연결관에 록킹 체결시 인디케이터가 함께 이동되어 인디케이터의 단부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하는 커넥터바디;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퀵커넥터 체결 확인장치가 소개된다.

Description

퀵커넥터 체결 확인장치{APPARATUS FOR CHECKING THAT CONNECTOR CONNECTED TO FUEL PIPE}
본 발명은 퀵커넥터의 체결시 완전하게 록킹 체결된 상태의 여부를 육안으로 확인하도록 한 차량용 연료파이프의 체결 확인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연료탱크에 저장된 연료는 연료파이프 등을 통해 엔진의 실린더 내부에 공급된다. 이를 위해, 연료탱크에서 연료파이프가 배관되며, 상기 연료파이프는 차체의 바디패널을 외부에서 내부 방향으로 관통하여 엔진룸 내부에 마련된 고압 연료펌프와 연결된다.
여기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료펌프(2)에는 니플(3)이 형성되며, 연료파이프에 퀵커넥터(1)가 마련되어 상기 퀵커넥터(1)가 니플(3)에 체결됨으로써, 연료펌프에 연료를 공급하게 된다. 즉, 퀵커넥터(1)를 니플(3) 측으로 가압하는 작용에 의해 퀵커넥터(1)를 니플(3)에 록킹된 상태로 체결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퀵커넥터와 니플이 록킹상태로 완전하게 체결되었음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이에, 퀵커넥터와 니플이 불량하게 체결되는 경우, 시동시 연료의 누유가 발생되고, 이는 차량의 화재 및 발화 사고로 이어지게 되는 문제가 있다.
다만, 퀵커넥터가 니플에 체결되면서 발생되는 체결음을 듣고 이들의 체결여부를 확인할 수는 있으나, 이 경우 퀵커넥터의 조립 라인에서 장비들의 구동소음과 공구소음 등이 퀵커넥터의 체결음보다 더 크게 발생되므로 실제로 퀵커넥터의 체결음을 확인하는 것이 어려운 문제가 있다.
상기의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퀵커넥터의 체결시 완전하게 록킹된 상태의 여부를 육안으로 확인하도록 한 차량용 연료파이프의 체결 확인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은, 외형면의 축방향을 따라 슬라이드홈이 형성되며, 상기 슬라이드홈의 단부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형성되고, 일단부가 연결관에 체결되는 슬리브; 상기 슬라이드홈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되는 인디케이터; 및 상기 슬리브의 타단부를 둘러싸는 형상으로 체결되며, 슬리브를 따라 일정 구간 직선 이동되면서 연결관에 록킹 체결시 인디케이터가 함께 이동되어 인디케이터의 단부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하는 커넥터바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인디케이터의 이동에 따라 인디케이터가 슬라이드홈 내에 위치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인디케이터와 슬라이드홈에는 서로 마주하는 면에 돌기부 및 홈부가 형성되어, 돌기부가 홈부에 걸려지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돌기부의 둘레에 수용홀이 형성되며, 상기 수용홀 내측에는 돌기부와 연결되도록 텐션연결바가 형성되어 돌기부가 지지바의 텐션에 의해 홈부에 걸려질 수 있다.
상기 슬라이드홈의 양 내측이 경사지게 형성되며, 상기 슬라이드홈의 양 내측면과 대응되도록 인디케이터의 양 외측이 경사지게 형성되어 인디케이터가 슬라이드홈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커넥터바디의 내측에 플랜지부가 형성되며, 상기 플랜지부에 인디케이터가 접촉되어 커넥터바디와 함께 인디케이터가 연료파이프와 체결되는 방향측으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인디케이터는 슬리브 및 커넥터바디와 다른 색상으로 형성되어, 인디케이터의 식별이 용이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한 과제 해결수단을 통해 본 발명은, 퀵커넥터가 연료파이프에 완전하게 록킹 체결됨과 함께 인디케이터의 단부가 외부로 노출됨으로써, 인디케이터를 통해 퀵커넥터의 완전한 록킹 체결 여부를 확인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시동시 연료의 누유 위험과 차량 화재 및 발화 위험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퀵커넥터가 연료펌프에 체결된 형상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퀵커넥터의 외형 형상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슬리브에 인디케이터가 결합된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슬리브와 인디케이터의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도 3의 A-A선 단면도.
도 6은 도 3의 B-B선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퀵커넥터의 체결 과정에 따른 인디케이터의 이동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 내지 도 7을 통해 도시된 본 발명의 퀵커넥터 체결 확인장치는, 외형면의 축방향을 따라 슬라이드홈(11)이 형성되며, 상기 슬라이드홈(11)의 단부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형성되고, 일단부가 연결관(40)에 체결되는 슬리브(10)와, 상기 슬라이드홈(11)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되는 인디케이터(20)와, 상기 슬리브(10)의 타단부를 둘러싸는 형상으로 체결되며, 슬리브(10)를 따라 일정 구간 직선 이동되면서 연결관(40)에 록킹 체결시 인디케이터(20)가 함께 이동되어 인디케이터(20)의 단부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하는 커넥터바디(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슬리브(10)와, 인디케이터(20)와, 커넥터바디(30)를 포함하여 퀵커넥터가 구성되는 것으로, 퀵커넥터를 연결관(40)에 체결시 커넥터바디(30)와 함께 인디케이터(20)가 연결관(40)에 체결되는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인디케이터(20)가 슬라이드홈(11)의 끝부분까지 이동되고, 이로 인해 인디케이터(20)의 끝부분이 외부로 노출된다. 이때, 인디케이터(20)가 이동되는 과정에서 커넥터바디(30)와 연결관(40)은 록킹 체결된다.
따라서, 인디케이터(20)가 이동됨에 따라 인디케이터(20)의 끝부분이 외부로 노출되면, 커넥터바디(30)와 연결관(40)이 구조적으로 서로 체결될 수 밖에 없어, 인디케이터(20)를 육안으로 확인하여 퀵커넥터가 완전하게 록킹 체결된 것을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연결관(40)은 연료펌프의 외형에 돌출된 것으로, 니플(nipple)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연결관(40)의 외형면에는 커넥터바디(30)와 체결될 수 있도록 스풀(45)이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넥터바디(30)의 내측에는 소정의 자체 탄성력을 갖는 탄성부(35)가 형성될 수 있어 퀵커넥터를 연결관(40)에 체결시 탄성부(35)가 스풀(45)의 일면에 걸려져 벌어졌다가 스풀(45)의 타면에 걸려질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슬리브(10) 양측면에는 웨지 형상의 끼움부(15)가 형성될 수 있어, 커넥터바디(30)의 단부가 상기 끼움부에 걸려져 슬리브(10)와 커넥터바디(30)가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인디케이터(20)가 슬라이드홈(11) 내에 위치 고정될 수 있다.
즉, 인디케이터(20)가 커넥터바디(30)와 함께 이동되기 전은 물론, 슬라이드홈(11)을 따라 이동한 후에도 슬라이드홈(11)에 그 위치가 임시적으로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인디케이터(20)의 자중에 의해 슬라이드홈(11) 내에서 무분별하게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여, 인디케이터(20)의 작동 신뢰도를 향상시키고, 또한 슬라이드홈(11)을 따라 이동시 인디케이터(20)의 단부가 외부로 노출된 상태로 고정됨으로써, 커넥터바디(30)의 록킹 체결 여부를 더욱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인디케이터(20)는 이동하기 전과 슬라이드홈(11)의 끝부분까지 이동한 후에만 위치 고정되도록 할 수 있고, 또한 이동 구간별로 일정하게 위치가 고정되도록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인디케이터(20)와 슬라이드홈(11)이 마주하는 부분에 돌기부(22) 및 홈부(12)가 형성되어, 돌기부(22)가 홈부(12)에 걸려지도록 할 수 있다.
즉, 인디케이터(20)의 일면에 돌기부(22)가 형성된 경우, 슬라이드홈(11)의 일면에는 상기 돌기부(22)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홈부(12)가 형성되어 인디케이터(20)의 이동시 돌기부(22)가 홈부(12)에 걸려져 인디케이터(20)를 임시적으로 위치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돌기부(22)와 홈부(12)는 인디케이터(20) 및 슬라이드홈(11)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홈부(12)는 인디케이터(20)를 고정시키고자 하는 위치 개소에 따라 복수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돌기부(22)의 둘레에 감싸는 형상으로 수용홀(21)이 형성되며, 상기 수용홀(21) 내측에는 돌기부(22)와 연결되도록 텐션연결바(23)가 형성되어 돌기부(22)가 지지바의 텐션에 홈부(12)에 걸려질 수 있다.
즉, 상기 인디케이터(20)의 중간에 수용홀(21)이 형성된 경우, 상기 수용홀(21)의 내측면에 텐션연결바(23)가 형성되며, 상기 텐션연결바(23)의 끝부분에 돌기부(22)가 형성됨으로써, 상기 돌기부(22)가 텐션연결바(23)에 의해 홈부(12)에 걸려질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돌기부(22)는 홈부(12)를 향해 수용홀(21)의 외측으로 돌출된 상태로 형성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슬라이드홈(11)의 양 내측이 개구단을 향해 오므려지는 원뿔형의 형상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며, 상기 슬라이드홈(11)의 양 내측면과 대응되도록 인디케이터(20)의 양 외측이 경사지게 형성되어 인디케이터(20)가 슬라이드홈(11)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인디케이터(20)가 슬라이드홈(11)을 따라 이동시 경사지게 형성된 양 측면부에 의해 슬라이드홈(11)에서 이탈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슬라이드 이동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돌기부(22) 및 홈부(12)에 의한 인디케이터(20)의 위치 고정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 커넥터바디(30)의 내측에 플랜지부(31)가 형성되며, 상기 플랜지부(31)에 인디케이터(20)가 접촉되어 커넥터바디(30)와 함께 인디케이터(20)가 연결관(40)과 체결되는 방향측으로 이동될 수 있다.
즉, 퀵커넥터를 연결관(40)에 체결시 커넥터바디(30)의 이동에 따라 인디케이터(20)가 함께 이동되어야 함으로써, 커넥터바디(30) 내측에 인디케이터(20)의 이동방향과 직교하도록 플랜지부(31)가 형성되고, 상기 플랜지부(31)에 인디케이터(20)의 단부가 접촉되도록 한다. 따라서, 커넥터바디(30)의 이동에 따라 플랜지부(31)가 인디케이터(20)에 접촉되어 인디케이터(20)가 커넥터바디(30)와 함께 이동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상기 인디케이터(20)는 슬리브(10) 및 커넥터바디(30)와 다른 색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커넥터바디(30)의 록킹 체결시 외부로 노출되는 인디케이터(20)를 통해 퀵커넥터의 완전한 록킹 체결 여부를 확인하게 됨으로써, 상기 인디케이터(20)를 그 주변의 부품인 슬리브(10) 및 커넥터바디(30)와 상반된 색상으로 형성하여 인디케이터(20)의 식별력을 한층 높일 수 있게 된다.
도 7을 통해 본 발명의 작용 및 효과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퀵커넥터를 펌프 등에 형성된 연결관(40)에 체결하는 경우, 퀵커넥터가 연결관(40)에 삽입된 초기에는 커넥터바디(30)의 탄성부(35)가 연결관(40)의 스풀(45)에 체결되지 않고 걸려져 있는 상태에 있다.
이어서, 커넥터바디(30)를 연결관(40)의 체결 방향으로 더 힘을 주어 가압하게 되면, 커넥터바디(30)와 함께 인디케이터(20)가 연결관(40)의 체결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와 동시에 탄성부(35)가 순간적으로 벌어지게 되면서 스풀(45)에 걸려질 수 있는 위치에 놓이게 된다.
이 후, 커넥터바디(30)가 연결관(40)의 체결 반대 방향으로 일정구간 복귀 이동되면, 탄성부(35)가 스풀(45)에 걸려지게 되면서, 퀵커넥터를 연결관(40)에 완전하게 록킹 체결할 수 있게 되고, 이와 함께 인디케이터(20)는 슬라이드홈(11)의 끝부분까지 이동된 상태에서 위치 고정되어 인디케이터(20)의 단부가 외부로 노출된다.
즉, 퀵커넥터가 연결관(40)에 완전하게 록킹 체결되면, 인디케이터(20)의 단부가 외부로 노출됨으로써, 노출된 인디케이터(20)를 육안으로 확인하는 것을 통해 퀵커넥터의 완전 체결 여부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퀵커넥터의 체결불량 여부를 간편하게 확인 가능하여, 연료가 누유되는 것을 차단하고, 그로 인한 차량 화재 및 발화 위험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퀵커넥터의 조립상태를 확인하는 추후 공정에서도 인디케이터(20)의 육안 확인을 통해 퀵커넥터의 체결 불량을 쉽게 확인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한 구체적인 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10 : 슬리브 11 : 슬라이드홈
12 : 홈부 20 : 인디케이터
21 : 수용홀 22 : 돌기부
23 : 텐션연결바 30 : 커넥터바디
31 : 플랜지부 35 : 탄성부
40 : 연결관 45 : 스풀

Claims (7)

  1. 외형면의 축방향을 따라 슬라이드홈(11)이 형성되며, 상기 슬라이드홈(11)의 단부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형성되고, 일단부가 연결관(40)에 체결되는 슬리브(10);
    상기 슬라이드홈(11)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되는 인디케이터(20); 및
    상기 슬리브(10)의 타단부를 둘러싸는 형상으로 체결되며, 슬리브(10)를 따라 일정 구간 직선 이동되면서 연결관(40)에 록킹 체결시 인디케이터(20)가 함께 이동되어 인디케이터(20)의 단부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하는 커넥터바디(30);를 포함하는 퀵커넥터 체결 확인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인디케이터(20)의 이동에 따라 인디케이터(20)가 슬라이드홈(11) 내에 위치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퀵커넥터 체결 확인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인디케이터(20)와 슬라이드홈(11)에는 서로 마주하는 면에 돌기부(22) 및 홈부(12)가 형성되어, 돌기부(22)가 홈부(12)에 걸려지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퀵커넥터 체결 확인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22)의 둘레에 수용홀(21)이 형성되며, 상기 수용홀(21) 내측에는 돌기부(22)와 연결되도록 텐션연결바(23)가 형성되어 돌기부(22)가 지지바의 텐션에 의해 홈부(12)에 걸려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퀵커넥터 체결 확인장치.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홈(11)의 양 내측이 경사지게 형성되며, 상기 슬라이드홈(11)의 양 내측면과 대응되도록 인디케이터(20)의 양 외측이 경사지게 형성되어 인디케이터(20)가 슬라이드홈(11)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퀵커넥터 체결 확인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바디(30)의 내측에 플랜지부(31)가 형성되며, 상기 플랜지부(31)에 인디케이터(20)가 접촉되어 커넥터바디(30)와 함께 인디케이터(20)가 연결관(40)과 체결되는 방향측으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퀵커넥터 체결 확인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인디케이터(20)는 슬리브(10) 및 커넥터바디(30)와 다른 색상으로 형성되어, 인디케이터(20)의 식별이 용이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퀵커넥터 체결 확인장치.
KR1020110131865A 2011-12-09 2011-12-09 퀵커넥터 체결 확인장치 KR1016938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1865A KR101693894B1 (ko) 2011-12-09 2011-12-09 퀵커넥터 체결 확인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1865A KR101693894B1 (ko) 2011-12-09 2011-12-09 퀵커넥터 체결 확인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65140A true KR20130065140A (ko) 2013-06-19
KR101693894B1 KR101693894B1 (ko) 2017-01-09

Family

ID=488618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31865A KR101693894B1 (ko) 2011-12-09 2011-12-09 퀵커넥터 체결 확인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9389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379963A (zh) * 2017-08-08 2017-11-24 深圳市凌越动力科技有限公司 一种负离子节油卡
US10150525B2 (en) 2015-08-01 2018-12-11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Testing arrangement for testing at least one connection interface and method for testing at least one connection interface with a testing arrangem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80001629U (ko) * 1996-06-28 1998-03-30 연료라인의 퀵컨넥터 접속구조
JPH10141567A (ja) * 1996-11-08 1998-05-29 Tokai Rubber Ind Ltd コネクタ
JP2004060884A (ja) * 2002-06-04 2004-02-26 Piolax Inc チェック機能内蔵コネクタ
JP2004232830A (ja) * 2003-01-31 2004-08-19 Tokai Rubber Ind Ltd コネクタ用半嵌合防止クリップ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80001629U (ko) * 1996-06-28 1998-03-30 연료라인의 퀵컨넥터 접속구조
JPH10141567A (ja) * 1996-11-08 1998-05-29 Tokai Rubber Ind Ltd コネクタ
JP2004060884A (ja) * 2002-06-04 2004-02-26 Piolax Inc チェック機能内蔵コネクタ
JP2004232830A (ja) * 2003-01-31 2004-08-19 Tokai Rubber Ind Ltd コネクタ用半嵌合防止クリップ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150525B2 (en) 2015-08-01 2018-12-11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Testing arrangement for testing at least one connection interface and method for testing at least one connection interface with a testing arrangement
CN107379963A (zh) * 2017-08-08 2017-11-24 深圳市凌越动力科技有限公司 一种负离子节油卡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93894B1 (ko) 2017-0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16821B1 (ko) 듀얼-래치 퀵커넥터
JP6073510B2 (ja) コネクタアセンブリ
US8465332B2 (en) Contact assembly for an electrical connector
KR101121900B1 (ko) 커넥터
US20170125949A1 (en) Connector Position Assurance (CPA) and Plug Connector Arrangement having a CPA
CN104425988B (zh) 带有弹簧操作的辅助锁的连接器组件
US9816657B2 (en) Pipe fitting
US5039139A (en) Tube spring steel tab lock coupling connector and method for connecting telescoping tubes
CN211574478U (zh) 用于联接流体管和阳联接器的装置以及包括该装置和阳联接器的组件
JP2006316944A (ja) クイックコネクタ
DE602005023539D1 (de) Elektrische verbinderbaugruppe für eine airbag-zündvorrichtung
US11460135B2 (en) Coupling element for connecting a first fluid-conducting line to a second fluid-conducting line, and coupling assembly
RU2718840C2 (ru) Штекерный соединитель для соединения трубопроводов для жидких или газообразных сред
KR20140026614A (ko) 커넥터 장치
CN110088990B (zh) 接触装置和接触系统
WO2017217206A1 (ja) コネクタ
KR20130065140A (ko) 퀵커넥터 체결 확인장치
WO2015108061A1 (ja) 光コネクタおよび光コネクタの嵌合構造
US20020158465A1 (en) Breaking-type checking device for preventing false engagement
JP2015525858A (ja) 取付応力を低減するリングを有する流体連通装置
JP2015048917A (ja) クイックコネクタ
JP6517129B2 (ja) 連結具、及び、セグメントの連結方法
US20180062305A1 (en) Sealed plug-in connector
KR20120001288U (ko) 복합 방폭형 전동기
KR100976508B1 (ko) 터미널고정구가 구비된 커넥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