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64290A - 반도체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반도체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64290A
KR20130064290A KR1020110130830A KR20110130830A KR20130064290A KR 20130064290 A KR20130064290 A KR 20130064290A KR 1020110130830 A KR1020110130830 A KR 1020110130830A KR 20110130830 A KR20110130830 A KR 20110130830A KR 20130064290 A KR20130064290 A KR 201300642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te
forming
hard mask
semiconductor substrate
operation g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308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경도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1308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64290A/ko
Priority to US13/708,905 priority patent/US8878289B2/en
Publication of KR201300642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64290A/ko
Priority to US14/502,477 priority patent/US20150017773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BELECTRONIC MEMORY DEVICES
    • H10B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6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8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ontrollable by only the electric current supplied, or only the electric potential applied, to an electrode which does not carry the current to be rectified, amplified or switched
    • H01L29/76Unipolar devices, e.g. field effect transistors
    • H01L29/772Field effect transistors
    • H01L29/78Field effect transistors with field effect produced by an insulated gate
    • H01L29/7801DMOS transistors, i.e. MISFETs with a channel accommodating body or base region adjoining a drain drift region
    • H01L29/7802Vertical DMOS transistors, i.e. VDMOS transistors
    • H01L29/7813Vertical DMOS transistors, i.e. VDMOS transistors with trench gate electrode, e.g. UMOS transis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4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 H01L21/18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the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elements of Group IV of the Periodic Table or AIIIBV compounds with or without impurities, e.g. doping materials
    • H01L21/28Manufacture of electrodes on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8
    • H01L21/28008Making conductor-insulator-semiconductor electrodes
    • H01L21/28017Making conductor-insulator-semiconductor electrodes the insulator being formed after the semiconductor body, the semiconductor being silicon
    • H01L21/28026Making conductor-insulator-semiconductor electrodes the insulator being formed after the semiconductor body, the semiconductor being silicon characterised by the conductor
    • H01L21/28123Lithography-related aspects, e.g. sub-lithography lengths; Isolation-related aspects, e.g. to solve problems arising at the crossing with the side of the device isolation; Planarisation aspec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0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or of parts thereof; Manufacture of integrated circuit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1Manufacture of specific parts of devices defined in group H01L21/70
    • H01L21/76Making of isolation regions between compon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0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or of parts thereof; Manufacture of integrated circuit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1Manufacture of specific parts of devices defined in group H01L21/70
    • H01L21/76Making of isolation regions between components
    • H01L21/762Dielectric regions, e.g. EPIC dielectric isolation, LOCOS; Trench refilling techniques, SOI technology, use of channel stopp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6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6007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 H01L29/66075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of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group 14 or group 13/15 materials
    • H01L29/66227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of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group 14 or group 13/15 materials the devices being controllable only by the electric current supplied or the electric potential applied, to an electrode which does not carry the current to be rectified, amplified or switched, e.g. three-terminal devices
    • H01L29/66409Unipolar field-effect transistors
    • H01L29/66477Unipolar field-effect transistors with an insulated gate, i.e. MISFET
    • H01L29/66666Vertical transis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6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8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ontrollable by only the electric current supplied, or only the electric potential applied, to an electrode which does not carry the current to be rectified, amplified or switched
    • H01L29/76Unipolar devices, e.g. field effect transistors
    • H01L29/772Field effect transistors
    • H01L29/78Field effect transistors with field effect produced by an insulated gate
    • H01L29/7827Vertical transistor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BELECTRONIC MEMORY DEVICES
    • H10B12/00Dynamic random access memory [DRAM] devices
    • H10B12/01Manufacture or treatment
    • H10B12/02Manufacture or treatment for one transistor one-capacitor [1T-1C] memory cells
    • H10B12/05Making the transistor
    • H10B12/053Making the transistor the transistor being at least partially in a trench in the substrate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BELECTRONIC MEMORY DEVICES
    • H10B12/00Dynamic random access memory [DRAM] devices
    • H10B12/30DRAM devices comprising one-transistor - one-capacitor [1T-1C] memory cells
    • H10B12/34DRAM devices comprising one-transistor - one-capacitor [1T-1C] memory cells the transistor being at least partially in a trench in the substrate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BELECTRONIC MEMORY DEVICES
    • H10B12/00Dynamic random access memory [DRAM] devices
    • H10B12/30DRAM devices comprising one-transistor - one-capacitor [1T-1C] memory cells
    • H10B12/48Data lines or contacts therefor
    • H10B12/488Word l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Semiconductor Mem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라인 타입의 매립 게이트 형성 시, 비동작 게이트(아이솔레이션 게이트)를 폴리실리콘으로 매립하여 형성함으로써 워크 펑션(work function)을 감소시켜 비동작 게이트에 의한 GIDL(Gate Induced Drain Leakage)를 감소시키며 반도체 소자의 리프레쉬 특성을 개선할 수 있는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반도체 소자 및 그 제조 방법{Semiconductor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은 고집적 반도체 장치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고집적 반도체 기억 장치 내 안정적으로 동작하는 매립 워드라인 구조의 반도체 소자 및 그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반도체 기억 장치는 캐패시터 및 트랜지스터로 구성된 단위셀을 다수 포함하고 있으며, 이중 캐패시터는 데이터를 임시 저장하기 위해 사용되고 트랜지스터는 환경에 따라 전기전도도가 변화하는 반도체의 성질을 이용하여 제어 신호(워드 라인)에 대응하여 비트 라인과 캐패시터간 데이터를 전달하기 위해 사용된다. 트랜지스터는 게이트(gate), 소스(source), 및 드레인(drain)의 세 영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게이트로 입력되는 제어 신호에 따라 소스와 드레인 간 전하의 이동이 일어난다. 소스와 드레인 간 전하의 이동은 채널(channel) 영역을 통해 이루어진다.
통상적인 트랜지스터를 반도체 기판에 만드는 경우 반도체 기판에 게이트를 형성하고 게이트의 양 옆에 불순물을 도핑하여 소스와 드레인을 형성해왔다. 반도체 기억 장치의 데이터 저장용량이 증가하고 집적도는 높아지면서 각각의 단위셀의 크기는 점점 작게 제조되도록 요구되고 있다. 즉, 단위셀에 포함된 캐패시터와 트랜지스터의 디자인 규칙(Design Rule)이 감소하였고, 이에 따라 셀 트랜지스터의 채널 길이도 점점 줄어들면서 통상적인 트랜지스터에 단채널 효과 및 DIBL(Drain Induced Barrier Lower) 등이 발생하여 동작의 신뢰성이 저하되었다. 채널의 길이가 감소하면서 발생한 현상들은 셀 트랜지스터가 정상적인 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문턱 전압을 유지할 경우 극복이 가능하다. 통상적으로, 트랜지스터의 채널이 짧아질수록 채널이 형성되는 영역에 불순물의 도핑 농도를 증가시켜왔다.
하지만, 디자인 규칙이 100nm 이하로 감소하면서 그만큼 채널 영역에 도핑 농도가 더 증가하는 것은 SN접합(Storage Node(SN) junction)에서의 전계를 증가시켜 반도체 기억 장치의 리프레쉬 특성을 저하시키는 또 다른 문제를 야기한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디자인 규칙이 감소하더라도 셀 트랜지스터의 채널 길이를 유지할 수 있도록 채널이 수직 방향으로 길게 확보된 3차원 채널 구조를 가진 셀 트랜지스터를 사용한다. 즉, 수평 방향의 채널 폭이 짧더라도 수직 방향으로 채널 길이를 확보한 만큼 도핑 농도를 감소시킬 수 있어 리프레쉬 특성이 나빠지는 것을 막는다.
아울러, 반도체 소자의 집적도가 높아질수록 셀 트랜지스터에 연결된 워드 라인과 비트 라인 사이의 거리가 가까워진다. 이로 인해 발생하는 기생 캐패시턴스가 증가하면서 비트 라인을 통해 전달되는 데이터를 증폭하는 센스 앰프의 동작 마진이 악화되어 반도체 장치의 동작 신뢰성에 치명적인 영향을 끼치는 등의 단점이 발생하였다. 이러한 점을 극복하기 위해 비트 라인과 워드 라인 간의 기생 캐패시턴스를 줄이기 위해 워드 라인을 반도체 기판의 상부가 아닌 리세스 내에만 형성하는 매립 워드 라인 구조가 제안되었다. 매립 워드 라인 구조는 반도체 기판 내 형성된 리세스 내에 도전 물질을 형성하고 도전 물질의 상부를 절연막으로 덮어 워드 라인이 반도체 기판 내에 매립되도록 함으로써 소스/드레인이 형성되는 반도체 기판상에 형성되는 비트 라인과의 전기적인 격리를 명확하게 할 수 있다.
그러나, 매립 워드 라인(매립 게이트)의 구조는 도전 물질(게이트 전극)과 활성 영역의 N형 정션(Junction) 사이에서 반도체 소자의 GIDL(Gate Induced Drain Leakage) 특성이 열화되며, 이러한 GIDL 특성의 열화로 인하여 전체 반도체 소자의 리프레쉬 특성은 저하된다.
전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라인 타입의 매립 게이트 형성 시, 비동작 게이트(아이솔레이션 게이트)를 폴리실리콘으로 매립하여 형성함으로써 워크 펑션(work function)을 감소시켜 비동작 게이트에 의한 GIDL(Gate Induced Drain Leakage)를 감소시키며 반도체 소자의 리프레쉬 특성을 개선할 수 있는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반도체 기판 내에 비동작 게이트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반도체 기판 및 상기 비동작 게이트 상에 제 1 하드마스크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 1 하드마스크층을 식각하여 트렌치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트렌치 내에 절연막을 매립하는 단계, 상기 트렌치 내의 상기 절연막의 중심부를 식각한 후, 상기 식각된 영역에 제 2 하드마스크층을 매립하는 단계, 남은 상기 절연막을 제거하는 단계, 상기 제 2 및 제 1 하드마스크층을 식각 마스크로 상기 반도체 기판을 식각하여 동작 게이트 영역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동작 게이트 영역에 동작 게이트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비동작 게이트를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반도체 기판상에 하드마스크 산화막 및 하드마스크 탄소막을 순차적으로 형성하는 단계, 상기 하드마스크 탄소막 및 하드마스크 산화막을 식각하여 비동작 게이트 영역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비동작 게이트 영역 내에 게이트 산화막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게이트 산화막 상에 게이트 폴리실리콘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게이트 폴리실리콘을 에치백(etchback)하는 단계 및 에치백된 상기 게이트 폴리실리콘 상부에 질화막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비동작 게이트 영역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하드마스크 탄소막 및 상기 하드마스크 산화막을 비등방성 식각하여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1 하드마스크층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반도체 기판 및 상기 비동작 게이트 상에 하드마스크 산화막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하드마스크 산화막 상에 하드마스크 폴리실리콘막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트렌치를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비동작 게이트와 상기 비동작 게이트 사이의 상기 반도체 기판 상부의 상기 제 1 하드마스크층을 비등방성 식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절연막은 산화막(Oxide)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2 하드마스크층은 폴리실리콘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동작 게이트 영역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반도체 기판을 비등방성 식각하여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동작 게이트 영역에 동작 게이트를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동작 게이트 영역 내에 게이트 산화막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게이트 산화막 상에 게이트 전극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게이트 전극층을 에치백(etchback)하는 단계 및 에치백된 상기 게이트 전극층 상부에 질화막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비동작 게이트 및 상기 동작 게이트는 라인(Line) 타입으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동작 게이틀 형성하는 단계 이후, 상기 반도체 기판에 N형 불순믈 이온 주입하여 소스/드레인 영역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반도체 기판 내에 동작 게이트 및 비동작 게이트를 구비하되, 상기 동작 게이트는 게이트 산화막, 게이트 금속층 및 질화막의 적층 구조이고, 상기 비동작 게이트는 게이트 산화막, 게이트 폴리실리콘층 및 질화막의 적층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비동작 게이트 및 상기 동작 게이트는 라인(Line) 타입으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동작 게이트 사이에 구비된 소스/드레인 영역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라인 타입의 매립 게이트 형성 시, 비동작 게이트(아이솔레이션 게이트)를 폴리실리콘으로 매립하여 형성함으로써 워크 펑션(work function)을 감소시켜 비동작 게이트에 의한 GIDL(Gate Induced Drain Leakage)를 감소시키며 반도체 소자의 리프레쉬 특성을 개선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소자 및 그 제조 방법을 도시한 평면도.
도 2a 내지 도 2h는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소자 및 그 제조 방법을 도시한 단면도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소자 및 그 제조 방법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반도체 기판(200)에 활성영역(215)을 정의하는 소자분리영역(225), 상기 활성영역(215)을 교차하는 매립 게이트(260', 350')가 구비된다. 이때, 활성 영역(215)은 라인(Line) 타입으로 형성하며, 매립 게이트(260', 350')는 동작 게이트(350') 및 비동작 게이트(260')를 포함하고 라인(Line) 타입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a 내지 도 2h는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소자 및 그 제조 방법을 도시한 단면도들로서, 도 1의 A~A' 절단면을 도시한 것이다.
도 2a를 참조하면, 반도체 기판(200) 상에 활성 영역(215)을 정의하는 소자분리영역(미도시)을 형성한다. 이때, 활성 영역(215)은 라인(line) 타입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소자분리영역은 STI공법으로 형성할 수 있다. 먼저, 반도체 기판(200) 상에 패드 산화막 및 패드 질화막으로 구성된 패드 절연막(미도시)을 증착한다. 이후, 감광막(미도시)을 증착하고 활성 영역(215)을 정의하는 마스크를 이용하여 노광 공정을 수행한다. 이후, 노출된 패드 절연막과 반도체 기판(200)을 식각하여 형성된 트렌치(미도시)에 SOD(Spin On Dielectric) 물질을 매립하고 패드 절연막이 노출될 때까지 평탄화(Chemical Mechanical Polishing)하여 소자분리영역을 완성한다.
그리고, 반도체 기판(200) 상에 하드마스크 산화막(210) 및 하드마스크 카본막(220)을 순차적으로 형성한다.
도 2b를 참조하면, 하드마스크 카본막(220)의 상부에 감광막을 형성한 후, 비동작 게이트 마스크(또는 아이솔레이션 게이트 마스크)를 이용한 노광 및 현상 공정으로 감광막 패턴(미도시)을 형성한다.
이후, 감광막 패턴을 식각 마스크로 하드마스크 카본막(220)을 식각하여 하드마스크 카본막 패턴(미도시)을 형성한 다음에 하드마스크 카본막 패턴을 식각 마스크로 하드마스크 산화막(210) 및 반도체 기판(200)을 식각하여 제 1 트렌치(230)를 형성한다. 여기서, 제 1 트렌치(230)를 형성하기 위한 식각 공정은 비등방성 식각 공정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c를 참조하면, 제 1 트렌치(230) 내에 게이트 산화막(240)을 형성하고, 게이트 산화막(240) 상부에 게이트 폴리실리콘(250)을 형성한 다음에 게이트 폴리실리콘(250)을 에치백(etchback)한다. 여기서, 게이트 산화막(240)은 산화막을 증착하거나 산화(Oxidation) 공정을 이용하여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에는, 에치백된 게이트 폴리실리콘(250) 및 반도체 기판(200)의 상부에 질화막(260, nitride)을 형성하되, 반도체 기판(200)이 노출될 때까지 질화막(260)을 평탄화 식각하여 비동작 게이트(260', 아이솔레이션 게이트)를 완성한다. 여기서, 비동작 게이트(260')는 라인(Line) 타입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비동작 게이트(260')는 게이트 전압이 항상 오프(off) 상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 2d를 참조하면, 반도체 기판(200) 및 비동작 게이트(260') 상부에 하드마스크 산화막(270) 및 하드마스크 폴리실리콘(280)을 형성한다.
다음에는, 하드마스크 폴리실리콘(280) 상부에 감광막을 형성한 후, 동작 게이트 예정 영역을 정의하는 마스크를 이용한 노광 및 현상 공정으로 감광막 패턴(미도시)을 형성한다. 감광막 패턴을 식각 마스크로 하드마스크 폴리실리콘(280) 및 하드마스크 산화막(270)을 식각하여 제 2 트렌치(290)를 형성한다. 이때, 제 2 트렌치(290)를 형성하기 위한 식각 공정은 비등방성 식각 공정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e를 참조하면, 제 2 트렌치(290)에 절연막(300)을 매립한다. 여기서, 절연막(300)은 산화막(Oxide)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절연막(300) 및 하드마스크 폴리실리콘(280) 상부에 감광막을 형성한 다음에 절연막(300)의 중심부만을 노출하는 마스크를 이용한 노광 및 현상 공정으로 감광막 패턴(미도시)을 형성한다. 감광막 패턴을 식각 마스크로 절연막(300)을 식각하여 홀(305, hole)을 형성한다.
다음으로, 홀(305)에 하드마스크 폴리실리콘(310)을 매립한다.
도 2f를 참조하면, 하드마스크 폴리실리콘(310)의 양측벽에 구비된 절연막(300)을 제거하여 제 3 트렌치(315)를 형성한다.
도 2g를 참조하면, 하드마스크 폴리실리콘(310, 280)을 식각 마스크로 하드마스크 산화막(270) 및 반도체 기판(200)을 식각하여 동작 게이트 영역(320)을 형성한다.
도 2h를 참조하면, 동작 게이트 영역(320)에 게이트 산화막(330) 및 게이트 전극 물질(340)을 형성한 후, 게이트 전극 물질(340)을 에치백(etchback)한다. 여기서, 게이트 산화막(330)은 산화막을 증착하거나 산화(Oxidation) 공정을 이용하여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게이트 전극 물질(340)은 알루미늄(Al), 텅스텐(W), 텅스텐나이트라이드(WN), 티타늄(Ti), 티타늄나이트라이드(TiN) 또는 티타늄나이트라이드텅스텐(TiN/W)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후, 에치백된 게이트 전극 물질(340) 상부 및 반도체 기판(200) 상에 질화막(350, Nitride)을 형성한 후, 반도체 기판(200)이 노출될 때까지 질화막(350)을 평탄화 식각하여 동작 게이트(350')를 완성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셀 어레이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셀 어레이(Cell Array)는 다수의 메모리 셀을 포함하며, 각각의 메모리 셀은 하나의 트랜지스터(Transistor)와 하나의 캐패시터(Capacitor)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메모리 셀들은 비트라인(BL1, ., BLn)과 워드라인(WL1, ., WLm)의 교차점에 위치한다. 메모리 셀들은 컬럼 디코더 및 로우 디코더에 의해서 선택된 비트라인(BL1, ., BLn) 및 워드라인(WL1, ., WLm)에 인가된 전압에 기초하여 데이터를 저장하거나 출력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셀 어레이에서 비트라인 (BL1, ., BLn)은 제 1 방향(즉, 비트라인 방향)을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고 워드라인 (WL1, ., WLm)은 제 2 방향(즉, 워드라인 방향)을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어 서로 교차하는 형태로 배열된다. 트랜지스터의 제 1 단자(예를 들어, 드레인 단자)는 비트라인(BL1, ..., BLn)에 연결되고, 제 2 단자(예를 들어, 소스 단자)는 커패시터에 연결되며, 제 3 단자(예를 들어, 게이트 단자)는 워드라인(WL1, ..., WLm)에 연결된다. 이러한 비트라인들(BL1, ..., BLn), 워드라인들(WL1, ..., WLm)을 포함하는 다수의 메모리 셀들이 반도체 셀 어레이의 내에 위치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소자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반도체 소자는 셀 어레이(Cell Array), 로우 디코더(Row Decorder), 컬럼 디코더(Column Decorder) 및 센스 앰프(Sense Amplifier, SA)를 포함할 수 있다. 로우 디코더는 반도체 셀 어레이의 워드라인들 중에서 독출 동작 또는 기입 동작을 수행할 메모리 셀에 상응하는 워드라인을 선택하여 반도체 셀 어레이에 워드라인 선택 신호(RS)를 출력한다. 그리고, 컬럼 디코더는 반도체 셀 어레이의 비트라인들 중에서 독출 동작 또는 기입 동작을 수행할 메모리 셀에 상응하는 비트라인을 선택하여 반도체 셀 어레이에 비트라인 선택 신호(CS)를 출력한다. 또한, 센스 앰프들은 로우 디코더 및 컬럼 디코더에 의해 선택된 메모리 셀에 저장된 데이터(BDS)를 센싱한다.
이 외에 반도체 소자는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와 연결되거나 메모리 콘트롤러(Memory Controller)와 연결될 수 있으며, 반도체 소자는 마이크로 프로세서로부터 WE*, RAS* 및 CAS*와 같은 제어 신호를 받고, 입출력 회로를 통하여 데이터를 받아서 저장한다. 이러한 반도체 소자는 디램(Dynamic Random Access Memory), 피램(Random Access Memory), 엠램(Random Access Memory), 낸드 플래쉬, CIS(CMOS Image Sensor) 등에 적용할 수 있다. 특히, 디램을 이용하여 데스크탑, 노트북, 서버에 사용되거나, 그래픽 메모리 및 모바일 메모리에도 이용할 수 있으며, 낸드 플래쉬는 메모리 스틱, MMC, SD, CF, xD Picture Card, USB Flash Drive 등과 같은 휴대용 저장 장치, MP3, PMP, 디지털 카메라, 캠코더, 메모리카드, USB, 게임기, 네비게이션, 노트북 및 데스트탑 컴퓨터 및 핸드폰 등 다양한 디지털 어플리케이션에 적용할 수 있으며, CIS는 디지털 기기에서 일종의 전자 필름 역할을 하는 촬상 소자로써, 카메라 폰, 웹 카메라, 의학용 소형 촬영장비에 적용가능하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모듈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반도체 모듈은 모듈 기판상에 탑재된 복수 개의 반도체 소자들, 반도체 소자가 외부의 제어기(미도시)로부터 제어신호(어드레스 신호(ADDR), 커맨드 신호(CMD), 클럭 신호(CLK))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해주는 커맨드 링크(Command Link) 및 반도체 소자와 연결되어 데이터를 전송하는 데이터 링크(Data Link)를 포함한다.
이때, 반도체 소자는 예컨대 도 4에 대한 설명에서 예시된 반도체 소자들이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커맨드 링크 및 데이터 링크는 통상의 반도체 모듈에서 사용되는 것들과 동일 또는 유사하게 형성될 수 있다.
도 5에서는 모듈 기판의 전면에 8개의 반도체 소자(chip)들이 탑재되어 있는 모습을 도시하고 있으나 모듈 기판의 후면에도 동일하게 반도체 소자들이 탑재될 수 있다. 즉, 모듈 기판의 일측 또는 양측에 반도체 소자들이 탑재될 수 있으며, 탑재되는 반도체 소자의 수는 도 5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모듈 기판의 재료 및 구조도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반도체 시스템은 복수 개의 반도체 소자들이 탑재된 적어도 하나의 반도체 모듈 및 반도체 모듈과 외부의 시스템(미도시) 사이에서 양방향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여 반도체 모듈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기(Controller)를 포함한다. 이러한 제어기는 통상의 데이터 프로세싱 시스템에서 복수의 반도체 모듈들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기와 그 기능이 동일 또는 유사하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 예에서는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때, 반도체 모듈은 예컨대 도 5에 예시된 반도체 모듈이 사용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 유닛 및 전자 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7의 왼쪽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전자 유닛(Electronic Unit)은 반도체 시스템(Semiconductor System)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프로세서(Processor)를 포함한다. 이때, 반도체 시스템은 도 6의 반도체 시스템과 동일하다. 여기서, 프로세서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 MPU(Micro Processor Unit), MCU(Micro Controller Unit), GPU(Graphics Processing Unit) 및 DSP(Digital Signal Processor)를 포함한다.
여기서, CPU 또는 MPU는 산술, 논리 연산 유닛인 ALU(Arithmetic Logic Unit)과 명령어를 읽어오고 해석해서 각 유닛을 제어하는 컨트롤 유닛(CU, control unit)을 묶은 형태이다. 프로세서가 CPU 또는 MPU일 경우 전자 유닛은 컴퓨터 기기 또는 모바일 기기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GPU는 그래픽을 위한 CPU로서 소수점을 가진 숫자들을 계산하는데 사용되는 것으로 그래픽들을 실시간 화면으로 그려주기 위한 프로세스이다. 프로세서가 GPU인 경우 전자 유닛은 그래픽 기기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DSP는 아날로그 신호(예를 들면 음성)를 디지털로 고속 변환 후 계산하여 그 결과를 이용하거나 다시 아날로그로 변환하여 사용하는 프로세스를 일컫는다. DSP는 주로 디지털 값을 계산한다. 프로세서가 DSP인 경우 전자 유닛은 음향 및 영상 기기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외에도 프로세서는 APU(Accelerate Procesor Unit)를 포함하는데 이는 CPU를 GPU에 통합하는 형태로써 그래픽 카드의 역할을 포함하는 형태의 프로세서이다.
도 7의 오른쪽 도면을 참조하면, 전자 시스템(Electronic System)은 전자 유닛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하나 또는 다수의 인터페이스(Interface)를 포함한다. 이때, 전자 유닛은 도 7의 전자 유닛과 동일하다. 여기서, 인터페이스는 모니터, 키보드, 프린터, 포인팅 디바이스(마우스), USB, 스위치, 카드 리더기, 키패드, 디스펜서, 전화기, 디스플레이 또는 스피커를 포함한다. 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변경 가능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라인 타입의 매립 게이트 형성 시, 비동작 게이트(아이솔레이션 게이트)를 폴리실리콘으로 매립하여 형성함으로써 워크 펑션(work function)을 감소시켜 비동작 게이트에 의한 GIDL(Gate Induced Drain Leakage)를 감소시키며 반도체 소자의 리프레쉬 특성을 개선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한 것으로, 당업자라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과 범위를 통해 다양한 수정, 변경, 대체 및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등은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Claims (14)

  1. 반도체 기판 내에 비동작 게이트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반도체 기판 및 상기 비동작 게이트 상에 제 1 하드마스크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 1 하드마스크층을 식각하여 트렌치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트렌치 내에 절연막을 매립하는 단계;
    상기 트렌치 내의 상기 절연막의 중심부를 식각한 후, 상기 식각된 영역에 제 2 하드마스크층을 매립하는 단계;
    남은 상기 절연막을 제거하는 단계;
    상기 제 2 및 제 1 하드마스크층을 식각 마스크로 상기 반도체 기판을 식각하여 동작 게이트 영역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동작 게이트 영역에 동작 게이트를 형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비동작 게이트를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반도체 기판상에 하드마스크 산화막 및 하드마스크 탄소막을 순차적으로 형성하는 단계;
    상기 하드마스크 탄소막 및 하드마스크 산화막을 식각하여 비동작 게이트 영역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비동작 게이트 영역 내에 게이트 산화막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게이트 산화막 상에 게이트 폴리실리콘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게이트 폴리실리콘을 에치백(etchback)하는 단계; 및
    에치백된 상기 게이트 폴리실리콘 상부에 질화막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비동작 게이트 영역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하드마스크 탄소막 및 상기 하드마스크 산화막을 비등방성 식각하여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1 하드마스크층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반도체 기판 및 상기 비동작 게이트 상에 하드마스크 산화막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하드마스크 산화막 상에 하드마스크 폴리실리콘막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트렌치를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비동작 게이트와 상기 비동작 게이트 사이의 상기 반도체 기판 상부의 상기 제 1 하드마스크층을 비등방성 식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절연막은 산화막(Oxide)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2 하드마스크층은 폴리실리콘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동작 게이트 영역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반도체 기판을 비등방성 식각하여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동작 게이트 영역에 동작 게이트를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동작 게이트 영역 내에 게이트 산화막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게이트 산화막 상에 게이트 전극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게이트 전극층을 에치백(etchback)하는 단계; 및
    에치백된 상기 게이트 전극층 상부에 질화막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비동작 게이트 및 상기 동작 게이트는 라인(Line) 타입으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동작 게이트를 형성하는 단계 이후,
    상기 반도체 기판에 N형 불순믈 이온 주입하여 소스/드레인 영역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
  12. 반도체 기판 내에 동작 게이트 및 비동작 게이트를 구비하되, 상기 동작 게이트는 게이트 산화막, 게이트 금속층 및 질화막의 적층 구조이고, 상기 비동작 게이트는 게이트 산화막, 게이트 폴리실리콘층 및 질화막의 적층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비동작 게이트 및 상기 동작 게이트는 라인(Line) 타입으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
  14.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동작 게이트 사이에 구비된 소스/드레인 영역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
KR1020110130830A 2011-12-08 2011-12-08 반도체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KR20130064290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0830A KR20130064290A (ko) 2011-12-08 2011-12-08 반도체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US13/708,905 US8878289B2 (en) 2011-12-08 2012-12-07 Semiconductor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US14/502,477 US20150017773A1 (en) 2011-12-08 2014-09-30 Semiconductor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0830A KR20130064290A (ko) 2011-12-08 2011-12-08 반도체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64290A true KR20130064290A (ko) 2013-06-18

Family

ID=485711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30830A KR20130064290A (ko) 2011-12-08 2011-12-08 반도체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2) US8878289B2 (ko)
KR (1) KR20130064290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716077B2 (en) * 2011-08-23 2014-05-06 Globalfoundries Inc. Replacement gate compatible eDRAM transistor with recessed channel
TWI520264B (zh) 2013-02-06 2016-02-01 華亞科技股份有限公司 隔離結構之製作方法
KR102181686B1 (ko) 2014-12-04 2020-11-23 삼성전자주식회사 반도체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EP3524435B1 (en) * 2016-10-05 2021-09-15 Sato Holdings Kabushiki Kaisha Printer
KR20220014517A (ko) 2020-07-29 2022-02-07 삼성전자주식회사 반도체 메모리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US11374009B2 (en) * 2020-10-15 2022-06-28 Nanya Technology Corporation Integrated circuit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462908B2 (en) * 2004-07-14 2008-12-09 International Rectifier Corporation Dynamic deep depletion field effect transistor
KR100605500B1 (ko) * 2005-03-03 2006-07-28 삼성전자주식회사 라인형 활성영역을 갖는 반도체소자들 및 그 제조방법들
US7700441B2 (en) * 2006-02-02 2010-04-20 Micron Technology, Inc. Methods of forming field effect transistors, methods of forming field effect transistor gates, methods of forming integrated circuitry comprising a transistor gate array and circuitry peripheral to the gate array, and methods of forming integrated circuitry comprising a transistor gate array including first gates and second grounded isolation gates
KR100855967B1 (ko) 2007-01-04 2008-09-02 삼성전자주식회사 매립형 워드라인 구조를 갖는 반도체 소자 및 그 제조방법
US20080258206A1 (en) * 2007-04-17 2008-10-23 Qimonda Ag Self-Aligned Gate Structure, Memory Cell Array, and Methods of Making the Same
KR101075490B1 (ko) * 2009-01-30 2011-10-21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매립게이트를 구비한 반도체장치 및 그 제조 방법
US8026179B2 (en) * 2009-04-09 2011-09-27 Macronix International Co., Ltd. Patterning method and integrated circuit structure
KR101609252B1 (ko) * 2009-09-24 2016-04-06 삼성전자주식회사 매몰 워드 라인을 구비한 반도체 소자
US8120939B2 (en) * 2009-09-24 2012-02-21 Taiwa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Co., Ltd. ROM cell having an isolation transistor formed between first and second pass transistors and connected between a differential bitline pair
US8372755B2 (en) * 2010-01-13 2013-02-12 Taiwa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Company, Ltd. Multilayer hard mask
US8652933B2 (en) * 2010-11-11 2014-02-18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emiconductor structure having wide and narrow deep trenches with different materials
KR101802371B1 (ko) 2011-05-12 2017-11-29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반도체 셀 및 그 형성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50017773A1 (en) 2015-01-15
US8878289B2 (en) 2014-11-04
US20130146968A1 (en) 2013-06-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48984B2 (en) Semiconductor device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US20120281490A1 (en) Semiconductor device, semiconductor modul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1355196B1 (ko) 반도체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KR101213885B1 (ko) 반도체 소자 및 반도체 셀
US20150017773A1 (en) Semiconductor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US8861261B2 (en) Semiconductor memory cell and semiconductor device
US8728909B2 (en) Method for forming the semiconductor cell
US8674473B2 (en) Semiconductor cell and method for forming the same
US9023703B2 (en) Method of manufacturing semiconductor device using an oxidation process to increase thickness of a gate insulation layer
US20130099298A1 (en) Semiconductor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US9252223B2 (en) Semiconductor device having a buried gate
US20120286351A1 (en) Cell array
KR20130125595A (ko) 반도체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US20130130458A1 (en) Method of manufacturing semiconductor device
KR20130107491A (ko) 반도체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KR20130125135A (ko) 반도체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KR20130138017A (ko) 반도체 소자 및 그의 제조 방법
US20130126962A1 (en) Semiconductor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20130090677A (ko) 반도체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KR20130007374A (ko)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