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61130A - 포장 블록 - Google Patents

포장 블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61130A
KR20130061130A KR1020127026851A KR20127026851A KR20130061130A KR 20130061130 A KR20130061130 A KR 20130061130A KR 1020127026851 A KR1020127026851 A KR 1020127026851A KR 20127026851 A KR20127026851 A KR 20127026851A KR 20130061130 A KR20130061130 A KR 201300611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ving block
cement
hardened body
block
co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268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시게루 요코야마
이사무 시미즈
마사히로 기마타
다츠로 히라야마
Original Assignee
타이헤이요 프레콘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타이헤이요 프레콘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타이헤이요 프레콘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300611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6113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5/00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 E01C5/06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made of units with cement or like binders
    • E01C5/065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made of units with cement or like binders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or component materials, e.g. concrete layers of different structure, special additiv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5/00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 E01C5/06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made of units with cement or like binder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1/00Details of pavings
    • E01C11/22Gutters; Kerbs ; Surface drainage of streets, roads or like traffic areas
    • E01C11/224Surface drainage of streets
    • E01C11/225Paving specially adapted for through-the-surfacing drainage, e.g. perforated, porous; Preformed paving elements comprising, or adapted to form, passageways for carrying off drainage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1/00Details of pavings
    • E01C11/24Methods or arrangements for preventing slipperiness or protecting against influences of the wea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11/00Apparatus or processes for treating or working the shaped or preshaped articles
    • B28B11/002Apparatus for washing concrete for decorative purposes or similar surface treatments for exposing the tex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11/00Apparatus or processes for treating or working the shaped or preshaped articles
    • B28B11/08Apparatus or processes for treating or working the shaped or preshaped articles for reshaping the surface, e.g. smoothing, roughening, corrugating, making screw-threads
    • B28B11/0818Apparatus or processes for treating or working the shaped or preshaped articles for reshaping the surface, e.g. smoothing, roughening, corrugating, making screw-threads for roughening, profiling, corrug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7/00Moulds; Cores; Mandrels
    • B28B7/0064Moulds characterised by special surfaces for producing a desired surface of a moulded article, e.g. profiled or polished moulding surfa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30/00Adapting or protecting infrastructure or their operation
    • Y02A30/30Adapting or protecting infrastructure or their operation in transportation, e.g. on roads, waterways or railways

Abstract

본 발명은, 여름철에 항상 노면 부근의 온도 상승 억제 효과를 발휘할 수 있으며, 노면의 미끄러짐 저항이 크며 안전성이 우수하고, 보도, 차도 등의 포장체를 용이하면서도 단시간에 형성시킬 수 있는 포장 블록을 제공한다. 포장 블록 (1)은, 시멘트계 경화체 (2)의 요철상의 표면에 포장용 차열 도료를 포함하는 피막 (3)을 형성시켜 이루어진다. 시멘트계 경화체 (2)의 요철상의 표면은, (a) 다공성 콘크리트로서의 상기 시멘트계 경화체의 제작, (b) 쇼트 블러스트 마무리, (c) 세정 마무리, (d) 요철상의 내면을 갖는 형틀의 사용 중에서 선택되는 1개 이상에 의해 형성된다. 포장 블록 (1)은, 기층 (4)를 구비할 수 있다.

Description

포장 블록{PAVING BLOCK}
본 발명은, 여름철의 직사 일광에 의한 포장체의 노면 부근의 온도 상승을 억제하기 위한 포장 블록에 관한 것이다.
종래, 포장 블록의 표면 부근의 온도 상승을 억제하여, 여름철의 히트 아일랜드 현상의 완화 등을 도모하기 위한 다양한 포장 블록이 알려져 있다.
일례로서, 노상의 위쪽에 노반재의 입도를 조정하여 필요한 공극을 확보한 노반재층을 설치하고, 상기 노반재층의 위쪽에 다공질의 보수성 블록을 부설하고, 상기 보수성 블록 표면으로부터의 수분의 증발에 의해 포장 표면의 냉각 효과를 얻도록 한 보수성 포장 구조이며, 상면이 개구하는 불투수성의 트레이를 상기 노상 위 또는 노반재층 내에 복수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수성 포장 구조가 제안되어 있다(특허문헌 1).
다른 예로서, 기반층 위에 표층이 설치되어 있는 축열 억제 블록에 있어서, 상기 표층이 탄산칼슘 및 마그네시아 시멘트를 주성분으로 한 고화층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기반층이 강도체로서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열 억제 블록이 제안되어 있다(특허문헌 2).
한편, 포장 블록이 아닌, 밀입도 아스팔트 혼합물 등을 포함하는 포장체의 표면 부근의 온도 상승을 억제하기 위한 기술도 알려져 있다.
일례로서, 태양광의 가시 영역에서 흡수를 나타내고 적외 영역에서 반사를 나타내는 안료와, 용제 가용 아크릴계 수지, 아크릴계 에멀션 수지, 우레아 수지, 에폭시계 수지, 용제 가용 불소계 수지, 불소계 에멀션 수지 중 어느 1개 또는 2개 이상으로부터 선택하는 비히클과, 필요에 따라 백색 안료를 함유하는 차열 도료를 도포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등의 포장체가 제안되어 있다(특허문헌 3).
일본 특허 공개 제2007-270487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05-23545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04-251108호 공보
상술한 특허문헌 1의 기술에 있어서는, 필요한 공극을 확보한 노반재층의 위쪽에 다공질의 보수성 블록을 부설하고 있기 때문에, 이 보수성 블록의 내부에 빗물 등의 수분이 쌓이고, 이 수분이 증발할 때에 주위의 열을 흡수하여, 노면 부근의 온도를 감소시킬 수 있다. 그러나, 이 기술은, 다공질의 보수성 블록을 형성하는 재료 자체가 노면 부근의 온도를 저하시키는 작용을 갖는 것이 아니다. 즉, 이 기술에 있어서의 노면 부근의 온도 저하는, 빗물 등의 수분이 공급되는 것이 전제이다.
특허문헌 2의 기술은, 블록의 표층을 형성하는 재료 자체가 블록의 표면 온도의 상승 억제 효과를 갖지만, 표층을 형성하는 경화체(탄산칼슘 및 마그네시아 시멘트를 포함하는 재료의 경화체)의 강도가 기반층을 형성하는 경화체(콘크리트)의 강도보다 작다는 등의 문제가 있다.
특허문헌 3에는, 밀입도 아스팔트 혼합물을 이용한 실험예, 및 다공질의 아스팔트 혼합물을 이용한 실험예가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예를 들면, 콘크리트 등의 시멘트계 조성물을 이용한 실험예는 전혀 기재되어 있지 않다. 또한, 특허문헌 3의 기술은, 밀입도 아스팔트 혼합물 등을 포함하는 포장체에 관한 것이며, 포장 블록에 관한 것이 아니다. 그 때문에, 옥외에서 밀입도 아스팔트 혼합물 등의 재료를 이용하여 포장체의 본체를 형성시킨 후, 차열 도료를 도포해야 하며, 포장체를 완성시킬 때까지의 작업이 번잡하다.
한편, 포장체의 노면은 미끄러짐 저항이 크고, 보도, 차도 등의 용도에 있어서 미끄러지기 어렵고, 안전성이 우수한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여름철에 노면 부근의 온도 상승 억제 효과를 항상 발휘할 수 있으며, 노면의 미끄러짐 저항이 커서 안전성이 우수하고, 경관성 및 내구성이 양호하고, 보도, 차도 등의 포장체를 용이하면서도 단시간에 형성시킬 수 있는 포장 블록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자는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예의 검토한 결과, 포장면을 형성하기 위한 표면을 갖는 시멘트계 경화체의 해당 표면에 포장용 차열 도료를 포함하는 피막을 형성시켜 이루어지는 포장 블록에 따르면, 상기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는 것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시켰다.
즉, 본 발명은, 이하의 [1] 내지 [3]을 제공하는 것이다.
[1] 시멘트계 경화체의 요철상의 표면에 포장용 차열 도료를 포함하는 피막을 형성시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 블록.
[2] 상기 시멘트계 경화체의 요철상의 표면이 (a) 다공성 콘크리트로서의 상기 시멘트계 경화체의 제작, (b) 쇼트 블러스트 마무리, (c) 세정 마무리, (d) 요철상의 내면을 갖는 형틀의 사용 중에서 선택되는 1개 이상에 의해 형성되는 상기 [1]에 기재된 포장 블록.
[3] 상기 시멘트계 경화체와 상기 피막이 동일색 또는 근사색인 상기 [1] 또는 [2]에 기재된 포장 블록.
본 발명의 포장 블록은, 시멘트계 경화체의 요철상의 표면에 형성시킨 포장용 차열 도료를 포함하는 피막을 갖기 때문에, 직사 일광에 의한 노면 부근의 온도 상승이 현저한 여름철 등의 시기에, 요철상이라는 점에서 큰 면적을 가지면서도 태양광의 입사 각도의 변화에 대하여 다양한 수광 각도를 갖는 상기 피막으로부터의 방열에 의해, 노면 부근의 온도 상승을 억제하는 높은 효과를 안정적으로 발휘하고, 히트 아일랜드 현상의 완화를 달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포장 블록은, 시멘트계 경화체의 요철상의 표면에 포장용 차열 도료를 포함하는 피막을 형성시키고 있기 때문에, 보행자, 자동차 등이 통과하여, 시멘트계 경화체의 요철상의 표면의 정점 부근의 피막이 박락(剝落)된 경우 에도, 상기 요철상의 표면의 정점 부근 이외의 영역의 피막은 박락되지 않고 잔존하고, 이 잔존하는 피막에 의해 노면 부근의 온도 상승을 억제하는 높은 효과를 장기간에 걸쳐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포장 블록은 요철상의 표면을 갖고, 다양한 안료를 배합 가능한 포장용 차열 도료를 이용하고 있기 때문에, 예를 들면 단일색의 노면을 갖도록 제작한 경우에도, 태양광의 각도의 경시 변화에 따라 음영이 변화되어 독특한 외관을 제공한다는 등, 우수한 경관성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포장 블록은, 요철상의 표면을 갖는 시멘트계 경화체를 이용하고 있기 때문에, 노면의 미끄러짐 저항이 크고, 보도, 차도 등의 용도에 이용한 경우, 보행자가 미끄러져 넘어지는 등의 사고를 일으킬 우려가 적고, 안전성도 우수하다.
또한, 본 발명의 포장 블록은, 제조 공장 내에서 포장용 차열 도료를 미리 도포하여 이루어지는 완성품으로서 시공 현장에 운반하여 이용할 수 있으며, 보도, 차도 등의 노면을 형성하는 포장체를 용이하면서도 단시간에 형성시킬 수 있다.
[도 1] 본 발명의 포장 블록의 일례를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
[도 2] 도 1에 도시하는 포장 블록의 표면 부근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모식도.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포장 블록의 일례를 설명한다.
도 1 및 도 2 중, 포장 블록 (1)은 시멘트계 경화체 (2)의 요철상의 표면에 포장용 차열 도료 (3a)를 포함하는 피막 (3)을 형성시켜 이루어지는 표층과, 기층 (4)를 포함하는 것이다.
시멘트계 경화체 (2)의 요철상의 표면은, 보도, 차도, 주차장 등의 노면을 형성하기 위한 면(상면)이다.
시멘트계 경화체 (2)와 피막 (3)은 동일한 색일 수도 상이한 색일 수도 있지만, 동일색 또는 근사색인 것이 바람직하다. 동일색 또는 근사색이면, 예를 들면 요철상의 표면의 정상 부근의 차열 도료가 보행자나 차량과의 마찰 등에 의해 박락되었을 때, 이 박락에 의해 나타난 시멘트계 경화체 (2)의 노출 부분과 박락되지 않고 남은 피막 (3) 사이에 큰 색채의 차이가 발생하지 않고, 외관을 손상시키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근사색이란, JIS Z 8729(CIE Lab 표시계)로 측색한 경우의 색차 ΔE가 6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3 이하인 것을 말한다.
또한, 시멘트계 경화체 (2) 대신에 밀입도 아스팔트 혼합물, 다공질 아스팔트 혼합물 등을 포함하는 아스팔트계 경화체층을 이용한 경우, 아스팔트계 경화체 자체에 고온하에서의 변형 및 마찰에 의한 마모 감소가 발생하기 때문에, 피막 (3)의 박락량은 시멘트계 경화체에 비해 크다고 생각된다. 또한, 이 경우, 피막 (3)이 박락되지 않은 부분과, 피막 (3)이 박락된 부분(아스팔트계 경화체가 노출된 부분)과의 사이에 색채의 차이가 발생하여, 외관을 손상시키게 된다.
피막 (3)은, 포장용 차열 도료만을 포함하는 것으로 하여 형성할 수도 있고, 또는 포장용 차열 도료와 규사 등의 세골재를 포함하는 것으로 하여 형성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는, 피막 (3)이 포장용 차열 도료만을 포함하는 경우에도 우수한 미끄러짐 저항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시멘트계 경화체 (2) 대신에 아스팔트계 경화체를 이용하고, 피막 (3)이 규사 등의 세골재를 포함하지 않는 경우, 우수한 미끄러짐 저항을 얻는 것은 곤란하다. 이 점에서, 본 발명에서는, 규사 등의 세골재를 이용하지 않아도 노면의 BPN값(미끄러짐 저항)이 60 이상이라는 우수한 미끄러짐 저항을 얻을 수 있다.
피막 (3)의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2,000 ㎛, 보다 바람직하게는 100 내지 1,000 ㎛, 특히 바람직하게는 200 내지 500 ㎛이다. 상기 두께가 30 ㎛ 미만이면, 노면 부근의 온도 상승 억제 효과를 충분히 얻을 수 없고, 피막의 두께를 균일하게 하는 것이 곤란하다. 또한, 피막의 내구성도 저하된다. 상기 두께가 2,000 ㎛를 초과하면, 노면 부근의 온도 상승 억제 효과의 증대를 구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포장용 차열 도료의 사용량이 증대되어 경제적으로 불리하고, 포장 블록이 투수성인 경우에는, 포장 블록의 표면의 공극을 막아 투수성을 저하시키는 경우가 있다. 또한, 포장 블록의 표면의 요철의 깊이가 얕아져, 음영이 얇아지기 때문에, 외관도 악화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포장용 차열 도료(이하, 「차열 도료」라 하는 경우가 있음)란, 포장면의 도막을 형성하기 위한 도료이며, 직사 일광에 의한 포장면 부근의 온도 상승의 억제 효과를 발휘할 수 있는 도료를 말한다.
본 발명에서 이용되는 차열 도료는, 20 ℃의 온도하에 표준 밀입도 아스팔트의 표면을 3시간 조사한 경우에 상기 표준 밀입도 아스팔트의 표면 온도가 60 ℃가 되는 지점에 배치한 150 W의 광원에 대하여, 이 표준 밀입도 아스팔트의 표면에 차열 도료를 이용하여 두께 300 ㎛의 피막을 형성시킴으로써, 상기 표면 온도를 바람직하게는 5 ℃ 이상(표면 온도: 55 ℃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 이상(표면 온도: 50 ℃ 이하) 저하시킬 수 있는 것이다.
차열 도료로서는, 예를 들면 (a) 태양광에 대하여 가시광 영역의 전자파를 흡수하고, 적외 영역(780 내지 2100 nm)의 전자파의 반사율이 큰 안료(예를 들면, 도료의 구성 성분으로서 이용되는 착색 안료, 백색 안료 또는 체질 안료가 이러한 성질을 갖는 것)를 혼련한 것, (b) 축열을 억제하여 방열 성능이 큰 소재를 혼련한 것, (c) 적외 영역의 전자파를 단파장으로 변환하는 소재를 혼련한 것, (d) 단열 소재(예를 들면, 중공 구조의 세라믹 벌룬 입자체)를 혼련한 것, (e) 루틸계 산화티탄(백색 안료) 등의 차열 성능을 갖는 성분을 포함하는 도막의 상면에 투명 세라믹 비드 등의 재귀성 비드를 산포함으로써, 도막 중에 재귀성 비드가 부분적으로 가라앉으면서 부분적으로 노출된 상태가 된 것 등을 들 수 있지만,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차열 도료는, 상기 (a) 내지 (e) 중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을 단독으로 이용할 수도 있고,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이용할 수도 있다.
차열 도료의 종류로서는, 실리콘 아크릴 에멀션계, 아크릴 에멀션계, 용제 가용 아크릴계, 우레탄 수지계, 우레아 수지계, 에폭시 수지계, 비닐에스테르 수지계 등을 들 수 있지만,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차열 도료의 시판품의 예로서는, 「ATTSU-9 road W」, 「ATTSU-9 road U」( 이상, 니혼 페인트사 제조), 「SP 리플렉터 W」, 「SP 리플렉터 V」(이상, 신토 도료사 제조), 「샤네트」(아라카와 도료사 제조), 「쿨톱 호도」(스즈카 파인사 제조), 「쿨레인」(스페리아사 제조), 「미라쿨 S300」(나가시마 도쿠슈 도료사 제조), 「에코 쿨마일드」(다이니폰 도료사 제조), 「컬러 팔트 쿨」(다이도 도료사 제조)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차열 도료는 내알칼리성 및 내수성을 갖는 것이고, 본 발명에서 바람직하게 이용된다.
차열 도료의 도포 방법의 예로서는, 분무, 롤러, 브러시, 커튼 플로우, 디핑 등을 들 수 있다.
차열 도료의 경화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면 상온 경화, 가열 경화, UV 경화 등을 들 수 있다.
피막 (3) 위에 아크릴계, 폴리우레탄계, 폴리카르보네이트계 등의 재료를 포함하는 투명한 코팅제를 더 도포하여, 투명한 보호막을 형성시킬 수도 있다. 보호막에 의해, 피막 (3)의 내구성, 방오성, 내스크래치 손상성, 내후성 등을 높일 수 있다.
시멘트계 경화체 (2)의 요철상의 표면은, (a) 다공성 콘크리트로서의 상기 시멘트계 경화체의 제작, (b) 쇼트 블러스트 마무리, (c) 세정 마무리, (d) 요철상의 내면을 갖는 형틀의 사용 중에서 선택되는 1개 이상에 의해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이들의 바람직한 조합의 일례로서, 상기 (a)와 상기 (d)의 조합을 들 수 있다. 이 경우, 포장 블록의 물성의 예로서, 차열 도료에 관한 상기 정의에서 규정한 조건하에서의 상기 표면 온도의 저하가 10 ℃ 이상(표면 온도: 50 ℃ 이하)이고, 「JIPEA-TM-6」에 규정된 인터로킹 블록의 미끄러짐 저항 시험 방법에 준하여 측정되는 미끄러짐 저항이 80 BPN 이상인 것을 들 수 있다.
이 중, 우선 (a)에 대하여 설명한다.
다공성 콘크리트로서의 시멘트계 경화체 (2)를 제작하는 경우, 포장 블록 (1)은 기층 (4)를 다공성 콘크리트로 하여, 투수성인 것으로서 제작할 수도 있고, 또는 기층 (4)를 치밀한 콘크리트로 하여, 비투수성인 것으로서 제작할 수도 있다.
투수성을 갖는 경우, 시멘트계 경화체 (2)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골재 (2a)끼리 페이스트 (2b)에 의해 고착되어 포장 블록으로서 필요한 강도를 가짐과 함께, 연속 공극 (2c)를 갖기 때문에, 빗물 등을 노면으로부터 침투시켜, 포장 블록의 하부로부터 땅속에 수분을 배출시킬 수 있으며, 우수한 투수성을 갖는다. 이 경우, 포장 블록 (1)의 투수 계수는 바람직하게는 0.01 cm/초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05 내지 0.5 cm/초이다.
또한, 투수성을 갖는 포장 블록 (1) 중의 연속 공극 (2c)의 부피 비율은, 예를 들면 16 내지 28 %이다. 상기 비율이 16 % 미만이면 투수 계수가 작아져, 우수한 투수성을 얻을 수 없다. 상기 비율이 28 %를 초과하면, 포장 블록으로서의 사용에 필요한 강도를 얻을 수 없고, 공극 직경이 커지기 때문에, 포장 블록의 표면의 요철이 커져 보행의 안전성이 저하된다.
시멘트계 경화체 (2)는, 다공질 콘크리트 경화체(다공성 콘크리트 경화체) 제작용의 통상의 재료를 이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투수성 또는 비투수성의 포장 블록 (1)의 노면의 BPN값(미끄러짐 저항)은, 보도의 경우 40 이상, 차도의 경우 60 이상이다.
기층 (4)는, 통상 다공질 또는 비다공질의 콘크리트 경화체로서 형성된다.
상기 (b)의 쇼트 블러스트 마무리란, 강철구립을 시멘트계 경화체 (2)에 분무하여 가공하는 방법을 말한다.
쇼트 블러스트 마무리에 의해, 예를 들면 0.2 내지 5.0 mm의 깊이를 갖는 요철상의 표면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c)의 세정 마무리란, 종석(種石)을 혼련한 재료를 포함하는 시멘트계 경화체 (2)의 시멘트 페이스트가 아직 경화되지 않은 동안에, 표면을 수세하여, 표면 부분의 종석의 일부를 노출시키는 방법을 말한다.
세정 마무리는, 종석의 크기에 따라 예를 들면 0.3 내지 15 mm의 깊이를 갖는 요철상의 표면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d)의 「요철상의 내면을 갖는 형틀의 사용」은, 슬릿상 등의 요철상의 내면을 갖는 형틀을 이용하는 것이다.
슬릿상의 요철의 일례로서는, 측방으로부터 본 측면이 다수의 삼각형이 연속된 톱니 형상이며, 위쪽으로부터 본 평면이 직선상의 피크부(정상)와 직선상의 밸리부(바닥)가 교대로 서로 평행하게 나타나는 것을 들 수 있다. 이 경우, 피크부끼리의 피치는 예를 들면 3 내지 50 mm이고, 피크부와 밸리부의 거리(요철의 깊이)는 예를 들면 1 내지 10 mm이다.
슬릿상의 요철의 다른 예로서는, 측방으로부터 본 측면 형상이 지대치( abutment tooth) 형상, 웨이브 형상 등이 있으며, 위로부터 본 평면에 대해서도 우물정자 형상의 요철 등을 들 수 있다.
슬릿상 이외의 요철상 형상의 예로서는, 점상, 원추대상, 사각추대상, × 자상 등을 들 수 있다.
[실시예]
[실시예 1]
(1) 시멘트계 경화체
투수성을 갖는 다공성 콘크리트인 블록 A(블록 표면의 색조: 시멘트 그레이(N5), 치수: 길이 100 mm×폭 200 mm×두께 60 mm, 상면의 형태: 평탄)를 제작하였다.
(2) 피막 형성용 도료
차열 도료(상품명: ATTSU-9 road W, 색: 회색(N7), 니혼 페인트사 제조)를 피막 형성용 도료 a로서 이용하였다.
(3) 포장 블록
블록 A의 상면에, 에어 스프레이 분무에 의해 피막 형성용 도료 a를 도포하여, 포장 블록 (1)을 얻었다. 도포 후의 피막의 두께는 200 ㎛였다.
(4) 광 조사시의 포장 블록의 상면 온도의 측정
실험실 내에서, 포장 블록의 상면을 제외한 표면(5개의 면)의 전부에 대하여 단열재 발포 폴리스티렌폼이 접촉한 상태로 포장 블록을 고정하였다. 이 포장 블록의 위쪽에 광원(빔램프; 150 W)을 배치하였다. 광원의 위치는, 실온(20 ℃)하에 포장 블록 (1) 대신에 표준 밀입도 아스팔트(후술하는 비교예 2 참조)를 이용하여 3시간 조사한 경우, 이 표준 밀입도 아스팔트의 표면 온도가 약 60 ℃가 되는 지점으로 정하였다.
광을 3시간 조사하고 있는 동안, 포장 블록 (1)의 표면의 중심점 온도를 T형 열전대에 의해 데이터 로거를 이용하여 1분 간격으로 측정하고, 그의 최고 온도(표 1 중의 「표면 온도」)를 구하였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5) 투수 계수 및 미끄러짐 저항의 측정
「JIS A 5371 프리캐스트 무근 콘크리트 제품 부속서 2(규정) 포장ㆍ경계 블록류 장려 사양 2-3 인터로킹 블록」에 규정되어 있는 인터로킹 블록의 투수성 시험 방법에 준하여, 포장 블록 (1)의 투수 계수를 측정하였다.
또한, 「JIPEA-TM-6」에 규정된 인터로킹 블록의 미끄러짐 저항 시험 방법에 준하여, 포장 블록 (1)의 미끄러짐 저항을 측정하였다.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실시예 2]
피막 형성용 도료 a 대신에 이하의 피막 형성용 도료 b를 이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포장 블록의 표면 온도, 투수 계수, 미끄러짐 저항을 측정하였다. 결과를 표 1 및 표 2에 나타낸다.
차열 도료(상품명: SP 리플렉터 W, 색: 베이지(N7), 신토 도료사 제조)를 피막 형성용 도료 b로서 이용하였다.
[비교예 1]
피막 형성용 도료 a를 이용하지 않은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포장 블록의 표면 온도, 투수 계수, 미끄러짐 저항을 측정하였다. 결과를 표 1 및 표 2에 나타낸다.
[비교예 2]
블록 A 대신에 밀입도 아스팔트 콘크리트를 포함하는 블록 B를 이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포장 블록의 표면 온도를 측정하였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실시예 3]
평탄한 볼록부의 폭 5 mm, 평탄한 오목부의 폭 3 mm, 연직벽의 높이(요철의 깊이) 1.5 mm의 슬릿 형상(요철상의 내면을 갖는 형틀을 사용하여 형성시킨 것)을 상면에 갖는 것 이외에는 블록 A와 동일하게 제작한 블록 C를 이용하고, 피막 형성용 도료 a를 포함하는 피막의 두께를 300 ㎛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포장 블록의 표면 온도, 투수 계수, 미끄러짐 저항을 측정하였다. 결과를 표 1 및 표 2에 나타낸다.
[실시예 4]
피막 형성용 도료 a 대신에 피막 형성용 도료 b를 이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3과 동일하게 하여 포장 블록의 표면 온도, 투수 계수, 미끄러짐 저항을 측정하였다. 결과를 표 1 및 표 2에 나타낸다.
Figure pct00001
Figure pct00002
1 포장 블록
2 시멘트계 경화체
3 포장용 차열 도료를 포함하는 피막
4 기층
5 표면
2a 조골재
2b 페이스트
2c 연속 공극
3a 포장용 차열 도료

Claims (3)

  1. 시멘트계 경화체의 요철상의 표면에 포장용 차열 도료를 포함하는 피막을 형성시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 블록.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멘트계 경화체의 요철상의 상면이 (a) 다공성 콘크리트로서의 상기 시멘트계 경화체의 제작, (b) 쇼트 블러스트 마무리, (c) 세정 마무리, (d) 요철상의 내면을 갖는 형틀의 사용 중에서 선택되는 1개 이상에 의해 형성되는 포장 블록.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시멘트계 경화체와 상기 피막이 동일색 또는 근사색인 포장 블록.
KR1020127026851A 2010-04-16 2010-08-03 포장 블록 KR2013006113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0-094879 2010-04-16
JP2010094879 2010-04-16
PCT/JP2010/063095 WO2011129022A1 (ja) 2010-04-16 2010-08-03 舗装ブロック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61130A true KR20130061130A (ko) 2013-06-10

Family

ID=447984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26851A KR20130061130A (ko) 2010-04-16 2010-08-03 포장 블록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WO2011129022A1 (ko)
KR (1) KR20130061130A (ko)
CN (1) CN102834567A (ko)
WO (1) WO201112902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327814B2 (ja) * 2013-09-06 2018-05-23 奥アンツーカ株式会社 全天候弾性舗装体
GB2603725B (en) * 2019-11-05 2024-01-03 Comptoir Du Batiment Nv Composite building materials with a textured surface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89374A (ja) * 1990-07-27 1992-03-23 Washi Chuetsu Board Kk 窯業系基材の含浸着色方法及び該方法により製造された化粧板
CN2359363Y (zh) * 1998-11-02 2000-01-19 金钟甲 特殊合成树脂石料地砖
JP4116829B2 (ja) * 2002-03-28 2008-07-09 太平洋セメント株式会社 透水性コンクリートブロック
JP2004251108A (ja) * 2003-01-31 2004-09-09 Kajima Road Co Ltd 道路等の舗装体
JP4546328B2 (ja) * 2005-05-31 2010-09-15 大有建設株式会社 舗装体及びその製造方法
CN200940247Y (zh) * 2006-07-18 2007-08-29 黄清标 表面具有突出条纹的人行道地面砖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1129022A1 (ja) 2011-10-20
CN102834567A (zh) 2012-12-19
JPWO2011129022A1 (ja) 2013-07-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999205B2 (ja) コンクリート又はモルタル
JP4546328B2 (ja) 舗装体及びその製造方法
KR102183668B1 (ko) 소수성 실리카 에어로겔을 포함하는 도로용 적외선 및 열 반사 수용성 도료 조성물
CN104684857A (zh) 具有分区的结构的玻璃粒料
KR100990255B1 (ko) 압착식 차열성 도막 칼라 미끄럼 저항 코팅 방법 및 이에 사용하는 수용성 칼라코팅재
JP5778959B2 (ja) 遮熱性ブロック、遮熱性ブロックの成型方法、及び遮熱性セメント組成物
JP2013078945A (ja) 積層体
KR20130061130A (ko) 포장 블록
JP2019155919A (ja) 面材
KR20140014677A (ko) 친환경 차열성 투수블록 및 그 제조 방법
TW201920812A (zh) 彈性粒狀物及其製造方法、使用該粒狀物之人工草坪、鋪設體與該等之製造方法
Fan et al. Effects of load and environment on the durability and anti-skid performance of road heat-reflective coating
JP2005061042A (ja) 太陽熱遮断性舗装体
JP2020163854A (ja) 面材
KR101529683B1 (ko) 표면오염 발생을 방지한 유색 고반사 블록 형성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블록의 제조방법
JP4837933B2 (ja) 昇温抑制骨材
JP6057434B2 (ja) 太陽熱高反射構造体
US20220049500A1 (en) Solar-Reflective Roofing Granules with Hollow Glass Spheres
KR101529681B1 (ko) 블록 형성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블록의 제조방법
JP3417864B2 (ja) 建築物又は構築物用表面装飾材の製造方法
JP2006144369A (ja) 遮熱性セラミック真空球体配合の硬質骨材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骨材を用いた道路の舗装方法
KR102507807B1 (ko) 축광 및 재귀반사 기능을 갖는 야광비드 혼합물과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야광도로 박층 포장방법
RU2196052C1 (ru) Облицовочная плита и способ ее изготовления
JP2001003544A (ja) 建築物または構築物表面仕上用装飾材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1003545A (ja) 建築物または構築物表面仕上用磨き仕上調装飾材及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