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60666A - 해상구조물 브릿지의 콘솔 이동장치 - Google Patents

해상구조물 브릿지의 콘솔 이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60666A
KR20130060666A KR1020110126853A KR20110126853A KR20130060666A KR 20130060666 A KR20130060666 A KR 20130060666A KR 1020110126853 A KR1020110126853 A KR 1020110126853A KR 20110126853 A KR20110126853 A KR 20110126853A KR 20130060666 A KR20130060666 A KR 201300606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sole
offshore structure
moving device
bridge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268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02017B1 (ko
Inventor
편정오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1268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02017B1/ko
Publication of KR201300606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606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020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020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49/00Arrangements of nautical instruments or navigational ai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5/00Superstructures, deckhouses, wheelhouses or the like; 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masts or spars, e.g. bowspri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25/00Tracks for special kinds of railways
    • E01B25/02Tracks for rack railways
    • GPHYSICS
    • G12INSTRUMENT DETAILS
    • G12BCONSTRUCTIONAL DETAILS OF INSTRUMENTS, OR COMPARABLE DETAILS OF OTHE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2B9/00Housing or supporting of instruments or other apparatus
    • G12B9/08Supports; Devices for carrying
    • G12B9/10Instruments boards; Panels; Desks; Ra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13/00Navigational aids and use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cla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해상구조물 브릿지의 콘솔 이동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상구조물 브릿지의 콘솔 이동장치는 해상구조물을 제어하는 콘솔을 지지하는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는 상기 콘솔이 직접 설치되어 회전 가능한 제 1 테이블, 상기 제 1 테이블과 직면하여 하부에 배치된 제 2 테이블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테이블과 상기 제 2 테이블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제 1 테이블을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수단 및 상기 제 2 테이블과 접촉하여 상기 제 2 테이블의 면과 평행한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동작하는 이동수단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해상구조물 브릿지의 콘솔 이동장치{Movable Apparatus For Bridge Console of Marine Structure}
본 출원은 해상구조물 브릿지의 콘솔 이동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해상구조물의 항해 또는 특수작업을 위하여 사용되는 브릿지의 콘솔을 조타실 내에서 이동 가능하도록 하는 해상구조물 브릿지의 콘솔 이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박 등 해상구조물의 조타실(Wheelhouse)내에 항해를 위한 전방 브릿지 제어 콘솔(Forward Bridge Control Console)이 설치된다. 여기서, 전방 브릿지 제어 콘솔은 조타실의 조타장치 및 계기반을 말한다.
그리고, 해상구조물 내에서 특수 장치들을 작동하기 위한 후방 브릿지 제어 콘솔(After Bridge Control Console)이 설치되거나, 후진 항해를 위하여 브릿지 제어 콘솔이 설치된다.
도 1은 조타실에서 콘솔의 배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의 (a)에 도시된 조타실(10)과 도 1의 (b)에 도시된 조타실(11)의 외형과 내부 구조는 다르지만, 기본적으로 선수 방향을 향하여 전방 브릿지 제어 콘솔(20,21)이 설치되고, 선미 방향을 향하여 후방 브릿지 제어 콘솔(30,31)이 설치된다.
상기 전방 브릿지 제어 콘솔(20,21)과 상기 후방 브릿지 제어 콘솔(30,31)은 그 수행하는 역할이 다를 수도 있으나, 각각이 수행하는 역할을 위해 실제로 사용되는 장비들은 항해통신장치, 각종 센서장치, 모니터링 장비 등으로 거의 동일하다.
이러한 후방 브릿지 제어 콘솔을 설치하기 위하여 부대장비 증설에 따른 비용이 증가하게 되며, 설치 공간이 확보되어야 하고, 부대장치의 인터페이스를 위한 부가적 작업까지 요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등록실용신안 제 20-0410365호 한국공개실용신안 제20-2010-000773호
본 출원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전방과 후방에 각각 설치되는 브릿지 제어 콘솔을 이중으로 설치하지 않고, 하나의 브릿지 제어 콘솔을 이용하며, 인터페이스를 위한 케이블 물량을 줄일 수 있는 해상구조물 브릿지의 콘솔 이동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해상구조물을 제어하는 콘솔을 지지하는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는 상기 콘솔이 직접 설치되어 회전 가능한 제 1 테이블, 상기 제 1 테이블과 직면하여 하부에 배치된 제 2 테이블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테이블과 상기 제 2 테이블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제 1 테이블을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수단 및 상기 제 2 테이블과 접촉하여 상기 제 2 테이블의 면과 평행한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동작하는 이동수단을 포함하는 해상구조물 브릿지의 콘솔 이동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테이블은 제 1 바텀부와 상기 제 1 바텀부 외주를 따라 수직방향으로 연장된 제 1 연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테이블은 상기 제 1 테이블의 제 1 바텀부와 대응된 제 2 바텀부와 상기 제 2 바텀부 외주를 따라 수직방향으로 연장된 제 2 연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테이블의 제 1 연장부와 제 2 테이블의 제 2 연장부 사이에 회전수단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테이블은 상기 제 1 연장부를 따라 링 형상의 곡면을 갖는 제 1 가이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테이블은 상기 제 1 테이블과 대응되어 상기 제 2 연장부를 따라 링 형상의 곡면을 갖는 제 2 가이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수단은 상기 제 1 가이드부의 곡면 및 제 2 가이드부의 곡면과 면접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테이블의 제 1 바텀부와 상기 제 2 테이블의 제 2 바텀부간의 간격은 상기 제 1 테이블의 제 1 연장부와 상기 제 2 테이블의 제 2 연장부간의 간격보다 더 넓을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수단은 상기 제 1 테이블의 제 1 가이드부의 곡면 및 상기 제 2 테이블의 제 2 가이드부의 곡면과 면접촉하는 베어링, 상기 제 1 테이블과 상기 제 2 테이블의 중심을 연결하는 구동축 및 상기 제 1 테이블의 제 1 바텀부와 상기 제 2 테이블의 제 2 바텀부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구동축을 회전시키는 제 1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수단은 상기 제 2 테이블의 하면과 면접촉하는 바디부, 상기 바디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의 양 끝단에 연결되는 바퀴 및 상기 바디부에 설치되며 상기 회전축을 회전시키는 제 2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해상구조물 브릿지의 콘솔 이동장치는 조타실 내부에서 상기 이동수단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레일을 가지는 이동 가이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해상구조물 브릿지의 콘솔 이동장치는 상기 콘솔에 연결되며 플럭시블한 재질을 갖는 케이블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해상구조물을 제어하는 콘솔이 설치되는 제 1 테이블이 제 2 테이블 상부에서 회전 가능하고, 이동수단을 통해 이동 가능하게 함으로써, 하나의 콘솔을 원하는 위치와 방향으로 변경할 수 있다.
또한, 후방 브릿지 콘솔이 별도로 필요하지 않게 되고 인터페이스 케이블 물량을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베어링을 가지는 회전수단을 이용함으로써, 보다 안정적으로 브릿지 콘솔의 방향을 변경할 수 있다.
또한, 레일을 이용함으로써, 전방을 향하는 브릿지 콘솔을 후방으로 이동 시 파도 등에 의해 흔들리는 해상구조물 내에서 보다 안정적으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브릿지 콘솔의 이동 시 해상구조물을 제어하는 장치에 연결되는 케이블이 플럭시블한 재질을 가짐으로써, 후방에 케이블을 별도로 설치할 필요가 없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조타실에서 콘솔의 배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솔 이동장치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3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솔 이동장치가 회전하는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솔 이동장치의 작동를 나타내는 횡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내용을 보다 쉽게 개시하기 위하여 설명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첨부된 도면의 범위로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용이하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기능을 갖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부호를 사용할 뿐 실질적으론 종래 브릿지의 콘솔과 완전히 동일하지 않음을 미리 밝힌다.
또한,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솔 이동장치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브릿지의 콘솔 이동장치(200)는 지지부(210), 회전수단(240), 이동수단(260) 및 이동 가이드부(300)를 포함한다.
지지부(210)는 해상구조물을 제어하는 콘솔을 지지하며, 제 1 테이블(220)과 제 2 테이블(230)를 포함한다.
제 1 테이블(220)에는 상기 콘솔이 상부에 설치된다. 도시된 제 1 테이블(220)은 원판 형상을 가지나,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회전할 수 있는 형상이면 적용 가능하다.
제 2 테이블(230)은 상기 제 1 테이블(220)과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며, 상기 제 1 테이블(220) 하부에 설치된다.
회전수단(240)은 베어링(242), 구동축(244) 및 제 1 구동부(246)를 포함한다.
베어링(242)은 상기 제 1 테이블(220)과 상기 제 2 테이블(230)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제 1 테이블(220)를 지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베어링(242)은 복수 개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 1 테이블(220) 및 상기 제 2 테이블(230)의 외주를 따라 연속적으로 배치됨으로써 보다 안정적으로 상기 제 1 테이블(220)을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어링(242)은 구 형상을 가지며 동시에 상기 제 1 테이블(220) 및 상기 제 2 테이블(230)의 외주를 따라 연속적으로 배치됨에 따라 상기 제 1 테이블(220)은 상기 제 1 테이블(220)과 상기 제 2 테이블(230)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할 수 있다.
상기 베어링(242)이 상기 제 1 테이블(220)과 상기 제 2 테이블(230) 사이에 배치되는 자세한 구조는 이후 도면을 참조하여 후술하도록 한다.
구동축(244)은 상기 제 1 테이블(220)과 상기 제 2 테이블(230)의 중심을 연결하며, 상기 구동축(244)은 상기 제 1 테이블(220)에 고정되어 상기 제 1 테이블(220)과 일체로 회전될 수 있다.
후술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2 테이블(230)은 중심에 상기 구동축(240)의 끝단과 대응되도록 구동축 수용홈(237)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구동축(244)은 상기 제 2 테이블(230)에서 이탈되지 않고 회전 가능하다.
또한, 상기 구동축(244)은 상기 제 1 테이블(220) 상부에 설치된 콘솔의 하중을 지지하는 역할을 상기 베어링(242)과 함께 수행할 수도 있다.
제 1 구동부(246)는 상기 구동축(244)을 회전하기 위한 구동력을 갖는 수단 예를 들어, 전기 모터 혹은 기계식 모터 등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테이블(230) 상면에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제 1 구동부(246)는 상기 구동축(244)에 연결되어 상기 구동축(244)에 회전력을 전달한다. 상기 제 1 구동부(246)가 상기 구동축(244)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구조는 기어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고 이러한 구조는 당업자에게 자명한 사항으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상과 같이, 회전수단은 상술한 상기 베어링(242), 상기 구동축(244), 상기 제 1 구동부(246)만으로 이루어진 것 이외에 상기 제 1 테이블(220)을 회전시킬 수 있는 수단이면 어느 것이든 가능하고, 또한 상기 제 1 테이블(220)을 회전시킬 수 있는 수단이면, 상기 회전수단(240)을 구성하는 구성요소들의 추가 및 삭제가 가능할 수 있다.
이동수단(260)은 바디부(261), 회전축(262), 바퀴(263) 및 제 2 구동부(264)를 포함한다.
바디부(261)는 상기 제 2 테이블(230)의 하면과 면접촉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달리, 상기 바디부(261)는 상기 제 2 테이블(230)과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회전축(262)은 복수 개이고, 복수개의 회전축(262)이 평행하게 바디부(261)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된다.
바퀴(263)는 상기 회전축(262)의 양 끝단에 설치되며 상기 회전축(262)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된다.
제 2 구동부(264)는 상기 제 1 회전축(262)을 회전하기 위한 구동력 갖는 수단 예를 들어 전기 모터 혹인 기계식 모터 등을 포함하고, 상기 바디부(261) 내에 설치된다.
또한, 상기 제 2 구동부(264)는 상기 회전축(262)에 연결되어 상기 회전축(262)에 회전력을 전달한다. 상기 제 1 구동부(246)와 마찬가지로 상기 제 2 구동부(264)가 상기 회전축(262)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구조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에 따라 상기 이동수단(260)은 상기 브릿지의 콘솔이 설치된 지지부(210)를 상기 조타실(100) 내에서 원하는 장소로 이동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이동수단은 상술한 상기 바디부(261), 상기 회전축(262), 상기 바퀴(263), 상기 제 2 구동부(264)만으로 이루어진 것 이외에 상기 지지부(210)를 이동시킬 수 있는 수단이면 어느 것이든 가능하고, 또한 상기 지지부(210)를 이동시킬 수 있는 수단이면, 상기 이동수단을 구성하는 구성요소들의 추가 및 삭제가 가능할 수 있다.
이동 가이드부(300)는 소정 두께를 가지는 프레임이고, 상기 바퀴(263)의 하부와 대응되도록 곡면을 가지는 가이드 레일(310)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하여, 상기 바퀴(263)는 상기 가이드 레일(310)을 따라 이동 가능하다.
이에 따라, 해상에 부유되는 해상구조물이 파도 또는 바람에 의해 흔들리는 경우에도 상기 브릿지의 콘솔 이동장치(200)가 상기 레일(310)을 따라서 보다 안정적으로 이동할 수 있다.
도 3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솔 이동장치가 회전하는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여 상기 베어링(242)이 상기 제 1 테이블(220)과 상기 제 2 테이블(230) 사이에 배치되는 구조를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제 1 테이블(220)은 제 1 바텀부(221), 제 1 연장부(222) 및 제 1 가이드부(225)를 포함한다.
제 1 바텀부(221)는 상기 제 1 테이블(220)의 몸체이고, 제 1 연장부(222)는 상기 제 1 바텀부(221) 외주를 따라 수직방향으로 연장된다. 또한, 제 1 가이드부(225)는 상기 제 1 연장부(222)를 따라 링 형상의 곡면을 가진다.
상기 제 2 테이블(230)은 제 2 바텀부(231), 제 2 연장부(232) 및 제 2 가이드부(235)를 포함한다.
제 2 바텀부(231)는 상기 제 1 테이블(220)의 제 1 바텀부(231)와 대응되며 상기 제 2 테이블(230)의 몸체이고, 제 2 연장부(232)는 상기 제 1 연장부(222)와 대응되게 상기 제 2 바텀부(231) 외주를 따라 수직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또한, 제 2 가이드부(235)는 상기 제 1 가이드부(225)와 대응되게 상기 제 2 연장부(232)를 따라 링 형상의 곡면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테이블(220)의 제 1 연장부(222)와 상기 제 2 테이블(230)의 제 2 연장부(232)는 소정간격을 두고 이격되고, 이에 따라 상기 제 1 테이블(220)이 회전 시 상기 제 2 테이블(230)과의 마찰에 의한 회전력 감소 혹은 제 1 테이블 및 제 2 테이블의 마모됨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베어링(242)은 상기 제 1 가이드부(225)의 곡면과 상기 제 2 가이드부(235)의 곡면과 면접촉한다.
상기 제 1 가이드부(225)와 상기 제 2 가이드부(235)에 복수 개의 베어링(242)이 설치되며, 상기 베어링(242)에 의해 상기 제 1 테이블(220)은 상기 제 1 테이블(220) 및 상기 제 2 테이블(230)의 중심을 기준으로 회전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여 상기 제 1 테이블(220)과 상기 제 2 테이블(230) 사이에 제 1 구동부(246)의 배치되는 구조를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제 1 테이블(220)의 제 1 바텀부(221)와 상기 제 2 테이블(230)의 제 2 바텀부(231)간의 간격은 상기 제 1 테이블(220)의 제 1 연장부(222)와 상기 제 2 테이블(230)의 제 2 연장부(232) 간의 간격보다 더 넓다.
그리고, 상기 제 1 바텀부(221)와 상기 제 2 바텀부(231) 사이에 상기 제 1 구동부(246)가 배치된다.
이러한 상기 제 1 구동부(246)가 배치됨으로써, 상기 제 1 구동부(246)를 설치하기 위한 별도의 공간을 구비할 필요가 없어 공간 활용도가 높아지게 된다.
또한, 상기 제 1 구동부(246)가 상기 회전축(244)에 가까이 배치됨으로써, 상기 회전축(244)의 회전력을 상기 제 1 구동부(246)에 보다 용이하게 전달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제 1 테이블(220)과 상기 제 2 테이블(230) 사이에 상기 회전수단(240)이 설치되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브릿지의 콘솔 이동장치(200)는 원하는 방향을 향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브릿지의 콘솔 이동장치(200)는 상기 회전수단(240)는 상기 구동축(244)과 상기 제 1 구동부(246)를 포함하나, 상기 구동축(244)과 상기 제 1 구동부(246)가 포함되지 않고 상기 회전수단(240)는 상기 베어링(242)만을 포함하여 수동으로 브릿지 콘솔 이동장치(200)를 회전할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브릿지 콘솔 이동장치의 작동을 나타내는 횡단면도이다.
브릿지의 콘솔 이동장치(200)는 해상구조물의 조타실(100) 내에 설치된다.
상기 조타실(100)은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외형과 내부 구조가 다양할 수 있으나, 전방 브릿지의 콘솔뿐만 아니라 후방 브릿지의 콘솔이 필요로 한다. 또한, 상기 조타실(100)은 전방뿐만 아니라 후방의 시야가 확보되도록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브릿지 콘솔 이동장치(200)는 선수를 방향을 향하고 있다.
해상구조물이 정박되거나 움직이지 않고 해상에서 부유한 상태에서 선미에서 해상구조물 내에 설치된 특수 장치를 제어하기 위하여 상기 브릿지 콘솔 이동장치(200)를 상기 레일(300)을 따라 이동시킨다.
그리고, 상기 브릿지 콘솔 이동장치(200)를 선미를 향하도록 회전시킨다.
또한, 브릿지의 콘솔에 연결되는 케이블은 선수에서 선미 방향으로 상기 브릿지 콘솔 이동장치(200)을 이동 시 연결을 해제하고, 선미 방향으로 이동 후 선미방향에서 작업하기 위한 장소에 별도로 설치된 케이블을 브릿지 콘솔에 연결한다.
한편, 케이블은 플럭시블한 재질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브릿지 콘솔 이동장치(200)가 이동하는 경우, 플럭시블한 재질을 가지는 케이블은 연결을 해제하지 않고 상기 브릿지 콘솔 이동장치(200)에 연결된 상태로 이동 가능하다.
또한, 상기 케이블은 필요한 길이만큼 늘어날 수 있도록 상기 바디부(261)에 권취된 상태일 수 있다.
이에 따라, 후방에 별도로 설치되는 인터페이스의 케이블 물량을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브릿지의 콘솔 이동장치(200)는 하나의 브릿지의 콘솔을 조타실 내의 전방에서 후방으로 이동할 수 있어 후방 브릿지 콘솔이 별도로 필요하지 않게 되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은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10, 11, 100: 조타실 20, 21: 전방 브릿지 제어 콘솔
30, 31: 후방 브릿지 제어 콘솔 200: 브릿지의 콘솔 이송장치
210: 지지부 220: 제 1 테이블
221: 제 1 바텀부 222: 제 1 연장부
225: 제 1 가이드부 230: 제 2 테이블
231: 제 2 바텀부 232: 제 2 연장부
235: 제 2 가이드부 237: 구동축 수용홈
240: 회전수단 242: 베어링
244: 구동축 246: 제 1 구동부
260: 이동수단 261: 바디부
262: 회전축 263: 바퀴
264: 제 2 구동부 300: 이동 가이드부
310: 레일

Claims (8)

  1. 해상구조물을 제어하는 콘솔을 지지하는 지지부;
    상기 지지부는 상기 콘솔이 직접 설치되어 회전 가능한 제 1 테이블, 상기 제 1 테이블과 직면하여 하부에 배치된 제 2 테이블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테이블과 상기 제 2 테이블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제 1 테이블을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수단; 및
    상기 제 2 테이블과 접촉하여 상기 제 2 테이블의 면과 평행한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동작하는 이동수단
    을 포함하는 해상구조물 브릿지의 콘솔 이동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테이블은 제 1 바텀부와 상기 제 1 바텀부 외주를 따라 수직방향으로 연장된 제 1 연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테이블은 상기 제 1 테이블의 제 1 바텀부와 대응된 제 2바텀부와 상기 제 2 바텀부 외주를 따라 수직방향으로 연장된 제 2 연장부를 포함하는 해상구조물 브릿지의 콘솔 이동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테이블은 상기 제 1 연장부를 따라 링 형상의 곡면을 갖는 제 1 가이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테이블은 상기 제 1 테이블과 대응되어 상기 제 2 연장부를 따라 링 형상의 곡면을 갖는 제 2 가이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수단은 상기 제 1 가이드부의 곡면 및 상기 제 2 가이드부의 곡면과 면접촉되는 해상구조물 브릿지의 콘솔 이동장치.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테이블의 제 1 바텀부와 상기 제 2 테이블의 제 2 바텀부간의 간격은 상기 제 1 테이블의 제 1 연장부와 상기 제 2 테이블의 제 2연장부간의 간격보다 더 넓은 해상구조물 브릿지의 콘솔 이동장치.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수단은
    상기 제 1 테이블의 제 1 가이드부의 곡면 및 상기 제 2 테이블의 제 2 가이드부의 곡면과 면접촉되는 베어링;
    상기 제 1 테이블과 상기 제 2 테이블의 중심을 연결하는 구동축 및
    상기 제 1 테이블의 제 1 바텀부와 상기 제 2 테이블의 제 2 바텀부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구동축을 회전시키는 제 1 구동부를 포함하는 해상구조물 브릿지의 콘솔 이동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수단은
    상기 제 2 테이블의 하면과 면접촉하는 바디부;
    상기 바디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의 양 끝단에 연결되는 바퀴 및
    상기 바디부에 설치되며 상기 회전축을 회전시키는 제 2 구동부
    를 포함하는 해상구조물 브릿지의 콘솔 이동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조타실 내부에서 상기 이동수단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레일을 가지는 이동 가이드부를 더 포함하는 해상구조물 브릿지의 콘솔 이동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콘솔에 연결되며 플럭시블한 재질을 갖는 케이블을 더 포함하는 해상구조물 브릿지의 콘솔 이동장치.
KR1020110126853A 2011-11-30 2011-11-30 해상구조물 브릿지의 콘솔 이동장치 KR1013020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6853A KR101302017B1 (ko) 2011-11-30 2011-11-30 해상구조물 브릿지의 콘솔 이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6853A KR101302017B1 (ko) 2011-11-30 2011-11-30 해상구조물 브릿지의 콘솔 이동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60666A true KR20130060666A (ko) 2013-06-10
KR101302017B1 KR101302017B1 (ko) 2013-08-30

Family

ID=488590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26853A KR101302017B1 (ko) 2011-11-30 2011-11-30 해상구조물 브릿지의 콘솔 이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0201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319693A (zh) * 2020-11-13 2021-02-05 镇江赛尔尼柯自动化有限公司 一种一体化拼接船桥驾驶控制平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02796B1 (ko) 2014-08-26 2018-11-13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양방향 운항 선박
KR101885201B1 (ko) * 2018-03-28 2018-08-03 디텍 주식회사 선박용 이동식 콘솔조립체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8557Y1 (ko) * 2005-05-26 2005-10-13 김재수 소금운반대차용 레일회전대구조
KR100957538B1 (ko) * 2008-09-19 2010-05-11 한국해양연구원 선박용 다목적 임무형 모듈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319693A (zh) * 2020-11-13 2021-02-05 镇江赛尔尼柯自动化有限公司 一种一体化拼接船桥驾驶控制平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02017B1 (ko) 2013-08-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52327B2 (en) Steering system for vessel
JP4327637B2 (ja) 船外機の操舵装置および船外機
US20110314949A1 (en) Robot
EP3000718B1 (en) Electrical propulsion device
CA2823925C (en) Steering device for a surfboard
KR101302017B1 (ko) 해상구조물 브릿지의 콘솔 이동장치
CN103085959A (zh) 船舶推进装置
JP2008168650A (ja) 駆動式球状ローラ
EP2641828B1 (en) Suspension device for outboard motor and vessel propulsion apparatus
KR20160121199A (ko) 헬리데크 구조체 및 이를 구비한 선박
KR101609195B1 (ko) 선외기 선박용 원격 조타 및 엔진 조정장치
JP2015521354A (ja) 連結システム
EP2987719B1 (en) A vessel comprising a propulsion unit
JP2007203845A (ja) 航行用操舵装置
JP4892677B2 (ja) 回転体支持機構
EP2607227B1 (en) Steering device for outboard engine
CN102476587B (zh) 用于车辆的触觉滚轮开关
CN101978170A (zh) 改变叶轮/推进器的叶片间距的装置及包括该装置的扇
EP3202638B1 (en) Steering-wheel power generation device
JP4901195B2 (ja) 可変ステアリングラックシステム
CN105916702B (zh) 遥控车辆
CN220114770U (zh) 一种电磁吸力系缆靠泊装置
JP7410976B2 (ja) 遠隔操縦装置
KR101755885B1 (ko) Atv 제어기구장치
CN116691987A (zh) 鳍板驱动装置、鳍板装置与船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