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98557Y1 - 소금운반대차용 레일회전대구조 - Google Patents

소금운반대차용 레일회전대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98557Y1
KR200398557Y1 KR20-2005-0015001U KR20050015001U KR200398557Y1 KR 200398557 Y1 KR200398557 Y1 KR 200398557Y1 KR 20050015001 U KR20050015001 U KR 20050015001U KR 200398557 Y1 KR200398557 Y1 KR 20039855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rail
salt
center
rot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1500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재수
Original Assignee
김재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재수 filed Critical 김재수
Priority to KR20-2005-001500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9855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9855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98557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23/00Easily dismountable or movable tracks, e.g. temporary railways; Detail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01B23/02Tracks for light railways, e.g. for field, colliery, or mine use
    • E01B23/06Switches; Portable switches; Turnou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2201/00Fastening or restraining methods
    • E01B2201/04Fastening or restraining methods by bolting, nailing or the like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2202/00Characteristics of moving parts of rail systems, e.g. switches, special frogs, tongues
    • E01B2202/02Nature of the movement
    • E01B2202/021Turning or tilting or elastically bending
    • E01B2202/022Turning or tilting or elastically bending about horizontal axi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2202/00Characteristics of moving parts of rail systems, e.g. switches, special frogs, tongues
    • E01B2202/08Locking devices or mechanisms for inhibiting mov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소금운반대차용 레일회전대구조에 관한 것으로, 설치 및 분해조립이 복잡한 구조를 탈피해 유지보수가 간편하도록 하고, 회전축계의 재질과 가공조립성을 감안한 회전판센터부싱(9)을 부싱과 고정수단인 플랜지 역활을 수행하도록 하고, 소금운반대차의 진입전·후의 안정성 및 방향전환의 편리와 조작동작을 간소화되게 고정판(1)의 우상편에 제1슬라이더잠금편(4)과, 볼트붙이핸들안내편(6)과 우하편에 제2슬라이더잠금편(5)을 형성하되, 좌하편에 일정높이의 회전판스톱퍼(3)를 돌출구비하고, 회전판(7)은 양 가로테에 회전판레일(8)을 형성하고 저면 모서리사방에 회전판호차(12)를 설치하고, 회전판(7)을 관통해 회전판센터부싱(9) 외연에 탭조립식으로 설치하고, 회전판(7) 우상단 모서리부에는 소운반대차호차스톱퍼(13)가 일방향으로만 회전자재되게 스톱퍼지지축(13a)을 돌출형성하며, 회전판레일(8) 앵글저면부에 형성한 잠금풀림너트(15)에 나사조립된 잠금풀림볼트붙이핸들(14)은 무게추에 의해 상시 하방을 지향한체, 회전판(7)이 회전될때 무게추가 고정판(1)상의 제1슬라이더잠금편(4)에 외접되거나, 제2슬라이더잠금편(5)내사면에 내접되게 이루짐을 특징으로 하는 소금운반대차용 레일회전대구조.

Description

소금운반대차용 레일회전대구조{the rail turning table structure for salt transport cart}
본 고안은 소금운반대차용 레일회전대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천일소금을 생산하는 천일염전은 저수지·증발지·결정지로 되어 있고, 그 밖에 염퇴장(鹽堆場)·도로 등이 부설되어 있으며, 이들 시설은 방조(防潮)의 역할을 하는 외제방과 육수(陸水)의 침입을 방지하는 내제방에 의하여 외수(外水)와 단절되어 있다. 증발지는 해수의 자연유하량(自然流下量)을 조절하기 위해 10계단의 계층으로 되어 있고, 또 함수를 농도별로 저류하여 조업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도록 각 단은 몇 개의 소지(小池)로 구분되어 있다. 염전 내부에는 각종 수로(용수로·송수로·배수로·도수로·역수로)와 함수류(鹹水溜) 등이 시설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천일염전의 결정지에서 생산된 소금을 거둬내 염전내 소로를 이용해 염퇴장에 소금을 가져다 저장해 간수가 빠진 소금을 일정단위로 포장해 출고하고 있는 실정이다.
상기와 같이 결정지로부터 생산된 소금을 운반하는 수단으로 예전에는 지게로 나르거나 또는 외발손수레를 이용해 염전 제방소로를 이용할때는 외발손수레의 방향전환이 인위적으로 이루어 졌다.
그러나 출원인의 선행기술인 공고실용신안공보 1997-0005902호(염전지 간이선로용소금운반대차구조)와 같이, 염전지에서 염퇴장까지 이르는 각 소로에 간이 레일을 부설하여 레일위를 주행하도록한 소금운반대차(도시되지 않았음)에 의해서는 좁은 염전소로상에서는 소금운반대차의 진행방향을 직각으로 전환시키는 수단이 필요로 하게 되였다.
이를 위하여, 출원인의 선행기술인 공개실용 96-5210호, 96-5211호(소금운반대차용 레일교차대구조)에 의하여 간이선로에서 주행하도록 한 소금운반대차의 방향전환을 용이하게 제공한바 있었다.
상기와 같은 선행기술에서 보였던 레일교차대중 한 유형은 『염전지 간이선로의 레일교차지점에 매설하도록된 매설앵커붙이 원형레일상에 '╋'버팀대 각하방에 호차를 붙이고 버팀대 상방에 대차용레일을 형성한 방식』과 『 염전지 간이선로의 레일교차지점에 일정규격의 콘크리트기초석상에 매설고정한 앵커볼트너트에 형성한 로울러상에 안치시킨 원형레일상에 대차용레일편을 형성하고, 원형레일 외주면 4곳에 고정탭을 형성한 방식』으로 주로 적용하여 왔었다.
본 고안의 상기와 같은 레일교차대는 구조가 간단하고 유지보수가 용이한 점은 있으나, 다음과 같은 문제점들이 있었다.
즉, 염전지 간이선로의 레일 교차지점에 하부기초콘크리트석을 조성하는 추가비용과 또, 레일교차대 주위에 설치하여 소금운반대차가 진입전 레일운반대차에 형성된 레일과 간이선로에 형성된 레일을 일치시키는 수단으로 레일교차대와는 별도로 소금운반대차용레일스톱퍼장치(200;도시되지 않았음)를 별도 사용해야 하는데, 소금운반대차가 진입시의 충격으로 설치위치가 자주 변형되거나 훼손되는 문제가 대두 되였다.
본인의 또 다른 선행기술로 2003.11.24 출원, 2004.4.9. 등록실용신안 제0348363호로 등록된 '소금대차용레일교차대구조'에 의하면, 『직사각판형 '상판' 가로부 길이규격으로 준비한 앵글 일변 외측중간높이에 용접해 측프레임을 구비하고, 다시 측프레임에는 평레일을 덧용접하며, 상기 상판 저부각 코너에는 일정높이의 캐스터를 설치하며, 일편 평레일과 측프레임의 폭 중간부에서 외측방으로 커팅해 형성한 멈춤레버홈에는 멈춤레버축에 끼워진 멈춤레버를 설치시킨 상판 중심 저면에는 외연에 고정볼트탭공이 형성된 센터드럼축플랜지를 고정볼트로 체결하고, 상기 센터드럼축플랜지 하부에 단턱이 형성된 센터드럼축에는 일측부가 절개된 센터드럼축조임관을 끼워 절개부양단에 레그(leg)를 붙여 조절나사로 간격 조절케하고, 센터드럼축조임관의 외연부에는 측면형상이 '⊥'인 매설지주를 용접구성』한 소금대차용레일교차대를 제공한바 있다.
본 고안은 상기 '소금대차용레일교차대'의 개량고안에 관한 것으로, 종전 제공된 고안에서, 매설지주 고정시 설치지점에 기초콘크리트공사를 생략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교자지에서 상판을 직각방향으로 선회시켜 간이선로상의 레일과 정확하게 일치시켜야 했던 불편을 개선코자한 개량고안에 관한 것이다.
참고로 근자의 다른 선행기술로 2004.6.16 출원, 2004.9.4. 등록실용신안 제0362098호로 등록된 '소금운반대차용 교차레일 회전대'에 있어서는 『방향전환대에 상면에 대차이동레일과 레일 일측에 스톱퍼조작로드와 고정로드조절레바를 형성한체, 저면에는 하부원형턱과 그 외주연에 회전롤러를 장착한체 고정로드를 연동되게한 고정로드조절레바를 상면에 설치하고,상기 하부원형턱의 내측에 위치될수 있는 크기의 높이를 갖는 상부원형턱이 상면중앙에 구비되고 바닥에 매설앵커를 형성한 하부고정대의 상면에 안착되어, 중심축을 기준으로 회전가능하도록 방향전환대의 저면과 하부고정대의 상면중앙에 설치되어 양부재를 일체로 결합시키는 회전축으로 구성』된 타인의 선원기술이 있다.
이와같은 선원기술에 있어서는 방향전환대에 소금대차를 진입시키기전에 작업자는 스톱퍼조작로드를 먼저 수평으로 위치시킨후, 소금대차를 진입한후, 다시 스톱퍼조작로드 수직으로 세우는 과정과 방향전환대에 진입후 소금대차를 진출방향으로 회전시키기 전에, 다시 방향전환대하부의 하부원형턱과 하부고정대의 상부원형턱상에 조립된 고정로드를 이탈시키기 위해, 고정로드조절레바를 하방으로 누룬체 소금대차를 진출시킬 선로의 레일과 일직선상이 되는 방향으로 돌린후, 다시 스톱퍼조작로드를 수평으로 조작시켜 소금대차의 이동바퀴로 부터 스톱퍼를 이탈시킨후 진출하고자 하는 간이선로로 옮겨 이동시켜야 하는 여러 조작단계를 거치게 된다.
또한, 방향전환대상에 설치된 2개의 스톱퍼상에 소금대차의 이동바퀴가 정확하게 위치되기전 진입시키는 소금대차의 주행 관성력에 의하여 방향전환대로부터 이탈될 수 있는 우려를 해결하지 못하고 있다.
또 한편 '중심축을 기준으로 회전가능하도록 방향전환대의 저면과 하부고정대의 상면중앙에 설치되어 양부재를 일체로 결합시키는 회전축'으로 구성된 선원기술에 있어서, 방향전환대 저면에 소모품으로 교체보수가 필요로하는 회전롤러나 고정로드 등을 교체보수하기 위해선 용이한 분해작업이 이루어져야 하지만, 방향전환대 저면과 하부고정대 상면에 설치되는 양부재는 분해가 어려운 '일체'로 결합된 회전축으로 구성된바와 같이 유지보수가 용이치 않다는 점이 대두된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기존의 소금운반대차용레일회전대가 설치사용되는 환경이 부식에 취약한 염전지에 사용되는 점을 감안하여, 종전 선원기술들의 구조상 문제점 이였던, 설치 및 분해조립이 복잡한 구조를 탈피해 유지보수가 간편하도록 구성한 제품을 제공하도록 한다.
또, 중량체인 소금운반대차의 진입전·후의 안정성 및 방향전환의 편리와 조작동작을 간소화시킨 소금운반반대차용레일회전대구조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이루기 위하여,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고안의 일실시 구성 및 작용을 알아보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외관사시도로, 도 2는 본 고안의 주요부 상하판 분해사시도로 도시된바 같이, 직사각형의 고정판(1) 저면부에 사방으로 기초고정대(1a)가 일체 용접되며, 센터 저면부에서 상면부 방향으로는 센터회전축(2)이 용접 돌출구비되는 상기 고정판(1)에 있어서, 상기 고정판(1)의 우상편 코너부에는 가로측변으로부터 우측편이 반시계방향으로 틀어지게 제1슬라이더잠금편(4)을 돌출구비하고, 이와인접된 세로측에는 볼트붙이핸들안내편(6)을 세로측변과 평행되게 돌출구비하는 한편, 상기 고정판(1)의 우하편 코너부에는 가로측변으로 부터 시계방향으로 틀어지게 제2슬라이더잠금편(5)을 돌출구비하되, 상기 고정판(1)의 좌하편코너부에는 앵글토막으로 회전판스톱퍼(3)를 돌출구비 된다.참고로, 상기 제1슬라이더잠금편(4),제2슬라이더잠금편(5),볼트붙이핸들안내편(6)의 규격은 후술하는 잠금풀림볼트붙이핸들(14)이 안내되도록 가로5㎝, 세로 2㎝, 두께 0.5㎝ 규격으로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고정판(1)의 센터회전축(2)에는 고정판(1) 넓이규격에 내재되는 크기의 직사각 회전판(7)의 양가로테에는 회전판(7) 바닥면보다 높도록, 앵글을 용접시켜 회전판레일(8)을 형성하며, 상기 회전판(7) 저면 모서리사방에 일정규격과 높이의 각관을 하방향으로 용접형성한 회전판호차프레임(11)저부에는 회전판호차고정볼트(12a)와 회전판호차고정너트(12b)로 회전판호차(12)를 설치하고, 회전판(7) 중심 저면부에는 원판인 회전판센터부싱(9)의 중심을 관통하여 회전판(7) 상면으로 돌출된 센터회전축(2)부에 센터회전축와셔(9a)와 센터회전축너트(9a)로 조립하고, 회전판센터부싱고정볼트(10)로 회전판(7)을 관통해 회전판센터부싱(9) 외연에 탭조립해 설치한다.
또한, 상기 회전판레일(8)사이의 회전판(7) 우상단 모서리부에는 일토막의 앵글 일편을 볼트체결해 소금운반대차호차스톱퍼(13)가 일방향으로만 회전자재되게 앵글후단에는 스톱퍼지지축(13a)을 돌출형성하며, 스톱퍼지지축(13a)의 외연부의 회전판레일(8) 앵글저면부에는 잠금풀림너트(15)을 용접형성시켜, 이와 체결되는 잠금풀림볼트붙이핸들(14)은 무게추에 의해 상시 하방을 지향한체, 회전판(7)이 회전될때 무게추가 고정판(1)상의 제1슬라이더잠금편(4)에 외접되거나, 제2슬라이더잠금편(5)내사면에 내접되게 이루어진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을 도 1 내지 2를 참조하면서, 동작상태도인 도 3 내지 도 6에 의해 알아보면,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소금운반대차 진입후 레일회전대 교차전의 주요부 발췌 동작사시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소금운반대차 진입후 레일회전대의 교차후 주요부 발췌 동작사시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소금운반대차 진입후 레일회전대의 교차전 평면위치도(ⅰ)와 측면위치도(ⅱ)이며, 도 6는 본 고안에 따른 소금운반대차 진입후 레일회전대의 교차후 평면위치도(ⅰ)와 측면위치도(ⅱ)를 도시하고 있다.
즉, 염전지에서 염퇴장까지 이르는 각 소로에 간이레일을 부설하여 레일위를 주행하도록한 소금운반대차의 원활한 레일회전을 위한 소금운반대차용 레일회전대는 다음과 같이 설치된다.
먼저, 도 2에 도시된바와 같은 고정판(1)저면에 형성된 기초고정대(1a)가 레일교차 지중에 매설되게 시킨다.
이때, 고정판(1)이 설치되는 레일교차지의 지면 높이는 간이레일이 부설된 소로에 비해서는 낮은 위치가 되도록 조성하며, 특히 고정판(1)의 센터회전축(2)에 조립된체 회전판호차(12)에 의해 구름접촉되는 회전판(7)은 회전판 상편에 설치된 회전판레일(8)의 높이와 소로상에 부설된 간이레일의 높이가 수평을 이루도록 유의 해야 한다.
또한, 레일교차지에 설치되는 회전판(7)은 간이선로레일(17)쪽으로 회전판스톱퍼(3)가 지향되게 설치하며, 염퇴장쪽레일(18)쪽으로는 제1슬라이더잠금편(4)이 지향되게 설치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레일교차지에 설치된 레일회전대(100)에 의한 레일 교차동작으로는 다음과 같다.
즉, 간이선로레일(17)을 주행해온 소금운반대차(도시되지 않았음)가 레일회전대(100)로 진입하기전에 교차지에 설치된 회전판(7)은 도 3, 또는 도 5의 (ⅰ)과 같은 상태이다.
이와같이 간이선로레일(17)과 회전판(7)상의 회전판레일(8)이 일직선상에 정확하게 정렬되어 소금운반대차가 회전판(7)상에 진입할수 있도록 되는 것은, 간이선로레일(17)쪽에 설치된 고정판(1)의 회전판스톱퍼(3)에 의한 것이다.
즉, 고정판(1)상의 센터회전축(2)을 기점으로 일정원주로 회전되는 회전판(7)의 가로부테에 형성된 회전판레일(8) 구성부인 앵글 외방에 부딪혀, 앵글 외부쪽으로는 회전판(7)이 회전되지 않는 상태가 유지된다.
또 한편, 염퇴장쪽레일(18)쪽 고정판(1)에 형성된 제1슬라이더잠금편(4)의 사면부에는 회전판레일(8) 앵글저면부에 용접형성된 잠금풀림너트(15) 체결된 잠금풀림볼트붙이핸들(14)에 형성된 무게추가 상시 하방을 지향하여, 상기 고정판(1)상의 제1슬라이더잠금편(4)에 외접되어 지지 된 상태가 된다.
이와같이, 회전판(7)은 고정판(1)상에서 센터회전축(2)을 중심축으로 회전판(7)의 가로부 좌우가 상기 회전판스톱퍼(3)와 제1슬라이더잠금편(4)에 의해 지지된 상태에서 간이선로레일(17)과 회전판(7)상의 회전판레일(8)이 일직선상에 정확하게 정렬되어 소금운반대차가 회전판(7)상에 용이하게 진입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다음으로 도 3에 도시된바와 같이,간이선로레일(17)쪽으로 진입해온 소금운반대차는 회전판(7)상의 회전판레일(8)을 타고 진입하다가, 소금운반대차호차(16)는 소금운반대차호차스톱퍼(13)인 앵글에 부딪혀 정지하게 되는 것은, 회전판레일(8)사이의 회전판(7) 우상단 모서리부에 일토막의 앵글 일편이 볼트체결되어 일방향으로만 회전자재되는 앵글 후단에는 돌출형성된 스톱퍼지지축(13a)에 의하여, 간이선로레일(17)쪽에서만 진입이 허용된체 소금운반대차호차(16)가 멈추게 된다.
때문에 소금운반대차를 밀고온 작업자는 회전판(7)상에 얹힌체 멈춰선 소금운반대차는 도 5의 (ⅰ)에 도시된바와 같이, 시계방향으로만 정확하게 직각으로 회전시킬수 있어, 염퇴장쪽레일(18)쪽으로 소금운반대차를 용이하게 진출시킬수 있게 된다.
참고로, 상기의 소금운반대차호차(16)가 소금운반대차호차스톱퍼(13)에 부딪히는 순간, 소금운반대차호차(16)의 바퀴외주부는 잠금풀림볼트붙이핸들(14)의 무게추 반대편인 상단스틱을 진행방향으로 약간 밀면서 진행해, 잠금풀림너트(15)상에 나사조여진 잠금풀림볼트붙이핸들(14)이 풀리게 되고, 잠금풀림볼트붙이핸들(14)에 형성된 무게추가 제1슬라이더잠금편(4)으로 부터 이탈되어 들려진 상태가 된다.
따라서, 도5에 도시된바 같이, 작업자는 회전판(7)상에 얹힌 소금운반대차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도 6의 상태와 같이 회전시키게 된다.
이때, 도 6과 같이 소금운반대차가 정확하게 직각으로만 회전된 상태로 유지하게 하는 것은, 상기의 잠금풀림볼트붙이핸들(14)에 형성된 무게추가 제1슬라이더잠금편(4)으로 부터 이탈되어 들려진 상태에서 회전판(7)상에 얹힌 소금운반대차를 회전시킬때, 잠금풀림볼트붙이핸들(14)은 볼트붙이핸들안내편(6)을 경유하는 과정에서 무게추가 부딪혀 잠금풀림너트(15)로부터 더욱 나사조립이 추가로 풀린체, 회전하다가 센터회전축(2)을 기준으로 원주의 우하편 모서리에 돌출구비된 제2슬라이더잠금편(5)의 내사면부에 부딪혀 밀리는 과정에서 잠금풀림볼트붙이핸들(14)의 나사가 조여지므로서, 소금운반대차스톱퍼(13)쪽이 고정됨과 동시에 회전판스톱퍼(3)에 의해서도 동시에 회전판(7)이 지지된 상태가 되는 것이다.
이와같은 상태에서 작업자는 별도의 조작없이도 소금운반대차를 염퇴장쪽레일(18)상으로 정확히 직각 레일이동시키도록 되는 것이다.
염퇴장쪽레일(18)을 경유해 염퇴장(도시되지 않았음)에 소금을 하역한후, 다시 상술한 바와 같은 반대의 경로를 거쳐 간이선로레일(17)상으로 소금운반대차를 레일이동시키게 되도록 한 것이다.
부연하자면, 도 4에 도시된바와 같이,염퇴장쪽레일(18)에서 회전판(7)상의 회전판레일(8)을 거쳐 진입한 소금운반대차의 소금운반대차호차(16)의 바퀴가 잠금풀림볼트붙이핸들(14)의 상단스틱에 부딪힌체 회전되다가 소금운반대차스톱퍼(13)에 의해 진행을 멈춘상태로, 제2슬라이더잠김편(5)의 내사면부에 잠긴상태로 있는 잠금풀림볼트붙이핸들(14)의 무게추 반대편 상단스틱이 들뜬상태로 제2슬라이더잠금편(5)으로부터 이탈될 수 있게 되어, 작업자는 소금운반대차를 간이선로레일(17)쪽으로 소금운반대차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한편, 소금운반대차호차스톱퍼(13)가 일방향으로만 회전자재되게 앵글후단에는 스톱퍼지지축(13a)을 돌출형성되므로, 본 고안에 실시적용한 바와 같이, 간이선로레일(17)쪽에서 진행해오는 소금운반대차는 계속 직진하지는 못하지만, 그 맞은편에 간이선로레일이 설치된 조건에서는 소금운반대차호차스톱퍼(13)가 소금운반대차호차(16)에 의해 밀리면서 진입되어 직진이 가능하도록 된다.
그리고, 본 고안에 적용된 회전판센터부싱(9)은 모노캐스팅나이론(mono cast nylon)재를 한정채택하여 기계적강도와 자기 윤활성이 뛰어나게 하며, 내열성이 좋은 금속대체용으로 양호하도록 한다.
특히 부식조건하의 염전지에서 센터회전축(2)의 회전축부싱의 역활과 더불어 고정판(1)과 회전판(7)을 동시에 조립하는 플랜지 역활을 수행하도록한 것으로 제품의 내부식성을 향상시키도록 한 것이다.
상술한바와 같이 구성되어 작용되는 본 고안 소금운반대차용 레일회전대는 설치사용되는 환경이 부식에 취약한 염전지에 사용되는 점을 감안하여, 회전축계의 재질과 가공조립성을 감안한 회전판센터부싱(9)을 모노캐스팅나이론재로 채택함과 더불어, 부싱과 고정수단인 플랜지 역활을 수행하도록 하여 고정판으로부터 회전판의 동작이 원활하게 동작되게 하였으며, 부식에 강하도록 하고, 용이하게 분해되도록 구성하여 설치 및 분해조립이 복잡한 구조를 탈피해 유지보수가 간편하도록 고안인 것이다.
또, 중량체인 소금운반대차의 진입전·후의 안정성 및 방향전환의 편리와 더불어, 회전판상에 얹힌 소금운반대차로 방향을 선회시키는 동작외에는 별도의 조작없이 레일회전 동작이 정확하게 직각으로 이루어도록 한 것으로, 종전에 여러 고안에 비하여, 작업의 능률을 배가시킨 매우 유용한 효과를 제공하는 고안인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외관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주요부 상하판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소금운반대차 진입후 레일회전대 교차전의 주요부 발췌 동작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소금운반대차 진입후 레일회전대의 교차후 주요부 발췌 동작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소금운반대차 진입후 레일회전대의 교차전 평면위치도(ⅰ)와 측면위치도(ⅱ)
도 6는 본 고안에 따른 소금운반대차 진입후 레일회전대의 교차후 평면위치도(ⅰ)와 측면위치도(ⅱ)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레일회전대
1:하부판 1a:기초고정대
2:센터회전축 3:회전판스톱퍼
4:제1슬라이더잠금편 5:제2슬라이더잠금편
6:볼트붙이핸들안내편 7:회전판
8:회전판레일 9:회전판센터부싱
9a:센터회전축너트 9b:센터회전축와셔
10:회전판센터부싱고정볼트 11:회전판호차프레임
12:회전판호차 12a:회전판호차고정볼트
12b:회전판호차고정너트 13:소금운반대차호차스톱퍼
13a:스톱퍼지지축 14:잠금풀림볼트붙이핸들
15:잠금풀림너트 16:소금운반대차호차
17:간이선로레일 17:염퇴장쪽레일

Claims (2)

  1. 직사각형의 고정판(1) 저면부에 사방으로 기초고정대(1a)가 일체 용접되며, 센터 저면부에서 상면부 방향으로는 센터회전축(2)이 용접 돌출구비되는 상기 고정판(1)에 있어서,
    상기 고정판(1)의 우상편 코너부에는 가로측변으로부터 우측편이 반시계방향으로 틀어지게 제1슬라이더잠금편(4)을 돌출구비하고, 이와 인접된 세로측에는 볼트붙이핸들안내편(6)을 세로측변과 평행되게 돌출구비하는 한편, 상기 고정판(1)의 우하편 코너부에는 가로측변으로 부터 시계방향으로 틀어지게 제2슬라이더잠금편(5)을 돌출구비하되, 상기 고정판(1)의 좌하편 코너부에는 앵글토막으로 회전판스톱퍼(3)를 돌출구비하는 고정판(1)과
    상기, 센터회전축(2)에는 고정판(1) 넓이규격에 내재되는 크기의 직사각 회전판(7)의 양가로테에는 회전판(7) 바닥면보다 높도록, 앵글을 용접시켜 회전판레일(8)을 형성하며, 상기 회전판(7) 저면 모서리사방에 일정규격과 높이의 각관을 하방향으로 용접 형성한 회전판호차프레임(11)저부에는 회전판호차고정볼트(12a)와 회전판호차고정너트(12b)로 회전판호차(12)를 설치하고, 회전판(7) 중심 저면부에 는 원판인 회전판센터부싱(9)의 중심을 관통하여 회전판(7) 상면으로 돌출된 센터회전축(2)부에 센터회전축와셔(9a)와 센터회전축너트(9a)로 조립하고, 회전판센터부싱고정볼트(10)로 회전판(7)을 관통해 회전판센터부싱(9) 외연에 탭조립해 설치하고,
    상기 회전판레일(8)사이의 회전판(7) 우상단 모서리부에는 일토막의 앵글 일편을 볼트체결해 소금운반대차호차스톱퍼(13)가 일방향으로만 회전자재되게 앵글후단에는 스톱퍼지지축(13a)을 돌출형성하며, 스톱퍼지지축(13a)의 외연부의 회전판레일(8) 앵글저면부에는 잠금풀림너트(15)를 용접형성해, 이와 체결되는 잠금풀림볼트붙이핸들(14)은 무게추에 의해 상시 하방을 지향한체, 회전판(7)이 회전될때 무게추가 고정판(1)상의 제1슬라이더잠금편(4)에 외접되거나, 제2슬라이더잠금편(5)내사면에 내접되게 이루짐을 특징으로 하는 소금운반대차용 레일회전대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회전판센터부싱(9) 원판은 모노캐스팅나이론(mono cast nylon)재를 채택하여, 센터회전축(2)의 회전축부싱의 역활과 더불어 고정판(1)과 회전판(7)을 동시에 조립하는 플랜지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소금운반대차용 레일회전대구조.
KR20-2005-0015001U 2005-05-26 2005-05-26 소금운반대차용 레일회전대구조 KR20039855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5001U KR200398557Y1 (ko) 2005-05-26 2005-05-26 소금운반대차용 레일회전대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5001U KR200398557Y1 (ko) 2005-05-26 2005-05-26 소금운반대차용 레일회전대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98557Y1 true KR200398557Y1 (ko) 2005-10-13

Family

ID=436996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15001U KR200398557Y1 (ko) 2005-05-26 2005-05-26 소금운반대차용 레일회전대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98557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5493B1 (ko) * 2008-03-24 2008-10-27 서경산업주식회사 대차용 방향전환 장치
KR101302017B1 (ko) * 2011-11-30 2013-08-30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해상구조물 브릿지의 콘솔 이동장치
KR101838724B1 (ko) * 2015-02-27 2018-03-14 우도영 친환경 수상구조물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5493B1 (ko) * 2008-03-24 2008-10-27 서경산업주식회사 대차용 방향전환 장치
KR101302017B1 (ko) * 2011-11-30 2013-08-30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해상구조물 브릿지의 콘솔 이동장치
KR101838724B1 (ko) * 2015-02-27 2018-03-14 우도영 친환경 수상구조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98557Y1 (ko) 소금운반대차용 레일회전대구조
EP3219983B1 (en) Blade transport vehicle
WO2013086769A1 (zh) 一种大型风力发电机叶片运输装置及其使用方法
JP2013028468A (ja) レール走行式門型クレーン
KR20120121254A (ko) 회전식 지주대
KR200398558Y1 (ko) 염전지 이동식 레일회전대
CN208184783U (zh) 运营高铁双线隧道车载探地雷达检测装置
US3999569A (en) Irrigation sprinkling apparatus with adjustable ground contacting elements
CN201932139U (zh) 平板汽车上的旋转台车
KR100955789B1 (ko) 맨홀보수용 멀티 노면 절단장치
CN106015863A (zh) 一种龙门架显示屏用旋转装置
CN209353736U (zh) 滚动式可转向的钢梁滑移装置
CN219029449U (zh) 一种运输小车
KR200348363Y1 (ko) 소금대차용레일교차대구조
CN207959007U (zh) 一种前支腿抱墩装置
JP3200279U (ja) 自走式農作業車両の改造用部品、自走式農作業車両、及び農作業システム
CN201761495U (zh) 用于输电线路施工的轻轨转向装置
US10426105B2 (en) Travelling irrigation wheeled support tower
JPH042721B2 (ko)
CN212946303U (zh) 一种贝雷片生产用支撑架焊接翻转胎架
CN220535637U (zh) 一种多功能运输小车
CN213205076U (zh) 一种用于雨天钢管防腐作业的防雨结构
CN217128090U (zh) 一种隧道口间分离式路基回转车道活动护栏
CN216660903U (zh) 一种多地形电杆转运装置
CN216232644U (zh) 一种履带行驶装置及拖拉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3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4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