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65493B1 - 대차용 방향전환 장치 - Google Patents

대차용 방향전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65493B1
KR100865493B1 KR1020080026747A KR20080026747A KR100865493B1 KR 100865493 B1 KR100865493 B1 KR 100865493B1 KR 1020080026747 A KR1020080026747 A KR 1020080026747A KR 20080026747 A KR20080026747 A KR 20080026747A KR 100865493 B1 KR100865493 B1 KR 1008654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l
plate
upper plate
balance
pressing mea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267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배
Original Assignee
서경산업주식회사
김종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경산업주식회사, 김종배 filed Critical 서경산업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267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6549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654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654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7/00Switches; Crossings
    • E01B7/02Tongues; Associated constructions
    • E01B7/04Constructions with tongues turning about a vertical pivot at the end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7/00Switches; Crossings
    • E01B7/20Safety means for switches, e.g. switch point protectors, auxiliary or guiding rail mem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레일과 레일이 교차하는 곳에서 대차의 주행방향을 작업자가 의도한 대로 간편하게 전환할 수 있도록 한 대차용 방향전환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레일과 레일이 만나는 곳에서 대차의 진행방향을 전환하기 위한 대차용 방향전환 장치에 있어서, 레일 교차부 바닥면에 고정 설치되고 그 중심에 회전축이 형성된 고정판과, 그 저면에 상기 고정판의 회전축이 축설된 림부가 형성되고 그 저면 모서리부에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원활하게 회전하도록 바퀴가 설치되며 그 상면에 레일부가 형성된 상판과, 상기 상판의 급격한 회전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림부의 외주연을 가압하기 위한 가압수단이 상기 림부에 인접하여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기술적 구성에 따르면, 지형적 특성에 따라 다양한 형상의 레일을 적용함으로써 염전에서뿐만 아니라 시설하우스나 일반 공산품의 하역장에서도 널리 활용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따르면 회전장치로의 과진입 및 진퇴를 방지함으로써 대차의 주행방향을 작업자가 의도한 대로 간편하게 전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회전장치의 방향전환시 레일에 정확히 정렬됨으로써 들고나기가 매우 편리하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르면 회전장치의 상판 회전시 급격한 회전을 방지함으로써 대차의 탈선이나 레일에 과도한 휨력이 작용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대차, 레일, 회전장치, 스토퍼, 가압수단, 멈춤부재

Description

대차용 방향전환 장치{The rail turning table apparatus for transport cart}
본 발명은 대차용 방향전환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레일과 레일이 교차하는 곳에서 대차의 주행방향을 작업자가 의도한 대로 간편하게 전환할 수 있도록 한 대차용 방향전환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대차는 차체를 지지하여 레일 위로 안전하게 달리도록 하는 바퀴가 달린 (동력 또는 무동력)운반수단을 일컫는다.
이와 같은 대차는 물건을 싣고 나르는 일이 반복적으로 이루어지는 곳에서 주로 사용된다.
일례로, 염전의 경우 결정지에서 생산된 소금을 염전내 소로를 따라 염퇴장으로 실어나르는데 대차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를 위하여, 염전지에서 염퇴장까지 이르는 소로에 레일이 설치되고, 레일과 레일이 만나는 곳에 대차의 주행방향을 전환하기 위한 대차용 방향전환 장치가 설치된다.
종래 대차용 방향전환 장치를 살펴보면, 2004.6.16 출원, 2004.9.4. 등록실용신안 제0362098호로 등록된 '소금운반대차용 교차레일 회전대'는 『방향전환대에 상면에 대차이동레일과 레일 일측에 스톱퍼조작로드와 고정로드조절레바를 형
성한체, 저면에는 하부원형턱과 그 외주연에 회전롤러를 장착한체 고정로드를 연동되게한 고정로드조절레바를 상면에 설치하고,상기 하부원형턱의 내측에 위치될수 있는 크기의 높이를 갖는 상부원형턱이 상면중앙에 구비되고 바닥에 매설앵커
를 형성한 하부고정대의 상면에 안착되어, 중심축을 기준으로 회전가능하도록 방향전환대의 저면과 하부고정대의 상면중앙에 설치되어 양부재를 일체로 결합시키는 회전축으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선원기술에 있어서는 방향전환대에 소금대차를 진입시키기전에 작업자는 스톱퍼조작로드를 먼저 수평으로 위치시킨후, 소금대차를 진입한후, 다시 스톱퍼조작로드 수직으로 세우는 과정과 방향전환대에 진입후 소금대차를 진출방향
으로 회전시키기 전에, 다시 방향전환대하부의 하부원형턱과 하부고정대의 상부원형턱상에 조립된 고정로드를 이탈시키기 위해, 고정로드조절레바를 하방으로 누룬체 소금대차를 진출시킬 선로의 레일과 일직선상이 되는 방향으로 돌린후, 다
시 스톱퍼조작로드를 수평으로 조작시켜 소금대차의 이동바퀴로 부터 스톱퍼를 이탈시킨후 진출하고자 하는 간이선로로 옮겨 이동시켜야 하는 여러 조작단계를 거치게 된다.
또한, 방향전환대상에 설치된 2개의 스톱퍼상에 소금대차의 이동바퀴가 정확하게 위치되기전 진입시키는 소금대차의 주행 관성력에 의하여 방향전환대로부터 이탈될 수 있는 우려를 해결하지 못하고 있다.
또 한편 '중심축을 기준으로 회전가능하도록 방향전환대의 저면과 하부고정대의 상면중앙에 설치되어 양부재를 일체로 결합시키는 회전축'으로 구성된 선원기술에 있어서, 방향전환대 저면에 소모품으로 교체보수가 필요로하는 회전롤러나 고
정로드 등을 교체보수하기 위해선 용이한 분해작업이 이루어져야 하지만, 방향전환대 저면과 하부고정대 상면에 설치되는 양부재는 분해가 어려운 '일체'로 결합된 회전축으로 구성된바와 같이 유지보수가 용이치 않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레일과 레일이 교차하는 곳에서 대차의 주행방향을 작업자가 의도한 대로 간편하게 전환할 수 있도록 한 대차용 방향전환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설치 및 유지보수가 용이하고 방향전환시 손쉽게 이동방향 측의 레일에 정렬시킬 수 있도록 한 대차용 방향전환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레일과 레일이 만나는 곳에서 대차의 진행방향을 전환하기 위한 대차용 방향전환 장치에 있어서, 레일 교차부 바닥면에 고정 설치되고 그 중심에 회전축이 형성된 고정판과, 그 저면에 상기 고정판의 회전축이 축설된 림부가 형성되고 그 저면 모서리부에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원활하게 회전하도록 바퀴가 설치되며 그 상면에 레일부가 형성된 상판과, 상기 상판의 급격한 회전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림부의 외주연을 가압하기 위한 가압수단이 상기 림부에 인접하여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가압수단은 상기 림부를 사이에 두고 양측에서 가압할 수 있도록 상기 고정판의 상면에 체결공이 천공된 체결부와, 상기 체결부에 축설되되 그 선단의 가압편을 진퇴시켜 가압정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너트에 의해 조절되는 나사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상판은 상기 가압수단을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도록 상기 가압수단에 대응하는 위치에 조작창이 천공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레일부의 일측 양단에 대차의 과진입 또는 진퇴를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레일부에 폭방향으로 장홀이 천공되고 상기 장홀에 내재된 상태에서 제칠 수 있도록 그 단부가 힌지 결합된 스토퍼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레일부의 일측단에 대차의 과진입을 방지할 수 있도록 돌출 형성된 걸림턱이 구비된다.
또한, 상기 고정판은 상기 상판 회전시 상기 상판의 어느 일측면이 맞닿아 멈춤으로써 레일에 상기 레일부를 용이하게 정렬시킬 수 있도록 그 상면 일측에 멈춤부재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상판의 레일부는 그 상면이 레일 면과 동일한 형상을 갖도록 절곡 성형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지형적 특성에 따라 다양한 형상의 레일을 적용함으로써 염전에서뿐만 아니라 시설하우스나 일반 공산품의 하역장에서도 널리 활용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 본 발명에 따르면 회전장치로의 과진입 및 진퇴를 방지함으로써 대차의 주행방향을 작업자가 의도한 대로 간편하게 전환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회전장치의 방향전환시 레일에 정확히 정렬됨으로써 들고나기가 매우 편리하다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르면 회전장치의 상판 회전시 급격한 회전을 방지함으로 써 대차의 탈선이나 레일에 과도한 휨력이 작용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대차용 방향전환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대차용 방향전환 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대차용 방향전환 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스토퍼의 타 실시예시도, 도 4 및 5는 본 발명에 적용된 레일의 타 실시 예시도이다.
먼저, 도 1 및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대차용 방향전환 장치는 레일(1)과 레일(1')이 만나는 곳에 설치되며, 크게 바닥면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판(10)과 레일(1,1')과 동일 높이로 레일부(21)가 형성되고 고정판(10)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상판(20)으로 구성된다. 미설명부호 2는 레일 굄목이다.
고정판(10)은 대략 판상으로 제작되며, 네 귀퉁이에 고정공(11)이 천공된다. 이에 따라 고정공(11)을 통해 못을 박아 바닥면에 고정판(10)을 고정하거나 바닥면에 콘크리트를 타설한 후 돌출 볼트(미도시)를 고정공(11)에 위치시킨 후 너트(미도시)로 죄어 고정판(10)을 고정할 수도 있다. 물론, 고정판(10)은 바닥면에 고정되면 족하므로 고정판(10)의 하부에 돌출편(미도시)을 두어 그 상태에서 가압하여 돌출편이 바닥면에 박히도록 하여 고정판(10)을 고정할 수도 있다.
또, 고정판(10)은 그 중심에 회전축(12)이 돌출 형성되어 상판(20) 저면에 형성된 축 삽입공(31)과 축 결합된다. 이에 따라, 상판(20)은 고정판(10)의 회전축(12)을 중심으로 레일(1)과 레일(1') 사이를 회전할 수 있게 된다. 이때, 대차 등에 의해 가해지는 하중을 지지한 상태에서 원활하게 회전할 수 있도록 상판(20) 저면 모서리부에 바퀴(40)가 설치되며, 고정판(10)으로부터 상판(20)의 분리를 방지할 수 있도록 회전축(12)이 상판(20)을 관통하여 돌출되고 와셔가 끼워지며 그 선단에 고정핀(13)이 체결된다.
또한, 고정판(10)은 상판(20)의 급격한 회전을 방지할 수 있도록 회전축(12)에 인접하여 가압수단(50)이 설치된다. 이를 위하여, 고정판(10)의 회전축(12)과 축 결합되는 축 삽입공(31)이 형성된 림부(30)가 상판(20) 저면에 설치되고, 가압수단(50)에 의해 상기 림부(30)의 외주연을 가압함으로써 마찰력에 의해 상판(20)의 급격한 회전을 방지한다.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가압수단(50)은 림부(30)를 사이에 두고 양측에서 가압할 수 있도록 고정판(10)의 상면에 체결공이 천공된 체결부(51)와, 체결부(51)에 축설되되 그 선단의 가압편(52)을 진퇴시켜 가압정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너트(53)에 의해 그 길이가 조절되는 나사부(54)로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너트(53)를 조여 가압편(52)을 림부(30)에 보다 밀착시키면 마찰력이 커져 상판(20)의 회전이 어려워지고, 반대로 너트(53)를 풀어 가압편(52)을 림부(30)에 다소 밀착시키면 마찰력이 작아져 상판(20)의 회전이 보다 쉽게 된다. 물론, 가압수단(50)은 체결부(51)와 가압판(52) 사이의 나사부(54)에 스프링(미도시)을 내재시켜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일정압으로 림부(30)를 가압할 수도 있다.
여기서, 고정판(10)과 상판(20)이 체결된 상태에서 상판(20)에는 가압수단(50)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가압수단(50)에 대응하는 위치에 조작창(22)이 천공된다. 이에 따라, 작업자는 필요에 따라 조작창(22)를 통해 가압수단(50)의 가압정도를 손쉽게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다음, 레일부(21)의 일측 양단에는 대차의 과진입 또는 진퇴를 방지할 수 있도록 레일부(21)의 폭방향으로 장홀(23)이 천공되고 장홀(23)에 내재된 상태에서 레일부(21) 내·외측으로 제칠 수 있도록 그 단부가 레일부(21) 측면에 힌지 결합된 스토퍼(60)가 구비된다. 이에 따라, 스토퍼(60)를 레일부(21) 내측으로 제칠 경우 대차의 바퀴(70)가 걸려 과진입 또는 진입 후 후퇴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반대로 스토퍼(60)를 레일부(21) 외측으로 제칠 경우 대차 바퀴(70)와의 간섭이 사라져 레일부(21)를 따라 레일(1')로 진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의 스토퍼(60)를 대신하여 레일부(21)의 일측단에 대차의 과진입을 방지할 수 있도록 돌출되게 걸림턱(60')이 설치될 수 있다. 즉, 대차의 과진입으로 바퀴(70)가 레일부(21)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걸림턱(60')이 형성된다.
한편, 레일(1)과 레일(1') 간의 방향전환시 방향전환하고자 하는 레일에 레일부(21)를 용이하게 정렬시킬 수 있도록 상판(20)의 회전경로 상에 위치하되, 고정판(10) 상면 일측에 멈춤부재(80)가 구비된다.
즉, 레일(1)과 레일(1')이 직각으로 만나는 경우 상판(20)을 90°회전시키면 상판(20)의 어느 일측면이 맞닿아 멈추도록 상판(20)의 회전경로 상의 고정판(10) 상면에 멈춤부재(80)를 구성된다. 이에 따라, 작업자가 상판(20)의 레일부(21)와 레일의 정렬을 별도로 맞출 필요없이 회전시키고, 이때 멈춤부재(80)에 맞닿아 상판(20)이 멈춰지면 그 상태 그대로 상판(20)의 레일부(21)와 레일이 정렬되게 된다. 여기서, 멈춤부재(80)는 앵글부재 등으로 다양하게 구현할 수 있고, 레일(1)과 레일(1')이 만나는 각에 따라 그 위치를 특정하여 고정판(10) 상면에 멈춤부재(80)를 고정 설치한다.
다음,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적용 가능한 레일에 관하여 설명한다.
일반적으로, 레일(1)은 지형적 특성 또는 대차의 하중량 등에 의해 결정되며 다양한 형태가 사용되고 있다. 예컨대, 직사각형의 레일, 삼각형의 레일, 단차를 갖는 직사각형의 레일, 반호 형상의 레일 등이 있고, 본 발명에서는 어떤 레일이 사용되더라도 레일부(21)를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즉, 상판(20)은 그 양단에 상방으로 돌출되되 레일(1)과 동일한 상면을 갖도록 절곡된 레일부(21)가 구성된다. 이에 따라, 설치 현장마다 레일 형상이 다르더라도 레일부(21)를 설치된 레일형상으로 제작할 수 있어 손쉽게 회전장치를 구현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대차용 방향전환 장치는 다양한 재질로 제작할 수 있으며, 사용장소에 따라 그 재질을 달리할 수 있다. 예컨대, 염전의 경우 부식을 방지할 수 있는 재질이면 족하고 필요에 따라 코팅이나 페인트 칠을 통하여 소정의 목적을 달성할 수도 있다.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로서,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본 명세서에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하여짐을 밝혀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대차용 방향전환 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대차용 방향전환 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적용된 스토퍼의 타 실시 예시도,
도 4 및 5는 본 발명에 적용된 레일의 예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1': 레일
10: 고정판
20: 상판
30: 림부
40: 바퀴
50: 가압수단
60: 스토퍼
70: 대차 바퀴
80: 멈춤부재

Claims (7)

  1. 레일과 레일이 만나는 곳에서 대차의 진행방향을 전환하기 위한 대차용 방향전환 장치에 있어서,
    레일 교차부 바닥면에 고정 설치되고 그 중심에 회전축이 형성된 고정판과, 그 저면에 상기 고정판의 회전축이 축설된 림부가 형성되고 그 저면 모서리부에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원활하게 회전하도록 바퀴가 설치되며 그 상면에 레일부가 형성된 상판과, 상기 상판의 급격한 회전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림부의 외주연을 가압하기 위한 가압수단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가압수단은 상기 림부를 사이에 두고 양측에서 가압할 수 있도록 상기 고정판의 상면에 체결공이 천공된 체결부와, 상기 체결부에 축설되되 그 선단의 가압편을 진퇴시켜 가압정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너트에 의해 조절되는 나사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차용 방향전환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판은 상기 가압수단을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도록 상기 가압수단에 대응하는 위치에 조작창이 천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차용 방향전환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부의 일측 양단에 대차의 과진입 또는 진퇴를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레일부에 폭방향으로 장홀이 천공되고 상기 장홀에 내재된 상태에서 상기 레일부의 내·외측으로 제칠 수 있도록 그 단부가 상기 상판의 측벽에 힌지 결합된 스토퍼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차용 방향전환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부의 일측단에 대차의 과진입을 방지할 수 있도록 돌출 형성된 걸림턱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차용 방향전환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판은 상기 상판 회전시 상기 상판의 어느 일측면이 맞닿아 멈춤으로써 레일에 상기 레일부를 용이하게 정렬시킬 수 있도록 그 상면 일측에 멈춤부재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차용 방향전환 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판의 레일부는 그 상면이 레일 면과 동일한 형상을 갖도록 절곡 성형됨을 특징으로 하는 대차용 방향전환 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판으로부터 상기 상판의 분리를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회전축이 상기 상판을 관통하여 돌출되고 그 선단에 고정핀이 체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차용 방향전환 장치.
KR1020080026747A 2008-03-24 2008-03-24 대차용 방향전환 장치 KR1008654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6747A KR100865493B1 (ko) 2008-03-24 2008-03-24 대차용 방향전환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6747A KR100865493B1 (ko) 2008-03-24 2008-03-24 대차용 방향전환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65493B1 true KR100865493B1 (ko) 2008-10-27

Family

ID=401776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26747A KR100865493B1 (ko) 2008-03-24 2008-03-24 대차용 방향전환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65493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2098Y1 (ko) * 2004-06-16 2004-09-16 하나농업기계 주식회사 소금운반대차용 교차레일 회전대
KR200398557Y1 (ko) * 2005-05-26 2005-10-13 김재수 소금운반대차용 레일회전대구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2098Y1 (ko) * 2004-06-16 2004-09-16 하나농업기계 주식회사 소금운반대차용 교차레일 회전대
KR200398557Y1 (ko) * 2005-05-26 2005-10-13 김재수 소금운반대차용 레일회전대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935694B (zh) 一种重型悬挂链输送机及输送系统
CN102853275B (zh) 灯具及其车架
JP5112546B1 (ja) レール走行式門型クレーン
CN104057982A (zh) 一种伸缩式平板车
US7318379B2 (en) Rail-guided transportation system for containers
CN105839482A (zh) 一种梁内悬挂式空列轨道道岔
CN102745458A (zh) 电池装载车
US8256062B2 (en) Device comprising a guide, rail system and transport mechanism for use in such a device
KR100865493B1 (ko) 대차용 방향전환 장치
JP2011504440A5 (ko)
JP5370866B2 (ja) 車両用方向づけ装置を持つ輸送装置
AT516785B1 (de) Eisenbahn-Transportwagen
KR200481497Y1 (ko) 안내궤도식 고무차륜 경전철 분기기용 가동안내판 록킹구조
CN206691169U (zh) 一种运输小车
CN202358839U (zh) 用于调整行走轮块的装置及包括该装置的架空起重机、高架起重机或门式起重机
WO2013179386A1 (ja) レール式クレーン
CN204034926U (zh) 一种90度自动旋转装置
US8177110B1 (en) Truck utility box
CN110356444B (zh) 一种医用手推车
CN209291703U (zh) 城市轨道交通动力照明系统桥架内专用放线支架装置
KR101804174B1 (ko) 대차 도장용 턴테이블 장치
JP5491584B2 (ja) 転回装置
CN109080647A (zh) 轨道车及轨道车系统
CN216582483U (zh) 一种轮对的旋转平台及应用旋转平台的运输线
CN204279486U (zh) 一种铁路尽头线列车停车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0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1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2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21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