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57538B1 - 선박용 다목적 임무형 모듈 장치 - Google Patents

선박용 다목적 임무형 모듈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57538B1
KR100957538B1 KR1020080092328A KR20080092328A KR100957538B1 KR 100957538 B1 KR100957538 B1 KR 100957538B1 KR 1020080092328 A KR1020080092328 A KR 1020080092328A KR 20080092328 A KR20080092328 A KR 20080092328A KR 100957538 B1 KR100957538 B1 KR 1009575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ssion
module
type module
type
shi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923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33248A (ko
Inventor
강희진
이동곤
Original Assignee
한국해양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해양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해양연구원
Priority to KR10200800923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57538B1/ko
Publication of KR201000332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332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575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575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GOFFENSIVE OR DEFENSIVE ARRANGEMENTS ON VESSELS; MINE-LAYING; MINE-SWEEPING; SUBMARINES; AIRCRAFT CARRIERS
    • B63G6/00Laying of mines or depth charges;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GOFFENSIVE OR DEFENSIVE ARRANGEMENTS ON VESSELS; MINE-LAYING; MINE-SWEEPING; SUBMARINES; AIRCRAFT CARRIERS
    • B63G8/00Underwater vessels, e.g. submarines; Equipment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63G8/28Arrangement of offensive or defensive equipment
    • B63G8/33Arrangement of offensive or defensive equipment of mine-lay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hip Loading And Unloa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선업 및 조선기자재 관련 기술에 속하는 것으로서, 갑판 상에서의 이동이 용이하여 필요시 각 모듈의 위치를 조정하거나 다른 모듈로 교체하기가 쉽고, 여러 모듈을 연결하여 단일 모듈처럼 활용할 수도 있어 연속 작업이 필요한 대규모 부표의 부설이나 해양조사기구의 투하, 해군 함정의 기뢰부설 등에 곧바로 활용될 수 있는 선박용 다목적 임무형 모듈 장치에 관한 것이다.
선박, 갑판, 임무형 모듈

Description

선박용 다목적 임무형 모듈 장치{multi purpose mission modules for ships}
본 발명은 조선업 및 조선기자재 관련 기술에 속하는 것으로서, 갑판 상에서의 이동이 용이하여 필요시 각 모듈의 위치를 조정하거나 다른 모듈로 교체하기가 쉽고, 여러 모듈을 연결하여 단일 모듈처럼 활용할 수도 있어 연속 작업이 필요한 대규모 부표의 부설이나 해양조사기구의 투하, 해군 함정의 기뢰부설 등에 곧바로 활용될 수 있는 선박용 다목적 임무형 모듈 장치에 관한 것이다.
선박의 갑판에는 박스 형태의 임무형 모듈이 배치되어 있어 여기에 어군탐지용 선배열음탐기, 윈치, 조종 콘솔, 어패류 보관용 수조 등을 탑재하여 활용하게 된다.
그런데, 기존의 임무형 모듈은 갑판 상에서의 이동이 용이하지 아니하여 필요시 각 모듈의 위치를 조정하거나 다른 모듈로 교체하기가 곤란하다. 또한 기존의 임무형 모듈은 개별적으로 운용되기만 할 뿐 여러 모듈을 연결하여 단일 모듈처럼 활용할 수 없으므로 연속 작업이 필요한 대규모 부표의 부설이나 해양조사기구의 투하, 해군 함정의 기뢰부설 등에 곧바로 활용할 수가 없다는 한계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갑판 상에서의 이동이 용이하여 필요시 각 모듈의 위치를 조정하거나 다른 모듈로 교체하기가 쉽고, 여러 모듈을 연결하여 단일 모듈처럼 활용할 수도 있어 연속 작업이 필요한 대규모 부표의 부설이나 해양조사기구의 투하, 해군 함정의 기뢰부설 등에 곧바로 활용될 수 있는 선박용 다목적 임무형 모듈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기타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에 설명될 것이며, 이는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 및 그 실시예의 개시 내용뿐만 아니라, 이들로부터 용이하게 추고할 수 있는 범위 내의 수단 및 조합에 의해 보다 넓은 범위로 포섭될 것임을 첨언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컨테이너 박스 형태의 구조물로서, 몸체에 장착된 전원공급장치(110)를 이용하여 외부전원으로부터 전력을 끌어올 수 있고, 몸체에 장착된 통신장치(120)를 이용하여 다른 임무형 모듈(100)이나 선박 내 콘솔 및 통제장치와 연동할 수 있으며, 바닥의 네 모서리에 장착된 볼 베어링 형태의 바퀴(130)를 이용하여 하부에 깔려 있는 레일(200) 위를 구름으로써 갑판 상을 원활히 이동할 수 있는 다수 개의 임무형 모듈(100); 및 선박의 갑판 상에 설치되며, 임무형 모듈(100)의 이동 경로 역할을 하는 레일(200)을 포함하는 선박용 다목적 임무형 모듈 장치를 제시한다.
본 발명은 갑판 면적 등 공간의 제약이 많은 선상에서 선박의 공간 활용도를 높이고 단일 선박으로 여러 척의 선박이 수행해야 할 업무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선박의 운영 효율을 극대화 하는데 기여한다.
또한 본 발명은 어로선단의 어군탐지용 선배열음탐기, 윈치, 조종 콘솔, 어패류 보관용 수조 등의 동시 탑재, 연구선의 해양 조사 및 탐사 장비 운용, 해군/해경 함정의 무장, 창고 운용이나 특수임무 수행 등에 있어 공간 활용의 유연성과 작업 능률 향상을 가져올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은 단일 선박으로 다양한 임무 수행이 필요하면서도 공간 제약이 많은 연구조사선 및 해군/해경 함정에 대하여 임무별 목적에 맞는 다양한 장비, 설비, 창고, 거주 공간, 무장의 빠른 교체 활용을 보장함으로써, 소수의 선박으로도 선단 또는 함대 규모에서 수행 가능한 다양한 임무의 수행이 가능하도록 한다.
삭제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 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선박용 다목적 임무형 모듈 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본 발명은 공간 활용의 제약이 많은 선박의 후부 주갑판(1st platform) 또는 하부갑판(2nd platform)의 활용도를 높이기 위한 것으로, 종래 군사용 목적으로 유럽 해군 등에서 일부 사용하던 컨테이너 박스 형태의 임무형 모듈을 설치 및 활용도 측면에서 획기적으로 개선한 것이다. 본 발명은 크게 임무형 모듈(100) 및 레일(200)로 이루어져 있다.
임무형 모듈(100)은 컨테이너 박스 형태의 구조물로서, 일정 규격의 강제(鋼製) 프레임으로 구성된 박스 형태의 모듈 내에 어군탐지용 선배열음탐기, 윈치, 조종 콘솔, 어패류 보관용 수조 등을 탑재하는 데 사용된다.
본 발명에 따른 임무형 모듈(100)은 갑판 상에서 다수 개가 배치되어 운용되는데, 선박의 운항 목적에 맞도록 그 위치나 구조가 다양한 형태로 변형 활용될 수 있어 한 척의 선박으로 여러 가지 업무를 수행하는 데 도움을 준다.
임무형 모듈(100)은 몸체에 장착된 전원공급장치(110)를 이용하여 외부전원 으로부터 전력을 끌어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몸체에 장착된 통신장치(라우터, 게이트웨이 등)(120)를 이용하여 다른 임무형 모듈(100)이나 선박 내 콘솔 및 통제장치와 연동할 수도 있다.
한편, 임무형 모듈(100)은 바닥의 네 모서리에 장착된 볼 베어링 형태의 바퀴(130)를 이용하여 하부에 깔려 있는 레일(200) 위를 구름으로써 갑판 상을 원활히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임무형 모듈(100)의 하부에는 볼트를 이용하여 임무형 모듈(100)을 갑판 상에 간편하게 고정시킬 수 있는 모듈고정장치(140)가 장착되어 있다.
즉, 본 발명은 임무형 모듈(100)의 하부에 볼 베어링 형태의 바퀴(130)를 부착하고 선박의 갑판에는 레일(200)을 부착하여 임무형 모듈(100)이 레일(200) 위에서 이동하도록 함으로써 적은 힘으로 신속하게 임무형 모듈(100)을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볼트 죄임만으로도 간단하게 임무형 모듈(100)을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로써 임무형 모듈(100)의 선박 내 설치 및 탈거에 걸리는 시간을 크게 단축시킬 수 있으며, 선박의 신속한 임무 전환 및 활용도 확대가 가능해진다. 또한 각 임무형 모듈(100)의 위치를 손쉽게 조정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정박 중인 항만에서는 물론 해상에서도 개별 임무형 모듈(100)을 레일(200) 위에서 이동하여 교체 활용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임무형 모듈(100)의 상부에는 패드아이(150)를 부착하여 임무형 모듈(100)이 크레인에 의해 손쉽게 들어올려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로써 임무형 모듈(100)의 이동이나 교체가 더욱 자유롭고 용이해질 수 있다.
레일(200)은 선박의 갑판 상에 설치되며, 임무형 모듈(100)의 이동 경로 역할을 한다. 이러한 레일(200)은 갑판 상에서 서로 교차하도록 설치됨으로써 임무형 모듈(100)이 전후좌우로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선박용 다목적 임무형 모듈 장치의 활용 방안 중 일 예로서, 다목적 임무형 모듈이 설치되는 갑판을 위에서 내려다 본 모습을 표현한 것이다. 각기 다른 특성 및 목적을 지닌 임무형 모듈(100) A, B, C는 필요에 따라 함상에서 각자의 위치를 변경하여 사용될 수 있으며, 이는 한 척의 선박에서 함미 갑판의 활용을 필요로 하는 윈치, A-frame, 크레인 등의 다양한 장비를 교호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해 준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선박용 다목적 임무형 모듈 장치는 기존의 임무형 모듈이 개별적으로 운용되던 것과는 달리 여러 임무형 모듈(100)을 연결하여 단일 모듈처럼 활용할 수도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선박용 다목적 임무형 모듈 장치는, 임무형 모듈(100) 여러 개를 연결하여 단일 모듈화 하되, 각 임무형 모듈(100)의 내부 바닥에는 전동기(310), 구동축(320) 및 컨베이어벨트(330)가 결합된 컨베이어 이송장치(300)를 추가로 장착하고, 각 임무형 모듈(100)의 X 방향 벽을 제거하여 서로 연결된 임무형 모듈(100)이 하나의 통로를 형성하도록 함으로써, 중량물(1)이 상호 연속된 컨 베이어 이송장치(300)의 구동에 따라 이동하여 선체 밖으로 투하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선박용 다목적 임무형 모듈 장치의 활용 방안 중 일 예로서, 전동기 및 컨베이어 벨트 또는 체인 형태의 이송장치를 이용하여 여러 모듈을 하나로 연결함으로써 단일 모듈처럼 활용하는 개념을 보여준다.
이처럼 본 발명에 따른 선박용 다목적 임무형 모듈 장치는 여러 임무형 모듈(100)을 연결하여 단일 모듈처럼 활용할 수 있으므로, 해상에서 연속적인 부표의 부설이나 해양조사기구의 투하, 해군 함정의 기뢰부설 등 다량의 중량물(1)을 운송하여 해상에 부설하는 임무나 포획한 어족자원의 선별, 분류, 저장을 위한 선박 내 이송장치 등에 활용될 수 있다.
이때 각 임무형 모듈(100)의 컨베이어 이송장치(300)는 GPS, 자동 기점장치와 연동하는 조종콘솔(400)에 의해 이송 속도 및 간격이 조절될 수 있으며, 개별 중량물(1)의 이송 현황 및 관련 정보는 개별 중량물(1)에 부착되어 임무형 모듈(100) 내를 통과하는 센서(500)를 통해 조종콘솔(400)에서 확인할 수 있다. 이 경우 임무형 모듈(100)은 상기 센서(500)를 감지할 수 있는 통상의 수단(미도시)을 구비하며, 임무형 모듈(100)의 센서(500) 감지 정보는 조종콘솔(400)에 실시간으로 전달된다.
만약, 여러 개의 임무형 모듈(100) 중 한 임무형 모듈(100) 또는 일부 임무형 모듈(100)이 작동 불능 상태가 되었을 경우에는, 작동 불능 상태가 된 임무형 모듈(100)의 구동축(320)을 전동기(310)로부터 분리한 후 정상적인 이웃 임무형 모듈(100)의 구동축(320)을 체인, 벨트 또는 커플러(340)로 연결함으로써 계속적인 운용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는데(도 4 참조), 이로써 본 발명에 따른 선박용 다목적 임무형 모듈 장치의 운용상의 신뢰성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선박용 다목적 임무형 모듈 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선박용 다목적 임무형 모듈 장치의 활용 방안 중 일 예로서, 다목적 임무형 모듈이 설치되는 갑판을 위에서 내려다 본 모습을 표현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선박용 다목적 임무형 모듈 장치의 활용 방안 중 일 예로서, 전동기 및 컨베이어 벨트 또는 체인 형태의 이송장치를 이용하여 여러 모듈을 하나로 연결함으로써 단일 모듈처럼 활용하는 개념을 보여준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선박용 다목적 임무형 모듈 장치의 활용 방안 중 일 예로서, 전동기 및 컨베이어 벨트 또는 체인 형태의 이송장치를 이용하여 여러 모듈을 하나로 연결함으로써 단일 모듈처럼 활용하는 도중 한 모듈 또는 일부 모듈이 작동 불능 상태가 되었을 경우 작동 불능 상태가 된 모듈의 구동축을 전동기로부터 분리한 후 정상적인 이웃 모듈의 구동축을 체인, 벨트 또는 커플러로 연결하여 운용하는 개념을 보여준다.
<도면의 주요부호에 대한 설명>
1 : 중량물
100 : 임무형 모듈
110 : 전원공급장치
120 : 통신장치
130 : 바퀴
140 : 모듈고정장치
150 : 패드아이
200 : 레일
300 : 컨베이어 이송장치
310 : 전동기
320 : 구동축
330 : 컨베이어벨트
340 : 체인, 벨트 또는 커플러
400 : 조종콘솔
500 : 센서

Claims (8)

  1. 컨테이너 박스 형태의 구조물로서, 몸체에 장착된 전원공급장치(110)를 이용하여 외부전원으로부터 전력을 끌어올 수 있고, 몸체에 장착된 통신장치(120)를 이용하여 다른 임무형 모듈(100)이나 선박 내 콘솔 및 통제장치와 연동할 수 있으며, 바닥의 네 모서리에 장착된 볼 베어링 형태의 바퀴(130)를 이용하여 하부에 깔려 있는 레일(200) 위를 구름으로써 갑판 상을 원활히 이동할 수 있는 다수 개의 임무형 모듈(100); 및
    선박의 갑판 상에 설치되며, 임무형 모듈(100)의 이동 경로 역할을 하는 레일(200)
    을 포함하는 선박용 다목적 임무형 모듈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임무형 모듈(100)의 하부에는 볼트를 이용하여 임무형 모듈(100)을 갑판 상에 고정시키는 모듈고정장치(140)가 추가로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다목적 임무형 모듈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임무형 모듈(100)의 상부에는 임무형 모듈(100)이 크레인에 의해 손쉽게 들어올려질 수 있도록 하는 패드아이(150)가 추가로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 는 선박용 다목적 임무형 모듈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200)은 갑판 상에서 서로 교차하도록 설치됨으로써 임무형 모듈(100)이 전후좌우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다목적 임무형 모듈 장치.
  5. 상기 임무형 모듈(100) 여러 개를 연결하여 단일 모듈화 하되,
    각 임무형 모듈(100)의 내부 바닥에는 전동기(310), 구동축(320) 및 컨베이어벨트(330)가 결합된 컨베이어 이송장치(300)를 추가로 장착하고,
    각 임무형 모듈(100)의 X 방향 벽을 제거하여 서로 연결된 임무형 모듈(100)이 하나의 통로를 형성하도록 함으로써,
    중량물(1)이 상호 연속된 컨베이어 이송장치(300)의 구동에 따라 이동하여 선체 밖으로 투하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다목적 임무형 모듈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컨베이어 이송장치(300)는 GPS, 자동 기점장치와 연동하는 조종콘솔(400)에 의해 이송 속도 및 간격이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다목적 임무형 모듈 장치.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중량물(1)의 이송 현황 및 관련 정보는 상기 중량물(1)에 부착되어 임무형 모듈(100) 내를 통과하는 센서(500)를 통해 조종콘솔(400)에서 확인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다목적 임무형 모듈 장치.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임무형 모듈(100) 여러 개 중 한 임무형 모듈(100) 또는 일부 임무형 모듈(100)이 작동 불능 상태가 되었을 경우에는,
    작동 불능 상태가 된 임무형 모듈(100)의 구동축(320)을 전동기(310)로부터 분리한 후 정상적인 이웃 임무형 모듈(100)의 구동축(320)을 체인, 벨트 또는 커플러(340)로 연결하여 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다목적 임무형 모듈 장치.
KR1020080092328A 2008-09-19 2008-09-19 선박용 다목적 임무형 모듈 장치 KR1009575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2328A KR100957538B1 (ko) 2008-09-19 2008-09-19 선박용 다목적 임무형 모듈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2328A KR100957538B1 (ko) 2008-09-19 2008-09-19 선박용 다목적 임무형 모듈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33248A KR20100033248A (ko) 2010-03-29
KR100957538B1 true KR100957538B1 (ko) 2010-05-11

Family

ID=421822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92328A KR100957538B1 (ko) 2008-09-19 2008-09-19 선박용 다목적 임무형 모듈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5753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2017B1 (ko) * 2011-11-30 2013-08-30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해상구조물 브릿지의 콘솔 이동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I126107B (en) * 2015-01-14 2016-06-30 Surma Oy Mine storage and handling unit
KR102043324B1 (ko) * 2018-08-14 2019-11-11 주식회사 현대미포조선 선박 자세 제어 시스템
KR102474166B1 (ko) * 2018-08-27 2022-12-02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
CN109720523B (zh) * 2018-11-30 2020-01-31 上海大学 一种无人艇智能布设锚雷装置及其进行布雷的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48365A (ja) * 1989-10-31 1991-06-25 Hitachi Zosen Corp 船内搬送装置
KR100445866B1 (ko) 2001-11-05 2004-08-30 황인철 선박용 복합 대차장치
KR100728391B1 (ko) 2003-12-19 2007-06-13 (주)해안기계산업 슬라이딩 패드아이
KR20080016167A (ko) * 2006-08-18 2008-02-21 공석태 이송흔적을 이용한 자동 진공청소 로봇및 청소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48365A (ja) * 1989-10-31 1991-06-25 Hitachi Zosen Corp 船内搬送装置
KR100445866B1 (ko) 2001-11-05 2004-08-30 황인철 선박용 복합 대차장치
KR100728391B1 (ko) 2003-12-19 2007-06-13 (주)해안기계산업 슬라이딩 패드아이
KR20080016167A (ko) * 2006-08-18 2008-02-21 공석태 이송흔적을 이용한 자동 진공청소 로봇및 청소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2017B1 (ko) * 2011-11-30 2013-08-30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해상구조물 브릿지의 콘솔 이동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33248A (ko) 2010-03-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0506636C (zh) 自主游动的商业集装箱
KR100957538B1 (ko) 선박용 다목적 임무형 모듈 장치
CN101508328A (zh) 用于海上运输系统的移动式港口
WO2014144928A4 (en) Systems and methods for deploying autonomous underwater vehicles from a ship
CN1980844A (zh) 用于转运货物的方法和系统
US4138961A (en) Vessel for carrying steel slabs
RU146473U1 (ru) Многофункциональное судно-катамаран
CN104097750B (zh) 一种多功能维保船
US20080260467A1 (en) Maritime Port and Anti-Terrorist Data Gateway With Ingress and Egress Control
KR20150086282A (ko) 생산 지원 및 저장 선박
CN201321148Y (zh) 石块运输船
KR20220062498A (ko) 이중 레일 화물 시스템을 갖춘 수륙 양용 공기 부양정
CN203865620U (zh) 龙门移动料斗式过驳装船机
CN104003212A (zh) 龙门移动料斗式过驳装船机
WO2010074493A2 (ko) 부유식 하이브리드 이동항구
CN203186550U (zh) 一种多功能维保船
RU2667407C1 (ru) Многоцелевая подводная лодка для осуществления транспортировки, установки, снятия грузов под водой
JPH06144357A (ja) 粉体貨物を荷役輸送する方法および装置
US20030215310A1 (en) Catamaran transfer vessel
WO1993004914A1 (en) Jumbo barge carrier fast sealift and port system
KR20160137186A (ko) 해상 부유식 항구를 포함하는 항만 시스템
CN2846285Y (zh) 移动码头
Flipse An engineering approach to ocean mining
US943694A (en) Collier and coal-handling apparatus.
JP5824724B2 (ja) ばら積み貨物船及びばら積み貨物船の荷役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0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0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2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