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60583A - 이산화티탄 피복 무기안료 혼합분체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이산화티탄 피복 무기안료 혼합분체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60583A
KR20130060583A KR1020110126717A KR20110126717A KR20130060583A KR 20130060583 A KR20130060583 A KR 20130060583A KR 1020110126717 A KR1020110126717 A KR 1020110126717A KR 20110126717 A KR20110126717 A KR 20110126717A KR 20130060583 A KR20130060583 A KR 201300605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tanium dioxide
inorganic pigment
powder
color
composite pow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267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36159B1 (ko
Inventor
박세준
최재욱
최영진
Original Assignee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모레퍼시픽 filed Critical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to KR10201101267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36159B1/ko
Publication of KR201300605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605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61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6159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16Solid or semisolid forms
    • A61K8/022Powders; Compacted Pow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61K8/25Silicon; Compound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61K8/29Titanium; Compound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00Make-up preparations; Body powders; 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A61Q1/12Face or body powders for grooming, adorning or absorb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41Particular ingredients further characterized by their size
    • A61K2800/412Microsized, i.e. having sizes between 0.1 and 100 micr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42Colour properties
    • A61K2800/43Pigments; Dyes
    • A61K2800/432Direct dy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60Particulates further characterized by their structure or composition
    • A61K2800/61Surface treated
    • A61K2800/62Coated
    • A61K2800/621Coated by inorganic compound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기안료 상 이산화티탄이 피복된 복합분체로서, 적색 복합분체, 녹색 복합분체, 청색 복합분체 및 황색 복합분체의 혼합물을 함유하는 이산화티탄 피복 무기안료 혼합분체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이산화티탄 피복 무기안료 혼합분체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TITANIUM DIOXIDE-COATED INORGANIC PIGMENT POWDER MIXTURE AND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THE SAME}
본 발명은 이산화티탄 피복 무기안료 혼합분체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화장료는 크게 얼굴 전체에 도포하는 베이스 메이크업 화장료와 얼굴의 작은 부분만을 도포하는 포인트 메이크업 화장료로 구분한다. 이중 베이스 메이크업 화장료는 얼굴의 기미, 주름, 점등을 가려주어 깨끗한 피부표현을 하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흔히 사용되고 있다.
이렇게 피부결점을 커버하여 깨끗하고 하얀 피부를 표현하기 위하여 통상적으로는 굴절율이 높은 이산화티탄 즉, 백색안료를 피부결점인 점, 기미, 주근깨 등에 도포할 수 있도록 이를 다양한 제형에 적용하여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이산화티탄의 높은 굴절율로 인하여 피부결점 커버는 되지만 그로 인하여 푸른 빛을 같이 반사하여 부자연스럽게 표현되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도포 후 낮은 흡유 특성으로 인하여 피지에 의해 쉽게 번들거리는 결과가 나타난다.
이밖에 가장 널리 적용되는 방법으로는, 이산화티탄보다 굴절율은 약간 낮지만, 판상 구조를 가지는 질화 붕소(boron nitride)를 적용하는 방법이다. 그러나 이 방법 또한 부자연스러운 표현 및 약한 피지 지속성으로 인한 번들거리고 뭉치는 경향이 있다는 단점이 있다.
일본 공개특허 제 2000-226307 호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다양한 색상의 복합분체를 혼합함으로써 발생하는 빛의 간섭 효과를 이용하여, 자연스러운 커버 및 깨끗하고 하얀 피부 표현이 가능한 이산화티탄 피복 무기안료 혼합분체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무기안료 상 이산화티탄이 피복된 복합분체로서, 적색 복합분체, 녹색 복합분체, 청색 복합분체 및 황색 복합분체의 혼합물을 함유하는 이산화티탄 피복 무기안료 혼합분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무기안료는 마이카, 합성 마이카, 탈크 및 세리사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무기안료는 마이카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복합분체의 평균 입자 크기는 15 내지 40㎛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혼합분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혼합분체를 5 내지 20중량%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산화티탄 피복 무기안료 복합분체는 광학적 미백 효과를 가져 자연스러운 피부결점 커버력과 동시에 깨끗하고 하얀 피부 표현력을 제공할 수 있으므로, 베이스 메이크업용 화장료 조성물에 널리 적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무기안료 상 이산화티탄이 피복된 복합분체로서, 적색 복합분체, 녹색 복합분체, 청색 복합분체 및 황색 복합분체의 혼합물을 함유하는 이산화티탄 피복 무기안료 혼합분체를 제공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이산화티탄 피복 무기안료 혼합분체는, 무기안료 상에 이산화티탄이 피복된 복합분체 4종을 혼합한 혼합분체이다. 4종의 복합분체는 각각 적색, 녹색, 청색 및 황색을 띄는데 이는 무기안료 상에 피복된 이산화티탄의 코팅층 두께에 따라 색상이 달라진 것이다. 따라서 적색빛을 나타내는 무기안료 복합분체, 녹색빛을 나타내는 무기안료 복합분체, 청색빛을 나타내는 무기안료 복합분체 및 황색빛을 나타내는 무기안료 복합분체는 구성성분이 이산화티탄 코팅층으로 동일하나 이산화티탄 코팅층의 두께에 차이가 있다. 이는 이미 공지되어 모든 화장료 조성물에 빛의 간섭 효과를 나타내는 무기분체로 다양하게 적용되고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서 적색을 나타내는 복합분체는 색차계를 이용하여 CIELAB 표색계의 명도(L)가 40 내지 50이고, 채도 좌표의 X축인 a*가 10 내지 15이고, 채도 좌표의 Y축인 b*가 -5 내지 0의 색좌표를 동시에 만족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녹색을 나타내는 복합분체는 색차계를 이용하여 CIELAB 표색계의 명도(L)가 50 내지 60이고, 채도 좌표의 X축인 a*가 -13 내지 -8이고, 채도 좌표의 Y축인 b*가 -2 내지 3 의 색좌표를 동시에 만족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청색을 나타내는 복합분체는 색차계를 이용하여 CIELAB 표색계의 명도(L)가 40 내지 50이고, 채도 좌표의 X축인 a*가 0 내지 5이고, 채도 좌표의 Y축인 b*가 -23 내지 -18의 색좌표를 동시에 만족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황색을 나타내는 복합분체는 색차계를 이용하여 CIELAB 표색계의 명도(L)가 60 내지 70이고, 채도 좌표의 X축인 a*가 -3 내지 2이고, 채도 좌표의 Y축인 b*가 8 내지 13의 색좌표를 동시에 만족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혼합물은 적색을 나타내는 복합분체 41 내지 43중량%, 녹색을 나타내는 복합분체 17 내지 19중량%, 청색을 나타내는 복합분체 17 내지 19중량% 및 황색을 나타내는 복합분체 21 내지 23중량%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4가지 색상의 무기안료 복합분체가 동시에 혼합될 때만 본 발명의 자연스러운 미백 효과가 달성될 수 있다. 적색 무기안료 복합분체가 상기 41중량% 미만이면 채도 좌표의 X축인 a* 값이 마이너스(-) 값을 나타내어 녹색빛이 나타내게 되며, 43중량% 초과의 경우에는 붉은빛이 나타나게 된다. 녹색 무기안료 복합분체가 상기 17중량% 미만의 경우에는 붉은빛이 나타내며, 19중량% 초과에서는 녹색빛이 나타나게 된다. 청색 무기안료 복합분체가 상기 17중량% 미만의 경우에는 노란빛이 나타나며 19중량% 초과의 경우에는 푸른빛이 나타나게 된다. 황색 무기안료 복합분체가 상기 21중량% 미만의 경우에는 푸른빛이 나타나며, 23중량% 초과의 경우에는 노란빛을 나타내어 상기의 혼합비율에서 나타나는 깨끗하고 하얀 빛을 나타내기 어려워, 깨끗하고 하얀 피부표현이 불가능해진다.
본 발명에서 무기안료는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마이카(mica), 합성 마이카, 탈크(talc) 및 세리사이트(sericite)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일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마이카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무기안료 복합분체(적색빛 복합분체, 녹색빛 복합분체, 청색빛 복합분체 및 황색빛 복합분체)의 평균 입자 크기는 15 내지 40㎛일 수 있다. 평균 입자 크기가 15㎛ 미만일 경우에는 백탁 현상이 나타나 간섭 효과에 의한 시각적 미백 효과가 떨어지며 부자연스러운 색상이 표현되고, 40㎛ 초과일 경우에는 입자가 거칠고 간섭효과가 뚜렷하지 않아 혼합분체의 시각적 미백 효과를 나타내기 어려워 바람직하지 않다.
본 발명에 따른 이산화티탄 피복된 무기안료 혼합분체의 제조방법은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예를 들어 하기와 같을 수 있다.
먼저, 적색, 녹색, 청색 및 황색빛 무기안료 복합분체를 준비한다. 적색, 녹색, 청색 및 황색빛 복합분체는 시중에 판매되는 것을 사용할 수 있고, 직접 무기안료에 해당 두께의 이산화티탄을 코팅하여 제조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4종의 적색, 녹색, 청색 및 황색빛 복합분체를 헨셀 혼합기 내부에 투입하고, RPM500 이하로 저속 혼합한다. 혼합시간은 60 내지 300초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혼합한 혼합분체의 입자 크기를 측정하고, 시료를 일정량 취하여 색차계를 통하여 색상을 확인하여 공정을 마무리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이산화티탄 피복된 무기안료 혼합분체는, 색차계를 이용하여 CIELAB 표색계의 명도(L)가 50 내지 60이고, 채도 좌표의 X축인 a*가 -0.6 내지 0.6이고, 채도 좌표의 Y축인 b*가 -0.6 내지 0.6의 색좌표를 동시에 만족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이산화티탄 피복된 무기안료 혼합분체는 이산화티탄 자체가 가지는 푸른빛을 띄지 않고, 자연스러운 미백 효과를 가지는 색상을 띄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이산화티탄 피복된 무기안료 혼합분체가 자연스러운 미백 색상을 띄는 것은 적색, 녹색, 청색 및 황색의 복합분체들이 동시에 혼합되어 있음에 따라 발생하는 빛의 간섭 효과에 기인하는 것이다. 빛의 간섭 효과는 광학적 미백 효과를 가져오며, 시각적으로 피부가 깨끗하고 자연스러워 보이는 효과를 가져온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이산화티탄 피복된 혼합분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구체적으로 베이스 메이크업용 화장료 조성물일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혼합분체를 5 내지 20중량% 함유할 수 있다. 5중량% 미만의 경우에는 시각적 미백효과가 뚜렷하게 나타나지 않는 문제점을 가지며, 20중량% 초과의 경우에는 성형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을 가지게 된다.
본 발명에 베이스 메이크업용 화장료 조성물은 자연스러운 광학적 미백효과를 가지는 이산화티탄 피복된 혼합분체를 함유함으로써, 자연스러운 피부 커버 및 깨끗하고 하얀 피부 표현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제형이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목적하는 바에 따라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이크업 프라이머, 파운데이션, 메이크업베이스, 투웨이케익, 팩트, 파우더 및 아이섀도우 등의 형태로 제형화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히드록시드, 칼슘 실리케이트 또는 폴리아미드 파우더가 이용될 수 있고,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플루오로히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또는 디메틸 에테르와 같은 추진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의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용매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이용되고, 예컨대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1,3-부틸글리콜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가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액상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또는 트라칸트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에는 상기 이산화티탄 피복된료 혼합분체 이외에 기능성 첨가물 및 일반적인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성분이 추가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기능성 첨가물로는 수용성 비타민, 유용성 비타민, 고분자 펩티드, 고분자 다당, 스핑고 지질 및 해초 엑기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는 또한, 상기 기능성 첨가물과 더불어 필요에 따라 일반적인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성분을 배합해도 된다. 이외에 포함되는 배합 성분으로서는 유지 성분, 보습제, 에몰리엔트제, 계면 활성제, 유기 및 무기 안료, 유기 분체, 자외선 흡수제, 방부제, 살균제, 산화 방지제, 식물 추출물, pH 조정제, 알콜, 색소, 향료, 혈행 촉진제, 냉감제, 제한(制汗)제, 정제수 등을 들 수 있다.
이하의 실시를 통하여 본 발명이 더욱 상세하게 설명된다. 단,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들만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이산화티탄 피복된 마이카 혼합분체
이산화티탄이 피복된 마이카 복합분체 중 황색 복합분체 42g, 적색 복합분체 22g, 녹색 복합분체 18g, 청색 복합분체 18g를 헨셀 혼합기에 넣고 RPM500이하로 저속 혼합하였다. 혼합시간은 60초 내지 300초로 하였다. 이 때, 복합분체는 적색, 녹색, 청색 및 황색 각각 독일 바스프(BASF)사의 Flamenco® red, Flamenco® green, Flamenco® blue 및 Flamenco® gold를 사용하였다.
[비교예 1] 이산화티탄 피복 마이카 복합분체
비교예로 한국 CGV사의 COSMETICA White 9000S를 준비하였다. 이산화티탄이 피복된 마이카로, 흰색을 띈다고 알려진 복합분체이다.
[비교예 2] 이산화티탄
비교예로 흰색을 띄는 이산화티탄을 준비하였다. 이때, 이산화티탄은 미국 썬 케미칼(Sunchemical)사의 C47-060를 사용하였다.
[제형예 1]
본 발명에 의한 혼합분체 및 이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시각적 미백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하기 표 1의 조성으로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실시예 1에서 제조한 혼합분체를 함유하는 팩트(제형예 1)를 제조하였다. 또한, 비교를 위하여 상기 비교예 1(이산화티탄 피복 마이카 복합분체) 및 비교예 2(이산화티탄)를 함유하는 비교제형예 1 및 2를 하기 표 1의 조성으로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성분명 제형예 1
(중량%)
비교제형예 1
(중량%)
비교제형예 2
(중량%)
탈크 55.0 55.0 55.0
실시예 1 5.0 - -
비교예 1 - 5.0 -
비교예 2 - - 5.0
세리사이트 20.0 20.0 20.0
실리카 10.0 10.0 10.0
미네랄 오일 10.0 10.0 10.0
[시험예 1] 색차계를 이용한 색상 비교평가
상기 실시예 1, 비교예 1 및 상기 제형예 1, 비교 제형예 1 및 2의 색상 비교평가를 실시하였다. 색상 비교평가는 미국 HunterLab사의 ColorQuest XE를 통하여 확인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표 2에서 L은 명도, a*는 채도 좌표의 X축, b*는 채도 좌표의 Y축을 의미한다.
구분 L A b
실시예 1 58.46 -0.08 -0.54
비교예 1 57.06 -1.9 -3.81
제형예 1 36.89 0.1 -4.16
비교제형예 1 35.66 0.16 -4.84
비교제형예 2 39.96 -0.12 -7.76
표 2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혼합분체(실시예 1)와 비교예 1의 측정값을 살펴보면 실시예 1의 혼합분체는 채도 좌표의 X, Y축인 a,b*값이 흰색을 나타내는 0에 근사하게 나타나는 반면, 흰색으로 알려진 비교예 1의 경우 채도 좌표의 X, Y축인 a,b*값이 -1.9 및 -3.81로 녹색 및 푸른빛을 약하게 나타내어 은색빛을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이를 제형에 5% 적용한 제형예 1의 경우에는 채도 좌표의 X, Y축인 a,b*값이 0에 0.1, -4.16 값을 나타내는 반면, 비교제형예 1과 비교제형예 2의 경우 채도 좌표의 X, Y축인 a,b*값이 비교제형예1의 경우는 0.16, -4.84, 비교제형예2의 경우 -0.12, -7.76으로 나타나는 것을 볼 수 있다. 다시 말하면 통상적으로 흰색을 표현할 때 사용하는 이산화티탄을 넣은 비교제형예 2의 경우에는 채도 좌표의 Y축인 b*값이 -7.76으로 푸른빛을 많이 나타내어 얼굴표현이 부자연스럽게 된다는 사실을 알 수 있으며 비교제형예 1의 경우도 본 발명에 의해 개발된 혼합분체보다 채도 좌표의 Y축인 b*값이 더 낮은 -4.84로 더 푸른빛을 나타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 1을 함유한 제형예 1의 경우 자연스럽게 시각적인 미백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이산화티탄이 피복된 마이카 복합분체 중 적색, 녹색, 청색, 황색을 나타내는 분체를 혼합하여 제조한 혼합분체는 시각적으로 자연스러운 미백 효과를 제공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시험예 2] 패널에 의한 관능 평가
본 발명에 의한 혼합분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커버력, 시각적 미백효과, 자연스러움을 알아보기 위하여, 상기 제형예 1 및 비교 제형예 1, 2를 이용하여 관능 평가를 실시하였다.
상기 제형예 1 과 비교 제형예 1, 2의 커버력, 시각적 미백효과 및 자연스러움 지속성 비교 평가는 소비자 패널 테스트에서 20~30대 여성 10명의 소비자를 대상으로 3일간 사용하게 한 후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는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구분 커버력 시각적 미백효과 자연스러움
제형예 1
비교 제형예 1
비교 제형예 2
※ 평가기준
◎: 매우 우수 ○: 우수 △: 보통 ×: 나쁨 ××: 매우 나쁨
상기 표 3에서 볼 수 있듯이, 본 발명에 의한 혼합분체(실시예 1)를 적용한 제형예 1은 비교 제형예 1 및 2와 비교하여, 시각적인 미백효과와 더불어 자연스러움이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Claims (13)

  1. 무기안료 상 이산화티탄이 피복된 복합분체로서, 적색 복합분체, 녹색 복합분체, 청색 복합분체 및 황색 복합분체의 혼합물을 함유하는 이산화티탄 피복 무기안료 혼합분체.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무기안료는 마이카, 합성 마이카, 탈크 및 세리사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인 이산화티탄 피복 무기안료 혼합분체.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무기안료는 마이카인 이산화티탄 피복 무기안료 혼합분체.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분체의 평균 입자 크기는 15 내지 40㎛인 이산화티탄 피복 무기안료 혼합분체.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적색을 나타내는 복합분체는 색차계를 이용하여 CIELAB 표색계의 명도(L)가 40 내지 50이고, 채도 좌표의 X축인 a*가 10 내지 15이고, 채도 좌표의 Y축인 b*가 -5 내지 0의 색좌표를 동시에 만족하는 것인 이산화티탄 피복 무기안료 혼합분체.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녹색을 나타내는 복합분체는 색차계를 이용하여 CIELAB 표색계의 명도(L)가 50 내지 60이고, 채도 좌표의 X축인 a*가 -13 내지 -8이고, 채도 좌표의 Y축인 b*가 -2 내지 3의 색좌표를 동시에 만족하는 것인 이산화티탄 피복 무기안료 혼합분체.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청색을 나타내는 복합분체는 색차계를 이용하여 CIELAB 표색계의 명도(L)가 40 내지 50이고, 채도 좌표의 X축인 a*가 0 내지 5이고, 채도 좌표의 Y축인 b*가 -23 내지 -18의 색좌표를 동시에 만족하는 것인 이산화티탄 피복 무기안료 혼합분체.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황색을 나타내는 복합분체는 색차계를 이용하여 CIELAB 표색계의 명도(L)가 60 내지 70이고, 채도 좌표의 X축인 a*가 -3 내지 2이고, 채도 좌표의 Y축인 b*가 8 내지 13의 색좌표를 동시에 만족하는 것인 이산화티탄 피복 무기안료 혼합분체.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물은 적색을 나타내는 복합분체 41 내지 43중량%, 녹색을 나타내는 복합분체 17 내지 19중량%, 청색을 나타내는 복합분체 17 내지 19중량% 및 황색을 나타내는 복합분체 21 내지 23중량%를 포함하는 것인 이산화티탄 피복 무기안료 혼합분체.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분체는 색차계를 이용하여 CIELAB 표색계의 명도(L)가 50 내지 60이고, 채도 좌표의 X축인 a*가 -0.6 내지 0.6이고, 채도 좌표의 Y축인 b*가 -0.6 내지 0.6의 색좌표를 동시에 만족하는 것인 이산화티탄 피복 무기안료 혼합분체.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이산화티탄 피복 무기안료 혼합분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혼합분체를 5 내지 20중량%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13.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베이스 메이크업용인 화장료 조성물.
KR1020110126717A 2011-11-30 2011-11-30 이산화티탄 피복 무기안료 혼합분체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8361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6717A KR101836159B1 (ko) 2011-11-30 2011-11-30 이산화티탄 피복 무기안료 혼합분체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6717A KR101836159B1 (ko) 2011-11-30 2011-11-30 이산화티탄 피복 무기안료 혼합분체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60583A true KR20130060583A (ko) 2013-06-10
KR101836159B1 KR101836159B1 (ko) 2018-03-09

Family

ID=488589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26717A KR101836159B1 (ko) 2011-11-30 2011-11-30 이산화티탄 피복 무기안료 혼합분체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36159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65019A (ko) * 2013-12-04 2015-06-12 (주)아모레퍼시픽 미세 복합분체를 함유하는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WO2016064070A1 (ko) * 2014-10-23 2016-04-28 (주)아모레퍼시픽 청색 복합 분체를 함유하는 피부 투명감 증진용 조성물
WO2016159676A1 (ko) * 2015-03-31 2016-10-06 주식회사 아모레퍼시픽 수분광 모사한 화장료 조성물
KR101690143B1 (ko) 2015-10-12 2016-12-28 주식회사 코스메카코리아 이산화티탄이 코팅된 복합안료 및 그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70003484A (ko) * 2015-06-30 2017-01-09 (주)아모레퍼시픽 다중 복합분체를 함유하는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KR20200024531A (ko) 2018-08-28 2020-03-09 주식회사 코스메카코리아 이산화티탄이 코팅된 복합안료 및 이를 포함한 화장료 조성물
KR20200033475A (ko) 2018-09-20 2020-03-30 주식회사 코스메카코리아 안료 표면처리장치, 이를 이용한 안료 표면처리방법, 표면처리된 복합안료 및 이를 포함한 화장료 조성물
KR102196305B1 (ko) * 2019-08-13 2020-12-29 이스트힐(주) 화장료용 광휘성 복합물, 그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피부 색상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26307A (ja) 1999-02-02 2000-08-15 Pola Chem Ind Inc メークアップ化粧料
JP4530194B2 (ja) * 2001-07-05 2010-08-25 株式会社資生堂 メーキャップ化粧料
JP2010126445A (ja) 2008-11-25 2010-06-10 Pola Chem Ind Inc 固形粉末化粧料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65019A (ko) * 2013-12-04 2015-06-12 (주)아모레퍼시픽 미세 복합분체를 함유하는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WO2016064070A1 (ko) * 2014-10-23 2016-04-28 (주)아모레퍼시픽 청색 복합 분체를 함유하는 피부 투명감 증진용 조성물
CN106999362A (zh) * 2014-10-23 2017-08-01 株式会社爱茉莉太平洋 用于改善皮肤透明度的含有蓝色络合物粉末的组合物
WO2016159676A1 (ko) * 2015-03-31 2016-10-06 주식회사 아모레퍼시픽 수분광 모사한 화장료 조성물
KR20160117077A (ko) 2015-03-31 2016-10-10 (주)아모레퍼시픽 수분광 모사한 화장료 조성물
CN107405266A (zh) * 2015-03-31 2017-11-28 株式会社爱茉莉太平洋 模拟水分光泽的化妆品组合物
US20180085289A1 (en) * 2015-03-31 2018-03-29 Amorepacific Corporation Cosmetic composition for mimicking moisturized glow
KR20170003484A (ko) * 2015-06-30 2017-01-09 (주)아모레퍼시픽 다중 복합분체를 함유하는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KR101690143B1 (ko) 2015-10-12 2016-12-28 주식회사 코스메카코리아 이산화티탄이 코팅된 복합안료 및 그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200024531A (ko) 2018-08-28 2020-03-09 주식회사 코스메카코리아 이산화티탄이 코팅된 복합안료 및 이를 포함한 화장료 조성물
KR20200033475A (ko) 2018-09-20 2020-03-30 주식회사 코스메카코리아 안료 표면처리장치, 이를 이용한 안료 표면처리방법, 표면처리된 복합안료 및 이를 포함한 화장료 조성물
KR102196305B1 (ko) * 2019-08-13 2020-12-29 이스트힐(주) 화장료용 광휘성 복합물, 그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피부 색상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36159B1 (ko) 2018-03-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060583A (ko) 이산화티탄 피복 무기안료 혼합분체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CN108348782B (zh) 赋予自然肤色和健康外观效果的美容组合物
KR101729541B1 (ko) 이산화티탄과 마이카의 복합 분체 및 이를 함유하는 베이스 메이크업용 화장료 조성물
CN103596547B (zh) 乳化型底妆化妆品及其制造方法
CN110200861B (zh) 一种成膜剂组合物及其应用的牙齿美白组合物
KR102286685B1 (ko) 수분광 모사한 화장료 조성물
CN105263580B (zh) 着色护肤组合物
CN105431206B (zh) 着色护肤组合物
KR20140005941A (ko) 베이스 메이크업 화장료 및 그 제조 방법
CN110151600A (zh) 一种水润持久口红及其制造方法
KR20130018228A (ko) 베이스 메이크업용 화장료 및 그 제조 방법
CN108472206A (zh) 具有改进的光泽效果的组合物
JP2019108281A (ja) 油性固形化粧料
CN105492077A (zh) 着色护肤组合物
KR102108469B1 (ko) 미세 복합분체를 함유하는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CN109069396B (zh) 多色牙膏制剂
KR101903221B1 (ko) 장밋빛 화색의 화장용 조성물
KR101076308B1 (ko) 스프레이형 파운데이션 조성물
CN107708655B (zh) 含有多种复合粉体的化妆用化妆料组合物
JP2008214210A (ja) 水系唇用下地化粧料および化粧方法
JP6650769B2 (ja) エアゾール型一時染毛料組成物
JPWO2015016038A1 (ja) 液体洗浄剤組成物
US20200337960A1 (en) Film with a coloured metallic effect to be applied as makeup
KR20160106833A (ko) 립 코팅과 롱 래스팅 효과를 가지는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WO2016064070A1 (ko) 청색 복합 분체를 함유하는 피부 투명감 증진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