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03484A - 다중 복합분체를 함유하는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다중 복합분체를 함유하는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03484A
KR20170003484A KR1020160082823A KR20160082823A KR20170003484A KR 20170003484 A KR20170003484 A KR 20170003484A KR 1020160082823 A KR1020160082823 A KR 1020160082823A KR 20160082823 A KR20160082823 A KR 20160082823A KR 20170003484 A KR20170003484 A KR 201700034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e powder
powder
cosmetic composition
light
coating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828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74791B1 (ko
Inventor
박세준
Original Assignee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57608683&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170003484(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주)아모레퍼시픽 filed Critical (주)아모레퍼시픽
Publication of KR201700034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34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47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47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16Solid or semisolid forms
    • A61K8/022Powders; Compacted Pow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41Containing particulates characterized by their shape and/or structure
    • A61K8/0245Specific shapes or structure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of A61K8/0241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41Containing particulates characterized by their shape and/or structure
    • A61K8/0254Platelets; Flak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61K8/26Aluminium; Compound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61K8/29Titanium; Compound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00Make-up preparations; Body powders; 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00Make-up preparations; Body powders; 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A61Q1/12Face or body powders for grooming, adorning or absorb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41Particular ingredients further characterized by their size
    • A61K2800/412Microsized, i.e. having sizes between 0.1 and 100 micr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41Particular ingredients further characterized by their size
    • A61K2800/413Nanosized, i.e. having sizes below 100 n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42Colour properti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9Mixtures
    • A61K2800/591Mixtures of compound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codes A61K2800/592 - A61K2800/596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60Particulates further characterized by their structure or composition
    • A61K2800/61Surface treated
    • A61K2800/62Coat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60Particulates further characterized by their structure or composition
    • A61K2800/61Surface treated
    • A61K2800/62Coated
    • A61K2800/621Coated by inorganic compound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ermat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ometr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1 복합분체 및 제2 복합분체를 함유하는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로서, 상기 제1 복합분체 및 제2 복합분체는 코팅층으로 코팅된 판상 분체이고, 상기 제1 복합분체는 코팅층의 평균 두께가 20~70 nm이고, 상기 제2 복합분체는 코팅층의 평균 두께가 74~104 nm인,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다중 복합분체를 함유하는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MAKE-UP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MULTIPLE COMPOSITE POWDER}
본 발명은 다중 복합분체를 함유하는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출원은 2015년 6월 30일에 한국 특허청에 제출된 한국 특허출원 제10-2015-0093768호의 출원일의 이익을 주장하며, 그 내용 전부는 본 명세서에 포함된다.
종래에는 피부에 윤기나 광택을 부여하기 위해서는 빛의 반사율이 높은 마이카 등의 판상 분체를 티타늄디옥사이드나 산화철, 유기 안료 등으로 코팅해 간섭 효과에 의한 색상이나 색소에 의한 색상을 나타내는 복합분체인 펄안료를 많이 사용하였다.
그러나, 이런 펄안료를 함유한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은 윤기나 광택은 부여할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 직경이 20 ㎛ 이상인 복합분체의 크기로 인해 다량 사용시 부자연스런 광종래에는 피부에 윤기나 광택을 부여하기 위해서는 빛의 반사율이 높은 마이카 등의 판상 분체를 티타늄디옥사이드나 산화철, 유기 안료 등으로 코팅해 간섭 효과에 의한 색상이나 색소에 의한 색상을 나타내는 복합분체인 펄안료를 많이 사용하였다.
그러나, 이런 펄안료를 함유한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은 윤기나 광택은 부여할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 직경이 20 ㎛ 이상인 복합분체의 크기로 인해 다량 사용시 부자연스런 광택감을 주고, 시간 경과시 번들거림이라는 부정적 요소로 작용하는 단점이 있었다.
한편, 4가지 색을 반사하는 각 분체를 혼합하여 백색광을 구현한 경우도 있으며, 이 경우, 빛의 간섭효과로 인하여 각각의 빛이 보강되어 미백 효과를 부여할 수는 있으나, 일반적으로 직경이 20 ㎛이상인 복합분체의 혼합으로 인하여 자연스러운 미백 효과가 떨어져 미백효과가 다소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또한, 티타늄옥사이드가 코팅된 펄안료를 함유한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은 그 코팅된 두께를 조절하여 백색 반사광을 구현하여도, 피부에 도포시 그 반사광이 400~500 nm 사이의 파장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반사율이 높아, 피부톤이 밝아짐에도 청색광이 강조된 반사광으로 인하여 부자연스러운 미백 효과를 나타내는 부작용이 있다.
또한,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이산화티탄으로 밝은 피부를 구현하고자 경우에도 백색광과 청색광 동시에 나타나는 효과로 인하여 부자연스러운 미백효과가 나타나는 실정이다.
따라서, 자연스러운 미백 효과를 구현할 수 메이크업 화장료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피부톤을 밝게 하는 우수한 미백 효과를 나타내면서도, 자연의 백색광과 같이 가시광선 파장대 전체에서 고른 반사율을 나타내어, 피부에 도포시 자연스러운 백색광을 반사하는 메이크업 화장료, 즉, 광미백을 구현하는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제1 복합분체 및 제2 복합분체를 함유하는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상기 제1 복합분체 및 제2 복합분체는 코팅층으로 코팅된 판상 분체이고, 상기 제1 복합분체는 코팅층의 평균 두께가 20~70 nm이고, 상기 제2 복합분체는 코팅층의 평균 두께가 74~104 nm인,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청색계열 파장대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반사율을 나타내는 제1 복합분체가 피부톤을 밝게 하면서도, 제2 복합분체가 제1 복합분체에서 상대적으로 낮은 반사율을 나타내는 파장대를 보강하여, 결과적으로 우수한 피부톤 개선 효과와 함께 모든 가시광선 파장대에서 고른 반사율을 나타내는 광미백을 구현하는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에서, 하단 선은 검은색 인조 피혁에 아무런 처리도 하지 않은 상태에서 측정한 결과이고, 상단 선은 검은색 인조 피혁에 실시예 1의 조성물을 도포 후 그 반사광을 측정한 결과이다.
도 2에서, 하단 선은 검은색 인조 피혁에 아무런 처리도 하지 않은 상태에서 측정한 결과이고, 상단 선은 검은색 인조 피혁에 실시예 2의 조성물을 도포 후 그 반사광을 측정한 결과이다.
도 3에서, 하단 선은 검은색 인조 피혁에 아무런 처리도 하지 않은 상태에서 측정한 결과이고, 상단 선은 검은색 인조 피혁에 실시예 3의 조성물을 도포 후 그 반사광을 측정한 결과이다.
도 4에서, 하단 선은 검은색 인조 피혁에 아무런 처리도 하지 않은 상태에서 측정한 결과이고, 상단 선은 검은색 인조 피혁에 실시예 4의 조성물을 도포 후 그 반사광을 측정한 결과이다.
도 5에서, 하단 선은 검은색 인조 피혁에 아무런 처리도 하지 않은 상태에서 측정한 결과이고, 상단 선은 검은색 인조 피혁에 실시예 5의 조성물을 도포 후 그 반사광을 측정한 결과이다.
도 6에서, 하단 선은 검은색 인조 피혁에 아무런 처리도 하지 않은 상태에서 측정한 결과이고, 상단 선은 검은색 인조 피혁에 비교예 1의 조성물을 도포 후 그 반사광을 측정한 결과이다.
도 7에서, 하단 선은 검은색 인조 피혁에 아무런 처리도 하지 않은 상태에서 측정한 결과이고, 상단 선은 검은색 인조 피혁에 비교예 2의 조성물을 도포 후 그 반사광을 측정한 결과이다.
도 1 내지 7에 있어서, 가로축은 반사광의 파장대 (단위: nm)를 나타내고, 세로축은 해당 파장대의 반사율 (단위: %)을 나타낸다.
본 발명은 제1 복합분체 및 제2 복합분체를 함유하는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1 복합분체는 코팅층으로 코팅된 판상 분체이고, 상기 제2 복합분체는 코팅층으로 코팅된 판상 분체이며, 상기 제1 복합 분체 및 상기 제2 복합 분체의 코팅층으로 코팅된 판상 분체는 본 명세서에서 다르게 한정하는 사항을 제외하고는 동일한 의미로 해석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제1 복합분체는 코팅층의 평균 두께가 20~70 nm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제2 복합분체는 코팅층의 평균 두께가 74~104 nm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판상 분체의 코팅층은 티타늄디옥사이드이다.
티타늄디옥사이드는 백색 안료이면서, 굴절율이 2.5~2.7을 나타내는 유일한 성분으로, 티타늄디옥사이드를 분체에 균일하게 코팅하면 빛을 반사시키는 효과를 나타내므로 광미백 효과를 구현 할 수 있다. 이러한, 티타늄디옥사이드는 다른 백색 안료인 징크 옥사이드와 비교할 때, 징크 옥사이드는 귤절율이 1.9~2.0으로 높은 수준이나, 빛을 반사시키는 양이 더 많아 피부 결점을 가려주는 커버력 등이 더 우수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판상 분체는 마이카, 합성 마이카, 알루미나, 보론나이트라이드 분말, 탈크 및 세리사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이며, 빛의 반사 효과는 코팅층의 굴절율과 판상분체의 굴절율 차이가 클수록 높게 나타나기 때문에, 상기 판상 분체는 바람직하게는 굴절율이 1.65로 가장 낮은 마이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제1 복합분체 또는 상기 제2 복합분체의 평균 입자 직경은 1~17 ㎛이다.상기 제1 복합분체 또는 상기 제2 복합분체의 평균 입자 직경이 1 ㎛ 미만이면, 광택 효과가 미비하다. 또한, 17 ㎛ 초과이면, 분체가 압축분말제형인 트윈케이크 제형에서 사용될 경우 발림성과 균일성 성형성이 저하되는 문제점과 함께, 함량이 높을수록 광택감이 표현되지만 부자연스럽거나 얼룩지게 표현되어, 광택 효과에 한계가 있다. 반면, 상기 제1 복합분체 또는 상기 제2 복합분체의 평균 입자 직경이 1~17 ㎛인 경우, 간섭광으로 인한 자연스러운 광택감을 표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제1 복합분체의 함량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5~25 중량%이다.
상기 제1 복합분체의 함량이 5 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빛을 반사시키는 효과가 미미하여 광미백 효과가 나타나지 않으며, 25% 초과인 경우에는 반사광이 너무 하얗게 표현되어 부자연스러운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제2 복합분체의 함량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2~10 중량%이다.
상기 제2 복합분체의 함량이 2 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상기 제2 복합분체의 반사광이 상기 제1 복합분체의 청색광을 상쇄시키는 효과가 미비하여, 부자연스러운 광미백 효과를 나타나고, 10 중량% 초과인 경우는 상기 제2 복합분체의 반사광이 상기 제1 복합분체의 청색광을 상쇄하고도 상기 제2 복합분체의 황색 반사광이 강하게 나타나는 결과를 초래하여, 밝은 황색 반사광으로 본원 발명에서 구현하고 하는 광미백 효과를 나타낼 수 없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제1 복합분체 : 상기 제2 복합분체의 중량비는 4 : 1 이상이고 3 : 1 미만이며, 더 바람직하게는, 3.8 : 1 이상이고, 3.3 : 1 이하이다.
상기 제 1복합분체와 제2복합분체의 중량비가 4대1 미만의 경우에는 백색 반사광과 청색 반사광이 동시에 발생하여, 반사광이 부자연스러우며, 3대 1 이상에서는 백색 반사광와 황색 반사광이 동시에 발생하여 본 발명에서 달성하고자 하는 광미백 효과를 나타낼 수 없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은 색차계를 이용한 CIELAB 표색계의 명도(L)가 58.3 내지 58.4이고, 채도 좌표의 X축인 a*가 -0.8 내지 -0.5이고, 채도 좌표의 Y축인 b*가 -0.3 내지 0.6인 색좌표를 동시에 만족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은 광미백용이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광미백은 조성물을 피부에 적용시, 피부의 밝기를 증가시키면서, 조성물에서 반사되는 반사광이 모든 가시광선 파장대에서 균일한 반사율을 나타냄을 의미한다.
또한, 광미백은 인간의 눈으로 인식시 윤기 및 광택이 증가한다고 인식할 수 있는 효과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은 그 제형에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메이크업 프라이머, 파운데이션, 비비크림, 메이크업베이스, 투웨이케익, 팩트, 파우더 또는 아이섀도우 등의 형태로 제형화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보다 자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러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려는 것이지,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참고예 1] 제1 복합분체의 색좌표 측정
본 발명에 따른 제1 복합분체에 해당되는 BASF 사의 상품명 Flamenco® ultra silk 2500 (티타늄디옥사이드의 코팅 두께: 43~60nm), 0.002 g을 7.5cm*2.5cm 검은색 인조피혁에 도포한 후, KONICA MINOLTA 사에서 제조된 상품명 Spectrophotometer CM-5인 색차계를 이용하여, CIELAB 표색계에 따른 값을 측정하였다.
측정 결과, 명도(L)는 58.87이고, 채도 좌표의 X축인 a*는 -1.64이며, 채도 좌표의 Y축인 b*는 -4.91로 측정되었다.
[참고예 2] 제2 복합분체의 색좌표 측정
본 발명에 따른 제2 복합분체에 해당되는 BASF 사의 상품명 Flamenco® Silk Gold 230M (티타늄디옥사이드의 코팅 두께: 60~84nm) 0.002 g을 7.5cm*2.5cm 검은색 인조피혁에 도포한 후, KONICA MINOLTA 사에서 제조된 상품명 Spectrophotometer CM-5인 색차계를 이용하여, CIELAB 표색계에 따른 값을 측정하였다.
측정 결과, 명도(L)는 56.5이고, 채도 좌표의 X축인 a*는 2.94이며, 채도 좌표의 Y축인 b*는 17.95로 측정되었다.
[참고예 3] 실시예 및 비교예의 제조
하기 표 1의 조성 (단위: 중량%)으로 실시예 1 내지 5, 비교예 1 및 2의 조성물을 혼합 분말의 형태로 제조하였다.
성분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비교예 1 비교예 2
제1 복합분체 85 80 78 75 70 10 -
제2 복합분체 15 20 22 25 30 - 10
제1 복합분체 : 제2 복합분체의 중량비 5.667 : 1 4.000 : 1 3.545 : 1 3.000 : 1 2.333 : 1 - -
[시험예 1] 색좌표 측정 비교
상기 참조예 3에 따라 제조된 실시예 1 내지 5와 비교예 1 및 2 각각 0.003 g을 7.5cm*2.5cm 검은색 인조피혁에 도포한 후, KONICA MINOLTA 사에서 제조된 상품명 Spectrophotometer CM-5인 색차계를 이용하여, CIELAB 표색계에 따른 값을 각각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비교예 1 비교예 2
L 34.5 36.51 40.11 37.97 36.83 58.87 56.5
*a -0.12 -0.07 -0.1 -0.06 -0.09 -1.64 2.94
*b -1.01 -0.77 -1.17 -1.46 -1.43 -4.91 17.95
[시험예 2] 가시광선 파장 측정 비교
상기 참조예 3에 따라 제조된 실시예 1 내지 5와 비교예 1 및 2 각각 0.003 g을 7.5cm*2.5cm 검은색 인조피혁에 도포한 후, KONICA MINOLTA 사에서 제조된 상품명 Spectrophotometer CM-5인 측정기를 이용하여, 가시광선 파장대인 400 mm 내지 700 nm에 따른 반사율을 측정하여 그 결과를 도 1 내지 7에 나타내었으며, 400mm 내지 700mm의 파장범위에서 반사율의 최대값과 최소값의 차이값을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비교예 1 비교예 2
400mm-700mm에서 반사율의 최대 최소 차이값(%) 1 1 1.4 1.8 1.7 9 19
도 6 및 7에서, 비교예 1의 조성물은 400~500 nm 파장대, 즉 주로 청색계열에 대하여 주로 반사율을 증가시키는 반면, 비교예 6의 조성물은 600~700 nm 파장대, 즉 주로 황색계열에 대하여 주로 반사율을 증가시킴을 확인할 수 있으며, 400mm 내지 700mm에서 반사율의 최대 최소 차이값이 9% 이상으로 큰 폭으로 차이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반면, 도 1 내지 5에서는, 실시예 1 내지 5의 조성물이 모든 가시광선 파장대의 반사율을 고르게 증가시켜, 자연스러운 백색광, 즉, 광미백 효과를 나타냄을 확인할 수 있으며, 특히, 도 1 내지 도 5, 상기 표 2 및 3을 살펴보면, 실시예 2 및 3의 조성물은 모든 가시광선 파장대의 반사율을 고르게 증가시키면서도 밝기가 높아 우수한 광미백 효과를 나타냄을 확인할 수 있다.
[시험예 3] 패널에 의한 사용감 평가
하기 표 4의 조성으로 제형예 1 및 비교제형예 1 내지 3을 압축분말 형태의 트윈케이크 조성물을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성분 제형예 1 비교제형예 1 비교제형예 2 비교제형예 3
탈크 To100 To100 To100 To100
세리사이트 20.0 20.0 20.0 20.0
실리카 10.0 10.0 10.0 10.0
이산화티탄 12.0 12.0 12.0 22.0
산화아연 3.0 3.0 3.0 3.0
제1 복합분체 7.8 10.0 - -
제2 복합분체 2.2 - 10.0 -
산화철 2.0 2.0 2.0 2.0
미네랄 오일 7.0 7.0 7.0 7.0
제형예 1 및 비교제형예 1 내지 3에 대한 자연스러움, 윤기, 모공 커버 및 광택 효과에 대한 사용감 평가를 20~30대 여성 소비자 패널 테스트 20명이 직접 자신의 얼굴에 도포하여 평가하였다. 실제 관능적으로 도포 전후에 대한 평가를 실시하여 비교하였으며, 그 결과는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시험물질 자연스러운
광미백표현
윤기 모공커버 광택
제형예 1
비교제형예 1
비교제형예 2
비교제형예 3 × ×
◎ : 매우 우수, ○ : 우수, △ : 약간, × : 없음
상기 표 5를 살펴보면, 제형예 3이 비교제형예 3에 비하여, 광택도가 윤기가 높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비교제형예 1 및 2에 비하여 자연스럽게 빛에 의한 미백효과가 탁월하게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본원 발명에 따른 조성물이 미세한 스펙트럼 차이에 의해서, 피부에 도포 후 자연스러운 밝고 환한 피부표현이 되는 효과가 나타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Claims (9)

  1. 제1 복합분체 및 제2 복합분체를 함유하는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로서,
    상기 제1 복합분체 및 제2 복합분체는 코팅층으로 코팅된 판상 분체이고,
    상기 제1 복합분체는 코팅층의 평균 두께가 20~70 nm이고,
    상기 제2 복합분체는 코팅층의 평균 두께가 74~104 nm인,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판상 분체의 코팅층은 티타늄디옥사이드인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판상 분체는 마이카, 합성 마이카, 알루미나, 보론나이트라이드 분말, 탈크 및 세리사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복합분체 또는 상기 제2 복합분체의 평균 입자 직경은 1~17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복합분체의 함량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5~25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복합분체의 함량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2~10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복합분체 : 상기 제2 복합분체의 중량비는 4 : 1 이상이고 3 : 1 미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은 색차계를 이용한 CIELAB 표색계의 명도(L)가 58.3 내지 58.4이고, 채도 좌표의 X축인 a*가 -0.8 내지 -0.5이고, 채도 좌표의 Y축인 b*가 -0.3 내지 0.6인 색좌표를 동시에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은 광미백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KR1020160082823A 2015-06-30 2016-06-30 다중 복합분체를 함유하는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KR10207479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3768 2015-06-30
KR20150093768 2015-06-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3484A true KR20170003484A (ko) 2017-01-09
KR102074791B1 KR102074791B1 (ko) 2020-02-07

Family

ID=576086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82823A KR102074791B1 (ko) 2015-06-30 2016-06-30 다중 복합분체를 함유하는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10576024B2 (ko)
JP (1) JP6785250B2 (ko)
KR (1) KR102074791B1 (ko)
CN (1) CN107708655B (ko)
AU (1) AU2016287233B2 (ko)
HK (1) HK1245072A1 (ko)
SG (1) SG11201710463UA (ko)
WO (1) WO2017003234A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23396A (en) * 1983-09-14 1986-11-18 Shiseido Company Ltd. Titanium-mica composite material
US20120321684A1 (en) * 2007-09-07 2012-12-20 Guthy-Renker Llc Color Cosmetic
KR20130060583A (ko) * 2011-11-30 2013-06-10 (주)아모레퍼시픽 이산화티탄 피복 무기안료 혼합분체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50065019A (ko) * 2013-12-04 2015-06-12 (주)아모레퍼시픽 미세 복합분체를 함유하는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823866A1 (de) * 1998-05-28 1999-12-02 Merck Patent Gmbh Pigmentmischung
US6117435A (en) 1998-06-24 2000-09-12 Color Access, Inc. Natural look cosmetic compositions
JP3798266B2 (ja) * 2001-06-25 2006-07-19 花王株式会社 着色雲母チタン
EP1366737A1 (en) * 2002-05-23 2003-12-03 Schott Glas Formulation of cosmetic products with glass powder
EP1672036B1 (en) 2004-12-16 2016-12-07 Kao Corporation Pearlescent pigment
JP4709644B2 (ja) * 2005-12-28 2011-06-22 花王株式会社 ファンデーション
JP4800139B2 (ja) 2006-08-04 2011-10-26 日本メナード化粧品株式会社 複合粉末、および当該複合粉末を含有する化粧料
JP5653697B2 (ja) * 2010-03-29 2015-01-14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ベースメイクアップ用化粧料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2236775A (ja) * 2011-05-09 2012-12-06 Daizo:Kk 吐出製品
US9320687B2 (en) * 2013-03-13 2016-04-26 Johnson & Johnson Consumer Inc. Pigmented skin-care composition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23396A (en) * 1983-09-14 1986-11-18 Shiseido Company Ltd. Titanium-mica composite material
US20120321684A1 (en) * 2007-09-07 2012-12-20 Guthy-Renker Llc Color Cosmetic
KR20130060583A (ko) * 2011-11-30 2013-06-10 (주)아모레퍼시픽 이산화티탄 피복 무기안료 혼합분체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50065019A (ko) * 2013-12-04 2015-06-12 (주)아모레퍼시픽 미세 복합분체를 함유하는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7708655A (zh) 2018-02-16
AU2016287233A1 (en) 2018-01-18
SG11201710463UA (en) 2018-01-30
JP2018526326A (ja) 2018-09-13
KR102074791B1 (ko) 2020-02-07
US10576024B2 (en) 2020-03-03
JP6785250B2 (ja) 2020-11-18
HK1245072A1 (zh) 2018-08-24
US20180177686A1 (en) 2018-06-28
CN107708655B (zh) 2021-08-03
AU2016287233B2 (en) 2021-05-13
WO2017003234A1 (ko) 2017-0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12905B1 (ko) 간섭색 안료를 함유하는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및 그의제조방법
US8252298B2 (en) Color cosmetic
NZ553394A (en) A colour compensating system
KR20130060583A (ko) 이산화티탄 피복 무기안료 혼합분체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JP2010185073A (ja) 鮮やかな外観色と干渉色を有する二色性顔料
MXPA05000793A (es) Composiciones cosmeticas coloreadas con mezclas de pigmento perlado y de color.
KR101729541B1 (ko) 이산화티탄과 마이카의 복합 분체 및 이를 함유하는 베이스 메이크업용 화장료 조성물
KR102108469B1 (ko) 미세 복합분체를 함유하는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KR20170003484A (ko) 다중 복합분체를 함유하는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KR102190580B1 (ko) 이산화티탄이 코팅된 복합안료 및 이를 포함한 화장료 조성물
JP3816868B2 (ja) 固形化粧料
KR101782616B1 (ko) 콘택트 렌즈 폴리머 또는 그 유사물질로 코팅된 화장료용 코팅 분체 및 이를 함유하는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KR102321692B1 (ko) 나일론에 폴리메칠실세스퀴옥산이 코팅된 원료를 포함하는 글리터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200144816A (ko) 표면 개질된 무기 분말을 포함하는 세미-펄 파우더 화장료 조성물
EP3613812A1 (en) Composite white pigment
KR20090032561A (ko) 번들거림 및 지속성을 개선시키는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WO2016064070A1 (ko) 청색 복합 분체를 함유하는 피부 투명감 증진용 조성물
US20200337960A1 (en) Film with a coloured metallic effect to be applied as makeup
KR20070043130A (ko) 색 표현력이 우수한 색조 화장료 조성물
KR101805012B1 (ko) 폴리메틸실세스퀴옥산으로 코팅한 이산화티탄과 마이카의 복합 분체 및 이를 함유하는 베이스 메이크업용 화장료 조성물
Rabe et al. Encapsulated organic colorants to mimic naturally flawless skin
CN111793492A (zh) 稳定的可逆彩色光致变色添加剂
JPH0671221A (ja) 複層塗膜構造
JP2006152008A (ja) 粉末組成物
JP2012032643A (j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