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58218A - 평행형 파이프 연결관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평행형 파이프 연결관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58218A
KR20130058218A KR1020110124111A KR20110124111A KR20130058218A KR 20130058218 A KR20130058218 A KR 20130058218A KR 1020110124111 A KR1020110124111 A KR 1020110124111A KR 20110124111 A KR20110124111 A KR 20110124111A KR 20130058218 A KR20130058218 A KR 201300582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branch pipe
base material
mother
bran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241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39126B1 (ko
Inventor
윤종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비엠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비엠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비엠티
Priority to KR10201101241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39126B1/ko
Publication of KR201300582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582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391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391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P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PERATIONS; UNIVERSAL MACHINE TOOLS
    • B23P15/00Making specific metal objects by operations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or a group in this subcla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39/00Application of procedures in order to connect objects or parts, e.g. coating with sheet metal otherwise than by plating; Tube expanders
    • B21D39/04Application of procedures in order to connect objects or parts, e.g. coating with sheet metal otherwise than by plating; Tube expanders of tubes with tubes; of tubes with ro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P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PERATIONS; UNIVERSAL MACHINE TOOLS
    • B23P23/00Machines or arrangements of machines for performing specified combinations of different metal-working operations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B23P23/04Machines or arrangements of machines for performing specified combinations of different metal-working operations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for both machining and other metal-working oper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41/00Branching pipes; Joining pipes to wa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Branch Pipes, Bends, And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평행형 파이프 연결관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모재를 가공하여 평행형 파이프 연결관을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모재를 준비하는 단계와; 상기 모재를 가공하여 모관부와 상기 모관부의 중심 축 방향에 대하여 일정 각도 경사지는 지관부로 이루어지는 연결관 모재를 만들되, 상기 지관부에 있어 상기 모관부와 연결되지 않는 지관부의 단부 부위를 상기 모관부와 연결되는 지관부의 부위보다 크게 형성시키는 단계와; 상기 연결관 모재의 모관부를 절삭 가공하여 모관을 형성시키는 단계와; 상기 연결관 모재의 지관부를 절삭 가공하되, 상기 절삭 가공은 상기 모관부와 연결되지 않는 지관부의 단부 부위에서 상기 지관부의 경사 축 방향으로 수행하는 제1 절삭 가공과, 상기 모관부와 연결되지 않는 지관부의 단부 부위에서 상기 모관부의 중심 축과 동일한 방향으로 수행하는 제2 절삭 가공으로 이루어져, 상기 모관과 연통되는 지관을 형성시키는 단계와; 상기 지관의 하부 외측을 가압하여 일정 각도 경사져 형성된 지관의 하부를 모관의 중심 축 방향과 평행하게 만드는 성형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평행형 파이프 연결관의 제조방법을 개시한다.

Description

평행형 파이프 연결관 제조방법{Manufacturing method of lateral type pipe connector}
본 발명은 평행형 파이프 연결관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모재를 준비하는 단계와; 상기 모재를 가공하여 모관부와 상기 모관부의 중심 축 방향에 대하여 일정 각도 경사지는 지관부로 이루어지는 연결관 모재를 만들되, 상기 지관부에 있어 상기 모관부와 연결되지 않는 지관부의 단부 부위를 상기 모관부와 연결되는 지관부의 부위보다 크게 형성시키는 단계와; 상기 연결관 모재의 모관부를 절삭 가공하여 모관을 형성시키는 단계와; 상기 연결관 모재의 지관부를 절삭 가공하되, 상기 절삭 가공은 상기 모관부와 연결되지 않는 지관부의 단부 부위에서 상기 지관부의 경사 축 방향으로 수행하는 제1 절삭 가공과, 상기 모관부와 연결되지 않는 지관부의 단부 부위에서 상기 모관부의 중심 축과 동일한 방향으로 수행하는 제2 절삭 가공으로 이루어져, 상기 모관과 연통되는 지관을 형성시키는 단계와; 상기 지관의 하부 외측을 가압하여 일정 각도 경사져 형성된 지관의 하부를 모관의 중심 축 방향과 평행하게 만드는 성형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평행형 파이프 연결관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파이프를 따라 흐르는 유체를 두 방향으로 분리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지관이 구비되는 파이프 연결관이 필요하며, 특히 두 방향으로 분리된 유체가 평행하게 흐르도록 하기 위해서는 지관이 모관에 대하여 일정 각도 경사져 연결되되 지관의 출구 중심 축은 모관의 출구 중심 축과 평행하게 형성되는 평행형 파이프 연결관이 필요하다.
도 2a 및 도 2c 각각은 종래 평행형 파이프 연결관을 제조하는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개시된 것과 같이, 종래 평행형 파이프 연결관은 미도시된 모재를 준비하고, 상기 모재를 이용하여 모관부(1) 및 지관부(5)를 가공한다. 도 2a와 같이, 모관부(1)는 길이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일측에 돌출부(2)가 구비되며, 지관부(5)의 하부(6)는 모관부(1)의 하측 단부(3)의 중심 축과 평행하며 상부(7)는 모관부(1)의 돌출부(2)에 대응되도록 일정 각도 경사지도록 형성된다.
모관부(1) 및 지관부(5)가 구비되면, 도 2b에 개시된 것과 같이 화살표 방향으로 각각에 대하여 절삭 가공이 이루어진다. 즉, 모관부(1)는 상측 부위(4) 및 하측 부위(3)가 개구되도록 하부에서 상부로(① 방향이나 이와 반대 방향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음), 그리고 경사진 돌출부(2)의 단부가 모관부 내부와 연통되도록 돌출부의 중심 축 방향(② 방향)으로 진행된다. 지관부(5)는 각도가 변화하는 지점을 기준으로, 하부(6)에서 상부로(③ 방향), 그리고 상부(7)에서 일정 각도 경사진 상태로 하방으로(④ 방향) 진행된다.
모관부(1) 및 지관부(5) 각각에 대한 절삭 가공이 완료되면, 도 2c와 같이 모관부의 돌출부(2) 단부를 지관부의 상부(7) 단부와 맞댄 상태에서 그 부위(8)를 용접함으로써 평행형 파이프 연결관은 완성된다. 즉, 모관부의 입구와 연결된 파이프로부터 유입되는 유체는 평행형 파이프의 연결관에 의해 분리되나, 분리되어 모관부의 출구 및 지관부의 출구를 통해 각각의 단부와 연결되는 파이프를 통해 배출되는 유체는 상호 간에 평행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그런데, 이러한 제조방법은 두 가지 면에서 불리한 점이 있는데, 그 중 한가지는 제조 방법이 복잡한 것이다. 즉, 모재를 가공하여 모관부 및 지관부를 따로 제조한 다음에 이들 상호 간을 용접해야 하기 때문에 생산 효율 및 제조 단가가 증대하는 문제가 있다. 다른 한가지는 용접 작업의 곤란함과 용접 부위의 취약성에 있다. 즉, 모관부(1)와 지관부(5)를 용접함에 있어 홈 부위(9)는 공간 확보가 어렵기 때문에 용접을 완전하게 할 수 없는데, 이는 추후 용접 부위를 통해 유체가 누설되는 것과 직결되기 때문에 전체 배관의 안정성을 담보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작업 방식에 대한 대안으로서 주물을 상정할 수 있다. 하지만, 평행형 파이프 연결관의 각 단부는 통상적으로 용접을 통해 다른 파이프와 연결되는데, 주물 제품의 경우 용접 자체가 용이하지 않기 때문에 주물 방식을 이용하여 평행형 파이프 연결관을 제조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한계가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4-67007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965369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용접 작업이 없이 모관부와 지관부가 일체형으로 이루어지는 평행형 파이프 연결관의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생산 공정이 단순하면서, 유체의 누설 가능성을 원천적으로 배제할 수 있는 평행형 파이프 연결관의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모재를 가공하여 평행형 파이프 연결관을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모재를 준비하는 단계와; 상기 모재를 가공하여 모관부와 상기 모관부의 중심 축 방향에 대하여 일정 각도 경사지는 지관부로 이루어지는 연결관 모재를 만들되, 상기 지관부에 있어 상기 모관부와 연결되지 않는 지관부의 단부 부위를 상기 모관부와 연결되는 지관부의 부위보다 크게 형성시키는 단계와; 상기 연결관 모재의 모관부를 절삭 가공하여 모관을 형성시키는 단계와; 상기 연결관 모재의 지관부를 절삭 가공하되, 상기 절삭 가공은 상기 모관부와 연결되지 않는 지관부의 단부 부위에서 상기 지관부의 경사 축 방향으로 수행하는 제1 절삭 가공과, 상기 모관부와 연결되지 않는 지관부의 단부 부위에서 상기 모관부의 중심 축과 동일한 방향으로 수행하는 제2 절삭 가공으로 이루어져, 상기 모관과 연통되는 지관을 형성시키는 단계와; 상기 지관의 하부 외측을 가압하여 일정 각도 경사져 형성된 지관의 하부를 모관의 중심 축 방향과 평행하게 만드는 성형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그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모재를 가공하여 평행형 파이프 연결관을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모재를 준비하는 단계와; 상기 모재를 가공하여 모관부와 상기 모관부의 중심 축 방향에 대하여 좌우 대칭으로 일정 각도 경사져 형성되는 한 쌍의 지관부로 이루어지는 연결관 모재를 만들되, 상기 모관부와 연결되지 않는 각 지관부의 단부 부위를 상기 모관부와 연결되는 각 지관부의 부위보다 크게 형성시키는 단계와; 상기 연결관 모재의 모관부를 절삭 가공하여 모관을 형성시키는 단계와; 상기 연결관 모재의 각 지관부를 절삭 가공하되, 상기 절삭 가공은 상기 모관부와 연결되지 않는 각 지관부의 단부 부위에서 상기 지관부의 경사 축 방향으로 수행하는 제1 절삭 가공과, 상기 모관부와 연결되지 않는 각 지관부의 단부 부위에서 상기 모관부의 중심 축과 동일한 방향으로 수행하는 제2 절삭 가공으로 이루어져, 상기 각 지관을 상기 모관과 연통시키는 단계와; 상기 각 지관의 하부 외측을 가압하여 일정 각도 경사져 형성된 지관의 하부를 모관의 중심 축 방향과 평행하게 만드는 성형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다른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성형 단계 이전에, 상기 지관의 하부 외측을 가열하는 단계가 부가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모관부 및 지관부가 일체형으로 이루어지는 연결관 모재를 절삭한 다음 이를 성형하는 과정을 제안함으로써 용접을 하지 않더라도 평행형 파이프 연결관을 제조할 수 있도록 해준다.
또한, 본 발명은 용접 없이도 모관 및 지관이 일체형으로 이루어지는 평행형 파이프 연결관을 제공해줌으로써 유체가 누설될 수 있는 가능성을 원천적으로 배제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평행형 파이프 연결관을 보다 간단한 공정으로 제조할 수 있다는 점에서 생산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는 장점이 기대된다.
도 1a 내지 도 1h 각각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로서 평행형 파이프 연결관을 제조하는 개략적인 구성도.
도 2a 내지 도 2h 각각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로서 평행형 파이프 연결관을 제조하는 개략적인 다른 구성도.
도 3a 내지 도 3h 각각은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실시예로서 평행형 파이프 연결관을 제조하는 개략적인 다른 구성도.
도 4a 내지 도 4c 각각은 종래 평행형 파이프 연결관을 제조하는 개략적인 구성도.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살펴본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과 직접적인 관련성이 없거나,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자명한 사항에 대해서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1a 내지 도 1h 각각은 본 발명에 따른 평행형 파이프 연결관을 제조하는 개략적인 구성도로서, 본 발명은 기본적으로 모재를 준비하는 단계와, 준비된 모재를 가공하여 연결관 모재를 만드는 단계, 그리고 연결관 모재를 가공하여 모관 및 지관이 일체형으로 구비되는 평행형 파이프 연결관을 완성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먼저, 도 1a와 같이 모재(10)가 준비되면, 상기 모재(10)를 가공하여 점선으로 표시된 연결관 모재를 만든다. 의도하는 연결관 모재를 형성할 수만 있다면 상기 모재(10)는 임의 형상으로 이루어져도 무방하다.
도 1b와 같이, 연결관 모재는 모관부(100)와 지관부(200)가 일체형으로 이루어지는 특징이 있다. 상기 지관부(200)는 모관부(100)의 중심 축 방향에 대하여 일정 각도 경사져 형성되며, 특히 모관부(100)와 연결되지 않는 지관부의 단부 부위(250)를 모관부(100)와 연결되는 지관부의 부위(210)보다 크게 형성시킨다. 지관부(200)의 하단은 수평면(252)과 경사면(254)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이는 후술할 절삭 가공의 편의를 위해서이다.
도면부호 300은 모관부(100)와 지관부(200) 사이에 형성되는 홈으로서 모관부(100)의 중심 축 방향과 평행하도록 형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면부호 101, 106 각각은 모관부의 상단 및 하단으로서, 추후 모관의 입구 및 출구가 되는 부분이다.
모재로부터 연결관 모재가 만들어지면, 모관부(100) 및 지관부(200) 각각에 대하여 절삭 가공을 수행하여 모관 및 지관을 형성한다. 절삭 가공의 구체적인 작업 과정이 도 1c에 개시되어 있는데 이를 살펴본다.
먼저, 연결관 모재의 모관부(100)의 상단(102) 및 하단(106)이 개구되도록 하부에서 상부(ⓐ 방향)로 절삭 가공한다. 이는 종래의 모관부 절삭 가공과 동양이며, 도면의 절삭 가공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다음으로 연결관 모재의 지관부(200)를 절삭 가공한다. 지관부(200)의 절삭 가공은, 모관부(100)와 연결되지 않는 지관부의 단부 부위(250)에서 상기 지관부가 기울어져 있는 경사 축 방향(ⓑ 방향)으로 수행하는 제1 절삭 가공과, 모관부(100)와 연결되지 않는 지관부의 단부 부위(250)에서 상기 모관부(100)의 중심 축과 동일한 방향(ⓒ 방향)으로 수행하는 제2 절삭 가공으로 분리되어 진행된다.
본 발명이 지관부(200)에 대하여 이처럼 2중으로 절삭 가공을 하는 이유는, 통상적인 절삭 가공 장치의 커터는 직선 운동하면서 절삭 작업이 이루어지는 것을 감안한 것이다. 또한, 이러한 절삭 가공 장치의 편리한 작업을 위해 지관부의 단부 부위(250)를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시킨 것이며, 나아가 지관부의 하단에 수평면(252)과 경사면(254)을 형성시킨 것이다. 상기 제1 절삭 가공과 제2 절삭 가공에 있어 따로 정해진 순서는 없다.
연결관 모재에 대한 절삭 가공이 완료되면 도 1d와 같이 입구(122) 및 출구(126)가 구비되는 모관(120)과, 상기 모관(120)과 연통되며 출구(256)가 구비되는 지관(220)이 형성된다. 도 1d의 하부에 개시되어 있는 것은 모관의 출구(126) 및 지관의 출구(256) 형상이다. 개시된 것과 같이, 지관의 출구(256)는 모관의 출구(126)와 달리 장방형으로 형성되는 특징이 있다.
평행형 파이프의 연결관으로서 기본적인 모관 및 지관이 형성되면, 지관의 하부 외측을 가압하여 지관의 하부를 모관의 중심 축 방향과 평행하게 한다. 이 가압 작업은 다음과 같은 두 가지를 상정해 볼 수 있다.
그 중 하나는 도 1e에 개시된 프레스 성형이며, 다른 하나는 도 1f에 개시된 롤 다이스 성형이다. 전자는, 홈(300)에 프레스의 고정부(22)를 삽입한 상태에서 프레스의 가압부(24)를 이용하여 모관(120)과 연결되지 않는 지관(220)의 단부 부위(251) 외측을 가압하여 지관의 출구를 모관의 출구 중심 축 방향과 평행하게 하는 방식이다.
후자는, 모관(120)과 연결되지 않는 지관(220)의 단부 부위(251) 외측을 롤러(27)에 접한 상태에서 인발 방식 또는 압출 방식 중에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방식으로 화살표 방향으로 당기거나 밀어내어 지관의 출구를 모관의 출구 중심 축 방향과 평행하게 하는 방식이다. 도면에는 단일의 롤러가 단부 부위(251)에 작용하는 것으로 상정되어 있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복수 개의 롤러를 사용하여 작업이 수행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지관(220)에 대한 성형 작업이 완료되면, 도 1g와 같이 지관(220)에 있어 모관(120)과 연결되지 않은 출구(256)를 포함하는 부위(262)는 모관(120)과 연통되는 부위(212)에 대하여 일정 각도 경사지게 되며, 그 부위(262)는 모관(120)의 중심 축 방향과 평행하게 이루어진다. 즉, 모관의 입구(122)로 유입되는 유체는 모관 및 지관으로 각각 분배되되, 유체는 모관 및 지관의 출구로부터 평행하게 배출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성형 단계 이전에 지관(220)의 단부 부위를 가열하는 경우를 배제하지 않는다. 이는 지관의 단부 부위를 가열함으로써 그 부위에 대한 성형 작업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지게 하기 위함이다. 가열은 도면부호 252, 253으로 표시된 지관의 단부 부위에 대하여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열 수단은 관련 기술 분야에 널리 알려진 수단 중에서 임의 선택 가능하다.
지관에 대한 성형 작업이 완료되어 지관의 출구 부위가 모관의 출구와 평행하게 이루어지면, 도 1h와 같이 모관의 입구 및 출구, 그리고 지관의 출구 각각에 파이프와의 용접을 위한 단차부(123, 127, 263)를 가공하면, 비로서 본 발명에 따른 평형행 파이프 연결관의 제조가 완료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가 도 2a 내지 도 2h 각각에 개시되어 있다. 이 실시예는 전술한 실시예와 달리, 모관부(100)와 지관부(200) 사이에 형성되는 홈(300)을 성형 단계 이후에 형성시킨다는 점에 그 특징이 있다.
즉, 이 실시예는 모재(12)를 준비하고 준비된 모재를 가공하여 연결관 모재를 만드는 단계(도 2a 및 도 2b)와, 연결관 모재의 모관부(100) 및 지관부(200) 각각에 대하여 절삭 가공을 수행하여 모관(120) 및 지관(220)을 형성하는 단계(도 2c 및 도 2d), 그리고 프레스 방식, 또는 압출 등의 방식으로 지관(220)의 하부 외측(252)을 가압하여 지관의 하부를 모관(120)의 중심 축 방향과 평행하게 만드는 성형 단계(도 2e 또는 도 2f)와, 모관(120)의 입구 및 출구와 지관(220)의 출구 각각에 파이프와의 용접을 위한 단차부(123, 127, 263), 그리고 홈(300)을 가공하는 단계(도 2g 및 도 2h)로 이루어진다.
지관의 하부를 모관(120)의 중심 축 방향과 평행하게 구현함에 있어 홈(300)이 형성되지 않은 상태이기 때문에, 프레스의 고정부(23)를 지관의 하부가 아닌 모관의 하부(123)와 밀착시킨 상태에서 프레스의 가압부(25)로서 지관의 단부 부위(251) 외측을 가압하거나, 또는 지관의 단부 부위(251) 외측을 롤러(28)에 접한 상태에서 화살표 방향으로 당기거나 밀어내게 된다. 전술한 실시예에 적용되는 사항들이 이 실시예에 그대로 적용되거나, 또는 일부 구성이 변경되어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은 또 다른 실시예로서 모관과 상기 모관으로부터 분지되는 한 쌍의 지관으로 이루어지는 평행형 파이프 연결관의 제조방법을 개시함에 그 기술적 특징이 있다. 이를 첨부된 도 3a 내지 도 3h 각각을 참조하여 살펴본다.
모재(14)가 준비되면, 준비된 모재(14)를 가공하여 점선으로 표시된 것과 같은 형상의 연결관 모재를 만든다(도 3a).
가공된 연결관 모재는 도 3b와 같이, 모관부(320)와 상기 모관부(320)로부터 일정 각도로 분지되는 한 쌍의 지관부(340, 360)로 이루어진다. 형성 각도를 어느 정도로 할지 여부는 임의 사항이나, 각도를 결정함에 있어 모관부의 중심 축와 각 지관부의 중심 축은 평행하게 이루어질 수 있음을 감안할 필요가 있다. 각 지관부의 단부 부위가 크게 형성되며, 각 지관부의 하단은 수평면(346, 366)과 경사면(344, 364)로 이루어짐은 전술한 실시예의 경우와 동일하다. 미설명 도면부호 322는 모관부의 상단이다.
연결관 모재가 만들어지면, 모관부(320) 및 지관부(340, 360) 각각에 대하여 절삭 가공을 수행하여 모관 및 지관을 형성한다. 절삭 가공의 구체적인 작업 과정은 도 3c에 개시되어 있다. 즉, 연결관 모재의 모관부(320)의 상단(3222)에서 하부 방향(ⓓ 방향)으로 절삭 가공한다. 다음으로 연결관 모재의 각 지관부(340, 360)가 기울어져 있는 경사 축 방향(ⓔ 방향)으로 수행하는 지관부의 제1 절삭 가공과, 각 지관부의 단부 부위 수평면(346, 366)에서 모관부(320)의 중심 축과 동일한 방향(ⓕ 방향)으로 수행하는 지관부의 제2 절삭 가공이 연속하여 수행된다. 지관부에 대한 제1 절삭 가공과 제2 절삭 가공에 있어 정해진 순서는 없다.
절삭 가공이 완료되면 도 3d와 같이 입구(324)가 구비되는 모관(321)과, 상기 모관(321)과 연통되어 분지되며 출구(347, 367)가 구비되는 지관(341, 361)이 형성된다. 도 3d의 하부에 개시되어 있는 것은 각 지관의 출구 형상이다. 각 지관의 출구(347, 367)는 장방형으로 형성된다.
평행형 파이프의 연결관으로서 기본적인 모관 및 지관이 형성되면, 프레스의 가압부(26)를 각 지관의 하부(343, 363) 외측을 가압하거나(도 3e), 또는 각 지관의 하부(343, 363) 외측을 롤러(29)에 접한 상태에서 화살표 방향으로 당기거나 밀어내어(도 3f), 각 지관의 출구 중심 축이 모관의 중심 축과 평행하도록 성형한다.
이 과정에 의해 각 지관에 대한 성형 작업이 완료되면, 도 3g와 같이 각 지관(341, 361)에 있어 모관(321)과 연통되지 않은 출구(346, 366)를 포함하는 부위(351, 371)는 모관(321)과 연통되는 부위에 대하여 일정 각도 경사지게 되며, 그 부위(351, 371)는 모관(321)의 중심 축 방향과 평행하게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모관(321)의 입구(322)로 유입되는 유체는 모관에서 각각 분지되는 각 지관으로 분배되되, 유체는 당초 유입된 모관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각 지관의 출구(346, 366)를 통해 배출되게 된다.
각 지관에 대한 성형 작업이 완료되어 지관의 출구 부위가 모관의 출구와 평행하게 이루어지면, 도 3h와 같이 모관의 입구 및 각 지관의 출구에 파이프와의 용접을 위한 단차부(323, 352, 372)를 가공하면, 비로서 본 발명에 따른 평형행 파이프 연결관의 제조가 완료된다.
한편, 상기 실시예는 홈(380)을 각 지관에 대한 성형 작업이 완료된 이후에 수행하는 것을 상정하고 있으나, 이와 달리 홈을 절삭 가공 단계 이전, 즉 연결관 모재 가공 단계에서 미리 형성시켜 제조하는 경우를 배제하지 않음은 물론이다. 또한, 전술한 실시예에서 설명한 가열 단계 등이 적절하게 변경되어 부가될 수 있음도 자명하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한정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이며,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여러 다양한 방법으로 변경되어 실시될 수 있으며, 나아가 개시된 기술적 사상에 기초하여 별도의 기술적 특징이 부가되어 실시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10 : 모재 100 : 모관부
120 : 모관 200 : 지관부
220 : 지관 300 : 홈부

Claims (3)

  1. 모재를 가공하여 평행형 파이프 연결관을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모재를 준비하는 단계와;
    상기 모재를 가공하여 모관부와 상기 모관부의 중심 축 방향에 대하여 일정 각도 경사지는 지관부로 이루어지는 연결관 모재를 만들되, 상기 지관부에 있어 상기 모관부와 연결되지 않는 지관부의 단부 부위를 상기 모관부와 연결되는 지관부의 부위보다 크게 형성시키는 단계와;
    상기 연결관 모재의 모관부를 절삭 가공하여 모관을 형성시키는 단계와;
    상기 연결관 모재의 지관부를 절삭 가공하되, 상기 절삭 가공은 상기 모관부와 연결되지 않는 지관부의 단부 부위에서 상기 지관부의 경사 축 방향으로 수행하는 제1 절삭 가공과, 상기 모관부와 연결되지 않는 지관부의 단부 부위에서 상기 모관부의 중심 축과 동일한 방향으로 수행하는 제2 절삭 가공으로 이루어져, 상기 모관과 연통되는 지관을 형성시키는 단계와;
    상기 지관의 하부 외측을 가압하여 일정 각도 경사져 형성된 지관의 하부를 모관의 중심 축 방향과 평행하게 만드는 성형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행형 파이프 연결관 제조방법.
  2. 모재를 가공하여 평행형 파이프 연결관을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모재를 준비하는 단계와;
    상기 모재를 가공하여 모관부와 상기 모관부의 중심 축 방향에 대하여 좌우 대칭으로 일정 각도 경사져 형성되는 한 쌍의 지관부로 이루어지는 연결관 모재를 만들되, 상기 모관부와 연결되지 않는 각 지관부의 단부 부위를 상기 모관부와 연결되는 각 지관부의 부위보다 크게 형성시키는 단계와;
    상기 연결관 모재의 모관부를 절삭 가공하여 모관을 형성시키는 단계와;
    상기 연결관 모재의 각 지관부를 절삭 가공하되, 상기 절삭 가공은 상기 모관부와 연결되지 않는 각 지관부의 단부 부위에서 상기 지관부의 경사 축 방향으로 수행하는 제1 절삭 가공과, 상기 모관부와 연결되지 않는 각 지관부의 단부 부위에서 상기 모관부의 중심 축과 동일한 방향으로 수행하는 제2 절삭 가공으로 이루어져, 상기 각 지관을 상기 모관과 연통시키는 단계와;
    상기 각 지관의 하부 외측을 가압하여 일정 각도 경사져 형성된 지관의 하부를 모관의 중심 축 방향과 평행하게 만드는 성형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행형 파이프 연결관 제조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성형 단계 이전에, 상기 지관의 하부 외측을 가열하는 단계가 부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행형 파이프 연결관 제조방법.
KR1020110124111A 2011-11-25 2011-11-25 평행형 파이프 연결관 제조방법 KR1013391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4111A KR101339126B1 (ko) 2011-11-25 2011-11-25 평행형 파이프 연결관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4111A KR101339126B1 (ko) 2011-11-25 2011-11-25 평행형 파이프 연결관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58218A true KR20130058218A (ko) 2013-06-04
KR101339126B1 KR101339126B1 (ko) 2013-12-09

Family

ID=488575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24111A KR101339126B1 (ko) 2011-11-25 2011-11-25 평행형 파이프 연결관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3912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799752A (zh) * 2022-04-26 2022-07-29 核工业西南物理研究院 一种用于托卡马克装置真空室内集水管的制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7925B1 (ko) * 2008-09-30 2010-01-21 유세형 파이프 연결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799752A (zh) * 2022-04-26 2022-07-29 核工业西南物理研究院 一种用于托卡马克装置真空室内集水管的制造方法
CN114799752B (zh) * 2022-04-26 2023-04-28 核工业西南物理研究院 一种用于托卡马克装置真空室内集水管的制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39126B1 (ko) 2013-1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764374A (zh) 用于制造滴灌管的方法
CN103624146A (zh) 盆架切边冲孔翻孔一次成型工艺
CN105414898B (zh) 一种翻边成型的直流电机机壳的制作方法
KR101339126B1 (ko) 평행형 파이프 연결관 제조방법
CN105033154B (zh) 带接管和法兰的一体化接管段整体锻造方法
CN105057469A (zh) 一种套管成型级进模具
CN202015783U (zh) 阶段式侧冲型精抽马达壳模具
JP2012101277A (ja) ディフューザの製造方法
CN202105868U (zh) 非对称成形系统以及非对称管件的成形装置
CN204770215U (zh) 车辆前轴支架制造用连续模具
CN108687494A (zh) 一种轮辋的压型制造工艺
CN209716161U (zh) 一体式球型多通管件的冲压模具
CN204396670U (zh) 一种汽车座椅的连接支架的加工模具
CN201201015Y (zh) 简易拉伸模具
JP2001286943A (ja) チューブハイドロフォーミングの端部成形方法
CN104438837A (zh) 制作螺旋盘管的模具和制作螺旋盘管的方法
JP2017512139A (ja) 部品形状を個別に適合させる方法
CN204074927U (zh) 压板线夹复合加工一次成型模具
JP2009183989A (ja) 成形素材及びプレス成形機並びにプレス成形方法
CN102658334A (zh) 一种精密包方模具
CN203448532U (zh) 一种用于生产汽车连接件的模具
CN204842670U (zh) 车辆大梁加强板拼接件制造用连续模具
CN203361616U (zh) 脚手架立杆合扣盘及其生产模具
CN218310383U (zh) 微型滤网类零件的成型模具
CN109513798A (zh) 一体式球型多通管件及其制备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30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