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57007A - 자동차 서스펜션용 주름형 플라스틱 복합재 스프링과, 이것의 제조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자동차 서스펜션용 주름형 플라스틱 복합재 스프링과, 이것의 제조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57007A
KR20130057007A KR1020110122702A KR20110122702A KR20130057007A KR 20130057007 A KR20130057007 A KR 20130057007A KR 1020110122702 A KR1020110122702 A KR 1020110122702A KR 20110122702 A KR20110122702 A KR 20110122702A KR 20130057007 A KR20130057007 A KR 201300570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stic composite
preform
composite spring
suspension
corrugated plastic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227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93962B1 (ko
Inventor
강현민
한도석
경우민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1227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93962B1/ko
Priority to US13/367,518 priority patent/US8490530B2/en
Priority to DE102012202625.8A priority patent/DE102012202625B4/de
Priority to CN201210044973.6A priority patent/CN103133583B/zh
Publication of KR201300570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570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939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93962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70/00Shaping composites, i.e. plastics material compris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C70/04Shaping composites, i.e. plastics material compris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comprising reinforcements only, e.g. self-reinforcing plastics
    • B29C70/28Shaping operations therefor
    • B29C70/40Shaping or impregnating by compression not applied
    • B29C70/50Shaping or impregnating by compression not applied for producing articles of indefinite length, e.g. prepregs, sheet moulding compounds [SMC] or cross moulding compounds [XM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70/00Shaping composites, i.e. plastics material compris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C70/04Shaping composites, i.e. plastics material compris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comprising reinforcements only, e.g. self-reinforcing plastics
    • B29C70/28Shaping operations therefor
    • B29C70/40Shaping or impregnating by compression not applied
    • B29C70/50Shaping or impregnating by compression not applied for producing articles of indefinite length, e.g. prepregs, sheet moulding compounds [SMC] or cross moulding compounds [XMC]
    • B29C70/52Pultrusion, i.e. forming and compressing by continuously pulling through a di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70/00Shaping composites, i.e. plastics material compris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C70/04Shaping composites, i.e. plastics material compris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comprising reinforcements only, e.g. self-reinforcing plastics
    • B29C70/06Fibrous reinforcements only
    • B29C70/08Fibrous reinforcements only comprising combinations of different forms of fibrous reinforcements incorporated in matrix material, forming one or more layers, and with or without non-reinforced layers
    • B29C70/086Fibrous reinforcements only comprising combinations of different forms of fibrous reinforcements incorporated in matrix material, forming one or more layers, and with or without non-reinforced layers and with one or more layers of pure plastics material, e.g. foam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22/00Producing hollow articles
    • B29D22/02Inflatable articles
    • B29D22/023Air springs; Air bellow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23/00Producing tubular articles
    • B29D23/18Pleated or corrugated ho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00Springs
    • F16F1/02Springs made of steel or other material having low internal friction; Wound, torsion, leaf, cup, ring or the like springs, the material of the spring not being relevant
    • F16F1/021Springs made of steel or other material having low internal friction; Wound, torsion, leaf, cup, ring or the like springs, the material of the spring not being relevant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e.g. comprising materials providing for particular spring propert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00Springs
    • F16F1/02Springs made of steel or other material having low internal friction; Wound, torsion, leaf, cup, ring or the like springs, the material of the spring not being relevant
    • F16F1/025Springs made of steel or other material having low internal friction; Wound, torsion, leaf, cup, ring or the like springs, the material of the spring not being relevant characterised by having a particular sha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3/00Shaping by bending, folding, twisting, straightening or flattening; Apparatus therefor
    • B29C53/56Winding and joining, e.g. winding spirally
    • B29C53/58Winding and joining, e.g. winding spirally helical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 Springs (AREA)
  • Moulding By Coating Moul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존 금속 코일형 스프링을 대체할 수 있는 자동차 서스펜션용 주름형 플라스틱 복합재 스프링과, 이것의 성형 제조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중공 주름 구조의 프리폼을 성형하는 주름압출성형부와; 프리폼 위에 3차원 직조물을 직조하는 브레이딩부와; 3차원 직조물에 열경화성 수지를 함침시킨 후 경화시키는 인발성형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서스펜션용 주름형 플라스틱 복합재 스프링 제조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자동차 서스펜션용 주름형 플라스틱 복합재 스프링과, 이것의 제조 장치 및 방법{Plastic composites spring for suspension,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은 기존 금속 코일형 스프링을 대체할 수 있는 자동차 서스펜션용 주름형 플라스틱 복합재 스프링과, 이것의 제조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차체는 타이어와 연결되는 현가장치에 의해 지지되며, 현가장치는 차량 주행 중에 발생하는 각종 진동과 충격을 흡수하여 승차감을 향상시키고, 노면 상태에 따라 차체의 전체적인 밸런스를 조정하는 역할을 하고, 또한 차량의 선회 시, 원심력에 대항하여 운전자의 안정적인 조정성을 확보하여 원심력에 따른 일 방향으로의 기울임 현상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현가장치에 주로 사용되는 타입은 스프링 강판을 적층시켜 사용하는 리프스프링(Leaf Spring)과 코일 모양으로 둥글게 감아 만든 코일스프링(Coil Spring)이 있다.
상기 리프스프링 및 코일스프링 등과 같은 스프링은 주로 금속 재질로 제작되어지나, 부식에 따른 치핑(chipping) 저항성 저하 문제 및 차량 경량화 이슈로 인하여, 플라스틱 복합재로 대체하려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상기 리프스프링은 형상이 판상으로 단순하기 때문에 이미 플라스틱 복합재로 대체되어 적용되고 있으나, 코일형 스프링은 코일 형상은 그대로 두고 단순히 소재만을 금속에서 플라스틱 복합재로 대체할 경우, 금속과 플라스틱 복합재의 절대적인 강성 차이로 인하여 자동차 서스펜션에 적용할 수 있는 수준의 스프링 상수 구현하는데 어려운 단점이 있다.
물론, 상기 코일형 스프링의 경우, 코일 형상을 그대로 유지하면서 선경 및 폭 확대와 더불어 고강성 소재를 적용함으로써, 어느 정도의 스프링 상수 구현은 가능하지만, 무게 및 재료비 상승으로 인하여 현재까지 고강성 소재를 적용한 금속 코일형 스프링의 양산 적용 사례는 없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에, 고강성 소재를 이용한 금속 코일형 스프링을 대체하고자, 코일형, 물결형, 주름형 등 다양한 형상의 플라스틱 복합재 스프링이 활발히 연구되고 있지만, 그 중 주름형은 폐단면 구조로 스프링 상수 구현이 가장 유리한 형태이다.
주름형 플라스틱 복합재 스프링에 대한 기술이 미국특허 US 4,235,427에 공지되어 있으나, 자동차 서스펜션에 적용 가능한 수준의 스프링 상수 구현을 위해서는 고강성 소재로 폐단면 형상을 제조하여야 하기 때문에, 성형 공정이 난해하고, 또한 생산성이 낮아 대량생산이 어렵고, 단가가 높은 공정인 핸드 레이-업(hand lay-up), 필라멘트 와인딩(filament winding) 공정을 포함하고 있어 기존의 금속 코일형 스프링을 대체하는데 한계가 있다.
또한, 기존에 블로우 몰딩(blow molding)을 응용하여 주름형 플라스틱 복합재 스프링을 제조하는 공법이 제안되어 있으나, 제조 가능한 소재가 순수 열가소성 수지나, 보강재가 일정량 이하로 함유된 플라스틱 복합재로 제한적이기 때문에 자동차에 적용 가능한 수준의 스프링 상수 구현이나 내구성 확보에 어려움이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기존의 제조 방법은 주름형 플라스틱 복합재 스프링을 단일 소재로만 제조 가능하기 때문에, 진동 및 소음에 대한 충분한 절연 성능 확보가 어려워 NVH(Noise, Vibration, and Harshness) 특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자동차용 서스펜션용 주름형 플라스틱 복합재 스프링을 이중 재질로 제조 가능하여 NVH 특성 확보가 용이하고, 3단계 공정을 연계한 연속 성형을 통하여 생산성 향상 및 대량생산이 가능한 자동차 서스펜션용 주름형 플라스틱 복합재 스프링제조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주된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종래의 금속 코일형 스프링의 더스트 커버와 상, 하 스프링패드 등의 부품을 생략하여 서스펜션 모듈의 단순화를 실현하는 동시에 조립 공정 축소 및 부품 비용을 절감을 도모할 수 있고, 차량 경량화에 기여할 수 있는 자동차 서스펜션용 주름형 플라스틱 복합재 스프링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구현예는: 중공 주름 구조의 프리폼을 성형하는 주름압출성형부와; 프리폼 위에 3차원 직조물을 직조하는 브레이딩부와; 3차원 직조물에 열경화성 수지를 함침시킨 후 경화시키는 인발성형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서스펜션용 주름형 플라스틱 복합재 스프링 제조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는: 열가소성 고분자 재료를 압출기의 회전형 금형 블록를 이용하여 중공 주름형태의 프리폼으로 성형 제조하는 단계와; 상기 프리폼의 외경면에 다수개의 원사가 직조된 3차원 직조물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3차원 직조물에 열경화성 수지를 함침시킨 후, 경화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서스펜션용 주름형 플라스틱 복합재 스프링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한 과제 해결 수단을 통하여,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서스펜션용 주름형 플라스틱 복합재 스프링을 이중 재질로 제조하여 NVH 특성 확보가 용이하고, 3단계 제조 공정을 연계하여 연속 성형이 가능하여 우수한 생산성 확보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주름형 플라스틱 복합재 스프링을 종래의 금속 코일형 스프링의 더스트 커버와 상, 하 스프링패드 등의 부품을 생략하여 서스펜션 모듈의 단순화를 실현하는 동시에 조립 공정 축소 및 부품 비용을 절감을 도모할 수 있고, 차량 경량화에 기여할 수 있다.
특히, 내층과 외층을 각각 탄성재질의 열가소성 수지재 및 열경화성 수지가 함침된 3차원 직조물로 구성하여, 우수한 진동 및 소음 절연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서스펜션용 주름형 플라스틱 복합재 스프링 제조 장치 및 방법을 나타낸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서스펜션용 주름형 플라스틱 복합재 스프링ㄱ구조를 설명하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서스펜션용 주름형 플라스틱 복합재 스프링과, 종래의 코일 스프링에 대한 구성을 비교한 개략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서스펜션용 스프링을 기존의 금속 코일형 스프링에서 주름형 플라스틱 복합재 스프링으로 대체함으로써, 부식 문제 해결에 따른 서스펜션 내구성 향상 및 초경량화 실현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주름형 플라스틱 복합재 스프링의 내층과 외층을 각각 다른 소재로 제작 가능하여 진동 및 소음 절연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한 점에 주안점이 있다.
본 발명의 제조 장치는 첨부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스펜션용 주름형 플라스틱 복합재 스프링 즉, 중공 주름 구조를 지닌 복합재 스프링을 이중 재질로 연속 성형하는 장치로서, 중공 주름 구조의 프리폼을 성형하는 주름압출성형부(10)와, 프리폼 위에 별도의 열처리 없이 연속섬유에 의한 3차원 직조물을 직조하는 브레이딩부(20)와, 열경화성 수지를 함침시킨 후 경화시키는 공정이 이루어지는 인발성형부(30)로 크게 나누어진다.
상기 주름압출성형부(10)는 열가소성 고분자 재료의 이송 및 교반수단인 스크류(11)가 내설되고, 스크류(11)에 의해 열가소성 고분자 재료의 이송/교반시 수반될 수 있는 상승온도에 대한 냉각을 위하여 스크류(11)의 외주부에 냉각장치(12)가 구비된 압출기(13)를 포함하고, 또한 상기 압출기(13)의 토출구쪽에 배치되어 열가소성 고분자 재료를 원하는 중공 주름형태의 프리폼(15) 구조로 성형하는 회전형 금형 블록(14)을 포함한다.
상기 주름압출성형부(10)에 의하여 진행되는 주름압출성형 공정 즉, 프리폼 성형 공정은 스크류(11)를 따라 열가소성 고분자 재료가 용융되면서 이송/교반되는 과정과, 압출기(13)에서 열가소성 고분자 재료를 중공 주름 형태의 프리폼으로 성형하는 과정으로 순차 진행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압출기(13)에 열가소성 고분자 재료가 공급되면, 압출기(13)과 연결된 진공 설비에 의하여 열가소성 고분자 재료가 늘어나면서 압출기(13)내의 벽면즉, 압출기(13)의 내벽면에 형성된 주름형 금형 표면에 몰리게 되고, 동시에 압출기(13)의 회전에 의하여 폐단면 주름 형태의 프리폼(15)이 제작된다.
이때, 상기 프리폼(15)을 성형하기 위한 열가소성 수지는 열가소성 탄성체(thermoplastic elastomer), 폴리에틸렌(polyethylene),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PVC(polyvinylchloride), PET(polyethyleneterephthalte)중 선택된 하나를 사용할 수 있다.
이렇게 상기 주름압출성형부(10)에서 열가소성 고분자 재료가 연속적인 압출 성형에 의하여, 중공 주름 형태의 프리폼(15)이 제조된 후, 다음 단계인 브레이딩부(20)로 배출된다.
상기 브레이딩부(20, braiding) 및 이에 의한 브레이딩 공정에 의하여 프리폼(15) 위에 별도의 열처리 없이 강도 보강재인 연속섬유가 3차원 직조물로서 직조된다.
즉, 상기 브레이딩부(20) 및 이에 의한 브레이딩 공정에 의하여, 유리섬유, 탄소섬유, 아라미드 섬유, 그래파이트 섬유 등과 같은 강도 보강재가 열가소성 고분자로 제조된 프리폼의 외주둘레에 3차원 형태로 편조된다.
상기 브레이딩부(20)의 구성을 보면, 중앙에 프리폼(15)이 통과하는 홀이 형성된 테이블(21)을 포함하고, 테이블(21)의 홀 주변에는 유리섬유, 탄소섬유, 아라미드 섬유, 그래파이트 섬유 등과 같은 강도 보강재용 원사(23)를 풀림 가능하게 권취하고 있는 다수개의 캐리어(22)가 장착된다.
이때, 상기 복수의 캐리어(22)는 테이블(21)에 형성된 "∞"자 형상의 이동경로(미도시됨)를 따라 회전하게 되며, 각 캐리어(21)가 회전할 때 캐리어(21)에 권취된 각 원사(23)가 각 캐리어(21)의 "∞"자 이송경로에 따라 풀리면서 상호 브레이딩된 3차원 직조물(24)이 프리폼(15) 표면에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브레이딩된 3차원 직조물(24)이 프리폼(15)의 외층에 형성된 주름형 플라스틱 복합재 스프링의 중간 단계 제품(25)이 제조된다.
다음으로, 열가소성 고분자 재료로 된 프리폼(15) 위에 브레이딩부(20)에 의한 브레이딩 공정을 거쳐, 3차원 직조물(24)이 형성된 주름형 복합재 스프링 중간 제품(25)이 인발성형부(30)로 이송된다.
상기 인발성형부(30)는 3차원 직조물(24)에 열경화성 수지를 함침시킨 후, 경화시키는 공정이 이루어지는 부분으로서, 3차원 직조물(24)에 열경화성 수지를 함침시키는 저온 함침조(31)와, 주름형 복합재 스프링의 중간 단계 제품(25)의 3차원 직조물(24)에 함침된 열경화성 수지를 가열하여 가교시키는 연속 공정 오븐(32)을 포함한다.
상기 열경화성 수지는 에폭시 수지,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비닐에스테르 수지중 선택된 하나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발성형부(30)는 저온함침조(31)에 의하여 열경화성 수지가 함침되고, 연속 공정 오븐(32)에 의해 경화된 제품을 적절한 길이로 절단하는 절단기(33)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저온 함침조(31)는 효과적인 함침 및 수지 손실을 줄이기 위해 주름형 복합재 스프링 중간 단계 제품(25)을 회전시키면서 스프레이 형태로 분사하거나, 샤워 형식으로 수지를 특정 위치에서 살포하는 방식을 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인발성형부(30)의 저온 함침조(31)에서 3차원 직조물(24)에 열경화성 수지가 함침되는 단계와, 연속 공정 오븐(32)에서 주름형 복합재 스프링의 중간 단계 제품(25)의 3차원 직조물(24)에 함침된 열경화성 수지가 가열 및 가교되는 단계와, 경화된 제품을 절단기(33)에서 적절한 길이로 절단하는 단계를 통하여, 본 발명에 따른 서스펜션용 주름형 플라스틱 복합재 스프링이 완성된다.
한편, 상기한 공정 간에 제품을 일정한 속도로 이송시킬 수 있는 당김 및 회전장치(27, puller)가 브레이딩부(20)의 말단부에 설치되고, 또한 동일한 당김 및 회전장치(34)가 인발성형부(30)의 연속 공정 오븐(32)과 절단기(33) 사이에 설치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당김 및 회전장치(27,34)는 제품의 이송방향과 동일하게 회전하는 한 쌍의 롤러가 상하에 배치된 형태로서, 롤러의 회전력에 의하여 제품이 이송방향으로 당겨지며 이송 안내되도록 함으로써, 공정 간에 제품을 일정한 속도로 이송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제조된 본 발명의 서스펜션용 주름형 플라스틱 복합재 스프링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체 역할을 하는 열가소성 수지로 된 프리폼(15)이 내층을 이루고, 외층에는 프리폼(15)에 직조된 3차원 직조물(24)이 형성되는 동시에 3차원 직조물(24)이 열경화성 수지로 함침된 형태의 구조를 갖게 된다.
여기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실시예
본 발명에 따른 주름형 플라스틱 복합재 스프링를 제조한 것으로서, 내층 소재(열가소성 탄성체)는 TPE-V 계통의 Santoprene101-87로 사용하고, 외층 소재는 유리섬유를 활용한 3축(triaxial, 0°, ±45°)브레이딩 직조 패턴을 갖는 3차원 직조물로 형성되는 동시에 상온(25℃)의 저온 함침조에서 3차원 직조물에 에폭시 수지를 함침시킨 후, 연속 공정 오븐에서 175℃, 30분 동안 유지시켜 제조하였다.
비교예 1~4
비교예 1로서, 통상의 강철 코일형 스프링을 제작하였고, 비교예 2로서 열경화성 수지와 유리섬유를 이용하여 코일형 스프링을 제작하였으며, 또한 비교예 3으로서 열경화성 수지와 탄소섬유를 이용하여 코일형 스프링을 제작하였고, 비교예 4로서 열경화성 수지와 유리/탄소섬유를 이용하여 코일형 스프링을 제작하였다.
시험예
본 발명의 실시예 및 비교예1~4에 따른 스프링에 대한 스프링 상수를 측정하였는 바, 그 결과는 아래의 표 1에 기재된 바와 같다.
Figure pat00001
위의 표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름형 복합재 스프링의 스프링 상수는 1.76kgf/mm로 측정되었으며, 비교예1~4중 비교예1의 강철 재질 코일형 스프링의 스프링 상수가 1.42kgf/mm로 가장 높게 측정되었지만, 본 발명의 스프링에 비하여 낮은 수준을 나타냄을 알 수 있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름형 복합재의 내층을 절연 및 댐핑 성능이 우수한 탄성재질의 열가소성 수지재로 적용하고, 외층은 고강성 복합재로서 열경화성 수지가 함침된 3차원 직조물로 구성함으로써, 내층은 진동 및 소음 절연과 댐핑 특성을 발휘하고, 외층은 치핑 저항성, 내구성 및 구조적 강성을 가지면서 스프링 상수를 높게 하는 특성을 발휘할 수 있다.
한편, 첨부한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주름형 플라스틱 복합재 스프링은 기존 금속 코일형 스프링과 달리 더스트 커버와 상, 하 스프링패드 등의 부품을 사용하지 않게 되므로, 부품 비용 절감 및 조립공정 축소를 실현할 수 있다.
10 : 주름압출성형부 11 : 스크류
12 : 냉각장치 13 : 압출기
14 : 회전형 금형 블록 15 : 프리폼
20 : 브레이딩부 21 : 테이블
22 : 캐리어 23 : 원사
24 : 3차원 직조물 25 : 중간 단계 제품
27 : 당김 및 회전장치 30 : 인발성형부
31 : 저온 함침조 32 : 연속 공정 오븐
33 : 절단기 34 : 당김 및 회전장치

Claims (12)

  1. 중공 주름형 구조의 프리폼을 성형하는 주름압출성형부(10)와;
    프리폼 위에 3차원 직조물을 직조하는 브레이딩부(20)와;
    3차원 직조물에 열경화성 수지를 함침시킨 후 경화시키는 인발성형부(3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서스펜션용 주름형 플라스틱 복합재 스프링 제조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주름압출성형부(10)는:
    열가소성 고분자 재료의 이송 및 교반수단인 스크류(11)와;
    열가소성 고분자 재료를 주름형태의 프리폼(15) 구조로 성형하는 회전형 금형 블록(14)을 포함하는 압출기(13);
    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서스펜션용 주름형 플라스틱 복합재 스프링 제조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브레이딩부(20)는:
    프리폼(15)이 통과하는 홀이 형성된 테이블(21);
    테이블(21)의 홀 주변에 장착되어 강도 보강재용 원사(23)를 풀림 가능하게 권취하고 있는 다수개의 캐리어(22);
    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서스펜션용 주름형 플라스틱 복합재 스프링 제조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인발성형부(30)는:
    3차원 직조물(24)에 열경화성 수지를 함침시키는 저온 함침조(31);
    3차원 직조물(24)에 함침된 열경화성 수지를 가열하여 가교시키는 연속 공정 오븐(32);
    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서스펜션용 주름형 플라스틱 복합재 스프링 제조 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인발성형부(30)는 연속 공정 오븐(32)에 의해 경화된 제품을 적절한 길이로 절단하는 절단기(33)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서스펜션용 주름형 플라스틱 복합재 스프링 제조 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제품을 일정한 속도로 이송시킬 수 있는 당김 및 회전장치(27,34)가 브레이딩부(20)의 말단부 및 인발성형부(30)의 연속 공정 오븐(32)과 절단기(33) 사이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서스펜션용 주름형 플라스틱 복합재 스프링 제조 장치.
  7. 열가소성 고분자 재료를 압출기(13)의 회전형 금형 블록(14)를 이용하여 주름형태의 프리폼(15)으로 성형 제조하는 단계와;
    상기 프리폼(15)의 외경면에 다수개의 원사가 직조된 3차원 직조물(24)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3차원 직조물(24)에 열경화성 수지를 함침시킨 후, 경화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서스펜션용 주름형 플라스틱 복합재 스프링 제조 방법.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프리폼을 위한 열가소성 수지는 열가소성 탄성체(thermoplastic elastomer), 폴리에틸렌(polyethylene),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PVC(polyvinylchloride), PET(polyethyleneterephthalte)중 선택된 하나를 사용하고, 상기 열경화성 수지는 에폭시 수지,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비닐에스테르 수지중 선택된 하나를 사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서스펜션용 주름형 플라스틱 복합재 스프링 제조 방법.
  9.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3차원 직조물(24)의 원사는 유리섬유, 탄소섬유, 아라미드 섬유, 그래파이트 섬유 중 선택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서스펜션용 주름형 플라스틱 복합재 스프링 제조 방법.
  10.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경화시키는 단계 후의 제품을 절단기(33)에서 적절한 길이로 절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서스펜션용 주름형 플라스틱 복합재 스프링 제조 방법.
  11.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0에 따른 장치 및 방법에 의하여 내층 및 외층으로된 2중 단면 구조이면서 중공형 주름 형태로 제작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서스펜션용 주름형 플라스틱 복합재 스프링.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내층은 열가소성 수지로 된 프리폼(15)으로 형성되고, 상기 외층은 프리폼(15)의 외표면에 3차원 직조물(24)이 형성되는 동시에 3차원 직조물(24)에 열경화성 수지가 함침된 형태로 제작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서스펜션용 주름형 플라스틱 복합재 스프링.
KR1020110122702A 2011-11-23 2011-11-23 자동차 서스펜션용 주름형 플라스틱 복합재 스프링과, 이것의 제조 장치 및 방법 Active KR1012939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2702A KR101293962B1 (ko) 2011-11-23 2011-11-23 자동차 서스펜션용 주름형 플라스틱 복합재 스프링과, 이것의 제조 장치 및 방법
US13/367,518 US8490530B2 (en) 2011-11-23 2012-02-07 Plastic composite spring for vehicle suspension and apparatu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DE102012202625.8A DE102012202625B4 (de) 2011-11-23 2012-02-21 Gewellte Feder aus einem Kunststoff-Verbundmaterial für eine Fahrzeugaufhängung sowie 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Herstellen derselben
CN201210044973.6A CN103133583B (zh) 2011-11-23 2012-02-24 车辆悬架用塑料复合弹簧及其制造装置和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2702A KR101293962B1 (ko) 2011-11-23 2011-11-23 자동차 서스펜션용 주름형 플라스틱 복합재 스프링과, 이것의 제조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57007A true KR20130057007A (ko) 2013-05-31
KR101293962B1 KR101293962B1 (ko) 2013-08-08

Family

ID=482221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22702A Active KR101293962B1 (ko) 2011-11-23 2011-11-23 자동차 서스펜션용 주름형 플라스틱 복합재 스프링과, 이것의 제조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8490530B2 (ko)
KR (1) KR101293962B1 (ko)
CN (1) CN103133583B (ko)
DE (1) DE102012202625B4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64590A (ko) 2016-12-05 2018-06-1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복합재 코일스프링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KR20180114260A (ko) * 2017-04-07 2018-10-1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복합재 코일 스프링 및 그 제조방법
KR20180114805A (ko) * 2017-04-11 2018-10-19 (주)넥스컴스 레진 함침을 동시에 수행하는 프리폼 직조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813626B2 (en) * 2012-11-19 2014-08-26 Chung Shan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Armaments Bureau, M. N. D 3D braided composited tubes with throat sections and manufacture method thereof
KR101857033B1 (ko) * 2012-12-28 2018-05-1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브레이딩 공정을 이용한 주름형 프리폼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하여 제조된 주름형 프리폼
DE102014207151A1 (de) * 2014-04-14 2015-10-15 Leichtbau-Zentrum Sachsen Gmbh Torsionsbelastetes stabförmiges Bauteil
DE102014211096A1 (de) * 2014-06-11 2015-12-17 Thyssenkrupp Ag Torsionsbelastetes stabförmiges Bauteil mit unterschiedlichen Faserverstärkungen für Zug- und Druckbelastung
CN107923572A (zh) 2015-06-15 2018-04-17 奥特尔实验室有限责任公司 用于可保形压力容器的系统和方法
BE1023227B1 (fr) 2015-06-22 2017-01-03 S.A. Lhoist Recherche Et Developpement Dispositif et procédé de traitement de gaz de fumées
CN105351416A (zh) * 2015-10-30 2016-02-24 无锡市东赫金属制品有限公司 一种复合弹簧
CN108431486A (zh) * 2015-12-02 2018-08-21 奥特尔实验室有限责任公司 用于衬筒编织和树脂涂敷的系统和方法
US10851925B2 (en) 2016-10-24 2020-12-01 Other Lab, Llc Fittings for compressed gas storage vessels
US20180283612A1 (en) 2017-03-31 2018-10-04 Other Lab, Llc Tank filling system and method
CN111609072A (zh) * 2019-02-22 2020-09-01 上汽通用五菱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非线性刚度的空气弹簧
KR102212684B1 (ko) * 2020-07-30 2021-02-0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에어 스프링
FR3129444A1 (fr) * 2021-11-23 2023-05-26 Max Sardou Ressort composite de suspension en soufflet
US20230364988A1 (en) * 2022-05-10 2023-11-16 Martinrea International US Inc. Automotive fuel capless plastic molded component incorporating graphene
CN115570817A (zh) * 2022-09-29 2023-01-06 上海电缆研究所有限公司 纤维增强复合芯的制造设备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02644A (en) * 1911-02-25 1911-09-05 Revere Rubber Co Manufacture of rubber hose.
US1224878A (en) * 1915-09-22 1917-05-01 Hartford Rubber Works Co Tire fabric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US2963749A (en) * 1958-11-13 1960-12-13 Hoover Co Continuous method of and apparatus for making extensible and flexible hose
US3287194A (en) * 1962-04-17 1966-11-22 Dayco Corp Method of making a flexible corrugated conduit
US3815887A (en) * 1972-03-21 1974-06-11 Hercules Inc Plastic spring
US3917499A (en) * 1973-10-11 1975-11-04 Dayco Corp Method of bonding components made of thermoplastic materials
US4235427A (en) 1979-05-07 1980-11-25 Walter Bialobrzeski Spring
DE3121241C2 (de) * 1980-05-28 1984-07-19 Dainippon Ink And Chemicals, Inc., Tokio/Tokyo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s Verbundkunststoffrohres aus thermoplastischem Harz
JP3120049B2 (ja) * 1996-03-12 2000-12-25 三菱製鋼株式会社 コイルドウェーブスプリング及びその製造方法
JPH1047400A (ja) 1996-05-29 1998-02-17 Yoshino Kogyosho Co Ltd 合成樹脂製スプリング
JPH10325433A (ja) 1997-05-26 1998-12-08 Kato Spring Seisakusho:Kk 樹脂製コイルスプリング、コイルスプリングの射出成形用金型、および樹脂製コイルスプリングの製造方法
JP3868086B2 (ja) 1997-11-21 2007-01-17 ユーシー産業株式会社 合成樹脂製中空コイルスプリングの製造方法
KR20030010091A (ko) * 2001-07-25 2003-02-05 이순재 이중구조의 호스 제조방법
JP3760994B2 (ja) 2002-04-10 2006-03-29 村田機械株式会社 Frpスプリング
US7093527B2 (en) * 2003-06-10 2006-08-22 Surpass Medical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making intraluminal implants and construction particularly useful in such method and apparatus
KR100703928B1 (ko) * 2006-02-08 2007-04-09 송기현 연신방지용 주름형유공관 성형장치 및 그 배수재
US20080272529A1 (en) * 2007-05-01 2008-11-06 Christophe Chervin Jounce bumpers made by corrugated extrusion
JP2009191944A (ja) * 2008-02-14 2009-08-27 Toyota Motor Corp 作動装置およびサスペンション
US20110156327A1 (en) * 2008-06-26 2011-06-30 Kenji Nobusue Bump stoppe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64590A (ko) 2016-12-05 2018-06-1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복합재 코일스프링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KR20180114260A (ko) * 2017-04-07 2018-10-1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복합재 코일 스프링 및 그 제조방법
KR20180114805A (ko) * 2017-04-11 2018-10-19 (주)넥스컴스 레진 함침을 동시에 수행하는 프리폼 직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02012202625B4 (de) 2020-12-17
DE102012202625A1 (de) 2013-05-23
CN103133583A (zh) 2013-06-05
CN103133583B (zh) 2016-08-31
KR101293962B1 (ko) 2013-08-08
US20130125740A1 (en) 2013-05-23
US8490530B2 (en) 2013-07-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93962B1 (ko) 자동차 서스펜션용 주름형 플라스틱 복합재 스프링과, 이것의 제조 장치 및 방법
CN107866985B (zh) 用可模制碳纤维模制的部件及其制造方法
CN111775366B (zh) 一种单向连续纤维增强热塑复合材料的制备方法和设备
US4532169A (en) High performance fiber ribbon product, high strength hybrid composites and methods of producing and using same
CN102642316B (zh) 一种复合材料管的连续化制备方法
US5221391A (en) Process for producing a preform for forming fiber reinforced plastics
CA2877488C (en) Composite coil spring
JP2019511593A (ja) 熱可塑性ポリマーで予備含浸された繊維状材料を製造するための流動床方法
JP2008266648A (ja) 繊維補強熱可塑性樹脂複合材料およびそれを用いた成形体
KR20230145233A (ko) 분말 형태의 열가소성 폴리머로 예비 함침된 섬유성 재료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
EP2825372B1 (en) Composite moulding techniques
JP2005052987A (ja) 繊維補強熱可塑性樹脂複合材料およ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それを用いた成形体
KR102204244B1 (ko) 섬유강화 복합재료 제조용 복합섬유 원단 및 이를 이용한 섬유강화 복합재료의 성형방법
KR102162644B1 (ko) 자기보강복합재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자기보강복합재
JP2002069754A (ja) 高強度・高伸度炭素繊維及びその成形材料
CN108262981B (zh) 一种具有c形截面的双稳态壳结构及其连续制造方法
CN110001090A (zh) 一种连续纤维增强热塑性复合材料的制备方法
JP2012528025A (ja) レドーム用のプリプレグ誘電体テープ
CN106414563B (zh) 连续纤维增强复合材料及其的制备方法
KR20180133716A (ko) 트위스트형 중공 프로파일 구조를 갖는 연속섬유 복합재료의 제조 장치 및 제조 방법
CN113977987A (zh) 一种复合材料螺旋弹簧的生产方法及设备
CN111699210A (zh) 纤维铺放用干式带材料及其制造方法、以及使用其的增强纤维层叠体及纤维增强树脂成型体
KR101370109B1 (ko) 지그재그형 스프링 및 이의 제조방법
JPS63205326A (ja) 紐状又は棒状プリプレグの製造方法
JP5074251B2 (ja) 環状中空部材の成形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11123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2122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30625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3080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3080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9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72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30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73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9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729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729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728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727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801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725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