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10091A - 이중구조의 호스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이중구조의 호스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10091A
KR20030010091A KR1020010044867A KR20010044867A KR20030010091A KR 20030010091 A KR20030010091 A KR 20030010091A KR 1020010044867 A KR1020010044867 A KR 1020010044867A KR 20010044867 A KR20010044867 A KR 20010044867A KR 20030010091 A KR20030010091 A KR 200300100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rrugated pipe
extruder
polyethylene layer
fabric
lami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448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순재
Original Assignee
이순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순재 filed Critical 이순재
Priority to KR10200100448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10091A/ko
Publication of KR200300100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10091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16Articles comprising two or more components, e.g. co-extruded layers
    • B29C48/18Articles comprising two or more components, e.g. co-extruded layers the components being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03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extruded material at extrusion
    • B29C48/09Articles with cross-sections having partially or fully enclosed cavities, e.g. pipes or channels
    • B29C48/10Articles with cross-sections having partially or fully enclosed cavities, e.g. pipes or channels flexible, e.g. blown fo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25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8/88Thermal treatment of the stream of extruded material, e.g. cooling
    • B29C48/91Heating, e.g. for cross linking
    • B29C48/9105Heating, e.g. for cross linking of hollow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3/00Lining or sheathing, i.e. applying preformed layers or sheathings of plastics; Apparatus therefor
    • B29C63/02Lining or sheathing, i.e. applying preformed layers or sheathings of plastics; Apparatus therefor using sheet or web-like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02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23/00Producing tubular articles
    • B29D23/18Pleated or corrugated ho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Rigid Pipes And Flexible Pi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중구조의 주름관 제작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중구조의 주름관 생산에 있어서, 기존의 공정을 단순화하고, 주름관을 구성하는 각각의 층의 두께가 균일하고 조직이 견고한 이중구조의 주름관을 생산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

Description

이중구조의 주름관 제작방법{The manufacturing method for flexible pipe}
본 발명은 이중구조의 주름관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주름관은 배관설비등을 별도로 장착할수 없는 특정한 부위등에서 유체의 이동등의 목적을 위해 널리 사용되었다. 본 발명에서는 주름관 중에서 이중으로 구성된 주름관의 제작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이러한 주름관의 생산에서는 먼저 폴리에틸렌을 압출하여 1차로 주름관 형태의 관을 형성한다음 주름관의 골과 골 사이로 FOAM PE를 씌운후에 2차 압출기를 통과하는 방식으로 이중구조의 주름관을 제작하였다.
따라서, 이러한 작업을 위해서는 초기의 주름관형태로써 주름관을 압출하는1차압출과, FOAM PE층을 1차로 성형된 주름관 위쪽으로 고르게 재단 및 도포하는 2단계와, 도포된상태에서 가열하여 2차압출기를 통과하는 3단계의 공정이 필수적이었다.
따라서 작업시간이 길어지는 단점과 1차로 형성된 주름관 구조에 도포될 FOAM PE층을 고르게 도포해주어야하는 작업이 필수적이었으며, 이러한 작업을 통해서 제작된 주름관은 중량이 증가하는 단점과 함께 각각의 압출기를 구비해야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작업으로써 주름관을 제작하게 될경우 각각의 단계에 따른 작업을 정확하게 수행하여야만 완성할 수 있었으며, 작업시간이 늘어나게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에서는 이와같은 문제점을 개선한 것으로, 연속적인 작업을 수행하는데 반해 기존의 공정을 줄임으로써 작업시간을 단축시키도록 하였으며, 주름관을 경량화 하도록 구성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1차압출되는 주름관의 표면위로 라미원단을 도포한상태로 가열과 동시에 열융착되도록 한것으로써, 1차로 압출된 주름관 구조의 표면위로 가열된 상태로 라미원단층이 용융접착되도록 한것이다.
1차 압출된 주름관형태의 표면에는 가열기를 통해서 가열되며 그 위쪽으로 라미원단이 도포되면서 열융착기를 통과하면서 용융된 상태로 고르게 도포된다. 주름관 표면위쪽으로 균일하게 도포된다.
이러한 제조방식에 의하여 기존의 제조공정을 단축할 수 있게되어, 작업시간이 줄어드는 효과와 함께 주름관 위쪽으로 부착되는 FOAM PE층 대신 라미원단을 사용하게 됨으로써 중량이 가벼운 주름관을 생산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부분 확대도
도 2는 본 발명의 부분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도 4는 작업공정의 개략도를 나타낸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주름관
2a. 돌기 2b. 돌기
3. 폴리에틸렌층 4. 라미원단
5. 가열기
6. 압출기 7. 열융착기
본 고안은 1차 압출된 주름관 형태의 폴리에틸렌층(3)의 표면위쪽으로 라미원단(4)을 용융 접착 시키는 구성으로써 완전한 형태의 주름관(1)을 구성하도록 한것이다. 주름관(1)은 크기가 다른 돌기부분(2a)(2b)을 순차적으로 배열한 형태로 제작되며 나선형의 구조로써 연속적으로 압출된다.
이러한 돌기(2a)(2b)의 특성때문에 주름관(1)을 곡선부위나 굽은 부분에 사용하게 될경우에는 도3에 나타나 있는것과 같이, 돌기들 중에서 큰 형태의돌기(2a)사이에 작은 돌기(2b)가 접촉하는 형태로 구부러지기 때문에 주름관(1)이 쉽게 꺽이지 않도록 하였다. 이러한 형태의 주름관으로써, 유체의 이동 및 유체의 흡입시에 원활한 유체 흐름을 보장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돌기(2a)(2b)는 주름관의 강도를 보강해 주는 역할을 한다.
주름관(1)을 형성하는 외부에 용융접착된 라미원단(4)은 도 2에 나타내져 있는 것과 같이 폴리에틸렌층(3)의 외측으로 균일한 두께로써 융착된다.
주름관(1)을 생산하는 공정은 도 4에 나타내져 있다. 압출기(6)를 통해 연속적으로 배출되는 폴리에틸렌층(3)의 표면으로는 라미원단(4)이 놓이게 되는데 이때 가열기(5)로 인해 폴리에틸렌층(3)이 가열되고 그 위쪽으로 라미원단이 감싸는 형태로 공급되면서 열융착기(7)의 내측으로 공급된다. 열융착기(7)에서는 열기로 인하여 라미원단(4)이 폴리에틸렌층(3)의 표면위로 균일 한 두께로 도포된다. 주름관(1)의 형태는 각각의 돌기(2a)(2b)가 나선형으로 형성된 구조로써, 압출기(6)를 통해 주름관이 배출될때 회전하는 형태로 배출되고 라미원단(4)이 열융착기를 통해서 용융접착될때에도 회전하면서 압출되기 때문에 연속적인 작업이 가능하고 균일한 도포두께를 나타낼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1차압출된 주름관 형태의 1차압출물의 표면위로 라미원단을 용융시킨 상태에서 열융착하게되어 완전한 형태의 2중구조 주름관을 형성하게 하는것으로써, 주름관을 구성하는 각각의 층이 균일한 두께를 가지게 됨으로써 주름관의 중량을 감소 시켜줄 수 효과가 있다.

Claims (1)

  1. 폴리에틸렌수지를 돌기(2a)(2b)가 형성된 주름관형태로 연속압출하는 단계와,
    압출기(6a)를 통과하여 주름관형태로 구성된 1차압출물을 가열기(5)로써 가열하는 단계, 그리고 별도로의 라미원단(4)이 공급되는 열융착기(7)를 통과하면서 라미원단(4)이 피복되고 열융착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것을 특징으로하는 2중구조의 주름관 제조방법.
KR1020010044867A 2001-07-25 2001-07-25 이중구조의 호스 제조방법 KR2003001009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44867A KR20030010091A (ko) 2001-07-25 2001-07-25 이중구조의 호스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44867A KR20030010091A (ko) 2001-07-25 2001-07-25 이중구조의 호스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10091A true KR20030010091A (ko) 2003-02-05

Family

ID=277166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44867A KR20030010091A (ko) 2001-07-25 2001-07-25 이중구조의 호스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1009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490530B2 (en) 2011-11-23 2013-07-23 Hyundai Motor Company Plastic composite spring for vehicle suspension and apparatu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58477A (ja) * 1974-11-19 1976-05-21 Taigaasuhorimaa Kk Hoosuseizosochi
JPS5454184A (en) * 1977-10-07 1979-04-28 Furukawa Electric Co Ltd:The Manufacture of heat-sensitive corrugated sleeve
JPS5782023A (en) * 1980-11-11 1982-05-22 Nobuyuki Indo Manufacture of bellow shaped pipe
JP2000246811A (ja) * 1999-03-01 2000-09-12 Yazaki Corp オーバーラップ型コルゲートチューブの製造方法、及びその製造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58477A (ja) * 1974-11-19 1976-05-21 Taigaasuhorimaa Kk Hoosuseizosochi
JPS5454184A (en) * 1977-10-07 1979-04-28 Furukawa Electric Co Ltd:The Manufacture of heat-sensitive corrugated sleeve
JPS5782023A (en) * 1980-11-11 1982-05-22 Nobuyuki Indo Manufacture of bellow shaped pipe
JP2000246811A (ja) * 1999-03-01 2000-09-12 Yazaki Corp オーバーラップ型コルゲートチューブの製造方法、及びその製造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490530B2 (en) 2011-11-23 2013-07-23 Hyundai Motor Company Plastic composite spring for vehicle suspension and apparatu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101293962B1 (ko) * 2011-11-23 2013-08-08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 서스펜션용 주름형 플라스틱 복합재 스프링과, 이것의 제조 장치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104095A (en) Method for producing tubular article
JP6666205B2 (ja) 波付複合管の製造方法
JPH0815579B2 (ja) ペンキローラー及びペンキローラーを製造するための方法と装置
US4357962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ducing tubular article
JP6130361B2 (ja) 包装チューブ用チューブ状体の製造方法
JPH02242704A (ja) 管の端部を継合せる方法、装置および管
KR101632643B1 (ko) 용접에 의한 튜브 제조방법
JP2014507310A (ja) 包装チューブ用のチューブを製造する装置および方法
KR20030010091A (ko) 이중구조의 호스 제조방법
KR101851161B1 (ko) 친환경 부표 및 그 제조 방법
KR100215493B1 (ko) 나선형으로감겨진열가소성파이프를상호접속하는접속방법
JP5403533B2 (ja) 合成樹脂パイプ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接続方法
KR101851162B1 (ko) 부표 및 그 제조 방법
CA2834650C (en) Method for producing a tube or semi-finished tube and tube or semi-finished tube for chemical apparatus construction
JP2008105097A (ja) エクスパンションジョイントの製造工法
EP1444159A1 (en) Reinforced thermoplastic pipe manufacture
JPH11502007A (ja) 下水管に設けられた屋内用接続部のためのハット状の接続スリーブ
KR20150053354A (ko) 합성수지관 연결 방법 및 그 연결 구조
JPS6026703B2 (ja) 合成樹脂被覆パイプの製造方法
JPH06226854A (ja) プラスチック管の融着方法
KR100278578B1 (ko) 초강성 평활 다층관의 제조장치에 있어서 냉각장치 및 냉각방법
KR200364327Y1 (ko) 합성수지제 이중벽 하수관 및 그 제조장치
JP2007233176A5 (ko)
US6312543B1 (en) Process for producing tubular article for a fixation device
JPH0811217A (ja) フッ素樹脂製配管の溶着管継ぎ手の加工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