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56463A - 파형격벽용 다목적 지그 - Google Patents

파형격벽용 다목적 지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56463A
KR20130056463A KR1020110122086A KR20110122086A KR20130056463A KR 20130056463 A KR20130056463 A KR 20130056463A KR 1020110122086 A KR1020110122086 A KR 1020110122086A KR 20110122086 A KR20110122086 A KR 20110122086A KR 20130056463 A KR20130056463 A KR 201300564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corrugated bulkhead
horizontal support
corrugated
ang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220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도현식
서현
최상곤
신상찬
Original Assignee
에스티엑스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티엑스조선해양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티엑스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1220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56463A/ko
Publication of KR201300564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5646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3/0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 B63B73/6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tools or equipment; characterised by automation, e.g. use of robo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11/00Work holders not covered by any preceding group in the subclass, e.g. magnetic work holders, vacuum work holders
    • B25B11/02Assembly ji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00Hulls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or component parts
    • B63B3/14Hull parts
    • B63B3/56Bulkheads; Bulkhead reinforc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3/0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 B63B73/4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characterised by joining methods
    • B63B73/43Welding, e.g. laser welding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5/00Shores or struts; Chocks
    • E04G25/04Shores or struts; Chocks telescopic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70/00Maritime or waterways transport
    • Y02T70/10Measures concerning design or construction of watercraft hu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Robotic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Palle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파형격벽의 제작 및 적치 시 다목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파형격벽용 다목적 지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바,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수평을 유지한 상태에서 파형격벽 판넬의 수평 부분을 지지하는 수평 지지부; 상기 수평 지지부의 양 끝단에서 힌지로 결합하며 소정의 각도만큼 꺾인 상태가 되어 파형격벽 판넬의 굴절 부분을 지지하는 굴절 지지부; 상기 수평 지지부와 결합하며 상기 수평 지지부의 높이를 조절하는 한편 상기 수평 지지부를 지지하는 높이 조절부; 상기 굴절 지지부와 결합하여 상기 굴절 지지부의 각도를 조절하는 한편 상기 굴절 지지부를 지지하는 각도 조절부 및; 상기 높이 조절부 및 상기 각도 조절부와 결합하며 상기 수평 지지부 및 상기 굴절 지지부가 균형을 유지할 수 있도록 바닥에서 받치는 받침부;를 포함하는 파형격벽용 다목적 지그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파형격벽용 다목적 지그는 파형격벽의 제작 및 적치 시 다목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므로, 파형격벽의 제작을 위한 작업용 판넬을 별도로 제작할 필요가 없으며 제작이 완료된 파형격벽의 적치를 위하여 별도의 무거운 지그를 옮겨와야 하는 부담도 사라지게 되었는바, 이로써 파형격벽의 제작 및 적치에 소요되던 종래의 상당한 시간 및 비용의 손실을 경감할 수 있게 되었다.

Description

파형격벽용 다목적 지그{corrugated bulkhead jig}
본 발명은 파형격벽의 제작 및 적치 시 다목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파형격벽용 다목적 지그를 제공한다.
파형격벽(波形隔壁, corrugated bulkhead)이란 중대형 유조선 등의 선체 구조물로서 강판을 파형으로 구부려 중량은 경감하고 강도는 증대시킨 수밀 또는 유밀구조의 격벽을 말한다.
이러한 파형격벽의 제작 시 기존의 조선소에서는 다음에 설명하는 바와 같은 작업용 판넬이나 지그를 사용하는데, 이 경우 상당한 문제점이 발생한다.
첫째, 파형격벽의 제작 시 가공, 절단된 파형격벽 판넬(panel)을 서로 용접함에 있어서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파형격벽 판넬의 아래쪽에 이를 고정, 지지할 수 있는 작업용 판넬(a)을 별도로 제작, 설치한 후 작업을 한다. 그런데, 이러한 작업용 판넬(a)은 작업 후 모두 폐기하며 이 과정에서 파형격벽 판넬에는 열 손상이나 스크랩(scrap)이 발생하게 된다. 더구나 작업용 판넬(a)은 다른 호선에는 적용할 수 없는 것이어서 선종이 바뀔 때 마다 새로운 작업용 판넬(a)을 제작하여야 하므로 이에 따른 비용 손실이 발생하고 있다.
둘째, 제작이 완료된 파형격벽은 이동 후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지그(jig)(b)를 이용하여 적치하게 된다. 그런데, 파형격벽을 적치할 때 사용하는 지그(b)는 이동성이 떨어져 지그(b) 배치 시 많은 작업자가 동원되어 많은 시간과 비용을 소요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파형격벽의 제작 및 적치 시 다목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파형격벽용 다목적 지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수평을 유지한 상태에서 파형격벽 판넬의 수평 부분을 지지하는 수평 지지부;
상기 수평 지지부의 양 끝단에서 힌지로 결합하며 소정의 각도만큼 꺾인 상태가 되어 파형격벽 판넬의 굴절 부분을 지지하는 굴절 지지부;
상기 수평 지지부와 결합하며 상기 수평 지지부의 높이를 조절하는 한편 상기 수평 지지부를 지지하는 높이 조절부;
상기 굴절 지지부와 결합하여 상기 굴절 지지부의 각도를 조절하는 한편 상기 굴절 지지부를 지지하는 각도 조절부 및;
상기 높이 조절부 및 상기 각도 조절부와 결합하며 상기 수평 지지부 및 상기 굴절 지지부가 균형을 유지할 수 있도록 바닥에서 받치는 받침부;
를 포함하는 파형격벽용 다목적 지그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파형격벽용 다목적 지그는 파형격벽의 제작 및 적치 시 다목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므로, 파형격벽의 제작을 위한 작업용 판넬을 별도로 제작할 필요가 없으며 제작이 완료된 파형격벽의 적치를 위하여 별도의 무거운 지그를 옮겨와야 하는 부담도 사라지게 되었는바, 이로써 파형격벽의 제작 및 적치에 소요되던 종래의 상당한 시간 및 비용의 손실을 경감할 수 있게 되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파형격벽용 다목적 지그의 구성.
도 2는 기존에 파형격벽의 제작 시 사용하는 작업용 판넬.
도 3은 기존에 파형격벽의 적치 시 사용하는 지그.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파형격벽용 다목적 지그의 구성을 보여준다.
본 발명은 파형격벽의 제작 및 적치 시 다목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파형격벽용 다목적 지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바,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수평 지지부(10), 굴절 지지부(20), 높이 조절부(30), 각도 조절부(40) 및 받침부(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수평 지지부(10)는 수평을 유지한 상태에서 파형격벽 판넬의 수평 부분(71)을 지지한다. 파형격벽은 강판을 파형으로 구부린 것이므로 지면에 대하여 수평을 유지하는 부분(이하, ‘수평 부분’이라 함)과 지면에 대하여 소정의 각도만큼 꺾인 부분(이하, ‘굴절 부분’이라 함)이 반복적으로 이어지는데,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수평 지지부(10)는 작업 시 파형격벽 판넬의 수평 부분(71)을 받쳐서 지지하게 되는 것이다.
이 경우,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르면 수평 지지부(10)는 파형격벽 판넬의 크기에 따라 폭을 조절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즉, 파형격벽 판넬의 크기가 크면 수평 지지부(10)의 폭을 늘리고 반대로 파형격벽 판넬의 크기가 작으면 수평 지지부(10)의 폭을 줄일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는 수평 지지부(10)가 파형격벽 판넬의 수평 부분(71)을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함과 더불어 후술하는 굴절 지지부(20)의 기능 및 작용을 보완하기 위함이다(이와 관련하여서는 후술함).
이처럼 수평 지지부(10)의 폭을 조절할 수 있기만 한다면 이를 실현하기 위한 구체적인 방안에 대해서는 본 발명에서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므로 다양한 방안이 적용될 수 있을 것인바, 이 경우 수평 지지부(10)를 서랍처럼 여닫을 수 있는 구조나 텔레스코픽 구조로 제작하는 방안이 그 예가 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르면 수평 지지부(10)의 상면에는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용접작업용 홈(11)이 형성된다. 이는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파형격벽의 제작 시 수평 지지부(10)의 상부에서 파형격벽 판넬의 용접이 이루어지는 경우 용융물이 용접작업용 홈(11)에 고스란히 모이도록 하여 용융물이 다른 곳으로 튀거나 번지는 것을 막아 용접작업의 효율 및 용접의 품질을 높이고자 함이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르면 수평 지지부(10)의 상면에는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미끄럼 방지 패드(12)를 부착한다. 이러한 미끄럼 방지 패드(12)는 수평 지지부(10)와 파형격벽 판넬 간의 미끄러짐 현상을 방지하여 수평 지지부(10)가 파형격벽 판넬의 수평 부분(71)을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한다.
굴절 지지부(20)는 수평 지지부(10)의 양 끝단에서 힌지(21)로 결합하며 소정의 각도만큼 꺾인 상태가 되어 파형격벽 판넬의 굴절 부분(72)을 지지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파형격벽은 수평 부분(71)과 굴절 부분(72)이 반복적으로 이어지는데,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굴절 지지부(20)는 작업 시 파형격벽 판넬의 굴절 부분(72)을 받쳐서 지지하게 되는 것이다.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굴절 지지부(20)는 수평 지지부(10)의 양 끝단에서 힌지(21)로 결합하고 있으므로, 작업자는 굴절 지지부(20)를 원하는 만큼 시계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켜 그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물론 이 경우의 각도는 파형격벽의 수평 부분(71)과 굴절 부분(72)이 상호 이루는 각도와 동일한 크기가 될 것이다. 그리고 이 경우 수평 지지부(10)는 그 폭을 조절할 수 있으므로, 작업자는 굴절 지지부(20)가 파형격벽의 굴절 부분(72)과 밀착하여 맞닿을 수 있도록 수평 지지부(10)의 폭을 충분히 늘리거나 줄일 수 있다.
이 경우,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르면 굴절 지지부(20)의 상면에는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미끄럼 방지 패드(12)를 부착한다. 이러한 미끄럼 방지 패드(12)는 상기 수평 지지부(10)의 경우와 비슷하게 굴절 지지부(20)와 파형격벽 판넬 간의 미끄러짐 현상을 방지하여 굴절 지지부(20)가 파형격벽 판넬의 굴절 부분(72)을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한다.
높이 조절부(30)는 수평 지지부(10)와 결합하며 수평 지지부(10)의 높이를 조절하는 한편 수평 지지부(10)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르면 높이 조절부(30)는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수평 지지부(10)의 아래에 결합하여 수평 지지부(10)를 위로 들어 올리거나 아래로 내리는 과정에 따라 수평 지지부(10)의 높이를 조절한다. 그리고 높이 조절부(30)는 아래의 받침부(50)와 결합하여 이 받침부(50)의 작용에 힘입어 수평 지지부(10)를 지지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 경우,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르면 높이 조절부(30)의 몸체에는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다수 개의 높이 조절용 홈(31)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러한 높이 조절용 홈(31)에는 높이 조절용 핀(미도시)이 삽입됨으로써 높이 조절부(30)를 고정하게 된다. 이 경우 높이 조절부(30)는 받침부(50)에 대하여 출입이 가능하도록 삽입된 상태로 결합하게 된다. 따라서 작업자는 파형격벽 판넬의 높이에 맞추어 높이 조절부(30)의 눈금, 즉 높이 조절용 홈(31)을 조절하고 해당 높이에서 높이 조절용 핀을 삽입하여 높이 조절부(30) 및 이와 결합한 수평 지지부(10)를 고정한다.
각도 조절부(40)는 굴절 지지부(20)와 결합하여 굴절 지지부(20)의 각도를 조절하는 한편 굴절 지지부(20)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르면 각도 조절부(40)는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굴절 지지부(20)의 아래에 결합하여 굴절 지지부(20)를 소정의 각도만큼 비스듬하게 위로 들어 올리거나 아래로 내리는 과정에 따라 굴절 지지부(20)의 각도를 조절한다. 그리고 각도 조절부(40)는 아래의 받침부(50)와 결합하여 이 받침부(50)의 작용에 힘입어 굴절 지지부(20)를 지지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 경우,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르면 각도 조절부(40)의 몸체에는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다수 개의 각도 조절용 홈(41)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러한 각도 조절용 홈(41)에는 각도 조절용 핀(미도시)이 삽입됨으로써 각도 조절부(40)를 고정하게 된다. 이 경우 각도 조절부(40)는 받침부(50)에 대하여 출입이 가능하도록 삽입된 상태로 결합하게 된다. 따라서 작업자는 파형격벽 판넬의 굴절 부분(72)의 각도에 맞추어 각도 조절부(40)의 눈금, 즉 각도 조절용 홈(41)을 조절하고 해당 각도에서 각도 조절용 핀을 삽입하여 각도 조절부(40) 및 이와 결합한 굴절 지지부(20)를 고정한다.
받침부(50)는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높이 조절부(30) 및 각도 조절부(40)와 결합하며 수평 지지부(10) 및 굴절 지지부(20)가 균형을 유지할 수 있도록 바닥에서 받치는 역할을 한다.
이 경우,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르면 받침부(50)는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받침부(50)의 둘레에 다수 개가 방사상으로 펼쳐지거나 접힐 수 있는 구조로 결합하는 보조받침판(51)을 더욱 구비한다. 보조받침판(51)은 지면에 대하여 삼각형 형태가 되도록 방사상으로 펼쳐져 받침부(50)가 흔들리거나 기울어지지 않도록 보조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작업자는 본 발명에 따른 파형격벽용 다목적 지그를 이동시키고자 하는 경우 보조받침판(51)을 다시 접어 이동에 방해가 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르면 받침부(50)는 몸체의 하단에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바퀴 형태의 이동부(60)를 더욱 구비하며, 이 경우 이동용 손잡이(61)를 또한 구비한다.
이로써 작업자는 제작이 완료된 파형격벽을 적치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파형격벽용 다목적 지그를 다시 적치 장소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이동부(60)는 바퀴 형태로 구름으로써 지그의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며, 작업자는 이동용 손잡이(61)를 끌고 더욱 용이하게 지그를 이동시킬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에 따른 파형격벽용 다목적 지그는 파형격벽의 제작 및 적치 시 다목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므로, 파형격벽의 제작을 위한 작업용 판넬(도 2의 a)을 별도로 제작할 필요가 없으며 제작이 완료된 파형격벽의 적치를 위하여 별도의 무거운 지그(도 3의 b)를 옮겨와야 하는 부담도 사라지게 되었는바, 이로써 파형격벽의 제작 및 적치에 소요되던 종래의 상당한 시간 및 비용의 손실을 경감할 수 있게 되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 수평 지지부 11 : 용접작업용 홈
12 : 미끄럼 방지 패드
20 : 굴절 지지부 21 : 힌지
30 : 높이 조절부 31 : 높이 조절용 홈
40 : 각도 조절부 41 : 각도 조절용 홈
50 : 받침부 51 : 보조받침판
60 : 이동부 61 : 이동용 손잡이
71 : 파형격벽의 수평 부분 72 : 파형격벽의 굴절 부분

Claims (14)

  1. 수평을 유지한 상태에서 파형격벽 판넬의 수평 부분을 지지하는 수평 지지부;
    상기 수평 지지부의 양 끝단에서 힌지로 결합하며 소정의 각도만큼 꺾인 상태가 되어 파형격벽 판넬의 굴절 부분을 지지하는 굴절 지지부;
    상기 수평 지지부와 결합하며 상기 수평 지지부의 높이를 조절하는 한편 상기 수평 지지부를 지지하는 높이 조절부;
    상기 굴절 지지부와 결합하여 상기 굴절 지지부의 각도를 조절하는 한편 상기 굴절 지지부를 지지하는 각도 조절부 및;
    상기 높이 조절부 및 상기 각도 조절부와 결합하며 상기 수평 지지부 및 상기 굴절 지지부가 균형을 유지할 수 있도록 바닥에서 받치는 받침부;
    를 포함하는 파형격벽용 다목적 지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 지지부는 파형격벽 판넬의 크기에 따라 폭을 조절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형격벽용 다목적 지그.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 지지부의 상면에는 용접작업용 홈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형격벽용 다목적 지그.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 지지부의 상면에는 미끄럼 방지 패드를 부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형격벽용 다목적 지그.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굴절 지지부의 상면에는 미끄럼 방지 패드를 부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형격벽용 다목적 지그.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 조절부의 몸체에는 다수 개의 높이 조절용 홈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형격벽용 다목적 지그.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 조절용 홈에 삽입되어 상기 높이 조절부를 고정하는 높이 조절용 핀;을 더욱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형격벽용 다목적 지그.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각도 조절부의 몸체에는 다수 개의 각도 조절용 홈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형격벽용 다목적 지그.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각도 조절용 홈에 삽입되어 상기 각도 조절부를 고정하는 각도 조절용 핀;을 더욱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형격벽용 다목적 지그.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의 둘레에 다수 개가 방사상으로 펼쳐지거나 접힐 수 있는 구조로 결합하는 보조받침판;을 더욱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형격벽용 다목적 지그.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의 하단에 결합하는 바퀴 형태의 이동부;를 더욱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형격벽용 다목적 지그.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에 결합하는 이동용 손잡이;를 더욱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형격벽용 다목적 지그.
  1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 지지부는 서랍처럼 여닫을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형격벽용 다목적 지그.
  1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 지지부는 텔레스코픽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형격벽용 다목적 지그.
KR1020110122086A 2011-11-22 2011-11-22 파형격벽용 다목적 지그 KR2013005646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2086A KR20130056463A (ko) 2011-11-22 2011-11-22 파형격벽용 다목적 지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2086A KR20130056463A (ko) 2011-11-22 2011-11-22 파형격벽용 다목적 지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56463A true KR20130056463A (ko) 2013-05-30

Family

ID=486644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22086A KR20130056463A (ko) 2011-11-22 2011-11-22 파형격벽용 다목적 지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56463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0851U (ko) * 2017-09-27 2019-04-04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판넬 지지봉 클립 고정용 지그
CN110816778A (zh) * 2019-10-21 2020-02-21 中船澄西船舶修造有限公司 一种船舶搭接式槽型的建造方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0851U (ko) * 2017-09-27 2019-04-04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판넬 지지봉 클립 고정용 지그
CN110816778A (zh) * 2019-10-21 2020-02-21 中船澄西船舶修造有限公司 一种船舶搭接式槽型的建造方法
CN110816778B (zh) * 2019-10-21 2021-11-02 中船澄西船舶修造有限公司 一种船舶搭接式槽型舱壁的建造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865632B1 (en) Tailor welded panel beam for construction machin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CN103332611B (zh) 起重机臂架的制作方法
US7114602B2 (en) Multiple function luggage
KR101400209B1 (ko) 고소작업차용 접이식 버킷
KR20130056463A (ko) 파형격벽용 다목적 지그
KR101185967B1 (ko) 블록 지지장치 및 그것을 이용한 선박 건조방법
EP2738315A2 (en) Set of members forming upper frame of construction machine
JP5138533B2 (ja) アーム若しくはブームを作業機械の本体に取付ける方法、及び受け台
CN102343942A (zh) 一种起重机及其车架
CN215760540U (zh) 一种带有垫板的卸料平台
KR101437223B1 (ko) 블럭의 턴오버 공법
CN104417499B (zh) 用于拆装非贯通断开式车桥的支承装置
KR20120130560A (ko) 블록 단차 조정 지그
JP6814471B2 (ja) 組立式クレーン
CN204958245U (zh) 起重机转台座体和起重机
JP7351682B2 (ja) アウトリガ用敷板設置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アウトリガ
KR20130006727U (ko) 인상용 러그 지지장치
JP3198041U (ja) スライドレールキット
CN208731716U (zh) 折叠式集装箱
CN203921141U (zh) 一种半潜生活平台
JP2019163073A (ja) パレット
KR101330518B1 (ko) 족장판
CN103232000B (zh) 内爬塔机
CN207059303U (zh) 磁力模板组件
CN210315225U (zh) 一种用于桩梁间的灰铸铁砂箱支撑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