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55464A - 모듈형 보행구조물 - Google Patents

모듈형 보행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55464A
KR20130055464A KR1020110121218A KR20110121218A KR20130055464A KR 20130055464 A KR20130055464 A KR 20130055464A KR 1020110121218 A KR1020110121218 A KR 1020110121218A KR 20110121218 A KR20110121218 A KR 20110121218A KR 20130055464 A KR20130055464 A KR 201300554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ir
modular
link bar
hinged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212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규식
정태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레고컨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레고컨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레고컨스
Priority to KR10201101212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55464A/ko
Publication of KR201300554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5546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02Stairways; Layouts thereof
    • E04F11/04Movable stairways, e.g. of loft ladders which may or may not be concealable or extensibl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5/00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for scaffolds
    • E04G5/10Steps or ladders specially adapted for scaffold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CLADDERS
    • E06C1/00Ladders in general
    • E06C1/02Ladders in general with rigid longitudinal member or members
    • E06C1/38Special constructions of ladders, e.g. ladders with more or less than two longitudinal members, ladders with movable rungs or other treads, longitudinally-foldable ladder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CLADDERS
    • E06C1/00Ladders in general
    • E06C1/02Ladders in general with rigid longitudinal member or members
    • E06C1/38Special constructions of ladders, e.g. ladders with more or less than two longitudinal members, ladders with movable rungs or other treads, longitudinally-foldable ladders
    • E06C1/387Special constructions of ladders, e.g. ladders with more or less than two longitudinal members, ladders with movable rungs or other treads, longitudinally-foldable ladders having tip-up step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CLADDERS
    • E06C7/00Component parts, supporting parts, or accessories
    • E06C7/08Special construction of longitudinal members, or rungs or other treads
    • E06C7/082Connections between rungs or treads and longitudinal mem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수의 발판패널을 하나의 모듈형 구조물로 구성함에 따라 설치와 분해가 신속하고 용이하며, 복수개를 직렬로 연결하여 길이를 연장할 수 있으며, 수직 봉형 파이프 또는 수평 봉형 파이프가 설치된 곳이라면 어느 위치에서라도 사다리 또는 발판구조물로서 활용할 수 있는 모듈형 보행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의 모듈형 보행구조물은, 한 쌍의 대상물 사이에 힌지연결되어 축회전이 가능하도록 후방 양측에 동축상으로 구비된 한 쌍의 후방힌지부 및 상기 후방힌지부와 이격되어 전방 양측에 각각 구비된 한 쌍의 전방힌지부를 포함하는 복수의 발판패널; 상기 복수의 발판패널이 상호 평행한 상태가 유지되도록 상기 복수의 발판패널의 전방힌지부를 각각 힌지연결하는 한 쌍의 회동링크바; 및 상기 복수의 발판패널이 상호 평행한 상태에서 소정 각도로 고정되도록 상기 대상물에 대한 상기 회동링크바의 상대위치를 고정하는 고정링크바;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모듈형 보행구조물{Modular working structure}
본 발명은 모듈형 보행구조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복수의 발판패널을 하나의 모듈형 구조물로 구성함에 따라 설치와 분해가 신속하고 용이하며, 복수개를 직렬로 연결하여 길이를 연장할 수 있으며, 수직 봉형 파이프 또는 수평 봉형 파이프와 결합 설치시 파이프의 어느 위치에서라도 사다리 또는 발판구조물로서 활용할 수 있는 모듈형 보행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의 건설공사나 보수공사 등이 이뤄지는 공사현장에는 높은 곳으로 이동하기 위한 수단으로 사다리를 많이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사다리를 설치함과 동시에 공사용 파이프로 형틀을 설치하는 사람을 비계공이라 하여 현장에서 많은 인력을 동원하여 현장에서 직접 파이프를 절단하여 계단발판을 이용하여 임시로 사다리를 만들어 사용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공사용 파이프(21, 22) 사이에 다수의 계단발판(10)을 소정 간격으로 조립하여 사다리를 제작한다.
이때, 상기 계단발판(10)의 일측은 제1 공사용 파이프(21)에 제1 고정용 클램프(2a), 제2 고정용 클램프(3a) 및 제1 고정바(4a)를 통해 조립되고, 상기 계단발판(10)의 타측은 제2 공사용 파이프(22)에 제3 고정용 클램프(2b), 제4 고정용 클램프(3a) 및 제2 고정바(4b)를 통해 조립된다.
따라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5계단의 사다리는, 20개의 고정용 클램프, 10개의 고정바가 필요하며, 이러한 사다리를 제작하고자 한다면 각 구성요소를 조립하는데 과다한 시간이 소요됨은 물론 보관이나 이동이 용이하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사다리의 경사각도를 변경하거나 다른 장소에 이동하여 재설치하고자 한다면 각 구성요소를 풀어서 해체한 후 경사각도를 변경하거나 다른 장소로 이동하고, 다시 각 구성요소를 조립하여 사다리를 완성하여야 하므로 상당한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상기 종래 기술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복수의 발판패널을 하나의 모듈형 구조물로 구성함에 따라 설치와 분해가 신속하고 용이하며, 복수개를 직렬로 연결하여 길이를 연장할 수 있으며, 수직 봉형 파이프 또는 수평 봉형 파이프와 결합 설치시 파이프의 어느 위치에서라도 사다리 또는 발판구조물로서 활용할 수 있는 모듈형 보행구조물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모듈형 보행구조물은, 한 쌍의 대상물 사이에 힌지연결되어 축회전이 가능하도록 후방 양측에 동축상으로 구비된 한 쌍의 후방힌지부 및 상기 후방힌지부와 이격되어 전방 양측에 각각 구비된 한 쌍의 전방힌지부를 포함하는 복수의 발판패널; 상기 복수의 발판패널이 상호 평행한 상태가 유지되도록 상기 복수의 발판패널의 전방힌지부를 각각 힌지연결하는 한 쌍의 회동링크바; 및 상기 복수의 발판패널이 상호 평행한 상태에서 소정 각도로 고정되도록 상기 대상물에 대한 상기 회동링크바의 상대위치를 고정하는 고정링크바;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후방힌지부와 전방힌지부는, 상기 발판패널의 양측에서 돌출되어 일체로 형성된 너트홀 및 상기 너트홀에 조립되는 볼트로 이뤄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후방힌지부와 전방힌지부의 돌출길이가 서로 상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회동링크바는, 선형바디 및 상기 각 전방힌지부에 대응하는 위치마다 연장형성된 힌지연결편으로 이뤄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한 쌍의 대상물은, 한 쌍의 봉형 파이프 및 상기 복수의 발판패널의 각 후방힌지부와 힌지연결되는 조립홀이 형성된 힌지연결편이 일측면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봉형 파이프에 착탈고정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복수의 클램핑 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고정링크바는, 상기 클램핑 유닛과 상기 회동링크바에 각각 힌지연결되는 복수의 조절홀이 형성되어 상기 봉형 파이프에 대한 상기 회동링크바의 상대위치를 가변조절하여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한 쌍의 대상물은, 상기 복수의 발판패널의 각 후방힌지부와 힌지연결되기 위해 소정 간격으로 형성된 조립홀이 구비된 한 쌍의 베이스링크바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고정링크바는, 상기 베이스링크바와 상기 회동링크바에 각각 힌지연결되는 복수의 조절홀이 형성되어 상기 베이스링크바에 대한 상기 회동링크바의 상대위치를 가변조절하여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베이스링크바의 양단에는 복수의 연장조립홀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연장조립홀과 힌지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힌지연결편이 구비되어 수직 봉형 파이프에 삽입되어 착탈고정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연결부싱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연장조립홀 또는 상기 연장조립홀에 힌지연결된 연결링크를 통해 힌지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힌지연결편이 구비되어 수평 봉형 파이프에 착탈고정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클램핑 유닛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복수의 발판패널을 하나의 모듈형 구조물로 구성함에 따라 설치와 분해가 신속하고 용이하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너트홀에 볼트를 조립하거나 분리시키는 조작을 통해 설치와 분해가 가능하므로 사다리를 전문적으로 설치하는 비계공이 아니더라도 쉽게 설치가 가능하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복수의 발판패널의 경사도를 조절하여 높은 곳으로 이동하기 위한 사다리로 사용하거나 평평한 발판구조물로 사용할 수 있으며, 발판구조물로 사용시 발판패널의 후방힌지부와 전방힌지부 및 회동링크바의 힌지연결편의 상호 연동에 의해 복수의 발판패널이 평행하게 유지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한 쌍의 봉형 파이프 및 복수의 클램핑 유닛을 이용하여 모듈형 보행구조물을 신속하고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베이스링크바를 포함하여 모듈형 보행구조물을 구성하면, 더욱 신속하고 용이하게 보행구조물을 조립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링크바의 양단에 형성된 복수의 연장조립홀을 통해 이웃하는 모듈형 보행구조물을 직접 연결하여 조립하거나 연결부싱을 통해 연결하여 조립이 모듈형 보행구조물을 직렬로 연결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수직 봉형 파이프 또는 수평 봉형 파이프가 설치된 곳이라면 어느 위치에서라도 사다리 또는 발판구조물을 설치하여 이용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모듈형 보행구조물을 구성하는 발판패널의 갯수를 2개, 3개, 4개 등 다양하게 구성하여, 전체적인 구조물의 길이를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조절하여 적용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공사용 파이프 사이에 다수의 계단발판을 조립한 종래의 사다리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보행구조물을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보행구조물을 도시한 일부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보행구조물을 직렬로 연결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보행구조물을 수평 봉형 파이프에 연결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보행구조물을 수평 봉형 파이프에 연결한 상태를 도시한 일부 분해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보행구조물을 수직 봉형 파이프를 통해 직렬로 연결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보행구조물을 발판구조물로서 사용하기 위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보행구조물을 발판구조물로서 사용하기 위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보행구조물을 도시한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보행구조물을 직렬로 연결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본 발명은 그 기술적 사상 또는 주요한 특징으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른 여러가지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모든 점에서 단순한 예시에 지나지 않으며 한정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구비하다",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보행구조물은, 복수의 발판패널을 하나의 모듈형 구조물로 구성하여 설치와 분해가 간편하고 용이하도록 한 구조물로서, 복수의 발판패널, 한 쌍의 회동링크바, 한 쌍의 고정링크바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발판패널은, 한 쌍의 대상물 사이에 힌지연결되어 축회전이 가능하도록 후방 양측에 동축상으로 구비된 한 쌍의 후방힌지부 및 상기 후방힌지부와 이격되어 전방 양측에 각각 구비된 한 쌍의 전방힌지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회동링크바는, 상기 복수의 발판패널이 상호 평행한 상태가 유지되도록 상기 복수의 발판패널의 전방힌지부를 각각 힌지연결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고정링크바는, 상기 복수의 발판패널이 상호 평행한 상태를 유지한 상태에서 소정 각도로 고정되도록 상기 대상물에 대한 상기 회동링크바의 상대위치를 고정하도록 구성된다.
먼저, 상기 한 쌍의 대상물이 한 쌍의 베이스링크바로 구성된 제1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제1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보행구조물(100)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발판패널(100a, 100b, 100c, 100d), 한 쌍의 회동링크바(120a, 120b), 한 쌍의 고정링크바(130a, 130b), 한 쌍의 베이스링크바(146a, 146b)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발판패널(100a, 100b, 100c, 100d)은, 소정 두께와 지지면적을 갖는 판상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사각 프레임의 내측 상면에 메쉬 형태의 지지면이 구성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발판패널(100a, 100b, 100c, 100d)은, 적어도 2개 이상으로 복수개가 구성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4개의 발판패널(100a, 100b, 100c, 100d)이 구성될 수도 있고, 2개, 3개 등 다양한 갯수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각 발판패널(100a, 100b, 100c, 100d)은, 한 쌍의 베이스링크바(146a, 146b) 사이에 힌지연결되어 축회전이 가능하도록 후방 양측에 동축상으로 구비된 한 쌍의 후방힌지부(a1)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각 발판패널(100a, 100b, 100c, 100d)은, 상기 후방힌지부(a1)와 이격되어 전방 양측에 각각 구비된 한 쌍의 전방힌지부(a2)를 구비한다.
한편, 상기 후방힌지부(a1)와 전방힌지부(a2)의 돌출길이가 서로 상이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후방힌지부(a1)의 돌출길이가 상기 전방힌지부(a2)의 돌출길이보다 길게 형성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후방힌지부(a1)와 전방힌지부(a2)는, 상기 발판패널(100a, 100b, 100c, 100d)의 양측에서 돌출되어 일체로 형성된 너트홀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너트홀에 조립되는 볼트(B)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후방힌지부(a1)와 전방힌지부(a2)의 돌출길이가 서로 상이하도록 구성하는 것에 대해서는, 제1실시예의 모듈형 보행구조물을 발판구조물로서 사용하는 경우에 대한 설명시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한 쌍의 베이스링크바(146a, 146b)는, 소정 두께를 갖는 평판형의 바(bar) 부재로서, 각 베이스링크바(146a, 146b)에는 상기 복수의 발판패널(100a, 100b, 100c, 100d)의 각 후방힌지부(a1)에 대응하여 일정 간격마다 복수의 조립홀(h2)이 형성되고, 양단에는 복수의 연장조립홀(146h)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각 발판패널(100a, 100b, 100c, 100d)의 후방힌지부(a1)와 상기 베이스링크바(146a, 146b)의 각 조립홀(h2)이 서로 동축상으로 위치한 상태에서, 볼트(B)를 상기 각각의 조립홀(h2)을 관통시켜 각각의 후방힌지부(a1)에 조립함에 따라 상기 복수의 발판패널(100a, 100b, 100c, 100d)이 한 쌍의 베이스링크바(146a, 146b) 사이에 힌지연결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각 발판패널(100a, 100b, 100c, 100d)의 전방힌지부(a2)에는 상기 복수의 발판패널(100a, 100b, 100c, 100d)이 상호 평행한 상태가 유지되도록 회동링크바(120a, 120b)가 조립된다.
상기 회동링크바(120a, 120b)는, 선형바디(122a) 및 상기 각 전방힌지부(a2)에 대응하는 위치마다 상기 선형바디(122a)로부터 연장형성된 힌지연결편(124a)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각 발판패널(100a, 100b, 100c, 100d)의 전방힌지부(a2)와 상기 회동링크바(120a, 120b)의 각 조립홀(h1)이 서로 동축상으로 위치한 상태에서, 볼트(B)를 상기 각각의 조립홀(h1)을 관통시켜 각각의 전방힌지부(a2)에 조립함에 따라 상기 복수의 발판패널(100a, 100b, 100c, 100d)이 상호 평행한 상태가 유지되도록 회동링크바(120a, 120b)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고정링크바(130a, 130b)는, 상기 복수의 발판패널(100a, 100b, 100c, 100d)이 상호 평행한 상태로 유지된 상태에서 소정 각도로 고정되도록 상기 베이스링크바(146a, 146b)에 대한 상기 회동링크바(120a, 120b)의 상대위치를 고정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고정링크바(130a, 130b)는, 상기 베이스링크바(146a, 146b)의 조립홀(h2) 또는 연장조립홀(146h), 상기 회동링크바(120a, 120b)의 연결홀(120h)에 각각 힌지연결되는 복수의 조절홀(130h)이 소정 간격으로 형성되어 상기 베이스링크바(146a, 146b)에 대한 상기 회동링크바(120a, 120b)의 상대위치를 가변조절하여 고정할 수 있다.
즉, 상기 고정링크바(130a, 130b)의 복수의 조절홀(130h) 중 일부를 선택하여 상기 베이스링크바(146a, 146b)의 조립홀(h2) 또는 연장조립홀(146h), 상기 회동링크바(120a, 120b)의 연결홀(120h)에 각각 힌지연결함에 따라 상기 베이스링크바(146a, 146b)에 대한 상기 회동링크바(120a, 120b)의 상대위치를 가변조절하여 고정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모듈형 보행구조물(100)에 따르면, 상기 베이스링크바(146a, 146b)가 임의 대상물에 고정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회동링크바(120a, 120b)를 상하 방향으로 상대 이동하면, 도 2에 도시된 화살표 방향을 따라서 상기 복수의 발판패널(100a, 100b, 100c, 100d)이 상호 평행을 유지한 상태에서 경사도 변경이 가능하며, 상기 고정링크바(130a, 130b)를 통해 복수의 발판패널(100a, 100b, 100c, 100d)의 경사도가 고정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모듈형 보행구조물(100)은, 도 4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양한 형태로 사용가능하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모듈형 보행구조물(100a, 100b)을 직렬로 연결하여 사용이 가능하며, 구체적으로, 제1 모듈형 보행구조물(100a)의 하측에 형성된 복수의 연장조립홀(146h-1)과 제2 모듈형 보행구조물(100b)의 상측에 형성된 복수의 연장조립홀(146h-2)이 상호 일치된 상태에서 볼트(B)로 체결하여 직렬연결할 수 있다.
도 4에는 2개의 모듈형 보행구조물(100a, 100b)을 직렬로 연결한 경우에 대해 예시하였지만, 3개 이상의 모듈형 보행구조물을 직렬로 연결하여 사용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램핑 유닛(144)을 이용하여 상기 모듈형 보행구조물(100)을 수평 봉형 파이프(P1)에 연결하여 사용이 가능하다.
상기 클램핑 유닛(144)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면에 조립홀(144h)이 형성된 힌지연결편(144a)이 구비되어 수평 봉형 파이프(P1)에 착탈고정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구성요소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클램핑 유닛(144)의 힌지연결편(144a)에 형성된 조립홀(144h)은 연결링크(160)의 일단에 형성된 홀(160h1)과 볼트(B)를 통해 힌지연결되고, 상기 연결링크(160)의 타단에 형성된 홀(160h2)은 상기 베이스링크바(146a)의 상측에 형성된 연장조립홀(146h)과 볼트(B)를 통해 힌지연결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클램핑 유닛(144)과 연결링크(160)를 사용하여, 상기 모듈형 보행구조물(100)을 수평 봉형 파이프(P1)에 연결하여 사용이 가능하다.
한편, 예를 들어, 상기 한 쌍의 수직 봉형 파이프(P2) 간의 거리가 50cm이고 상기 모듈형 보행구조물의 폭이 90cm인 경우와 같이, 상기 모듈형 보행구조물을 상기 한 쌍의 수직 봉형 파이프(P2) 사이에 설치하기가 불가능한 경우에는 상기 한 쌍의 수직 봉형 파이프(P2)에 수평 봉형 파이프(P1)를 연결하여 연장하면, 상기 수평 봉형 파이프(P1)의 연장부분에 클램핑 유닛(144)과 연결링크(160)를 사용하여 상기 모듈형 보행구조물의 설치가 가능하게 된다.
한편, 상기 클램핑 유닛(144)의 힌지연결편(144a)에 형성된 조립홀(144h)에 상기 베이스링크바(146a, 146b)의 상측에 형성된 연장조립홀(146h)을 직접 힌지연결하여 구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상기 모듈형 보행구조물(100)은 자중에 의해 하단이 지면에 지지될 수 있지만, 별도의 수직 봉형 파이프(P2)가 구성된 경우라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별도의 클램핑 유닛(144a)을 이용하여 견고하게 연결하여 조립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모듈형 보행구조물(100)을 더욱 견고하게 연결하기 위해 보조링크(170)가 더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보조링크(170)는 상기 베이스링크바(146a, 146b)에 형성된 보조홀(h3)과 상기 수직 봉형 파이프(P2)에 고정된 클램핑 유닛(144a)의 힌지연결편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부싱(150)을 이용하여 상기 모듈형 보행구조물(100a, 100b)을 수직 봉형 파이프(P2)를 기준으로 상호 연결하여 사용이 가능하다.
상기 연결부싱(150)은 상기 베이스링크바(146a, 146b)의 연장조립홀(146h)과 힌지연결되는 힌지연결편(152a, 152b)이 구비되어 수직 봉형 파이프(P2)에 삽입되어 착탈고정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구성요소이다.
한편, 상기 연결부싱(150)의 고정은, 예를 들어, 상기 연결부싱(150)의 외주면 일측에 너트홀(150h)을 천공하고, 이 너트홀(150h)에 볼트(B)를 삽입하여 수직 봉형 파이프(P2)의 외주면에 상기 볼트(B)의 단부가 밀착지지됨에 따라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수직 봉형 파이프(P2)에 각각 연결부싱(150)이 삽입되어 고정된 상태에서, 각 연결부싱(150)의 일측에 형성된 힌지연결편(152a)에 제1 모듈형 보행구조물(100a)의 하측에 형성된 복수의 연장조립홀(미도시)을 힌지연결하여 조립하고, 각 연결부싱(150)의 타측에 형성된 힌지연결편(152b)에 제2 모듈형 보행구조물(100)의 상측에 형성된 복수의 연장조립홀(미도시)을 힌지연결하여 조립할 수 있다.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모듈형 보행구조물(100a, 100b, 100c)을 발판구조물로서 사용이 가능하다.
즉, 이웃하는 모듈형 보행구조물(100a, 100b, 100c)이 수평상태에서 직렬로 연결되고, 이러한 연결부분에 클램프 유닛(144)을 개재해서 수평 봉형 파이프(P1)에 고정하며, 상기 베이스링크바(146a, 146b)에 대한 상기 회동링크바(120a, 120b)의 상대위치를 고정하는 한 쌍의 고정링크바(130a, 130b)의 고정상태를 해제하면, 상기 복수의 발판패널(100a, 100b, 100c, 100d)이 자중에 의해 수평한 상태가 된다.
이때,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후방힌지부(a1)의 돌출길이가 상기 전방힌지부(a2)의 돌출길이보다 길게 형성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회동링크바(120a, 120b)가 선형바디(122a) 및 상기 각 전방힌지부(a2)에 대응하는 위치마다 연장형성된 힌지연결편(124a)으로 구성됨에 따라,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복수의 발판패널(100a, 100b, 100c, 100d)이 자중에 의해 수평하게 된 상태에서 회동링크바(120a, 120b)의 하단면이 상기 후방힌지부(a1)의 외주면에 맞닿아 지지가 되므로 상기 복수의 발판패널(100a, 100b, 100c, 100d)의 수평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모듈형 보행구조물(100a, 100b, 100c)을 짧은 거리나 지면상에 얹어서 사용하는 경우에는 수평 봉형 파이프(P1)가 없이 상기 모듈형 보행구조물(100a, 100b, 100c)을 직렬로 연결하여 사용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다음으로, 상기 한 쌍의 대상물이 한 쌍의 봉형 파이프(P) 및 복수의 클램핑 유닛(144)으로 구성된 제2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제2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보행구조물(100)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발판패널(100a, 100b, 100c, 100d), 한 쌍의 회동링크바(120a, 120b), 한 쌍의 고정링크바(130a, 130b), 한 쌍의 봉형 파이프(P) 및 복수의 클램핑 유닛(144)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2실시예의 모듈형 보행구조물(100)은, 제1실시예의 모듈형 보행구조물(100)의 베이스링크바(146a, 146b)를 한 쌍의 봉형 파이프(P) 및 복수의 클램핑 유닛(144)으로 대체한 구성을 취하므로, 제1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요소인 복수의 발판패널(100a, 100b, 100c, 100d), 한 쌍의 회동링크바(120a, 120b), 한 쌍의 고정링크바(130a, 130b)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고, 한 쌍의 봉형 파이프 및 복수의 클램핑 유닛(144)의 상세한 구성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봉형 파이프(P)에 복수의 클램핑 유닛(144)이 장착되어 고정되며, 각 클램핑 유닛(144)의 힌지연결편(144a)에 각 발판패널(100a, 100b, 100c, 100d)의 후방힌지부(a1)가 힌지연결된다.
이때, 상기 복수의 클램핑 유닛(144)은 상기 복수의 발판패널(100a, 100b, 100c, 100d)의 간격에 대응하는 간격으로 상기 봉형 파이프(P)에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일측이 상기 회동링크바(120a, 120b)에 힌지연결된 고정링크바(130a, 130b)의 타단이 상기 봉형 파이프(P)에 고정된 클램핑 유닛(144)의 힌지연결편(124a)에 힌지연결되어 상기 봉형 파이프(P)에 대한 상기 회동링크바(120a, 120b)의 상대위치를 고정할 수 있다.
한편,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봉형 파이프(P)에 복수의 모듈형 보행구조물(100)을 직렬로 이웃하여 설치하여 연장 사용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한 쌍의 봉형 파이프(P)를 수평하게 설치한 상태에서 상기 고정링크바(130a, 130b)의 고정상태를 해제하면, 상기 복수의 발판패널(100a, 100b, 100c, 100d)이 자중에 의해 수평한 상태가 되어 발판구조물로서 사용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기술되었지만 당업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남이 없이 많은 다양하고 자명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명백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주는 이러한 많은 변형예들을 포함하도록 기술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해석돼야 한다.
110a, 110b, 110c, 110d:발판패널
120a, 120b:회동링크바
130a, 130b:고정링크바
144:클램핑 유닛
146:베이스링크바
150:연결부싱
160:연결링크
170:보조링크

Claims (11)

  1. 한 쌍의 대상물 사이에 힌지연결되어 축회전이 가능하도록 후방 양측에 동축상으로 구비된 한 쌍의 후방힌지부 및 상기 후방힌지부와 이격되어 전방 양측에 각각 구비된 한 쌍의 전방힌지부를 포함하는 복수의 발판패널;
    상기 복수의 발판패널이 상호 평행한 상태가 유지되도록 상기 복수의 발판패널의 전방힌지부를 각각 힌지연결하는 한 쌍의 회동링크바; 및
    상기 복수의 발판패널이 상호 평행한 상태에서 소정 각도로 고정되도록 상기 대상물에 대한 상기 회동링크바의 상대위치를 고정하는 한 쌍의 고정링크바;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형 보행구조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힌지부와 전방힌지부는, 상기 발판패널의 양측에서 돌출되어 일체로 형성된 너트홀 및 상기 너트홀에 조립되는 볼트로 이뤄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형 보행구조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힌지부와 전방힌지부의 돌출길이가 서로 상이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형 보행구조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링크바는, 선형바디 및 상기 각 전방힌지부에 대응하는 위치마다 연장형성된 힌지연결편으로 이뤄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형 보행구조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대상물은, 한 쌍의 봉형 파이프 및 상기 복수의 발판패널의 각 후방힌지부와 힌지연결되는 조립홀이 형성된 힌지연결편이 일측면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봉형 파이프에 착탈고정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복수의 클램핑 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형 보행구조물.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링크바는, 상기 클램핑 유닛과 상기 회동링크바에 각각 힌지연결되는 복수의 조절홀이 형성되어 상기 봉형 파이프에 대한 상기 회동링크바의 상대위치를 가변조절하여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형 보행구조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대상물은, 상기 복수의 발판패널의 각 후방힌지부와 힌지연결되기 위해 소정 간격으로 형성된 조립홀이 구비된 한 쌍의 베이스링크바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형 보행구조물.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링크바는, 상기 베이스링크바와 상기 회동링크바에 각각 힌지연결되는 복수의 조절홀이 형성되어 상기 베이스링크바에 대한 상기 회동링크바의 상대위치를 가변조절하여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형 보행구조물.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링크바의 양단에는 복수의 연장조립홀이 각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형 보행구조물.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조립홀과 힌지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힌지연결편이 구비되어 수직 봉형 파이프에 삽입되어 착탈고정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연결부싱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형 보행구조물.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조립홀 또는 상기 연장조립홀에 힌지연결된 연결링크를 통해 힌지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힌지연결편이 구비되어 수평 봉형 파이프에 착탈고정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클램핑 유닛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형 보행구조물.
KR1020110121218A 2011-11-18 2011-11-18 모듈형 보행구조물 KR2013005546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1218A KR20130055464A (ko) 2011-11-18 2011-11-18 모듈형 보행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1218A KR20130055464A (ko) 2011-11-18 2011-11-18 모듈형 보행구조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55464A true KR20130055464A (ko) 2013-05-28

Family

ID=486639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21218A KR20130055464A (ko) 2011-11-18 2011-11-18 모듈형 보행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55464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9099993A (ja) * 2017-11-28 2019-06-24 エスアールジータカミヤ株式会社 仮設足場用角度可変梯子
KR102638849B1 (ko) * 2023-02-28 2024-02-22 손기호 계단 형태로 변형되는 안전 발판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9099993A (ja) * 2017-11-28 2019-06-24 エスアールジータカミヤ株式会社 仮設足場用角度可変梯子
KR102638849B1 (ko) * 2023-02-28 2024-02-22 손기호 계단 형태로 변형되는 안전 발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29116B1 (ko) 휀스용 연결조립체
US20080222990A1 (en) Fitting for a T-slot structure
WO2016030886A1 (en) Movable modular vehicle barrier
CA2832516A1 (en) Modular structure for gym or similar and exercise apparatus including this structure
KR101991026B1 (ko) 데크로드 난간 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KR20130055464A (ko) 모듈형 보행구조물
JP3135198U (ja) 建築用足場
KR20200000858U (ko) 조립식 구조를 갖는 고소작업대
KR102070711B1 (ko) 각도 조절이 가능한 펜스의 가로대 고정구
KR101250505B1 (ko) 조립식 구조물 구조와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JP6795934B2 (ja) 手摺装置
KR102456949B1 (ko) 양말 등을 위한 원형 편직 기계용 받침부
JP2019094713A (ja) 仮設足場用朝顔装置
KR101630189B1 (ko) 플렉시블 펜스
KR102431956B1 (ko) 무용접 조립식 휀스 조립장치
KR100877678B1 (ko) 놀이시설물용 발판
CN210976872U (zh) 一种护栏装置
KR20180096035A (ko) 지오데식 돔용 허브 커넥터
KR20110037475A (ko) 건축물 시공용 발판 고정구조
KR20100034577A (ko) 시스템 서포트
JP2010090546A (ja) 吊り下げ式作業床
KR102529490B1 (ko) 난간 높이 조절이 용이한 휀스 조립장치
EP3006648B1 (en) Guard rail
JP2007209456A (ja) 柵体
KR101680720B1 (ko) 다양한 형상의 펜스 설치가 가능한 펜스용 연결브라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