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96035A - 지오데식 돔용 허브 커넥터 - Google Patents

지오데식 돔용 허브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96035A
KR20180096035A KR1020170022169A KR20170022169A KR20180096035A KR 20180096035 A KR20180096035 A KR 20180096035A KR 1020170022169 A KR1020170022169 A KR 1020170022169A KR 20170022169 A KR20170022169 A KR 20170022169A KR 20180096035 A KR20180096035 A KR 201800960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herical
connector
spherical base
curved surface
cover memb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221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진석
정현석
박진민
조정인
채종국
이충희
김정관
우정호
Original Assignee
영진전문대학 산학협력단
박진민
정현석
우정호
채종국
이충희
김정관
박진석
조정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영진전문대학 산학협력단, 박진민, 정현석, 우정호, 채종국, 이충희, 김정관, 박진석, 조정인 filed Critical 영진전문대학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700221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96035A/ko
Publication of KR201800960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9603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2Arched structures; Vaulted structures; Folded structures
    • E04B1/3211Structures with a vertical rotation axis or the like, e.g. semi-spherical structur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19Three-dimensional framework structures
    • E04B1/1903Connecting nod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04B1/1906Connecting nod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with central spherical, semispherical or polyhedral connecting ele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19Three-dimensional framework structures
    • E04B2001/1957Details of connections between nodes and stru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19Three-dimensional framework structures
    • E04B2001/1993Details of framework supporting structure, e.g. posts or wal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2Arched structures; Vaulted structures; Folded structures
    • E04B2001/3235Arched structures; Vaulted structures; Folded structures having a grid frame
    • E04B2001/3241Frame connection details
    • E04B2001/3247No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오데식 돔 구조물을 설치 또는 조립할 때 발생하는 오차 문제를 해결할 수 있고, 단순한 구조로 이루어져 지오데식 돔 구조물을 설치 또는 조립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지오데식 돔용 허브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지오데식 돔용 허브 커넥터는 구형곡면(11)을 가진 구형 베이스(10)와; 구형 베이스(10)의 구형곡면(11)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구형곡면(11)에 안착되는 곡면 안착부(21)를 일단에 구비하고 타단에는 골조재(50)를 연결하기 위한 연결구 몸체(23)를 구비한 복수의 연결구(20); 구형 베이스(10)에 방사상으로 안착되는 연결구(20) 각각의 연결 각도가 조절 가능하게 하는 구조를 가지며 연결구(20)의 안착상태를 유지하도록 결합수단에 의하여 구형 베이스(10)에 결합되는 커버부재들(30, 40);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지오데식 돔용 허브 커넥터 {Hub Connector for Geodesic Dome}
본 발명은 지오데식 돔용 허브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구형 베이스(10)와 상기 구형 베이스(10)에 상하 방향 회전 및 좌우 방향 이동이 가능하게 결합되는 연결구(20)를 결합하는 단순한 구조를 통해, 골조재의 체결 등에 의한 구조의 뒤틀림이나 시공 환경 등에 의한 골조재와 허브 커넥터 사이의 오차를 해소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다양한 각도를 갖는 지오데식 돔에 사용할 수 있는 지오데식 돔용 허브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지오데식(geodesic) 돔 구조는 넓은 공간을 갖는 돔 구조에서 내부에 하중을 지지할 수 있는 기둥 등이 없어도 돔 구조를 구현할 수 있어 넓은 실내공간을 확보할 필요가 있는 실내 스포츠 시설, 전시장, 공연장과 같은 대형 구조물, 설치 및 해체 등이 잦은 텐트 구조물 및 어린이의 조립용 완구 등과 같이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다.
지오데식 돔 구조는 이론적으로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링크 형의 연결부재(1)를 연결구(2)에 연결하는 방식에 의하여 구형 돔 구조물을 완성할 수 있는데, 도 1(b)에 나타난 바와 같은 고정된 연결구(2)를 이용할 경우에, 돔 구조물을 만들기 위해 많은 수의 연결부재(1)와 연결구(2)를 결합시키다 보면 연결부의 뒤틀림이나 구조물이 설치되는 환경적인 문제 등에 의해 오차가 발생하게 되어 구조물을 완성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지오데식 돔 구조의 설치 또는 조립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기술이 개발되어 왔다.
그 중의 하나로, 공개특허공보 제10-2012-0134211호에 나타난 바와 같은 지오데식 돔의 연결구에 관한 기술이 있다(이하, ‘종래기술’이라 한다). 상기 종래기술 에 나타난 지오데식 돔의 연결구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판(10)에 브라켓(20)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함으로써 시공 현장에서 발생하는 각도 오차를 해소할 수 있고, 연결부재(1) 연결을 위해 고정부재(30)에 형성하는 연결부재고정홀(31)을 길이 방향을 따라 장방형으로 형성함으로써 연결부재(1)의 길이 오차를 해소할 수 있으며, 브라켓(20)과 고정부재(30)를 서로 회전 가능하도록 체결함으로써 전체 돔의 곡률 오차를 해소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종래기술은 베이스판(10)에 브라켓(20)이 일정 부분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있고, 브라켓(20)에 결합된 고정부재(30)도 회전가능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돔 구조물의 설치 또는 조립시에 발생하는 오차 문제를 해결할 수는 있다.
하지만, 연결구의 구조가 너무 복잡하고, 연결구의 베이스판(10)과 브라켓(20) 및 고정부(30)의 각도 조절을 해서 사용하기 위해서는 많은 수의 체결부재를 체결해야 하므로, 설치 및 조립 시간이 너무 오래 걸리고, 실용적이지 못한 문제점이 여전히 있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12-0134211호(2012.12.12.)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지오데식 돔 구조물을 설치 또는 조립할 때 발생하는 오차 문제를 해결할 수 있고, 단순한 구조로 이루어져 지오데식 돔 구조물을 설치 또는 조립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지오데식 돔용 허브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구형 베이스에 연결구를 다양한 각도로 결합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허브 커넥터의 각도가 다른 다양한 지오데식 돔 구조물에 사용될 수 있는 지오데식 돔용 허브 커넥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지오데식 돔용 허브 커넥터는, 구형곡면(11)을 가진 구형 베이스(10)와; 구형 베이스(10)의 구형곡면(11)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구형곡면(11)에 안착되는 곡면 안착부(21)를 일단에 구비하고 타단에는 골조재(50)를 연결하기 위한 연결구 몸체(23)를 구비한 복수의 연결구(20); 구형 베이스(10)에 방사상으로 안착되는 연결구(20) 각각의 연결 각도가 조절 가능하게 하는 구조를 가지며 연결구(20)의 안착상태를 유지하도록 결합수단에 의하여 구형 베이스(10)에 결합되는 커버부재들(30, 40);을 포함하는 구성을 갖는다.
이 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오데식 돔용 허브 커넥터의 상기 커버부재들은 상부 커버부재(30) 및 하부 커버부재(40)로 구성되며, 각각의 커버부재들(30, 40)에는 상하방향으로 연결 각도가 조절되는 연결구(20)가 구형 베이스(10)에 안착될 수 있도록 상하방향으로 길게 확장된 연결구용 절개부(32)가 형성되어 있고, 수평방향으로 연결 각도가 조절되는 연결구(20)가 구형 베이스(10)에 안착될 수 있도록 상하부 커버부재(30, 40)의 단부 사이는 이격부(G)가 구비됨으로써 연결구(20)의 연결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구조를 형성한다.
또한, 구형 베이스(10)의 구형곡면(11)에 안착되는 연결구(20)의 곡면 안착부(21)에 대하여 안착 범위를 제한하도록 구형 베이스(10)에는 구형곡면(11)을 따라 소정의 간격으로 구획돌기(12)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상하부 커버부재(30, 40)에는, 상하부 커버부재(30, 40)의 결합 과정에서 결합위치를 안내하고 상하부 커버부재(30, 40)의 결합시 구획돌기(12)의 구획강도를 보강하도록 구획돌기(12)에 대응되는 위치에서 구획돌기(12)를 수용하기 위한 구획돌기 수용홈(46)이 구비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상하부 커버부재(30, 40)의 내측에는, 결합수단에 의하여 상하부 커버부재(30, 40)를 구형 베이스(10)에 결합시 결합수단에 의한 결합력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며 상하부 커버부재(30, 40)의 파손을 방지도록 보강부(45)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구(20)의 연결구 몸체(23)에는, 결합되는 골조재(50)의 결합범위를 한정하도록 골조재 안착부(22)가 형성되어 있고, 더불어, 골조재(50)와 연결구 몸체(23)의 결합 후 상호 이탈을 방지하도록 골조재의 관통공에 대응되는 위치에 제1 핀홀(25)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구형 베이스와 골조재를 연결하는 연결부분에서 상하 운동이 가능하게 되어 조립과정에서 발생하는 각도 오차를 해소할 수 있고, 이로 인하여 조립 과정이 편리해짐으로써 조립 시간이 단축되는 효과를 갖게 된다.
또한, 조립 부품의 개수를 줄여 커버부재들의 결합 또는 분해만으로 지오데식 돔의 각 연결부분을 구성하거나 해체할 수 있는 구조여서 제작단가를 줄임과 동시에 제품의 휴대성을 높이고 부품의 분해 및 조립을 용이하게 하며 조립 난이도를 낮추는 효과가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커버부재에 보강부를 구비함으로써 커버부재의 결합력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으면서도 커버부재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와, 반복되는 결합 및 해체에도 견딜 수 있는 내구성을 강화하는 효과가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지오데식 돔용 허브 커넥터는 구형 베이스와 연결구의 각도를 충분히 크게 변화시켜 사용할 수 있으므로, 구형 베이스와 연결구의 연결 각도가 작은 구조물과 연결 각도가 큰 구조물에 한 종류의 허브 커넥터를 함께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 종래의 지오데식 돔의 실시예
(a) 지오데식 돔의 실시예 (b) 지오데식 돔용 커넥터의 실시예
도 2. 종래의 회전 가능한 지오데식 돔용 연결구의 실시예
도 3.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오데식 돔형 커넥터의 사시도.
도 4. 도 3의 분해 사시도.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접속, 접촉, 결합)"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당해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설명한다.
본 발명의 지오데식 돔용 허브 커넥터(1)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구형 베이스(10) 및 연결구(20), 커버부재들(30, 40), 결합수단(미도시)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서는 골조재들(50)을 연결하여 지오데식 돔을 조립과정에서 발생하는 각 골조재(50)의 연결 각도 오차를 해소하기 위하여 연결부분에서 연결 각도의 조절을 가능하게 하는 구조를 이용한다. 이러한 구조로 인하여 연각 각도의 조절이 가능한 정도와 연결구의 개수에 따라 다양한 크기 및/또는 형태의 지오데식 돔을 구현할 수 있게 된다. 종래기술에서도 연결 각도의 조절을 허용하는 구조가 제시되었으나 그 구조가 복잡하여 제조 및 조립에 문제점이 있었고 그 내구성 등에서도 단점이 있었는데 그러한 부분을 개선한 장점을 갖는다.
상기 구형 베이스(10)는 도시된 바와 같이 구형곡면(11)을 가지며, 재질은 금속 또는 강성 플라스틱으로도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구형베이스(10)는 전체가 구형으로 형성될 필요는 없으며, 후술하는 연결구(20)의 곡면 안착부(21)가 안착되는 부분에 대해서만 구형곡면(11)이 필요하고 나머지 부분에 대해서는 커버부재들(30, 40)과의 결합이 용이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선 구형 베이스(10)의 상하 부분을 평탄면으로 형성함으로써 결합수단을 이용하여 체결한 경우에 커버부재들(30, 40)과의 결합력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으면서도 해당 구성의 파손이 방지되도록 하였다.
또한, 볼트와 같은 결합수단(미도시)에 의하여 후술하는 커버부재들(30, 40)과 구형 베이스(10)를 결합할 수 있도록 구형 베이스(10)의 상하 부분에 체결홀이 구비된다. 이때, 체결홀은 상하부분에서 일정 깊이로 각각 형성하여 각각의 결합수단으로 체결하는 구조를 선택할 수 있고, 상하 부분을 관통하는 하나의 체결홀로 형성하여 하나의 결합수단을 관통시켜 체결하거나 각각의 결합수단을 상하부에서 체결하는 구조를 선택할 수도 있다.
상기 연결구(20)는 본 발명의 허브 커넥터와 골조재(50)를 연결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골조재(50)의 세부 단면형상에 따라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는데, 구형 베이스(10)의 구형곡면(11) 상에 안착되어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도록 구형 베이스(10)의 구형곡면(11)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된 곡면 안착부(21)가 연결구(20)의 일단에 필수적으로 구비된다. 타단에는 골조재(50)를 연결하기 위한 연결구 몸체(23)가 구비된다. 또한, 골조재(50)의 길이방향 결합범위를 한정하며 안정적인 지지력을 제공할 수 있도록 골조재 안착부(22)가 곡면 안착부(21) 근처의 연결구 몸체(23)에 형성될 수 있고, 골조재(50)와 연결구 몸체(23)의 결합 후 상호 이탈을 방지하도록 골조재의 관통공(미도시)에 대응되는 위치에 제1 핀홀(25)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커버부재들(30, 40)은, 구형 베이스(10)에 방사상으로 안착된 연결구(20) 각각의 연결 각도가 조절 가능한 채로 안착상태를 유지하도록 결합수단에 의하여 구형 베이스(10)에 결합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구형 베이스(10)의 상하부에서 결합되는 상하부 커버부재들(30, 40)로 구성되는데, 결합수단에 의한 체결을 위하여 상하부 커버부재들(30, 40) 각각에는 결합수단 장착부(31)가 구비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구형 베이스(10)에 방사상으로 안착된 연결구(20) 각각의 연결 각도가 조절 가능한 구조이면서도 안착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기술수단으로서 연결구용 절개부(32)와 이격부(G)가 상하부 커버부재들(30, 40)에 구비된다. 여기서 연결구용 절개부(32)는 상하방향으로 길게 확장된 형상으로 절개된 구조를 가짐으로써 구형 베이스(10)에 안착되는 연결구(20)의 연결 각도가 상하방향으로 조절될 수 있다. 이렇게 상하방향으로 연결 각도가 조절되는 구조로 인하여 골조재(50)의 연결 각도에 오차가 생긴 경우에도 현장의 시공자는 본 발명의 지오데식 돔용 허브 커넥터를 이용하여 골조재들(50)을 간편하게 연결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연결 각도가 큰 돔형 구조물과 작은 돔형 구조물에 대하여 한 종류의 허브 커넥터를 함께 이용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또한, 상하부 커버부재(30, 40)의 단부 사이에는 이격부(G)가 구비되도록 상하부 커버부재(30, 40)의 구조를 형성하게 되는데, 구형 베이스(10)에 안착되는 연결구(20)의 연결 각도가 상기 이격부(G)로 인하여 수평방향으로 조절될 수 있게 되며, 상기 연결구용 절개부(32)와 마찬가지로, 수평방향으로 연결 각도가 조절되는 구조로 인하여 골조재(50)의 연결 각도에 오차가 생긴 경우에도 현장의 시공자는 본 발명의 지오데식 돔용 허브 커넥터를 이용하여 골조재들(50)을 간편하게 연결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연결 각도가 다른 다양한 돔형 구조물에 대하여 한 종류의 허브 커넥터를 함께 이용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더불어, 본 실시예에서는 구형 베이스(10)의 구형곡면(11)에 안착되는 연결구(20)의 곡면 안착부(21)에 대하여 안착 가능한 수평방향의 범위를 소정의 구간으로 제한할 필요가 있게 되는데, 이를 위하여 구형 베이스(10)에는 구형곡면(11)을 따라 소정의 간격으로 구획돌기(12)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획돌기들(12) 사이의 간격은 허브 커넥터에 연결되는 골조재(50)의 개수에 따라 정해지게 되는데, 연결구(20)의 곡면 안착부(21)는 상기 간격 내에서 그 안착위치가 조절됨으로써 골조재(50)의 연결 각도 오차를 해결하면서도 지오데식 돔의 전체 형상을 지속적으로 확보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구획돌기(12)에 대응되는 위치에서 구획돌기(12)를 수용하기 위한 구획돌기 수용홈(46)이 상하부 커버부재(30, 40)에 구비되는데, 상기 구획돌기 수용홈(46)에 의하여 상하부 커버부재(30, 40)의 결합 과정에서는 구성들의 결합위치를 상호 안내하고 상하부 커버부재(30, 40)와의 결합이 완료되면 구획돌기(12)의 강도를 보강하는 효과가 발생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상하부 커버부재(30, 40)의 내측에는 상하부 커버부재(30, 40)에 구비되는 결합수단 장착부(31)를 중심으로 보강부(45)를 추가로 형성할 수 있는데, 상기 보강부(45)가 구비됨으로써 결합수단에 의하여 상하부 커버부재(30, 40)를 구형 베이스(10)에 결합시 결합수단에 의한 결합력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으며 상기 결합력에 의한 상하부 커버부재(30, 40)의 국부적인 파손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에 의한 지오데식 돔의 조립과정을 살펴보면, 구형 베이스(10)의 구형곡면(11)에 복수의 연결구(20)가 그 곡면 안착부(21)에 의하여 안착된 상태로 결합수단(미도시)에 의하여 상하부 커버부재(30, 40)를 임시 결합함으로써 연결구들(20)의 이탈을 방지하면서 그 기본적인 위치를 확보하게 된다. 이때 상하부 커버부재(30, 40)는 임시 결합된 상태여서 각 연결구(20)의 연결각도는 자유롭게 조절될 수 있는 상태이므로 연결되는 골조재(50)에 따라 연결구(20)의 각도를 상하 및 수평 방향으로 조절하여 골조재(50)와 결합시킬 수 있고 이러한 과정을 통하여 방사상으로 배치된 연결구(20)의 안착위치가 모두 확정되면 결합수단의 결합력을 강화하여 상하부 커버부재(30, 40)의 임시 결합상태를 최종 결합상태로 완성하게 된다. 여기서 최종 결합상태는 구형 베이스(10)에 대한 연결구(20)의 안착 위치가 고정됨으로써 그 연결각도가 일정하게 유지되지는 것을 의미하지만, 필요에 따라서는, 일정한 한도를 넘는 외력이 발생하는 환경에서 그 안착 위치가 변경될 수 있는 것도 포함하는 것이라고 보아야 한다.
또한, 본원 발명에 의한 조립방식은 임시 결합상태를 이용한 상기 조립방식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연결구(20) 각각을 먼저 골조재(50)에 결합한 상태에서 연결구들(20)을 구형 베이스(10)에 방사상으로 안착시킨 후 상하부 커버부재들(30, 40)을 결합수단(미도시)에 의하여 구형 베이스(10)에 결합하는 방식을 채용할 수도 있다. 이때에도 연결구(20)의 곡면 안착부(21)는 구형곡면(11) 상에서 그 안착위치를 조절하여 안착될 수 있는 구조로 인하여 연결구(20)의 연결 각도 오차에도 불구하고 안정적이면서도 간편하게 조립될 수 있다.
한편, 도 1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골조재(50)와 연결구(20)의 분리를 방지하도록 연결구(20)의 제1 핀홀(25)과 골조재(50)의 관통공(미도시)을 모두 관통하는 핀 또는 볼트와 같은 고정수단을 채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 또는 분할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 또는 분할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통상의 기술자가 이해하는 범위 안에서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 지오데식 돔용 허브 커넥터 10 : 구형 베이스
11 : 구형곡면 12 : 구획돌기
20 : 연결구 21 : 곡면 안착부
22 : 골조재 안착부 23 : 연결구 몸체
25 : 제1 핀홀 30 : 상부 커버부재
31 : 결합수단 장착부 32 : 연결구용 절개부
40 : 하부 커버부재 45 : 보강부
46 : 구획돌기 수용홈 50 : 골조재
(55 : 관통공) G : 이격부

Claims (5)

  1. 복수의 골조재를 방사상으로 연결하기 위한 지오데식 돔용 허브 커넥터에 있어서,
    구형곡면(11)을 가진 구형 베이스(10)와;
    구형 베이스(10)의 구형곡면(11)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구형곡면(11)에 안착되는 곡면 안착부(21)를 일단에 구비하고 타단에는 골조재(50)를 연결하기 위한 연결구 몸체(23)를 구비한 복수의 연결구(20);
    구형 베이스(10)에 방사상으로 안착되는 연결구(20) 각각의 연결 각도가 조절 가능하게 하는 구조를 가지며 연결구(20)의 안착상태를 유지하도록 결합수단에 의하여 구형 베이스(10)에 결합되는 커버부재들(30, 40);을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오데식 돔용 허브 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재들은 상부 커버부재(30) 및 하부 커버부재(40)로 구성되며, 각각의 커버부재들(30, 40)에는 상하방향으로 연결 각도가 조절되는 연결구(20)가 구형 베이스(10)에 안착될 수 있도록 상하방향으로 길게 확장된 연결구용 절개부(32)가 형성되어 있고, 수평방향으로 연결 각도가 조절되는 연결구(20)가 구형 베이스(10)에 안착될 수 있도록 상하부 커버부재(30, 40)의 단부 사이는 이격부(G)가 구비됨으로써, 연결구(20)의 연결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구조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오데식 돔용 허브 커넥터.
  3. 제2항에 있어서, 구형 베이스(10)의 구형곡면(11)에 안착되는 연결구(20)의 곡면 안착부(21)에 대하여 안착 범위를 제한하도록 구형 베이스(10)에는 구형곡면(11)을 따라 소정의 간격으로 구획돌기(12)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상하부 커버부재(30, 40)에는, 상하부 커버부재(30, 40)의 결합 과정에서 결합위치를 안내하고 상하부 커버부재(30, 40)의 결합시 구획돌기(12)의 구획강도를 보강하도록 구획돌기(12)에 대응되는 위치에서 구획돌기(12)를 수용하기 위한 구획돌기 수용홈(46)이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오데식 돔용 허브 커넥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부 커버부재(30, 40)의 내측에는, 결합수단에 의하여 상하부 커버부재(30, 40)를 구형 베이스(10)에 결합시 결합수단에 의한 결합력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며 상하부 커버부재(30, 40)의 파손을 방지도록 보강부(45)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오데식 돔용 허브 커넥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구(20)의 연결구 몸체(23)에는, 결합되는 골조재(50)의 결합범위를 한정하며 안정적인 지지력을 제공하도록 골조재 안착부(22)가 형성되어 있고, 더불어,
    골조재(50)와 연결구 몸체(23)의 결합 후 상호 이탈을 방지하도록 골조재의 관통공에 대응되는 위치에 제1 핀홀(25)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오데식 돔용 허브 커넥터.
KR1020170022169A 2017-02-20 2017-02-20 지오데식 돔용 허브 커넥터 KR2018009603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2169A KR20180096035A (ko) 2017-02-20 2017-02-20 지오데식 돔용 허브 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2169A KR20180096035A (ko) 2017-02-20 2017-02-20 지오데식 돔용 허브 커넥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6035A true KR20180096035A (ko) 2018-08-29

Family

ID=634348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22169A KR20180096035A (ko) 2017-02-20 2017-02-20 지오데식 돔용 허브 커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96035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031396A (zh) * 2020-09-01 2020-12-04 陈秋梅 一种建筑用钢结构多向连接机构
WO2023282948A3 (en) * 2021-06-10 2023-03-30 Sierra Space Corporation Bracket fixture for space habita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34211A (ko) 2011-06-01 2012-12-12 김영만 지오데식 돔의 연결구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34211A (ko) 2011-06-01 2012-12-12 김영만 지오데식 돔의 연결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031396A (zh) * 2020-09-01 2020-12-04 陈秋梅 一种建筑用钢结构多向连接机构
WO2023282948A3 (en) * 2021-06-10 2023-03-30 Sierra Space Corporation Bracket fixture for space habita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097640A (en) Frame support for paneled screens and like structures
US20140331591A1 (en) Multi-Directional Structural Joint
KR20180096035A (ko) 지오데식 돔용 허브 커넥터
KR101483902B1 (ko) 조립이 간편하고 견고한 돔 커넥터
JP2013036319A (ja) 天井下地構造
KR100241800B1 (ko) 수직 칸막이벽 시스템
EP0872930A2 (en) Frame with supporting and connection device for profiled elements and panels of cabinets
KR20170006848A (ko) 건축용 패널 고정구 및 이를 이용한 건축용 패널 조립체 시공방법
KR101466494B1 (ko) 지오데식 돔
KR20110001689U (ko) 가설식 트러스 구조물
KR101310328B1 (ko) 지오데식 돔의 연결구
US5181355A (en) Frame support for paneled screens and like structures
KR102075313B1 (ko) 우수한 조립성과 내구성을 가지는 가구용 프레임
JP4939892B2 (ja) フェンス用継手
KR101697423B1 (ko) 볼 조인트를 갖는 커넥터 허브 분할형 돔 커넥터
JP6713277B2 (ja) ジョイント構造体、骨組構造及びテント構造体
KR101522810B1 (ko) 조립이 간편하고 견고한 돔 커넥터
KR101833459B1 (ko) 돔형 온실 구조물
RU2570728C1 (ru) Узел соединения стержневых элементов пространственного каркаса (варианты)
GB2491160A (en) Joint member for a space frame and panels
KR20180096021A (ko) 지오데식 돔용 허브 커넥터
KR101898522B1 (ko) 조립성을 향상시키는 조립식 칸막이
KR20170139923A (ko) 조립식 파티션
JP2021046761A (ja) 組立構造体、及び組立構造体の製造方法
KR200251650Y1 (ko) 조립식 구조물용 지지 유니트와 커넥터 및 이를 적용한구조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