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75313B1 - 우수한 조립성과 내구성을 가지는 가구용 프레임 - Google Patents

우수한 조립성과 내구성을 가지는 가구용 프레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75313B1
KR102075313B1 KR1020190114398A KR20190114398A KR102075313B1 KR 102075313 B1 KR102075313 B1 KR 102075313B1 KR 1020190114398 A KR1020190114398 A KR 1020190114398A KR 20190114398 A KR20190114398 A KR 20190114398A KR 102075313 B1 KR102075313 B1 KR 1020753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rtical
hole
frame
locking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143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준기
Original Assignee
강준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준기 filed Critical 강준기
Priority to KR10201901143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7531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53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53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9/00Bedsteads
    • A47C19/02Parts or details of bedsteads not fully covered in a single one of the following subgroups, e.g. bed rails, post rails
    • A47C19/028Parts or details of bedsteads not fully covered in a single one of the following subgroups, e.g. bed rails, post rails for joining separate bedstead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3/00Details of tables or desks
    • A47B13/02Underframes
    • A47B13/021Fastening devices of the feet or legs

Landscapes

  • Furniture Connec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서리 부위에 각각 위치하도록 지면에 설치되는 각파이프로 이루어지고, 내측을 향하는 모서리에 제 1 걸림홀이 형성되고, 제 1 걸림홀의 양쪽 측면마다 제 2 걸림홀과 제 1 체결홀이 각각 형성되는 수직프레임; 수직프레임 사이마다 위치하는 각파이프로 이루어지고, 끝단에 제 2 걸림홀에 걸리는 제 1 걸림돌기가 마련되며, 단부의 내측면에 지지홀이 형성됨과 아울러 제 2 체결홀이 형성되는 수평프레임; 수직프레임 각각의 내측마다 한 쌍씩 마련되고, 각각은 서로 겹쳐지는 수직걸림판에 서로 접하여 제 1 걸림홀에 걸리도록 제 2 걸림돌기가 마련되며, 수직걸림판에 상부연결판으로 수직고정판이 연결되고, 수직고정판에 제 1 체결홀에 볼팅되도록 고정편이 마련됨과 아울러, 지지홀과 제 2 체결홀에 각각 대응하는 슬릿과 제 3 체결홀이 형성되며, 수직고정판의 하단에 수평프레임을 지지하는 지지판이 마련되는 연결브라켓; 및 수직고정판 각각에 밀착되는 밀착판이 마련되고, 밀착판에 슬릿과 지지홀에 동시 삽입되는 삽입부가 마련됨과 아울러, 제 2 및 제 3 체결홀을 통해서 볼팅되도록 제 4 체결홀이 형성되는 고정브라켓;을 포함하는 우수한 조립성과 내구성을 가지는 가구용 프레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뛰어난 강도 및 내구성을 가지도록 하고, 조립 및 결합 구조의 단순화를 통해 생산성 향상과 제조 단가의 절감에 기여할 수 있다.

Description

우수한 조립성과 내구성을 가지는 가구용 프레임{Furniture frame having excellent assemblability and durability}
본 발명은 가구용 프레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뛰어난 강도 및 내구성을 가지도록 하고, 조립 및 결합 구조의 단순화를 통해 생산성 향상과 제조 단가의 절감에 기여하며, 조립 및 해체의 용이함으로 인해 현장에서의 설치 및 제품의 운반 등과 같은 작업의 편의성을 제공하는 우수한 조립성과 내구성을 가지는 가구용 프레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침대, 테이블, 책장 등과 같은 가구에는 수직방향으로 배치되는 다수의 수직프레임과, 이러한 수직프레임을 서로 연결시키도록 수평으로 배치되는 다수의 수평프레임을 포함하는 가구용 프레임을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침대나 테이블 등의 가구에 사용되는 프레임에서, 수직프레임과 수평프레임은 서로 용접으로 고정됨으로써, 단일의 프레임 구조를 가질 경우, 용접 작업에 많은 시간과 노력을 필요로 함으로써, 작업자의 피로도 증가와 생산성 저하를 초래하였다. 또한 이러한 용접 방식의 가구용 프레임의 경우, 분해가 어렵기 때문에 운반시 큰 부피를 차지함으로써, 운반에 소요되는 비용과 불편이 크게 증가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이러한 침대나 테이블 등의 가구에 사용되는 프레임에 대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수직프레임 및 수평프레임 등을 브라켓으로 조립하도록 하는 제품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는데, 이와 관련되는 종래 기술로서, 한국등록특허 제10-1322621호의 "침대 프레임 구조"가 제시된 바 있다. 이는 바닥면에 대해 수직으로 세워지는 적어도 4개의 수직 프레임; 서로 결합하였을 때 상기 수직 프레임들의 수만큼의 모서리를 갖는 수평 프레임; 상기 각각의 수직 프레임에 고정되는 지지 브라켓부;를 포함하되, 상기 수평 프레임의 각각의 모서리는 수직 프레임과 지지 브라켓부의 사이에 결합되며 상기 수평 프레임은 지지브라켓부로부터 수직 프레임에 근접 또는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고정부재에 의해 그 내측면이 가압되거나 가압 해제됨으로써 수직 프레임에 고정 또는 분리되며, 상기 지지 브라켓부는 일측에 수직 프레임에 고정되는 고정부를 구비한 수평 플레이트와, 상기 수직 프레임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수평 플레이트의 내측 단부에 상향으로 직각되게 절곡된 수직 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부재는 수직 지지부에 나사 결합된 결합봉에 의해 수직 프레임에 대해 이동 가능한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 기술은 대부분의 하중을 수평플레이트가 부담으로써, 수평플레이트의 처짐 유발 등에 따른 내구성 저하의 문제를 야기하게 되고, 블록형태의 고정부재만으로 프레임을 지지함으로써, 프레임에 가해지는 비틀림 등의 외력에 견디는데 한계를 가지며, 이로 인해 프레임의 안전성 증대에 한계로서 작용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또한 종래의 다른 기술에 해당하는 테이블과 관련되는 기술로서, 한국공개특허 제10-2018-0089831호의 "테이블 프레임"이 제시된 바 있는데, 이는 복수개의 수직프레임; 상기 수직프레임의 상부에 구비되는 복수개의 수평프레임; 상기 수직프레임에 결합되는 연결브라켓; 및 상기 연결브라켓과 결합되고, 이웃하는 상기 수평프레임을 연결하는 수평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프라켓은 상기 수직프레임에 끼움결합되는 제1끼움부; 및 상기 제1끼움부의 반대편으로 연장되어 상기 수평연결부와 연결되는 연결돌기가 형성된다. 상기 연결돌기와 상기 수평연결부는 로킹부에 의해 상호 결합되고; 상기 로킹부는 상기 연결돌기의 둘레면에 형성되는 로킹리브; 및 상기 연결돌기가 삽입되며, 상기 연결돌기의 회전에 의해 상기 로킹리브와 결속되는 로킹홀부를 포함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다른 기술은 단순 끼움 결합에 의해 연결되는 프레임 간의 결합 구조로 인해, 내구성 저하를 야기할 수밖에 없고, 해체시 안정적인 분리를 담보할 수 없음으로 인해 불편을 초래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상기한 종래 기술에 대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수직프레임, 수평프레임 및 브라켓 상호 간의 수직 걸림 내지 다방향 걸림 구조에 의해, 서로 간의 하중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면서, 볼팅의 적절한 결합 구조에 의해 고정력의 신뢰성을 높이도록 하는 다중 결합 구조를 제공함으로써, 뛰어난 강도 및 내구성을 가지도록 하고, 걸림과 단순 볼팅 등에 의한 조립 및 결합 구조의 단순화를 통해 생산성 향상과 제조 단가의 절감에 기여하며, 조립 및 해체의 용이함으로 인해, 현장에서의 설치 및 제품의 운반 등과 같은 작업의 편의성을 제공하는 목적을 가진다.
상기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모서리 부위에 각각 위치하도록 지면에 설치되는 각파이프로 이루어지고, 내측을 향하는 모서리에 제 1 걸림홀이 형성되고, 상기 제 1 걸림홀의 양쪽 측면마다 제 2 걸림홀과 제 1 체결홀이 각각 형성되는 수직프레임; 상기 수직프레임 사이마다 위치하는 각파이프로 이루어지고, 끝단에 상기 제 2 걸림홀에 걸리는 제 1 걸림돌기가 마련되며, 단부의 내측면에 지지홀이 형성됨과 아울러 제 2 체결홀이 형성되는 수평프레임; 상기 수직프레임 각각의 내측마다 한 쌍씩 마련되고, 각각은 서로 겹쳐지는 수직걸림판에 서로 접하여 상기 제 1 걸림홀에 걸리도록 제 2 걸림돌기가 마련되며, 상기 수직걸림판에 상부연결판으로 수직고정판이 연결되고, 상기 수직고정판에 상기 제 1 체결홀에 볼팅되도록 고정편이 마련됨과 아울러, 상기 지지홀과 상기 제 2 체결홀에 각각 대응하는 슬릿과 제 3 체결홀이 형성되며, 상기 수직고정판의 하단에 상기 수평프레임의 하측을 지지하는 지지판이 마련되는 연결브라켓; 및 상기 수직고정판 각각에 밀착되는 밀착판이 마련되고, 상기 밀착판에 상기 슬릿과 상기 지지홀에 동시 삽입되는 삽입부가 마련됨과 아울러, 상기 제 2 및 제 3 체결홀을 통해서 볼팅되도록 제 4 체결홀이 형성되는 고정브라켓;을 포함하는, 우수한 조립성과 내구성을 가지는 가구용 프레임이 제공된다.
상기 수직프레임은, 상기 제 1 걸림홀이 상기 모서리를 따라 상하 다수로 형성되고, 상기 연결브라켓은, 상기 제 2 걸림돌기가 상기 수직걸림판의 측부를 따라 상기 제 1 걸림홀 각각에 대응하도록 다수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수직프레임은, 상기 측면마다 상기 제 2 걸림홀이 수직되게 형성됨과 아울러, 나란하도록 다수로 형성되고, 상기 수평프레임은, 상기 제 1 걸림돌기가 양쪽 측면 각각의 끝단으로부터 나란하게 돌출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연결브라켓은, 상기 수직걸림판과 상기 수직고정판이 평면을 기준으로 45도의 각도를 이루게 됨으로써, 평면을 기준으로 서로 접하는 한 쌍의 연결브라켓이 90도를 이루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연결브라켓은, 상기 수직걸림판의 상단으로부터 수평되게 절곡되어 상기 상부연결판이 마련되고, 상기 상부연결판의 끝단으로부터 수직 하방으로 절곡되어 상기 수직고정판이 마련되며, 상기 수직고정판의 하단으로부터 수평되게 절곡되어 상기 지지판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지지홀은,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다수로 나란하게 형성되는 제 1 지지홀과, 상기 제 1 지지홀의 일측에 수직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는 제 2 지지홀을 포함하고, 상기 슬릿은, 상기 제 1 지지홀에 대응하는 제 1 슬릿과, 상기 제 2 지지홀에 대응하는 제 2 슬릿을 포함하고, 상기 삽입부는, 상기 제 1 슬릿과 상기 제 1 지지홀을 동시 삽입되는 제 1 삽입부와, 상기 제 2 슬릿과 상기 제 2 지지홀을 동시 삽입하는 제 2 삽입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브라켓은, 상기 밀착판의 일단 상측과 하측에 상기 제 1 삽입부가 절곡에 의해 각각 마련되고, 상기 밀착판의 타단에 상기 제 2 삽입부가 절곡에 의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 1 삽입부는, 상기 제 1 지지홀의 내측에 걸리도록 제 3 걸림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우수한 조립성과 내구성을 가지는 가구용 프레임에 의하면, 수직프레임, 수평프레임 및 브라켓 상호 간의 수직 걸림 내지 다방향 걸림 구조에 의해 서로 간의 하중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면서, 볼팅의 적절한 결합 구조에 의해 고정력의 신뢰성을 높이도록 하는 다중 결합 구조를 제공함으로써, 뛰어난 강도 및 내구성을 가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우수한 조립성과 내구성을 가지는 가구용 프레임에 의하면, 걸림과 단순 볼팅 등에 의한 조립 및 결합 구조의 단순화를 통해 생산성 향상과 제조 단가의 절감에 기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우수한 조립성과 내구성을 가지는 가구용 프레임에 의하면, 조립 및 해체의 용이함으로 인해, 현장에서의 설치 및 제품의 운반 등과 같은 작업의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례에 따른 우수한 조립성과 내구성을 가지는 가구용 프레임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례에 따른 우수한 조립성과 내구성을 가지는 가구용 프레임을 저면에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례에 따른 우수한 조립성과 내구성을 가지는 가구용 프레임의 결합구조 요부를 분해하여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례에 따른 우수한 조립성과 내구성을 가지는 가구용 프레임의 결합구조 요부를 분해하여 다른 방향에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례에 따른 우수한 조립성과 내구성을 가지는 가구용 프레임의 연결브라켓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례에 따른 우수한 조립성과 내구성을 가지는 가구용 프레임의 연결브라켓을 다른 방향에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례에 따른 우수한 조립성과 내구성을 가지는 가구용 프레임의 조립을 순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례에 따른 우수한 조립성과 내구성을 가지는 가구용 프레임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에 의하여 여러 가지의 실시례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례를 예로서 도면에 나타내어 설명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이러한 특정 실시례로 한정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례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 내지 대응하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하여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례에 따른 우수한 조립성과 내구성을 가지는 가구용 프레임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례에 따른 우수한 조립성과 내구성을 가지는 가구용 프레임을 저면에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 실시례에 따른 우수한 조립성과 내구성을 가지는 가구용 프레임(100)은 수직프레임(110), 수평프레임(120), 연결브라켓(130,140) 및 고정브라켓(150)을 포함할 수 있고, 본 실시례에서는 가구로서 침대에 적용되는 프레임을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하는데, 이에 반드시 한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제 2 실시례에 해당하는 테이블은 물론 책장을 비롯하여, 수직프레임과 수평프레임을 포함하는 모든 가구에 사용되는 프레임에 적용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수직프레임(110)은 모서리 부위에 각각 위치하도록 지면에 설치되는 각파이프로 이루어지고, 내측을 향하는 모서리에 제 1 걸림홀(111)이 형성되고, 제 1 걸림홀(111)의 양쪽 측면마다 제 2 걸림홀(112)과 제 1 체결홀(113)이 각각 형성된다. 수직프레임(110)은 강도를 확보하기 위하여, 철이나 이의 합금을 비롯하여 다양한 금속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고, 우수한 조립성과 내구성을 가지는 가구용 프레임(100)의 모서리 부위마다 위치하게 됨으로써, 전후 각각 한 쌍씩 이루어지되, 우수한 조립성과 내구성을 가지는 가구용 프레임(100)의 디자인을 고려하여 전측의 한 쌍과 후측의 한 쌍이 길이 및 디자인을 서로 달리할 수 있다.
수직프레임(110)은 연결브라켓(130,140)과의 다중 걸림을 위하여, 제 1 걸림홀(111)이 모서리를 따라 상하 다수로 형성됨으로써, 각각의 제 1 걸림홀(111)이 연결브라켓(130,140)으로부터의 하중을 분할 분담하도록 할 수 있다.
수직프레임(110)은 제 1 걸림홀(111)의 양쪽 측면마다 제 2 걸림홀(112)이 수직되게 형성됨과 아울러, 나란하도록 다수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제 2 걸림홀(112)이 수평프레임(120)으로부터의 하중을 분할 분담하도록 할 수 있다.
수평프레임(120)은 수직프레임(110) 사이마다 위치하는 각파이프로 이루어지고, 끝단에 제 2 걸림홀(112)에 걸리는 제 1 걸림돌기(121)가 마련되며, 단부의 내측면에 지지홀(122,123)이 형성됨과 아울러 제 2 체결홀(124)이 형성된다. 수평프레임(120)은 강도를 확보하기 위하여, 철이나 이의 합금을 비롯하여 다양한 금속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고, 수직프레임(110) 사이마다 위치하게 됨으로써 두 쌍으로 이루어지되, 가로방향의 수평프레임과 세로방향의 수평프레임이 각각 한 쌍씩 이루어지고, 우수한 조립성과 내구성을 가지는 가구용 프레임(100)의 규격 및 디자인을 고려하여 가로방향의 수평프레임과 세로방향의 수평프레임이 길이 및 디자인이 동일하거나, 이와 달리 서로 달리할 수도 있다. 수평프레임(120)의 내측에는 필요에 따라 서로 연결되거나 서로 독립적인 매트리스 지지대가 마련될 수 있고, 디자인을 고려하여, 일례로 수평프레임(120) 자체가 외부로 노출되는 외측 프레임 역할을 하거나, 다른 예로서 별도의 장식판이 부착될 수 있다.
수평프레임(120)은 제 1 걸림돌기(121)가 양쪽 측면 각각의 끝단으로부터 나란하게 돌출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제 1 걸림돌기(121) 각각으로 하중을 분산시킬 수 있으며, 이로 인해 하중의 집중으로 인한 파손을 방지할 수 있고, 폭방향을 기준으로 안정되게 지지되도록 함으로써, 길이방향을 축으로 하는 회전을 억제하여 안정적인 고정 자세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수평프레임(120)에서, 지지홀(122,123)은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다수로 나란하게 형성되는 제 1 지지홀(122)과, 제 1 지지홀(122)의 일측에 수직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는 제 2 지지홀(123)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 1 지지홀(122)과 제 2 지지홀(123)은 서로 상이한 방향으로 연장 형성됨으로써 다양한 방향으로의 응력을 분산하여 우수한 지지력을 가지는데 기여할 수 있고, 제 1 지지홀(122)이 수평되게 형성됨으로써, 수직되게 형성되는 제 2 지지홀(123)에 비하여 내구성면에서 불리할 수 있으므로, 제 1 지지홀(122)의 경우, 다수 예컨대, 나란하게 한 쌍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연결브라켓(130,140)은 수직프레임(110) 각각의 내측마다 한 쌍씩 마련될 수 있고, 각각은 서로 겹쳐지는 수직걸림판(131,141)에 서로 접하여 제 1 걸림홀(111)에 걸리도록 제 2 걸림돌기(131a,141a)가 마련될 수 있으며, 수직걸림판(131,141)에 상부연결판(132,142)으로 수직고정판(133,143)이 연결될 수 있고, 수직고정판(133,143)에 제 1 체결홀(113)에 볼팅되도록 고정편(133a,143a)이 마련됨과 아울러, 지지홀(122,123)과 제 2 체결홀(124)에 각각 대응하는 슬릿(133b,133c,143b,143c)과 제 3 체결홀(133d,143d)이 형성될 수 있으며, 수직고정판(133,143)의 하단에 수평프레임(120)의 하측을 지지하는 지지판(134,144)이 마련될 수 있다.
연결브라켓(130,140)은 수직걸림판(131,141) 각각의 제 2 걸림돌기(131a,141a)가 서로 겹쳐져서 제 1 걸림홀(111)에 삽입되어 걸린 상태에서, 수직고정판(133,143)의 끝단에 절곡되어 형성되는 고정편(133a,143a) 각각에 형성되는 홀을 통해서 제 1 볼트(161)가 관통하여 제 1 체결홀(113)에 나사 체결됨으로써 볼팅에 의해 수직프레임(110)에 고정될 수 있다.
슬릿(133b,133c,143b,143c)은 제 1 지지홀(122)에 대응하는 제 1 슬릿(133b,143b)과, 제 2 지지홀(123)에 대응하는 제 2 슬릿(133c,143c)을 포함할 수 있다.
연결브라켓(130,140)은 제 2 걸림돌기(131a,141a)가 수직걸림판(131,141)의 측부를 따라 다수의 제 1 걸림홀(111) 각각에 대응하도록 다수로 마련될 수 있고, 이로 인해 제 2 걸림돌기(131a,141a) 각각으로 하중이 분산되도록 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하중의 집중으로 인한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연결브라켓(130,140)은 수직걸림판(131,141)과 수직고정판(133,143)이 평면을 기준으로 45도의 각도를 이루게 됨으로써, 평면을 기준으로 서로 접하는 한 쌍의 연결브라켓(130,140)이 90도를 이루도록 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연결브라켓(130),140) 각각의 하중 분산이 균등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뿐만 아니라 하중 분담이 평형에 가깝도록 하여, 응력 집중을 최소화함으로써 내구성 증진에 기여할 수 있다.
연결브라켓(130,140)은 수직걸림판(131,141)의 상단으로부터 수평되게 절곡되어 상부연결판(132,142)이 마련될 수 있고, 상부연결판(132,142)의 끝단으로부터 수직 하방으로 절곡되어 수직고정판(133,143)이 마련될 수 있으며, 수직고정판(133,143)의 하단으로부터 수평되게 절곡되어 지지판(134,144)이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연결브라켓(130,140)이 절곡에 의해 형성됨으로써, 제작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제작에 소요되는 비용과 노력을 줄일 수 있다.
고정브라켓(150)은 수직고정판(133,143) 각각에 밀착되는 밀착판(151)이 마련되고, 밀착판(151)에 슬릿(133b,133c,143b,143c)과 지지홀(122,123)에 동시 삽입되는 삽입부(152,153)가 마련됨과 아울러, 제 2 및 제 3 체결홀(124,133d,143d)을 통해서 볼팅되도록 제 4 체결홀(154)이 형성될 수 있다. 고정브라켓(150)은 삽입부(152,153)가 슬릿(133b,133c,143b,143c)과 지지홀(122,123)에 동시 삽입된 상태에서, 제 4 체결홀(154)에 체결되는 제 2 볼트(162)가 제 2 및 제 3 체결홀(124,133d,143d)에 나사 체결됨으로써, 연결브라켓(130,140)과 수평프레임(120)에 볼팅으로 고정될 수 있다.
삽입부(152,153)는 제 1 슬릿(133b,143b)과 제 1 지지홀(122)을 동시 삽입되는 제 1 삽입부(152)와, 제 2 슬릿(133c,143c)과 제 2 지지홀(123)을 동시 삽입하는 제 2 삽입부(153)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 1 삽입부(152)와 제 2 삽입부(153)는 서로 상이한 방향으로 연장됨으로써 다양한 방향에서의 응력을 분산하도록 하여 우수한 지지력을 가지는데 기여할 수 있고, 제 1 삽입부(152)가 수평되게 형성됨으로써, 수직되게 형성되는 제 2 삽입부(153)에 비하여 내구성면에서 불리할 수 있으므로, 제 1 삽입부(152)의 경우, 다수 예컨대, 나란하게 한 쌍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제 1 삽입부(152)는 제 1 지지홀(122)의 내측에 걸리도록 제 3 걸림돌기(152a)가 형성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수평프레임(120)에 고정브라켓(150)을 볼팅하기 전에 사전적으로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여, 볼팅 작업이 편리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뿐만 아니라, 수평프레임(120)과 고정브라켓(150) 간의 결합력을 높이는데 기여할 수 있다.
고정브라켓(150)은 밀착판(151)의 일단 상측과 하측에 제 1 삽입부(152)가 절곡에 의해 각각 마련될 수 있고, 밀착판(151)의 타단에 제 2 삽입부(153)가 절곡에 의해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고정브라켓(150)이 절곡에 의해 형성됨으로써, 제작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제작에 소요되는 비용과 노력을 줄일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a)에서와 같이, 연결브라켓(130,140)이 수직프레임(110)에 걸리도록 한 상태에서 제 1 볼트(161)로 고정시킨 상태에서, (b)에서와 같이, 고정브라켓(150)이 연결브라켓(130,140)과 함께 수평프레임(120)에 끼워서, (c)에서와 같이, 수평프레임(120)에 걸리도록 한 후, 제 2 볼트(162)로 고정브라켓(150)과 연결브라켓(130,140)이 수평프레임(120)에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수직프레임(110)과 수평프레임(120)이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례에 따른 우수한 조립성과 내구성을 가지는 가구용 프레임의 브라켓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제 2 실시례에 따른 우수한 조립성과 내구성을 가지는 가구용 프레임(200)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례에 따른 우수한 조립성과 내구성을 가지는 가구용 프레임(100)과 마찬가지로, 수직프레임(210), 수평프레임(220), 연결브라켓(230,240) 및 고정브라켓(250)을 포함할 수 있으며, 수직프레임(210) 및 수평프레임(220)이 테이블에 사용되는 프레임이라는 점을 제외하고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례에 따른 우수한 조립성과 내구성을 가지는 가구용 프레임(100)의 해당 구성과 동일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실시례에서는 수직프레임(210)과 수평프레임(220) 중 어느 하나 또는 모두에 의해 상판(270)이 직접 볼팅이나 끼움 구조 등에 의해 고정되거나, 별도의 브라켓 등과 같은 고정부재 등을 사용하여 고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수직프레임, 수평프레임, 연결브라켓 및 고정브라켓 상호 간의 수직 걸림 내지 다방향 걸림 구조에 의해 서로 간의 하중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면서, 볼팅의 적절한 결합 구조에 의해 고정력의 신뢰성을 높이도록 하는 다중 결합 구조를 제공함으로써, 뛰어난 강도 및 내구성을 가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걸림과 단순 볼팅 등에 의한 조립 및 결합 구조의 단순화를 통해 생산성 향상과 제조 단가의 절감에 기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조립 및 해체의 용이함으로 인해, 현장에서의 설치 및 제품의 운반 등과 같은 작업의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한 실시례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특허청구범위, 그리고 이러한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10,210 : 수직프레임 111 : 제 1 걸림홀
112 : 제 2 걸림홀 113 : 제 1 체결홀
120,220 : 수평프레임 121 : 제 1 걸림돌기
122 : 제 1 지지홀 123 : 제 2 지지홀
124 : 제 2 체결홀 130,140,230,240 : 연결브라켓
131,141 : 수직걸림판 131a,141a : 제 2 걸림돌기
132,142 : 상부연결판 133,143 : 수직고정판
133a,143a : 고정편 133b,143b : 제 1 슬릿
133c,143c : 제 2 슬릿 133d,143d : 제 3 체결홀
134,144 : 지지판 150,250 : 고정브라켓
151 : 밀착판 152 : 제 1 삽입부
152a : 제 3 걸림돌기 153 : 제 2 삽입부
154 : 제 4 체결홀 161 : 제 1 볼트
162 : 제 2 볼트 270 : 상판

Claims (8)

  1. 모서리 부위에 각각 위치하도록 지면에 설치되는 각파이프로 이루어지고, 내측을 향하는 모서리에 제 1 걸림홀이 형성되고, 상기 제 1 걸림홀의 양쪽 측면마다 제 2 걸림홀과 제 1 체결홀이 각각 형성되는 수직프레임;
    상기 수직프레임 사이마다 위치하는 각파이프로 이루어지고, 끝단에 상기 제 2 걸림홀에 걸리는 제 1 걸림돌기가 마련되며, 단부의 내측면에 지지홀이 형성됨과 아울러 제 2 체결홀이 형성되는 수평프레임;
    상기 수직프레임 각각의 내측마다 한 쌍씩 마련되고, 각각은 서로 겹쳐지는 수직걸림판에 서로 접하여 상기 제 1 걸림홀에 걸리도록 제 2 걸림돌기가 마련되며, 상기 수직걸림판에 상부연결판으로 수직고정판이 연결되고, 상기 수직고정판에 상기 제 1 체결홀에 볼팅되도록 고정편이 마련됨과 아울러, 상기 지지홀과 상기 제 2 체결홀에 각각 대응하는 슬릿과 제 3 체결홀이 형성되며, 상기 수직고정판의 하단에 상기 수평프레임의 하측을 지지하는 지지판이 마련되는 연결브라켓; 및
    상기 수직고정판 각각에 밀착되는 밀착판이 마련되고, 상기 밀착판에 상기 슬릿과 상기 지지홀에 동시 삽입되는 삽입부가 마련됨과 아울러, 상기 제 2 및 제 3 체결홀을 통해서 볼팅되도록 제 4 체결홀이 형성되는 고정브라켓;
    을 포함하는, 우수한 조립성과 내구성을 가지는 가구용 프레임.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직프레임은,
    상기 제 1 걸림홀이 상기 모서리를 따라 상하 다수로 형성되고,
    상기 연결브라켓은,
    상기 제 2 걸림돌기가 상기 수직걸림판의 측부를 따라 상기 제 1 걸림홀 각각에 대응하도록 다수로 마련되는, 우수한 조립성과 내구성을 가지는 가구용 프레임.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직프레임은,
    상기 측면마다 상기 제 2 걸림홀이 수직되게 형성됨과 아울러, 나란하도록 다수로 형성되고,
    상기 수평프레임은,
    상기 제 1 걸림돌기가 양쪽 측면 각각의 끝단으로부터 나란하게 돌출되도록 마련되는, 우수한 조립성과 내구성을 가지는 가구용 프레임.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연결브라켓은,
    상기 수직걸림판과 상기 수직고정판이 평면을 기준으로 45도의 각도를 이루게 됨으로써, 평면을 기준으로 서로 접하는 한 쌍의 연결브라켓이 90도를 이루도록 하는, 우수한 조립성과 내구성을 가지는 가구용 프레임.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연결브라켓은,
    상기 수직걸림판의 상단으로부터 수평되게 절곡되어 상기 상부연결판이 마련되고, 상기 상부연결판의 끝단으로부터 수직 하방으로 절곡되어 상기 수직고정판이 마련되며, 상기 수직고정판의 하단으로부터 수평되게 절곡되어 상기 지지판이 마련되는, 우수한 조립성과 내구성을 가지는 가구용 프레임.
  6.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홀은,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다수로 나란하게 형성되는 제 1 지지홀과, 상기 제 1 지지홀의 일측에 수직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는 제 2 지지홀을 포함하고,
    상기 슬릿은,
    상기 제 1 지지홀에 대응하는 제 1 슬릿과, 상기 제 2 지지홀에 대응하는 제 2 슬릿을 포함하고,
    상기 삽입부는,
    상기 제 1 슬릿과 상기 제 1 지지홀을 동시 삽입되는 제 1 삽입부와, 상기 제 2 슬릿과 상기 제 2 지지홀을 동시 삽입하는 제 2 삽입부를 포함하는, 우수한 조립성과 내구성을 가지는 가구용 프레임.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고정브라켓은,
    상기 밀착판의 일단 상측과 하측에 상기 제 1 삽입부가 절곡에 의해 각각 마련되고, 상기 밀착판의 타단에 상기 제 2 삽입부가 절곡에 의해 마련되는, 우수한 조립성과 내구성을 가지는 가구용 프레임.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 1 삽입부는,
    상기 제 1 지지홀의 내측에 걸리도록 제 3 걸림돌기가 형성되는, 우수한 조립성과 내구성을 가지는 가구용 프레임.
KR1020190114398A 2019-09-17 2019-09-17 우수한 조립성과 내구성을 가지는 가구용 프레임 KR1020753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4398A KR102075313B1 (ko) 2019-09-17 2019-09-17 우수한 조립성과 내구성을 가지는 가구용 프레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4398A KR102075313B1 (ko) 2019-09-17 2019-09-17 우수한 조립성과 내구성을 가지는 가구용 프레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75313B1 true KR102075313B1 (ko) 2020-02-07

Family

ID=695701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14398A KR102075313B1 (ko) 2019-09-17 2019-09-17 우수한 조립성과 내구성을 가지는 가구용 프레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7531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08721A (ko) * 2020-02-26 2021-09-03 주식회사 장원금속 가구 프레임
KR20220000843U (ko) * 2020-10-12 2022-04-19 전지해 가구 프레임 체결 부재 및 그를 포함하는 가구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379074B1 (en) * 2000-05-08 2002-04-30 Hsueh-Hung Chin Coupler structure for steel pipe conjoinment stabilization
KR101754128B1 (ko) * 2017-02-09 2017-07-19 주식회사 우드메탈 가구프레임의 결합장치
KR20170136032A (ko) * 2016-05-30 2017-12-11 최천순 무볼트 조립식 파이프 결합 브라켓트
CN209309078U (zh) * 2019-01-11 2019-08-27 震旦(中国)有限公司 一种连接装置、桌子、凳子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379074B1 (en) * 2000-05-08 2002-04-30 Hsueh-Hung Chin Coupler structure for steel pipe conjoinment stabilization
KR20170136032A (ko) * 2016-05-30 2017-12-11 최천순 무볼트 조립식 파이프 결합 브라켓트
KR101754128B1 (ko) * 2017-02-09 2017-07-19 주식회사 우드메탈 가구프레임의 결합장치
CN209309078U (zh) * 2019-01-11 2019-08-27 震旦(中国)有限公司 一种连接装置、桌子、凳子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08721A (ko) * 2020-02-26 2021-09-03 주식회사 장원금속 가구 프레임
KR102349998B1 (ko) * 2020-02-26 2022-01-12 주식회사 장원금속 가구 프레임
KR20220000843U (ko) * 2020-10-12 2022-04-19 전지해 가구 프레임 체결 부재 및 그를 포함하는 가구
KR200495309Y1 (ko) * 2020-10-12 2022-04-22 전지해 가구 프레임 체결 부재 및 그를 포함하는 가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40084584A1 (en) Shelf structure
KR102075313B1 (ko) 우수한 조립성과 내구성을 가지는 가구용 프레임
KR101233559B1 (ko) 모듈러 유닛 접합부 구조
US6293637B1 (en) Earthquake-resistant electronic equipment frame
JP5421789B2 (ja) 天井ブレース取付金具
JP4996877B2 (ja) 外囲体用取付具
KR101240343B1 (ko) 사각 다리 프레임을 구비한 책상
JP2018145717A (ja) 継手構造および建築用構造体
KR20190052532A (ko) 케이블 트레이
JP2016044538A (ja) 連結固定ブリッジ部材
KR101363739B1 (ko) 일체거동을 위한 모듈러 유닛 연결구조
KR20110073684A (ko) 책상용 다리 프레임 구조체 및 이를 사용한 책상
JP3227232U (ja) 組み立て式金属製棚
KR102076942B1 (ko) 조립성과 내구성을 향상시킨 가구용 프레임
KR101997755B1 (ko) 하부 구조체에 대한 보강 체결구조를 갖는 책상
KR102003181B1 (ko) 절곡 판재 형상의 다리프레임을 구비한 테이블 프레임 어셈블리
KR101604905B1 (ko) 변형이 자유로운 테이블 조립체
JP5486158B2 (ja) 二重床用支持脚および二重床構造
KR101216322B1 (ko) 케이블 트레이의 사이드레일 결속지지대
KR101006865B1 (ko) 통신장비 캐비닛용 브라켓
KR102349998B1 (ko) 가구 프레임
KR102445083B1 (ko) 큐브를 이용한 결합구조를 갖는 케이블 트레이
KR102329722B1 (ko) 확장성을 갖는 조립식 가구
CA2411421C (en) Table system
KR102316416B1 (ko) 건축용 시스템 비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