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95960A - 조립식 프레임 - Google Patents
조립식 프레임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40095960A KR20240095960A KR1020220178127A KR20220178127A KR20240095960A KR 20240095960 A KR20240095960 A KR 20240095960A KR 1020220178127 A KR1020220178127 A KR 1020220178127A KR 20220178127 A KR20220178127 A KR 20220178127A KR 20240095960 A KR20240095960 A KR 20240095960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rame
- hole
- coupling surface
- seating groove
- connection frame
- Prior art date
Links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2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2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2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0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3466 we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7547 de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6—Brackets or similar supporting means for cabinets, racks or shelve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47/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ed to dismountability or building-up from elements
- A47B47/0025—Horizontal connecting members adapted to receive and retain the edges of several panel element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14—Bars, uprights, struts, or like supports, for cabinets, brackets, or the like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20/00—General furniture construction, e.g. fittings
- A47B2220/0036—Brackets
Landscapes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 Assembled Shelves (AREA)
Abstract
조립식 프레임이 개시된다. 상기 조립식 프레임은,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기둥형상을 가지고 적어도 하나의 제 1 관통홀이 형성되어 있는 수평프레임, 수직방향으로 연장되는 기둥형상을 가지고 적어도 하나의 제 2 관통홀이 형성되어 있는 수직프레임, 상기 제 1 연결프레임 중 상기 제 1 관통홀에 대응하는 위치에 상기 제 1 관통홀에 대응하는 단면 형상을 가지는 제 1 안착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 2 연결프레임 중 상기 제 2 관통홀에 대응하는 위치에 상기 제 2 관통홀에 대응하는 단면 형상을 가지는 제 2 안착홈이 형성되어 있는 모서리 연결프레임, 제 1 결합면이 상기 제 1 관통홀을 관통하면서 상기 제 1 안착홈에 끼워져 상기 수평프레임과 상기 모서리 연결프레임을 결합 고정시키는 제 1 체결수단 및 제 2 결합면이 상기 제 2 관통홀을 관통하면서 상기 제 2 안착홈에 끼워져 상기 수평프레임과 상기 모서리 연결프레임을 결합 고정시키는 제 2 체결수단을 구비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조립식 프레임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간단하게 조립할 수 있으면서 견고하고 뒤틀림없이 조립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구조의 조립식 프레임에 관한 것이다.
침대, 책상, 수납장, 의자 등의 가구들에 있어서 최근 다양한 조립식 가구가 개발되고 있다. 조립식 가구는 배송이 용이하고 적은 공간을 차지하여 보관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여기에서 더 나아가, 다양한 조합이 가능한 모듈형 조립식 가구는 사용자가 원하는 형태로 변형하여 사용할 수 있다는 특성을 지니기도 한다. 이러한 조립식 가구의 기본은 각각의 프레임들이 서로 이웃되게 연결되어 구성되는 외형 틀이며, 각각의 프레임들을 서로 연결하기 위해 별도의 프레임 연결구(또는 브라켓)가 사용되는 경우가 있다. 각 프레임은 통상적으로 내부가 비어있는 관(원형 또는 사각 파이프) 형태의 금속재로 구성되고, 각 프레임과 프레임을 서로 이웃하도록 수직 또는 수평방향으로 배치시킨 상태로 프레임 연결구를 통해 프레임들을 서로 연결함으로써 구조물의 외형 틀을 구성하게 된다.
한편, 종래에는 프레임과 프레임을 연결하기 위해 프레임의 측단이 서로 접하도록 직각 배치시킨 상태로 'ㄱ'자 형태의 브라켓을 각 프레임의 일측면에 볼트로 체결함으로써 프레임끼리 연결하는 방식이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었다. 하지만, 종래의 프레임 연결구(또는 브라켓)는 각각의 프레임이 프레임 연결구에 끼움되어 밀착된 상태로 프레임의 일면에 대해서만 볼트를 이용해 결합함으로써 체결력이 약해 외부로부터 충격 등의 외력이 전달되면 프레임들은 뒤틀림이 발생하여 프레임의 형태가 변형되거나 프레임 연결구로부터 프레임이 분리되어 파손되는 문제가 있다. 이와 같은 종래 방식의 조립식 프레임들은 최초 프레임들이 설치된 상태를 유지하기 어렵고, 가구 등 구조물의 내구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으며, 프레임 연결구 내측면과 프레임 외측면이 완전히 밀착된 상태로 끼움 결합됨에 따라 높은 마찰력으로 인해 프레임이 프레임 연결구에 원활하게 결합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또한, 프레임과 프레임을 연결하기 위하여 용접을 하는 경우, 열변형 등으로 정확하게 원하는 위치와 각도로 프레임을 연결하기 어렵고 분리할 수 없으므로 보수가 어려우며 사용자가 원하는 형태로 조립하여 사용할 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간단하게 조립할 수 있으면서 견고하고 뒤틀림없이 조립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구조의 조립식 프레임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프레임은,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기둥형상을 가지고, 외주면 중 끝단에서 이격된 위치에 적어도 하나의 제 1 관통홀이 형성되어 있는 수평프레임, 수직방향으로 연장되는 기둥형상을 가지고, 외주면 중 끝단에서 이격된 위치에 적어도 하나의 제 2 관통홀이 형성되어 있는 수직프레임, 상기 수평프레임의 일측 끝단에 삽입되는 제 1 연결부프레임과 상기 수직프레임의 일측 끝단에 삽입되는 제 2 연결프레임이 절곡되어 연장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 1 연결프레임 중 상기 제 1 관통홀에 대응하는 위치에 상기 제 1 관통홀에 대응하는 단면 형상을 가지는 제 1 안착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 2 연결프레임 중 상기 제 2 관통홀에 대응하는 위치에 상기 제 2 관통홀에 대응하는 단면 형상을 가지는 제 2 안착홈이 형성되어 있는 모서리 연결프레임, 상기 제 1 관통홀 및 상기 제 1 안착홈의 단면에 대응하는 단면 형상을 가지는 제 1 결합면 및 상기 제 1 결합면과 절곡되어 연장 형성되는 제 1 연장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결합면이 상기 제 1 관통홀을 관통하면서 상기 제 1 안착홈에 끼워져 상기 수평프레임과 상기 모서리 연결프레임을 결합 고정시키는 제 1 체결수단 및 상기 제 2 관통홀 및 상기 제 2 안착홈의 단면과 대응하는 단면 형상을 가지는 제 2 결합면 및 상기 제 2 결합면과 절곡되어 연장 형성되는 제 2 연장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결합면이 상기 제 2 관통홀을 관통하면서 상기 제 2 안착홈에 끼워져 상기 수평프레임과 상기 모서리 연결프레임을 결합 고정시키는 제 2 체결수단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 1 체결수단은 수직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 1 관통홀을 수직방향으로 관통하면서 상기 제 1 안착홈에 수직방향으로 끼워지는 상기 제 1 결합면과, 상기 제 1 결합면의 일측 끝단에서 절곡되어 연장 형성되는 상기 제 1 연장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체결수단은 수평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 2 관통홀을 수평방향으로 관통하면서 상기 제 2 안착홈에 수평방향으로 끼워지는 상기 제 2 결합면과, 상기 제 2 결합면의 일측 끝단에서 절곡되어 연장 형성되는 상기 제 2 연장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연장면은 판 형상의 판재가 결합되도록 상기 제 1 결합면과 연결되지 않은 일측 끝단에서 적어도 한번 절곡되어 연장 형성되는 제 1 판재안착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연장면은 판 형상의 판재가 결합되도록 상기 제 2 결합면과 연결되지 않은 일측 끝단에서 적어도 한번 절곡되어 연장 형성되는 제 2 판재안착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모서리 연결프레임은 상기 제 1 연결프레임과 상기 제 2 연결프레임이 접하는 부분에 베이스프레임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베이스프레임 중 상기 제 1 연결프레임과 연결되는 부분은 상기 제 1 연결프레임에 삽입된 수평프레임이 상기 베이스프레임 내측 방향으로 이동하지 않도록 상기 수평프레임의 단면적보다 큰 단면적으로 가지거나, 상기 베이스프레임 중 상기 제 2 연결프레임과 연결되는 부분은 상기 제 2 연결프레임에 삽입된 수직프레임이 상기 베이스프레임 내측 방향으로 이동하지 않도록 상기 수직프레임의 단면적보다 큰 단면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수평프레임에 형성되는 제 1 나사용 관통홀과 상기 제 1 연결프레임 중 상기 제 1 나사용 관통홀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는 제 1 나사용 안착홈에 나사가 결합되어 고정되거나, 상기 수평프레임에 형성되는 제 2 나사용 관통홀과 상기 제 2 연결프레임 중 상기 제 2 나사용 관통홀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는 제 2 나사용 안착홈에 나사가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프레임은 수평프레임과 수직프레임의 끝단을 연결하여 모서리 부분을 만들고자 하는 경우, 수평프레임 또는 수직프레임에 모서리 연결프레임을 억지끼움하지 않고도 수평프레임 또는 수직프레임과 모서리 연결프레임을 체결수단을 이용하여 간단하게 조립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나사를 이용하여 결합하는 경우에 비하여 강한 힘으로 조립을 지지할 수 있어 조립된 상태에서 뒤틀림 및 분리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고 견고하게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프레임을 이용하는 경우 수직프레임과 수평프레임을 연결함에 있어서 용접을 할 필요가 없으므로 열변형에 의한 불량이 없고, 보수가 용이하며, 조립과 분해가 쉽고 미려한 외관을 가질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프레임을 이용하는 경우 체결수단에 평판을 연결하여 조립할 수 있어 간단하게 조립식 프레임에 선반, 책상 상판, 발받침판, 가림막판 등을 설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인용되는 도면을 보다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각 도면의 간단한 설명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프레임의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조립식 프레임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조립식 프레임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체결수단이 결합된 경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1의 체결수단에 판재가 결합된 경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1의 조립식 프레임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체결수단이 결합된 경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5의 체결수단에 판재가 결합된 경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프레임의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조립식 프레임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조립식 프레임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체결수단이 결합된 경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1의 체결수단에 판재가 결합된 경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1의 조립식 프레임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체결수단이 결합된 경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5의 체결수단에 판재가 결합된 경우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프레임(100)의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조립식 프레임(100)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조립식 프레임(100)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체결수단(310)이 결합된 경우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도 1의 체결수단(130)에 판재(410)가 결합된 경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1의 조립식 프레임(100)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체결수단(510)이 결합된 경우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도 5의 체결수단(510)에 판재(410)가 결합된 경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프레임(100)은 수평프레임(110), 수직프레임(120), 연결프레임(150), 제 1 체결수단(130) 및 제 2 체결수단(140)을 포함할 수 있다.
수평프레임(110)은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기둥형상을 가지고, 외주면 중 끝단에서 이격된 위치에 적어도 하나의 제 1 관통홀(111)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수평프레임(110)은 완성된 조립식 프레임에서 수평방향으로 체결되는 부분이다. 수평프레임(110)은 기둥형상을 가지고 있으며, 단면이 다각형 형상을 가지고 있을 수도 있고 원형일 수도 있다. 제 1 관통홀(111)은 수평프레임(110)의 끝단에서 이격된 위치에 외주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한 개 또는 복수 개가 형성될 수 있다. 제 1 관통홀(111)은 수평프레임(110)의 외주면 중 한쪽 면에만 형성될 수도 있고, 마주보는 면에 한 쌍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수직프레임(120)은 수직방향으로 연장되는 기둥형상을 가지고, 외주면 중 끝단에서 이격된 위치에 적어도 하나의 제 2 관통홀(121)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수직프레임(120)은 완성된 조립식 프레임에서 수직방향으로 체결되는 부분이다. 수직프레임(120)은 기둥형상을 가지고 있으며, 단면이 다각형 형상을 가지고 있을 수도 있고 원형일 수도 있다. 제 2 관통홀(121)은 수직프레임(120)의 끝단에서 이격된 위치에 외주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한 개 또는 복수 개가 형성될 수 있다. 제 2 관통홀(121)은 수직프레임(120)의 외주면 중 한쪽 면에만 형성될 수도 있고, 마주보는 면에 한 쌍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수평프레임(110)과 수직프레임(120)은 체결되는 방향만 다를 뿐 동일한 형상을 가지고 있을 수 있다. 즉, 기둥형상을 가지고 외주면 중 끝단에서 이격된 위치에 적어도 하나의 관통홀이 형성된 프레임을 수평방향으로 체결하는 경우 수평프레임(110)이 되고 수직방향으로 체결하는 경우 수직프레임(120)이 될 수 있다.
모서리 연결프레임(150)은 수평프레임(110)과 수직프레임(120) 사이를 결합하는 프레임으로, 모서리 연결프레임(150)에 의하여 수평프레임(110)의 끝단과 수직프레임(120)의 끝단이 연결됨으로써 조립식 프레임(100) 중 모서리 부분을 형성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모서리 연결프레임(150)은 제 1 연결프레임(151), 제 2 연결프레임(152) 및 베이스프레임(153)을 구비할 수 있다. 제 1 연결프레임(151)은 수평프레임(110)의 일측 끝단에 삽입되는 부분이고, 제 2 연결프레임(152)은 수직프레임(120)의 일측 끝단에 삽입되는 부분이다. 그리고 제 1 연결프레임(151)과 제 2 연결프레임(152)은 절곡되어 연장형성되어 있다. 예를 들어, 제 1 연결프레임(151)과 제 2 연결프레임(152) 사이에 베이스프레임(153)이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제 1 연결프레임(151)과 제 2 연결프레임(152)은 서로 직교하는 방향으로 직접 연결되거나 베이스프레임(153)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에서 제 1 연결프레임(151)과 제 2 연결프레임(152)이 반드시 서로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결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며, 수평프레임(110)과 수직프레임(120)이 서로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결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는 다른 각도를 가질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 1 연결프레임(151)과 제 2 연결프레임(152) 사이의 각도가 45도, 90도, 120도 등의 다양한 각도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제 1 연결프레임(151)은 제 1 관통홀(111)에 대응하는 위치에 제 1 관통홀(111)에 대응하는 단면 형상을 가지는 제 1 안착홈(210)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 1 체결수단(130)은 제 1 관통홀(111)을 관통하면서 제 1 안착홈(210)에 끼워져 수평프레임(110)과 모서리 연결프레임(150)을 결합 고정시킬 수 있다. 제 1 체결수단(130)은 제 1 결합면(131) 및 제 1 연장면(132)이 연장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제 1 결합면(131)은 제 1 관통홀(111)을 관통하여 제 1 안착홈(210)에 끼워지는 부분이다. 즉, 제 1 체결수단(130) 중 제 1 결합면(131)은 수직방향으로 형성되어 제 1 관통홀(111)을 수직방향으로 관통하면서 제 1 안착홈(210)에 수직방향으로 끼워질 수 있다. 제 1 결합면(131)은 제 1 관통홀(111) 및 제 1 안착홈(210)에 키워질 수 있도록 제 1 관통홀(111) 및 제 1 안착홈(210)의 단면에 대응하는 단면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결합면(131)이 원형인 경우, 제 1 관통홀(111)은 단면이 원형인 관통홀이고, 제 1 안착홈(210) 중 제 1 결합면(131)이 접촉하는 부분은 원형의 제 1 결합면(131)이 안착될 수 있도록 원형 또는 곡선면을 가지는 홈의 형상일 수 있다. 다른 예로, 제 1 결합면(131)이 사각형인 경우, 제 1 관통홀(111)은 단면이 사각형인 관통홀이고, 제 1 안착홈(210) 중 제 1 결합면(131)이 접촉하는 부분은 사각형의 제 1 결합면(131)이 안착될 수 있도록 사각형 또는 각진 홈의 형상일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는 제 1 결합면(131)과 제 1 관통홀(111)의 단면이 직사각형 형상이고, 제 1 안착홈(210)은 제 1 결합면(131)이 안착될 수 있는 각진 홈의 형상인 경우를 도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이 이 경우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 1 결합면(131)이 제 1 관통홀(111)을 관통하여 제 1 안착홈(210)에 안착될 수 있다면 다른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제 2 연결프레임(152)은 제 2 관통홀(121)에 대응하는 위치에 제 2 관통홀(121)에 대응하는 단면 형상을 가지는 제 2 안착홈(220)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 2 체결수단(140)은 제 2 관통홀(121)을 관통하면서 제 2 안착홈(220)에 끼워져 수직프레임(120)과 모서리 연결프레임(150)을 결합 고정시킬 수 있다. 제 2 체결수단(140)은 제 2 결합면(141) 및 제 2 연장면(142)이 연장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제 2 결합면(141)은 제 2 관통홀(121)을 관통하여 제 2 안착홈(220)에 끼워지는 부분이다. 즉, 제 2 체결수단(140) 중 제 2 결합면(141)은 수평방향으로 형성되어 제 2 관통홀(121)을 수평방향으로 관통하면서 제 2 안착홈(220)에 수평방향으로 끼워질 수 있다. 제 2 결합면(141)은 제 2 관통홀(121) 및 제 2 안착홈(220)에 키워질 수 있도록 제 2 관통홀(121) 및 제 2 안착홈(220)의 단면에 대응하는 단면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결합면(141)이 원형인 경우, 제 2 관통홀(121)은 단면이 원형인 관통홀이고, 제 2 안착홈(220) 중 제 2 결합면(141)이 접촉하는 부분은 원형의 제 2 결합면(141)이 안착될 수 있도록 원형 또는 곡선면을 가지는 홈의 형상일 수 있다. 다른 예로, 제 2 결합면(141)이 사각형인 경우, 제 2 관통홀(121)은 단면이 사각형인 관통홀이고, 제 2 안착홈(220) 중 제 2 결합면(141)이 접촉하는 부분은 사각형의 제 2 결합면(141)이 안착될 수 있도록 사각형 또는 각진 홈의 형상일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는 제 2 결합면(141)과 제 2 관통홀(121)의 단면이 직사각형 형상이고, 제 2 안착홈(220)은 제 2 결합면(141)이 안착될 수 있는 각진 홈의 형상인 경우를 도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이 이 경우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 2 결합면(141)이 제 2 관통홀(121)을 관통하여 제 2 안착홈(220)에 안착될 수 있다면 다른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모서리 연결프레임(150)이 제 1 연결프레임(151)과 제 2 연결프레임(153)을 연결하는 베이스프레임(153)을 포함하고 있는 경우, 베이스프레임(153)의 단면적은 수평프레임(110) 또는 수직프레임(120)의 단면적보다 클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연결프레임(151)은 수평프레임(110) 속으로 삽입되게 되는데 이 경우 베이스프레임(153)이 수평프레임(110) 속으로 삽입되지 않도록 베이스프레임(153)은 수평프레임(110)의 단면적보다 큰 단면적을 가질 수 있다. 다른 예로, 제 2 연결프레임(152)은 수직프레임(120) 속으로 삽입되게 되는데 이 경우 베이스프레임(153)이 수직프레임(120) 속으로 삽입되지 않도록 베이스프레임(153)은 수직프레임(120)의 단면적보다 큰 단면적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수평프레임(110)과 제 1 연결프레임(151)을 제 1 체결수단(130)에 의하여 연결한 이후 보다 견고하게 조립하고자 하는 경우를 위하여, 수평프레임(110)에 제 1 나사용 관통홀(112)을 형성하고 제 1 연결프레임(151) 중 제 1 나사용 관통홀(112)에 대응하는 위치에 제 1 나사용 안착홈(211)을 형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필요에 따라 제 1 나사용 관통홀(112)과 제 1 나사용 안착홈(211)에 나사를 결합시킴으로써 수평프레임(110)과 모서리 연결프레임(150)을 보다 견고하게 결합시킬 수 있다.
또한, 수직프레임(120)과 제 2 연결프레임(152)을 제 2 체결수단(140)에 의하여 연결한 이후 보다 견고하게 조립하고자 하는 경우를 위하여, 수직프레임(120)에 제 2 나사용 관통홀(122)을 형성하고 제 2 연결프레임(152) 중 제 2 나사용 관통홀(122)에 대응하는 위치에 제 2 나사용 안착홈(212)을 형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필요에 따라 제 2 나사용 관통홀(122)과 제 2 나사용 안착홈(212)에 나사를 결합시킴으로써 수직프레임(120)과 모서리 연결프레임(150)을 보다 견고하게 결합시킬 수 있다.
제 1 체결수단(130) 중 제 1 연장면(132)은 제 1 결합면(131)과 절곡되어 연장 형성될 수 있고, 제 2 체결수단(140) 중 제 2 연장면(142)은 제 2 결합면(141)과 절곡되어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제 1 연장면(132) 또는 제 2 연장면(142)은 도 2, 도 3 또는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다양한 형상을 가지고 있을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은 형상의 체결수단(310)이 제 1 체결수단(130) 또는 제 2 체결수단(140)을 대체할 수 있다. 체결수단(310)은 결합면(311) 및 연장면(312)을 가지고 있으며, 결합면(311)은 앞서 설명한 것과 같이 수평프레임(110) 또는 수직프레임(120)과 모서리 연결프레임(150)에 삽입되는 부분이고, 연장면(312)은 결합면(311)에 절곡되어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연장면(312)은 결합면(311)과 연결되지 않은 일측 끝단에서 한번 절곡되어 체결수단(310)으로 깔끔하게 마감을 할 수 있다. 여기에서 연장면(312) 중 결합면(311)에 대향하는 면은 수직프레임(110) 또는 수평프레임(120)에 접하면서 수직프레임(110) 또는 수평프레임(120)과 모서리 연결프레임(150)을 결합 고정시킬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은 형상의 제 1 체결수단(130)은 제 1 결합면(131) 및 제 1 연장면(132)을 가지고 있으며, 제 1 결합면(131)은 앞서 설명한 것과 같이 수평프레임(110)과 모서리 연결프레임(150)에 삽입되는 부분이고, 제 1 연장면(132)은 제 1 결합면(131)에 절곡되어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제 1 연장면(132)은 제 1 결합면(131)과 연결되지 않은 일측 끝단이 두 번 절곡되어 제 1 판재안착면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 1 판재안착면은 제 1 연장면(132) 중 제 1 결합면(131)과 연결되지 않은 일측 끝단에서 연장되어 형성되어 있는 면을 의미한다. 그리고 상기 제 1 판재안착면에 판 형상의 판재(410)가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 1 판재안착면과 판재(410)는 나사를 이용하여 체결되거나 다른 다양한 체결수단을 이용하여 체결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은 형상의 제 2 체결수단(140)은 제 2 결합면(141) 및 제 2 연장면(142)을 가지고 있으며, 제 2 결합면(141)은 앞서 설명한 것과 같이 수직프레임(120)과 모서리 연결프레임(150)에 삽입되는 부분이고, 제 2 연장면(142)은 제 2 결합면(141)에 절곡되어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제 2 연장면(142)은 제 2 결합면(141)과 연결되지 않은 일측 끝단이 두 번 절곡되어 제 2 판재안착면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 2 판재안착면은 앞서 설명한 상기 제 1 판재안착면과 동일하므로 이하 중복되는 설명은 상기 제 1 판재안착면에 대한 설명으로 대체한다.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은 형상의 체결수단(510)이 제 1 체결수단(130) 또는 제 2 체결수단(140)을 대체할 수도 있다. 체결수단(510)은 결합면(511) 및 연장면(512, 513)을 가지고 있으며, 결합면(511)은 앞서 설명한 것과 같이 수평프레임(110) 또는 수직프레임(120)과 모서리 연결프레임(150)에 삽입되는 부분이고, 연장면(512, 513)은 결합면(511)에 절곡되어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연장면(512, 513)은 결합면(511)과 연결되지 않은 일측 끝단에서 복수회 절곡된 형상을 가짐으로써 앞서 설명한 제 1 판재안착면 또는 제 2 판재안착면과 유사한 기능을 수행하는 판재안착면(513)을 형성할 수 있다. 판재안착면(513)에는 판 형상의 판재(610)가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판재안착면(513)과 판재(610)는 나사를 이용하여 체결되거나 다른 다양한 체결수단을 이용하여 체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 1 연장면(132) 또는 제 2 연장면(142)의 형상을 변화시킴으로써 제 1 체결수단(130) 또는 제 2 체결수단(140)은 수평프레임(110)과 모서리 연결프레임(150)을 연결하는 기능만을 수행할 수도 있고, 수평프레임(110)과 모서리 연결프레임(150)을 연결하는 기능 뿐 아니라 조립식 프레임(100)에 선반, 상판, 가림판 등의 다양한 판 형상의 판재를 다양한 방향에서 결합시키기 위한 부재로도 사용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 실시예가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5)
-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기둥형상을 가지고, 외주면 중 끝단에서 이격된 위치에 적어도 하나의 제 1 관통홀이 형성되어 있는 수평프레임;
수직방향으로 연장되는 기둥형상을 가지고, 외주면 중 끝단에서 이격된 위치에 적어도 하나의 제 2 관통홀이 형성되어 있는 수직프레임;
상기 수평프레임의 일측 끝단에 삽입되는 제 1 연결부프레임과 상기 수직프레임의 일측 끝단에 삽입되는 제 2 연결프레임이 절곡되어 연장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 1 연결프레임 중 상기 제 1 관통홀에 대응하는 위치에 상기 제 1 관통홀에 대응하는 단면 형상을 가지는 제 1 안착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 2 연결프레임 중 상기 제 2 관통홀에 대응하는 위치에 상기 제 2 관통홀에 대응하는 단면 형상을 가지는 제 2 안착홈이 형성되어 있는 모서리 연결프레임;
상기 제 1 관통홀 및 상기 제 1 안착홈의 단면에 대응하는 단면 형상을 가지는 제 1 결합면 및 상기 제 1 결합면과 절곡되어 연장 형성되는 제 1 연장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결합면이 상기 제 1 관통홀을 관통하면서 상기 제 1 안착홈에 끼워져 상기 수평프레임과 상기 모서리 연결프레임을 결합 고정시키는 제 1 체결수단; 및
상기 제 2 관통홀 및 상기 제 2 안착홈의 단면과 대응하는 단면 형상을 가지는 제 2 결합면 및 상기 제 2 결합면과 절곡되어 연장 형성되는 제 2 연장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결합면이 상기 제 2 관통홀을 관통하면서 상기 제 2 안착홈에 끼워져 상기 수평프레임과 상기 모서리 연결프레임을 결합 고정시키는 제 2 체결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프레임.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체결수단은,
수직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 1 관통홀을 수직방향으로 관통하면서 상기 제 1 안착홈에 수직방향으로 끼워지는 상기 제 1 결합면과, 상기 제 1 결합면의 일측 끝단에서 절곡되어 연장 형성되는 상기 제 1 연장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체결수단은,
수평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 2 관통홀을 수평방향으로 관통하면서 상기 제 2 안착홈에 수평방향으로 끼워지는 상기 제 2 결합면과, 상기 제 2 결합면의 일측 끝단에서 절곡되어 연장 형성되는 상기 제 2 연장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프레임.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연장면은,
판 형상의 판재가 결합되도록 상기 제 1 결합면과 연결되지 않은 일측 끝단에서 적어도 한번 절곡되어 연장 형성되는 제 1 판재안착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연장면은,
판 형상의 판재가 결합되도록 상기 제 2 결합면과 연결되지 않은 일측 끝단에서 적어도 한번 절곡되어 연장 형성되는 제 2 판재안착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프레임.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서리 연결프레임은,
상기 제 1 연결프레임과 상기 제 2 연결프레임이 접하는 부분에 베이스프레임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베이스프레임 중 상기 제 1 연결프레임과 연결되는 부분은 상기 제 1 연결프레임에 삽입된 수평프레임이 상기 베이스프레임 내측 방향으로 이동하지 않도록 상기 수평프레임의 단면적보다 큰 단면적으로 가지거나,
상기 베이스프레임 중 상기 제 2 연결프레임과 연결되는 부분은 상기 제 2 연결프레임에 삽입된 수직프레임이 상기 베이스프레임 내측 방향으로 이동하지 않도록 상기 수직프레임의 단면적보다 큰 단면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프레임.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프레임에 형성되는 제 1 나사용 관통홀과 상기 제 1 연결프레임 중 상기 제 1 나사용 관통홀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는 제 1 나사용 안착홈에 나사가 결합되어 고정되거나,
상기 수평프레임에 형성되는 제 2 나사용 관통홀과 상기 제 2 연결프레임 중 상기 제 2 나사용 관통홀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는 제 2 나사용 안착홈에 나사가 결합되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프레임.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178127A KR102703831B1 (ko) | 2022-12-19 | 2022-12-19 | 조립식 프레임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178127A KR102703831B1 (ko) | 2022-12-19 | 2022-12-19 | 조립식 프레임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40095960A true KR20240095960A (ko) | 2024-06-26 |
KR102703831B1 KR102703831B1 (ko) | 2024-09-05 |
Family
ID=916898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20178127A KR102703831B1 (ko) | 2022-12-19 | 2022-12-19 | 조립식 프레임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703831B1 (ko) |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218725U (ko) * | 1975-07-28 | 1977-02-09 | ||
KR200301739Y1 (ko) * | 2002-10-17 | 2003-01-24 | 공간찬넬주식회사 | 횡관 및 지주관의 코너 네오폴 콘넥터. |
KR101545308B1 (ko) * | 2015-01-08 | 2015-08-21 | 주식회사 세계로 | 프로파일부재의 모서리 연결구 및 이를 포함하는 프레임 구조물 |
KR101894269B1 (ko) * | 2016-12-09 | 2018-09-04 | 오서연 | 프레임 연결구 |
CN208506648U (zh) * | 2018-06-15 | 2019-02-15 | 广州视源电子科技股份有限公司 | 交互智能平板的玻璃安装结构及交互智能平板 |
WO2019237206A1 (en) * | 2018-06-15 | 2019-12-19 | Cecol Domenic | Modular frame assembly |
-
2022
- 2022-12-19 KR KR1020220178127A patent/KR102703831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218725U (ko) * | 1975-07-28 | 1977-02-09 | ||
KR200301739Y1 (ko) * | 2002-10-17 | 2003-01-24 | 공간찬넬주식회사 | 횡관 및 지주관의 코너 네오폴 콘넥터. |
KR101545308B1 (ko) * | 2015-01-08 | 2015-08-21 | 주식회사 세계로 | 프로파일부재의 모서리 연결구 및 이를 포함하는 프레임 구조물 |
KR101894269B1 (ko) * | 2016-12-09 | 2018-09-04 | 오서연 | 프레임 연결구 |
CN208506648U (zh) * | 2018-06-15 | 2019-02-15 | 广州视源电子科技股份有限公司 | 交互智能平板的玻璃安装结构及交互智能平板 |
WO2019237206A1 (en) * | 2018-06-15 | 2019-12-19 | Cecol Domenic | Modular frame assembly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703831B1 (ko) | 2024-09-0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6257426B1 (en) | Shelf engagement mechanism | |
KR200492567Y1 (ko) | 테이블 프레임 결합 구조체 | |
KR102286870B1 (ko) | 조립식 테이블 프레임의 관 연결장치 | |
KR102186934B1 (ko) | 무볼트 조립식 선반용 연결프레임을 포함하는 무볼트 조립식 선반 | |
KR200486872Y1 (ko) | 가변형 조립식 책상 | |
KR20180087650A (ko) | 가구용 골격 조립구조 | |
JP3227232U (ja) | 組み立て式金属製棚 | |
KR20240095960A (ko) | 조립식 프레임 | |
KR102075313B1 (ko) | 우수한 조립성과 내구성을 가지는 가구용 프레임 | |
KR102092858B1 (ko) | 가구용 철재 프레임 연결구조 | |
KR20240095961A (ko) | 조립식 프레임 | |
JP4518434B2 (ja) | 組立棚 | |
KR100271081B1 (ko) | 선반 유니트용 골조(framework for shelving unit) | |
KR200494494Y1 (ko) | 테이블 다리 조립구조 | |
KR101929319B1 (ko) | 커넥터 모듈 | |
KR102122692B1 (ko) | 가구용 고정브라켓 | |
KR20190023217A (ko) | 철제 가구용 프레임 및 프레임 조립체 | |
KR102657308B1 (ko) | 조립식 가구 | |
KR101876192B1 (ko) | 프레임 연결구 | |
KR102684308B1 (ko) | 조립식 가구 프레임 | |
KR20110088651A (ko) | 조립식 결합구조를 이용한 가구 | |
KR101894269B1 (ko) | 프레임 연결구 | |
KR102349998B1 (ko) | 가구 프레임 | |
KR20060128674A (ko) | 넉다운 가구의 조립구 | |
JP2006081922A (ja) | 机における収納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