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29319B1 - 커넥터 모듈 - Google Patents

커넥터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29319B1
KR101929319B1 KR1020160170362A KR20160170362A KR101929319B1 KR 101929319 B1 KR101929319 B1 KR 101929319B1 KR 1020160170362 A KR1020160170362 A KR 1020160170362A KR 20160170362 A KR20160170362 A KR 20160170362A KR 101929319 B1 KR101929319 B1 KR 1019293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ove
fastening
coupling
opening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703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68557A (ko
Inventor
강형구
진효승
정성환
채윤철
진경희
임은진
Original Assignee
경일대학교 산학협력단
주식회사 디자인하우스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채윤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일대학교 산학협력단, 주식회사 디자인하우스,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채윤철 filed Critical 경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601703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29319B1/ko
Publication of KR201800685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685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93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93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2/00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 F16B12/10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using pegs, bolts, tenons, clamps, clip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5/00Fittings for furniture

Abstract

본 발명은 주체결홈, 개구부 및 제1결합홈을 포함하는 제1몸체와 삽입부 및 결합부재를 포함하는 제2몸체를 체결부재로 결합함으로써, 특별한 공구가 없어도 사용자가 가정이나 사무실에서 손쉽게 분해 조립이 가능하고, 휨 변형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하면서 가구가 차지하는 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는 커넥터 모듈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커넥터 모듈{Connector module}
본 발명은 커넥터 모듈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복수의 프레임이 현장에서 손쉽게 결합될 수 있으면서 외부의 힘에 의해서 해체되지 않도록, 상기 복수의 프레임 사이에 구비되어 서로 연결해주는 커넥터 모듈에 관한 것이다.
가정 혹은 사무실에서 많이 쓰는 파티션, 책상, 테이블 및 수납장을 포함하는 가구들은 봉, 관 및 막대 등의 여러 종류의 프레임을 이용해서 그 골격을 형성하며, 상기 골격에 판재나 목재, 금속재를 결합함으로써 사용목적에 맞도록 여러 형상으로 제작할 수 있다.
위와 같은 가구들은 생산 및 판매가 되는 시점부터 프레임과 목재 등이 결합된 상태로 출시가 되는 경우가 많았으며, 공간에 가구를 넣는 것이 아니라 가구를 위한 공간을 마련해야 하는 불편함으로 인해 사용자들의 불편함이 가중되었다. 또한 사용하지 않는 가구들을 분해하지 않은 상태로 방치한다면, 그 공간만큼의 실내 활용도가 줄어들 수밖에 없으며, 외부에 방치하는 경우에는 습기 등으로 인해 부패하는 경우가 발생하였다.
이에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여러 개의 벤치를 서로 연결 및 분리할 수 있는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307256호("분리와 연결이 가능한 벤치")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한 장치는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한 쌍의 다리를 연결하는 상부프레임(1)과 수평프레임(2)을 연결하기 위해 지지벽체(5) 및 거치부(56)로 이루어진 브라켓을 사용하고 있다.
브라켓을 이용한 위 장치는 여러 개의 벤치를 서로 연결하고 분리할 수는 있지만, 장치에 회전력이 발생하는 경우에 수평프레임(2)과 브라켓 사이에 볼팅되는 점을 기준으로 회전이 발생할 가능성이 농후하며, 크기를 줄이거나 분해하기 위해서 결합된 볼트를 해체하는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단점이 발생한다. 또한 휘어진 형상의 브라켓은 장기간 사용 시에 휨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러한 휨은 T자 형으로 이루어진 벤치다리가 균형을 잡지 못해 삐걱거리는 현상을 야기하기에, 안정성이 낮아지는 문제점이 추가로 발생한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307256호("분리와 연결이 가능한 벤치", 2013.09.05.)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제1프레임과 결합된 제1몸체에 제2프레임과 결합된 제2몸체를 삽입하고 이를 체결하는 체결부재를 구비함으로써, 공구가 없어도 삽입 및 해체가 가능하고, 직육면체의 몸체를 이용하여 휨 변형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하며, 프레임과 대응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져 장치가 차지하는 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는 커넥터 모듈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커넥터 모듈은, 직육면체로 이루어지되, 상하면을 관통하는 주체결홈(110), 일면의 상하 중심부에 형성된 개구부(120) 및 제1프레임(11)이 결합될 수 있도록 상하면과 일면을 제외한 나머지 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면에 형성된 제1결합홈(130)을 포함하는 제1몸체(100); 상기 제1몸체(100)의 개구부(120)와 대응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상하면 사이를 관통하는 보조체결홈(211)이 형성된 삽입부(210) 및 상기 삽입부(210)와 연결되되 제2프레임(12)이 결합될 수 있는 제2결합홈(221)이 형성된 결합부재(220)를 포함하는 제2몸체(200); 및 상기 제1몸체(100)의 개구부(120)에 상기 제2몸체(200)의 삽입부(210)가 삽입되면, 상기 제1몸체(100)의 주체결홈(110) 및 제2몸체(200)의 보조체결홈(211)을 체결하는 체결부재(3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주체결홈(110)은, 상기 개구부(120)의 상측에 위치하되 상부를 형성하는 안착홈(111), 상기 개구부(120)의 상측에 위치하되 하부를 형성하는 제1체결홈(112) 및 상기 개구부(120)의 하측에 위치하는 제2체결홈(113)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체결홈(113)은 최하단에 걸림편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주체결홈(110)은 상기 안착홈(111)이 원형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체결홈(112)이 십자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보조체결홈(211)은 상기 제1체결홈(112)과 동일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체결부재(300)는 상기 안착홈(111)과 상응하는 형상의 상단체결부(310), 상기 제1체결홈(112) 및 보조체결홈(211)과 상응하는 형상의 중심체결부(320) 및 상기 제2체결홈과 상응하는 형상의 하단체결부(3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한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 모듈은, 제2몸체의 삽입부를 제1몸체의 개구부에 삽입한 상태에서 상기 제1몸체 및 제2몸체를 체결부재를 통해 체결함으로써, 체결부재의 인입 및 인출만으로도 두 몸체를 결합하거나 해체할 수 있기 때문에, 가정이나 사무실에서 손쉽게 조립분해가 가능하다. 그리고 이러한 커넥터 모듈이 구비된 가구들을 사용하지 않을 시에는 위와 같은 과정을 통해 해체가 가능하기에, 미사용 가구들이 차지하는 공간의 비율을 대폭 감소시킬 수 있으며, 이는 미니멀리즘 인테리어에 적용하기에 호환성이 좋은 장점이 있다.
또한 체결부재는 인 통해 제1몸체 및 제2몸체를 결합하기 위해 상단체결부, 중심체결부 및 하단체결부로 구성됨과 더불어 체결부재의 최하단은 제1몸체의 걸림편에 걸릴 수 있도록 형성되어, 보다 안정성 있는 커넥터 모듈을 제공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벤치 브라켓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모듈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모듈의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모듈의 결합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본체의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결부재의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1본체의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1본체의 평면도.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따른 커넥터 모듈을 상세히 설명한다. 다음에 소개되는 도면들은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 제시되는 도면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또한 명세서 전반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이때 사용되는 기술 용어 및 과학 용어에 있어서 다른 정의가 없다면,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통상적으로 이해하고 있는 의미를 가지며, 하기의 설명 및 첨부 도면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실시예 1>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도 2는 본 발명의 커넥터 모듈의 사시도를 나타내며, 도 3은 본 발명의 컨넥터 모듈의 평면도를 나타낸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커넥터 모듈(1000)은, 제1프레임(11)과 결합되는 제1몸체(100) 및 제2프레임(12)과 결합되는 제2몸체(2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제1몸체(100) 및 제2몸체(200)도 서로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프레임(11) 및 제2프레임(12)은 하나의 프레임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프레임(10)이 구비될 수 있으며, 흔하게 사용되는 연결방식은 도 2와 같은 "T"자 형상과 제1프레임(11) 및 제2프레임(12)이 각각 하나씩 구비된 "ㄱ"자 형상이 될 수 있다. 물론 제2몸체(200)가 결합된 제1몸체(100)의 배면에 하나의 제1프레임(11)이 추가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경우에는 "+"자 형상으로 보여질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이러한 형상에 대해서 보다 상세하게 알 수 있다. 제1프레임(11) 및 제2프레임(22)이 직교에 한정하지는 않지만, 일반적인 지지부는 틀어짐이 없는 수직접합구조일 경우가 안정적이기 때문에, 상기 제1프레임(11)은 상기 제1몸체(100)와 나란하게 접합되며, 상기 제1몸체(100)가 상기 제2프레임(12)과 나란하게 접합된 제2몸체(200)와 수직하게 연결됨으로써 안정적인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커넥터 모듈(1000)은 상기 제1몸체(100) 및 제2몸체(200)를 관통하여 체결하는 체결부재(30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몸체(100)와 제2몸체(200), 체결부재(300)는 도 4에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모듈의 결합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4을 참조하여 상기 제1몸체(100), 제2몸체(200) 및 체결부재(300)의 결합방식을 명확하게 설명한다.
상기 제1몸체(100)는 직육면체로 이루어지되, 상하면을 관통하는 주체결홈(110), 일면의 상하 중심부에 형성된 개구부(120) 및 제1프레임(11)이 결합될 수 있도록 상하면과 일면을 제외한 나머지 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면에 형성된 제1결합홈(1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어 상기 제2몸체(200)는 상기 제1몸체(100)의 개구부(120)와 대응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상하면 사이를 관통하는 보조체결홈(211)이 형성된 삽입부(210) 및 상기 삽입부(210)와 연결되되 제2프레임(12)이 결합될 수 있는 제2결합홈(221)이 형성된 결합부재(2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체결부재(300)는 상기 제1몸체(100)의 개구부(120)에 상기 제2몸체(200)의 삽입부(210)가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제1몸체(100)의 주체결홈(110)로 인입하여 상기 제1몸체(100) 및 제2몸체(200)를 관통하여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2몸체(200)의 삽입부(210)는 상기 제1몸체(100)의 개구부(120) 안에 삽입된 상태이며, 상기 체결부재(300)는 상기 삽입부(210)에 형성된 보조체결홈(211)을 관통하여 상기 제1몸체(100)의 최하단 부분까지 인입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보조체결홈(221)은 상기 주체결홈(110)과 동일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몸체(100) 및 제2몸체(200)는 각각 제1프레임(11) 및 제2프레임(12)과 결합될 수 있는 제1결합홈(130) 및 제2결합홈(221)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1결합홈(130) 및 제2결합홈(221)의 형태는 제1프레임(11) 및 제2프레임(12)의 형상과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도 4에서는 직육면체 막대형상을 가진 프레임이 예시로 나타난다. 여기서 상기 제1프레임(11) 및 제2프레임(12)은 막대형상이 아니라 원통형이나 관의 형상으로도 이루어질 수 있으며 다각기둥형상으로도 이루어질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제1결합홈(130) 및 제2결합홈(221)은 쓰임새에 따라 막대, 원통, 관 또는 다각기둥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결합홈(130)과 제1프레임(11), 제2결합홈(221)과 제2프레임(12) 간의 결합은 볼팅이나 접착제를 사용하거나 꽉 맞물리도록 크기를 동일하게 형성할 수 있으며, 잦은 조립 및 분해, 내구성이 요구되는 경우에는 나사결합을 하는 것이 좋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본체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커넥터 모듈은 주체결홈(110)이 안착홈(111), 제1체결홈(112) 및 제2체결홈(113)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안착홈(111)은 상기 개구부(120)의 상측에 위치하되 상부를 형성한다. 이때 상부 및 하부의 개념은 안착홈(111) 및 제1체결홈(112) 간의 상대적인 위치 구분을 위해서 설정한 용어임을 명시한다. 또한 상기 제1체결홈(112)은 상기 개구부(120)의 상측에 위치하되 하부를 형성할 수 있으며, 도 5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주체결홈(110) 상측의 일 부분을 안착홈(111)으로, 나머지 부분을 제1체결홈(112)으로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어 상기 제2체결홈(113)은 상기 개구부(120)의 하측에 위치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체결홈(113)은 끝단에 걸림편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는 차후 체결부재(300)의 사시도를 참조하면서 명료하게 설명할 것이지만, 상기 걸림편을 통해 제1몸체(100)의 상하측으로 돌출되는 부분이 없으면서도 결합력이 우수하도록 형성될 수 있음을 우선적으로 명시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결부재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이때 도 5를 참조하여, 도 6을 보다 명확히 설명한다. 상기 체결부재(300)는 상단체결부(310), 중심체결부(320) 및 하단체결부(33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상단체결부(310), 중심체결부(320) 및 하단체결부(330)는 각각 상기 안착홈(111), 제1체결홈(112) 및 제2체결홈(112)과 상응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단체결부(310) 및 안착홈(111)은 단면이 원형으로 이루어진 원판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중심체결부(320) 및 제1체결홈(112)은 단면이 십자형태의 십자기둥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체결홈(112)은 원통형의 중공부로 이루어지되, 상기 하단체결부(330)는 소정의 유격이 형성된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상기 제2체결홈(112)에 꽉 맞물릴 수 있으며, 상기 하단체결부(330)의 최하단에는 걸림턱(331)이 형성되어 상기 제2체결홈(112)의 걸림편에서 상기 체결부재(300)가 탈거되지 않도록 고정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체결부재(300)가 상기 제1몸체(100)의 최하단에 형성된 걸림편까지 삽입이되는 경우에는, 상기 상단체결부(310)의 상면과 상기 제1몸체(100)의 상면이 평평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제1몸체(100) 및 체결부재(300)의 상면이 평평하게 형성되면 부재 간의 결합 시에 턱이 생기지 않기 때문에, 사고를 방지할 수 있으며, 외부 압력에 의해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평평한 상태인 경우에는 상면에 평판을 두는 경우에도 하중이 분산되어 지지력이 우수하며, 심미관도 향상될 수 있다.
<실시예 2>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1본체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주체결부(110)는 내구성 및 활용도에 따라 상기 안착홈(111), 제1체결홈(112) 및 제2체결홈(113)의 범위가 달라질 수 있다. 도 7의 경우에는 상기 제1체결홈(112)이 상기 개구부(120)의 하측 상부까지 이루는 것을 도시한 것으로, 이와 같이 십자기둥형상이기에 넓은 크기의 제1체결홈(112)이 하측 상부까지 이루어지면 고정력이 더욱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이어 도 8은 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1본체의 평면도로, 도 8-(a) 내지 도 8-(d)를 참조하면 상기 주체결부(110)의 각 구성들은 여러 형상을 가진 기둥형태로 변경이 가능하다.
도 8-(a)의 경우에는 제1체결홈(112) 및 제2체결홈(113)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제1체결홈(112)은 십자기둥으로 이루어지고 제2체결홈(113)은 원통형으로 이루어진 상태이다. 또한 도 8-(b)의 경우에는 상기 제1체결홈(112)이 십자기둥이 아니라 육방형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이며, 도 8-(c)의 경우에는 일자기둥으로 이루어진 것을 도시하고 있다. 이어 도 8-(d)의 경우에는 상기 안착홈(111), 제1체결홈(112) 및 제2체결홈(113)의 단면이 모두 원형으로 이루어진 것을 도시하였으며, 이와 같은 경우에는 위의 나열한 순서대로 크기가 직경이 작아져야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되는 특허 청구 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 청구 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의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 : 프레임
11 : 제1프레임 12 : 제2프레임
100 : 제1몸체
110 : 주체결홈
111 : 안착홈 112 : 제1체결홈
113 : 제2체결홈
120 : 개구부 130 : 제1결합홈
200 : 제2몸체
210 : 삽입부 211 : 보조체결홈
220 : 결합부재 221 : 제2결합홈
300 : 체결부재
310 : 상단체결부 320 : 중심체결부
330 : 하단체결부

Claims (6)

  1. 직육면체로 이루어지되, 상하면을 관통하는 주체결홈(110), 일면의 상하 중심부에 형성된 개구부(120) 및 제1프레임(11)이 결합될 수 있도록 상하면과 일면을 제외한 나머지 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면에 형성된 제1결합홈(130)을 포함하는 제1몸체(100);
    상기 제1몸체(100)의 개구부(120)와 대응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상하면 사이를 관통하는 보조체결홈(211)이 형성된 삽입부(210) 및 상기 삽입부(210)와 연결되되 제2프레임(12)이 결합될 수 있는 제2결합홈(221)이 형성된 결합부재(220)를 포함하는 제2몸체(200); 및
    상기 제1몸체(100)의 개구부(120)에 상기 제2몸체(200)의 삽입부(210)가 삽입되면, 상기 제1몸체(100)의 주체결홈(110) 및 제2몸체(200)의 보조체결홈(211)을 체결하는 체결부재(300);
    상기 주체결홈(110)은,
    상기 개구부(120)의 상측에 위치하되 상부를 형성하는 안착홈(111), 상기 개구부(120)의 상측에 위치하되 하부를 형성하는 제1체결홈(112) 및 상기 개구부(120)의 하측에 위치하는 제2체결홈(113)
    를 포함하는 커넥터 모듈.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체결홈(113)은
    최하단에 걸림편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모듈.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주체결홈(110)은
    상기 안착홈(111)이 원형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체결홈(112)이 십자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모듈.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체결홈(211)은 상기 제1체결홈(112)과 동일한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모듈.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재(300)는
    상기 안착홈(111)과 상응하는 형상의 상단체결부(310), 상기 제1체결홈(112) 및 보조체결홈(211)과 상응하는 형상의 중심체결부(320) 및 상기 제2체결홈과 상응하는 형상의 하단체결부(330)를 포함하는 커넥터 모듈.
KR1020160170362A 2016-12-14 2016-12-14 커넥터 모듈 KR1019293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0362A KR101929319B1 (ko) 2016-12-14 2016-12-14 커넥터 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0362A KR101929319B1 (ko) 2016-12-14 2016-12-14 커넥터 모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8557A KR20180068557A (ko) 2018-06-22
KR101929319B1 true KR101929319B1 (ko) 2018-12-17

Family

ID=627684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70362A KR101929319B1 (ko) 2016-12-14 2016-12-14 커넥터 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29319B1 (ko)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7256B1 (ko) 2013-05-02 2013-09-11 주식회사 세계로 분리와 연결이 가능한 벤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8557A (ko) 2018-06-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674068B1 (en) Bottle rack and kit for bottle-supporting assembly
KR101453493B1 (ko) 조립식 책상
CA2622205A1 (en) Shelving system
KR200492567Y1 (ko) 테이블 프레임 결합 구조체
KR20180087650A (ko) 가구용 골격 조립구조
US20220378195A1 (en) Combined type shelf
KR101929319B1 (ko) 커넥터 모듈
KR102092858B1 (ko) 가구용 철재 프레임 연결구조
KR20170000236U (ko) 앵글선반프레임
KR102186586B1 (ko) 무볼트 프레임가구
US20220007843A1 (en) Interlocking means and piece of furniture comprising the same
KR101656736B1 (ko) 조립식 가구용 연결구 및 그 연결구를 이용한 조립식 가구
KR101990044B1 (ko) 조립식 선반 어셈블리
KR20190000913U (ko) 조립식 책상프레임
KR200473219Y1 (ko) 선반 고정핀 및 그 선반 고정핀을 이용한 조립식 선반 조립체
CN201067201Y (zh) 用于家具组装的一种框架结构
KR20150003516U (ko) 야외용 조립식 테이블
KR20060128674A (ko) 넉다운 가구의 조립구
JP3079325U (ja) ラック
CN220192603U (zh) 一种多部分可拆卸拼装的金属床托
KR20180083577A (ko) 가구용 골격 조립구조
KR101613820B1 (ko) 다양한 가구 조립용 커넥터
KR200463947Y1 (ko) 조립식 가구의 지지프레임
US20220018372A1 (en) Table Assembly and Method for Assembling Thereof
KR102266787B1 (ko) 가구용 금속제 다리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