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08721A - 가구 프레임 - Google Patents

가구 프레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08721A
KR20210108721A KR1020200023667A KR20200023667A KR20210108721A KR 20210108721 A KR20210108721 A KR 20210108721A KR 1020200023667 A KR1020200023667 A KR 1020200023667A KR 20200023667 A KR20200023667 A KR 20200023667A KR 20210108721 A KR20210108721 A KR 202101087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corner
horizontal
vertical
fixing p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236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49998B1 (ko
Inventor
정순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장원금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장원금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장원금속
Priority to KR10202000236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49998B1/ko
Publication of KR202101087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087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99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99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3/00Details of tables or desks
    • A47B13/02Underframes
    • A47B13/021Fastening devices of the feet or le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2/00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 F16B12/02Joints between panels and corner pos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3/00Details of tables or desks
    • A47B13/02Underframes
    • A47B13/021Fastening devices of the feet or legs
    • A47B2013/022Fastening devices of the feet or legs with detachable connection of a tubular le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2/00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 F16B12/10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using pegs, bolts, tenons, clamps, clips, or the like
    • F16B12/12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using pegs, bolts, tenons, clamps, clips, or the like for non-metal furniture parts, e.g. made of wood, of plastics
    • F16B12/14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using pegs, bolts, tenons, clamps, clips, or the like for non-metal furniture parts, e.g. made of wood, of plastics using threaded bolts or screws
    • F16B2012/145Corner connections

Abstract

본 발명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은 분리 및 조립이 용이한 가구 프레임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으며, 본 발명은 간단한 볼트 결합을 통해 코너프레임에 가로프레임 및 세로프레임을 고정하는 구조를 갖기 때문에 가구 프레임의 조립 및 분해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가구 프레임{FURNITURE FRAME}
본 발명은 가구 프레임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분리 및 조립이 용이하여 이동 및 설치가 간편한 가구 프레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침대, 책상 등과 같은 가구는 금속제 또는 목재로 형성된 가구 프레임의 상부에 매트리스 및 상판 등이 안착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가구 프레임은 원형 또는 사각형으로 이루어진 4개의 다리부와 다리부에 결합되도록 설치되는 가로프레임 및 세로프레임으로 구성되어 있다.
통상적인 가구 프레임은 다리부에 가로프레임 및 세로프레임이 용접 고정되어 단일 프레임으로 형성되므로, 용접공정에 의해 생산성 및 작업능률이 저하될 뿐 아니라, 많은 작업시간이 소요되어 경제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가구 프레임이 단일 프레임으로 이루어질 경우, 큰 크기로 인해 운반 및 설치에 많은 인력이 필요하고, 이에 따라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20-0333717
본 발명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분리 및 조립이 용이한 가구 프레임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가구 프레임은, 지면으로 이어져 다리의 역할을 동시에 하며 코너에 위치하는 다수의 코너프레임, 양 단이 상기 코너프레임에 고정되는 두 개 이상의 가로프레임, 양 단이 상기 코너프레임에 고정되며 상기 가로프레임과 특정한 각도로 장착되는 두 개 이상의 세로프레임, 상기 가로프레임 및 상기 세로프레임을 상기 코너프레임과 고정시키는 다수의 결합부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코너프레임은, 코너프레임 몸체, 지면에 평행하고, 상기 코너프레임 몸체와 이어지며 상기 가로프레임 혹은 세로프레임의 일측면과 맞닿는 두 개 이상의 제1고정부, 상기 제1고정부의 일단에서 상방으로 직각이 되도록 고정되고, 상기 가로프레임 혹은 세로프레임의 타측면과 맞닿는 두 개 이상의 제2고정부, 상기 제2고정부에서 상기 가로프레임 혹은 세로프레임을 향한 방향으로 돌출된 한 개 이상의 돌출부, 상기 두 개의 돌출부의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코너프레임을 상기 가로프레임 혹은 세로프레임과 고정하기 위한 관통구인 한 개 이상의 결합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가로프레임 또는 상기 세로프레임은, 전체적으로 긴 기둥의 형상을 가지며, 상기 코너프레임과 맞닿는 면에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와 맞닿는 위치에 상기 돌출부가 통과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관통구인 한 개 이상의 제1결합홈, 상기 코너프레임과 맞닿는 면에 형성되고 상기 결합구와 마주하는 위치에 형성되는 관통구인 한 개 이항의 제2결합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결합부재는 상기 결합구와 상기 제2결합홈을 통과하여, 상기 코너프레임과 상기 가로프레임 혹은 상기 세로프레임을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코너에 위치하는 코너프레임, 양 단이 상기 코너프레임에 고정되는 두 개 이상의 가로프레임, 양 단이 상기 코너프레임에 고정되며 상기 가로프레임과 특정한 각도로 장착되는 두 개 이상의 세로프레임, 상기 가로프레임 및 상기 세로프레임을 상기 코너프레임과 고정시키는 다수의 결합부재, 상기 코너프레임의 하단에 장착되는 다리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코너프레임은, 코너프레임 몸체, 지면에 평행하고, 상기 코너프레임 몸체와 이어지며 상기 가로프레임 혹은 세로프레임의 일측면과 맞닿는 두 개 이상의 제1고정부, 상기 제1고정부의 일단에서 상방으로 직각이 되도록 고정되고, 상기 가로프레임 혹은 세로프레임의 타측면과 맞닿는 두 개 이상의 제2고정부, 상기 제2고정부에서 상기 가로프레임 혹은 세로프레임을 향한 방향으로 돌출된 한 개 이상의 돌출부, 상기 두 개의 돌출부의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코너프레임을 상기 가로프레임 혹은 세로프레임과 고정하기 위한 관통구인 한 개 이상의 결합구, 상기 제1고정부의 하단에 연결되는 제3고정부, 상기 제3고정부에 형성되어 상기 다리부와 결합되는 제2결합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가로프레임 혹은 상기 세로프레임에는, 상기 코너프레임과 맞닿는 면에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와 맞닿는 위치에 상기 돌출부가 통과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관통구인 한 개 이상의 제1결합홈, 상기 코너프레임과 맞닿는 면에 형성되고 상기 결합구와 마주하는 위치에 형성되는 관통구인 한 개 이항의 제2결합홈이 형성되며, 상기 결합부재는 상기 결합구와 상기 제2결합홈을 통과하여, 상기 코너프레임과 상기 가로프레임 혹은 상기 세로프레임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돌출부는 상기 제2고정부의 양단에 각각 두 개의 절개부를 형성한 후 절개부를 직각이 되도록 꺾어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고정부와 상기 제2고정부는, 판형 금속을 직각이 되도록 꺾어서 일체형으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돌출부는, 상기 제2고정부의 양단에 각각 두 개의 절개부를 형성한 후, 상기 절개부를 직각이 되도록 꺾어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간단한 볼트 결합을 통해 코너프레임에 가로프레임 및 세로프레임을 고정하는 구조를 갖기 때문에 가구 프레임의 조립 및 분해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가구 프레임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가구 프레임의 코너프레임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가구 프레임의 가로프레임 및 세로프레임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가구 프레임의 조립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가구 프레임의 사시도.
도 6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가구 프레임의 코너프레임의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가구 프레임의 다리부의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가구 프레임의 조립도.
이하, 본 발명은 첨부된 예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이하, 본 발명은 첨부된 예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도면부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제1실시예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실시예에 따른 가구 프레임(1)은, 지면으로 이어져 다리의 역할을 동시에 하는 4개의 코너프레임(10), 양 단이 두 개의 코너프레임(10)에 고정되며 한 쌍이 평행하게 장착되는 두 개의 가로프레임(20), 양 단이 두 개의 코너프레임(10)에 고정되며 가로프레임(20)과 90도의 각도로 장착되며 한쌍이 평행하게 장착되는 두 개의 세로프레임(30), 가로프레임(20) 및 세로프레임(30)을 코너프레임(10)과 고정시키는 결합부재(4)로 이루어진다.
도 2을 참조하면, 코너프레임(10)은, 사각 기둥의 형태로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고 상단 및 하단이 관통된 코너프레임 몸체(11), 사각의 판 형태로 일측면이 코너프레임 몸체(11)의 일면과 이어지고 지면과 평행하게 장착되는 두 개의 제1고정부(12), 사각의 판 형태로 일측면이 제1고정부(12)의 일단에서 상방을 향해 직각이 되도록 이어지고 타측면이 코너프레임 몸체(11)의 일면과 이어지는 두 개의 제2고정부(13), 제2고정부(13)의 내측을 향한 방향으로 돌출된 두 개의 돌출부(14), 두 개의 돌출부(14)의 사이에 위치하고 코너프레임(10)과 가로프레임(20) 혹은 세로프레임(30)을 고정하기 위한 원형의 관통구인 결합구(15)로 이루어진다.
돌출부(14)는 제2고정부(13)의 양단에 각각 두 개의 절개부를 형성한 후 절개부를 직각이 되도록 꺾어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는 제조과정을 단순하게 할 뿐 아니라 용접에 비해 접합력 또한 우수하다.
제1고정부(12) 및 제2고정부(13) 또한 직사각형의 판형 금속을 직각이 되도록 꺾어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 또한 제조 과정이 단순화 되고 용접을 통한 연결에 비해 접합력이 우수한 장점이 있다.
제1고정부(12) 및 제2고정부(13)는, 사각 기둥형상의 코너프레임 몸체(11) 중 이어지는 두 개의 면에 대칭하게 장착된다. 즉, 두 개의 제2고정부(13)의 외측면이 근접한 방향으로 장착된다.
제1고정부(12)는 가로프레임(20) 혹은 세로프레임(30)이 안착되는 부분으로 충분한 크기 및 두께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은 가로프레임(20) 및 세로프레임(30)을 나타낸 도면으로, 가로프레임(20)과 세로프레임(30)은 길이의 차이만 있고 동일한 형상을 갖는다.
따라서, 가로프레임(20)을 기준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가로프레임(20)은, 긴 사각기둥의 형상으로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며 양단이 관통된 가로프레임 몸체(21), 가로프레임 몸체(21)의 네 개의 면 중 한 개의 면에 형성되며 양 쪽 끝단부 부근에 형성되고 원형으로 관통된 제2결합홈(23), 제2결합홈(23)의 양측에 각각 형성되며 사각의 형상으로 관통된 제1결합홈(22)으로 이루어진다.
제1결합홈(22) 및 제2결합홈(23)이 형성되는 면은 제2고정부(13)의 내측면과 마주하고, 제결합홈(22)에는 돌출부(14)가 통과되어 위치를 고정하고, 제2결합홈(23)과 결합구(15)는 내부로 결합부재(3)가 통과될 수 있도록 관통된 형태로 이어진다.
도 4를 참조하면, 코너프레임(10)에는 가로프레임(20)과 세로프레임(30)이 각각 고정된다.
도면상 우측의 제1고정부(12)에는 가로프레임 몸체(21)가 안착되고, 도면상 좌측의 제1고정부(12)에는 세로프레임 몸체(31)가 안착된다.
가로프레임(20)의 제1결합홈(22)에는 도면상 우측의 돌출부(14)가 끼워져 가로프레임(20)의 위치가 고정되고, 세로프레임(30)의 제1결합홈(32)에는 도면상 좌측의 돌출부(14)가 끼워져 세로프레임(30)의 위치가 고정된다.
돌출부(14)를 이용해 가로프레임(20) 및 세로프레임(30)의 위치를 고정하는 것은 후속 과정인 결합부재(3)를 이용한 가로프레임(20) 및 세로프레임(30)과 코너프레임(10)의 고정이 용이하도록 돕는 역할을 한다.
결합부재(3)를 가로프레임(20)의 제2결합홈(23)과 결합부(15)를 통과시켜 코너프레임(10)과 가로프레임(20)을 고정하고, 결합부재(3)를 세로프레임(30)의 결합부(15)와 제2결합홈(23)을 통과시켜 코너프레임(10)과 세로프레임(30)을 고정한다.
제2실시예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실시예에 따른 가구 프레임(1)은, 코너에 위치하는 4개의 코너프레임(10), 양 단이 두 개의 코너프레임(10)에 고정되며 한 쌍이 평행하게 장착되는 두 개의 가로프레임(20), 양 단이 두 개의 코너프레임(10)에 고정되며 가로프레임(20)과 90도의 각도로 장착되며 한쌍이 평행하게 장착되는 두 개의 세로프레임(30), 가로프레임(20) 및 세로프레임(30)을 코너프레임(10)과 고정하도록하는 결합부재(4), 코너프레임(10)의 하단에 장착되는 다리부(50)와 다리부(50)와 코너프레임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재(4)로 이루어진다.
도 6을 참조하면, 코너프레임(40)은, 사각기둥의 형상으로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고 상단 및 하단이 관통된 코너프레임 몸체(41), 사각의 판 형태로 일측면이 코너프레임 몸체(41)의 일면과 이어지고 지면과 평행하게 장착되는 제1고정부(42), 사각의 판 형태로 일측면이 제1고정부(42)의 일단에서 상방을 향해 직각이 되도록 이어지고 타측면이 코너프레임 몸체(41)의 일면과 이어지는 제2고정부(43), 제2고정부(43)의 내측을 향한 방향으로 돌출된 두 개의 돌출부(44), 두 개의 돌출부(44)의 사이에 위치하고 코너프레임(40)과 가로프레임(20) 혹은 세로프레임(30)을 고정하기 위한 원형의 관통구인 결합구(45), 두 개의 제1고정부(42)의 하단을 연결하는 제3고정부(46)과, 제3고정부(46)에 형성되는 원형의 관통구인 제2결합구(47)로 이루어진다.
돌출부(44)는 제2고정부(43)의 양단에 각각 두 개의 절개부를 형성한 후 절개부를 직각이 되도록 꺾어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는 제조과정을 단순하게 할 뿐 아니라 용접에 비해 접합력 또한 우수하다.
제1고정부(42) 및 제2고정부(43) 또한 직사각형의 판형 금속을 직각이 되도록 꺾어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 또한 제조 과정이 단순화 되고 용접을 통한 연결에 비해 접합력이 우수한 장점이 있다.
제1고정부(42) 및 제2고정부(43)는, 사각 기둥형상의 코너프레임 몸체(41) 중 이어지는 두 개의 면에 대칭하게 장착된다. 즉, 두 개의 제2고정부(43)의 외측면이 근접한 방향으로 장착된다.
제1고정부(42)는 가로프레임(20) 혹은 세로프레임(30)이 안착되는 부분으로 충분한 크기 및 두께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7을 참조하면, 다리부(50)는 원통형의 다리부 몸통(51)과 다리부 몸통(51)의 상면에 상방으로 돌출된 다리부 결합부(52)로 이루어진다.
다리부(50)는 필요에 따라 그 형상이나 재질이 변경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코너프레임(40)에는 가로프레임(20)과 세로프레임(30)이 각각 고정된다.
도면상 우측의 제1고정부(42)에는 가로프레임 몸체(21)가 안착되고, 도면상 좌측의 제1고정부(42)에는 세로프레임 몸체(31)가 안착된다.
가로프레임(20)의 제1결합홈(22)에는 도면상 우측의 돌출부(44)가 끼워져 가로프레임(20)의 위치가 고정되고, 세로프레임(30)의 제1결합홈(32)에는 도면상 좌측의 돌출부(44)가 끼워져 세로프레임(30)의 위치가 고정된다.
돌출부(44)를 이용해 가로프레임(20) 및 세로프레임(30)의 위치를 고정하는 것은 후속과정인 결합부재(3)를 이용한 가로프레임(20) 및 세로프레임(30)과 코너프레임(40)의 고정이 용이하도록 돕는 역할을 한다.
결합부재(3)를 가로프레임(20)의 제2결합홈(23)와 결합부(45)를 통과시켜 코너프레임(40)과 가로프레임(20)을 고정하고, 결합부재(3)를 세로프레임(30)의 결합부(45)와 제2결합홈(23)을 통과시켜 코너프레임(40)과 세로프레임(30)을 고정한다.
다리부(50)의 다리부 결합부(52)를 제3고정부(46)의 제2결합구(47)에 통과시킨 후 고정부재(4)를 결합시켜 다리부(50)를 코너프레임(40)에 고정시킨다.
본원 발명의 가구프레임(1,2)은 코너프레임(10,40)과 가로프레임(20) 및 세로프레임(30), 다리부(50)를 쉽게 분리할 수 있어서, 이동 시에 부피를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간단한 구조로 빠른 설치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체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2 : 가구프레임, 3 : 결합부재, 4 : 고정부재,
10 : 코너프레임, 11 : 코터프레임 몸체, 12 : 제1고정부,
13 : 제2고정부, 14 : 돌출부, 15 : 결합구.
20 : 가로프레임, 21 : 가로프레임 몸체, 22 : 제1결합홈,
23 : 제2결합홈, 30 : 세로프레임, 31 : 세로프레임 몸체,
32 : 제1결합홈, 33 : 제2결합홈, 40 : 코너프레임,
41 : 코너프레임 몸체, 42 : 제1고정부, 43 : 제2고정부,
44 : 돌출부, 45 : 제1결합구, 46 : 제3고정부,
47 : 제2결합구, 50 : 다리부, 51 : 다리부 몸체,
52 : 다리부 결합부.

Claims (5)

  1. 가구 프레임에 있어서,
    지면으로 이어져 다리의 역할을 동시에 하며 코너에 위치하는 다수의 코너프레임;
    양 단이 상기 코너프레임에 고정되는 두 개 이상의 가로프레임;
    양 단이 상기 코너프레임에 고정되며 상기 가로프레임과 특정한 각도로 장착되는 두 개 이상의 세로프레임;
    상기 가로프레임 및 상기 세로프레임을 상기 코너프레임과 고정시키는 다수의 결합부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코너프레임은,
    코너프레임 몸체;
    지면에 평행하고, 상기 코너프레임 몸체와 이어지며 상기 가로프레임 혹은 세로프레임의 일측면과 맞닿는 두 개 이상의 제1고정부;
    상기 제1고정부의 일단에서 상방으로 직각이 되도록 고정되고, 상기 가로프레임 혹은 세로프레임의 타측면과 맞닿는 두 개 이상의 제2고정부;
    상기 제2고정부에서 상기 가로프레임 혹은 세로프레임을 향한 방향으로 돌출된 한 개 이상의 돌출부;
    상기 두 개의 돌출부의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코너프레임을 상기 가로프레임 혹은 세로프레임과 고정하기 위한 관통구인 한 개 이상의 결합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가로프레임 또는 상기 세로프레임은,
    전체적으로 긴 기둥의 형상을 가지며,
    상기 코너프레임과 맞닿는 면에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와 맞닿는 위치에 상기 돌출부가 통과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관통구인 한 개 이상의 제1결합홈;
    상기 코너프레임과 맞닿는 면에 형성되고 상기 결합구와 마주하는 위치에 형성되는 관통구인 한 개 이항의 제2결합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결합부재는 상기 결합구와 상기 제2결합홈을 통과하여, 상기 코너프레임과 상기 가로프레임 혹은 상기 세로프레임을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프레임.
  2. 가구 프레임에 있어서,
    코너에 위치하는 코너프레임;
    양 단이 상기 코너프레임에 고정되는 두 개 이상의 가로프레임;
    양 단이 상기 코너프레임에 고정되며 상기 가로프레임과 특정한 각도로 장착되는 두 개 이상의 세로프레임;
    상기 가로프레임 및 상기 세로프레임을 상기 코너프레임과 고정시키는 다수의 결합부재;
    상기 코너프레임의 하단에 장착되는 다리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코너프레임은,
    코너프레임 몸체;
    지면에 평행하고, 상기 코너프레임 몸체와 이어지며 상기 가로프레임 혹은 세로프레임의 일측면과 맞닿는 두 개 이상의 제1고정부;
    상기 제1고정부의 일단에서 상방으로 직각이 되도록 고정되고, 상기 가로프레임 혹은 세로프레임의 타측면과 맞닿는 두 개 이상의 제2고정부;
    상기 제2고정부에서 상기 가로프레임 혹은 세로프레임을 향한 방향으로 돌출된 한 개 이상의 돌출부;
    상기 두 개의 돌출부의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코너프레임을 상기 가로프레임 혹은 세로프레임과 고정하기 위한 관통구인 한 개 이상의 결합구;
    상기 제1고정부의 하단에 연결되는 제3고정부;
    상기 제3고정부에 형성되어 상기 다리부와 결합되는 제2결합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가로프레임 혹은 상기 세로프레임에는,
    상기 코너프레임과 맞닿는 면에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와 맞닿는 위치에 상기 돌출부가 통과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관통구인 한 개 이상의 제1결합홈;
    상기 코너프레임과 맞닿는 면에 형성되고 상기 결합구와 마주하는 위치에 형성되는 관통구인 한 개 이항의 제2결합홈;이 형성되며,

    상기 결합부재는 상기 결합구와 상기 제2결합홈을 통과하여, 상기 코너프레임과 상기 가로프레임 혹은 상기 세로프레임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프레임.
  3. 제 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제2고정부의 양단에 각각 두 개의 절개부를 형성한 후 절개부를 직각이 되도록 꺾어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 프레임.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고정부와 상기 제2고정부는,
    판형 금속을 직각이 되도록 꺾어서 일체형으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 프레임.
  5.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제2고정부의 양단에 각각 두 개의 절개부를 형성한 후, 상기 절개부를 직각이 되도록 꺾어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 프레임.
KR1020200023667A 2020-02-26 2020-02-26 가구 프레임 KR1023499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3667A KR102349998B1 (ko) 2020-02-26 2020-02-26 가구 프레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3667A KR102349998B1 (ko) 2020-02-26 2020-02-26 가구 프레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8721A true KR20210108721A (ko) 2021-09-03
KR102349998B1 KR102349998B1 (ko) 2022-01-12

Family

ID=777850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3667A KR102349998B1 (ko) 2020-02-26 2020-02-26 가구 프레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49998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2213Y1 (ko) * 1999-10-04 2000-03-15 이경환 침대 다리
KR200333717Y1 (ko) 2003-09-04 2003-11-17 이정우 침대 프레임의 고정구조
KR102075313B1 (ko) * 2019-09-17 2020-02-07 강준기 우수한 조립성과 내구성을 가지는 가구용 프레임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2213Y1 (ko) * 1999-10-04 2000-03-15 이경환 침대 다리
KR200333717Y1 (ko) 2003-09-04 2003-11-17 이정우 침대 프레임의 고정구조
KR102075313B1 (ko) * 2019-09-17 2020-02-07 강준기 우수한 조립성과 내구성을 가지는 가구용 프레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49998B1 (ko) 2022-0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33559B1 (ko) 모듈러 유닛 접합부 구조
FI68286B (fi) Balkfoerbindning med genomgaoende stoed
KR200492567Y1 (ko) 테이블 프레임 결합 구조체
KR101240343B1 (ko) 사각 다리 프레임을 구비한 책상
KR20140134546A (ko) 조립식 앵글 진열대
KR101531812B1 (ko) 조립형 테이블
KR101734681B1 (ko) 테이블용 조립식 지지프레임
KR101233537B1 (ko) 모듈러 유닛 접합부 구조
KR101403211B1 (ko) 초고층형 모듈러 유닛
KR102349998B1 (ko) 가구 프레임
KR102075313B1 (ko) 우수한 조립성과 내구성을 가지는 가구용 프레임
KR200425226Y1 (ko) 테이블의 조립구조
KR101656736B1 (ko) 조립식 가구용 연결구 및 그 연결구를 이용한 조립식 가구
KR200494494Y1 (ko) 테이블 다리 조립구조
US10422153B2 (en) Joint mechanism for an iron-made tent
JP4865501B2 (ja) 天板の連結構造
CN109139634B (zh) 一种屏风转接的连接结构
KR101440044B1 (ko) 가구 하부프레임
KR101829883B1 (ko) 테이블 프레임 결합구조
JP2941264B1 (ja) 木造建築物における軸組構造
KR102389876B1 (ko) 가구용 다리 조립구조
KR200492741Y1 (ko) 조립식 테이블
KR102659430B1 (ko) 철재 선반
CN210008764U (zh) 拆装式床床柱
JPH0512412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