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06865B1 - 통신장비 캐비닛용 브라켓 - Google Patents

통신장비 캐비닛용 브라켓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06865B1
KR101006865B1 KR1020080114041A KR20080114041A KR101006865B1 KR 101006865 B1 KR101006865 B1 KR 101006865B1 KR 1020080114041 A KR1020080114041 A KR 1020080114041A KR 20080114041 A KR20080114041 A KR 20080114041A KR 101006865 B1 KR101006865 B1 KR 1010068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inet
bracket
communication equipment
fastening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140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55115A (ko
Inventor
황정식
Original Assignee
황정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정식 filed Critical 황정식
Priority to KR10200801140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06865B1/ko
Publication of KR201000551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551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068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068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1/00Details of selecting apparatus or arrangements
    • H04Q1/02Constructional details
    • H04Q1/025Cabine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01/00Constructional details of selecting arrangements
    • H04Q2201/02Details of fram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캐비닛을 구성하는 프레임들을 정확하고 신속하게 수평 및 수직을 맞추면서 조립할 수 있고, 캐비닛 내의 공간을 최대한 확보하면서 프레임들의 조립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통신장비 캐비닛용 브라켓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통신장비 캐비닛용 브라켓은, 내부에 통신장비가 수용되는 캐비닛을 조립하기 위해 구비되는 복수의 프레임의 단부에 체결되어, 상기 프레임을 서로 결합시키는 통신장비 캐비닛용 브라켓에 있어서, 서로 수직하게 배치되는 복수의 프레임의 측면에 면접촉을 통해 밀접되어 프레임의 측면을 지지할 수 있도록 외측면이 평면으로 형성되어 서로 실질적으로 수직하게 연결되는 제1 지지부(21) 및 제2지지부(23)와, 상기 제1 지지부(21) 및 제2지지부(23)의 선단에서 각각 연장되고, 체결수단이 관통되어 상기 프레임에 체결되도록 각각 제1 체결공(22a) 및 제2 체결공(24a)을 구비하는 제1 체결부(22) 및 제2 체결부(24)가 형성됨으로써, 상기 브라켓과 복수의 프레임을 체결하기만 하면 별도의 조작없이도 프레임들 간의 수직 및 수평상태를 정확하고 신속하게 맞추면서 캐비닛 공간을 최대한 확보하고, 조립후에는 통신장비의 하중을 효율적으로 분산시키면서 통신장비를 수납할 수 있는 통신장비 캐비닛을 조립할 수 있다.
통신장비, 캐비닛, 프레임, 브라켓, 공간 확보, 하중 분산, 압출

Description

통신장비 캐비닛용 브라켓{BRACKET FOR CABINET}
본 발명은 캐비닛을 구성하는 프레임들을 정확하고 신속하게 수평 및 수직을 맞추면서 조립할 수 있고, 캐비닛 내의 공간을 최대한 확보하면서 프레임들의 조립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통신장비 캐비닛용 브라켓에 관한 것이다.
이동통신의 중계기를 비롯한 각종 통신 기기를 수납하기 위한 공간을 통신 장비용 캐비닛(10)이 제공한다.
이러한 캐비닛(10)은 앵글, 파이프, 바(bar) 등으로 제공되는 프레임을 체결하여 뼈대를 형성하고, 패널 및 도어를 이용하여 벽체를 형성함으로써 캐비닛을 완성하여 그 내부에 각종 통신기기를 수납한다. 즉, 내부에 통신장비를 비롯하여, 각종 전자기기를 수납할 수 있는 캐비닛은 복수의 프레임을 이용하여 캐비닛의 모서리가 되도록 하고, 각 면에 패널 또는 도어를 결합하여 완성한다. 이때, 각 프레임은 서로가 수평 상태 및 수직 상태를 정확하게 유지하면서 맞추고, 이를 볼트, 너트, 리벳과 같은 체결수단을 이용하거나 용접 등의 방법을 통하여 체결한다.
그러나, 통신장비용 캐비닛(10)은 통신중계를 위해서 산속, 야외, 노지 등과 같이 열악한 환경에 설치되는 경우가 많다. 통신장비용 캐비닛(10)에는 예컨대 이 동전화의 중계기가 설치될 수 있는데, 이 경우 캐비닛(10)은 안정적으로 통신 중계기를 외부 환경으로부터 보호할 필요가 있다. 실내에 설치되는 통신장비용 캐비닛(10) 역시 구조적으로 튼튼하여야 할 뿐만 아니라, 내부에 설치된 장비들의 수평 및 수직 밸런스가 견고히 유지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통신장비용 캐비닛(10)은 통신기기가 운용되는 기간 동안 조립된 상태, 즉 각각의 프레임의 수평 및 수직 상태를 조립시와 동일한 상태로 유지해야 한다.
또한, 상기 캐비닛(10)을 조립함에 있어서도 각 부재, 특히 프레임간의 수평 및 수직상태를 유지해야 하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각 프레임의 수평 및 수직상태를 맞춘 상태에서 볼트를 체결하거나, 리벳팅 또는 용접 등의 방법을 사용하여 각 프레임을 연결하게 되는데, 일일이 수작업으로 각 프레임의 수평, 수직상태를 맞추는 데에는 많은 시간이 필요하게 되고, 체결작업을 하는 도중에 각 프레임의 수평, 수직상태가 유지되지 못하게 되는 경우도 발생한다.
이러한 문제점들로 인하여 캐비닛(10)의 조립에 많은 시간이 필요하게 되고, 조립된 캐비닛(10)의 수평 및 수직 밸런스가 유지되지 않는 경우가 빈발하여 내부에 수납된 통신기기가 오작동 및 고장을 일으키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본 발명자는 프레임의 수평 및 수직을 정확하면서도 용이하게 유지하면서 간단하게 골격 프레임을 조립할 수 있게 하는 통신장비 캐비닛용 브라켓을 개발한 바가 있다. 본 발명자가 개발한 통신장비 캐비닛용 브라켓의 예가 대한민국특허출원 제10-2008-0059984호(출원일: 2008. 6. 25)호에 기술되어 있다. 그럼에도 다른 우수한 기술과 마찬가지로 끊임없는 개선이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통신장비 캐비닛은 각 프레임들이 교차하는 부위에서 각 프레임의 단부를 직접 결합하여, 통신장비용 캐비닛을 완성하지만, 상기 대한민국특허출원 제10-2008-0059984호에 개시된 기술에서는 각 프레임의 단부에 구비되는 체결용브라켓을 이용하여 프레임들을 서로 체결시킨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기술에 따른 통신장비 캐비닛용 브라켓은 프레임의 단부와 결합하여 수평 및 수직상태를 맞추는 방식이어서 체결용 브라켓과 프레임 단부 간의 결합이 불안한 측면과 이로 인해 프레임이 통신장비의 하중을 분산시키는데 한계가 있었고, 형상이 복잡하여 성형이 용이하지 못하며, 브라켓의 부피가 커서 캐비닛 내부에서 공간을 많이 차지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즉, 상기 통신장비 캐비닛용 브라켓은 서로 수직하게 배치되는 2개 또는 3개의 프레임이 서로 맞닿는 곳에서 각 프레임의 단부를 체결하기 위한 것인 바, 각 프레임의 단부를 수용할 수 있는 형상으로 형성되므로, 형상이 복잡해지고 부피도 커지게 된다.
또한, 상기 브라켓의 형상이 복잡해짐으로써, 브라켓을 성형하는 과정이 복잡하게 되므로, 브라켓의 제조하기 위해서 설비가 복잡해지고 많은 공정을 거쳐야 된다.
또한, 형상이 복잡한 만큼 부피도 커져서, 캐비닛의 내부에서 브라켓이 차지하는 공간이 커지게 되므로 내부에 수용되는 통신장비를 배치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발명된 것으로서, 캐비닛을 구성하는 프레임들을 정확하고 신속하게 수평 및 수직을 맞추면서 조립할 수 있고, 캐비닛 내의 공간을 최대한 확보하면서 프레임들의 조립을 용이하게 하며 조립 후에는 수직 및 수평상태를 견고히 유지할 수 있는 통신장비 캐비닛용 브라켓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캐비닛을 구성하는 프레임들 간의 수직 및 수평상태를 정확하고 신속하게 맞추면서 캐비닛 공간을 최대한 확보하고, 조립후에는 통신장비의 하중을 효율적으로 분산시킬 수 있는 통신장비 캐비닛용 브라켓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제조가 용이한 구조를 갖는 통신장비 캐비닛용 브라켓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통신장비 캐비닛용 브라켓은, 내부에 통신장비가 수용되는 캐비닛을 조립하기 위해 구비되는 복수의 프레임의 단부에 체결되어, 상기 프레임을 서로 결합시키는 통신장비 캐비닛용 브라켓에 있어서, 서로 수직하게 배치되는 복수의 프레임의 측면에 면접촉을 통해 밀접되어 프레임의 측면을 지지할 수 있도록 외측면이 평면으로 형성되어 서로 실질적으로 수직하게 연결되는 제1 지지부(21) 및 제2지지부(23)와, 상기 제1 지지부(21) 및 제2지 지부(23)의 선단에서 각각 연장되고, 체결수단이 관통되어 상기 프레임에 체결되도록 각각 제1 체결공(22a) 및 제2 체결공(24a)을 구비하는 제1 체결부(22) 및 제2 체결부(24)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장비 캐비닛용 브라켓은, 상기 제1 지지부(21) 또는 제2 지지부(23)와 경사지게 배치되고, 양단이 상기 제1 지지부(21)와 제2지지부(23)를 연결하는 경사부(25)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장비 캐비닛용 브라켓은, 상기 제1 지지부(21) 또는 제2 지지부(23)에서 상기 경사부(25)를 향하도록 내측으로 연장되고, 통신장비 캐비닛의 측면을 구성하는 패널을 체결하기 위한 체결볼트(15)가 삽입체결되는 측면체결부(27)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장비 캐비닛용 브라켓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20)은 압출성형되어 제조되고, 상기 제1 지지부(21), 상기 제2 지지부(23) 및 상기 경사부(25) 사이에는 폭방향을 따라 적어도 하나의 압출공(26)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통신장비 캐비닛용 브라켓은, 판상(板狀)으로 형성되고 내부에 상기 제1 체결공(22a) 또는 제2 체결공(24a)을 관통한 체결수단이 통과하여 결합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관통공(30a)이 형성되며, 상기 제1 지지부(21) 또는 제2 지지부(23)와 프레임(11)(12) 사이에 배치되는 보조브라켓(30)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관통공(30a)의 내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체결수단과의 결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통신장비 캐비닛용 브라켓에 따르면, 상기 브라켓에 각각 프레임을 체결하는 것만으로도, 프레임이 브라켓의 제1 지지부와 제2 지지부에 각각 지지됨으로써, 프레임 간의 수직 및 수평상태를 정확하고 신속하게 맞출 수 있으며 간편하게 조립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통신장비 캐비닛용 브라켓에 따르면, 캐비닛 내의 공간을 최대한 확보하면서 프레임들의 조립을 용이하게 하며, 캐비닛을 조립한 후에는 상기 브라켓에 의해서 프레임간의 조립직후와 같이 수직 및 수평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통신장비 캐비닛용 브라켓에 따르면, 캐비닛을 구성하는 프레임들 간의 수직 및 수평상태를 정확하고 신속하게 맞추면서 캐비닛 공간을 최대한 확보하고, 프레임의 조립후에는 통신장비의 하중을 효율적으로 분산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통신장비 캐비닛용 브라켓은 단면이 폭방향으로 일정한 형태를 가지므로 제조가 용이한 구조를 갖는다. 아울러, 압출성형으로 통하여 브라켓을 제조함으로써, 용이하게 브라켓을 제조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을 한정하지 아니하고 오로지 예시를 위한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른 통신장비 캐비닛용 브라켓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구체화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권리범 위를 제한하거나 한정하는 것이 아님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실시예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전문가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것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장치 캐비닛용 브라켓의 사시도 및 저면사시도이고, 도 6은 상기 브라켓의 정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6에 상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통신장비 캐비닛용 브라켓(20)은, 서로 수직하게 형성되는 제1 지지부(21) 및 제2 지지부(23)와, 상기 제1 지지부(21)와 제2 지지부(23)에서 각각 연장되어 체결볼트가 관통되는 체결공(22a)(24a)이 형성되는 제1 체결부(22) 및 제2 체결부(24)와, 상기 제1 지지부(21)와 제2 지지부(23)를 경사지게 연결하는 경사부(25)를 포함한다.
제1 지지부(21)는 통신장비 캐비닛용 브라켓(20)의 일측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1 지지부(21)의 외측면은 캐비닛(10)의 모서리를 형성하는 프레임(11)(12)의 측면에 면접촉을 통해 밀접되어 프레임(11)(12)의 측면을 밀착하여 지지할 수 있도록 균일한 평면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지지부(23)는 상기 제1 지지부(21)와 실질적으로 수직하게 구비된다. 상기 제2 지지부(23)는 상기 제1 지지부(21)의 일단으로부터 상기 제2 지지부(23)가 연장되게 형성되는 구조를 갖는다. 상기 제2 지지부(23)의 외측면도 상기 제1 지지부(21)와 마찬가지로 상기 프레임(11)(12)의 측면에 면접촉을 통해 밀접되어 프레임(11)(12)의 측면을 밀착하여 지지할 수 있도록 균일한 평면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지지부(21)와 제2 지지부(23)가 서로 수직하게 형성됨으로써, 서로 수직하게 배치되는 복수의 프레임(11)(12)의 측면을 지지할 수 있다. 즉, 상기 제1 지지부(21) 또는 제2 지지부(23) 중에서 어느 하나가 수직프레임(11)과 체결되고, 나머지가 수평프레임(12)에 체결된다. 이때, 상기 제1 지지부(21)와 제2 지지부(23)는 상기 프레임(11)(12)의 측면에 면접촉을 통해 밀접되어 프레임(11)(12)의 측면을 밀착하여 지지하게 되므로, 프레임들 간의 수직 및 수평상태를 정확하고 신속하게 맞추면서 캐비닛 공간을 최대한 확보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제1 지지부(21)와 제2 지지부(23)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조로 형성되어 수직하게 배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제1 지지부(21)와 제2 지지부(23)가 각각 수직프레임(11) 또는 수평프레임(12)중에서 어느 하나와 특정되게 결합되는 것이 아님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이해할 것이다.
제1 체결부(22)는 상기 제1 지지부(21)의 선단(先端)으로부터 연장되게 형성된다. 상기 제1 체결부(22)에는 상기 제1 지지부(21)와 수직한 방향, 즉 상기 제2 지지부(23)와 평행한 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되는 제1 체결공(22a)이 형성된다. 상기 브라켓(20)을 프레임(11)(12)에 체결시키는 체결수단의 하나인 체결볼트(15)가 상기 제1 체결공(22a)을 관통하여 프레임(11)(12)에 체결되도록 함으로써, 브라켓(20)과 프레임(11)(12)이 체결되도록 한다.
제2 체결부(24)도 상기 제2 지지부(23)의 선단(先端)으로부터 연장되게 형성된다. 상기 제2 체결부(24)에는 상기 제2 지지부(23)와 수직한 방향, 즉 상기 제1 지지부(21)와 평행한 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되는 제2 체결공(24a)이 형성된다. 상 기 제2 체결부(24)도 체결볼트(15)가 제2 체결공(24a)을 관통하여 프레임에 체결하도록 함으로써, 브라켓(20)과 프레임(11)(12)이 체결되도록 한다.
경사부(25)는 상기 제1 지지부(21)와 제2 지지부(23)를 경사지게 연결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경사부(25)는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어서, 양단이 각각 제1 지지부(21)와 제2 지지부(23)에 연결되는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경사부(25)를 통하여 수직프레임(11)으로부터 전달된 하중을 분산시켜 수평프레임(12)으로 전달되도록 한다. 예컨대, 수직프레임(11)이 상기 제1 지지부(21)에 면접촉을 통해 최대한 밀착되어 체결되어 있는 경우, 상기 수직프레임(11)에 작용하는 하중은 제1 지지부(21)에서 경사부(25)를 통하여 수평프레임(12)상으로 고르게 분산시키게 되므로, 통상 500∼800kg 이상의 중량을 갖는 통신장비(E)를 캐비닛 내부에 수납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제1 지지부(21)와 제2 지지부(23) 및 경사부(25)에 의해서 본 발명에 따른 통신장비 캐비닛용 브라켓(20)은 대략 직각이등변삼각형의 형태를 갖는다.
아울러, 측면체결부(27)는 상기 제1 지지부(21) 또는 제2 지지부(23)에서 경사부(25)를 향하도록 내측으로 연장되게 형성되어, 통신장비 캐비닛(10)의 측면을 구성하는 패널(13)을 부착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측면체결부(27)는 선단에 패널(13)을 부착시키는 체결볼트(15)가 고정될 수 있도록 “O”자 또는 “C”자 형상과 같이, 체결볼트(15)의 나사산을 파지하도록 형성되어 중심에 체결볼트(15)가 삽입체결된다.
여기서, 서로 수직하게 제1 지지부(21)와 제2 지지부(23)가 형성된 브라켓(20)은 압출성형과정을 통하여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폭방향(도 4에서 좌측 상부에서 우측 하부방향; "A" 방향)으로 단면(斷面)이 일정하게 형성되는 브라켓(20)은 압출다이스를 통하여 연속적으로 압출된 후, 적절한 폭으로 절단되고, 표면연마, 도색 등의 후공정을 거쳐서 캐비닛(10)을 조립하는데 사용된다.
한편, 상기 브라켓(20)이 압출성형되어 제조되는 과정 중에서, 다이스로부터 압출될 때, 다이스의 단면형상에 의해서, 제1 지지부(21), 제2 지지부(23) 및 경사부(25) 사이에 하나 또는 다수의 압출공(26)이 형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통신장비 캐비닛용 브라켓(20)을 이용하여 통신장비용 캐비닛(10)을 조립한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프레임(11)과 수평프레임(12)의 단부에 상기 브라켓(20)을 배치시킨 후, 체결볼트(15)를 이용하여 상기 브라켓(20)을 수직프레임(11) 및 수평프레임(12)에 각각 체결되도록 하여, 상기 수직프레임(11)과 수평프레임(12)을 서로 수직하게 체결할 수 있다.
상기 브라켓(20)의 제1 지지부(21)와 제2 지지부(23)의 측면에 수직프레임(11)과 수평프레임(12)을 결합하는 것만으로도, 서로 수직하게 형성된 제1 지지부(21)와 제2 지지부(23)에 의해서 수직프레임(11)과 수평프레임(12)은 서로 수직한 상태가 된다. 이 과정에서 별도로 상기 수직프레임(11)과 수평프레임(12)의 수직을 맞추는 과정이 필요없이 브라켓(20)에 체결하는 것만으로 수직프레임(11)과 수평프레임(12)의 수직이 맞춰지므로, 캐비닛(10)을 구성하는 프레임들의 조립을 정확하고 신속하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캐비닛(10)의 각 모서리 예컨대, 캐비닛(10)이 직육면체의 형상이라면 8개의 모서리마다 브라켓(20)을 이용하여 수직프레임(11)과 수평프레임(12)을 체결시켜 캐비닛(10)의 골격을 완성하고, 패널(13)과 도어(14)를 결합하여 내부에 통신장비(E)를 수납하는 캐비닛(10)을 완성하게 된다.
특히, 프레임들의 조립시 상기 브라켓(20)이 차지하는 공간이 작기 때문에 통신장비(E)를 배치하는데 제약이 적고, 상기 브라켓(20)에 의해 수직방향의 하중이 분산되므로 프레임(11)(12)의 변형 및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첨부된 도 7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통신장비 캐비닛용 브라켓(20)을 설명한다.
브라켓(20)을 직접 수직프레임(11) 또는 수평프레임(12)에 체결시킬 수도 있지만, 보조브라켓(30)을 수직프레임(11) 또는 수평프레임(12)의 레일 공간(40)에 슬라이딩가능하게 설치한 후, 상기 브라켓(20), 상기 보조브라켓(30) 및 상기 프레임(11)(12)을 순서대로 일체로 결속시킴으로써, 브라켓(20)과 프레임(11)(12)의 결합력을 강화시키고 결합되는 위치를 조정할 수도 있다.
보조브라켓(30)은 판상(板狀)으로 형성되고, 복수의 관통공(30a)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관통공(30a)의 내주면에는 나사산(미도시)이 형성되어 브라켓(20)을 관통하는 체결수단과의 결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보조브라켓(30)을 상기 브라켓(20)과 프레임(11)(12) 사이에 배치하고, 상기 브라켓(20)과 프레임(11)(12)을 보조브라켓(30)을 통하여 결합시킴으 로써 결합력이 증대된다. 또한, 상기 프레임(11)(12)에 슬라이딩가능하게 설치되는 보조브라켓(30)에 형성되는 다수의 관통공(30a) 중 하나를 선택하여 브라켓(20)과 프레임(11)(12)을 체결함으로써 브라켓(20)과 프레임(11)(12)의 결합되는 위치를 자유롭게 조정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보조브라켓(30)은 프레임(11)(12)의 단부가 아닌, 프레임(11)(12)의 중간부분으로 슬라이딩시켜 이동시킨 후 체결수단을 이용하여 선반을 구성하는 앵글과 체결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보조브라켓(30)의 슬라이딩된 위치와 선택된 관통공(30a)에 따라 선반이 설치되는 위치를 조정할 수도 있다.
이상, 본 발명을 상기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다.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취지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수정, 변경을 할 수 있으며 이러한 수정과 변경 또한 본 발명에 속하는 것임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통상적인 통신장비 캐비닛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장비 캐비닛용 브라켓을 사용하여 수직프레임과 수평프레임을 조립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장치 캐비닛용 브라켓을 사용하여 통신장치 캐비닛을 조립하는 상태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장치 캐비닛용 브라켓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장치 캐비닛용 브라켓의 저면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장치 캐비닛용 브라켓의 정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통신장치 캐비닛용 브라켓을 사용하여 통신장치 캐비닛을 조립하는 상태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캐비닛 11 : 수직프레임
12 : 수평프레임 13 : 패널
14 : 도어 15 : 체결볼트
20 : 브라켓 21 : 제1 지지부
22 : 제1 체결부 22a : 제1 체결공
23 : 제2 지지부 24 : 제2 체결부
24a : 제2 체결공 25 : 경사부
26 : 압출공 27 : 측면체결부
30 : 보조브라켓 30a : 관통공
E : 통신장비 40 : 레일 공간

Claims (5)

  1. 삭제
  2. 삭제
  3. 내부에 통신장비가 수용되는 캐비닛을 조립하기 위해 구비되는 복수의 프레임의 단부에 체결되어, 상기 프레임을 서로 결합시키는 통신장비 캐비닛용 브라켓(20)에 있어서,
    서로 수직하게 배치되는 복수의 프레임의 측면에 면접촉을 통해 밀접되어 프레임의 측면을 지지할 수 있도록 외측면이 평면으로 형성되어 서로 수직하게 연결되는 제1 지지부(21) 및 제2지지부(23)와, 상기 제1 지지부(21) 및 상기 제2지지부(23)의 선단에서 각각 연장되고 체결수단이 관통되어 상기 프레임에 체결되도록 각각 제1 체결공(22a) 및 제2 체결공(24a)을 구비하는 제1 체결부(22) 및 제2 체결부(24)가 형성되고,
    상기 제1 지지부(21) 또는 상기 제2 지지부(23)와 경사지게 배치되고, 양단이 상기 제1 지지부(21)와 상기 제2 지지부(23)를 연결하는 경사부(25)가 형성되며,
    상기 제1 지지부(21) 또는 상기 제2 지지부(23)에서 상기 경사부(25)를 향하도록 내측으로 연장되고, 통신장비 캐비닛의 측면을 구성하는 패널을 체결하기 위한 체결볼트(15)가 삽입체결되는 측면체결부(27)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장비 캐비닛용 브라켓.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20)은 압출성형되어 제조되고,
    상기 제1 지지부(21), 상기 제2 지지부(23) 및 상기 경사부(25) 사이에는 폭방향을 따라 적어도 하나의 압출공(26)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장비 캐비닛용 브라켓.
  5. 내부에 통신장비가 수용되는 캐비닛을 조립하기 위해 구비되는 복수의 프레임의 단부에 체결되어, 상기 프레임을 서로 결합시키는 통신장비 캐비닛용 브라켓(20)에 있어서,
    서로 수직하게 배치되는 복수의 프레임의 측면에 면접촉을 통해 밀접되어 프레임의 측면을 지지할 수 있도록 외측면이 평면으로 형성되어 서로 수직하게 연결되는 제1 지지부(21) 및 제2지지부(23)와, 상기 제1 지지부(21) 및 상기 제2지지부(23)의 선단에서 각각 연장되고 체결수단이 관통되어 상기 프레임에 체결되도록 각각 제1 체결공(22a) 및 제2 체결공(24a)을 구비하는 제1 체결부(22) 및 제2 체결부(24)가 형성되고,
    판상(板狀)으로 형성되고 내부에 상기 제1 체결공(22a) 또는 상기 제2 체결공(24a)을 관통한 체결수단이 통과하여 결합하는 적어도 하나의 관통공(30a)이 형성되며, 상기 제1 지지부(21) 또는 상기 제2 지지부(23)와 상기 프레임(11)(12) 사이에 배치되는 보조브라켓(30)을 추가로 구비하는 통신장비 캐비닛용 브라켓.
KR1020080114041A 2008-11-17 2008-11-17 통신장비 캐비닛용 브라켓 KR1010068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4041A KR101006865B1 (ko) 2008-11-17 2008-11-17 통신장비 캐비닛용 브라켓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4041A KR101006865B1 (ko) 2008-11-17 2008-11-17 통신장비 캐비닛용 브라켓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55115A KR20100055115A (ko) 2010-05-26
KR101006865B1 true KR101006865B1 (ko) 2011-01-12

Family

ID=422796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14041A KR101006865B1 (ko) 2008-11-17 2008-11-17 통신장비 캐비닛용 브라켓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0686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3159B1 (ko) * 2011-12-12 2013-06-17 황정식 통신장비 수납용 캐비닛의 프레임 조립체
KR101554734B1 (ko) * 2015-03-25 2015-09-21 주식회사 하이웰 전기전자통신기기의 캐비넷용 프레임 및 이를 구비한 캐비넷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506522A (ja) * 1995-02-24 1999-06-08 コマーシャル ブレインズ リミテド 支持用ブラケットに関する改良
JP2001148579A (ja) 1999-11-22 2001-05-29 Sony Corp 連結構造及び電子機器のキャビネット
JP2003506124A (ja) * 1999-08-10 2003-02-18 フィッシャーヴェルケ アルツール フィッシャー ゲゼルシャフト ミット ベシュレンクテル ハフツング ウント コンパニー コマンディートゲゼルシャフト 固定用ブラケット
KR20040016368A (ko) * 2002-08-08 2004-02-21 다다시 사토 히터 겸용 선풍기
KR200416368Y1 (ko) 2006-03-02 2006-05-15 주식회사 임진너트산업 알루미늄 프로파일용 체결볼트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506522A (ja) * 1995-02-24 1999-06-08 コマーシャル ブレインズ リミテド 支持用ブラケットに関する改良
JP2003506124A (ja) * 1999-08-10 2003-02-18 フィッシャーヴェルケ アルツール フィッシャー ゲゼルシャフト ミット ベシュレンクテル ハフツング ウント コンパニー コマンディートゲゼルシャフト 固定用ブラケット
JP2001148579A (ja) 1999-11-22 2001-05-29 Sony Corp 連結構造及び電子機器のキャビネット
KR20040016368A (ko) * 2002-08-08 2004-02-21 다다시 사토 히터 겸용 선풍기
KR200416368Y1 (ko) 2006-03-02 2006-05-15 주식회사 임진너트산업 알루미늄 프로파일용 체결볼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55115A (ko) 2010-05-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43540B2 (en) Assembly structure
US7165360B2 (en) Modular room system and method
ES2289277T3 (es) Estructura de bastidor de armario y metodo de montaje del mismo.
US7259326B2 (en) Variable structural rack members
US8033059B2 (en) Paneling system
JP2019506110A (ja) スイッチギアキャビネット配置用ラック
CN102340942A (zh) 服务器机柜
US10264882B1 (en) Aluminum alloy cabinet board
US7946433B2 (en) Interlocking upright rack members
US20130154453A1 (en) Enclosure for accommodating devices, in particular electronic devices, elements and the like
US20100008744A1 (en) Board member mounting structure
KR20190068430A (ko) 조립식 랙 선반
KR101006865B1 (ko) 통신장비 캐비닛용 브라켓
KR100945161B1 (ko) 적층식 프레임 체결구조를 갖는 통신장비 보관용 랙
US20140263129A1 (en) Rack assembly
KR101665254B1 (ko) 다용도 조립식 진열대
US7614509B2 (en) Configurable universal telecom framework
KR101306720B1 (ko) 조립식 캐비넷
KR101273159B1 (ko) 통신장비 수납용 캐비닛의 프레임 조립체
KR101863876B1 (ko) 조립식 책상
KR200455930Y1 (ko) 통신장비 캐비닛 결합용 브라켓
US20210337964A1 (en) Stacking bracket for storage rack
JP5670236B2 (ja) キャビネット連結構造
KR101970404B1 (ko) 모듈식 조립구조의 건축물
KR102004830B1 (ko) 통신기기용 내진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0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27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