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54833A - 목재 건조 및 고열처리 장치 - Google Patents

목재 건조 및 고열처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54833A
KR20130054833A KR1020110120450A KR20110120450A KR20130054833A KR 20130054833 A KR20130054833 A KR 20130054833A KR 1020110120450 A KR1020110120450 A KR 1020110120450A KR 20110120450 A KR20110120450 A KR 20110120450A KR 20130054833 A KR20130054833 A KR 201300548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drying chamber
cold water
drying
wo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204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38651B1 (ko
Inventor
문중묵
Original Assignee
문중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문중묵 filed Critical 문중묵
Priority to KR10201101204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38651B1/ko
Publication of KR201300548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548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386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386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02Circulating air or gases in closed cycles, e.g. wholly within the drying enclo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KPROCESSES, APPARATUS OR SELECTION OF SUBSTANCES FOR IMPREGNATING, STAINING, DYEING, BLEACHING OF WOOD OR SIMILAR MATERIALS, OR TREATING OF WOOD OR SIMILAR MATERIALS WITH PERMEANT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EMICAL OR PHYSICAL TREATMENT OF CORK, CANE, REED, STRAW OR SIMILAR MATERIALS
    • B27K5/00Treating of wood not provided for in groups B27K1/00, B27K3/00
    • B27K5/001Hea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005Drying-steam generat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3/00Heating arrangements
    • F26B23/001Heating arrangements using waste heat
    • F26B23/002Heating arrangements using waste heat recovered from dryer exhaust gases
    • F26B23/004Heating arrangements using waste heat recovered from dryer exhaust gases by compressing and condensing vapour in exhaust gases, i.e. using an open cycle heat pump syste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3/0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 F26B3/02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onvection, i.e. heat being conveyed from a heat source to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by a gas or vapour, e.g. air
    • F26B3/04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onvection, i.e. heat being conveyed from a heat source to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by a gas or vapour, e.g. air the gas or vapour circulating over or surrounding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5/0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not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 F26B5/04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not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evaporation or sublimation of moisture under reduced pressure, e.g. in a vacuu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9/00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at rest or with only local agitation; Domestic airing cupboards
    • F26B9/06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at rest or with only local agitation; Domestic airing cupboards in stationary drums or cha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210/00Drying processes and machines for solid objects characterised by the specific requirements of the drying good
    • F26B2210/16Wood, e.g. lumber, timb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Microbiology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조 및 고열처리를 통해 가열된 목재를 신속하게 냉각하여 건조 및 고열처리 목재의 생산성이 현저히 향상되도록 하면서 간접 냉각을 통해 목재의 냉각 중에 발생하는 목재 자체의 변형이나 균열 또는 할열 등의 손상이 원활히 방지되도록 하는 목재 건조 및 고열처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기 목재 건조 및 고열처리 장치는 목재를 밀폐된 상태로 수용하도록 내부가 중공된 건조 챔버와; 상기 건조 챔버의 일측에 연결되고, 관로상에 제1 개폐밸브를 가지는 증기주입관과; 상기 증기주입관을 통해 상기 건조 챔버의 내부로 고온의 증기가 주입되도록 상기 증기주입관에 연결되는 증기발생기와; 상기 건조 챔버의 타측에 연결되고, 관로상에 제2 개폐밸브를 가지며, 상기 건조 챔버 내부의 가스를 외부로 배출 가능하게 하는 가스배출관과; 상기 건조 챔버에 설치되고, 상기 건조 챔버를 냉각시켜 상기 건조 챔버의 내부에 수용된 목재를 간접적으로 냉각시키는 간접 냉각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목재 건조 및 고열처리 장치{APPARATUS FOR DRYING AND HIGH HEAT-TREATING WOOD}
본 발명은 목재를 건조 및 고열처리하기 위한 목재 건조 및 고열처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건조 및 고열처리를 통해 가열된 목재를 신속하게 냉각하여 건조 및 고열처리 목재의 생산성이 현저히 향상되도록 하면서 간접 냉각을 통해 목재의 냉각 중에 발생하는 목재 자체의 변형이나 균열 또는 할열 등의 손상이 원활히 방지되도록 하는 목재 건조 및 고열처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목재는 벌목시 수분함량이 상대적으로 높다. 벌목한 목재를 그대로 이용하여 제품을 만들게 되면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제품의 변형이 초래된다. 따라서, 벌목한 목재는 적절한 건조과정을 필요로 한다.
목재의 건조방법으로는 천연 건조와 열기 건조가 있는데, 천연 건조는 건조장에 목재를 쌓아두고, 대기의 온도, 습도와 바람을 이용하여 건조하는 방법으로 시설비가 적게 들고 작업이 비교적 간단하지만, 건조 소요 시간이 길고 넓은 건조장이 필요하며 기건(氣乾) 함수율 이하로는 건조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한편, 열기 건조는 건조실의 온도, 습도와 풍속 등의 건조 조건을 인공적으로 조절하여 건조하는 방법으로 건조 소요 시간이 상대적으로 짧고, 기건 함수율 이하로 건조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목재가 건조 및 고열처리 과정을 거치게 되면, 함수율이 대폭 낮아지면서 수분 흡수력이 낮아지고, 목재를 구성하는 성분 중 세균의 먹이가 되는 헤미셀룰로오스가 분해되어 부패균이 서식하기 어렵게 된다. 이처럼, 목재의 건조 및 고열처리는 목재의 내구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다. 최근에는 목재를 건조 및 고열처리하여 여러 가지 다양한 용도로 사용하고 있다.
목재를 건조 및 고열처리하기 위한 종래의 장치로는, 예를 들어, 전기 히터를 직접 건조 챔버의 내에 설치하여 내부공기를 가열하는 장치나, 연소장치로부터 열을 얻는 열풍기를 통하여 가열한 공기를 건조 챔버의 내로 주입하는 장치나, 연소장치에서 열매체를 가열한 후에 이를 건조 챔버의 내로 주입하여 건조 챔버 내의 공기를 간접 가열하는 장치나, 과열증기를 건조 챔버의 내로 주입하는 장치 등이 있다.
이와 같은 목재 건조 및 고열처리 장치들의 건조 챔버의 내부로 수용되어 건조 및 고열처리된 후에 가열된 목재는 건조 챔버에서 인출하기 위해 목재 자체를 냉각시켜야 하는데, 종래에 가열된 목재를 냉각시키는 방법은 건조 챔버를 개방하고 가열된 목재를 상온에서 장시간 동안 방치하여 자연 냉각시키거나, 가열된 목재에 냉풍이나 냉수를 분사하여 냉각시키는 방법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이 건조 및 고열처리 후에 가열된 목재를 자연 냉각시키는 경우에는 가열된 목재의 냉각에 상대적으로 장시간이 소요되어 목재 건조 및 고열처리 장치를 통한 건조 및 고열처리된 목재의 생산성이 현저히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건조 및 고열처리 후에 가열된 목재에 냉풍이나 냉수를 분사하여 강제 냉각시키는 경우에는 가열된 목재의 급격한 온도의 변동에 의해 목재가 변형되거나 목재 자체에 균열이나 할열이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건조 및 고열처리를 통해 가열된 목재를 신속하게 냉각하여 건조 및 고열처리 목재의 생산성이 현저히 향상되도록 하면서 간접 냉각을 통해 목재의 냉각 중에 발생하는 목재 자체의 변형이나 균열 또는 할열 등의 손상이 원활히 방지되도록 하는 목재 건조 및 고열처리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개폐밸브를 통해 냉기의 유동을 조절하여 목재에 대한 냉각 상태의 조절이 간편하면서 손쉽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목재 건조 및 고열처리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목재 건조 및 고열처리 장치"는, 목재를 밀폐된 상태로 수용하도록 내부가 중공된 건조 챔버와; 상기 건조 챔버의 일측에 연결되고, 관로상에 제1 개폐밸브를 가지는 증기주입관과; 상기 증기주입관을 통해 상기 건조 챔버의 내부로 고온의 증기가 주입되도록 상기 증기주입관에 연결되는 증기발생기와; 상기 건조 챔버의 타측에 연결되고, 관로상에 제2 개폐밸브를 가지며, 상기 건조 챔버 내부의 가스를 외부로 배출 가능하게 하는 가스배출관과; 상기 건조 챔버에 설치되고, 상기 건조 챔버를 냉각시켜 상기 건조 챔버의 내부에 수용된 목재를 간접적으로 냉각시키는 간접 냉각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목재 건조 및 고열처리 장치"의 상기 간접 냉각부는, 상기 건조 챔버의 외측에 구비되고 순환되는 물을 냉각시키는 냉각기와, 상기 냉각기에 연결되어 냉풍에 의해 냉각된 상기 건조 챔버측으로 이동되는 냉수이동관과, 상기 냉수이동관의 관로상에 설치되어 냉수를 이송시키는 물펌프와, 상기 냉수이동관에 연결되고 상기 건조 챔버의 상단 내측에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되는 상부관과, 상기 상부관에 대응하여 상기 건조 챔버의 하단 내측에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되는 하부관과, 상기 상부관으로 유입된 냉수가 상기 하부관으로 이동되도록 상기 건조 챔버의 내측에 설치되고 상기 상부관과 하부관의 양측 사이에 다수개가 이격되게 연결되는 연결관과, 상기 하부관으로 유입된 물이 상기 냉각기로 이동되어 상기 냉수이동관으로 순환되도록 상기 하부관과 상기 냉각기 사이에 연결되는 냉수배출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목재 건조 및 고열처리 장치"의 상기 간접 냉각부는, 상기 냉수이동관의 관로상에 설치되는 제3 개폐밸브와, 고온의 상기 건조 챔버를 통과하는 물의 비등에 의한 과압이 해제되도록 상기 냉수배출관의 관로상에 설치되는 압력조절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목재 건조 및 고열처리 장치"의 상기 간접 냉각부는, 상기 건조 챔버의 외측에 구비되고 물이 저장되는 저수탱크와, 상기 저수탱크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건조 챔버의 내부와 연결되는 물공급관과, 상기 물공급관의 관로상에 설치되어 물을 이송시키는 이송펌프와, 상기 건조 챔버의 내부로 상기 물공급관의 끝에 연결되고 상기 건조 챔버의 내벽에 대응하여 구비되는 유도관과, 상기 건조 챔버의 내벽에 대응하여 상기 유도관의 외면에 다수개가 이격되게 설치되고 상기 유도관으로 공급되는 물을 미세하게 분무하는 다수의 분사노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목재 건조 및 고열처리 장치"의 상기 간접 냉각부는, 상기 물공급관의 관로상에 설치되는 제4 개폐밸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목재 건조 및 고열처리 장치"의 상기 간접 냉각부는, 상기 건조 챔버의 외측에 구비되고 냉각기와, 상기 냉각기에 설치되고 물이 저장되며 상기 냉각기에 의해 저장된 물이 냉각되는 냉수탱크와, 상기 냉수탱크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건조 챔버의 일측 내부와 연결되는 냉수공급관과, 상기 냉수공급관의 관로상에 설치되어 냉수를 이송시키는 냉수펌프와, 상기 건조 챔버의 내부로 상기 냉수공급관의 끝에 연결되고 상기 건조 챔버의 일단부의 내벽에 대응하여 설치되는 제1 냉각관과, 상기 제1 냉각관에 대응하여 상기 건조 챔버의 타단부의 내벽에 대응하여 설치되는 제2 냉각관과, 상기 제1 냉각관으로 유입된 냉수가 상기 제2 냉각관으로 이동되도록 상기 건조 챔버의 내벽에 대응하여 설치되고 상기 제1 냉각관과 제2 냉각관 사이에 다수개가 이격되게 연결되며 지그재그 형태의 냉각연결관과, 상기 제2 냉각관에서 배출되는 냉수가 상기 냉수탱크로 회수되도록 상기 제2 냉각관의 끝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냉수탱크에 연결되는 냉수회수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목재 건조 및 고열처리 장치"의 상기 간접 냉각부는, 상기 냉수공급관의 관로상에 설치되는 제5 개폐밸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건조 및 고열처리를 통해 가열된 목재를 신속하게 냉각하여 건조 및 고열처리 목재의 생산성이 현저히 향상되고, 간접 냉각을 통해 목재의 냉각 중에 발생하는 목재 자체의 변형이나 균열 또는 할열 등의 손상이 원활히 방지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개폐밸브를 통해 냉기의 유동을 조절하여 목재에 대한 냉각 상태의 조절이 간편하면서 손쉽게 이루어지고, 그에 따라 작동상의 편의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목재 건조 및 고열처리 장치의 개략적인 종단면도,
도 2는 도 1에 따른 장치의 개략적인 요부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따른 장치의 개략적인 요부 확대 종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목재 건조 및 고열처리 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개략적인 종단면도,
도 5는 도 4에 따른 장치의 개략적인 요부 확대 종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목재 건조 및 고열처리 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개략적인 종단면도,
도 7은 도 6에 따른 장치의 개략적인 요부 사시도,
도 8은 도 6에 따른 장치의 개략적인 요부 종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도시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러나 본 발명은 다수의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기술된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목재 건조 및 고열처리 장치의 개략적인 종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 따른 장치의 개략적인 요부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에 따른 장치의 개략적인 요부 확대 종단면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목재 건조 및 고열처리 장치는 목재(W)를 수용하는 건조 챔버(10)와, 상기 건조 챔버(10)와 연결되는 증기주입관(20)과, 상기 증기주입관(20)과 연결되는 증기발생기(30)와, 상기 건조 챔버(10)와 연결되는 가스배출관(40)과, 상기 건조 챔버(10)에 설치되는 간접 냉각부(50)를 포함한다.
상기 건조 챔버(10)는 중공된 원통형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목재(W)를 밀폐된 상태로 수용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구조의 상기 건조 챔버(10)는 도시된 바와 같은 원통형뿐만 아니라 목재를 수용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입방체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증기주입관(20)은 상기 건조 챔버(10)의 일측에 연결되고 관로상에 제1 개폐밸브(21)를 가지는 것으로, 상기 증기발생기(30)에 의해 생성된 증기가 상기 건조 챔버(10)의 내부로 주입되는 통로를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1 개폐밸브(21)는 상기 증기주입관(20)의 관로를 필요에 따라, 즉 증기의 공급 또는 증기 공급의 중지에 따라, 개방 또는 폐쇄시키는 밸브이며 상기 증기주입관(20)을 통해 증기의 역류를 방지하는 체크밸브이다.
상기 증기발생기(30)는 상기 증기주입관(20)에 연결되는 것으로, 내부에 수용된 물을 가열하여 증기를 만드는 공지의 장치이며, 상기 건조 챔버(10)에 수용된 목재(W)를 증기로 건조시키기 위해 공급되는 가열원에 해당한다. 이와 같은 상기 증기발생기(30)는 화목으로 물을 끓여 증기를 발생시키는 재래식 증기발생기와 열선에 의해 물을 가열하여 증기를 전열식 증기발생기 등 다양한 공지된 증기 발생용 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증기발생기(30)에 의해 생성된 증기는 그 자체의 유동성에 의해 별도의 이송수단이 없이 자연적으로 상기 증기주입관(20)을 통해 상기 건조 챔버(10)의 내부로 유입되고, 이와 같이 계속해서 상기 건조 챔버(10)의 내부로 유입되는 증기에 의해 상기 건조 챔버(10)의 내부의 압력이 상승하게 되고, 압력의 상승은 곧 온도의 상승을 유발하여 작동자의 의도에 따라 필요한 온도로 목재(W)를 건조 및 고열처리하게 된다.
즉, 상기 증기발생기(30)를 통해 상기 건조 챔버(10)의 내부로 공급된 증기는 계속된 공급에 의해 상기 건조 챔버(10)의 내부에서 고압 및 고온의 상태가 되고, 그에 따라 100℃ 내지 240℃까지 다양한 온도로 목재(W)를 가열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건조 챔버(10)의 내부의 온도와 압력은 상기 건조 챔버(10)에 설치된 온도계(T)와 압력계(P)에 의해 측정되고 작동자에 의해 인지된다.
상기 가스배출관(40)은 상기 건조 챔버(10)의 타측에 연결되고, 관로상에 제2 개폐밸브(41)를 가지는 것으로, 상기 건조 챔버(10) 내부의 가스를 외부로 배출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상기 제2 개폐밸브(41)는 상기 가스배출관(40)의 관로를 필요에 따라, 즉 가스의 배출 또는 가스의 배출 중지에 따라, 개방 또는 폐쇄시키는 밸브이다. 아울러, 상기 제2 개폐밸브(41)는 가스의 배출 또는 중지를 통해 상기 건조 챔버(10)의 내부로 증기에 의한 압력의 하강 또는 상승을 유발하여 상기 건조 챔버(10) 내부의 온도의 하강 또는 상승을 조절하는 역할도 한다.
상기 간접 냉각부(50)는 상기 건조 챔버(10)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건조 챔버(10)를 냉각시켜 상기 건조 챔버(10)의 내부에 수용된 목재(W)를 간접적으로 냉각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이 상기 간접 냉각부(50)에 의해 상기 목재(W)가 간접적으로 냉각됨에 따라 상기 목재(W)의 급격한 냉각에 따른 변형이나 균열 혹은 할열에 의한 손상이 원활히 방지되면서 안정적으로 냉각된다.
이와 같은 역할을 하는 상기 간접 냉각부(50)는 상기 건조 챔버(10)의 외측에 구비되는 냉각기(51a)와, 상기 냉각기(51a)에 연결되어 냉수가 이동되는 냉풍이동관(52a)과, 상기 냉수이동관(52a)의 관로상에 설치되는 물펌프(53a)와, 상기 냉수이동관(52a)에 연결되고 상기 건조 챔버(10)의 상단 내측에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되는 상부관(54a)과, 상기 상부관(54a)에 대응하여 상기 건조 챔버(10)의 하단 내측에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되는 하부관(55a)과, 상기 건조 챔버(10)의 내측에 설치되고 상기 상부관(54a)과 하부관(55a)의 양측 사이에 다수개가 이격되게 연결되는 연결관(56a)과, 상기 하부관(55a)과 냉각기(51a) 사이에 연결되는 냉수배출관(57a)을 포함한다.
상기 냉각기(51a)는 전원의 공급에 의해 형성되는 냉동사이클과 팬의 작동으로 생성된 냉기를 물이 순환되는 전열관에 분사하여 물을 냉각시키는 공지의 장치이고, 이와 같은 상기 냉각기(51a)는 도시된 팬 방식의 냉각수단 이외에 물이 순환되는 상태에서 이를 냉각시킬 수 있는 다양한 공지의 냉각수단이 이용될 수 있다.
상기 냉수이동관(52a)은 상기 냉풍기(51a)와 상기 건조 챔버(10)의 사이에 연결되는 것으로, 상기 냉풍기(51a)에 의해 냉각된 물이 상기 건조 챔버(10)의 내부로 이동되는 통로의 역할을 한다.
상기 물펌프(53a)는 상기 냉각기(51a)의 전열관에서 상기 냉수이동관(52a)을 통해 상기 건조 챔버(10)에 구비되는 상기 상부관(54a)과 하부관(55a) 및 연결관(56a)을 통과한 후에 상기 냉수배출관(57a)을 통해 다시 상기 냉각기(51a)의 전열관으로 냉수가 순환되도록 물을 압송하는 공지의 장치이다.
상기 상부관(54a)과 하부관(55a) 및 다수의 연결관(56a)은 상기 냉수이동관(52a)을 통해 상기 상부관(54a)으로 공급된 냉수가 상기 연결관(56a)을 지나 상기 하부관(55a)으로 유동되면서 상기 건조 챔버(10) 자체를 냉수로 냉각시켜 상기 건조 챔버(10)의 내부에 있는 건조 및 고열처리된 후에 가열된 목재(W)를 간접적으로 냉각시키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간접 냉각부(50)는 상기 상부관(54a)과 하부관(55a) 및 다수의 연결관(56a)을 통해 상기 목재(W)를 둘러싸는 상기 건조 챔버(10) 자체를 냉각하여 상기 목재(W)가 간접적으로 자연스럽게 냉각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아울러, 상기 상부관(54a)과 하부관(55a)의 사이에 다수의 상기 연결관(56a)을 연결하고 상기 건조 챔버(10)의 상부측에 있는 상기 상부관(54a)에서 상기 연결관(56a)을 지나 상기 건조 챔버(10)의 하부에 있는 상기 하부관(55a)으로 냉수를 유동시킴으로써, 냉수가 상기 건조 챔버(10)의 상부측에서 하부측으로 서서히 유동되고, 그에 따라 냉수에 의해 상기 건조 챔버(10)가 균일하면서 안정적으로 냉각된다.
상기 냉수배출관(57a)은 상기 건조 챔버(10)를 냉각시킨 후에 뜨거워진 물이 상기 냉각기(51a)로 회수되어 순환되도록 하는 통로의 역할을 하는 것이며, 이와 같은 역할을 한다.
상기 간접 냉각부(50)는 상기 냉수이동관(52a)의 관로상에 설치되는 제3 개폐밸브(58a)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제3 개폐밸브(58a)는 상기 냉수이동관(52a)의 관로를 필요에 따라, 즉 냉수의 공급 또는 냉수 공급의 중지에 따라, 개방 또는 폐쇄시키는 밸브이다. 이와 같은 상기 제3 개폐밸브(58a)의 조작에 의해 냉수의 공급 상태가 조절됨으로써, 작동자는 상기 제3 개폐밸브(58a)의 조작을 통해 상기 건조 챔버(10)의 냉각 상태, 즉 목재(W)의 냉각 상태를 적절히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간접 냉각부(50)는 상기 냉수배출관(57a)의 관로상에 설치되는 압력조절기(59a)를 더 포함한다. 상기 압력조절기(59a)는 과압 시에 자동으로 과압상태를 해제시키는 공지의 장치로서, 고온의 상기 건조 챔버(10)를 통과하는 상기 건조 챔버(10)의 내부에서 고열과 접촉함에 따라 갑자기 비등되면서 형성되는 과압을 해제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역할을 하는 상기 압력조절기(59a)는 상기 냉수배출관(57a)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상부관(54a)이나 하부관(55a) 또는 연결관(56a)에 설치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목재 건조 및 고열처리 장치는 건조 및 고열처리를 통해 가열된 목재(W)를 신속하게 냉각하여 건조 및 고열처리 목재(W)의 생산성이 현저히 향상되도록 하면서 간접 냉각을 통해 목재(W)의 냉각 중에 발생하는 목재(W) 자체의 변형이나 균열 또는 할열 등의 손상이 원활히 방지되도록 하는 유용한 발명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목재 건조 및 고열처리 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개략적인 종단면도이고, 도 5는 도 4에 따른 장치의 개략적인 요부 확대 종단면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목재 건조 및 고열처리 장치의 상기 간접 냉각부(50)는 상기 건조 챔버(10)의 외측에 구비되고 물이 저장되는 저수탱크(51b)와, 상기 저수탱크(51b)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건조 챔버(10)의 내부와 연결되는 물공급관(52b)과, 상기 물공급관(52b)의 관로상에 설치되는 이송펌프(53b)와, 상기 건조 챔버(10)의 내부로 상기 물공급관(52b)의 끝에 연결되고 상기 건조 챔버(10)의 내벽에 대응하여 구비되는 유도관(54b)과, 상기 건조 챔버(10)의 내벽에 대응하여 상기 유도관(54b)의 외면에 다수개가 이격되게 설치되는 다수의 분사노즐(55b)을 포함한다.
상기 저수탱크(51b)는 상기 건조 챔버(10)의 냉각에 필요한 상온 상태의 물을 저장하는 공간이고, 상기 물공급관(52b)은 상기 저수탱크(51b)에 저장된 물이 상기 건조 챔버(10)의 내부로 이송되는 통로의 역할을 한다. 상기 이송펌프(53b)는 상기 저수탱크(51b)의 물을 상기 물공급관(52b)을 통해 이송시키는 역할을 하는 공지의 장치이다.
상기 유도관(54b)은 상기 물공급관(52b)을 통해 상기 건조 챔버(10)의 내부로 이송된 물을 상기 건조 챔버(10)의 내벽에 대응하여 유도하는 역할을 하면서 상기 분사노즐(55b)이 설치되는 장소를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분사노즐(55b)은 상기 이송펌프(53b)의 압송력에 의해 이송되는 물을 상기 건조 챔버(10)의 내벽을 향해 미세하게 분무하여 분무된 물이 증발되면서 상기 건조 챔버(10) 자체의 열기와 상기 건조 챔버(10)의 내부 공간에 있는 열기가 소실되면서 상기 건조 챔버(10)가 냉각되고, 그에 따라 상기 건조 챔버(10)의 내부에 있는 가열된 목재(W)가 안정적으로 냉각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상기 분사노즐(55b)에 의한 물의 미세한 분무는 상기 건조 챔버(10)의 내벽을 향해 이루어짐으로써, 상기 목재(W)에 직접 수분이 전달되지 않고 상기 건조 챔버(10) 내부의 열기를 빼앗아 상기 건조 챔버(10)와 그 내부의 공기를 냉각시키는 역할을 하게 되고, 이와 같이 상기 건조 챔버(10)와 그 내부의 공기가 냉각되면서 상기 건조 챔버(10)의 내부에 수용된 가열된 목재(W)가 안정적으로 냉각되는 것이다.
상기 간접 냉각부(50)는 상기 물공급관(52b)의 관로상에 설치되는 제4 개폐밸브(56b)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제4 개폐밸브(56b)는 상기 물공급관(52b)의 관로를 필요에 따라, 즉 물의 공급 또는 물 공급의 중지에 따라, 개방 또는 폐쇄시키는 밸브이다. 이와 같은 상기 제4 개폐밸브(56b)의 조작에 의해 물의 공급 상태가 조절됨으로써, 작동자는 상기 제4 개폐밸브(56b)의 조작을 통해 상기 건조 챔버(10)의 냉각 상태, 즉 목재(W)의 냉각 상태를 적절히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상기 간접 냉각부(50)는 상기 건조 챔버(10)의 내부로 물의 미세한 분무를 통해 열기를 빼앗아 목재를 간접적으로 냉각시키며 동시에 필요에 따라 목재를 자연스럽게 고열처리하는데 사용될 수 있으며, 목재의 건조 또는 열처리 시에 목재의 손상을 방지하게 위해 상기 증기주입관(20)을 통해 상기 건조 챔버(10)의 내부로 별도의 증기를 주입할 필요가 없어 에너지 절감과 작동상의 편의성이 증진되는 유용한 구조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목재 건조 및 고열처리 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개략적인 종단면도이고, 도 7은 도 6에 따른 장치의 개략적인 요부 사시도이며, 도 8은 도 6에 따른 장치의 개략적인 요부 종단면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목재 건조 및 고열처리 장치의 상기 간접 냉각부(50)는 상기 건조 챔버(10)의 외측에 구비되고 냉각기(51c)와, 상기 냉각기(51c)에 설치되고 물이 저장되며 상기 냉각기(51c)에 의해 저장된 물이 냉각되는 냉수탱크(52c)와, 상기 냉수탱크(52c)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건조 챔버(10)의 일측 내부와 연결되는 냉수공급관(53c)과, 상기 냉수공급관(53c)의 관로상에 설치되는 냉수펌프(54c)와, 상기 건조 챔버(10)의 내부로 상기 냉수공급관(53c)의 끝에 연결되고 상기 건조 챔버(10)의 일단부의 내벽에 대응하여 설치되는 제1 냉각관(55c)과, 상기 제1 냉각관(55c)에 대응하여 상기 건조 챔버(10)의 타단부의 내벽에 대응하여 설치되는 제2 냉각관(56c)과, 상기 건조 챔버(10)의 내벽에 대응하여 설치되고 상기 제1 냉각관(55c)과 제2 냉각관(56c) 사이에 다수개가 이격되게 연결되며 지그재그 형태의 냉각연결관(57c)과, 상기 제2 냉각관(56c)의 끝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냉수탱크(52c)에 연결되는 냉수회수관(58c)을 포함한다.
상기 냉각기(51c)는 전원의 공급에 의해 냉동사이클이 형성되면서 냉기를 발생시켜 상기 냉수탱크(52c)에 저장된 물을 냉각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냉수탱크(52c)는 상기 냉각기(51c)에 의해 냉각될 물을 저장하는 공간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상기 냉각기(51c)는 냉각팬에 의해 물을 냉각시키거나 냉각코일에 의해 물을 냉각시키는 등 다양한 공지의 냉각수단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냉수공급관(53c)은 상기 냉수탱크(52c)에 저장된 냉수가 상기 건조 챔버(10)의 내측으로 이동되는 통로의 역할을 하며, 상기 냉수펌프(54c)는 상기 냉수공급관(53c)을 통해 상기 냉수탱크(52c)에 저장된 냉수를 압송하는 공지의 장치이다.
상기 제1 냉각관(55c)과 제2 냉각관(56c) 및 다수의 냉각연결관(57c)은 상기 냉수공급관(53c)을 통해 상기 제1 냉각관(55c)으로 공급된 냉수가 상기 냉각연결관(57c)을 지나 상기 제2 냉각관(56c)으로 유동되면서 상기 건조 챔버(10) 자체와 상기 건조 챔버(10)의 내부에 있는 열기를 열교환으로 냉각시켜 상기 건조 챔버(10)의 내부에 있는 건조 및 고열처리된 후에 가열된 목재(W)를 간접적으로 냉각시키게 된다.
즉, 상기 간접 냉각부(50)는 상기 제1 냉각관(55c)과 제2 냉각관(56c) 및 다수의 냉각연결관(57c)을 통해 상기 목재(W)를 둘러싸는 상기 건조 챔버(10) 자체를 냉각하여 상기 목재(W)가 간접적으로 자연스럽게 냉각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아울러, 상기 제1 냉각관(55c)과 제2 냉각관(56c)의 사이에 다수의 상기 냉각연결관(57c)을 연결하고 상기 건조 챔버(10)의 일단부측에 있는 상기 제1 냉각관(55c)에서 상기 냉각연결관(57c)을 지나 상기 건조 챔버(10)의 타단부측에 있는 상기 제2 냉각관(56c)으로 냉수를 유동시킴으로써, 냉수가 유동되는 상기 냉각연결관(57c)과 상기 건조 챔버(10)의 열기가 열교환되어 상기 건조 챔버(10)가 균일하면서 안정적으로 냉각된다.
아울러, 상기 냉각연결관(57c)은 지그재그 형태로 구비됨으로써, 상기 냉각연결관(57c)에 의한 열교환 면적이 넓어져 상기 건조 챔버(10)의 냉각이 보다 안정적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냉수회수관(58c)은 상기 제2 냉각관(56c)에서 배출되는 냉수, 즉 상기 건조 챔버(10)의 열기와 열교환으로 따뜻해진 물이 상기 냉수탱크(52c)로 회수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냉수는 상기 냉수펌프(54c)에 의해 폐회로 형태로 순환되면서 상기 건조 챔버(10)를 냉각시키고, 그에 따라 상기 건조 챔버(10)의 내부에 있는 가열된 목재(W)를 간접적으로 냉각시키게 된다.
상기 간접 냉각부(50)는 상기 냉수공급관(53c)의 관로상에 설치되는 제5 개폐밸브(59c)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제5 개폐밸브(59c)는 상기 냉수공급관(53c)의 관로를 필요에 따라, 즉 냉수의 순환 또는 냉수 순환의 중지에 따라, 개방 또는 폐쇄시키는 밸브이다. 이와 같은 상기 제5 개폐밸브(59c)의 조작에 의해 냉수의 순환 상태가 조절됨으로써, 작동자는 상기 제5 개폐밸브(59c)의 조작을 통해 상기 건조 챔버(10)의 냉각 상태, 즉 목재(W)의 냉각 상태를 적절히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물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를 적절히 변형하여 동일하게 응용할 수 있음이 명확하다. 따라서 상기 기재 내용은 하기 특허청구범위의 한계에 의해 정해지는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을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하다할 것이다.
10 : 건조 챔버
20 : 증기주입관
21 : 제1 개폐밸브
30 : 증기발생기
40 : 가스배출관
41 : 제2 개폐밸브
50 : 간접 냉각부
51a : 냉각기 52a : 냉수이동관
53a : 물펌프 54a : 상부관
55a : 하부관 56a : 연결관
57a : 냉수배출관 58a : 제3 개폐밸브
59a : 압력조절기
51b : 저수탱크 52b : 물공급관
53b : 이송펌프 54b : 유도관
55b : 분사노즐 56b : 제4 개폐밸브
51c : 냉각기 52c : 냉수탱크
53c : 냉수공급관 54c : 냉수펌프
55c : 제1 냉각관 56c : 제2 냉각관
57c : 냉각연결관 58c : 냉수회수관
59c : 제5 개폐밸브

Claims (7)

  1. 목재를 밀폐된 상태로 수용하도록 내부가 중공된 건조 챔버(10)와;
    상기 건조 챔버(10)의 일측에 연결되고, 관로상에 제1 개폐밸브(21)를 가지는 증기주입관(20)과;
    상기 증기주입관(20)을 통해 상기 건조 챔버(10)의 내부로 고온의 증기가 주입되도록 상기 증기주입관(20)에 연결되는 증기발생기(30)와;
    상기 건조 챔버(10)의 타측에 연결되고, 관로상에 제2 개폐밸브(41)를 가지며, 상기 건조 챔버(10) 내부의 가스를 외부로 배출 가능하게 하는 가스배출관(40)과;
    상기 건조 챔버(10)에 설치되고, 상기 건조 챔버(10)를 냉각시켜 상기 건조 챔버(10)의 내부에 수용된 목재를 간접적으로 냉각시키는 간접 냉각부(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재 건조 및 고열처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간접 냉각부(50)는,
    상기 건조 챔버(10)의 외측에 구비되고 순환되는 물을 냉각시키는 냉각기(51a)와,
    상기 냉각기(51a)에 연결되어 냉풍에 의해 냉각된 상기 건조 챔버(10)측으로 이동되는 냉수이동관(52a)과,
    상기 냉수이동관(52a)의 관로상에 설치되어 냉수를 이송시키는 물펌프(53a)와,
    상기 냉수이동관(52a)에 연결되고 상기 건조 챔버(10)의 상단 내측에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되는 상부관(54a)과,
    상기 상부관(54a)에 대응하여 상기 건조 챔버(10)의 하단 내측에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되는 하부관(55a)과,
    상기 상부관(54a)으로 유입된 냉수가 상기 하부관(55a)으로 이동되도록 상기 건조 챔버(10)의 내측에 설치되고 상기 상부관(54a)과 하부관(55a)의 양측 사이에 다수개가 이격되게 연결되는 연결관(56a)과,
    상기 하부관(55a)으로 유입된 물이 상기 냉각기(51a)로 이동되어 상기 냉수이동관(52a)으로 순환되도록 상기 하부관(55a)과 상기 냉각기(51a) 사이에 연결되는 냉수배출관(57a)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재 건조 및 고열처리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간접 냉각부(50)는,
    상기 냉수이동관(52a)의 관로상에 설치되는 제3 개폐밸브(58a)와,
    고온의 상기 건조 챔버(10)를 통과하는 물의 비등에 의한 과압이 해제되도록 상기 냉수배출관(57a)의 관로상에 설치되는 압력조절기(59a)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재 건조 및 고열처리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간접 냉각부(50)는,
    상기 건조 챔버(10)의 외측에 구비되고 물이 저장되는 저수탱크(51b)와,
    상기 저수탱크(51b)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건조 챔버(10)의 내부와 연결되는 물공급관(52b)과,
    상기 물공급관(52b)의 관로상에 설치되어 물을 이송시키는 이송펌프(53b)와,
    상기 건조 챔버(10)의 내부로 상기 물공급관(52b)의 끝에 연결되고 상기 건조 챔버(10)의 내벽에 대응하여 구비되는 유도관(54b)과,
    상기 건조 챔버(10)의 내벽에 대응하여 상기 유도관(54b)의 외면에 다수개가 이격되게 설치되고 상기 유도관(54b)으로 공급되는 물을 미세하게 분무하는 다수의 분사노즐(55b)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재 건조 및 고열처리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간접 냉각부(50)는,
    상기 물공급관(52b)의 관로상에 설치되는 제4 개폐밸브(56b)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재 건조 및 고열처리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간접 냉각부(50)는,
    상기 건조 챔버(10)의 외측에 구비되고 냉각기(51c)와,
    상기 냉각기(51c)에 설치되고 물이 저장되며 상기 냉각기(51c)에 의해 저장된 물이 냉각되는 냉수탱크(52c)와,
    상기 냉수탱크(52c)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건조 챔버(10)의 일측 내부와 연결되는 냉수공급관(53c)과,
    상기 냉수공급관(53c)의 관로상에 설치되어 냉수를 이송시키는 냉수펌프(54c)와,
    상기 건조 챔버(10)의 내부로 상기 냉수공급관(53c)의 끝에 연결되고 상기 건조 챔버(10)의 일단부의 내벽에 대응하여 설치되는 제1 냉각관(55c)과,
    상기 제1 냉각관(55c)에 대응하여 상기 건조 챔버(10)의 타단부의 내벽에 대응하여 설치되는 제2 냉각관(56c)과,
    상기 제1 냉각관(55c)으로 유입된 냉수가 상기 제2 냉각관(56c)으로 이동되도록 상기 건조 챔버(10)의 내벽에 대응하여 설치되고 상기 제1 냉각관(55c)과 제2 냉각관(56c) 사이에 다수개가 이격되게 연결되며 지그재그 형태의 냉각연결관(57c)과,
    상기 제2 냉각관(56c)에서 배출되는 냉수가 상기 냉수탱크(52c)로 회수되도록 상기 제2 냉각관(56c)의 끝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냉수탱크(52c)에 연결되는 냉수회수관(58c)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재 건조 및 고열처리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간접 냉각부(50)는,
    상기 냉수공급관(53c)의 관로상에 설치되는 제5 개폐밸브(59c)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재 건조 및 고열처리 장치.
KR1020110120450A 2011-11-17 2011-11-17 목재 건조 및 고열처리 장치 KR1013386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0450A KR101338651B1 (ko) 2011-11-17 2011-11-17 목재 건조 및 고열처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0450A KR101338651B1 (ko) 2011-11-17 2011-11-17 목재 건조 및 고열처리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54833A true KR20130054833A (ko) 2013-05-27
KR101338651B1 KR101338651B1 (ko) 2013-12-09

Family

ID=486635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20450A KR101338651B1 (ko) 2011-11-17 2011-11-17 목재 건조 및 고열처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3865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1505B1 (ko) 2016-02-23 2016-07-21 이재웅 목재 건조 기능을 갖는 수액 채취 장치
CN107830725A (zh) * 2015-12-10 2018-03-23 福建省慧通工艺品有限公司 一种木材的烘干方法
CN110424033A (zh) * 2019-07-13 2019-11-08 深圳市鑫多邦五金制品有限公司 电镀锌镍工艺中的干燥方法、干燥系统及电镀锌镍工艺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1471B1 (ko) * 2014-05-08 2014-12-10 주식회사 엔투하이텍 목재 건조 및 고열처리 장치
KR101697355B1 (ko) 2016-10-17 2017-02-01 주식회사 에이치티 마이크로파와 폐열 회수를 이용한 에너지 절감형 고효율 하이브리드 목재 건조 및 고열처리 장치
KR101872185B1 (ko) 2018-05-18 2018-06-27 손은제 고주파 유도 가열을 이용한 목재 건조 및 고열처리 장치
KR102129289B1 (ko) 2019-07-15 2020-07-02 문중묵 국산 참나무 건조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16450Y2 (ja) * 1993-04-05 1996-11-06 有限会社フジカンソー 木材乾燥機
JP2004001237A (ja) * 2002-04-12 2004-01-08 Eno Sangyo Kk 木材の乾燥方法及びその装置
JP2007263409A (ja) * 2006-03-27 2007-10-11 Senju Oishi 木材の熱処理乾燥方法及び装置
KR100945118B1 (ko) 2009-07-06 2010-03-02 (주)건조기술 과열증기를 이용한 목재표면 착색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830725A (zh) * 2015-12-10 2018-03-23 福建省慧通工艺品有限公司 一种木材的烘干方法
CN107830725B (zh) * 2015-12-10 2019-06-11 福建省慧通工艺品有限公司 一种木材的烘干方法
KR101641505B1 (ko) 2016-02-23 2016-07-21 이재웅 목재 건조 기능을 갖는 수액 채취 장치
CN110424033A (zh) * 2019-07-13 2019-11-08 深圳市鑫多邦五金制品有限公司 电镀锌镍工艺中的干燥方法、干燥系统及电镀锌镍工艺
CN110424033B (zh) * 2019-07-13 2022-02-11 深圳市鑫多邦五金制品有限公司 电镀锌镍工艺中的干燥方法、干燥系统及电镀锌镍工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38651B1 (ko) 2013-1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38651B1 (ko) 목재 건조 및 고열처리 장치
US20210059281A1 (en) Facility for thawing or tempering frozen food products
KR101430031B1 (ko) 목재 진공 건조 방법 및 장치
CN104197656B (zh) 一种药品干燥机及药品干燥方法
KR101649095B1 (ko) 마이크로파를 이용한 일체형 목재 건조 및 탄화 장치 및 방법
KR101471471B1 (ko) 목재 건조 및 고열처리 장치
KR101195385B1 (ko) 목재 건조 및 고열처리 장치
KR100695176B1 (ko) 가열 및 냉각 겸용 믹싱 탱크
KR20090100092A (ko) 인삼 증삼기 및 증삼방법
KR101856843B1 (ko) 목재 건조 및 고열처리 장치
KR100948625B1 (ko) 목재 열처리 건조 장치
JP2011094836A (ja) 木材乾燥方法および木材乾燥機
US20170022579A1 (en) Cooling device and multi-chamber heat treatment device
KR101697355B1 (ko) 마이크로파와 폐열 회수를 이용한 에너지 절감형 고효율 하이브리드 목재 건조 및 고열처리 장치
KR101865909B1 (ko) 초단파를 이용한 목재 건조장치
KR101764134B1 (ko) 보조 가열과 폐열 회수를 이용한 에너지 절감형 고효율 하이브리드 목재 건조 및 고열처리 장치
KR101765251B1 (ko) 스팀살균기
KR101320577B1 (ko) 냉동 고추 살균건조기
BG63037B1 (bg) Метод за хидротермално втвърдяване и сушене на формовани тела на калциевохидросиликатна основа и съоръжение за осъществяване на метода
JP2005341834A (ja) 連続式常圧高温殺菌方法及びその装置
JP4362325B2 (ja) 木材乾燥方法及び乾燥装置
KR101764130B1 (ko) 과열증기와 폐열 회수를 이용한 에너지 절감형 고효율 하이브리드 목재 건조 및 고열처리 방법
KR101641505B1 (ko) 목재 건조 기능을 갖는 수액 채취 장치
KR20180043552A (ko) 목재 건조장치 및 건조방법
JP2006349272A (ja) 木材乾燥室内の湿球温度の調整方法および調整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4

Year of fee payment: 4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30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