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72185B1 - 고주파 유도 가열을 이용한 목재 건조 및 고열처리 장치 - Google Patents

고주파 유도 가열을 이용한 목재 건조 및 고열처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72185B1
KR101872185B1 KR1020180057051A KR20180057051A KR101872185B1 KR 101872185 B1 KR101872185 B1 KR 101872185B1 KR 1020180057051 A KR1020180057051 A KR 1020180057051A KR 20180057051 A KR20180057051 A KR 20180057051A KR 101872185 B1 KR101872185 B1 KR 1018721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od
drying chamber
drying
heating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570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손은제
Original Assignee
손은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손은제 filed Critical 손은제
Priority to KR10201800570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7218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21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21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KPROCESSES, APPARATUS OR SELECTION OF SUBSTANCES FOR IMPREGNATING, STAINING, DYEING, BLEACHING OF WOOD OR SIMILAR MATERIALS, OR TREATING OF WOOD OR SIMILAR MATERIALS WITH PERMEANT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EMICAL OR PHYSICAL TREATMENT OF CORK, CANE, REED, STRAW OR SIMILAR MATERIALS
    • B27K3/00Impregnating wood, e.g. impregnation pretreatment, for example puncturing; Wood impregnation aids not directly involved in the impregnation process
    • B27K3/02Processes; Apparatus
    • B27K3/0207Pretreatment of wood before impregnation
    • B27K3/0214Dry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KPROCESSES, APPARATUS OR SELECTION OF SUBSTANCES FOR IMPREGNATING, STAINING, DYEING, BLEACHING OF WOOD OR SIMILAR MATERIALS, OR TREATING OF WOOD OR SIMILAR MATERIALS WITH PERMEANT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EMICAL OR PHYSICAL TREATMENT OF CORK, CANE, REED, STRAW OR SIMILAR MATERIALS
    • B27K5/00Treating of wood not provided for in groups B27K1/00, B27K3/00
    • B27K5/001Hea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02Circulating air or gases in closed cycles, e.g. wholly within the drying enclos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3/0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 F26B3/02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onvection, i.e. heat being conveyed from a heat source to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by a gas or vapour, e.g. air
    • F26B3/04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onvection, i.e. heat being conveyed from a heat source to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by a gas or vapour, e.g. air the gas or vapour circulating over or surrounding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9/00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at rest or with only local agitation; Domestic airing cupboards
    • F26B9/06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at rest or with only local agitation; Domestic airing cupboards in stationary drums or cham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Microbiology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주파 유도 가열을 이용하여 목재의 내부와 외부가 거의 균일하게 건조될 수 있도록 하면서 적재된 목재의 특정 부위를 부분 가열할 수 있어 목재의 건조 및 고열처리가 보다 균일하면서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고 건조챔버의 외부로 배출되는 열기를 재순환시켜 열기의 배출에 따른 에너지의 손실이 저감되도록 하는 고주파 유도 가열을 이용한 목재 건조 및 고열처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장치는 목재(W)가 수용되는 건조챔버(10)와, 상기 건조챔버(10)의 내부에 구비되고 목재(W)가 적재되는 대차(20)와, 상기 건조챔버(10)의 내부면에 설치되고 내부 공기를 가열하는 히터(30)와, 상기 건조챔버(10)의 내부면에 설치되고 내부 공기를 순환시키는 공기순환팬(40)과, 상기 건조챔버(10)와 대차(20)에 설치되고 상기 대차(20)에 적재된 목재(W)를 향해 와전류를 발생시켜 목재(W)를 건조 및 고열처리하는 고주파유도가열부(50)와, 상기 대차(20)에 적재된 목재(W)를 따라 수평으로 이동하면서 목재(W)를 부분적으로 가열할 수 있는 부분가열부(60)와, 상기 건조챔버(10)에 설치되어 상기 건조챔버(10)에서 배출되는 가열된 공기를 상기 건조챔버(10)로 유동시켜 상기 건조챔버(10)를 가열하는 열기재순환부(70)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고주파 유도 가열을 이용한 목재 건조 및 고열처리 장치{APPARATUS FOR DRYING AND HIGH HEAT-TREATING WOOD USING HIGH FREQUENCY INDUCTION HEATING}
본 발명은 목재 건조 및 고열처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고주파 유도 가열을 이용하여 목재의 내부와 외부가 거의 균일하게 건조될 수 있도록 하면서 적재된 목재의 특정 부위를 부분 가열할 수 있어 목재의 건조 및 고열처리가 보다 균일하면서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고 건조챔버의 외부로 배출되는 열기를 재순환시켜 열기의 배출에 따른 에너지의 손실이 저감되도록 하는 고주파 유도 가열을 이용한 목재 건조 및 고열처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목재는 벌목시 수분함량이 상대적으로 높다. 벌목한 목재를 그대로 이용하여 제품을 만들게 되면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제품의 변형이 초래된다. 따라서, 벌목한 목재는 적절한 건조과정을 필요로 한다.
목재의 건조방법으로는 천연 건조와 열기 건조가 있는데, 천연 건조는 건조장에 목재를 쌓아두고, 대기의 온도, 습도와 바람을 이용하여 건조하는 방법으로 시설비가 적게 들고 작업이 비교적 간단하지만, 건조 소요 시간이 길고 넓은 건조장이 필요하며 기건 함수율 이하로는 건조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한편, 열기 건조는 건조실의 온도, 습도와 풍속 등의 건조 조건을 인공적으로 조절하여 건조하는 방법으로 건조 소요 시간이 상대적으로 짧고, 기건 함수율 이하로 건조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목재가 건조 및 고열처리 과정을 거치게 되면, 함수율이 대폭 낮아지면서 수분 흡수력이 낮아지고, 목재를 구성하는 성분 중 세균의 먹이가 되는 헤미셀룰로오스가 분해되어 부패균이 서식하기 어렵게 된다. 이처럼, 목재의 건조 및 고열처리는 목재의 내구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다. 최근에는 목재를 건조 및 고열처리하여 여러 가지 다양한 용도로 사용하고 있다.
목재를 건조 및 고열처리하기 위한 종래의 장치로는, 예를 들어, 전기 히터를 직접 건조챔버의 내에 설치하여 내부공기를 가열하는 장치나, 연소장치로부터 열을 얻는 열풍기를 통하여 가열한 공기를 건조챔버의 내로 주입하는 장치나, 연소장치에서 열매체를 가열한 후에 이를 건조챔버의 내로 주입하여 건조챔버 내의 공기를 간접 가열하는 장치나, 과열증기를 건조챔버의 내로 주입하는 장치 등이 있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종래의 목재 건조 및 고열처리 장치에 의해 건조되는 목재는 그 내부와 외부의 함수율이 유사하거나 동일하게 건조되지 못하고, 특히 목재 내부의 건조가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못하여 건조 후에 할열되거나 표면에 균열이 발생하거나 사용중에 할열되거나 뒤틀리려 변형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건조챔버 내부의 환경이나 목재 자체의 구경에 따라 건조 및 고열처리에 차이가 발생하여 목재의 건조 및 고열처리가 균일하게 이루어지기가 매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목재 건조 중에 진공을 유지하거나 압력 저하를 위해 건조챔버의 내부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면서 열기가 외부로 배출되어 상대적으로 많은 에너지의 손실을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등록특허 제10-1338651호 "목재 건조 및 고열처리 장치"(2013.12.02.)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고주파 유도 가열을 이용하여 목재의 내부와 외부가 거의 균일하게 건조될 수 있도록 하면서 적재된 목재의 특정 부위를 부분 가열할 수 있어 목재의 건조 및 고열처리가 보다 균일하면서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고 건조챔버의 외부로 배출되는 열기를 재순환시켜 열기의 배출에 따른 에너지의 손실이 저감되도록 하는 고주파 유도 가열을 이용한 목재 건조 및 고열처리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고주파 유도 가열을 이용한 목재 건조 및 고열처리 장치"는, 전면에 도어가 설치되고, 내부 선단과 후단에 지지대가 설치되며, 상기 지지대의 상면에 한 쌍의 레일이 설치되고, 상기 지지대의 양측 하부로 상기 레일을 따라 내부면에 한 쌍의 이동로가 설치되며, 목재를 밀폐된 상태로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는 건조챔버와; 상기 레일의 상단에 구비되고, 상면 중앙을 따라 온도센서가 다수개로 설치되며, 상기 레일을 따라 이동되면서 상기 건조챔버의 내부로 삽입되거나 이탈될 수 있으며, 상면에 목재가 적재되는 대차와; 상기 건조챔버의 내부면에 설치되고, 상기 건조챔버의 내부의 공기를 가열하는 히터와; 상기 건조챔버의 내부면에 설치되고, 상기 건조챔버의 내부의 공기를 순환시키는 공기순환팬과; 상기 대차의 상면에 적재되는 목재의 사이에 상하로 상호 이격되게 끼워지고 전원의 공급에 의해 고주파 전류가 유입되면 와전류를 발생시키는 다수의 유도가열전극판과, 상기 유도가열전극판의 후단으로 상기 레일의 끝단 상면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전원연결부재와, 상기 전원연결부재의 전면에 상하로 이격되게 다수개로 형성되고 상기 유도가열전극판이 각각 끼워져 전원이 접속되는 접속소켓부를 포함하는 고주파유도가열부와; 상기 레일의 하면을 수평으로 관통하고 상기 대차와 목재를 둘러싸도록 사각형으로 구비되는 사각프레임과, 상기 사각프레임의 상단 하면과 양 내측면에 각각 설치되고 목재를 향해 열을 가하는 히팅부재와, 상기 사각프레임의 하면에 장착되고 상기 이동로의 상면에 배치되어 상기 이동로를 따라 이동 가능한 한 쌍의 제1 바퀴와, 상기 사각프레임의 하면 중앙에 상면이 부착되는 이동블록과, 상기 이동블록의 하면에 장착되는 다수개의 제2 바퀴와, 상기 제2 바퀴가 내부 상면에 배치되고 상기 이동블록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며 상기 지지대의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이동블록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부재와, 상기 이동블록의 선단과 후단에 각각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도어와 상기 건조챔버의 배면을 관통하여 설치되는 한 쌍의 와이어와, 상기 와이어를 각각 감거나 풀 수 있도록 상기 도어의 외면과 상기 건조챔버의 후단 외면에 각각 설치되는 권취기를 포함하여 상기 목재를 따라 상기 히팅부재를 수평으로 이동시키면서 상기 목재를 부분적으로 가열할 수 있는 부분가열부와; 상기 건조챔버의 내부에서 외부로 연통되게 설치되는 연통관과, 상기 연통관이 입구측에 연결되고 상기 건조챔버의 외부에 설치되는 공기펌프와, 상기 공기펌프의 출구측에 연결되는 배기관과, 상기 배기관의 관로에 설치되는 전환밸브와, 상기 전환밸브에 일단이 연결되는 연결관과, 상기 연결관의 타단에 연결되고 상기 건조챔버를 따라 연속하여 내장되는 열기순환관과, 상기 열기순환관의 타단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건조챔버의 외부로 구비되는 배출관을 포함하여 상기 배기관을 통해 강제로 배출되는 공기를 상기 전환밸브를 통해 상기 연결관으로 전환하여 상기 열기순환관으로 유동시켜 상기 건조챔버를 가열하는 열기재순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고주파 유도 가열을 이용하여 목재의 내부와 외부가 거의 균일하게 건조될 수 있어 목재의 내부와 외부의 불균일한 건조에 따른 목재의 할열이나 뒤틀림이 원활히 방지되고, 적재된 목재의 특정 부위를 부분 가열할 수 있어 목재의 건조 및 고열처리가 보다 균일하면서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며, 건조챔버의 외부로 배출되는 열기를 재순환시켜 열기의 배출에 따른 에너지의 손실이 저감되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목재 건조 및 고열처리 장치의 개략적인 정단면도,
도 2는 도 1의 요부 확대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목재 건조 및 고열처리 장치의 개략적인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목재 건조 및 고열처리 장치의 개략적인 부분 절개 요부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목재 건조 및 고열처리 장치의 고주파유도가열부를 보인 개략적인 요부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목재 건조 및 고열처리 장치의 작동 상태를 보인 개략적인 정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목재 건조 및 고열처리 장치의 작동 상태를 보인 개략적인 측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도시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러나 본 발명은 다수의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기술된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목재 건조 및 고열처리 장치의 개략적인 도면들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고주파 유도 가열을 이용한 목재 건조 및 고열처리 장치는 목재(W)가 수용되는 건조챔버(10)와, 상기 건조챔버(10)의 내부에 구비되고 목재(W)가 적재되는 대차(20)와, 상기 건조챔버(10)의 내부면에 설치되고 내부 공기를 가열하는 히터(30)와, 상기 건조챔버(10)의 내부면에 설치되고 내부 공기를 순환시키는 공기순환팬(40)과, 상기 건조챔버(10)와 대차(20)에 설치되고 상기 대차(20)에 적재된 목재(W)를 향해 와전류를 발생시켜 목재(W)를 건조 및 고열처리하는 고주파유도가열부(50)와, 상기 대차(20)에 적재된 목재(W)를 따라 수평으로 이동하면서 목재(W)를 부분적으로 가열할 수 있는 부분가열부(60)와, 상기 건조챔버(10)에 설치되어 상기 건조챔버(10)에서 배출되는 가열된 공기를 상기 건조챔버(10)로 유동시켜 상기 건조챔버(10)를 가열하는 열기재순환부(70)를 포함한다.
상기 건조챔버(10)는 중공된 원통형의 구조물로써 전면에 도어(11)가 설치되고 내부 선단과 후단에 지지대(12)가 설치되며 상기 지지대(12)의 상면에 한 쌍의 레일(13)이 설치되고 상기 지지대(12)의 양측 하부로 상기 레일(13)을 따라 내부면에 한 쌍의 이동로(14)가 설치되는 것으로, 목재(W)를 밀폐된 상태로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도어(11)는 상기 건조챔버(10)의 전면을 개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고, 상기 지지대(12)는 상기 레일(13)이 상기 건조챔버(10)의 내부 하면에서 상부측으로 이격된 상태로 설치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레일(13)은 상기 대차(20)가 수평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고, 상기 이동로(14)는 상기 부분가열부(60)의 부품이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장소를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대차(20)는 상기 레일(13)의 상단에 구비되고 상면 중앙을 따라 온도센서(21)가 다수개로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레일(13)을 따라 이동되면서 상기 건조챔버(10)의 내부로 삽입되거나 이탈될 수 있으며 상면에 목재(W)가 적재되는 장소를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온도센서(21)는 상기 대차(20)의 상면에 적재된 목재(W)의 온도를 각 부분별로 감지하는 공지의 것으로, 이렇게 감지된 목재(W)의 온도 정보를 통해 가열이 상대적으로 적게 이루어진 목재(W)의 부위를 판별하고 이 부분을 상기 부분가열부(60)를 통해 가열하여 목재(W)가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건조 및 열처리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히터(30)는 상기 건조챔버(10)의 내부면에 설치되는 것으로, 전원의 공급에 의해 가열되면서 상기 건조챔버(10)의 내부의 공기를 가열하여 목재(W)의 외부가 가열되면서 건조 및 고열처리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공기순환팬(40)은 상기 건조챔버(10)의 내부면에 설치되는 것으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의 공급에 의해 구동되면서 상기 건조챔버(10)의 내부의 공기를 순환시켜 상기 건조챔버(10)의 내부가 대략 균일한 온도를 가지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고주파유도가열부(50)는 상기 대차(20)에 적재된 목재(W)의 내부를 고주파 유도 가열로 건조 및 고열처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상기 고주파유도가열부(50)는 상기 대차(20)의 상면에 적재되는 목재의 사이에 상하로 상호 이격되게 끼워지고 전원의 공급에 의해 고주파 전류가 유입되면 와전류를 발생시키는 다수의 유도가열전극판(51)과, 상기 유도가열전극판(51)의 후단으로 상기 레일(13)의 끝단 상면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전원연결부재(52)와, 상기 전원연결부재(52)의 전면에 상하로 이격되게 다수개로 형성되고 상기 유도가열전극판(51)이 각각 끼워져 전원이 접속되는 접속소켓부(53)를 포함한다.
상기 유도가열전극판(51)은 유도코일이 내장된 평판형 전극판으로 고주파 전류가 흐르면 와전류를 발생시키고 이러한 와전류의 손실에 의해 목재(W)의 내부가 가열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상기 유도가열전극판(51)은 도 1과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개가 상하로 이격되게 목재(W)의 사이에 끼워져 설치된다.
상기 전원연결부재(52)는 상기 접속소켓부(53)가 설치되는 장소를 제공하면서 상기 접속소켓부(53)와 유도가열전극판(51)이 손쉽게 접속되어 전원이 연결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접속소켓부(53)는 상기 목재(W)의 사이에 상기 유도가열전극판(51)이 끼워진 상태로 상기 대차(20)가 상기 건조챔버(10)의 내부에서 후방으로 이동하면 자연스럽게 상기 유도가열전극판(51)이 상기 접속소켓부(53)에 끼워지면서 전원이 연결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상기 목재(W)는 상기 접속소켓부(53)와 접속소켓부(53)의 이격된 간격과 일치하는 두께로 제재된 것을 사용하게 된다.
상기 부분가열부(60)는 상기 레일(13)의 하면을 수평으로 관통하고 상기 대차(20)와 목재(W)를 둘러싸도록 사각형으로 구비되는 사각프레임(61)과, 상기 사각프레임(61)의 상단 하면과 양 내측면에 각각 설치되고 목재(W)를 향해 열을 가하는 히팅부재(62)와, 상기 사각프레임(61)의 하면에 장착되고 상기 이동로(14)의 상면에 배치되어 상기 이동로(14)를 따라 이동 가능한 한 쌍의 제1 바퀴(63)와, 상기 사각프레임(61)의 하면 중앙에 상면이 부착되는 이동블록(64)과, 상기 이동블록(64)의 하면에 장착되는 다수개의 제2 바퀴(65)와, 상기 제2 바퀴(65)가 내부 상면에 배치되고 상기 이동블록(64)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며 상기 지지대(12)의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이동블록(64)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부재(66)와, 상기 이동블록(64)의 선단과 후단에 각각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도어(11)와 상기 건조챔버(10)의 배면을 관통하여 설치되는 한 쌍의 와이어(67)와, 상기 와이어(67)를 각각 감거나 풀 수 있도록 상기 도어(11)의 외면과 상기 건조챔버(10)의 후단 외면에 각각 설치되는 권취기(68)를 포함한다.
상기 부분가열부(60)는 도 4와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여 상기 목재(W)를 따라 상기 히팅부재(62)를 수평으로 이동시키면서 가열이 상대적으로 덜 되었거나 온도가 낮은 상기 목재(W)의 부위를 부분적으로 가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부분가열부(60)는 상기 한 쌍의 권취기(68)를 동시에 한 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와이어(67)를 일방향으로 당김으로써 상기 와이어(67)에 의해 상기 이동블록(64)이 상기 가이드부재(66)를 따라 이동하게 되고, 그에 따라 상기 사각프레임(61)과 이에 설치된 상기 히팅부재(62)가 이동되면서 목재(W)의 특정 부분을 선택적으로 가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사각프레임(61)은 상기 히팅부재(62)가 설치되는 장소를 제공하면서 상기 이동블록(64)에 부착되는 부위를 제공하는 역할을 하고, 상기 히팅부재(62)는 전원의 공급에 의해 가열되는 열선이나 열판으로 이루어져 목재(W)를 부분적으로 가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제1 바퀴(63)는 상기 이동로(14)를 따라 상기 사각프레임(61)이 보다 원활하게 수평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하는 공지의 것이고, 상기 이동블록(64)은 상기 사각프레임(61)이 설치되는 장소를 제공하면서 상기 사각프레임(61)을 지지하여 수평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제2 바퀴(65)는 상기 가이드부재(66)의 내부면을 따라 상기 이동블록(64)이 보다 원활하게 수평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하는 공지의 것이고, 상기 가이드부재(66)는 상기 이동블록(64)의 수평이동을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와이어(67)는 상기 권취기(68)에 의해 감기거나 풀리면서 상기 이동블록(64)을 수평으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하고, 상기 권취기(68)는 상기 와이어(67)를 감아서 당기거나 풀어내는 공지의 장비이다.
상기 열기재순환부(70)는 상기 건조챔버(10)의 내부에서 외부로 연통되게 설치되는 연통관(71)과, 상기 연통관(71)이 입구측에 연결되고 상기 건조챔버(10)의 외부에 설치되는 공기펌프(72)와, 상기 공기펌프(72)의 출구측에 연결되는 배기관(73)과, 상기 배기관(73)의 관로에 설치되는 전환밸브(74)와, 상기 전환밸브(74)에 일단이 연결되는 연결관(75)과, 상기 연결관(75)의 타단에 연결되고 상기 건조챔버(10)를 따라 연속하여 내장되는 열기순환관(76)과, 상기 열기순환관(76)의 타단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건조챔버(10)의 외부로 구비되는 배출관(77)을 포함한다.
상기 열기재순환부(7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배기관(73)을 통해 강제로 배출되는 공기를 상기 전환밸브(74)를 통해 상기 연결관(75)으로 전환하여 상기 열기순환관(76)으로 유동시킨 후에 상기 배출관(77)을 통해 외부로 배출시켜 폐기되는 고온의 공기를 재활용하여 상기 건조챔버(10)를 가열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상기 열기순환관(76)은 상기 건조챔버(10)의 벽체의 내부를 따라 통상 지그재그 형태로 상기 건조챔버(10)의 내주면을 따라 에 전체적으로 배치된다.
이와 같이 상기 열기재순환부(70)를 통해 상기 건조챔버(10)에서 외부로 배출되어 폐기되는 고온의 공기를 상기 건조챔버(10)의 내부로 유도하여 순환시키면서 상기 건조챔버(10) 자체를 가열하여 상기 히터(30)와 상기 고주파유도가열부(50)에 의한 상기 건조챔버(10)의 내부 공기와 목재(W)의 가열시에 에너지의 절감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물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를 적절히 변형하여 동일하게 응용할 수 있음이 명확하다. 따라서 상기 기재 내용은 하기 특허청구범위의 한계에 의해 정해지는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을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하다할 것이다.
10 : 건조챔버
11 : 도어 12 : 지지대
13 : 레일 14 : 이동로
20 : 대차
21 : 온도센서
30 : 히터
40 : 공기순환팬
50 : 고주파유도가열부
51 : 유도가열전극판 52 : 전원연결부재
53 : 접속소켓부
60 : 부분가열부
61 : 사각프레임 62 : 히팅부재
63 : 제1 바퀴 64 : 이동블록
65 : 제2 바퀴 66 : 가이드부재
67 : 와이어 68 : 권취기
70 : 열기재순환부
71 : 연통관 72 : 공기펌프
73 : 배기관 74 : 전환밸브
75 : 연결관 76 : 열기순환관
77 : 배출관
W : 목재

Claims (1)

  1. 전면에 도어(11)가 설치되고, 내부 선단과 후단에 지지대(12)가 설치되며, 상기 지지대(12)의 상면에 한 쌍의 레일(13)이 설치되고, 상기 지지대(12)의 양측 하부로 상기 레일(13)을 따라 내부면에 한 쌍의 이동로(14)가 설치되며, 목재를 밀폐된 상태로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는 건조챔버(10)와;
    상기 레일(13)의 상단에 구비되고, 상면 중앙을 따라 온도센서(21)가 다수개로 설치되며, 상기 레일(13)을 따라 이동되면서 상기 건조챔버(10)의 내부로 삽입되거나 이탈될 수 있으며, 상면에 목재가 적재되는 대차(20)와;
    상기 건조챔버(10)의 내부면에 설치되고, 상기 건조챔버(10)의 내부의 공기를 가열하는 히터(30)와;
    상기 건조챔버(10)의 내부면에 설치되고, 상기 건조챔버(10)의 내부의 공기를 순환시키는 공기순환팬(40)과;
    상기 대차(20)의 상면에 적재되는 목재의 사이에 상하로 상호 이격되게 끼워지고 전원의 공급에 의해 고주파 전류가 유입되면 와전류를 발생시키는 다수의 유도가열전극판(51)과, 상기 유도가열전극판(51)의 후단으로 상기 레일(13)의 끝단 상면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전원연결부재(52)와, 상기 전원연결부재(52)의 전면에 상하로 이격되게 다수개로 형성되고 상기 유도가열전극판(51)이 각각 끼워져 전원이 접속되는 접속소켓부(53)를 포함하는 고주파유도가열부(50)와;
    상기 레일(13)의 하면을 수평으로 관통하고 상기 대차(20)와 목재를 둘러싸도록 사각형으로 구비되는 사각프레임(61)과, 상기 사각프레임(61)의 상단 하면과 양 내측면에 각각 설치되고 목재를 향해 열을 가하는 히팅부재(62)와, 상기 사각프레임(61)의 하면에 장착되고 상기 이동로(14)의 상면에 배치되어 상기 이동로(14)를 따라 이동 가능한 한 쌍의 제1 바퀴(63)와, 상기 사각프레임(61)의 하면 중앙에 상면이 부착되는 이동블록(64)과, 상기 이동블록(64)의 하면에 장착되는 다수개의 제2 바퀴(65)와, 상기 제2 바퀴(65)가 내부 상면에 배치되고 상기 이동블록(64)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며 상기 지지대(12)의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이동블록(64)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부재(66)와, 상기 이동블록(64)의 선단과 후단에 각각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도어(11)와 상기 건조챔버(10)의 배면을 관통하여 설치되는 한 쌍의 와이어(67)와, 상기 와이어(67)를 각각 감거나 풀 수 있도록 상기 도어(11)의 외면과 상기 건조챔버(10)의 후단 외면에 각각 설치되는 권취기(68)를 포함하여 상기 목재를 따라 상기 히팅부재(62)를 수평으로 이동시키면서 상기 목재를 부분적으로 가열할 수 있는 부분가열부(60)와;
    상기 건조챔버(10)의 내부에서 외부로 연통되게 설치되는 연통관(71)과, 상기 연통관(71)이 입구측에 연결되고 상기 건조챔버(10)의 외부에 설치되는 공기펌프(72)와, 상기 공기펌프(72)의 출구측에 연결되는 배기관(73)과, 상기 배기관(73)의 관로에 설치되는 전환밸브(74)와, 상기 전환밸브(74)에 일단이 연결되는 연결관(75)과, 상기 연결관(75)의 타단에 연결되고 상기 건조챔버(10)를 따라 연속하여 내장되는 열기순환관(76)과, 상기 열기순환관(76)의 타단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건조챔버(10)의 외부로 구비되는 배출관(77)을 포함하여 상기 배기관(73)을 통해 강제로 배출되는 공기를 상기 전환밸브(74)를 통해 상기 연결관(75)으로 전환하여 상기 열기순환관(76)으로 유동시켜 상기 건조챔버(10)를 가열하는 열기재순환부(7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주파 유도 가열을 이용한 목재 건조 및 고열처리 장치.
KR1020180057051A 2018-05-18 2018-05-18 고주파 유도 가열을 이용한 목재 건조 및 고열처리 장치 KR1018721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7051A KR101872185B1 (ko) 2018-05-18 2018-05-18 고주파 유도 가열을 이용한 목재 건조 및 고열처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7051A KR101872185B1 (ko) 2018-05-18 2018-05-18 고주파 유도 가열을 이용한 목재 건조 및 고열처리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72185B1 true KR101872185B1 (ko) 2018-06-27

Family

ID=627898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7051A KR101872185B1 (ko) 2018-05-18 2018-05-18 고주파 유도 가열을 이용한 목재 건조 및 고열처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72185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84736A (ko) * 2009-01-19 2010-07-28 김근목 자동 스크린 평면 날염기용 건조기
KR20120017776A (ko) * 2010-08-20 2012-02-29 원영식 방독면 세척 건조장치
KR101338651B1 (ko) 2011-11-17 2013-12-09 문중묵 목재 건조 및 고열처리 장치
KR20140036753A (ko) * 2012-09-18 2014-03-26 희성소재 (주) 정제용 튜브의 세척장치 및 세척방법
KR20150139238A (ko) * 2014-06-03 2015-12-11 (주)중앙하이프론 와이어 코팅 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84736A (ko) * 2009-01-19 2010-07-28 김근목 자동 스크린 평면 날염기용 건조기
KR20120017776A (ko) * 2010-08-20 2012-02-29 원영식 방독면 세척 건조장치
KR101338651B1 (ko) 2011-11-17 2013-12-09 문중묵 목재 건조 및 고열처리 장치
KR20140036753A (ko) * 2012-09-18 2014-03-26 희성소재 (주) 정제용 튜브의 세척장치 및 세척방법
KR20150139238A (ko) * 2014-06-03 2015-12-11 (주)중앙하이프론 와이어 코팅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5808045U (zh) 一种高效纺织用烘干箱
KR101649095B1 (ko) 마이크로파를 이용한 일체형 목재 건조 및 탄화 장치 및 방법
US20040187341A1 (en) Timber drying kiln
CN110877391B (zh) 一种连续式木材改性热处理工艺及系统
KR101471471B1 (ko) 목재 건조 및 고열처리 장치
CN206490132U (zh) 电池极片加热干燥装置
KR101856843B1 (ko) 목재 건조 및 고열처리 장치
KR101977658B1 (ko) 변압기용 권선조립체의 건조장치
KR101872185B1 (ko) 고주파 유도 가열을 이용한 목재 건조 및 고열처리 장치
KR101697355B1 (ko) 마이크로파와 폐열 회수를 이용한 에너지 절감형 고효율 하이브리드 목재 건조 및 고열처리 장치
KR101764134B1 (ko) 보조 가열과 폐열 회수를 이용한 에너지 절감형 고효율 하이브리드 목재 건조 및 고열처리 장치
KR20160145291A (ko) 농수산물 복합 건조장치
CN214333304U (zh) 一种用于电机绝缘膜固化的烘干装置
CN212806256U (zh) 一种小型物资烘干房
CN207894160U (zh) 一种新型烘干效果更好的烘箱
CN211688814U (zh) 一种用于玻璃加工的预热炉
JP4362325B2 (ja) 木材乾燥方法及び乾燥装置
US2356834A (en) Yarn drying apparatus
CN208332897U (zh) 一种蛹虫草烘干装置
CN207095234U (zh) 一种化工用微波干燥器
JP3602488B2 (ja) 木材の乾燥方法及びその装置
CN216384841U (zh) 一种热风循环加热的漆包线烘干炉
CN211575788U (zh) 一种电缆地转盘烘干系统
JP2006044135A (ja) 木材乾燥装置および木材乾燥方法
CN211575787U (zh) 一种电缆地转盘蒸汽循环烘干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