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45291A - 농수산물 복합 건조장치 - Google Patents

농수산물 복합 건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45291A
KR20160145291A KR1020150081650A KR20150081650A KR20160145291A KR 20160145291 A KR20160145291 A KR 20160145291A KR 1020150081650 A KR1020150081650 A KR 1020150081650A KR 20150081650 A KR20150081650 A KR 20150081650A KR 20160145291 A KR20160145291 A KR 201601452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ying
agricultural
carriage
dryer
heating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816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태영
한병호
Original Assignee
김태영
한병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태영, 한병호 filed Critical 김태영
Priority to KR10201500816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145291A/ko
Publication of KR201601452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4529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0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 A23L3/4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by drying or kilning; Subsequent reconstitu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ING, e.g. BY CANNING, MEAT, FISH, EGGS, FRUIT, VEGETABLES, EDIBLE SEED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THE PRESERVED, RIPENED, OR CANNED PRODUCTS
    • A23B4/00General methods for preserving meat, sausages, fish or fish products
    • A23B4/03Drying; Subsequent reconstitu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ING, e.g. BY CANNING, MEAT, FISH, EGGS, FRUIT, VEGETABLES, EDIBLE SEED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THE PRESERVED, RIPENED, OR CANNED PRODUCTS
    • A23B7/00Preservation or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 A23B7/02Dehydrating; Subsequent reconstitu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02Circulating air or gases in closed cycles, e.g. wholly within the drying enclos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3/00Heating arrangements
    • F26B23/04Heating arrangements using electric hea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5/00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not covered by group F26B21/00 or F26B23/00
    • F26B25/06Chambers, containers, or receptacles
    • F26B25/14Chambers, containers, receptacles of simple construction
    • F26B25/18Chambers, containers, receptacles of simple construction mainly open, e.g. dish, tray, pan, rack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5/00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not covered by group F26B21/00 or F26B23/00
    • F26B25/20Roll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 Y02P60/80Food processing, e.g. use of renewable energies or variable speed drives in handling, conveying or stacking
    • Y02P60/85Food storage or conservation, e.g. cooling or dry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농산물이나 수산물을 채취하는 현장에서 다수의 채반과 발열패널이 순차로 적층된 대차에 적재하여 일차적으로 건조한 후 내측 벽면에 발열패널이 부착된 건조실로 이동시켜 재차 건조하게 됨에 따라, 채취후 대기시간을 최소화하여 신선하고 청결한 건조식품을 생산하게 됨과 아울러 건조가공에 따른 전력을 절감할 수 있게 한 농수산물 복합 건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즉, 농산물이나 수산물을 채취하는 현장에서 대차에서 일차적인 건조과정을 거친 후 건조기로 이동시켜 건조를 마무리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대차는 이동이 용이하게 저면에 다리바퀴를 갖춘 직육면체의 프레임으로 구성하되 상기 프레임의 수직방향에는 농수산물이 적재되게 다공체의 판으로 된 채반과 각 채반의 저면에 근접되어 열을 발산하는 면상발열판을 다층으로 중복하여 적층되게 다수의 가이드레일이 형성되며, 상기 대차를 수용할 수 있도록 전면에 도어가 구비된 건조기의 내부벽면에는 열을 발산하게 되는 다수의 면상발열판을 설치하 건조기의 상부에는 외부에서 공기를 흡입하여 순환되게 한 후 실외로 배기시키는 송풍기가 설치된 것이다.

Description

농수산물 복합 건조장치{Compound drying apparatus for agricultural and marineproducts}
본 발명은 농수산물 복합 건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농산물이나 수산물을 채취하는 현장에서 다수의 채반과 발열패널이 순차로 적층된 대차에 적재하여 일차적으로 건조한 후 내측 벽면에 발열패널이 부착된 건조실로 이동시켜 재차 건조하게 됨에 따라, 채취후 대기시간을 최소화하여 신선하고 청결한 건조식품을 생산하게 됨과 아울러 건조가공에 따른 전력을 절감할 수 있게 한 농수산물 복합 건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다량의 수분이 함유된 농산물 및 수산물에 식품첨가물이나 다른 원료를 사용하지 아니한 채 위해발생의 우려가 없으면서 장기간 보관 또는 유통하기 위한 수단으로 건조가공 방법이 주종을 이루고 있다.
상기 건조가공을 자연광에 의존하는 경우에는 전기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는 장점이 있었으나, 비가 오거나 일조량이 부족한 경우에는 건조를 제대로 할 수 없는 제약이 있었으므로, 날씨에 구애됨이 없이 위생적이고 안전한 상태로 건조하기 위하여 증숙기와 건조기 등의 기계설비를 갖춘 건조장치가 널리 보급되어 있다.
종래에 농수산물 건조장치의 일 예로 공개된 등록실용신안 제20-0293445호에 의하면, 열교환기의 가열연소가스가 지나가는 경로를 연통 하나하나씩 지나가도록 하여 연소열의 체류기간을 길게 함과 아울러 열교환기의 연통관내에 꽈배기 형태로 꼬인 와류생성편을 설치하여 연통관을 통과하는 연소열이 와류되도록 한 구성으로 연통관 외면에 열전달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며, 건조실은 건조공간에 건조채반을 다단으로 거치시키되 하단부 채반에는 하부에서만 열풍이 공급되고 상단부 채반에는 하부 및 측부에서 각각 열풍을 공급받게 구성하여 채반에 공급되는 전체적인 건조공간의 열풍압력 편차를 크게 줄일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러므로, 건조실로 열풍을 공급하는 열교환기의 열풍효율이 높고 건조실의 전체공간에 균등한 열풍을 공급 할 수 있도록 하여 건조효율을 향상되도록 한 것이나, 상기 기술은 열교환기의 구조가 복잡하고 전기와 가스를 열원으로 하게 되므로 에너지의 소모량이 가중되어 설치비와 운전비용이 막대하게 소요되는 비경제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본 발명의 공동출원인이 제안한 바 있는 등록특허 제10-0996301호는, 탄소섬유사를 이용하여 면상발열판을 제작한 후 그 면상발열판을 수용하는 공간에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공기 유입구와 유입된 공기를 외부로 송풍시키는 공기 유출구를 구비한 열풍기를 구성함으로써, 적은 전력으로도 고온의 열원을 얻을 수 있게 하여 전기료를 절감하고 효율적으로 난방 또는 건조를 하게 된 것이다.
그러나 상기 열교환기에서 발생되는 연소열풍을 연통관을 통해 공급하여 농수산물을 건조하게 된 장치와 면상발열체를 열원으로 하는 열풍기 등은 건조실의 일측에서 발생된 열을 강제로 순환되게 한 구조이므로, 비록 열이 순환되는 통로를 확보한 상태라 하더도 채반에 쌓인 농수산물로 인하여 열이 적체되거나 열공급에 편차가 발생될 경우 건조상태가 불균일해지거나 불량하게 되면서 상품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종래의 건조장치는 농수산물을 채취하는 현장으로부터 멀리 떨어진 장소에 위치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므로, 습도와 기온이 높은 우천시에는 채취된 농수산물을 건조장치까지 운반하는데 따른 시간이 지연될 수밖에 없었으므로 그 지연시간에 비례하는 만큼 농수산물이 변질 또는 부패되는 사례가 빈번하였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은 종래의 열풍을 이용한 건조장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발명한 것으로, 그 목적은 농산물이나 수산물을 채취하는 현장에서 이동대차에 적재하여 일차적으로 건조한 후 내측벽면에 발열패널이 부착된 건조실로 대차를 이동시켜 재차 건조하여 건조가공을 신속하게 함과 아울러 신선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농수산물 복합 건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농산물이나 수산물을 채취하는 현장에서 대차에서 일차적인 건조과정을 거친 후 건조기로 이동시켜 건조를 마무리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대차는 이동이 용이하게 저면에 다리바퀴를 갖춘 직육면체의 프레임으로 구성하되 상기 프레임의 수직방향에는 농수산물이 적재되게 다공체의 판으로 된 채반과 각 채반의 저면에 근접되어 열을 발산하는 면상발열판을 다층으로 중복하여 적층되게 다수의 가이드레일이 형성되며, 상기 대차를 수용할 수 있도록 전면에 도어가 구비된 건조기의 내부벽면에는 열을 발산하게 되는 다수의 면상발열판을 설치하 건조기의 상부에는 외부에서 공기를 흡입하여 순환되게 한 후 실외로 배기시키는 송풍기가 설치된 구성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농수산물 복합 건조장치는 대차에서 면상발열판의 발열동작에 의해 인위적으로 건조가 이루어지는 과정에 대기나 자연광이 동시에 가해지면서 건조를 하게 됨으로써 건조효율이 더욱 높게 되며, 특히 선도유지가 필수적인 수산물의 경우는 어선이나 부두에서 일차적인 건조가 가능하므로 부패나 변질로 인한 손실을 줄이게 됨과 아울러 양질의 상품으로 건조를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면상발열판(40)의 발열동작에 의해 대차에서 일차적으로 건조를 거친 후 건조기의 내부로 대차를 진입되게 하여 원하는 정도로 건조를 마무리하게 됨으로써, 코일 또는 도선 등의 발열체에 비해 전력소모가 현저히 저감되어 전력낭비를 방지하게 되고, 대차에서 일차적인 건조를 거처 선택적으로 건조기에서 재차 건조를 하는 과정에 건조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농수산물 복합 건조장치의 분리상태를 나태낸 사시도,
도 2는 상기 농수산물 복합 건조장치의 대차를 발췌하여 이에 적층되는 채반과 면상발열판을 분리한 사시도,
도 3a 내지 3c는 상기 농수산물 복합 건조장치에 구비된 면상발열판을 구체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농수산물 복합 건조장치의 내부를 나타낸 정면구성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농수산물 복합 건조장치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농수산물 복합 건조장치의 분리상태와 그 대차를 발췌하여 이에 적층되는 채반과 발열판을 분리하여 나타낸 사시도로서, 본 발명은 농산물이나 수산물을 채취하는 현장에서 발열기능을 갖춘 대차(10)에서 일차적인 건조과정을 거친 후 그 대차를 밀폐구조의 건조기(20)로 이동시켜 건조를 마무리하게 된 것이다.
상기 대차(10)는 이동이 용이하게 저면에 다리바퀴(12)를 갖춘 직육면체의 프레임(11)으로 구성되고, 상기 프레임의 수직방향에는 농수산물이 적재되게 다공체의 판으로 된 채반(30)과 각 채반의 저면에 근접되어 열을 발산하는 면상발열판(40)을 다층으로 중복하여 적층되게 다수의 가이드레일(13)이 형성되어 있다.
각 가이드레일(13)은 적층되는 채반(30)과 면상발열판(40)의 양측면을 지지하면서 탈착이 용이하도록 프레임(11)의 양측에서 서로 마주하도록 한 쌍으로 구성되고, 이때 상기 면상발열판(40)을 지지하는 각 가이드레일(13)의 사이에는 면상발열판을 지탱하는 지지대(14)가 연결되어 있다.
건조기(20)는 그 내부에 대차(10)를 수용할 수 있도록 전면에 도어(21)가 구비되고, 상기 도어의 내측면을 포함한 건조기의 내부벽면에는 열을 발산하게 되는 다수의 면상발열판(40)이 설치되며, 건조기의 상부에는 외부에서 공기를 흡입하여 순환되게 한 후 실외로 배기시키는 송풍기(22)가 설치되어 있다.
도 3a 내지 3c는 상기 농수산물 복합 건조장치에 구비된 면상발열판을 구체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상기 면상발열판(40)은 탄소섬유가 함침되게 제작된 면상발열지(41)의 양측 가장자리에 전기를 공급하는 전극인 금속박판(42)을 대칭으로 부착한 후(도 3a 참조) 그 양측 표면을 투명 또는 반투명의 절연시트(43)로 감싸지게 접합하며(도 3b 참조), 상기 양측 금속박판(42)에는 절연상태를 유지되게 전선(44)을 각각 용접한 구조로 되어 있다.
즉, 면상발열판(40)은 전선(44)을 통하여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전기가 절연시트(43)로 감싸져 있는 양측의 금속박판(42)에 인가될 때 전도체인 탄소섬유가 함침된 면상발열지(41)에서 전기적 저항에 의한 발열동작이 이루어지며, 이때 면상발열판(40)의 외부로 인출된 전선(44)은 통상적인 컨트롤박스에 접속되게 하여 안정적으로 전기를 공급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면상발열판(40)이 설치되는 대차(10)의 프레임(11)과 건조기(20)에는 각 면상발열판(40)의 전선(40)에 전기공급을 원활히 하면서 용이하게 탈착시킬 수 있도록 절연상태로 접속되는 커넥터(도시하지 않음)가 구비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농수산물을 채취하는 현장에 근접되게 프레임(11)에 다수의 채반(30)과 면상발열판(40)이 중복하여 적층된 대차(10)를 대기시킨 상태에서 각 면상발열판(40)에 전기를 공급하여 발열되게 함으로써, 농수산물을 채취하는 즉시 채반(30)에 적재하여 발열동작이 이루어지는 면상발열판(40)에 의해 건조를 하게 된다.
상기 대차(10)에서 면상발열판(40)의 발열동작에 의해 인위적으로 건조가 이루어지는 과정에 대기나 자연광이 동시에 가해질 경우 건조효율이 더욱 높게 되며, 특히 선도유지가 필수적인 수산물의 경우는 어선이나 부두에서 일차적인 건조가 가능하므로 부패나 변질로 인한 손실을 줄이게 됨과 아울러 양질의 상품으로 건조를 할 수 있는 것이다.
대차(10)에서 일차적으로 건조를 거친 농수산물을 건조상태에 따라 재차 건조를 할 경우, 건조기(20)의 내부로 대차(10)를 진입되게 한 후 도어(21)를 닫은 상태에서 도어의 내측면 및 건조기의 내부벽면에 설치된 면상발열판(40)을 발열동작되게 하면서 송풍기(22)에 의해 공기를 강제로 순환되게 하여 원하는 정도로 건조를 마무리하게 된다.
상기 대차(10) 및 건조기(20)에 설치된 각 면상발열판(40)은 코일 또는 도선 등의 발열체에 비해 전력소모가 현저히 저감되어 전력낭비를 방지하게 되고, 대차에서 일차적인 건조를 거처 선택적으로 건조기에서 재차 건조를 하는 과정에 건조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것이다.
10 : 대차 11 : 프레임
12 : 다리바퀴 13 : 가이드레일
14 : 지지대
20 : 건조기 21 : 도어
22 : 송풍기
30 : 채반
40 : 면상발열판 41 : 면상발열지
42 : 금속박판 43 : 절연시트
44 : 전선

Claims (2)

  1. 농산물이나 수산물을 채취하는 현장에서 대차(10)에서 일차적인 건조과정을 거친 후 건조기(20)로 이동시켜 건조를 마무리하게 된 것에 있어서,
    상기 대차(10)는 이동이 용이하게 저면에 다리바퀴(12)를 갖춘 직육면체의 프레임(11)으로 구성되고, 상기 프레임의 수직방향에는 농수산물이 적재되게 다공체의 판으로 된 채반(30)과 각 채반의 저면에 근접되어 열을 발산하는 면상발열판(40)을 다층으로 중복하여 적층되게 다수의 가이드레일(13)이 형성되며,
    상기 대차(10)를 수용할 수 있도록 전면에 도어(21)가 구비된 건조기(20)의 내부벽면에는 열을 발산하게 되는 다수의 면상발열판(40)이 설치되며, 건조기의 상부에는 외부에서 공기를 흡입하여 순환되게 한 후 실외로 배기시키는 송풍기(22)가 설치된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농수산물 복합 건조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면상발열판(40)은 탄소섬유가 함침되게 제작된 면상발열지(41)의 양측 가장자리에 전기를 공급하는 전극인 금속박판(42)을 대칭으로 부착한 후 그 양측 표면을 투명 또는 반투명의 절연시트(43)로 감싸지게 접합하며, 상기 양측 금속박판(42)에는 절연상태를 유지되게 전선(44)을 각각 용접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수산물 복합 건조장치.
KR1020150081650A 2015-06-10 2015-06-10 농수산물 복합 건조장치 KR2016014529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1650A KR20160145291A (ko) 2015-06-10 2015-06-10 농수산물 복합 건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1650A KR20160145291A (ko) 2015-06-10 2015-06-10 농수산물 복합 건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5291A true KR20160145291A (ko) 2016-12-20

Family

ID=577343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81650A KR20160145291A (ko) 2015-06-10 2015-06-10 농수산물 복합 건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145291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269659A (zh) * 2018-01-19 2018-07-10 储昭义 一种设置有刮水套的电缆干燥装置
KR102177154B1 (ko) * 2020-03-30 2020-11-10 이연희 건조 효율성이 향상된 육포 건조 장치
CN115200350A (zh) * 2022-07-23 2022-10-18 天长市洪源粮油有限公司 基于升降式可对表面残留物料清除的面粉存放装置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269659A (zh) * 2018-01-19 2018-07-10 储昭义 一种设置有刮水套的电缆干燥装置
KR102177154B1 (ko) * 2020-03-30 2020-11-10 이연희 건조 효율성이 향상된 육포 건조 장치
CN115200350A (zh) * 2022-07-23 2022-10-18 天长市洪源粮油有限公司 基于升降式可对表面残留物料清除的面粉存放装置
CN115200350B (zh) * 2022-07-23 2023-07-07 天长市洪源粮油有限公司 基于升降式可对表面残留物料清除的面粉存放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2274726U (zh) 网带干燥机
KR101191950B1 (ko) 농수산물의 열풍 건조장치
KR20160145291A (ko) 농수산물 복합 건조장치
CN206369426U (zh) 一种用于烘箱的循环式环保供风装置
KR100665659B1 (ko) 열풍순환식 농작물 건조장치
CN202382528U (zh) 一种木材烘干设备
CN207113530U (zh) 假发干燥箱
CN111218855B (zh) 一种纸浆模塑烘干生产线及烘干工艺
CN205138099U (zh) 一种烘干灶
CN102273719B (zh) 薄层快速组合加热蔬菜脱水工艺及设备
CN102823925A (zh) 双层链板蔬菜脱水机
KR101925759B1 (ko) 대용량 건조고추 생산설비
CN206847252U (zh) 一种生物有机肥用烘干箱
CN206787202U (zh) 一种多层电加热式瓜蒌烘干设备
CN211346236U (zh) 一种多功能烘干设备
CN102305521A (zh) 一种热风循环烘箱
CN205878780U (zh) 一种轨道式高效烘房
KR101161833B1 (ko) 고추건조기
CN204286029U (zh) 一种上下吹风式烘干机
CN210832950U (zh) 一种多功能层烘干固化设备
CN204255025U (zh) 一种网带式烘干炉
CN204286014U (zh) 一种新型烘干机
CN102425922B (zh) 一种高洁净度电镀板烘干装置
CN207610514U (zh) 一种茶叶每层加热茶叶烘干机
CN206593399U (zh) 一种高效的干燥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