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36753A - 정제용 튜브의 세척장치 및 세척방법 - Google Patents

정제용 튜브의 세척장치 및 세척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36753A
KR20140036753A KR1020120103265A KR20120103265A KR20140036753A KR 20140036753 A KR20140036753 A KR 20140036753A KR 1020120103265 A KR1020120103265 A KR 1020120103265A KR 20120103265 A KR20120103265 A KR 20120103265A KR 20140036753 A KR20140036753 A KR 201400367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rification tube
purification
chamber
tube
was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032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하양수
이유석
이현식
김우삼
이주동
Original Assignee
희성소재 (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희성소재 (주) filed Critical 희성소재 (주)
Priority to KR10201201032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36753A/ko
Publication of KR201400367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3675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9/00Cleaning hollow articles by 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to 
    • B08B9/02Cleaning pipes or tubes or systems of pipes or tubes
    • B08B9/027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Removal of blocka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7/00Sublim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7/00Cleaning by methods not provided for in a single other subclass or a single group in this subclas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3/00Heating of pipes or pipe systems; Cooling of pipes or pipe systems
    • F16L53/30Heating of pipes or pipe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2203/00Details of cleaning machines or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2203/007Heating the liqui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Vaporization, Distillation, Condensation, Sublimation, And Cold Tra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기 재료의 승화정제 공정에서 사용된 정제용 튜브의 오염물질을 기화시켜 제거하는 정제용 튜브의 세척장치 및 세척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격실이 내부에 형성되고, 상기 격실을 개폐하는 도어가 일측에 구비되는 챔버; 상기 격실에 장입되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오염된 정제용 튜브가 안착되는 트레이; 및 상기 격실의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정제용 튜브의 오염물질이 기화되도록 가열하는 히터를 포함하는 정제용 튜브의 세척장치와, 이를 이용한 세척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정제용 튜브의 세척장치 및 세척방법{APPARATUS AND METHOD OF CLEANING TUBE FOR PURIFICATION}
본 발명은 세척장치 및 세척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유기 재료의 승화정제 공정에서 사용된 정제용 튜브의 오염물질을 기화시켜 제거하는 정제용 튜브의 세척장치 및 세척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유기 전계 발광 소자용으로 사용되는 유기 재료는 정제를 필요로 한다. 유기 재료의 정제 기술은 합성된 물질 중에서 순수한 색소 성분만을 분리하여 박막 증착에 이용하기 위한 것으로, 유기 재료의 정제 기술 향상에 따라서 색순도 및 발광 효율이 개선되고 유기 전계 발광 소자의 발광 수명이 연장된다.
여기서, 유기 재료는 통상적으로 승화 정제법을 이용하여 정제된다. 승화는 상평형도에서 3중점 이하의 온도와 압력에서 발생하는 기체-고체상의 전이 현상을 지칭하며, 상압에서 가열하면 열분해되는 물질이라 할지라도 3중점 이하의 낮은 압력에서는 비교적 높은 온도에서도 분해되지 않는 상태가 유지된다.
이러한 성질을 이용하여, 온도 기울기의 제어가 가능한 승화 장치내에서, 합성된 물질을 가열하여 물질이 분해되지 않은 상태로 승화점이 다른 불순물과 분리하는 조작을 진공 승화법이라 한다.
이러한 진공 승화법은 순수한 물리적 방법으로서 보조 시약의 사용이나 그 이외의 화학적 방법에 의하지 않으므로, 시료에 의한 오염이 없고 분리율이 큰 장점을 가지고 있어서, 유기 전계 발광 소자용 유기 물질의 정제에 유용한 방법이다.
이러한 진공 승화법을 수행하는 장치는 한국등록특허 10-0582663(특허문헌 1) 등 다수의 문헌에서 개시된 바 있으며, 도 1은 이러한 진공 승화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이에 의하면, 정제 대상인 재료가 석영(quarz) 또는 유리 재질의 정제용 튜브(4)에 담기고, 정제용 튜브(4)는 내부관(1) 내의 일측에 배치된다. 내부관(1)은 연결부재(3)에 의해 상호 연결된 것이며, 내부관(1)의 외측을 외부관(2)이 감싸고 있다. 가열기(5)는 외부관(2)의 일측을 둘러싸듯이 설치되는데, 가열기(5)가 배치된 곳은 정제용 튜브(4)가 배치된 위치에 대응된다. 한편, 진공펌프(6)는 내부관(1) 타측에 배치되어 내부관(1)의 내부를 진공화시킨다.
이때, 가열기(5)를 이용하여 온도를 서서히 올리면 내부관(1)의 전체에 걸쳐서 온도 기울기가 형성되며, 정제용 튜브(4)의 온도가 그 안에 담긴 정제 대상 재료의 승화점보다 높아지면, 재료가 승화되어 기체 분자 형태로 진공 펌프(6) 방향으로 이동하기 시작하고, 불순물은 정제용 튜브(4)의 내부에 잔류하게 된다.
승화되어 이동한 기체 분자는, 승화점 이하의 온도를 가진 내부관(1)의 구간에서 다시 고체상으로 전이되어 내부관(1)의 내주면에 결정상태로 맺히게 되며, 충분한 시간이 지나고 나면 가열을 멈추고 서서히 냉각시켜, 내부관(1)을 해체하고 결정 상태의 정제 물질(25)을 긁어내서 회수한다.
이때, 정제 대상 재료를 담았던 정제용 튜브를 재사용하기 위해서는, 정제용 튜브에 남은 불순물을 제거하는 세척작업이 필요하다.
종래에는, 사용된 정제용 튜브를 MC(메틸셀룰로스) 수조에 담궈서 소니케이터(sonicator)로 3분 정도 초벌 세정하고, 아세톤(acetone) 수조에 담궈서 다시 소니케이터로 3분 정도 2차 세정하며, 다시 3분 정도 IPA(이소프로필알콜) 수조에 담궈서 소니케이터로 3차 세정한 후, 외관을 확인하고 아세톤을 이용하여 마무리 세척하는 단계를 거쳤다. 이처럼 세척액과 소니케이터를 사용하는 세척방법은, 비록 그 세척대상은 상이하나 한국등록특허 10-0496334(특허문헌 2)에도 개시된 바 있다.
그런데, 최근에는 대량 정제 공정이 확산되는 추세에 있으며, 따라서 튜브의 대형화에 따른 세척액의 소모량 증가로 인해, 세척액 구입 비용과 폐세척액 처리 비용에 따른 경제성 저하의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또한, 작업자가 세척액 수조에 정제용 튜브를 담그고 꺼내는 과정에서 정제용 튜브가 파손되는 경우가 종종 있으며, 세척액으로 인해 작업자의 건강이 위협받게 되는 안전상의 문제가 있다.
특허문헌 1 : 한국등록특허 10-0582663(2006.05.16 등록) 특허문헌 2 : 한국등록특허 10-0496334(2005.06.10 등록)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유기 재료의 승화정제 공정에서 사용된 정제용 튜브에 남은 오염물질을 기화시켜 제거함에 따라, 종래와 같이 세척액이나 소니케이터를 필요로 하지 않는 세척장치와 세척방법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의하면,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격실이 내부에 형성되고, 상기 격실을 개폐하는 도어가 일측에 구비되는 챔버; 상기 격실에 장입되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오염된 정제용 튜브가 안착되는 트레이; 및 상기 격실의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정제용 튜브의 오염물질이 기화되도록 가열하는 히터를 포함하는 정제용 튜브의 세척장치가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격실을 진공 분위기로 형성하기 위해 상기 챔버의 일측에 설치되는 진공펌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도어의 격실 방향 일측에, 기화된 오염물질의 흡착을 위한 메시부재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히터는, 상기 격실의 외부를 둘러싸도록 설치될 수 있고, 상기 정제용 튜브를 관통하도록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아울러, 상기 도어의 내부에 냉각수 순환라인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도어는, 상기 챔버의 전방에 구비되는 프론트 도어와, 상기 챔버의 후방에 구비되는 리어 도어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프론트 도어와 상기 리어 도어 중 어느 하나에는 벤트관이 연결되는 공기유입구가 관통 형성되고, 나머지 하나에는 상기 진공펌프의 연결관이 연결되는 공기배출구가 관통 형성된다.
또한, 승화정제 공정에서 오염된 정제용 튜브를 히터가 설치된 챔버 내에 장입하는 장입단계; 및 상기 히터에서 발산되는 열에 의해 상기 정제용 튜브의 오염물질을 기화시켜 제거하는 세척단계;를 포함하는 정제용 튜브의 세척방법이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장입단계와 상기 세척단계 사이에, 상기 챔버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진공배기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장입단계에서 상기 정제용 튜브는, 트레이에 적어도 하나 이상 안착되어 상기 챔버 내에 장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세척단계에서 기화된 오염물질은 상기 챔버의 내부 일측에 구비되는 메시부재에 흡착된다.
이때, 상기 히터는 상기 정제용 튜브의 외측에 설치되거나, 상기 정제용 튜브를 관통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챔버의 내부 온도는, 상기 히터의 전원 공급과 상기 챔버의 도어에 형성된 냉각수 순환라인으로 공급되는 냉각수 유량을 조절함으로써 제어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정제용 튜브의 세척장치 및 세척방법에 의하면, 종래와 같이 세척액이나 소니케이터를 사용할 필요가 없으므로, 세척작업에 소요되는 소모품 비용과 인건비를 절감하여 가격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고, 폐세척액에 의한 환경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세척액이 담긴 수조에 정제용 튜브를 담그고 꺼내는 과정이 삭제됨에 따라, 정제용 튜브가 파손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고, 작업자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종래의 수작업 방식에 비해 한번에 대량의 정제용 튜브를 세척할 수 있다.
아울러, 종래에는 각각 별도의 세척액이 담긴 복수의 수조와 건조를 위한 건조대를 필요로 함에 따라, 세척작업용 공간을 충분히 확보해야 할 필요가 있었으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상대적으로 협소한 공간에도 세척장치의 설치가 가능하고, 따라서 크린룸(clean room)에 세척장치를 설치함으로써 유기 전계 발광 소자의 대량 양산라인을 원스톱(one-stop) 형태로 개선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통상적인 진공 승화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정제용 튜브의 세척장치 개략 사시도.
도 3은 도 2의 개략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정제용 튜브의 세척장치 개략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정제용 튜브의 세척장치 개략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단일 또는 복수의 세척장치가 운용되는 모습을 보인 개략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정제용 튜브의 세척방법 순서도.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정제용 튜브의 세척장치 및 세척방법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하여 내려져야 할 것이다.
아울러, 아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제시된 구성요소의 예시적인 사항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명세서 전반에 걸친 기술사상에 포함되고 청구범위의 구성요소에서 균등물로서 치환 가능한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될 수 있다.
실시예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정제용 튜브의 세척장치 개략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개략 단면도이다.
도 2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정제용 튜브의 세척장치(이하, '세척장치')(100)는, 내부에 공간부를 가진 챔버(200)와, 챔버(200)에 장입되는 트레이(300)와, 챔버(200)의 내부에 설치되어 공간부를 가열하는 히터(400)를 포함하며, 챔버(200) 내부를 진공 분위기로 형성할 수 있도록 챔버(200)의 일측에 설치되는 진공펌프(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에서는 챔버(200)가 원통 형태로 도시되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된 육면체 등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챔버(200)의 내벽(210)은 스테인레스 스틸(SUS)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외부는 단열재(220)로 마감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챔버(200) 내부의 공간부는 복수의 격실(230)로 구획될 수 있으며, 격실(230)의 형태 역시 다양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각각의 격실(230)에는, 세척 대상인 정제용 튜브(10)가 장입되는데, 이 정제용 튜브(10)는 유기 재료의 승화정제 공정에서 재료를 담았던 것이며, 한번에 대량의 정제용 튜브(10)를 챔버(200)에 용이하게 장입하여 세척하기 위해서는, 복수 개의 정제용 튜브(10)를 트레이(300)에 담고 이 트레이(300)를 각각의 격실(230)에 장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트레이(3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 형태의 정제용 튜브(10)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상측면이 오목한 원호형 단면 형태의 플레이트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트레이(300) 상에서 정제용 튜브(10)가 미끄러져 이탈되지 않도록 트레이(3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 폭을 가진 복수의 걸림턱(310)이 상향 돌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격실(230)의 형태 역시 트레이(300)가 장입되어 안정적인 자세를 유지할 수 있도록 원형 단면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격실(230)에는 세척 작업 진행 중에 트레이(300)가 정제용 튜브(10)를 담은 상태로 안정적인 자세를 유지할 수 있으면 충분하므로, 격실(230)과 트레이(300)의 형태가 전술한 바와 다른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일 예로서, 챔버(200) 내부의 공간부가 상하 및/또는 좌우로 이격하여 배치되는 플레이트(240, 도 6 참조)에 의해 복수의 격실(230)로 상하 구획될 수 있고,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각각의 격실(230)에 상측면이 원호 형태로 오목하고 바닥면은 평평한 블록 형태의 트레이가 정제용 튜브(10)를 담은 상태로 장입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트레이(300)를 격실에 용이하고 정확하게 장입할 수 있도록, 격실(230)의 일측에 트레이 지지대(231)가 더 구비될 수 있으며, 이 경우 트레이(300)는 트레이 지지대(231)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트레이 지지대(231)의 상측에 고정레일(미도시)이 구비되고, 이에 대응하여 트레이(300)의 하측에 이동레일(미도시)이 구비될 수 있다.
한편, 격실(230)의 일측에는 승화정제 공정에서 정제용 튜브(10)에 남은 오염물질을 기화시켜 제거할 수 있도록 열을 공급하는 히터(400)가 구비되는데, 이 히터(400)는 코일 또는 봉 등 설계조건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히터(400)는 격실(230)의 외부를 둘러싸도록 설치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도 2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격실(230)의 외측 테두리를 따라 복수의 히터(400)가 설치된다. 물론, 각각의 격실(230)이 히터(400)에 의해 둘러싸이는 것이 아니라, 히터(400)가 챔버(200)의 내부공간 전체를 둘러싸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아울러, 챔버(200)의 전방과 후방에는 각각 프론트 도어(250)와 리어 도어(260)가 설치되어 격실(230)을 개폐하게 되는데, 각각의 도어는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문 형태로 힌지결합될 수 있고, 필요에 따라서는 챔버(200)에 대하여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슬라이드식으로 결합될 수도 있다.
이때, 프론트 도어(250)에는 각각의 격실(230)과 대응하여 공기유입구(251)가 관통 형성되며, 프론트 도어(250)의 전방에는 공기유입구(251)와 연통하도록 벤트관(252)이 설치된다.
또한, 리어 도어(260)에는 각각의 격실(230)과 대응하여 공기배출구(261)가 관통 형성되며, 리어 도어(260)의 후방에는 공기배출구(261)와 연통하도록 진공펌프(500)로부터 연결관(262)이 설치된다. 이때, 벤트관(252)과 연결관(262)에는 각각의 개도를 조절하는 밸브(253,263)가 구비되고, 벤트관(252)의 일측에는 압력계(254)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프론트 도어(250)의 격실(230) 방향 내측면과, 리어 도어(260)의 격실(230) 방향 내측면에는 정제용 튜브(10)로부터 기화되어 떨어져 나온 오염물질을 흡착하여 필터링하는 메시부재(600)가 구비되는데 이때, 서로 다른 메시(mesh) 규격을 가진 부재들이 복수 개 겹쳐져서 메시부재(600)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프론트 도어(250)와 리어 도어(260)의 내부에는,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냉각수가 순환하도록 냉각수 순환 라인(700)이 형성되며 따라서, 히터(400)에 의해 가열되는 격실(230)의 온도에 비해, 프론트 도어(250)와 리어 도어(260)는 상대적으로 낮은 온도를 유지하게 된다.
이에 따라, 기화된 오염물질은 프론트 도어(250) 또는 리어 도어(260) 방향으로 이동한 후 메시부재(600)에 고체상으로 맺히게 되는 것이며, 메시부재(600)는 각각 공기유입구(251)와 공기배출구(261)를 덮도록 프론트 도어(250)와 리어 도어(260)의 내측에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정제용 튜브의 세척장치(100')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정제용 튜브의 세척장치(100")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와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 도 2와 도 3을 참고하여 전술한 실시예와 대동소이하며, 다만 히터의 설치 위치가 상이한 차이점이 있다. 따라서, 동일 구성에 대하여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며, 중복되는 부분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4에 도시된 실시예는, 히터(400')가 정제용 튜브(10)를 관통하도록 설치된다. 즉, 히터(400')의 후단이 리어 도어(260)의 내측면에 고정되고, 히터(400)의 전단은 프론트 도어(250) 방향으로 연장되며, 트레이(300) 장입시 정제용 튜브(10)의 내주면이 히터(400')를 감싸도록 삽입된다.
도 5에 도시된 실시예는, 전술한 도 2와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의 히터(400)와,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의 히터(400')가 함께 배치된 것으로, 격실(230)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히터(400)가 설치되는 한편, 정제용 튜브(10)를 관통하도록 또 다른 히터(400')가 격실을 가로질러 설치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단일 또는 복수의 세척장치가 운용되는 모습을 보인 개략도이며, 프론트 도어의 도시는 생략되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하나의 진공펌프(500)에 복수의 세척장치(100)를 연결하여, 세척장치(100) 하나를 단독으로 운용할 수도 있고, 필요에 따라서는 동시에 여러 대의 세척장치(100)를 운용함으로써 대량의 정제용 튜브를 단시간에 세척할 수도 있다.
또한, 도 6은 챔버(200) 내에 각각 다양한 개수와 형태로 격실(230)이 형성된 세척장치(100)들이 하나의 진공펌프(500)로 연결되어 복합 운용될 수 있음을 보이고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승화정제 공정에서 오염된 정제용 튜브를 히터가 설치된 챔버 내에 장입하는 장입단계와, 히터에서 발산되는 열에 의해 정제용 튜브의 오염물질을 기화시켜 제거하는 세척단계를 포함하는 정제용 튜브의 세척방법이 제공된다.
이때, 전술한 장입단계와 세척단계 사이에, 챔버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진공배기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7은 이러한 정제용 튜브의 세척방법 순서도이며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 유기 재료의 승화정제 공정에서 오염된 정제용 튜브(10)를, 전술한 세척장치(100)를 이용하여 세척하는 방법에 대하여 단계별로 설명한다.
장입단계 ( S10 ):
승화정제 공정에서 오염된 정제용 튜브(10)를 트레이(300)에 담은 후, 챔버(200)의 프론트 도어(250)를 열고 트레이(300)를 챔버(200)의 격실(230)에 장입한다.
진공배기단계 ( S20 ):
벤트관(252)에 구비된 밸브(253)를 닫고, 연결관(262)의 밸브(263)를 개방한 후 진공펌프(500)를 가동하여 격실(230)을 진공 분위기로 형성시킨다. 이때 격실(230)이 진공 분위기로 형성되었는지 여부는 벤트관(252)에 구비되는 압력계(254)로 확인할 수 있으며, 격실(230)이 진공 분위기로 형성되면 밸브(263)를 닫고 진공펌프(500)의 가동을 중지한다.
세척단계( S30 ):
히터(400)에 전원을 공급하여 정제용 튜브(10)와 함께 격실(230) 내부를 가열하고, 프론트 도어(250)와 리어 도어(260)의 냉각수 순환 라인(700)에 냉각수를 공급한다. 이때, 냉각수 공급은 장입단계(S10) 또는 진공배기단계(S20)에서 수행될 수도 있다.
세척단계(S30)에서 정제용 튜브(10)가 가열되면, 정제용 튜브(10)에 묻어있던 오염물질이 기화되어 정제용 튜브(10)로부터 분리된다. 이때, 분리된 오염물질은 냉각수가 내부를 순환함에 따라 상대적으로 온도가 낮은 프론트 도어(250) 또는 리어 도어(260)의 메시부재(600)에 고체상으로 맺히게 되며, 이로써 정제용 튜브(10)의 세척이 이루어진다.
여기서 세척단계(S30)는, 정제용 튜브(10)에 묻어 있던 오염물질이 모두 분리되어 메시부재(600)에 고체상으로 맺힐 수 있을 만큼 충분한 시간동안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오염물질이 기화되는 정제용 튜브(10)의 온도는 오염물질의 기화에 필요한 온도에 따라 히터(400)에 공급되는 전원량을 조절함으로써 제어할 수 있고, 기화된 오염물질이 고체상으로 맺히게 되는 메시부재(600)의 온도는 프론트 도어(250)와 리어 도어(260)에 공급되는 냉각수량을 조절함으로써 제어할 수 있다.
세척단계(S30)가 종료되면, 히터(400) 작동과 냉각수 공급을 중지하고, 벤트관(252)의 밸브(253)를 개방하여 격실(230)에 공기를 채운 후, 프론트 도어(250)를 열고 트레이(300)를 꺼낸다. 이때, 세척된 정제용 튜브(10)를 챔버(200) 내에 둔 상태로 냉각시킬 수도 있고, 챔버(200) 외부로 꺼낸 후 외부공간에서 냉각시키는 것도 물론 가능하며, 이후 장입단계(S10)로 돌아가서 새로운 세척대상에 대하여 전술한 과정을 되풀이할 수 있다.
10 : 정제용 튜브
100 : 세척장치 200 : 챔버
230 : 격실 250 : 프론트 도어
251 : 공기유입구 252 : 벤트관
260 : 리어 도어 261 : 공기배출구
262 : 연결관 300 : 트레이
310 : 걸림턱 400, 400' : 히터
500 : 진공펌프 600 : 메시부재
700 : 냉각수 순환 라인

Claims (15)

  1.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격실이 내부에 형성되고, 상기 격실을 개폐하는 도어가 일측에 구비되는 챔버;
    상기 격실에 장입되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오염된 정제용 튜브가 안착되는 트레이; 및
    상기 격실의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정제용 튜브의 오염물질이 기화되도록 가열하는 히터를 포함하는 정제용 튜브의 세척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격실을 진공 분위기로 형성하기 위해 상기 챔버의 일측에 설치되는 진공펌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제용 튜브의 세척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도어의 격실 방향 일측에, 기화된 오염물질의 흡착을 위한 메시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제용 튜브의 세척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히터는,
    상기 격실의 외부를 둘러싸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제용 튜브의 세척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히터는,
    상기 정제용 튜브를 관통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제용 튜브의 세척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도어의 내부에 냉각수 순환라인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제용 튜브의 세척장치.
  7.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도어는,
    상기 챔버의 전방에 구비되는 프론트 도어와, 상기 챔버의 후방에 구비되는 리어 도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제용 튜브의 세척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프론트 도어와 상기 리어 도어 중 어느 하나에는 벤트관이 연결되는 공기유입구가 관통 형성되고, 나머지 하나에는 상기 진공펌프의 연결관이 연결되는 공기배출구가 관통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제용 튜브의 세척장치.
  9. 승화정제 공정에서 오염된 정제용 튜브를 히터가 설치된 챔버 내에 장입하는 장입단계; 및
    상기 히터에서 발산되는 열에 의해 상기 정제용 튜브의 오염물질을 기화시켜 제거하는 세척단계;를 포함하는 정제용 튜브의 세척방법.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장입단계와 상기 세척단계 사이에, 상기 챔버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진공배기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제용 튜브의 세척방법.
  11.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장입단계에서 상기 정제용 튜브는, 트레이에 적어도 하나 이상 안착되어 상기 챔버 내에 장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제용 튜브의 세척방법.
  12.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세척단계에서 기화된 오염물질은 상기 챔버의 내부 일측에 구비되는 메시부재에 흡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제용 튜브의 세척방법.
  13.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히터는 상기 정제용 튜브의 외측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제용 튜브의 세척방법.
  14.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히터는 상기 정제용 튜브를 관통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제용 튜브의 세척방법.
  15.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챔버의 내부 온도는, 상기 히터의 전원 공급과 상기 챔버의 도어에 형성된 냉각수 순환라인으로 공급되는 냉각수 유량을 조절함으로써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제용 튜브의 세척방법.

KR1020120103265A 2012-09-18 2012-09-18 정제용 튜브의 세척장치 및 세척방법 KR2014003675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3265A KR20140036753A (ko) 2012-09-18 2012-09-18 정제용 튜브의 세척장치 및 세척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3265A KR20140036753A (ko) 2012-09-18 2012-09-18 정제용 튜브의 세척장치 및 세척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6753A true KR20140036753A (ko) 2014-03-26

Family

ID=506459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03265A KR20140036753A (ko) 2012-09-18 2012-09-18 정제용 튜브의 세척장치 및 세척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36753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2185B1 (ko) * 2018-05-18 2018-06-27 손은제 고주파 유도 가열을 이용한 목재 건조 및 고열처리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2185B1 (ko) * 2018-05-18 2018-06-27 손은제 고주파 유도 가열을 이용한 목재 건조 및 고열처리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69876A (en) Cleaning method and system
US20100223805A1 (en) Substrate processing device, recycling method of filtration material and recording medium
EP2803397B1 (en) Apparatus for purifying organicelectroluminescent material and method for purifying organic compound
BRPI0803774A2 (pt) processo e reator de plasma para tratamento de peÇas metÁlicas
KR200384132Y1 (ko) 폐액 재생장치
KR20140036753A (ko) 정제용 튜브의 세척장치 및 세척방법
KR102252302B1 (ko) 고순도 반도체용 승화장치
JP2017000958A (ja) 洗浄装置
TWI497630B (zh) 基板處理裝置和化學回收之方法
WO2018055934A1 (ja) 洗浄装置
KR20170065198A (ko) 증기 응축 방식 고형물 세척 및 건조 장치
JP5277370B2 (ja) 有機廃棄物炭化処理用連続加熱炉
JP2016112547A (ja) 吸着塔及び吸着材の再生方法
JP2651653B2 (ja) 真空乾燥装置及び真空乾燥方法
JP6526858B2 (ja) 洗浄液蒸留再生装置、部品洗浄装置、及び、洗浄液の蒸留再生方法
JP6432874B1 (ja) 精製装置
US5630434A (en) Filter regeneration system
JP5452987B2 (ja) 熱処理装置
KR20150064885A (ko) 승화 정제 장치
JP3144592U (ja) 有機化合物ガスの回収システム
JP6655911B2 (ja) 加熱装置
KR100443155B1 (ko) 원적외선 히터를 이용한 탄화장치
KR102033526B1 (ko) 네블라이저를 포함하는 박막 증착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박막 증착 방법
SU910851A1 (ru) Агрегат дл обезжиривани изделий в органических растворител х
JP7389466B2 (ja) 封じ込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