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53348A - 다공성 박막 필름 고체 전해질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한 염료감응 태양전지 - Google Patents

다공성 박막 필름 고체 전해질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한 염료감응 태양전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53348A
KR20130053348A KR1020110119188A KR20110119188A KR20130053348A KR 20130053348 A KR20130053348 A KR 20130053348A KR 1020110119188 A KR1020110119188 A KR 1020110119188A KR 20110119188 A KR20110119188 A KR 20110119188A KR 20130053348 A KR20130053348 A KR 201300533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ye
sensitized solar
film
cellulose
polym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191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05588B1 (ko
Inventor
장용준
김상학
김원중
김용구
송미연
송인우
이지용
이기춘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1191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05588B1/ko
Priority to US13/367,672 priority patent/US9484157B2/en
Priority to DE102012202262.7A priority patent/DE102012202262B4/de
Priority to CN201210046407.9A priority patent/CN103107018B/zh
Publication of KR201300533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533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055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055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9/00Electrolytic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Processes of their manufacture
    • H01G9/20Light-sensitive devices
    • H01G9/2004Light-sensitive devices characterised by the electrolyte, e.g. comprising an organic electrolyte
    • H01G9/2009Solid electrolyt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04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adapted as photovoltaic [PV] conversion devic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9/00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 C08J9/28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by elimination of a liquid phase from a macromolecular composition or article, e.g. drying of coagulum
    • C08J9/283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by elimination of a liquid phase from a macromolecular composition or article, e.g. drying of coagulum a discontinuous liquid phase emulsified in a continuous macromolecular phas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1/00Compositions of cellulose, modified cellulose or cellulose deriva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101/00Compositions of unspecified macromolecular compoun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18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thes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01/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cellulose, modified cellulose or cellulose derivatives
    • C08J2301/08Cellulose deriva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71/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polyeth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n ether link in the main chai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71/02Polyalkylene oxi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9/00Electrolytic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Processes of their manufacture
    • H01G9/20Light-sensitive devices
    • H01G9/2027Light-sensitive devices comprising an oxide semiconductor electrode
    • H01G9/2031Light-sensitive devices comprising an oxide semiconductor electrode comprising titanium oxide, e.g. TiO2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9/00Electrolytic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Processes of their manufacture
    • H01G9/20Light-sensitive devices
    • H01G9/2059Light-sensitive devices comprising an organic dye as the active light absorbing material, e.g. adsorbed on an electrode or dissolved in solu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300/00Electrolytes
    • H01M2300/0017Non-aqueous electrolytes
    • H01M2300/0065Solid electrolytes
    • H01M2300/0082Organic polymer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85/00Organic materials used in the body or electrode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85/30Coordination compounds
    • H10K85/341Transition metal complexes, e.g. Ru(II)polypyridine complexes
    • H10K85/344Transition metal complexes, e.g. Ru(II)polypyridine complexes comprising ruthenium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02E10/542Dye sensitized solar cel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ybrid Cells (AREA)
  • Photovoltaic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친수성 고분자 소재를 이용하여 제조된 3차원 다공성 박막 필름을 포함하는 염료감응 태양전지용 고체전해질 이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염료감응 태양전지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광전류 증대를 효율적으로 유도하기 위하여 비표면적이 높은 나노 섬유화된 고분자를 전해질층으로 사용함으로써 전해질 항침량을 증가시켜 고효율의 염료감응 태양전지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다공성 구조를 가진 필름을 염료감응 태양전지의 고체 전해질로 사용하였을 때 기존의 액체 전해질을 사용한 염료감응 태양전지와 비교하여 전해질 주입구 제조 및 봉합이 불필요하여 공정이 단순하고, 기존의 비다공성 고체 전해질에 비해 염료감응 태양전지 소자의 에너지 전환 효율이 크게 개선되어, 우수한 전류밀도와 광기전 효율을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고체 전해질을 포함하는 경우, 액체 전해질 대비 기재로부터 누수를 최소화하여 상대전극과 광전극간의 접촉에 의한 단락을 막을 수 있다.

Description

다공성 박막 필름 고체 전해질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한 염료감응 태양전지{Construction Method of Solid Electrolytes of the Porous Membrance Film and Dye-Sensitized Solar Cell Using thereof}
본 발명은 태양전지의 장기 내구성 향상을 위해 사용되는 고분자 박막 전해질의 제조 방법 및 이의 제조 방법을 통해 제조된 전해질을 포함하는 차량용 염료감응 태양전지에 관한 것이다.
최근 지구 온난화 문제가 심각하게 대두되면서 친환경 에너지를 활용하기 위한 기술 개발이 각광 받고 있다. 그 중 가장 관심을 기울이는 분야는 신재생 에너지를 활용하는 태양전지 분야이다. 이 분야에는 실리콘계 태양전지, CIGS (Cu(InGa)Se2; copper indium gallium selenide)와 같은 무기물을 이용하는 박막 태양전지, 염료감응 태양전지, 유기 태양전지 그리고 유-무기 하이브리드 태양전지 등이 있다. 그 중 가격이 져렴하고, 효율이 상용화 수준까지 이른 염료감응 태양전지는 건물일체형 태양광 발전시스템(BIPV) 산업 분야뿐 만 아니라 휴대용 전자 산업 분야에서도 각광 받고 있다.
염료감응 태양전지는 다른 태양전지들과는 달리 가시광선의 빛을 흡수하여 광전 변환 메커니즘 (Photoelectric conversion mechanism)에 의해 전기를 생산할 수 있는 태양전지 시스템을 갖고 있다. 일반적으로 염료감응 태양전지는 액체전해질 (liquid electrolyte)를 사용하거나 겔 형태의 고분자 전해질 (Gel electrolyte)을 사용한다. 이러한 액체 및 겔 형태의 전해질은 태양전지 기판의 파손에 의해 누수가 발생할 우려가 있다. 이러한 누수에 의해 상품성 저하뿐 만 아니라 사용되는 전해액의 유해성으로 인해 소비자들의 건강을 해칠 가능성이 있다.
이러한 이유 때문에 최근 고체 전해질 (Solid electrolyte) 개발이 활발하다. 일반적으로 고체전해질은 증착을 하거나 스핀코팅 공정을 통해 염료감응 태양전지의 광전극 (TiO2) 표면에 용매를 완전 건조시킨다. 이럴 경우 전류밀도가 매우 낮아 태양전지 효율을 기대하기 어렵다. 전기방사법을 활용하여 다공성 구조를 제어하는 기술도 알려져 있지만, 초기 투자비가 많이 들고 사용 가능한 고분자 소재의 종류가 한정되어 있다.
본 발명은 액상 염료감응 태양전지에서 나타나는 누수 및 장기 안정성 문제를 해결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액상 전해질 위치에 다공성 고분자 고체 전해질를 사용하여 상기 문제점들을 해결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친수성 고분자 소재를 이용하여 제조된 3차원 다공성 박막 필름을 포함하는 염료감응 태양전지용 고체전해질 이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염료감응 태양전지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광전류 증대를 효율적으로 유도하기 위하여 비표면적이 높은 나노 섬유화된 고분자를 전해질층으로 사용함으로써 전해질 항침량을 증가시켜 고효율의 염료감응 태양전지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고체 전해질 층을 구성하기 위하여 친수성 고분자 소재를 이용하여 제조된 3차원 다공성 박막 필름을 포함하는 염료감응 태양전지용 고체전해질, 이를 이용한 염료감응 태양전지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i) 친수성 용매에 친수성 고분자를 용해시키는 과정을 포함하는 필름 제조 단계; 및
(ii) 상기 제조된 필름을 상기 단계 (i)의 친수성 고분자를 용해시키지 않는 다른 친수성 용매에 용해시켜 상기 단계 (i)의 친수성 용매 만을 용해시켜 다공을 형성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친수성 고분자 소재가 포함된 다공성 구조의 고분자 필름을 포함하는 고체 전해질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상기 고체 전해질의 제조 방법을 통해 제조한 고체 전해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 따르면, 상기 고체 전해질의 제조 방법을 통해 제조한 고체 전해질을 포함하는 염료감응 태양전지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특징 및 효과는 하기와 같다.
(i)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다공성 구조를 가진 필름을 염료감응 태양전지의 고체 전해질로 사용하였을 때 기존의 액체 전해질을 사용한 염료감응 태양전지와 비교하여 전해질 주입구 제조 및 봉합이 불필요하여 공정이 단순하고, 기존의 비다공성 고체 전해질에 비해 염료감응 태양전지 소자의 에너지 전환 효율이 크게 개선된 특성을 갖는다.
(ii) 다공성 구조를 갖는 고체 전해질은 비다공성 필름 대비 전해질 함침량을 증가시켜 우수한 전류밀도와 광기전 효율을 얻을 수 있다.
(iii) 액체 전해질 대비 기재로부터 누수를 최소화하여 상대전극과 광전극간의 접촉에 의한 단락을 막아주는 역할을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다공성 필름이 첨가된 전해질을 적용하여 제조된 염료감응 태양전지의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고체 전해질 필름의 다공성 구조를 나타낸 사진을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i) 친수성 용매에 친수성 고분자를 용해시키는 과정을 포함하는 필름 제조 단계; 및
(ii) 상기 제조된 필름을 상기 단계 (i)의 친수성 고분자를 용해시키지 않는 다른 친수성 용매에 용해시켜 상기 단계 (i)의 친수성 용매 만을 용해시켜 다공을 형성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친수성 고분자 소재가 포함된 다공성 구조의 고분자 필름을 포함하는 고체 전해질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액상 염료감응 태양전지에서 나타나는 누수 및 장기 안정성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는 목적에 기반을 두고 있다. 일반적으로 액체 염료감응 태양전지는 용매에 전해질이 녹아있어 봉지 소재 틈으로 액체가 세어 나오거나 기판의 파손에 의해 흘러나올 우려가 있다. 결국 이러한 문제는 소자의 수명을 줄일 뿐만 아니라 상품화에도 큰 장애가 되고 있다.
본 발명은 액상 전해질 위치에 다공성 고분자 고체 전해질를 사용하여 상기 문제점들을 해결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전해질 함침량을 증가시키기 위한 다공성 박막 필름 구조를 제조하기 위해 친수성 용매에 친수성 고분자를 용해시킨다. 이후, 다른 친수성 용매에 상기의 친수성 고분자가 용해된 친수성 용매를 접촉시키면 다른 친수성 용매끼리는 용매화 반응에 의해 녹지만 단계 (i)에서 용해된 친수성 고분자는 단계(ii)의 용매와는 용매화 반응이 일어나지 않아 석출되어 고체상으로 변하고 기존 용매와는 섞이는 친수성 반응성을 이용하여 고분자 매트릭스에 다공성을 유도할 수 있다. 기존 전기방사 공정 대비 다공성 구조를 쉽게 제어할 수 있고, 다공도를 제어할 수 있어 전해질 함침량을 조절이 가능하다. 사용된 친수성 고분자는 전해질 내 이온과의 결합력이 우수하여 함침량을 증가시킬 수 있으며, 이로써 태양전지 효율 향상에 기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고분자는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Cellulose acetate),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부틸레이트 (Cellulose acetate butyrate), 셀룰로오사 아세테이크 프탈레이트 (Cellulose acetate phthalate),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프로피오네이트 (Cellulose acetate propionate), 2-하이드록시에틸 셀룰로오스 (2-Hydroxyethyl cellulose), 에틸셀룰로오스 (Ethyl cellulose), 하이드록시에틸 셀룰로오스 (Hydroxyethyl-cellulose), 하이드록시프로필 셀룰로오스 (Hydroxypropyl cellulose), 메틸 셀룰로오스 (Methyl cellulose),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 셀룰로오스 (Hydroxypropylmethyl cellulose), 하이드록시부틸메틸 셀룰로오스 (Hydroxybutyl methyl cellulose), 폴리에틸렌글리콜 (Polyethylene glycol), 폴리프로필렌글리콜 (Polypropylene glycol)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단계 (i)에서 사용되는 친수성 용매는 에탄올 (Ethanol), 메탄올 (Methanol), 프로판올 (propanol), 증류수 (distilled water)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단계 (ii)에서 사용되는 친수성 용매는 아세토나이트릴, 프로피오나이크릴, 메톡시프로피오나이트릴 또는 글루타로나이트릴 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친수성 고분자는 용액 총 중량에 대해서 0.1 ~ 5 중량부가 바람직하다. 상기 친수성 고분자의 함량이 0.1 미만일 때는 필름이 형성되기 어려우며, 5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에는 두께 제어하기가 어려워 고체 전해질 필름 제조가 어려워 바람직하지 못하다.
상기 고분자의 중량평균분자량은 1,000 내지 20,000인 것이 바람직하다. 고분자 중량 평균 분자량이 1,000 미만일 경우에는 필름 형성을 못함으로 바람직하지 못하고, 고분자 중량 평균 분자량이 20,000을 초과할 경우에는 친수성 용매에 잘 녹기 어려우므로 바람직하지 못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단계 (i)에서 친수성 고분자를 용해시킨 용액을 닥터블레이드 (Doctor blade) 공정을 이용하여 필름을 제조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고분자 필름의 다공성 크기는 0.1 ~ 10㎛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고분자 필름의 두께는 1 ~ 50㎛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의 제조 방법을 이용하여 제조한 염료감응 태양전지용 고체 전해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의 고체 전해질을 포함하는 다공성 전해질 필름 염료감응 태양전지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염료감응 태양전지는 종래의 액체 전해질 사용에 의해 용매 누수 및 봉지제에 의한 내구성의 문제를 극복하며 소자 제조 공정을 단순화하여 경제성을 개선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제조되는 염료감응 태양전지의 제조 공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이나, 반드시 하기의 내용에 국한되지 않는다.
실시예 1: 다공성 고분자 필름 제조
고분자 용액을 제조하기 위하여 메틸 셀룰로오스 5 중량%, 증류수 95 중량%를 24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용융된 용액을 닥터블레이드를 통해 필름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필름을 아세토나이트릴 용매에 침적시켜 셀룰로오스는 고체 필름으로 남고, 용액에 포함된 증류수는 아세토나이트릴에 녹게되고, 증류수에 빠져나온 위치에는 다공성이 형성되었다.
실시예 2: 다공성 필름 고체 전해질 적용 셀 제조
스크린 프린팅 장비를 사용하여 FTO (fluorine doped tin oxide) 코팅된 유리기판에 스크린 프린팅용 이산화티탄 패이스트 (Solaronix사)를 코팅하였다. 300℃에서 1시간 가열 후 500℃에서 3시간 동안 소성하였다. 제조된 전극에 염료 (Solaronix사, N3)를 24시간 상온에서 흡착시켰다. 다공성 필름을 전해질 (Solaronix社, AN 50)에 12시간 침적시킨 후 염료가 흡착된 TiO2 코팅층에 필름을 놓고 백금 상대전극 기판을 Surlyn®(Dupont사)으로 120℃에서 접착시켰다.
비교예 1: 비다공성 고분자 필름 제조
고분자 용액을 제조하기 위하여 폴리프로필렌글리콜모노아크릴레이트 89.9 중량%, 폴리프로필렌글리콜다이아크릴레이트 10 중량%, 광가교 개시제 0.1 중량%를 섞어 24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글라스 기판에 얇게 코팅 후 자외선 조사 (1,000mJ)에 의해 필름을 형성하였다.
비교예 2: 비다공성 필름 고체 전해질 적용 셀 제조
스크린 프린팅 장비를 사용하여 FTO (fluorine doped tin oxide) 코팅된 유리기판에 스크린 프린팅용 이산화티탄 패이스트 (Solaronix사)를 코팅하였다. 300℃에서 1시간 가열 후 500℃에서 3시간 동안 소성하였다. 제조된 전극에 염료 (Solaronix사, N3)를 24시간 상온에서 흡착시켰다. 비다공성 필름을 전해질 (Solaronix社, AN 50)에 12시간 침적시킨 후 염료가 흡착된 TiO2 코팅층에 필름을 놓고 백금 상대전극 기판을 Surlyn®(Dupont사)으로 120℃에서 접착시켰다.
실시예와 비교예를 통해 제조된 각각의 염료감응 태양전지에 대한 전기 과학적 특성을 측정하였다. 하기 표 1에 전류 밀도 (Jsc), 전압 (Voc) 및 충진계수 (FF) 및 에너지 변환효율을 정리하였다. 비다공성 고체전해질 염료감응 태양전지 대비 다공성 고체 전해질이 사용된 염료감응 태양전지의 전류밀도 및 에너지 효율이 향상된 것을 알 수 있었다.
샘플 전류밀도
(Jsc)
전압
(Voc)
충진계수
(FF)
에너지변환효율
(%)
실시예 2 18.25 0.770 50.0 7.14
비교예 2 0.037 0.613 22.0 0.005
도 1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은 다음과 같다.
101: 제 1기판
102: 봉지제
103: 무기 산화물 층
104: 고체 전해질 층
105: 상대 전극 층
106: 제 2기판

Claims (11)

  1. (i) 친수성 용매에 친수성 고분자를 용해시키는 과정을 포함하는 필름 제조 단계; 및
    (ii) 상기 제조된 필름을 상기 단계 (i)의 친수성 고분자를 용해시키지 않는 다른 친수성 용매에 용해시켜 상기 단계 (i)의 친수성 용매 만을 용해시켜 다공을 형성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친수성 고분자 소재가 포함된 다공성 구조의 고분자 필름을 포함하는 고체 전해질의 제조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분자는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Cellulose acetate),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부틸레이트 (Cellulose acetate butyrate), 셀룰로오사 아세테이크 프탈레이트 (Cellulose acetate phthalate),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프로피오네이트 (Cellulose acetate propionate), 2-하이드록시에틸 셀룰로오스 (2-Hydroxyethyl cellulose), 에틸셀룰로오스 (Ethyl cellulose), 하이드록시에틸 셀룰로오스 (Hydroxyethyl-cellulose), 하이드록시프로필 셀룰로오스 (Hydroxypropyl cellulose), 메틸 셀룰로오스 (Methyl cellulose),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 셀룰로오스 (Hydroxypropylmethyl cellulose), 하이드록시부틸메틸 셀룰로오스 (Hydroxybutyl methyl cellulose), 폴리에틸렌글리콜 (Polyethylene glycol) 및 폴리프로필렌글리콜 (Polypropylene glycol)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료감응 태양전지용 고체 전해질 제조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단계 (i)의 친수성 용매는 에탄올 (Ethanol), 메탄올 (Methanol), 프로판올 (propanol), 증류수 (distilled water)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료감응 태양전지용 고체 전해질 제조방법.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단계 (ii)에서 사용되는 친수성 용매는 아세토나이트릴, 프로피오나이크릴, 메톡시프로피오나이트릴, 글루타로나이트릴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료감응 태양전지용 고체 전해질 제조방법.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단계 (i)에서 친수성 고분자는 친수성 용매와의 총 중량에 대해서 0.1 ~ 5 중량부 용액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료감응 태양전지용 고체 전해질 제조방법.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분자의 중량평균분자량은 1,000 내지 20,0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료감응 태양전지용 고체 전해질 제조방법.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단계 (i)에서 친수성 고분자를 용해시킨 용액을 닥터블레이드 (Doctor blade)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료감응 태양전지용 고체 전해질 제조방법.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분자 필름의 다공성 크기는 0.1 ~ 1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료감응 태양전지용 고체 전해질 제조방법.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분자 필름의 두께는 1 ~ 5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료감응 태양전지용 고체 전해질 제조방법.
  10.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9의 어느 한 항의 제조 방법을 이용하여 제조한 염료감응 태양전지용 고체 전해질.
  11. 청구항 10의 고체 전해질을 포함하는 다공성 전해질 필름 염료감응 태양전지.
KR1020110119188A 2011-11-15 2011-11-15 다공성 박막 필름 고체 전해질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한 염료감응 태양전지 KR1014055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9188A KR101405588B1 (ko) 2011-11-15 2011-11-15 다공성 박막 필름 고체 전해질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한 염료감응 태양전지
US13/367,672 US9484157B2 (en) 2011-11-15 2012-02-07 Method for preparing solid electrolyte comprising porous thin film and dye-sensitized solar cell using the same
DE102012202262.7A DE102012202262B4 (de) 2011-11-15 2012-02-15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Festelektrolyten umfassend eine poröse Dünnschicht, ein Festelektrolyt und eine Farbstoffsolarzelle, die diesen umfassst.
CN201210046407.9A CN103107018B (zh) 2011-11-15 2012-02-24 包含多孔薄膜的固体电解质的制备方法和使用其的染料敏化太阳能电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9188A KR101405588B1 (ko) 2011-11-15 2011-11-15 다공성 박막 필름 고체 전해질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한 염료감응 태양전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53348A true KR20130053348A (ko) 2013-05-23
KR101405588B1 KR101405588B1 (ko) 2014-06-20

Family

ID=481453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19188A KR101405588B1 (ko) 2011-11-15 2011-11-15 다공성 박막 필름 고체 전해질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한 염료감응 태양전지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484157B2 (ko)
KR (1) KR101405588B1 (ko)
CN (1) CN103107018B (ko)
DE (1) DE102012202262B4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52487A (ko) * 2016-11-10 2018-05-18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전극 형성용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전극과 태양전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879316B (zh) * 2019-02-27 2021-11-12 上海空间电源研究所 Llzo制备方法、热电池用准固态电解质及其制备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92444A (ja) * 1996-09-13 1998-04-10 Japan Gore Tex Inc 電気化学反応装置用固体高分子電解質複合体及びそれを用いた電気化学反応装置
CN1431252A (zh) 2003-01-23 2003-07-23 上海交通大学 一种多孔型聚氨酯/丙烯酸酯聚合物电解质薄膜及其制备方法
WO2004088671A1 (ja) 2003-03-31 2004-10-14 Trekion Co., Ltd. 複合高分子電解質組成物
KR100496641B1 (ko) 2003-04-25 2005-06-2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이성 모폴로지를 가지는 리튬 이차전지용 복합 고분자전해질 및 그 제조 방법
KR100540157B1 (ko) * 2003-10-01 2006-01-10 한국과학기술연구원 복합 고분자 전해질을 포함하는 고체상 염료감응 태양전지
KR100578798B1 (ko) * 2003-12-12 2006-05-11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염료감응 태양전지 및 그 제조 방법
WO2005078853A1 (ja) 2004-02-13 2005-08-25 Bridgestone Corporation 色素増感型太陽電池
KR100647966B1 (ko) * 2004-02-24 2006-11-23 가부시키가이샤 도모에가와 세이시쇼 전자부품용 세퍼레이터 및 그 제조방법
EP1624472A3 (en) * 2004-07-08 2011-03-16 Sumitomo Chemical Company, Limited Porous Electrodes, Devices including the Porous Electrodes, and Methods for their Production
JP2007059225A (ja) * 2005-08-25 2007-03-08 Fujikura Ltd 光電変換素子用電極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4982675B2 (ja) 2005-08-31 2012-07-25 国立大学法人九州工業大学 電解質組成物および色素増感太陽電池
KR101166018B1 (ko) * 2006-06-19 2012-07-19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대향전극의 표면개질방법 및 표면개질된 대향전극
KR100898280B1 (ko) 2007-07-30 2009-05-19 주식회사 솔켐 전기방사법에 의해 제조된 고분자 나노섬유를 포함하는고체 전해질 및 이를 이용한 염료감응형 태양전지
KR100921476B1 (ko) 2007-08-29 2009-10-13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전기방사에 의한 금속산화물 나노입자를 포함하는금속산화물층을 구비한 염료감응형 태양전지 및 그 제조방법
US7910015B2 (en) 2007-10-22 2011-03-22 Institute Of Nuclear Energy Research Polymer electrolyte for dye sensitized solar cell
KR101045849B1 (ko) 2008-09-02 2011-07-04 주식회사 이건창호 고효율의 플렉시블 염료감응형 태양전지 및 이의 제조방법
JP5577586B2 (ja) * 2008-11-20 2014-08-27 大日本印刷株式会社 電解質形成用塗工液、及びそれを用いた色素増感型太陽電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52487A (ko) * 2016-11-10 2018-05-18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전극 형성용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전극과 태양전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484157B2 (en) 2016-11-01
DE102012202262A1 (de) 2013-05-16
US20130118562A1 (en) 2013-05-16
CN103107018A (zh) 2013-05-15
KR101405588B1 (ko) 2014-06-20
DE102012202262B4 (de) 2022-03-10
CN103107018B (zh) 2017-1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37421B1 (ko) 다공성 멤브레인을 이용한 고체 염료감응형 태양전지 및그 제조방법
WO2009017298A1 (en) Method of forming porous layer, dye-sensitized solar cell using the sam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dye-sensitized solar cell
CN102254686B (zh) 一种用于染料敏化太阳能电池的电解质片及其制备方法
JP2007115602A (ja) 色素増感型太陽電池用二酸化チタン分散体
KR101136942B1 (ko) 양자점으로 도핑된 고분자 전해질 및 이를 이용한 염료감응형 태양전지
KR101405588B1 (ko) 다공성 박막 필름 고체 전해질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한 염료감응 태양전지
US8956910B2 (en) Method for fabricating photoanode for dye-sensitized solar cell
KR101088676B1 (ko) 요오드화피롤리디니움계 이온성 액체를 포함한 염료감응 태양전지용 전해질 용액, 이를 포함하는 염료감응 태양전지 및 염료감응 태양전지의 제조방법
Bandara et al. N719 and N3 dyes for quasi-solid state dye sensitized solar cells-A comparative study using polyacrylonitrile and CsI based electrolytes
KR101044338B1 (ko) 염료 및 다원자음이온이 흡착된 나노 산화물층을 포함한 음극계 전극을 포함하는 염료감응 태양전지 및 이의 제조방법
JP2012104427A (ja) 電解質組成物及びそれを用いた色素増感太陽電池
KR20150089689A (ko) 염료감응형 태양전지용 전해질 용액 및 이를 포함하는 염료감응형 태양전지
US20130008492A1 (en) Porous film type solid electrolyte, dye-sensitized solar cell using the sam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20100106837A (ko) 염료감응 태양전지의 밀봉방법 및 밀봉단계를 포함하는 염료감응 태양전지의 제조방법
KR101184531B1 (ko) 전해질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염료감응 태양전지
KR20100041486A (ko) 세라믹 나노필러를 포함하는 염료감응 태양전지용 겔형 고분자 전해질, 이를 포함하는 염료감응 태양전지 및 염료감응 태양전지의 제조방법
KR20110000365A (ko) 요오드화피리디니움계 이온성 액체를 포함한 염료감응 태양전지용 전해질 용액, 이를 포함하는 염료감응 태양전지 및 염료감응 태양전지의 제조방법
KR101070774B1 (ko) 염료감응 태양전지용 나노젤형 전해질,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염료감응 태양전지
Seo et al. Pore-filled electrolyte membranes for facile fabrication of long-term stable dye-sensitized solar cells
KR101381103B1 (ko) 다공성 고분자 기반 고체 전해질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염료감응태양전지
KR101089380B1 (ko) 실릴프로피오나이트릴이 결합된 나노실리카를 포함하는 염료감응 태양전지용 나노젤형 전해질,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염료감응 태양전지
US20240038453A1 (en) Dye sensitized solar cell, polymeric solid-state electrolyte film for dye sensitized solar cell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2061049B1 (ko) 젤화된 전해질 및 이를 이용한 전기화학장치
KR101461095B1 (ko) 광 감응 태양전지용 전해액 및 이를 포함하는 광 감응 태양전지
KR20130005918A (ko) 염료감응 태양전지용 겔형 전해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8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