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53125A - 렌터카 배반차 방법 및 시스템, 그 기록매체 - Google Patents

렌터카 배반차 방법 및 시스템, 그 기록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53125A
KR20130053125A KR1020110118696A KR20110118696A KR20130053125A KR 20130053125 A KR20130053125 A KR 20130053125A KR 1020110118696 A KR1020110118696 A KR 1020110118696A KR 20110118696 A KR20110118696 A KR 20110118696A KR 20130053125 A KR20130053125 A KR 201300531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terminal
article
car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186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상혁
Original Assignee
최상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상혁 filed Critical 최상혁
Priority to KR10201101186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53125A/ko
Publication of KR201300531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5312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2Reservations, e.g. for tickets, services or ev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45Rental transactions; Leasing transac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123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the position of vehicles, e.g. scheduled vehicles; Managing passenger vehicles circulating according to a fixed timetable, e.g. buses, trains, tram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Econom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Fina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렌터카 배반차 방법 및 시스템, 그 기록매체에 관한 것으로서,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적어도 사용자 단말 및 기사 단말, 렌터카 기간 시스템과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는 렌터카 배반차 시스템에서 실행되는 렌터카 배반차 방법으로서, (a) 사용자의 렌터카 배차 예약 요청에 근거하여 상기 렌터카 기간 시스템에서 전송된 예약 요청 정보에 의해, 예약 안내 정보를 해당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b)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예약 확인 정보를 전송받으면, 배차 차량 및 기사를 지정하고, 배차 담당 기사의 기사 단말로 기사용 배차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c) 차고지에서 차량을 출고한 배차 담당 기사의 기사 단말로부터 기사 출고 확인 정보를 전송받는 단계; 및 (d) 배차 장소에 도착하여 사용자에게 차량 상태 및 계약서 정보 확인을 완료한 배차 담당 기사의 기사 단말로부터 계약 확인 정보를 전송받고, 사용자의 결제 의사 확인이 가능한 단말에 의해 생성된 결제 정보를 전송받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렌터카 배반차 방법 및 시스템, 그 기록매체 {Method and System for Distribution/Collection of Rent-a-Car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the same}
본 발명은 렌터카 배반차 방법 및 시스템, 그 기록매체에 관한 것으로서, 렌터카 사용을 원하는 고객이 인터넷 또는 모바일 수단을 통해 렌터카 사용 예약을 할 수 있도록 하고, 예약된 일시 및 장소 조건에 따라 고객에게 배차 및 반차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렌터카 배반차 방법 및 시스템, 그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최근 유가의 상승 및 차량 관리비의 증가로 인해 차량을 렌탈하여 사용하고자 하는 소비자의 선호도가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현재의 일반적인 렌터카 운용 시스템은 소비자 입장에서 여러 가지 번거로움을 수반하고 있어, 차량 렌탈에 대한 소비자의 선호도 증가가 실제 렌터카의 사용 증가로 이어지는 데에는 여러 가지 한계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예를 들어, 차량을 렌탈하는 고객은 충분한 시간을 가지고 사전에 미리 차량을 예약하여야 할 뿐만 아니라, 차량을 인도받기 위하여 지정 차고지의 대리점에 직접 내점하여 차를 렌탈하고, 또한 반차를 할 경우에도 지정 차고지에 반납하여야하는 등의 번거로움이 있었다.
이러한 점을 고려한 선행기술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006598호(공고일자 2011.01.07)에서는, 사용자들의 통신 단말을 이용하여 차량을 용이하게 임대하고 반납할 수 있는 통합 차량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위한 차량 관리 방법을 제안한 바 있다.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은 차량 예약 및 검색, 배차 등의 처리를 기존에 비해 효율적으로 처리하려고 의도하였지만, 근본적으로 차량 사용자가 미리 결정된 위치로 이동하여 차량을 배차받거나 반차하는 종래의 배차 및 반차 시스템의 한계를 벗어나지 못하였다.
또한, 차량 사용자가 렌탈 차량의 도어 잠금 해제 처리를 실행하기 위하여, 렌탈 차량에 바코드 리더기 또는 RFID 리더기가 구비되거나 이들 장치를 포함한 하이브리드 네비게이션 단말이 반드시 설치되어야 하므로, 차량에 이러한 단말을 별도 설치하여야 하는 설치상의 불편함과, 일반 차량과 달리 별도의 단말을 장착하고 운행하여야 하는 사용자의 불편함이 있었다.
이러한 점들로 인해 종래의 통합 차량 관리 시스템은 실제 렌탈 차량에 적용함에 있어서 여전히 근본적인 한계가 있었다.
상기 종래 기술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렌터카 사용을 원하는 고객이 인터넷 또는 모바일 수단을 통해 렌터카 사용 예약을 할 수 있도록 하고, 예약된 일시 및 장소 조건에 따라 고객에게 배차 및 반차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렌터카 배반차 방법 및 시스템, 그 기록매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적어도 사용자 단말 및 기사 단말, 렌터카 기간 시스템과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는 렌터카 배반차 시스템에서 실행되는 렌터카 배반차 방법으로서, (a) 사용자의 렌터카 배차 예약 요청에 근거하여 상기 렌터카 기간 시스템에서 전송된 예약 요청 정보에 의해, 예약 안내 정보를 해당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b)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예약 확인 정보를 전송받으면, 배차 차량 및 기사를 지정하고, 배차 담당 기사의 기사 단말로 기사용 배차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c) 차고지에서 차량을 출고한 배차 담당 기사의 기사 단말로부터 기사 출고 확인 정보를 전송받는 단계; 및 (d) 배차 장소에 도착하여 사용자에게 차량 상태 및 계약서 정보 확인을 완료한 배차 담당 기사의 기사 단말로부터 계약 확인 정보를 전송받고, 사용자의 결제 의사 확인이 가능한 단말에 의해 생성된 결제 정보를 전송받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e) 사용자의 렌터카 반차 예약 요청에 근거하여 상기 렌터카 기간 시스템에서 전송된 예약 요청 정보에 의해, 예약 안내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f)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예약 확인 정보를 전송받으면, 반차 기사를 지정하고, 반차 담당 기사의 기사 단말로 기사용 반차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g) 반차지에 도착하여 사용자에게 차량 상태 및 계약서 정보 확인을 완료한 반차 담당 기사의 기사 단말로부터 계약 확인 정보를 전송받고, 정산 결제 금액이 있는 경우 사용자의 정산 결제 의사 확인이 가능한 단말에 의해 생성된 결제 정보를 전송받는 단계; 및 (h) 입고지에 차량을 입고한 반차 담당 기사의 기사 단말로부터 기사 입고 확인 정보를 전송받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다른 일실시예는,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적어도 사용자 단말 및 기사 단말, 렌터카 기간 시스템과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는 렌터카 배반차 시스템에서 실행되는 렌터카 배반차 방법으로서, (a) 보험사의 렌터카 배차 예약 요청에 근거하여 상기 렌터카 기간 시스템에서 전송된 예약 요청 정보에 의해, 예약 안내 정보를 보험대차를 사용할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b)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예약 확인 정보를 전송받으면, 배차 차량 및 기사를 지정하고, 배차 담당 기사의 기사 단말로 기사용 배차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c) 차고지에서 차량을 출고한 배차 담당 기사의 기사 단말로부터 기사 출고 확인 정보를 전송받는 단계; 및 (d) 배차 장소에 도착하여 사용자에게 차량 상태 및 계약서 정보 확인을 완료한 배차 담당 기사의 기사 단말로부터 계약 확인 정보를 전송받고, 사용자의 승인 의사 확인이 가능한 단말에 의해 생성된 보험 배차 승인 정보를 전송받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는, (e) 보험사의 렌터카 반차 예약 요청에 근거하여 상기 렌터카 기간 시스템에서 전송된 예약 요청 정보에 의해, 예약 안내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f)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예약 확인 정보를 전송받으면, 반차 기사를 지정하고, 반차 담당 기사의 기사 단말로 기사용 반차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g) 반차지에 도착하여 사용자에게 차량 상태 및 계약서 정보 확인을 완료한 반차 담당 기사의 기사 단말로부터 계약 확인 정보를 전송받고, 사용자의 승인 의사 확인이 가능한 단말에 의해 생성된 보험 반차 승인 정보를 전송받는 단계; 및 (h) 입고지에 차량을 입고한 반차 담당 기사의 기사 단말로부터 기사 입고 확인 정보를 전송받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사용자 단말 및 기사 단말은 모바일 단말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사용자 단말 또는 기사 단말로의 정보 전송은, 각 전송 정보별로 미리 정의된 이벤트 메타데이터- 상기 이벤트 메타데이터는 해당 정보가 전송될 단말 정보, 해당 이벤트 식별 정보, 해당 이벤트 제공을 위한 이벤트 프로그램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함-를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 또는 기사 단말로 전송하는 방식으로 이뤄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렌터카 배반차 시스템은, 상기 사용자 단말 또는 기사 단말의 전화번호를 이용하여 이동 통신사 서버로부터 해당 사용자 단말 또는 기사 단말의 특성 정보- 상기 특성 정보는 해당 단말의 단말기 타입, 단말기 모델번호, 서비스 상태 정보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함-를 전송받으며, 상기 이벤트 메타데이터를 생성하도록 더욱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이벤트 프로그램은, 상기 사용자 단말 또는 기사 단말이 상기 렌터카 배반차 시스템으로부터 미리 다운로드 하여 설치된 것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이벤트 프로그램은, 상기 이벤트 메타데이터 전송 전에 상기 렌터카 배반차 시스템이 체크 프로그램을 전송하고, 상기 체크 프로그램에 의해 상기 사용자 단말 또는 기사 단말에 상기 이벤트 프로그램이 미설치된 것으로 확인된 경우에 상기 체크 프로그램에 의해 생성된 자동 전송 요청에 따라 상기 렌터카 배반차 시스템으로부터 다운로드 되어 설치된 것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사용자 단말 또는 기사 단말에서, 상기 이벤트 프로그램의 실행에 따라 상기 이벤트 메타데이터의 해석 및 그에 따른 이벤트 정보의 디스플레이가 이뤄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렌터카 배반차 방법의 각 단계를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른 일실시예는,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적어도 사용자 단말 및 기사 단말, 렌터카 기간 시스템과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는 렌터카 배반차 시스템으로서, 사용자의 렌터카 배차 예약 요청에 근거하여 상기 렌터카 기간 시스템에서 전송된 예약 요청 정보에 의해, 예약 안내 정보를 해당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기능과,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예약 확인 정보를 전송받아 배차 차량을 지정하는 기능을 적어도 수행하는 배반차 처리부; 상기 예약 확인 정보에 근거하여 배차 담당 기사를 지정하는 기능과, 상기 배차 담당 기사의 기사 단말로 기사용 배차 정보를 전송하는 기능과, 차고지에서 차량을 출고한 배차 담당 기사의 기사 단말로부터 기사 출고 확인 정보를 전송받는 기능을 적어도 수행하는 기사 관제 처리부; 상기 기사 출고 확인 정보를 전송받으면, 계약서 정보를 기사 단말로 전송하는 기능과, 배차 장소에 도착하여 사용자에게 차량 상태 및 계약서 정보 확인을 완료한 배차 담당 기사의 기사 단말로부터 계약 확인 정보를 전송받는 기능을 적어도 수행하는 계약 처리부; 및 상기 기사 단말로부터 계약 확인 정보를 전송받으면, 결제 요청 정보를 사용자의 정보 확인이 가능한 단말로 전송하여 결제 요청을 하는 기능과, 사용자의 결제 의사 확인이 가능한 단말에 의해 생성된 결제 정보를 전송받는 기능을 적어도 수행하는 결제/승인 처리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른 일실시예는,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적어도 사용자 단말 및 기사 단말, 렌터카 기간 시스템과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는 렌터카 배반차 시스템으로서, 보험사의 렌터카 배차 예약 요청에 근거하여 상기 렌터카 기간 시스템에서 전송된 예약 요청 정보에 의해, 예약 안내 정보를 보험대차를 사용할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기능과,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예약 확인 정보를 전송받아 배차 차량을 지정하는 기능을 적어도 수행하는 배반차 처리부; 상기 예약 확인 정보에 근거하여 배차 담당 기사를 지정하는 기능과, 상기 배차 담당 기사의 기사 단말로 기사용 배차 정보를 전송하는 기능과, 차고지에서 차량을 출고한 배차 담당 기사의 기사 단말로부터 기사 출고 확인 정보를 전송받는 기능을 적어도 수행하는 기사 관제 처리부; 상기 기사 출고 확인 정보를 전송받으면, 계약서 정보를 기사 단말로 전송하는 기능과, 배차 장소에 도착하여 사용자에게 차량 상태 및 계약서 정보 확인을 완료한 배차 담당 기사의 기사 단말로부터 계약 확인 정보를 전송받는 기능을 적어도 수행하는 계약 처리부; 및 상기 기사 단말로부터 계약 확인 정보를 전송받으면, 보험 배차 승인 요청 정보를 사용자의 정보 확인이 가능한 단말로 전송하여 보험 배차 승인 요청을 하는 기능과, 사용자의 승인 의사 확인이 가능한 단말에 의해 생성된 보험 배차 승인 정보를 전송받는 기능을 적어도 수행하는 결제/승인 처리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른 일실시예는,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적어도 사용자 단말 및 기사 단말, 렌터카 기간 시스템과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는 렌터카 배반차 시스템으로서, 상기 렌터카 기간 시스템에서 전송된 예약 요청 정보에 의해, 예약 안내 정보를 해당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기능과, 배차 차량을 지정하는 기능을 적어도 수행하는 배반차 처리부; 배차 담당 기사를 지정하는 기능과, 상기 배차 담당 기사의 기사 단말로 기사용 배차 정보를 전송하는 기능을 적어도 수행하는 기사 관제 처리부; 계약서 정보를 기사 단말로 전송하는 기능과, 배차 장소에 도착하여 사용자에게 차량 상태 및 계약서 정보 확인을 완료한 배차 담당 기사의 기사 단말과 연동한 계약 처리 기능을 적어도 수행하는 계약 처리부; 및 상기 사용자의 결제 의사 확인이 가능한 단말과 연동하여 결제 처리를 적어도 수행하는 결제/승인 처리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른 일실시예는,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적어도 사용자 단말 및 기사 단말, 렌터카 기간 시스템과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는 렌터카 배반차 시스템으로서, 상기 렌터카 기간 시스템에서 전송된 예약 요청 정보에 의해, 예약 안내 정보를 보험대차를 사용할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기능과, 배차 차량을 지정하는 기능을 적어도 수행하는 배반차 처리부; 배차 담당 기사를 지정하는 기능과, 상기 배차 담당 기사의 기사 단말로 기사용 배차 정보를 전송하는 기능을 적어도 수행하는 기사 관제 처리부; 계약서 정보를 기사 단말로 전송하는 기능과, 배차 장소에 도착하여 사용자에게 차량 상태 및 계약서 정보 확인을 완료한 배차 담당 기사의 기사 단말과 연동한 계약 처리 기능을 적어도 수행하는 계약 처리부; 및 상기 사용자의 승인 의사 확인이 가능한 단말과 연동하여 보험 배차 승인 처리를 적어도 수행하는 결제/승인 처리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르면, 렌터카 고객 입장에서는 언제 어디서나 필요할 경우에 본인이 원하는 위치에서 차량을 배차받거나 반차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고객 예약에서 기사 배정, 배차, 계약, 결재, 인도에 이르는 전 과정이 모바일 단말과 연동된 인증 처리를 기반으로 운용되므로, 고가의 차량 인도 과정에 발생할 수 있는 각종 분쟁의 소지를 근본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전반적인 배차 및 반차에 관한 처리가 푸쉬 기반의 모바일 이벤트로 이뤄지므로, 모바일 단말의 사용 측면의 편의성이 우수하다는 장점이 있다.
한편, 렌터카사 입장에서는 전반적인 렌터카 배차 및 반차 절차를 편리하게 처리할 수 있고, 차량 회전률을 증대할 수 있으므로, 전반적인 렌터카 관리 및 운영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기사에 의한 배차 및 반차가 이뤄지므로, 현재 시내 중심가에 위치한 차고지를 비용이 저렴한 중심 인접지구로 이전할 수 있어 차고지에 대한 고정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렌터카 배차 및 반차에 대한 계약 및 결재의 신속성과 안전성을 확보할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배차 및 반차를 담당하는 기사에 대한 인증 처리가 모바일 단말을 이용하여 이뤄지므로, 배차 및 반차 담당 기사를 반드시 렌터카사의 내부 인력으로 운용할 필요가 없이 미리 신원이 확인된 외부 인력을 등록시켜 아웃 소싱 형태로 운용할 수 있으므로, 배차 및 반차 인력 활용 면에서도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보험대차의 경우에 상기와 같은 배반차 서비스의 도입을 통해, 보험 가입 고객에 대한 서비스도 향상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렌터카 배반차 시스템 관련 전체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렌터카 배반차 시스템의 기능 관점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렌터카 배반차 방법의 배차 과정의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렌터카 배반차 방법의 반차 과정의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의한 보험대차를 위한 렌터카 배반차 시스템 관련 전체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의한 보험대차를 위한 렌터카 배반차 방법의 배차 과정의 흐름도,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의한 보험대차를 위한 렌터카 배반차 방법의 반차 과정의 흐름도,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의한 렌터카 배반차 방법의 배차 과정의 흐름도,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의한 렌터카 배반차 방법의 반차 과정의 흐름도,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의한 보험대차를 위한 렌터카 배반차 방법의 배차 과정의 흐름도,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의한 보험대차를 위한 렌터카 배반차 방법의 반차 과정의 흐름도이다.
본 발명은 그 기술적 사상 또는 주요한 특징으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른 여러가지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모든 점에서 단순한 예시에 지나지 않으며 한정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구비하다",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렌터카 배반차 시스템 관련 전체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렌터카 배반차 시스템의 기능 관점 구성도이다.
통신 네트워크(10)를 통하여 렌터카 배반차 시스템(300)이 사용자 단말(100) 및 기사 단말(400), 렌터카 기간 시스템(200), 차고지 단말(500)과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다.
사용자 단말(100)은 렌터카를 이용하고자 하는 사용자의 단말로서, 이동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이동통신사 서버(도면 미도시)와 연동되는 음성통신 기능을 구비하고, 바람직하게는 스마트폰과 같이 앱(App)을 다운로드 및 설치하거나, 브라우저를 통한 웹(web) 접속을 통해 인터넷 사용이 가능한 단말이 될 수 있다.
렌터카 기간 시스템(200)은 렌터카 서비스사에서 운용하는 통상의 관리 시스템(또는 서버)으로 이해될 수 있으며, 보유 렌터카 및 고객에 관한 전반적인 사항(예, 렌터카 수량, 차종/사양 등의 차량 정보, 파손 여부 등 현재 차량의 상태 정보, 차고지 위치, 고객 정보, 예약 상황, 렌탈 현황, 결제 현황 등)을 관리하는 시스템이다. 이러한 렌터카 기간 시스템(200)은 물리적 관점으로는 중앙처리유닛, 시스템 DB, 시스템 메모리, 인터페이스 등의 컴퓨팅 요소를 구비하고, 렌터카 기간 프로그램이 구동되는 통상의 컴퓨터 시스템으로 이해될 수도 있다.
렌터카 기간 시스템(200)은 렌터카 예약 업무 처리 등을 위하여 구비된 별도의 콜 센터 시스템(도면 미도시)과 연동되어, 음성통신을 통해 사용자가 요청한 렌터카 예약 관련 요청을 수신하여 IP프로토콜 신호로 변환하여 처리할 수 있으며, 인터넷 등의 네트워크를 통하여 사용자 단말(100)과 직접 연결되어 예약 관련 요청을 처리할 수도 있다.
기사 단말(400)은 렌터카 배반차 시스템(300)에 등록된 배반차 담당 기사가 사용하는 단말로서, 이동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이동통신사 서버(도면 미도시)와 연동되는 음성통신 기능을 구비하고, 바람직하게는 모바일 태블릿 PC(예, 아이패드, 갤럭시 탭 등)와 같이 앱(App)을 다운로드 및 설치하거나, 브라우저를 통한 웹(web) 접속을 통해 인터넷 사용이 가능하되, 차량 상태 확인 및 계약 처리 등을 위하여 컴퓨팅 기능 및 디스플레이 기능이 스마트폰보다는 다소 강화된 단말이 될 수 있다.
차고지 단말(500)은 렌터카 기간 시스템(200)과 연동되어, 렌터카의 차고지에서 차량 입고 또는 출고 현황을 관리하는 통상의 컴퓨터 시스템으로 이해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각 지역별 차고지를 관리하는 렌터카 서비스사의 각 지역별 대리점 관리 단말로 이해될 수 있다.
렌터카 배반차 시스템(300)은 상기 사용자 단말(100) 및 기사 단말(400), 렌터카 기간 시스템(200)과 연동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렌터카 배반차 업무를 수행하는 시스템이다. 렌터카 배반차 시스템(300)은 렌터카 기간 시스템(200)과 하나의 통합된 시스템으로 구성될 수도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별도의 플랫폼 형태로 구성되어, 기존에 구축된 렌터카 기간 시스템(200)을 크게 변경하지 않는 상태에서 연동 구축되는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렌터카 배반차 시스템(300)은 사용자 단말(100)과의 연동에 따른 렌터카 계약 비용 결제 처리를 수행하기 위하여 결제 서버(도면 미 도시, 예, 신용카드사 서버)와 연동될 수 있으며, 사용자 단말(100) 또는 기사 단말(400)의 단말 특성 정보(단말기 타입, 단말기 모델번호, 서비스 상태 정보 등)를 조회하고 제공받기 위하여 이동통신사 서버(도면 미도시)와 연동될 수도 있다.
렌터카 배반차 시스템(300)에 대하여 설명한다.
렌터카 배반차 시스템(300)은, 사용자의 렌터카 배차 예약 요청에 근거하여 상기 렌터카 기간 시스템(300)에서 전송된 예약 요청 정보에 의해, 예약 안내 정보를 해당 사용자 단말(100)로 전송하는 기능과, 상기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예약 확인 정보를 전송받아 배차 차량을 지정하는 기능을 적어도 수행하는 배반차 처리부(304)를 구비한다.
또한, 렌터카 배반차 시스템(300)은, 상기 예약 확인 정보에 근거하여 배차 담당 기사를 지정하는 기능과, 상기 배차 담당 기사의 기사 단말(400)로 기사용 배차 정보를 전송하는 기능과, 차고지에서 차량을 출고한 배차 담당 기사의 기사 단말(400)로부터 기사 출고 확인 정보를 전송받는 기능을 적어도 수행하는 기사 관제 처리부(306)를 구비한다. 바람직하게는, 기사 관제 처리부(306)는 기사의 현재 상태를 파악하는 기능이 포함된다. 기사의 현재 상태는, 기사가 있는 현재 위치, 배반차 오더를 수행할 준비가 되어 있는지 여부 등에 관한 정보가 될 수 있다.
또한, 렌터카 배반차 시스템(300)은, 상기 기사 출고 확인 정보를 전송받으면, 계약서 정보를 기사 단말(400)로 전송하는 기능과, 배차 장소에 도착하여 사용자에게 차량 상태 및 계약서 정보 확인을 완료한 배차 담당 기사의 기사 단말(400)로부터 계약 확인 정보를 전송받는 기능을 적어도 수행하는 계약 처리부(308)를 구비한다.
또한, 렌터카 배반차 시스템(300)은, 상기 기사 단말(400)로부터 계약 확인 정보를 전송받으면, 결제 요청 정보를 사용자 단말(100)로 전송하여 결제 요청을 하는 기능과, 사용자 단말(100)에 의해 생성된 결제 정보를 전송받는 기능을 적어도 수행하는 결제/승인 처리부(310);를 구비한다.
상기 결제/승인 처리부(310)는 상기와 같이 사용자 단말(100)과 연동하여 결제 처리를 수행하지만, 사용자가 결제 처리가 필요한 시점(예, 차량 인도/회수 시점)에 사용자 단말을 지참하지 못한 경우에는 기사 단말(400)과 연동하여 결제 처리를 수행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렌터카 배반차 시스템(300)은 사용자 단말(100)을 통한 결제 처리가 이뤄질 수 없는 것으로 상기 기사 단말(400)로부터 대체 결제 요청 정보(또는 보험대차의 경우에는 대체 승인 요청 정보)를 받은 경우, 사용자가 기사 단말(400)을 통해 결제 내역을 확인하고 사용자 단말(100)이 아닌 다른 결제 수단으로 결제 처리를 할 수 있도록 상기 결제 요청 정보를 상기 기사 단말(4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 단말(100)로 전송되었던 결제 요청(또는 보험 배차 승인 요청)은 바람직하게는 취소 처리된다. 이후, 사용자는 기사 단말(400)로 전송된 결제 요청 정보를 확인하고, 단말에 의존적이지 않은 사용자 의존적인 인증 절차(예, 기사 단말에 결제 메뉴가 구현되더라도 사용자 개인 인증 정보를 보안 처리를 통해 직접 입력하여 결제)를 통해 기사 단말을 직접 이용하여 결제를 수행할 수도 있으며, 기사가 지참한 별도의 신용카드 결제 단말을 통해 신용카드 결제를 수행할 수도 있다. 신용카드를 통해 결제가 이뤄지는 경우에 상기 결제/승인 처리부(310)는 결제사 서버(도면 미도시)와 연동하여 결제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은 배차 또는 반차의 경우, 일반 결제의 경우 또는 보험대차의 경우 모두 적용 가능하다.
렌터카 배반차 시스템(300)은 이와 함께, 상기 사용자 단말(100) 및 기사 단말(400), 렌터카 기간 시스템(200), 결제 서버(도면 미도시), 이동통신사 서버(도면 미도시) 등과 연동되기 위한 인터페이스부(302)를 구비하며, 이러한 연동 과정에서 데이터의 보안/암호화 처리를 위한 보안/암호화 처리부(320), 전반적인 처리 동작의 제어를 위한 제어부(312)를 구비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에서 차량을 배차받기 위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100) 및 기사 단말(400)은 바람직하게는 모바일 단말이 된다. 이를 위하여, 렌터카 배반차 시스템(300)은 상기 사용자 단말(100) 또는 기사 단말(400)과의 모바일 이벤트를 실행하기 위한 모바일 이벤트 실행 엔진부(350)를 더욱 구비한다.
도 3을 참조할 때, 배차 프로세스의 경우, 모바일 이벤트는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100)로의 예약 안내 정보 전송(S108), 배차 안내 정보 전송(S146), 결제 요청 정보 전송(S162), 사용자 단말(100)로부터의 예약 확인 정보 전송(S112), 결제 정보 전송(S166) 등이 될 수 있으며, 기사 단말(400)로의 기사용 배차 정보 전송(S116), 계약서 정보 전송(S142), 기사 단말(400)로부터의 기사용 배차 확인 정보 전송(S122), 기사 출고 확인 정보 전송(S138), 계약 확인 정보 전송(S156) 등이 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할 때, 반차 프로세스의 경우, 모바일 이벤트는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100)로의 예약 안내 정보 전송(S208), 반차 안내 정보 전송(S232), 정산 결제 요청 정보 전송(S250), 사용자 단말(100)로부터의 예약 확인 정보 전송(S212), 정산 결제 정보 전송(S254) 등이 될 수 있으며, 기사 단말(400)로의 기사용 반차 정보 전송(S216), 계약서 정보 전송(S234), 정산 결제 확인 정보 전송(S258), 기사 단말(400)로부터의 기사용 반차 확인 정보 전송(S222), 계약 확인 정보 전송(S244), 기사 입고 확인 정보 전송(S264) 등이 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모바일 이벤트의 생성 또는 전송, 처리를 위하여, 배반차 처리 프로세스에 따라 제공 내지 처리되어야 할 각 이벤트 정보가 이벤트 코드 또는 이벤트 아이디에 의해 정의된 형태로 배반차 이벤트 DB(330)에 저장되며, 모바일 이벤트 실행 엔진부(350)는 배반차 처리 프로세스의 각 진행 단계에 따라 배반차 이벤트 DB(330)와 연동하여 해당 모바일 이벤트를 실행한다.
또한, 모바일 이벤트 실행 엔진부(350)는, 상기 사용자 단말(100) 또는 기사 단말(400)과의 모바일 이벤트 처리가 완료된 후, 이벤트 처리 결과에 대한 정보를 이벤트 로그 DB(340)에 저장하게 된다.
이러한 모바일 이벤트 처리 방식은, 이벤트 구동형 푸쉬 서비스(Event-Driven Push Service)로 정의될 수 있다.
즉, 렌터카 배반차 시스템(300)은 상기 모바일 이벤트 실행 엔진부(350)를 통해, 배반차 처리 프로세스의 각 진행 단계에 따라 상기 사용자 단말(100) 또는 기사 단말(400)과 연동을 통해 처리가 필요한 현상 또는 행동을 이벤트(Event)화 하고 그러한 현상 또는 행위가 발생하면 그 발생된 원인에 따른 결과를 실시간 제공(PUSH)하여 해당 사용자 단말(100) 또는 기사 단말(400)에 자동 팝-업(Pop-Up) 하도록 처리하게 된다. 이러한 처리 방식에 따라, 사용자 또는 기사는 별도의 웹 브라우징이나 앱 다운로드/실행과 같은 번잡스러운 행위를 개재하지 않고, 렌터카 배차 또는 반차를 위한 최초의 프로세스 개시 행위 이후에 배반차 처리 프로세스에 따른 각 단계별로 편리한 조작 처리가 가능하게 된다.
이러한 모바일 이벤트 처리를 위하여, 렌터카 배반차 시스템(300)으로부터 상기 사용자 단말(100) 또는 기사 단말(400)로의 정보 전송은, 각 전송 정보별로 미리 정의된 이벤트 메타데이터를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100) 또는 기사 단말(400)로 전송하는 방식으로 이뤄진다. 상기 이벤트 메타데이터는 해당 정보가 전송될 단말 정보, 해당 이벤트 식별 정보, 해당 이벤트 제공을 위한 이벤트 프로그램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상기 이벤트 메타데이터는 이벤트 자체에 대한 정보와, 이를 특정 모바일 단말에서 구현하기 위한 구현 정보가 함께 포함된 것으로 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공하고자 하는 모바일 이벤트가 도 3의 예약 안내 정보 전송(S108)이라고 한다면, 예약된 차량 정보, 배차지/배차시간 정보, 금액 정보 등이 이벤트 자체에 대한 정보로 볼 수 있으며, 이를 특정 OS 상에서 구현하기 위한 공통 포맷/프로토콜/UI 등에 대한 정보가 구현 정보로 볼 수 있다.
상기 렌터카 배반차 시스템(300)은, 상기 사용자 단말(100) 또는 기사 단말(400)의 전화번호를 통상의 전자적 번호 확인 기술을 통해 확인하고, 이를 이용하여 이동 통신사 서버(도면 미도시)로부터 해당 사용자 단말(100) 또는 기사 단말(400)의 특성 정보를 전송받으며, 상기 이벤트 메타데이터를 생성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특성 정보는 해당 단말의 단말기 타입, 단말기 모델번호, 서비스 상태 정보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상기 이벤트 프로그램은, 상기 사용자 단말(100) 또는 기사 단말(400)이 상기 렌터카 배반차 시스템으로부터 미리 다운로드 하여 설치된 것일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이벤트 프로그램은, 상기 이벤트 메타데이터 전송 전에 상기 렌터카 배반차 시스템(300)이 체크 프로그램을 전송하고, 상기 체크 프로그램에 의해 상기 사용자 단말(100) 또는 기사 단말(400)에 상기 이벤트 프로그램이 미설치된 것으로 확인된 경우에 상기 체크 프로그램에 의해 생성된 자동 전송 요청에 따라 상기 렌터카 배반차 시스템(300)으로부터 다운로드 되어 설치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사용자 단말(100) 또는 기사 단말(400)에서, 상기 이벤트 프로그램의 실행에 따라 상기 이벤트 메타데이터의 해석 및 그에 따른 이벤트 정보의 디스플레이가 이뤄지게 된다.
한편, 상기 이벤트 프로그램은 상기 사용자 단말(100) 또는 기사 단말(400)이 렌터카 배반차 시스템(300)과 연동하여 모바일 이벤트를 처리하기 위한 기반 프로그램으로서, 사용자 단말(100) 또는 기사 단말(400)에 설치 및 실행되어 배반차 처리 프로세스의 각 진행 단계에 따른 각 이벤트의 처리를 위한 기능 요소를 단말 특성에 맞게 구현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기능 요소는 예를 들어, 이벤트 메타데이터의 수신, 해석과 이에 따른 모바일 이벤트의 실행 및 제공, 이벤트 관리 내역 저장, 각종 송수신 정보의 암호화 및 해제, 인증 처리, 디스플레이 및 이벤트 제공 환경 설정을 위한 조회/환경 설정 등을 위한 기능 모듈로 이해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모바일 이벤트의 실행은 이벤트 메타데이터의 해석에 따라 자동으로 이뤄질 수도 있으며, 이벤트 메타데이터의 해석에 따라 각종 안내 및/또는 질의, 선택 정보를 사용자 또는 기사에게 제공한 후, 사용자 또는 기사가 모바일 단말에 확인 또는 선택 입력을 하고, 그 입력 내용에 따라 모바일 이벤트의 실행이 이뤄지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이벤트 프로그램은 모바일 단말의 단말기 타입, 단말기 모델번호, 서비스 상태 정보(예, 모바일 폰의 OS 및 그 버전, 단말기 화면 크기) 등에 따라 최적화된 형태로 복수의 버전이 구비되며, 해당 모바일 단말에 최적화된 버전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렌터카 배반차 방법의 배차 과정의 흐름도이다. 도 3에서 특히 점선으로 처리된 부분은 사용자 또는 기사, 차고지 담당자 등에 의해 이뤄지는 오프 라인 상의 행위로 이해될 수 있다.
사용자의 렌터카 배차 예약 요청(S100~S102)에 근거하여 상기 렌터카 기간 시스템에서 배차 가능 여부를 확인하고(S104), 상기 확인 후 렌터카 기간 시스템에서 전송된 예약 요청 정보에 의해(S106), 예약 안내 정보를 해당 사용자 단말로 전송한다(S108).
상기 렌터카 배차 예약 요청(S100)은, 렌터카 기간 시스템과 연동되는 콜 센터에 음성통신을 통해 사용자가 렌터카 예약 관련 요청을 하고, 이를 콜 센터 상담원이 콜 센터 시스템에 입력하는 형태로 IP프로토콜 신호로 변환하여 수신 처리할 수 있으며, 인터넷 등의 네트워크를 통하여 사용자 단말로부터 렌터카 기간 시스템을 거쳐 직접 IP프로토콜 신호로 예약 관련 요청을 수신 처리할 수도 있다. 여기서, 사용자 단말로부터 직접 IP프로토콜 신호로 예약 관련 요청을 수신 처리한다는 의미는, 사용자 단말에 설치된 앱(App)의 구동 또는 사용자 단말에 설치된 브라우저를 통한 웹(web) 접속을 통한 인터넷 직접 예약으로 이해될 수 있다.
상기 예약 안내 정보는, 상기 예약 요청 정보에 따라 생성된 렌터카 배차 정보, 사용자 인증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렌터카 배차 정보는 배차 차량, 도착 시간, 장소, 금액, 렌탈 조건, 예상 배차 기사 정보 등에 관한 내용을 포함하며, 사용자 인증 정보는 향후 차량 인도 시에 배차 담당 기사가 예약을 한 사용자를 정당한 사용자로서 인식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고유 인증 코드로 이해할 수 있다. 배차 기사 정보는 예약 안내 정보에 예상 정보로서 포함될 수도 있으며, 최종 배차 기사 배정 확인 후에 배차 안내 정보에 확인 정보로서 포함될 수도 있다.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예약 확인 정보를 전송받는다(S112). 상기 예약 확인 정보는 사용자 인증 확인 정보를 포함한다.
배반차 운행 현황을 고려하여 배차 차량 및 기사를 지정하고(S114), 지정된 배차 담당 기사의 기사 단말로 기사용 배차 정보를 전송한다(S116). 상기 기사용 배차 정보는, 렌터카 배차 정보(출고지 정보 포함)와 기사 인증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렌터카 배차 정보는 배차 차량, 시간, 장소, 금액, 렌탈 사용자, 렌탈 조건(예, 렌탈 기간, 기타 특이 사항) 등에 관한 내용을 포함하며, 기사 인증 정보는 향후 차량 출고 시에 차고지의 출고 담당자가 출고를 하고자 하는 기사를 정당한 기사로서 인식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고유 인증 코드로 이해할 수 있다.
상기 기사용 배차 정보를 전송받은 기사 단말로부터 기사용 배차 확인 정보를 전송받고(S120~S122), 기사용 배차 확인 정보에 오류가 없는지 확인한다(S130).
이와 별도로, 상기 렌터카 기간 시스템으로 기간 시스템용 배차 정보를 더욱 전송한다(S118). 기간 시스템용 배차 정보는 상기 기사용 배차 정보와 유사한 정보로 이해될 수 있다. 상기 기간 시스템용 배차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렌터카 기간 시스템은 차고지 단말로 렌터카 배차 정보와 배차 담당 기사 정보, 상기 배차 담당 기사의 기사 인증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차고지용 배차 정보를 전송한다(S124).
차고지의 출고 담당자는 차고 단말기를 통해 상기 차고지용 배차 정보를 확인하고(S126), 차고지용 배차 확인 정보를 렌터카 기간 시스템으로 전송한다(S128).
배차 담당 기사가 출고지로 이동하여(S132) 차고지에 도착한다. 차고지의 출고 담당자는 기사/배차 정보를 확인하고(S134), 렌터카 기간 시스템으로부터 전송된 차고지용 배차 정보와 대비하여 오류가 없으면 지정된 종류의 렌트카를 기사에게 인도하여 출고한다(S136)
차고지에서 차량을 출고한 배차 담당 기사의 기사 단말로부터 기사 출고 확인 정보를 전송받는다(S138).
상기 기사 출고 확인 정보를 전송받으면, 이를 확인하고(S140), 계약서 정보를 기사 단말로 전송한다(S142). 상기 계약서 정보는 렌탈 조건에 관한 전반적인 계약 사항을 포함하는 정보로서, 특히, 배차 차량의 차량 상태 정보를 포함한다. 차량을 사용자에게 인도할 때, 배차 차량의 차량 상태 정보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 렌트 차량에 미세한 파손 등이 있는 경우에는 이를 계약시에 반드시 확인해야 되며, 이러한 과정이 간과될 경우, 렌트 기간 종료 후 반차 시에 파손 부분에 대한 책임 소재 불명으로 분쟁의 소지가 있을 수 있다. 그러므로, 기사 단말로 전송된 계약서 정보에는 배차 차량의 차량 상태 정보가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차고지 단말은 차량 출고 시, 차고지 출고 확인 정보를 렌터카 기간 시스템으로 전송하여(S144), 렌터카 기간 시스템에서 항상 차량의 실시간 운행 현황이 파악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기사 출고 확인 정보를 전송받으면, 배차 안내 정보를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여(S146), 사용자가 예약한 렌터카의 출고 및 배차 상황을 실시간으로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배차 안내 정보는 배차 담당 기사의 기사 인증 정보, 기사 도착 예정 시간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배차 담당 기사가 차량을 운행하여 배차지로 이동하며(S148), 차량을 사용자에게 인도할 수 있는 상태가 되게 한다(S150).
배차 담당 기사가 배차 장소에 도착하여 사용자를 만나고, 사용자 인증 정보를 확인하여 해당 사용자가 정당한 사용자인지 확인한 후, 사용자에게 차량 상태 및 계약서 정보 확인을 완료하면(S152), 배차 담당 기사의 기사 단말로부터 계약 확인 정보를 전송받는다(S154~S156). 이때, 차량 상태나 계약서 정보 중에 수정 내지 추가가 필요한 사항은 기사 단말을 통해 계약 확인 정보의 일부로서 함께 입력 및 전송받게 된다.
상기 기사 단말로부터 계약 확인 정보를 전송받은 후, 상기 렌터카 기간 시스템으로 계약 확인 정보를 전송하고(S158) 계약 승인을 받는다(S160).
이후, 결제 요청 정보를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여 결제 요청을 하고(S162), 사용자 단말에 의해 생성된 결제 정보를 전송받는다(S164~S166). 이 과정에서 결제 서버(예, 신용카드사 서버) 등과 연동하여 결제 처리가 이뤄질 수 있다. 렌터카는 그 특성상 계약이 완료된 후 그 가격이 결정되며, 결정된 가격을 근간으로 하여 사용자 단말로 결제 요청 정보가 전달된다. 상기 결제 요청 정보에는 대리점 정보, 차량 정보, 결제 내역 정보, 사용자 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결제 처리는 상기와 같이 사용자 단말과 연동하여 이뤄지지만, 사용자가 결제 처리가 필요한 시점(예, 차량 인도/회수 시점)에 사용자 단말을 지참하지 못한 경우에는 기사 단말과 연동하여 결제 처리를 수행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렌터카 배반차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을 통한 결제 처리가 이뤄질 수 없는 것으로 상기 기사 단말로부터 대체 결제 요청 정보를 받은 경우, 사용자가 기사 단말을 통해 결제 내역을 확인하고 사용자 단말이 아닌 다른 결제 수단으로 결제 처리를 할 수 있도록 상기 결제 요청 정보를 상기 기사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기사 단말로 전송된 결제 요청 정보를 확인하고, 단말에 의존적이지 않은 사용자 의존적인 인증 절차(예, 기사 단말에 결제 메뉴가 구현되더라도 사용자 개인 인증 정보를 보안 처리를 통해 직접 입력하여 결제)를 통해 기사 단말을 직접 이용하여 결제를 수행할 수도 있으며, 기사가 지참한 별도의 신용카드 결제 단말을 통해 신용카드 결제를 수행할 수도 있다. 신용카드를 통해 결제가 이뤄지는 경우에는 결제사 서버(도면 미도시)와 연동하여 결제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은 도 8의 S161~S166a의 각 단계로 참조될 수 있다.
이후, 결제 완료 정보를 렌터카 기간 시스템으로 전송하여(S168), 렌터카 기간 시스템에서 해당 차량의 렌탈 상태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고, 배차 처리를 완료한다(S170).
상기와 같은 배차 처리가 완료된 후, 배차 후처리가 진행된다. 배차 후처리로서, 사용자 단말에 최종 확정 처리된 계약서 및 결제 영수증 등을 전송하고, 또한 기사 단말로부터 배차에 관련한 각종 정보, 계약서 관련 정보, 사용자 관련 정보가 자동 삭제되도록 하고, 해당 기사가 다음의 오더를 수행할 수 있도록 안내 처리 등을 할 수 있다. 상기 배차 후처리에서 사용자의 요청 시, 최종 확정 처리된 계약서 및 결제 영수증 등은 사용자의 e-Mail 또는 Fax를 통해 전송 처리할 수도 있으며, 상기 기사 단말로부터 각종 정보의 자동 삭제 처리는 기사 단말에 전송된 정보의 작업 후 자동 파기 처리 또는 기사 단말에 대한 삭제 요청/확인 처리, 별도의 이벤트 구동형 푸쉬 서비스(Event-Driven Push Service) 등으로 이뤄질 수 있다.
상기 배차 프로세스의 경우, 사용자 단말(100)로의 예약 안내 정보 전송(S108), 배차 안내 정보 전송(S146), 결제 요청 정보 전송(S162), 사용자 단말(100)로부터의 예약 확인 정보 전송(S112), 결제 정보 전송(S166), 기사 단말(400)로의 기사용 배차 정보 전송(S116), 계약서 정보 전송(S142), 기사 단말(400)로부터의 기사용 배차 확인 정보 전송(S122), 기사 출고 확인 정보 전송(S138), 계약 확인 정보 전송(S156), 결제 영수증 전송(도면 미도시) 등은 상술한 이벤트 구동형 푸쉬 서비스(Event-Driven Push Service)로 이뤄질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렌터카 배반차 방법의 반차 과정의 흐름도이다. 도 4에서 특히 점선으로 처리된 부분은 사용자 또는 기사, 차고지 담당자 등에 의해 이뤄지는 오프 라인 상의 행위로 이해될 수 있다.
사용자의 렌터카 반차 예약 요청(S200~S202)에 근거하여 상기 렌터카 기간 시스템에서 반차 가능 여부를 확인하고(S204), 상기 확인 후 렌터카 기간 시스템에서 전송된 예약 요청 정보에 의해(S206), 예약 안내 정보를 해당 사용자 단말로 전송한다(S208).
상기 렌터카 반차 예약 요청(S200)은, 렌터카 기간 시스템과 연동되는 콜 센터에 음성통신을 통해 사용자가 렌터카 예약 관련 요청을 하고, 이를 콜 센터 상담원이 콜 센터 시스템에 입력하는 형태로 IP프로토콜 신호로 변환하여 수신 처리할 수 있으며, 인터넷 등의 네트워크를 통하여 사용자 단말로부터 렌터카 기간 시스템을 거쳐 직접 IP프로토콜 신호로 예약 관련 요청을 수신 처리할 수도 있다.
상기 예약 안내 정보는, 상기 예약 요청 정보에 따라 생성된 렌터카 반차 정보, 사용자 인증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렌터카 반차 정보는 반차 차량, 시간, 장소, 금액, 렌탈 조건 등에 관한 내용을 포함하며, 사용자 인증 정보는 향후 차량 회수 시에 반차 담당 기사가 예약을 한 사용자를 정당한 사용자로서 인식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고유 인증 코드로 이해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예약 확인 정보를 전송받는다(S212). 상기 예약 확인 정보는 사용자 인증 확인 정보를 포함한다.
배반차 운행 현황을 고려하여 반차 기사를 지정하고(S214), 지정된 반차 담당 기사의 기사 단말로 기사용 반차 정보를 전송한다(S216).
상기 기사용 반차 정보는, 렌터카 반차 정보(입고지 정보 포함)와 기사 인증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렌터카 반차 정보는 반차 차량, 시간, 장소, 금액, 렌탈 조건 등에 관한 내용을 포함하며, 기사 인증 정보는 향후 사용자로부터 차량 회수 시에 사용자가 해당 기사를 정당한 반차 기사인지 여부를 인식하거나, 차량 입고 시에 차고지의 입고 담당자가 입고를 하고자 하는 기사를 정당한 기사로서 인식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고유 인증 코드로 이해할 수 있다.
상기 기사용 반차 정보를 전송받은 기사 단말로부터 기사용 반차 확인 정보를 전송받고(S220~S222), 기사용 반차 확인 정보에 오류가 없는지 확인한다(S230).
한편, 상기 기사용 반차 확인 정보를 전송받으면, 반차 안내 정보를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여(S232), 사용자가 예약한 렌터카의 반차 상황을 실시간으로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반차 안내 정보는 반차 담당 기사의 기사 인증 정보, 반차 장소, 기사 도착 예정 시간 등이 포함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기존의 계약서를 확인용으로 전송할 수도 있다.
이와 별도로, 상기 렌터카 기간 시스템으로 기간 시스템용 반차 정보를 더욱 전송한다(S218). 기간 시스템용 반차 정보는 상기 기사용 반차 정보와 유사한 정보로 이해될 수 있다. 상기 기간 시스템용 반차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렌터카 기간 시스템은 차고지 단말로 렌터카 반차 정보와 반차 담당 기사 정보, 상기 반차 담당 기사의 기사 인증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차고지용 반차 정보를 전송한다(S224).
차고지의 입고 담당자는 차고 단말기를 통해 상기 차고지용 반차 정보를 확인하고(S226), 차고지용 반차 확인 정보를 렌터카 기간 시스템으로 전송한다(S228).
한편, 상기 기사 반차 확인 정보를 전송받으면, 이를 확인하고(S230), 계약서 정보를 기사 단말로 전송한다(S234). 상기 계약서 정보는 렌탈 조건에 관한 전반적인 계약 사항을 포함하는 정보로서, 특히, 반차 차량의 차량 상태 정보를 포함한다.
반차 담당 기사가 반차지로 이동하며(S236), 차량을 사용자로부터 회수할 수 있는 상태가 되게 한다(S238).
반차 담당 기사가 반차 장소에 도착하여 사용자를 만나고, 사용자 인증 정보를 확인하여 해당 사용자가 정당한 사용자인지 확인한 후, 사용자에게 차량 상태 및 계약서 정보 확인을 완료하면(S240), 반차 담당 기사의 기사 단말로부터 계약 확인 정보를 전송받는다(S242~S244). 이때, 차량 상태나 계약서 정보 중에 수정 내지 추가가 필요한 사항은 기사 단말을 통해 계약 확인 정보의 일부로서 함께 입력 및 전송받게 된다.
상기 기사 단말로부터 계약 확인 정보를 전송받은 후, 상기 렌터카 기간 시스템으로 계약 확인 정보를 전송하고(S246) 계약 승인을 받는다(S248).
이후, 추가적인 정산 결제가 필요한 경우, 정산 결제 요청 정보를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여 정산 결제 요청을 하고(S250), 사용자 단말에 의해 생성된 정산 결제 정보를 전송받는다(S252~S254). 이 과정에서 결제 서버(예, 신용카드사 서버) 등과 연동하여 결제 처리가 이뤄질 수 있다. 상기 정산 결제 처리는 상기와 같이 사용자 단말과 연동하여 이뤄지지만, 사용자가 결제 처리가 필요한 시점(예, 차량 인도/회수 시점)에 사용자 단말을 지참하지 못한 경우에는 기사 단말과 연동하여 결제 처리를 수행할 수도 있다. 이러한 과정은 도 9의 S249~S254a의 각 단계로 참조될 수 있다. 이 부분은 상술한 배차 과정의 결제 처리와 유사하므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정산 결제가 확인되면(S256), 정산 결제 확인 정보를 기사 단말로 전송한다(S258).
정산 결제 확인 정보를 확인한 반차 담당 기사가 차량을 운행하여 입고할 차고지로 이동한다(S260). 차고지의 입고 담당자는 기사/반차 정보를 확인하고, 렌터카 기간 시스템으로부터 전송된 차고지용 반차 정보와 대비하여 오류가 없으면 차량 입고 처리를 한다(S262)
차고지에서 차량을 입고한 반차 담당 기사의 기사 단말로부터 기사 입고 확인 정보를 전송받는다(S264).
한편, 차고지 단말은 차량 입고 시, 차고지 입고 확인 정보를 렌터카 기간 시스템으로 전송하여(S266), 렌터카 기간 시스템에서 항상 해당 차량의 렌탈 상태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이후, 기사 입고 확인 정보를 확인하고(S268), 반차 처리를 완료한다(S270).
이때, 렌터카 기간 시스템으로부터 입고 확인 정보를 전송 받아(S267), 상기 기사 단말로부터의 기사 입고 확인 정보와 중복 체크를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며, 양측의 입고 확인 정보가 모두 확인된 후 최종적으로 입고 처리가 확인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한편, 렌터카 기간 시스템이 아닌 차고지 단말로부터 직접 입고 확인 정보를 받을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와 같은 반차 처리가 완료된 후, 반차 후처리가 진행된다. 반차 후처리로서, 기사 단말로부터 반차에 관련한 각종 정보, 계약서 관련 정보, 사용자 관련 정보가 자동 삭제되도록 하고, 해당 기사가 다음의 오더를 수행할 수 있도록 안내 처리 등을 할 수 있다.
상기 반차 프로세스의 경우, 사용자 단말(100)로의 예약 안내 정보 전송(S208), 반차 안내 정보 전송(S232), 정산 결제 요청 정보 전송(S250), 사용자 단말(100)로부터의 예약 확인 정보 전송(S212), 정산 결제 정보 전송(S254), 기사 단말(400)로의 기사용 반차 정보 전송(S216), 계약서 정보 전송(S234), 정산 결제 확인 정보 전송(S258), 기사 단말(400)로부터의 기사용 반차 확인 정보 전송(S222), 계약 확인 정보 전송(S244), 기사 입고 확인 정보 전송(S264) 등은 상술한 이벤트 구동형 푸쉬 서비스(Event-Driven Push Service)로 이뤄질 수 있다.
한편, 상기 실시예와 같이 일반 렌터카 사용자를 대상으로 배반차 서비스를 제공할 수도 있지만, 사고로 일시 차량 사용을 할 수 없는 보험사 고객을 위한 보험대차 형태의 렌터카 배반차 서비스를 제공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보험대차의 배차 요청이나 반차 요청이 사용자 측이 아닌 보험사 측으로부터 이뤄진다는 점과 보험대차 사용자가 직접 결제 처리를 하지 않고 승인 처리를 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지만, 전반적인 배반차 프로세스는 상기 실시예와 거의 동일한 것으로 볼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보험대차 배반차 서비스에 대하여 설명하되, 상기 일반 배반차 서비스와 차이가 있는 부분을 위주로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의한 보험대차를 위한 렌터카 배반차 시스템 관련 전체 구성도이다. 렌터카 배반차 시스템의 기능 관점 구성도는 도 2와 동일한 것으로 볼 수 있다.
통신 네트워크(10)를 통하여 렌터카 배반차 시스템(300)이 사용자 단말(100) 및 기사 단말(400), 렌터카 기간 시스템(200), 차고지 단말(500), 보험사 시스템(600)과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다.
렌터카 배반차 시스템(300)은, 보험사의 렌터카 배차 예약 요청에 근거하여 상기 렌터카 기간 시스템(200)에서 전송된 예약 요청 정보에 의해, 예약 안내 정보를 보험대차를 사용할 사용자 단말(100)로 전송하는 기능과, 상기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예약 확인 정보를 전송받아 배차 차량을 지정하는 기능을 적어도 수행하는 배반차 처리부(304)를 구비한다.
또한, 렌터카 배반차 시스템(300)은, 상기 예약 확인 정보에 근거하여 배차 담당 기사를 지정하는 기능과, 상기 배차 담당 기사의 기사 단말(100)로 기사용 배차 정보를 전송하는 기능과, 차고지에서 차량을 출고한 배차 담당 기사의 기사 단말(100)로부터 기사 출고 확인 정보를 전송받는 기능을 적어도 수행하는 기사 관제 처리부(306)를 구비한다.
또한, 렌터카 배반차 시스템(300)은, 상기 기사 출고 확인 정보를 전송받으면, 계약서 정보를 기사 단말(100)로 전송하는 기능과, 배차 장소에 도착하여 사용자에게 차량 상태 및 계약서 정보 확인을 완료한 배차 담당 기사의 기사 단말(100)로부터 계약 확인 정보를 전송받는 기능을 적어도 수행하는 계약 처리부(308)를 구비한다.
또한, 렌터카 배반차 시스템(300)은, 상기 기사 단말(100)로부터 계약 확인 정보를 전송받으면, 보험 배차 승인 요청 정보를 사용자 단말(100)로 전송하여 보험 배차 승인 요청을 하는 기능과, 사용자 단말(100)에 의해 생성된 보험 배차 승인 정보를 전송받는 기능을 적어도 수행하는 결제/승인 처리부(310)를 구비한다.
상기 보험 배차 승인 처리는 상기와 같이 사용자 단말과 연동하여 이뤄지지만, 사용자가 결제 처리가 필요한 시점(예, 차량 인도/회수 시점)에 사용자 단말을 지참하지 못한 경우에는 기사 단말과 연동하여 결제 처리를 수행할 수도 있다. 이 부분은 상술한 일반 결제 처리와 유사하므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보험대차의 경우, 보험대차의 배차 요청이나 반차 요청이 사용자 측이 아닌 보험사 측으로부터 이뤄지므로, 배반차 처리부(304)는 보험사의 렌터카 배차 예약 요청에 근거하여 배반차 처리를 수행한다는 점에서 이전의 실시예와 차이가 있다.
또한, 보험대차의 경우, 보험대차 사용자가 직접 결제 처리를 하지 않고 승인 처리를 하므로, 결제/승인 처리부(310)는 사용자 단말(100)과 연동하여 결제 처리가 아니라 보험 배차 승인 정보를 처리하게 되는 점에서 이전의 실시예와 차이가 있다.
이외에 전반적인 각 구성요소별 기능은 이전의 실시예와 동일한 것으로 볼 수 있으므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의한 보험대차를 위한 렌터카 배반차 방법의 배차 과정의 흐름도이다. 도 6에서 특히 점선으로 처리된 부분은 사용자 또는 기사, 차고지 담당자 등에 의해 이뤄지는 오프 라인 상의 행위로 이해될 수 있다.
도 6의 S300~S372의 보험대차를 위한 배차 프로세스는 도 3의 S100~S170의 일반 배차 프로세스와 전반적으로 동일하다.
다만, S300에서 렌터카 배차 예약 요청이 사용자 단말이 아닌 보험사 시스템으로부터 생성된다는 점, S362~S368에서 도 3의 S162~S168과 달리 사용자에 의한 결제 처리가 아니라 보험 배차 승인 처리가 이뤄진다는 점, S372에서 배차 처리 완료 후에 보험사 시스템으로 완료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가 더욱 추가된다는 점 등에서 차이가 있다.
이외에 전반적인 각 흐름은 도 3의 실시예와 동일한 것으로 볼 수 있으므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상기 각 단계 중 보험 배차 승인 처리는 상기와 같이 사용자 단말과 연동하여 이뤄지지만, 사용자가 결제 처리가 필요한 시점(예, 차량 인도/회수 시점)에 사용자 단말을 지참하지 못한 경우에는 기사 단말과 연동하여 결제 처리를 수행할 수도 있다. 이러한 과정은 도 10의 S361~S366a의 각 단계로 참조될 수 있다. 이 부분은 상술한 일반 결제 처리와 유사하므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의한 보험대차를 위한 렌터카 배반차 방법의 반차 과정의 흐름도이다. 도 7에서 특히 점선으로 처리된 부분은 사용자 또는 기사, 차고지 담당자 등에 의해 이뤄지는 오프 라인 상의 행위로 이해될 수 있다.
도 7의 S400~S472의 보험대차를 위한 반차 프로세스는 도 4의 S200~S270의 일반 반차 프로세스와 전반적으로 동일하다.
다만, S400에서 렌터카 반차 예약 요청이 사용자 단말이 아닌 보험사 시스템으로부터 생성된다는 점, S450~S456에서 도 3의 S250~S256과 달리 사용자에 의한 정산 결제 처리가 아니라 보험 반차 승인 처리가 이뤄진다는 점, S472에서 반차 처리 완료 후에 보험사 시스템으로 완료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가 더욱 추가된다는 점 등에서 차이가 있다.
이외에 전반적인 각 흐름은 도 4의 실시예와 동일한 것으로 볼 수 있으므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상기 각 단계 중 보험 반차 승인 처리는 상기와 같이 사용자 단말과 연동하여 이뤄지지만, 사용자가 결제 처리가 필요한 시점(예, 차량 인도/회수 시점)에 사용자 단말을 지참하지 못한 경우에는 기사 단말과 연동하여 결제 처리를 수행할 수도 있다. 이러한 과정은 도 11의 S449~S454a의 각 단계로 참조될 수 있다. 이 부분은 상술한 일반 결제 처리와 유사하므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 들은 다양한 컴퓨터로 구현되는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명령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를 포함한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는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와 같은 자기-광 매체, 및 롬, 램,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상기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구조 등을 지정하는 신호를 전송하는 반송파를 포함하는 광 또는 금속선, 도파관 등의 전송 매체일 수도 있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100: 사용자 단말 200: 렌터카 기간 시스템
300: 렌터카 배반차 시스템 400: 기사 단말
500: 차고지 단말 600: 보험사 시스템

Claims (34)

  1.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적어도 사용자 단말 및 기사 단말, 렌터카 기간 시스템과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는 렌터카 배반차 시스템에서 실행되는 렌터카 배반차 방법으로서,
    (a) 사용자의 렌터카 배차 예약 요청에 근거하여 상기 렌터카 기간 시스템에서 전송된 예약 요청 정보에 의해, 예약 안내 정보를 해당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b)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예약 확인 정보를 전송받으면, 배차 차량 및 기사를 지정하고, 배차 담당 기사의 기사 단말로 기사용 배차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c) 차고지에서 차량을 출고한 배차 담당 기사의 기사 단말로부터 기사 출고 확인 정보를 전송받는 단계; 및
    (d) 배차 장소에 도착하여 사용자에게 차량 상태 및 계약서 정보 확인을 완료한 배차 담당 기사의 기사 단말로부터 계약 확인 정보를 전송받고, 사용자의 결제 의사 확인이 가능한 단말에 의해 생성된 결제 정보를 전송받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 렌터카 배반차 방법.
  2.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적어도 사용자 단말 및 기사 단말, 렌터카 기간 시스템과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는 렌터카 배반차 시스템에서 실행되는 렌터카 배반차 방법으로서,
    (a) 보험사의 렌터카 배차 예약 요청에 근거하여 상기 렌터카 기간 시스템에서 전송된 예약 요청 정보에 의해, 예약 안내 정보를 보험대차를 사용할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b)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예약 확인 정보를 전송받으면, 배차 차량 및 기사를 지정하고, 배차 담당 기사의 기사 단말로 기사용 배차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c) 차고지에서 차량을 출고한 배차 담당 기사의 기사 단말로부터 기사 출고 확인 정보를 전송받는 단계; 및
    (d) 배차 장소에 도착하여 사용자에게 차량 상태 및 계약서 정보 확인을 완료한 배차 담당 기사의 기사 단말로부터 계약 확인 정보를 전송받고, 사용자의 승인 의사 확인이 가능한 단말에 의해 생성된 보험 배차 승인 정보를 전송받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 렌터카 배반차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예약 안내 정보는,
    상기 예약 요청 정보에 따라 생성된 렌터카 배차 정보, 사용자 인증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터카 배반차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예약 확인 정보는 사용자 인증 확인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터카 배반차 방법.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기사용 배차 정보는, 렌터카 배차 정보와 기사 인증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터카 배반차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에서,
    상기 렌터카 기간 시스템이 차고지 단말로 렌터카 배차 정보와 배차 담당 기사 정보, 상기 배차 담당 기사의 기사 인증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차고지용 배차 정보를 전송할 수 있도록,
    상기 렌터카 기간 시스템으로 기간 시스템용 배차 정보를 더욱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터카 배반차 방법.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에서,
    상기 기사용 배차 정보를 전송받은 기사 단말로부터 기사용 배차 확인 정보를 전송받는 단계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터카 배반차 방법.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에서,
    상기 기사 출고 확인 정보를 전송받으면, 계약서 정보를 기사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터카 배반차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계약서 정보는 배차 차량의 차량 상태 정보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터카 배반차 방법.
  10.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에서,
    상기 기사 출고 확인 정보를 전송받으면, 배차 안내 정보를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터카 배반차 방법.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에서,
    상기 기사 단말로부터 계약 확인 정보를 전송받으면, 결제 요청 정보를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여 결제 요청을 하고, 사용자 단말에 의해 생성된 결제 정보를 전송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터카 배반차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을 통한 결제 처리가 이뤄질 수 없는 것으로 상기 기사 단말로부터 대체 결제 요청 정보를 받은 경우, 사용자가 기사 단말을 통해 결제 내역을 확인하고 사용자 단말이 아닌 다른 결제 수단으로 결제 처리를 할 수 있도록 상기 결제 요청 정보를 상기 기사 단말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터카 배반차 방법.
  1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에서,
    상기 기사 단말로부터 계약 확인 정보를 전송받으면, 보험 배차 승인 요청 정보를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여 보험 배차 승인 요청을 하고, 사용자 단말에 의해 생성된 보험 배차 승인 정보를 전송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터카 배반차 방법.
  14. 제12항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을 통한 보험 배차 승인 처리가 이뤄질 수 없는 것으로 상기 기사 단말로부터 대체 승인 요청 정보를 받은 경우, 사용자가 기사 단말을 통해 보험 배차 승인 요청 내역을 확인하고 사용자 단말이 아닌 다른 승인 수단으로 승인 처리를 할 수 있도록 상기 보험 배차 승인 요청 정보를 상기 기사 단말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터카 배반차 방법.
  15. 제11항 또는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기사 단말로부터 계약 확인 정보를 전송받은 후, 상기 렌터카 기간 시스템으로 계약 확인 정보를 전송하고 계약 승인을 받는 단계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터카 배반차 방법.
  16. 제1항에 있어서,
    (e) 사용자의 렌터카 반차 예약 요청에 근거하여 상기 렌터카 기간 시스템에서 전송된 예약 요청 정보에 의해, 예약 안내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f)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예약 확인 정보를 전송받으면, 반차 기사를 지정하고, 반차 담당 기사의 기사 단말로 기사용 반차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g) 반차지에 도착하여 사용자에게 차량 상태 및 계약서 정보 확인을 완료한 반차 담당 기사의 기사 단말로부터 계약 확인 정보를 전송받고, 정산 결제 금액이 있는 경우 사용자의 정산 결제 의사 확인이 가능한 단말에 의해 생성된 결제 정보를 전송받는 단계;
    (h) 입고지에 차량을 입고한 반차 담당 기사의 기사 단말로부터 기사 입고 확인 정보를 전송받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렌터카 배반차 방법.
  17. 제2항에 있어서,
    (e) 보험사의 렌터카 반차 예약 요청에 근거하여 상기 렌터카 기간 시스템에서 전송된 예약 요청 정보에 의해, 예약 안내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f)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예약 확인 정보를 전송받으면, 반차 기사를 지정하고, 반차 담당 기사의 기사 단말로 기사용 반차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g) 반차지에 도착하여 사용자에게 차량 상태 및 계약서 정보 확인을 완료한 반차 담당 기사의 기사 단말로부터 계약 확인 정보를 전송받고, 사용자의 승인 의사 확인이 가능한 단말에 의해 생성된 보험 반차 승인 정보를 전송받는 단계;
    (h) 입고지에 차량을 입고한 반차 담당 기사의 기사 단말로부터 기사 입고 확인 정보를 전송받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렌터카 배반차 방법.
  1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 및 기사 단말은 모바일 단말임을 특징으로 하는 렌터카 배반차 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 또는 기사 단말로의 정보 전송은,
    각 전송 정보별로 미리 정의된 이벤트 메타데이터- 상기 이벤트 메타데이터는 해당 정보가 전송될 단말 정보, 해당 이벤트 식별 정보, 해당 이벤트 제공을 위한 이벤트 프로그램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함-를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 또는 기사 단말로 전송하는 방식으로 이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터카 배반차 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렌터카 배반차 시스템은, 상기 사용자 단말 또는 기사 단말의 전화번호를 이용하여 이동 통신사 서버로부터 해당 사용자 단말 또는 기사 단말의 특성 정보- 상기 특성 정보는 해당 단말의 단말기 타입, 단말기 모델번호, 서비스 상태 정보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함-를 전송받으며, 상기 이벤트 메타데이터를 생성하도록 더욱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터카 배반차 방법.
  21.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이벤트 프로그램은, 상기 사용자 단말 또는 기사 단말이 상기 렌터카 배반차 시스템으로부터 미리 다운로드 하여 설치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렌터카 배반차 방법.
  22.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이벤트 프로그램은, 상기 이벤트 메타데이터 전송 전에 상기 렌터카 배반차 시스템이 체크 프로그램을 전송하고, 상기 체크 프로그램에 의해 상기 사용자 단말 또는 기사 단말에 상기 이벤트 프로그램이 미설치된 것으로 확인된 경우에 상기 체크 프로그램에 의해 생성된 자동 전송 요청에 따라 상기 렌터카 배반차 시스템으로부터 다운로드 되어 설치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렌터카 배반차 방법.
  23.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 또는 기사 단말에서, 상기 이벤트 프로그램의 실행에 따라 상기 이벤트 메타데이터의 해석 및 그에 따른 이벤트 정보의 디스플레이가 이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터카 배반차 방법.
  24. 제1항 또는 제2항, 제16항, 제17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기재된 방법의 각 단계를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25.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적어도 사용자 단말 및 기사 단말, 렌터카 기간 시스템과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는 렌터카 배반차 시스템으로서,
    사용자의 렌터카 배차 예약 요청에 근거하여 상기 렌터카 기간 시스템에서 전송된 예약 요청 정보에 의해, 예약 안내 정보를 해당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기능과,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예약 확인 정보를 전송받아 배차 차량을 지정하는 기능을 적어도 수행하는 배반차 처리부;
    상기 예약 확인 정보에 근거하여 배차 담당 기사를 지정하는 기능과, 상기 배차 담당 기사의 기사 단말로 기사용 배차 정보를 전송하는 기능과, 차고지에서 차량을 출고한 배차 담당 기사의 기사 단말로부터 기사 출고 확인 정보를 전송받는 기능을 적어도 수행하는 기사 관제 처리부;
    상기 기사 출고 확인 정보를 전송받으면, 계약서 정보를 기사 단말로 전송하는 기능과, 배차 장소에 도착하여 사용자에게 차량 상태 및 계약서 정보 확인을 완료한 배차 담당 기사의 기사 단말로부터 계약 확인 정보를 전송받는 기능을 적어도 수행하는 계약 처리부; 및
    상기 기사 단말로부터 계약 확인 정보를 전송받으면, 결제 요청 정보를 사용자의 정보 확인이 가능한 단말로 전송하여 결제 요청을 하는 기능과, 사용자의 결제 의사 확인이 가능한 단말에 의해 생성된 결제 정보를 전송받는 기능을 적어도 수행하는 결제/승인 처리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렌터카 배반차 시스템.
  26.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적어도 사용자 단말 및 기사 단말, 렌터카 기간 시스템과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는 렌터카 배반차 시스템으로서,
    보험사의 렌터카 배차 예약 요청에 근거하여 상기 렌터카 기간 시스템에서 전송된 예약 요청 정보에 의해, 예약 안내 정보를 보험대차를 사용할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기능과,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예약 확인 정보를 전송받아 배차 차량을 지정하는 기능을 적어도 수행하는 배반차 처리부;
    상기 예약 확인 정보에 근거하여 배차 담당 기사를 지정하는 기능과, 상기 배차 담당 기사의 기사 단말로 기사용 배차 정보를 전송하는 기능과, 차고지에서 차량을 출고한 배차 담당 기사의 기사 단말로부터 기사 출고 확인 정보를 전송받는 기능을 적어도 수행하는 기사 관제 처리부;
    상기 기사 출고 확인 정보를 전송받으면, 계약서 정보를 기사 단말로 전송하는 기능과, 배차 장소에 도착하여 사용자에게 차량 상태 및 계약서 정보 확인을 완료한 배차 담당 기사의 기사 단말로부터 계약 확인 정보를 전송받는 기능을 적어도 수행하는 계약 처리부; 및
    상기 기사 단말로부터 계약 확인 정보를 전송받으면, 보험 배차 승인 요청 정보를 사용자의 정보 확인이 가능한 단말로 전송하여 보험 배차 승인 요청을 하는 기능과, 사용자의 승인 의사 확인이 가능한 단말에 의해 생성된 보험 배차 승인 정보를 전송받는 기능을 적어도 수행하는 결제/승인 처리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렌터카 배반차 시스템.
  27. 제25항 또는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 및 기사 단말은 모바일 단말임을 특징으로 하는 렌터카 배반차 시스템.
  28.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 또는 기사 단말과의 모바일 이벤트를 실행하기 위한 모바일 이벤트 실행 엔진부가 더욱 구비되며,
    상기 사용자 단말 또는 기사 단말로의 정보 전송은,
    각 전송 정보별로 미리 정의된 이벤트 메타데이터- 상기 이벤트 메타데이터는 해당 정보가 전송될 단말 정보, 해당 이벤트 식별 정보, 해당 이벤트 제공을 위한 이벤트 프로그램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함-를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 또는 기사 단말로 전송하는 방식으로 이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터카 배반차 시스템.
  29.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렌터카 배반차 시스템은, 상기 사용자 단말 또는 기사 단말의 전화번호를 이용하여 이동 통신사 서버로부터 해당 사용자 단말 또는 기사 단말의 특성 정보- 상기 특성 정보는 해당 단말의 단말기 타입, 단말기 모델번호, 서비스 상태 정보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함-를 전송받으며, 상기 이벤트 메타데이터를 생성하도록 더욱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터카 배반차 시스템.
  30.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이벤트 프로그램은, 상기 사용자 단말 또는 기사 단말이 상기 렌터카 배반차 시스템으로부터 미리 다운로드 하여 설치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렌터카 배반차 시스템.
  31.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이벤트 프로그램은, 상기 이벤트 메타데이터 전송 전에 상기 렌터카 배반차 시스템이 체크 프로그램을 전송하고, 상기 체크 프로그램에 의해 상기 사용자 단말 또는 기사 단말에 상기 이벤트 프로그램이 미설치된 것으로 확인된 경우에 상기 체크 프로그램에 의해 생성된 자동 전송 요청에 따라 상기 렌터카 배반차 시스템으로부터 다운로드 되어 설치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렌터카 배반차 시스템.
  32.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 또는 기사 단말에서, 상기 이벤트 프로그램의 실행에 따라 상기 이벤트 메타데이터의 해석 및 그에 따른 이벤트 정보의 디스플레이가 이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터카 배반차 시스템.
  33.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적어도 사용자 단말 및 기사 단말, 렌터카 기간 시스템과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는 렌터카 배반차 시스템으로서,
    상기 렌터카 기간 시스템에서 전송된 예약 요청 정보에 의해, 예약 안내 정보를 해당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기능과, 배차 차량을 지정하는 기능을 적어도 수행하는 배반차 처리부;
    배차 담당 기사를 지정하는 기능과, 상기 배차 담당 기사의 기사 단말로 기사용 배차 정보를 전송하는 기능을 적어도 수행하는 기사 관제 처리부;
    계약서 정보를 기사 단말로 전송하는 기능과, 배차 장소에 도착하여 사용자에게 차량 상태 및 계약서 정보 확인을 완료한 배차 담당 기사의 기사 단말과 연동한 계약 처리 기능을 적어도 수행하는 계약 처리부; 및
    상기 사용자의 결제 의사 확인이 가능한 단말과 연동하여 결제 처리를 적어도 수행하는 결제/승인 처리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렌터카 배반차 시스템.
  34.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적어도 사용자 단말 및 기사 단말, 렌터카 기간 시스템과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는 렌터카 배반차 시스템으로서,
    상기 렌터카 기간 시스템에서 전송된 예약 요청 정보에 의해, 예약 안내 정보를 보험대차를 사용할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기능과, 배차 차량을 지정하는 기능을 적어도 수행하는 배반차 처리부;
    배차 담당 기사를 지정하는 기능과, 상기 배차 담당 기사의 기사 단말로 기사용 배차 정보를 전송하는 기능을 적어도 수행하는 기사 관제 처리부;
    계약서 정보를 기사 단말로 전송하는 기능과, 배차 장소에 도착하여 사용자에게 차량 상태 및 계약서 정보 확인을 완료한 배차 담당 기사의 기사 단말과 연동한 계약 처리 기능을 적어도 수행하는 계약 처리부; 및
    상기 사용자의 승인 의사 확인이 가능한 단말과 연동하여 보험 배차 승인 처리를 적어도 수행하는 결제/승인 처리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렌터카 배반차 시스템.
KR1020110118696A 2011-11-15 2011-11-15 렌터카 배반차 방법 및 시스템, 그 기록매체 KR2013005312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8696A KR20130053125A (ko) 2011-11-15 2011-11-15 렌터카 배반차 방법 및 시스템, 그 기록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8696A KR20130053125A (ko) 2011-11-15 2011-11-15 렌터카 배반차 방법 및 시스템, 그 기록매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53125A true KR20130053125A (ko) 2013-05-23

Family

ID=486624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18696A KR20130053125A (ko) 2011-11-15 2011-11-15 렌터카 배반차 방법 및 시스템, 그 기록매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53125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6470B1 (ko) * 2014-02-25 2015-04-02 주식회사 케이렘 렌트카 전자계약 및 관리시스템
KR20160087289A (ko) 2015-01-13 2016-07-21 주식회사 렌터카소프트 렌터카 관리 시스템
KR20160093912A (ko) 2015-01-30 2016-08-09 주식회사 렌터카소프트 렌터카 기반 카쉐어링 시스템
KR101713155B1 (ko) 2016-06-15 2017-03-07 주식회사 제주비앤에프 가격 조정을 통한 렌트카 거래 시스템 및 방법
KR20240009629A (ko) 2022-07-14 2024-01-23 강형석 렌트카 예약자 확인시스템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6470B1 (ko) * 2014-02-25 2015-04-02 주식회사 케이렘 렌트카 전자계약 및 관리시스템
KR20160087289A (ko) 2015-01-13 2016-07-21 주식회사 렌터카소프트 렌터카 관리 시스템
KR20160093912A (ko) 2015-01-30 2016-08-09 주식회사 렌터카소프트 렌터카 기반 카쉐어링 시스템
KR101713155B1 (ko) 2016-06-15 2017-03-07 주식회사 제주비앤에프 가격 조정을 통한 렌트카 거래 시스템 및 방법
KR20240009629A (ko) 2022-07-14 2024-01-23 강형석 렌트카 예약자 확인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563846B (zh) 共享车辆管理方法、服务器、系统和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07730641B (zh) 在线发行并激活车载单元的装置、车载设备、终端和后台
JP6358583B2 (ja) 車両管理サーバ、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US20160371754A1 (en) Transportation control and regulation system and method for for-hire vehicles
US20130311211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transportation services
KR20130053125A (ko) 렌터카 배반차 방법 및 시스템, 그 기록매체
WO2019147795A1 (en) Drone usage in connected user and connected fleet communication and interface systems
JP6841729B2 (ja) 車両管理システム
CN112001781B (zh) 货运报价方法、系统及装置
KR20130047915A (ko) 공유 차량 통합 운영 시스템 및 방법
CN111738741A (zh) 汽车养护客户端、服务端、企业端、服务器及商业模式
Distefano et al. Trustworthiness for transportation ecosystems: The blockchain vehicle information system
JP2022032372A (ja) 車両、認証システム、プログラム及び認証方法
JP2022040073A (ja) 経路データに基づく輸送手段への無線エネルギー転送
KR101694230B1 (ko) 운송차량 관리 방법 및 이를 위한 서비스 서버
US20190213696A1 (en) Method and system for online marketplace platform for electric vehicle charging
CN111028055A (zh) 联结回程车辆与乘客的系统
US20230322107A1 (en) Decentralized charging locations
US20230219446A1 (en) Power distribution based on mobile data
EP3340157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automated leasing of unattended assets
JP6046300B1 (ja) 駐車場管理システムおよび駐車場管理方法
KR20200060999A (ko) 교통사고 정보 송수신 장치, 교통사고 정보 관리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장치
US20240092209A1 (en) Scheduling delivery of charge to electric vehicles
US20230408277A1 (en) Electric vehicle destination routing prediction
US20230278446A1 (en) Allowing energy use during peak tim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501 Disposition of invalidation of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30926

Effective date: 201412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