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51985A - 신발 인서트를 위한 지지대 - Google Patents

신발 인서트를 위한 지지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51985A
KR20130051985A KR1020137001910A KR20137001910A KR20130051985A KR 20130051985 A KR20130051985 A KR 20130051985A KR 1020137001910 A KR1020137001910 A KR 1020137001910A KR 20137001910 A KR20137001910 A KR 20137001910A KR 20130051985 A KR20130051985 A KR 201300519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insert
insert core
support arm
exten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019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77624B1 (ko
Inventor
토르스텐 재거
크리스티안 안더쉬
도미니크 팬저
올라프 글린데만
Original Assignee
바우어파인트 아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바우어파인트 아게 filed Critical 바우어파인트 아게
Publication of KR201300519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519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776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776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3/0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 A43B3/0036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characterised by a special shape or design
    • A43B3/0052X-shaped or cross-shaped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14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02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A43B13/026Composites, e.g. carbon fibre or aramid fibre; the sole, one or more sole layers or sole part being made of a composite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38Built-in insoles joined to uppers dur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e.g. structural insoles; Insoles glued to shoes dur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7/00Insoles for insertion, e.g. footbeds or inlays, for attachment to the shoe after the upper has been joined
    • A43B17/003Insoles for insertion, e.g. footbeds or inlays, for attachment to the shoe after the upper has been joine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A43B17/006Insoles for insertion, e.g. footbeds or inlays, for attachment to the shoe after the upper has been joine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multilayered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3/0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14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 A43B7/140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 A43B7/141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under the foot
    • A43B7/142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under the foot situated under the medial arch, i.e. under the navicular or cuneiform bone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14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 A43B7/140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 A43B7/147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support
    • A43B7/149Pads, e.g. protruding on the foot-facing surface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14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 A43B7/22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fixed flat-foot insertions, metatarsal supports, ankle flap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14Special medical insertions for shoes for flat-feet, club-feet or the lik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rsing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발을 지지하고 안내하는 정형외과용 신발 인서트에 관한 것이고 신발 인서트를 위한 코어를 제공하되, 인서트 코어는 상호 간에 대하여 연결되는 대각선으로 연장된 지지 아암들을 갖는 지지 클래스프를 갖는다.

Description

신발 인서트를 위한 지지대{SUPPORTING BRACE FOR FOOTWEAR INSERTS}
본 발명은 발을 지지하고 안내하는 정형외과용 신발 인서트에 관한 것이고 신발 인서트를 위한 신규한 인서트 코어를 제공하며, 이는 상호 간에 연결되는 대각선으로 연장된 지지 아암들을 갖는 인서트 코어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길이로 연장되는 지지 클래스프(clasp)를 포함한다.
정형외과용 신발 인서트(shoe insert)들은 일반적으로 신발 안에 삽입되고 여기서 발 특히 발의 아치(arch)를 지지하고, 움직임의 자연스러운 진행으로 발을 안내하기 위하여 힘을 보상하거나 분배하는 작용을 한다. 이대로 전체 신체의 정적 상태는 발의 관절들 및 이에 따른 무릎 및 볼기 관절들을 생리적으로 정확한 위치로 되돌리거나 거기서 이들을 유지하는 인서트에 의해, "근본적으로 철저히" 향상될 수 있다. 따라서, 신발 인서트들은 격심한 발병(foot ailment)을 덜어주는 데에 기여할뿐 아니라, 무릎 관절, 볼기, 골반뿐 아니라 골수의 질병 및 통증의 치료 및 예방에 사용될 수 있다. 정형외과용 신발 인서트들을 위한 증거는 특히 무릎 및 볼기의 잘못된 정렬, 밭장다리의 편평족, 편평족 및 요족이다.
일반적으로, 신발 인서트는 신발에서 전체 내부 밑창 및 이에 따른 발의 발가락들, 볼(ball) 및 발뒤꿈치를 덮는, "긴-밑창(long-sole)" 변종으로서 구성된다. 다른 변종은 발의 발뒤꿈치부터 볼까지 연장되는, 더 짧은, 소위 3/4 인서트이다. 발에서 신발 인서트의 포지셔닝(positioning)은 일반적으로 발뒤꿈치를 통해 발생한다. 여기서, 리세스, 재료 시닝(thinning) 또는 더 탄성이 있는 덮개 요소가 인서트의 발뒤꿈치 섹션이 발뒤꿈치의 볼에서 중심에 있는 것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종래 기술의 정형외과용 신발 인서트들은 몇몇의 재료 레이어(layer)들을 포함하는 라미나형(larminar)으로 설계된다. 일반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덮개 코팅 또는 커버 레이어는 발을 마주하는 상면에 제공될 뿐 아니라, 기계적으로 안정적이고 형상화하며 지지하고, 만약 적용가능하다면 신발을 마주하는 바닥면 상에 덮개 레이어가 제공된다. 작용을 위하여 요구된 지지 기능 및 가이드 기능을 갖는 인서트를 제공하기 위하여, 추가로 기계적인 고체 보강 요소가 제공될 수 있으며, 이는 제조 동안에 그 자체가 알려진 방식으로 재료 레이어들 안에 또는 재료 레이어들 사이에 삽입되고 기계적으로 이에 연결된다. 예를 들어, 인서트가 환자의 체중 또는 치료요법에 대해 각각 조정될 수 없을 때, 이러한 보강 요소들 또는 "인서트 코어들"의 지지 효과는 자주 종래 기술의 정형외과용 인서트에 불충분하다. 또한, 가능한 정도까지, 발의 롤링(rolling) 거동을 제어하고 움직임의 생리적 라인을 허용하는 가이드 기능이 요구된다. 종래 기술의 인서트들은 보통 꽤 불충분한 정도까지만 이런 작용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종래 기술의 정형외과용 인서트들은 이런 기능성을 위하여 요구된 기계적 안정성을 달성하기 위하여 큰 체적을 나타내고, 이어서 종종 특히 인서트에 대해 조정되는 신발을 필요로 하며, 이는 깔창 위의 충분한 공간을 남긴다. 따라서 종래 기술의 정형외과용 신발 인서트를 위한 적용은 표준형 신발에 제한된다.
본 발명은 상기의 언급된 단점들을 극복하기 위하여 정형외과용 신발 인서트(shoe insert)들을 추가로 개발하는 목적에 기초한다. 특히 실질적으로 동일한 인서트들의 설계에 있어, 특히 제조 동안에, 환자에 대한 조정은 지지 기능 및/또는 가이드 기능에 대하여 손쉽게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이 달성되어야 한다. 신규한 구성의 제공은 또한 여기 맨 앞에 존재하고, 이는 셋업(setup) 시간을 감소시키는 동시에, 꽤 동일한 자동화 제조 공정에서 상이하게 구성된 기계적 지지 기능 또는 가이드 기능을 갖는 일련의 인서트들의 단순화된 제조를 허용한다.
기술적 문제점은 캐리어(carrier) 및 그에 배열된 지지 클래스프(support clasp)를 포함하고, 특히 기계적으로 더 강한 재료를 포함하는 인서트 코어를 갖는, 발을 지지하거나 안내하는 신발 인서트를 위한 지지 인서트 코어의 제공으로 완전히 달성되고, 이는 전체적인 인서트의 기계적 지지 기능 또는 가이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지지 클래스프는 특히 발의 아치(arch)의 영역에서 교차하는, 즉 상호 간에 연결되는 실질적으로 대각선으로 연장되는 지지 아암(support arm)들을 포함하고, 이는 인서트 코어의 반대편 종단들을 향하여 테이퍼진다(taper). 적어도 둘의 후측 지지 아암들 및 적어도 하나의 전측 지지 아암 또는 적어도 둘의 전측 지지 아암들 및 적어도 하나의 후측 지지 아암이 제공되고, 이는 인서트 코어의 지지 클래스프를 형성한다. 본 발명에 따른 지지 아암들 각각은 인서트 코어에서 대각선으로 연장되고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길이 연장부 및 이에 따른 신발 인서트를 따라 연장된다. 상호 간에 실질적으로 대각선으로 반대편인, 여기서 2개의 각각의 지지 아암들은, 지지 클래스프의 지지 요소로서 지지 브릿지(support bridge)를 형성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제 1 지지 브릿지는 추가 지지 브릿지들에 의해 교차되고, 또한 상호 간에 실질적으로 대각선으로 반대편인 지지 아암들에 의해 형성된다. 따라서 지지 클래스프는 바람직하게는 인서트 코어에 배열되어 실질적으로 인서트 코어의 길이 연장부 또는 바람직하게는 인서트 자체를 따르는 길이 연장부에서 연장된다. 이대로, 교차된 지지 아암들 및/또는 지지 아치들은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발뒤꿈치 및 발의 아치의 트랜지션(transition) 또는 발뒤꿈치부터 발가락의 볼까지 연장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적어도 또는 정확히 2개의 교차하는 지지 브릿지들로 실질적으로 제조되는 캐리어를 포함하는, 인서트 코어 내부에 지지 클래스프를 배열하는 것을 제공하고, 이는 인서트 코어에서 상호 간에 대각선으로 연장된다. 여기서 이런 지지 클래스프가 실질적으로 인서트 코어 및 이에 따른 이의 구성요소인 인서트 코어를 갖는, 전체 신발 인서트의 기계적 지지 기능 및 가이드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는 이런 인서트는 유사한 기계적 지지 기능 및 가이드 기능을 갖는 종래 기술의 신발 인서트보다 얇게 구성될 수 있다. 종래 기술의 신발 인서트들은 특히 탄성 폼 재료의 라미나형 재료의 상당한 강도를 통해 지지 기능 또는 가이드 기능을 달성하고 이에 따라 지지하거나 안내하는 인서트의 지점들에서 특히 두꺼워야 해서 인서트가 부피가 크고 더 이상 어떠한 좁은 신발에 맞지 않을 반면에, 본 발명의 교시에 따른 두껍고 기계적으로 강한 라미나형 재료는 기계적 지지 기능 또는 가이드 기능을 생성하기 위하여 포기될 수 있다.
지지 클래스프의 지지 아암의 기계적 지지 기능 또는 가이드 기능의 구체예는 지지 아암의 재료의 더 높은 강도 모듈로 본 발명에 따른 인서트 코어의 제 1 구체예에 기초한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이는 지지 아암의 영역에서 인서트 코어의 더 큰 재료 두께를 갖는 구체예에 기초할 수 있다. 대안적이거나 추가적인 변종에서 구체예는 지지 아암의 영역에서 더 큰 재료 폭에 기초한다.
본 발명은 구체적인 설계 및 구체예에서 지지 클래스프가 특히 외형 치수, 특히 인서트의 두께에 대하여, 이에 의한 인서트 코어의 전체 구조 및 이에 따른 변하는 전체 인서트 없이 어떤 지지 기능 또는 가이드 기능을 달성하도록 인서트 코어 내부에서 손쉽게 조정될 수 있다는 것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다른 구조 및 인서트에 사용되는 재료는 변하지 않게 남아 있을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특히 인서트의 지지 기능 또는 가이드 기능에 대하여, 다양하게 구성된 인서트 코어들이 완전히 자동화된 방식으로 손쉽게 제조될 수 있는, 신발 인서트 및/또는 인서트 코어를 위한 꽤 동일한 제조 공정을 사용하는 것을 허용한다.
지지 기능 또는 가이드 기능의 상이한 구체예는 특히 지지 클래스프가 재료 특성을 변경시키고 그리고/또는 특히 외형 형태(두께, 폭)를 조정/변경함으로써 기계적 강도가 각각 조정될 수 있는, 몇몇의 각각 구성된 지지 아암들을 포함하도록 본 발명에 따라 달성된다. 예를 들어, 인서트 또는 인서트 코어의 제 2 물품 차지(charge)에서 적어도 하나의 지지 아암은 제 1 차지에서보다 상이한 재료 강도 및/또는 특히 상이한 폭으로 구성될 수 있다. 더 넓고 그리고/또는 더 두꺼운 지지 아암은 특히 국부적으로, 더 높은 기계적 강도 및 이에 따른 상이하게 구성된 인서트의 지지 기능 또는 가이드 기능으로 유도된다. 반대로, 만약 바람직하게 감소된 지지 효과 및 이에 따른 더 높은 기계적 탄성이 인서트의 어떤 구역에서 달성되어야 한다면 예를 들어, 더 낮은 재료 강도, 특히 더 좁은 폭을 갖는 이런 구역/섹션에 각각 할당된 지지 아암을 구성하는 것이 주로 제공된다.
캐리어 내부에 지지 클래스프는 인서트 코어, 여기서 특히 캐리어의 다른 재료에 대하여, 및 또한 특히 신발 인서트의 다른 재료 레이어들에 대하여 기계적으로 강성이 있는 것(재료)으로부터 구성되고, 이는 더 저항성이 있게 구성되고 더 높은 탄성 모듈을 나타내는 것을 의미한다. 이런 목적을 위하여, 본 발명의 제 1 구체예에서, 지지 클래스프가 인서트 코어의 다른 요소들보다 더 강성이 있는 재료로부터 구성된다는 것이 제공된다.
대안적이거나 추가적인 구체예에서, 지지 클래스프는 캐리어의 일체화된 부분을 나타내고 캐리어와 하나의 조각으로 구성되며 동일한 재료로 제조된다. 지지 클래스프는 특히 더 높은 재료 강도에 의해 캐리어와 구별된다. 이는 이런 경우에 기계적으로 더 강성이 있는 지지 클래스프가 지지 클래스프를 형성하는 캐리어의 섹션에서 재료 강도를 증가시킴으로서 달성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만약 여기서 하나 이상의 지지 아암의 강성의 각각 증가 또는 감소가 달성되어야 한다면, 이런 구체예에서, 상기 지지 아암의 영역에서 국부적으로 재료 강도를 증가시키고 그리고/또는 감소시키고 그리고/또는 바람직하게는 캐리어에서 지지 아암을 형성하는 가변식 구역 내에서 재료 구역을 확장하고 그리고/또는 축소하는 것이 제공된다.
따라서 제 1 구체예에서, 인서트 코어는 몇몇 부분들, 즉 캐리어 및 적어도 하나의 지지 클래스프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이는 분리되게 제조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상이하고, 특히 기계적으로 더 강한 재료를 포함한다. 따라서, 대안적인 구체예에서, 인서트 코어는 동일한 재료를 포함하고 바람직하게는 균일한 방법으로 공동으로 제조되도록 하는 특히 캐리어 및 지지 클래스프를 갖는, 하나의 부분으로서, 하나의 조각으로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은 꽤 짧은 셋업 시간으로 각 도구의 최소한의 조정에 의해 자동화된 제조 공정 내에서 지지 클래스프의 지지 아암들 각각 또는 몇몇의 기계적 강도의 단순한 조정 또는 변화를 허용한다. 여기서 도구 및/또는 인서트 코어의 모듈 구조가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은 인서트 코어 또는 지지 클래스프 또는 대안적으로 전체 인서트의 제조를 위한 동일한 기초 도구 내에서, 각각 도구 요소들만이 어떤 기계적 지지 기능을 갖는 지지 클래스프, 인서트 코어들 및/또는 완전한 신발 인서트들을 생성하기 위하여 교환되는 것을 필요로 하는 것을 허용한다. 자동화된 제조는 또한 제어 프로그램의 사양에 따라 지지 클래스프의 기계적 강도를 결정하는 부분적 도구 요소들의 자동 교환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인서트 코어의 자동 제조를 위하여 여기서 설명된 처리 원리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여기서 다층 라미네이션 공정뿐 아니라 그 자체가 알려진 사출 성형 공정 모두가 적용가능하다.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강성 지지 클래스프는 사출 성형된 부분을 나타낸다. 여기서 열가소성 재료, 특히 충격 저항성 재료가 바람직하다.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우레탄, 및 특히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EAV)뿐 아니라 이런 성분들의 혼합물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각각 조정된 인서트 코어들 및 인서트들은 기계적 지지 기능에 대하여 가장 경제성이 있는 방식으로 제조될 수 있다. 동시에, 제조 공정의 단순 자동화에 의해, 종래 기술의 분포된 구성요소들의 그렇지 않게 상호 간에 수행된 각각의 제조 또는 조정 방법들이 제조된 물품의 품질 및 생성된 결과에 대하여 회피된다. 본 발명은 처음으로 상당히 경제적이면서 일관된 고품질로 복수 개의 각각의 정교한 정형외과용 신발 인서트들의 자동화된 산업 제조를 허용한다. 유사한 방법들이 종래 기술로부터 알려지지 않는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인서트 코어는 신발 인서트 내부에서 발뒤꿈치를 향하여 정렬된 후측 섹션들, 및 발의 끝을 향하여 정렬된 전측 섹션들로 나누어질 수 있다는 것이 제공된다. 또한, 인서트 코어는 발의 내측을 향하여 정렬된 내부 섹션들, 및 발의 외측을 향하여 정렬된 외부 섹션들로 나누어질 수 있다. 전체적으로 여기서, 4개의 사분면으로의 분할은 후측 내부 섹션, 후측 외부 섹션, 전측 내부 섹션 및 전측 외부 섹션을 발생시킨다. 본 발명은 특히 적어도 전측 또는 후측 내부 섹션에서 연장되는 지지 클래스프의 지지 아암이 기계적 지지 기능에 대하여 동일한 전측 및/또는 후측 외부 섹션에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반대편 지지 아암과는 상이하게 구성된다. 예를 들어, 따라서 내부 섹션에서 연장되는 후측 지지 아암은 외부 섹션에서 연장되는, 다른 후측 지지 아암과는 상이한 기계적 특성을 나타낸다. 또한, 기계적 안정성이 동일한 방식으로 상이할 수 있다는 것이 2개의 전측 지지 아암들에 대해 제공될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 상세하게는 대각선 지지 브릿지를 공동으로 형성하는, 이런 대각선의 반대편 전측 및 후측 지지 아암들은 기계적 안정성 및 지지 기능에 대하여 상호 간에 조정되고 바람직하게는 균등하게 구성된다. 변종에서, 이 모두가 지지 클래스프의 다른 지지 아암들보다 각각 기계적으로 더 강하거나 또는 대안적으로 각각 기계적으로 더 약하게 구성된다는 것이 여기서 제공된다. 따라서, 특정한 변종에서, 상세하게는 전측 외부 섹션에서 연장되는 전측 지지 아암이 기계적 지지 기능에 대하여 전측 내부 섹션에서 연장되는 전측 지지 아암에 대하여 더 강하게 구성된다는 것이 제공된다. 바람직한 추가 구체예에서, 후측 외부 섹션에서 연장되는 후측 지지 아암은 후측 내부 섹션에서 연장되는 후측 지지 아암에 대한 기계적 지지 기능에 대하여 더 약하게 구성된다. 대각선의 반대편 후측 내부 섹션 및 전측 외부 섹션에서 연장되는 전측 지지 아암 및 후측 지지 아암은 지지 브릿지를 형성하고, 이는 제 1 지지 브릿지를 교차하면서, 이에 대하여 후측으로 연장되는 다른 지지 아암들에 의해 형성된 다른, 제 2 지지 브릿지와 비교하여, 기계적 지지 기능에 대하여 더 강하게 구성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인서트 코어를 포함하는 정형외과용 신발 인서트뿐 아니라 이의 제조를 위한 방법을 포함한다. 방법은 자동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제 1 단계에서 인서트 코어는 캐리어 및 지지 클래스프로부터 제조될 수 있고, 만약 적용가능하다면, 분리되게 제조되고 기계적 강도에 대하여 각각 구성될 수 있다. 제 2 단계에서 각각 제조된 인서트 코어는 신발 인서트를 형성하도록 종래의 엔드 프로세싱(end processing)으로 조립된다.
특정 구체예에서, 정형외과용 신발 인서트는 베이스 밑창 및 만약 적용가능하다면 발을 마주하는 코팅 또는 커버 레이어와 조합되는, 본 발명에 따라 구조화된 인서트 코어로부터 형성된다. 제 1 구체예에서 인서트 코어는 그 자체가 알려진 방식으로 베이스 레이어 안에 삽입되고 고정된 방식으로 기계적으로 이에 연결된다. 특정한 구체예에서 베이스 레이어는 일체화된 형태 부분으로서 인서트 코어를 포함하고 본 발명에 따른 인서트 코어의 목표가 된 발포(foaming)에 의해 형성된다. 여기서,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른 인서트 코어가 형성된 매스(formed mass)에 의한 성형 공정으로 완전히 둘러싸이거나, 또는 정형외과용 신발 인서트를 형성하기 위하여 국부적으로 성형된다. 그렇지만, 본 발명은 이런 타입의 제조로 제한되지 않는다. 대안적인 방법은 신발 인서트를 형성하기 위하여 다른 구성요소로 인서트 코어의 접착이다. 알려진 방법은 여기서 발을 마주하고 발로부터 이격되어 마주하는 밑창 코어의 측 상에 발포 재료의 층으로 이루어진 접착이어서 이런 방식으로 형성된 신발 인서트에서 일체화된다. 또한, 신발 인서트를 형성하는 다른 알려진 방법들이 존재한다. 이것들은 본 발명에 따른 인서트 코어가 신발 인서트를 형성하기 위하여 여기서 사용될 수 있도록 본 발명에 따른 교시를 아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자에 의해 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조 방법의 제 1 구체예에서 인서트 코어는 사출 성형 도구 안으로 삽입되고 이어서 하나 이상의 플라스틱 거푸집 재료(form material)가 성형 도구 안으로 도입되고, 특히 주입되어서, 즉 인서트 코어는 거푸집 재료에 의해 국부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둘러싸이거나 감싸인다. 거푸집 재료는 정형외과용 신발 인서트를 형성하도록 인서트 코어에 금형 안에서 경화될 것이다.
또한 커버 레이어는 완충되거나 지지되는 발과 인서트의 코어 사이에서 접착 또는 글라이딩(gliding) 특성 및/또는 피부 내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신발 인서트에 제공될 수 있다. 이런 목적을 위하여 제조 공정의 적절한 구체예에서, 인서트 코어는 베이스 레이어를 형성하도록 성형 도구 안으로 직접 커버 레이어와 함께 삽입되고 신발 인서트의 구성요소로서 생성된다. 일체화된 형태 조각이 단일 제조 공정으로 생성된다. 이런 방식으로 생성된 형태 조각은 어떤 상당한 추가적인 공정 단계들 없이 정형외과용 신발 인서트로서 직접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에 대한 제한없이, 첨부된 도면 및 상기 도면의 설명에 기초하여 더 상세하게 설명된다.
도 1은 정형외과용 인서트 밑창에서 사용을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인서트 코어의 구체예를 도시한다.
도 1은 정형외과용 인서트 밑창(400)에서 사용을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인서트 코어(100; insert core)의 구체예를 도시한다. 이는 캐리어(200; carrier) 및 지지 클래스프(300; support clasp)를 도시한다. 선들(X, Y) 각각은 4개의 섹션들: 후측 내부 섹션(110), 후측 외부 섹션(112), 전측 내부 섹션(120), 및 전측 외부 섹션(122)으로 인서트 코어의 분할을 나타낸다. 지지 클래스프(300)는 상기에 언급된 섹션들(110, 120, 112, 122)에서 각각 연장되는, 상호 간에 연결된 지지 아암(support arm)들(310, 320, 312, 322)을 포함한다. 후측 섹션들에서 각각 연장되는, 반대편 지지 아암들(310, 312)은 본 발명에 따라 기계적으로 상이하게 구성되어 상이하게 강한 지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도시된 구체예에서, 이는 또한 2개의 전측 지지 아암들(320, 322)에 적용된다. 도시된 구체예에서, 후측 내부 섹션(110)과 이에 반대하는 전측 외부 섹션(122)에서 연장되는 대각선의 반대편 지지 아암들(310, 322)은 기계적으로 특히 강한 지지 브릿지를 형성하고, 이는 본 발명에 따라 교차하여 연장되는 다른 지지 아암들(312, 320)보다 더 강하게 구성되고 더 강한 지지 기능을 수행한다. 본 발명은 이런 명확하게 도시된 구체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지지 아암, 바람직하게는 2개의 대각선의 반대편 지지 아암들은 각각 조정될 수 있는 더 높은 기계적 강도를 나타낸다. 도 1에서 이는 지지 아암들(310, 322)로 구성된다. 이런 목적을 위하여, 이것들 각각은 각각 조정될 수 있는 재료 확장을 실시하는 가변식 구역(315, 325)을 도시한다. 재료 확장은 구역(315, 325)에서 가변적으로 구성되어서, 상기 구역(315, 325)에서 최소한의 변화에 의해 각 조정은 지지 클래스프(300)를 제조하는 데에 사용되는 수단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인서트를 갖는 인서트 코어의 더 양호한 포지셔닝(positioning) 및 형상화를 위하여, 인서트 코어는 선택적으로 후측 섹션의 영역에서 리세스(210; recess)를 도시하고, 이는 특히 발의 발뒤꿈치 아래에 위치되어야 하고 여기서 중심에 있어야 한다. 또한, 인서트 코어는 선택적으로 재료 축소부들(228, 227)을 포함하고, 이는 신발의 형태에 대하여 그렇지 않으면 기계적으로 강성이 있는 인서트 코어의 조정을 위한 플렉시블한 섹션들(220, 222)을 허용한다. 인서트 코어(100)는 정형외과용 인서트 밑창(400)의 일체화된 구성요소이다.

Claims (12)

  1. 신발 인서트를 위한 인서트 코어(100)에 있어서,
    캐리어(200), 및 발의 아치의 영역에서 교차하고 인서트 코어의 반대편 종단들을 향하여 테이퍼진, 후측 지지 아암들(310, 312)과 전측 지지 아암들(320, 322)을 갖고 캐리어(200)에 배열된 지지 클래스프(3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서트 코어.
  2. 제 1 항에 있어서,
    발뒤꿈치를 향하여 정렬된 후측 섹션들(110, 112) 및 발의 끝을 향하여 정렬된 전측 섹션들(120, 122)을 갖고, 각각 발의 내측을 마주하는 내부 섹션들(110, 120) 및 각각 발의 외측을 마주하는 외부 섹션들(112, 122)을 가지며, 기계적 지지 기능에 대하여 동일한 전측 또는 후측 외부 섹션(112, 122)에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반대편 지지 아암(312, 322)의 전측 또는 후측 섹션 각각과 상이하게 구성된 전측 또는 후측 내부 섹션(110, 120)에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지지 아암(310, 320)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서트 코어(100).
  3. 제 2 항에 있어서,
    기계적 지지 기능에 대하여 전측 내부 섹션(120)에서 연장되는 지지 아암(320)에 대하여 더 강하게 구성된 전측 외부 섹션(122)에서 연장되는 지지 아암(322)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서트 코어(100).
  4. 제 2 항에 있어서,
    기계적 지지 기능에 대하여 후측 내부 섹션(110)에서 연장되는 지지 아암(310)과 비교하여 더 약하게 구성된 후측 외부 섹션(112)에서 연장되는 지지 아암(312)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서트 코어(100).
  5. 제 2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인서트 코어(100)를 가로지르는 제 1 지지 브릿지를 형성하는 대각선의 반대편 후측 내부 섹션(110) 및 전측 외부 섹션(122)에서 실질적으로 연장되는 지지 아암들(310, 322)을 갖고,
    지지 아암들(310, 322)은 지지 아암들(310, 322)에 대하여 수직으로 연장되는 다른 지지 아암들(312, 320)과 비교하여 기계적 지지 기능에 대하여 더 강하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서트 코어(100).
  6. 제 2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재료의 더 높은 강도 모듈에 의해 야기된 지지 아암의 기계적 지지 기능의 강도의 구체예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서트 코어(100).
  7. 제 2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지지 아암의 더 큰 재료 두께에 기초한 지지 아암의 기계적 지지 기능의 강도의 구체예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서트 코어(100).
  8. 제 2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지지 아암의 더 큰 재료의 폭에 기초한 지지 아암의 기계적 지지 기능의 강도의 구체예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서트 코어(100).
  9. 제 8 항에 있어서,
    재료 폭을 조정하도록 지지 아암의 영역에 제공되는 가변식 구역(315, 325)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서트 코어(100).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인서트 코어가 적어도 하나의 캐리어(200) 및 적어도 하나의 지지 클래스프(300)를 포함하는 몇몇 부분들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서트 코어(100).
  11.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나의 조각으로 함께 구성된 지지 클래스프(300) 및 캐리어(200)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서트 코어(100).
  12. 제 1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인서트 코어(1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형외과용 신발 인서트.
KR1020137001910A 2010-07-09 2011-07-08 신발 인서트를 위한 지지대 KR10147762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0027418.6 2010-07-09
DE102010027418A DE102010027418A1 (de) 2010-07-09 2010-07-09 Stützspange für Schuheinlagen
PCT/EP2011/003410 WO2012003993A1 (de) 2010-07-09 2011-07-08 Stützspange für schuheinlage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51985A true KR20130051985A (ko) 2013-05-21
KR101477624B1 KR101477624B1 (ko) 2014-12-30

Family

ID=446283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01910A KR101477624B1 (ko) 2010-07-09 2011-07-08 신발 인서트를 위한 지지대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20130111781A1 (ko)
EP (1) EP2590527B1 (ko)
JP (1) JP5709990B2 (ko)
KR (1) KR101477624B1 (ko)
CN (1) CN103068267B (ko)
AU (1) AU2011276107B2 (ko)
CA (1) CA2804655C (ko)
DE (1) DE102010027418A1 (ko)
ES (1) ES2525293T3 (ko)
PL (1) PL2590527T3 (ko)
WO (1) WO201200399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1009360A1 (de) * 2011-01-25 2012-07-26 BNS BERGAL, NICO & SOLITAIRE Vertriebs GmbH Rohling für eine Fußbettung
US9913508B2 (en) * 2011-08-31 2018-03-13 Varithotics Co., Ltd. Foot balancing device
FR2988997B1 (fr) * 2012-04-05 2014-04-11 Gibaud Dispositif de maintien de la partie arriere du pied, et orthese de cheville comprenant un tel dispositif
EP2878220B1 (en) * 2012-07-26 2023-04-19 Uchida Hanbai System, Ltd. Footwear sheet and footwear
DE102013007450A1 (de) * 2013-01-28 2014-07-31 Springer Aktiv Ag Einlegesohle, 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Einlegesohle
US9320313B2 (en) 2013-02-20 2016-04-26 Nike, Inc. Split-sole footwear
US9622540B2 (en) * 2013-06-11 2017-04-18 K-Swiss, Inc. Article of footwear, elements thereof, and related methods of manufacturing
JP6336053B2 (ja) * 2013-06-14 2018-06-06 ウェイクランド,ダン 履物の起伏のあるインソール
ES2719434T3 (es) 2014-03-24 2019-07-10 Podarte S R L Inserto para el control postural del pie
EP3097809A1 (de) * 2015-05-27 2016-11-30 Baak GmbH & Co. KG Schuhsohle mit verstärkung
SE541133C2 (en) 2016-05-27 2019-04-16 Stinaa & Fashion Ab Insole for footwear
DE202018000386U1 (de) * 2018-01-25 2018-03-14 ADOMUS-GmbH Sohlenelement mit definierten Biegesteifigkeiten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48349A (en) * 1874-03-10 Improvement in spring-shanks for boots and shoes
US892064A (en) * 1906-09-05 1908-06-30 Frederick W Leesberg Shank-stiffener.
US1387411A (en) * 1919-07-12 1921-08-09 John F Kolkebeck Arch-support
US1399447A (en) * 1920-03-08 1921-12-06 George F Spiegel Arch-support
USRE17243E (en) * 1923-05-14 1929-03-26 Apparatus por supporting arches
US1907995A (en) * 1930-07-11 1933-05-09 Stacy M Nickerson Arch support for footwear
US2498624A (en) * 1948-03-23 1950-02-21 Garnett C Skinner Foot cushion
DE1117444B (de) * 1957-02-23 1961-11-16 Rudolf Weiduschat Schuhwerk mit orthopaedischer Einlage
JP3037118B2 (ja) * 1995-10-09 2000-04-24 美津濃株式会社 靴用中敷
FR2794005B1 (fr) * 1999-05-26 2001-06-29 Imp Ation De Diffusion Ou Dist Semelle de chaussure
DK174667B1 (da) * 2000-08-09 2003-08-18 Ecco Sko As Skomellemsål
JP4033647B2 (ja) * 2001-08-01 2008-01-16 美津濃株式会社 中敷
DE10238409B4 (de) * 2002-08-22 2016-02-04 Jürgen Stumpf Elastisch verformbare Versteifungseinlage
FR2844156B1 (fr) * 2002-09-09 2005-03-11 Zebra Compagny Semelle avec organe dynamique integre
JP4718956B2 (ja) * 2005-09-29 2011-07-06 株式会社ディモコシステムス 浮き指防止中敷きパッド及びそれを装着した履物
US7707751B2 (en) * 2006-06-16 2010-05-04 Schering-Plough Healthcare Products, Inc. Adjustable orthotic
JP4709085B2 (ja) * 2006-07-10 2011-06-22 株式会社アシックス 中敷および中底
KR200430994Y1 (ko) * 2006-09-01 2006-11-13 홈웨이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깔창
KR100770564B1 (ko) * 2007-05-07 2007-10-26 (주) 디유티코리아 다탄성(多彈性) 신발 안창의 구조
US8186081B2 (en) * 2008-11-17 2012-05-29 Adidas International Marketing B.V. Torsion control devices and related articles of footwear
CA2742513C (en) * 2008-11-24 2014-01-14 Srl, Inc. Articles of footwear
JP5927205B2 (ja) * 2010-12-28 2016-06-01 スーパーフィート ワールドワイド,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矯正ミッドソールを有する履き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S2525293T3 (es) 2014-12-19
CA2804655A1 (en) 2012-01-12
CN103068267B (zh) 2015-08-05
AU2011276107A1 (en) 2013-01-24
JP2013530759A (ja) 2013-08-01
DE102010027418A1 (de) 2012-01-12
EP2590527A1 (de) 2013-05-15
CA2804655C (en) 2016-11-01
WO2012003993A1 (de) 2012-01-12
CN103068267A (zh) 2013-04-24
AU2011276107B2 (en) 2014-01-30
KR101477624B1 (ko) 2014-12-30
EP2590527B1 (de) 2014-10-01
JP5709990B2 (ja) 2015-04-30
US20130111781A1 (en) 2013-05-09
PL2590527T3 (pl) 2015-03-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051985A (ko) 신발 인서트를 위한 지지대
US7458173B2 (en) Orthotic insert and method of manufacture thereof
JP4600978B2 (ja) ソール部材の製造方法
US9015962B2 (en) Article of footwear with support element
US20110016746A1 (en) Article of Footwear Having an Undulating Sole
US9433256B2 (en) Article of footwear and methods of making same
US20170224050A1 (en) Customizable inserts for footwear
EP3146862B1 (en) Article of footwear having an undulating sole
EP3402360A1 (en) Footwear with internal chassis and/or indexed sock liner
EP3868243B1 (en) Sole comprising individually deflectable reinforcing members and shoe with such a sole
KR102371474B1 (ko) 교정 지지부가 포함된 중창
CN207767623U (zh) 鞋类物品
JP7487381B2 (ja) シューズのためのアウトソール
US20230172309A1 (en) Footwear article for walking
KR20180111234A (ko) 아치그린 발 교정구와 그 제조방법
CN117835940A (zh) 踝足矫形器及其制造方法
AU2003201205A1 (en) Orthotic insert and method of manufacture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2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