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51920A - 주사 장치용 병 홀더 - Google Patents

주사 장치용 병 홀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51920A
KR20130051920A KR1020127025768A KR20127025768A KR20130051920A KR 20130051920 A KR20130051920 A KR 20130051920A KR 1020127025768 A KR1020127025768 A KR 1020127025768A KR 20127025768 A KR20127025768 A KR 20127025768A KR 20130051920 A KR20130051920 A KR 201300519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ttle
injection
bottle holder
receiving portion
hol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257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르그 카이저
토마스 칸홀드
Original Assignee
울리흐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울리흐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filed Critical 울리흐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Publication of KR201300519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5192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14Details; Accessories therefor
    • A61J1/16Holders for contain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007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for contrast med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7/00Other apparatus for introducing media into the body; Percutany, i.e. introducing medicines into the body by diffusion through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414Hanging-up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414Hanging-up devices
    • A61M5/1417Holders or handles for hanging up infusion contain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Dermat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 Medical Preparation Storing Or Oral Administration Devices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 Feeding, Discharge, Calcimining, Fusing, And Gas-Generation Devices (AREA)
  • Filling Of Jars Or Cans And Processes For Cleaning And Sealing Ja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저장 병을 수용하기 위한 병 수용부(2)를 구비하고 상기 병 홀더(1)에 고정되고 상기 저장 병 내에 뾰족하게 뚫어 유출 개구부를 형성하는 기능을 하는 천공 못 [또는] 교체가능한 천공 못(4)을 부착하기 위한 홀딩 수단(3)을 구비하는 병 홀더(1)로서, 상기 병 수용부(2)는 상기 천공 못(4)에 대해 또는 상기 천공 못(4)용 상기 홀딩 수단(3)에 대해 각각 이동할 수 있고, 상기 천공 못(4)의 방향으로 상기 병 수용부(2)의 이동 동안 상기 병 수용부(2) 내에 배치된 저장 병이 상기 저장 병을 뾰족하게 뚫어 유출 개구부를 형성하도록 상기 저장 병이 상기 천공 못(4) 위에 배치되는 사실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 또는 주입 장치용 병 홀더(1)를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

Description

주사 장치용 병 홀더{Bottle Holder for Injection Device}
본 발명은 청구범위 제1항의 서문에 따른 주사 장치용 병 홀더에 관한 것이다.
의용 공학 분야에서, 주사 장치들은 환자의 신체 안으로 유체를 주사하는데 사용된다. 이러한 주사 장치들은 예컨데 컴퓨터 단층촬영 처리, 초음파 검사 및 자기 공명 단층촬영(MRT)와 같은 영상 처리 동안 조영제를 관리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이 경우, 예컨대 서로 다른 조영제들과 NaCl 세정액과 같이 주사될 유체들이 저장 병(storage bottle) 안에 채워진다. 주사될 유체를 포함하는 병들은 예컨대 이동용 바퀴에 의해 대체로 지지되고 공급 호스를 이용하여 주사 장치에 연결된 플로어 스탠드(floor stand)의 상단부에 매달려 있다. 주사 장치는 예컨대 연동성 펌프와 같은 펌프를 포함하며, 공급 호스 안으로 이동된 유체는 이러한 연동성 펌프에 의해 환자의 정맥 속으로 연결된 환자 호스 안으로 펌핑된다. 새로운 저장 병이 연결될 때 저장 병과 주사 장치의 펌프 사이의 공급 호스가 환기될 필요가 있기 때문에 이러한 장치는 단점을 갖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유체는 이 과정 동안 빠져나갈 수 있고 오염을 야기한다. 게다가, 저장 병이 매달려 있는 플로어 스탠드는 종종 필수적인 안정성을 갖지 않으며 부주의한 경우 넘어질 수 있다.
이러한 단점들을 없애기 위하여, 실용신안 DE 203 06 395 U1에서 조영제 공급 장치를 제시하는데, 이 장치는 조영제 병을 수용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병 수용부뿐만 아니라 조영제를 투여하기 위한 선량계 펌프를 갖는 특징을 갖는다. 조영제는 선량계 펌프를 이용하여 병 수용부 안에 위치한 조영제 병으로부터 브라운 관(Braun's cannula)에 연결될 수 있는 환자 호스로 이동할 수 있다. 조영제 병의 뾰족하게 뚫을 수 있는 밀봉부를 천공하기 위한 중공 못(hollow spike)이 병 수용부의 하부 또는 각각의 병 수용부에 제공된다. 조영제 병이 병 수용부 안으로 삽입될 때, 조영제 병은 천공 못에 의해 개방되어 조영제가 초기에 조영제 병으로부터 중공 천공 못 안으로 흘러들어가고 천공 못에 연결될 수 있는 라인을 통해 탱크 안으로 흘러들어간다. 탱크는 연결 라인에 의해 선량계 펌프에 연결되어 선량계 펌프가 탱크로부터 조영제를 가져와 조영제를 환자의 정맥 안으로 연결된 환자 호스로 전달한다. 이러한 조영 매체 공급 장치에서, 병 수용부 또는 각각의 병 수용부는 컵 모양의 병 홀더의 형태로 구현되고 이들의 하부 영역은 조영제 병의 상부와 하부 목을 수용하기 위한 리세스(recess)를 구비하는 특징을 갖는다. 중공 천공 못은 이러한 리세스의 중심에 배치된다. 완전한 저장 병을 갖는 조영제 공급 장치를 로딩하기 위하여, 조작자는 저장 병을 상부가 아래로 향하게 병 수용부 안으로 삽입하고(즉 병목이 아래 방향으로 두드러짐) 천공 못이 조영제 병 안으로 유출 개구부를 뾰족하게 뚫을 때까지 천공 못 위로 저장 병을 누를 필요가 있다.
이러한 과정은 복잡하고 시간소모적이며 상응하게 능숙한 조작 인력을 요구한다. 더구나 천공 못 위에 조영제 병을 중심에 위치하지 않은 모양으로 배치시켜 천공 못이 조영제 못 병의 밀봉 캡을 뾰족하게 뚫어 유출 개구부를 만들 수 없는 조작자의 위험이 수반된다. 특히 이러한 문제는 그 직경이 병 수용부의 내부 직경보다 작은, 더 작은 조영제 병에서 발생하는데, 이 경우 컵 모양의 병 수용부의 내부 벽이 천공 못의 배치 동안 조영제 병을 유도할 수 없기 때문이다. 공지된 장치는 또 다른 단점을 갖는 것으로 판명되었는데, 그 단점은 더 큰 조영제 병의 경우에 그 직경이 병 수용부의 내부 직경보다 크면 사용할 수 없다는 것이다.
공지된 장치의 또 다른 단점은 모두 사용된 조영제 병이 병 수용부로부터 회수될 때 명백하게 드러난다. 병은 병 수용부로부터 수직으로 위로 당겨져 잔류 유체가 조영제 병의 유출 개구부로부터 방울이 떨어질 수 있다. 잔류 유체가 일단 다시 방울로 떨어지면 조영제 공급 장치의 오염을 야기한다.
이러한 환경에 기초하여, 본 발명은 주사 장치에 가득 찬 저장 병을 가능한 용이하고 빠르게 장착시키는 것이 불가능한 주사 장치용 병 홀더를 제공하는 목적을 가지며, 이러한 병 홀더는 다양한 크기의 서로 다른 저장 병들을 수용할 수 있는 방식으로 구현된다. 또한 본 발명은 모두 소모된 저장 병이 방울을 떨어뜨리지 않으면서 가능한 용이하게 병 홀더로부터 제거될 수 있는 주사 장치용 병 홀더를 제공하는 목적을 갖는다.
이러한 목적은 청구항 제1항의 특징부를 갖는 주사 장치용 병 홀더에 의해 달성된다. 이러한 병 홀더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은 종속항 제2항 내지 제14항에 개시된다. 이러한 병 홀더를 포함하는 청구항 제15항에 따른 주사 장치는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는데 기여한다. 이러한 주사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은 종속항 제16항 내지 제20항에 개시된다.
본 발명의 병 홀더는 저장 병을 수용하기 위한 병 수용부 뿐만 아니라 병 홀더에 고정되고 저장 병 안으로 유출 개구부를 뾰족하게 뚫는 기능을 하는 천공 못 또는 선택적으로 교체가능한 천공 못을 부착시키기 위한 홀딩 수단을 갖는 특징이 있다. 병 수용부는 병 홀더 상에 경고하게 배치된 천공 못에 대해 상대적으로 또는 교체가능한 천공 못을 위한 홀딩 수단에 대해 상대적으로 각각 배치될 수 있다. 가득 찬 저장 병을 이러한 저장 홀더가 장착될 주사 장치 안으로 가득 찬 저장 병을 로딩하기 위하여, 저장 병은 병 수용부 상측에서 상부가 아래로 향하게 삽입되고 수직으로 아래 방향으로 눌려진다. 이는 이동가능한 병 수용부가 천공 못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게 하며 저장 병 안으로 유출 개구부를 뾰족하게 뚫을 수 있는 방식으로 천공 못 상에 저장 병을 배치시킨다. 천공 못에 상대적인 병 수용부의 유도된 움직임으로 인해, 저장 병과 특히 병 목은 중심에 위치한 방식으로 천공 못 상에 배치되어 천공 못이 예컨대 저장 병의 목을 밀봉시키는 캡 또는 박막을 관통하여 뾰족하게 뚫어 유출 개구부를 만들 수 있게 하는 것을 항상 보장한다.
천공 못에 대한 병 수용부의 움직임은 바람직하게 스프링에 결합되는 유도 장치를 이용하여 유도된다. 이 경우에, 병 수용부는 특히 압력 스프링의 형태로 구현되는 스프링의 복원력에 대항하여 상단 위치와 하단 위치 사이로 옮겨질 수 있다. 병 수용부는 바람직하게 잠금 메커니즘을 이용하여 상단 위치 및/또는 하단 위치에 고정될 수 있다. 상단 위치에서, 병 수용부는 새로운 가득 찬 저장 병을 수용할 준비가 된다. 가득 찬 저장 병을 병 수용부에 삽입한 후에, 병은 수직으로 아래 방향으로 눌려져 병 수용부가 그 아래에 배치된 천공 못을 향해, 즉 병 수용부의 하단 위치가 도달할 때까지 이동된다. 천공 못은 일단 병 수용부가 하단 위치에 도달하면 저장 병을 뾰족하게 뚫어 유출 개구부를 만든다. 바람직한 중공 천공 못은 공급 라인에 연결되고, 이러한 공급 라인을 통해 유체가 저장 병으로부터 주사 장치의 펌프 안으로 전달될 수 있다.
다양한 형상과 크기의 저장 병들을 본 발명의 병 홀더의 병 수용부 안으로 고정하여 배치시키기 위하여, 저장 병의 목을 안으로 삽입하고 홀딩하기 위한 깔때기형 수용 부재가 본 발명의 병 홀더에 바람직하게 제공된다. 또한, 가용성 또는 순응성 홀딩 부재의 특징을 갖는 홀딩 수단이 바람직하게 병 홀더에 배치된다. 가요성 홀딩 부재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외주 상에서 저장 병을 둘러싸고 이로써 병 수용부 내에 저장 병을 고정시킨다. 홀딩 부재의 가요성 또는 순응성 구조로 인해, 이들은 저장 병의 크기와 모양을 조절시키고 이러한 저장 병을 병 수용부 안에 고정시키기 위해 저장 병의 외주에 정확하지는 않게(nonpositively) 인접한다. 따라서, 서로 다른 크기, 특히 서로 다른 직경의 병들을 병 수용부 안에 고정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병 홀더는 바람직하게 주사 장치의 하우징 부분에 결합되어 공칭 수직 위치와 피봇된 수평 위치 사이에 피봇팅될 수 있다. 이 경우에, 피봇팅 메커니즘은 병 수용부 내에 위치한 저장 병이 필수적인 수평 위치로 이동하도록 하단 위치에 있게 되는 방식으로 병 홀더가 주사 장치의 하우징 부분에 대해 피봇팅될 수 있게 바람직하게 구현된다. 이러한 수평 위치에서, 저장 병은 잔류 유체가 저장 병의 유출 개구부 밖으로 방울로 떨어지지 않으면서 병 수용부 외부로 당겨질 수 있다.
병 홀더가 수평 위치 안으로 바람직하지 않게 피봇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수직 위치에서 병 홀더를 고정시키는(lock) 잠김 메커니즘(locking mechanism)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병 홀더는 병 홀더가 수직으로 하단 위치로부터 수평 위치로 순차적으로 피봇팅될 수 있도록 잠금 메커니즘을 열기기 위한 풀림 레버를 포함한다.
병 홀더가 피봇팅된 수평 위치로부터 새로운 저장 병이 다시 한번 로딩될 수 있는 공칭 수직 위치로 다시 피봇팅될 때, 병 수용부가 상단 위치에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병 홀더가 다시 피봇팅될 때 병 수용부를 상단 위치로 자동으로 이동시키는 자동 풀림 메커니즘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러 다른 장점들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병 홀더의 조작 및 본 발명의 병 홀더들이 장착된 주사 장치는 첨부된 도면에서 인용되는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하기 설명으로부터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병 홀더가 주사 조영제를 위한 주사 장치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할 뿐만 아니라 예컨대 주입 장치(infusion device)에도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실시예와 대조적으로, 주사 장치 또는 주입 장치에서 세 개 미만의 병 홀더들을 배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러나, 적용에 따라서 해당 장치에서 본 발명의 타입에 따라 세 개 이상의 병 홀더들을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주사될 유체를 포함하는 백을 수용하기 위한 종래 백 홀더와 함께 저장 병을 수용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병 홀더를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들 도면은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병 홀더 세 개를 갖는 주사 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1a는 도 1a에 따른 주사 장치의 세 개의 본 발명의 병 홀더들 중 하나에 대한 상세도이다;
도 2는 도 1에 따른 주사 장치의 측명도이다;
도 3a는 도 1에 따른 좌측 병 홀더를 공칭 수직 위치에서 C-C 면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3b는 도 1에 따른 우측 병 홀더를 공칭 수직 위치에서 C-C 면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따른 병 홀더의 등각 후면도이다;
도 5는 다른 기능적 위치들에서 도 1a에 따른 병 홀더의 단면도를 도시하는데, 도 5a는 하단 수직 위치에서 병 홀더를 도시하고, 도 5c는 피봇팅된 위치에서 병 홀더를 도시하며 도 5b와 5d는 중간 위치에서 병 홀더를 도시한다; 그리고
도 6은 도 5d에 도시된 중간 위치에서 도 1a에 따른 병 홀더의 상세도이다.
도 1은 두 개의 상이하거나 동일한 조영제들과 NaCl 세정액을 환자의 신체 안으로 주사하기 위한 주사 장치의 주사 헤드(21)를 도시하는데, 주사 장치는 두 개의 조영제들과 NaCl 세정액을 위한 세 개의 저장 병 모두를 수용하기 위한 본 발명의 병 홀더들의 특징을 갖는다. 이러한 주사 장치들은 예컨대, 컴퓨터 단층촬영 처리, 초음파 검사 및 자기 공명 단층촬영(MRT) 처리와 같은 영상 처리 동안 조영제들을 주사하는데 사용된다. 도 2에 도시된 주사 헤드(21)는 펌프가 배치된 외부 하우징(22)을 포함하는데, 상기 펌프는 바람직하게 조영제들과 세정액을 환자에 연결된 환자 호스 안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연동성 펌프이다. 주사될 유체가 이동할 호스는 연동성 펌프 안에 삽입된다. 주사될 유체는 저장 병들 안에(미도시) 채워져 있다. 저장 병들을 수용하기 위하여, 도 1에 도시된 주사 헤드(21)는 모두 세 개의 병 홀더들(1,1a,1b)을 갖는다. 세 개의 병 홀더들(1,1a,1b)은 주사 헤드(21)의 패널(23) 위에 배치된다. 패널(23)은 커버(24)에 의해 폐쇄될 수 있다. 도 2에서 도시된 측면에서, 커버(24)는 폐쇄된 위치에서 도시된다. 도 1에서, 패널(23)의 상부 영역은 바람직하게 투명 커버(24)를 통해 보일 수 있다. (커버(24)에 의해 덮여서 보이지 않게 되는) 채널형 리세스들이 패널(23)의 상부 영역에 제공되는데,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가지형(branched) 호스 방치가 상기 리세스들 안에 삽입될 수 있다. 호스 장치는 특히 EP 2 011 541 A2에서 상세히 개시된 타입의 호스 장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호스 장치는 모두 세 개의 공급 호스들, 즉 제 1 조영제를 위한 제 1 공급 호스, 제 2 조영제를 위한 제 2 공급 호스 및 세정액(특히 NaCl)을 위한 제 3 공급 호스를 포함한다. 세 개의 공급 호스들은 조영제들과 세정액을 위한 저장 병들에 연결되며 패널(23)의 상부 영역에 배치된 가지 채널 안에 클립핑되어 있다. 저장 병들로부터 도달하는 공급 호스들은 원형 리세스 안에 삽입된 접합 부재에서 수렴한다. 접합 부재는 커버(24) 바로 아래에서 하우징(22) 내에 배치된 펌프 안으로 삽입된 출구 호스를 포함한다.
도 1에 도시된 세 개의 병 홀더들(1,1a,1b)은 저장 병들을 수용하기 위해 제공된다. 병 홀더들은 각각 동일하게 설계된다. 병 홀더들의 상세한 구조는 도 1의 상세도뿐만 아니라 도 3의 단면도 및 도 4의 등각 후방도로부터 알 수 있다. 세 개의 병 홀더들(1,1a,1b)은 피봇팅되는 방식으로 주사 헤드(21)의 하우징 부분(20)에 각각 결합된다. 따라서, 세 개의 병 홀더들(1,1a,1b) 각각은 공칭 수직 위치와 수평 위치 사이에서 피봇팅될 수 있다. 도 1에 따른 예에서, 좌측에 배치된 병 홀더(1)와 우측에 배치된 병 홀더(1b) 각각은 자신의 공칭 수직 위치에 있고 중간에 있는 병 홀더(1a)는 수평 위치에 있다. 저장 병은 병 홀더 안으로 삽입될 수 있고 수직 위치에서 공급 호스에 연결된다. 병 홀더 안에 배치된 저장 병이 공급 호스에 연결되면, 병 홀더는 일단 펌프가 작동한 후 저장 병으로부터 유체를 뽑아오기 위하여 수직 위치에 남아 있게 된다. 병 홀더는 펌프 작동으로 인해 저장 병이 일단 모두 사용된 후에 수평 위치 안으로 피봇팅될 수 있다. 다음에 모두 사용된 저장 병은 이러한 수평 위치에서 병 홀더 밖으로 수평으로 당겨질 수 있다. 모두 사용된 저장 병이 수평 위치에서 병 홀더 밖으로 당겨진 이후에, 모두 사용된 저장 병은 방울을 떨어뜨리지 않고 부착된 공급 호스와 연결이 끊어지도록 보장된다. 공칭 위치에서, 다음에 가득 찬 저장 병이 수직 방향으로 위로부터 병 홀더 안으로 다시 한번 삽입될 수 있다.
저장 병을 수용하기 위하여, 각각의 병 홀더들(1)은 병 수용부(2)(도 1a)의 특징을 갖는다. 병 수용부(2)는 깔때기형 수용 부재(6)를 갖는데, 저장 병의 병 목은 상부가 아래로 향하도록 깔때기형 수용 부재(6) 안으로 삽입될 수 있다(도 2). 깔때기형 수용 부재(6)의 모양은 바람직하게 주사 매체 저장 병들 또는 세정액 저장 병들의 통상적인 병 모양으로 각각 적용될 수 있다. 저장 병이 병 홀더 안에 신뢰가능하게 홀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병 수용부(2)는 수용 부재(6) 위에 배치된 홀딩 수단(7)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수용 부재 위에 고정된 홀딩 수단(7)은 가요성 홀딩 부재(8)의 특징을 갖는다. 가요성 홀딩 부재(8)는 저장 병의 중심 영역 또는 하부 영역에서 그 외주 위에 병 홀더 안으로 삽입된 저장 병을 둘러싸서 저장 병이 병 홀더 안에 특히 수용 부재(6) 안에 신뢰성 있게 고정되게 한다. 이러한 수단들로 인해, 서로 다른 모양과 크기를 갖는 저장 병들이 병 수용부 안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가요성 홀딩 부재(8)는 바람직하게 이들이 정확하게(positively) 그리고 정확하지 않게(nonpositively) 저장 병의 외주에 인접하는 방식으로 구성된다. 이를 위하여, 홀딩 수단(7)은 삽입가능한 저장 병(도 1a 및 4)에 언급된 직경이 마주하는 위치에 배치된 적어도 두 개의 홀딩 부재(8a 및 8b)의 특징을 갖는다. 동일한 구조를 갖는 홀딩 부재(8a 및 8b) 각각은 원의 분할 모양을 갖는 연결부(9d)를 이용하여 서로 연결된 한 쌍의 제 1 홀딩 탭(9a,9b)을 포함한다. 아래로 향한 제 2 홀딩 탭(9c)은 연결부(9d)에 배치된다. 제 2 홀딩 탭(9c)은 한 쌍의 제 1 홀딩 탭 중 두 개의 홀딩 탭(9a, 9b) 사이에서 연장하고 방사형 방향으로 연결부(9d)의 내주(inner circumference)를 넘어 돌출한다. 각각의 홀딩 부재(8a, 8b)는 바람직하게 주입-성형 플라스틱 부분의 형태로서 일체형으로 구현된다. 즉 한 쌍의 제 1 홀딩 탭(9a, 9b), 연결부(9d) 및 제 2 홀딩 탭(9c)은 주입-성형된 부분의 형태로서 일체형으로 결합되게 성형된다. 각각의 홀디 부재(8a, 8b)는 바람직하게 걸쇠 또는 클램핑 메커니즘을 이용하여 탈착가능한 방식으로 깔때기형 수용 부재(6)에 고정된다. 바람직하게 주입-성형 플라스틱 부분의 형태로서 수용 부재(6)와 일체형으로 구현되는 스플래시 가드(splash guard)가 깔때기형 수용 부재(6)의 하측에 제공된다.
교체가능한 천공 못(4)을 부착하기 위한 홀딩 수단(3)은 병 수용부(2)(도 2 및 3) 바로 아래에 제공된다. 삽입된 천공 못(4)은 도 3에 따른 단면에 도시되어 있다. 홀딩 수단(3)은 가이드 레일 또는 가이드 홈(4)을 갖는 특징이 있다. 보조 형태로 구현되는 천공 못(4)의 홀딩부는 이러한 가이드 레일 또는 가이드 홈(4) 안으로 눌려질 수 있다. 천공 못(4)은 바람직하게 천공 포인트를 갖는 중공-원주형 못으로 구성되며, 공급 호스의 일 단부가 천공 포인트에 연결되는데, 상기 공급 호스의 다른 단부는 접합 부재에 연결된다. 이러한 장치의 대안으로서, 천공 못은 천공 못이 홀딩 수단(3)에 고정되거나 일체형으로 구현되는 병 홀더 안으로 영구적으로 일체화될 수 있다. 그러나, 홀딩 수단(3)에 탈착가능하게 고정된 천공 못(4)의 상기 장치는 사용된 천공 못이 각각 용이하고 빠르게 청소되거나 교체될 수 있는 구조를 갖기 때문에 보다 실용적이다.
공급 호스와 병 홀더(1) 안에 삽입된 초기 밀폐된 저장 병 사이에서 연결을 형성하기 위하여, 천공 못을 이용하여 저장 병 안으로 뾰족하게 뚫어 유출 개구부를 자동으로 형성하는 것을 가능케 하는 메커니즘이 제공된다. 이를 위하여, 병 수용부(2)는 천공 못을 위한 천공 못(4)에 상대적으로 또는 홀딩 수단(3)에 상대적으로 각각 이동할 수 있도록 구현된다. 천공 못을 향하여 병 수용부(2)의 수직 이동 동안, 병 수용부(2) 내에 위치한 저장 병은 천공 못이 저장 병 안으로 뾰족하게 뚫어 유출 개구부를 형성할 수 있도록 천공 못 상에 위치한다. 조영제들 또는 세정액들을 위한 저장 병은 천공 못에 의해 용이하게 뾰족하게 뚫릴 수 있는 캡 또는 박막에 의해 밀봉된다. 저장 병이 천공 못 상에 위치하게 되면, 이로써 본 발명의 병 홀더의 동작 메커니즘은 병 수용부가 병 홀더의 공칭 수직 위치에서 천공 못 상에 아래로 수동으로 눌려질 때 자동적으로 저장 병의 캡 또는 막 안으로 유출 개구부를 뾰족하게 뚫는다. 이는 조작자가 병 수용부(2)가 천공 못의 방향으로 아래로 눌리도록 바닥으로 압력을 가함으로써 병 홀더(1)에 삽입된 저장 병을 아래로 누르기만 하면 된다.
병 수용부(2)를 천공 못 또는 홀딩 수단(3)에 대해 상대적으로 각각 이동시키기 위한 메커니즘은 도 3에 따른 단면도에 도시되어 있다. 도 3a는 각각의 병 홀더(1)가 하우징부(10)를 포함하는 것을 도시하는데, 교체가능한 천공 못(4)을 부착시키기 위한 홀딩 수단(3)은 하우징부 상에 고정된다. 피봇팅된 레버(11)는 하우징부(10) 상에 고정된다. 피봇팅된 레버(11)는 피봇 베어링(12)을 이용하여 주사 헤드(21)의 하우징부(20) 상에서 피봇 방식으로 지지된다. 도 3a에 도시된 (공칭) 수직 위치로부터 수평 위치로 하우징부(20)에 대해 상대적으로 병 홀더(1)를 피봇팅하기 위한 메커니즘은 아래에 설명된다.
수직 보어(bore)(36)를 갖는 특징이 있는 연결부(15)는 깔때기형 수용 부재(6)의 아래에 배치되고 일체형으로 구현된다. 장착 볼트(35)를 이용하여 연결부(15) 상에 고정된 가이드 막대(rod)(16)는 상기 보어(36) 안으로 돌출한다(도 3c). 가이드 막대(16)는 보어(36) 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며 연결부(15)의 하단부(37)까지 수직으로 아래로 연장한다. 슬리브(38)는 하우징부(10) 안으로 삽입되고 그 안에 고정된다. 슬리브(38)는 장착부(15) 내에서 보어(36)보다 다소 작은 직경을 가지며 하우징부(10)로부터 연결부(15)의 하단부(37)까지 수직으로 위로 연장한다. 코일 스프링의 형태로 구현된 압력 스프링(12)은 슬리브(38) 안에 배치되며, 상기 코일 스프링의 하단부는 슬리브(38)의 하부(39)에 놓인다. (도 3c에 도시된) 완화된 상태에서, 압력 스프링(12)의 상부 절반은 가이드 막대(16)를 둘러싸고 압력 스프링(12)의 상단부는 가이드 막대(16) 상의 플랜지(40)에 대해 자체가 고정된다. 따라서, 병 수용부(2)는 압력 스프링(12)의 복원력에 대해 가이드 막대(16)의 종축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압력이 압력 스프링(12)의 복원력에 대하여 병 수용부(2) 위 아래로 수직으로 가해질 때, 압력 스프링(12)은 압축되고 연결부(15)의 하부 영역이 슬리브(38) 위로 눌려지는데, 슬리브(38)는 (압력 스프링(12)을 둘러싸면서) 보어(36)와 가이드 막대(16) 안으로 맞물리고 동시에 슬리브(38) 안으로 맞물린다. 슬리브(38) 또는 가이드 막대(16)의 각각의 종축 방향에서 병 수용부(2)의 이동을 유도하는 가이드 장치는 가이드 막대(16), 장착부(15) 및 슬리브(38)의 상호작용에 의해 형성된다. 그러나, 이러한 가이드 장치의 다른 예를 구현하는 것도 가능한데, 예컨대 코일 스프링은 예컨대 나선형 스프링 또는 판 스프링과 같은 기타 스프링 부재로 대체가능하다.
하단부 근처에 배치된 홈(14)을 갖는 볼트(13)는 장착부(15) 상에 추가로 고정된다(도 3a). 볼트(13)는 가이드 부재(16)에 평행하게 아래로 연장하고 하우징부(10) 안의 보어(17) 안으로 맞물린다. 병 홀더(1)의 공칭 수직 위치에서, 병 수용부(2)는 가이드 부재(16)를 따라 상단 (수직) 위치와 하단 (수직) 위치 사이에서 압력 스프링(12)의 복원력에 대항하여 이동할 수 있다. 도 2에서, 병 수용부(2)는 상단 위치에서 있는 것으로 도시되지만 도 3에서는 병 수용부(2)가 하단 위치에 있는 것을 보여준다.
도 3b의 단면도에 따르면, 제 2 가이드 막대(16a)의 형태로 제 2 가이드 부재는 가이드 막대(16)에 의해 형성된 제 1 가이드 부재에 추가하여 제공된다. 이러한 제 2 가이드 막대(16a)는 볼트(13)와 유사하게 구현되고 장착부(15) 상에 고정된다(도 3b). 또한 제 2 가이드 막대(16a)는 제 1 가이드 막대(16)에 평행하게 아래로 연장하고 하우징부(10) 내에서 보어(17')와 맞물린다. 플랜지(34)는 제 2 가이드 막대(16a)의 하단부에서 스크루처럼 돌려서 고정된다. 도 3b에 도시된 병 수용부의 상단 위치에서, 플랜지(34)의 상측은 보어(17') 내의 스텝과 인접하고 이로써 병 수용부(2)에 압력을 가하는 압력 스프링(12)의 복원력과 함께 상단 위치에 병 수용부(2)를 고정한다. 병 수용부(2)는 압력 스프링(12)의 복원력에 대하여 위로부터 병 수용부 위로 수직 압력을 가함으로써 상단 위치로부터 하단 위치 안으로 압력이 가해질 수 있다.
걸쇠 메커니즘이 병 수용부(2)를 하단 위치에서 고정하기 위하여 하단 위치에 제공된다. 하단 위치에서 병 수용부(2)를 고정하기 위한 걸쇠 메커니즘은 보어(17)를 관통하여 연장하는 볼트(13)뿐만 아니라 병 수용부(2)가 하단 위치에 있을 때 볼트(13)의 하단부에서 홈(14) 안으로 맞물리는 걸쇠 탭(18)을 포함한다. 볼트(13)의 하단부(19)는 걸쇠 메커니즘을 작동시키기 위하여 끝이 뾰족해지는 방식으로 구현된다. 병 수용부(2)가 상단 위치로부터 아래로 압력이 가해질 때, 병 수용부(2)에 고정된 볼트(13)는 하우징부(10)의 보어(17)를 관통하여 이동하고 하우징부(10)에 고정된 슬리브(26) 안으로 맞물린다. 스프링처럼 움직일 수 있는(springable) 걸쇠 탭(18)은 슬리브(26)의 하측에 배치된다. 첨단부(19)가 슬리브(20)를 관통하여 눌려질 때, 볼트(13)의 첨단부(19)는 초기에 볼트(13)의 연속된 삽입 동안 걸쇠 탭이 홈(14)과 맞물릴 때까지 스프링처럼 움직일 수 있는 걸쇠 탭(18)을 측방으로 누르게 되며 이로써 이 위치(하단 위치)에서 볼트(13)뿐만 아니라 수용 부재(6)를 이용하여 고정된 병 수용부(2)까지 고정시킨다. 상단 위치로부터 하단 위치까지 병 수용부(2)의 이동 동안, 병 수용부(2)의 저장 병은 홀딩 수단(3)과 그 안에 배치된 천공 못을 향해 이동하여 천공 못이 - 이미 설명한 것처럼 - 전장 병 안으로 뾰족하게 뚫어 유출 개구부를 형성하게 한다. 병 수용부(2)가 하단 위치에 있을 때, - 저장 병이 개방 된 후에 - 저장 병 내에 있는 액체를 이동시키기 위하여 주사 장치의 펌프가 시작될 수 있다.
일단 저장 병이 모두 사용되면, 병 홀더(1)는 모두 사용된 저장 병을 제거하기 위하여 피봇팅 메커니즘을 이용하여 공칭 수직 위치로부터 수평 위치로 피봇팅될 수 있다. 이는 잠긴 위치에서 피봇팅 메커니즘을 홀딩하는 풀림 레버(11)(도 1)를 해제시킴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이를 위하여, 풀림 레버(11)는 피봇 베어링(12)에 결합되고, 병 홀더(1)의 피봇팅 레버(11)는 피봇 베어링(12)에 의해 주사 헤드(21)의 하우징부(20)에 결합된다.
도 5는 주사 헤드(21)의 하우징부(20)에 대해 병 홀더(1)의 상이한 위치를 도시하지만 병 홀더(1)는 공칭 수직 위치(도 5a)로부터 중간 위치(도 5b) 및 마지막으로 피봇팅된 수평 위치(도 5c) 안으로 피봇팅되고 그 다음에 다시 공칭 수직 위치 안으로 피봇팅된다. 그 결과, 도 5a의 도면은 도 3의 도면과 대응하며, 여기서 병 홀더(1)는 공칭 수직 위치 안에 위치하고 병 수용부(2)는 하단 위칭에 있게 된다. 이 위치에서, 병 홀더(1)는 피봇팅 메커니즘이 풀림 레버(11)를 작동시켜 해제된 후에 도 5c에 도시된 수평 위치 안으로 피봇팅될 수 있다. 병 수용부(2)는 하단 위치에 남아 있지만 병 홀더(1)는 수직 위치로부터 피봇팅된 수평 위치 안으로 피봇팅된다. 이는 도 5a, 5b 및 5c에 도시된 일련의 피봇팅 위치로 보여진다.
병 홀더(1)가 피봇팅된 수평 위치로부터 공칭 수직 위치로 다시 피봇팅될 때, 병 수용부(2)가 상단 위치로 이동되기 위하여, 병 홀더(1)가 피봇팅된 수평 위치로부터 공칭 수직 위치로 다시 피봇팅되는 동안 병 수용부(2)를 하단 위치로부터 상단 위치로 다시 자동으로 이동시키는 메커니즘이 제공된다. 이러한 메커니즘은 도 6에 따른 확대도에 상세히 도시되어 있으며 볼트(28) 위에 고정된 잠김 훅(27)을 포함한다. 볼트(28)는 하우징부(20) 상에 고정된 베어링부(33)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도4). 잠김 훅(27)은 슬리브(26) 상에 배치되고 걸쇠 탭(18)에 연결된 된 걸쇠 탭(30)과 상호작용하는 걸쇠 탭(29)을 갖는 특징이 있다. 도 3에 도시된 병 수용부(2)의 하단 위치에서, 걸쇠 탭(29 및 30)은 맞물리지 않고 서로의 상부에 놓이게 된다. 병 홀더(1)가 피봇팅된 수평 위치에서 피봇팅될 때, 걸쇠 탭(30)은 걸쇠 탭(29)과 맞물리고 훅(27)을 위로 당긴다(도 5b). 이러한 장치들로 인해, 훅(27)은 베어링부(33)에 대해 볼트(28)를 회전시킴으로써 약간 상승하면서 회전한다. 훅(27)의 회전 이동으로 인해, 걸쇠 탭(29 및 30)은 다시 맞물림이 풀어지게 되고 병 홀더(1)는 도 5c에 도시된 피봇팅된 수평 위치에 도달할 때까지 피봇 베어링(12) 주위에서 추가로 피봇팅될 수 있다. 이러한 피봇팅된 수평 위치에서, 피봇 베어링(11)의 외면은 하우징부(20)의 교대(abutment)(30) 상에 놓이며 더 이상 아래로 피봇팅될 수 없게 된다. 도 5c에 도시된 피봇팅된 수평 위치에서, 모두 사용된 저장 병은 방울을 떨어뜨리지 않으면서 병 수용부(2)로부터 밖으로 당겨질 수 있다.
병 홀더(1)가 피봇팅된 수평 위치(도 5c)로부터 공칭 수직 위치( 도 5d)로 다시 피봇팅될 때, 걸쇠 탭(30)은 초기에 도 5d와 6에 도시된 중간 위치에서 걸쇠 탭(29)의 가이드 표면(32)과 접촉하게 된다. 병 홀더(1)가 공칭 위치로 다시 또 피봇팅됨으로써, 걸쇠 탭(29)은 가이드 표면(32)과 함께 피봇팅 이동 방향으로 걸쇠 탭(30)을 누르게 된다. 걸쇠 탭(30)은 가요성 걸쇠 탭(18)에 연결되어 걸쇠 탭(18)이 후방 피봇팅 과정의 이동 방향으로 볼트(13)의 홈(14) 밖으로 눌려진다. 이러한 장치들로 인해, 병 수용부(2)의 하단 위치에서 고정된 볼트(13)는 풀려지게 되고 병 수용부(2)는 압력 스프링(12)의 복원력으로 인해 상단 위치로 다시 자동으로 이동한다. 일단 병 홀더가 공칭 수직 위치로 완전히 다시 피봇팅되면, 병 수용부(2)는 상단 위치로 완전히 이동한다. 이는 병 홀더(1)가 공칭 수직 위치로 다시 피봇팅되면 병 수용부(2)가 상단 위치로 있도록 보장한다. 이러한 공칭 수직 위치에서, 병 수용부는 새롭게 가득 찬 저장 병을 로딩할 수 있게 된다. 이는 새로운 저장 병을 병 수용부(2) 안에 삽입하고 천공 못의 방향으로 병 수용부(2)의 이동에 의해 상기 설명처럼 저장 병을 뾰족하게 뚫어 유출 개구부를 형성하기 위하여 새로운 저장 병을 수직으로 아래로 누름으로써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상기 설명한 실시예들로 제한되지 않는다. 예컨대, 본 발명의 병 홀더가 주사 조영제를 위한 주사 장치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할 뿐만 아니라 예컨대 주입 장치(infusion device)에도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실시예와 대조적으로, 주사 장치 또는 주입 장치에서 세 개 미만의 병 홀더들을 배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러나, 적용에 따라서 해당 장치에서 본 발명의 타입에 따라 세 개 이상의 병 홀더들을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주사될 유체를 포함하는 백을 수용하기 위한 종래 백 홀더와 함께 저장 병을 수용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병 홀더를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Claims (20)

  1. 주사 또는 주입 장치용 병 홀더(1)로서, 저장 병을 수용하기 위한 병 수용부(2)를 구비하고 상기 병 홀더(1)에 고정되고 상기 저장 병 내에 뾰족하게 뚫어 유출 개구부를 형성하는 기능을 하는 천공 못 [또는] 교체가능한 천공 못(4)을 부착하기 위한 홀딩 수단(3)을 구비하는 병 홀더(1)로서,
    상기 병 수용부(2)는 상기 천공 못(4)에 대해 또는 상기 천공 못(4)용 상기 홀딩 수단(3)에 대해 각각 이동할 수 있고, 상기 천공 못(4)의 방향으로 상기 병 수용부(2)의 이동 동안 상기 병 수용부(2) 내에 배치된 저장 병이 상기 저장 병을 뾰족하게 뚫어 유출 개구부를 형성하도록 상기 저장 병이 상기 천공 못(4) 위에 배치되는 사실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 또는 주입 장치용 병 홀더(1).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병 수용부(2)는 깔때기형 수용 부재(6)를 포함하는 사실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 또는 주입 장치용 병 홀더(1).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병 수용부(2)는 외주에서 상기 병 수용부(2)에 배치된 저장 병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는 가요성 홀딩 부재들(8)을 갖는 홀딩 수단(7)을 포함하는 사실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 또는 주입 장치용 병 홀더(1).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가요성 홀딩 부재(8)는 상기 병 수용부(2) 내에 상기 저장 병을 고정시키기 위하여 상기 병 수용부(2) 내에 배치된 저장 병의 외주에 정확하지않게(nonpositively) 및/또는 정확하게(positively) 인접하는 사실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 또는 주입 장치용 병 홀더(1).
  5.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홀딩 수단(7)은 내부에 삽입될 수 있는 상기 저장 병에 적용되는(refer) 직경 반대편 위치에 배치된 적어도 두 개의 홀딩 부재들(8a,8b)을 포함하는 사실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 또는 주입 장치용 병 홀더(1).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홀딩 부재 또는 각각의 홀딩 부재(8; 8a,8b)는 한 쌍의 제 1 홀딩 탭들(9a,9b) 및 위에 배치된 제 2 홀딩 탭(9c)을 구비하는 사실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 또는 주입 장치용 병 홀더(1).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제 1 홀딩 탭들(9a,9b)은 원의 단편 모양을 갖는 연결부(9d)를 이용하여 서로 각각 연결되는 사실과, 상기 제 2 홀딩 탭(9c)이 상기 연결부(9d)에 배치되고 상기 한 쌍의 제 1 홀딩 탭들 중 두 개의 홀딩 탭들(9a,9b) 사이에서 상기 삽입가능한 저장 병의 종축 방향으로 연장하는 사실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 또는 주입 장치용 병 홀더(1).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홀딩 탭(9c)은 방사형 방향으로 상기 연결부(9d)의 원주 위로 돌출하는 방식으로 상기 연결부(9d)에 배치되는 사실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 또는 주입 장치용 병 홀더(1).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병 수용부(2)는 상단 위치와 하단 위치 사이에서 수직으로 이동할 수 있는 사실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 또는 주입 장치용 병 홀더(1).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병 수용부(2)는 잠금 메커니즘에 의해 상기 상단 위치 및/또는 상기 하단 위치에 고정될 수 있는 사실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 또는 주입 장치용 병 홀더(1).
  11.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 병 안으로 뾰족하게 뚫어 유출 개구부를 형성하기 위한 상기 천공 못 또는 교체가능한 천공 못을 부착시키기 위한 상기 홀딩 수단(3) 이 고정되는 하우징(10)을 포함하는 사실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 또는 주입 장치용 병 홀더(1).
  12. 제 1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병 수용부(2)는 압력 스프링(12)의 복원력에 대해 상기 천공 못(4) 또는 상기 천공 못(4)을 위한 홀딩 수단(3)에 대해 각각 이동할 수 있는 사실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 또는 주입 장치용 병 홀더(1).
  13. 제 11 항 또는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병 수용부(2)는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장치(15,16,38)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 장치(15,16,38)에 결합된 압력 스프링(12)의 복원력에 대해 이동할 수 있는 사실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 또는 주입 장치용 병 홀더(1).
  14. 제 9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홈(14)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볼트(13)가 상기 병 수용부(2)에 배치되고, 걸쇠 탭(18)이 하단 위치에서 상기 병 수용부(2)를 고정시키도록 상기 홈 안에서 맞물리는 사실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 또는 주입 장치용 병 홀더(1).
  15. 제 1 항 내지 제 14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병 홀더(1)를 포함하는 사실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히 조영제들을 주사하기 위한 주사 장치.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병 홀더 또는 각각의 병 홀더(1)는 피봇팅되는 방식으로 상기 주사 장치의 하우징부(20)에 결합되는 사실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 장치.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병 홀더 또는 각각의 병 홀더(1)는 상기 병 수용부(2)에 배치된 저장 병이 필수적인 수평 위치로 이동하하는 방식으로 상기 하단 위치에서 피봇팅될 수 있는 사실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 장치.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병 수용부(2)는 상기 피봇팅된 수평 위치로부터 상기 수직 위치로 다시 되돌아가는 피봇팅 이동 동안 상단 위치에 자동으로 고정되는 사실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 장치.
  19. 제 17 항 또는 제18 항에 있어서,
    수직 위치에서 상기 각각의 병 홀더(1)를 고정시키는 잠금 메커니즘이 제공되는 사실과,
    상기 잠금 메커니즘은 풀림 레버(11)를 포함하며, 상기 풀림 레버(11)에 의해 상기 잠금 메커니즘이 수직 위치로부터 상기 수평 위치로 상기 각각의 병 홀더(1)를 피봇팅하기 위하여 해제될 수 있는 사실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 장치.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 메커니즘은 상기 피봇팅된 수평 위치로부터 상기 수직 위치로 다시 되돌아가는 피봇팅 이동 동안 수직 위치에서 상기 각각의 병 홀더(1)를 자동으로 고정하는 사실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 장치.
KR1020127025768A 2010-03-01 2011-02-08 주사 장치용 병 홀더 KR2013005192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0000593A DE102010000593A1 (de) 2010-03-01 2010-03-01 Flaschenhalter für eine Injektionsvorrichtung
DE102010000593.2 2010-03-01
PCT/EP2011/051816 WO2011107327A1 (de) 2010-03-01 2011-02-08 Flaschenhalter für eine injektionsvorrichtung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51920A true KR20130051920A (ko) 2013-05-21

Family

ID=437087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25768A KR20130051920A (ko) 2010-03-01 2011-02-08 주사 장치용 병 홀더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9775945B2 (ko)
EP (1) EP2542204B1 (ko)
KR (1) KR20130051920A (ko)
CN (1) CN102844011B (ko)
BR (1) BR112012021960B1 (ko)
DE (1) DE102010000593A1 (ko)
ES (1) ES2504091T3 (ko)
RU (1) RU2564932C2 (ko)
TW (1) TWI488618B (ko)
WO (1) WO2011107327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07714A (ko) * 2017-03-22 2018-10-02 헨케-사스, 볼프 게엠베하 주사기용 병받침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0000593A1 (de) 2010-03-01 2011-09-01 Ulrich Gmbh & Co. Kg Flaschenhalter für eine Injektionsvorrichtung
DE102012007697A1 (de) 2012-04-19 2015-08-13 Fresenius Medical Care Deutschland Gmbh Beutel mit Strömungsausgleich
DE102014108452B3 (de) * 2014-06-16 2015-10-22 Ulrich Gmbh & Co. Kg Flaschenhalter für eine Injektions- oder Infusionsvorrichtung
WO2017114714A1 (en) * 2015-12-30 2017-07-06 Bracco Injeneering Sa Bag holder for an injection system
EE01402U1 (et) * 2016-05-18 2017-07-17 Natufia Labs Oü Süsteem täitekasseti lukustamiseks ja tühjendamiseks täitekasseti vastuvõtupesas
RU178928U1 (ru) * 2018-01-25 2018-04-23 Александр Альвианович Воронин Держатель для детской бутылочки
CN110064088B (zh) * 2019-04-18 2021-06-18 常州市第二人民医院 一种自动静脉输液器插盐水瓶口装置
CN115282389B (zh) * 2022-01-04 2023-05-26 郑州大学第一附属医院 一种急诊病房辅助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598176C3 (de) * 1967-04-12 1975-07-10 Bodenseewerk Perkin-Elmer & Co Gmbh, 7770 Ueberlingen Verfahren zum Aufgeben flüssiger oder fester Proben bei Gaschromatographen
DE3644984A1 (de) * 1986-07-01 1988-07-07 Eberhardt Schlueter Patrone oder ampulle fuer eine injektionsvorrichtung sowie selbsttaetige injektionsvorrichtung
US5364386A (en) * 1993-05-05 1994-11-15 Hikari Seiyaku Kabushiki Kaisha Infusion unit
US6070761A (en) * 1997-08-22 2000-06-06 Deka Products Limited Partnership Vial loading method and apparatus for intelligent admixture and delivery of intravenous drugs
US5989237A (en) 1997-12-04 1999-11-23 Baxter International Inc. Sliding reconstitution device with seal
DE19938078A1 (de) 1999-08-12 2001-02-15 Transcoject Gmbh Vorrichtung zum Entnehmen eines fertigen Flüssigmedikamentes aus einem mit einer durchstechbaren Membran versehenen Behältnis
DE10163327A1 (de) * 2001-07-30 2003-02-27 Disetronic Licensing Ag Reservoirmodul mit Kolbenstange
WO2003097137A2 (en) * 2002-05-16 2003-11-27 Scott Laboratories, Inc. Drug container entry mechanisms and method
DE20306395U1 (de) 2002-11-18 2003-06-26 Holch Benjamin Kontrastmittelgerät insbesondere für Computertomographen, Haltevorrichtung für ein Kontrastmittelgerät und Computertomograph mit einem Kontrastmittelgerät
US20050209554A1 (en) * 2004-03-19 2005-09-22 Sergio Landau Needle-free single-use cartridge and injection system
CA2493481A1 (en) * 2004-12-29 2006-06-29 George Yui Receptable assembly for bottled water dispenser
US9056164B2 (en) * 2007-01-01 2015-06-16 Bayer Medical Care Inc. Radiopharmaceutical administration methods, fluid delivery systems and components thereof
EP2011540A1 (en) 2007-07-02 2009-01-07 Ulrich GmbH & Co. KG Hose System for an Injector, Squeeze Valve and Pressure Measuring Interface
DE102010000593A1 (de) 2010-03-01 2011-09-01 Ulrich Gmbh & Co. Kg Flaschenhalter für eine Injektionsvorrichtung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07714A (ko) * 2017-03-22 2018-10-02 헨케-사스, 볼프 게엠베하 주사기용 병받침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844011B (zh) 2015-09-09
BR112012021960A2 (pt) 2016-06-07
BR112012021960B1 (pt) 2020-02-11
DE102010000593A1 (de) 2011-09-01
TW201143756A (en) 2011-12-16
CN102844011A (zh) 2012-12-26
EP2542204A1 (de) 2013-01-09
WO2011107327A1 (de) 2011-09-09
US20130197361A1 (en) 2013-08-01
RU2564932C2 (ru) 2015-10-10
TWI488618B (zh) 2015-06-21
ES2504091T3 (es) 2014-10-08
US9775945B2 (en) 2017-10-03
EP2542204B1 (de) 2014-07-16
RU2012140060A (ru) 2014-04-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051920A (ko) 주사 장치용 병 홀더
US8167864B2 (en) Spike-accommodating container holder
US5584819A (en) Nested blunt/sharp injection assembly
JP5126753B2 (ja) 使い捨て注入装置のためのカニューレ送出器具及び方法
CN205181991U (zh) 适于固定至皮肤表面的输注装置
JP2009545341A (ja) カニューレ及び送出デバイス
MXPA03007940A (es) Inyector de frasco de seguridad pre-relleno.
US20090216184A1 (en) Drug storage and delivery device
JP2003505210A (ja) 注入器システム及び該注入器システムに用いられるシリンジアダプター
US6464105B1 (en) Device for withdrawing a ready liquid medicament from a receptacle provided with a pierceable membrane
JP5329546B2 (ja) バッグコネクタ
JP2008538084A (ja) 注射器安全装置
JP2003505159A (ja) 注射液を自動的に注射するための装置
EP1511528A2 (en) Drug container entry mechanisms and method
US20220280385A1 (en) Medical fluid injection and transfer devices and method
JP2010517670A (ja) 単回使用のフレキシブル型圧縮シリンジ用の安全シールドシステムおよび注入装置
US20160296695A1 (en) Combined medicament fill and cannula insertion device
CN105793160B (zh) 用药物填充注射器的设备、系统以及方法
RU2623162C2 (ru) Держатель бутылки для инъекционного или инфузионного устройства
US7240882B2 (en) Medical container loading system and method for use with fluid containers, syringes and medical injectors
US6357489B1 (en) Device for storing a liquid medicinal substance and method for filling an applicator for a liquid medicinal substance by use of said storing device
CN111565775A (zh) 具有一次性壳体组件和吹塑成型贮存器的输液泵组件
US10736818B2 (en) Reconstitution device with tip cap
TWI323179B (en) Safe injector
CN104640533B (zh) 带有头帽的重构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