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46563A - 벨트 컨베이어용 텐션 웨이트 - Google Patents

벨트 컨베이어용 텐션 웨이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46563A
KR20130046563A KR1020110111031A KR20110111031A KR20130046563A KR 20130046563 A KR20130046563 A KR 20130046563A KR 1020110111031 A KR1020110111031 A KR 1020110111031A KR 20110111031 A KR20110111031 A KR 20110111031A KR 20130046563 A KR20130046563 A KR 201300465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belt
tension
pulley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110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태연
Original Assignee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제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1110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46563A/ko
Publication of KR201300465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4656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3/00Driving gear for endless conveyors; Belt- or chain-tensioning arrangements
    • B65G23/44Belt or chain tensioning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5/00Conveyors having endless load-conveying surfaces, i.e. belts and like continuous members, to which tractive effort is transmitted by means other than endless driving elements of similar configuration
    • B65G15/60Arrangements for supporting or guiding belts, e.g. by fluid jets
    • B65G15/64Arrangements for supporting or guiding belts, e.g. by fluid jets for automatically maintaining the position of the bel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39/00Rollers, e.g. drive rollers, or arrangements thereof incorporated in roller-ways or other types of mechanical conveyors 
    • B65G39/10Arrangements of rollers
    • B65G39/12Arrangements of rollers mounted on framework
    • B65G39/16Arrangements of rollers mounted on framework for aligning belts or cha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3/00Control devices, e.g. for safety, warning or fault-correcting
    • B65G43/02Control devices, e.g. for safety, warning or fault-correcting detecting dangerous physical condition of load carriers, e.g. for interrupting the drive in the event of overhe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3/00Control devices, e.g. for safety, warning or fault-correcting
    • B65G43/08Control devices operated by article or material being fed, conveyed or discharg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7/00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 F16H7/08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 F16H7/0848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with means for impeding reverse mo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7/00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 F16H7/18Means for guiding or supporting belts, ropes, or cha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4Bulk
    • B65G2201/045Sand, soil and mineral o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3/00Indexing code relating to control or detection of the articles or the load carriers during conveying
    • B65G2203/02Control or detection
    • B65G2203/0266Control or detection relating to the load carrier(s)
    • B65G2203/0275Damage on the load carri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7/00Indexing codes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configuration and additional features of a handling device, e.g. Conveyors
    • B65G2207/40Safety features of loads, equipment or pers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rives For Endless Convey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벨트 컨베이어용 텐션 웨이트에 관한 것으로서, 벨트를 지지하는 한 쌍의 텐션풀리부와, 텐션풀리부 사이에 배치되고 벨트를 가압하여 벨트의 텐션을 유지시키는 웨이트풀리부 및 웨이트풀리부에 결합되고 무게중심이 가변되어 벨트의 사행을 해소하는 무게이동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벨트 컨베이어용 텐션 웨이트는 무게중심이 변동되어 벨트의 사행을 해소할 수 있다.

Description

벨트 컨베이어용 텐션 웨이트{TENSION WEIGHT FOR BELT CONVEYOR}
본 발명은 벨트 컨베이어용 텐션 웨이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벨트가 사행되는 경우 텐션 웨이트의 무게중심이 변경되어 벨트의 사행을 해소하는 벨트 컨베이어용 텐션 웨이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벨트 컨베이어는 다수개의 풀리에 의해 지지되어 무한궤도 운동되는 벨트에 의해 다량의 수송물을 이송시키는데 널리 사용되며, 특히 제철산업에서 철광석 및 석탄과 같은 원료를 이송시키는데 사용된다.
벨트 컨베이어의 벨트는 고무재질에 스틸코드가 삽입되어 장력을 유지하며, 이격된 풀리를 통해 궤도 회전된다.
벨트 컨베이어를 가동할 때, 벨트에 일정한 장력을 가해주어야만 벨트가 풀리와 적당한 마찰력으로 접촉되어 미끄러짐 없이 안정적으로 구동된다.
한 쌍의 풀리 사이에 위치되고 이들 보다 아래에 배치되는 텐션 웨이트는 자중에 의해 벨트를 하방으로 끌어당겨 벨트의 텐션이 유지되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1051201호(2011.07.15 등록, 발명의 명칭: 벨트 텐션용 웨이트 구조체)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텐션 웨이트의 무게중심이 가변되어 벨트의 사행을 해소하는 벨트 컨베이어용 텐션 웨이트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벨트를 지지하는 한 쌍의 텐션풀리부; 상기 텐션풀리부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벨트를 가압하여 상기 벨트의 텐션을 유지시키는 웨이트풀리부; 및 상기 웨이트풀리부에 결합되고, 무게중심이 가변되어 상기 벨트의 사행을 해소하는 무게이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 컨베이어용 텐션 웨이트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벨트 컨베이어용 텐션 웨이트는 상기 벨트의 사행을 감지하는 감지부; 및 상기 감지부의 감지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무게이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웨이트풀리부는 상기 벨트의 상방에 배치되어 상기 벨트를 가로지르는 상판; 상기 상판의 양단부에 결합되고, 하방으로 돌출 형성되는 측판; 및 상기 측판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상기 벨트를 가압하는 가압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무게이동부는 상기 측판에 결합되는 무게박스; 상기 무게박스 내부에 설치되는 레일; 상기 무게박스에 내장되는 무게추; 상기 무게추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상기 레일을 따라 이동되는 바퀴; 및 상기 무게박스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무게추에 결합되며,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길이가 가변되는 가변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무게박스의 내측에는 상기 무게추와 접촉되어 충격을 흡수하는 완충패드가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벨트 컨베이어용 텐션 웨이트는 무게이동부의 무게중심이 변동됨으로써, 벨트의 사행을 해소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벨트 컨베이어용 텐션 웨이트는 감지부가 벨트의 사행을 감지하면 무게이동부의 무게중심이 변경됨으로써, 신속한 벨트 사행 해소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벨트 컨베이어용 텐션 웨이트는 무게추가 과도하게 이동되더라도 완충패드와 접촉되어 충격이 완화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벨트 컨베이어용 텐션 웨이트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벨트 컨베이어용 텐션 웨이트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벨트 컨베이어용 텐션 웨이트에서 무게이동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벨트 컨베이어용 텐션 웨이트가 벨트의 좌측 사행을 해소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벨트 컨베이어용 텐션 웨이트가 벨트의 우측 사행을 해소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벨트 컨베이어용 텐션 웨이트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벨트 컨베이어용 텐션 웨이트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벨트 컨베이어용 텐션 웨이트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벨트 컨베이어용 텐션 웨이트에서 무게이동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벨트 컨베이어용 텐션 웨이트가 벨트의 좌측 사행을 해소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벨트 컨베이어용 텐션 웨이트가 벨트의 우측 사행을 해소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벨트 컨베이어용 텐션 웨이트(1)에는 텐션풀리부(10), 웨이트풀리부(20) 및 무게이동부(30)가 구비된다.
참고로, 벨트 컨베이어(100)에는 한 쌍의 구동풀리(90) 및 구동풀리(90)에 감겨 무한궤도 이동되면서 이송물을 이송시키는 벨트(80)가 구비된다. 이때, 구동풀리(90) 중 어느 하나에는 모터가 장착되어 구동풀리(90)를 회전시킨다.
한편, 벨트 컨베이어용 텐션 웨이트(1)는 한 쌍의 구동풀리(90) 사이에 위치되고, 자체 무게에 의해 벨트(80)를 하방으로 잡아당겨 벨트(80)의 장력을 유지시킨다.
텐션풀리부(10)는 한 쌍의 구동풀리(90) 사이에 배치된다. 이러한 텐션풀리부(10)는 한 쌍이 이격되어 배치되며, 고정물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벨트(80)를 지지한다.
웨이트풀리부(20)는 풀리부(10) 사이에 배치되고, 벨트(80)의 텐션을 유지시킨다. 이러한 웨이트풀리부(20)에 의해 벨트(80)는 풀리부(10) 사이에서 하방으로 쳐진 형상을 한다.
무게이동부(30)는 웨이트풀리부(20)에 결합된다. 이러한 무게이동부(30)는 무게중심이 가변되어 벨트(80)의 사행을 해소한다.
즉, 무게이동부(30)의 무게중심이 가변되면, 웨이트풀리부(20)가 기울어져 벨트(30)가 웨이트풀리부(20)의 경사 방향으로 이동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벨트 컨베이어용 텐션 웨이트(1)에는 감지부(40) 및 제어부(50)가 더 구비된다.
감지부(40)는 벨트(80)의 양측에 각각 배치되어 벨트(80)의 사행을 감지하고, 제어부(50)는 감지부(40)의 감지신호를 수신하여 무게이동부(30)를 제어한다.
감지부(40)는 벨트(80)의 사행 경로상에 배치되므로, 벨트(80)가 사행되면서 감지부(40)를 밀어낸다.
이때, 감지부(40)는 벨트(80)의 사행 정도에 따라 벨트(80)의 접촉을 감지하도록 복수개가 배치되어, 벨트(80)의 사행 정도를 제어부(50)에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2개의 감지부(40) 중 어느 하나는 다른 하나 보다 벨트(80)의 측방향으로 근접 배치되고, 벨트(80)가 이들 감지부(40)에 순차적으로 도달됨에 따라 벨트(80)의 사행 정도를 예측할 수 있다.
한편, 지속적인 실험을 통해, 벨트(80)가 하나의 감지부(40)를 밀어내는 힘의 크기에 따라 벨트(80)의 사행 상태를 예측할 수 있다.
따라서, 벨트(80)의 사행 정도에 따라 무게이동부(30)의 무게중심이 이동되면, 웨이트풀리부(20)가 기울어져 벨트(80)의 사행이 해소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이트풀리부(20)에는 상판(21), 측판(22) 및 가압롤러(23)가 구비된다.
상판(21)은 벨트(80)의 상방에 배치된다. 이러한 상판(21)은 벨트(80)의 폭을 가로지른다.
측판(22)은 상판(21)의 양단부에 결합된다. 이러한 측판(22)은 하방으로 돌출 형성되어 벨트(80)의 양측을 감싸도록 배치된다.
가압롤러(23)는 측판(22)에 양단부가 각각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이러한 가압롤러(23)는 벨트(80)의 상측에 안착되어 벨트(80)를 가압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게이동부(30)에는 무게박스(31), 레일(32), 무게추(33), 바퀴(34) 및 가변체(35)가 구비된다.
무게박스(31)는 측판(22)에 결합된다. 이러한 무게박스(31)는 내부에 무게추(33)가 내장되어 이동되도록 공간이 형성된다.
레일(32)은 무게박스(31) 내부에 설치되고, 무게추(33)에는 바퀴(34)가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예를 들어, 레일(32)은 상하 이열로 배치되고, 바퀴(34)는 레일(32)에 대응되도록 무게추(33)에 복수개가 배치되어 각 레일(32)에 안착된다
가변체(35)는 무게박스(31)에 고정 설치된다. 이러한 가변체(35)는 무게추(33)에 결합되고, 제어부(50)의 제어신호에 따라 길이가 가변된다.
예를 들어, 가변체(35)는 무게박스(31)의 외측에 설치되는 고정브라켓(36)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고, 무게박스(31)를 관통하여 무게추(33)에 결합된다.
가변체(35)로는 유압이나 공압에 의해 길이가 가변되는 실린더를 사용하며, 그 외 제어부(50)의 제어신호에 따라 길이가 가변될 수 있는 다양한 부품 채택이 가능하다.
한편, 무게박스(31)의 내측에는 완충패드(39)가 부착된다. 이러한 완충패드(39)는 무게추(33)의 과도한 이동으로 인해 무게박스(31)와 무게추(33)가 충돌될 때, 충격을 흡수하여 무게박스(31) 또는 무게추(33)의 손상을 방지한다.
이때, 무게박스(31)의 내측에는 완충패드(39) 대신에 무게추(33)를 탄성 지지하는 탄성체가 장착되어도 무방하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벨트 컨베이어용 텐션 웨이트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한 쌍의 구동풀리(90)에 감겨진 벨트(80)가 무한궤도 이동을 하고, 구동풀리(90) 사이에는 한 쌍의 텐션풀리부(10)가 배치되어 벨트(80)를 지지한다.
텐션풀리부(10) 사이에는 웨이트풀리부(20)가 배치되고, 웨이트풀리부(20)에는 무게이동부(30)가 결합되는데, 무게이동부(30)의 자체 하중에 의해 웨이트풀리부(20)가 벨트(80)를 하방으로 가압하여 벨트(80)의 텐션이 유지된다.
웨이트풀리부(20)의 상판(21)은 벨트(80)의 상방에 위치되고, 측판(22)은 상판(21)의 양단부에서 하방으로 형성되어 벨트(80)를 감싸며, 가압롤러(23)는 측판(22)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벨트(80)에 안착된다.
무게이동부(30)의 무게박스(31)는 측판(22)과 결합되고, 레일(32)은 무게박스(31) 내부에 배치되며, 무게추(33)에 장착된 바퀴(34)는 레일(32)을 따라 이동된다.
또한, 무게이동부(30)의 가변체(35)는 무게추(33)에 결합되어 길이가 가변된다.
한편, 벨트(80)의 사행 경로상에는 감지부(40)가 배치되어 벨트(80)의 사행 정도를 감지하고, 제어부(50)는 감지부(40)의 감지신호를 수신하여 가변체(35)의 길이를 조절한다.
상기한 상태에서, 벨트(80)가 좌측으로 사행되어 감지부(40)에 감지되면(도 4a 참조), 벨트(80)가 좌측으로 치우쳐 가압롤러(23)에 감긴다(도 4b 참조).
이때, 벨트(80)의 사행 정도를 감지한 감지부(40)는 제어부(50)에 감지신호를 전송하고, 감지부(40)의 감지신호를 수신한 제어부(50)는 가변체(35)의 길이가 늘어나도록 제어한다.
이와 같이 가변체(35)의 길이가 늘어나면, 무게추(33)가 무게박스(31)의 좌측으로 치우쳐 무게이동부(30)의 무게중심이 좌측으로 이동된다(도 4c 참조).
무게이동부(30)의 무게중심이 좌측으로 이동되면, 가압롤러(23)가 시계 반대방향으로 회전되어 기울어지므로, 벨트(80)가 가압롤러(23)의 우측으로 이동되어 사행이 해소된다(도 4d 참조).
한편, 벨트(80)가 우측으로 사행되어 감지부(40)에 감지되면(도 5a 참조), 벨트(80)가 우측으로 치우쳐 가압롤러(23)에 감긴다(도 5b 참조).
이때, 벨트(80)의 사행 정도를 감지한 감지부(40)는 제어부(50)에 감지신호를 전송하고, 감지부(40)의 감지신호를 수신한 제어부(50)는 가변체(35)의 길이가 줄어들도록 제어한다.
이와 같이 가변체(35)의 길이가 줄어들면, 무게추(33)가 무게박스(31)의 우측으로 치우쳐 무게이동부(30)의 무게중심이 우측으로 이동된다(도 5c 참조).
무게이동부(30)의 무게중심이 우측으로 이동되면, 가압롤러(23)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어 기울어지므로, 벨트(80)가 가압롤러(23)의 좌측으로 이동되어 사행이 해소된다(도 5d 참조).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 텐션풀리부 20 : 웨이트풀리부
30 : 무게이동부 31 : 무게박스
32 : 레일 33 : 무게추
34 : 바퀴 35 : 가변체
39 : 완충패드 40 : 감지부
50 : 제어부

Claims (5)

  1. 벨트를 지지하는 한 쌍의 텐션풀리부;
    상기 텐션풀리부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벨트를 가압하여 상기 벨트의 텐션을 유지시키는 웨이트풀리부; 및
    상기 웨이트풀리부에 결합되고, 무게중심이 가변되어 상기 벨트의 사행을 해소하는 무게이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 컨베이어용 텐션 웨이트.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벨트의 사행을 감지하는 감지부; 및
    상기 감지부의 감지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무게이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 컨베이어용 텐션 웨이트.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웨이트풀리부는
    상기 벨트의 상방에 배치되어 상기 벨트를 가로지르는 상판;
    상기 상판의 양단부에 결합되고, 하방으로 돌출 형성되는 측판; 및
    상기 측판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상기 벨트를 가압하는 가압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 컨베이어용 텐션 웨이트.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무게이동부는
    상기 측판에 결합되는 무게박스;
    상기 무게박스 내부에 설치되는 레일;
    상기 무게박스에 내장되는 무게추;
    상기 무게추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상기 레일을 따라 이동되는 바퀴; 및
    상기 무게박스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무게추에 결합되며,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길이가 가변되는 가변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 컨베이어용 텐션 웨이트.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무게박스의 내측에는 상기 무게추와 접촉되어 충격을 흡수하는 완충패드가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 컨베이어용 텐션 웨이트.

KR1020110111031A 2011-10-28 2011-10-28 벨트 컨베이어용 텐션 웨이트 KR2013004656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1031A KR20130046563A (ko) 2011-10-28 2011-10-28 벨트 컨베이어용 텐션 웨이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1031A KR20130046563A (ko) 2011-10-28 2011-10-28 벨트 컨베이어용 텐션 웨이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46563A true KR20130046563A (ko) 2013-05-08

Family

ID=486581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11031A KR20130046563A (ko) 2011-10-28 2011-10-28 벨트 컨베이어용 텐션 웨이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46563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819168A (zh) * 2016-05-26 2016-08-03 淮南市鸿裕工业产品设计有限公司 皮带输送机皮带张紧度自动调节装置
CN115574057A (zh) * 2022-09-30 2023-01-06 浙江康立自控科技有限公司 一种直线往复运动驱动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819168A (zh) * 2016-05-26 2016-08-03 淮南市鸿裕工业产品设计有限公司 皮带输送机皮带张紧度自动调节装置
CN115574057A (zh) * 2022-09-30 2023-01-06 浙江康立自控科技有限公司 一种直线往复运动驱动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10837B1 (ko) 벨트컨베이어용 장력 조절장치
JP5939051B2 (ja) ベルトコンベヤ装置
WO2016075981A1 (ja) コンベヤベルトの摩耗モニタリングシステム
KR101424454B1 (ko) 벨트 컨베이어용 텐션 웨이트
RU2003135519A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одачи фольги, предназначенной для изготовления мешков,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изготовления мешков из фольги
KR20110047040A (ko) 벨트부재의 부상 방지장치
KR20130046563A (ko) 벨트 컨베이어용 텐션 웨이트
KR101938065B1 (ko) 벨트컨베이어
KR101424445B1 (ko) 벨트 컨베이어용 텐션장치
KR20130046564A (ko) 트리퍼
KR101291535B1 (ko) 벨트 컨베이어 감지장치
KR100608299B1 (ko) 벨트 컨베이어용 수평대차 이탈 방지장치
KR20130046565A (ko) 벨트 컨베이어용 슈트
KR101818374B1 (ko) 벨트컨베이어
KR101277501B1 (ko) 벨트 컨베이어
KR20130046562A (ko) 벨트 컨베이어
KR101424471B1 (ko) 트리퍼카용 주행장치
KR101344334B1 (ko) 벨트 컨베이어용 사행 방지장치
KR101295745B1 (ko) 벨트 컨베이어 손상 감지장치
KR101377500B1 (ko) 벨트 컨베이어용 텐션 웨이트
KR101277537B1 (ko) 벨트 사행 방지장치
KR101291544B1 (ko) 벨트 컨베이어
KR101605230B1 (ko) 텐션 웨이트 균형조절 장치
KR20140068375A (ko) 벨트 컨베이어용 사행 방지장치
KR101246316B1 (ko) 벨트 컨베이어 손상 감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