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44939A - 무도상 철도 교량 침목 고정 장치와 그를 이용한 무도상 철도 교량 침목 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무도상 철도 교량 침목 고정 장치와 그를 이용한 무도상 철도 교량 침목 관리 시스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30044939A KR20130044939A KR1020110109310A KR20110109310A KR20130044939A KR 20130044939 A KR20130044939 A KR 20130044939A KR 1020110109310 A KR1020110109310 A KR 1020110109310A KR 20110109310 A KR20110109310 A KR 20110109310A KR 20130044939 A KR20130044939 A KR 20130044939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leeper
- railway bridge
- bridge
- pressing
- ballless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12—Grating or flooring for bridges; Fastening railway sleepers or tracks to bridge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2/00—General structure of permanent way
- E01B2/003—Arrangement of tracks on bridges or in tunnel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2204/00—Characteristics of the track and its foundations
- E01B2204/06—Height or lateral adjustment means or positioning means for slabs, sleepers or rail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3/00—Transverse or longitudinal sleepers; Other means resting directly on the ballastway for supporting rails
- E01B3/48—Distance keepers or tie-rods for sleep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도상 철도 교량의 침목을 고정하기 위한 무도상 철도 교량 침목 고정 장치에 있어서, 일측이 교량 거더에 선택적으로 걸리고, 타측이 무도상 철도 교량의 침목에 대향되는 제 1 걸림 지지부; 및 제 1 걸림 지지부를 관통하여 무도상 철도 교량의 침목을 가압하는 제 1 고정부를 포함하는 무도상 철도 교량 침목 고정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일측이 교량 거더에 선택적으로 걸리고 타측이 무도상 철도 교량의 침목에 대향되는 제 1 걸림 지지부, 및 제 1 걸림 지지부를 관통하여 무도상 철도 교량의 침목을 가압하는 제 1 고정부를 포함하는 무도상 철도 교량 침목 고정 장치와; 제 1 고정부에 제공되어 제 1 고정부와 무도상 철도 교량의 침목간의 현재의 가압량값을 감지하는 제 1 가압량 감지 장치; 및 제 1 걸림 지지부 또는 제 1 고정부중 적어도 하나에 제공되고 제 1 가압량 감지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되, 제 1 가압량 감지 장치를 통해 제 1 고정부와 무도상 철도 교량의 침목간의 현재의 가압량값이 이미 저장된 기준 가압량값의 범위를 벗어날 경우, 현재의 상황을 식별시키는 제 1 식별 장치를 포함하는 무도상 철도 교량 침목 관리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일측이 교량 거더에 선택적으로 걸리고 타측이 무도상 철도 교량의 침목에 대향되는 제 1 걸림 지지부, 및 제 1 걸림 지지부를 관통하여 무도상 철도 교량의 침목을 가압하는 제 1 고정부를 포함하는 무도상 철도 교량 침목 고정 장치와; 제 1 고정부에 제공되어 제 1 고정부와 무도상 철도 교량의 침목간의 현재의 가압량값을 감지하는 제 1 가압량 감지 장치; 및 제 1 걸림 지지부 또는 제 1 고정부중 적어도 하나에 제공되고 제 1 가압량 감지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되, 제 1 가압량 감지 장치를 통해 제 1 고정부와 무도상 철도 교량의 침목간의 현재의 가압량값이 이미 저장된 기준 가압량값의 범위를 벗어날 경우, 현재의 상황을 식별시키는 제 1 식별 장치를 포함하는 무도상 철도 교량 침목 관리 시스템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무도상 철도 교량 침목 고정 장치와 그를 이용한 무도상 철도 교량 침목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무도상 철도 교량에 설치되는 침목은 도상에 설치되는 경우와 달리 보다 안정된 설치상태를 확보해야 한다.
도상에 설치되는 침목의 경우에는 지면에 묻히게 되지만, 무도상 철도 교량에 설치되는 침목은 교량 거더에 설치되므로, 철도 차량의 주행시에 진동에 의한 무도상 철도 교량의 침목간의 고정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최근에는, 철도 차량의 주행시에 진동에 의한 무도상 철도 교량의 침목간의 고정율을 향상시키기 위한 개선된 무도상 철도 교량 침목 고정 장치의 연구가 지속적으로 행해져오고 있다.
또한, 철도 차량의 주행시에 진동에 의한 무도상 철도 교량의 침목간의 고정율이 저하될 경우, 해당 무도상 철도 교량의 침목을 빠르게 고정하고, 유지보수시간을 단축시켜 유지보수비용의 상승을 억제시키기 위한 개선된 무도상 철도 교량 침목 고정 장치의 연구가 지속적으로 행해져오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철도 차량의 주행시에, 진동에 의한 무도상 철도 교량의 침목간의 고정율을 효율적으로 유지시킬 수가 있는 무도상 철도 교량 침목 고정 장치를 제공하는데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철도 차량의 주행시에, 진동에 의한 무도상 철도 교량의 침목간의 고정율이 저하될 경우, 해당 무도상 철도 교량의 침목을 빠르게 고정시킬 수가 있으므로, 유지보수시간을 단축시킬 수가 있어 유지보수비용의 상승을 억제시킬 수가 있는 무도상 철도 교량 침목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데에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무도상 철도 교량의 침목을 고정하기 위한 무도상 철도 교량 침목 고정 장치에 있어서, 일측이 교량 거더에 선택적으로 걸리고, 타측이 무도상 철도 교량의 침목에 대향되는 제 1 걸림 지지부; 및 제 1 걸림 지지부를 관통하여 무도상 철도 교량의 침목을 가압하는 제 1 고정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제 1 걸림 지지부는 교량 거더에 선택적으로 걸리도록 제공되는 제 1 걸림 부재; 및 제 1 걸림 부재와 연결되고, 무도상 철도 교량의 침목에 대향되도록 제공되는 제 1 지지 부재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제 1 걸림 지지부는 제 1 스크류 체결 부재를 포함하고; 제 1 고정부는 제 1 스크류 체결 부재를 관통하면서 제 1 스크류 체결 부재와 스크류 체결되도록 제 2 스크류 체결 부재를 포함하는 제 1 가압용 지지 부재; 및 제 1 가압용 지지 부재와 연결되고, 제 1 가압용 지지 부재의 회전식 수평운동으로 무도상 철도 교량의 침목을 선택적으로 가압하는 제 1 가압 부재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제 1 가압용 지지 부재와 선택적으로 체결되고, 제 1 가압용 지지 부재를 회전시켜, 제 1 가압용 지지 부재의 회전식 수평운동으로 무도상 철도 교량의 침목을 선택적으로 가압하도록 유도하는 제 1 회전 유도 부재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제 1 가압용 지지 부재는 제 1 회전 유도용 홀을 포함하고; 제 1 회전 유도 부재는 제 1 회전 유도용 홀에 선택적으로 체결되고, 제 1 가압용 지지 부재를 회전시켜, 제 1 가압용 지지 부재의 회전식 수평운동으로 무도상 철도 교량의 침목을 선택적으로 가압하도록 유도하는 제 1 회전 유도용 바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제 1 회전 유도 부재는 일정한 회전력을 발생시켜, 제 1 가압용 지지 부재의 회전식 수평운동으로 무도상 철도 교량의 침목을 선택적으로 가압하도록 유도하는 회전 모터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무도상 철도 교량의 침목을 고정하기 위한 무도상 철도 교량 침목 고정 장치에 있어서, 일측이 교량 거더에 선택적으로 걸리고, 타측이 무도상 철도 교량의 침목에 대향되며, 자성물질을 포함하여 제공되는 제 2 걸림 지지부; 및 제 2 걸림 지지부를 관통하고, 자성물질을 포함하여 무도상 철도 교량의 침목을 자성력으로 가압하는 제 2 고정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제 2 걸림 지지부는 교량 거더에 선택적으로 걸리도록 제공되고, 자성물질을 포함하여 제공되는 제 2 걸림 부재; 및 제 2 걸림 부재와 연결되고, 무도상 철도 교량의 침목에 대향되도록 제공되며, 자성물질을 포함하여 제공되는 제 2 지지 부재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제 2 걸림 지지부는 제 1 관통 홀을 포함하고; 제 2 고정부는 제 1 관통 홀을 관통하면서 자성물질에 의한 자성력으로 무도상 철도 교량의 침목 방향으로 이동하는 제 2 가압용 지지 부재; 및 2 가압용 지지 부재와 연결되고, 제 2 가압용 지지 부재의 이동과 자성물질에 의한 자성력으로 무도상 철도 교량의 침목을 선택적으로 가압하는 제 2 가압 부재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제 2 걸림 지지부는 제 1 관통 홀을 포함하고; 제 2 고정부는 공압 또는 유압중 적어도 하나의 압력을 발생시키는 제 1 압력 발생 부재와; 제 1 관통 홀을 관통하고, 제 1 압력 발생 부재를 통해 공압 또는 유압중 적어도 하나에 의한 이동 압력으로 무도상 철도 교량의 침목 방향으로 이동하는 제 2 가압용 지지 부재; 및 제 2 가압용 지지 부재와 연결되고, 제 1 압력 발생 부재에 의한 제 2 가압용 지지 부재의 이동과, 자성물질에 의한 자성력으로 무도상 철도 교량의 침목을 선택적으로 가압하는 제 2 가압 부재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제 1 압력 발생 부재는 공압 또는 유압중 적어도 하나의 압력을 발생시키도록 제 1 실린더를 포함하여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제 1 압력 발생 부재에 제공되어 공압 또는 유압중 적어도 하나의 압력을 억제시키는 제 1 압력 억제 부재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무도상 철도 교량의 침목을 고정하기 위한 무도상 철도 교량 침목 고정 장치에 있어서, 일측이 교량 거더에 선택적으로 걸리고, 타측이 무도상 철도 교량의 침목에 대향되는 제 3 걸림 지지부; 및 제 3 걸림 지지부를 관통하고, 공압 또는 유압중 적어도 하나의 압력으로 무도상 철도 교량의 침목을 가압하는 제 3 고정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제 3 걸림 지지부는 교량 거더에 선택적으로 걸리도록 제공되는 제 3 걸림 부재; 및 제 3 걸림 부재와 연결되고, 무도상 철도 교량의 침목에 대향되도록 제공되는 제 3 지지 부재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제 3 걸림 지지부는 제 2 관통 홀을 포함하고; 제 3 고정부는 공압 또는 유압중 적어도 하나의 압력을 발생시키는 제 2 압력 발생 부재와; 제 2 관통 홀을 관통하고, 제 2 압력 발생 부재를 통해 공압 또는 유압중 적어도 하나에 의한 이동 압력으로 무도상 철도 교량의 침목 방향으로 이동하는 제 3 가압용 지지 부재; 및 제 3 가압용 지지 부재와 연결되고, 제 2 압력 발생 부재에 의한 제 3 가압용 지지 부재의 이동으로 무도상 철도 교량의 침목을 선택적으로 가압하는 제 3 가압 부재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제 3 걸림 지지부는 제 2 관통 홀을 포함하고; 제 3 고정부는 공압 또는 유압중 적어도 하나의 압력을 발생시키는 제 2 압력 발생 부재와; 제 2 관통 홀을 관통하고, 제 2 압력 발생 부재를 통해 공압 또는 유압중 적어도 하나에 의한 이동 압력으로 무도상 철도 교량의 침목 방향으로 이동하는 제 3 가압용 지지 부재; 및 제 3 가압용 지지 부재와 연결되고, 자성물질을 포함하여 제공되며, 제 2 압력 발생 부재에 의한 제 3 가압용 지지 부재의 이동과, 자성물질에 의한 자성력으로 무도상 철도 교량의 침목을 선택적으로 가압하는 제 3 가압 부재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제 2 압력 발생 부재는 공압 또는 유압중 적어도 하나의 압력을 발생시키도록 제 2 실린더를 포함하여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제 2 압력 발생 부재에 제공되어 공압 또는 유압중 적어도 하나의 압력을 억제시키는 제 2 압력 억제 부재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일측이 교량 거더에 선택적으로 걸리고 타측이 무도상 철도 교량의 침목에 대향되는 제 1 걸림 지지부, 및 제 1 걸림 지지부를 관통하여 무도상 철도 교량의 침목을 가압하는 제 1 고정부를 포함하는 무도상 철도 교량 침목 고정 장치와; 제 1 고정부에 제공되어 제 1 고정부와 무도상 철도 교량의 침목간의 현재의 가압량값을 감지하는 제 1 가압량 감지 장치; 및 제 1 걸림 지지부 또는 제 1 고정부중 적어도 하나에 제공되고 제 1 가압량 감지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되, 제 1 가압량 감지 장치를 통해 제 1 고정부와 무도상 철도 교량의 침목간의 현재의 가압량값이 이미 저장된 기준 가압량값의 범위를 벗어날 경우, 현재의 상황을 식별시키는 제 1 식별 장치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제 1 식별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되, 제 1 식별 장치와 동기화되어 제 1 식별 장치로부터 현재의 상황에 해당하는 현재의 상황 신호를 공급받아 제 1 고정부와 무도상 철도 교량의 침목간의 현재의 가압량값이 이미 저장된 기준 가압량값의 범위를 벗어난 장소로 출동하는 제 1 출동 센터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일측이 교량 거더에 선택적으로 걸리고 타측이 무도상 철도 교량의 침목에 대향되는 제 1 걸림 지지부, 및 제 1 걸림 지지부를 관통하여 무도상 철도 교량의 침목을 가압하는 제 1 고정부를 포함하는 무도상 철도 교량 침목 고정 장치와; 제 1 고정부에 제공되어 제 1 고정부와 무도상 철도 교량의 침목간의 현재의 가압량값을 감지하는 제 1 가압량 감지 장치; 및 제 1 가압량 감지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되, 제 1 가압량 감지 장치와 동기화되어 제 1 가압량 감지 장치로부터 현재의 가압량값에 해당하는 현재의 가압량값 신호를 공급받아 제 1 고정부와 무도상 철도 교량의 침목간의 현재의 가압량값이 이미 저장된 기준 가압량값의 범위를 벗어날 경우, 제 1 고정부와 무도상 철도 교량의 침목간의 현재의 가압량값이 이미 저장된 기준 가압량값의 범위를 벗어난 장소로 출동하는 제 1 출동 센터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제 1 걸림 지지부 또는 제 1 고정부중 적어도 하나에 제공되고 제 1 가압량 감지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되, 제 1 가압량 감지 장치를 통해 제 1 고정부와 무도상 철도 교량의 침목간의 현재의 가압량값이 이미 저장된 기준 가압량값의 범위를 벗어날 경우, 현재의 상황을 식별시키는 제 1 식별 장치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일측이 교량 거더에 선택적으로 걸리고 타측이 무도상 철도 교량의 침목에 대향되며 자성물질을 포함하여 제공되는 제 2 걸림 지지부, 및 제 2 걸림 지지부를 관통하고 자성물질을 포함하여 무도상 철도 교량의 침목을 자성력으로 가압하는 제 2 고정부를 포함하는 무도상 철도 교량 침목 고정 장치와; 제 2 고정부에 제공되어 제 2 고정부와 무도상 철도 교량의 침목간의 현재의 가압량값을 감지하는 제 2 가압량 감지 장치; 및 제 2 걸림 지지부 또는 제 2 고정부중 적어도 하나에 제공되고 제 2 가압량 감지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되, 제 2 가압량 감지 장치를 통해 제 2 고정부와 무도상 철도 교량의 침목간의 현재의 가압량값이 이미 저장된 기준 가압량값의 범위를 벗어날 경우, 현재의 상황을 식별시키는 제 2 식별 장치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제 2 식별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되, 제 2 식별 장치와 동기화되어 제 2 식별 장치로부터 현재의 상황에 해당하는 현재의 상황 신호를 공급받아 제 2 고정부와 무도상 철도 교량의 침목간의 현재의 가압량값이 이미 저장된 기준 가압량값의 범위를 벗어난 장소로 출동하는 제 2 출동 센터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일측이 교량 거더에 선택적으로 걸리고 타측이 무도상 철도 교량의 침목에 대향되며 자성물질을 포함하여 제공되는 제 2 걸림 지지부, 및 제 2 걸림 지지부를 관통하고 자성물질을 포함하여 무도상 철도 교량의 침목을 자성력으로 가압하는 제 2 고정부를 포함하는 무도상 철도 교량 침목 고정 장치와; 제 2 고정부에 제공되어 제 2 고정부와 무도상 철도 교량의 침목간의 현재의 가압량값을 감지하는 제 2 가압량 감지 장치; 및 제 2 가압량 감지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되, 제 2 가압량 감지 장치와 동기화되어 제 2 가압량 감지 장치로부터 현재의 가압량값에 해당하는 현재의 가압량값 신호를 공급받아 제 2 고정부와 무도상 철도 교량의 침목간의 현재의 가압량값이 이미 저장된 기준 가압량값의 범위를 벗어날 경우, 제 2 고정부와 무도상 철도 교량의 침목간의 현재의 가압량값이 이미 저장된 기준 가압량값의 범위를 벗어난 장소로 출동하는 제 2 출동 센터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제 2 걸림 지지부 또는 제 2 고정부중 적어도 하나에 제공되고 제 2 가압량 감지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되, 제 2 가압량 감지 장치를 통해 제 2 고정부와 무도상 철도 교량의 침목간의 현재의 가압량값이 이미 저장된 기준 가압량값의 범위를 벗어날 경우, 현재의 상황을 식별시키는 제 2 식별 장치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일측이 교량 거더에 선택적으로 걸리고 타측이 무도상 철도 교량의 침목에 대향되는 제 3 걸림 지지부, 및 제 3 걸림 지지부를 관통하고 공압 또는 유압중 적어도 하나의 압력으로 무도상 철도 교량의 침목을 가압하는 제 3 고정부를 포함하는 무도상 철도 교량 침목 고정 장치와; 제 3 고정부에 제공되어 제 3 고정부와 무도상 철도 교량의 침목간의 현재의 가압량값을 감지하는 제 3 가압량 감지 장치; 및 제 3 걸림 지지부 또는 제 3 고정부중 적어도 하나에 제공되고 제 3 가압량 감지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되, 제 3 가압량 감지 장치를 통해 제 3 고정부와 무도상 철도 교량의 침목간의 현재의 가압량값이 이미 저장된 기준 가압량값의 범위를 벗어날 경우, 현재의 상황을 식별시키는 제 3 식별 장치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제 3 식별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되, 제 3 식별 장치와 동기화되어 제 3 식별 장치로부터 현재의 상황에 해당하는 현재의 상황 신호를 공급받아 제 3 고정부와 무도상 철도 교량의 침목간의 현재의 가압량값이 이미 저장된 기준 가압량값의 범위를 벗어난 장소로 출동하는 제 3 출동 센터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일측이 교량 거더에 선택적으로 걸리고 타측이 무도상 철도 교량의 침목에 대향되는 제 3 걸림 지지부, 및 제 3 걸림 지지부를 관통하고 공압 또는 유압중 적어도 하나의 압력으로 무도상 철도 교량의 침목을 가압하는 제 3 고정부를 포함하는 무도상 철도 교량 침목 고정 장치와; 제 3 고정부에 제공되어 제 3 고정부와 무도상 철도 교량의 침목간의 현재의 가압량값을 감지하는 제 3 가압량 감지 장치; 및 제 3 가압량 감지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되, 제 3 가압량 감지 장치와 동기화되어 제 3 가압량 감지 장치로부터 현재의 가압량값에 해당하는 현재의 가압량값 신호를 공급받아 제 3 고정부와 무도상 철도 교량의 침목간의 현재의 가압량값이 이미 저장된 기준 가압량값의 범위를 벗어날 경우, 제 3 고정부와 무도상 철도 교량의 침목간의 현재의 가압량값이 이미 저장된 기준 가압량값의 범위를 벗어난 장소로 출동하는 제 3 출동 센터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제 3 걸림 지지부 또는 제 3 고정부중 적어도 하나에 제공되고 제 3 가압량 감지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되, 제 3 가압량 감지 장치를 통해 제 3 고정부와 무도상 철도 교량의 침목간의 현재의 가압량값이 이미 저장된 기준 가압량값의 범위를 벗어날 경우, 현재의 상황을 식별시키는 제 3 식별 장치를 포함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무도상 철도 교량 침목 고정 장치와 그를 이용한 무도상 철도 교량 침목 관리 시스템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첫째, 철도 차량의 주행시에, 진동에 의한 무도상 철도 교량의 침목간의 고정율을 효율적으로 유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철도 차량의 주행시에, 진동에 의한 무도상 철도 교량의 침목간의 고정율이 저하될 경우, 해당 무도상 철도 교량의 침목을 빠르게 고정시킬 수가 있으므로, 유지보수시간을 단축시킬 수가 있어 유지보수비용의 상승을 억제시킬 수 있는 다른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무도상 철도 교량 침목 고정 장치를 나타낸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무도상 철도 교량 침목 고정 장치를 나타낸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무도상 철도 교량 침목 고정 장치를 나타낸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무도상 철도 교량 침목 고정 장치를 나타낸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무도상 철도 교량 침목 고정 장치를 나타낸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무도상 철도 교량 침목 고정 장치를 나타낸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따른 무도상 철도 교량 침목 관리 시스템을 나타낸 블럭 구성도.
도 8은 도 7에 도시한 제 1 가압량 감지 장치와 제 1 식별장치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 7 실시예에 따른 무도상 철도 교량 침목 관리 시스템을 나타낸 블럭 구성도.
도 10은 도 9에 도시한 제 2 가압량 감지 장치와 제 2 식별장치를 나타낸 측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 8 실시예에 따른 무도상 철도 교량 침목 관리 시스템을 나타낸 블럭 구성도.
도 12는 도 11에 도시한 제 2 가압량 감지 장치와 제 2 식별장치를 나타낸 측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제 9 실시예에 따른 무도상 철도 교량 침목 관리 시스템을 나타낸 블럭 구성도.
도 14는 도 13에 도시한 제 3 가압량 감지 장치와 제 3 식별장치를 나타낸 측면도.
도 15는 본 발명의 제 10 실시예에 따른 무도상 철도 교량 침목 관리 시스템을 나타낸 블럭 구성도.
도 16은 도 15에 도시한 제 3 가압량 감지 장치와 제 3 식별장치를 나타낸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무도상 철도 교량 침목 고정 장치를 나타낸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무도상 철도 교량 침목 고정 장치를 나타낸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무도상 철도 교량 침목 고정 장치를 나타낸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무도상 철도 교량 침목 고정 장치를 나타낸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무도상 철도 교량 침목 고정 장치를 나타낸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따른 무도상 철도 교량 침목 관리 시스템을 나타낸 블럭 구성도.
도 8은 도 7에 도시한 제 1 가압량 감지 장치와 제 1 식별장치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 7 실시예에 따른 무도상 철도 교량 침목 관리 시스템을 나타낸 블럭 구성도.
도 10은 도 9에 도시한 제 2 가압량 감지 장치와 제 2 식별장치를 나타낸 측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 8 실시예에 따른 무도상 철도 교량 침목 관리 시스템을 나타낸 블럭 구성도.
도 12는 도 11에 도시한 제 2 가압량 감지 장치와 제 2 식별장치를 나타낸 측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제 9 실시예에 따른 무도상 철도 교량 침목 관리 시스템을 나타낸 블럭 구성도.
도 14는 도 13에 도시한 제 3 가압량 감지 장치와 제 3 식별장치를 나타낸 측면도.
도 15는 본 발명의 제 10 실시예에 따른 무도상 철도 교량 침목 관리 시스템을 나타낸 블럭 구성도.
도 16은 도 15에 도시한 제 3 가압량 감지 장치와 제 3 식별장치를 나타낸 측면도.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 1 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무도상 철도 교량 침목 고정 장치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무도상 철도 교량 침목 고정 장치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무도상 철도 교량 침목 고정 장치(100)는 제 1 걸림 지지부(102)와 제 1 고정부(104)를 포함한다.
제 1 걸림 지지부(102)는 일측이 교량 거더(101)에 선택적으로 걸리고, 타측이 무도상 철도 교량의 침목(103)에 대향되도록 제공된다.
더욱 자세하게 말하면, 제 1 걸림 지지부(102)는 제 1 걸림 부재(102a)와 제 1 지지 부재(102b)를 포함할 수가 있다.
제 1 걸림 부재(102a)는 교량 거더(101)에 선택적으로 걸리도록 제공될 수가 있고, 제 1 지지 부재(102b)는 제 1 걸림 부재(102a)와 연결될 수가 있고 무도상 철도 교량의 침목(103)에 대향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제 1 고정부(104)는 제 1 걸림 지지부(102)를 관통하여 무도상 철도 교량의 침목(103)을 가압하도록 제공된다.
이때, 제 1 걸림 지지부(102)는 제 1 스크류 체결 부재(102c)를 포함할 수가 있고, 제 1 스크류 체결 부재(102c)는 스크류 체결 홀을 포함하여 제공될 수가 있다.
더욱 자세하게 말하면, 제 1 고정부(104)는 제 1 가압용 지지 부재(104a)와 제 1 가압 부재(104b)를 포함할 수가 있다.
제 1 가압용 지지 부재(104a)는 제 1 스크류 체결 부재(102c)를 관통하면서 제 1 스크류 체결 부재(102c)와 스크류 체결되도록 제 2 스크류 체결 부재(104a1)를 포함할 수가 있다.
이때, 제 2 스크류 체결 부재(104a1)는 제 1 스크류 체결 부재(102c)와 스크류 체결되도록 스크류 체결 홈과 스크류 체결 돌기를 포함하여 제공될 수가 있다.
제 1 가압 부재(104b)는 제 1 가압용 지지 부재(104a)와 연결될 수가 있고, 제 1 가압용 지지 부재(104a)의 회전식 수평운동으로 무도상 철도 교량의 침목(103)을 선택적으로 가압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또한, 제 1 고정부(104)는 제 1 회전 유도 부재(104c)를 더 포함할 수가 있다.
제 1 회전 유도 부재(104c)는 제 1 가압용 지지 부재(104a)와 선택적으로 체결될 수가 있고, 제 1 가압용 지지 부재(104a)를 회전시켜 제 1 가압용 지지 부재(104a)의 회전식 수평운동으로 무도상 철도 교량의 침목(103)을 선택적으로 가압하도록 유도할 수가 있다.
즉, 제 1 가압용 지지 부재(104a)는 제 1 회전 유도용 홀(104a2)을 포함할 수가 있고, 제 1 회전 유도 부재(104c)는 제 1 회전 유도용 바(104c1)를 포함할 수가 있다.
이러한, 제 1 회전 유도용 바(104c1)는 제 1 회전 유도용 홀(104a2)에 선택적으로 체결될 수가 있고, 제 1 가압용 지지 부재(104a)를 회전시켜 제 1 가압용 지지 부재(104a)의 회전식 수평운동으로 무도상 철도 교량의 침목(103)을 선택적으로 가압하도록 유도하게 된다.
이때, 제 1 회전 유도 부재(104c)는 회전 모터(104c2)를 더 포함할 수가 있다.
회전 모터(104c2)는 일정한 회전력을 발생시켜, 제 1 가압용 지지 부재(104a)의 회전식 수평운동으로 무도상 철도 교량의 침목(103)을 선택적으로 가압하도록 유도할 수가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무도상 철도 교량 침목 고정 장치(100)는 제 1 걸림 지지부(102)와 제 1 고정부(104)를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무도상 철도 교량 침목 고정 장치(100)는 철도 차량의 주행시에, 진동에 의한 무도상 철도 교량의 침목(103)간의 고정율을 효율적으로 유지시킬 수가 있게 된다.
<제 2, 3 실시예>
도 3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무도상 철도 교량 침목 고정 장치를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무도상 철도 교량 침목 고정 장치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2, 3 실시예에 따른 무도상 철도 교량 침목 고정 장치(300, 400)는 제 2 걸림 지지부(102)와 제 2 고정부(304, 404)를 포함한다.
제 2 걸림 지지부(102)는 일측이 교량 거더(101)에 선택적으로 걸리고, 타측이 무도상 철도 교량의 침목(103)에 대향되며, 자성물질을 포함하여 제공된다.
더욱 자세하게 말하면, 제 2 걸림 지지부(102)는 제 2 걸림 부재(102a)와 제 2 지지 부재(102b)를 포함할 수가 있다.
제 2 걸림 부재(102a)는 교량 거더(101)에 선택적으로 걸리도록 제공될 수가 있고, 자성물질을 포함하여 제공될 수가 있다.
제 2 지지 부재(102b)는 제 2 걸림 부재(102a)와 연결될 수가 있고, 무도상 철도 교량의 침목(103)에 대향되도록 제공될 수가 있으며, 자성물질을 포함하여 제공될 수가 있다.
제 2 고정부(304, 404)는 제 2 걸림 지지부(102)를 관통하고, 자성물질을 포함하여 무도상 철도 교량의 침목(103)을 자성력으로 가압하도록 제공된다.
이때, 제 2 걸림 지지부(102)는 제 1 관통 홀(102c)을 포함할 수가 있다.
더욱 자세하게 말하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고정부(304)는 제 2 가압용 지지 부재(304a)와 제 2 가압 부재(304b)를 포함할 수가 있다.
제 2 가압용 지지 부재(304a)는 제 1 관통 홀(302c)을 관통하면서 자성물질에 의한 자성력으로 무도상 철도 교량의 침목(303)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제 2 가압 부재(304b)는 제 2 가압용 지지 부재(304a)와 연결될 수가 있고, 제 2 가압용 지지 부재(304a)의 이동과 자성물질에 의한 자성력으로 무도상 철도 교량의 침목(303)을 선택적으로 가압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고정부(404)는 제 2 가압용 지지 부재(404a)와 제 2 가압 부재(404b) 및 제 1 압력 발생 부재(404c)를 포함할 수가 있다.
제 1 압력 발생 부재(404c)는 공압 또는 유압중 적어도 하나의 압력을 발생시키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제 1 압력 발생 부재(404c)는 공압 또는 유압중 적어도 하나의 압력을 발생시키도록 제 1 실린더(404c1)를 포함하여 제공될 수가 있다.
제 2 가압용 지지 부재(404a)는 제 1 관통 홀(302c)을 관통할 수가 있고, 제 1 압력 발생 부재(404c)를 통해 공압 또는 유압중 적어도 하나에 의한 이동 압력으로 무도상 철도 교량의 침목(303)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제 2 가압 부재(404b)는 제 2 가압용 지지 부재(404a)와 연결될 수가 있고, 제 1 압력 발생 부재(404c)에 의한 제 2 가압용 지지 부재(404a)의 이동과 자성물질에 의한 자성력으로 무도상 철도 교량의 침목(도1의 103)을 선택적으로 가압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또한, 제 2 고정부(404)는 제 1 압력 억제 부재(404c2)를 더 포함할 수가 있다.
여기서, 제 1 압력 억제 부재(404c2)는 제 1 압력 발생 부재(404c)에 제공되어 공압 또는 유압중 적어도 하나의 압력을 억제시키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제 1 압력 억제 부재(404c2)는 제 1 실린더(404c1)를 통해 충진된 공압 또는 유압중 적어도 하나의 압력을 외부로 방출하여 억제시키도록 개폐 홀을 포함하여 제공될 수가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제 2, 3 실시예에 따른 무도상 철도 교량 침목 고정 장치(300, 400)는 제 2 걸림 지지부(102)와 제 2 고정부(304, 404)를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 2, 3 실시예에 따른 무도상 철도 교량 침목 고정 장치(300, 400)는 철도 차량의 주행시에, 진동에 의한 무도상 철도 교량의 침목(도1의 103)간의 고정율을 효율적으로 유지시킬 수가 있게 된다.
<제 4, 5 실시예>
도 5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무도상 철도 교량 침목 고정 장치를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무도상 철도 교량 침목 고정 장치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4, 5 실시예에 따른 무도상 철도 교량 침목 고정 장치(500, 600)는 제 3 걸림 지지부(102)와 제 3 고정부(504, 604)를 포함한다.
제 3 걸림 지지부(102)는 일측이 교량 거더(도1의 101)에 선택적으로 걸리고, 타측이 무도상 철도 교량의 침목(도1의 103)에 대향되며, 자성물질을 포함하여 제공된다.
더욱 자세하게 말하면, 제 3 걸림 지지부(102)는 제 3 걸림 부재(102a)와 제 3 지지 부재(102b)를 포함할 수가 있다.
제 3 걸림 부재(102a)는 교량 거더(도1의 101)에 선택적으로 걸리도록 제공될 수가 있고, 자성물질을 포함하여 제공될 수가 있다.
제 3 지지 부재(102b)는 제 3 걸림 부재(102a)와 연결될 수가 있고, 무도상 철도 교량의 침목(도1의 103)에 대향되도록 제공될 수가 있으며, 자성물질을 포함하여 제공될 수가 있다.
제 3 고정부(504, 604)는 제 3 걸림 지지부(102)를 관통하고, 공압 또는 유압중 적어도 하나의 압력으로 무도상 철도 교량의 침목(도1의 103)을 가압하도록 제공된다.
이때, 제 3 걸림 지지부(102)는 제 2 관통 홀(102c)을 포함할 수가 있다.
더욱 자세하게 말하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3 고정부(504)는 제 2 압력 발생 부재(504c), 제 3 가압용 지지 부재(504a), 제 3 가압 부재(504b)를 포함할 수가 있다.
제 2 압력 발생 부재(504c)는 공압 또는 유압중 적어도 하나의 압력을 발생시키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제 2 압력 발생 부재(504c)는 공압 또는 유압중 적어도 하나의 압력을 발생시키도록 제 2 실린더(504c1)를 포함하여 제공될 수가 있다.
제 3 가압용 지지 부재(504a)는 제 2 관통 홀(102c)을 관통할 수가 있고, 제 2 압력 발생 부재(504c)를 통해 공압 또는 유압중 적어도 하나에 의한 이동 압력으로 무도상 철도 교량의 침목(도1의 103)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제 3 가압 부재(504b)는 제 3 가압용 지지 부재(504a)와 연결될 수가 있고, 제 2 압력 발생 부재(504c)에 의한 제 3 가압용 지지 부재(504a)의 이동으로 무도상 철도 교량의 침목(도1의 103)을 선택적으로 가압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또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3 고정부(604)는 제 2 압력 발생 부재(504c), 제 3 가압용 지지 부재(504a), 제 3 가압 부재(604b)를 포함할 수가 있다.
제 2 압력 발생 부재(504c)는 공압 또는 유압중 적어도 하나의 압력을 발생시키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제 2 압력 발생 부재(504c)는 공압 또는 유압중 적어도 하나의 압력을 발생시키도록 제 2 실린더(504c1)를 포함하여 제공될 수가 있다.
제 3 가압용 지지 부재(504a)는 제 2 관통 홀(102c)을 관통할 수가 있고, 제 2 압력 발생 부재(504c)를 통해 공압 또는 유압중 적어도 하나에 의한 이동 압력으로 무도상 철도 교량의 침목(도1의 103)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제 3 가압 부재(604b)는 제 3 가압용 지지 부재(504a)와 연결될 수가 있고, 자성물질을 포함하여 제공될 수가 있으며, 제 2 압력 발생 부재(504c)에 의한 제 3 가압용 지지 부재(504a)의 이동과 자성물질에 의한 자성력으로 무도상 철도 교량의 침목(도1의 103)을 선택적으로 가압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또한, 제 3 고정부(504, 604)는 제 2 압력 억제 부재(504c2)를 더 포함할 수가 있다.
여기서, 제 2 압력 억제 부재(504c2)는 제 2 압력 발생 부재(504c)에 제공되어 공압 또는 유압중 적어도 하나의 압력을 억제시키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제 2 압력 억제 부재(504c2)는 제 2 실린더(504c1)를 통해 충진된 공압 또는 유압중 적어도 하나의 압력을 외부로 방출하여 억제시키도록 개폐 홀을 포함하여 제공될 수가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제 4, 5 실시예에 따른 무도상 철도 교량 침목 고정 장치(500, 600)는 제 3 걸림 지지부(102)와 제 3 고정부(504, 604)를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 4, 5 실시예에 따른 무도상 철도 교량 침목 고정 장치(500, 600)는 철도 차량의 주행시에, 진동에 의한 무도상 철도 교량의 침목(도1의 103)간의 고정율을 효율적으로 유지시킬 수가 있게 된다.
<제 6 실시예>
도 7은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따른 무도상 철도 교량 침목 관리 시스템을 나타낸 블럭 구성도이고, 도 8은 도 7에 도시한 제 1 가압량 감지 장치와 제 1 식별장치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따른 무도상 철도 교량 침목 관리 시스템(700)은 무도상 철도 교량 침목 고정 장치(100), 제 1 가압량 감지 장치(712), 제 1 식별 장치(714)를 포함할 수가 있다.
먼저,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따른 무도상 철도 교량 침목 관리 시스템(700)의 무도상 철도 교량 침목 고정 장치(100)는 제 1 실시예에 따른 무도상 철도 교량 침목 고정 장치(100)와 동일하게 제공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따른 무도상 철도 교량 침목 관리 시스템(700)의 무도상 철도 교량 침목 고정 장치(100)에 해당하는 각각의 구성요소들에 대한 기능 및 그것들 간의 유기적인 관계는 제 1 실시예에 따른 무도상 철도 교량 침목 고정 장치(100)에 해당하는 각각의 구성요소들에 대한 기능 및 그것들 간의 유기적인 관계와 동일하므로, 이것에 대한 각각의 부연설명들은 이하 생략하기로 한다.
제 1 가압량 감지 장치(712)는 제 1 고정부(104)에 제공되어 제 1 고정부(104)와 무도상 철도 교량의 침목(도1의 103)간의 현재의 가압량값을 감지하도록 제공된다.
제 1 식별 장치(714)는 제 1 걸림 지지부(102)에 제공되고 제 1 가압량 감지 장치(712)와 통신을 수행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 않고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제 1 식별 장치(미도시)는 제 1 고정부(104)에 제공되거나, 제 1 걸림 지지부(102)와 제 1 고정부(104)에 제공될 수가 있다.
이러한, 제 1 식별 장치(714)는 제 1 가압량 감지 장치(712)를 통해 제 1 고정부(104)와 무도상 철도 교량의 침목(도1의 103)간의 현재의 가압량값이 이미 저장된 기준 가압량값의 범위를 벗어날 경우, 현재의 상황을 식별시키게 된다.
여기서, 제 1 식별 장치(714)는 발광 다이오드, EL 시트, 경보음중 적어도 하나로 제공되어 제 1 가압량 감지 장치(712)를 통해 제 1 고정부(104)와 무도상 철도 교량의 침목(도1의 103)간의 현재의 가압량값이 이미 저장된 기준 가압량값의 범위를 벗어날 경우, 발광 또는 소리음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현재의 상황을 식별시킬 수가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따른 무도상 철도 교량 침목 관리 시스템(700)은 제 1 출동 센터(716)를 더 포함할 수가 있다.
즉, 제 1 출동 센터(716)는 제 1 식별 장치(714)와 통신을 수행하되, 제 1 식별 장치(714)와 동기화되어 제 1 식별 장치(714)로부터 현재의 상황에 해당하는 현재의 상황 신호를 공급받아 제 1 고정부(104)와 무도상 철도 교량의 침목(도1의 103)간의 현재의 가압량값이 이미 저장된 기준 가압량값의 범위를 벗어난 장소로 출동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따른 무도상 철도 교량 침목 관리 시스템(700)은 무도상 철도 교량 침목 고정 장치(100), 제 1 가압량 감지 장치(712)를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따른 무도상 철도 교량 침목 관리 시스템(700)은 철도 차량의 주행시에, 진동에 의한 무도상 철도 교량의 침목(도1의 103)간의 고정율을 효율적으로 유지시킬 수가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따른 무도상 철도 교량 침목 관리 시스템(700)은 제 1 식별 장치(714)와 제 1 출동 센터(716)를 포함할 수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따른 무도상 철도 교량 침목 관리 시스템(700)은 철도 차량의 주행시에, 진동에 의한 무도상 철도 교량의 침목(도1의 103)간의 고정율이 저하될 경우, 해당 무도상 철도 교량의 침목(도1의 103)을 빠르게 고정시킬 수가 있으므로, 유지보수시간을 단축시킬 수가 있어 유지보수비용의 상승을 억제시킬 수가 있게 된다.
<제 7, 8 실시예>
도 9는 본 발명의 제 7 실시예에 따른 무도상 철도 교량 침목 관리 시스템을 나타낸 블럭 구성도이고, 도 10은 도 9에 도시한 제 2 가압량 감지 장치와 제 2 식별장치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 8 실시예에 따른 무도상 철도 교량 침목 관리 시스템을 나타낸 블럭 구성도이고, 도 12는 도 11에 도시한 제 2 가압량 감지 장치와 제 2 식별장치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9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7, 8 실시예에 따른 무도상 철도 교량 침목 관리 시스템(900, 1100)은 무도상 철도 교량 침목 고정 장치(300, 400), 제 2 가압량 감지 장치(912, 1112), 제 2 식별 장치(914, 1114)를 포함할 수가 있다.
먼저, 본 발명의 제 7, 8 실시예에 따른 무도상 철도 교량 침목 관리 시스템(900, 1100)의 무도상 철도 교량 침목 고정 장치(300, 400)는 제 2, 3 실시예에 따른 무도상 철도 교량 침목 고정 장치(300, 400)와 동일하게 제공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제 7, 8 실시예에 따른 무도상 철도 교량 침목 관리 시스템(900, 1100)의 무도상 철도 교량 침목 고정 장치(300, 400)에 해당하는 각각의 구성요소들에 대한 기능 및 그것들 간의 유기적인 관계는 제 2, 3 실시예에 따른 무도상 철도 교량 침목 고정 장치(300, 400)에 해당하는 각각의 구성요소들에 대한 기능 및 그것들 간의 유기적인 관계와 동일하므로, 이것에 대한 각각의 부연설명들은 이하 생략하기로 한다.
제 2 가압량 감지 장치(912, 1112)는 제 2 고정부(304, 404)에 제공되어 제 2 고정부(304, 404)와 무도상 철도 교량의 침목(도1의 103)간의 현재의 가압량값을 감지하도록 제공된다.
제 2 식별 장치(914, 1114)는 제 2 걸림 지지부(102)에 제공되고 제 2 가압량 감지 장치(912, 1112)와 통신을 수행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 않고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제 2 식별 장치(미도시)는 제 2 고정부(304, 404)에 제공되거나, 제 2 걸림 지지부(102)와 제 2 고정부(304, 404)에 제공될 수가 있다.
이러한, 제 2 식별 장치(914, 1114)는 제 2 가압량 감지 장치(912,1112)를 통해 제 2 고정부(304, 404)와 무도상 철도 교량의 침목(도1의 103)간의 현재의 가압량값이 이미 저장된 기준 가압량값의 범위를 벗어날 경우, 현재의 상황을 식별시키게 된다.
여기서, 제 2 식별 장치(914, 1114)는 발광 다이오드, EL 시트, 경보음중 적어도 하나로 제공되어 제 2 가압량 감지 장치(912, 1112)를 통해 제 2 고정부(304, 404)와 무도상 철도 교량의 침목(도1의 103)간의 현재의 가압량값이 이미 저장된 기준 가압량값의 범위를 벗어날 경우, 발광 또는 소리음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현재의 상황을 식별시킬 수가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제 7, 8 실시예에 따른 무도상 철도 교량 침목 관리 시스템(900, 1100)은 제 2 출동 센터(916, 1116)를 더 포함할 수가 있다.
즉, 제 2 출동 센터(916, 1116)는 제 2 식별 장치(914, 1114)와 통신을 수행하되, 제 2 식별 장치(914, 1114)와 동기화되어 제 2 식별 장치(914, 1114)로부터 현재의 상황에 해당하는 현재의 상황 신호를 공급받아 제 2 고정부(304, 404)와 무도상 철도 교량의 침목(도1의 103)간의 현재의 가압량값이 이미 저장된 기준 가압량값의 범위를 벗어난 장소로 출동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제 7, 8 실시예에 따른 무도상 철도 교량 침목 관리 시스템(900, 1100)은 무도상 철도 교량 침목 고정 장치(300, 400), 제 2 가압량 감지 장치(912, 1112)를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 7, 8 실시예에 따른 무도상 철도 교량 침목 관리 시스템(900, 1100)은 철도 차량의 주행시에, 진동에 의한 무도상 철도 교량의 침목(도1의 103)간의 고정율을 효율적으로 유지시킬 수가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제 7, 8 실시예에 따른 무도상 철도 교량 침목 관리 시스템(900, 1100)은 제 2 식별 장치(914, 1114)와 제 2 출동 센터(916, 1116)를 포함할 수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 7, 8 실시예에 따른 무도상 철도 교량 침목 관리 시스템(900, 1100)은 철도 차량의 주행시에, 진동에 의한 무도상 철도 교량의 침목(도1의 103)간의 고정율이 저하될 경우, 해당 무도상 철도 교량의 침목(도1의 103)을 빠르게 고정시킬 수가 있으므로, 유지보수시간을 단축시킬 수가 있어 유지보수비용의 상승을 억제시킬 수가 있게 된다.
<제 9, 10 실시예>
도 13은 본 발명의 제 9 실시예에 따른 무도상 철도 교량 침목 관리 시스템을 나타낸 블럭 구성도이고, 도 14는 도 13에 도시한 제 3 가압량 감지 장치와 제 3 식별장치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 10 실시예에 따른 무도상 철도 교량 침목 관리 시스템을 나타낸 블럭 구성도이고, 도 16은 도 15에 도시한 제 3 가압량 감지 장치와 제 3 식별장치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13 내지 도 1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9, 10 실시예에 따른 무도상 철도 교량 침목 관리 시스템(1300, 1500)은 무도상 철도 교량 침목 고정 장치(500, 600), 제 3 가압량 감지 장치(1312, 1512), 제 3 식별 장치(1314, 1514)를 포함할 수가 있다.
먼저, 본 발명의 제 9, 10 실시예에 따른 무도상 철도 교량 침목 관리 시스템(1300, 1500)의 무도상 철도 교량 침목 고정 장치(500, 600)는 제 4, 5 실시예에 따른 무도상 철도 교량 침목 고정 장치(500, 600)와 동일하게 제공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제 9, 10 실시예에 따른 무도상 철도 교량 침목 관리 시스템(1300, 1500)의 무도상 철도 교량 침목 고정 장치(500, 600)에 해당하는 각각의 구성요소들에 대한 기능 및 그것들 간의 유기적인 관계는 제 4, 5 실시예에 따른 무도상 철도 교량 침목 고정 장치(500, 600)에 해당하는 각각의 구성요소들에 대한 기능 및 그것들 간의 유기적인 관계와 동일하므로, 이것에 대한 각각의 부연설명들은 이하 생략하기로 한다.
제 3 가압량 감지 장치(1312, 1512)는 제 3 고정부(504, 604)에 제공되어 제 3 고정부(504, 604)와 무도상 철도 교량의 침목(도1의 103)간의 현재의 가압량값을 감지하도록 제공된다.
제 3 식별 장치(1314, 1514)는 제 3 걸림 지지부(102)에 제공되고 제 3 가압량 감지 장치(1312, 1512)와 통신을 수행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 않고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제 3 식별 장치(미도시)는 제 3 고정부(504, 604)에 제공되거나, 제 3 걸림 지지부(102)와 제 3 고정부(504, 604)에 제공될 수가 있다.
이러한, 제 3 식별 장치(1314, 1514)는 제 3 가압량 감지 장치(1312, 1512)를 통해 제 3 고정부(504, 604)와 무도상 철도 교량의 침목(도1의 103)간의 현재의 가압량값이 이미 저장된 기준 가압량값의 범위를 벗어날 경우, 현재의 상황을 식별시키게 된다.
여기서, 제 3 식별 장치(1314, 1514)는 발광 다이오드, EL 시트, 경보음중 적어도 하나로 제공되어 제 3 가압량 감지 장치(1312, 1512)를 통해 제 3 고정부(504, 604)와 무도상 철도 교량의 침목(도1의 103)간의 현재의 가압량값이 이미 저장된 기준 가압량값의 범위를 벗어날 경우, 발광 또는 소리음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현재의 상황을 식별시킬 수가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제 9, 10 실시예에 따른 무도상 철도 교량 침목 관리 시스템(1300, 1500)은 제 3 출동 센터(1316, 1516)를 더 포함할 수가 있다.
즉, 제 3 출동 센터(1316, 1516)는 제 3 식별 장치(1314, 1514)와 통신을 수행하되, 제 3 식별 장치(1314, 1514)와 동기화되어 제 3 식별 장치(1314, 1514)로부터 현재의 상황에 해당하는 현재의 상황 신호를 공급받아 제 3 고정부(504, 604)와 무도상 철도 교량의 침목(도1의 103)간의 현재의 가압량값이 이미 저장된 기준 가압량값의 범위를 벗어난 장소로 출동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제 9, 10 실시예에 따른 무도상 철도 교량 침목 관리 시스템(1300, 1500)은 무도상 철도 교량 침목 고정 장치(500, 600), 제 3 가압량 감지 장치(1312, 1512)를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 9, 10 실시예에 따른 무도상 철도 교량 침목 관리 시스템(1300, 1500)은 철도 차량의 주행시에, 진동에 의한 무도상 철도 교량의 침목(도1의 103)간의 고정율을 효율적으로 유지시킬 수가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제 9, 10 실시예에 따른 무도상 철도 교량 침목 관리 시스템(1300, 1500)은 제 3 식별 장치(1314, 1514)와 제 3 출동 센터(1316, 1516)를 포함할 수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 9, 10 실시예에 따른 무도상 철도 교량 침목 관리 시스템(1300, 1500)은 철도 차량의 주행시에, 진동에 의한 무도상 철도 교량의 침목(도1의 103)간의 고정율이 저하될 경우, 해당 무도상 철도 교량의 침목(도1의 103)을 빠르게 고정시킬 수가 있으므로, 유지보수시간을 단축시킬 수가 있어 유지보수비용의 상승을 억제시킬 수가 있게 된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30)
- 무도상 철도 교량의 침목을 고정하기 위한 무도상 철도 교량 침목 고정 장치에 있어서,
일측이 교량 거더에 선택적으로 걸리고, 타측이 상기 무도상 철도 교량의 침목에 대향되는 제 1 걸림 지지부; 및
상기 제 1 걸림 지지부를 관통하여 상기 무도상 철도 교량의 침목을 가압하는 제 1 고정부를 포함하는 무도상 철도 교량 침목 고정 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걸림 지지부는,
상기 교량 거더에 선택적으로 걸리도록 제공되는 제 1 걸림 부재; 및
상기 제 1 걸림 부재와 연결되고, 상기 무도상 철도 교량의 침목에 대향되도록 제공되는 제 1 지지 부재를 포함하는 무도상 철도 교량 침목 고정 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걸림 지지부는 제 1 스크류 체결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고정부는,
상기 제 1 스크류 체결 부재를 관통하면서 상기 제 1 스크류 체결 부재와 스크류 체결되도록 제 2 스크류 체결 부재를 포함하는 제 1 가압용 지지 부재; 및
상기 제 1 가압용 지지 부재와 연결되고, 상기 제 1 가압용 지지 부재의 회전식 수평운동으로 상기 무도상 철도 교량의 침목을 선택적으로 가압하는 제 1 가압 부재를 포함하는 무도상 철도 교량 침목 고정 장치.
-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가압용 지지 부재와 선택적으로 체결되고, 상기 제 1 가압용 지지 부재를 회전시켜, 상기 제 1 가압용 지지 부재의 회전식 수평운동으로 상기 무도상 철도 교량의 침목을 선택적으로 가압하도록 유도하는 제 1 회전 유도 부재를 더 포함하는 무도상 철도 교량 침목 고정 장치.
-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가압용 지지 부재는 제 1 회전 유도용 홀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회전 유도 부재는 상기 제 1 회전 유도용 홀에 선택적으로 체결되고, 상기 제 1 가압용 지지 부재를 회전시켜, 상기 제 1 가압용 지지 부재의 회전식 수평운동으로 상기 무도상 철도 교량의 침목을 선택적으로 가압하도록 유도하는 제 1 회전 유도용 바를 포함하는 무도상 철도 교량 침목 고정 장치.
-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회전 유도 부재는 일정한 회전력을 발생시켜, 상기 제 1 가압용 지지 부재의 회전식 수평운동으로 상기 무도상 철도 교량의 침목을 선택적으로 가압하도록 유도하는 회전 모터를 포함하는 무도상 철도 교량 침목 고정 장치.
- 무도상 철도 교량의 침목을 고정하기 위한 무도상 철도 교량 침목 고정 장치에 있어서,
일측이 교량 거더에 선택적으로 걸리고, 타측이 상기 무도상 철도 교량의 침목에 대향되며, 자성물질을 포함하여 제공되는 제 2 걸림 지지부; 및
상기 제 2 걸림 지지부를 관통하고, 자성물질을 포함하여 상기 무도상 철도 교량의 침목을 자성력으로 가압하는 제 2 고정부를 포함하는 무도상 철도 교량 침목 고정 장치.
-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걸림 지지부는,
상기 교량 거더에 선택적으로 걸리도록 제공되고, 상기 자성물질을 포함하여 제공되는 제 2 걸림 부재; 및
상기 제 2 걸림 부재와 연결되고, 상기 무도상 철도 교량의 침목에 대향되도록 제공되며, 상기 자성물질을 포함하여 제공되는 제 2 지지 부재를 포함하는 무도상 철도 교량 침목 고정 장치.
-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걸림 지지부는 제 1 관통 홀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고정부는,
상기 제 1 관통 홀을 관통하면서 상기 자성물질에 의한 상기 자성력으로 상기 무도상 철도 교량의 침목 방향으로 이동하는 제 2 가압용 지지 부재; 및
상기 제 2 가압용 지지 부재와 연결되고, 상기 제 2 가압용 지지 부재의 이동과 상기 자성물질에 의한 상기 자성력으로 상기 무도상 철도 교량의 침목을 선택적으로 가압하는 제 2 가압 부재를 포함하는 무도상 철도 교량 침목 고정 장치.
-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걸림 지지부는 제 1 관통 홀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고정부는,
공압 또는 유압중 적어도 하나의 압력을 발생시키는 제 1 압력 발생 부재와;
상기 제 1 관통 홀을 관통하고, 상기 제 1 압력 발생 부재를 통해 상기 공압 또는 상기 유압중 적어도 하나에 의한 이동 압력으로 상기 무도상 철도 교량의 침목 방향으로 이동하는 제 2 가압용 지지 부재; 및
상기 제 2 가압용 지지 부재와 연결되고, 상기 제 1 압력 발생 부재에 의한 상기 제 2 가압용 지지 부재의 이동과, 상기 자성물질에 의한 상기 자성력으로 상기 무도상 철도 교량의 침목을 선택적으로 가압하는 제 2 가압 부재를 포함하는 무도상 철도 교량 침목 고정 장치.
-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압력 발생 부재는 상기 공압 또는 상기 유압중 적어도 하나의 압력을 발생시키도록 제 1 실린더를 포함하여 제공되는 무도상 철도 교량 침목 고정 장치.
-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압력 발생 부재에 제공되어 상기 공압 또는 상기 유압중 적어도 하나의 압력을 억제시키는 제 1 압력 억제 부재를 더 포함하는 무도상 철도 교량 침목 고정 장치.
- 무도상 철도 교량의 침목을 고정하기 위한 무도상 철도 교량 침목 고정 장치에 있어서,
일측이 교량 거더에 선택적으로 걸리고, 타측이 상기 무도상 철도 교량의 침목에 대향되는 제 3 걸림 지지부; 및
상기 제 3 걸림 지지부를 관통하고, 공압 또는 유압중 적어도 하나의 압력으로 상기 무도상 철도 교량의 침목을 가압하는 제 3 고정부를 포함하는 무도상 철도 교량 침목 고정 장치.
-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걸림 지지부는,
상기 교량 거더에 선택적으로 걸리도록 제공되는 제 3 걸림 부재; 및
상기 제 3 걸림 부재와 연결되고, 상기 무도상 철도 교량의 침목에 대향되도록 제공되는 제 3 지지 부재를 포함하는 무도상 철도 교량 침목 고정 장치.
-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걸림 지지부는 제 2 관통 홀을 포함하고;
상기 제 3 고정부는,
상기 공압 또는 상기 유압중 적어도 하나의 압력을 발생시키는 제 2 압력 발생 부재와;
상기 제 2 관통 홀을 관통하고, 상기 제 2 압력 발생 부재를 통해 상기 공압 또는 상기 유압중 적어도 하나에 의한 이동 압력으로 상기 무도상 철도 교량의 침목 방향으로 이동하는 제 3 가압용 지지 부재; 및
상기 제 3 가압용 지지 부재와 연결되고, 상기 제 2 압력 발생 부재에 의한 상기 제 3 가압용 지지 부재의 이동으로 상기 무도상 철도 교량의 침목을 선택적으로 가압하는 제 3 가압 부재를 포함하는 무도상 철도 교량 침목 고정 장치.
-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걸림 지지부는 제 2 관통 홀을 포함하고;
상기 제 3 고정부는,
상기 공압 또는 상기 유압중 적어도 하나의 압력을 발생시키는 제 2 압력 발생 부재와;
상기 제 2 관통 홀을 관통하고, 상기 제 2 압력 발생 부재를 통해 상기 공압 또는 상기 유압중 적어도 하나에 의한 이동 압력으로 상기 무도상 철도 교량의 침목 방향으로 이동하는 제 3 가압용 지지 부재; 및
상기 제 3 가압용 지지 부재와 연결되고, 자성물질을 포함하여 제공되며, 상기 제 2 압력 발생 부재에 의한 상기 제 3 가압용 지지 부재의 이동과, 상기 자성물질에 의한 자성력으로 상기 무도상 철도 교량의 침목을 선택적으로 가압하는 제 3 가압 부재를 포함하는 무도상 철도 교량 침목 고정 장치.
- 제 15항 또는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압력 발생 부재는 상기 공압 또는 상기 유압중 적어도 하나의 압력을 발생시키도록 제 2 실린더를 포함하여 제공되는 무도상 철도 교량 침목 고정 장치.
- 제 15항 또는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압력 발생 부재에 제공되어 상기 공압 또는 상기 유압중 적어도 하나의 압력을 억제시키는 제 2 압력 억제 부재를 더 포함하는 무도상 철도 교량 침목 고정 장치.
- 일측이 교량 거더에 선택적으로 걸리고 타측이 상기 무도상 철도 교량의 침목에 대향되는 제 1 걸림 지지부, 및 상기 제 1 걸림 지지부를 관통하여 상기 무도상 철도 교량의 침목을 가압하는 제 1 고정부를 포함하는 무도상 철도 교량 침목 고정 장치와;
상기 제 1 고정부에 제공되어 상기 제 1 고정부와 상기 무도상 철도 교량의 침목간의 현재의 가압량값을 감지하는 제 1 가압량 감지 장치; 및
상기 제 1 걸림 지지부 또는 상기 제 1 고정부중 적어도 하나에 제공되고 상기 제 1 가압량 감지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되, 상기 제 1 가압량 감지 장치를 통해 상기 제 1 고정부와 상기 무도상 철도 교량의 침목간의 현재의 가압량값이 이미 저장된 기준 가압량값의 범위를 벗어날 경우, 현재의 상황을 식별시키는 제 1 식별 장치를 포함하는 무도상 철도 교량 침목 관리 시스템.
-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식별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되, 상기 제 1 식별 장치와 동기화되어 상기 제 1 식별 장치로부터 상기 현재의 상황에 해당하는 현재의 상황 신호를 공급받아 상기 제 1 고정부와 상기 무도상 철도 교량의 침목간의 현재의 가압량값이 이미 저장된 기준 가압량값의 범위를 벗어난 장소로 출동하는 제 1 출동 센터를 더 포함하는 무도상 철도 교량 침목 관리 시스템.
- 일측이 교량 거더에 선택적으로 걸리고 타측이 무도상 철도 교량의 침목에 대향되는 제 1 걸림 지지부, 및 상기 제 1 걸림 지지부를 관통하여 상기 무도상 철도 교량의 침목을 가압하는 제 1 고정부를 포함하는 무도상 철도 교량 침목 고정 장치와;
상기 제 1 고정부에 제공되어 상기 제 1 고정부와 상기 무도상 철도 교량의 침목간의 현재의 가압량값을 감지하는 제 1 가압량 감지 장치; 및
상기 제 1 가압량 감지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되, 상기 제 1 가압량 감지 장치와 동기화되어 상기 제 1 가압량 감지 장치로부터 상기 현재의 가압량값에 해당하는 현재의 가압량값 신호를 공급받아 상기 제 1 고정부와 상기 무도상 철도 교량의 침목간의 현재의 가압량값이 이미 저장된 기준 가압량값의 범위를 벗어날 경우, 상기 제 1 고정부와 상기 무도상 철도 교량의 침목간의 현재의 가압량값이 이미 저장된 기준 가압량값의 범위를 벗어난 장소로 출동하는 제 1 출동 센터를 포함하는 무도상 철도 교량 침목 관리 시스템.
- 제 2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걸림 지지부 또는 상기 제 1 고정부중 적어도 하나에 제공되고 상기 제 1 가압량 감지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되, 상기 제 1 가압량 감지 장치를 통해 상기 제 1 고정부와 상기 무도상 철도 교량의 침목간의 현재의 가압량값이 이미 저장된 기준 가압량값의 범위를 벗어날 경우, 현재의 상황을 식별시키는 제 1 식별 장치를 더 포함하는 무도상 철도 교량 침목 관리 시스템.
- 일측이 교량 거더에 선택적으로 걸리고 타측이 무도상 철도 교량의 침목에 대향되며 자성물질을 포함하여 제공되는 제 2 걸림 지지부, 및 제 2 걸림 지지부를 관통하고 자성물질을 포함하여 상기 무도상 철도 교량의 침목을 자성력으로 가압하는 제 2 고정부를 포함하는 무도상 철도 교량 침목 고정 장치와;
상기 제 2 고정부에 제공되어 상기 제 2 고정부와 상기 무도상 철도 교량의 침목간의 현재의 가압량값을 감지하는 제 2 가압량 감지 장치; 및
상기 제 2 걸림 지지부 또는 상기 제 2 고정부중 적어도 하나에 제공되고 상기 제 2 가압량 감지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되, 상기 제 2 가압량 감지 장치를 통해 상기 제 2 고정부와 상기 무도상 철도 교량의 침목간의 현재의 가압량값이 이미 저장된 기준 가압량값의 범위를 벗어날 경우, 현재의 상황을 식별시키는 제 2 식별 장치를 포함하는 무도상 철도 교량 침목 관리 시스템.
- 제 23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식별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되, 상기 제 2 식별 장치와 동기화되어 상기 제 2 식별 장치로부터 상기 현재의 상황에 해당하는 현재의 상황 신호를 공급받아 상기 제 2 고정부와 상기 무도상 철도 교량의 침목간의 현재의 가압량값이 이미 저장된 기준 가압량값의 범위를 벗어난 장소로 출동하는 제 2 출동 센터를 더 포함하는 무도상 철도 교량 침목 관리 시스템.
- 일측이 교량 거더에 선택적으로 걸리고 타측이 무도상 철도 교량의 침목에 대향되며 자성물질을 포함하여 제공되는 제 2 걸림 지지부, 및 제 2 걸림 지지부를 관통하고 자성물질을 포함하여 상기 무도상 철도 교량의 침목을 자성력으로 가압하는 제 2 고정부를 포함하는 무도상 철도 교량 침목 고정 장치와;
상기 제 2 고정부에 제공되어 상기 제 2 고정부와 상기 무도상 철도 교량의 침목간의 현재의 가압량값을 감지하는 제 2 가압량 감지 장치; 및
상기 제 2 가압량 감지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되, 상기 제 2 가압량 감지 장치와 동기화되어 상기 제 2 가압량 감지 장치로부터 상기 현재의 가압량값에 해당하는 현재의 가압량값 신호를 공급받아 상기 제 2 고정부와 상기 무도상 철도 교량의 침목간의 현재의 가압량값이 이미 저장된 기준 가압량값의 범위를 벗어날 경우, 상기 제 2 고정부와 상기 무도상 철도 교량의 침목간의 현재의 가압량값이 이미 저장된 기준 가압량값의 범위를 벗어난 장소로 출동하는 제 2 출동 센터를 포함하는 무도상 철도 교량 침목 관리 시스템.
- 제 25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걸림 지지부 또는 상기 제 2 고정부중 적어도 하나에 제공되고 상기 제 2 가압량 감지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되, 상기 제 2 가압량 감지 장치를 통해 상기 제 2 고정부와 상기 무도상 철도 교량의 침목간의 현재의 가압량값이 이미 저장된 기준 가압량값의 범위를 벗어날 경우, 현재의 상황을 식별시키는 제 2 식별 장치를 포함하는 무도상 철도 교량 침목 관리 시스템.
- 일측이 교량 거더에 선택적으로 걸리고 타측이 무도상 철도 교량의 침목에 대향되는 제 3 걸림 지지부, 및 상기 제 3 걸림 지지부를 관통하고 공압 또는 유압중 적어도 하나의 압력으로 상기 무도상 철도 교량의 침목을 가압하는 제 3 고정부를 포함하는 무도상 철도 교량 침목 고정 장치와;
상기 제 3 고정부에 제공되어 상기 제 3 고정부와 상기 무도상 철도 교량의 침목간의 현재의 가압량값을 감지하는 제 3 가압량 감지 장치; 및
상기 제 3 걸림 지지부 또는 상기 제 3 고정부중 적어도 하나에 제공되고 상기 제 3 가압량 감지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되, 상기 제 3 가압량 감지 장치를 통해 상기 제 3 고정부와 상기 무도상 철도 교량의 침목간의 현재의 가압량값이 이미 저장된 기준 가압량값의 범위를 벗어날 경우, 현재의 상황을 식별시키는 제 3 식별 장치를 포함하는 무도상 철도 교량 침목 관리 시스템.
- 제 27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식별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되, 상기 제 3 식별 장치와 동기화되어 상기 제 3 식별 장치로부터 상기 현재의 상황에 해당하는 현재의 상황 신호를 공급받아 상기 제 3 고정부와 상기 무도상 철도 교량의 침목간의 현재의 가압량값이 이미 저장된 기준 가압량값의 범위를 벗어난 장소로 출동하는 제 3 출동 센터를 더 포함하는 무도상 철도 교량 침목 관리 시스템.
- 일측이 교량 거더에 선택적으로 걸리고 타측이 무도상 철도 교량의 침목에 대향되는 제 3 걸림 지지부, 및 상기 제 3 걸림 지지부를 관통하고 공압 또는 유압중 적어도 하나의 압력으로 상기 무도상 철도 교량의 침목을 가압하는 제 3 고정부를 포함하는 무도상 철도 교량 침목 고정 장치와;
상기 제 3 고정부에 제공되어 상기 제 3 고정부와 상기 무도상 철도 교량의 침목간의 현재의 가압량값을 감지하는 제 3 가압량 감지 장치; 및
상기 제 3 가압량 감지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되, 상기 제 3 가압량 감지 장치와 동기화되어 상기 제 3 가압량 감지 장치로부터 상기 현재의 가압량값에 해당하는 현재의 가압량값 신호를 공급받아 상기 제 3 고정부와 상기 무도상 철도 교량의 침목간의 현재의 가압량값이 이미 저장된 기준 가압량값의 범위를 벗어날 경우, 상기 제 3 고정부와 상기 무도상 철도 교량의 침목간의 현재의 가압량값이 이미 저장된 기준 가압량값의 범위를 벗어난 장소로 출동하는 제 3 출동 센터를 포함하는 무도상 철도 교량 침목 관리 시스템.
- 제 29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걸림 지지부 또는 상기 제 3 고정부중 적어도 하나에 제공되고 상기 제 3 가압량 감지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되, 상기 제 3 가압량 감지 장치를 통해 상기 제 3 고정부와 상기 무도상 철도 교량의 침목간의 현재의 가압량값이 이미 저장된 기준 가압량값의 범위를 벗어날 경우, 현재의 상황을 식별시키는 제 3 식별 장치를 포함하는 무도상 철도 교량 침목 관리 시스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109310A KR20130044939A (ko) | 2011-10-25 | 2011-10-25 | 무도상 철도 교량 침목 고정 장치와 그를 이용한 무도상 철도 교량 침목 관리 시스템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109310A KR20130044939A (ko) | 2011-10-25 | 2011-10-25 | 무도상 철도 교량 침목 고정 장치와 그를 이용한 무도상 철도 교량 침목 관리 시스템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044939A true KR20130044939A (ko) | 2013-05-03 |
Family
ID=486572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10109310A KR20130044939A (ko) | 2011-10-25 | 2011-10-25 | 무도상 철도 교량 침목 고정 장치와 그를 이용한 무도상 철도 교량 침목 관리 시스템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30044939A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590629B1 (ko) * | 2015-03-19 | 2016-02-01 | 이강솔루션 (주) | 철교용 침목 고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철교용 침목 고정방법 |
-
2011
- 2011-10-25 KR KR1020110109310A patent/KR20130044939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590629B1 (ko) * | 2015-03-19 | 2016-02-01 | 이강솔루션 (주) | 철교용 침목 고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철교용 침목 고정방법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6262573B1 (en) | Electromagnetic system for railroad track crack detection and traction enhancement | |
Wischke et al. | Vibration harvesting in traffic tunnels to power wireless sensor nodes | |
ATE500387T1 (de) | Vorrichtung mit flexibel montiertem haltepfahlschlitten | |
US9175709B2 (en) | Device for detecting relative movements in a vehicle | |
CN104179081B (zh) | 无弹条轨道扣件系统 | |
CN101368356B (zh) | 轨道噪声控制器 | |
KR20130044939A (ko) | 무도상 철도 교량 침목 고정 장치와 그를 이용한 무도상 철도 교량 침목 관리 시스템 | |
WO2013079210A3 (de) | Befestigungsvorrichtung mit dübel und bewehrung | |
CN1769116A (zh) | 用于铁路车辆的信令设备及方法 | |
US9352754B2 (en) | Vehicle line | |
CN214033190U (zh) | 一种应用于轨道交通的弹性扣件组件 | |
JP2009114787A (ja) | レール規格変更用締結装置 | |
WO2020098854A8 (de) | Spannsystem mit einer hubüberwachten spannvorrichtung | |
CN202416086U (zh) | 一种有防退功能的单趾弹条 | |
CN208844449U (zh) | 一种跨座式单轨的声屏障装置 | |
JP2018104966A (ja) | 脱線防止用ガードアングル支持装置 | |
RU187040U1 (ru) | Узел крепления неповоротного башмака на раме триангеля тележки грузового вагона | |
KR200465375Y1 (ko) | 차상신호시스템용 발리스 설치대 | |
KR101409257B1 (ko) | 부설된 콘크리트침목의 높이 점검장치 | |
CN209144588U (zh) | 一种轨道交通用固定装置 | |
CN205315232U (zh) | 往复式天然气压缩机减振安装结构 | |
CN110846946A (zh) | 一种轨道对接接头固定座 | |
CN206141574U (zh) | 一种铁路线路内异物自动报警装置 | |
RU2009138627A (ru) | Скоростная железная дорога для перевозки крупногабаритных грузов и способ ее эксплуатации | |
JP6000832B2 (ja) | フランジを備えた両ねじボルトの回転止め機構を有するレール締結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WITN |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