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44458A - 유아부모용 놀이학습 콘텐츠 서비스 시스템 및 그 제공 방법 - Google Patents

유아부모용 놀이학습 콘텐츠 서비스 시스템 및 그 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44458A
KR20130044458A KR1020110108538A KR20110108538A KR20130044458A KR 20130044458 A KR20130044458 A KR 20130044458A KR 1020110108538 A KR1020110108538 A KR 1020110108538A KR 20110108538 A KR20110108538 A KR 20110108538A KR 20130044458 A KR20130044458 A KR 201300444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y
learning content
infant
play learning
cont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085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태석
홍상의
Original Assignee
(주)이투데이피엔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이투데이피엔씨 filed Critical (주)이투데이피엔씨
Priority to KR10201101085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44458A/ko
Publication of KR201300444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4445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 H04W4/14Short messaging services, e.g. short message services [SMS] or unstructured supplementary service data [USSD]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유아부모가 부담을 느끼지 않는 간단하고 쉬운 놀이학습 콘텐츠를 구성하여 유아부모에게 제공함으로써 유아부모가 단시간 내에 습득하여 활용할 수 있고, 놀이학습 레벨을 호응도와 난이도를 반영하여 단계별로 조절할 수 있는, 유아부모용 놀이학습 콘텐츠 서비스 시스템 및 그 제공 방법이 제공된다. 유아부모용 놀이학습 콘텐츠 서비스 시스템은, 유아부모에게 제공되는 놀이학습 콘텐츠를 유아의 성별/연령별/선호도별로 처리하는 데이터 처리부; 유아부모가 유아와 놀아주는 방법과 관련된 놀이학습 콘텐츠, 웹진, 사진/동영상 및 출력자료에 대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놀이학습 DB; 유아부모에게 제공된 놀이학습 콘텐츠에 대해 유아부모로부터 피드백 받아 유아부모 및 유아의 호응도를 분석하여 놀이학습 콘텐츠에 반영하는 호응도 반영부; 유아부모 및 유아의 호응도에 대응하여 놀이학습 콘텐츠의 난이도를 단계별로 조절하는 난이도 조절부; 조절된 난이도가 반영되도록 놀이학습 DB에서 검색되는 놀이학습 콘텐츠를 편집하여 구성하는 콘텐츠 구성부; 콘텐츠 구성부에서 구성된 놀이학습 콘텐츠를 사용자 단말에 적합한 형태로 출력하는 콘텐츠 출력부; 콘텐츠 출력부에서 출력된 놀이학습 콘텐츠를 사용자 단말에게 이-메일로 발송하는 이-메일 발송부; 및 콘텐츠 출력부에서 출력된 놀이학습 콘텐츠를 사용자 단말에게 SMS로 발송하는 SMS 발송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유아부모용 놀이학습 콘텐츠 서비스 시스템 및 그 제공 방법 {SYSTEM FOR EDUTAINMENT CONTENTS SERVICE FOR PARENTS OF INFANT, AND PROVIDING METHOD FOR THE SAME}
본 발명은 유아부모용 놀이학습 콘텐츠 서비스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다양한 유아용 놀이학습(Edutainment) 콘텐츠를 구성하여 유아부모에게 제공하는 유아부모용 놀이학습 콘텐츠 서비스 시스템 및 그 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4 내지 7세의 유아의 교육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지만, 부모들은 유아교육에 대한 전문교육을 받지 않았기 때문에 유아교육에 대한 부담을 느끼고 자신의 교육방식에 대한 일관성을 갖기 어려운 것이 현실이다.
따라서 부모들은 유아 교육관련 서적을 읽거나 유아 교육정보를 제공하는 웹사이트에 등록하여 유아교육에 따른 정보지를 이메일(E-mail) 형태로 받아 이를 읽기도 하지만, 유아 교육관련 서적을 찾아 읽는다는 것은 사실상 큰 노력을 요구하기 때문에 실현이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이메일을 통해 전송받은 유아교육 정보지를 읽는 것은 유아 교육관련 서적을 찾아 읽는 것보다는 쉽지만, 1회성에 지나지 않기 때문에 부모 입장에서 체계적으로 유아교육자료를 관리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또한, 인터넷을 통해서도 유아교육자료를 검색할 수 있지만, 이러한 자료는 대상에 제한을 한정하지 않으면서 제공되는 정보이기 때문에, 부모 입장에서 자신의 아이만을 위한 정보를 검색하기 위해서는 부모가 일일이 정보를 확인한 후 분류해야 한다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한편,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관련 기술로서, 대한민국 공개특허번호 제2003-6382호에는 "온라인을 통한 유아교육정보 제공방법"이라는 명칭의 발명이 개시되어 있는데, 도 1a 및 도 1b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a 및 도 1b는 각각 종래의 기술에 따른 온라인을 통한 유아교육정보 제공 시스템 및 웹서버의 구성도이다.
도 1a를 참조하면, 종래의 기술에 따른 온라인을 통한 유아교육정보 제공 시스템의 경우, 회원 웹브라우저(10) 및 카운셀러 웹브라우저(20)가 인터넷을 통해 웹서버(30)에 연결되어 이러한 웹서버(30)를 통해 제공되는 유아교육정보 제공서비스를 제공받는다. 이러한 웹서버(30)에는 유아교육정보 제공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필요로 되는 각종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60)를 관리하는 데이터베이스 관리시스템(50)이 연결되어 있다.
이러한 데이터베이스(50)는 등록된 회원에 대한 인적정보, 회원에 대한 맞춤형 정보, 유아교육관련 정보, 체크리스트 등을 저장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도 1b를 참조하면, 웹서버(30)는 인터넷 접속부(31), 중앙처리부(32), 웹페이지 저장부(33) 및 유아 발달수준 분석부(34)를 포함한다.
인터넷 접속부(31)는 중앙처리부(32)의 제어 하에 웹페이지 저장부(33)로부터 전송되는 파일이 인터넷을 통해 전송할 수 있도록 프로토콜 변환처리를 행하는 기능과 인터넷을 통해 웹브라우저로부터 전송된 파일을 내부 프로토콜로 변환 처리하여 중앙처리부(32)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중앙처리부(32)는 인터넷 접속부(31)로부터 전송된 파일을 근거로 웹브라우저에 해당하는 사용자의 요구사항을 파악하고 그에 따른 정보가 제공되도록 웹페이지저장부(33), 데이터베이스 관리시스템(50)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웹페이지 저장부(33)는 웹브라우저로 출력될 화면을 구성하기 위한 HTML파일, JSP 파일, 이미지파일 등을 저장하고 있다가, 중앙처리부(32)의 제어 하에 소정 파일을 인터넷 접속부(31)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유아 발달수준 분석부(34)는 웹브라우저를 통해 유아의 발달수준 분석을 위해 구성된 체크리스트가 전송되면, 그 체크리스트에 구성된 각 항목의 선택결과를 근거로 유아의 발달수준을 분석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사용자 단말(40)은 상기 중앙처리부(32)에 소정 명령을 입력하거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자 하는 신규 데이터를 입력하고, 명령수행 결과를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종래의 기술에 따른 온라인을 통한 유아교육정보 제공 시스템은, 회원의 관심분야와 그 회원이 등록한 자녀(유아)에 대한 발달수준을 충분히 고려하여 회원에게 유아교육에 따른 맞춤형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하지만, 종래의 기술에 따른 온라인을 통한 유아교육정보 제공 시스템은, 놀이가 아니라 유아교육을 목표로 하기 때문에 유아부모가 상당한 시간 및 노력을 할애해야 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다른 관련 기술로서, 대한민국 공개특허번호 제2005-102999호에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유아교육 방법 및 그 시스템"이라는 명칭의 발명이 개시되어 있는데,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유아교육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종래의 기술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유아교육 시스템은, 크게 유아교육서버(70) 및 이동통신 단말기(90)로 구성되어 있다.
유아교육 서버(70)는 학습자정보, 교육샘플, 언어교육, 음악교육, 숫자교육, 동화 등의 데이터베이스(73)가 구축되어 학습자의 요청에 따라 해당 학습자의 이동통신 단말기(90)로 교육자료를 전송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동통신 단말기(90)는 무선 인터넷을 이용하여 유아교육 서버(70)에 접속하여 학습자의 선택에 따라 소정의 교육자료를 다운받아 교육과목별로 저장하고 이동통신 단말기(90)에 수록된 학습프로그램에 의해 다운받은 교육자료를 재생하여 이미지와 사운드, 단어 또는 멜로디로 구성된 교육자료를 화면(91)과 스피커(93)로 출력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유아교육 서버(70)는 이동통신 단말기(90)와 통신 가능하도록 데이터를 적절하게 변환함과 아울러 보안벽 등으로 구성된 통신수단(71);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90)에서 요청한 명령을 제공받아 그 명령을 분석한 후 그 해당 자료를 데이터베이스(73)로부터 검색하여 호출한 후 해당 이동통신 단말기(90)로 제공하는 프로세서(72); 유아 교육에 관련한 다양한 정보가 수록된 교육안내 프로그램; 및 샘플 DB, 언어 DB, 음악 DB, 숫자 DB, 및 동화 DB를 포함하는 데이터베이스(73)로 구성되어 있다.
종래의 기술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유아교육 시스템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무선인터넷을 이용하여 교육자료를 다운받은 후, 오프라인 상태에서 교육자료를 열람하여 이미지, 단어, 사운드 또는 멜로디를 이용하여 교육자료를 학습할 수 있다.
하지만, 종래의 기술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유아교육 시스템의 경우, 유아의 놀이가 아니라 교육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기 때문에 유아부모가 교육자료를 숙지하기 위해서 많은 시간과 노력을 할애해야 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영유아 시기에는 유아부모가 하루에 10분이라도 집중해서 유아와 놀아주어야 하며, 이때, 놀이는 아이들에게 안정감과 즐거움을 주는 것 이외에 옳고 그름을 판단하거나 충동을 억제하는 능력을 키워준다. 예를 들면, 유아부모가 퇴근 후 또는 주말마다 유아와 놀이를 할 때 매번 같은 시간대에 놀아주는 것이 필요하며, 놀이 시간이 다시 돌아올 것이라는 기대감을 유아에게 제공함으로써 유아부모와의 유아 사이의 친밀도를 높일 수 있다.
그런데, 유아부모가 유아와 함께 놀아주어야 유아의 정서 발달에 좋다는 것을 알고 있지만, 유아부모는 바쁜 일상에 얽매이고, 또한, 어떻게 놀아주어야 하는지 방법을 알지 못하기 때문에 유아 놀이학습을 기관에 의존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유아부모가 많은 시간을 할애해서 유아와 놀아줄 수 없는 경우가 대부분이므로, 종래의 기술에 따른 유아교육 시스템들은 유아부모에게 큰 부담이 된다는 문제점 있다.
1) 대한민국 공개특허번호 제2003-6382호(공개일: 2003년 7월 31일), 발명의 명칭: "온라인을 통한 유아교육정보 제공방법" 2) 대한민국 공개특허번호 제2005-102999호(공개일: 2005년 10월 27일), 발명의 명칭: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유아교육 방법 및 그 시스템" 3) 대한민국 공개특허번호 제2006-62647호(공개일: 2006년 6월 12일), 발명의 명칭: "놀이기구를 이용한 학습방법" 4) 대한민국 등록특허번호 제10-412285호(출원일: 2002년 10월 22일), 발명의 명칭: "유아 창의성 프로그램을 이용한 학습방법과 그 유아 창의성 학습 프로그램이 저장된 기록매체" 5) 대한민국 공개특허번호 제2007-97646호(공개일: 2007년 10월 5일), 발명의 명칭: "온라인 학습 제어 방법 및 시스템" 6) 대한민국 등록특허번호 제10-561090호(출원일: 2005년 6월 20일), 발명의 명칭: "인터넷 통신망을 이용한 온라인 학습 시스템 및 그 학습방법"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유아부모가 부담을 느끼지 않는 간단하고 쉬운 놀이학습 콘텐츠를 구성하여 유아부모에게 제공함으로써 유아부모가 단시간 내에 습득하여 활용할 수 있는, 유아부모용 놀이학습 콘텐츠 서비스 시스템 및 그 제공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놀이학습 레벨을 호응도와 난이도를 반영하여 단계별로 조절함으로써, 각각의 유아에게 최적의 놀이학습을 제공할 수 있는, 유아부모용 놀이학습 콘텐츠 서비스 시스템 및 그 제공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유아부모용 놀이학습 콘텐츠 서비스 시스템은, 놀이학습 콘텐츠 서비스를 사용자 단말에게 제공하도록 웹사이트로 구현된 유아부모용 놀이학습 콘텐츠 서비스 시스템에 있어서, 유아부모에게 제공되는 놀이학습 콘텐츠를 유아의 성별/연령별/선호도별로 처리하는 데이터 처리부; 유아부모가 유아와 놀아주는 방법과 관련된 놀이학습 콘텐츠, 웹진, 사진/동영상 및 출력자료에 대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놀이학습 DB; 상기 유아부모에게 제공된 놀이학습 콘텐츠에 대해 상기 유아부모로부터 피드백 받아 유아부모 및 유아의 호응도를 분석하여 상기 놀이학습 콘텐츠에 반영하는 호응도 반영부; 상기 유아부모 및 유아의 호응도에 대응하여 상기 놀이학습 콘텐츠의 난이도를 단계별로 조절하는 난이도 조절부; 상기 조절된 난이도가 반영되도록 상기 놀이학습 DB에서 검색되는 놀이학습 콘텐츠를 편집하여 구성하는 콘텐츠 구성부; 상기 콘텐츠 구성부에서 구성된 놀이학습 콘텐츠를 사용자 단말에 적합한 형태로 출력하는 콘텐츠 출력부; 상기 콘텐츠 출력부에서 출력된 놀이학습 콘텐츠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게 이-메일로 발송하는 이-메일 발송부; 및 상기 콘텐츠 출력부에서 출력된 놀이학습 콘텐츠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게 SMS(Short Message Service)로 발송하는 SMS 발송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놀이학습 콘텐츠는 유아와 놀아주는 놀이순서, 멘트, 동영상을 포함하며, 신체/언어/수리/과학/음악/미술/감성/정서/놀이정보 영역 중에서 선택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놀이학습 콘텐츠는 전문가 커뮤니티와 연동하여 각각의 전문가로부터 검수를 받은 놀이학습 콘텐츠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놀이학습 DB는, 상기 신체/언어/수리/과학/음악/미술/감성/정서/놀이정보 영역별 놀이학습 콘텐츠가 저장된 놀이학습 콘텐츠 DB; 상기 사용자 단말에게 웹진 형식으로 제공되는 놀이학습 콘텐츠가 저장된 웹진 DB; 상기 사용자 단말에게 사진/동영상 형식으로 제공되는 놀이학습 콘텐츠가 저장된 사진/동영상 DB; 및 상기 콘텐츠 출력부에서 출력되는 상기 웹진 및 상기 사진/동영상 형식의 놀이학습 콘텐츠가 저장된 출력자료 DB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유아부모용 놀이학습 콘텐츠 서비스 시스템은, 상기 유아부모에게 해당 가족의 놀이 포트폴리오를 작성할 수 있도록 개인화 서비스 공간을 제공하는 개인화 다이어리 제공부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사용자 단말은, 인터넷 접속이 가능한 컴퓨터 단말로서, 웹브라우저가 설치된 제1 사용자 단말; 및 무선인터넷 접속이 가능한 모바일 단말로서, 모바일 브라우저 또는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된 제2 사용자 단말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다른 수단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유아부모용 놀이학습 콘텐츠 서비스 제공 방법은, 웹사이트로 구현된 유아부모용 놀이학습 콘텐츠 서비스 시스템에서 사용자 단말에게 제공하는 놀이학습 콘텐츠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a) 유아 부모가 설정한 유아의 성별/연령별/선호도별 사용자 정보를 검색하는 단계; b) 상기 사용자 정보에 대응하는 놀이학습 콘텐츠를 선정하는 단계; c) 사용자 단말을 통해 놀이학습 콘텐츠 사용후기에 대응하는 사용자 피드백이 있는지 확인하는 단계; d) 상기 사용자 피드백을 유아 및 유아부모 호응도로 반영하는 단계; e) 상기 유아 및 유아부모 호응도에 따라 상기 놀이학습 콘텐츠의 난이도를 조절하는 단계; f) 상기 선정된 놀이학습 콘텐츠 또는 상기 난이도가 조절된 놀이학습 콘텐츠를 웹진/사진/동영상으로 구성하는 단계; 및 g) 상기 웹진/사진/동영상의 놀이학습 콘텐츠가 포함된 이-메일 또는 SMS(Short Message Service)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게 발송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b) 단계의 놀이학습 콘텐츠는 유아와 놀아주는 방법과 관련된 콘텐츠로서, 유아와 놀아주는 놀이순서, 멘트, 동영상을 포함하며, 신체/언어/수리/과학/음악/미술/감성/정서/놀이정보 영역 중에서 선택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b) 단계에서 선정되는 놀이학습 콘텐츠는 전문가 커뮤니티와 연동하여 전문가로부터 검수를 받은 놀이학습 콘텐츠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c) 단계의 사용자 단말은 웹브라우저가 설치된 PC이거나 모바일 브라우저가 설치된 이동통신 단말기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유아부모가 부담을 느끼지 않는 간단하고 쉬운 놀이학습 콘텐츠를 구성하여 유아부모에게 제공함으로써 유아부모가 단시간 내에 습득하여 활용할 수 있다. 즉, 유아부모가 장시간을 할애하지 않더라도 쉽게 습득할 수 있는 놀이학습 콘텐츠를 제공함으로써 유아부모가 부담 없이 정해진 시간에 유아와 놀아줄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놀이학습 레벨을 호응도와 난이도를 반영하여 단계별로 조절함으로써, 각각의 유아에게 최적의 놀이학습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a 및 도 1b는 각각 종래의 기술에 따른 온라인을 통한 유아교육정보 제공 시스템 및 웹서버의 구성도이다.
도 2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유아교육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아부모용 놀이학습 콘텐츠 서비스 시스템이 웹사이트로 구현되는 것을 예시하는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아부모용 놀이학습 콘텐츠 서비스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아부모용 놀이학습 콘텐츠 서비스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데이터베이스들을 구체적으로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아부모용 놀이학습 콘텐츠 서비스 제공 방법의 동작흐름도이다.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아부모용 놀이학습 콘텐츠 서비스 제공 방법이 웹브라우저를 사용하여 구현되는 것을 나타내는 동작흐름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아부모용 놀이학습 콘텐츠 서비스 제공 방법이 모바일 브라우저를 사용하여 구현되는 것을 나타내는 동작흐름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아부모용 놀이학습 콘텐츠 서비스 시스템에서 요일별 놀이학습 콘텐츠의 구성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10a 내지 도 10e는 각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아부모용 놀이학습 콘텐츠 서비스 시스템에서 제공되는 놀이학습 콘텐츠 웹진을 예시하는 도면들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아부모용 놀이학습 콘텐츠 서비스 시스템이 웹사이트로 구현되는 것을 예시하는 구성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아부모용 놀이학습 콘텐츠 서비스 시스템(140)은, 사용자 단말(200)이 인터넷을 통해 접속하도록 웹 사이트(100) 내에 구현되며, 이때, 웹사이트(100)는 인터페이스 서버(110), 인증 서버(120), 사용자 DB(130), 유아부모용 놀이학습 콘텐츠 서비스 시스템(140), 놀이학습 콘텐츠 DB(150) 및 관리 DB(160)를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사용자 단말(200)은 인터넷과 같은 네트워크를 통해 유아부모용 놀이학습 콘텐츠 서비스 시스템(140)에 접속할 수 있는 통신장치로서, 예를 들면, 컴퓨터, 이동통신 단말 등의 다양한 통신장치가 사용될 수 있고, 사용자는 인터넷을 통해 편리하고 신속하게 유아부모용 놀이학습 콘텐츠 서비스 시스템(140)에 접속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200)은 PC인 제1 사용자 단말(210) 및 스마트폰인 제2 사용자 단말(220)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제1 사용자 단말(210)은 일반적으로는 웹 브라우저가 설치되어, 사용자들은 웹 브라우저를 통해 인터넷으로 연결된 외부 시스템과 통신하며, 필요한 정보 및 프로그램을 제공받는다. 또한, 제2 사용자 단말(220)은 인터넷 접속이 가능한 모바일 단말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아부모용 놀이학습 콘텐츠 서비스 시스템(140)은 모바일 단말과 실시간 연동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스마트폰(Smart phone)은 인터넷 정보검색, 그림 정보 송수신 등의 기능을 갖춘 차세대 휴대전화로 휴대용 컴퓨터의 개념이다. 스마트폰은 휴대전화와 개인휴대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의 장점을 합친 것으로, 휴대 전화기에 일정관리, 팩스 송수신 및 인터넷 접속 등의 데이터 통신기능을 통합시킨 것이다. 인터넷 정보검색은 물론 액정디스플레이에 전자펜으로 문자를 입력하거나 약도 등 그림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 단말(200)에 연결되어 다수의 사용자들에게 놀이학습 콘텐츠 서비스를 제공하는 유아부모용 놀이학습 콘텐츠 서비스 시스템(140)이 구현된 웹사이트(100)는, 인터페이스 서버(110) 및 인증 서버(120)를 포함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 서버(110)는 사용자 단말(200)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놀이학습 콘텐츠 서비스 시스템(140)에 접속하는 인터페이스 역할을 하며, 각 서버를 통해 제공되는 다양한 정보들을 통신 규격에 맞도록 변환 처리하여 다수의 사용자 단말(200)로 제공하거나, 인터넷을 통해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전송되는 정보를 수신하여 각 서버로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일반적으로는 웹(Web) 서버 혹은 왑(Wap) 서버에 해당한다.
인증 서버(120)는 사용자의 회원가입 및 시스템 로그인을 관리 및 수행한다. 인증 서버(12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놀이학습 콘텐츠를 이용하기 위해 인터페이스 서버(110)를 통해 접속한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회원정보를 입력받아, 해당 사용자가 놀이학습 콘텐츠 서비스 이용 권한을 가진 사용자인지 확인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 DB(130)에는 시스템 회원을 가입한 사용자에 대한 정보가 저장되어 있다. 인증 서버(120)는 사용자의 회원가입 시에 사용자가 관심을 갖는 분야 등에 대한 정보를 입력하게 하며, 이에 따라 사용자 DB(130)에는 사용자 아이디에 대응하여 패스워드, 이름, 사용자 유형, 연락처 등의 정보가 저장된다.
또한, 인증 서버(120)는 시스템에 접속한 사용자가 입력한 아이디(ID), 패스워드 등을 포함한 정보가 사용자 데이터베이스(130)에 저장된 정보와 일치하면, 놀이학습 콘텐츠 서비스 이용을 허가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아부모용 놀이학습 콘텐츠 서비스 시스템(140)은, 유아와 놀아주는 방법에 관련된 콘텐츠를 구성하여 유아부모에게 이메일이나 SMS를 통하여 제공한다. 예를 들면, 인터넷(이메일, 스마트폰 등)을 이용하여 매일 정해진 시간에 4~7세의 유아와 놀아주는 방법과 관련된 놀이학습 콘텐츠를 웹진, 사진, 동영상 등을 유아부모에게 전송함으로써, 유아부모는 이러한 놀이학습 콘텐츠에 따라 자신의 자녀들과 놀아줄 수 있다. 이때, 놀이학습 DB(150)는 놀이학습 콘텐츠, 웹진, 사진/동영상, 및 출력자료 등에 대한 데이터를 저장함으로써,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아부모용 놀이학습 콘텐츠 서비스 시스템(140)에 필요한 놀이학습 콘텐츠를 제공한다. 또한, 관리 DB(160)는 메일발송, SMS 발송, 배송 놀이재료 및 후기/평가 등에 대한 데이터를 저장함으로써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아부모용 놀이학습 콘텐츠 서비스 시스템(140)에서 놀이학습 콘텐츠 제공시 발생하는 데이터 등을 관리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아부모용 놀이학습 콘텐츠 서비스 시스템(140)은, 바쁜 유아부모를 위해 유아와 놀아주는 방법에 대한 놀이학습 콘텐츠를 제공하며, 이하 도 4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유아부모용 놀이학습 콘텐츠 서비스 시스템 및 그 제공 방법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아부모용 놀이학습 콘텐츠 서비스 시스템의 구성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아부모용 놀이학습 콘텐츠 서비스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데이터베이스들을 구체적으로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아부모용 놀이학습 콘텐츠 서비스 시스템(140)은, 놀이학습 콘텐츠 서비스를 사용자 단말에게 제공하도록 웹사이트로 구현된 유아부모용 놀이학습 콘텐츠 서비스 시스템으로서, 데이터 처리부(141), 콘텐츠 구성부(142), 호응도 반영부(143), 난이도 조절부(144), 콘텐츠 출력부(145), 전문가 커뮤니티 연동부(146), 개인화 다이어리 제공부(147), 모바일 연동부(148), 이-메일 발송부(149-1) 및 SMS 발송부(149-2)를 포함한다.
데이터 처리부(141)는 유아부모에게 제공되는 놀이학습 콘텐츠를 유아의 성별/연령별/선호도별로 처리한다. 이때, 상기 놀이학습 콘텐츠는 유아와 놀아주는 놀이순서, 멘트, 동영상을 포함하며, 신체/언어/수리/과학/음악/미술/감성/정서/놀이정보 영역 중에서 선택될 수 있다. 여기서, 놀이학습 DB(150)는 유아부모가 유아와 놀아주는 방법과 관련된 놀이학습 콘텐츠, 웹진, 사진/동영상 및 출력자료에 대한 데이터를 저장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아부모용 놀이학습 콘텐츠 서비스 시스템은, 예를 들면, 4~5세, 6~7세 등 연령에 따른 수준별 놀이학습 자료를 제공하며, 또한, 예를 들면, 신체/언어/수리/과학/음악/미술/감성/정서/놀이정보 등 9개 영역의 콘텐츠를 유아부모에게 이메일 등을 통해 놀이학습 콘텐츠를 전달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놀이학습 콘텐츠는, 예를 들면, 웹진으로 구현될 수 있고, 이러한 웹진은, 1) 놀이학습 명칭, 2) 놀이학습 목표, 3) 놀이학습 설명, 4) 놀이학습 재료(배송 여부, 인쇄자료, 확장 활동 등 포함), 5) 사진, 동영상, 음악 등 놀이학습 멀티미디어 자료, 6) 텍스트, 멘트, 참고 이미지, 제작 의뢰, 부모용 단계별 팁 등 놀이학습 내용, 7) 놀이학습 효과, 8) 확장 활동, 및 9) 사후 학습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호응도 반영부(143)는 상기 유아부모에게 제공된 놀이학습 콘텐츠에 대해 상기 유아부모로부터 피드백 받아 유아부모 및 유아의 호응도를 분석하여 상기 놀이학습 콘텐츠에 반영한다.
난이도 조절부(144)는 상기 유아부모 및 유아의 호응도에 대응하여 상기 놀이학습 콘텐츠의 난이도를 단계별로 조절한다.
콘텐츠 구성부(142)는 상기 조절된 난이도가 반영되도록 상기 놀이학습 DB(150)에서 검색되는 놀이학습 콘텐츠를 편집하여 구성한다. 예를 들면, 상기 콘텐츠 구성부(142)는 신체/언어/수리/과학/음악/미술/감성/정서/놀이정보 영역 중에서 주제별로 8~12개 놀이학습을 선정하며, 또한, 유아부모가 진행하기 쉽고, 유아가 재미있어 하는 형태로 놀이학습 콘텐츠를 개발, 변환 및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놀이정보와 관련하여, 특정 요일인 수요일 또는 금요일 등에 나들이 정보 등을 제공할 수 있다.
콘텐츠 출력부(145)는 상기 콘텐츠 구성부(142)에서 구성된 놀이학습 콘텐츠를 사용자 단말(200)에 적합한 형태로 출력한다.
이-메일 발송부(149-1)는 상기 콘텐츠 출력부(145)에서 출력된 놀이학습 콘텐츠를 상기 사용자 단말(200)에게 이-메일로 발송한다.
SMS 발송부(149-2)는 상기 콘텐츠 출력부(145)에서 출력된 놀이학습 콘텐츠를 상기 사용자 단말(200)에게 SMS(Short Message Service)로 발송한다.
전문가 커뮤니티 연동부(146)는 상기 놀이학습 콘텐츠가 전문가 커뮤니티와 연동하여 각각의 전문가로부터 검수를 받게 한다. 즉, 예를 들면, 놀이전문가의 놀이를 선정하고, 유아교육 전문가의 놀이학습 콘텐츠를 검수 받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아부모용 놀이학습 콘텐츠 서비스 시스템(140)은, 이러한 전문가 커뮤니티 이용하여 아이 육아와 관련하여 각계 전문가들이 제공하는 칼럼을 통해 정보를 얻고, 상담을 받을 수 있는 웹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개인화 다이어리 제공부(147)는 상기 유아부모에게 해당 가족의 놀이 포트폴리오를 작성할 수 있도록 개인화 서비스 공간을 제공한다. 이때, 개인화 다이어리(Diary)는 해당 가족만의 놀이 포트폴리오를 작성할 수 있는 개인화 서비스 공간을 제공하도록 웹사이트에서 부가적으로 제공될 수 있는 서비스이다.
모바일 연동부(148)는 상기 사용자 단말(200)이 스마트폰인 경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아부모용 놀이학습 콘텐츠 서비스 시스템(140)이 구축된 웹사이트(100)와 상기 사용자 단말(200)이 연동할 수 있도록 연결한다.
또한, 사용자 DB(13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원 DB(131), 상품 DB(132) 및 판매 DB(133)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놀이학습 DB(150)는 놀이학습 콘텐츠 DB(151), 웹진 DB(152), 사진/동영상 DB(153) 및 출력자료 DB(154)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관리 DB(160)는 메일발송 DB(161), SMS 발송 DB(162), 배송 놀이재료 DB(163) 및 후기/평가 DB(16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DB(130) 중에서 회원 DB(131)는 상기 유아부모가 회원으로 가입한 경우 상기 유아부모와 관련된 데이터를 저장하고, 또한, 상기 상품 DB(132)는 웹사이트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관련 상품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며, 또한, 상기 판매 DB(133)는 상기 웹사이트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관련 상품의 판매와 관련된 정보를 저장한다.
상기 놀이학습 DB(150) 중에서 놀이학습 콘텐츠 DB(151)는 상기 신체/언어/수리/과학/음악/미술/감성/정서/놀이정보 영역별 놀이학습 콘텐츠가 저장된다. 또한, 상기 웹진 DB(152)는 상기 사용자 단말에게 웹진 형식으로 제공되는 놀이학습 콘텐츠가 저장되며, 상기 사진/동영상 DB(153)는 상기 사용자 단말에게 사진/동영상 형식으로 제공되는 놀이학습 콘텐츠가 저장된다. 또한, 상기 출력자료 DB(154)는 상기 콘텐츠 출력부에서 출력되는 상기 웹진 및 상기 사진/동영상 형식의 놀이학습 콘텐츠가 저장된다.
상기 관리 DB(160) 중에서 메일발송 DB(161)는 상기 이-메일 발송부(149-1)에서 발송된 메일과 관련된 정보를 저장하며, 또한, 상기 SMS 발송 DB(162)는 상기 SMS 발송부(149-2)에서 발송된 SMS와 관련된 정보를 저장한다. 또한, 상기 배송 놀이재료 DB(163)는 놀이학습 교보재(300)와 관련된 정보를 저장하며, 이때, 배송 놀이재료인 교보재(300)는 가정에서 조금 구하기 애매한 재료들을 모아서 예를 들면, 월 1회 택배로 발송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후기/평가 DB(164)는 상기 사용자 단말(200)을 통해 입력되는 놀이학습 콘텐츠의 사용후기에 대한 데이터 및 이러한 사용후기에 대한 평가 데이터를 저장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아부모용 놀이학습 콘텐츠 서비스 시스템에 따르면, 4 내지 7세 유아와 가까워지도록 유아와 부모가 함께하는 10분 감성 놀이학습(Edutainment)을 제공하고, 이러한 놀이학습을 통한 통합적 학습 효과를 제공하도록 예를 들면, 놀이의 비중을 70% 이상으로 설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아부모용 놀이학습 콘텐츠 서비스 시스템(140)은, 시간을 내기 어려운 부모도 5분 정도의 준비 시간만으로 쉽고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부모용 놀이학습 콘텐츠 제공하며, 이때, 가정에서 손쉽게 구할 수 있는 도구(교보재)를 이용한 놀이학습 콘텐츠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아부모용 놀이학습 콘텐츠 서비스 시스템에 따르면, 유아부모가 부담을 느끼지 않는 간단하고 쉬운 놀이학습 콘텐츠를 구성하여 유아부모에게 제공함으로써 유아부모가 단시간, 예를 들면 5분 내에 습득하여 활용할 수 있다.
한편,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아부모용 놀이학습 콘텐츠 서비스 제공 방법의 동작흐름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아부모용 놀이학습 콘텐츠 서비스 제공 방법은, 먼저, 웹사이트로 구현된 유아부모용 놀이학습 콘텐츠 서비스시스템에서 유아부모가 설정한 유아의 성별/연령별/선호도별 사용자 정보를 검색한다(S10). 이때, 상기 사용자 정보는 유아부모가 웹사이트에 접속하여 미리 설정한 정보로서, 유아의 성별/연령/선호도 등을 포함한다.
다음으로, 상기 사용자 정보에 대응하는 놀이학습 콘텐츠를 선정한다(S20). 이때, 상기 놀이학습 콘텐츠는 유아와 놀아주는 방법과 관련된 콘텐츠로서, 유아와 놀아주는 놀이순서, 멘트, 동영상을 포함하며, 신체/언어/수리/과학/음악/미술/감성/정서/놀이정보 영역 중에서 선택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놀이학습 콘텐츠는 전문가 커뮤니티와 연동하여 전문가로부터 검수를 받은 놀이학습 콘텐츠일 수 있다.
다음으로, 사용자 단말을 통해 놀이학습 콘텐츠 사용후기와 같은 사용자 피드백이 있는지 확인한다(S30). 상기 사용자 피드백으로서, 놀이학습 콘텐츠 사용후기를 작성하거나 또는 실제 유아부모가 유아와 놀아준 시간을 작성할 경우, 이를 주간 단위로 통계를 내서 알려줄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사용자 단말은 웹브라우저를 구비한 PC이거나 모바일 브라우저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일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을 통해 사용자 피드백을 수행할 때 개인화 다이어리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여기서, 개인화 다이어리 서비스는 웹사이트에서 제공되는 서비스로서, 유아부모 가족만의 놀이학습 포트폴리오를 작성할 수 있도록 개인화 서비스 공간을 말한다.
다음으로, 상기 사용자 피드백을 유아 및 유아부모 호응도로 반영하고(S40), 다음으로, 상기 유아 및 유아부모 호응도에 따라 상기 놀이학습 콘텐츠의 난이도를 조절한다(S50).
다음으로, 상기 선정된 놀이학습 콘텐츠 또는 상기 난이도가 조절된 놀이학습 콘텐츠를 웹진/사진/동영상으로 구성한다(S60).
다음으로, 상기 웹진/사진/동영상의 놀이학습 콘텐츠가 포함된 이-메일 또는 SMS(Short Message Service)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게 발송한다(S70).
한편,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아부모용 놀이학습 콘텐츠 서비스 제공 방법이 웹브라우저를 사용하여 구현되는 것을 나타내는 동작흐름도이다.
먼저, 도 7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아부모용 놀이학습 콘텐츠 서비스 제공 방법은, 먼저, 사용자, 예를 들면, 유아부모가 사용자 단말상의 웹브라우저를 통해 웹사이트에 방문한다(S110).
다음으로, 유아부모는 웹브라우저를 통해 상기 웹사이트(100)에 구현된 놀이학습 소개 및 프로그램 보기를 실행하고(S120), 이후, 유아부모는 웹브라우저를 통해 무료 콘텐츠 보기를 실행시킨다(S130).
다음으로, 유아부모는 웹브라우저를 통해 상기 무료 콘텐츠에 대응하는 웹진/사진/동영상 콘텐츠 보기를 실행시키고(S140), 이후, 유아부모는 웹브라우저를 통해 해당 연령별 놀이학습 효과 보기를 실행시킨다(S150).
다음으로, 유아부모는 웹브라우저를 통해 배송 놀이재료 또는 가정 준비재료 보기를 실행시키고(S160), 출력자료 보기를 실행시킨다(S170).
다음으로, 유아부모는 웹브라우저를 통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아부모용 놀이학습 콘텐츠 서비스에 대해 회원 가입 여부를 결정한다(S180).
또한, 도 7b를 참조하면, 유아부모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아부모용 놀이학습 콘텐츠 서비스에 회원 가입한 경우, 유아부모는 웹브라우저를 통해 놀이학습 상품 보기 또는 구매를 선택하고 정해진 결제 절차를 수행한다(S210). 이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아부모용 놀이학습 콘텐츠 서비스 관리자에 의해 웹진 이메일 발송 및 배송 놀이재료 발송이 수행될 수 있다.
다음으로, 유아부모가 웹브라우저를 통해 유료 콘텐츠를 선택하여(S220), 상기 유료 콘텐츠에 대응하는 웹진/사진/동영상 콘텐츠 보기를 실행시킨다(S230).
다음으로, 유아부모가 웹브라우저를 통해 해당 연령별 놀이학습 효과 보기를 실행시키고(S240), 이후, 배송 놀이재료 또는 가정 준비재료 보기를 실행시키며S250), 또한, 출력자료 보기 및 출력을 실행시킨다(S260).
후속적으로, 유아부모가 최초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아부모용 놀이학습 콘텐츠 서비스를 이용한 것이 아니고, 유아부모가 웹브라우저를 통해 사용후기를 피드백한 경우, 해당 놀이학습에 대해 난이도 및 호응도를 평가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아부모용 놀이학습 콘텐츠 서비스 시스템은, 사용후기가 피드백된 경우, 해당 놀이학습에 대해 유아 난이도 및 호응도를 평가할 수 있고(S270), 또한, 해당 놀이학습에 대해 유아부모 난이도 및 호응도를 평가할 수 있다(S280).
다음으로, 유아부모는 놀이학습 콘텐츠를 제공받은 상태에서 유아와 함께 실질적으로 놀이학습을 수행한 후, 다시 웹사이트에 접속하여 놀이학습을 수행한 결과에 대해 사용후기를 피드백하게 된다(S290). 이때, 유아부모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아부모용 놀이학습 콘텐츠 서비스 시스템에서 부가적으로 제공하는 개인화 다이어리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고, 또한, 유아부모는 글/사진/동영상 등을 웹사이트 상에 등록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아부모용 놀이학습 콘텐츠 서비스 제공 방법은, 유아부모가 웹브라우저를 통해 웹사이트에 접속하여 놀이학습 콘텐츠 서비스를 제공받는 것을 나타낸다.
한편,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아부모용 놀이학습 콘텐츠 서비스 제공 방법이 모바일 브라우저를 사용하여 구현되는 것을 나타내는 동작흐름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아부모용 놀이학습 콘텐츠 서비스 제공 방법은, 먼저, 유아부모가 모바일 브라우저 또는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킨다(S310). 이때, 모바일 브라우저는 통상적인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제공되는 모바일 서비스를 말하며, 또한,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은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무선 인터넷을 통해 전용 애플리케이션을 사용하는 것을 의미한다. 즉,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은 사용자 단말인 스마트폰에 설치되지 않은 경우, 다운로드 받아서 실행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유아부모가 모바일 브라우저 또는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킴으로써,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아부모용 놀이학습 콘텐츠 서비스를 제공하는 웹사이트에 접속한 경우, 유아부모용 놀이학습 콘텐츠 서비스 시스템은 상기 유아부모가 정식 권한을 가진 사용자인지 여부를 확인한다(S320).
다음으로, 유아부모가 정식 권한이 있는 것으로 확인된 경우, 유아부모는 모바일 브라우저 또는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놀이학습 콘텐츠를 선택한다(S330).
다음으로, 유아부모는 모바일 브라우저 또는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웹진/사진/동영상 콘텐츠 보기를 실행시킨다(S340).
다음으로, 유아부모는 모바일 브라우저 또는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해당 연령별 놀이학습 효과 보기를 실행시킨다(S350).
다음으로, 유아부모는 모바일 브라우저 또는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배송 놀이재료 또는 가정 준비재료 보기를 실행시킨다(S360).
후속적으로, 유아부모는 놀이학습 콘텐츠를 제공받은 상태에서 유아와 함께 실질적으로 놀이학습을 수행한 후, 다시 모바일 브라우저 또는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웹사이트에 접속하여 놀이학습을 수행한 결과에 대해 사용후기를 피드백할 수 있다. 또한, 유아부모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아부모용 놀이학습 콘텐츠 서비스 시스템에서 부가적으로 제공하는 개인화 다이어리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고, 또한, 유아부모는 글/사진/동영상 등을 웹사이트 상에 등록할 수 있다.
한편,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아부모용 놀이학습 콘텐츠 서비스 시스템에서 요일별 놀이학습 콘텐츠의 구성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아부모용 놀이학습 콘텐츠 서비스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놀이학습 콘텐츠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본놀이와 감성미션으로 구분되고, 이러한 기본놀이로는, 몸이 쑥쑥 자라는 놀이(신체), 지혜가 퐁퐁 샘솟는 놀이(언어, 수리, 과학) 및 생각에 날개를 다는 놀이(음악, 미술)로 구분될 수 있다. 또한, 감성미션으로는, 수요일의 기쁨(스킨십을 통한 애정표현) 및 행복한 주말(주말 활동)로 구성되지만, 이러한 구성은 단지 예시적인 것이며,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놀이정보와 관련하여, 특정 요일인 수요일 또는 금요일 등에 나들이 정보 등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도 10a 내지 도 10e는 각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아부모용 놀이학습 콘텐츠 서비스 시스템에서 제공되는 놀이학습 콘텐츠 웹진을 예시하는 도면들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아부모용 놀이학습 콘텐츠 서비스 시스템에서 제공되는 놀이학습 콘텐츠는, 놀이학습 콘텐츠 웹진 및 놀이학습 동영상 등을 포함한다.
상기 놀이학습 콘텐츠 웹진은 놀이학습에 대한 소개, 놀이 재료, 놀이 순서, 놀아줄 때 부모가 해줘야 하는 멘트(대사), 놀아주는 모습이 담긴 동영상, 제공되는 놀이학습과 연계하여 할 수 있는 또 다른 놀이학습, 소개된 놀이학습과 관련하여 학습할 수 있는 학습 요소가 기본놀이 3페이지, 감성미션 1페이지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메일로 발송된다.
또한, 상기 놀이학습 동영상은 약 1~2분 정도 분량의 놀이학습 모습이 담긴 영상으로서, 상기 웹진만 봐서 어떻게 놀아주어야 유아가 즐거워하는지 확인하려는 유아부모들에게 도움을 줄 수 있도록 유아부모와 유아가 함께 놀이를 하는 모습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아부모용 놀이학습 콘텐츠 서비스 시스템에서 월요일에 제공하는 놀이학습 콘텐츠 웹진으로서, 도 1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이 쑥쑥 자라는 놀이(신체) 콘텐츠가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유아부모와 유아가 함께 할 수 있는 신체 놀이로서, 부족한 운동량을 채우고, 신체 기능의 발달을 돕는 놀이를 통해 경쟁과 도전과 협력을 자연스럽게 배울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아부모용 놀이학습 콘텐츠 서비스 시스템에서 화요일에 제공하는 놀이학습 콘텐츠 웹진으로서,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혜가 퐁퐁 샘솟는 놀이(언어, 수리, 과학) 콘텐츠가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언어 영역으로서, 잘 듣고 이해하는 연습을 하고, 의사소통 능력을 기르며, 말과 글을 즐겁게 사용하고, 친숙한 글자와 글의 의미에 관심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수리 영역으로서, 수학적 개념을 익히고, 생각하는 힘을 기르며, 문제를 해결하는 힘을 기를 수 있다. 또한, 과학 영역으로서, 세상을 새롭게 보고, 새로운 사실을 알게 되며, 사물의 특성이나 속성을 파악하고, 사물이나 현상을 자세히 살펴보는 힘을 기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아부모용 놀이학습 콘텐츠 서비스 시스템에서 수요일에 제공하는 놀이학습 콘텐츠 웹진으로서, 도 10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요일의 기쁨(감성미션) 콘텐츠가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매주 수요일에 진행하는 마음이 가까워지는 감성미션으로서, 사회정서 발달에 도움이 되고, 서로의 눈을 마주보고, 서로의 체온을 느끼고, 함께 웃을 수 있는 간단한 미션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아부모용 놀이학습 콘텐츠 서비스 시스템에서 목요일에 제공하는 놀이학습 콘텐츠 웹진으로서, 도 10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생각에 날개를 다는 놀이(음악, 미술) 콘텐츠가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쉽고 간단한 음악, 율동, 미술놀이를 통해서 기분과 마음을 표현하고, 자유롭고 창의적인 생각을 즐기며, 즐거움과 아름다움을 느낄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아부모용 놀이학습 콘텐츠 서비스 시스템에서 금요일에 제공하는 놀이학습 콘텐츠 웹진으로서, 도 10e에 도시된 바와 같이, 행복한 주말(감성미션) 콘텐츠가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행복한 주말을 계획할 수 있도록 나들이 정보, 가까운 놀이터나 공원에서 할 수 있는 놀이, 상황에 따라 할 수 있는 놀이, 또는 유아와 함께 할 수 있는 간단한 요리 방법 등을 제공한다.
결국,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아부모용 놀이학습 콘텐츠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에 따르면, 유아부모가 부담을 느끼지 않는 간단하고 쉬운 놀이학습 콘텐츠를 구성하여 유아부모에게 제공함으로써 유아부모가 단시간 내에 습득하여 활용할 수 있고, 또한, 놀이학습 레벨을 호응도와 난이도를 반영하여 단계별로 조절함으로써, 각각의 유아에게 최적의 놀이학습을 제공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웹사이트
200: 사용자 단말
300: 놀이학습 교보재
110: 인터페이스 서버
120: 인증 서버
130: 사용자 DB
140: 유아부모용 놀이학습 콘텐츠 서비스 시스템
150: 놀이학습 DB
160: 관리 DB
141: 데이터 처리부
142: 콘텐츠 구성부
143: 호응도 반영부
144: 난이도 조절부
145: 콘텐츠 출력부
146: 전문가 커뮤니티 연동부
147: 개인화 다이어리 제공부
148: 모바일 연동부
149-1: 이-메일 발송부
149-2: SMS 발송부
151: 놀이학습 콘텐츠 DB
152: 웹진 DB
153: 사진/동영상 DB
154: 출력자료 DB

Claims (10)

  1. 놀이학습 콘텐츠 서비스를 사용자 단말에게 제공하도록 웹사이트로 구현된 유아부모용 놀이학습 콘텐츠 서비스 시스템에 있어서,
    유아부모에게 제공되는 놀이학습 콘텐츠를 유아의 성별/연령별/선호도별로 처리하는 데이터 처리부;
    유아부모가 유아와 놀아주는 방법과 관련된 놀이학습 콘텐츠, 웹진, 사진/동영상 및 출력자료에 대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놀이학습 DB;
    상기 유아부모에게 제공된 놀이학습 콘텐츠에 대해 상기 유아부모로부터 피드백 받아 유아부모 및 유아의 호응도를 분석하여 상기 놀이학습 콘텐츠에 반영하는 호응도 반영부;
    상기 유아부모 및 유아의 호응도에 대응하여 상기 놀이학습 콘텐츠의 난이도를 단계별로 조절하는 난이도 조절부;
    상기 조절된 난이도가 반영되도록 상기 놀이학습 DB에서 검색되는 놀이학습 콘텐츠를 편집하여 구성하는 콘텐츠 구성부;
    상기 콘텐츠 구성부에서 구성된 놀이학습 콘텐츠를 사용자 단말에 적합한 형태로 출력하는 콘텐츠 출력부;
    상기 콘텐츠 출력부에서 출력된 놀이학습 콘텐츠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게 이-메일로 발송하는 이-메일 발송부; 및
    상기 콘텐츠 출력부에서 출력된 놀이학습 콘텐츠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게 SMS(Short Message Service)로 발송하는 SMS 발송부
    를 포함하는 유아부모용 놀이학습 콘텐츠 서비스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놀이학습 콘텐츠는 유아와 놀아주는 놀이순서, 멘트, 동영상을 포함하며, 신체/언어/수리/과학/음악/미술/감성/정서/놀이정보 영역 중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부모용 놀이학습 콘텐츠 서비스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놀이학습 콘텐츠는 전문가 커뮤니티와 연동하여 각각의 전문가로부터 검수를 받은 놀이학습 콘텐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부모용 놀이학습 콘텐츠 서비스 시스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놀이학습 DB는,
    상기 신체/언어/수리/과학/음악/미술/감성/정서/놀이정보 영역별 놀이학습 콘텐츠가 저장된 놀이학습 콘텐츠 DB;
    상기 사용자 단말에게 웹진 형식으로 제공되는 놀이학습 콘텐츠가 저장된 웹진 DB;
    상기 사용자 단말에게 사진/동영상 형식으로 제공되는 놀이학습 콘텐츠가 저장된 사진/동영상 DB; 및
    상기 콘텐츠 출력부에서 출력되는 상기 웹진 및 상기 사진/동영상 형식의 놀이학습 콘텐츠가 저장된 출력자료 DB
    를 포함하는 유아부모용 놀이학습 콘텐츠 서비스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아부모에게 해당 가족의 놀이 포트폴리오를 작성할 수 있도록 개인화 서비스 공간을 제공하는 개인화 다이어리 제공부
    를 추가로 포함하는 유아부모용 놀이학습 콘텐츠 서비스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은,
    인터넷 접속이 가능한 컴퓨터 단말로서, 웹브라우저가 설치된 제1 사용자 단말; 및
    무선인터넷 접속이 가능한 모바일 단말로서, 모바일 브라우저 또는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된 제2 사용자 단말
    을 포함하는 유아부모용 놀이학습 콘텐츠 서비스 시스템.
  7. 웹사이트로 구현된 유아부모용 놀이학습 콘텐츠 서비스 시스템에서 사용자 단말에게 제공하는 놀이학습 콘텐츠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a) 유아 부모가 설정한 유아의 성별/연령별/선호도별 사용자 정보를 검색하는 단계;
    b) 상기 사용자 정보에 대응하는 놀이학습 콘텐츠를 선정하는 단계;
    c) 사용자 단말을 통해 놀이학습 콘텐츠 사용후기에 대응하는 사용자 피드백이 있는지 확인하는 단계;
    d) 상기 사용자 피드백을 유아 및 유아부모 호응도로 반영하는 단계;
    e) 상기 유아 및 유아부모 호응도에 따라 상기 놀이학습 콘텐츠의 난이도를 조절하는 단계;
    f) 상기 선정된 놀이학습 콘텐츠 또는 상기 난이도가 조절된 놀이학습 콘텐츠를 웹진/사진/동영상으로 구성하는 단계; 및
    g) 상기 웹진/사진/동영상의 놀이학습 콘텐츠가 포함된 이-메일 또는 SMS(Short Message Service)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게 발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유아부모용 놀이학습 콘텐츠 서비스 제공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의 놀이학습 콘텐츠는 유아와 놀아주는 방법과 관련된 콘텐츠로서, 유아와 놀아주는 놀이순서, 멘트, 동영상을 포함하며, 신체/언어/수리/과학/음악/미술/감성/정서/놀이정보 영역 중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부모용 놀이학습 콘텐츠 서비스 제공 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에서 선정되는 놀이학습 콘텐츠는 전문가 커뮤니티와 연동하여 전문가로부터 검수를 받은 놀이학습 콘텐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부모용 놀이학습 콘텐츠 서비스 제공 방법.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의 사용자 단말은 웹브라우저가 설치된 PC이거나 모바일 브라우저가 설치된 이동통신 단말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부모용 놀이학습 콘텐츠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0110108538A 2011-10-24 2011-10-24 유아부모용 놀이학습 콘텐츠 서비스 시스템 및 그 제공 방법 KR2013004445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8538A KR20130044458A (ko) 2011-10-24 2011-10-24 유아부모용 놀이학습 콘텐츠 서비스 시스템 및 그 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8538A KR20130044458A (ko) 2011-10-24 2011-10-24 유아부모용 놀이학습 콘텐츠 서비스 시스템 및 그 제공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44458A true KR20130044458A (ko) 2013-05-03

Family

ID=486568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08538A KR20130044458A (ko) 2011-10-24 2011-10-24 유아부모용 놀이학습 콘텐츠 서비스 시스템 및 그 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44458A (ko)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18918A (ko) * 2017-08-16 2019-02-26 주식회사 디스럽션 온라인 놀이 매칭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WO2019160212A1 (ko) * 2018-02-13 2019-08-22 크레스 아동의 학습 발달을 기반으로 한 콘텐츠 추천 시스템 및 그 방법
WO2020130689A1 (ko) * 2018-12-19 2020-06-25 삼성전자 주식회사 놀이 컨텐츠를 추천하는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102196766B1 (ko) * 2019-08-09 2020-12-30 주식회사 아기잠연구소 인공 지능을 이용한 영유아 생활 패턴 분석 방법 및 시스템
KR102198225B1 (ko) * 2019-11-15 2021-01-04 박중규 교육 프로그램 생성 시스템 및 방법
KR102210649B1 (ko) * 2019-11-15 2021-02-01 박중규 교육 프로그램 진행 시스템 및 방법
KR102323601B1 (ko) * 2020-07-15 2021-11-09 주식회사 파이브센스 딥러닝 알고리즘을 이용한 빅데이터 분석 기반 영유아 성장발달 분석 시스템
KR20220011304A (ko) * 2020-07-21 2022-01-28 김해진 유아 학습 교구 지원시스템
KR20220051948A (ko) * 2020-10-20 2022-04-27 주식회사 제이피 키오스크 안전체험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KR20220153363A (ko) 2021-05-11 2022-11-18 이은미 스케줄에 따른 상황 맞춤형 외국어 학습 컨텐츠 제공장치 및 방법
KR102528760B1 (ko) * 2022-04-19 2023-05-03 한경은 유아용 단어학습 서비스 제공시스템
KR102645105B1 (ko) * 2023-06-02 2024-03-07 주식회사 아람북스 서적 기반의 아동 교육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18918A (ko) * 2017-08-16 2019-02-26 주식회사 디스럽션 온라인 놀이 매칭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WO2019160212A1 (ko) * 2018-02-13 2019-08-22 크레스 아동의 학습 발달을 기반으로 한 콘텐츠 추천 시스템 및 그 방법
WO2020130689A1 (ko) * 2018-12-19 2020-06-25 삼성전자 주식회사 놀이 컨텐츠를 추천하는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102196766B1 (ko) * 2019-08-09 2020-12-30 주식회사 아기잠연구소 인공 지능을 이용한 영유아 생활 패턴 분석 방법 및 시스템
KR102198225B1 (ko) * 2019-11-15 2021-01-04 박중규 교육 프로그램 생성 시스템 및 방법
KR102210649B1 (ko) * 2019-11-15 2021-02-01 박중규 교육 프로그램 진행 시스템 및 방법
KR102323601B1 (ko) * 2020-07-15 2021-11-09 주식회사 파이브센스 딥러닝 알고리즘을 이용한 빅데이터 분석 기반 영유아 성장발달 분석 시스템
KR20220011304A (ko) * 2020-07-21 2022-01-28 김해진 유아 학습 교구 지원시스템
KR20220051948A (ko) * 2020-10-20 2022-04-27 주식회사 제이피 키오스크 안전체험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KR20220153363A (ko) 2021-05-11 2022-11-18 이은미 스케줄에 따른 상황 맞춤형 외국어 학습 컨텐츠 제공장치 및 방법
KR20220166757A (ko) 2021-05-11 2022-12-19 이은미 스케줄에 따른 상황 맞춤형 외국어 학습 컨텐츠 제공장치 및 방법
KR102528760B1 (ko) * 2022-04-19 2023-05-03 한경은 유아용 단어학습 서비스 제공시스템
KR102645105B1 (ko) * 2023-06-02 2024-03-07 주식회사 아람북스 서적 기반의 아동 교육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044458A (ko) 유아부모용 놀이학습 콘텐츠 서비스 시스템 및 그 제공 방법
Bozarth Social media for trainers: Techniques for enhancing and extending learning
US10942991B1 (en) Access controls using trust relationships and simplified content curation
Martínez-López et al. Online brand communities
Johnson et al. The 2009 horizon report: K
Levy Facebook marketing: Designing your next marketing campaign
Lunenfeld Design research: Methods and perspectives
Lu et al. Usability of context-aware mobile educational game
Hill et al. Toward third generation threaded discussions for mobile learning: opportunities and challenges for ubiquitous collaborative environments
US20090144808A1 (en) Collaborative Learning Space Portal
US11870785B2 (en) Computerized platform facilitating communication between end-users
Joshi et al. Micromentor: Peer-to-peer software help sessions in three minutes or less
Pham et al. Vietnamese pre-schoolers’ tablet use and early childhood learning: An ecological investigation
Erben et al. Using technology for foreign language instruction: Creative innovations, research, and applications
KR20180039019A (ko) 상황-특정 기록 프레임워크와 관련된 방법 및 시스템
Mason The dimensions of the mobile visitor experience: Thinking beyond the technology design
Koch et al. Digital probes kit: A concept for digital probes
AlSondos et al. Organizing event ubiquitous with a proposed event mobile application in bahrain
KR102326261B1 (ko) 마이크로러닝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Pierce et al. How Do Communication Modalities Influence Intergenerational Communication?
Utecht Reach: Building communities and networks for professional development
Xianwei et al. Qzone Weblog for Critical Peer Feedback to Improve Business English Writing: A Case of Chinese Undergraduates.
Kuklo The future of podcasting: Envisioning an audio stories community for listeners and creators, where they connect through similar interests and share inspiring content.
Ganci Redefining the Textbook: A user-centered approach to the creation, management and delivery of digital course content in higher education
Pintado Connection generation: How connection determines our place in society and busines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