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26261B1 - 마이크로러닝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 Google Patents

마이크로러닝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26261B1
KR102326261B1 KR1020190021344A KR20190021344A KR102326261B1 KR 102326261 B1 KR102326261 B1 KR 102326261B1 KR 1020190021344 A KR1020190021344 A KR 1020190021344A KR 20190021344 A KR20190021344 A KR 20190021344A KR 102326261 B1 KR102326261 B1 KR 1023262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learning
microlearning
user
ser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213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03237A (ko
Inventor
조영탁
김남훈
이현욱
안재환
변재명
Original Assignee
(주)휴넷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휴넷 filed Critical (주)휴넷
Priority to KR10201900213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26261B1/ko
Publication of KR202001032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032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62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62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06Q50/205Education administration or guidance
    • G06Q50/2057Career enhancement or continuing education servi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1Social network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30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마이크로러닝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러닝장치는, 온라인 학습을 위한 소셜러닝(Social Learning) 서비스에 가입된 사용자 그룹에 속하는 복수의 사용자에게 사용자 그룹의 고유 정보에 의해서 식별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복수의 단말장치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 인터페이스부 및 사용자 그룹별로 정해진 미리 제작된 사용자 맞춤형 마이크로러닝 콘텐츠를 복수의 단말장치로 제공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마이크로러닝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Apparatus for Micro Learning and Driv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마이크로러닝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사용자 자체 콘텐츠, 제공자 콘텐츠, 공유 콘텐츠를 활용하여 맞춤형 마이크로러닝 콘텐츠를 제작하고, 이를 배포하고, 관리하는 마이크로러닝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에 관한 것이다.
마이크로러닝은 효과적인 학습을 위한 인적자원개발(HRD)의 근본적인 고민이다. 이를 실현하기 위하여 많은 형태의 교육 방식이 시도되어 왔는데, 이런 변화의 근본적인 고민은 학습에 대한 요구에 어떻게 대응하는 것이 효과적인가와, 어떻게 하면 학습자에 몰입을 유도하고 실질적인 변화를 가지고 올 수 있는가이다. 최근 미디어와 IT 기술의 발달은 이러한 질문에 대한 답을 내는데 영향을 주었다. 최근의 변화로 인해 학습자는 학습이 필요한 순간 검색을 통해서 빠르게 쉽게 즉시 학습하기 원하며, 핵심을 담은 실질적인 학습을 하고자 한다. 이러한 요구 변화에 맞추어서 HRD에도 변화의 바람이 불고 있으며, 미국교육훈련협회(ATD)의 최근 몇 년간의 최대 화두인 마이크로러닝이 그 대안으로 제시되고 있다.
기본적으로 마이크로러닝은 5~7분의 짧은 콘텐츠를 의미한다. 하지만, 단순히 짧은 형태의 콘텐츠만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1개의 콘텐츠마다 1개의 명확한 컨셉과 1개의 행동 변화를 유도하기 위한 목적으로 구성되어야 한다. 또한, 마이크로러닝은 모바일 시대에 적합한 콘텐츠 유형이기 때문에 대세로 자리잡고 있다. 모든 것이 모바일 중심으로 변해가는 메가트렌드는 콘텐츠 소비 유형에도 큰 변화를 가져왔다. 사람들은 이제 정보 습득을 위한 미디어로 90% 이상을 스크린을 가지고 있는 전자기기에 의존하고 있으며, 그 중 59.6%가 모바일을 가장 선호한다고 밝힌 바 있다. 더욱이 하루에 평균 3시간44분을 모바일을 통해 콘텐츠를 소비하고 있다.
또한, 마이크로러닝이 주목받는 것은 기업의 주력이 되고 있는 밀레니얼 세대의 학습성향과 콘텐츠 소비가 기존 세대와 다른 양상을 보이고 있기 때문이기도 하다. 1980년대 이후 태어난 밀레니얼 세대는 멀티 태스킹과 디지털에 친숙한 성향을 가지고 있으며, 이들이 이제 기업 내 주력 세대가 되었다. 짤, 짤방, 짤강(여기서, 짤은 짧음을 의미하는 단축접두사임)에 익숙한 밀레니얼 세대는 콘텐츠에 집중할 수 있는 시간이 평균 43.1초로서 짧지만 강력한 콘텐츠를 선호한다. 또, 밀레니얼 세대는 수동적으로 공급받는 콘텐츠만을 소비하지 않고 능동적으로 원하는 콘텐츠를 찾아서 소비하는 특성을 보이고 있다.
이러한 성향의 밀레니얼 세대가 현재 노동인력의 절반을 차지하고, 10년 뒤면 75%를 차지하게 된다. 종래의 마이크로러닝을 위한 콘텐츠 제작은 아직 걸음마 단계에 있으며, 따라서 이들을 겨냥한 효율적인 또는 효과적인 마이크로러닝의 생산은 곧 노동 생산력으로 직결될 수 있어 최근 시장에서 특히 주목받고 있다.
선행문헌 1 : 등록특허 제10-1302583호(2013년 08월 27일) 선행문헌 2 : 공개특허 제10-2016-0098831호(2016년 08월 19일)
학위논문 1: 박야성, 마이크로 러닝을 위한 콘텐츠 개발 방법 연구, 한국방송통신대학교 대학원(2016년)
본 발명의 실시예는, 교육 과정 설계자가 교육 콘텐츠를 사용자별 맞춤형으로 제작할 수 있고, 제작된 콘텐츠를 간편하게 배포할 수 있으며, 콘텐츠를 이용하는 사용자를 손쉽게 관리할 수 있는 마이크로러닝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러닝장치는, 온라인 학습을 위한 소셜러닝(Social Learning) 서비스에 가입된 사용자 그룹에 속하는 복수의 사용자에게 상기 사용자 그룹에 할당된 고유 정보에 의해서 식별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복수의 단말장치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 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사용자 그룹에 속하는 복수의 사용자에게만 상기 식별된 서비스를 제공하고, 상기 사용자 그룹에 속하지 않는 복수의 사용자에게는 상기 식별된 서비스가 노출되지 않도록 상기 식별된 서비스에 포함된 마이크로러닝 콘텐츠를 상기 복수의 단말장치로 제공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이 경우에, 상기 복수의 단말장치는, 서비스 사용자에 의해서 제작된 사용자 콘텐츠, 서비스 제공자에 의해서 제작된 공급자 콘텐츠 및 외부업체의 공유 콘텐츠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콘텐츠를 사용하여 상기 마이크로러닝 콘텐츠를 구성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상기 사용자 콘텐츠, 상기 공급자 콘텐츠 및 상기 공유 콘텐츠 중에서 필수 콘텐츠, 관심 콘텐츠, 심화 콘텐츠를 순차적으로 필터링하여 상기 복수의 단말장치로 제공한다.
한편,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별로 학습 요구를 반영하여 상기 마이크로러닝 콘텐츠를 이용해 사용자마다 개인화된 학습 과정을 구성한다.
한편,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그룹에 속하는 사용자가 특정 주제에 관한 기 제작된 마이크로러닝 콘텐츠를 외부 서비스 제공자에 의해서 운영되는 사회 관계망 서비스를 통해서 공유한다.
한편,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의 제작 요청에 따라 파일 등록, 서브 콘텐츠 삽입 등록, 설문 등록, 퀴즈 등록, 외부 링크 등록, 텍스트 등록 및 동영상 등록 중 적어도 하나를 실행하여 상기 마이크로러닝 콘텐츠를 구성하는 구성 요소로 등록시키는 콘텐츠 빌더를 포함한다.
이 경우에, 상기 제어부는, 상기 마이크로러닝 콘텐츠에 상기 구성 요소 등록이 완료되면, 사용자로부터 학습 기간, 학습하는 순서, 수료 기준, 학점 및 대상자 등의 정보를 전달받아서 상기 마이크로러닝 콘텐츠에 대한 학습 설정을 완료한다.
이 경우에,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학습 설정이 완료된 상기 마이크로러닝 콘텐츠에 대한 학습자가 임의로 지정되고, 지정된 학습자의 단말장치가 상기 마이크로러닝장치에 접속되면, 상기 지정된 학습자의 단말장치에 상기 마이크로러닝 콘텐츠에 교육 참여 정보를 제공한다.
한편, 상기 제어부는, 상기 구성 요소 등록이 완료된 상기 사용자 맞춤형 마이크로러닝 콘텐츠의 개설 현황을 콘텐츠 개설자의 요청에 따라 상기 콘텐츠 개설자의 단말장치에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러닝장치의 구동방법은 온라인 학습을 위한 소셜러닝(Social Learning) 서비스에 가입된 사용자 그룹에 속하는 사용자인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그룹에 할당된 고유 정보에 근거하여 가입 서비스를 식별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그룹에 속하는 복수의 사용자에게만 상기 식별된 가입 서비스를 제공하고, 상기 사용자 그룹에 속하지 않는 복수의 사용자에게는 상기 식별된 가입 서비스가 노출되지 않도록 상기 식별된 가입 서비스에 포함된 마이크로러닝 콘텐츠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는, 마이크로러닝장치의 구동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러닝장치의 구동방법은 온라인 학습을 위한 소셜러닝(Social Learning) 서비스에 가입된 사용자 그룹에 속하는 사용자인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그룹에 할당된 고유 정보에 근거하여 가입 서비스를 식별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그룹에 속하는 복수의 사용자에게만 상기 식별된 가입 서비스를 제공하고, 상기 사용자 그룹에 속하지 않는 복수의 사용자에게는 상기 식별된 가입 서비스가 노출되지 않도록 상기 식별된 가입 서비스에 포함된 마이크로러닝 콘텐츠를 제공하는 단계를 실행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교육 과정 설계자가 교육 콘텐츠를 사용자별 맞춤형으로 제작할 수 있고, 제작된 콘텐츠를 간편하게 배포할 수 있으며, 콘텐츠를 이용하는 사용자를 손쉽게 관리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한다.
또한, 다양한 종류의 소스 콘텐츠를 큐레이션 기능을 통해 개인화된 학습 경험을 가능하게 하여 학습 효과의 상승을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셜러닝 서비스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소셜러닝 서비스의 서비스 상품의 종류를 예시하여 나타낸 도면,
도 3은 도 1의 단말장치의 화면 구성과 대표적인 기능을 도식화하여 나타낸 도면,
도 4는 도 1의 마이크로러닝장치에서 제공하는 관리자 메뉴를 예시한 도면,
도 5는 도 1의 마이크로러닝장치에 제공하는 게이미피케이션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도 1의 마이크로러닝장치에서 제공하는 개인 맞춤형 학습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기업별 활용 사례를 보여주는 도면,
도 8은 도 1의 마이크로러닝장치의 구조를 예시하여 나타낸 블록다이어그램,
도 9는 도 1의 마이크로러닝장치의 다른 구조를 예시하여 나타낸 블록다이어그램,
도 10은 도 9의 제어부의 구조를 예시하여 나타낸 블록다이어그램,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러닝장치의 구동과정을 나타내는 도면,
도 12(a) 내지 (e)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마이크로러닝장치에 의한 사용자 맞춤형 콘텐츠의 제공 방법 중 러닝투어 과정을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도면,
도 13(a) 내지 13(i)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마이크로러닝장치에 의한 사용자 맞춤형 콘텐츠의 구성 요소를 추가하는 과정을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도면,
도 14(a) 및 14(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마이크로러닝장치에 의한 사용자 맞춤형 콘텐츠의 학습 설정 과정을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도면,
도 15(a) 및 (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마이크로러닝장치의 러닝투어 매니저를 실행한 예시적인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
도 1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맞춤형 마이크로러닝 콘텐츠 제공 웹 서버를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블럭다이어그램, 그리고,
도 1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맞춤형 마이크로러닝 콘텐츠 제공 웹 서버의 운영방법의 일 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도면.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 실시예 1 : 마이크로러닝장치>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셜러닝 서비스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소셜러닝 서비스의 서비스 상품의 종류를 예시하여 나타낸 도면이며, 도 3은 도 1의 단말장치의 화면 구성과 대표적인 기능을 도식화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또한, 도 4는 도 1의 마이크로러닝장치에서 제공하는 관리자 메뉴를 예시한 도면, 도 5는 도 1의 마이크로러닝장치에 제공하는 게이미피케이션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도 1의 마이크로러닝장치에서 제공하는 개인 맞춤형 학습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그리고 도 7은 기업별 활용 사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셜러닝 서비스 시스템(90)은 단말장치(100), 통신망(110) 및 마이크로러닝장치(120)의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한다"는 것은 통신망(110)과 같은 일부 구성요소가 생략되어 단말장치(100)와 마이크로러닝장치(120)가 P2P(Peer to Peer) 다이렉트 통신을 수행하거나, 단말장치(100)가 스탠드 얼론(stand alone) 형태로 사용자와의 인터페이스에 의해 동작할 수 있는 것 등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발명의 충분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전부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한다.
단말장치(100)는 학습자의 학습을 위한 다양한 장치를 포함한다. 단말장치(100)는 스마트폰과 같은 휴대폰, 랩탑 컴퓨터, 태블릿 PC, 데스크탑 컴퓨터, 웨어러블 장치, 나아가 PDP나 스마트 TV 및 MP3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단말장치(100)는 마이크로러닝장치(120)에 접속하여 다양한 학습 기능을 제공하는 소셜러닝 서비스를 제공받는다. 여기서, 소셜러닝은 앨버트 반두라의 사회적 학습 이론을 근거로 하여 마이크로러닝장치(120)에 구축된 서비스를 의미한다. 소셜러닝을 통한 학습 효과를 증대시키기 위해 사회적 상호작용(참여, 공유, 개발, 협업)을 구현하고자 다양한 소셜 기능 즉 연결하기(Connecting), 실행하기(Doing), 공유하기(Sharing) 등을 단말장치(100)와 같은 IT 기술을 통해 구현한 것이다.
단말장치(100)는 예컨대 마이크로러닝장치(120)에서 제공하는 서비스에 접속하여 다양한 루트(route)로 제공되는 마이크로러닝 콘텐츠를 이용함으로써 학습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서비스의 이용은 사실 개인보다는 기업 차원에서 연수원 교육 등을 위해 활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단말장치(100)는 특정 기업에 소속되어 있는 기업인(임원, 사원 등)의 신분을 가진 사용자의 단말장치인 것으로 이해하면 좋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그것에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을 것이다. 다만, 이하에서는 기업인과 기업의 관리자를 전제로 설명이 많이 다루어질 것이기 때문에 이를 감안하면 발명의 이해에 더욱 도움이 된다.
또한, 단말장치(100)가 소셜러닝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하여 마이크로러닝장치(120)에 접속하는데, 이 마이크로러닝장치(120)는 소셜러닝 서비스를 전문으로 제공하는 서비스 업체의 서버일 수 있고, 또 그 서비스 업체에서 기업에 소프트웨어 모듈을 제공하여 운영되는 기업의 서버 등 다양한 형태로 운영되는 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전문업체에서 플랫폼의 형태로 제공하는 서비스를 전제로 설명할 것이기 때문에 이를 전제로 발명을 이해하면 더욱 좋다.
다시 말해서, 단말장치(100)를 통해 특정 기업의 관리자 또는 담당자가 마이크로러닝장치(120)를 운영하는 전문업체의 서비스에 가입하고, 그 가입에 따라 할당된 서비스 공간(예: 웹 기반 교육 서비스(사이버 연수원), 앱 기반 교육 서비스(모바일 연수원) 등)에 접속하여 기업의 직원들이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따라서, 단말장치(100)는 특정 기업의 관리자의 단말일 수 있고, 또 특정 직원의 단말일 수 있다. 다만, 단말장치(100)가 영상의 표시가 가능한 장치이면 더욱 좋다.
단말장치(100)는 소셜러닝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하여 최초, 서비스 상품에 가입을 신청할 수 있다. 이러한 가입 과정은 단말장치(100)를 통해 진행될 수 있지만 유선전화, 업체 방문 등 다양한 방법으로 진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제공되는 기능에 따라 3가지 종류(유형)의 상품이 제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소셜러닝 교육 서비스의 종류를 베이직(Basic), 어드밴스(Advance), 프로(Pro)로 예시적으로 명명한다. 서비스의 종류에 따라 서비스 비용은 상이하며, 기능도 상이하다. 여기서 가장 큰 특징은 소셜러닝임을 감안해 볼 때, 서비스를 통해 제공되는 마이크로러닝 콘텐츠의 제공범위가 다른 것이라 볼 수 있다. 따라서 학습자들이 활용 가능한 마이크로러닝 콘텐츠의 사용범위는 다르다.
예를 들어, 서비스 사용자가 베이직 서비스에 가입되면 자사에서 제작한 수요자 제작 콘텐츠를 활용할 수 있는 소셜러닝 플랫폼 서비스가 제공된다. 베이직 서비스에서는 자체 콘텐츠를 업로드하는 기능과 이를 이용하여 학습 콘텐츠를 구축하는 것이 가능하며, 소셜러닝 기능을 제공한다.
서비스 사용자가 어드밴스 서비스에 가입되면, 서비스 제공자 콘텐츠를 활용할 수 있게 된다. 서비스 제공자 콘텐츠는 다양한 마이크로러닝 콘텐츠를 제작하기 위한 소스 콘텐츠를 포함하고 있다. 또한 어드밴스 서비스의 경우에는 콘텐츠 큐레이션 및 학습 관리 기능을 제공한다. 뿐만 아니라 어드밴스 서비스의 경우에는 소셜러닝 및 개인 맞춤 학습 기능을 제공한다.
서비스 사용자가 프로 서비스에 가입되면, 서비스 사용자 콘텐츠, 서비스 제공자 콘텐츠 뿐만 아니라 외부에서 공유 가능한 각종의 콘텐츠까지 활용할 수 있다. 프로 서비스의 경우에는 사용자 콘텐츠, 제공자 콘텐츠, 공유 콘텐츠를 활용함으로써 보다 풍부하고 다양한 종류의 콘텐츠에 접근하여 이를 마이크로러닝 콘텐츠를 구축하는데 활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프로 서비스는 서비스 가입 회사에 맞춤식 마이크로러닝 커리큘럼이 가능하고, 소셜러닝, 개인 맞춤학습, 콘텐츠 빌더 기능을 제공한다.
마이크로러닝 콘텐츠를 제작하는 외부업체들과 사회관계망(Social Network Service)을 통해 자료를 제공받거나 공유할 수 있고, 또 이에 의해 소셜러닝 서비스가 구축된다.
물론, 도 3에서와 같이 단말장치(100)에 제공되는 기능은 (a) 내지 (c)에서와 같은 교육과정의 신청/변경, 학습패턴 관리 및 관리자 페이지를 통한 학사관리 기능을 기본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기본적인 기능을 기반으로 기업마다 편집하기에 따라 다양한 항목이 추가되거나 삭제될 수 있고, 또 어떠한 서비스 상품에 가입했느냐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기능이 추가됨으로써 기업에 독자적인 즉 맞춤화된 서비스가 구축됨으로써 단말장치(100)는 이의 서비스를 이용하게 된다.
도 1에서의 단말장치는 도 3에서와 같이 컴퓨터(100-1)와 모바일장치(100-2)를 포함한다. 도 2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HRD와 IT 요소를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기업의 마이크로러닝을 효율적으로 구현하기 위한 다양한 기능들이 집합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단말장치(100)는 그 유형에 따라 서로 다른 메인화면의 구성과 기능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메인화면의 레이아웃은 화면의 전체구성이든 마이크로러닝 콘텐츠의 교과구성이든 도 3에서의 서비스 상품에 따라 또 다를 수 있다. 무엇보다 컴퓨터(100-1)는 기업의 브랜드아이덴티티에 맞추어서 색상을 변경가능하고, 학습메뉴에 따른 디자인 커스트마이징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이러한 메인화면, 가령 홈페이지의 메인화면은 콘텐츠 중심의 트렌디한 웹디자인으로, 마이크로러닝 콘텐츠를 한눈에 파악하기 쉽게 전면에 콘텐츠를 강조하여 제시하고, 세련된 썸네일과 레이아웃으로 구성된다는 것이 특색이다. 여기서, 썸네일은 일종의 대표 이미지를 의미한다. 반면 모바일장치(100-2)의 경우에는 가장 효과적이고 직관적으로 학습 내용을 확인하고 시청할 수 있는 최적의 UX/UI가 적용되고 있다. UX/UI는 가장 직관적이고 효과적인 학습 환경을 제공하기 위하여 다양한 노하우가 접목되어야 하는 부분이기도 하다.
또한, 단말장치(100)는 관리자 페이지를 통해 손쉽게 커스트마이징이 가능하다. 이를 통해 다양한 학습 기능이 모듈화되어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즉 모든 학습 기능과 메뉴는 모듈화되므로 관리자 메뉴에서 클릭 한번으로 필요한 학습 기능을 설정하고 취소할 수 있으며, 즉시 홈페이지에 반영된다. 이를 활용하여 기업에서는 자사에 필요한 학습 기능을 설정하고 편리하게 학습을 운영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단말장치(100)에는 도 4에서와 같이 마이크로러닝에 최적화된 관리자 기능이 제공될 수 있다. 자기만의 마이크로러닝 과정을 만들 수 있는 콘텐츠 빌더를 이용할 수 있다. 도 4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관리자 기능은 크게 학습 현황을 관리하는 대시보드(UI_1)와, 관리자가 나만의 과정을 구성해서 발행하는 콘텐츠 빌더(UI_2)로 구성되어 있다. 관리자는 콘텐츠 빌더(UI_2)를 활용하여 자체 개발 콘텐츠, 서비스 제공업체(예: 휴넷)의 제공 콘텐츠, 외부 클라우드소싱 콘텐츠를 조합하여 새로운 커리큘럼 즉 교과와 과정을 개설하여 지정된 학습자에게 발행할 수 있게 된다. 이를 통해 자사만의 전문직무 교육, 상품 교육을 모바일장치(100-2) 등을 통해 제작하여 마이크로러닝장치(120)에 등록함으로써 손쉽게 마이크로러닝을 구현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단말장치(100)는 마이크로러닝장치(120)로부터의 소셜러닝 서비스를 통해 도 5에서와 같은 게이미피케이션(gamification) 기능을 이용할 수 있으며, 도 6에서와 같이 개인 맞춤형 학습 기능을 이용할 수 있다. 도 5에서와 같이 단말장치(100)의 사용자는 학습에 대한 재미와 성취감 고취를 통한 자발적 학습문화를 조성하기 위한 제공되는 다양한 게이미피케이션 요소를 통해 학습의욕을 고양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단말장치(100)의 사용자는 빅 콘텐츠와 빅 프로세싱(processing)을 통해 개인 맞춤형 학습을 위한 큐레이션 기능(예: 어드벤스, 프로 상품에 한함)을 활용하여 개인 맞춤형 학습을 수행할 수 있다. 대략 1만 개의 마이크로러닝 켄텐츠 풀을 활용할 수 있게 됨으로써 개인 맞춤형 학습 서비스를 십분 이용할 수 있다. 예컨대, 단말장치(100)의 사용자 가령 연수원의 담당자는 도 6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기업에서 직급, 주제별로 필수학습이 필요한 콘텐츠를 선정하여 필수교육에 반영할 수 있고, 개인별 관심 주제에 따른 최적의 콘텐츠를 추천 및 매칭하여 관심 주제별 매칭을 수행할 수 있으며, 학습 이후 연관 주제에 대한 심화 콘텐츠를 자동으로 추천하여 심화학습을 추전할 수 있다.
도 7은 기업별 활용 사례를 보여주는 도면으로, 도 7의 (a) 내지 (d)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기업별로 가령 가입된 서비스 상품에 따라, 다양한 기능이 제공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 위의 다양한 기능을 통해 기업마다 맞춤화된 화면의 레이아웃을 구현하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통신망(110)은 유무선 통신망을 모두 포함한다. 가령 통신망(110)으로서 유무선 인터넷망이 이용되거나 연동될 수 있다. 여기서 유선망은 케이블망이나 공중 전화망(PSTN)과 같은 인터넷망을 포함하는 것이고, 무선 통신망은 CDMA, WCDMA, GSM, EPC(Evolved Packet Core), LTE(Long Term Evolution), 와이브로(Wibro) 망 등을 포함하는 의미이다. 물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망(110)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향후 구현될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의 접속망으로서 가령 클라우드 컴퓨팅 환경하의 클라우드 컴퓨팅망 등에 사용될 수 있다. 가령, 통신망(110)이 유선 통신망인 경우 통신망(110) 내의 액세스포인트(AP)는 전화국의 교환국 등에 접속할 수 있지만, 무선 통신망인 경우에는 통신사에서 운용하는 SGSN 또는 GGSN(Gateway GPRS Support Node)에 접속하여 데이터를 처리하거나, BTS(Base Station Transmission), NodeB, e-NodeB 등의 다양한 중계기에 접속하여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다.
통신망(110)은 액세스포인트를 포함할 수 있다. 액세스포인트는 건물 내에 많이 설치되는 펨토(femto) 또는 피코(pico) 기지국과 같은 소형 기지국을 포함한다. 여기서, 펨토 또는 피코 기지국은 소형 기지국의 분류상 단말장치(100)를 최대 몇 대까지 접속할 수 있느냐에 따라 구분된다. 물론 액세스포인트는 단말장치(100)와 지그비 및 와이파이(Wi-Fi) 등의 근거리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근거리통신 모듈을 포함한다. 액세스포인트는 무선통신을 위하여 TCP/IP 혹은 RTSP(Real-Time Streaming Protocol)를 이용할 수 있다. 여기서, 근거리 통신은 와이파이 이외에 블루투스, 지그비, 적외선(IrDA), UHF(Ultra High Frequency) 및 VHF(Very High Frequency)와 같은 RF(Radio Frequency) 및 초광대역 통신(UWB) 등의 다양한 규격으로 수행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액세스포인트는 데이터 패킷의 위치를 추출하고, 추출된 위치에 대한 최상의 통신 경로를 지정하며, 지정된 통신 경로를 따라 데이터 패킷을 다음 장치, 예컨대 마이크로러닝장치(120)로 전달할 수 있다. 액세스포인트는 일반적인 네트워크 환경에서 여러 회선을 공유할 수 있으며, 예컨대 라우터(router), 리피터(repeater) 및 중계기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마이크로러닝장치(120)는 단말장치(100)의 요청에 따라 소셜러닝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를 위하여, 마이크로러닝장치(120)는 소셜러닝 서비스를 위한 시스템을 구축하되, 학습 효율을 극대화하기 위하여 마이크로러닝 콘텐츠를 서비스에 적극 활용한다. 마이크로러닝장치(120)는 가령 기업에 마이크로러닝의 효과적인 도입을 위하여 전용 콘텐츠를 공급함은 물론 이를 효과적으로 학습하기 위한 소셜러닝과 맞춤형 학습 기능을 제공한다. 또한, 마이크로러닝 학습 현황을 효과적으로 관리하고 내부 가령 기업의 자체 콘텐츠를 업로드할 수 있는 관리 기능을 제공한다.
다시 말해, 마이크로러닝장치(120)는 3C(Create, Curation, Cloud sourcing) 전략에 기반한 마이크로러닝 전용 콘텐츠를 제공하고, 학습 내용의 공유 및 의견 개진, 학습자간 토론 지원을 통한 소셜러닝 구현, 개인 맞춤형 큐레이션 콘텐츠를 제공하여 학습 효과성과 학습에 대한 흥미를 향상하며, 마이크로러닝 학습 현황 보고서 및 내부 개발 콘텐츠를 손쉽게 업로드하고 과정으로 변화하는 콘텐츠 빌더를 제공하는 것이다. 여기서, 콘텐츠 빌더는 일종의 SW 모듈에 해당된다고 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의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솔루션 즉 프로그램을 사회 적응적 마이크로러닝(Social & Adaptive Micro-learning)(이하, SAM)이라 명명한다. 솔루션 SAM(혹은 프로그램, 모듈 등)은 기업의 효과적인 마이크로러닝 구현을 위하여 3C 콘텐츠를 제공한다. Create는 (기업) 자체개발 콘텐츠의 활용을 의미하고, Curation은 서비스제공업체 즉 휴넷의 마이크로러닝 콘텐츠 제공을 의미하며, Cloud sourcing은 유튜브, 테드, 비메오 등의 외부 콘텐츠 활용을 의미한다.
마이크로러닝장치(120)의 솔루션 SAM은 소셜러닝을 위한 다양한 학습기능을 제공하며 학습 효과를 높이는 것은 물론 702010 모델을 구현하도록 돕는다. 여기서, 702010 모델이란 영국의 석학 찰스 제닝스와 네덜란드의 저명한 컨설턴트 요세 아레츠는 인재육성의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제시한 이론을 의미한다.
마이크로러닝장치(120)는 개인의 관심사와 학습 필수 주제에 대한 큐레이션을 통하여 개인 맞춤형 학습을 구현한다. 개인 관심과 계층별 특성, 요구를 반영하여 맞춤형 학습 콘텐츠를 스스로 제시하는 것이다. 예컨대, 성별/직급/나이/관심주제카테고리가 반영되고, SAM 활용기업의 학습정보 빅 데이터를 기반으로 관심 콘텐츠 추천, 사회/경제 최신 이슈별 콘텐츠 매칭을 기능을 제공한다. 마이크로러닝장치(120)는 개인 맞춤형 학습을 위한 콘텐츠를 구성하기 위하여 개인관심주제반영, 교육필요주제반영, 필수교육제공 및 트렌드/인사이트의 항목으로 구분하고, 각 항목을 막대그래프의 형태로 사용자에게 제시해줄 수 있다. 여기서, 콘텐츠의 구성비는 학습자의 여러 정황에 따라 조정될 수 있다. 상기의 결과, 관심 및 역량 차이를 고려한 개인 맞춤형 학습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마이크로러닝장치(120)의 솔루션 SAM은 큐레이션 기능을 통하여 개인화된 학습 경험을 통해 학습 효과의 상승을 기대할 수 있다. 마이크로러닝은 개인화된 학습 경험을 제공함으로써 기존의 정형학습에 비해 우월한 학습 효과를 얻을 수 있음이 다수의 연구 결과를 통해 증명되었는데, 솔루션 SAM은 이를 기반으로 구축되었다. 마이크로러닝장치(120)는 솔루션 SAM를 통해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개인 맞춤형 학습의 효과에 대한 연구결과를 간략히 소개하면, 미국 CDE의 조사에 따르면 마이크로러닝을 활용한 개인 맞춤형 학습은 학습 효과와 지속성에서 기존 학습 대비 우수함이 증명되었다. 이에 근거하여, 마이크로러닝장치(120)는 마이크로러닝의 분절된 콘텐츠를 활용하여 개인의 학습 요구에 따라 개인화된 커리큘럼을 구성하고 원하는 시점에 학습을 제공하여 개인 맞춤형 학습이 구현 가능할 수 있었다.
단말장치(100)를 설명하면서 이미 언급한 바 있지만, 마이크로러닝장치(120)와 관련된 부분만 좀더 자세히 기술한다. 마이크로러닝장치(120)는 각 기업들에 대한 소셜러닝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물론 해당 솔루션을 기업의 서버에 로딩하는 방식으로 서비스를 운영하는 것도 얼마든지 가능하지만, 이는 앞서 언급한 바 있으므로, 논지를 흐릴 수 있어 생략하도록 한다.
각 기업들의 소셜러닝 서비스는 각 기업의 (연수원) 홈페이지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으며, 기업 홈페이지의 일부에 해당 사이트, 즉 마이크로러닝장치(120)로 접속할 수 있도록 어떠한 형태로든 서비스를 안내할 수도 있다. 따라서, 각 기업의 사용자들은 자사 홈페이지의 메뉴에서, 또는 메인화면의 일부에 표시된 항목을 선택하여 마이크로러닝장치(120)에서 제공하는 서비스에 접속할 수 있을 것이다.
마이크로러닝장치(120)는 각 기업이 가입한 서비스 상품에 상응하는 솔루션이 구축되고, 이를 기반으로 서비스가 제공된다. 베이직 상품의 경우는 전용 콘텐츠 업로드와 CDN 제공으로 자사만의 콘텐츠를 안전하게 업로드하고 관리(손쉬운 콘텐츠 업로드), 마이크로러닝에 최적화된 전용 사이트를 통해서 직무 교육, 상품 교육 등 자사 맞춤형 콘텐츠를 손쉽게 제공(자사 맞춤 콘텐츠 학습) 및 PC와 전용 어플리케이션으로 언제 어디서든 학습을 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여 학습과 현업의 거리를 줄이는 기능(PC/모바일 학습)을 기반으로 솔루션이 구축된다. 이는 제1 솔루션 또는 제1 프로그래밍부라 명명될 수 있다.
반면, 어드벤스 상품의 경우, 기업의 마이크로러닝을 도입하기 위해 필요한 콘텐츠와 학습 기능 전반을 제공하고, 휴넷이 개발한 마이크로러닝 전용 콘텐츠를 엄선하여 제공하며 자체 제작 콘텐츠를 포함한 모든 학습 이력을 확인하고 관리할 수 있으며, 콘텐츠 큐레이션 기능을 통해서 학습자 특성과 관심 주제에 따라 최적의 콘텐츠가 추천되는 기능을 기반으로 솔루션이 구축된다. 다시 말해, 개인/팀별 필수교육 및 관심 주제에 따라 맞춤형 콘텐츠를 추천(콘텐츠 큐레이션으로 맞춤 학습 제공)하고, 학습현황 및 관심 주제에 대한 데이터 분석을 통해 보고서 및 관리 기능을 제공(마이크로러닝 학습관리기능제공)하도록 구축되는 것이다. 이러한 솔루션은 제2 솔루션 또는 제2 프로그래밍부라 명명될 수 있다.
나아가, 프로 상품의 경우는 마이크로러닝 콘텐츠 빌더를 제공하여 자기 회사만의 마이크로러닝 과정을 손쉽게 구성하고 학습을 관리할 수 있다. 콘텐츠 빌더를 활용해서 자기 회사만의 마이크로러닝 과정을 설계하고 발행할 수 있게 된다. 자체개발콘텐츠, 휴넷이 제공하는 전용 콘텐츠 풀, 유튜브 등에 있는 외부 콘텐츠를 클릭 몇 번으로 모으고, 퀴즈나 진단 등을 엮어서 손쉽게 맞춤형 과정을 만들 수 있도록 제공하고 있다. 이는 제3 솔루션 또는 제3 프로그래밍부라 명명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가입된 서비스 상품의 종류에 따라 서로 다른 솔루션을 제공하고, 그에 따른 서비스를 제공하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반드시 상품별 서비스 가입을 요구하지 않고 하나의 서비스 상품을 제공하여 가격에 따라 다른 서비스 즉 기능을 제공하는 것도 얼마든지 가능하므로 위의 내용에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을 것이다.
결론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러닝장치(120)는 사용자가 가입한 서비스 상품의 종류에 따라 제공되는 마이크로러닝 콘텐츠의 사용 범위(혹은 제공 경로)를 제한하되, 여기서 사용 범위란 소셜러닝을 위한 마이크로러닝 콘텐츠의 활용 범위인 것이다. 즉 활용 범위는 회사 자체 제작 콘텐츠만 활용하느냐, 휴넷의 전용 콘텐츠를 활용하느냐, 외부의 업체로부터 제공받는 콘텐츠까지 활용하느냐에 관련된다. 사실, 기업 자체적으로도 콘텐츠야 다양한 경로를 통해 확보할 수는 있다. 다만, 가장 중요한 것은 그러한 콘텐츠를 사용자들이 잘 활용할 수 있도록 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이고, 물론 이는 학습 이론에 기초해야 하지만, 또 그 콘텐츠를 이용해 얼마나 학습효과를 높일 수 있는지에 있을 것이다. 이러한 점에서 솔루션 SAM의 활용은 매우 유익할 수 있을 것이다.
도 8은 도 1의 마이크로러닝장치의 구조를 예시하여 나타낸 블록다이어그램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마이크로러닝장치(120)는 통신 인터페이스부(800), 마이크로러닝처리부(810) 및 저장부(820)의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하며, 여기서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한다는 것은 앞서서의 의미와 동일한다.
통신 인터페이스부(800)는 마이크로러닝처리부(810)의 제어 하에 도 1의 통신망(110)을 경유하여 단말장치(100)와 통신한다. 통신 인터페이스부(800)는 통신모듈을 포함하며, 단말장치(100)와 통신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데이터의 변조 및 복조, 인코딩 및 디코딩, 음성과 영상 데이터 분리, 스케일링 등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부(80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소셜러닝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단말장치(100)로 제어신호 및 다양한 데이터를 제공하고, 이와 관련되는 정보 즉 제어신호 및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여 마이크로러닝처리부(810)에 제공하게 된다.
마이크로러닝처리부(810)는 마이크로러닝장치(120) 내의 통신 인터페이스부(800) 및 저장부(820)를 제어하고, 단말장치(100)로 소셜러닝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능을 담당한다. 예를 들어, 마이크로러닝처리부(810)는 제어기능과 소셜러닝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기능을 하나의 프로그램으로 구현할 수 있을 것이다. 가령,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솔루션 SAM에 제어기능을 담당하는 SW 모듈을 결합하여 구현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솔루션 SAM은 일종의 프로그램이고, 이러한 프로그램은 소셜러닝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각각의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복수의 SW 모듈로 구성될 수 있다. 물론 복수의 SW 모듈 중 일부는 하드웨어적으로 구현되는 것도 얼마든지 가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드웨어 메모리는 레지스트리라는 SW 모듈로 대체되는 것이 좋은 예이다. 따라서, 위의 솔루션 SAM은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는 것이 자명하므로, 어떠한 형태로 구성되느냐에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을 것이다.
물론 서비스 상품에 따라 솔루션 SAM은 그 SW 모듈들의 결합이 다를 수 있다. 따라서, 각각의 솔루션 SAM을 본 발명에서는 제1 프로그래밍부 내지 제3 프로그래밍부라 명명할 수 있다. 또한, 제1 프로그래밍부는 기능을 수행하는 단위별로 모듈부 또는 각 기능별 블록부로 구분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위에서 언급한 대로 SW 모듈은 하드웨어적으로 구현되는 것이 얼마든지 가능할 수 있고, 또 다양한 변경된 형태로 SW 모듈간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기 때문에 이를 한정하는 것은 기술 사상의 논지를 흐릴 수 있어, 편의상 생략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러닝처리부(810)는 앞서 도 1의 마이크로러닝장치(120) 부분에서 충분히 설명하였으므로, 자세한 내용은 그 내용들로 대신하고자 한다.
도 9는 도 1의 마이크로러닝장치의 다른 구조를 예시하여 나타낸 블록다이어그램이고, 도 10은 도 9의 제어부의 구조를 예시하여 나타낸 블록다이어그램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마이크로러닝장치(120')는 통신 인터페이스부(900), 제어부(910), 마이크로러닝실행부(920) 및 저장부(930)의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하며, 여기서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한다는 것은 앞서서의 의미와 동일하다.
도 8의 마이크로러닝장치(120)와 비교해 볼 때, 도 9의 마이크로러닝장치(120')는 하드웨어적으로 제어부(910)와 마이크로러닝실행부(920)로 구분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910)는 CPU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마이크로러닝실행부(92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솔루션 SAM을 저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910)는 단말장치(100)와의 통신에 의해 소셜러닝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마이크로러닝실행부(920) 내의 솔루션 SAM을 실행시킬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제어부(910)는 마이크로러닝실행부(920)를 제어하여 솔루션 SAM을 실행한 후 얻은 데이터를 저장부(930)에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910)가 단말장치(100)로부터 콘텐츠 빌더를 통해 편집된 편집 정보를 수신하면 이를 근거로 편집된 데이터를 저장부(930)에 저장하는 것이다.
마이크로러닝실행부(920)는 앞서서도 언급한 대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솔루션 SAM을 저장하고, 제어부(910)의 제어하에 이를 실행할 수 있다. 또한, 마이크로러닝실행부(920)는 이이피롬(EEPROM)의 형태로 구성되어 외부의 컴퓨터를 통해 솔루션 SAM을 갱신하는 등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솔루션 SAM은 프로그램이고, 이 프로그램은 SW 모듈들의 결합이므로, 구체적으로 SW 모듈을 구분하는 것은 큰 의미가 없다. 다만, 일부 SW 모듈은 하드웨어적으로 구성되는 것도 얼마든지 가능하므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어느 하나의 형태에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을 것이다.
나아가, 도 9의 제어부(910)는 원칩 형태를 이루어 구성되되, 도 10에서와 같이 CPU(1000) 외에 메모리(10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CPU(1000)는 제어회로, 연산을 수행하는 연산부(ALU) 및 주소정보 등을 임시저장하는 레지스트리 등을 포함한다. 메모리(1010)는 램(RAM)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0에서와 같은 구성에 따라, 마이크로러닝장치(120')는 장치의 초기 구동시, 마이크로러닝실행부(920)에 저장되어 있는 솔루션 SAM을 복사하여 메모리(1010)에 임시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단말장치(100)에서 소셜러닝 서비스를 요청할 때, 메모리(1010)에 저장된 솔루션 SAM을 실행함으로써 데이터 처리 속도를 증대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도 1의 마이크로러닝장치(120)는 하드웨어적으로든 소프트웨어적으로든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기 때문에, 도 9 및 도 10에서는 그 변형될 수 있는 대표적인 예를 제시하고 이를 설명한 것에 불과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어느 하나의 형태에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는 것이다.
그 이외에 기타, 도 9의 통신 인터페이스부(900), 제어부(910), 마이크로러닝실행부(920) 및 저장부(930)와 관련한 내용은 도 8의 통신 인터페이스부(800), 마이크로러닝처리부(810) 및 저장부(820)의 내용과 크게 다르지 않으므로 자세한 내용은 그 내용들로 대신하고자 한다.
< 실시예 2 : 마이크로러닝장치의 구동 방법>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러닝장치의 구동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설명의 편의상 도 11을 도 1과 함께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러닝장치(120)는 온라인 학습을 위한 소셜러닝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복수의 단말장치와 통신을 수행한다(S1101). 여기서, 복수의 단말장치는 특정 기업의 직원들이 사용하는 휴대폰이나 태블릿 PC 등을 의미할 수 있다.
마이크로러닝장치(120)는 마이크로러닝장치(120)는 가입된 서비스 상품의 종류에 따라 서비스의 사용 범위가 정해지고, 사용 범위 내에서 복수의 단말장치(100) 중 적어도 하나의 단말장치를 통한 사용자의 제작 요청을 수신한다(S1102).
마이크로러닝장치(120)는 수신된 제작 요청에 따라 사용자 맞춤형 마이크로러닝 콘텐츠를 제작한다(S1103). 또는 마이크로러닝장치(120)는 서비스의 종류에 따라 기 제작된 콘텐츠를 독출하기만 하고 별도의 생성 작업을 진행하지 않을 수도 있다.
마이크로러닝장치(120)는 제작된 사용자 맞춤형 마이크로러닝 콘텐츠를 복수의 단말장치(100) 중 해당 서비스의 사용자로 지정된 단말장치(100)에 제공할 수 있다. 또는 해당 서비스의 사용 그룹으로 지정된 복수의 단말장치(100)에 제공할 수 있다. 또는 해당 서비스를 가입한 해당 회사의 모든 구성원의 단말장치에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 맞춤형 마이크로러닝 콘텐츠는 가령 우리 회사만의 맞춤형 학습을 의미할 수 있고, 더 자세하게는 학습자 특성과 관심 주제에 따라 최적의 콘텐츠를 추천해 주거나 직무교육, 상품교육 등 자사 맞춤형 콘텐츠를 제공해 주는 등의 서비스를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 실시예 3 : 마이크로러닝장치에 의한 사용자 맞춤형 콘텐츠 제공 방법>
도 12(a) 내지 (e)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마이크로러닝장치에 의한 사용자 맞춤형 콘텐츠의 제공 방법 중 러닝투어 과정을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2(a) 내지 (e)를 참고하면, 사용자가 러닝투어 과정을 학습하는 프로세스에 대하여 이해할 수 있다. 먼저, 사용자가 단말장치의 화면의 일 영역을 제1 클릭(CLK_1)하면, 러닝투어과정을 시작할 수 있는 화면으로 전환된다(도 12(a) 참조). 도 12(a)의 화면에서 러닝투어 과정 항목을 제2 클릭하면 러닝투어 과정에 대한 하위 카테고리가 화면에 표시된다(도 12(b)의 우측 도면 참고). 사용자가 전체 카테고리를 제3 클릭(CLK_3)하면, 전체 러닝투어과정 중인 전체 교육 콘텐츠에 대한 일부 콘텐츠에 화면에 표시되며, 화면에 표시된 콘텐츠를 제4 클릭(CLK_4)하면, 해당 클릭된 콘텐츠에 대한 러닝투어 과정이 시작된다(도 12(c) 참조).
도 12(c)에서 사용자가 학습하기 항목을 제5 클릭(CLK_5)하면, 해당 교육 콘텐츠를 구성하는 구성요소가 화면에 표시된다. 사용자가 구성요소 중 하나를 제6 클릭(CLK_6)하면, 클릭된 구성요소에 대한 서브 콘텐츠가 화면에 디스플레이된다(도 12(d) 참조).
사용자가 도 12(b)의 항목 중 나의 강의실을 클릭하면 도 12(e)의 좌측에 도시된 화면이 표시되고, 사용자가 러닝투어 학습현황을 제9 클릭(CLK_9)하면, 현재 학습중인 러닝투어 현황이 화면에 표시된다(도 12(e)의 우측 도면 참조). 도 12(e)이 우측도면에서 도시된 화면에서 사용자가 제10 클릭(CLK_10)을 하면, 클릭된 콘텐츠에 대한 학습 현황을 확인할 수 있다.
상술한 러닝투어 학습 프로세스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고,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레이아웃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내에서 얼마든지 설계 변경이 가능하다.
도 13(a) 내지 13(i)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마이크로러닝장치에 의한 사용자 맞춤형 콘텐츠의 구성 요소를 추가하는 과정을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3(a) 내지 13(i)를 참고하면, 교과 설계자가 사용자 맞춤형 콘텐츠를 구성하는 과정을 이해할 수 있다.
사용자가 도 12(b)의 나의 강의실 항목 중 서브 항목(투어 메이커)를 제11 클릭하면, 러닝투어를 개설하는 시작 메뉴가 화면에 표시된다(도 13(a)의 우측 도면 참조).
도 13(a)의 일 영역을 제12 클릭(CLK_12)하면, 러닝투어 개설하기 화면으로 전환된다(도 13(b)의 좌측도면 참조). 사용자가 러닝투어 개설하기 화면에서 해당 과정에 대한 개요(예컨대, "리더십 아카데미"라는 제목, "본 과정은 리더십을 잘 이해할 수 있도록 쉽게 만든 과정입니다"라는 설명문구)를 입력하거나 분류, 교육 대상 등의 정보를 입력하여 설정할 수 있다. 그 후에 사용자가 러닝투어 개설하기 화면의 일 영역을 제13 클릭(CLK_13)하면, 구성요소를 선택할 수 있는 선택 화면이 디스플레이된다(도 13(b)의 우측도면 참조).
구성요소를 선택할 수 있는 선택 화면에서 파일 등록을 선택하는 제14 클릭(CLK_14)을 하면, 단말장치(100) 또는 마이크로러닝장치(120)에 저장된 파일(.avi, .wmv, .mpg, .mov, .flv, .m4v, .mp4 등의 확장자를 갖는 동영상 파일, .pdf, .jpg, .jpeg, .gif, .png 등의 확장자를 갖는 문서/이미지 파일)을 제15 클릭(CLK_15)을 통해서 첨부할 수 있다.
사용자가 리더십 아카데미라는 주제의 다양한 동영상 파일 중 마케팅 전략에서의 유통(Place)라는 제목의 동영상을 제16 클릭(CLK_16)하면, 해당 동영상 파일이 개설하고 있는 러닝 투어(제목 : "리더십 아카데미")에 삽입된다. 도 13(d)에서 사용자는 삽입된 동영상 콘텐츠에 대해서 필수/선택 여부를 선택할 수 있다. 필수로 선택될 경우에는 이후 해당 러닝 투어에서 해당 동영상을 필수적으로 시청해야 해당 과정을 이수할 수 있게 된다.
구성요소를 선택할 수 있는 선택 화면에서 설문 문항을 선택하면 도 13(e)의 좌측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문 문항을 삽입할 수 있는 화면이 표시된다. 설문 문항을 삽입하기 위해서 화면의 일 영역에 제17 클릭(CLK_17)하면, 해당 러닝 투어에 대한 설문 문항이 삽입된다.
마찬가지의 방식으로 구성요소를 선택할 수 있는 선택 화면에서 퀴즈를 선택하면 도 13(f)의 좌측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퀴즈를 삽입할 수 있는 화면이 표시된다. 퀴즈를 삽입할 때에는 해당 퀴즈가 이수의 필수인지 아닌지에 대한 설정을 입력할 수 있고, 삽입된 복수의 퀴즈 중에서 몇개를 맞추어야 이수할 수 있는지에 대한 설정도 할 수 있다. 또한 퀴즈의 통과가 과정 이수의 필수인지 여부도 설정할 수 있다.
또한, 구성요소를 선택할 수 있는 선택 화면에서 외부 링크를 선택하면 도 13(g)의 좌측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 링크를 삽입할 수 있는 화면이 표시된다. 외부 링크를 삽입할 때에는 전체 URL을 입력하거나 짧은 URL을 입력할 수 있으며, 입력된 URL에 대한 유효성 검사를 자동적으로 실행하여, 유효한 URL에 대해서만 삽입이 된다. 또한, 삽입된 외부 링크를 클릭해야지만 해당 과정의 이수가 가능하지 여부를 설정할 수 있다.
또한, 구성요소를 선택할 수 있는 선택 화면에서 텍스트를 선택하면, 텍스트 제목, 설명, 내용을 입력할 수 있는 화면이 표시되고, 사용자가 제목, 설명, 내용을 입력하면, 입력된 텍스트가 삽입된다. 그리고, 해당 텍스트를 읽어야만 해당 과정이 이수되도록 설정하기 위해서는 필수 항목을 활성화로 설정하고, 그렇지 않을 경우에는 비활성화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구성요소를 선택할 수 있는 선택 화면에서 외부 동영상을 선택하면, 외부 공유 콘텐츠를 선택할 수 있는 화면이 표시된다(도 13(i) 참조). 공유 콘텐츠를 선택할 수 있는 화면에서 제21 클릭(CLK_21)하면, 선택된 공유 동영상이 삽입된다. 이때 외부 공유 동영상의 경우에는 외부 서버에 저장된 URL 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동영상을 실행할 수 있게 된다. 즉, 앞서 설명한 동영상 파일을 삽입하는 경우에는 해당 파일을 직접 삽입하는 방식이지만, 외부 공유 동영상을 삽입하는 경우에는 해당 동영상이 있는 경로를 삽입하는 방식이므로, 이들은 차이가 존재한다.
도 14(a) 및 14(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마이크로러닝장치에 의한 사용자 맞춤형 콘텐츠의 학습 설정 과정을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4(a) 및 (b)를 참고하면, 러닝투어에 구성요소 삽입이 완료된 후에, 완료된 러닝투어에 대한 학습 설정을 할 수 있다. 설정가능한 항목은 학습기간, 학습순서, 수료기준, 학점, 대상 유형 등이 포함된다. 사용자가 제22 클릭(CLK_22)하면, 항목 설정이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학습기간 항목은 시작일과 종료일로 설정가능하다. 학습순서 항목은 순차적 방식과 비순차적 방식으로 설정가능하다. 이때, 순차적 방식은 삽입된 콘텐츠를 순차적으로 학습하는 방식이고, 비순차적 방식은 순서에 상관없이 학습할 수 있는 방식이다. 수료기준 항목은 사용하거나 미사용하는 2가지 모드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전체 구성요소 중 몇 개 이상의 구성요소를 이수한 경우에 수료로 판단할지 여부도 설정할 수 있다. 또한, 구성요소에 대한 평가 점수항목을 설정하여 획득 점수를 학점으로 환산할 수 있다. 또한, 대상 유형 항목을 자율과 지정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이때, 자율은 수강 대상에 제한이 없는 방식이고, 지정은 학습자로 지정된 사용자만이 수강 대상이 되는 방식이다.
그리고, 학습자관리 항목에서는 제23 클릭(CLK_23)하면, 해당 과정에 등록된 학습자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또는 해당 과정을 수강해야 하는 지정 학습자를 지정할 수도 있다. 이렇게 지정된 학습자는 해당 과정을 반드시 수강해야 하는 사용자이다.
도 15(a) 및 (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마이크로러닝장치의 러닝투어 매니저를 실행한 예시적인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a) 및 15(b)를 참고하면, 나의 강의실 항목에서 러닝투어 매니저를 제24 클릭(CLK_24)하면, 러닝 투어 개설 현황을 확인할 수 있는 메뉴 화면이 표시된다(도 15(a) 참조). 도 15(a)이 우측화면에서 제25 클릭(CLK_25)하면, 러닝투어 개설현황을 확인할 수 있는 화면이 표시된다(도 15(a) 우측도면 참조). 또한, 러닝투어 매니저 화면에서 학습 현황 항목으로 현재 학습중인 러닝 투어 과정이 표시된다(도 15(b) 참조).
< 실시예 4 : 사용자 맞춤형 마이크로러닝 콘텐츠 제공 웹 서버 및 운영방법>
도 1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맞춤형 마이크로러닝 콘텐츠 제공 웹 서버를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블럭다이어그램이다. 도 16을 참고하면, 복수의 단말장치(100-1 내지 100-5), 마이크로러닝 콘텐츠 제공 웹 서버(200) 및 웹 서버(200)에 의해서 운영되는 복수의 마이크로러닝 콘텐츠 어플리케이션(300-1 내지 300-3)을 포함한다.
복수의 단말장치(100-1 내지 100-5)는 사용자 맞춤형 마이크로러닝 콘텐츠 제공 서비스에 가입한 복수의 기업에 각각 속하는 임직원의 단말장치이다. 해당 기업의 임직원들은 해당 기업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맞춤형 마이크로러닝 콘텐츠 제공 서비스에 가입한 뒤, 서비스 제공 업체에 회원 가입을 미리 하고, 복수의 단말장치(100-1 내지 100-4)의 사용자는 단말장치에 아이디와 패스워드를 입력하여 웹 서버(200)에 접속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는 생체 인식에 따라 웹 서버(200)에 접속할 수도 있다.
웹 서버(200)는 단말장치(100)로부터 접속 요청(Log_1 내지 Log_4)을 동시 또는 이시에 수신하면, 해당 접속 요청을 분석하여 정당한 사용자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정당한 사용자인 경우에, 해당 아이디에 매핑된 기업 코드 정보를 식별한다. 기업 코드 정보가 식별되면 식별된 기업 코드에 매핑되어 있는 사용자 맞춤형 마이크로러닝 콘텐츠 제공 서비스에 해당 단말장치가 접속할 수 있도록 허락한다.
예를 들어, 제1 단말장치(100-1)의 경우에 웹 서버(200)로 제1 접속 요청(Log_1)을 전송하면, 웹 서버(200)는 제1 접속 요청(Log_1)을 분석하고, 분석된 결과에 따라 해당 접속자의 제1 접속 요청(Log_1)에 매핑된 기업 코드 정보를 식별한다. 도 16의 경우에 제1 접속 요청(Log_1)은 A사 기업 코드와 매핑되어 있으므로, 웹 서버(200)는 A사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웹/앱 서비스에 접속할 수 있도록 제1 단말장치(100-1)에 사용 권한을 부여한다.
마찬가지 방식으로, 제2 단말장치(100-2)는 제2 접속 요청(Log_2)의 분석 결과, 제2 접속 요청(Log_2)에 포함된 정보는 A사 기업 코드와 매핑되어 있으므로, 제2 단말장치(100-2)는 A사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웹/앱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제3 단말장치(100-3)는 B사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웹/앱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고, 제4 단말장치(100-4)는 C사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웹/앱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웹 서버(200)에 로그인 요청을 하고, 서비스에 가입된 경우에 가입 기업의 구성원에게만 허용되는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할 수 있다. 예컨대, 제1 단말장치(100-1) 및 제2 단말장치(100-2)는 A사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할 수 있으나, B사 및 C사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할 수 없으므로 해당 기업에서 운영하는 사용자 맞춤형 마이크로러닝 교육 콘텐츠를 검색할 수 없다. 또한, 제3 단말장치(100-3) 및 제4 단말장치(100-4)에는 A사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할 수 없게 되므로 기업별로 영업 비밀이 담긴 교육 콘텐츠를 보호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한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맞춤형 마이크로러닝 콘텐츠 제공 웹 서버는 서비스 가입자에게 가입된 서비스를 제공하는 웹 서버로서, 이러한 웹 서버는 일종의 SaaS(Software as a Service)를 제공하는 서버로 구성될 수 있다.
도 1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맞춤형 마이크로러닝 콘텐츠 제공 웹 서버 운영방법의 일 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7을 참고하면, 서비스에 가입된 사용자 그룹에 속하는 사용자인지를 확인하는 단계(S1710), 사용자 그룹에 할당된 고유 정보에 근거하여 가입 서비스를 식별하는 단계(S1720) 및 서비스 가입된 사용자 그룹의 사용자에게만 해당 가입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S1730)를 포함한다.
단계(S1710)에서, 사용자가 단말장치(100)를 통해서 웹 서버(200)에 접속하면서 로그인 정보를 입력하면, 입력된 로그인 정보에 근거하여 해당 사용자가 서비스에 가입된 사용자 그룹에 속하는 사용자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예를 들어, 로그인 아이디를 사용자 정보 데이터베이스(DB)에 저장된 사용자 정보 리스트와 비교하여, 매칭되는 아이디가 검색되면, 해당 아이디의 사용자 그룹 정보를 확인하고, 사용자 그룹이 서비스에 가입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단계(S1720)에서, 서비스에 가입된 사용자 그룹에 속하는 사용자가 접속을 요청할 경우라면, 사용자의 아이디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 그룹을 검색하고, 사용자 그룹이 검색되면, 해당 사용자 그룹에 부여된 고유 정보(예컨대, 기업 코드 정보)와 매칭된 가입 서비스를 식별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제1 사용자 그룹에 "X10000"이라는 기업 코드 정보가 부여되고, "X10000"이라는 기업 코드 정보에 매칭된 A사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식별한다.
단계(S1730)에서, 웹 서버(200)는 식별된 가입 서비스를 사용자 그룹에 속하는 사용자들에게만 제공하고, 사용자 그룹에 속하지 않는 사용자들에게는 식별된 가입 서비스에 포함된 콘텐츠를 제공하지 않는다. 즉, A사의 소속된 제1 사용자에게는 A사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할 수 있도록 허락하지만, A사의 소속이 아닌 제3 사용자에게는 A사 전용 어플리케이션의 이용을 허락하지 않고, A사 전용 어플리케이션에 포함된 어떠한 마이크로러닝 콘텐츠도 공개하지 않는다. 다만, A사 서비스 관리자가 A사 전용 어플리케이션 포함된 일부 마이크로러닝 콘텐츠를 공유할 경우에는 공유된 마이크로러닝 콘텐츠가 제2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 그룹은 특정 기업, 연구소, 학교 등일 수 있다. 특정 기업에서 구성원간에는 공유해도 무방한 콘텐츠에 대해서는 구성원간에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지만, 해당 기업의 구성원이 아닌 사람에게는 콘텐츠의 개방을 차단함으로써 영업 비밀이 포함된 콘텐츠가 외부로 노출됨으로써 발생되는 문제를 사전에 차단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그 모든 구성요소들이 각각 하나의 독립적인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들의 그 일부 또는 전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하나 또는 복수 개의 하드웨어에서 조합된 일부 또는 전부의 기능을 수행하는 프로그램 모듈을 갖는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그 컴퓨터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코드들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비일시적 저장매체(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a)에 저장되어 컴퓨터에 의하여 읽혀지고 실행됨으로써, 본 발명의 실시 예를 구현할 수 있다.
여기서 비일시적 판독 가능 기록매체란, 레지스터, 캐시(cache), 메모리 등과 같이 짧은 순간 동안 데이터를 저장하는 매체가 아니라, 반영구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며, 기기에 의해 판독(reading)이 가능한 매체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상술한 프로그램들은 CD, DVD, 하드 디스크, 블루레이 디스크, USB, 메모리 카드, ROM 등과 같은 비일시적 판독가능 기록매체에 저장되어 제공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100: 단말장치 100-1 : 컴퓨터 단말
100-2 : 모바일 단말 110: 통신망
120, 120': 마이크로러닝장치 200 : 웹 서버
300 : 어플리케이션 800, 900: 통신 인터페이스부
810: 마이크로러닝처리부 820, 930: 저장부
910: 제어부 920: 마이크로러닝실행부
1000: CPU 1010: 메모리

Claims (10)

  1. 온라인 학습을 위한 소셜러닝(Social Learning) 서비스에 가입되고, 상기 소셜러닝 서비스를 식별하기 위한 기업 코드 정보가 고유하게 부여된 사용자 그룹과 상기 사용자 그룹에 속하는 복수의 사용자에게 상기 사용자 그룹에 할당된 상기 기업 코드 정보에 의해서 식별된 사용자 그룹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통해서 소셜러닝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복수의 단말장치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 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사용자 그룹에 속하는 복수의 사용자에게만 해당 사용자 그룹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통해서 소셜러닝 서비스를 제공하고, 상기 사용자 그룹에 속하지 않는 복수의 사용자에게는 해당 사용자 그룹 전용 어플리케이션의 이용을 허락하지 않음으로써 소셜러닝 서비스가 노출되지 않도록 상기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통해서 상기 소셜러닝 서비스에 포함된 마이크로러닝 콘텐츠를 상기 복수의 단말장치로 제공하고, 사용자의 제작 요청에 따라 파일 등록, 서브 콘텐츠 삽입 등록, 설문 등록, 퀴즈 등록, 외부 링크 등록, 텍스트 등록 및 동영상 등록 중 적어도 하나를 실행하여 상기 마이크로러닝 콘텐츠를 구성하는 구성 요소로 등록시키는 콘텐츠 빌더를 포함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단말장치는, 미리 가입된 소셜러닝 서비스의 상품의 종류에 따라 서비스 사용자에 의해서 제작된 사용자 콘텐츠, 서비스 제공자에 의해서 제작된 공급자 콘텐츠 및 외부업체의 공유 콘텐츠의 이용 범위가 결정되고, 상기 사용자 컨텐츠, 공급자 콘테츠 및 공유 컨텐츠 중 이용 범위가 결정된 컨텐츠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콘텐츠를 사용하여 상기 마이크로러닝 콘텐츠를 구성하고,
    상기 사용자 콘텐츠, 상기 공급자 콘텐츠 및 상기 공유 콘텐츠 중에서 필수 콘텐츠, 관심 콘텐츠, 심화 콘텐츠를 순차적으로 필터링하여 상기 복수의 단말장치로 제공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별로 학습 요구를 반영하여 상기 마이크로러닝 콘텐츠를 이용해 사용자마다 개인화된 학습 과정을 구성하고, 상기 사용자 그룹에 속하는 사용자가 특정 주제에 관하여 제작한 마이크로러닝 콘텐츠를 외부 서비스 제공자에 의해서 운영되는 사회 관계망 서비스를 통해서 배포하여 공유하며, 상기 마이크로러닝 콘텐츠에 상기 구성 요소의 등록이 완료되면 사용자로부터 학습 기간, 학습하는 순서, 수료 기준, 학점 및 대상자 등의 정보를 전달받아서 상기 마이크로러닝 콘텐츠에 대한 학습 설정을 완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러닝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학습 설정이 완료된 상기 마이크로러닝 콘텐츠에 대한 학습자가 임의로 지정되고, 지정된 학습자의 단말장치가 상기 마이크로러닝장치에 접속되면, 상기 지정된 학습자의 단말장치에 상기 마이크로러닝 콘텐츠에 교육 참여 정보를 제공하는 마이크로러닝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구성 요소 등록이 완료된 상기 마이크로러닝 콘텐츠의 개설 현황을 콘텐츠 개설자의 요청에 따라 상기 콘텐츠 개설자의 단말장치에 제공하는 마이크로러닝장치.
  10. 삭제
KR1020190021344A 2019-02-22 2019-02-22 마이크로러닝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KR1023262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1344A KR102326261B1 (ko) 2019-02-22 2019-02-22 마이크로러닝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1344A KR102326261B1 (ko) 2019-02-22 2019-02-22 마이크로러닝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3237A KR20200103237A (ko) 2020-09-02
KR102326261B1 true KR102326261B1 (ko) 2021-11-16

Family

ID=724693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1344A KR102326261B1 (ko) 2019-02-22 2019-02-22 마이크로러닝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2626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77558B1 (ko) * 2020-12-17 2021-07-14 김병호 실시간 이벤트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2583B1 (ko) 2011-06-14 2013-09-02 학교법인 신일학원 객체단위 기반 학습 콘텐츠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130042843A (ko) * 2011-10-19 2013-04-29 서울대학교병원 온라인 교육 콘텐츠 제공에 따른 구성원 역량 관리 시스템
KR101677805B1 (ko) * 2014-11-04 2016-11-18 주식회사 유비온 소셜 러닝을 통한 러닝 콘텐츠 수집 및 제공 방법, 이를 위한 사용자 단말 및 소셜 러닝 서버
KR20160098831A (ko) 2015-02-11 2016-08-19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온라인 자료 공유 장치 및 온라인 자료 공유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3237A (ko) 2020-09-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Porcello et al. Crowdsourcing and curating online education resources
Almirall et al. Living Labs: arbiters of mid-and ground-level innovation
Auld et al. Using mobile phones as placed resources for literacy learning in a remote Indigenous community in Australia
Manchester et al. Learning to be a smart citizen
US20140006914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collaborative and multimedia-enriched reading, teaching and learning
Nemer Wired mobile phones: the case of community technology centers in favelas of Brazil
AU2016262144B2 (en) Methods and systems relating to context-specific writing frameworks
KR20140121934A (ko) 소셜 그룹을 이용한 협업형 스토리보드 공유 장치 및 방법
Fensel et al. Enabling customers engagement and collaboration for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in ubiquitous multi-channel ecosystems
Gon et al. Destination management organizations (DMOs) and Digital Natives: the neglected “informal expertise” in web 2.0 implementation and social media presence. Insights from the Italian Friuli Venezia Giulia DMO
Grant et al. Making personal and professional learning mobile: Blending mobile devices, social media, social networks, and mobile apps to support PLEs, PLNs, & ProLNs
van Arnhem et al. Augmented reality for discovery and instruction
KR102326261B1 (ko) 마이크로러닝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Khoir et al. The art of good neighboring in Kampoeng Cyber: Community economic development through ICTs
Mitropoulos et al. SociaLib: a collaborative digital library model platform using Web 2.0
Salman et al. Integrating scientific publication into an applied gaming ecosystem
Cochrane Mobilising learning: intentional disruption–harnessing the potential of social software tools in higher education using wireless mobile devices
Vergani Rethinking grassroots campaigners in the digital media: The ‘grassroots orchestra’in Italy
Girven Special academic libraries and the millennial patron
Salman et al. Towards social network support for an applied gaming ecosystem
Withee et al. Office 365 For Dummies
Rhee et al. Designing mobile social networking service through UCD process: LifeDiary
Salman et al. Towards social media platform integration with an applied gaming ecosystem
Stewart Toward an ethics of classroom tools: Educating educators for data literacy
Breeding Assembling a Patron Engagement Eco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