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21934A - 소셜 그룹을 이용한 협업형 스토리보드 공유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소셜 그룹을 이용한 협업형 스토리보드 공유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21934A
KR20140121934A KR1020130037941A KR20130037941A KR20140121934A KR 20140121934 A KR20140121934 A KR 20140121934A KR 1020130037941 A KR1020130037941 A KR 1020130037941A KR 20130037941 A KR20130037941 A KR 20130037941A KR 20140121934 A KR20140121934 A KR 201401219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social group
management unit
user
cont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379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훈기
이종훈
김정태
박종열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300379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121934A/ko
Priority to US14/223,776 priority patent/US20140304338A1/en
Publication of KR201401219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2193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535Tracking the activity of the us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06Q10/101Collaborative creation, e.g. joint development of products or 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1Social network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동적으로 생성되는 소셜 그룹을 통해 그룹 구성원이 가지고 있는 지식 및 경험 정보 등을 협업형 스토리보드로 가공하여 해당 구성원뿐만 아니라 여러 소셜 그룹을 통해 공유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을 제시한다. 제시된 장치는 소셜 그룹의 정보 및 소셜 그룹에 회원가입한 사용자의 정보를 관리하는 소셜 그룹 관리부, 및 사용자가 소셜 그룹의 스토리보드에 게시한 공유하고자 하는 콘텐츠의 정보에 대하여 여타 사용자와의 협업을 통해 최종적으로 결정된 정보를 소셜 그룹의 스토리보드의 게시글로 인정하여 소셜 그룹에 배포하는 정보 관리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소셜 그룹을 이용한 협업형 스토리보드 공유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of collaborated storyboards sharing using social group}
본 발명은 소셜 그룹을 이용한 협업형 스토리보드 공유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에서 동적으로 생성되는 소셜 그룹을 통하여 그룹에 속한 구성원이 가지고 있는 소셜 콘텐츠를 공유하여 소셜 그룹에 맞는 협업형 스토리보드(매거진)를 공유하도록 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 사용자가 가지고 있는 여러 소셜 미디어(이미지, 동영상, 문서)를 공유하기 위해, 개인의 블로그 또는 스토리보드를 통하여 사용자 개인 중심으로 작성된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또한, 인터넷 기반으로 공유되는 여러 정보(예컨대, 블로그, 동영상, 뉴스)로부터 해당 콘텐트를 저장하고 이를 개인 스토리보드로 구성하여 제공하는 방법을 통하여 공유되고 있다.
최근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들은 개인의 관심분야가 비슷한 사용자들간의 커뮤니티를 형성하고 이들간에 정보를 공유하는 소셜 그룹을 형성한다.
대부분의 소셜 그룹(공동체)은 해당 소셜 그룹에 참여하는 구성원이 제공하는 콘텐츠들을 단순히 공유하고 이에 대한 댓글이나 추천과 같은 참여를 제공하고 있다.
정보의 단순 공유의 목적이 아니라 수집된 정보를 협업에 의해 가공하여 재생산하는 일련의 과정이 중요시되고, 사용자들이 가지고 있는 단순한 정보가 보다 의미 있는 정보로 재생산될 수 있는 환경이 필요하다.
관련기술로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1-0012542호(디지털 스토리보드와 연계한 맞춤식 미디어 콘텐츠 제작시스템)에 기술된 발명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1-0012542호에 기술된 발명은 홈페이지에서 제공된 소스를 기반으로 하여 스토리보드 시스템을 이용해 자신만의 시나리오를 작성함으로 인해 저렴한 비용으로 충분히 사용자의 생각을 투영한 맞춤형 미디어 콘텐츠를 주문 제작할 수 있도록 보조하기 위한 것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1-0012542호에 기술된 발명은 스토리보드 작성부, 스토리보드 해석부, 스크립트(시나리오) 작성부, 이미지 파일 출력부를 연계한 스토리보드 편집기; 사용자가 템플릿에서 선택한 장면(Scene)과 그에 대하여 입력한 스크립트로 스토리보드 데이터를 생성하는 스토리보드 생성부; 및 장면 데이터와 스크립트를 연계하여 저장한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한다.
상술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1-0012542호에 기술된 발명은 스토리가 있는 자신만의 이미지 및 앨범, 동영상 등 다양한 미디어 콘텐츠를 제작할 수 있는 것으로서, 자신만의 시나리오를 작성하여 스토리보드 시스템이 제공하는 제작도구를 이용하여 쉽게 콘텐츠를 제작할 수 있다.
그러나, 상술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1-0012542호에 기술된 발명은 소셜 그룹을 통해 구성원들간의 협업을 통한 스토리보드 구축 및 공유하지 않은 소셜 그룹간의 공유를 통하여 보다 쉽게 정보를 공유할 수 있게 하는 내용에 대해서는 전혀 고려하지 않았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동적으로 생성되는 소셜 그룹을 통해 그룹 구성원이 가지고 있는 지식 및 경험 정보 등을 협업형 스토리보드로 가공하여 해당 구성원뿐만 아니라 여러 소셜 그룹을 통해 공유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개인이 가지고 있는 정보 표현은 블로그 또는 개인 홈페이지를 통해 제공되고 공유되고 있지만, 동적으로 생성되는 소셜 그룹은 여러 목적을 가지고 생성되는 공동체이기에 단순히 정보의 공유가 아니라 소셜 그룹의 생성 목적에 맞게 가공되어 공유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개인 정보는 소셜 그룹을 구성하는 구성원에 따라 여러 의미를 가지게 되는데 이러한 의미 부여를 소셜 그룹을 구성하는 구성원에 의해 만들어가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양태에 따른 소셜 그룹을 이용한 협업형 스토리보드 공유 장치는, 소셜 그룹의 정보 및 상기 소셜 그룹에 회원가입한 사용자의 정보를 관리하는 소셜 그룹 관리부; 및 상기 사용자가 상기 소셜 그룹의 스토리보드에 게시한 공유하고자 하는 콘텐츠의 정보에 대하여 여타 사용자와의 협업을 통해 최종적으로 결정된 정보를 상기 소셜 그룹의 스토리보드의 게시글로 인정하여 상기 소셜 그룹에 배포하는 정보 관리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정보 관리부는, 상기 소셜 그룹과 관련되어 있는 콘텐츠의 정보를 관리하는 콘텐츠 관리부; 및 상기 사용자에 의해 공유되고 있는 콘텐츠의 정보를 추적하되, 다수의 소셜 그룹에서 공유되고 있는 콘텐츠의 정보가 어느 한 소셜 그룹에서 변경됨에 따라 다른 소셜 그룹에서도 상기 변경된 콘텐츠의 정보를 볼 수 있게 상기 다른 소셜 그룹의 콘텐츠를 재구성하는 콘텐츠 재구성 탐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콘텐츠 관리부는 상기 소셜 그룹이 소멸되더라도 해당 소셜 그룹의 콘텐츠의 정보는 유지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콘텐츠 관리부는 새로 생성된 소셜 그룹이 상기 소멸된 소셜 그룹의 콘텐츠의 정보와 유사한 정보를 가지고 있을 경우 상기 소멸된 소셜 그룹의 콘텐츠의 정보를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정보 관리부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소셜 그룹을 통해 스토리보드상에 정보를 공유하고자 할 경우 템플릿을 제공하는 템플릿 관리부를 추가로 포함하여도 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소셜 그룹 관리부는, 상기 소셜 그룹의 정보를 관리하는 그룹 관리부; 및 상기 소셜 그룹에 회원가입한 사용자의 정보를 관리하는 구성원 관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구성원 관리부는 상기 공유되고 있는 콘텐츠의 제공 범위를 상기 사용자별로 차등되게 설정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소셜 그룹 관리부는 상기 소셜 그룹의 라이프 사이클을 관리하는 그룹 라이프 사이클 관리부를 추가로 포함하여도 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소셜 그룹 관리부는 상기 사용자의 위치를 기반으로 주변에 생성된 소셜 그룹을 검색하는 위치정보 관리부를 추가로 포함하여도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양태에 따른 소셜 그룹을 이용한 협업형 스토리보드 공유 방법은, 소셜 그룹 관리부가, 소셜 그룹에 회원가입한 사용자의 정보를 관리하는 단계; 정보 관리부가, 상기 사용자가 상기 소셜 그룹의 스토리보드에 공유하고자 하는 콘텐츠를 업로드시킴에 따라 해당 콘텐츠의 정보를 관리하는 단계; 및 상기 정보 관리부가, 상기 업로드된 콘텐츠의 정보에 대하여 여타 사용자와의 협업을 통해 최종적으로 결정된 정보를 상기 소셜 그룹의 스토리보드의 게시글로 인정하여 상기 소셜 그룹에 배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사용자의 정보는 위치 기반의 소셜 그룹 검색에 의해 가입을 희망하는 소셜 그룹에 회원가입한 사용자의 정보로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해당 콘텐츠의 정보를 관리하는 단계는, 상기 콘텐츠에 대한 템플릿을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템플릿에 상기 공유하고자 하는 콘텐츠가 업로드됨에 됨에 따라 상기 업로드된 콘텐츠를 상기 소셜 그룹의 스토리보드에 게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소셜 그룹 관리부가, 상기 소셜 그룹에 미가입한 사용자가 콘텐츠만 공유하고자 함에 따라 상기 콘텐츠에 대한 접근 범위를 설정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여도 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해당 콘텐츠에 대한 접근 범위를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콘텐츠의 정보에 대해 읽기만 가능하게 접근 범위를 설정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르면, 동적 그룹을 형성하고 이를 구성하는 구성원이 가지고 있는 여러 지식이나 경험 정보를 공유하는 방법에 있어 구성원 협업에 의해 정보 가공 및 재구성을 통하여 새로운 정보를 창출할 수 있다.
또한, 개인이 속한 소셜 그룹(공동체)을 중심으로 정보의 재가공이 발생되고 이를 공유함으로써, 사용자가 요구하는 여러 정보를 쉽게 접근할 수 있다.
또한, 소셜 그룹과 같이 움직이는 정보는 소셜 그룹이 라이프 사이클에 의해 생성/소멸/변경이 되더라도 소셜 그룹의 목적에 따라 기존에 생성된 협업형 스토리보드를 공유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셜 그룹을 이용한 협업형 스토리보드 공유 장치 및 방법을 위한 서비스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셜 그룹을 이용한 협업형 스토리보드 공유 장치 및 방법을 위한 시스템 구성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소셜 그룹 관리부의 내부 구성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정보 관리부의 내부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셜 그룹을 이용한 협업형 스토리보드 공유 방법에서 소셜 그룹을 통해 스토리보드 생성 및 정보 공유에 대한 절차를 설명하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셜 그룹을 이용한 협업형 스토리보드 공유 방법에서 검색을 통해 조회된 스토리보드를 공유하기 위한 절차를 설명하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셜 그룹을 이용한 협업형 스토리보드 공유 방법에서 소셜 그룹간 스토리보드 공유 방법을 설명하는 플로우차트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셜 그룹을 이용한 협업형 스토리보드 공유 장치 및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셜 그룹을 이용한 협업형 스토리보드 공유 장치 및 방법을 위한 서비스 구성도이다.
도 1의 서비스 구성도에서, 서로 다른 공동체(즉, 소셜 그룹)에 속하는 여러 구성원에 의해 생성되는 스토리보드는 개인이 소유하고 있는 여러 정보를 공유함으로써 구성된다.
각각의 공유 정보는 멀티미디어 콘텐츠, 텍스트 문서, 블로그와 같은 여러 형태의 소셜 미디어 콘텐츠가 될 수 있다. 이러한 소셜 미디어 콘텐츠는 공동체에 의해 제공되는 스토리보드에 생성되고, 생성된 정보는 여러 구성원에 의해 수정되고 보완되도록 제공된다.
기존의 개인 중심의 스토리보드는 단순히 정보나 소식을 전하는 일방적인 구조에서 구성원이 가지고 있는 여러 정보를 이용하여 각 구성원이 소셜 그룹이 원하는 정보를 만들어 가는 큐레이터 역할을 하도록 제공한다.
스토리보드는 기본적으로 구성원이 작성하는 블로그를 위한 템플릿뿐만 아니라 전체 스토리보드를 위한 표준 템플릿을 제공한다. 이에 의해 해당 공동체의 구성원은 각각의 콘텐츠에 맞는 템플릿을 이용하여 스토리보드 전체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구성원이 하나의 소셜 그룹(공동체)에 속할 수도 있지만 여러 소셜 그룹에 소속되어 보다 다양한 형태의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특정 그룹에 속한 스토리보드 내의 개인 경험 정보는 여러 소셜 그룹을 통하여 공유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정보 공유는 폐쇄적인 정보 전달 개념에서 보다 개방적인 형태의 정보 전달 과정을 제공한다.
도 1에서, 구성원 3은 공동체 A(10) 뿐만 아니라 공동체 B(20)에도 소속되어 있다. 구성원 3은 공동체 B(20)에서 생성한 스토리보드의 개인 경험 정보를 공동체 A(10)에서도 공유될 수 있도록 제공한다. 각각의 공동체(10, 20)에 의해 공유되는 정보는 서로 이질적인 구성원에 의해 협업 정보를 추가하게 되는데, 이럴 경우 서로 수정된 내용을 상호 조회 및 보완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하나의 공동체 의해 재구성되는 정보를 여러 공동체에서 공유함으로써 보다 효율적인 정보 전달 및 공유 기능이 제공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셜 그룹을 이용한 협업형 스토리보드 공유 장치 및 방법을 위한 시스템 구성도이다.
다수의 공동체(10, 20)가 네트워크(30)를 통해 스토리보드 공유 장치(40)에 연결된다.
또한, 다수의 사용자 단말(50a ~ 50n)이 네트워크(30)를 통해 공동체(10, 20) 및 스토리보드 공유 장치(40)에 연결된다.
사용자 단말(50a ~ 50n)은 전자적인 통신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장치이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50a ~ 50n)은 휴대용 전화기, 위성 전화기, PDA, 스마트폰, 데스크탑 컴퓨터, 랩탑 컴퓨터, 태블릿 컴퓨터, 넷북 등일 수 있다.
스토리보드 공유 장치(40)는 소셜 그룹 관리부(60) 및 정보 관리부(70)를 포함한다.
소셜 그룹 관리부(60)는 사용자 또는 구성원이 접근가능한 소셜 그룹을 관리한다.
정보 관리부(70)는 구성원이 게시하는 스토리보드의 정보를 관리한다.
여기서, 예를 들어 공동체 A(10)에 회원등록(가입)한 사용자를 해당 공동체 A(10)의 구성원이라고 할 수 있고, 공동체 B(20)에 회원등록(가입)한 사용자를 해당 공동체 B(20)의 구성원이라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는 구성원을 포함하는 의미로서, 가입 여부와는 무관하게 임의의 소셜 그룹에 접속하는 자라고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명세서에서는 사용자와 구성원으로 나누어 기재하였으나, 어느 한 소셜 그룹의 스토리보드내의 정보를 다른 소셜 그룹의 스토리보드로 옮길 수 있는 것을 실질적인 스토리보드 공유라고 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를 구성원으로 한정할 수도 있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소셜 그룹 관리부(60)의 내부 구성도이다.
소셜 그룹 관리부(60)는 그룹 관리부(61), 그룹 라이프 사이클 관리부(62), 구성원 관리부(63), 사용자 관리부(64), 및 위치정보 관리부(65)를 포함한다.
그룹 관리부(61)는 소셜 그룹(공동체)의 운영관리를 통해 생성/변경/삭제하는 일련의 과정과 소셜 그룹(공동체)의 프로파일 정보를 관리한다.
그룹 라이프 사이클 관리부(62)는 소셜 그룹(공동체)의 생성을 시작으로 마지막 소멸에 따른 라이프 사이클을 관리한다. 소셜 그룹(공동체)은 동적으로 장소/사회적 관계를 기반으로 형성되므로, 그룹 라이프 사이클 관리부(62)는 그룹 관리부(61)의 제어에 의해 각각의 소셜 그룹(공동체)의 생성에서 소멸에 따른 라이프 사이클을 관리한다.
그룹 라이프 사이클 관리부(62)는 해당 소셜 그룹(공동체)의 특성에 따라 이벤트성, 영구지속성, 자동 소멸성 등의 여러 상황에 따라 형성되는 소셜 그룹의 라이프 사이클을 관리한다.
구성원 관리부(63)는 소셜 그룹을 구성하는 구성원을 관리한다. 소셜 그룹(공동체)은 다양한 사람이 장소/사회적 관계를 가지고 가입되고 탈퇴될 수 있다.
구성원의 변경에 따라 구성원 서로가 가지는 여러 권한이나 제어 접근 등의 상태를 유지해야 한다. 동일한 소셜 그룹(공동체) 내의 구성원이라고 해도 공유되는 콘텐츠의 제공 범위를 사회적 관계 기반을 근거로 제한적으로 할 경우, 이를 구성원 관리부(63)를 통해 제어할 수 있고 사용자에게 제공 범위가 표시될 수 있도록 정보를 관리한다.
사용자 관리부(64)는 기본적으로 사용자의 프로파일 정보(예컨대, 성별, 나이, 주소, 직업, 전공, 취미, 관심사 등)를 관리함과 더불어 사용자의 위치가 변경되었을 경우 이를 추적하여 관리한다. 또한, 사용자 관리부(64)는 소셜 그룹을 추천하기 위한 여러 정보를 관리한다. 사용자 관리부(64)는 회원 가입을 위해 입력되는 사용자의 프로파일 정보를 구성원 관리부(63)에게로 전송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구성원 관리부(63)와 사용자 관리부(64)를 상호 별개로 구성시켰으나, 구성원 관리부(63)와 사용자 관리부(64)를 하나의 모듈로 통합하고서 그 하나의 모듈에서 구성원 관리부(63)와 사용자 관리부(64)의 기능을 모두 수행하는 것으로 하여도 무방하다.
위치정보 관리부(65)는 소셜 그룹의 위치 기반 정보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위치에 따라 지오태깅(Geo-Tagging)과 같은 위치 기반 정보를 저장한다. 사용자의 이동에 의해 사용자의 현재 위치는 가변될 수 있다. 따라서, 위치정보 관리부(65)는 특정 위치에서 행하는 여러 행위를 트래킹하기 위해 각각의 위치 변경에 따른 로그를 저장하고 관련된 행위(Social Activity)를 피드백할 수 있는 정보를 관리한다.
이와 같이 소셜 그룹을 구성하는 구성원과 구성원이 가지고 있는 여러 프로파일 정보, 및 사용자 및 소셜 그룹(공동체)의 위치 정보를 통하여 필요한 소셜 그룹의 유지를 위한 소셜 그룹 관리부(60)를 구성한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정보 관리부(70)의 내부 구성도이다.
정보 관리부(70)는 소셜 그룹(공동체)을 사용하는 사용자(구성원 포함)에 의해 생성되는 여러 경험 및 지식 정보를 관리한다. 정보 관리부(70)는 콘텐츠 재구성 탐지부(71), 콘텐츠 관리부(72), 템플릿 관리부(73), 단말 적응형 UI 관리부(74), URL 링크 관리부(75), 및 정보 저장부(76)를 포함한다.
콘텐츠 관리부(72)는 소셜 그룹의 각 구성원 및 소셜 그룹과 관련되어 있는 콘텐츠의 정보를 관리한다. 콘텐츠 관리부(72)는 각각의 소셜 그룹들과 연관되어 있는 콘텐츠를 연결하고, 추천되는 정보를 구성하여 준다. 이에 의해, 콘텐츠 관리부(72)는 만약 소셜 그룹이 소멸되더라도 소멸된 소셜 그룹의 콘텐츠의 정보를 계속 유지하게 되고, 이후 새로 생성된 소셜 그룹이 소멸된 소셜 그룹의 콘텐츠의 정보와 유사한 정보를 가지고 있을 경우 소멸된 소셜 그룹의 콘텐츠의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사용자에 의해 공유되는 정보는 콘텐츠 재구성 탐지부(71)에 의해 추적된다. 게시된 정보는 여러 소셜 그룹에 의해 소유되고 재구성된다. 이때, 동일한 콘텐츠가 여러 소셜 그룹에 의해 공유되고 있을 경우 특정 소셜 그룹에서 정보를 변경하게 되면 콘텐츠 재구성 탐지부(71)는 공유하고 있던 다른 소셜 그룹에서도 변경된 정보의 갱신 내용을 볼 수 있도록 관련된 그룹의 콘텐츠를 재구성하도록 한다.
사용자가 소셜 그룹을 통해 스토리보드상에 개인의 정보 및 지식 등을 공유할 경우 여러 콘텐츠의 형태에 따라 다양한 템플릿을 제공받아야 한다. 템플릿 관리부(73)는 멀티미디어 정보, 텍스트문서, 블로그와 같은 정보 타입에 따라 여러 템플릿을 제공하여 보다 쉽게 스토리보드를 작성할 수 있도록 한다.
소셜 그룹에 소속된 사용자들은 다양한 형태의 단말을 소유한다. 단말 적응형 UI 관리부(74)는 운영시스템이나 단말의 스펙에 따라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UI 부분이 적응형 형태로 제공될 수 있도록 한다. 단말의 화면 사이즈, 운영체계 ,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들은 사용자가 접속할 시점에 단말을 분석하고 이를 통하여 최적의 정보 제공을 위한 화면을 구성한다.
URL 링크 관리부(115)는 사용자가 제공하는 지식 및 경험 정보 중에서 인터넷상의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해당 정보의 URL를 통하여 게시되는 정보는 시간이 지나거나 또는 정보 게시자가 정보를 더 이상 게시하지 않을 경우 URL 링크 관리부(115)는 해당 URL의 링크 정보를 관리하도록 한다. URL 링크 관리부(115)는 링크가 존재하지 않는 정보일 경우 해당 정보를 삭제하거나 변경 사실을 사용자에게 전달한다.
정보 저장부(76)는 개인이 콘텐츠를 게시하는 방법에 있어서 서버 중심의 정보 저장을 원할 경우와 단순히 저장위치만을 저장할 경우 이를 관리한다. 예를 들어, 정보 저장부(76)는 텍스트, 이미지, 동영상, 댓글과 같이 해당 콘텐츠의 실제 정보를 관리하고 콘텐츠가 가지고 있은 특성 및 여러 태그 정보를 유지한다. 그리고, 정보 저장부(76)는 URL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데, 그 URL 정보는 실제 콘텐츠의 위치가 본 발명의 장치가 아닌 다른 장소에 저장되어 있을 경우에 사용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셜 그룹을 이용한 협업형 스토리보드 공유 방법에서 소셜 그룹을 통해 스토리보드 생성 및 정보 공유에 대한 절차에 대하여 설명하는 플로우차트이다.
사용자는 서비스를 통해 주위의 소셜 그룹을 탐색하여 원하는 소셜 그룹에 가입을 한다(S10). 원하는 소셜 그룹의 가입에 필요한 정보는 사용자 단말을 통해 입력한다. 사용자가 소셜 그룹에 가입하였으므로 그 사용자는 해당 소셜 그룹의 구성원이 된다. 그 구성원의 프로파일 정보는 소셜 그룹 관리부(60)의 사용자 관리부(64)를 통해 구성원 관리부(63)에서 관리된다.
이어, 사용자는 가입된 소셜 그룹이 제공하는 콘텐츠 제공 그룹 스토리보드를 검색하고, 사용자가 가지고 있는 콘텐츠를 공유하기 위해 서비스에서 제공하는 템플릿으로 블로그를 생성한다(S12). 이때, 사용자는 정보 관리부(70)의 템플릿 관리부(73)에서 제공되는 템플릿을 통해 블로그를 생성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을 통해 블로그의 템플릿에 공유하고자 하는 콘텐츠를 업로드하여 콘텐츠를 해당 소셜 그룹의 스토리보드에 게시한다(S14). 이와 같이 게시되는 콘텐츠는 정보 관리부(70)의 콘텐츠 관리부(72)에 의해 관리되고, 콘텐츠 재구성 탐지부(71)에 의해 추적된다.
이어, 콘텐츠 재구성 탐지부(71)는 게시된 콘텐츠를 소셜 그룹의 여러 구성원들이 검토할 수 있도록 단말 적응형 UI 관리부(74)를 통해 제공한다. 그리고, 구성원들은 공유하는 게시글에 필요한 정보를 협업을 통하여 수정한다(S16). 이는 단순히 소셜 그룹의 스토리보드를 통하여 모든 정보를 단순히 게시하는 것이 아니라, 소셜 그룹을 형성하는 여러 구성원의 의견과 실제 올린 정보에 대한 검증의 절차를 구성원 리뷰를 통해 검토하도록 하여 보다 신뢰성 있는 정보의 공유를 유도하고자 함이다. 이러한 협업의 과정은 단순 정보 제공에서 발생되는 여러 오류를 제거할 수 있다.
이렇게 협업을 통해 수정된 정보는 구성원의 최종 협의에 의해 해당 공동체(소셜 그룹)의 스토리보드의 게시글로 인정되고 소셜 그룹에 정식으로 배포된다. 즉, 정보 관리부(70)는 사용자가 소셜 그룹의 스토리보드에 게시한 공유하고자 하는 콘텐츠의 정보에 대하여 여타 사용자와의 협업을 통해 최종적으로 결정된 정보를 해당 소셜 그룹의 스토리보드의 게시글로 인정하여 해당 소셜 그룹의 구성원들이 모두 볼 수 있도록 배포한다.
배포되는 정보에 따라 해당 소셜 그룹의 스토리보드는 콘텐츠의 재구성 및 화면 UI 재구성이 실행된다(S18). 여기서, 콘텐츠의 재구성은 콘텐츠 재구성 탐지부(71)에 의해 행해지고, 화면 UI 재구성은 단말 적응형 UI 관리부(74)에 의해 행해진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셜 그룹을 이용한 협업형 스토리보드 공유 방법에서 검색을 통해 조회된 스토리보드를 공유하기 위한 절차를 설명하는 플로우차트이다. 대부분의 소셜 그룹을 통해 공유되는 정보는 사용자가 가입된 소셜 그룹에 한정하여 공유된다. 도 6은 사용자가 가입하지 않은 소셜 그룹에서 제공되는 정보를 검색하고 이를 공유하기 위해서 해당 콘텐츠를 소유하고 있는 그룹에 가입하여 정보를 공유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사용자는 자신의 위치를 기반으로 주변에 생성된 여러 소셜 그룹을 검색한다(S20). 즉, 사용자는 자신의 단말(사용자 단말)을 통해 위치기반의 그룹 검색을 행한다. 이때, 위치기반의 그룹 검색시 소셜 그룹 관리부(60)의 사용자 관리부(64)는 사용자의 위치에 인접한 소셜 그룹을 사용자에게 추천해 줌으로, 사용자는 위치기반의 그룹 검색을 손쉽게 할 수 있다.
위치기반의 소셜 그룹 검색이 완료됨에 따라 사용자는 정보를 공유하고자 하는 소셜 그룹에 가입되지 않았을 경우 가입을 신청한다(S22). 여기서, 사용자는 자신의 단말(사용자 단말)을 통해 가입 신청을 한다. 그리고, 사용자의 가입에 따른 해당 사용자의 프로파일 정보는 사용자 관리부(64)에서 관리되고, 구성원 관리부(63)는 사용자 관리부(64)로부터의 정보를 근거로 해당 구성원(즉, 사용자가 가입을 하였기 때문에 해당 소셜 그룹의 구성원이 됨)에 대한 권한 또는 제어 접근 등을 설정하게 된다.
이어, 사용자는 소셜 그룹을 통해 공유되는 정보를 검색하기 위해, 키워드 또는 추천 스토리보드(즉, 추천된 소셜 그룹의 스토리보드)내의 정보를 검색한다(S24). 정보(콘텐츠) 검색은 사용자가 가입한 소셜 그룹뿐만 아니라 미가입된 소셜 그룹이 소유하고 있는 여러 콘텐츠를 모두 검색할 수 있다. 이는 정보 관리부(70)의 콘텐츠 관리부(72)가 각각의 소셜 그룹들에 관련된 콘텐츠의 정보를 관리 및 제공할 수 있으므로 가능하다.
사용자는 검색(조회)된 공유 콘텐츠중에 선택한 콘텐츠를 소유하고 있는 소셜 그룹을 확인한다(S26).
이어, 해당 공유 콘텐츠가 자신이 가입한 소셜 그룹이 소유하고 있는지를 판단한다(S28).
만약, 해당 공유 콘텐츠가 자신이 가입한 소셜 그룹이 소유하고 있는 경우(S28에서 "Yes")에는 사용자는 스토리보드내의 블로그를 공유하고, 필요에 따라 해당 정보를 협업 수정할 수 있다(S30). 여기서, 협업 수정에 의해 수정되는 정보는 정보 관리부(70)의 콘텐츠 관리부(72)를 통해 정보 저장부(76)에 저장된다.
그리고 나서, 정보 관리부(70)는 공유한 정보의 공유 및 수정을 통하여 해당 콘텐츠의 변경된 정보를 해당 소셜 그룹 및 공유가 허가된 여러 구성원에게 배포한다(S32).
이어, 여러 구성원은 해당 콘텐츠의 변경된 정보에 대한 협의를 한다. 각각의 구성원에 의해 협의된 내용은 그 협의에 참여한 모든 구성원에게 피드백됨에 따라 정보 수정이 완료된다(S34). 이때, 협의된 내용은 정보 관리부(70)의 콘텐츠 관리부(72)를 통해 정보 저장부(76)에 저장된다.
이와 같이 검색되고 공유되어 재생산된 콘텐츠들에 의해 스토리보드가 재구성된다(S36). 여기서, 스토리보드의 재구성은 템플릿 관리부(73)에 의해 행해진다.
그리고, 재구성된 스토리보드는 단말 적응형 UI 관리부(74)를 통해 사용자 단말에게로 출력되므로, 사용자들은 재구성된 스토리보드를 공유할 수 있게 된다(S38).
한편, S28에서 해당 공유 콘텐츠가 자신이 가입한 소셜 그룹이 소유하고 있지 않는 경우에는, S40에서 사용자는 정보 공유를 위해 해당 공유 콘텐츠를 소유한 소셜 그룹에 가입신청을 한다(S40). 그에 따라, 상술한 S22 ~ S38의 과정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셜 그룹을 이용한 협업형 스토리보드 공유 방법에서 소셜 그룹간 스토리보드 공유 방법을 설명하는 플로우차트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특정 소셜 그룹에서 제공하는 스토리보드는 다른 소셜 그룹을 통하여 공유될 수 있도록 한다.
사용자는 공유하고자 하는 스토리보드내에서 사용자가 게시한 콘텐츠를 검색한다(S50).
그리고, 사용자는 검색된 콘텐츠의 공유 그룹 목록을 조회한다(S52).
이어, 사용자는 조회된 공유 그룹 목록에서 공유하고자 하는 소셜 그룹을 선택한다(S54). 그에 따라, 그룹 선택에 상응하는 신호(즉, 그룹 선택 신호)가 소셜 그룹 관리부(60)에게로 전송된다.
소셜 그룹 관리부(60)의 사용자 관리부(64)는 그룹 선택 신호를 구성원 관리부(63)에게로 전달하고, 구성원 관리부(63)는 상기 사용자가 해당 소셜 그룹(공동체)에 가입된 사용자인지를 확인한다(S56).
만약, 상기 사용자가 해당 소셜 그룹에 가입되어 있을 경우(S56에서 "Yes")에는 템플릿 관리부(73)는 공유하고자 하는 소셜 그룹의 스토리보드의 템플릿을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즉, 템플릿 관리부(73)가 사용자의 단말에게로 템플릿을 전송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에 따라, 사용자는 공유하고자 하는 소셜 그룹의 스토리보드의 템플릿을 할당받아 해당 콘텐츠를 작성한다(S58).
콘텐츠 작성이 완료됨에 따라 사용자는 해당 콘텐츠를 새로 공유하고자 하는 소셜 그룹의 스토리보드에 게시하고 공유한다(S60). 여기서, 콘텐츠 작성이 완료되면 그 작성된 콘텐츠는 정보 관리부(70)의 콘텐츠 관리부(72)를 통해 정보 저장부(76)에 저장된다.
한편, S56에서 사용자가 공유하고자 하는 소셜 그룹에 가입되지 않은 경우에는 공유 방법을 선택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단순히 해당 소셜 그룹(즉, 공유하고자 하는 소셜 그룹)에 가입하지 않고 콘텐츠만 공유하고자 할 경우(S62에서 "Yes") 즉, 사용자가 단순 공유를 선택한 경우 소셜 그룹 관리부(60)의 구성원 관리부(63)가 해당 콘텐츠의 접근 범위(제공 범위라고도 할 수 있음)를 설정한다. 접근 범위는 해당 소셜 그룹의 구성원 모두에게 공유할 것인지, 사용자와의 사회적 관계 혹은 장소적 관계 등 다양한 접근 방법으로 설정된다(S64).
단순히 접근 범위만 설정된 콘텐츠는 해당 소셜 그룹의 스토리보드의 템플릿을 통한 공유가 되지 않고 단순히 읽기 전용의 단순 공유만 가능하다.
만약, 사용자가 해당 소셜 그룹에 가입되어 있지 않아서 가입하고자 할 경우에는 가입을 한다(S66). 그에 따라, 사용자의 가입시 입력된 정보는 사용자 관리부(64)를 통해 구성원 관리부(63)에게로 전달되고, 정보 관리부(70)의 템플릿 관리부(73)는 사용자가 가입한 소셜 그룹의 스토리보드의 템플릿을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그래서, 사용자는 제공받은 스토리보드 템플릿을 근거로 정상적인 소셜 그룹간 스토리보드 공유를 한다.
한편,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로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수정 및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고, 그러한 수정 및 변형이 가해진 기술사상 역시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10 : 공동체 A 12, 22 : 스토리보드
20 : 공동체 B 30 : 네트워크
40 : 스토리보드 공유 장치 50a, 50n : 사용자 단말
60 : 소셜 그룹 관리부 61 : 그룹 관리부
62 : 그룹 라이프 사이클 관리부 63 : 구성원 관리부
64 : 사용자 관리부 65 : 위치정보 관리부
70 : 정보 관리부 71 : 콘텐츠 재구성 탐지부
72 : 콘텐츠 관리부 73 : 템플릿 관리부
74 : 단말 적응형 UI 관리부 75 : URL 링크 관리부
76 : 정보 저장부

Claims (14)

  1. 소셜 그룹의 정보 및 상기 소셜 그룹에 회원가입한 사용자의 정보를 관리하는 소셜 그룹 관리부; 및
    상기 사용자가 상기 소셜 그룹의 스토리보드에 게시한 공유하고자 하는 콘텐츠의 정보에 대하여 여타 사용자와의 협업을 통해 최종적으로 결정된 정보를 상기 소셜 그룹의 스토리보드의 게시글로 인정하여 상기 소셜 그룹에 배포하는 정보 관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셜 그룹을 이용한 협업형 스토리보드 공유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정보 관리부는,
    상기 소셜 그룹과 관련되어 있는 콘텐츠의 정보를 관리하는 콘텐츠 관리부; 및
    상기 사용자에 의해 공유되고 있는 콘텐츠의 정보를 추적하되, 다수의 소셜 그룹에서 공유되고 있는 콘텐츠의 정보가 어느 한 소셜 그룹에서 변경됨에 따라 다른 소셜 그룹에서도 상기 변경된 콘텐츠의 정보를 볼 수 있게 상기 다른 소셜 그룹의 콘텐츠를 재구성하는 콘텐츠 재구성 탐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셜 그룹을 이용한 협업형 스토리보드 공유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관리부는 상기 소셜 그룹이 소멸되더라도 해당 소셜 그룹의 콘텐츠의 정보는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셜 그룹을 이용한 협업형 스토리보드 공유 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관리부는 새로 생성된 소셜 그룹이 상기 소멸된 소셜 그룹의 콘텐츠의 정보와 유사한 정보를 가지고 있을 경우 상기 소멸된 소셜 그룹의 콘텐츠의 정보를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셜 그룹을 이용한 협업형 스토리보드 공유 장치.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정보 관리부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소셜 그룹을 통해 스토리보드상에 정보를 공유하고자 할 경우 템플릿을 제공하는 템플릿 관리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셜 그룹을 이용한 협업형 스토리보드 공유 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소셜 그룹 관리부는,
    상기 소셜 그룹의 정보를 관리하는 그룹 관리부; 및
    상기 소셜 그룹에 회원가입한 사용자의 정보를 관리하는 구성원 관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셜 그룹을 이용한 협업형 스토리보드 공유 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구성원 관리부는 상기 공유되고 있는 콘텐츠의 제공 범위를 상기 사용자별로 차등되게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셜 그룹을 이용한 협업형 스토리보드 공유 장치.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소셜 그룹 관리부는 상기 소셜 그룹의 라이프 사이클을 관리하는 그룹 라이프 사이클 관리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셜 그룹을 이용한 협업형 스토리보드 공유 장치.
  9.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소셜 그룹 관리부는 상기 사용자의 위치를 기반으로 주변에 생성된 소셜 그룹을 검색하는 위치정보 관리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셜 그룹을 이용한 협업형 스토리보드 공유 장치.
  10. 소셜 그룹 관리부가, 소셜 그룹에 회원가입한 사용자의 정보를 관리하는 단계;
    정보 관리부가, 상기 사용자가 상기 소셜 그룹의 스토리보드에 공유하고자 하는 콘텐츠를 업로드시킴에 따라 해당 콘텐츠의 정보를 관리하는 단계; 및
    상기 정보 관리부가, 상기 업로드된 콘텐츠의 정보에 대하여 여타 사용자와의 협업을 통해 최종적으로 결정된 정보를 상기 소셜 그룹의 스토리보드의 게시글로 인정하여 상기 소셜 그룹에 배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셜 그룹을 이용한 협업형 스토리보드 공유 방법.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정보는 위치 기반의 소셜 그룹 검색에 의해 가입을 희망하는 소셜 그룹에 회원가입한 사용자의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셜 그룹을 이용한 협업형 스토리보드 공유 방법.
  12.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해당 콘텐츠의 정보를 관리하는 단계는,
    상기 콘텐츠에 대한 템플릿을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템플릿에 상기 공유하고자 하는 콘텐츠가 업로드됨에 됨에 따라 상기 업로드된 콘텐츠를 상기 소셜 그룹의 스토리보드에 게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셜 그룹을 이용한 협업형 스토리보드 공유 방법.
  13.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소셜 그룹 관리부가, 상기 소셜 그룹에 미가입한 사용자가 콘텐츠만 공유하고자 함에 따라 상기 콘텐츠에 대한 접근 범위를 설정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셜 그룹을 이용한 협업형 스토리보드 공유 방법.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해당 콘텐츠에 대한 접근 범위를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콘텐츠의 정보에 대해 읽기만 가능하게 접근 범위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셜 그룹을 이용한 협업형 스토리보드 공유 방법.
KR1020130037941A 2013-04-08 2013-04-08 소셜 그룹을 이용한 협업형 스토리보드 공유 장치 및 방법 KR20140121934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7941A KR20140121934A (ko) 2013-04-08 2013-04-08 소셜 그룹을 이용한 협업형 스토리보드 공유 장치 및 방법
US14/223,776 US20140304338A1 (en) 2013-04-08 2014-03-24 Apparatus and method for sharing collaborative storyboard using social group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7941A KR20140121934A (ko) 2013-04-08 2013-04-08 소셜 그룹을 이용한 협업형 스토리보드 공유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1934A true KR20140121934A (ko) 2014-10-17

Family

ID=516552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37941A KR20140121934A (ko) 2013-04-08 2013-04-08 소셜 그룹을 이용한 협업형 스토리보드 공유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140304338A1 (ko)
KR (1) KR20140121934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9654B1 (ko) * 2015-08-17 2016-10-26 주식회사 넥스트비즈 온라인 기반의 협업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2274430B1 (ko) * 2020-11-16 2021-07-06 전관영 소셜 네트워크를 이용한 광고 게시글 전파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60266740A1 (en) * 2015-01-19 2016-09-15 Dane Glasgow Interactive multi-media system
JP6454200B2 (ja) * 2015-03-25 2019-01-16 株式会社日立ソリューションズ コミュニケーション管理方法及びコミュニケーション管理システム
US11010540B2 (en) 2016-06-23 2021-05-18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Productivity applications with views of social network group features
US10440023B2 (en) * 2016-10-31 2019-10-08 Dropbox, Inc. Automatic creation of groups based on a degree of collaboration among users
US10523624B2 (en) * 2016-11-10 2019-12-31 Facebook, Inc. Managing digital messages across a plurality of social networking groups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9654B1 (ko) * 2015-08-17 2016-10-26 주식회사 넥스트비즈 온라인 기반의 협업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2274430B1 (ko) * 2020-11-16 2021-07-06 전관영 소셜 네트워크를 이용한 광고 게시글 전파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40304338A1 (en) 2014-10-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Hille et al. I like news. Searching for the ‘Holy Grail’of social media: The use of Facebook by Dutch news media and their audiences
Almirall et al. Living Labs: arbiters of mid-and ground-level innovation
Conole Facilitating new forms of discourse for learning and teaching: harnessing the power of Web 2.0 practices
US8935334B2 (en) System and method to create a collaborative workflow environment
US8464164B2 (en) System and method to create a collaborative web-based multimedia contextual dialogue
Anttiroiko et al. Towards library 2.0: The adoption of web 2.0 technologies in public libraries
KR20140121934A (ko) 소셜 그룹을 이용한 협업형 스토리보드 공유 장치 및 방법
US20220006661A1 (en) Access and communicate live audio streaming under micro channel or keyword(s)
Hepp The fragility of curating a pioneer community: Deep mediatization and the spread of the quantified self and maker movements
Arya et al. Oh! web 2.0, virtual reference service 2.0, tools & techniques (II)
Nichols et al. Rethinking availability in multimodal composing: Frictions in digital design
Ardito et al. Creation and use of service-based distributed interactive workspaces
Sixto-García et al. Redefining journalism narratives, distribution strategies, and user involvement based on innovation in digital native media
Glenn Collective intelligence and an application by the millennium project
Fensel et al. Enabling customers engagement and collaboration for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in ubiquitous multi-channel ecosystems
Arya et al. Oh! Web 2.0, virtual reference service 2.0, tools & techniques (I): A basic approach
Noh A Study on the Discussion on Library 5.0 and the Generation of Library 1.0 to Library 5.0
Karpf Open source political community development: a five-stage adoption process
Arora Library 2.0: Innovative technologies for building libraries of tomorrow
Thompson et al. Twitter 101 and beyond: introduction to social media platforms available to practicing hematologist/oncologists
Lacedelli The Platform-Museum: conceptual revolutions and practical implications
Bonacchi et al. Researching heritage values in social media environments: understanding variabilities and (in) visibilities
Dwyer Surviving the transition to “digital first”: news apps in Asian mobile internets
KR102326261B1 (ko) 마이크로러닝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McNulty The Ulwazi programme: A case study in community-focused indigenous knowledge manage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