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23601B1 - 딥러닝 알고리즘을 이용한 빅데이터 분석 기반 영유아 성장발달 분석 시스템 - Google Patents

딥러닝 알고리즘을 이용한 빅데이터 분석 기반 영유아 성장발달 분석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23601B1
KR102323601B1 KR1020200087527A KR20200087527A KR102323601B1 KR 102323601 B1 KR102323601 B1 KR 102323601B1 KR 1020200087527 A KR1020200087527 A KR 1020200087527A KR 20200087527 A KR20200087527 A KR 20200087527A KR 102323601 B1 KR102323601 B1 KR 1023236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wth
development
data
content
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875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백지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파이브센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파이브센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파이브센스
Priority to KR10202000875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2360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36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36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or social welfare, e.g. community support activities or counselling 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01Indexing; Data structures therefor; Storage struc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03Querying
    • G06F16/9032Query formulation
    • G06F16/90324Query formulation using system suggestions
    • G06F16/90328Query formulation using system suggestions using search space presentation or visualization, e.g. category or range presentation and sele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5Retrieval from the web
    • G06F16/953Querying, e.g. by the use of web search engines
    • G06F16/9535Search customisation based on user profiles and personalis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N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SPECIFIC COMPUTATIONAL MODELS
    • G06N3/00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biological models
    • G06N3/02Neural networks
    • G06N3/08Learning metho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conom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physics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딥러닝 알고리즘을 이용한 빅데이터 분석 기반 영유아 성장발달 분석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상기 시스템은 성장 발달 수준별 지표 행동 또는 놀이를 제시하는 지표 콘텐츠, 및 상기 지표 행동 또는 놀이의 수행 여부를 체크하기 위한 제1 응답 체크 콘텐츠를 포함하는 지표 콘텐츠 데이터베이스; 상기 지표 콘텐츠 및 상기 제1 응답 체크 콘텐츠를 사용자 단말에 전송하는 제1 데이터 전송부;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된 제1 응답 체크 콘텐츠에 대한 응답 데이터로부터 검사 대상자의 개별 특성 정보 데이터를 추출하고 이를 또래 집단의 평균 데이터와 비교 및 분석하여 검사 대상자의 성장 발달 수준을 판별하고, 여기서 상기 개별 특성 정보 데이터의 추출 및 성장 발달 수준의 판별은 딥러닝 알고리즘 기술을 이용한 빅데이터 분석에 의해 수행되는 제1 데이터 분석부; 상기 제1 데이터 분석부로부터 도출된 성장 발달 수준을, 문장, 도형, 그래프, 및/또는 색상을 이용하여 시각화한 분석 결과를 생성하는 결과 데이터 생성부; 상기 결과 데이터 생성부에서 생성된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제2 데이터 전송부; 상기 제1 데이터 분석부로부터 도출된 성장 발달 수준을 유지, 강화, 또는 향상시키기 위한 성장 발달 놀이에 대한 빅데이터를 딥러닝 알고리즘에 의해 분석 및 도출하는 제2 데이터 분석부; 성장 발달 놀이를 제시하는 성장 발달 놀이 콘텐츠 및 상기 성장 발달 놀이 콘텐츠의 놀이 미션 수행 여부를 체크하기 위한 응답지를 제시하는 제2 응답 체크 콘텐츠를 포함하는 성장 발달 놀이 콘텐츠 데이터 베이스; 상기 성장 발달 놀이 콘텐츠 및 상기 제2 응답 체크 콘텐츠를 사용자 단말에 전송하는 제3 데이터 전송부;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된 상기 제2 응답 체크 콘텐츠에 대한 응답 데이터로부터, 놀이 미션의 수행여부와 호응도를 포함하는 검사 대상자의 개별 특성 정보 데이터를 딥러닝 알고리즘 기술을 이용한 빅데이터 분석에 의해 추출 및 분석하는 제3 데이터 분석부; 및 상기 제3 데이터 분석부의 분석 결과에 기초로 성장 발달 놀이의 구성 또는 수준을 딥러닝 알고리즘을 이용한 빅데이터 분석에 의해 조절하여 성장 발달 놀이 콘텐츠를 편집하여 재구성하는 성장 발달 놀이 콘텐츠 재구성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딥러닝 알고리즘을 이용한 빅데이터 분석 기반 영유아 성장발달 분석 시스템 {SYSTEM FOR ANALYZING GROWTH AND DEVELOPMENT OF INFANTS BY USING BIG DATA ANALYTICS WITH DEEP LEARNING ALGORITHM}
본 발명은 딥러닝 알고리즘을 이용한 빅데이터 분석에 기반하여 성장 발달을 분석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아기의 성장 발달을 위해서는 아기의 발달 수준에 맞는 적절한 자극이 필요하다. 이러한 자극은 부모와의 다양한 상호 작용 및 놀이를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심리학자들은 유아는 발달 단계에 따라 다양한 놀이 활동을 경험하며 인지능력 및 신체, 정서 등을 발달시킬 수 있다고 주장하며, 실제로 아이들은 놀이를 경험하며 나타나는 다양한 상호 작용을 통해 자연스럽게 학습과 발달이 진행되고 자신이 느끼는 다양한 감정을 자유롭게 표출할 수 있는 기회를 갖게 된다.
우리 나라의 경우 놀이 교육이 도입된 역사는 그리 길지 않은데, 1990년대에 들어서야 비로소 유아의 전인적 발달과 창의성을 위해서는 놀이 중심 교육이 중요하다는 분위기가 인식되기 시작하였고, 2000년대를 지나면서 놀이 교육 방법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며 유아 교육 방법의 트렌드로 자리 잡았다. 이후 놀이 교육 시장은 영유아 교육 관련 업체들은 물론, 백화점과 대형마트, 지자체 문화센터에서까지 미취학 아동을 대상으로 한 다양한 관련 프로그램을 선보이며 폭발적으로 성장했다.
그러나 영유아의 발달을 건강하게 이끌기 위해서는 유아의 기질, 발달 속도, 및 발달 유형에 맞는 놀이의 선택이나 구성에 대해 전문적 지식과 적절한 전문적인 피드백이 필요한데도 불구하고 영유아 교육 서적이나 교구로는 이러한 지식이나 피드백을 부모가 직접적으로 얻기가 곤란하고 교육 프로그램의 경우에는 많은 영유아를 대상으로 하기 때문에 영유아 개인의 기질이나 발달 속도 등을 정확하게 파악하기 힘들거나 비용이 지나치게 고가인 경우가 많다.
본 발명의 목적은 검사 수행자가 검사 대상자 (예를 들어 영유아)의 성장 발달 수준에 대한 판결 결과를 편리하고 간단하게 제공받을 수 있고, 또한, 그 결과에 따라 성장 발달 놀이를 제안하여 성장 발달을 도울 수 있는 시스템 및 방법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면, 검사 대상자의 성장 발달을 분석하는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으로서, 상기 시스템은 성장 발달 수준별 지표 행동 또는 지표 놀이를 문장, 사진, 및/또는 동영상으로 시각화한 수단으로 제시하는 지표 콘텐츠, 및 검사 대상자가 상기 지표 행동 또는 지표 놀이를 수행하는지 여부를 체크하기 위한 응답지를 제시하는 제1 응답 체크 콘텐츠를 포함하는 지표 콘텐츠 데이터베이스; 상기 지표 콘텐츠 및 상기 제1 응답 체크 콘텐츠를 사용자 단말에 전송하는 제1 데이터 전송부;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된 제1 응답 체크 콘텐츠에 대한 응답 데이터로부터 검사 대상자의 개별 특성 정보 데이터를 추출하고 이를 또래 집단의 평균 데이터와 비교 및 분석하여 검사 대상자의 성장 발달 수준을 판별하고, 여기서 상기 개별 특성 정보 데이터의 추출 및 성장 발달 수준의 판별은 딥러닝 알고리즘 기술을 이용한 빅데이터 분석에 의해 수행되는 제1 데이터 분석부; 상기 제1 데이터 분석부로부터 도출된 성장 발달 수준을, 문장, 도형, 그래프, 및/또는 색상을 이용하여 시각화한 분석 결과를 생성하는 결과 데이터 생성부; 상기 결과 데이터 생성부에서 생성된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제2 데이터 전송부; 상기 제1 데이터 분석부로부터 도출된 성장 발달 수준을 유지, 강화, 또는 향상시키기 위한 성장 발달 놀이에 대한 빅데이터를 딥러닝 알고리즘에 의해 분석 및 도출하는 제2 데이터 분석부; 성장 발달 놀이를 문장, 사진, 및/또는 동영상으로 시각화한 수단으로 제시하는 성장 발달 놀이 콘텐츠 및 상기 성장 발달 놀이 콘텐츠의 놀이 미션을 검사 대상자가 수행하는지 여부를 체크하기 위한 응답지를 제시하는 제2 응답 체크 콘텐츠를 포함하는 성장 발달 놀이 콘텐츠 데이터 베이스; 상기 성장 발달 놀이 콘텐츠 및 상기 제2 응답 체크 콘텐츠를 사용자 단말에 전송하는 제3 데이터 전송부;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된 상기 제2 응답 체크 콘텐츠에 대한 응답 데이터로부터, 놀이 미션의 수행여부와 호응도를 포함하는 검사 대상자의 개별 특성 정보 데이터를 딥러닝 알고리즘 기술을 이용한 빅데이터 분석에 의해 추출 및 분석하는 제3 데이터 분석부; 및 상기 제3 데이터 분석부의 분석 결과에 기초로 성장 발달 놀이의 구성 또는 수준을 딥러닝 알고리즘을 이용한 빅데이터 분석에 의해 조절하여 성장 발달 놀이 콘텐츠를 편집하여 재구성하는 성장 발달 놀이 콘텐츠 재구성부를 포함하는 시스템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응답 체크 콘텐츠는 문장, 사진, 및/또는 동영상으로 시각화한 수단으로 제시되거나 음성으로 청각화한 수단으로 제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응답 체크 콘텐츠의 응답지가 검사 대상자의 미션 수행 날짜에 대한 정보를 입력받는 날짜 입력부 및 검사 대상자의 미션 수행 사진 및/또는 동영상을 저장하기 위한 정보 저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제1 데이터 분석부에서 검사 대상자의 개별 특성 정보 데이터를 추출하는 단계는 상기 미션 수행 날짜로부터 검사 대상자의 월령 또는 연령을 환산하는 단계 및 상기 미션 수행 사진 및/또는 동영상으로부터 딥러닝 알고리즘에 의해 소리, 언어, 행동, 및/또는 표정을 인식하여 미션 수행 여부를 판별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제1 데이터 분석부는 제1 데이터 전송부에서 수신된 응답 데이터로부터 딥러닝 알고리즘 기술을 이용한 빅데이터 분석에 의해 검사 대상자의 성장 발달 수준을 예비적으로 판별하는 예비 판별부를 추가로 더 포함하고, 상기 시스템이 상기 예비 판별부로부터 수신된 예비 성장 발달 수준에 기초로 딥러닝 알고리즘을 이용한 빅데이터 분석에 의해 지표 콘텐츠의 수준을 더 낮게 또는 더 높게 조절하여 재구성하는 지표 콘텐츠 재구성부를 추가로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데이터 전송부는 상기 지표 콘텐츠 재구성부에서 수준이 조절된 지표 콘텐츠를 전송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제2 응답 체크 콘텐츠의 응답지가 검사 대상자의 미션 수행 사진 및/또는 동영상을 저장하기 위한 정보 저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제3 데이터 분석부에서 검사 대상자의 개별 특성 정보 데이터를 추출 및 분석하는 단계는 상기 제2 응답 체크 콘텐츠의 정보 저장부에 저장된 미션 수행 사진 및/또는 동영상으로부터 딥러닝 알고리즘에 의해 소리, 언어, 행동, 및/또는 표정을 인식하여 놀이 미션의 수행 여부 및 호응도를 판별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제3 데이터 분석부는 추출 및 분석된 검사 대상자의 개별 특성 정보 데이터에 기초하여 딥러닝 알고리즘 기술을 이용한 빅데이터 분석에 의해 성장 발달 수준을 판별하는 판별부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시스템은 상기 제1 데이터 분석부에서 판별된 성장 발달 수준 및 상기 제3 데이터 분석부에서 판별된 성장 발달 수준을 수집하는 성장 발달 데이터 수집부 및 상기 성장 발달 데이터 수집부에 수집된 정보를 수신하여 검사 대상자의 성장 발달 수준의 개선 정도 및 경과 시간에 따른 성장 발달 개선의 진행 정도를, 문장, 도형, 그래프, 및/또는 색상을 이용하여 시각화한 결과를 생성하는 성장 발달 개선 데이터 생성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구현예에 따르면, 성장 발달에 대한 전문가 상담의 진행을 안내하는 컨텐츠를 사용자 단말에 디스플레이하고 전문가 상담 진행 여부에 대한 응답을 수신하는 전문가 상담 안내 데이터 처리부, 및 사용자 단말을 전문가 중개 단말과 연결시키는 전문가 중개 연결 처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양태에 따르면, 성장 발달 수준별 지표 행동 또는 지표 놀이를 문장, 사진, 및/또는 동영상으로 시각화한 수단으로 제시하는 단계; 검사 대상자가 상기 지표 행동 또는 지표 놀이를 수행하는지 여부에 대한 응답을 수신하는 단계; 지표 행동 또는 지표 놀이에 대한 상기 응답 데이터로부터 딥러닝 알고리즘에 의해 검사 대상자의 개별 특성 정보 데이터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추출된 개별 특성 정보 데이터를, 딥러닝 알고리즘 기술을 이용한 빅데이터 분석에 의해 또래 집단의 평균 데이터와 비교 및 분석하여, 검사 대상자의 성장 발달 수준을 판별하는 단계; 상기 판별된 성장 발달 수준을 문장, 도형, 그래프, 및/또는 색상을 이용하여 시각화한 분석 결과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판별된 성장 발달 수준을 유지, 강화, 또는 향상시키기 위한 성장 발달 놀이를 딥러닝 알고리즘 기술을 이용한 빅데이터 분석에 의해 분석 및 도출하는 단계; 상기 성장 발달 놀이를 문장, 사진, 및/또는 동영상으로 시각화한 수단으로 제시하고, 제시된 놀이 미션을 검사 대상자가 수행하는지 여부를 체크하기 위한 응답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놀이 미션에 대한 응답 데이터로부터 검사 대상자의 놀이 미션 수행 여부와 호응도를 포함하는 개별 특성 정보 데이터를, 딥러닝 알고리즘 기술을 이용한 빅데이터 분석에 의해 추출 및 분석하는 단계; 상기 놀이 미션 수행 수준 및 호응도를 기초로 딥러닝 알고리즘을 이용한 빅데이터 분석에 의해 성장 발달 놀이의 구성 또는 수준을 조절하여 성장 발달 놀이를 편집하여 재구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검사 대상자의 성장 발달을 체크하고 개선시키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 등과 같은 수단을 통해 검사 대상자 (예를 들어 영유아)의 성장 발달 수준에 대한 정보를 언제 어디서나 편리하고 간단하게 제공받을 수 있다. 이러한 성장 발달 수준은 예를 들어 보호자가 아기의 성장 발달 지표 행동 또는 놀이(예를 들어 옹알이)를 수행한 날짜와 사진을 저장하면 이러한 저장 데이터로부터 예를 들면 딥러닝과 같은 인공 지능 알고리즘에 의해 자동적으로 판별될 수 있다. 아울러, 이러한 저장 데이터가 성장 앨범과 같은 방식으로 보관 및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보호자는 아기의 성장 앨범 및 이와 연동되는 빅데이터에 의한 개별 성장 발달 수준 데이터를 동시에 얻을 수 있다. 나아가, 보호자는 검사 대상자 개인의 성장 발달 수준에 부합하는 적합한 성장 발달 놀이를 딥러닝 알고리즘을 이용한 빅데이터 분석에 의해 추천받고 검사 대상자가 이러한 성장 발달 놀이의 놀이 미션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성장 발달 수준을 유지, 강화, 또는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성장 발달 지표 콘텐츠 및 상기 지표의 수행 여부를 저장하는 정보 저장부를 포함하는 성장 앨범 플랫폼의 구성도이다.
도 2는 검사 대상자의 개별 특성 정보 데이터에 기반하여 성장 발달 수준을 체크하기 위한 성장 발달 체크 플랫폼의 구성도이다.
도 3은 검사 대상자의 성장 발달 수준에 따른 성장 발달 놀이를 제시하고 이러한 성장 발달 놀이의 수행에 따른 성장 발달 개선 정도를 판별할 수 있는 놀이 미션 플랫폼의 구성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른 시스템 및 방법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명세서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성장 발달 지표 콘텐츠 및 상기 지표의 수행 여부를 저장하는 정보 저장부를 포함하는 성장 앨범 플랫폼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성장 앨범 플랫폼(100)은 검사 대상자의 월령 또는 연령에 따른 성장 발달 수준별 지표 행동 또는 지표 놀이를 제시하는 지표 콘텐츠(110)를 포함한다.
보호자가 시스템의 최초 이용시에 검사 대상자의 이름, 생년월일, 성별, 출생시 체중, 현재 체중과 같은 개별 신상 정보 데이터를 입력하면 상기 성장 앨범 플랫폼(100)의 데이터 분석부(도시되지 않음)에서 해당 신상 정보 데이터에 기반하여 해당 월령 또는 연령에 해당하는 또래 집단의 평균 성장 발달 데이터를 빅데이터로부터 도출하여 지표 행동 또는 지표 놀이와 같은 지표 콘텐츠가 선정된다. 상기 성장 발달 데이터는 대근육발달, 소근육발달, 언어발달, 인지발달, 사회정서 발달, 또는 생활영역발달에 대한 중분류 클래스의 데이터로 분류될 수 있고, 상기 중분류 클래스의 데이터는 소분류 클래스의 데이터로 분류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대근육발달에 속하는 소분류 클래스로는 반사, 목가누기, 뒤집기, 배밀이 등이 있고, 소근육발달에 속하는 소분류 클래스로는 주먹쥐기, 손가락이나 주먹 빨기, 눈앞의 장난감 잡기, 흔들리는 장난감 잡기 등이 있고, 언어발달에 속하는 소분류 클래스로는 옹알이, 소리자극에 대한 반응 유무, 자신의 이름을 부르는 소리에 대한 반응 유무 등이 있고, 인지발달에 속하는 소분류 클래스로는 딸랑이 소리가 나는 쪽으로 눈을 돌리는지 여부, 빨기반사 유무 등이 있고, 사회정서 발달에 속하는 소분류 클래스로는 보호자가 옆에 오면 알아채고 좋아하는지 여부, 장난감을 뺏으려 하면 화를 내는지 여부, 눈과 눈을 마주보며 얼굴을 쳐다보는지 여부, 낯가리기 등이 있고, 생활영역 발달에 속하는 소분류 클래스로는 딸랑이를 잡고 흔드는 놀이, 까꿍놀이 등이 있다. 이러한 각 발달 영역의 소분류 클래스에 속하는 행동 또는 놀이의 적어도 1개 이상 (예를 들어, 눈맞추기, 뒤집기, 배밀이, 까꿍 놀이, 하나 또는 두개의 큰 블록 쌓기 등)을 지표 콘텐츠(100)의 각 구성 요소, 즉, 제1 지표, 제2 지표, 제3 지표 등으로 사용자 단말에 디스플레이한다. 이때 상기 지표 행동 또는 놀이는 문장, 사진, 및/또는 동영상으로 시각화한 수단으로 디스플레이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제1 지표는 까꿍 놀이이고 이러한 제1 지표 놀이는 까꿍 놀이라는 문장 및 상기 문장 하에 까꿍 놀이의 사진 또는 동영상이 아이콘으로 디스플레이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지표 콘텐츠는 전술한 지표 행동 또는 지표 놀이에 추가하여, 검사 대상자의 성장에 따라 일반적으로 기록되는 각종 행사, 일상 활동, 또는 여가 활동 (예를 들어, 생후 100일 잔치, 첫돌 잔치, 봄나들이 등)을 구성 요소들의 일부로 더 제시할 수 있다. 상기 지표 콘텐츠는 추가적으로, 딥러닝 알고리즘을 이용한 빅데이터 분석에 의해 도출된, 또래 집단의 평균 성장 발달 수준보다 더 높거나 더 낮은 수준에서 보여지는 지표 행동 또는 놀이의 적어도 1개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지표 콘텐츠(110)는 검사 대상자의 신상 정보 데이터로부터 검사 대상자가 생후 50일된 아기라는 것을 판별하고, 해당 아기의 또래 집단 및 그보다 높은 수준의 집단에서 평균적으로 보여지는 지표 행동 또는 지표 놀이를 해당 아기 성장에 따른 각종 행사나 여가 활동 콘텐츠와 함께 사용자 단말에 디스플레이 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눈 맞추기, 목 가누기, 옹알이, 100일 잔치, 뒤집기, 배밀이, 첫 이유식 시작 등을 지표 콘텐츠의 각 구성 요소로 하여 사용자 단말에 각 구성 요소 모두 또는 일부를 일괄적으로 발달 순서에 따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상기 성장 앨범 플랫폼(100)은 상기 지표 콘텐츠(110)에 추가하여, 검사 대상자가 상기 지표 행동 또는 지표 놀이를 수행하는지 여부를 체크하기 위한 응답지를 제시하는 응답 체크 콘텐츠 (120)을 더 포함한다. 상기 응답 체크 콘텐츠는 검사 대상자가 미션 수행 날짜에 대한 정보를 입력 받는 날짜 입력부 및 검사 대상자의 미션 수행 사진 및/또는 동영상을 저장하기 위한 정보 저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성장 앨범 플랫폼(100)은 지표 콘텐츠(110)의 각 지표(제1 지표, 제2 지표, 제3 지표 등) 모두 또는 일부를 발달 순서에 따라 사용자 단말에 디스플레이 하고, 검사 대상자의 보호자가 해당 지표 콘텐츠의 각 지표를 클릭 또는 터치하면 날짜 입력부와 정보 저장부를 포함하는 각 지표별 응답 체크 콘텐츠(121, 122, 123)이 사용자 단말에 디스플레이된다. 이에 따라 보호자는 날짜 입력부에 지표 행동 또는 놀이를 수행한 날짜를 입력할 수 있고 정보 저장부에 해당 행동 또는 놀이를 수행한 사진 또는 동영상을 업로드하여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정보 저장부에 사진 또는 동영상이 저장되면 사용자 단말에는 해당 사진 또는 동영상의 일부가 지표 콘텐츠를 대신하여 해당 디스플레이 영역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과정에 따라 수집된 사진 또는 동영상이 사용자 단말에 디스플레이됨에 따라 해당 플랫폼(100)은 검사 대상자의 성장 발달에 따른 성장 앨범과 같은 역할을 하게 될 수 있다.
상기 성장 앨범 플랫폼(100)은 지표 콘텐츠(110)에 포함된 지표 행동 또는 지표 놀이를 검사 대상자가 실제로 수행하는지 여부를 보호자가 판별하기 위한 가이드라인을 설명하는 미션 안내 콘텐츠(도시되지 않음)를 추가로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미션 안내 콘텐츠는 각 지표 행동 또는 놀이 (즉, 제1 지표, 제2 지표 등)에 해당하는 아이콘의 일부 영역을 클릭 또는 터치하면 사용자 단말에 디스플레이 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도 2는 검사 대상자의 개별 특성 정보 데이터에 기반하여 성장 발달 수준을 체크하기 위한 성장 발달 체크 플랫폼(200)의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성장 발달 체크 플랫폼(200)은 성장 발달 수준별 지표 행동 또는 지표 놀이를 제시하는 지표 콘텐츠 및 검사 대상자가 상기 지표 행동 또는 지표 놀이를 수행하는지 여부를 체크하기 위한 응답지를 제시하는 제1 응답 체크 콘텐츠를 포함하는 지표 콘텐츠 데이터 베이스(21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지표 콘텐츠는 전술한 도 1의 성장 앨범 플랫폼(100)의 지표 콘텐츠(110)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대근육, 소근육, 인지 등과 같은 각 발달 영역별 중분류 및 소분류 클래스에 속하는 각 지표 행동 또는 놀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응답 체크 콘텐츠는 전술한 도 1의 성장 앨범 플랫폼(100)의 응답 체크 콘텐츠(120)에 대응할 수 있으나, 반드시 날짜를 입력하고 사진 또는 동영상을 업로드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성장 앨범 형식의 것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성장 앨범 형식 이외의 다른 형식의 구체적 예를 들면, 상기 지표 콘텐츠는 색 구별 놀이 등과 같은 놀이를 사용자 단말에 문장 또는 문장과 사진으로 디스플레이하고, 사용자가 이를 클릭 또는 터치하면, 그 후, 상기 놀이를 검사 대상자가 수행하였는지 여부를 판별할 수 있도록 각 놀이의 단계를 구체화한 놀이 수행 미션 안내부 및 해당 미션 수행 여부에 대한 예, 아니오와 같은 응답을 체크하기 위한 응답 체크부를 상기 제1 응답 체크 콘텐츠가 문장, 사진, 및/또는 동영상으로 시각화한 수단으로 제시하거나, 음성으로 청각화한 수단으로 제시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보호자와 같은 검사 수행자는 예 또는 아니오와 같은 응답을 간단히 체크함으로써 응답을 제출할 수 있다.
상기 지표 콘텐츠 데이터 베이스(210)의 지표 콘텐츠 및 제1 응답 체크 콘텐츠는 제1 데이터 전송부(도시되지 않음)를 통해 사용자 단말(10)에 전송될 수 있고, 그 후, 사용자 단말(10)에 적절히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상기 제1 데이터 전송부는 응답 체크 콘텐츠에 대한 응답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10)로부터 발달 체크 플랫폼(200)으로 다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 단말(10)은 예를 들어, 스마트폰, 태블릿 PC, 데스크탑 PC, 노트북, 스마트 TV, 가전 기기 및 기타 모바일 또는 비모바일 컴퓨팅 장치일 수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통신 기능 및 데이터 프로세싱 기능을 구비한 워치, 안경, 헤어 밴드 등의 웨어러블 장치일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로부터 응답 데이터가 전송되어 수신되면, 제1 데이터 분석부(220)가 해당 응답 데이터로부터 검사 대상자의 개별 특성 정보 데이터를 딥러닝 알고리즘에 의해 추출하고, 이렇게 추출된 개별 특성 정보 데이터의 분석 결과를, 딥러닝 알고리즘 기술을 이용한 빅데이터 분석에 의해, 또래 집단의 평균 데이터와 비교 및 분석하여 검사 대상자의 성장 발달 수준을 판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어 상기 응답 데이터가 성장 앨범 플랫폼(100)으로부터 수신된 검사 대상자의 미션 수행 날짜라면 상기 제1 데이터 분석부(220)는 개별 신상 정보 데이터의 생년월일과 상기 응답 데이터의 미션 수행 날짜로부터 검사 대상자의 월령 또는 연령을 환산하여 월령 또는 연령이라는 개별 특성 정보 데이터를 도출하고, 또한 이렇게 도출된 월령 또는 연령에 부합하는 성장 발달 수준의 판별을 위한 또래 집단 데이터에 대한 빅데이터를 추출할 수 있다. 또한, 구체적으로, 예를 들어 상기 응답 데이터가 성장 앨범 플랫폼(100)으로부터 수신된 검사 대상자의 미션 수행 사진 또는 동영상이라면 상기 제1 데이터 분석부(220)는 딥러닝 알고리즘에 의해 상기 사진 또는 동영상으로부터 소리, 언어, 행동, 및/또는 표정을 인식하여 미션 수행 여부를 판별할 수 있고, 이러한 검사 대상자 개인별 각 미션 단계의 수행 여부 및 수행 정도가 개별 특성 정보 데이터로서 도출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추출된 검사 대상자의 월령 또는 연령에 부합하는 또래 집단 데이터에 대한 빅데이터에 검사 대상자의 미션 수행 결과를 대입하고 딥러닝 알고리즘 기술을 이용한 빅데이터 분석을 수행함으로써 검사 대상자가 또래 집단의 성장 발달 수준과 비교하여 어느 정도의 성장 발달 수준에 있는지를 판별할 수 있다.
상기 제1 데이터 분석부(220)로부터 도출된 성장 발달 수준은 결과 데이터 생성부(240)에서 문장, 도형, 그래프, 및/또는 색상을 이용하여 시각화한 분석 결과로 생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또래 집단의 성장 발달 수준에 대해 미리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를 정규 분포 형태의 그래프로 표시하고 상기 제1 데이터 분석부에서 도출한 검사 대상자의 개별 특성 정보 데이터로부터 도출된 성장 발달 수준을 상기 정규 분포 형태의 그래프 상에 표시하여 결과 데이터로 생성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검사 대상자의 개별 성장 발달 수준을 또래 집단의 평균 수준과 비교하여 또래 상위 수준, 또래 평균 수준, 주의 수준, 또는 위험 수준으로 분류하고 이를 문장 및 색상으로 표현하여 결과 데이터로 생성할 수 있다. 또다른 예로서 상기 정규 분포 형태의 그래프 방식과 상기 문장 및 색상으로 표현하는 방식을 모두 이용하여 결과 데이터로 생성할 수도 있다.
상기 결과 데이터 생성부 (240)에서 생성된 결과 데이터는 제2 데이터 전송부(도시되지 않음)를 통해 사용자 단말(10)로 전송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 데이터 전송부는 상기 제1 데이터 전송부와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데이터 분석부(220)에서 딥러닝 알고리즘 기술에 의하 빅데이터 분석으로 판별된 성장 발달 수준 결과는 성장 발달 수준을 더욱 정확하고 세밀하게 판별하는데 이용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데이터 분석부(220)는 제1 데이터 전송부에서 수신된 응답 데이터로부터, 딥러닝 알고리즘에 의한 빅데이터 분석에 의해 검사 대상자의 성장 발달 수준을 예비적으로 판별하는 예비 판별부를 추가로 더 포함할 수 있고, 이렇게 예비 판별부의 결과를 지표 콘텐츠 재구성부(230)로 전송하고, 예비 판별된 성장 발달 수준이 또래 집단의 평균 수준보다 낮으면 이에 따라 딥러닝 알고리즘을 이용한 빅데이터 분석에 의해 지표 콘텐츠의 수준을 더 낮게 조절하여 지표 콘텐츠를 재구성하거나, 또는 예비 판별된 성장 발달 수준이 또래 집단의 평균 수준보다 높으면 이에 따라 딥러닝 알고리즘을 이용한 빅데이터 분석에 의해 지표 콘텐츠의 수준을 더 높게 조절하여 지표 콘텐츠를 재구성할 수도 있다. 이렇게 지표 콘텐츠 재구성부(230)에서 재구성된 지표 콘텐츠는 지표 콘텐츠 데이터베이스(210)로 전송되어 사용자 단말(10)로 전송되거나 또는 곧바로 사용자 단말(10)로 전송되어 보호자로부터 응답 데이터를 다시 얻을 수 있다. 이렇게 재구성된 지표 콘텐츠로부터 얻은 응답 데이터는 다시 제1 데이터 분석부(220)로 전송되어 딥러닝 알고리즘을 이용한 빅데이터 분석에 의해 성장 발달 수준을 최종적으로 판별하는데 사용되거나, 필요에 따라 다시 예비적 판별부를 통해 수준을 예비 판별하고 지표 콘텐츠를 재구성하여 응답을 다시 받는데 사용될 수도 있다.
도 3은 검사 대상자의 성장 발달 수준에 따른 성장 발달 놀이를 제시하고 이러한 성장 발달 놀이의 수행에 따른 성장 발달 개선 정도를 판별할 수 있는 놀이 미션 플랫폼 (300)의 구성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놀이 미션 플랫폼(300)은 발달 체크 플랫폼(200)의 제1 데이터 분석부(220)에서 딥러닝 알고리즘을 이용한 빅데이터 분석에 의해 판별된 개별 검사 대상자의 성장 발달 수준 결과를 기초로 하여 성장 발달 놀이 미션을 제공하는 플랫폼이다. 여기서 상기 발달 체크 플랫폼(200)은 또한 전술한 성장 앨범 플랫폼(100)과 연동되어 있을 수도 있다.
상기 놀이 미션 플랫폼(300)의 제2 데이터 분석부(310)는 상기 발달 체크 플랫폼(200)의 제1 데이터 분석부(220)에서 도출된 성장 발달 수준을 기초로 하여 해당 수준을 유지, 강화, 또는 향상시키기 위한 성장 발달 놀이에 대한 빅데이터를 딥러닝 알고리즘에 의해 분석 및 도출할 수 있다. 상기 성장 발달 놀이는 전술한 지표 콘텐츠와 관련하여 설명한 각 발달 영역별 중분류 또는 소분류 클래스에 포함되는 놀이, 예를 들어 까꿍 놀이, 숨바꼭질, 흔들리는 물체 잡기, 색 구별 놀이 등 일 수 있다.
상기 제2 데이터 분석부에서 도출된 성장 발달 놀이에 대한 빅데이터 분석 결과에 기초하여 성장 발달 놀이 콘텐츠 데이터 베이스(320)에서 성장 발달 놀이 콘텐츠가 선택 및 구성되며, 이러한 성장 발달 놀이 콘텐츠는 문장, 사진, 및/또는 동영상으로 시각화한 수단으로 사용자 단말(10)에 디스플레이된다. 상기 성장 발달 놀이 콘텐츠 데이터 베이스(320) 는 성장 발달 놀이 콘텐츠 뿐만 아니라 상기 성장 발달 놀이 콘텐츠를 구성하는 각 놀이 미션의 가이드라인을 제시하는 놀이 미션 안내 콘텐츠 및 상기 놀이 미션을 검사 대상자가 수행하는지 여부를 체크하기 위한 응답지를 제시하는 제2 응답 체크 콘텐츠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놀이 미션 안내 콘텐츠 및/또는 제2 응답 체크 콘텐츠는 시각화한 수단이나 청각화한 수단으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2 응답 체크 콘텐츠는 전술한 발달 체크 플랫폼(200)의 지표 콘텐츠 데이터베이스(210)에 포함된 제1 응답 체크 콘텐츠와 유사한 구성을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 응답 체크 콘텐츠는 검사 대상자의 미션 수행 사진 및/또는 동영상을 저장하기 위한 정보 저장부를 포함하여 보호자가 사진 및/또는 동영상을 업로드하여 저장할 수 있거나, 또는 응답 체크 콘텐츠가 문장, 사진, 및/또는 동영상으로 시각화한 수단으로 제시하거나 음성으로 청각화한 수단으로 제시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보호자와 같은 검사 수행자는 예 또는 아니오와 같은 응답을 간단히 체크함으로써 응답을 제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응답 체크 콘텐츠는 전술한 정보 저장부에 추가하여, 해당 놀이 미션 수행 날짜를 입력하는 날짜 입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성장 발달 놀이 콘텐츠 데이터베이스(320)의 성장 발달 놀이 콘텐츠 및 제2 응답 체크 콘텐츠는 제3 데이터 전송부(도시되지 않음)를 통해 사용자 단말(10)에 전송될 수 있다. 상기 제3 데이터 전송부는 전술한 제1 또는 제2 데이터 전송부와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로부터 제2 응답 체크 콘텐츠에 대한 응답 데이터가 전송되어 수신되면, 제3 데이터 분석부(330)가 해당 응답 데이터로부터 검사 대상자의 개별 특성 정보 데이터를 딥러닝 알고리즘을 이용한 빅데이터 분석에 의해 추출하고 이렇게 추출된 개별 특성 정보 데이터를 기초로 하여 검사 대상자가 해당 놀이 미션에 대응하는 수준의 성장 발달 단계에 이르렀는지 여부를 딥러닝 알고리즘을 이용한 빅데이터 분석에 의해 분석, 판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개별 특성 정보 데이터의 추출 및 분석은 예를 들어, 상기 제2 응답 체크 콘텐츠의 정보 저장부에 저장된 미션 수행 사진 및/또는 동영상으로부터 딥러닝 알고리즘에 의해 소리, 언어, 행동, 및/또는 표정을 인식하여 놀이 미션의 수행 여부 및 호응도를 판별하여 수행되거나, 상기 제2 응답 체크 콘텐츠의 응답지에 제시된 각 항목 (예를 들어, 놀이 미션의 수행 여부 및 호응 여부에 대한 설문)에 대한 응답을 객관적 수치로 환산하여 수행될 수 있다.
상기 놀이 미션 플랫폼(300)은 전술한 제3 데이터 분석부의 분석 결과를 기초로 하여 딥러닝 알고리즘을 이용한 빅데이터 분석에 의해 성장 발달 놀이의 구성 또는 수준을 조절하고 이와 같이 조절된 수준이나 구성에 부합하도록 성장 발달 놀이 콘텐츠를 편집하여 재구성하는 성장 발달 놀이 콘텐츠 재구성부(3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성장 발달 놀이의 재구성은 예를 들어 검사 대상자가 놀이 미션을 일정 수준까지 수행하는데 실패한 경우 딥러닝 알고리즘에 의해 판별된 검사 대상자의 호응도 및 관련 빅데이터 분석 결과에 따라 해당 놀이 미션을 재반복하던가, 좀 더 높은 호응도를 나타낼 수 있는 유사한 수준의 다른 놀이 미션으로 변경 또는 추가하는 것일 수 있다. 또다른 예로서, 검사 대상자가 놀이 미션을 수행한 경우, 해당 성장 발달 수준을 유지, 강화, 또는 향상시킬 수 있는 다른 놀이 미션으로 변경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성장 발달 놀이 콘텐츠 재구성부(340)에서 재구성된 성장 발달 놀이에 기초하여 성장 발달 놀이 콘텐츠 데이터 베이스(320)에서 성장 발달 놀이 콘텐츠가 다시 선택되며, 이렇게 선택된 콘텐츠는 사용자 단말(10)에 디스플레이되고, 해당 놀이 콘텐츠에 대한 제2 응답 체크 콘텐츠의 응답 데이터가 제3 데이터 분석부(330)로 전송되어 딥러닝 알고리즘에 의해 개별 특성 정보 데이터가 다시 추출 및 분석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놀이 미션 플랫폼(300)의 제3 데이터 분석부(330)는, 딥러닝 알고리즘에 의해 추출 및 분석된 개별 특성 정보 데이터에 기초하여 성장 발달 수준을 판별하는 판별부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놀이 미션 플랫폼(300)은 상기 제1 데이터 분석부에서 지표 콘텐츠에 대한 응답 데이터로부터 딥러닝 알고리즘에 의한 빅데이터 분석에 따라 판별된 성장 발달 수준 및 상기 제3 데이터 분석부(330)에서 딥러닝 알고리즘에 의한 빅데이터 분석에 따라 판별된 성장 발달 수준을 수집하는 성장 발달 데이터 수집부(350) 및 상기 성장 발달 데이터 수집부에 수집된 정보를 수신하여 검사 대상자의 성장 발달 수준의 개선 정도 및 경과 시간에 따른 성장 발달 개선의 진행 정도를 문장, 도형, 그래프, 및/또는 색상을 이용하여 시각화한 결과를 생성하는 성장 발달 개선 데이터 생성부(3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성장 발달 데이터 수집부(350) 및 성장 발달 개선 데이터 생성부(360)는 전술한 성장 발달 체크 플랫폼(200)에 포함될 수도 있으며, 이 때, 놀이 미션 플랫폼(300)에서 제3 데이터 분석부(330)의 판별부에 의해 빅데이터 분석에 따라 판별된 성장 발달 수준에 대한 데이터는 성장 발달 체크 플랫폼(200)으로 전송되어 상기 성장 발달 체크 플랫폼(200)의 성장 발달 데이터 수집부(350)에 수집될 수 있다.
한편, 비록 도시되지 않았으나, 본 발명의 시스템은 전문 상담 플랫폼을 추가로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문 상담은 딥러닝과 같은 인공 지능 또는 전문가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전문 상담 플랫폼에서 전문 상담이 전문가에 의해 이루어질 경우, 상기 플랫폼은 성장 발달에 대한 전문가 상담의 진행을 안내하는 컨텐츠를 사용자 단말에 디스플레이하고 전문가 상담 진행 여부에 대한 응답을 수신하는 전문가 상담 안내 데이터 처리부 및 사용자 단말을 전문가 중개 단말과 연결시키는 전문가 중개 연결 처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단말에 전문가 상담에 대한 안내 아이콘이 디스플레이되고, 사용자가 상기 아이콘을 클릭 또는 터치하면 전문가 상담 진행 여부를 물어보는 단계, 다양한 전문가의 프로필을 소개하는 단계, 및 사용자가 특정 전문가를 선택하여 클릭 또는 터치함으로써 상담 진행 응답을 완료하는 단계의 순서로 안내 데이터가 처리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순서로 전문가 상담이 결정되면 전문가 중개 연결 처리부가 해당 특정 전문가의 단말과 연결시키기 위한 전문가 중개 단말과 사용자 단말을 연결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은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일 수 있으며, 해당 애플리케이션이 전술한 성장 앨범 플랫폼(100), 성장 발달 체크 플랫폼(200), 놀이 미션 플랫폼(300), 및 전문 상담 플랫폼을 포함하고 해당 플랫폼이 서로 연동함으로써 시스템이 구현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 기재로부터 이러한 실시예들에 대한 다양한 변형 또는 수정을 용이하게 파악하고 여기에 정의된 일반적인 원리들을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하여, 본 발명은 여기에 제시된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여기에 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관되는 최광의의 범위에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성장 앨범 플랫폼
110: 지표 콘텐츠 120: 응답 체크 콘텐츠부
121: 제1 지표에 대한 응답 체크 콘텐츠
122: 제2 지표에 대한 응답 체크 콘텐츠
123: 제3 지표에 대한 응답 체크 콘텐츠
200: 성장 발달 체크 플랫폼
210: 지표 콘텐츠 데이터베이스 220: 제1 데이터 분석부
230: 지표 콘텐츠 재구성부 240: 결과 데이터 생성부
300: 놀이 미션 플랫폼
310: 제2 데이터 분석부
320: 성장 발달 놀이 콘텐츠 데이터베이스
330: 제3 데이터 분석부 340: 성장 발달 놀이 콘텐츠 재구성부
350: 성장 발달 데이터 수집부 360: 성장 발달 개선 데이터 생성부

Claims (9)

  1. 검사 대상자의 성장 발달을 분석하기 위한 시스템으로서,
    상기 시스템은
    성장 발달 수준별 지표 행동 또는 지표 놀이를 문장, 사진, 및 동영상 중 적어도 하나로 시각화한 수단으로 제시하는 지표 콘텐츠, 및 검사 대상자가 상기 지표 행동 또는 지표 놀이를 수행하는지 여부를 체크하기 위한 응답지를 제시하는 제1 응답 체크 콘텐츠를 포함하는 지표 콘텐츠 데이터베이스;
    상기 지표 콘텐츠 및 상기 제1 응답 체크 콘텐츠를 사용자 단말에 전송하는 제1 데이터 전송부;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된 제1 응답 체크 콘텐츠에 대한 응답 데이터로부터 검사 대상자의 개별 특성 정보 데이터를 추출하고 이를 또래 집단의 평균 데이터와 비교 및 분석하여 검사 대상자의 성장 발달 수준을 판별하고, 여기서 상기 개별 특성 정보 데이터의 추출 및 성장 발달 수준의 판별은 딥러닝 알고리즘 기술을 이용한 빅데이터 분석에 의해 수행되는 제1 데이터 분석부;
    상기 제1 데이터 분석부로부터 도출된 성장 발달 수준을, 문장, 도형, 그래프, 및 색상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시각화한 분석 결과를 생성하는 결과 데이터 생성부;
    상기 결과 데이터 생성부에서 생성된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제2 데이터 전송부;
    상기 제1 데이터 분석부로부터 도출된 성장 발달 수준을 유지, 강화, 또는 향상시키기 위한 성장 발달 놀이에 대한 빅데이터를 딥러닝 알고리즘에 의해 분석 및 도출하는 제2 데이터 분석부;
    성장 발달 놀이를 문장, 사진, 및 동영상 중 적어도 하나로 시각화한 수단으로 제시하는 성장 발달 놀이 콘텐츠 및 상기 성장 발달 놀이 콘텐츠의 놀이 미션을 검사 대상자가 수행하는지 여부를 체크하기 위한 응답지를 제시하는 제2 응답 체크 콘텐츠를 포함하는 성장 발달 놀이 콘텐츠 데이터 베이스;
    상기 성장 발달 놀이 콘텐츠 및 상기 제2 응답 체크 콘텐츠를 사용자 단말에 전송하는 제3 데이터 전송부;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된 상기 제2 응답 체크 콘텐츠에 대한 응답 데이터로부터, 놀이 미션의 수행여부와 호응도를 포함하는 검사 대상자의 개별 특성 정보 데이터를 딥러닝 알고리즘 기술을 이용한 빅데이터 분석에 의해 추출 및 분석하는 제3 데이터 분석부; 및
    상기 제3 데이터 분석부의 분석 결과에 기초로 성장 발달 놀이의 구성 또는 수준을 딥러닝 알고리즘을 이용한 빅데이터 분석에 의해 조절하여 성장 발달 놀이 콘텐츠를 편집하여 재구성하는 성장 발달 놀이 콘텐츠 재구성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데이터 분석부는 제1 데이터 전송부에서 수신된 응답 데이터로부터 딥러닝 알고리즘 기술을 이용한 빅데이터 분석에 의해 검사 대상자의 성장 발달 수준을 예비적으로 판별하는 예비 판별부를 추가로 더 포함하고,
    상기 시스템이 상기 예비 판별부로부터 수신된 예비 성장 발달 수준에 기초로 딥러닝 알고리즘을 이용한 빅데이터 분석에 의해 지표 콘텐츠의 수준을 더 낮게 또는 더 높게 조절하여 재구성하는 지표 콘텐츠 재구성부를 추가로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데이터 전송부는 상기 지표 콘텐츠 재구성부에서 수준이 조절된 지표 콘텐츠를 전송하는,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응답 체크 콘텐츠는 문장, 사진, 및 동영상 중 적어도 하나로 시각화한 수단으로 제시되거나 음성으로 청각화한 수단으로 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응답 체크 콘텐츠의 응답지가 검사 대상자의 미션 수행 날짜에 대한 정보를 입력받는 날짜 입력부 및 검사 대상자의 미션 수행 사진, 동영상, 또는 미션 수행 사진과 동영상을 저장하기 위한 정보 저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데이터 분석부에서 검사 대상자의 개별 특성 정보 데이터를 추출하는 단계는 상기 미션 수행 날짜로부터 검사 대상자의 월령 또는 연령을 환산하는 단계 및 상기 미션 수행 사진, 동영상, 또는 미션 수행 사진과 동영상으로부터 딥러닝 알고리즘에 의해 소리, 언어, 행동, 및 표정 중 적어도 하나를 인식하여 미션 수행 여부를 판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응답 체크 콘텐츠의 응답지가 검사 대상자의 미션 수행 사진, 동영상, 또는 미션 수행 사진과 동영상을 저장하기 위한 정보 저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데이터 분석부에서 검사 대상자의 개별 특성 정보 데이터를 추출 및 분석하는 단계는 상기 제2 응답 체크 콘텐츠의 정보 저장부에 저장된 미션 수행 사진, 동영상, 또는 미션 수행 사진과 동영상으로부터 딥러닝 알고리즘에 의해 소리, 언어, 행동, 및 표정 중 적어도 하나를 인식하여 놀이 미션의 수행 여부 및 호응도를 판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데이터 분석부는 추출 및 분석된 검사 대상자의 개별 특성 정보 데이터에 기초하여 딥러닝 알고리즘 기술을 이용한 빅데이터 분석에 의해 성장 발달 수준을 판별하는 판별부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시스템은 상기 제1 데이터 분석부에서 판별된 성장 발달 수준 및 상기 제3 데이터 분석부에서 판별된 성장 발달 수준을 수집하는 성장 발달 데이터 수집부 및 상기 성장 발달 데이터 수집부에 수집된 정보를 수신하여 검사 대상자의 성장 발달 수준의 개선 정도 및 경과 시간에 따른 성장 발달 개선의 진행 정도를, 문장, 도형, 그래프, 및 색상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시각화한 결과를 생성하는 성장 발달 개선 데이터 생성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9. 제1항에 있어서, 성장 발달에 대한 전문가 상담의 진행을 안내하는 컨텐츠를 사용자 단말에 디스플레이하고 전문가 상담 진행 여부에 대한 응답을 수신하는 전문가 상담 안내 데이터 처리부, 및 사용자 단말을 전문가 중개 단말과 연결시키는 전문가 중개 연결 처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KR1020200087527A 2020-07-15 2020-07-15 딥러닝 알고리즘을 이용한 빅데이터 분석 기반 영유아 성장발달 분석 시스템 KR1023236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7527A KR102323601B1 (ko) 2020-07-15 2020-07-15 딥러닝 알고리즘을 이용한 빅데이터 분석 기반 영유아 성장발달 분석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7527A KR102323601B1 (ko) 2020-07-15 2020-07-15 딥러닝 알고리즘을 이용한 빅데이터 분석 기반 영유아 성장발달 분석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23601B1 true KR102323601B1 (ko) 2021-11-09

Family

ID=786100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87527A KR102323601B1 (ko) 2020-07-15 2020-07-15 딥러닝 알고리즘을 이용한 빅데이터 분석 기반 영유아 성장발달 분석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2360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59308B1 (ko) 2022-03-30 2023-07-25 이정은 아동의 행동특징 및 정서특징을 이용한 교육 제안 서비스 제공 장치, 방법 및 프로그램
KR20240010253A (ko) 2022-07-15 2024-01-23 모연숙 영유아 정서상태분석과 스트레스 상황에서의 대처행동 분석을 지원하는 시스템 및 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23499A (ko) * 2004-06-25 2005-12-29 전미숙 유아의 성장발달단계를 체크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시스템 및 방법
KR20130044458A (ko) * 2011-10-24 2013-05-03 (주)이투데이피엔씨 유아부모용 놀이학습 콘텐츠 서비스 시스템 및 그 제공 방법
KR102059753B1 (ko) * 2018-12-13 2019-12-26 김영하 인공지능 기술을 이용한 컴퓨터 프로그램이 적용된 상담 절차 수행 시스템
KR20200021329A (ko) * 2018-08-20 2020-02-28 유혜용 유아 성장 관찰 서비스 시스템
KR20200034150A (ko) * 2018-09-21 2020-03-31 주식회사 지에이치씨 맞춤형 아동 성장발달 관리서비스 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23499A (ko) * 2004-06-25 2005-12-29 전미숙 유아의 성장발달단계를 체크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시스템 및 방법
KR20130044458A (ko) * 2011-10-24 2013-05-03 (주)이투데이피엔씨 유아부모용 놀이학습 콘텐츠 서비스 시스템 및 그 제공 방법
KR20200021329A (ko) * 2018-08-20 2020-02-28 유혜용 유아 성장 관찰 서비스 시스템
KR20200034150A (ko) * 2018-09-21 2020-03-31 주식회사 지에이치씨 맞춤형 아동 성장발달 관리서비스 시스템
KR102059753B1 (ko) * 2018-12-13 2019-12-26 김영하 인공지능 기술을 이용한 컴퓨터 프로그램이 적용된 상담 절차 수행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59308B1 (ko) 2022-03-30 2023-07-25 이정은 아동의 행동특징 및 정서특징을 이용한 교육 제안 서비스 제공 장치, 방법 및 프로그램
KR20240010253A (ko) 2022-07-15 2024-01-23 모연숙 영유아 정서상태분석과 스트레스 상황에서의 대처행동 분석을 지원하는 시스템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illiams et al. AI+ ethics curricula for middle school youth: Lessons learned from three project-based curricula
Angelillo et al. Examining shared endeavors by abstracting video coding schemes with fidelity to cases
Moore et al. Visual literacy: A spectrum of visual learning
Picard Toward computers that recognize and respond to user emotion
CN108009954B (zh) 一种教学计划制定方法、装置、系统及电子设备
CN109637207A (zh) 一种学前教育互动教学装置及教学方法
CN105069294A (zh) 一种用于认知能力值测试的计算和分析方法
KR101023249B1 (ko) 뇌파를 이용한 인지 훈련 응용 프로그램 생성 장치, 방법 및 그 기록 매체
KR102323601B1 (ko) 딥러닝 알고리즘을 이용한 빅데이터 분석 기반 영유아 성장발달 분석 시스템
US20200184843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computer program
Lupton Creating and expressing: Information-as-it-is-experienced
Akner-Koler et al. Integrating Sensitizing Labs in an Educational Design Process for Haptic Interaction
Anindhita et al. Designing interaction for deaf youths by using user-centered design approach
Spitzer Using participant observation to study the meaning of occupations of young children with autism and other developmental disabilities
Nicholas et al. Tactile working memory scale: A professional manual
Dengel Effects of Immersion and Presence on Learning Outcomes in Immersive Educational Virtual Environments for Computer Science Education
Wang et al. Smart design of intelligent companion toys for preschool children
Chistol et al. Autism assistant: A platform for autism home-based therapeutic intervention
US20220013029A1 (en) Augmented video interaction learning analysis platform
JP7521886B2 (ja) プログラム、情報処理方法、及び情報処理装置
Utami et al. A Brief Study of The Use of Pattern Recognition in Online Learning: Recommendation for Assessing Teaching Skills Automatically Online Based
Dubois et al. From perception to sensory experiences
Antona et al. Universal Access in Human-Computer Interaction. User and Context Diversity: 16th International Conference, UAHCI 2022, Held as Part of the 24th HCI International Conference, HCII 2022, Virtual Event, June 26–July 1, 2022, Proceedings, Part II
Yra et al. HELLO: An android-based mobile application for autism individuals to improve socio-communicational learnability in Bangladesh
Cottrell Supporting Self-Regulation with Deformable Controlle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