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59753B1 - 인공지능 기술을 이용한 컴퓨터 프로그램이 적용된 상담 절차 수행 시스템 - Google Patents

인공지능 기술을 이용한 컴퓨터 프로그램이 적용된 상담 절차 수행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59753B1
KR102059753B1 KR1020180160570A KR20180160570A KR102059753B1 KR 102059753 B1 KR102059753 B1 KR 102059753B1 KR 1020180160570 A KR1020180160570 A KR 1020180160570A KR 20180160570 A KR20180160570 A KR 20180160570A KR 102059753 B1 KR102059753 B1 KR 1020597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nseling
user terminal
data
result
consul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605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하
Original Assignee
김영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하 filed Critical 김영하
Priority to KR10201801605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5975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97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97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80/00ICT specially adapted for facilitating communication between medical practitioners or patients, e.g. for collaborative diagnosis, therapy or health monitor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6Devices for psychotechnics; Testing reaction times ; Devices for evaluating the psychological state
    • A61B5/165Evaluating the state of mind, e.g. depression, anxie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81Customer communication at a business location, e.g. providing product or service information, consulting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2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computer-aided diagnosis, e.g. based on medical expert system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ath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ina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sychiatr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Developmental Disabilities (AREA)
  • Psychology (AREA)
  • Biophys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Hospice & Palliative Care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Social Psychology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인공지능 기술을 이용한 컴퓨터 프로그램이 적용된 상담 절차 수행 시스템이 제공된다. 상기 인공지능 기술을 이용한 컴퓨터 프로그램이 적용된 상담 절차 수행 시스템은, 사용자로부터 개별 심리상태에 관한 응답을 입력받아 개별 특성 정보를 생성하고, 사용자에 관한 성별과 나이를 포함하는 공통 특성 정보를 생성하는 제1 사용자 단말, 상기 제1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개별 특성 정보와 상기 공통 특성 정보를 포함하는 수집 데이터를 전송받아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를 갖는 상담기관 서버, 상기 상담기관 서버로부터 상기 수집 데이터를 전송받아, 상기 수집 데이터를 컴퓨터 인공지능 기술을 이용하여 분석하며, 상기 분석 결과에 따라 시각적인 상담결과 데이터를 생성하는 중개서버, 및 상기 상담기관 서버를 통해 상기 제1 사용자 단말과 통신하며, 상기 제1 사용자 단말로부터 전송된 상담 요청에 응답하여 화상 대면 상담 또는 문자 상담을 수행할 수 있는 제2 사용자 단말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은 1차적으로 상기 중개서버로부터 상기 상담결과 데이터를 전송받아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하고, 2차적으로 상기 제2 사용자 단말과 통신하여 상기 화상 대면 상담 또는 상기 문자 상담을 수행한다.

Description

인공지능 기술을 이용한 컴퓨터 프로그램이 적용된 상담 절차 수행 시스템{The consultation procedure execution system adapted computer program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본 발명은 인공지능 기술을 이용한 컴퓨터 프로그램이 적용된 상담 절차 수행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개별 특성과 공통 특성으로부터 추출된 정보를 기초로 빅데이터 검색을 통한 결과값으로 정확한 분석을 수행하는 인공지능 기술을 이용한 컴퓨터 프로그램이 적용된 상담 절차 수행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의 현대사회는 여러 분야에서 다방면에 걸쳐 급속한 정보화와 전문화 및 산업화가 진행되고 있다. 이로 인해 현대인들은 과도한 경쟁과 이를 통한 성취가 강조되는 가치관 등에 대해 심각한 혼란을 느끼게 되는 동시에 도덕성과 인간성 상실에 따른 일상생활에서의 불안과 소외감 등에 기인하는 정신건강 문제에 직면하게 되는 사회적 현상이 늘어나고 있는 실정이다.
최근의 연구 및 조사 결과들에 따르면, 신경성·심인성 스트레스성 질환과 같은 신체적 질환은 정신상태의 불균형에서도 초래된다는 사실이 알려진 바 있으며, 이러한 사실에 근거해 볼 때 우리에게 정신건강이 미치는 영향을 쉽게 짐작할 수 있다.
따라서, 현대사회의 특성으로 표현될 수 있는 정보화와 전문화, 다양화 및 신속화 등으로 인해 점차 복잡해지고 있는 인간의 심리나 행동을 객관적으로 측정하고 파악하기 위한 수단으로 다양한 심리검사가 학교에서뿐만 아니라 기업체 및 일반인에게서도 보편적으로 적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심리검사는 개인의 지능, 학력, 적성, 성격, 흥미, 가치관 등과 같은 인간의 다양한 심리적 특성들을 파악하기 위해 다양한 형태의 수단과 도구들을 이용하여 양적 질적으로 측정하고 평가하기 위한 것으로서, 검사 목적에 따라 다양한 심리검사 종류가 존재한다.
한국 공개특허 10-2018-0070205 (공고일자 2018년 6월 26일)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사용자가 입력한 정보로부터 개별 특성 정보와 공통 특성 정보를 추출하고, 이를 이용하여 기계학습(딥 러닝)을 수행하는 분석모듈을 적용시킨 인공지능 기술을 이용한 컴퓨터 프로그램이 적용된 상담 절차 수행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사용자의 심리상태를 정확하게 파악하고 분석하여 적절한 상담 결과를 출력하거나 아동 언어발달 문제점이 있는 경우에 원인을 분석하고 언어치료를 수행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는 인공지능 기술을 이용한 컴퓨터 프로그램이 적용된 상담 절차 수행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다만,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상기 과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확장될 수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공지능 기술을 이용한 컴퓨터 프로그램이 적용된 상담 절차 수행 시스템은, 사용자로부터 개별 심리상태에 관한 응답을 입력받아 개별 특성 정보를 생성하고, 사용자에 관한 성별과 나이를 포함하는 공통 특성 정보를 생성하는 제1 사용자 단말, 상기 제1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개별 특성 정보와 상기 공통 특성 정보를 포함하는 수집 데이터를 전송받아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를 갖는 상담기관 서버, 상기 상담기관 서버로부터 상기 수집 데이터를 전송받아, 상기 수집 데이터를 컴퓨터 인공지능 기술을 이용하여 분석하며, 상기 분석 결과에 따라 시각적인 상담결과 데이터를 생성하는 중개서버, 및 상기 상담기관 서버를 통해 상기 제1 사용자 단말과 통신하며, 상기 제1 사용자 단말로부터 전송된 상담 요청에 응답하여 화상 대면 상담 또는 문자 상담을 수행할 수 있는 제2 사용자 단말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은 1차적으로 상기 중개서버로부터 상기 상담결과 데이터를 전송받아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하고, 2차적으로 상기 제2 사용자 단말과 통신하여 상기 화상 대면 상담 또는 상기 문자 상담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은 상기 개별 특성 정보와 상기 공통 특성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수집 데이터를 데이터 내용의 인식 및 분석 기능을 향상시키도록 미리 정해진 방식으로 구조화한 수집 데이터 스트럭처를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서, 상기 중개서버는, 분석모듈, 결과생성모듈, 및 통신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분석모듈은 컴퓨터 인공지능 기술을 이용하여 상기 수집 데이터 또는 상기 수집 데이터 스트럭처를 분석하고, 딥 러닝을 수행하며, 상기 결과생성모듈은 상기 분석모듈의 분석결과에 따라 시각화한 상기 상담결과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통신모듈은 상기 결과생성모듈로부터 상기 상담결과 데이터를 전달받아 상기 제1 사용자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서, 상기 분석모듈은 상기 수집 데이터 또는 상기 수집 데이터 스트럭처로부터 추출된 문장의 문자인식 기능을 수행하여 의미를 분석하며, 상기 인공지능 기술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심리상태를 파악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서, 상기 분석모듈은 상기 심리상태 파악의 결과에 따른 조언 문구를 생성하기 위한 데이터를 검색하고 분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은, 상기 중개서버로부터 상기 상담결과 데이터를 전송받고 선택적으로 전문가 상담 절차를 수행하기 위한 데이터를 입력받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서, 상기 데이터베이스는 상담 분야별 전문 상담사에 관한 경력 데이터 및 상담사례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은, 상기 전문가 상담 절차를 수행하기 위한 제1 선택 모드 또는 제2 선택 모드를 디스플레이하며, 상기 제1 선택 모드는 입력 데이터에 기초한 상담사 선택을 수행하여 상기 선택된 상담사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모드이고, 상기 제2 선택 모드는 상기 데이터베이스 내의 상담사 풀 저장소를 검색하고 빅데이터 분석 기술을 이용하여 상기 개별 특성 정보와 상기 공통 특성 정보에 기초해서 상담사를 선정해 상기 선정된 상담사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모드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서, 상기 상담기관 서버는 심리상태 분석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심리상태 분석모듈은 상기 제1 사용자 단말로부터 입력되는 음성신호의 주파수, 파형, 및 소리의 크기를 분석하여 빅데이터 기반으로 심리상태의 평균적 결과값을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서, 상기 상담기관 서버는 상기 평균적 결과값을 상기 제2 사용자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인공지능 기술을 이용한 컴퓨터 프로그램이 적용된 상담 절차 수행 시스템은,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데이터를 기초로 아동 언어발달 문제점에 관한 수집 데이터를 생성하는 제1 사용자 단말, 상기 제1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수집 데이터를 전송받아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를 갖는 상담기관 서버, 상기 상담기관 서버로부터 상기 수집 데이터를 전송받아, 상기 수집 데이터를 컴퓨터 인공지능 기술을 이용하여 분석하며, 상기 분석 결과에 따라 시각적인 상담결과 데이터를 생성하는 중개서버, 및 상기 상담기관 서버를 통해 상기 제1 사용자 단말과 통신하며, 상기 제1 사용자 단말로부터 전송된 상담 요청에 응답하여 화상 대면 상담 또는 문자 상담을 수행할 수 있는 제2 사용자 단말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은 1차적으로 상기 중개서버로부터 상기 상담결과 데이터를 전송받아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하고, 2차적으로 상기 제2 사용자 단말과 통신하여 상기 화상 대면 상담 또는 상기 문자 상담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서, 상기 중개서버는, 분석모듈, 결과생성모듈, 및 통신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분석모듈은 컴퓨터 인공지능 기술을 이용하여 상기 수집 데이터를 분석하고 딥 러닝을 수행하며, 상기 결과생성모듈은 상기 분석모듈의 분석결과에 따라 시각화한 상기 상담결과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통신모듈은 상기 결과생성모듈로부터 상기 상담결과 데이터를 전달받아 상기 제1 사용자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서, 상기 분석모듈은 상기 수집 데이터로부터 추출된 문장의 문자인식 기능을 수행하여 의미를 분석하며, 상기 인공지능 기술을 이용하여 상기 아동 언어발달 문제점을 파악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서, 상기 분석모듈은 상기 아동 언어발달 문제점을 파악한 결과에 따른 조언 문구를 생성하기 위한 데이터를 검색하고 분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은, 상기 중개서버로부터 상기 상담결과 데이터를 전송받고 선택적으로 전문가 상담 절차를 수행하기 위한 데이터를 입력받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은, 상기 전문가 상담 절차를 수행하기 위한 제1 선택 모드 또는 제2 선택 모드를 디스플레이하며, 상기 제1 선택 모드는 입력 데이터에 기초한 상담사 선택을 수행하여 상기 선택된 상담사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모드이고, 상기 제2 선택 모드는 상기 데이터베이스 내의 상담사 풀 저장소를 검색하고 빅데이터 분석 기술을 이용하여 상기 수집 데이터에 기초해서 상담사를 선정해 상기 선정된 상담사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모드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서, 상기 상담기관 서버는 언어치료 분석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언어치료 분석모듈은 상기 제1 사용자 단말로부터 입력되는 음성신호를 분석하여 빅데이터 기반으로 아동 언어발달 문제점에 관한 평균적 결과값을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서, 상기 상담기관 서버는 상기 평균적 결과값을 상기 제2 사용자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타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자가진단 검사를 통해 개별 심리상태를 나타내는 개별 특성 정보와 사용자의 성별, 나이, 직업, 가족관계 등의 공통 특성 정보를 이용하여 빅데이터 분석에 근거한 심리상담을 효율적으로 수행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인공지능 기술을 적용하여 사용자가 상담을 희망하는 요소를 정확하게 파악하며, 개인적인 편견에 치우치지 않는 적절한 상담 결과를 도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전문적인 상담을 위한 접근이 용이하도록 하며, 누구에게나 발생할 수 있지만 병원을 방문하기가 애매한 경우에 초기 치료를 적절하게 도울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 효과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확장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심리상담 애플리케이션이 동작하는 전체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사용자 단말의 인터페이스 예시를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및 제2 사용자 단말의 화상 대면 상담을 위한 인터페이스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1 사용자 단말의 인터페이스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언어치료 애플리케이션이 동작하는 전체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면 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심리상담 애플리케이션이 동작하는 전체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사용자 단말의 인터페이스 예시를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및 제2 사용자 단말의 화상 대면 상담을 위한 인터페이스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 사용되는 '모듈'이라는 용어는 논리적인 구성 단위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반드시 물리적으로 구분되는 구성 요소가 아니라는 점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자명한 사항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심리상담 애플리케이션이 동작하는 전체 시스템은, 제1 사용자 단말(100), 상담기관 서버(200), 중개서버(300), 제2 사용자 단말(400)을 포함한다.
제1 사용자 단말(100)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애플리케이션(110)이 설치된다. 제1 사용자 단말(100)은 사용자(내담자)측에서 사용하는 컴퓨팅 장치로서, 네트워크와 연결되어 통신함으로써 상담기관 서버(200)의 데이터베이스(210)로 수집 데이터(CD)들을 전송하고, 중개서버(300)로부터 상담결과 데이터(RD1)를 전송받을 수 있다. 수집 데이터(CD)는 제1 사용자 단말(100)의 애플리케이션(110)을 통해 획득된 데이터들의 집합으로서, 예를 들어 후술하는 자가진단 검사에서 개별 심리상태 파악을 위해 얻어진 개별 특성 정보들 및 내담자의 성별, 나이, 직업, 가족관계 등과 같이 심리분석을 위해 공통적으로 추출될 수 있는 내담자의 신상에 관한 공통 특성 정보들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담결과 데이터(RD1)란 후술하는 중개서버(300)의 분석모듈(310), 결과생성모듈(320)을 통해 인공지능 기술을 이용한 심리상담 결과에 관한 데이터로서 내담자로부터 획득된 수집 데이터(CD)에 기초하여 빅데이터 분석을 통한 기계학습의 결과로서 생성된 결과 데이터이다.
제1 사용자 단말(100)은 예를 들어, 스마트폰, 태블릿 PC, 휴대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데스크탑 PC, 노트북, 스마트 TV, 랩톱, 미디어 플레이어, 마이크로 서버, 전자책 단말기,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가전기기 및 기타 모바일 또는 비모바일 컴퓨팅 장치일 수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제1 사용자 단말(100)은 통신 기능 및 데이터 프로세싱 기능을 구비한 워치, 안경, 헤어 밴드 등의 웨어러블 장치일 수 있다. 제1 사용자 단말(100)은 상술한 내용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상술한 바와 같이 웹 브라우징이 가능한 장치는 제한 없이 차용될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110)은 제1 사용자 단말(100)에 다운로드되어 설치될 수 있는 컴퓨터 프로그램이다. 또는, 애플리케이션(110)은 컴퓨팅 방식으로 전송되는 수단을 이용하여 제1 사용자 단말(100)에 설치될 수 있는 컴퓨터 프로그램이다. 애플리케이션(110)의 구동과 관련하여, 내담자로부터 개별 특성 정보 및 공통 특성 정보에 관한 데이터를 입력받아 수집 데이터(CD)를 생성하고, 이러한 수집 데이터(CD) 또는 수집 데이터 스트럭처(CDS)를 상담기관 서버(200)의 데이터베이스(210)로 전송할 수 있다. 수집 데이터 스트럭처(CDS)는 수집 데이터(CD)를 데이터 내용의 인식 및 분석이 용이하도록 미리 정해진 방식으로 구조화한 데이터 집합으로서, 이는 미리 설정된 경우에 생성된다. 애플리케이션(110)은 제1 사용자 단말(100)에서 구동되며 실행결과가 제1 사용자 단말(100)의 디스플레이를 통해 표시되고, 내담자는 표시된 내용에 기초하여 심리상담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애플리케이션(110)을 통한 심리상담 절차는 1차 자가진단 검사(101), 2차 인공지능 상담(102), 3차 전문가 상담(103)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1차 자가진단 검사(101)는 내담자가 심리상태의 원인을 스스로 분석하여 미리 정해진 카테고리들 중 하나를 선택하고, 그 선택된 카테고리에서 제공되는 질의문에 대응하는 응답문을 선택하여, 질의-응답 관계로 이루어진 데이터를 생성하고 수집하는 절차이다. 이에 따라 개별 특성 정보에 따른 수집 데이터(CD)가 생성될 수 있다.
1차 자가진단 검사(101)의 미리 정해진 카테고리는 예를 들어, 우울 자가진단 검사(BDI), 자존감 자가진단 검사(SES), 공격성 자가진단 검사(AQ-K), 불안 자가진단 검사(BAI), 사회공포증(혹은 대인공포증) 자가진단 검사(SADS), 섭식장애 자가진단 검사, 알코올중독 자가진단 검사, 일중독 자가진단 검사, 인터넷중독 자가진단 검사 등으로 분류될 수 있으며, 다만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미리 설정되는 내용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애플리케이션(110)에서 1차 자가진단 검사(101) 절차를 위한 하나의 카테고리를 선택한다면, 각각의 카테고리들은 질의문 및 그에 대응하는 응답문이 연결관계를 가지며, 예를 들어 A질의문에 대해 1, 2, 3, 4의 응답문이 제공되는 경우 내담자가 스스로 판단한 자신의 심리상태를 2의 응답문에 해당한다고 선택하면 애플리케이션(110)에서는 A2라는 데이터를 생성한다.
이어서, B질의문에 대해 1, 2, 3, 4의 응답문이 제공되는 경우 내담자가 스스로 판단한 자신의 심리상태를 3의 응답문에 해당한다고 선택하면 애플리케이션(110)에서는 B3라는 데이터를 생성한다. 따라서, 이들이 구조화되도록 A2-B3라는 데이터를 생성하며, 모든 질의문에 대해서 데이터를 수집한 결과 A2-B3-C1-D1-E4-F2 ? 와 같은 트리(tree) 구조로 구조화된 수집 데이터 스트럭처(CDS)를 생성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며, 전송되는 데이터는 수집 데이터(CD) 그 자체일 수도 있고, 수집 데이터 스트럭처(CDS)일 수도 있다.
1차 자가진단 검사(101)를 수행할 때, 내담자는 본인의 성별, 나이, 직업, 가족관계 등 심리상태에 영향을 줄 수 있는 공통 특성 정보에 관한 선택사항도 입력할 수 있으며, 이러한 공통 특성 정보에 관한 데이터들도 함께 포함하여 수집 데이터(CD)가 생성될 수 있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데이터베이스(210)는 제1 사용자 단말(100)의 애플리케이션(110)으로부터 전송되는 각종 데이터를 저장하며, 심리검사의 종류 및 방법에 따라 상담기관 서버(200) 내에 체계적으로 구축되어 설치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210)에는 수집 데이터(CD) 및 수집 데이터 스트럭처(CDS)가 저장되고, 이러한 데이터들을 후술하는 중개서버(300)로 전달할 수 있다.
중개서버(300)는 인공지능을 이용한 데이터 수집, 분석, 처리를 수행하며, 구체적으로 분석모듈(310), 결과생성모듈(320), 통신모듈(330)을 포함한다.
분석모듈(310)은 인공지능 기술을 이용하여 수집 데이터(CD) 또는 수집 데이터 스트럭처(CDS)를 분석하며, 이를 분석하기 위해 기계학습(딥 러닝)을 수행한다. 인공지능 기술은 인간 수준의 지능을 구현하는 컴퓨터 처리 기술로서, 기존 Rule 기반 스마트 기술과 달리 기계가 스스로 학습하고 판단하며 똑똑해지는 기술이다. 따라서, 수집 데이터(CD)의 종류 및 양이 증가할수록 이에 대한 분석값도 다양하게 증가하게 된다.
분석모듈(310)은 기계학습 및 기계학습을 활용한 요소기술들로 구성될 수 있다. 기계학습은 수집 데이터(CD) 또는 수집 데이터 스트럭처(CDS)들의 특징을 스스로 분류/학습하는 알고리즘 기술이며, 요소기술은 딥 러닝 등의 기계학습 알고리즘을 활용하여 인간 두뇌의 인지, 판단 등의 기능을 모사하는 기술로서, 언어적 이해, 추론/예측, 지식 표현 등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분석모듈(310)은 문자인식 및 분석이 가능하며, 수집 데이터(CD)에서 추출된 문장의 문자인식을 수행하여 그 의미를 분석하고, 내담자의 심리상태를 인공지능 기술에 의해 파악하고, 적절한 조언 및 상담결과 생성을 위한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분석모듈(310)은 또한 기계학습에 의해 수집된 빅데이터에 대한 분석을 통해 내담자의 심리상태를 파악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으며, 미리 설정된 쿼리문을 활용하여 분석의 효율성 및 정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결과생성모듈(320)은 분석모듈(310)의 분석결과에 따라 시각화한 상담결과 데이터(RD1)를 생성하는 모듈로서, 문장, 도형, 그래프, 색상 등을 활용하여 내담자에게 디스플레이되는 결과 자료를 생성할 수 있다.
통신모듈(330)은 결과생성모듈(320)로부터 상담결과 데이터(RD1)를 전달받아 이를 제1 사용자 단말(100)의 애플리케이션(110)으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통신모듈(330)은 유선 또는 무선 통신모듈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격(Remote)에 있는 어떠한 다른 컴퓨터나 서버 등과 어떻게 통신해야만 하는지, 통신 시 어떠한 정보나 미디어를 송수신해야 하는지 등에 대한 통신 관련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모듈(330)은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통신하며, 상기 네트워크는 예를 들어, LAN(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MAN(Metropolitan Area Network), ISDN(Integrated Service Digital Network) 등의 유선 네트워크나, 무선 LAN, CDMA, 블루투스, 위성 통신 등의 무선 네트워크를 망라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중개서버(300)는 분석모듈(310)과 결과생성모듈(320)을 통해 2차 인공지능 상담(102)에 따른 상담결과 데이터(RD1)를 생성하며, 통신모듈(330)은 네트워크를 통해 상담결과 데이터(RD1)를 제1 사용자 단말(100)의 애플리케이션(110)으로 전송한다. 제1 사용자 단말(100)의 디스플레이를 통해 2차 인공지능 상담(102)에 따른 상담결과 데이터(RD1)가 내담자에게 제공되며, 내담자는 2차 인공지능 상담(102)의 상담결과 데이터(RD1)에 만족하지 못한다면 3차 전문가 상담(103)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상담기관 서버(200)의 데이터베이스(210)에는 상담 분야별로 상담사 풀(pool)이 구축되어 저장될 수 있다. 심리상담 분야는, 예를 들어, i) 심리적 증상(우울, 분도, 불안 등), ⅱ) 성격 및 자기이해, ⅲ) 가족관계, ⅳ) 직장생활, v) 학업 및 진로, ⅵ) 대인관계, ⅶ) 성 문제, ⅷ) 중독 및 섭식 장애, ⅸ) 자녀 양육 등으로 분류할 수 있다. 내담자는 상담을 원하는 분야의 카테고리를 선택하여 전문 상담사와 연결될 수 있다.
전문 상담사는 제2 사용자 단말(400)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410)을 이용하여 상담기관 서버(200)에 접속하고, 자격이나 경력을 증명할 수 있는 서류를 업로드하고 검증 후 전문 상담사로 등록될 수 있다. 상담사 풀은 상담기관 서버(200)에 설치 또는 연결되어 있는 데이터베이스(210)에 저장된다. 또는, 전문 상담사는 정부기관 또는 공공기관에 소속된 전문 인력이 해당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청소년 상담센터, 정신건강복지센터와 같은 공공기관에 소속된 전문 상담사가 상담사 풀에 속할 수 있으며, 내담자가 상담을 원하는 분야의 카테고리를 선택하면 이와 같은 전문 상담사와 연결될 수도 있다.
3차 전문가 상담(103) 절차의 경우에는 제1 선택 모드(SD1)와 제2 선택 모드(SD2)가 존재하며, 제1 선택 모드(SD1)는 상담을 원하는 내담자가 상담 분야와 그에 속하는 상담사를 직접 선택하여 상담을 요청하고, 심리상담을 진행하는 모드이다.
제2 선택 모드(SD2)는 내담자가 상담 분야 및 상담사를 직접 선택하지 않고 상담 요청을 하면, 상담기관 서버(200)는 상담사 풀(pool)에서 내담자의 현재 심리상태에 적합한 전문 상담사를 선정하여 심리상담을 진행하는 모드이다. 이때, 상담기관 서버(200)에서 내담자의 심리상태에 적합한 상담사를 선정하는 과정은, 데이터베이스(210)에 저장된 빅데이터를 기초로 내담자의 성별, 나이, 직업, 가족관계 등의 정보를 분석하고, 개별 특성 정보를 활용한 데이터 검색을 통해 결정될 수 있다.
제1 선택 모드(SD1)의 경우에는 상담기관 서버(200)에 접속하여 상담 분야 및 상담사의 프로필 확인 후 내담자가 직접 상담사를 선택하는 방식으로 동작한다. 이때, 상담사 풀에는 각 상담사별 경력 및 상담사례들을 예시로서 제시하며, 내담자는 본인의 판단 하에 적절한 상담사를 선택할 수 있다.
반면에, 제2 선택 모드(SD2)의 경우에는 상담기관 서버(200)의 검색모듈(220)이 내담자의 심리상태 파악을 위한 성별, 나이, 직업, 가족관계 정보를 수집하여 빅데이터 분석을 수행하고, 내담자의 개별 특성 정보를 수집하여 이에 기초한 분석방법으로 전문 상담사를 검색하며, 상담기관 서버(200)의 데이터베이스(210)에는 룩업테이블 형식으로 상담사별 상세내용이 분석되어 있어 검색모듈(220)이 적절하게 쿼리문을 이용한 상담사 검색이 수행되도록 동작할 수 있다.
전문 상담사 선정이 완료된 경우, 상담사는 제2 사용자 단말(400)을 이용하여 제1 사용자 단말(100)로부터의 상담 요청에 대응하여 심리 상담을 수행할 수 있다. 상담기관 서버(200)는 제1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선정된 상담사 정보 또는 내담자의 입력 정보를 기초로 상담기관 서버(200)의 검색모듈(220)에 의해 선정된 상담사가 특정되면, 해당 상담사의 제2 사용자 단말(400)로 상담 가부에 대한 회신 요청을 전송하고, 제2 사용자 단말(400)로부터 상담 승인을 수신하는 경우 상담방을 개설하고, 제1 사용자 단말(100) 및 제2 사용자 단말(400)에 상담방에 입장할 것을 요청하고, 상담방에서는 제1 사용자 단말(100)의 화면 및 제2 사용자 단말(400)의 화면을 통하여 내담자와 특정 상담사 간에 실시간 화상 대면 방식의 상담 또는 문자 채팅 방식의 상담이 수행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에서는 제1 사용자 단말(100)과 제2 사용자 단말(400)이 상담기관 서버(200)에 접속하여 실시간으로 화상 대면 방식의 상담을 진행하는 것이 내담자에게 선호될 수 있다. 화상 대면 방식을 통해 전문 상담사는 내담자의 표정 변화나 눈동자의 움직임 등을 관찰하여 내담자의 심리파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상담기관 서버(200)는 심리상태 분석모듈(230)을 포함한다. 데이터베이스(210)에서는 제1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입력되는 내담자의 음성신호를 지속적으로 획득하여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음성신호는 상담 과정에서 획득될 수 있다. 심리상태 분석모듈(230)은 내담자의 음성신호를 주파수, 파형, 소리의 크기 등으로 구분하여 분석하며, 빅데이터 기반으로 내담자의 심리상태를 객관화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음성신호를 분석한 결과는 제2 사용자 단말(400)에 제공될 수 있다. 상담사는 이러한 음성신호 분석 결과를 참고함으로써 상담 과정에서 내담자의 심리상태에 대하여 보다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
이상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애플리케이션(110)을 포함하는 심리상담 시스템은 1차 자가진단 검사(101), 2차 인공지능 상담(102), 3차 전문가 상담(103)을 포함하는 구성이며, 내담자는 자가진단 검사(101) 후 선택에 따라 인공지능 상담(102) 또는 전문가 상담(103)을 진행할 수도 있으며, 이에 관해서는 다양하게 변형 구성되어 심리상담을 진행하는 시스템으로 구축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1 사용자 단말의 인터페이스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심리상담 애플리케이션이 동작하는 전체 시스템은, 상술한 바와 마찬가지로 제1 사용자 단말(100), 상담기관 서버(200), 중개서버(300), 제2 사용자 단말(400)을 포함한다.
여기에서, 제1 사용자 단말(100)은 심층검사를 위한 탭을 더 포함한다. 상술한 바에 따라, 1차 자가진단 검사(101), 2차 인공지능 상담(102), 3차 전문가 상담(103)을 진행한 후, 4차 심층검사(104)를 진행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심리상담 애플리케이션이 동작하는 전체 시스템에서 동일한 참조번호에 따른 구성은 서로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이하에서는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심리상담 애플리케이션(110)은 3차 전문가 상담(103) 절차에서 제1 선택 모드(SD1)와 제2 선택 모드(SD2)가 존재하며, 제1 선택 모드(SD1)는 상담을 원하는 내담자가 상담 분야와 그에 속하는 상담사를 직접 선택하여 상담을 요청하고, 심리상담을 진행한 후 심리상담 결과에 심층검사의 필요성이 있는 경우에 내담자의 선택에 따라 심층검사를 진행하고 심층검사 결과에 대하여 해석상담을 진행하는 모드이다.
제2 선택 모드(SD2)는 내담자가 상담 분야 및 상담사를 직접 선택하지 않고 상담 요청을 하면, 상담기관 서버(200)는 상담사 풀에서 내담자의 현재 심리상태에 적합한 상담사를 선정하여 심리상담을 진행하고, 심리상담 결과에 심층검사의 필요성이 있는 경우에는 내담자의 선택에 따라 심층검사를 진행하고 심층검사 결과에 대하여 해석상담을 진행하는 모드이다. 이때, 상담기관 서버(200)에서 내담자의 심리상태에 적합한 상담사를 선정하는 과정은, 데이터베이스(210)에 저장된 빅데이터를 기초로 내담자의 성별, 나이, 직업, 가족관계 등의 정보를 분석하여 데이터 검색을 수행하고, 내담자의 개별 특성 정보에 기초하여 상담사 매칭을 수행하여 결정될 수 있다.
제1 선택 모드(SD1)와 제2 선택 모드(SD2)는 전문 상담사와의 매칭을 통해 심리상담을 거친 후에 필요한 경우 심층검사를 진행하는 방식으로서, 전문 상담사의 선정과정에서 차이점이 존재한다.
전문 상담사 선정이 완료된 경우, 상담사는 제2 사용자 단말(400)을 이용하여 제1 사용자 단말(100)로부터의 상담 요청에 대응하여 심리 상담을 수행할 수 있다. 심리상담을 종료한 후에는 제2 사용자 단말(400)은 상담기관 서버(200)에 상담을 통한 상담사의 심리분석 결과를 제공할 수 있다. 상담기관 서버(200)는 상담을 통한 심리분석 결과를 기초로 심리결과 데이터(RD2)를 생성하고 이를 제1 사용자 단말(100)에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심리결과 데이터(RD2)와 함께 추가적인 심층검사(104)의 필요가 있는지에 대한 메시지를 함께 전송할 수 있다. 즉, 상담을 통하여 심리분석을 한 결과 특정 문제점이 예상되므로 해당 분야에 특화된 전문적인 심층검사(104)를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심층검사(104)는 상담기관 서버(200)의 심리상태 분석모듈(230)을 통해 온라인상에서 수행될 수 있다. 상담기관 서버(200)는 제1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심층검사 요청을 받으면 심층검사의 종류, 비용 및 절차에 대하여 안내할 수 있다. 이후 제1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비용 결제가 완료되면 심층검사(104)를 실시할 수 있다. 제1 사용자 단말(100)은 필요한 심층검사 분야를 특정하여 심층검사 요청을 할 수 있다. 심층검사(104)는 다양한 질의문을 제공하는 방식 및 서술형 방식으로 진행될 수 있다. 또한, 그림을 그리는 방식이나 주어진 이미지 플로우를 배열하는 방식 등으로 진행될 수도 있다.
심층검사(104)가 종료되면 이에 관한 결과를 제2 사용자 단말(400)로 제공하여 전문 상담사가 심리분석을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최종적으로 전문 상담사는 심층검사의 결과를 생성하며, 이 결과는 상담기관 서버(200)를 통해 제1 사용자 단말(100)에 전송될 수 있다.
만약 제1 사용자 단말(100)을 통해 심층검사 결과를 제공받은 내담자는 심층검사 결과에 대한 추가적인 해석상담이 필요하다고 판단하는 경우, 제1 사용자 단말(100)은 상담기관 서버(200)로 추가 해석상담을 요청할 수 있다. 상담기관 서버(200)가 추가 해석상담을 요청받은 경우 상담기관 서버(200)의 심리상태 분석모듈(230)은 빅데이터 분석을 통한 내담자의 심리상태 및 문제점을 파악하는데 필요한 자료를 검색 및 생성할 수 있으며, 전문 상담사의 심리분석 결과와, 음성신호 분석을 통한 심리분석 결과와, 심층검사를 통한 심리분석 결과를 모두 종합하여 최종적인 심리분석 결과를 생성하여 제1 사용자 단말(100)로 제공할 수 있다.
이상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애플리케이션(110)을 포함하는 심리상담 시스템은 1차 자가진단 검사(101), 2차 인공지능 상담(102), 3차 전문가 상담(103), 4차 심층검사(104)를 포함하는 구성이며, 내담자는 자가진단 검사(101) 후 선택에 따라 인공지능 상담(102) 또는 전문가 상담(103)을 진행할 수 있고, 그 결과에 따라 심층검사(104)를 수행할 수 있다. 이에 관해서는 다양하게 변형 구성되어 심리상담을 진행하는 시스템으로 구축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언어치료 애플리케이션이 동작하는 전체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언어치료의 개념은, 아동의 언어발달에 문제가 생기는 경우 이를 치료하기 위한 방법으로, 언어발달에 문제가 있으면 다른 발달영역에서는 일반적인 발달을 잘 따라가면서 단순히 언어발달만 지체되는 경우가 있지만, 다른 영역의 발달장애를 동반하면서 언어발달 문제를 가지는 경우도 있기 때문에 언어치료가 필요하게 된다.
언어치료의 대상은, 아동의 발달속도에 따라 개인차가 있긴 하지만, 언어발달의 어떤 하위영역에서 또는 전체적인 면에서 1년 이상 지체되었다면 관심을 갖고 언어치료가 필요할 수 있다. 많은 부모님들이 우리 아이가 또래보다 언어발달이 다소 늦다고 느끼면서도 전문치료기관을 찾는 것을 꺼리거나, 단지 책을 많이 읽어주고, 말을 많이 들려주고, 또래와 어울리기를 기대하며 놀이방에 보내거나 학습지 등을 시키면서 언어능력이 나아지기를 기대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러한 경우에 언어치료 전문가로부터 정확한 평가를 받아 아동의 현재 언어발달 상황을 확인하고, 필요한 경우에 빠르고 적극적인 언어촉진을 받는다면 시간 낭비를 줄이고, 아동의 언어발달에 도움이 될 수 있다.
주로 발달장애를 동반한 언어발달 지체 아동, 청각장애를 동반한 언어발달 지체 아동, 사회성 부족 및 정서 불안정 등을 동반한 언어발달 지체 아동, 단순히 언어 이해와 표현만 또래보다 늦은 아동, 의사소통은 할 수 있지만 대화를 길게 주고 받거나 길게 이야기하기가 어려운 아동, 긴 이야기를 듣고 이해하며 표현하는 것이 어려운 아동, 말을 할 수는 있으나 표현방식이 이상하여 또래들로부터 놀림을 받는 아동, 학교에서 언어학습에 어려움이 있는 아동, 발음이 이상한 아동, 말더듬이 있는 아동들이 언어치료의 대상이 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언어치료 애플리케이션이 동작하는 전체 시스템은, 제1 사용자 단말(101), 상담기관 서버(201), 중개서버(301), 제2 사용자 단말(401)을 포함한다.
제1 사용자 단말(101)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언어치료 애플리케이션(111)이 설치된다. 제1 사용자 단말(101)은 사용자 측에서 사용하는 컴퓨팅 장치로서, 네트워크와 연결되어 통신함으로써 상담기관 서버(201)의 데이터베이스(211)로 수집 데이터(CD)들을 전송하고, 중개서버(301)로부터 상담결과 데이터(RD1)를 전송받을 수 있다. 수집 데이터(CD)는 제1 사용자 단말(101)의 언어치료 애플리케이션(111)을 통해 획득된 데이터들의 집합으로서, 예를 들어 후술하는 자가진단 검사에서 아동의 언어발달 문제점에 관한 정보들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담결과 데이터(RD1)란 후술하는 중개서버(301)의 분석모듈(311), 결과생성모듈(321)을 통해 인공지능 기술을 이용한 아동의 언어발달 문제점에 관한 결과 데이터로서 사용자로부터 획득된 수집 데이터(CD)에 기초하여 빅데이터 분석을 통한 기계학습의 결과로서 생성된 결과 데이터이다.
언어치료 애플리케이션(111)은 제1 사용자 단말(101)에 다운로드되어 설치될 수 있는 컴퓨터 프로그램이다. 또는, 언어치료 애플리케이션(111)은 컴퓨팅 방식으로 전송되는 수단을 이용하여 제1 사용자 단말(101)에 설치될 수 있는 컴퓨터 프로그램이다. 언어치료 애플리케이션(111)의 구동과 관련하여, 아동의 언어발달 문제점에 관한 데이터를 입력받아 수집 데이터(CD)를 생성하고, 이러한 수집 데이터(CD)를 상담기관 서버(201)의 데이터베이스(211)로 전송할 수 있다. 언어치료 애플리케이션(111)은 제1 사용자 단말(101)에서 구동되며 실행결과가 제1 사용자 단말(101)의 디스플레이를 통해 표시되고, 사용자는 표시된 내용에 기초하여 아동의 언어발달 문제점에 관한 상담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언어치료 애플리케이션(111)을 통한 상담 절차는 1차 자가진단 검사(101), 2차 인공지능 상담(102), 3차 전문가 상담(103)을 포함할 수 있다.
1차 자가진단 검사(101)는 사용자가 아동의 언어발달 문제점에 관해 스스로 분석하여 미리 정해진 카테고리들 중 하나를 선택하고, 그 선택된 카테고리에서 제공되는 질의문에 대응하는 응답문을 선택하여, 질의-응답 관계로 이루어진 데이터를 생성하고 수집하는 절차이다. 이에 따라 사용자별 문제점이 포함된 수집 데이터(CD)가 생성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211)는 제1 사용자 단말(101)의 언어치료 애플리케이션(111)으로부터 전송되는 각종 데이터를 저장하며, 아동의 언어발달 문제점 유형에 따라 상담기관 서버(201) 내에 체계적으로 구축되어 설치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211)에는 수집 데이터(CD)가 저장되고, 이러한 데이터들을 후술하는 중개서버(301)로 전달할 수 있다.
중개서버(301)는 인공지능을 이용한 데이터 수집, 분석, 처리를 수행하며, 구체적으로 분석모듈(311), 결과생성모듈(321), 통신모듈(331)을 포함한다.
분석모듈(311)은 인공지능 기술을 이용하여 수집 데이터(CD)를 분석하며, 이를 분석하기 위해 기계학습을 수행한다. 분석모듈(311)은 문자인식 및 분석이 가능하며, 수집 데이터(CD)에서 추출된 문장의 문자인식을 수행하여 그 의미를 분석하고, 사용자로부터 제공된 아동의 언어발달 문제점에 관한 내용을 파악하고, 적절한 조언 및 상담결과 생성을 위한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분석모듈(311)은 또한 기계학습에 의해 수집된 빅데이터에 대한 분석을 통해 아동의 언어발달 문제점을 파악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으며, 미리 설정된 쿼리문을 활용하여 분석의 효율성 및 정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결과생성모듈(321)은 분석모듈(311)의 분석결과에 따라 시각화한 상담결과 데이터(RD1)를 생성하는 모듈로서, 문장, 도형, 그래프, 색상 등을 활용하여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되는 결과 자료를 생성할 수 있다.
통신모듈(331)은 결과생성모듈(321)로부터 상담결과 데이터(RD1)를 전달받아 이를 제1 사용자 단말(101)의 언어치료 애플리케이션(111)으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통신모듈(331)은 유선 또는 무선 통신모듈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격(Remote)에 있는 어떠한 다른 컴퓨터나 서버 등과 어떻게 통신해야만 하는지, 통신 시 어떠한 정보나 미디어를 송수신해야 하는지 등에 대한 통신 관련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모듈(331)은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통신하며, 상기 네트워크는 예를 들어, LAN(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MAN(Metropolitan Area Network), ISDN(Integrated Service Digital Network) 등의 유선 네트워크나, 무선 LAN, CDMA, 블루투스, 위성 통신 등의 무선 네트워크를 망라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중개서버(301)는 분석모듈(311)과 결과생성모듈(321)을 통해 2차 인공지능 상담(102)에 따른 상담결과 데이터(RD1)를 생성하며, 통신모듈(331)은 네트워크를 통해 상담결과 데이터(RD1)를 제1 사용자 단말(101)의 언어치료 애플리케이션(111)으로 전송한다. 제1 사용자 단말(101)의 디스플레이를 통해 2차 인공지능 상담(102)에 따른 상담결과 데이터(RD1)가 사용자에게 제공되며, 사용자는 2차 인공지능 상담(102)의 상담결과 데이터(RD1)에 만족하지 못한다면 3차 전문가 상담(103)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상담기관 서버(201)의 데이터베이스(211)에는 아동의 언어발달에 관한 상담을 전문적으로 수행하는 상담사에 관한 상담사 풀(pool)이 구축되어 저장될 수 있다. 사용자는 상담을 원하는 전문 상담사를 선택하여 그 상담사와 연결될 수 있다.
전문 상담사는 제2 사용자 단말(401)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411)을 이용하여 상담기관 서버(201)에 접속하고, 자격이나 경력을 증명할 수 있는 서류를 업로드하고 검증 후 전문 상담사로 등록될 수 있다. 상담사 풀은 상담기관 서버(201)에 설치 또는 연결되어 있는 데이터베이스(211)에 저장된다. 또는, 전문 상담사는 정부기관 또는 공공기관에 소속된 전문 인력이 해당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언어치료센터와 같은 공공기관에 소속된 전문 상담사가 상담사 풀에 속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상담을 원하는 분야의 카테고리를 선택하면 이와 같은 전문 상담사와 연결될 수도 있다.
3차 전문가 상담(103) 절차의 경우에는 제1 선택 모드(SD1)와 제2 선택 모드(SD2)가 존재하며, 제1 선택 모드(SD1)는 상담을 원하는 사용자가 상담사를 직접 선택하여 상담을 요청하고, 언어발달 문제에 관한 상담을 진행하는 모드이다.
제2 선택 모드(SD2)는 사용자가 상담사를 직접 선택하지 않고 상담 요청을 하면, 상담기관 서버(201)는 상담사 풀(pool)에서 사용자의 아동 언어발달 문제점에 대한 상담을 수행하는데 적합한 전문 상담사를 선정하여 상담을 진행하는 모드이다. 이때, 상담기관 서버(201)에서 사용자에게 적합한 상담사를 선정하는 과정은, 아동의 언어발달 문제점 유형을 분석하여 이를 기초로 결정될 수 있다.
제1 선택 모드(SD1)의 경우에는 상담기관 서버(201)에 접속하여 상담사의 프로필 확인 후 사용자가 직접 상담사를 선택하는 방식으로 동작한다. 이때, 상담사 풀에는 각 상담사별 경력 및 상담사례들을 예시로서 제시하며, 사용자는 본인의 판단 하에 적절한 상담사를 선택할 수 있다.
반면에, 제2 선택 모드(SD2)의 경우에는 상담기관 서버(201)의 검색모듈(221)이 사용자의 아동 언어발달 문제점에 관한 정보를 수집하여 빅데이터 분석을 수행하고, 사용자의 개별 특성에 기초한 분석방법으로 전문 상담사를 검색하며, 상담기관 서버(201)의 데이터베이스(211)에는 룩업테이블 형식으로 상담사별 상세내용이 분석되어 있어 검색모듈(221)이 적절하게 쿼리문을 이용한 상담사 검색이 수행되도록 동작할 수 있다.
전문 상담사 선정이 완료된 경우, 상담사는 제2 사용자 단말(401)을 이용하여 제1 사용자 단말(101)로부터의 상담 요청에 대응하여 아동의 언어발달 문제에 관한 상담을 수행할 수 있다. 상담기관 서버(201)는 제1 사용자 단말(101)로부터 선정된 상담사 정보 또는 사용자의 입력 정보를 기초로 상담기관 서버(201)의 검색모듈(221)에 의해 선정된 상담사가 특정되면, 해당 상담사의 제2 사용자 단말(401)로 상담 가부에 대한 회신 요청을 전송하고, 제2 사용자 단말(401)로부터 상담 승인을 수신하는 경우 상담방을 개설하고, 제1 사용자 단말(101) 및 제2 사용자 단말(401)에 상담방에 입장할 것을 요청하고, 상담방에서는 제1 사용자 단말(101)의 화면 및 제2 사용자 단말(401)의 화면을 통하여 사용자와 특정 상담사 간에 실시간 화상 대면 방식의 상담 또는 문자 채팅 방식의 상담이 수행될 수 있다.
상담기관 서버(201)는 언어치료 분석모듈(241)을 포함한다. 데이터베이스(211)에서는 제1 사용자 단말(101)로부터 입력되는 아동의 음성신호를 지속적으로 획득하여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음성신호는 상담 과정에서 획득될 수 있다. 언어치료 분석모듈(241)은 아동의 음성신호를 기초로 문제점의 유형 및 정도를 파악하도록 빅데이터 기반의 분석을 수행하여 문제점을 객관화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음성신호를 기초로 분석한 결과는 제2 사용자 단말(401)에 제공될 수 있다. 상담사는 이러한 음성신호 분석 결과를 참고함으로써 상담 과정에서 아동의 언어발달 문제점에 관해 보다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
이상의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언어치료 애플리케이션(111)을 포함하는 상담 시스템은 1차 자가진단 검사(101), 2차 인공지능 상담(102), 3차 전문가 상담(103)을 포함하는 구성이며, 사용자는 자가진단 검사(101) 후 선택에 따라 인공지능 상담(102) 또는 전문가 상담(103)을 진행할 수도 있으며, 이에 관해서는 다양하게 변형 구성되어 아동의 언어발달 문제점에 관한 상담을 진행하는 시스템으로 구축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컴퓨터에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작성가능하고,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이용하여 상기 프로그램을 동작시키는 범용 디지털 컴퓨터에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마그네틱 저장매체(예를 들면, 롬, 플로피 디스크, 하드디스크 등), 및 광학적 판독 매체(예를 들면, 시디롬, 디브이디 등)와 같은 저장매체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 및 통신 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통신 매체는 전형적으로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반송파와 같은 변조된 데이터 신호의 기타 데이터, 또는 기타 전송 메커니즘을 포함하며, 임의의 정보 전달 매체를 포함한다.
전술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된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될 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내어질 것이다. 그리고 이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는 물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및 변형 가능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제1 사용자 단말
110: 애플리케이션
200: 상담기관 서버
210: 데이터베이스
220: 검색모듈
230: 심리상태 분석모듈
300: 중개서버
310: 분석모듈
320: 결과생성모듈
330: 통신모듈
400: 제2 사용자 단말
410: 애플리케이션

Claims (18)

  1. 언어치료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사용자로부터 아동의 개별 심리상태 및 아동 언어발달 문제점에 관한 응답을 입력받아 개별 특성 정보를 생성하고, 아동에 관한 성별과 나이를 포함하는 공통 특성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개별 특성 정보와 상기 공통 특성 정보를 포함하는 수집 데이터를 이용하여 데이터 내용의 인식 및 분석 기능을 향상시키도록 미리 정해진 방식으로 구조화한 수집 데이터 스트럭처를 생성하되, 상기 언어치료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수집 데이터 스트럭처를 기초로 발달장애를 동반한 언어발달 지체 아동, 청각장애를 동반한 언어발달 지체 아동, 사회성 결여와 정서 불안정을 동반한 언어발달 지체 아동, 언어 이해와 표현에 대한 발달 지체 아동, 의사소통에 문제점이 있는 아동, 이야기를 듣고 이해하고 표현하는 것에 문제점이 있는 아동, 말을 할 수는 있으나 표현방식이 이상하여 문제점이 있는 아동, 학교에서 언어학습에 문제점이 있는 아동, 발음이 이상한 아동, 또는 말더듬이 있는 아동 유형으로 분류하는 제1 사용자 단말;
    상기 제1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수집 데이터 및 상기 수집 데이터 스트럭처를 전송받아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를 갖는 상담기관 서버;
    상기 상담기관 서버로부터 상기 수집 데이터 또는 상기 수집 데이터 스트럭처를 전송받아, 컴퓨터 인공지능 기술을 이용하여 분석하며, 상기 분석 결과에 따라 시각적인 상담결과 데이터를 생성하는 중개서버; 및
    상기 상담기관 서버를 통해 상기 제1 사용자 단말과 통신하며, 상기 제1 사용자 단말로부터 전송된 상담 요청에 응답하여 화상 대면 상담 또는 문자 상담을 수행할 수 있는 제2 사용자 단말;을 포함하고,
    상기 상담기관 서버는 심리상태 분석모듈 및 언어치료 분석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심리상태 분석모듈은 상기 제1 사용자 단말로부터 입력되는 음성신호의 주파수, 파형, 및 소리의 크기를 분석하여 빅데이터 기반으로 심리상태의 평균적 결과값을 생성하며, 상기 언어치료 분석모듈은 상기 제1 사용자 단말로부터 입력되는 음성신호를 분석하여 빅데이터 기반으로 아동 언어발달 문제점에 관한 평균적 결과값을 생성하고, 상기 평균적 결과값들을 이용하여 상기 아동 언어발달 문제점에 관한 유형들 중 어느 유형에 해당하는지 판단하고, 상기 상담기관 서버는 상기 평균적 결과값들 및 상기 판단에 따른 결과를 상기 제2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고,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은 1차적으로 상기 중개서버로부터 상기 상담결과 데이터를 전송받아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하고, 2차적으로 상기 제2 사용자 단말과 통신하여 상기 화상 대면 상담 또는 상기 문자 상담을 수행하고,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의 상기 언어치료 애플리케이션은 1차적으로 자가진단 검사를 수행하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2차적으로 인공지능 상담을 수행하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3차적으로 전문가 상담을 수행하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4차적으로 심층검사를 수행하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은 상기 중개서버로부터 상기 상담결과 데이터를 전송받고 선택적으로 3차 전문가 상담 절차를 수행하기 위한 데이터를 입력받고,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은 상기 3차 전문가 상담 절차를 수행하기 위한 제1 선택 모드 또는 제2 선택 모드를 디스플레이하며, 상기 제1 선택 모드는 입력 데이터에 기초한 상담사 선택을 수행하여 상기 선택된 상담사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모드이고, 상기 제2 선택 모드는 상기 데이터베이스 내의 상담사 풀 저장소를 검색하고 빅데이터 분석 기술을 이용하여 상기 개별 특성 정보와 상기 공통 특성 정보에 기초해서 상담사를 선정해 상기 선정된 상담사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모드이고,
    상기 제1 선택 모드는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을 통해 상기 상담기관 서버에 접속하여 상담사 프로필을 확인 후 상담사를 선택하는 모드이고,
    상기 제2 선택 모드는 상기 상담기관 서버의 검색모듈을 이용하여 상기 수집 데이터를 분석하고, 사용자의 개별 특성 정보에 기초한 분석방법으로 상담사를 검색하고, 상기 상담기관 서버의 상기 데이터베이스에는 룩업테이블 형식으로 상담사별 상세내용이 저장되고, 상기 검색모듈이 쿼리문을 이용한 상담사 검색을 자동으로 수행하는 모드이고,
    상기 중개서버는 분석모듈, 결과생성모듈 및 통신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분석모듈은 컴퓨터 인공지능 기술을 이용하여 상기 수집 데이터 또는 상기 수집 데이터 스트럭처를 분석하고 딥 러닝을 수행하되, 상기 수집 데이터 또는 상기 수집 데이터 스트럭처로부터 추출된 문장의 문자인식 기능을 수행하여 의미를 분석하고, 상기 의미 분석을 통해 아동 언어발달 문제점에 관해 내용을 파악하고, 상기 아동 언어발달 문제점 파악의 결과에 따른 조언 문구를 생성하기 위한 데이터를 검색하고 분석하며,
    상기 결과생성모듈은 상기 분석모듈의 분석결과에 따라 문장, 도형, 그래프 및 색상을 이용하여 시각화한 상기 상담결과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통신모듈은 상기 결과생성모듈로부터 상기 상담결과 데이터를 전달받아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의 상기 언어치료 애플리케이션으로 전송하고,
    상기 수집 데이터 또는 상기 수집 데이터 스트럭처는 상기 1차 자가진단 검사에서 획득된 아동 언어발달 문제점에 관한 정보들을 포함하고,
    상기 상담결과 데이터는 상기 중개서버의 상기 분석모듈과 상기 결과생성모듈을 통해 인공지능 기술을 이용하여 아동 언어발달 문제점에 관해 판단한 결과 데이터로서 사용자로부터 획득된 수집 데이터에 기초하여 빅데이터 분석을 통한 기계학습의 결과로서 생성된 결과 데이터인, 인공지능 기술을 이용한 컴퓨터 프로그램이 적용된 상담 절차 수행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KR1020180160570A 2018-12-13 2018-12-13 인공지능 기술을 이용한 컴퓨터 프로그램이 적용된 상담 절차 수행 시스템 KR1020597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0570A KR102059753B1 (ko) 2018-12-13 2018-12-13 인공지능 기술을 이용한 컴퓨터 프로그램이 적용된 상담 절차 수행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0570A KR102059753B1 (ko) 2018-12-13 2018-12-13 인공지능 기술을 이용한 컴퓨터 프로그램이 적용된 상담 절차 수행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59753B1 true KR102059753B1 (ko) 2019-12-26

Family

ID=691035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60570A KR102059753B1 (ko) 2018-12-13 2018-12-13 인공지능 기술을 이용한 컴퓨터 프로그램이 적용된 상담 절차 수행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59753B1 (ko)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0750B1 (ko) * 2020-03-23 2020-07-06 이병관 빅데이터 및 인공지능 기반 양방향 가상현실 콘텐츠를 이용한 심리상담 서비스 제공 방법
CN112331307A (zh) * 2020-11-04 2021-02-05 苏州中科先进技术研究院有限公司 一种基于ai的智能心理咨询方法、系统、终端以及存储介质
KR20210107281A (ko) 2020-02-24 2021-09-01 주식회사 이노그리드 인공지능을 이용한 상담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KR20210123834A (ko) 2020-04-06 2021-10-14 주식회사 이노그리드 중간 상담사를 이용한 인공지능 컨택센터 운영 방법 및 시스템
KR102323601B1 (ko) * 2020-07-15 2021-11-09 주식회사 파이브센스 딥러닝 알고리즘을 이용한 빅데이터 분석 기반 영유아 성장발달 분석 시스템
KR102327669B1 (ko) 2021-04-01 2021-11-23 이병관 인공지능을 이용한 멘탈 케어 시스템
KR102337477B1 (ko) * 2021-02-04 2021-12-09 사단법인 참만남가족운동 비대면 상담 키트 및 이를 이용한 비대면 상담 시스템
KR20220133581A (ko) 2021-03-25 2022-10-05 이병관 인공지능을 이용한 멘탈 케어 시스템
KR20230018711A (ko) * 2021-07-30 2023-02-07 주식회사 베러투게더 인공지능 기반 수면 상담 플랫폼 제공 장치 및 방법
WO2023171994A1 (ko) * 2022-03-07 2023-09-14 주식회사 뉴라이브 이명 환자의 진단 방법과 분류 방법 및 이명 환자에 대한 맞춤형 치료 프로토콜 제공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8897B1 (ko) * 2015-04-15 2016-07-12 (주)피플벤처스 네트워크 상의 상담자 중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관리 서버
KR101911516B1 (ko) * 2017-12-26 2018-10-24 (주)에프앤아이 사용자의 심리 상태 데이터를 획득하고 사용자의 심리 상태를 판단하고 피드백을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서버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8897B1 (ko) * 2015-04-15 2016-07-12 (주)피플벤처스 네트워크 상의 상담자 중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관리 서버
KR101911516B1 (ko) * 2017-12-26 2018-10-24 (주)에프앤아이 사용자의 심리 상태 데이터를 획득하고 사용자의 심리 상태를 판단하고 피드백을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서버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07281A (ko) 2020-02-24 2021-09-01 주식회사 이노그리드 인공지능을 이용한 상담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2130750B1 (ko) * 2020-03-23 2020-07-06 이병관 빅데이터 및 인공지능 기반 양방향 가상현실 콘텐츠를 이용한 심리상담 서비스 제공 방법
KR20210123834A (ko) 2020-04-06 2021-10-14 주식회사 이노그리드 중간 상담사를 이용한 인공지능 컨택센터 운영 방법 및 시스템
KR102323601B1 (ko) * 2020-07-15 2021-11-09 주식회사 파이브센스 딥러닝 알고리즘을 이용한 빅데이터 분석 기반 영유아 성장발달 분석 시스템
CN112331307A (zh) * 2020-11-04 2021-02-05 苏州中科先进技术研究院有限公司 一种基于ai的智能心理咨询方法、系统、终端以及存储介质
KR102337477B1 (ko) * 2021-02-04 2021-12-09 사단법인 참만남가족운동 비대면 상담 키트 및 이를 이용한 비대면 상담 시스템
KR20220133581A (ko) 2021-03-25 2022-10-05 이병관 인공지능을 이용한 멘탈 케어 시스템
KR102327669B1 (ko) 2021-04-01 2021-11-23 이병관 인공지능을 이용한 멘탈 케어 시스템
KR20230018711A (ko) * 2021-07-30 2023-02-07 주식회사 베러투게더 인공지능 기반 수면 상담 플랫폼 제공 장치 및 방법
KR102619371B1 (ko) * 2021-07-30 2023-12-29 주식회사 디닷케어 인공지능 기반 수면 상담 플랫폼 제공 장치 및 방법
WO2023171994A1 (ko) * 2022-03-07 2023-09-14 주식회사 뉴라이브 이명 환자의 진단 방법과 분류 방법 및 이명 환자에 대한 맞춤형 치료 프로토콜 제공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59753B1 (ko) 인공지능 기술을 이용한 컴퓨터 프로그램이 적용된 상담 절차 수행 시스템
Luo et al. A critical review of state‐of‐the‐art chatbot designs and applications
Adler et al. Research methods for studying narrative identity: A primer
Hearnshaw et al. Speech perception skills of children with speech sound disorders: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Liles et al. Measurement of narrative discourse ability in children with language disorders
KR20180099403A (ko) 온라인 심리상담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온라인 심리상담 방법
Paveau Do non-linguists practice linguistics?: An anti-eliminative approach to folk theories
Green Communication in aphasia therapy: some of the procedures and issues involved
Wuest A feminist approach to concept analysis
KR20150005406A (ko) 이미지를 이용한 성격 유형 및 심리 검사 방법
Aloshban et al. What you say or how you say it? depression detection through joint modeling of linguistic and acoustic aspects of speech
Karyotaki et al. Chatbots as cognitive, educational, advisory & coaching systems
Kacprzak From bad through good to excellent Interpretative Phenomenological Analysis (IPA) studies–presenting set of criteria to evaluate IPA papers and to provide high-quality future research
Crasto et al. Carebot: A mental health chatbot
Thomson et al. What ‘form’does informal assessment take? A scoping review of the informal assessment literature for aphasia
Romero-Rivas et al. Accentism on trial: Categorization/stereotyping and implicit biases predict harsher sentences for foreign-accented defendants
Moyer Research as practice: Linking theory, method, and data
Groyecka-Bernard et al. Do voice-based judgments of socially relevant speaker traits differ across speech types?
Canaran et al. Causal relationship among the sources of anxiety, self-efficacy, and proficiency in L2 listening
WO2022174161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sychotherapy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Cheung et al. Emotion processing in congenital amusia: The deficits do not generalize to written emotion words
Chung et al. Perspectives of high tech augmentative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 users with cerebral palsy at the post-secondary level
Almurayziq et al. Evaluating AI techniques for blind students using voice-activated personal assistants
Jiang et al. Mmda: A multimodal dataset for depression and anxiety detection
Bloshchynskyi et al. Gender characteristics of individual’s linguistic behavior in the context of future translators’ professional train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