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51948A - 키오스크 안전체험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 Google Patents

키오스크 안전체험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51948A
KR20220051948A KR1020200135680A KR20200135680A KR20220051948A KR 20220051948 A KR20220051948 A KR 20220051948A KR 1020200135680 A KR1020200135680 A KR 1020200135680A KR 20200135680 A KR20200135680 A KR 20200135680A KR 20220051948 A KR20220051948 A KR 202200519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perience
safety
kiosk
control unit
safety experie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356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57790B1 (ko
Inventor
박현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제이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제이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제이피
Priority to KR10202001356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57790B1/ko
Publication of KR202200519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519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77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77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62C99/0081Training methods or equipment for fire-fight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1Arrangements for interaction with the human body, e.g. for user immersion in virtual reali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5/00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키오스크 안전체험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키오스크 안전체험장치는, 체험자들이 안전을 체험하는 주변의 안전훈련장비와 통신을 수행하여 체험자별로 체험 상태 데이터를 수신하는 통신 인터페이스부, 및 수신한 체험 상태 데이터를 체험자별로 분석하여 훈련의 진행과정과 훈련 후 결과를 화면상에 표시하고, 체험이 반복될 때 체험에 따른 변화 추이를 화면상에 표시하며, 안전체험장비가 지정 범위를 벗어나는지 감지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키오스크 안전체험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Kiosk Apparatus for Safety Experien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키오스크 안전체험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가령 사물인터넷(IoT) 기술 등을 이용해 주변의 실감형 안전훈련장비를 작동시키면서 동시에 실시간으로 안전훈련을 수행할 수 있는 키오스크 안전체험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에 관한 것이다.
안전교육에 대한 사회적 관심과 욕구가 높아지고 있으나 실제로 안전교육은 제대로 이루어지는 경우가 드물다. 육체적·시간적 곤란함 또는 안전교육의 기회가 없어서 안전교육을 체험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실정에 따라 안전벨트 착용의 중요성을 인지하지 못하거나, 전기 콘센트를 무분별하게 연결하여 화재를 유발하거나, 소화기를 실제로 사용해본 적이 없어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화재를 진화하지 못하거나, 이론적으로만 알고 있는 심폐소생술을 전혀 시현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이에 따라 안전교육이 필요하지만 교육을 받을 기회를 얻지 못하는 사람들을 위하여 실효성있는 안전체험 장치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3-0088341호(2013.08.08) 한국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08-0003002호(2008.07.31)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739288호(2017.05.18)
본 발명의 실시예는 가령 사물인터넷(IoT) 기술 등을 이용해 주변의 실감형 안전훈련장비를 작동시키면서 동시에 실시간으로 안전훈련을 수행할 수 있는 키오스크 안전체험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키오스크 안전체험장치는, 체험자들이 안전을 체험하는 주변의 안전훈련장비와 통신을 수행하여 체험자별 체험 상태 데이터를 수신하는 통신 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수신한 체험 상태 데이터를 체험자별로 분석하여 훈련의 진행 과정과 훈련 후 결과를 화면상에 표시하고, 체험이 반복될 때 체험에 따른 변화 추이를 화면상에 표시하며, 상기 안전체험장비가 지정된 범위를 벗어나는지 감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안전훈련장비가 소화기인 경우 상기 수신한 체험 상태 데이터를 분석하여 상기 소화기를 사용할 때 발생하는 소화량 및 화재장소를 찾아내는 순발력을 각각 측정할 수 있다.
상기 키오스크 안전체험장치는, 무인 환경 하에서 상기 체험자의 접근을 감지하는 센서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접근한 체험자의 행위를 감지하여 감지 결과에 따라 안내 영상 및 음성 중 적어도 하나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키오스크 안전체험장치는, 체험 후 설문조사 항목을 화면에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표시한 설문조사 항목의 분석 결과를 근거로 안전 체험을 위해 기제작한 콘텐츠를 갱신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안전 체험을 위한 콘텐츠의 실행 오류가 발생하거나 상기 안전훈련장비의 오작동이 감지될 때 오류 내용을 관리자 단말장치로 통지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체험자가 VR장치를 착용한 경우 상기 안전 체험을 위한 콘텐츠를 상기 VR장치로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부를 제어하며, 상기 VR장치를 착용한 체험자의 체험 상태 데이터를 근거로 상기 VR장치에 구현되는 콘텐츠의 동작 상태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키오스크 안전체험장치의 구동방법은, 통신 인터페이스부가, 체험자들이 안전을 체험하는 주변의 안전훈련장비와 통신을 수행하여 체험자별 체험 상태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및 제어부가, 상기 수신한 체험 상태 데이터를 체험자별로 분석하여 훈련의 진행 과정과 훈련 후 결과를 화면상에 표시하고, 체험이 반복될 때 체험에 따른 변화 추이를 화면상에 표시하며, 상기 안전체험장비가 지정된 범위를 벗어나는지 감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구동방법은, 상기 제어부가, 상기 안전훈련장비가 소화기인 경우 상기 수신한 체험 상태 데이터를 분석하여 상기 소화기를 사용할 때 발생하는 소화량과 화재장소를 찾아내는 순발력을 각각 측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동방법은, 센서부가, 무인 환경 하에서 상기 체험자의 접근을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부가, 상기 접근한 체험자의 행위를 감지하여 감지 결과에 따라 안내 영상 및 음성 중 적어도 하나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동방법은, 디스플레이부가, 체험 후 설문조사 항목을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부가, 상기 표시한 설문조사 항목의 분석 결과를 근거로 안전 체험을 위해 기제작한 콘텐츠를 갱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동방법은, 상기 제어부가, 안전 체험을 위한 콘텐츠의 실행 오류가 발생하거나 상기 안전훈련장비의 오작동이 감지될 때 오류 내용을 관리자 단말장치로 통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동방법은, 상기 제어부가, 상기 체험자가 VR장치를 착용한 경우 상기 안전 체험을 위한 콘텐츠를 상기 VR장치로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부를 제어하는 단계, 및 상기 VR장치를 착용한 체험자의 체험 상태 데이터를 근거로 상기 VR장치에 구현되는 콘텐츠의 동작 상태를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심폐소생술이나 화재진압 등 실생활에 밀접하게 관련된 안전교육을 주변에서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안전체험장에서 무인 환경하에서도 편리하게 안전훈련을 체험할 수 있고, 자신의 체험 이력을 통해 부족한 분야의 체험훈련을 반복해 수행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감형 안전체험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도 1의 키오스크 안전체험장치의 정면도 및 좌측면도,
도 3은 안전체험을 위해 도 1의 VR장치를 착용한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
도 4는 도 1의 키오스크 안전체험장치의 세부구조를 예시한 블록다이어그램, 그리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키오스크 안전체험장치의 구동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감형 안전체험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키오스크 안전체험장치의 정면도 및 좌측면도이며, 도 3은 안전체험을 위해 도 1의 VR장치를 착용한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감형 안전체험시스템(90)은 키오스크 안전체험장치(100), VR장치(105), 안전훈련장비(107), 관리자 단말장치(109), 통신망(110) 및 안전체험 모니터링장치(120)의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한다"는 것은 통신망(110)이나 안전체험 모니터링장치(120)와 같은 구성요소가 생략되어 키오스크 안전체험장치(100)와 안전훈련장비(107) 등이 다이렉트 통신(예: P2P 통신)을 수행하거나, 안전체험 모니터링장치(120)를 구성하는 구성요소의 일부 또는 전부가 통신망(110)을 구성하는 네트워크장치(예: 무선교환장치 등)에 통합되어 구성될 수 있는 것 등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발명의 충분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전부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한다.
키오스크 안전체험장치(100)는 도 2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본체부(200), 디스플레이부(210), 체험장비수납부(220) 및 내부 메인보드 등에 구비되는 CPU 등의 구동장치(혹은 구동부)(도 4 참조)의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한다. 도 2의 (a)는 키오스크 안전체험장치(100)의 정면도를 보여주고 있으며, 도 2의 (b)는 좌측면도를 보여주고 있다. 키오스크 안전체험장치(100)의 우측면은 좌측면과 동일하고, 또 키오스크 안전체험장치(100)의 평면은 도 2의 (a) 및 (b)에 나타낸 정면도와 좌측면도를 통해 충분히 유추될 수 있으므로 편의상 생략하였다.
본체부(200)는 키오스크 안전체험장치(100)의 외연을 구성하는 외부 프레임(frame)을 포함한다. 도 2의 좌측면도를 볼 때, 디스플레이부(210)와 하부 플레이트(plate)에 연결된 프레임이 서로 일정 간격을 두고 평행을 이루고 있으며, 2개의 프레임은 90도 혹은 90도 이내에서 경사진 경사 프레임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있다. 프레임의 두께는 각각 150mm로 형성되며, 하부 플레이트의 전체 폭은 대략 910mm, 그리고 하부 플레이트상에 구비된 2개의 프레임의 폭은 500mm 정도를 이룬다.
본체부(200)는 함체(부)라 명명될 수 있다. 함체부는 디스플레이부(210), 메인 보드 혹은 그 내부 프로그램인 재생기(player), 그리고 카메라를 보호한다. 키오스크 안전체험장치(100)를 구성하는 본체부(200)의 하측에 구비되는 하부 플레이트에는 4개 이내의 구동륜 즉 바퀴가 구비되며, 하부 플레이트의 상측에는 심폐소생술, 소화기 등을 수행할 수 있도록 연습하는 안전교육체험을 위한 다양한 유형의 장비가 수납되는 체험장비수납부(220)가 구성된다. 체험장비수납부(220)에는 가상현실체험을 위한 VR장치(105), 심폐소생술 훈련을 위한 마네킹 장비 등이 수납될 수 있다.
본체부(200)에서 체험장비수납부(220)의 상측에는 터치패널 등을 구비하는 디스플레이부(210)가 구비된다. 통상 키오스크라 명명되는 터치스크린은 영상표시패널의 일측면에 터치패널을 결합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터치방식은 정전용량, 저항막 방식 등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다. 최근에서 터치패널이 영상표시패널의 제작시에 내부에 포함되는 형태로 즉 내부에 일체화하여 형성되므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디스플레이부(210)의 터치 동작이 가능한 영상표시장치이면 충분하다.
디스플레이부(210)는 관리자나 체험자 등의 터치 등에 의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양한 안전체험을 위한 인터렉티브 즉 사용자 명령이 수신된다. 사용자 명령을 음성인식을 통해서도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210)의 화면상에는 키오스크 안전체험장치(100)의 체험장비수납부(220)에 구비되는 다양한 체험 장비를 실행하기 위한 아이콘들이 표시될 수 있다. 따라서, 가령 화면상에서 관리자나 사용자가 주변의 심폐소생술을 위한 마네킹을 이용해 안전훈련을 진행하고자 해당 아이콘을 선택하면, 키오스크 안전체험장치(100)는 디스플레이부(210)의 화면상에 심폐소생술 마네킹을 사용하기 위한 영상을 표시하면서 동시에 주변의 마네킹 등 체험장비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물론 디스플레이부(210)의 화면상에만 훈련 영상을 표시할지, 아니면 체험자가 VR장치(105)를 착용하고 VR장치(105)를 착용한 채 심폐소생술의 안전훈련을 수행할지 선택하게 되면, 또는 카메라 등의 촬영영상 등을 분석하거나 VR장치(105)의 센싱 동작 등을 통해 자동으로 체험자의 VR장치(105)의 착용상태를 인식하여 훈련을 위한 3D 영상을 해당 VR장치(105)로 전송하여 구현되도록 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동작은 메인 보드에 구성되는 구동장치 또는 제어장치에서 수행하는 것이다. 무엇보다 디스플레이부(210)는 실시간으로 안전체험을 위한 영상을 화면에 표시하고, 이의 과정에서 3D 영상을 시청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을 수신할 수 있도록 화면상에 버튼을 포함하는 다양한 UI(User Interface) 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
도 2에서 볼 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키오스크 안전체험장치(100)는 높이(H)가 대략 1596.9mm에 해당하고, 도 2의 (a)에서 나타낸 정면도에서 볼 때, 너비(W)는 1340mm 정도에 해당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키오스크 안전체험장치(100)는 가로형 키오스크라 명명될 수도 있다. 여기서, 너비(W)는 디스플레이부(210)의 가로 길이가 된다. 디스플레이부(210)의 화면은 와이드 형태이다. 4륜을 구비하므로 체험장의 자유로운 이동이 가능하다. 도 2의 좌측면도를 보면, 하부 프레임은 'ㄱ'자와 유사한 형태를 보이고 있으며, 경사 프레임의 상측 단면에 디스플레이부(210)를 고정하는 형태로 구성되어 있다. 물론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어느 하나의 형태에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을 것이다.
요약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키오스크 안전체험장치(100)는 기계적으로 볼 때 실감형 안전체험장비, 소화기, 심폐소생술, 가상현실체험(VR)이 가능하다. 또한, 실감형안전체험장비 작동을 위한 통신 프로토콜 장치 즉 통신모듈도 포함한다. 이를 통해 주변의 VR장치(105)나 안전훈련장비(107)와 통신을 수행하며, 또한 체험훈련을 통해 체험자들의 데이터를 수집하여 관리하도록 안전체험 모니터링장치(120)로 전송해 줄 수 있다. 나아가, 콘텐츠의 실행 오류가 발생하거나 장비의 오작동이 확인되는 경우 오류의 내용을 관리자에게 전달하여 문제 해결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따라서, 키오스크 안전체험장치(100)는 자신이나 특정 안전훈련장비(107)에서 오류가 감지되면 이를 관리자 단말장치(109)로 관련 사실을 통지한다. 이는 시스템 설계자의 의도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키오스크 안전체험장치(100)는 시스템적으로(혹은 프로그램적으로), 실감형 안전체험장비, 소화기, 심폐소생술, 가상현실체험(VR) 장비를 시행하는 연결 프로그램을 통해 훈련의 진행(과정)과 훈련 후 결과를 화면상에 보여준다. 또한, 체험자의 정보를 수집, 저장하여 향후 체험자의 안전체험시 변화하는 결과, 가령 점수, 유효횟수 등을 향후 콘텐츠 갱신시 사용되도록 한다. 이를 위하여 키오스크 안전체험장치(100)는 내부 메모리에 수집된 사용자 관련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지만, 별도의 관리를 위하여 안전체험 모니터링장치(120)로 수집된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키오스크 안전체험장치(100)는 콘텐츠의 특성에 맞는 사용자 편의 결과 화면을 제공하고, 소화기시뮬레이터(예: 화재진압 등)의 소화기를 사용할 때 발생하는 소화량과 화재장소를 찾아내는 순발력 즉 정확성 등의 점수(예: 결과 화면)를 제공한다. 뿐만 아니라, 심폐소생술시뮬레이터를 사용할 때 사용하는 애니 즉 마네킹을 통해 진행시간 동안 발생하는 전체 압박, 유효압박, 실패압박 등의 결과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이외에도 키오스크 안전체험장치(100)는 키오스크 기능, 무인 기능, A/S 등의 동작을 수행한다. 키오스크 기능과 관련해서는 실감형안전체험장비, 소화기, 심폐소생술, 가상현실체험(VR)을 모두 사용할 수 있다. 무인 기능과 관련해서는 체험장비와 콘텐츠 구성요소들을 파악할 수 있는 도움말 기능을 내장한다. 공공장소에 설치되는 경우 콘텐츠별 각각의 안내 영상 또는 음성이 나오도록 하며 도우미 없이 혼자서 체험이 가능하다. 이를 위하여 키오스크 안전체험장치(100)는 카메라를 탑재하여 카메라에 의해 촬영되는 영상을 분석하여 무인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움직임 센서를 구비하여 주변에 사용자가 감지되면 체험여부를 음성으로 물을 수 있다. 이에 대하여 사용자로부터 체험한다는 응답을 음성 명령이나 화면상의 터치를 통해 인식하면 이를 통해 도움없이 혼자 체험을 진행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키오스크 안전체험장치(100)는 5G 기술을 활용하여 실시간 업데이트 및 저지연 프로그램 구조를 구성한다. 프로그램 기능 개선을 위한 현장 피드백 및 설문조사 기능을 탑재한다. 체험이 완료된 후 체험자들로부터 피드백을 받아 분석한 후 가령 소프트웨어를 갱신하거나 안전훈련장비(107)를 추가 개발하거나 개량할 수 있다. 또한 키오스크 안전체험장치(100)는 디스플레이장치와 연동시 위치를 추적할 수 있는 소화기 위치트래킹 및 방향 추적 기능을 가질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최초 소화기가 배치되는 위치를 저장하고, 이를 통해 지정 거리나 반경(R)을 벗어날 때 경보음을 발생시키는 등의 동작을 통해 체험을 위한 안전훈련장비(107)의 분실을 방지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키오스크 안전체험장치(100)의 하드웨어(HW) 및 소프트웨어(SW) 사양을 간단히 정리하면 <표 1>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Figure pat00001
VR장치(105)는 체험자들이 머리에 착용하는 헤드마운팅장치(HMD)이다. 심폐소생술이나 소화기 사용을 체험하고자 하는 사용자들이 착용할 수 있고, 체험을 요청한 경우 VR장치(105)에 구현되는 영상을 따라 심폐소생술 마네킹을 통해 체험을 할 수 있다. 물론 체험에 따른 결과를 시청하는 것도 얼마든지 가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마네킹을 이용해 심폐소생술 체험을 하고자 키오스크 화면에서 해당 체험을 위한 아이콘을 선택한 경우 화면상에는 3D 체험을 수행할지를 묻는 창이 팝업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해당 팝업창을 선택할 때, VR장치(105)와 키오스크 안전체험장치(100)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에서 심폐소생술을 위한 영상처리가 이루어질 수 있다.
도 3에서는 사용자가 VR장치(105)를 착용한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VR장치(105)를 통해 가상체험을 하는 과정은 다양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예를 들어 VR장치(105)에 구현되는 영상을 따라 사용자가 마네킹을 이용해 심폐소생술을 수행할 때 사용자의 행동(혹은 모션 즉 움직임)을 감지하여 이를 통해 VR장치(105)에서 구현되는 영상의 속도를 조절하는 등의 동작이 이루어질 수도 있다. 또한, 특정 체험 동작에서 체험자의 동작에 지체가 발생할 때, 영상을 잠시 정지시킬 수 있다. 그리고 해당 동작이 완료되면 다시 영상을 재생시킬 수 있다. 이는 VR장치(105) 내의 움직임 센서를 이용하거나, 키오스크 안전체험장치(100)에 구비되는 카메라의 촬영영상을 분석하여 VR장치(105)로 전송되는 영상을 제어할 수 있다.
안전훈련장비(107)는 화재진압, 심폐소생술, 재난체험 등 다양한 유형의 안전훈련을 수행할 수 있는 장비를 포함한다. 대표적으로 심폐소생술을 위한 마네킹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안전훈련장비(107)는 디스플레이부(210)나 VR장치(105)에 구현되는 영상에 따라 사용자 즉 체험자가 제대로 훈련을 따라하고 있는지 감지하기 위한 다수의 센서들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체험자가 마네킹을 통해 가슴을 압박할 때 어느 정도의 세기로 가슴을 압박하는지 압력센서 등을 통해 압박세기를 센싱하고, 센싱한 센싱 데이터는 주변의 키오스크 안전체험장치(100)로 전송한다. 예를 들어, 가슴을 압박할 때 위치는 정확한지, 또는 압박 횟수는 정확한지 등을 감지할 수 있도록 한다. 정확하게는 전체압박, 유효압박, 실패압박이 측정된다.
또한, 안전훈련장비(107)는 체험을 위해 별도로 제작된 소화기를 포함할 수도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체험용 소화기를 들고, 즉 영상에 따라 소화기를 들고 안전핀을 뽑을 때 해당 행위를 감지하여 안전핀을 체험자가 뽑았는지 등을 주변의 키오스크 안전체험장치(100)에서 판단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통해 키오스크 안전체험장치(100)는 특정 사용자의 체험훈련 데이터를 관리할 수 있다. 또한, 소화기시뮬레이터 즉 화재진압의 소화기를 사용할 때 소화량은 얼마나 되는지, 또 화재장소를 찾아내는 순발력이나 정확성이 얼마나 되는지 등을 센싱하여 센싱 데이터를 키오스크 안전체험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키오스크 안전체험장치(100)는 도 1에서 볼 때 별도의 사설 통신망(110)의 연결없이 로컬(local) 기반으로 동작하는 것이 얼마든지 가능하다. 다시 말해, 체험 현장에 키오스크 안전체험장치(100)를 설치하고, 주변의 일정 통신 반경 내에 있는 VR장치(105)와 안전훈련장비(107)가 근거리 무선통신(예: 블루투스, 비콘 통신) 등에 의해 다이렉트 통신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따라서, 키오스크 안전체험장치(100)의 오류 발생시에는 디폴트(default)로 설정되어 있는 관리자 단말장치(109)로 통지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물론 관리자 단말장치(109)와도 다이렉트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여러 체험 장소에 설치되는 키오스크 안전체험장치(100)를 통합 관리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고, 또 관리자 단말장치(109)의 경우에는 관리자의 스마트폰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나아가서는 키오스크 안전체험장치(100)의 원격관리나 프로그램 자동 갱신 등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유무선 인터넷 등의 통신망(110)을 이용하고, 별도의 서버 등을 사용해 안전체험 모니터링장치(120)를 운영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할 수 있다.
관리자 단말장치(109)는 키오스크 안전체험장치(100)를 관리하는 관리자의 스마트폰, 국내S사의 갤럭시*어와 같은 웨어러블장치 등의 다양한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관리자 단말장치(109)는 키오스크 안전체험장치(100)와 통신을 수행하여 오류 발생이 있는 경우 이에 대한 통지를 수신할 수 있다. 물론 관리자 단말장치(109)는 원격에서 접속하는 관리자의 데스크탑컴퓨터, 랩탑컴퓨터, 태블릿 PC 등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원격에서 원격 제어에 의해 키오스크 안전체험장치(100)를 관리하는 것도 얼마든지 가능하므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어느 하나의 형태에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을 것이다. 물론, 원격 접속을 위하여 접속 권한이 허용되는 사용자에 한하여 접속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통신망(110)은 유무선 통신망을 모두 포함한다. 가령 통신망(110)으로서 유무선 인터넷망이 이용되거나 연동될 수 있다. 여기서 유선망은 케이블망이나 공중 전화망(PSTN)과 같은 인터넷망을 포함하는 것이고, 무선 통신망은 CDMA, WCDMA, GSM, EPC(Evolved Packet Core), LTE(Long Term Evolution), 와이브로(Wibro) 망 등을 포함하는 의미이다. 물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망(110)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의 접속망으로서 가령 클라우드 컴퓨팅 환경하의 클라우드 컴퓨팅망, 5G망 등에 사용될 수 있다. 가령, 통신망(110)이 유선 통신망인 경우 통신망(110) 내의 액세스포인트는 전화국의 교환국 등에 접속할 수 있지만, 무선 통신망인 경우에는 통신사에서 운용하는 SGSN 또는 GGSN(Gateway GPRS Support Node)에 접속하여 데이터를 처리하거나, BTS(Base Transceiver Station), NodeB, e-NodeB 등의 다양한 중계기에 접속하여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다.
통신망(110)은 액세스포인트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의 액세스포인트는 건물 내에 많이 설치되는 펨토(femto) 또는 피코(pico) 기지국과 같은 소형 기지국을 포함한다. 여기서, 펨토 또는 피코 기지국은 소형 기지국의 분류상 사용자 단말장치(100) 등을 최대 몇 대까지 접속할 수 있느냐에 따라 구분된다. 물론 액세스포인트는 키오스크 안전체험장치(100) 및 관리자 단말장치(109) 등과 지그비 및 와이파이 등의 근거리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근거리 통신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액세스포인트는 무선통신을 위하여 TCP/IP 혹은 RTSP(Real-Time Streaming Protocol)를 이용할 수 있다. 여기서, 근거리 통신은 와이파이 이외에 블루투스, 지그비, 적외선, UHF(Ultra High Frequency) 및 VHF(Very High Frequency)와 같은 RF(Radio Frequency) 및 초광대역 통신(UWB) 등의 다양한 규격으로 수행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액세스포인트는 데이터 패킷의 위치를 추출하고, 추출된 위치에 대한 최상의 통신 경로를 지정하며, 지정된 통신 경로를 따라 데이터 패킷을 다음 장치, 예컨대 안전체험모니터링장치(120)로 전달할 수 있다. 액세스포인트는 일반적인 네트워크 환경에서 여러 회선을 공유할 수 있으며, 예컨대 라우터(router), 리피터(repeater) 및 중계기 등이 포함된다.
안전체험 모니터링장치(120)는 가령 서버로서, DB(120a)를 포함하며, 체험 현장에 설치되는 키오스크 안전체험장치(100)의 관리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대표적으로 안전훈련장비(107)를 체험한 체험자들의 데이터를 수집하여 관리할 수 있다. 또한, 체험자의 사용자 단말장치(예: 스마트폰 등)의 식별정보를 취득하여 이를 통해 체험 후 설문조사를 진행하여 관련 데이터의 분석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앞서서는 현장의 키오스크 안전체험장치(100)에서 직접 설문이 이루어지는 것을 예시하였다면, 체험 후 사용자의 스마트폰 등을 통해서도 체험 설문을 실시하는 것이 얼마든지 가능할 수 있다.
이외에도 안전체험 모니터링장치(120)는 키오스크 안전체험장치(100)의 프로그램에 대한 실시간 업데이트 및 저지연 프로그램 구조를 분석하여 개선한다. 예를 들어, 안전체험 모니터링장치(120)는 복수의 장소에 설치되는 키오스크 안전체험장치(100)로부터 데이터를 수집하는 과정에서 해당 장소의 특성에 기반한 데이터의 수집이 이루어질 수 있고, 또는 서로 다른 오류 상황이나 저지연 프로그램 구조를 학습할 수 있다. 다시 말해, A 장소에 있는 키오스크 안전체험장치(100)로부터 특정 상황(예: 온도, 습도, 먼지농도 등)에서 오류 발생이 있을 때, B 장소에 있는 키오스크 안전체험장치(100)의 오류 발생시 똑같은 상황인지를 판단하여 오류를 수정하거나, 또는 그러한 수정 메시지를 관리자 단말장치(109)로 전송할 수 있다. 또는 인공지능(AI) 프로그램을 통해 B 장소의 키오스크 안전체험장치(100)에서 A 장소의 키오스크 안전체험장치(100)의 경험을 바탕으로 오류가 예측될 때에도 경고 메시지를 해당 B 장소의 키오스크 안전체험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인공지능 딥러닝은 기존의 룰 기반 동작과 비교해 예측을 수행한다는 데에 장점이 있다.
나아가, 안전체험 모니터링장치(120)는 안전훈련장비(107)를 체험하는 체험자들의 체험 히스토리(history) 즉 이력을 생성할 수도 있다. 여기서, "히스토리"란 체험자의 안전 체험시 변화하는 결과를 보여주는 것이다. 체험자가 안전훈련장비(107)를 통해 훈련을 진행하였을 때 해당 데이터를 수집하여 분석한 후 체험자에게 제시하고 이를 통해 다양한 유형의 안전교육 체험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이를 통해 체험자들마다 특정 안전교육에 치중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도 4는 도 1의 키오스크 안전체험장치의 세부구조를 예시한 블록다이어그램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키오스크 안전체험장치(100)는, 더 정확하게는 구동장치(230)는 통신 인터페이스부(400), 제어부(410), 안전체험실행부(420) 및 저장부(430)의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하며, 촬영부나 센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한다"는 것은 저장부(430)와 같은 일부 구성요소가 생략되어 키오스크 안전체험장치(100)가 구성되거나 안전체험실행부(420)와 같은 일부 구성요소가 제어부(410)와 같은 다른 구성요소에 통합되어 구성될 수 있는 것 등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발명의 충분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전부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한다.
통신 인터페이스부(400)는 VR장치(105) 및 안전훈련장비(107)와 통신을 수행하고, 통신망(110)을 경유하여 안전체험 모니터링장치(120)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통신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통신 인터페이스부(400)는 변/복조, 먹싱/디먹싱, 인코딩/디코딩, 해상도를 변환하는 스케일링 등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는 당업자에게 자명하므로 더 이상의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통신 인터페이스부(400)는 사용자 즉 체험자가 도 1의 키오스크 안전체험장치(100)를 통해 특정 체험훈련에 대하여 VR 영상의 시청을 요청한 경우, 또는 VR장치(105)를 착용한 후 체험자가 특정 체험훈련의 영상을 요청한 경우, VR장치(105)로 체험자가 선택한 체험훈련 영상을 실시간으로 전송한다.
또한, 통신 인터페이스부(400)는 주변의 안전훈련장비(107)에서 전송하는 체험자의 체험자 상태 데이터를 수신한다. 예를 들어, 안전훈련장비(107)로서 소화기에 대한 체험이 있다고 가정해 보자. 이의 경우 체험자는 소화기의 안전핀을 꼽은 후 소화기를 들고 소화 동작을 수행한다. 또한, 체험자가 화재장소를 제대로 찾아내고 있는지, 또는 민첩하게 해당 장소를 찾아 화재진압 동작을 수행하는지 소화기에 구비되는 센서들을 통해 감지하여 이를 근거로 소화량을 측정하고, 민첩성 또는 정확성을 측정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통신 인터페이스부(400)는 안전훈련장비(107)에 구비되는 다양한 센서 등을 통해 취득한 센싱 데이터를 수신한다. 물론 안전훈련장비(107)에서 측정이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측정 결과만을 수신한다. 가령 점수의 형태로 측정 결과를 수신할 수 있다.
나아가, 통신 인터페이스부(400)는 VR장치(105)나 안전훈련장비(107)로부터 내부 동작시 동작 상태를 알 수 있는 동작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수신한 동작 데이터를 분석하여 안전훈련장비(107) 등의 오류가 감지되는 경우에는 관리자 단말장치(109)로 통지한다. 또한, 내부적으로도 제어부(410)가 키오스크 안전체험장치(100)의 동작 상태를 감시하여 내부에 오류가 있는 경우에는 이를 제어부(410)의 제어하에 관리자 단말장치(109)로 통지하게 된다.
제어부(410)는 도 4의 구동장치(230)를 구성하는 통신 인터페이스부(400), 안전체험실행부(420) 및 저장부(430)를 제어할 수 있으며, 도 2의 디스플레이부(210)나 카메라 등의 촬영장치를 더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410)는 체험자가 화재진압을 위한 체험을 요청한 경우, 물론 이는 디스플레이부(210)의 표시화면에서 화면 터치를 이용한 인터렉티브 동작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나아가 음성명령어를 발화하여 이를 인식하여 동작이 이루어질 수도 있다. 제어부(410)는 다양한 형태로 체험자의 사용자 명령을 수신하고 그에 부합하는 체험 영상을 디스플레이부(210)의 화면에 표시하거나 가령 3D 체험영상의 요청이 있는 경우에는 통신 인터페이스부(400)를 제어하여 VR장치(105)로 전송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41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반적인 동작이 수행될 수 있도록 안전체험실행부(420)의 내부 프로그램을 실행시키고, 안전체험실행부(420)와 연계하여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안전체험실행부(420)에서 VR장치(105)로 소화기를 사용한 화재진압 영상을 전송하도록 요청하였다면 이의 명령에 따라 해당 동작을 수행한다. 제어부(410)는 안전체험실행부(420)에서 수집데이터를 분석하고 데이터를 분석하여 대시보드 형태로 UI를 제공하여 디스플레이부(210)의 화면에 표시하도록 요청하면 제어부(410)는 해당 요청에 따라 디스플레이부(210)를 제어할 수 있다. 이외에도 제어부(410)는 콘텐츠의 변경, 수정 및 관리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안전체험실행부(42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키오스크 안전체험장치(100)를 통해 기제작된 콘텐츠에 맞춰 실시하는 교육에 따라 화재진압, 심폐소생술, 재난체험 등을 훈련할 수 있도록 한다. 터치스크린과 같이 사용자 인터페이스 즉 사용자 명령을 수신하면 이를 인식하여 그에 따른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가령 사용자가 심폐소생술 체험을 요청하였다면 도 2의 디스플레이부(210) 및/또는 주변의 VR장치(105)로 심폐소생술의 체험영상이 표시되도록 하고, 이에 따라 주변의 안전훈련장비(107)로서 마네킹을 사용하여 체험자의 체험을 감시한다. 여기서, 감시한다는 것은 안전훈련장비(107)에서 체험자의 체험 동작 상태를 알 수 있도록 관련 데이터(예: 센싱 데이터나 분석 결과 등)를 전송하여 주는 것을 포함한다.
안전체험실행부(420)는 체험자들의 정보를 수집 및 저장할 수 있으며, 향후 체험자의 안전 체험시 결과의 변화가 있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체험자의 체험 이력을 관리하는 것이다. 결과로서 점수 및 유효횟수 등을 판단하고 실력이 부족한 경우 안전체험을 반복해서 수행하도록 권유하거나 콘텐츠를 갱신하여 체험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안전체험실행부(420)는 무인 환경하에서도 동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서를 통해 체험자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체험영역에 들어온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410)로 촬영장치(예: 카메라)의 촬영 동작이 시작되도록 요청할 수 있다. 촬영 영상의 분석을 통해 체험자에게 적절한 안내 영상이나 음성 송출이 이루어지도록 제어부(410)에 요청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체험자가 어떻게 안전훈련장비(107)를 동작시켜야 할지 모른다고 판단될 때, 물론 이는 영상 분석을 통해 감지해 낼 수 있다. 따라서, 안전체험실행부(420)는 키오스크 안전체험장치(100)에서 체험하고자 하는 안전훈련장비(107)의 체험영상이 실행되도록 선택한 후 해당 영상을 따라 안전훈련장비(107)를 이용해 체험을 수행하라는 안내가 이어질 수 있다.
이외에도 안전체험실행부(420)는 체험장비와 콘텐츠 구성요소들을 파악할 수 있는 도움말 기능을 내장하고 이를 실행시킬 수 있다. 또한 안전체험실행부(420)는 프로그램 개선을 위해 현장 피드백 및 설문조사 기능을 탑재하고 이를 실행하여 체험이 끝나면 체험자들에게 설문에 응하도록 하는 방식으로 설문조사를 수행할 수 있다. 물론 이를 위하여, 안전체험실행부(420)는 제어부(410)에 요청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안전체험실행부(420)는 디스플레이부(210)와 연동시 위치를 추적할 수 있는 가령 소화기의 위치 트래킹 및 방향 추적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소화기는 가속도 센서나 자이로 센서를 포함하여 거리나 방향 정보의 취득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체험자가 소화기를 들고 움직일 때, 안전체험실행부(420)는 소화기가 최초에 놓인 위치를 기준으로 움직임이 발생할 때 이동 거리와 방향을 측정한다. 예를 들어, 특정 체험자가 디스플레이부(210)로부터 50cm의 위치에 있는 소화기를 들고 1m 위치로 옮긴 경우를 가정해 보자. 그리고 체험을 완료하였다고 가정하자. 이의 경우 안전체험실행부(420)는 해당 체험자에게 소화기의 위치를 복원하도록 요청할 수 있다. 가령 10cm의 오차가 발생할 수 있다.
그러나, 안전체험실행부(420)는 안전훈련장비의 분실 우려가 없는 한 60cm의 위치를 새로운 시작 위치로 위치정보를 갱신하고, 이를 근거로 다른 체험자가 소화기를 사용할 때 이동거리와 방향 등을 즉 위치를 측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안전체험실행부(420)는 체험이 이루어지는 특정 영역을 설정하고 해당 영역을 벗어나지 않는 한 이동이 발생한 위치를 새로운 시작점으로 세팅한 후 다음 체험자의 체험에 따른 소화기의 위치를 계산한다. 예를 들어, 반경 1m로 영역이 설정되었다고 가정하면, A 체험자와 B 체험자에 의해 옮겨진 위치가 반경 1m를 벗어나려 할 때 B 체험자의 상태에게 경고음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안전체험실행부(420)는 주변의 안전훈련장비(107)의 위치를 추적하여 장비의 분실 우려를 없앨 수 있으며, 무엇보다 통신 반경을 벗어날 때 통신이 원활하지 않을 수 있으므로, 이러한 점에서 체험자의 체험이 완료된 이후에는 특정 위치로 옮겨줄 것을 요청할 수 있다.
저장부(430)는 제어부(410)의 제어하에 처리되는 다양한 정보나 데이터를 저장한다. 저장부(430)는 안전훈련장비(107)에서 제공하는 체험자별 체험 상태 데이터를 제어부(410)의 제어하에 저장한 후 데이터 분석을 위해 안전체험실행부(420)로 제공하도록 출력할 수 있다. 이외에도 저장부(430)는 안전체험실행부(420)에서 가령 도 1의 안전체험 모니터링장치(120)의 DB(120a)에 저장하기 위하여 지정 포맷으로 데이터를 생성한 경우 이를 임시 저장한 후 DB(120a)로 전송되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제어부(410)는 CPU 및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으며, 원칩화하여 형성될 수 있다. CPU는 제어회로, 연산부(ALU), 명령어해석부 및 레지스트리 등을 포함하며, 메모리는 램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회로는 제어동작을, 그리고 연산부는 2진비트 정보의 연산동작을, 그리고 명령어해석부는 인터프리터나 컴파일러 등을 포함하여 고급언어를 기계어로, 또 기계어를 고급언어로 변환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으며, 레지스트리는 소프트웨어적인 데이터 저장에 관여할 수 있다. 상기의 구성에 따라, 가령 도 1의 키오스크 안전체험장치(100)의 동작 초기에 안전체험실행부(420)에 저장되어 있는 프로그램을 복사하여 메모리 즉 램(RAM)에 로딩한 후 이를 실행시킴으로써 데이터 연산 처리 속도를 빠르게 증가시킬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키오스크 안전체험장치의 구동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설명의 편의상 도 5를 도 1과 함께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키오스크 안전체험장치(100)는 체험자들이 안전 체험하는 주변의 안전훈련장비(107)와 통신을 수행하여 체험자별 체험 상태 데이터를 수신한다(S500). 예를 들어, A 체험자가 소화기를 들고 체험을 수행하면 소화기와 통신하여 A 체험자의 체험 상태 데이터를 수신하며, B 체험자가 마네킹을 이용해 심폐소생술을 체험하면 마네킹과 통신하여 B 체험자의 체험 상태 데이터를 수신한다.
또한, 키오스크 안전체험장치(100)는 수신한 체험 상태 데이터를 체험자별로 분석하여 (훈련의 진행과정과) 훈련 후 결과를 화면상에 표시하고 체험이 반복될 때 체험에 다른 변화 추이를 화면상에 표시하며, 안전체험장비(105)가 지정 범위를 벗어나는지를 감지한다(S510).
예를 들어, 키오스크 안전체험장치(100)는 자신의 위치를 근거로 2m 반경을 설정한 경우, 안전체험장비(105)는 2m 반경을 벗어날 때 경고음을 발생시키거나 스피커 등을 통해 안내 음성을 송출할 수 있다. 가령, 최초에 소화기가 50cm 위치에 있었다면 이후 A 체험자가 체험 후 놓은 위치가 1m였다고 가정해 보자. 그러면, 그 1m를 기준으로 다음 체험자인 B 체험자가 체험 후 위치한 거리와 방향을 다시 측정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위치가 변경되면 새로운 시작점으로 다시 설정하여 거리 및 방향을 측정한 후 A 체험자와 B 체험자에 의해 변경된 위치가 설정 영역을 벗어나는지 감시할 수 있다. 이러한 방향과 거리는 안전체험장비(105)마다 구비되는 자이로센서나 가속도센서 등을 통해 측정될 수 있지만, 비콘 통신이 가능한 통신모듈을 구비하고, 비콘신호의 수신세기 등에 대한 측정을 통해 안전체험장비(105)의 위치를 측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키오스크 안전체험장치(100)는 구동륜을 포함한다. 이는 다시 말해 특정 장소의 이동이 가능하다는 것이다. 따라서, 키오스크 안전체험장치(100)가 자신의 위치가 변경되면 물론 이를 자동으로 감지할 수도 있으며, 이의 경우 내부 GPS 모듈과 같은 통신모듈이나 근거리 무선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자신의 현재 위치를 가령 좌표값의 형태로 측정하여 기준위치를 설정할 수 있다. GPS 통신이 가능하면 위성항법장치(GPS)와의 통신에 의해 자신의 위치정보를 설정할 수 있다. 그러나, 실내에서 GPS 통신이 불가능한 경우에는 주변에 무선공유기 등이 감지될 경우 해당 무선공유기의 위치 정보를 근거로 신호세기 등을 측정해 자신의 위치를 설정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키오스크 안전체험장치(100)의 기준 위치의 설정이 완료되면 이를 근거로 주변 안전훈련장비(107)의 위치를 감시하여 위에서와 같은 방식으로 측정을 수행할 수 있다.
이외에도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안전훈련장비(107)간 다이렉트 통신에 의해 특정 장비가 감지되지 않을 때 해당 장비들을 대표하는 장비가 이를 키오스크 안전체험장치(100)로 통지하는 형태로 동작이 이루어질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안전훈련장비(107)로서 소화기, 마네킹 및 VR장치(105)가 있을 때 그 중 소화기가 대표 장비가 될 수 있다. 따라서, 통신 반경을 작게 설정하여 마네킹과 VR장치(105)가 소화기와의 통신 반경을 벗어날 때 소화기는 해당 사실을 키오스크 안전체험장치(100)로 통지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이러한 대표 장비는 장비의 동작을 변경할 수 있다. 대표적으로 전원이 완전 소모가 있는 경우이다. VR장치(105)가 대표 장비로서 동작 중 배터리 소모가 많아 정상동작이 불가능할 수 있을 때 소화기로 대표 장비의 권한을 이양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소화기는 대표 장비로서 동작하고, VR장치(105)의 정상동작이 불가능할 때 이를 관리자 단말장치(109)로 통지하도록 키오스크 안전체험장치(100)에 알릴 수 있다. 물론 키오스크 안전체험장치(100)는 대표 장비로서 권한이 이양될 때 이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여 내부의 정보를 갱신한다.
상기한 내용 이외에도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키오스크 안전체험장치(100)는 다양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으며, 기타 자세한 내용은 앞서 충분히 설명하였으므로 그 내용들로 대신하고자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그 모든 구성요소들이 각각 하나의 독립적인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들의 그 일부 또는 전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하나 또는 복수 개의 하드웨어에서 조합된 일부 또는 전부의 기능을 수행하는 프로그램 모듈을 갖는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그 컴퓨터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코드들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비일시적 저장매체(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a)에 저장되어 컴퓨터에 의하여 읽혀지고 실행됨으로써, 본 발명의 실시 예를 구현할 수 있다.
여기서 비일시적 판독 가능 기록매체란, 레지스터, 캐시(cache), 메모리 등과 같이 짧은 순간 동안 데이터를 저장하는 매체가 아니라, 반영구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며, 기기에 의해 판독(reading)이 가능한 매체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상술한 프로그램들은 CD, DVD, 하드 디스크, 블루레이 디스크, USB, 메모리 카드, ROM 등과 같은 비일시적 판독가능 기록매체에 저장되어 제공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100: 키오스크 안전체험장치 105: VR장치
107: 안전훈련장비 109: 관리자 단말장치
110: 통신망 120: 안전체험 모니터링장치
200: 본체부 210: 디스플레이부
220: 체험장비수납부 400: 통신 인터페이스부
410: 제어부 420: 안전체험실행부
430: 저장부

Claims (12)

  1. 체험자들이 안전을 체험하는 주변의 안전훈련장비와 통신을 수행하여 체험자별 체험 상태 데이터를 수신하는 통신 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수신한 체험 상태 데이터를 체험자별로 분석하여 훈련의 진행 과정과 훈련 후 결과를 화면상에 표시하고, 체험이 반복될 때 체험에 따른 변화 추이를 화면상에 표시하며, 상기 안전체험장비가 지정된 범위를 벗어나는지 감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키오스크 안전체험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안전훈련장비가 소화기인 경우 상기 수신한 체험 상태 데이터를 분석하여 상기 소화기를 사용할 때 발생하는 소화량 및 화재장소를 찾아내는 순발력을 각각 측정하는 키오스크 안전체험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무인 환경 하에서 상기 체험자의 접근을 감지하는 센서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접근한 체험자의 행위를 감지하여 감지 결과에 따라 안내 영상 및 음성 중 적어도 하나를 출력하는 키오스크 안전체험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체험 후 설문조사 항목을 화면에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표시한 설문조사 항목의 분석 결과를 근거로 안전 체험을 위해 기제작한 콘텐츠를 갱신하는 키오스크 안전체험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안전 체험을 위한 콘텐츠의 실행 오류가 발생하거나 상기 안전훈련장비의 오작동이 감지될 때 오류 내용을 관리자 단말장치로 통지하는 키오스크 안전체험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체험자가 VR장치를 착용한 경우 상기 안전 체험을 위한 콘텐츠를 상기 VR장치로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부를 제어하며, 상기 VR장치를 착용한 체험자의 체험 상태 데이터를 근거로 상기 VR장치에 구현되는 콘텐츠의 동작 상태를 제어하는 키오스크 안전체험장치.
  7. 통신 인터페이스부가, 체험자들이 안전을 체험하는 주변의 안전훈련장비와 통신을 수행하여 체험자별 체험 상태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및
    제어부가, 상기 수신한 체험 상태 데이터를 체험자별로 분석하여 훈련의 진행 과정과 훈련 후 결과를 화면상에 표시하고, 체험이 반복될 때 체험에 따른 변화 추이를 화면상에 표시하며, 상기 안전체험장비가 지정된 범위를 벗어나는지 감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키오스크 안전체험장치의 구동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가, 상기 안전훈련장비가 소화기인 경우 상기 수신한 체험 상태 데이터를 분석하여 상기 소화기를 사용할 때 발생하는 소화량과 화재장소를 찾아내는 순발력을 각각 측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키오스크 안전체험장치의 구동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센서부가, 무인 환경 하에서 상기 체험자의 접근을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부가, 상기 접근한 체험자의 행위를 감지하여 감지 결과에 따라 안내 영상 및 음성 중 적어도 하나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키오스크 안전체험장치의 구동방법.
  10. 제7항에 있어서,
    디스플레이부가, 체험 후 설문조사 항목을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부가, 상기 표시한 설문조사 항목의 분석 결과를 근거로 안전 체험을 위해 기제작한 콘텐츠를 갱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키오스크 안전체험장치의 구동방법.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가, 안전 체험을 위한 콘텐츠의 실행 오류가 발생하거나 상기 안전훈련장비의 오작동이 감지될 때 오류 내용을 관리자 단말장치로 통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키오스크 안전체험장치의 구동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가, 상기 체험자가 VR장치를 착용한 경우 상기 안전 체험을 위한 콘텐츠를 상기 VR장치로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부를 제어하는 단계; 및
    상기 VR장치를 착용한 체험자의 체험 상태 데이터를 근거로 상기 VR장치에 구현되는 콘텐츠의 동작 상태를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키오스크 안전체험장치의 구동방법.
KR1020200135680A 2020-10-20 2020-10-20 키오스크 안전체험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KR1024577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5680A KR102457790B1 (ko) 2020-10-20 2020-10-20 키오스크 안전체험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5680A KR102457790B1 (ko) 2020-10-20 2020-10-20 키오스크 안전체험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1948A true KR20220051948A (ko) 2022-04-27
KR102457790B1 KR102457790B1 (ko) 2022-10-31

Family

ID=813911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35680A KR102457790B1 (ko) 2020-10-20 2020-10-20 키오스크 안전체험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57790B1 (ko)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03002U (ko) 2007-01-28 2008-07-31 안기환 교통안전교육 삼차원 디지털 그래픽 터치스크린 키오스크
KR20110064382A (ko) * 2009-12-08 2011-06-15 (주)아라커뮤니케이션즈 알에프아이디를 이용한 말 훈련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130044458A (ko) * 2011-10-24 2013-05-03 (주)이투데이피엔씨 유아부모용 놀이학습 콘텐츠 서비스 시스템 및 그 제공 방법
KR20130088341A (ko) 2012-01-31 2013-08-08 이선희 온라인 기반의 키오스크를 이용한 현장 맞춤형 안전교육 정보 시스템
KR20130109181A (ko) * 2010-12-08 2013-10-07 그렌체바흐 마쉬넨바우 게엠베하 차량 시뮬레이터의 사용자를 위한 자율 안전 시스템
KR101512036B1 (ko) * 2014-11-17 2015-04-16 주식회사 디와이티오코리아 낙하훈련 지원시스템 및 방법
KR20160109066A (ko) * 2015-03-09 2016-09-21 (주)굿게이트 훈련용 소화기 및 이를 이용한 가상 현실 기반의 재난 대응 훈련 시스템 및 방법
KR101739288B1 (ko) 2016-02-23 2017-05-24 (주)세이프인 안전체험 장치를 구비한 차량
KR20190131756A (ko) * 2018-05-17 2019-11-27 주식회사 패러렐월드 가상현실을 이용한 공존 직업 체험 제공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03002U (ko) 2007-01-28 2008-07-31 안기환 교통안전교육 삼차원 디지털 그래픽 터치스크린 키오스크
KR20110064382A (ko) * 2009-12-08 2011-06-15 (주)아라커뮤니케이션즈 알에프아이디를 이용한 말 훈련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130109181A (ko) * 2010-12-08 2013-10-07 그렌체바흐 마쉬넨바우 게엠베하 차량 시뮬레이터의 사용자를 위한 자율 안전 시스템
KR20130044458A (ko) * 2011-10-24 2013-05-03 (주)이투데이피엔씨 유아부모용 놀이학습 콘텐츠 서비스 시스템 및 그 제공 방법
KR20130088341A (ko) 2012-01-31 2013-08-08 이선희 온라인 기반의 키오스크를 이용한 현장 맞춤형 안전교육 정보 시스템
KR101512036B1 (ko) * 2014-11-17 2015-04-16 주식회사 디와이티오코리아 낙하훈련 지원시스템 및 방법
KR20160109066A (ko) * 2015-03-09 2016-09-21 (주)굿게이트 훈련용 소화기 및 이를 이용한 가상 현실 기반의 재난 대응 훈련 시스템 및 방법
KR101739288B1 (ko) 2016-02-23 2017-05-24 (주)세이프인 안전체험 장치를 구비한 차량
KR20190131756A (ko) * 2018-05-17 2019-11-27 주식회사 패러렐월드 가상현실을 이용한 공존 직업 체험 제공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57790B1 (ko) 2022-10-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08770B2 (en) Performing virtual reality input
KR101794842B1 (ko) 이미지들을 캡처하는 것을 돕기 위해 햅틱 피드백을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KR102289745B1 (ko) 실시간 현장 작업 모니터링 방법 및 시스템
CN110209639B (zh) 信息处理方法、装置及系统
US11887258B2 (en) Dynamic integration of a virtual environment with a physical environment
JP2019071048A (ja) 一人称視点でのディープラーニングベースのハンドジェスチャー認識の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TWI442349B (zh) 緊急應變指揮系統及方法
CN102169367B (zh) 交互式投影显示
JPWO2008066093A1 (ja) 位置依存情報表現システム、位置依存情報表現制御装置および位置依存情報表現方法
TW202113428A (zh) 用於針對頭戴式顯示器產生動態障礙物碰撞警告之系統和方法
US20220301270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immersive and collaborative video surveillance
CN109426343B (zh) 基于虚拟现实的协作训练方法及系统
KR20200076169A (ko) 놀이 컨텐츠를 추천하는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20170012979A (ko) 영상 공유 서비스를 위한 전자 장치 및 방법
KR102071606B1 (ko) 가상 현실을 기반으로 하는 간호 중 오류상황 인지 여부 평가 시스템
US9960924B2 (en) Conference system, server, and computer-readable medium storing conference information generation program
JP2013201623A (ja) 通信制御装置、通信システム、通信制御装置を制御するための方法、通信制御装置を制御するための方法をコンピュータに実行させるプログラム、および、通信装置
JP2023551665A (ja) 仮想位置を指示する実世界ビーコン
CN111612671B (zh) 应急演练系统
US8805010B2 (en) Gesture identification using an ad-hoc multidevice network
KR102457790B1 (ko) 키오스크 안전체험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CN114038147A (zh) 消防救援通信方法、电子设备及存储介质
US20180288364A1 (en) Method and system for sensory environment replication
KR102341294B1 (ko) 인터렉티브 콘텐츠 제공 방법 및 장치
US11151797B2 (en) Superimposing a virtual representation of a sensor and its detection zone over an imag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