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12036B1 - 낙하훈련 지원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낙하훈련 지원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12036B1
KR101512036B1 KR1020140160103A KR20140160103A KR101512036B1 KR 101512036 B1 KR101512036 B1 KR 101512036B1 KR 1020140160103 A KR1020140160103 A KR 1020140160103A KR 20140160103 A KR20140160103 A KR 20140160103A KR 101512036 B1 KR101512036 B1 KR 1015120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op
unit
weight
dropping
fal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601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명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디와이티오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디와이티오코리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디와이티오코리아
Priority to KR10201401601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1203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120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120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GMERRY-GO-ROUNDS; SWINGS; ROCKING-HORSES; CHUTES; SWITCHBACKS; SIMILAR DEVICES FOR PUBLIC AMUSEMENT
    • A63G21/00Chutes; Helter-skelters
    • A63G21/04Chutes; Helter-skelters with fixed rail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GMERRY-GO-ROUNDS; SWINGS; ROCKING-HORSES; CHUTES; SWITCHBACKS; SIMILAR DEVICES FOR PUBLIC AMUSEMENT
    • A63G21/00Chutes; Helter-skelters
    • A63G21/22Suspended slidew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BRAILWAY SYSTEMS; EQUIPMENT THEREFO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1B13/00Other railway systems
    • B61B13/02Rack railw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BRAILWAY SYSTEMS; EQUIPMENT THEREFO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1B3/00Elevated railway systems with suspended vehicl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군대나 군대 체험 훈련 장소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고공 낙하훈련시 일정 경사각도를 가지는 하강구간에서는 미리 정해져 있는 낙하속도를 가지고 이동할 수 있도록 하여 속도이상으로 인한 사고가 발생되지 않도록 하는 낙하훈련 지원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일정 각도의 경사각을 가지는 하강구간, 상승구간 및 하강구간과 상승구간 상에 형성되는 평행구간으로 이루어진 폐루프 레일; 폐루프 레일에 이동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있으며,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낙하작동 요청신호에 응하여 폐루프 레일을 따라서 이동하는 복수의 낙하장치들; 및 물리적 조작에 따라 낙하작동 요청신호를 상기 낙하장치로 송출하는 낙하 작동장치를 포함한다. 이에 낙하훈련 시스템을 자동화할 수 있으므로, 안전을 확보할 수 있으며, 일정 경사각도를 가지는 하강구간에서는 미리 정해져 있는 낙하속도를 가지고 이동할 수 있도록 하여 속도이상으로 인한 사고가 발생되지 않도록 하고, 이로 인해 안전성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낙하훈련 지원시스템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supporting a altitude drop trainging}
본 발명은 낙하훈련 지원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군대나 군대 체험 훈련 장소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고공 낙하훈련시 일정 경사각도를 가지는 하강구간에서는 미리 정해져 있는 낙하속도를 가지고 이동할 수 있도록 하여 속도이상으로 인한 사고가 발생되지 않도록 하는 낙하훈련 지원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낙하훈련은 험한 지형을 줄 하나만을 이용하여 이동하게 되는 상황을 미리 훈련하는 것으로서, 이러한 낙하훈련은 군대 또는 군 체험장에서 주로 이루어지고 있다.
대부분 낙하 훈련장들은 위에서 아래 방향으로 미끄러져서 내려갈 수 있도록 두꺼운 밧줄이 팽팽하게 경사지도록 설치되어 있으며, 밧줄이 레일 역할을 하여, 레일에 도드레와 같이 이동을 지원하는 이동수단이 연결되어 있으며, 이 이동수단의 고리에 낙하자의 몸에 연결된 안전장치의 고리를 연결시켜 하강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낙하훈련장치들은 안전확인을 관리자가 오랜 시간을 통해 얻어진 경험을 바탕으로 하고 있으며, 낙하자들은 항상 사고에 노출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 공개특허 제 10-2008-0089900 호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시키기 위해 본 발명은 군대나 군대 체험 훈련 장소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고공 낙하훈련시 일정 경사각도를 가지는 하강구간에서는 미리 정해져 있는 낙하속도를 가지고 이동할 수 있도록 하여 속도이상으로 인한 사고가 발생되지 않도록 하는 낙하훈련 지원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군대나 군대 체험 훈련 장소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고공 낙하훈련시 낙하장치의 무게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여, 낙하장치의 이상 여부를 확인하는 낙하훈련 지원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낙하장치에 낙하자가 연결되는 경우 낙하자의 몸무게에 따라 낙하속도를 결정하고, 결정된 낙하속도로 낙하장치가 낙하되도록 하는 낙하훈련 지원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낙하훈련 지원시스템은 일정 각도의 경사각을 가지는 하강구간, 상승구간 및 하강구간과 상승구간 상에 형성되는 평행구간으로 이루어진 폐루프 레일; 폐루프 레일에 이동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있으며,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낙하작동 요청신호에 응하여 폐루프 레일을 따라서 이동하는 복수의 낙하장치들; 물리적 조작에 따라 낙하작동 요청신호를 낙하장치로 송출하는 낙하 작동장치를 포함하며, 폐루프 레일은 하강구간에 속도제어 부재가 형성되어 있으며, 복수의 낙하장치들은 속도제어 부재와 결합하여 전진이동하는 이동부재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실시예로서, 속도제어 부재 및 이동부재는 톱니형상을 이루며, 이동부재의 톱니가 속도제어 부재의 톱니에 맞물려 결합되고, 이동부재가 회전하면서 속도제어 부재를 따라 전진이동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실시예로서, 복수의 낙하장치들은 레일을 따라 낙하하는 중에 발생하는 낙하 데이터를 송출하고, 낙하 데이터 분석결과 이상이 발생하면 알람신호를 송출하며, 낙하장치에서 송출되는 낙하데이터, 알람 신호를 수신받아 출력하는 관리자 단말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실시예로서, 복수의 낙하장치들로부터 송출되는 낙하데이터 및 알람 신호들을 수집하여 분석한 후 낙하장치 모니터링 정보를 생성시켜 제공하는 낙하훈련 지원서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실시예로서, 낙하장치는, 훈련자의 신체와 연결된 연결부재가 체결될 수 있는 체결부재를 가지며,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낙하부와, 낙하부에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낙하부의 무게를 측정하여 출력하는 무게감지부와, 레일의 출발지점에 구비되며, 낙하부가 출발지점에 도착하였는지의 여부를 감지하여 출력하는 출발위치 감지부와, 레일의 도착지점에 구비되며, 낙하부가 도착지점에 도착하였는지의 여부를 감지하여 출력하는 도착지점 감지부와, 무게감지부를 통해 낙하부의 무게를 입력받아 미리 저장된 제 1 기준 낙하부의 무게와 비교하고, 비교 결과 이상이 발생한 경우 알람신호를 출력하고, 이상이 발생하지 않은 경우 낙하부가 작동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와, 제어부의 제어에 응하여 낙하부를 낙하시키는 낙하작동부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실시예로서, 제어부는, 도착위치 감지부를 통해 도착위치 감지신호가 입력되면 무게감지부를 통해 낙하부의 무게를 입력받아 미리 저장된 제 1 기준 낙하부의 무게와 비교하여 제 1 비교값을 생성하고, 제 1 비교값이 오차범위 내에 있는 경우 낙하부를 출력위치로 이동시키고, 출발위치 감지신호가 입력되면 무게감지부로부터 낙하부의 무게를 입력받아 제 2 기준 낙하부의 무게와 비교하여 제 2 비교값을 생성하고, 제 2 비교값을 이용하여 낙하속도를 도출한 후 낙하속도 제어신호를 출력하며, 제어부의 낙하속도 제어신호에 응하여 낙하속도를 결정하여 출력하는 낙하속도 제어부를 더 포함하며, 낙하작동부는 낙하속도 제어부에 의해 결정된 낙하속도로 상기 낙하부를 낙하시킬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실시예로서, 제어부가 출발위치 감지부로부터 출발위치 감지신호가 입력되면 미리 설정된 시간을 카운팅한 후 무게감지부로부터 낙하부의 무게를 입력받을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실시예로서, 제어부가 제 1 비교값이 미리 설정된 오차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관리자 단말기로 알람신호를 송출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실시예로서, 제 2 비교값은 낙하부의 무게에서 제 2 기준 낙하부의 무게를 감산한 결과이며, 제어부가 제 2 비교값이 클수록 낙하부의 낙하속도가 감속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실시예로서 일정 범위 내에 존재하는 복수의 제 2 비교값들에 대해서 동일한 낙하속도를 가지도록 룩업테이블 형태로 저장하고 있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고 있으며, 제어부가 저장부의 룩업테이블을 통해 낙하속도를 확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낙하훈련 지원방법은 제어부가, 도착지점 감지부로부터 도착지점 감지신호가 입력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제어부가, 도착지점 감지신호가 입력되면 무게감지부를 통해 낙하부 무게를 입력받아 미리 저장된 제 1 기준 낙하부의 무게와 비교하여 제 1 비교값을 생성하는 단계; 제어부가, 제 1 비교값이 오차범위 내에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제어부가, 상기 제 1 비교값이 오차범위 내에 존재하는 경우 낙하부를 출발위치로 이동시키는 단계; 제어부가, 출발위치 감지부로부터 출발위치 감지신호가 입력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제어부가, 출발위치 감지신호가 입력되면, 무게감지부를 통해 낙하부의 무게를 입력받아 미리 설정된 제 2 기준 낙하부 무게와 비교하여 제 2 비교값을 산출하는 단계; 및 제어부가, 상기 제 2 비교값을 이용하여 낙하부의 낙하속도를 도출하여 낙하속도 제어신호를 낙하속도 제어부로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실시예로서, 제어부가, 출발위치 감지부로부터 출발위치 감지신호가 입력되면 미리 설정된 시간을 카운팅한 후 무게감지부로부터 낙하부의 무게를 입력받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실시예로서, 제어부가, 제 1 비교값이 미리 설정된 오차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관리자 단말기로 알람신호를 송출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실시예로서, 제 2 비교값은 낙하부의 무게에서 제 2 기준 낙하부의 무게를 감산한 결과이며, 제어부는 제 2 비교값이 클수록 낙하부의 낙하속도가 감속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실시예로서, 제어부가, 저장부의 룩업테이블을 통해 낙하속도를 확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룩업테이블은 일정 범위 내에 존재하는 복수의 제 2 비교값들에 대해서 동일한 낙하속도를 가지도록 매칭되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은 낙하훈련 시스템을 자동화할 수 있으므로, 안전을 확보할 수 있으며, 일정 경사각도를 가지는 하강구간에서는 미리 정해져 있는 낙하속도를 가지고 이동할 수 있도록 하여 속도이상으로 인한 사고가 발생되지 않도록 하고, 이로 인해 안전성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군대나 군대 체험 훈련 장소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고공 낙하훈련시 낙하장치의 무게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여, 낙하장치의 이상 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이상이 있는 낙하장치에 대해서 미리 점검을 하거나 수리, 교체 등을 하도록 하여 사고 원인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낙하장치에 낙하자가 연결되는 경우 낙하자의 몸무게에 따라 낙하속도를 결정하고, 결정된 낙하속도로 낙하장치가 낙하되도록 함으로써, 낙하자의 몸무게로 인해 급강하하는 현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낙하훈련 지원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낙하훈련 지원시스템의 낙하장치가 이동하는 레일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적용된 속도제어 부재와 이동부재의 결합상태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낙하훈련 지원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5의 낙하장치의 상세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낙하훈련 지원시스템의 운영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님을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본 발명에서 특별히 다른 의미로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포괄적인 의미로 해석되거나,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인 용어가 본 발명의 사상을 정확하게 표현하지 못하는 잘못된 기술적 용어일 때에는, 당업자가 올바르게 이해할 수 있는 기술적 용어로 대체되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바에 따라, 또는 전후 문맥상에 따라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발명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를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사상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의 사상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됨을 유의해야 한다.
(안전수단이 구비된 낙하훈련 지원시스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낙하훈련 지원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낙하훈련 지원시스템의 낙하장치가 이동하는 레일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적용된 속도제어 부재와 이동부재의 결합상태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낙하훈련 지원시스템은 일정 각도의 경사각을 가지는 하강구간, 상승구간 및 하강구간과 상승구간 상에 형성되는 평행구간으로 이루어진 폐루프 레일(600)과, 폐루프 레일(600)에 이동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있으며, 원격지에 있는 낙하 작동장치(200)로부터 입력되는 낙하작동 요청신호에 응하여 폐루프 레일(600)을 따라서 이동하는 복수의 낙하장치(100)들과, 물리적 조작에 따라 낙하작동 요청신호를 낙하장치로 송출하는 낙하 작동장치(200)로 이루어진다.
특히 폐루프 레일(600)은 하강구간에 속도제어 부재(700)가 형성되어 있으며, 복수의 낙하장치(100)들은 속도제어 부재(700)와 결합하여 전진이동하는 이동부재(160)가 형성되어 있다.
속도제어 부재(700) 및 이동부재(160)는 톱니형상을 이루며, 이동부재(160)의 톱니가 속도제어 부재(700)의 톱니에 맞물려 결합되고, 이동부재(160)가 회전하면서 속도제어 부재(700)를 따라 전진이동한다.
복수의 낙하장치(100)들은 레일(600)을 따라 낙하하는 중에 발생하는 낙하 데이터를 송출하고, 낙하 데이터 분석결과 이상이 발생하면 알람신호를 송출하며, 본 발명에 따른 낙하훈련 지원 시스템은 낙하장치(100)에서 송출되는 낙하데이터, 알람 신호를 수신받아 출력하는 관리자 단말기(300)를 더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낙하훈련 지원시스템의 작용에 대해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일(600)은 폐루프 형태이며, 2개의 낙하지점이 서로 마주하는 레일(600) 상에 위치한다.
또한 낙하지점을 중심으로 낙하장치(100)가 도착지점에 도착하면 도착위치 감지부(1100가 이를 감지하여 낙하 작동장치(200)로 도착감지신호를 송출하고, 낙하 작동장치(200)는 이를 수신하여 도착알림 정보를 출력한다.
이에, 훈련 담당자는 낙하 작동장치(200)의 작동버튼을 누르게 되고, 낙하 작동장치(200)는 낙하 구동 신호를 낙하장치(100)의 통신부(150)를 통해 제어부(140)로 전달된다.
제어부(140)는 낙하 작동부(125)로 낙하 작동 제어 신호를 출력하고, 낙하 작동부(125)는 낙하부(135)가 레일을 따라 움직이도록 한다.
이때 출발위치 감지부(105)는 이를 감지하여 낙하 작동장치(20))로 송출한다.
한편, 레일(600)을 따라 움직이던 낙하장치가 일정 경사각을 가지는 하강라인에 도착하면 하강라인에 설치된 톱니형상을 이루는 속도제어 부재(700)와 낙하장치(100)의 상부면에 설치된 이동부재(160)가 상호 결합되고, 이로 인해 낙하장치(100)는 미리 설정된 일정 속도로 레일(600)을 따라 하강하기 시작한다.
그리고 착지 지점에서 낙하자가 낙하장치(100)로부터 분리되면 훈련 담당자는 낙하 작동장치(20))를 이용하여 낙하장치(100)가 또다른 낙하지점으로 이동되도록 한다.
여기서, 속도제어 부재(700)와 이동부재(16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속도제어 부재(700)는 레일(600) 상부에 마련되며, 노출되는 상부면에 톱니형상이 마련되어 있으며, 이동부재(160)는 속도제어 부재(700)의 톱니와 맞물리도록 형성된 톱니가 외주연을 따라서 형성되어 있으며, 이동부재(160)가 속도제어 부재(700)와 맞물린 상태에서 회전하게 되고, 이동부재(160)가 속도제어 부재(700)를 따라 움직이고, 이에 따라 낙하장치(100)가 레일(600)을 따라 움직이게 된다.
낙하장치(100)가 하강 구간을 벗어나면, 이동부재(160)는 속도제어 부재(700)와의 결합상태가 제거되며, 레일(600)으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 놓이게 되고, 낙하장치(100)는 레일(600)을 따라서 내려오는 속도로 전진 이동하게 된다.
(무게기반의 낙하속도 제어모드를 포함하는 낙하훈련지원시스템)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낙하훈련 지원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4의 낙하장치의 상세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낙하훈련 지원시스템은 복수의 낙하장치(100)들, 낙하작동장치(200), 관리자 단말기(300), 낙하훈련 지원서버(400), 통신망(500)으로 이루어진다.
낙하장치(100)는 낙하작동장치(200)로부터 입력되는 낙하작동 요청신호에 응하여 폐루프 레일을 따라서 이동하며, 레일을 따라 낙하하는 중에 발생하는 낙하 데이터를 송출하고, 낙하 데이터 분석결과 이상이 발생하면 알람신호를 송출한다.
낙하 작동장치(200)는 낙하 조력자(관리자)의 물리적 조작에 따라 낙하작동 요청신호를 낙하장치(100)로 송출한다.
관리자 단말기(300)는 낙하장치(100)에서 송출되는 낙하데이터, 알람 신호를 수신받아 출력한다.
낙하훈련 지원서버(400)는 복수의 낙하장치(100)들로부터 송출되는 낙하데이터 및 알람 신호들을 수집하여 분석한 후 낙하장치 모니터링 정보를 생성시켜 제공한다.
낙하장치(10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훈련자의 신체와 연결된 연결부재가 체결될 수 있는 체결부재를 가지며,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낙하부(135)와, 낙하부(135)에 구비되어 있으며, 낙하부(135)의 무게를 측정하여 출력하는 무게감지부(115)와, 낙하부(135)에 구비되어 있으며, 낙하부(135)의 낙하속도를 측정하여 출력하는 속도감지부(120)와, 레일의 출발지점에 구비되며, 낙하부(135)가 출발지점에 도착하였는지의 여부를 감지하여 출력하는 출발위치 감지부(105)와, 레일의 도착지점에 구비되며, 낙하부(135)가 도착지점에 도착하였는지의 여부를 감지하여 출력하는 도착지점 감지부(110)와, 도착위치 감지신호가 입력되면 무게감지부(115)를 통해 낙하부(135)의 무게를 입력받아 미리 저장된 제 1 기준 낙하부의 무게와 비교하여 제 1 비교값을 생성하고, 제 1 비교값이 오차범위 내에 있는 경우 낙하부(135)를 출력위치로 이동시키고, 출발위치 감지신호가 입력되면 무게감지부(115)로부터 낙하부(135)의 무게를 입력받아 제 2 기준 낙하부의 무게와 비교하여 제 2 비교값을 생성하고, 제 2 비교값을 이용하여 낙하속도를 도출한 후 낙하속도 제어신호룰 출력하는 제어부(140)와, 제어부(140)의 낙하속도 제어신호에 응하여 낙하속도를 결정하여 출력하는 낙하속도 제어부(130)와, 낙하속도 제어부(130)에 의해 결정된 낙하속도로 낙하부(135)를 낙하시키는 낙하작동부(125)와, 일정 범위 내에 존재하는 복수의 제 2 비교값들에 대해서 동일한 낙하속도를 가지도록 룩업테이블 형태로 저장하고 있는 저장부(145)로 이루어진다.
제어부(140)가 출발위치 감지부(105)로부터 출발위치 감지신호가 입력되면 미리 설정된 시간을 카운팅한 후 무게감지부(115)로부터 낙하부의 무게를 입력받는다.
제어부(140)가 제 1 비교값이 미리 설정된 오차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관리자 단말기(300)로 알람신호를 송출한다.
제 2 비교값은 낙하부의 무게에서 제 2 기준 낙하부의 무게를 감산한 결과이며, 제어부가 제 2 비교값이 클수록 낙하부의 낙하속도가 감속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40)가 저장부(145)의 룩업테이블을 통해 낙하속도를 확보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낙하훈련 지원시스템의 운영방법에 대해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낙하훈련 지원시스템의 운영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낙하훈련 지원방법은 제어부(140)가 도착지점 감지부로부터 도착지점 감지신호가 입력되는지의 여부를 판단(S110)한다. 판단 결과 도착지점 감지신호가 입력되면 제어부(140)가 무게감지부(115)를 통해 낙하부 무게를 입력받아 미리 저장된 제 1 기준 낙하부의 무게와 비교하여 제 1 비교값을 생성(S120)한다.
제어부(140)가 제 1 비교값이 오차범위 내에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판단(S130)하고, 판단 결과 제 1 비교값이 오차범위 내에 존재하는 경우 제어부(140)가 낙하부(135)를 출발위치로 이동시킨다(S140).
그리고 제어부(140)가 출발위치 감지부(105)로부터 출발위치 감지신호가 입력되는지의 여부를 판단(S150)하고, 판단 결과 출발위치 감지신호가 입력되면 제어부(140)가 무게감지부(115)를 통해 낙하부(135)의 무게를 입력받아 미리 설정된 제 2 기준 낙하부 무게와 비교하여 제 2 비교값을 산출(S160)한다. 이때 제어부(140)가 출발위치 감지부(105)로부터 출발위치 감지신호가 입력되면 미리 설정된 시간을 카운팅한 후 무게감지부(115)로부터 낙하부(135)의 무게를 입력받는다. 그 이유는 낙하자가 낙하부(135)에 자신의 안전장치에 구비된 연결부재를 체결하는데 다소 시간이 걸리기 때문이다.
그리고 제어부(140)가 제 2 비교값을 이용하여 낙하부(135)의 낙하속도를 도출하여 낙하속도 제어신호를 낙하속도 제어부(130)로 출력(S170)한다. 여기서 제 2 비교값은 낙하부의 무게에서 제 2 기준 낙하부의 무게를 감산한 결과이며, 제어부(140)가 제 2 비교값이 클수록 낙하부의 낙하속도가 감속되도록 제어한다.
한편, 상기 S130 단계의 판단결과, 제 1 비교값이 미리 설정된 오차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제어부(140)가 관리자 단말기(300)로 알람신호를 송출하고, 관리자는 관리자 단말기(300)로 수신된 알람신호를 통해 문제가 있는 낙하장치를 확인할 수 있으며, 그에 따른 후속조치가 이루어지도록 하여, 사고로 이어질 수 있는 상황들을 미연에 제거할 수 있게 된다.
전술한 내용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낙하장치 105 : 출발위치 감지부
110 : 도착위치 감지부 115 : 무게감지부
120 : 속도감지부 125 : 낙하작동부
130 : 낙하속도 제어부 140 : 제어부
150 : 통신부 160 : 이동 부재
200 : 낙하 작동 장치 300 : 관리자 단말기
400 : 낙하훈련 지원서버 500 : 통신망
600 : 레일 700 : 속도제어 부재

Claims (15)

  1. 일정 각도의 경사각을 가지는 하강구간, 상승구간 및 하강구간과 상승구간 상에 형성되는 평행구간으로 이루어진 폐루프 레일; 상기 폐루프 레일에 이동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있으며,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낙하작동 요청신호에 응하여 폐루프 레일을 따라서 이동하는 복수의 낙하장치들; 물리적 조작에 따라 낙하작동 요청신호를 상기 낙하장치로 송출하는 낙하 작동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폐루프 레일은 하강구간에 속도제어 부재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복수의 낙하장치들은 상기 속도제어 부재와 결합하여 전진이동하는 이동부재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낙하훈련 지원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속도제어 부재 및 상기 이동부재는 톱니형상을 이루며, 상기 이동부재의 톱니가 상기 속도제어 부재의 톱니에 맞물려 결합되고, 상기 이동부재가 회전하면서 상기 속도제어 부재를 따라 전진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낙하훈련 지원시스템.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낙하장치들은 상기 레일을 따라 낙하하는 중에 발생하는 낙하 데이터를 송출하고, 상기 낙하 데이터 분석결과 이상이 발생하면 알람신호를 송출하며,
    상기 낙하장치에서 송출되는 낙하데이터, 알람 신호를 수신받아 출력하는 관리자 단말기를 더 포함하는 낙하훈련 지원시스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낙하장치들로부터 송출되는 낙하데이터 및 알람 신호들을 수집하여 분석한 후 낙하장치 모니터링 정보를 생성시켜 제공하는 낙하훈련 지원서버를 더 포함하는 낙하훈련 지원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낙하장치는, 훈련자의 신체와 연결된 연결부재가 체결될 수 있는 체결부재를 가지며, 상기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낙하부와,
    상기 낙하부에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낙하부의 무게를 측정하여 출력하는 무게감지부와,
    상기 레일의 출발지점에 구비되며, 상기 낙하부가 출발지점에 도착하였는지의 여부를 감지하여 출력하는 출발위치 감지부와,
    상기 레일의 도착지점에 구비되며, 상기 낙하부가 도착지점에 도착하였는지의 여부를 감지하여 출력하는 도착지점 감지부와,
    상기 무게감지부를 통해 상기 낙하부의 무게를 입력받아 미리 저장된 제 1 기준 낙하부의 무게와 비교하고, 비교 결과 이상이 발생한 경우 알람신호를 출력하고, 이상이 발생하지 않은 경우 상기 낙하부가 작동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응하여 상기 낙하부를 낙하시키는 낙하작동부
    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낙하훈련 지원시스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도착지점 감지부를 통해 도착위치 감지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무게감지부를 통해 상기 낙하부의 무게를 입력받아 미리 저장된 제 1 기준 낙하부의 무게와 비교하여 제 1 비교값을 생성하고, 상기 제 1 비교값이 오차범위 내에 있는 경우 상기 낙하부를 출력위치로 이동시키고, 출발위치 감지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무게감지부로부터 낙하부의 무게를 입력받아 제 2 기준 낙하부의 무게와 비교하여 제 2 비교값을 생성하고, 상기 제 2 비교값을 이용하여 낙하속도를 도출한 후 낙하속도 제어신호를 출력하며,
    상기 제어부의 낙하속도 제어신호에 응하여 낙하속도를 결정하여 출력하는 낙하속도 제어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낙하작동부는 상기 낙하속도 제어부에 의해 결정된 낙하속도로 상기 낙하부를 낙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낙하훈련 지원시스템.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가 상기 출발위치 감지부로부터 출발위치 감지신호가 입력되면 미리 설정된 시간을 카운팅한 후 상기 무게감지부로부터 낙하부의 무게를 입력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낙하훈련 지원시스템.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가 상기 제 1 비교값이 미리 설정된 오차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관리자 단말기로 알람신호를 송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낙하훈련 지원시스템.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비교값은 상기 낙하부의 무게에서 제 2 기준 낙하부의 무게를 감산한 결과이며,
    상기 제어부가 상기 제 2 비교값이 클수록 상기 낙하부의 낙하속도가 감속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낙하훈련 지원시스템.
  10.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일정 범위 내에 존재하는 복수의 제 2 비교값들에 대해서 동일한 낙하속도를 가지도록 룩업테이블 형태로 저장하고 있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제어부가 상기 저장부의 룩업테이블을 통해 낙하속도를 확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낙하훈련 지원시스템.
  11. 제어부가, 도착지점 감지부로부터 도착지점 감지신호가 입력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가, 도착지점 감지신호가 입력되면 무게감지부를 통해 낙하부 무게를 입력받아 미리 저장된 제 1 기준 낙하부의 무게와 비교하여 제 1 비교값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가, 제 1 비교값이 오차범위 내에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가, 상기 제 1 비교값이 오차범위 내에 존재하는 경우 낙하부를 출발위치로 이동시키는 단계;
    상기 제어부가, 출발위치 감지부로부터 출발위치 감지신호가 입력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가, 출발위치 감지신호가 입력되면, 무게감지부를 통해 낙하부의 무게를 입력받아 미리 설정된 제 2 기준 낙하부 무게와 비교하여 제 2 비교값을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부가, 상기 제 2 비교값을 이용하여 낙하부의 낙하속도를 도출하여 낙하속도 제어신호를 낙하속도 제어부로 출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낙하훈련 지원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가, 상기 출발위치 감지부로부터 출발위치 감지신호가 입력되면 미리 설정된 시간을 카운팅한 후 상기 무게감지부로부터 낙하부의 무게를 입력받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낙하훈련 지원방법.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가, 상기 제 1 비교값이 미리 설정된 오차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관리자 단말기로 알람신호를 송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낙하훈련 지원방법.
  14.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비교값은 상기 낙하부의 무게에서 제 2 기준 낙하부의 무게를 감산한 결과이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2 비교값이 클수록 상기 낙하부의 낙하속도가 감속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낙하훈련 지원방법.
  15.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가, 저장부의 룩업테이블을 통해 낙하속도를 확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룩업테이블은 일정 범위 내에 존재하는 복수의 제 2 비교값들에 대해서 동일한 낙하속도를 가지도록 매칭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낙하훈련 지원방법.
KR1020140160103A 2014-11-17 2014-11-17 낙하훈련 지원시스템 및 방법 KR1015120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0103A KR101512036B1 (ko) 2014-11-17 2014-11-17 낙하훈련 지원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0103A KR101512036B1 (ko) 2014-11-17 2014-11-17 낙하훈련 지원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12036B1 true KR101512036B1 (ko) 2015-04-16

Family

ID=530532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60103A KR101512036B1 (ko) 2014-11-17 2014-11-17 낙하훈련 지원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1203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47701B1 (ko) * 2017-08-28 2019-02-13 (주)이노시뮬레이션 모션플랫폼의 부하 무게 추정을 통한 입력제어방법
KR20220051948A (ko) * 2020-10-20 2022-04-27 주식회사 제이피 키오스크 안전체험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05184B1 (ko) * 2003-06-30 2005-07-29 이강동 활강겸용 번지점프장치
KR20110046414A (ko) * 2011-03-23 2011-05-04 윤종식 낙하산 강하 훈련 시뮬레이션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346433B1 (ko) * 2013-06-03 2014-01-02 이영조경(주) 좌우회전각과 상하경사각을 가변할 수 있는 주행기를 장착한 롤러코스터형 짚라인 공중놀이기구 운동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05184B1 (ko) * 2003-06-30 2005-07-29 이강동 활강겸용 번지점프장치
KR20110046414A (ko) * 2011-03-23 2011-05-04 윤종식 낙하산 강하 훈련 시뮬레이션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346433B1 (ko) * 2013-06-03 2014-01-02 이영조경(주) 좌우회전각과 상하경사각을 가변할 수 있는 주행기를 장착한 롤러코스터형 짚라인 공중놀이기구 운동시스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47701B1 (ko) * 2017-08-28 2019-02-13 (주)이노시뮬레이션 모션플랫폼의 부하 무게 추정을 통한 입력제어방법
KR20220051948A (ko) * 2020-10-20 2022-04-27 주식회사 제이피 키오스크 안전체험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KR102457790B1 (ko) * 2020-10-20 2022-10-31 주식회사 제이에스에이치 키오스크 안전체험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827892B2 (ja) 構造物の防犯システムおよびそれを備えたエレベータ
JP7249879B2 (ja) 情報処理方法、及び、情報処理システム
WO2021177183A1 (ja) 監視装置、監視システム、監視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記録媒体
EP3872018B1 (en) An elevator monitoring system
KR101512036B1 (ko) 낙하훈련 지원시스템 및 방법
US20170148298A1 (en) Method for detecting drowning and device for detecting drowning
JP2020061121A (ja) 情報処理方法、及び、情報処理システム
KR100916960B1 (ko) 승강장 모니터링 시스템
KR20190116781A (ko) 웨어러블 기기를 이용한 작업자의 추락 사고 방지 장치 및 방법
KR20160002767U (ko) 고소 작업 안전장비 및 이를 이용한 안전관리 시스템
JP2009202635A (ja) 列車自動通報システム
JP2019189445A (ja) エレベーターの運行監視システム
US20240087371A1 (en)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CA2897242A1 (en)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and alerting the user of an aircraft of an impendent adverse condition
KR101185079B1 (ko) 철도 차량과 선로에 관한 모니터링 방법 및 장치
EP3178528A1 (en) Fall protection harness with damage indicator
KR101266015B1 (ko) 승강장 안전선 및 선로 감시 시스템
CN105835818A (zh) 一种行车安全控制方法、车辆处理器及汽车
KR20140057443A (ko) 선박의 화재 경보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화재 경보 감시 방법
JP6591591B2 (ja) エレベータの診断運転方法、エレベータ制御装置及びエレベータの診断運転プログラム
CN115944134A (zh) 安全帽、异物检测方法、电子产品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US20080111029A1 (en) Automatic activation device for a parachute and a method for activating an opening of a parachute
CN109896405A (zh) 用于电动扶梯的安全检测方法及其装置
CN206856736U (zh) 火车站台末端通道安全监测系统
KR102525672B1 (ko) 기관사용 열차운행정보 표시 및 제어 시스템, 및 그 기관사용 열차운행정보 표시 및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