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02767U - 고소 작업 안전장비 및 이를 이용한 안전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고소 작업 안전장비 및 이를 이용한 안전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02767U
KR20160002767U KR2020150000724U KR20150000724U KR20160002767U KR 20160002767 U KR20160002767 U KR 20160002767U KR 2020150000724 U KR2020150000724 U KR 2020150000724U KR 20150000724 U KR20150000724 U KR 20150000724U KR 20160002767 U KR20160002767 U KR 20160002767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fety
module
operator
contact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5000072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82611Y1 (ko
Inventor
이상수
조용호
Original Assignee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5000072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2611Y1/ko
Publication of KR2016000276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276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261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261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B63B9/00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Abstract

고소 작업 안전장비 및 이를 이용한 안전관리 시스템이 개시된다.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고소 작업 안전관리 시스템은, 고소 작업을 수행하는 작업자의 추락을 방지할 수 있는 안전 라인을 안전 로프 또는 작업자가 작업할 수 있는 받침대의 안전 지점에 연결할 수 있는 안전 고리; 안전 고리가 안전 로프 또는 안전 지점에 연결되었는지 감지할 수 있는 안전 감지 유닛; 및 안전 감지 유닛으로부터 안전 고리의 연결 여부에 대한 정보를 수집할 수 있는 연결정보 수집유닛을 포함한다.

Description

고소 작업 안전장비 및 이를 이용한 안전관리 시스템{SAFETY DEVICE FOR HIGH PLACE WORK AND SAFETY CONTROL SYSTEM}
본 고안은 고소 작업 안전장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높은 위치에서 작업을 수행하는 작업자들의 안전고리 체결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고소 작업 안전장비 및 이를 이용한 안전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조선 및 플랜트 산업은 해당 산업의 특성 상 높은 위치에서 작업을 수행하는 고소작업이 많이 발생한다. 이러한 고소 작업은 블록, 파이프 등의 용접 및 각종 설비 요소들의 조립 과정에 자연스럽게 발생한다.
고소작업 시에는 작업자들의 안전을 위해서 받침대를 작업 영역에 배치하며, 받침대 상에 안전 로프를 설치한다. 이때 작업자는 안전 로프에 걸고 이동하면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안전 고리를 착용하게 된다.
혹시 모를 작업자의 추락 시에 안전 로프에 체결되는 안전 고리는 작업자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는 추락 방지 구조를 제공한다.
이러한 안전 고리와 안전 로프의 체결 여부는 고소 작업 시에 치명적인 추락 사고로부터 작업자를 보호할 수 있는 필요한 조치로서, 작업 관리자 혹은 감독자는 작업자가 받침대 상으로 올라갔을 때, 안전 고리와 안전 로프의 체결 여부를 확인해야 한다.
그리고 작업자가 안전 고리를 안전 로프에 체결하지 않은 경우에는, 반드시 체결하도록 주의 조치를 행해야 하는 안전 수칙에 관한 의무가 있다.
그러나 작업자가 받침대 상에 올라간 후, 아래에 있는 관리자는 상부에 대한 시야가 확보되지 않으므로 안전 고리가 안전 로프에 체결되었는지 확인하기 어려운 측면이 있었으며, 고소 작업을 수행하는 많은 작업자들의 안전 고리 체결여부를 모두 확인하기는 어려운 측면이 있었다.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2009-18853 호(2009.03.05)
본 고안의 일 실시 예는, 고소 작업 시에 작업자의 안전 고리와 안전 로프의 체결 여부를 확인하여 작업자의 안전관리를 자동으로 수행할 수 있는 고소 작업 안전장비 및 이를 이용한 안전관리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고안의 일 측면에 따르면, 고소 작업을 수행하는 작업자의 추락을 방지할 수 있는 안전 라인을 안전 로프 또는 작업자가 작업할 수 있는 받침대의 안전 지점에 연결할 수 있는 안전 고리; 상기 안전 고리가 상기 안전 로프 또는 상기 안전 지점에 연결되었는지 감지할 수 있는 안전 감지 유닛; 및 상기 안전 감지 유닛으로부터 상기 안전 고리의 연결 여부에 대한 정보를 수집할 수 있는 연결정보 수집유닛을 포함하는 고소 작업 안전관리 시스템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안전 감지 유닛은, 상기 작업자의 위치를 측정할 수 있는 제1 위치 측정 모듈; 및 상기 안전 고리의 위치를 측정할 수 있는 제2 위치 측정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2 위치 측정 모듈은 고도를 측정할 수 있는 고도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정보 수집유닛은, 제1, 2 위치 측정 모듈로부터 위치정보를 수집하여 발신하는 위치 발신 모듈; 및 상기 위치 발신 모듈로부터 상기 제1, 2 위치 측정 모듈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위치 수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2 위치 측정 모듈의 위치 정보의 거리 차이가 미리 설정된 값보다 작은 경우에는 상기 작업자에게 경보 또는 알람을 제공하는 알람 발생 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위치 수신 모듈로부터 상기 제1, 2 위치 측정 모듈의 위치 정보를 전달받아 표시하는 모니터링 디스플레이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안전 감지 유닛은, 상기 작업자가 상기 고소 작업 위치에 있는지 확인할 수 있는 작업위치 확인모듈; 및 상기 안전 고리와 상기 안전 로프 또는 상기 안전 지점의 접촉 여부를 감지할 수 있는 접촉 감지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정보 수집유닛은, 상기 접촉 감지 모듈에 의한 상기 안전 고리와 상기 안전 로프 또는 상기 안전 지점의 접촉 정보를 발신하는 접촉 발신 모듈; 및 상기 접촉 발신 모듈로부터 상기 접촉 정보를 수신하는 접촉 수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고소 작업을 수행하는 작업자의 추락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작업자에 연결되는 안전 라인; 상기 안전 라인을 상기 작업자와 연결할 수 있도록 상기 작업자가 착용하는 안전 벨트; 상기 안전 라인을 안전 로프 또는 작업자가 작업할 수 있는 받침대의 안전 지점에 연결할 수 있는 안전 고리; 상기 안전 고리가 상기 안전 로프 또는 작업자가 작업할 수 있는 받침대의 안전 지점에 연결되었는지 감지할 수 있는 안전 감지 유닛; 및 상기 안전 고리의 연결 여부에 대한 정보를 안전 관리자에게 발신할 수 있는 안전정보 발신유닛을 포함하는 고소 작업 안전장비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안전 감지 유닛은, 상기 작업자의 위치를 측정할 수 있는 제1 위치 측정 모듈; 및 상기 안전 고리의 위치를 측정할 수 있는 제2 위치 측정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안전 감지 유닛은, 상기 작업자가 상기 고소 작업 위치에 있는지 확인할 수 있는 작업위치 확인모듈; 및 상기 안전 고리와 상기 안전 로프 또는 상기 안전 지점의 접촉 여부를 감지할 수 있는 접촉 감지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고소 작업 시에 작업자의 안전 고리와 안전 로프의 체결 여부를 확인하여 작업자의 안전관리를 자동으로 수행할 수 있는 고소 작업 안전장비 및 이를 이용한 안전관리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안전관리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고소 작업 안전장비가 적용된 안전관리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고소 작업 안전장비가 적용된 안전관리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특정 실시 예들에 의해 본 고안의 다양한 실시 예들을 설명한다. 후술되는 본 고안의 실시 예들에 차이는 상호 배타적이지 않은 사항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즉 본 고안의 기술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 예에 관련하여 다른 실시 예로 구현될 수 있으며, 각각의 개시된 실시 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하며,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하며, 길이 및 면적, 두께 등과 그 형태는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도 있다.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고소 작업 안전관리 시스템은, 고소 작업을 수행하는 작업자(100)의 추락을 방지할 수 있는 안전 라인(111)을 안전 로프(117) 또는 작업자(100)가 작업할 수 있는 받침대(120)의 안전 지점(122)에 연결할 수 있는 안전 고리(115)와, 안전 고리(115)가 안전 로프(117) 또는 안전 지점(122)에 연결되었는지 감지할 수 있는 안전 감지 유닛(130)과, 안전 감지 유닛(130)으로부터 안전 고리(115)의 연결 여부에 대한 정보를 수집할 수 있는 연결정보 수집유닛(140)을 포함한다.
안전 고리(115)는 안전 라인(111)을 안전 로프(117)에 연결할 수 있다. 이때 안전 라인(111)은 작업자(100)에 연결되어 있으므로, 작업자(100)는 안전 로프(117)에 의해 받침대(120)로부터 추락이 방지될 수 있다. 안전 로프(117)는 받침대(120) 상에서 작업 라인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안전 관리자(110)는 작업자(100)가 안전 고리(115)를 안전 로프(117)에 체결하였는지 받침대(120) 아래에서 확인할 수 있다. 즉 안전 관리자(110)는 안전 고리(115)와 안전 로프(117)의 체결 여부를 눈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지만, 작업자(100)가 받침대(120) 위에 있어 시야가 확보되지 않는 경우에는 안전 감지 유닛(130)과 연결정보 수집유닛(140)에 의해 안전 고리(115)와 안전 로프(117)의 연결을 확인할 수 있다.
안전 감지 유닛(130)은 작업자(100)와 안전 고리(115)의 위치를 감지할 수 있는 위치 정보를 제공하며, 연결정보 수집유닛(140)에 작업자(100)와 안전 고리(115)의 위치 정보가 수집됨으로써 안전 고리(115)와 안전 로프(117)의 연결을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즉 안전 고리(115)가 작업자(100)와 거의 같은 위치에 있는 경우에는, 작업자(100)가 안전 고리(115)를 안전 로프(117)에 연결하지 않은 상태이며, 작업자(100)보다 높은 위치로 안전 고리(115)가 배치된 경우에는 안전 고리(115)가 안전 로프(117)에 연결된 상태이다.
안전 관리자(11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작업자(100)와 안전 고리(115)의 위치에 의해 안전 고리(115)와 안전 로프(117)의 연결을 수동으로 혹은 자동으로 확인할 수 있다.
즉 안전 관리자(110)는 작업자(100)와 안전 고리(115)의 위치가 거의 동일한 위치로 모니터에 의해 확인되는 경우, 작업자(100)에게 안전 고리(115)를 안전 로프(117)에 채우도록 지시할 수 있다.
또는 작업자(100)와 안전 고리(115)의 고도 또는 거리를 계산하여 작업자(100)에게 안전 고리(115)를 안전 로프(117)에 채우도록 하는 알람 또는 방송을 자동으로 보낼 수 있다.
이처럼 본 실시 예에 따르면, 작업자(100)와 안전 고리(115)의 위치를 감지하여 안전 고리(115)와 안전 로프(117)의 연결 여부를 확인함으로써 작업자(100)가 안전 고리(115)를 안전 로프(117)에 채우도록 지시 또는 알람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작업자(100)가 안전 고리(115)를 잊어버리지 않고 안전 로프(117)에 연결하게 되므로, 고소 작업 시에 작업자(100)의 안전 라인(111)이 안전 로프(117)에 연결되어 추락을 방지할 수 있는 안전이 보장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고소 작업 안전관리 시스템의 구성요소들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안전 감지 유닛(130)은 작업자(100)의 위치를 측정할 수 있는 제1 위치 측정 모듈(131)과, 안전 고리(115)의 위치를 측정할 수 있는 제2 위치 측정 모듈(132)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제1, 2 위치 측정 모듈(131, 132)은 고도를 측정할 수 있는 고도계(135)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제1 위치 측정 모듈(131)은 작업자(100)의 위치를 측정하며, 제2 위치 측정 모듈(132)은 안전 고리(115)의 위치를 측정하게 된다. 이때 제1 위치 측정 모듈(131)과 제2 위치 측정 모듈(132)은 고도계(135)를 사용하여 각각의 위치를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제1 위치 측정 모듈(131)과 제2 위치 측정 모듈(132)에는 GPS 수신기가 구비되어 각각의 위치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연결정보 수집유닛(140)은 제1, 2 위치 측정 모듈(131, 132)로부터 위치정보를 수집하여 발신하는 위치 발신 모듈(141)과, 위치 발신 모듈(141)로부터 제1, 2 위치 측정 모듈(131, 132)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위치 수신 모듈(142)을 포함할 수 있다.
위치 발신 모듈(141)은 제1, 2 위치 측정 모듈(131, 132)의 위치정보를 위치 수신 모듈(142)로 송신할 수 있으며, 위치 수신 모듈(142)은 위치정보를 수신하여 안전 관리자(110)에게 제공할 수 있다.
안전 관리자(110)는 위치 수신 모듈(142)에 표시되는 작업자(100)와 안전 고리(115)의 위치 정보 차이를 확인할 수 있으며, 안전 고리(115)가 안전 로프(117)에 연결되어 있지 않은 상태로 확인된 경우에는 고소 작업 상태의 작업자(100)에게 안전 고리(115)를 안전 로프(117)에 연결하도록 지시할 수 있다.
한편 위치 수신 모듈(142)에는 제1, 2 위치 측정 모듈(131, 132)의 위치정보에 의한 각각의 위치정보 데이터를 제공받아 자동으로 작업자(100)와 안전 고리(115)의 거리를 계산한 후, 작업자(100)에게 알람 혹은 경고를 제공할 수 있는 위치계산 및 자동 알람 기능이 내장될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고소 작업 안전관리 시스템은, 제1, 2 위치 측정 모듈(131, 132)의 위치 정보의 거리 차이가 미리 설정된 값보다 작은 경우에는 작업자(100)에게 경보 또는 알람을 제공하는 알람 발생 유닛(1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알람 발생 유닛(150)은 전술한 바와 같이 위치 수신 모듈(142)에 마련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작업 상태인 작업자(100)들의 상태와 위치를 수신하여 관리할 수 있는 작업 관제 센터(160)에도 배치될 수 있다.
즉 안전 관리자(110)는 작업 관제 센터(160)에서 고소작업 상태인 작업자(100)에게 알람 및 경고를 전달할 수 있다. 또는 알람 발생 유닛(150)의 알람 또는 경고는 자동으로 작업자(100)에게 전달될 수 있다.
이러한 알람 또는 경고는 작업장의 스피커 혹은 작업자(100)의 위치 발신 모듈(141)을 통해 전달될 수 있다. 즉 위치 발신 모듈(141)에는 알람 또는 경고를 제공할 수 있는 스피커(168) 또는 진동모듈이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고소 작업 안전관리 시스템은, 위치 수신 모듈(142)로부터 제1, 2 위치 측정 모듈의 위치 정보를 전달받아 표시하는 모니터링 디스플레이모듈(165)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모니터링 디스플레이모듈(165)은 안전 관리자(110)가 갖고 있는 위치 수신 모듈(142)에 평면패널로 부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작업 관제 센터(160)의 내부 모니터(167)로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 설명되진 않았지만 안전 고리(115)가 받침대(120)의 안전지점에 연결되는 실시 예는, 안전 고리(115)가 받침대(120)에 결합된 고정 고리에 연결되는 구조로 구현 가능하다.
이때 안전 고리(115)에 전술한 제1 위치 측정 모듈(131)이 배치되어 안전지점에 해당되는 고정 고리에 제2 위치 측정 모듈(132)이 배치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안전 감지 유닛(130)은, 작업자(100)가 고소 작업 위치에 있는지 확인할 수 있는 작업위치 확인모듈(171)과, 안전 고리(115)와 안전 로프(117) 또는 안전 지점(122)의 접촉 여부를 감지할 수 있는 접촉 감지 모듈(172)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작업위치 확인모듈(171)은 작업자(100)의 위치를 지도 상에 표시할 수 있는 위치정보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는 지피에스 수신기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접촉 감지 모듈(172)은 안전 고리(115)가 안전 로프(117)에 연결되어 접촉되었는지를 감지할 수 있는 전자요소 또는 전기기계 요소로 마련될 수 있다.
일 예로 안전 고리(115)에는 안전 로프(117)에 접촉되었을 때 저항 변화 또는 전류 변화를 측정할 수 있는 센서가 배치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안전 로프(117)에 접촉되었을 때 스위칭되어 신호를 발생시키는 스위칭 소자가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접촉 감지 모듈(172)의 접촉 신호를 송신하고 수신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연결정보 수집유닛(140)은, 접촉 감지 모듈(172)에 의한 안전 고리(115)와 안전 로프(117) 또는 안전 지점(122)의 접촉 정보를 발신하는 접촉 발신 모듈(175)과, 접촉 발신 모듈(175)로부터 접촉 정보를 수신하는 접촉 수신 모듈(176)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접촉 발신 모듈(175)은 작업자(100)에게 배치되며, 접촉 수신 모듈(176)은 안전 관리자(110)에게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접촉 발신 모듈(175)과 접촉 수신 모듈(176)은 전술한 위치 발신 모듈(141)과 위치 수신 모듈(142)에 대응하는 요소이다.
즉 작업자(100)의 고소 작업 상태에서 접촉 발신 모듈(175)의 접촉 신호가 접촉 수신 모듈(176)에 수신되지 않는 경우, 안전 관리자(110)는 작업자(100)에게 안전 고리(115)를 안전 로프(117)에 연결하도록 지시할 수 있으며, 작업자(100)에게 자동으로 알람 또는 경고가 제공될 수 있다. 이때의 알람 또는 경고는 전술한 바와 같은 방식으로 작업자(100)에게 제공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고소 작업 안전장비는, 고소 작업을 수행하는 작업자(100)의 추락을 방지할 수 있도록 작업자(100)에 연결되는 안전 라인(111)과, 안전 라인(111)을 작업자(100)와 연결할 수 있도록 작업자(100)가 착용하는 안전 벨트(118)와, 안전 라인(111)을 안전 로프(117) 또는 작업자(100)가 작업할 수 있는 받침대(120)의 안전 지점(122)에 연결할 수 있는 안전 고리(115)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요소들은 작업자(100)를 기계적으로 안전 로프(117)에 연결할 수 있는 요소들이다.
이와 더불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고소 작업 안전장비는, 안전 고리(115)가 안전 로프(117) 또는 작업자(100)가 작업할 수 있는 받침대(120)의 안전 지점(122)에 연결되었는지 감지할 수 있는 안전 감지 유닛(130)과, 안전 고리(115)의 연결 여부에 대한 정보를 안전 관리자(110)에게 발신할 수 있는 안전정보 발신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고소 작업 안전장비는, 작업자(100)가 착용할 수 있는 세트로 마련될 수 있다. 즉 안전 벨트에 안전 감지 유닛(130)과 안전정보 발신유닛이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안전정보 발신유닛은 전술한 위치 발신 모듈(141) 또는 접촉 발신 모듈(175)로 마련될 수 있다.
이때의 안전 감지 유닛(130)은 전술한 일 실시 예의 안전 감지 유닛(130)과 동일한 요소로서, 작업자(100)의 위치를 측정할 수 있는 제1 위치 측정 모듈(131)과, 안전 고리(115)의 위치를 측정할 수 있는 제2 위치 측정 모듈(132)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일 실시 예에 따른 고소 작업 안전장비는 하나의 세트로 구성되어 작업자(100)가 고소 작업 시에 착용할 수 있는 세트 제품으로 제공될 수 있으며, 작업자(100)의 고소 작업 시에 안전 고리(115)가 안전 로프(117)에 연결되었는지를 외부에서 알 수 있는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안전 고리(115)가 안전 로프(117)에 연결되었는지를 안전 관리자(110)는 확인할 수 있으며, 수동으로 혹은 자동으로 작업자(100)에게 알람 또는 경고가 제공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안전 감지 유닛(130)은 전술한 다른 실시 예와 동일하게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안전 감지 유닛(130)은 작업자(100)가 고소 작업 위치에 있는지 확인할 수 있는 작업위치 확인모듈(171)과, 안전 고리(115)와 안전 로프(117) 또는 안전 지점(122)의 접촉 여부를 감지할 수 있는 접촉 감지 모듈(172)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작업자(100)의 작업 위치가 작업위치 확인모듈(171)에 의해 확인되며, 작업자(100)가 고소 작업 상태에 있는 경우 접촉 감지 모듈(172)에 의해 안전 고리(115)가 안전 로프(117)에 연결되었는지 감지되며, 안전 고리(115)와 안전 로프(117)의 연결에 관한 신호가 외부로 발신될 수 있다. 외부에서는 이를 신호를 송신하여 작업자(100)에게 알람 또는 경고를 제공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를 기초로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고안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고안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 할 것이다.
100: 작업자 110: 안전 관리자
111: 안전 라인 115: 안전 고리
117: 안전 로프 120: 받침대
122: 안전 지점 130: 안전 감지 유닛
131: 제1 위치 측정 모듈 132: 제2 위치 측정 모듈
135: 고도계 140: 연결정보 수집유닛
141: 위치 발신 모듈 142: 위치 수신 모듈
150: 알람 발생 유닛 160: 작업 관제 센터
165: 모니터링 디스플레이모듈
171: 작업위치 확인모듈 172: 접촉 감지 모듈
175: 접촉 발신 모듈 176: 접촉 수신 모듈

Claims (11)

  1. 고소 작업을 수행하는 작업자의 추락을 방지할 수 있는 안전 라인을 안전 로프 또는 작업자가 작업할 수 있는 받침대의 안전 지점에 연결할 수 있는 안전 고리;
    상기 안전 고리가 상기 안전 로프 또는 상기 안전 지점에 연결되었는지 감지할 수 있는 안전 감지 유닛; 및
    상기 안전 감지 유닛으로부터 상기 안전 고리의 연결 여부에 대한 정보를 수집할 수 있는 연결정보 수집유닛을 포함하는 고소 작업 안전관리 시스템.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 감지 유닛은,
    상기 작업자의 위치를 측정할 수 있는 제1 위치 측정 모듈; 및
    상기 안전 고리의 위치를 측정할 수 있는 제2 위치 측정 모듈을 포함하는 고소 작업 안전관리 시스템.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2 위치 측정 모듈은 고도를 측정할 수 있는 고도계를 포함하는 고소 작업 안전관리 시스템.
  4.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정보 수집유닛은,
    제1, 2 위치 측정 모듈로부터 위치정보를 수집하여 발신하는 위치 발신 모듈; 및
    상기 위치 발신 모듈로부터 상기 제1, 2 위치 측정 모듈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위치 수신 모듈을 포함하는 고소 작업 안전관리 시스템.
  5.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2 위치 측정 모듈의 위치 정보의 거리 차이가 미리 설정된 값보다 작은 경우에는 상기 작업자에게 경보 또는 알람을 제공하는 알람 발생 유닛을 더 포함하는 고소 작업 안전관리 시스템.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수신 모듈로부터 상기 제1, 2 위치 측정 모듈의 위치 정보를 전달받아 표시하는 모니터링 디스플레이모듈을 더 포함하는 고소 작업 안전관리 시스템.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 감지 유닛은,
    상기 작업자가 상기 고소 작업 위치에 있는지 확인할 수 있는 작업위치 확인모듈; 및
    상기 안전 고리와 상기 안전 로프 또는 상기 안전 지점의 접촉 여부를 감지할 수 있는 접촉 감지 모듈을 포함하는 고소 작업 안전관리 시스템.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정보 수집유닛은,
    상기 접촉 감지 모듈에 의한 상기 안전 고리와 상기 안전 로프 또는 상기 안전 지점의 접촉 정보를 발신하는 접촉 발신 모듈; 및
    상기 접촉 발신 모듈로부터 상기 접촉 정보를 수신하는 접촉 수신 모듈을 포함하는 고소 작업 안전관리 시스템.
  9. 고소 작업을 수행하는 작업자의 추락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작업자에 연결되는 안전 라인;
    상기 안전 라인을 상기 작업자와 연결할 수 있도록 상기 작업자가 착용하는 안전 벨트;
    상기 안전 라인을 안전 로프 또는 작업자가 작업할 수 있는 받침대의 안전 지점에 연결할 수 있는 안전 고리;
    상기 안전 고리가 상기 안전 로프 또는 작업자가 작업할 수 있는 받침대의 안전 지점에 연결되었는지 감지할 수 있는 안전 감지 유닛; 및
    상기 안전 고리의 연결 여부에 대한 정보를 안전 관리자에게 발신할 수 있는 안전정보 발신유닛을 포함하는 고소 작업 안전장비.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 감지 유닛은,
    상기 작업자의 위치를 측정할 수 있는 제1 위치 측정 모듈; 및
    상기 안전 고리의 위치를 측정할 수 있는 제2 위치 측정 모듈을 포함하는 고소 작업 안전관리 시스템.
  11.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 감지 유닛은,
    상기 작업자가 상기 고소 작업 위치에 있는지 확인할 수 있는 작업위치 확인모듈; 및
    상기 안전 고리와 상기 안전 로프 또는 상기 안전 지점의 접촉 여부를 감지할 수 있는 접촉 감지 모듈을 포함하는 고소 작업 안전관리 시스템.
KR2020150000724U 2015-01-30 2015-01-30 고소 작업 안전장비 및 이를 이용한 안전관리 시스템 KR20048261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0724U KR200482611Y1 (ko) 2015-01-30 2015-01-30 고소 작업 안전장비 및 이를 이용한 안전관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0724U KR200482611Y1 (ko) 2015-01-30 2015-01-30 고소 작업 안전장비 및 이를 이용한 안전관리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2767U true KR20160002767U (ko) 2016-08-09
KR200482611Y1 KR200482611Y1 (ko) 2017-02-13

Family

ID=567197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50000724U KR200482611Y1 (ko) 2015-01-30 2015-01-30 고소 작업 안전장비 및 이를 이용한 안전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2611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243225A (zh) * 2019-12-18 2020-06-05 福建工程学院 一种攀登设备的管理系统
KR20210000451A (ko) * 2019-06-25 2021-01-05 주식회사 한림기술 고소작업용 안전고리 체결 확인 센서를 구비한 안전관리 시스템
KR20210052030A (ko) * 2019-10-31 2021-05-10 주식회사 한화 유도탄 점검용 작업대
CN116229649A (zh) * 2023-05-09 2023-06-06 北京迈道科技有限公司 一种施工安全数据处理方法及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62770A (ko) 2017-11-29 2019-06-07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드릴쉽의 머드 탱크 구조
KR102205608B1 (ko) 2019-08-29 2021-01-21 주식회사 유시스 근로자 안전을 보호하기 위한 스마트 웨어러블 시스템
KR20230052669A (ko) 2021-10-13 2023-04-20 주식회사 큐비콘 안전고리 체결 감지장치
KR102644333B1 (ko) 2021-12-08 2024-03-08 주식회사 큐비콘 안전고리 체결 감지장치
KR20230093707A (ko) 2021-12-20 2023-06-27 주식회사 진흥공업 에어 포켓을 이용한 안전 장비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39021A (ja) * 2001-02-20 2002-08-27 Yayoi Kiko:Kk 高所作業用安全ベルト装置
KR20090018853A (ko) 2006-07-06 2009-02-23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오디오 디코딩을 위한 클록 드리프트 보상 기술
KR100966892B1 (ko) * 2009-03-27 2010-06-30 (주)영우산업 Rfid를 이용한 건설현장의 안전관리장치
KR20110043478A (ko) * 2009-10-20 2011-04-27 후지이 덴코 가부시키가이샤 안전대 및 그 사용상황 확인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39021A (ja) * 2001-02-20 2002-08-27 Yayoi Kiko:Kk 高所作業用安全ベルト装置
KR20090018853A (ko) 2006-07-06 2009-02-23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오디오 디코딩을 위한 클록 드리프트 보상 기술
KR100966892B1 (ko) * 2009-03-27 2010-06-30 (주)영우산업 Rfid를 이용한 건설현장의 안전관리장치
KR20110043478A (ko) * 2009-10-20 2011-04-27 후지이 덴코 가부시키가이샤 안전대 및 그 사용상황 확인 시스템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00451A (ko) * 2019-06-25 2021-01-05 주식회사 한림기술 고소작업용 안전고리 체결 확인 센서를 구비한 안전관리 시스템
WO2020262873A3 (ko) * 2019-06-25 2021-05-20 주식회사 한림기술 고소작업용 안전고리 체결 확인 센서를 구비한 안전관리 시스템
KR20210052030A (ko) * 2019-10-31 2021-05-10 주식회사 한화 유도탄 점검용 작업대
CN111243225A (zh) * 2019-12-18 2020-06-05 福建工程学院 一种攀登设备的管理系统
CN116229649A (zh) * 2023-05-09 2023-06-06 北京迈道科技有限公司 一种施工安全数据处理方法及装置
CN116229649B (zh) * 2023-05-09 2023-08-18 北京迈道科技有限公司 一种施工安全数据处理方法及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2611Y1 (ko) 2017-02-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82611Y1 (ko) 고소 작업 안전장비 및 이를 이용한 안전관리 시스템
KR101526938B1 (ko) 현장 안전관리용 실시간 경보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
KR101964727B1 (ko) 고소작업용 안전벨트 유니트를 이용한 작업 안전 관리시스템
KR101281555B1 (ko) Mems 센서를 활용한 건설 현장 작업자 위치 및 안전 정보 추적 시스템
KR101339928B1 (ko) 위치기반의 통합형 무선 선박 관리 시스템
US20220058939A1 (en) Smoke Detector Availability Test
KR20170101385A (ko) 웨어러블 기기와 스마트 폰 앱을 이용한 작업 모니터링 시스템
KR20200128217A (ko) Iot기반의 다중 안전 비계시스템
WO2012017409A1 (en) A monitoring apparatus, and a support means
KR20210072164A (ko) 안전고리 체결지역여부 및 체결여부 판단장치
EP3719454B1 (en) Gas meter system
KR101490373B1 (ko) 건설현장 및 산업현장의 작업인력 재해 인식 안전 단말기 및 안전 관리 시스템
JP2015005152A (ja) クレーンの吊り荷と作業員の接近警告システム
KR102205608B1 (ko) 근로자 안전을 보호하기 위한 스마트 웨어러블 시스템
KR20090089142A (ko) 건설현장 안전관리 시스템
KR101750747B1 (ko) 블루투스 아이비콘을 이용한 전자식 화재감지기 및 수신시스템
JP2017122988A (ja) 送電設備における作業者管理システム
KR101377706B1 (ko) 위치기반의 무선 선박 관리 시스템
JP2004157863A (ja) 作業者の動態検知方法及び装置
CN110085007A (zh) 安全绳、报警装置和基于安全绳的报警方法
KR20200084589A (ko) 안전보호 관리 시스템 및 방법
CN111163843B (zh) 用于远程监控灭火装置或系统的方法和装置
CN103388747A (zh) 气体输送管道监测系统
KR20230114959A (ko) 센서를 이용한 배전설비 현장의 안전 관리 방법 및 장치
KR20140057442A (ko) 선박의 가스 경보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가스 경보 감시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5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