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82244B1 - 갱폼 고정 장치 및 갱폼 고정 장치의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 - Google Patents

갱폼 고정 장치 및 갱폼 고정 장치의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82244B1
KR101982244B1 KR1020180161189A KR20180161189A KR101982244B1 KR 101982244 B1 KR101982244 B1 KR 101982244B1 KR 1020180161189 A KR1020180161189 A KR 1020180161189A KR 20180161189 A KR20180161189 A KR 20180161189A KR 101982244 B1 KR101982244 B1 KR 1019822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ing signal
signal
warning
fixing bolt
recei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611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홍필
박태광
박현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영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영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영테크
Priority to KR10201801611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8224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22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22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1/00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 E04G11/06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for walls, e.g. curved end panels for wall shutterings; filler elements for wall shutterings; shutterings for vertical ducts
    • E04G11/20Movable forms; Movable forms for moulding cylindrical, conical or hyperbolical structures; Templates serving as forms for positioning blocks or the like
    • E04G11/28Climbing forms, i.e. forms which are not in contact with the poured concrete during lifting from layer to layer and which are anchored in the hardened concret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32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for persons during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19/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apparatus for measuring steady or quasi-steady pressure of a fluent medium insofar as such details or accessories are not special to particular types of pressure gauges
    • G01L19/08Means for indicating or recording, e.g. for remote indication
    • G01L19/12Alarms or sign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8Construct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14Central alarm receiver or annunciator arrangement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7/00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 G08B7/06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using electric transmission, e.g. involving audible and visible signalling through the use of sound and light sour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easuring Fluid Press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갱폼 고정 장치 및 갱폼 고정 장치의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갱폼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재의 체결 부위 별로 보다 정확한 이상 유무를 감지하고, 그에 따른 이상 상황을 보다 신속하고 직관적으로 작업자에게 전달하는데 있다.
일례로, 콘크리트 구조물에 돌출되도록 타설되는 고정볼트부재; 일측에 고정볼트 및 타측에 상기 고정볼트부재가 체결되는 암나사가 일체로 형성된 갱폼 고정핀부재; 상기 암나사의 내측바닥부분에 설치되어 상기 고정볼트부재의 체결에 따른 압력을 감지하고, 감지된 압력에 따라 제1 감지신호를 송출하는 제1 압력센서; 및 상기 암나사의 외측에 설치되고, 상기 제1 감지신호를 수신하여 경고신호를 출력하는 제1 경고 지시기를 포함하는 갱폼 고정 장치를 개시한다.

Description

갱폼 고정 장치 및 갱폼 고정 장치의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GANG FORM FIXING DEVICE AND REMOTE MONITORING SYSTEM OF THE SAME}
본 발명의 실시예는 갱폼 고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갱폼(Gang Form)(일체형 거푸집)은, 초고층화 되어가는 아파트, 빌딩 등의 시공에 있어 자재비용 절감, 안전사고의 방지, 콘크리트의 품질 향상, 공사기간 단축, 인건비 절감을 통한 건설업체의 경쟁력 강화를 위해 외부 거푸집과 비계의 일체적인 시공으로 간단한 볼트작업과 용접으로 조립 완료 후 설치 사용하는 제품이다.
특히 수직, 수평 및 평탄도가 완벽하여 정밀시공은 물론, 해체 또한 용이하기 때문에 공사기간 단축과 공사의 품질향상을 유지할 수 있으며 1회 설치 후 반복사용이 가능하므로 기존 목제 거푸집보다 월등한 경제성이 있다.
최근, 아파트 건설현장 등에서 갱폼이 낙하하여 노동자가 크게 다치거나 사망하는 등 사고가 종종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갱폼은 기구적인 요소, 작업자의 교육, 설치 후 접근 방지 등 물리적인 요소에 의존하여 갱폼 관련 사고를 방지하고 있는 수준이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09-0016780호(공개일자: 2009년02월18일) 등록특허공보 제10-1475415호(등록일자: 2014년12월16일)
본 발명의 실시예는, 갱폼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재의 체결 부위 별로 보다 정확한 이상 유무를 감지하고, 그에 따른 이상 상황을 보다 신속하고 직관적으로 작업자에게 전달하는 갱폼 고정 장치 및 그것의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갱폼 고정 장치는, 콘크리트 구조물에 돌출되도록 타설되는 고정볼트부재; 일측에 고정볼트 및 타측에 상기 고정볼트부재가 체결되는 암나사가 일체로 형성된 갱폼 고정핀부재; 상기 암나사의 내측바닥부분에 설치되어 상기 고정볼트부재의 체결에 따른 압력을 감지하고, 감지된 압력에 따라 제1 감지신호를 송출하는 제1 압력센서; 및 상기 암나사의 외측에 설치되고, 상기 제1 감지신호를 수신하여 경고신호를 출력하는 제1 경고 지시기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 압력센서는, 상기 고정볼트부재가 상기 암나사에 일정 깊이로 체결되지 않아 미리 설정된 제1 기준 압력 값 이하의 압력 값이 측정되는 경우 상기 제1 경고 지시기로 상기 제1 감지신호를 송출하고, 상기 제1 경고 지시기는, 상기 제1 감지신호를 수신하는 제1 감지신호 수신부; 상기 제1 감지신호의 수신 시 발광하는 제1 LED 발광부; 및 상기 제1 감지신호의 수신 시 경고음을 출력하는 제1 경고음 출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볼트에 체결되며, 중심 내부에 빈 공간이 갖도록 볼록한 돌출면이 구비된 갱폼 와셔부재; 상기 고정볼트에 체결되어 상기 갱폼 와셔부재 상에 밀착되는 갱폼 너트부재; 상기 돌출면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갱폼 너트부재에 의해 상기 갱폼 와셔부재로 가해지는 압력을 측정하고, 측정된 압력에 따라 제2 감지신호를 송출하는 제2 압력센서; 및 상기 갱폼 와셔부재의 외측에 설치되고, 상기 제2 감지신호를 수신하여 경고신호를 출력하는 제2 경고 지시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압력센서는, 상기 갱폼 너트부재에 의해 상기 갱폼 와셔부재로 가해지는 압력을 측정하고, 측정된 압력 값이 미리 설정된 제2 기준 압력 값 이상이 되는 경우 상기 제2 감지신호를 상기 제2 경고 지시기로 송출하고, 상기 제2 경고 지시기는, 상기 제2 감지신호를 수신하는 제2 감지신호 수신부; 상기 제2 감지신호의 수신 시 발광하는 제2 LED 발광부; 및 상기 제2 감지신호의 수신 시 경고음을 출력하는 제2 경고음 출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갱폼 고정 장치의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은, 콘크리트 구조물에 돌출되도록 타설되는 고정볼트부재; 일측에 고정볼트 및 타측에 상기 고정볼트부재가 체결되는 암나사가 일체로 형성된 갱폼 고정핀부재; 상기 암나사의 내측바닥부분에 설치되어 상기 고정볼트부재의 체결에 따른 압력을 감지하고, 감지된 압력에 따라 제1 감지신호를 송출하는 제1 압력센서; 및 상기 암나사의 외측에 설치되고, 상기 제1 감지신호를 수신하여 경고신호를 출력하며, 외부로 제1 단파무선신호를 송출하는 제1 경고 지시기를 포함하는 갱폼 고정 장치부; 작업자가 소지하는 무선통신기기에 설치되고, 상기 제1 단파무선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제1 단파무선신호에 상응하는 제1 무선신호와 상기 무선통신기기의 식별정보를 외부로 전송하는 무선신호 중계부; 및 상기 제1 무선신호와 상기 식별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상기 제1 무선신호와 상기 식별정보에 기초하여 갱폼 시설물의 이상 여부를 파악하고, 상기 무선통신기기로 제1 경고메시지를 출력하는 관제 서버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 압력센서는, 상기 고정볼트부재가 상기 암나사에 일정 깊이로 체결되지 않아 미리 설정된 제1 기준 압력 값 이하의 압력 값이 측정되는 경우 상기 제1 감지신호를 상기 제1 경고 지시기로 송출하고, 상기 제1 경고 지시기는, 상기 제1 감지신호를 수신하는 제1 감지신호 수신부; 상기 제1 감지신호의 수신 시 발광하는 제1 LED 발광부; 상기 제1 감지신호의 수신 시 경고음을 출력하는 제1 경고음 출력부; 및 상기 제1 감지신호의 수신 시 상기 제1 단파무선신호를 송출하는 제1 단파무선신호 송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볼트에 체결되며, 중심 내부에 빈 공간이 갖도록 볼록한 돌출면이 구비된 갱폼 와셔부재; 상기 고정볼트에 체결되어 상기 갱폼 와셔부재 상에 밀착되는 갱폼 너트부재; 상기 돌출면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갱폼 너트부재에 의해 상기 갱폼 와셔부재에 가해지는 압력을 측정하고, 측정된 압력에 따라 제2 감지신호를 송출하는 제2 압력센서; 및 상기 갱폼 와셔부재의 외측에 설치되고, 상기 제2 감지신호를 수신하여 경고신호를 출력하며, 외부로 제2 단파무선신호를 송출하는 제2 경고 지시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압력센서는, 상기 갱폼 와셔부재에 가해지는 압력을 측정하고, 측정된 압력 값이 미리 설정된 제2 기준 압력 값 이상이 되는 경우 상기 제2 경고 지시기로 상기 제2 감지신호를 송출하고, 상기 제2 경고 지시기는, 상기 제2 감지신호를 수신하는 제2 감지신호 수신부; 상기 제2 감지신호의 수신 시 발광하는 제2 LED 발광부; 상기 제2 감지신호의 수신 시 경고음을 출력하는 제2 경고음 출력부; 및 상기 제2 감지신호의 수신 시 상기 제2 단파무선신호를 송출하는 제2 단파무선신호 송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무선신호 중계부는, 상기 제2 단파무선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제2 단파무선신호에 상응하는 제2 무선신호와 상기 무선통신기기의 식별정보를 외부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관제 서버부는, 상기 제2 무선신호와 상기 식별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상기 제2 무선신호와 상기 식별정보에 기초하여 갱폼 시설물의 이상 여부를 파악하고, 상기 무선통신기기로 제2 경고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갱폼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재의 체결 부위 별로 보다 정확한 이상 유무를 감지하고, 그에 따른 이상 상황을 보다 신속하고 직관적으로 작업자에게 전달하는 갱폼 고정 장치 및 그것의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갱폼 고정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경고 지시기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경고 지시기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일 실시예에 따라 갱폼 와셔부재에 설치된 제2 압력 센서 및 제2 경고 지시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갱폼 고정 장치의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고, 본 발명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갱폼 고정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경고 지시기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경고 지시기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일 실시예에 따라 갱폼 와셔부재에 설치된 제2 압력 센서 및 제2 경고 지시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갱폼 고정 장치(100)는 고정볼트부재(110), 갱폼 고정핀부재(120), 제1 압력센서(130), 제1 경고 지시기(140), 갱폼 와셔부재(150), 갱폼 너트부재(160), 제2 압력센서(170) 및 제2 경고 지시기(18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볼트부재(110)는 콘크리트 구조물(20)에 타설되되, 나사산이 돌출될 수 있다. 이러한 고정볼트부재(110)는 갱폼 프레임(10)을 콘크리트 구조물(20)에 설치하기 위한 1차 조립체로 갱폼 고정핀부재(120)와 체결될 수 있다.
상기 갱폼 고정핀부재(120)는 갱폼 프레임(10)에 체결되는 수단으로, 일측에 고정볼트(121)가 형성되고 타측에 고정볼트부재(110)가 체결되는 암나사(122)가 형성되며, 여기서 고정볼트(121)와 암나사(122)는 일체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암나사(122)는 일정 깊이의 체결공을 구비하며, 체결공의 내측바닥부분에는 제1 압력센서(130)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압력센서(130)는 암나사(122)의 체결공 내측바닥부분에 설치되고, 외부의 제1 경고 지시기(14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압력센서(130)는 고정볼트부재(110)의 체결상태에 따른 압력을 감지하고, 감지된 압력에 따라 제1 경고 지시기(140)로 제1 감지신호를 송출할 수 있다.
이러한 제1 압력센서(130)는 압력스위치 또는 접지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으며, 고정볼트부재(110)가 갱폼 고정핀부재(120)의 암나사(122)에 일정 깊이로 체결되지 않아 미리 설정된 제1 기준 압력 값 이하의 압력 값이 측정되는 경우(예를 들어, 완전한 체결이 이루어지지 않거나 설치 후 체결이 풀리는 경우), 제1 경고 지시기로 제1 감지신호를 송출할 수 있다.
상기 제1 경고 지시기(140)는 암나사(122)의 외측에 설치되고, 제1 압력센서(130)로부터 제1 감지신호를 수신하여 작업자가 눈으로 보거나 들을 수 있는 경고신호를 외부로 출력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1 경고 지시기(140)는 제1 감지신호 수신부(141), 제1 LED 발광부(142) 및 제1 경고음 출력부(14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감지신호 수신부(141)는 제1 압력센서(130)로부터 제1 감지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제1 LED 발광부(142)는 제1 감지신호 수신부(141)를 통해 제1 감지신호가 수신되면 발광하여 작업자에게 해당 체결부분에 대한 이상여부를 즉시 알려줄 수 있다. 또한, 제1 LED 발광부(142)는 제1 기준 압력 값이 단계적으로 설정되어 각각의 기준 압력 값 이하로 측정 값이 떨어질 때마다 발광 패턴이 점차 빨라지거나 밝아지도록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제1 경고음 출력부(143)는 제1 감지신호 수신부(141)를 통해 제1 감지신호가 수신되면 특정한 경고음을 출력하여 작업자가 해당 부분에 대한 이상여부를 즉시 알려줄 수 있다. 또한, 제1 경고음 출력부(143)는 제1 기준 압력 값이 단계적으로 설정되어 각각의 기준 압력 값 이하로 측정 값이 떨어질 때마다 경고음이 점차 커지거나 높은 데시벨의 음이 출력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LED 발광부(142)와 제1 경고음 출력부(143)는 모두 구성될 수 있으나, 택일적으로도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모두 구성되는 경우 택일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개별 활성화 설정이 가능하다.
상기 갱폼 와셔부재(150)는 갱폼 고정핀부재(120)의 고정볼트(121)에 체결되며, 중심 내부에 빈 공간이 갖도록 볼록한 돌출면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갱폼 너트부재(160)는 갱폼 고정핀부재(120)의 고정볼트(121)에 체결되어 갱폼 와셔부재(150) 상에 밀착될 수 있다. 이러한 갱폼 너트부재(160)는 육각형 모양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작업자가 직접 손으로 조임 작업을 실시할 수 있도록 V자 또는 U자 손잡이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제2 압력센서(170)는 갱폼 너트부재(160)의 돌출면의 내부 즉 빈공간에 설치되어 갱폼 너트부재(160)에 의해 갱폼 와셔부재(150)로 가해지는 압력(또는 힘)을 측정하고, 측정된 압력(또는 힘)에 따라 제2 감지신호를 송출할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제2 압력센서(170)는 갱폼 너트부재(160)에 의해 갱폼 와셔부재(150)로 가해지는 압력을 측정하고, 측정된 압력 값이 미리 설정된 제2 기준 압력 값 이상이 되는 경우 제2 경고 지시기(180)로 제2 감지신호를 송출할 수 있다.
상기 제2 경고 지시기(180)는 갱폼 와셔부재(150)의 외측에 설치되고, 제2 감지신호를 수신하여 경고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2 경고 지시기(180)는 제2 감지신호 수신부(181), 제2 LED 발광부(182) 및 제2 경고음 출력부(18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감지신호 수신부(181)는 제2 압력센서(170)로부터 제2 감지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제2 LED 발광부(182)는 제2 감지신호 수신부(181)를 통해 제2 감지신호가 수신되면 발광하여 작업자에게 해당 체결부분에 대한 이상여부를 즉시 알려줄 수 있다. 또한, 제2 LED 발광부(182)는 제2 기준 압력 값이 단계적으로 설정되어 각각의 기준 압력 값 이하로 측정 값이 떨어질 때마다 발광 패턴이 점차 빨라지거나 밝아지도록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제2 경고음 출력부(183)는 제2 감지신호 수신부(181)를 통해 제2 감지신호가 수신되면 특정한 경고음을 출력하여 작업자가 해당 부분에 대한 이상여부를 즉시 알려줄 수 있다. 또한, 제2 경고음 출력부(183)는 제2 기준 압력 값이 단계적으로 설정되어 각각의 기준 압력 값 이하로 측정 값이 떨어질 때마다 경고음이 점차 커지거나 높은 데시벨의 음이 출력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갱폼 고정 장치(100)는 배터리를 포함하는 별도의 소형 전원 장치가 각각 구비될 수 있으며, 각각의 소형 전원 장치는 갱폼 프레임(10)에 부착되는 형태로 설치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갱폼 고정 장치의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1000)은 갱폼 고정 장치부(100), 단파무선신호 중계부(200) 및 관제 서버부(30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갱폼 고정 장치부(100)는 일 실시예의 고정볼트부재(110), 갱폼 고정핀부재(120), 제1 압력센서(130), 제1 경고 지시기(140), 갱폼 와셔부재(150), 갱폼 너트부재(160), 제2 압력센서(170) 및 제2 경고 지시기(18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와 관련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만, 제1 경고 지시기(140)는 제1 감지신호의 송출 시 제1 단파무선신호를 함께 송출하고, 제2 경고 지시기(180)는 제2 감지신호의 송출 시 제2 단파무선신호를 함께 송출할 수 있도록 추가적으로 구현되어 있다.
상기 단파무선신호 중계부(200)는 작업자가 소지하는 무선통신기기에 설치되고, 제1 단파무선신호를 수신하고, 제1 단파무선신호에 상응하는 제1 무선신호와 해당 무선통신기기의 식별정보를 관제 서버부(300)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무선통신기기는 작업자 간 통신을 위한 전용 휴대통신기이거나 스마트 폰과 같은 개인휴대단말일 수 있다. 그리고, 제1 단파무선신호는 전송거리가 수십 미터 수준으로 제1 경고 지시기(140)의 주변에 위치한 작업자가 무선통신기기를 통해 제1 단파무선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단파무선신호 중계부(200)는 제2 경고 지시기(180)로부터 제2 단파무선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제2 단파무선신호에 상응하는 제2 무선신호와 해당 무선통신기기의 식별정보를 관제 서버부(300)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관제 서버부(300)는 제1 무선신호와 무선통신기기의 식별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제1 무선신호와 해당 식별정보에 기초하여 갱폼 시설물의 이상 여부를 파악하고, 무선통신기기로 제1 경고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관제 서버부(300)는 제2 무선신호와 무선통신기기의 식별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제2 무선신호와 식별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갱폼 시설물의 이상 여부를 파악하고, 해당 무선통신기기로 제2 경고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관제 서버부(300)는 무선 통신부(310), 이상정보 기록부(320) 및 경고 메시지 관리부(3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무선 통신부(310)는 작업자의 무선통신기기와 연결되고 무선통신기기로부터 제1 및 제2 무선신호를 수신하고, 해당 식별정보에 기초하여 무선통신기기로 제1 및 제2 경고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이상정보 기록부(320)는 무선 통신부(310)를 통해 수신된 무선신호와 식별정보에 따라 갱폼 이상여부를 관리하기 위한 작업일지를 작성할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식별정보에 따라 어떤 갱폼 위치로 배정된 어느 작업자로부터 문제가 발생되었는지를 기록하고, 제1 무선신호가 수신되는지 또는 제2 무선신호가 수신되는지에 따라 어느 부분의 체결에 이상이 있는지(안쪽 1차 체결부위 또는 바깥쪽 2차 체결부위)에 대한 정보를 기록할 수 있다.
상기 경고 메시지 관리부(330)는 제1 무선신호가 수신되는지 또는 제2 무선신호가 수신되는지에 따라 미리 녹음된 경고음성을 해당 작업자에게 전송하여 해당 작업자가 직접 경고메시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의한 갱폼 고정 장치 및 갱폼 고정 장치의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을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100: 갱폼 고정 장치
110: 고정볼트부재
120: 갱폼 고정핀부재
121: 고정볼트
122: 암나사
130: 제1 압력센서
140: 제1 경고 지시기
141: 제1 감지신호 수신부
142: 제1 LED 발광부
143: 제1 경고음 출력부
150: 갱폼 와셔부재
160: 갱폼 너트부재
170: 제2 압력센서
180: 제2 경고 지시기
181: 제2 감지신호 수신부
182: 제2 LED 발광부
183: 제2 경고음 출력부
1000: 갱폼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
100: 갱폼 고정 장치부
200: 단파무선신호 중계부
300: 관제 서버부
310: 무선 통신부
320: 이상정보 기록부
330: 경고메시지 관리부
10: 갱폼 프레임
20: 콘크리트 구조물

Claims (9)

  1. 콘크리트 구조물에 돌출되도록 타설되는 고정볼트부재;
    일측에 고정볼트 및 타측에 상기 고정볼트부재가 체결되는 암나사가 일체로 형성된 갱폼 고정핀부재;
    상기 암나사의 내측바닥부분에 설치되어 상기 고정볼트부재의 체결에 따른 압력을 감지하고, 감지된 압력에 따라 제1 감지신호를 송출하는 제1 압력센서;
    상기 암나사의 외측에 설치되고, 상기 제1 감지신호를 수신하여 경고신호를 출력하는 제1 경고 지시기;
    상기 고정볼트에 체결되며, 중심 내부에 빈 공간이 갖도록 볼록한 돌출면이 구비된 갱폼 와셔부재;
    상기 고정볼트에 체결되어 상기 갱폼 와셔부재 상에 밀착되는 갱폼 너트부재;
    상기 돌출면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갱폼 너트부재에 의해 상기 갱폼 와셔부재로 가해지는 압력을 측정하고, 측정된 압력에 따라 제2 감지신호를 송출하는 제2 압력센서; 및
    상기 갱폼 와셔부재의 외측에 설치되고, 상기 제2 감지신호를 수신하여 경고신호를 출력하는 제2 경고 지시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갱폼 고정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압력센서는,
    상기 고정볼트부재가 상기 암나사에 일정 깊이로 체결되지 않아 미리 설정된 제1 기준 압력 값 이하의 압력 값이 측정되는 경우 상기 제1 경고 지시기로 상기 제1 감지신호를 송출하고,
    상기 제1 경고 지시기는,
    상기 제1 감지신호를 수신하는 제1 감지신호 수신부;
    상기 제1 감지신호의 수신 시 발광하는 제1 LED 발광부; 및
    상기 제1 감지신호의 수신 시 경고음을 출력하는 제1 경고음 출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갱폼 고정 장치.
  3. 삭제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압력센서는,
    상기 갱폼 너트부재에 의해 상기 갱폼 와셔부재로 가해지는 압력을 측정하고, 측정된 압력 값이 미리 설정된 제2 기준 압력 값 이상이 되는 경우 상기 제2 감지신호를 상기 제2 경고 지시기로 송출하고,
    상기 제2 경고 지시기는,
    상기 제2 감지신호를 수신하는 제2 감지신호 수신부;
    상기 제2 감지신호의 수신 시 발광하는 제2 LED 발광부; 및
    상기 제2 감지신호의 수신 시 경고음을 출력하는 제2 경고음 출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갱폼 고정 장치.
  5. 콘크리트 구조물에 돌출되도록 타설되는 고정볼트부재; 일측에 고정볼트 및 타측에 상기 고정볼트부재가 체결되는 암나사가 일체로 형성된 갱폼 고정핀부재; 상기 암나사의 내측바닥부분에 설치되어 상기 고정볼트부재의 체결에 따른 압력을 감지하고, 감지된 압력에 따라 제1 감지신호를 송출하는 제1 압력센서; 및 상기 암나사의 외측에 설치되고, 상기 제1 감지신호를 수신하여 경고신호를 출력하며, 외부로 제1 단파무선신호를 송출하는 제1 경고 지시기를 포함하는 갱폼 고정 장치부;
    작업자가 소지하는 무선통신기기에 설치되고, 상기 제1 단파무선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제1 단파무선신호에 상응하는 제1 무선신호와 상기 무선통신기기의 식별정보를 외부로 전송하는 무선신호 중계부;
    상기 제1 무선신호와 상기 식별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상기 제1 무선신호와 상기 식별정보에 기초하여 갱폼 시설물의 이상 여부를 파악하고, 상기 무선통신기기로 제1 경고메시지를 출력하는 관제 서버부;
    상기 고정볼트에 체결되며, 중심 내부에 빈 공간이 갖도록 볼록한 돌출면이 구비된 갱폼 와셔부재;
    상기 고정볼트에 체결되어 상기 갱폼 와셔부재 상에 밀착되는 갱폼 너트부재;
    상기 돌출면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갱폼 너트부재에 의해 상기 갱폼 와셔부재에 가해지는 압력을 측정하고, 측정된 압력에 따라 제2 감지신호를 송출하는 제2 압력센서; 및
    상기 갱폼 와셔부재의 외측에 설치되고, 상기 제2 감지신호를 수신하여 경고신호를 출력하며, 외부로 제2 단파무선신호를 송출하는 제2 경고 지시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갱폼 고정 장치의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압력센서는,
    상기 고정볼트부재가 상기 암나사에 일정 깊이로 체결되지 않아 미리 설정된 제1 기준 압력 값 이하의 압력 값이 측정되는 경우 상기 제1 감지신호를 상기 제1 경고 지시기로 송출하고,
    상기 제1 경고 지시기는,
    상기 제1 감지신호를 수신하는 제1 감지신호 수신부;
    상기 제1 감지신호의 수신 시 발광하는 제1 LED 발광부;
    상기 제1 감지신호의 수신 시 경고음을 출력하는 제1 경고음 출력부; 및
    상기 제1 감지신호의 수신 시 상기 제1 단파무선신호를 송출하는 제1 단파무선신호 송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갱폼 고정 장치의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
  7. 삭제
  8.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압력센서는,
    상기 갱폼 와셔부재에 가해지는 압력을 측정하고, 측정된 압력 값이 미리 설정된 제2 기준 압력 값 이상이 되는 경우 상기 제2 경고 지시기로 상기 제2 감지신호를 송출하고,
    상기 제2 경고 지시기는,
    상기 제2 감지신호를 수신하는 제2 감지신호 수신부;
    상기 제2 감지신호의 수신 시 발광하는 제2 LED 발광부;
    상기 제2 감지신호의 수신 시 경고음을 출력하는 제2 경고음 출력부; 및
    상기 제2 감지신호의 수신 시 상기 제2 단파무선신호를 송출하는 제2 단파무선신호 송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무선신호 중계부는,
    상기 제2 단파무선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제2 단파무선신호에 상응하는 제2 무선신호와 상기 무선통신기기의 식별정보를 외부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갱폼 고정 장치의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관제 서버부는,
    상기 제2 무선신호와 상기 식별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상기 제2 무선신호와 상기 식별정보에 기초하여 갱폼 시설물의 이상 여부를 파악하고, 상기 무선통신기기로 제2 경고메시지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갱폼 고정 장치의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
KR1020180161189A 2018-12-13 2018-12-13 갱폼 고정 장치 및 갱폼 고정 장치의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 KR1019822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1189A KR101982244B1 (ko) 2018-12-13 2018-12-13 갱폼 고정 장치 및 갱폼 고정 장치의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1189A KR101982244B1 (ko) 2018-12-13 2018-12-13 갱폼 고정 장치 및 갱폼 고정 장치의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82244B1 true KR101982244B1 (ko) 2019-05-24

Family

ID=666801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61189A KR101982244B1 (ko) 2018-12-13 2018-12-13 갱폼 고정 장치 및 갱폼 고정 장치의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8224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51022B1 (ko) * 2020-07-16 2021-05-12 곽수찬 볼트해체 감지장치, 인양고리 체결감지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안전관리시스템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25050B2 (ja) * 1989-04-28 1998-03-09 大成建設株式会社 セパレーター耐力監視装置
KR20090016780A (ko) 2007-08-13 2009-02-18 금호산업주식회사 거푸집 변형 감지 장치
KR20130070874A (ko) * 2011-12-20 2013-06-28 (주) 희림종합건축사사무소 거푸집 붕괴징후 검출장치 및 그 방법
KR101475415B1 (ko) 2013-05-03 2014-12-22 한국철도기술연구원 탄성 접촉 센서를 이용한 볼트 및 너트의 풀림 상태 검지 장치
KR101607665B1 (ko) * 2015-04-16 2016-04-04 김진은 갱폼 고정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25050B2 (ja) * 1989-04-28 1998-03-09 大成建設株式会社 セパレーター耐力監視装置
KR20090016780A (ko) 2007-08-13 2009-02-18 금호산업주식회사 거푸집 변형 감지 장치
KR20130070874A (ko) * 2011-12-20 2013-06-28 (주) 희림종합건축사사무소 거푸집 붕괴징후 검출장치 및 그 방법
KR101475415B1 (ko) 2013-05-03 2014-12-22 한국철도기술연구원 탄성 접촉 센서를 이용한 볼트 및 너트의 풀림 상태 검지 장치
KR101607665B1 (ko) * 2015-04-16 2016-04-04 김진은 갱폼 고정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51022B1 (ko) * 2020-07-16 2021-05-12 곽수찬 볼트해체 감지장치, 인양고리 체결감지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안전관리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666450B2 (en) Remote monitoring system with variable period communication check
JP4807794B2 (ja) 防災監視システム
KR200482611Y1 (ko) 고소 작업 안전장비 및 이를 이용한 안전관리 시스템
KR102044883B1 (ko) 인공지능 기반의 직접 디지털 제어기를 이용한 건물 자동 제어장치
KR101982244B1 (ko) 갱폼 고정 장치 및 갱폼 고정 장치의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
KR20190080258A (ko) 비탈면의 복합위험 감지시스템
WO2012017409A1 (en) A monitoring apparatus, and a support means
KR101383301B1 (ko) 현장 장비 관리 장치 및 그 방법
GB2500270A (en) Apparatus for monitoring a sewerage system
KR20050006726A (ko) 디지털 화재감지기, 이를 이용한 통합화재감지시스템과화재판단방법
KR101246245B1 (ko) 건설 현장의 안전사고 방지 시스템
AU2019203389A1 (en) Smoke alarm
KR100927422B1 (ko) 단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한 감시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891926B1 (ko) 자동화 설비 원격 제어 시스템
JP5002549B2 (ja) 異常設備検知システム
KR102091348B1 (ko) 무선 주파수 방식을 이용한 통합 경보시스템
JP3739171B2 (ja) 無線通信装置
KR101904072B1 (ko) 씽크홀 감지가 가능한 수배전반 시스템
KR20210122339A (ko) 서포트 및 서포트 모니터링 시스템
KR102440544B1 (ko) 프라이빗 무선통신 스마트 안전 플랫폼
JP2009217592A (ja) 無線機システム
CN115633326B (zh) 高支模监测系统及方法
KR20180090426A (ko) 지능형 지진 조기 경보 시스템 및 방법
CN210893102U (zh) 一种大型桥梁结构安全监测系统
KR20230094899A (ko) 다중밀집시설 화재 조기경보 및 대피체계를 위한 화재경보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