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40544B1 - 프라이빗 무선통신 스마트 안전 플랫폼 - Google Patents

프라이빗 무선통신 스마트 안전 플랫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40544B1
KR102440544B1 KR1020210099623A KR20210099623A KR102440544B1 KR 102440544 B1 KR102440544 B1 KR 102440544B1 KR 1020210099623 A KR1020210099623 A KR 1020210099623A KR 20210099623 A KR20210099623 A KR 20210099623A KR 102440544 B1 KR102440544 B1 KR 1024405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or data
safety
wireless communication
monitoring
si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996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경철
유진욱
박민식
정용철
최양진
박중희
정다연
Original Assignee
한국남동발전 주식회사
주식회사 에스엔디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남동발전 주식회사, 주식회사 에스엔디테크 filed Critical 한국남동발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996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4054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05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05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21/00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21/02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by means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10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calamitous events, e.g. tornados or earthquak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2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conom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Marketing (AREA)
  • Geology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프라이빗 무선통신 스마트 안전 플랫폼에 관한 것으로, 안전한 작업환경의 조성과 재난관리를 포함한 각종 시스템 간의 정보를 공유할 수 있도록 하여 정보의 효율적 운영을 통해 감독 사각지대를 개선하여 현장에 대한 안전관리 수준을 향상시키는 플랫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프라이빗 무선통신 스마트 안전 플랫폼{PRIVATE WIRELESS COMMUNICATION SMART SAFETY PLATFORM}
본 발명은 프라이빗 무선통신 스마트 안전 플랫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안전한 작업환경의 조성과 재난관리를 포함한 각종 시스템 간의 정보를 공유할 수 있도록 하여 정보의 효율적 운영을 통해 감독 사각지대를 개선하여 현장에 대한 안전관리 수준을 향상시키는 플랫폼에 관한 것이다.
최근 비번하게 발생하는 화재사고, 가스누출사고 등과 같이 재난사고의 증가로 인해 안전을 위한 감시 시스템의 필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특히, 발전소나 조선소와 같은 산업 시설물은 고위험 설비를 운영하고 현장의 작업자 또한 고위험 작업을 수행하기 때문에 재난이 발생하거나 안전수칙을 제대로 이행하지 않으면 인명, 재상 등의 피해규모가 매우 큰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최근에는 현장에 복수의 센서를 설치하고, 각 센서를 통해 수집된 센서데이터를 이용하여 화재, 가스누출 등을 감시하기 위한 감시 시스템이 개발되어 상용화되고 있다.
종래의 감시 시스템은 화재, 가스누출 등을 감시하기 위한 고유의 목적에 따라 개별적으로 운용되고 있다. 즉, 화재감지를 위한 센서를 설치하여 화재 감시 시스템을 운영하거나, 가스누출감지센서를 설치하여 가스누출 감시 시스템을 운영하거나 수위감지센서를 설치하여 수위 감시 시스템을 운영하는 등 고유의 목적에 따른 개별 센서들을 현장에 설치하고 각 센서들을 이용하여 현장을 감시하는 감시 시스템을 개별적으로 운영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재난의 경우 복합적으로 발생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개별적으로 감시 시스템을 운영하는 경우, 각 감시 시스템에서 수집한 센서데이터를 개별적으로 관리 및 운영하기 때문에 다양한 재난이 발생하면 적절한 감시가 매우 어렵고, 복합적인 재난을 감시하기 위해서는 수많은 감시 시스템을 개별적으로 운영해야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재난뿐만 아니라 작업자의 안전을 보호하기 위해서는 현장의 작업자에 대한 위치를 파악하고 작업자의 안전준수 이행여부를 모니터링해야할 필요성이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서는 화재 감시 시스템, 가스누출 감시 시스템 등과 같이 안전관리와 관련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외부 시스템에서 고유의 목적에 따라 수집한 각 센서데이터와 현장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로부터 수집한 센서데이터를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외부 시스템과 공유하도록 하여 상기 각 시스템에서 상기 센서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운영하여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각지대 없이 복합적인 재난의 발생을 감시할 수 있도록 하여 현장에 대한 관전관리 수준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현장에 설치된 센서로부터 수집한 센서데이터를 활용하여 현장에 대한 이상징후의 발생과 작업자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고, 작업자에게 할당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를 통해 상기 작업자의 안전준수 이행여부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는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외부 시스템과 현장에 설치된 각 센서와 통신을 수행할 때 공통의 표준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수행하도록 함으로써 별도의 변환과정 없이 효율적으로 센서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 존재하는 선행기술에 대하여 간단하게 설명하고, 이어서 본 발명이 상기 선행기술에 비해서 차별적으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사항에 대해서 기술하고자 한다.
먼저 한국등록특허 제1674048호(2016.11.02.)는 다종 유해 화학물질의 실시간 감지를 위한 가스센서 플랫폼 및 이를 이용한 재난경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유해가스를 농축하고, 상기 농축한 유해가스를 다종의 유해가스를 선택적으로 검출할 수 있는 복수의 센서로 구성되는 센서 어레이를 통해 다양한 종류의 유해가스를 실시간으로 검출할 수 있도록 하는 가스센서 플랫폼 및 이를 이용한 재난경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즉, 상기 선행기술은 유해가스만을 검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복합적으로 발생하는 재난을 감시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다.
반면에 본 발명은 안전관리와 관련한 외부 시스템과 현장에 설치한 복수의 센서를 통해 수집한 센서데이터를 상기 외부 시스템과 공유함으로써 상기 외부 시스템에서 상기 공유한 센서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운영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선행기술은 이러한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을 전혀 기재하거나 시사 혹은 그 어떠한 암시도 없다.
또한 한국공개특허 제2021-0017325호(2021.02.17.)는 조선소 안전관리 플랫폼에 관한 것으로, 밀폐구역, 내업공장 등을 포함하는 조선소의 각 공간에서 측정되는 환경 센서 디바이스의 데이터를 수집하여 각 공간별로 설정한 환경 임계치를 초과하였을 때, 해당 공간에서 작업 중인 근로자들을 신속하게 대피할 수 있도록 하는 조선소 안전관리 플랫폼에 관한 것이다.
즉, 상기 선행기술은 단순히 조선소의 각 공간별로 측정한 환경 데이터를 활용하여 근로자의 대피여부를 결정하는 것으로, 본 발명에서 제안하고 있는 센서데이터를 공유하는 것도 아니며, 현장에 위치하는 작업자에 대한 실시간 위치와 안전준수 이행여부를 모니터링하는 방법 또한 전혀 기재하고 있지 않아 상기 선행기술과 본 발명은 현저한 차이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작된 것으로서, 안전관리와 관련한 외부 시스템과 현장에 설치된 센서 간의 센서데이터를 공유할 수 있도록 하여 정보의 효율적 운영을 통해 각 시스템에서의 안전관리 수준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프라이빗 무선통신 스마트 안전 플랫폼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외부 시스템 및 현장에 설치된 센서로부터 수집한 센서데이터를 통합하여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스마트 안전 플랫폼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공용통신을 기반으로 하는 외부 통신과 분리된 프라이빗 무선통신을 통해 현장에 설치된 센서와 무선통신을 수행하여 센서데이터를 송수신함으로써 상기 센서데이터에 대한 보안을 강화시킴과 동시에 효율적으로 센서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도록 하는 스마트 안전 플랫폼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센서 및 외부 시스템과 통신은 센서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메시지 포맷, 오류검출 방식, 전송속도, 인증방식 등을 포함한 공통의 표준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수행함으로써 별도의 변환과정 없이 효율적으로 센서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하는 스마트 안전 플랫폼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센서데이터를 이용하여 모니터링한 결과, 현장에 대한 이상징후가 발생하면 현장, 작업자, 현장 감독자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여 관련 장소나 관련자에게 해당 이상징후에 대한 상황을 전파하여 신속한 조치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스마트 안전 플랫폼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현장에 설치된 센서로부터 수집한 센서데이터를 통해 해당 현장에 위치하는 작업자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고, 작업자별로 할당된 센서로부터 수집한 센서데이터를 통해 각 작업자의 안전준수 이행여부를 모니터링하여 현장 감독자에게 제공하는 스마트 안전 플랫폼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라이빗 무선통신 스마트 안전 플랫폼은 안전관리와 관련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외부 시스템으로부터 공용통신을 기반으로 센서데이터를 수집하는 시스템 센서데이터 수집부, 현장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로부터 프라이빗 무선통신을 기반으로 센서데이터를 수집하는 현장 센서데이터 수집부 및 상기 시스템 센서데이터 및 현장 센서데이터를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시스템과 공유하는 센서데이터 공유부를 포함하며, 상기 프라이빗 무선통신은 상기 공용통신을 기반으로 하는 외부 통신과 분리된 무선통신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공용통신과 프라이빗 무선통신은 상기 센서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메시지 포맷, 상기 센서와 시스템의 등록 및 해지를 위한 메시지 포맷, 오류검출 방식, 전송속도, 인증방식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한 공통의 표준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스마트 안전 플랫폼은 상기 현장 센서데이터를 이용하여 모니터링한 결과 상기 현장에 이상징후가 발생하면 작업자, 상기 현장, 현장 감독자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한 관련 장소나 관련자에게 상기 이상징후의 발생에 대한 상황을 전파하는 패트롤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패트롤부는 상기 현장 센서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현장에 대한 이상징후의 발생을 모니터링하는 이상징후 모니터링부, 상기 현장 센서데이터를 이용하여 작업자의 위치를 모니터링하는 위치 모니터링부 및 상기 현장 데이터 중 작업자에게 할당된 센서를 통해 수집한 센서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작업자의 안전준수 이행여부 모니터링하는 안전준수 모니터링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패트롤부는 상기 현장에 대한 위험작업 허가여부, 위험작업에 대한 안전조치 사전 이행여부, 상기 위험작업의 일정 또는 이들의 조합을 확인하는 작업 확인부 및 사전에 저장한 현장 맵에 상기 이상징후가 발생한 위치, 상기 작업자의 위치, 상기 작업자별 안전준수 이행여부 또는 이들의 조합을 표시하여 제공하는 모니터링 결과 제공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패트롤부는 상기 프라이빗 무선통신 대신에 공용통신을 기반으로 상기 센서데이터를 수집하는 상기 외부 시스템 중 하나에 구비되거나, 상기 외부 시스템은, 상기 공용통신 대신에 상기 프라이빗 무선통신을 기반으로 상기 센서데이터를 수집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라이빗 무선통신 스마트 안전 플랫폼 운용방법은 안전관리와 관련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외부 시스템으로부터 공용통신을 기반으로 센서데이터를 수집하는 시스템 센서데이터 수집 단계, 현장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로부터 프라이빗 무선통신을 기반으로 센서데이터를 수집하는 현장 센서데이터 수집 단계 및 상기 시스템 센서데이터 및 현장 센서데이터를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시스템과 공유하는 센서데이터 공유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스마트 안전 플랫폼 운용방법은 상기 현장 센서데이터를 이용하여 모니터링한 결과 상기 현장에 이상징후가 발생하면 작업자, 상기 현장, 현장 감독자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한 관련 장소나 관련자에게 상기 이상징후의 발생에 대한 상황을 전파하는 패트롤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패트롤 단계는 상기 현장 센서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현장에 대한 이상징후의 발생을 모니터링하는 이상징후 모니터링 단계, 상기 현장 센서데이터를 이용하여 작업자의 위치를 모니터링하는 위치 모니터링 단계 및 상기 현장 데이터 중 작업자에게 할당된 센서를 통해 수집한 센서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작업자의 안전준수 이행여부 모니터링하는 안전준수 모니터링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패트롤 단계는, 상기 현장에 대한 위험작업 허가여부, 위험작업에 대한 안전조치 사전 이행여부, 상기 위험작업의 일정 또는 이들의 조합을 확인하는 작업 확인 단계 및 사전에 저장한 현장 맵에 상기 이상징후가 발생한 위치, 상기 작업자의 위치, 상기 작업자별 안전준수 이행여부 또는 이들의 조합을 표시하여 제공하는 모니터링 결과 제공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패트롤 단계는, 상기 프라이빗 무선통신 대신에 공용통신을 기반으로 상기 센서데이터를 수집하는 상기 외부 시스템 중 하나에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프라이빗 무선통신 스마트 안전 플랫폼은 현장에 대한 안전관리와 관련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외부 시스템과 현장에 설치된 복수의 센서를 통해 수집한 센서데이터를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외부 시스템에 공유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센서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운영하여 현장에서 복합적으로 발생하는 재난상황을 더욱 효과적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현장에 설치된 센서를 이용하여 작업자의 실시간 위치와 안전준수 이행여부를 효율적으로 모니터링하여 작업자의 안전을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라이빗 무선통신 스마트 안전 플랫폼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통의 표준 프로토콜에 따라 구성한 센서데이터의 메시지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상징후를 모니터링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업자의 위치를 모니터링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준수 이행여부를 모니터링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니터링 결과를 표시한 현장 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라이빗 무선통신 스마트 안전 플랫폼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패트롤부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라이빗 무선통신 스마트 안전 플랫폼의 운용 절차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라이빗 무선통신 스마트 안전 플랫폼을 구현하는 컴퓨터의 하드웨어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프라이빗 무선통신 스마트 안전 플랫폼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라이빗 무선통신 스마트 안전 플랫폼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라이빗 무선통신 스마트 안전 플랫폼(100)(이하, 스마트 안전 플랫폼이라 칭함)은 안전관리와 관련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외부 시스템(안전관리 시스템) 및 현장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로부터 센서데이터를 각각 수집하여 상기 수집한 센서데이터를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외부 시스템과 공유하고, 상기 현장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로부터 수집한 센서데이터를 통해 이상징후의 발생, 작업자의 위치, 작업자의 안전준수 여부 또는 이들의 조합을 모니터링하여 현장에 위치하는 작업자, 현장 감독자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모니터링 결과를 제공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이하에서는, 안전관리 시스템으로부터 수집한 센서데이터는 시스템 센서데이터로 지칭하며, 현장에 설치된 센서로부터 수집한 센서데이터는 현장 센서데이터로 지칭하도록 한다.
여기서, 센서는 가스누출 감지센서, 수위 센서, 화재 감지센서, 이미지 센서, 온도 센서, 위치감지센서 등을 포함하여 현장의 각 장소와 설비에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각각 설치된다.
또한 안전관리 시스템은 현장에서의 재난발생을 감지하거나 현장에 설치된 설비를 관리하는 것 등을 포함하여 상기 현장에 대한 안전관리와 관련한 외부 시스템을 의미하는 것으로, 화재 감시 시스템, 가스 감시 시스템, 영상 감시 시스템, 재난관리 시스템, 설비정비관리 시스템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스마트 안전 플랫폼(100)은 시스템 센서데이터와 현장 센서데이터를 통합하여 데이터베이스(200)에 저장 및 관리함으로써 안전관리 시스템별로 관리되는 센서데이터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운영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스마트 안전 플랫폼(100)과 안전관리 시스템은 공용통신을 기반으로 센서데이터를 송수신한다. 또한 스마트 안전 플랫폼(100)과 현장에 설치된 센서는 상기 공용통신을 기반으로 하는 외부 통신과 분리된 프라이빗 무선통신을 통해 상기 센서데이터를 송수신한다. 물론 스마트 안전 플랫폼(100)과 안전관리 시스템 간에도 프라이빗 무선통신을 기반으로 상기 센서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센서데이터에 대한 보안을 보장할 수 있고 외부의 불필요한 데이터에 의한 트래픽을 방지함으로써, 상기 센서데이터를 실시간으로 효율적으로 송수신할 수 있다.
이때 센서는 해당 센서와 연결된 프라이빗 무선통신 전송기를 통해 프라이빗 무선통신 기지국을 경유하여 스마트 안전 플랫폼(100)로 센서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
또한 안전관리 시스템은 공용통신을 기반으로 고유의 목적에 따라 설치한 센서로부터 센서데이터를 수집하도록 구현되나, 상기 공용통신 대신에 프라이빗 무선통신을 기반으로 상기 센서데이터를 수집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스마트 안전 플랫폼(100)을 통해 시스템 센서데이터와 현장 센서데이터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안전관리 시스템과 공유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통해 각 안전관리 시스템은 고유의 목적에 따라 제한적으로 운영하는 센서데이터뿐만 아니라 또 다른 센서데이터를 활용하여 복합적인 재난상황의 발생을 보다 정확하고 효율적으로 감시할 수 있도록 한다. 즉, 스마트 안전 플랫폼(100)은 상기 공유를 통해 시스템 센서데이터와 현장 센서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운영하여 각 안전관리 시스템별 감독 사각지대(즉 감시 사각지대)를 개선하여 현장에 대한 안전관리 수준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공용통신과 프라이빗 무선통신은 사전에 규정한 공통의 표준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수행된다. 이를 통해 스마트 안전 플랫폼(100), 안전관리 시스템 및 센서는 상기 공통의 표준 프로토콜에 따라 센서데이터의 메시지를 구성하여 전송함으로써, 서로 다른 대상간의 센서데이터를 송수신할 때 별도의 변환과정 없이 효율적으로 센서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상기 센서데이터에 대한 메시지의 구조는 도 2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또한 스마트 안전 플랫폼(100)은 현장에 대한 이상징후의 발생, 현장에 위치하는 작업자의 위치, 상기 작업자의 안전준수 이행여부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실시간 모니터링을 수행하여 알림으로 제공하는 패트롤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이상징후의 발생과 작업자의 위치를 모니터링하는 것은 현장 센서데이터를 활용하며, 작업자의 안전준수 이행여부를 모니터링하는 것은 작업자에게 할당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로부터 수집한 센서데이터를 활용하여 수행되는 것으로, 상기 각 모니터링을 수행하는 방법은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각각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통의 표준 프로토콜에 따라 구성한 센서데이터의 메시지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통의 표준 프로토콜은 공용통신과 프라이빗 무선통신을 수행할 때, 센서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메시지 포맷, 센서와 외부 시스템(안전관리 시스템)의 등록 및 해지를 위한 메시지 포맷, 오류검출 방식, 전송속도, 인증방식 또는 이들의 조합을 정의해 놓은 것이다.
일예로 도 2에 나타낸 것과 같이 공통의 표준 프로토콜에 따라 구성한 센서데이터에 대한 메시지의 구조는 분야, 지역코드, 설비정보, 센서종류, 회선상태, 시스템상태, 시간정보, 목적, 센서 측정값, 복수의 정보를 삽입하기 위한 복수의 필드로 구성된다.
상기 분야는 센서나 안전관리 시스템을 스마트 안전 플랫폼(100)에 등록 또는 해지하거나, 센서데이터의 전송을 구분하기 위한 필드로 등록이나 해지를 위한 것이면 등록이나 해지를 의미하는 코드 및 센서나 안전관리 시스템의 식별자가 삽입될 수 있으며, 센서데이터의 전송을 위한 것이면 해당 전송을 의미하는 코드가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지역코드는 센서가 위치하는 현장의 각 지역(영역 혹은 장소)에 대한 코드가 삽입되는 필드이며, 설비정보는 센서가 설치된 설비의 위치정보와 설비의 종류를 포함하는 설비정보가 삽입되는 필드이다.
또한 회선상태는 핑 테스트(ping test)를 통해 회선의 상태를 측정한 값이 삽입되는 필드이며, 시스템상태는 센서나 스마트 안전 플랫폼(100) 혹은 안전관리 시스템의 동작상태가 삽입되는 필드 일 수 있다.
또한 시간정보는 센서값을 측정한 시간, 센서데이터를 전송한 시간 또는 이들의 조합이 삽입되는 필드이며, 목적은 화재 감시, 가스누출 감시, 작업자 위치 감시 등을 포함하여 해당 센서데이터의 이용목적이 삽입되는 필드이며, 센서 측정값은 센서의 각 측정값이 삽입되는 필드이다.
또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는 센서 측정값 이외에 필요한 정보가 삽입되는 필드이다. 예를 들어, 해당 센서의 위치정보나, RSSI(received single strength indicator), 혹은 필요에 따라 각 안전관리 시스템에서 제공되는 정보일 수 있다.
또한 센서데이터의 메시지 구조는 메시지 길이, 인증을 위한 ID나 키(key)를 위한 필드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즉, 공통의 표준 프로토콜은 현장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 스마트 안전 플랫폼(100)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안전관리 시스템 간의 특정 데이터를 송수신할 때 별도의 변환과정 없이 상기 특정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상징후를 모니터링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안전 플랫폼(100)은 현장 센서데이터를 활용하여 현장에 대한 이상징후의 발생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스마트 안전 플랫폼(100)은 현장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로부터 현장 센서데이터가 수신되면 상기 수신한 현장 센서데이터 중 이상징후 모니터링에 필요한 현장 센서데이터를 선별하여 상기 현장에 대한 이상징후의 발생을 모니터링을 수행한다.
상기 이상징후 모니터링에 필요한 현장 센서데이터를 선별하는 것은 상기 현장 센서데이터를 참조하여 화재 감시, 가스 누출 감시 등을 포함하여 해당 센서데이터의 이용목적을 확인함으로써 수행된다.
이때, 스마트 안전 플랫폼(100)은 현장 센서데이터의 센서 측정값과 설비정보 및 데이터베이스(200)로부터 저장된 위치 및 설비별에 따라 설정한 센서별 임계값에 따라 이상징후의 발생을 모니터링한다.
임계값은 센서가 설치된 위치나 설비의 종류에 따라 상이하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센서가 온도를 감지하기 위한 온도 센서이고, 상기 센서가 설치된 설비가 보일러 노내이면 온도에 민감하지 않은 다른 설비나 위치보다 온도에 대한 임계값을 높게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스마트 안전 플랫폼(100)은 센서 측정값이 임계값을 초과하면 해당 위치에서 이상징후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한다. 이때, 센서 측정값이 상기 임계값을 초과하지 않더라도 일정시간 동안 누적하여 수집한 상기 센서데이터의 센서 측정값에 대한 단위시간에 따른 변화량이 사전에 설정한 임계값을 초과하면 해당 위치에서 이상징후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한다.
또한 스마트 안전 플랫폼(100)은 이상징후의 발생을 모니터링한 결과 이상징후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면 작업자, 현장, 현장 감독자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여 관련 장소나 관련자에게 이상징후의 발생에 대한 상황을 신속하게 전파하여 대피하도록 하거나 상기 이상징후에 대한 신속한 조치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전파는 작업자나 현장 감독자가 구비한 스마트 무전기, 무선통신 단말(모바일), 현장에 설치된 복수의 스피커 또는 이들의 조합을 통해 수행된다.
또한 스마트 안전 플랫폼(100)은 데이터베이스(200)에 사전에 저장한 현장 맵(3D 혹은 2D)에 이상징후가 발생한 위치를 표시하여 현장 감독자나 작업자가 구비한 무선통신 단말로 제공하여 정확한 위치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업자의 위치를 모니터링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도면이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안전 플랫폼(100)은 현장 센서데이터를 활용하여 현장에 위치하는 복수의 작업자에 대한 위치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스마트 안전 플랫폼(100)은 현장 센서데이터 중 작업자의 위치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현장 센서데이터를 선별하여 상기 작업자의 위치를 모니터링한다.
이때, 작업자의 위치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현장 센서데이터는 위치 감지센서로부터 수신한 현장 센서데이터이다.
여기서 위치 감지센서는 비콘 수신기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비콘 수신기는 작업자가 구비한 비콘 송신기로부터 비콘 신호를 통해 비콘 ID를 수신한다.
또한 비콘 수신기는 비콘 ID와 해당 비콘 수신기의 위치정보, 비콘 ID를 수신할 때의 비콘 신호에 대한 RSSI를 포함하는 비콘정보를 현장 센서데이터로 구성하여 스마트 안전 플랫폼(100)으로 전송한다. 한편 비콘 송신기는 작업자가 착용한 작업복에 구비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지 않으며 어떠한 형식으로든 상기 작업자가 상기 비콘 송신기를 구비하면 된다.
또한 스마트 안전 플랫폼(100)은 현장 센서데이터를 참조하여 해당 현장 센서데이터가 비콘정보를 포함하고 있으면 해당 현장 센서데이터를 이용하여 작업자의 위치를 확인함으로써 상기 작업자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한다.
상기 작업자의 위치를 모니터링하는 것은 현장 센서데이터에 포함된 비콘정보의 비콘 수신기에 대한 위치정보와 비콘 송신기의 비콘 ID를 확인함으로써 수행된다. 이때, 복수의 비콘정보에 동일한 비콘 송신기의 ID가 포함되어 있으면 각 비콘정보에 각각 포함된 RSSI를 이용하여 상기 작업자의 위치를 산출함으로써 상기 작업자의 위치를 모니터링한다.
RSSI를 이용하여 상기 작업자의 위치를 산출하는 것은 비콘 송신기와 비콘 수신기의 거리에 따라 비콘신호의 세기(즉, RSSI)가 달라지는 점을 이용하여, 소정의 수식에 따라 상기 RSSI에 따라 각 비콘 수신기와 상기 비콘 송신기의 거리를 상대적으로 산출하여 삼각측량법을 통해 상기 작업자의 위치를 계산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스마트 안전 플랫폼(100)은 사전에 저장한 현장 맵에 상기 작업자의 위치를 모니터링한 결과를 표시하여 현장 감독자가 구비한 무선통신 단말로 제공함으로써 상기 작업자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통해 현장 감독자는 현장에서 상기 작업자의 이탈여부나 작업자의 총 인원 등을 손쉽게 파악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준수 이행여부를 모니터링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도면이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안전 플랫폼(100)은 현장 센서데이터를 활용하여 현장에 위치하는 작업자에 대한 안전준수 이행여부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스마트 안전 플랫폼(100)은 현장 센서데이터 중 작업자에 대한 안전준수 이행여부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현장 센서데이터를 선별하여 상기 작업자의 안전준수 이행여부를 모니터링한다.
이때, 작업자의 안전준수 이행여부를 모니터링하기 위해 선별한 현장 센서데이터는 작업자에게 할당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로부터 수신한 현장 센서데이터이다. 또한 안전준수 이행여부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센서는 안전모 착용 감지센서, 턱끈 착용 감지센서, 안전고리 체결 감지센서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성되며 작업자에게 할당된 안전도구(안전모, 안전고리)에 부착되어 상기 작업자에게 할당된다.
또한 안전모 착용 감지센서는 작업자의 안전모 착용 여부를 감지하며, 턱끈 착용 감지센서는 작업자가 안전모를 착용하였을 때 해당 안전모에 구비된 턱끈의 착용 여부를 감지하고, 안전고리 체결 감지센서는 현장에 구비되어 작업자의 낙상을 방지하기 위한 안전 바에 안전고리의 체결 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것이다.
한편, 안전준수 이행여부를 모니터링하기 위해서는 작업자의 위치로 같이 파악해야 하므로, 작업자에게 할당된 센서는 작업자가 구비한 비콘 송신기와 연동하여 비콘 송신기를 통해 안전모 착용 여부, 턱끈 착용 여부, 안전고리 체결 여부 또는 이들의 조합을 비콘 수신기를 통해 스마트 안전 플랫폼(100)으로 전송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스마트 안전 플랫폼(100)은 사전에 저장한 현장 맵에 상기 작업자의 안전준수 이행여부를 모니터링한 결과를 표시하여 현장 감독자가 구비한 무선통신 단말로 제공함으로써 상기 작업자의 안전준수 이행여부를 위치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통해 현장 감독자는 작업자의 안전준수 이행여부를 간편하게 확인하여 안전전수를 이행하지 않은 작업자에 대한 조치를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 것과 같이, 현장 센서데이터를 송신하는 각각의 센서는 현장의 특정 장소나 설비에 설치되는 것뿐만 아니라 작업자에게 할당된 센서를 포함하는 개념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니터링 결과를 표시한 현장 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안전 플랫폼(100)은 이상징후의 발생위치, 작업자의 위치, 작업자의 안전준수 이행여부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모니터링 결과를 사전에 저장한 현장 맵에 표시하여 현장 감독자 단말로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현장 맵은 해당 현장을 사전에 모델링하여 생성한 것으로 3D 혹은 2D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현장 맵은 상기 현장의 각 장소별로 생성될 수 있다.
한편, 스마트 안전 플랫폼(100)은 이상징후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현장 맵을 통해 모니터링한 결과를 제공하는 것 이외에, 현장에 설치된 복수의 스피커, 작업자나 현장 감독자가 구비한 무선통신 단말 혹은 스마트 무전기로 해당 이상징후의 발생에 대한 상황을 우선적으로 전파함은 상술한 바와 같다.
또한 스마트 안전 플랫폼(100)은 작업자의 안전준수 이행여부를 표시할 때, 안전준수를 이행하지 않은 작업자에 대해서는 안전준수를 이행하고 있는 작업자와 구별하기 위한 색깔(예: 빨간색 혹은 검정색)로 표시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라이빗 무선통신 스마트 안전 플랫폼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안전 플랫폼(100)은 안전관리와 관련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외부 시스템과 현장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로부터 센서데이터를 수집하는 센서데이터 수집부(110), 상기 수집한 각 센서데이터를 상기 적하나 이상의 외부 시스템과 공유하는 센서데이터 공유부(120) 및 상기 현장에 대한 안전을 관리하기 위한 패트롤부(1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센서데이터 수집부(110)는 안전관리와 관련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외부 시스템(즉, 안전관리 시스템)으로부터 각 외부 시스템별로 고유의 목적에 따라 수집한 각 센서데이터를 수집하는 시스템 센서데이터 수집부(111) 및 현장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로부터 각각의 현장 센서데이터를 수집하는 현장 센서데이터 수집부(11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각 외부 시스템과의 통신은 공용통신 혹은 프라이빗 무선통신을 기반으로 수행되며, 각 센서와의 통신은 프라이빗 무선통신을 기반으로 수행되며, 상기 공용통신과 프라이빗 무선통신은 공통의 표준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수행됨은 상술한 바와 같다.
또한 센서데이터 공유부(120)는 시스템 센서데이터와 현장 센서데이터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외부 시스템과 공유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를 통해 상기 개별적인 외부 시스템에서 보다 효율적으로 감독 사각지대 없이 재난감시나 안전관리 혹은 설비 감시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패트롤부(130)는 현장 센서데이터를 이용하여 현장에 대한 이상징후가 발생하면 상기 현장, 현장 감독자, 작업자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한 관련 장소나 관련자에게 상기 이상징후의 발생에 대한 상황을 전파하여 신속한 조치를 수행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패트롤부(130)에 대한 상세한 구성은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패트롤부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패트롤부(130)는 현장 센서데이터 수집부(112)를 통해 수집한 현장 센서데이터를 활용하여 현장에 대한 이상징후의 발생, 작업자의 위치, 작업자의 안전준수 이행여부 또는 이들의 조합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것으로, 이상징후 모니터링부(131), 작업자 위치 모니터링부(132), 안전준수 모니터링부(133), 모니터링 결과 제공부(134) 및 작업 확인부(13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이상징후 모니터링부(131)는 현장 센서데이터를 참조하여 이상징후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현장 센서데이터를 선별하여 상기 선별한 현장 센서데이터를 이용하여 해당 현장에 대한 이상징후의 발생을 모니터링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작업자 위치 모니터링부(122)는 현장 센서데이터를 참조하여 현장 센서데이터 중 위치 감지센서(비콘 송신기)를 통해 수집한 현장 센서데이터를 선별하여 상기 선별한 현장 센서데이터를 이용하여 해당 현장에 위치하는 작업자에 대한 위치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안전준수 모니터링부(133)는 현장 센서데이터를 참조하여 현장 센서데이터 중 작업자에게 할당된 센서를 통해 수집한 현장 센서데이터를 선별하여 상기 선별한 현장 센서데이터를 이용하여 각 작업자에 대한 안전준수 이행여부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한편 이상징후의 발생, 작업자의 위치 및 작업자의 안전준수 이행여부를 모니터링하는 것은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각각 설명하였으므로 여기서는 생략하도록 한다.
또한 모니터링 결과 제공부(134)는 이상징후의 발생, 작업자의 위치, 작업자의 안전준수 이행여부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한 모니터링 결과를 제공하는 기능을 수해한다.
이때, 모니터링 결과 제공부(134)는 모니터링 결과 현장에 대한 이상징후가 발생하였으면, 현장에 설치한 복수의 스피커, 작업자 및 현장 감독자가 구비한 스마트 무전기 혹은 무선통신단말 또는 이들의 조합을 통해 상기 이상징후의 발생에 대한 상황을 신속하게 전파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모니터링 결과 제공부(134)는 각 모니터링한 결과를 사전에 저장한 현장 맵에 표시하여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작업 확인부(135)는 현장의 위험작업 허가여부, 위험작업에 대한 사전 안전조치 이행여부, 상기 위험작업의 일정 또는 이들의 조합을 확인하여 현장 감독자에게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작업 확인부(135)는 현장의 설비를 관리하고 정비하기 위한 설비정비관리 시스템으로부터 안전작업 허가서를 공유받아 상기 안전작업 허가서를 참조하여 위험작업 허가여부, 위험작업에 대한 사전 안전조치 이행여부, 상기 위험작업의 일정 또는 이들의 조합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패트롤부(130)는 스마트 안전 플랫폼(100)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 하지만, 외부 시스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구비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라이빗 무선통신 스마트 안전 플랫폼의 운용 절차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안전 플랫폼(100)의 운용 절차는 우선, 상기 스마트 안전 플랫폼(100)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외부 시스템과 현장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로부터 센서데이터를 수집하는 센서데이터 수집 단계를 수행한다(S110).
이때, 센서데이터 수집 단계는 안전관리와 관련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외부 시스템으로부터 시스템 센서데이터를 수집하는 시스템 센서데이터 수집 단계와 현장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로부터 현장 센서데이터를 수집하는 현장 센서데이터 수집 단계를 수행하여 상기 각 센서데이터를 수집한다.
다음으로 스마트 안전 플랫폼(100)은 수집한 현장 센서데이터와 시스템 센서데이터를 포함하는 각 센서데이터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외부 시스템과 공유하는 공유 단계를 수행한다(S120). 상기 센서데이터를 공유하는 것은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므로 더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음으로 스마트 안전 플랫폼(100)은 현장 센서데이터를 이용하여 현장에 대한 이상징후의 발생, 작업자의 위치, 작업자의 안전준수 여부 또는 이들의 조합을 모니터링하는 패트롤 단계(S130)를 수행한다.
상기 패트롤 단계는 현장에 대한 이상징후의 발생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는 이상징후 모니터링 단계(S131), 작업자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는 작업자 위치 모니터링 단계(S132), 상기 작업자의 안전준수 이행여부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는 안전준수 모니터링 단계(S133) 및 상기 각 모니터링한 결과를 제공하는 모니터링 결과 제공 단계(S13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각 모니터링 단계는 현장 센서데이터 중 해당 모니터링에 필요한 현장 센서데이터를 선별하여 모니터링을 수행하며, 상기 선별하는 것은 도 3 내지 도 5 및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음으로 더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또한 모니터링 결과 제공 단계는 이상징후를 모니터링한 결과 현장에 대한 이상징후가 발생한 경우, 상기 현장, 작업자, 현장 감독자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한 관련 장소나 관련자에게 상기 이상징후의 발생에 대한 상황을 우선 전파하며, 상기 각 모니터링한 결과를 현장 맵에 표시하여 제공한다.
한편 도 9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패트롤 단계는 현장에 대한 위험작업 허가여부, 위험작업에 대한 사전 안전조치 이행여부, 상기 위험작업의 일정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작업 확인 단계를 더 포함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라이빗 무선통신 스마트 안전 플랫폼을 구현하는 컴퓨터의 하드웨어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에 도시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라이빗 무선통신 스마트 안전 플랫폼(100)을 구현하는 컴퓨터(혹은 서버)의 하드웨어 구조는, 중앙처리장치(1000), 메모리(2000), 사용자 인터페이스(3000), 데이터베이스 인터페이스(4000), 네트워크 인터페이스(5000), 웹 서버(6000)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300)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 graphical user interface)를 사용하여 사용자(현장 감독자)에게 입력과 출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여 데이터베이스 인터페이스(4000)는 데이터베이스(200)와 하드웨어 구조 사이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는 사용자가 네트워크를 통해 스마트 안전 플랫폼(100)에 디바이스(통신단말)로 액세스하기 위한 수단을 제공한다. 사용자들은 원격에서 웹 서버로 접속하여 상기 스마트 안전 플랫폼(100)을 이용할 수 있다.
상술한 구성 또는 방법의 각 단계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코드로 구현되거나 전송 매체를 통해 전송될 수 있으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해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데이터 저장 디바이스이다.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의 예로는 데이터베이스, ROM, RAM, CD-ROM, DVD,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및 광학 데이터 저장 디바이스가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전송매체는 인터넷 또는 다양한 유형의 통신 채널을 통해 전송되는 반송파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는 컴퓨터 판독 가능 코드가 분산 방식으로 저장되고, 실행되도록 네트워크 결합 컴퓨터 시스템을 통해 분배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적용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는 각각의 기능을 수행하는 중앙처리장치(CPU)(1000), 마이크로프로세서 등과 같은 프로세서를 포함하거나 이에 의해 구현될 수 있으며, 상기 구성요소 중 둘 이상은 하나의 단일 구성요소로 결합되어 결합된 둘 이상의 구성요소에 대한 모든 동작 또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적용된 적어고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의 일부는 이들 구성요소 중 다른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될 수 있으며 상기 각 구성요소들 간의 통신은 버스(미도시)를 통해 수행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은 안전관리와 관련한 각종 시스템간의 정보(센서데이터)를 공유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센서데이터의 효율적 운영을 통해 현장에 대한 안전관리 수준을 향상시키고, 현장에 대한 이상징후의 발생, 작업자의 위치, 작업자의 안전준수 여부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여 파악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판단되어야 할 것이다.
100: 프라이빗 무선통신 스마트 안전 플랫폼
110: 센서데이터 수집부 111: 시스템 센서데이터 수집부
112: 현장 센서데이터 수집부 120: 센서데이터 공유부
130: 패트롤부 131: 이상징후 모니터링부
132: 작업자 위치 모니터링부 133: 안전준수 모니터링부
134: 모니터링 결과 제공부 135: 작업 확인부
200: 데이터베이스

Claims (12)

  1. 프라이빗 무선통신 스마트 안전 플랫폼에 있어서,
    특정 안전관리 현장에 대한 복수의 안전관리 시스템으로부터 공용통신을 기반으로 센서데이터를 수집하는 시스템 센서데이터 수집부;
    상기 안전관리 현장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로부터 프라이빗 무선통신을 기반으로 현장 센서데이터를 수집하는 현장 센서데이터 수집부; 및
    상기 시스템 센서데이터 및 현장 센서데이터를 상기 복수의 안전관리 시스템과 공유하는 센서데이터 공유부;를 포함하며,
    상기 공유를 통해, 상기 안전관리 현장에 대하여 각 상기 안전관리 시스템에서 고유의 목적에 따른 재난상황 뿐만 아니라 복합적인 재난상황의 발생을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센서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메시지 포맷, 상기 센서와 안전관리 시스템의 등록 및 해지를 위한 메시지 포맷, 오류검출 방식, 전송속도, 인증방식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여 상기 센서데이터를 상기 공용통신과 프라이빗 무선통신을 통해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 상기 스마트 안전 플랫폼과 각 상기 안전관리 시스템에서 공통으로 사용하는 사전에 규정한 표준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별도의 변환과정 없이 송수신하도록 하며,
    상기 프라이빗 무선통신은, 상기 공용통신을 기반으로 하는 안전관리 시스템과의 통신과 분리된 무선통신이며,
    각 상기 안전관리 시스템은, 상기 스마트 안전 플랫폼의 외부에 설치된 외부 시스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라이빗 무선통신 스마트 안전 플랫폼.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안전 플랫폼은,
    상기 현장 센서데이터를 이용하여 모니터링한 결과 상기 안전관리 현장에 이상징후가 발생하면 작업자, 상기 현장, 현장 감독자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한 관련 장소나 관련자에게 상기 이상징후의 발생에 대한 상황을 전파하는 패트롤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라이빗 무선통신 스마트 안전 플랫폼.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패트롤부는,
    상기 현장 센서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현장에 대한 이상징후의 발생을 모니터링하는 이상징후 모니터링부;
    상기 현장 센서데이터를 이용하여 작업자의 위치를 모니터링하는 위치 모니터링부; 및
    상기 현장 센서데이터 중 작업자에게 할당된 센서를 통해 수집한 센서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작업자의 안전준수 이행여부 모니터링하는 안전준수 모니터링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라이빗 무선통신 스마트 안전 플랫폼.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패트롤부는,
    상기 안전관리 현장에 대한 위험작업 허가여부, 위험작업에 대한 안전조치 사전 이행여부, 상기 위험작업의 일정 또는 이들의 조합을 확인하는 작업 확인부; 및
    사전에 저장한 상기 안전관리 현장에 대한 맵에 상기 이상징후가 발생한 위치, 상기 작업자의 위치, 상기 작업자별 안전준수 이행여부 또는 이들의 조합을 표시하여 제공하는 모니터링 결과 제공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라이빗 무선통신 스마트 안전 플랫폼.
  6.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패트롤부는, 상기 프라이빗 무선통신 대신에 공용통신을 기반으로 상기 센서데이터를 수집하는 상기 안전관리 시스템 중 하나에 구비되거나,
    상기 안전관리 시스템은, 상기 공용통신 대신에 상기 프라이빗 무선통신을 기반으로 상기 센서데이터를 수집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라이빗 무선통신 스마트 안전 플랫폼.
  7. 프라이빗 무선통신 스마트 안전 플랫폼 운용방법에 있어서,
    특정 안전관리 현장에 대한 복수의 안전관리 시스템으로부터 공용통신을 기반으로 센서데이터를 수집하는 시스템 센서데이터 수집 단계;
    상기 안전관리 현장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로부터 프라이빗 무선통신을 기반으로 현장 센서데이터를 수집하는 현장 센서데이터 수집 단계; 및
    상기 시스템 센서데이터 및 현장 센서데이터를 상기 복수의 안전관리 시스템과 공유하는 센서데이터 공유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공유를 통해, 상기 안전관리 현장에 대하여 각 상기 안전관리 시스템에서 고유의 목적에 따른 재난상황 뿐만 아니라 복합적인 재난상황의 발생을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센서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메시지 포맷, 상기 센서와 안전관리 시스템의 등록 및 해지를 위한 메시지 포맷, 오류검출 방식, 전송속도, 인증방식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여 상기 센서데이터를 상기 공용통신과 프라이빗 무선통신을 통해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 상기 스마트 안전 플랫폼과 각 상기 안전관리 시스템에서 공통으로 사용하는 사전에 규정한 표준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별도의 변환과정 없이 송수신하도록 하며,
    상기 프라이빗 무선통신은, 상기 공용통신을 기반으로 하는 안전관리 시스템과의 통신과 분리된 무선통신이며,
    각 상기 안전관리 시스템은, 상기 스마트 안전 플랫폼의 외부에 설치된 외부 시스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라이빗 무선통신 스마트 안전 플랫폼 운용방법.
  8. 삭제
  9.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안전 플랫폼 운용방법은,
    상기 현장 센서데이터를 이용하여 모니터링한 결과 상기 안전관리 현장에 이상징후가 발생하면 작업자, 상기 현장, 현장 감독자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한 관련 장소나 관련자에게 상기 이상징후의 발생에 대한 상황을 전파하는 패트롤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라이빗 무선통신 스마트 안전 플랫폼 운용방법.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패트롤 단계는,
    상기 현장 센서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현장에 대한 이상징후의 발생을 모니터링하는 이상징후 모니터링 단계;
    상기 현장 센서데이터를 이용하여 작업자의 위치를 모니터링하는 위치 모니터링 단계; 및
    상기 현장 센서데이터 중 작업자에게 할당된 센서를 통해 수집한 센서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작업자의 안전준수 이행여부 모니터링하는 안전준수 모니터링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라이빗 무선통신 스마트 안전 플랫폼 운용방법.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패트롤 단계는,
    상기 안전관리 현장에 대한 위험작업 허가여부, 위험작업에 대한 안전조치 사전 이행여부, 상기 위험작업의 일정 또는 이들의 조합을 확인하는 작업 확인 단계; 및
    사전에 저장한 상기 안전관리 현장에 대한 맵에 상기 이상징후가 발생한 위치, 상기 작업자의 위치, 상기 작업자별 안전준수 이행여부 또는 이들의 조합을 표시하여 제공하는 모니터링 결과 제공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라이빗 무선통신 스마트 안전 플랫폼 운용방법.
  12.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패트롤 단계는, 상기 프라이빗 무선통신 대신에 공용통신을 기반으로 상기 센서데이터를 수집하는 상기 안전관리 시스템 중 하나에서 수행되며,
    상기 안전관리 시스템은, 상기 공용통신 대신에 상기 프라이빗 무선통신을 기반으로 상기 센서데이터를 수집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라이빗 무선통신 스마트 안전 플랫폼 운용방법.
KR1020210099623A 2021-07-29 2021-07-29 프라이빗 무선통신 스마트 안전 플랫폼 KR1024405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9623A KR102440544B1 (ko) 2021-07-29 2021-07-29 프라이빗 무선통신 스마트 안전 플랫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9623A KR102440544B1 (ko) 2021-07-29 2021-07-29 프라이빗 무선통신 스마트 안전 플랫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40544B1 true KR102440544B1 (ko) 2022-09-06

Family

ID=832812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99623A KR102440544B1 (ko) 2021-07-29 2021-07-29 프라이빗 무선통신 스마트 안전 플랫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40544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97933A (ko) * 2015-02-10 2016-08-18 주식회사 주빅스 환경 재난, 재해 조기감지를 위한 대기질 예측 및 관리 시스템
KR20180032232A (ko) * 2016-09-21 2018-03-30 주식회사 인터티 산업현장 안전관리 시스템 및 이의 제어 방법
KR20180046813A (ko) * 2016-10-28 2018-05-09 주식회사 서안에스앤씨 건설현장 작업자 안전장구 착용 유무 감시 시스템
KR20190092442A (ko) * 2016-11-14 2019-08-07 리파이프 타이 리미티드 현장의 위험 관리를 위한 정보를 제공 및 수신하는 방법 및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97933A (ko) * 2015-02-10 2016-08-18 주식회사 주빅스 환경 재난, 재해 조기감지를 위한 대기질 예측 및 관리 시스템
KR20180032232A (ko) * 2016-09-21 2018-03-30 주식회사 인터티 산업현장 안전관리 시스템 및 이의 제어 방법
KR20180046813A (ko) * 2016-10-28 2018-05-09 주식회사 서안에스앤씨 건설현장 작업자 안전장구 착용 유무 감시 시스템
KR20190092442A (ko) * 2016-11-14 2019-08-07 리파이프 타이 리미티드 현장의 위험 관리를 위한 정보를 제공 및 수신하는 방법 및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14228B1 (ko) Iot기반 건설현장 실시간 위치추적 및 영상 안전관제 시스템
KR101872314B1 (ko) 건설현장 작업자 안전장구 착용 유무 감시 시스템
KR101910480B1 (ko) IoT 전용망 기반 밀폐공간 모니터링 시스템
KR102126281B1 (ko) 사물인터넷 기반 스마트 화재감지기 및 이를 이용한 화재감지시스템
KR101339928B1 (ko) 위치기반의 통합형 무선 선박 관리 시스템
KR102072380B1 (ko) Uwb 초광대역통신기반의 접근경보모듈을 이용한 지능형 중장비 안전 원격관제시스템
KR102488939B1 (ko) 건설현장 통합 안전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안전관리방법
JP5260955B2 (ja) 異常検知支援システム
KR101583184B1 (ko) 재난 감지 시스템
KR102028201B1 (ko) 실시간 작업자 안전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CN104260686A (zh) 公交车安全控制方法及系统
KR101845942B1 (ko) 위험 상황 감지 및 대피 알림 시스템
KR101643263B1 (ko) 휴대용 비컨을 이용한 안전관리 시스템
KR102140829B1 (ko) 스마트헬멧을 이용한 위험상황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070715B1 (ko) 관리 대상의 안전 감시 시스템
KR20160059105A (ko) 산업현장 안전관리 시스템
KR101974281B1 (ko) 안전 장비 착용 장려 시스템 및 이의 동작 방법
KR101490373B1 (ko) 건설현장 및 산업현장의 작업인력 재해 인식 안전 단말기 및 안전 관리 시스템
KR102440544B1 (ko) 프라이빗 무선통신 스마트 안전 플랫폼
KR102538621B1 (ko) 공정안전관리 대상 사업장에 대한 안전관리 방법
KR102253851B1 (ko) 유해물질에 의한 작업자 사고 예방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하여 밀폐공간 작업자의 사고를 예방하는 방법
KR102164508B1 (ko) 안전보호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1377706B1 (ko) 위치기반의 무선 선박 관리 시스템
KR20140057443A (ko) 선박의 화재 경보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화재 경보 감시 방법
KR102274059B1 (ko) 사고위험을 알리는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