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90426A - 지능형 지진 조기 경보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지능형 지진 조기 경보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90426A
KR20180090426A KR1020170015176A KR20170015176A KR20180090426A KR 20180090426 A KR20180090426 A KR 20180090426A KR 1020170015176 A KR1020170015176 A KR 1020170015176A KR 20170015176 A KR20170015176 A KR 20170015176A KR 20180090426 A KR20180090426 A KR 201800904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ilding
optical
earthquake
buildings
early war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151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왕규
이영욱
한진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10201700151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90426A/ko
Priority to PCT/KR2018/000318 priority patent/WO2018143572A2/ko
Priority to JP2019542125A priority patent/JP6830160B2/ja
Publication of KR201800904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9042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10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calamitous events, e.g. tornados or earthquak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21/00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21/02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by means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HMEASUREMENT OF MECHANICAL VIBRATIONS OR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 G01H17/00Measuring mechanical vibrations or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group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PMEASURING LINEAR OR ANGULAR SPEED,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SHOCK; INDICATING PRESENCE, ABSENCE, OR DIRECTION, OF MOVEMENT
    • G01P3/00Measuring linear or angular speed; Measuring differences of linear or angular speeds
    • G01P3/36Devic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means, e.g. using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V1/008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VGEOPHYSICS; GRAVITATIONAL MEASUREMENTS; DETECTING MASSES OR OBJECTS; TAGS
    • G01V1/00Seismology; Seismic or acoustic prospecting or detecting
    • G01V1/01Measuring or predicting earthquak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VGEOPHYSICS; GRAVITATIONAL MEASUREMENTS; DETECTING MASSES OR OBJECTS; TAGS
    • G01V1/00Seismology; Seismic or acoustic prospecting or detecting
    • G01V1/16Receiving elements for seismic signals; 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receiving elemen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VGEOPHYSICS; GRAVITATIONAL MEASUREMENTS; DETECTING MASSES OR OBJECTS; TAGS
    • G01V8/00Prospecting or detecting by optical means
    • G01V8/10Detecting, e.g. by using light barrier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1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wireless transmission syste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7/00Alarm systems in which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from a central station to a plurality of subst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VGEOPHYSICS; GRAVITATIONAL MEASUREMENTS; DETECTING MASSES OR OBJECTS; TAGS
    • G01V2200/00Details of seismic or acoustic prospecting or detecting in general
    • G01V2200/10Miscellaneous detai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ology (AREA)
  • Geophysics (AREA)
  • Remote Sensing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Geophysics And Detection Of Objects (AREA)

Abstract

지진 발생 조기 경보 시스템이 지진 발생을 조기에 경보하기 위하여, 복수의 건물 각각의 제1 위치에 설치된 광 가속도계로부터 광케이블을 통해 전송되는 복수의 광 가속도 신호를 토대로, 진동이 발생한 제1 건물이 있는지 확인한다. 진동이 발생한 제1 건물이 있으면, 제1 건물에 인접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건물들로부터 각각 전송된 광 가속도 신호를 토대로 제2 건물들에 진동이 발생하였는지 확인하고, 제2 건물들에도 진동이 발생한 것으로 확인하면 지진이 발생한 것으로 감지한다.

Description

지능형 지진 조기 경보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intelligent earthquake early warning}
본 발명은 지능형 지진 조기 경보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국내에서도 규모 5.8의 지진이 발생한 이후로 여진이 자주 발생함에 따라 재난 안전에 대한 이슈가 부상하고 있다. 이와 같은 상황에서 지진을 조기에 관측하고 알리기 위해, 지진 정보 알리미 서비스가 운영되고 있다.
지진 정보 알리미 서비스는 규모 5.0 이상의 지진이 발생할 때, 50초 안에 정보를 전파하여 준다. 지진 정보 알리미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지진 관측소가 206곳 운영되고 있다.
그러나, 지진 관측소에 설치된 지진 가속도 계측기의 관리 부실로 신속한 경보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지 못하다. 즉, 지진 가속도 계측기 4대 중 1대가 지진 발생을 감지하지 못하거나 지진 감지에 대한 정보가 없으며, 전국 814개 공공 시설물에 지진 가속도계 설치가 의무화되고 있으나 71.2%만이 설치하고 있는 상황이다.
또한, 많은 예산이 투입된 계측기가 부실한 관리로 인하여 제 역할을 다하지 못하고 있다. 그리고 데이터의 송수신 오류 등 지진 가속도 계측기의 비정상적인 동작시에도, 하자 기간이 종료됨에 따라 신속한 유지 관리가 불가하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광 센서와 IoT 센서를 이용하여 지진을 조기에 감지하여 경보를 제공하는 지능형 지진 조기 경보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하나의 특징인 지진 발생을 조기에 경보하는 시스템은,
건물의 제1 위치에 설치되어 있는 광 가속도계로부터, 상기 광 가속도계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광 가속도 신호를 수신하는 스플리터; 상기 스플리터가 수신한 광 가속도 신호를 토대로, 복수의 인접한 건물 각각의 광 가속도계에서 전송된 광 가속도 신호를 토대로 진동이 발생한 것으로 확인하면, 지진이 발생한 것으로 감지하는 광센싱 계측부; 및 광센싱 계측부가 지진이 발생한 것으로 감지하면, 미리 등록된 단말로 지진 발생 메시지를 전송하는 조기 경보부를 포함한다.
상기 광센싱 계측부는, 제1 건물의 제1 광 가속도계에서 전송한 제1 광 가속도 신호를 토대로 상기 제1 건물에 진동이 발생하였는지 확인하고, 진동이 발생하였으면 상기 제1 광 가속도 신호에 포함된 식별 정보를 토대로 상기 제1 건물에 인접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건물들을 확인하고, 상기 제2 건물들의 제2 광 가속도계에서 전송된 제2 광 가속도 신호를 토대로 상기 제2 건물들에 진동이 발생하였는지 확인하며, 상기 제2 건물들에도 진동이 발생한 것으로 확인하면, 지진이 발생한 것으로 감지할 수 있다.
상기 광센싱 계측부는, 상기 제1 건물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건물들의 제2 위치에 설치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무선 가속도계로 각각의 건물에 대한 가속도 정보를 요청하는 제어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제2 위치에 설치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무선 가속도계가 각각 수집한 가속도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인 지진 발생 조기 경보 시스템이 지진 발생을 조기에 경보하는 방법은,
복수의 건물 각각의 제1 위치에 설치된 광 가속도계로부터 광케이블을 통해 전송되는 복수의 광 가속도 신호를 토대로, 진동이 발생한 제1 건물이 있는지 확인하는 단계; 진동이 발생한 제1 건물이 있으면, 상기 제1 건물에 인접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건물들로부터 각각 전송된 광 가속도 신호를 토대로 상기 제2 건물들에 진동이 발생하였는지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건물들에도 진동이 발생한 것으로 확인하면, 지진이 발생한 것으로 감지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지진이 발생한 것으로 감지하는 단계 이후에, 미리 설정된 단말로 지진 발생 알림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진이 발생한 것으로 감지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제1 건물 및 제2 건물들의 제2 위치에 설치된 무선 가속도계로 가속도 정보를 요청하는 단계; 및 상기 요청된 가속도 정보를 토대로 상기 제1 건물 및 제2 건물들에서 각각 측정한 흔들림 정도를 포함하는 가속도 정보를 무선 통신으로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무선 통신으로 수신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제1 건물 및 제2 건물들의 제3 위치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들로, 상기 제1 건물 및 제2 건물들 내부에 설치된 설치물을 제어하도록 제어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기존의 네트워크를 활용하여 지진을 감지하는 시스템을 구축하기 때문에, 저렴한 비용으로 지진을 빠르게 감지하여 조기에 경보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지진 조기 경보 서비스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진 조기 경보 시스템이 적용된 환경의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진 조기 경보 시스템의 구조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진 조기 경보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단말(terminal)은, 이동국(Mobile Station, MS), 이동 단말(Mobile Terminal, MT), 가입자국(Subscriber Station, SS), 휴대 가입자국(Portable Subscriber Station, PSS), 사용자 장치(User Equipment, UE), 접근 단말(Access Terminal, AT) 등을 지칭할 수도 있고, 이동 단말, 가입자국, 휴대 가입자 국, 사용자 장치 등의 전부 또는 일부의 기능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진 조기 경보 시스템 및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기 앞서, 일반적인 지진 조기 경보 서비스에 대해 도 1을 참조로 먼저 설명한다.
도 1은 일반적인 지진 조기 경보 서비스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인 지진통보 시스템(10)은 지진 분석 시스템(20)으로부터 전송되는 지진 발생 신호를 수신하여, Fax, 스마트 폰, PC 등 다양한 단말(30)들에 여러 가지 형태로 지진 발생 여부를 알린다.
이와 더불어, 종합 기상 정보 시스템(40)과 전국 지진 통보 시스템(50)으로 지진 발생 여부를 알려, 사용자들이 홈페이지나 포털 서비스를 통해 지진이 발생함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국민 안전처와 방송통신위원회로도 지진 발생 여부를 전달하여, TV를 통해서도 지진이 발생하였음을 알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형태로 지진의 조기 경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지진 분석 시스템(20)은 공공 시설물 등에 설치되어 있는 지진 가속도계를 통해 전송되는 신호를 분석하여, 지진 또는 지진 해일이 발생하였음을 판단하게 된다. 이때, 지진 가속도계의 관리 부실로 인하여 지진 발생을 감지하지 못할 수 있다. 또한, 지진 가속도계에서 지진 분석 시스템(20)으로 신호를 전송하더라도, 신호의 송수신 오류가 발생하여 지진 분석 시스템(20) 또는 지진 가속도계의 비정상적인 동작에도 불구하고, 유지관리 기간이 종료됨에 따라 신속한 보수가 어려워 지진 통보가 불가능한 경우도 발생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광케이블을 활용하여 저렴한 비용으로 신속하게 지진을 조기 감지하여 경보를 제공하는 지진 조기 경보 시스템에 대해 제안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진 조기 경보 시스템이 적용된 환경의 예시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진 조기 경보 시스템(100)은 복수의 건물(예를 들어, 통신사 국사, 분국, 일반 건물 등) 지하에 각각 설치되어 있는 광 가속도계(200)와 광케이블로 연결되어 있다. 광 가속도계(200)는 건물의 지하 진동을 감지하여 광 가속도 신호를 생성한다.
여기서, 광 가속도계(200)는 광섬유 자체의 전송 특성이 가속도에 의해 변화되는 것을 이용하여 건물의 진동을 감지한다. 광 가속도계(200)가 건물의 진동을 감지하여 광 가속도 신호를 생성하는 방법은 다양하게 수행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그리고, 지진 조기 경보 시스템(100)은 복수의 건물에 각각 설치되어 있는 복수의 IoT 센서(300, 500)와도 연동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건물에 설치된 IoT 센서로는 무선 가속도계(300)를, 건물 내에 설치된 IoT 센서로는 엘리베이터나 가스 배관을 제어하는 제어 센서(500)를 예를 들어 설명하나, 반드시 이와 같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무선 가속도계(300)는 하나의 건물 내에 복수 개 설치되는 것을 예로 하여 설명한다.
지진 조기 경보 시스템(100)은 광 가속도계(200)로부터 진동 감지 신호인 광 가속도 신호를 각각 수신한다. 광 가속도계(200)는 건물의 지하 진동을 감지하여 광 가속도 신호로 전송하므로, 지진 조기 경보 시스템(100)은 수신한 복수의 광 가속도 신호를 토대로 건물 지하에 진동이 발생하였는지 확인한다.
그리고, 복수의 인접 건물에 진동이 감지되어 지진 발생으로 판단하면, 지진 조기 경보 시스템(100)은 건물에 설치된 무선 가속도계(300)로 건물에 대한 가속도 정보를 수집할 것을 요청한다. 이와 동시에 미리 저장된 단말(400)로 지진이 발생하였음을 알리는 지진 발생 알림 메시지를 전송한다.
무선 가속도계(300)는 지진 조기 경보 시스템(100)으로부터 무선 가속도계 제어 신호를 수신하면, 상태 정보를 대기 상태에서 온 상태로 전환한다. 즉, 무선 가속도계(300)는 광 가속도계(200)와 달리 평상시에는 건물의 진동을 감지하지 않고, 광 가속도계(200)에서 건물의 진동을 감지하여 지진 발생으로 확인한 경우에만 지진 조기 경보 시스템(100)의 제어에 의해 전원이 켜지면서 진동을 감지한다.
무선 가속도계(300)는 하나의 건물에 복수 개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무선 가속도계(300)가 건물의 흔들림 정도를 확인하는 방법은 이미 알려져 있는 사항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지진 조기 경보 시스템(100)은 제어 센서(500)로 제어 신호를 전송하여, 엘리베이터나 가스 배관이 제어되도록 한다. 제어 센서(500)는 지진 조기 경보 시스템(100)의 제어 신호를 토대로, 엘리베이터나 가시 배관의 움직임 또는 상태를 제어한다. 제어 센서(500)의 기능은 이미 알려진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환경에서 지진 조기 경보 시스템(100)의 구조에 대해 도 3을 참조로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진 조기 경보 시스템의 구조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진 조기 경보 시스템(100)은 스플리터(110), 광센싱 계측부(120) 및 조기 경보부(130)를 포함한다.
스플리터(110)는 복수의 광 가속도계(200)로부터 전송되는 광 가속도 신호를 수신한다. 광 가속도 신호에는 진동을 인지하여 광 가속도 신호를 생성한 광 가속도계(200)의 식별 정보 또는 광 가속도계(200)의 위치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 스플리터(110)의 기능은 이미 알려진 사항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스플리터(110)가 n개의 광 가속도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것을 예로 하여 설명한다.
광센싱 계측부(120)는 스플리터(110)를 통해 광 가속도계(200)로부터 광 가속도 신호를 수신하면, 광 가속도 신호를 토대로 건물에 진동이 발생하였는지 확인한다. 광센싱 계측부(120)가 광 가속도 신호에서 건물의 진동 발생 여부를 확인하는 방법은 여러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어느 하나의 방법으로 한정하지 않는다.
그리고, 임의의 건물에 진동이 발생한 것으로 확인하면, 광센싱 계측부(120)는 스플리터(110)를 통해 수신한 복수의 광 가속도 신호 중 진동이 발생한 것으로 확인한 임의의 건물에 인접한 다른 건물의 광 가속도계(200')에서 전송한 광 가속도 신호를 확인한다. 만약 인접한 다른 건물에 대한 광 가속도 신호를 통해 인접한 건물에 진동이 발생한 것으로 확인하면, 광센싱 계측부(120)는 해당 지역에 지진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한다.
광센싱 계측부(120)는 지진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면, 조기 경보부(130)를 통해 단말(300)로 지진 발생 알림 메시지를 전송할 것을 요청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조기 경보부(130)가 지진 조기 경보 시스템(100) 내에 포함되어 있는 것을 예로 하여 설명하나, 광센싱 플랫폼과 같이 외부에 별도의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될 수 있다. 조기 경보부(130)가 별도로 구현될 경우, 광센싱 계측부(120)와 조기 경보부(130)는 전용 회선 또는 기타 통신 회선을 통해 연결된다.
광센싱 계측부(120)는 무선 가속도계(300)로 제어 신호를 전송한다. 이때, 제어 신호는 대기 상태의 무선 가속도계(300)의 상태가 온 상태로 변경되어 가속도 정보를 수집하는 것을 요청하는 신호이다. 이를 위해, 광센싱 계측부(120)는 무선 가속도계(300)와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광센싱 계측부(120)는 무선 가속도계(300)들이 전송하는 복수의 가속도 정보를 수신하고, 건물이 어느 정도 흔들리는지 수집한다. 수집한 가속도 정보는 건물의 흔들림 정도를 토대로 건물의 안전성을 판단하는 별도의 구성 요소(도면 미도시)로 전송한다. 또한, 광센싱 계측부(120)는 제어 센서(500)로 엘리베이터의 동작을 멈추거나 보일러의 작동을 멈추는 등, 제어 센서(500)가 부착된 사물들을 제어할 수 있도록, 제어 신호를 전송한다.
조기 경보부(130)는 광센싱 계측부(120)로부터 지진발생 알림 메시지의 전송을 요청 받으면, 미리 저장되어 있는 단말 정보를 토대로 지진발생 알림 메시지를 단말(400)들에 전송한다. 이때, 조기 경보부(130)는 저장되어 있는 모든 단말에 지진발생 알림 메시지를 전송할 수도 있고, 지진이 발생한 것으로 확인한 지역 내의 단말들에 먼저 메시지를 전송할 수도 있다.
이상의 지진 조기 경보 시스템(100)을 이용하여 지진 발생을 조기에 감지하여 경보를 알리는 방법에 대해 도 4를 참조로 설명한다.
도 4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세 개의 건물 지하에 각각 하나의 광 가속도계(200)가 설치되어 있고, 하나의 건물에는 복수개의 무선 가속도계(300)와 제어 센서(500)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예로 하여 설명한다. 그리고, 제1 건물과 제2 건물은 인접한 건물이고, 제3 건물은 인접하지 않은 건물이며, 제1 건물과 제2 건물에서 진동이 감지된 것을 예로 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진 조기 경보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건물 내지 제3 건물의 지하에 각각 설치되어 있는 제1 광 가속도계(200-1), 제2 광 가속도계(200-2) 및 제3 광 가속도계(200-3)는 주기적으로 건물 지하에 대한 흔들림을 감지하여 광 가속도 신호를 지진 조기 경보 시스템(100)으로 전송한다(S100 ∼ S102).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광 가속도계가 각각 지진 조기 경보 시스템(100)로 광 가속도 신호를 전송하는 주기나 전송 방법을 어느 하나로 한정하지 않는다.
지진 조기 경보 시스템(100)은 S100 단계 내지 S102 단계에서 제1 광 가속도계(200-1) 내지 제3 광 가속도계(200-3)로부터 각각 수신한 광 가속도 신호를 분석한다(S103). 광 가속도 신호에는 광 가속도 신호를 생성한 광 가속도계의 식별정보 또는 위치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
지진 조기 경보 시스템(100)은 광 가속도 신호를 분석하면서, 진동이 감지된 신호가 있는지 확인한다(S104). 만약 모든 광 가속도 신호에서 진동이 감지되지 않은 것으로 확인하면, S100 단계 내지 S102 단계를 반복한다.
그러나, 임의의 광 가속도 신호에서 진동이 감지된 것으로 확인하면, 지진 조기 경보 시스템(100)은 진동이 감지된 광 가속도 신호를 전송한 광 가속도계가 설치된 건물을 확인한다. 그리고, 해당 건물과 인접한 건물에서 전송된 광 가속도 신호에서도 진동을 감지하였는지 확인한다(S105).
만약 인접한 건물에서는 진동이 감지되지 않은 것으로 확인하면, 진동이 감지된 건물의 지하에만 문제가 있거나 광 가속도계에 문제가 있는 것으로 확인하여 사후 처리될 수 있도록 관리자의 단말 등으로 해당 정보를 알린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사후 처리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제1 건물과 제2 건물에서 진동이 발생한 것을 예로 하여 설명하고 있으므로, 지진 조기 경보 시스템(100)은 인접한 건물에서도 진동이 감지된 것으로 판단한다. 그러면, 지진 조기 경보 시스템(100)은 인접한 건물에도 진동이 발생한 것으로 감지하고, 미리 등록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말(400)들로 지진 발생 알림 메시지를 전송한다(S106).
그리고, 제1 건물과 제2 건물에 각각 설치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무선 가속도계(300-1, 300-2)로 제어 신호를 전송하여 가속도 정보를 수집, 제공할 것을 요청한다(S107, S108). 무선 가속도계(300)는 광 가속도계(200)와 달리 상시로 진동을 측정하는 것이 아니라, 지진 조기 경보 시스템(100)로부터 요청이 있을 경우에만 상태가 대기 상태에서 온 상태로 변경되어 건물 각각에 대한 흔들림 정도를 감지한다.
그리고 제1 건물의 무선 가속도계(300-1)와 제2 건물의 무선 가속도계(300-2)는 각각 감지한 건물의 흔들림 정도를 포함하는 가속도 정보를 지진 조기 경보 시스템(100)으로 전송한다(S109, S110). 지진 조기 경보 시스템(100)는 S109 단계 및 S110 단계에서 수신한 가속도 정보를 건물의 안정성을 평가하는 별도의 시스템(도면 미도시)으로 전송하거나, 건물의 안전성을 관리하는 관리자의 단말(도면 미도시) 등으로 전송한다.
이와 동시에, 지진 조기 경보 시스템(100)은 제1 건물과 제2 건물에 설치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어 센서(500-1, 500-2)로 제어 신호를 전송한다(S111, S112). 제어 신호를 토대로 제1 건물의 제어 센서(500-1)와 제2 건물의 제어 센서(500-2)는 엘리베이터나 보일러의 가스 배관을 제어하여, 건물 내 사람들에게 지진 발생에 따른 2차 피해가 발생하지 않도록 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Claims (11)

  1. 지진 발생을 조기에 경보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건물의 제1 위치에 설치되어 있는 광 가속도계로부터, 상기 광 가속도계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광 가속도 신호를 수신하는 스플리터;
    상기 스플리터가 수신한 광 가속도 신호를 토대로, 복수의 인접한 건물 각각의 광 가속도계에서 전송된 광 가속도 신호를 토대로 진동이 발생한 것으로 확인하면, 지진이 발생한 것으로 감지하는 광센싱 계측부; 및
    광센싱 계측부가 지진이 발생한 것으로 감지하면, 미리 등록된 단말로 지진 발생 메시지를 전송하는 조기 경보부
    를 포함하는 지진 발생 조기 경보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센싱 계측부는,
    제1 건물의 제1 광 가속도계에서 전송한 제1 광 가속도 신호를 토대로 상기 제1 건물에 진동이 발생하였는지 확인하고,
    진동이 발생하였으면 상기 제1 광 가속도 신호에 포함된 식별 정보를 토대로 상기 제1 건물에 인접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건물들을 확인하고,
    상기 제2 건물들의 제2 광 가속도계에서 전송된 제2 광 가속도 신호를 토대로 상기 제2 건물들에 진동이 발생하였는지 확인하며,
    상기 제2 건물들에도 진동이 발생한 것으로 확인하면, 지진이 발생한 것으로 감지하는 지진 발생 조기 경보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광센싱 계측부는,
    상기 제1 건물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건물들의 제2 위치에 설치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무선 가속도계로 각각의 건물에 대한 가속도 정보를 요청하는 제어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제2 위치에 설치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무선 가속도계가 각각 수집한 가속도 정보를 수신하는 지진 발생 조기 경보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광센싱 계측부는,
    상기 제1 건물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건물들의 제3 위치에 설치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를 통해, 상기 제1 건물 및 제2 건물들에 설치된 설치물을 제어하는 제어 신호를 전송하며, 상기 하나 이상의 센서는 IoT 센서인 지진 발생 조기 경보 시스템.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위치는 건물의 지하에 해당하고, 상기 제2 위치는 상기 제1 위치를 제외한 건물 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위치에 해당하는 지진 발생 조기 경보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플리터는 상기 건물의 광 가속도계와 광케이블로 연결되어 있는 지진 발생 조기 경보 시스템.
  7. 지진 발생 조기 경보 시스템이 지진 발생을 조기에 경보하는 방법에 있어서,
    복수의 건물 각각의 제1 위치에 설치된 광 가속도계로부터 광케이블을 통해 전송되는 복수의 광 가속도 신호를 토대로, 진동이 발생한 제1 건물이 있는지 확인하는 단계;
    진동이 발생한 제1 건물이 있으면, 상기 제1 건물에 인접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건물들로부터 각각 전송된 광 가속도 신호를 토대로 상기 제2 건물들에 진동이 발생하였는지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건물들에도 진동이 발생한 것으로 확인하면, 지진이 발생한 것으로 감지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지진 발생 조기 경보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지진이 발생한 것으로 감지하는 단계 이후에,
    미리 설정된 단말로 지진 발생 알림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지진 발생 조기 경보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지진이 발생한 것으로 감지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제1 건물 및 제2 건물들의 제2 위치에 설치된 무선 가속도계로 가속도 정보를 요청하는 단계; 및
    상기 요청된 가속도 정보를 토대로 상기 제1 건물 및 제2 건물들에서 각각 측정한 흔들림 정도를 포함하는 가속도 정보를 무선 통신으로 수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지진 발생 조기 경보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으로 수신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제1 건물 및 제2 건물들의 제3 위치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들로, 상기 제1 건물 및 제2 건물들 내부에 설치된 설치물을 제어하도록 제어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지진 발생 조기 경보 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위치는 건물의 지하에 해당하고, 상기 제2 위치는 상기 제1 위치를 제외한 건물 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위치에 해당하며,
    상기 광 가속도계는 상시 진동을 감지하고, 상기 무선 가속도계는 상기 지진 발생 조기 경보 시스템으로부터의 요청이 있을 경우에만 건물의 흔들림 정도를 측정하는 지진 발생 조기 경보 방법.
KR1020170015176A 2017-02-02 2017-02-02 지능형 지진 조기 경보 시스템 및 방법 KR20180090426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5176A KR20180090426A (ko) 2017-02-02 2017-02-02 지능형 지진 조기 경보 시스템 및 방법
PCT/KR2018/000318 WO2018143572A2 (ko) 2017-02-02 2018-01-08 광통신을 이용한 시설물 계측 시스템,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지진 조기 경보 방법
JP2019542125A JP6830160B2 (ja) 2017-02-02 2018-01-08 光通信を用いた施設物計測システ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5176A KR20180090426A (ko) 2017-02-02 2017-02-02 지능형 지진 조기 경보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0426A true KR20180090426A (ko) 2018-08-13

Family

ID=632508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15176A KR20180090426A (ko) 2017-02-02 2017-02-02 지능형 지진 조기 경보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9042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U2729378C1 (ru) * 2018-05-30 2020-08-06 Нанокем Ко., Лтд.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обнаружения землетрясения с использованием акселерометр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U2729378C1 (ru) * 2018-05-30 2020-08-06 Нанокем Ко., Лтд.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обнаружения землетрясения с использованием акселерометр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058885B2 (ja) 危険な状態を検出するロケーションベースの無線システム
US20090042585A1 (en) Terminal positioning method, terminal positioning system, positioning server, and program
US7786854B2 (en) Alarm system walk test
KR20210017133A (ko) 다중 센서 데이터 수집 전파 장치 및 안전 모니터링 시스템
JP4727448B2 (ja) 震災情報提供システム、地震監視局及び基地局
KR20180090426A (ko) 지능형 지진 조기 경보 시스템 및 방법
JP6810616B2 (ja) 火災報知システム
KR100364917B1 (ko) 인터넷을 이용한 실시간 계측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391895B1 (ko) 기존 센서를 활용한 센서 통합 운영 IoT 플랫폼 시스템
KR101497107B1 (ko) 건물 안전도 측정시스템
KR20100020848A (ko) 다중의 경보 표출 방법을 지원하는 cap기반 경보전파중계시스템
KR101840855B1 (ko) 재난 신호를 발생시켜 건물간 재난 안내 신호를 전파시키는 방법
JP6830160B2 (ja) 光通信を用いた施設物計測システム
KR20230033778A (ko) 지능형 감지센서를 구비한 산업현장 재난 예방 및 안전 통합 모니터링 시스템
KR101904072B1 (ko) 씽크홀 감지가 가능한 수배전반 시스템
JP3890304B2 (ja) ガス漏れ情報の通知システム
KR102295589B1 (ko) 화재 감지 시스템
JP2004282587A (ja) 無線データ収集システム
KR20100032765A (ko) 폐회로 텔레비전 관리 영상을 이용한 원격 비상 상황 관리 시스템
KR20160074705A (ko) 온도/진동센서를 통한 위험지역 재난/화재 방지 시스템
KR20190089503A (ko) 차단기 트립 감지 장치 및 lpwa 통신 방식을 이용한 차단기 모니터링 방법
JP2014138403A (ja) ネットワーク監視システム、ネットワーク監視方法、及びネットワーク監視プログラム
JP7260184B2 (ja) 災害検知システム、管理用端末装置及び災害検知方法及び災害検知プログラム
JP6956845B2 (ja) 火災報知システム
CN115633326B (zh) 高支模监测系统及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