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40855B1 - 재난 신호를 발생시켜 건물간 재난 안내 신호를 전파시키는 방법 - Google Patents

재난 신호를 발생시켜 건물간 재난 안내 신호를 전파시키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40855B1
KR101840855B1 KR1020170034045A KR20170034045A KR101840855B1 KR 101840855 B1 KR101840855 B1 KR 101840855B1 KR 1020170034045 A KR1020170034045 A KR 1020170034045A KR 20170034045 A KR20170034045 A KR 20170034045A KR 101840855 B1 KR101840855 B1 KR 1018408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aster
signal
state
generating
are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340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백성
Original Assignee
서한정보통신(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한정보통신(주) filed Critical 서한정보통신(주)
Priority to KR10201700340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4085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08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08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06Alarm destination chosen according to type of event, e.g. in case of fire phone the fire service, in case of medical emergency phone the ambulanc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10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calamitous events, e.g. tornados or earthquak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05Alarm destination chosen according to a hierarchy of available destinations, e.g. if hospital does not answer send to police stat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14Central alarm receiver or annunciator arrangement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7/00Alarm systems in which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from a central station to a plurality of substation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일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은 재난 신호를 발생시켜 건물간 재난 안내 신호를 전파시키는 방법에 대하여 개시하고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재난 상태를 판단하고, 재난 상태에 따라 재난 신호를 전송할 범위를 확정하여, 인접 지역 및 인접지역을 관할하는 담당기관으로 재난 신호를 전송할 수 있으며, 소정의 시간이 경과한 이후 재난 상태를 재 판단하여 확대 또는 축소된 재난 상태에 따른 맞춤형 신호를 인접지역 및 담당기관으로 전파함으로써 재난 상태에 따라 재난 신호를 효율적으로 전파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재난 신호를 발생시켜 건물간 재난 안내 신호를 전파시키는 방법{Method for generating a disaster warning signal and propagating the disaster warning signal between buildings}
본 발명은 건물 내의 재난 상황을 감지하고, 재난 상황에 대응되는 레벨의 재난 신호를 생성한 다음 건물별로 재난 신호를 전송함으로써 재난을 알리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보다 구체적으로 재난 이후 실시간 재난 상태에 따라 맞춤형 재난 신호를 생성하여 건물로 전파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모바일 기기 및 앱 서비스의 급속한 확산에 따라 많은 국민들이 언제 어디서나 쉽게 재난정보를 활용할 수 있는 고품질 서비스 요구가 증대되고 있다.
하지만 기존의 일부 재난알림 정보서비스의 경우 사용자의 위치정보를 주기적으로 수집하여 재난알림정보를 발송할 때, 해당 재난위치(지역)에 존재한는 사용자들에게만 재난알림정보를 발송하고 있다.
또한, 재난 알림 정보를 발송한 후, 재난의 정도가 어떤 상태인지 실시간으로 알려주기 보다, 재난의 경고에서 그치는 경우가 많다.
특히, 건물 내부에 있는 사람들은 주변의 건물에서 재난 상황이 발생하는 경우 이를 신속하게 알아차릴 수 없으며, 재난 상황을 안다고 해도 실시간으로 변동하는 재난 상황을 알 수 없어 막연한 불안함에 떨어야 했다.
또한, 개인적인 사용자의 위치를 주기적으로 수집하여 재난을 알려주는 서비스는 사용자의 동의 등을 이유로 활성화 되지 못하였으며, 되려 관련 없는 위치에 존재하는 사용자들에게 노이즈성 정보가 전달되는 경우 사용자의 불편함이 증가하였다.
따라서, 사용자의 위치에 관계없이, 재난상황이 발생한 주변에서 가장 신속하고 정확한 재난 상황을 알 수 있도록 재난 상태를 실시간으로 감지하고, 판단하여 재난 안내를 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한 니즈가 증가하였다.
국내등록특허 10-0977984호(2010.08.25 공고) 국내등록특허 10-0738338호(2007. 07. 05. 공고)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화재, 정전 및 지진 등의 각종 재난 이벤트를 실시간으로 감지하고, 재난이 발생하는 경우 재난 인접 지역으로 재난 신호를 전송하되, 재난 등급에 따라 서로 다른 신호롤 실시간으로 발송함으로써 재난 발생을 효율적으로 알려주는 재난 안내 신호를 전파시키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여 본원발명은 재난 신호를 발생시켜 건물간 재난 안내신호를 전파시키는 방법을 제시할 수 있으며, 본 방법은 화재, 정전, 지진 등의 재난 이벤트의 발생을 감지하는 재난 이벤트 감지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감지된 재난 이벤트에 기초하여 재난 이벤트의 종류, 발생 지역, 피해지역의 범위 및 재난 상태를 진단하는 재난 상태 진단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재난 상태를 진단한 결과에 따라, 재난 상태의 심각도를 결정하고, 재난 상태의 심각도에 따라 재난 신호 발생 범위를 1차 및 2차로 이원화하여 제 1 재난 상태를 결정하는 재난 상태 결정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 1 재난 상태 결정에 기초하여 제 1-1 재난 신호 및 제 1-2 재난 신호를 생성하는 재난 신호 생성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1 재난 신호 및 제 1-2 재난 신호를 서버로 전송하는 전송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서버에서 제 1-1 재난 신호를 1차 인접 지역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1 재난 신호에 따라 1차 인접 지역에 속한 건물 내에 재난 알림을 출력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1차 인접 지역을 담당하는 1차 담당기관으로 제 1-1 재난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1 재난 신호가 전송되고 소정의 시간이 경과한 이후, 서버에서 제 1-2 재난 신호를 2차 인접 지역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2 재난 신호에 따라 2차 인접 지역에 속한 건물 내에 재난 알림을 출력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2차 인접 지역을 담당하는 2차 담당기관으로 1-2 재난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서버에서 1차 인접 지역 및 2차 인접 지역으로부터 재난 상태에 대한 실시간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2 재난 신호가 전송되고 소정의 시간이 경과한 이후, 재난 이벤트를 재감지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1차 인접 지역 및 2차 인접 지역으로부터 수신한 재난 상태에 대한 실시간 정보 및 재감지한 재난 이벤트에 기초하여 제 2 재난 상태를 진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제 2 재난 상태에 기초하여, 제 1 재난 상태로부터 재난 상황이 확대 또는 축소되었는지 판단하여 제 2 재난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제 2 재난 신호를 서버로 전송하는 전송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서버에서 제 2 재난 신호를 전송할 인접 지역을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선택된 인접 지역 및 인접 지역을 담당하는 담당 기관으로 제 2 재난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 2 재난 신호에 따라 인접 지역에 속한 건물 내에 재난 알림을 출력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여, 재난 알림은, 재난 이벤트의 종류에 따라 각각 설정되며, 재난 상태의 심각도에 따라 알림의 강도 및 알림 횟수가 각각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여, 재난 알림은 청각적 알림, 시각적 알림 및 진동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재난 상태의 심각도는 미리 결정된 심각도의 지표에 의하여 결정되며, 기상청 서버로부터 복수의 재난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복수의 재난 데이터를 종류별로 분류하는 단계, 분류된 재난 데이터를 분석하여 재난상태에 따른 피해범위를 결정하는 단계 및 피해범위에 기초하여 재난 상태의 심각도의 지표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여, 제 1 재난 상태 결정에 기초하여 제 1-1 재난 신호 및 제 1-2 재난 신호를 생성하는 재난 신호 생성 단계는, 제 1 재난 상태를 분석하여 제 1-1 재난 범위를 확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 1-1 재난 범위에 해당하는 1차 인접 지역에 발송할 제 1-1 재난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재난 상태가 확대될 가능성을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재난 상태가 확대될 가능성이 50%가 넘는 경우, 제 1-1 재난 범위보다 확장된 범위의 제 1-2 재난 범위를 확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 1-2 재난 범위에 해당하는 2차 인접 지역에 발송할 제 1-2 재난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여, 제 2 재난 상태를 진단하는 단계는, 재감지한 재난 이벤트의 상태와 초기에 감지한 재난 이벤트의 상태를 비교하여 재난 상태를 재진단 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1차 인접 지역 및 2차 인접 지역으로부터 수신한 재난 상태와 초기에 감지한 재난 이벤트의 상태를 비교하여 재난 상태를 재진단 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재진단한 결과에 기초하여, 제 2 재난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여, 제 2 재난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는, 제 2 재난 상태가 제 1 재난 상태보다 심각도가 확대되었다고 판단하는 경우, 제 1-2 재난 범위보다 확장된 범위의 제 2 재난 범위를 확정하는 단계 및 제 2 재난 범위에 해당하는 인접 지역에 발송한 제 2 재난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 2 재난 신호는 제 1-2 재난 신호보다 알림의 세기, 알림의 횟수, 알림의 종류가 증가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서버에서 제 1-1 재난 신호, 제 1-2 재난 신호 및 제 2 재난 신호를 전송하는 동시에, 신호가 전송되는 지역 내에 등록된 사용자에게 재난 문자를 발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으로 인하여 각종 센서를 통해 감지된 재난 상황의 명확한 파악으로 재난 알림 문자를 정확한 재난 지역에 신속하게 알릴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여 본원발명은 재난 상황을 재 판단하여, 재난 알림을 확대할지, 축소할지를 결정함으로써 정확한 재난 상태를 알릴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여, 재난 상태에 따라 재난 신호를 알리는 인접 지역 및 인접지역을 담당하는 담당 기관에 재난 상태를 알리고, 건물 내에도 재난 상황을 알림으로써 동시다발적으로 재난 상태를 알릴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여, 인접지역의 관할 기관인 담당기관이 상태에 가장 빠르게 대처할 수 있는 바, 담당기관의 서버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신속한 통신이 가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여, 재난의 확대에 따라 알림 지역을 확대시킴으로써 건물에서 건물로 확대되는 재난 알림의 범위를 전송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의한 재난 신호를 발생시켜 건물간 재난 안내 신호를 전파시키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의한 재난 신호를 발생시켜 건물간 재난 안내 신호를 전파시키는 방법을 설명하는 플로우 차트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의하여, 재난 상태를 재진단하여 제 2 재난 신호를 생성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플로우 차트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개시하기 위해서 본 발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도면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부호들은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는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자연스럽게 이해되거나 보다 분명해질 수 있으며, 하기의 기재만으로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목적, 특징 및 장점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의한 재난 신호를 발생시켜 건물간 재난 안내 신호를 전파시키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일 실시예에 의하여 재난 신호를 발생시켜 건물간 재난 안내 신호를 전파시키는 시스템은 서버(200), 네트워크(10)를 통해 연결된 복수의 인접지역(101, 102) 및 네트워크(20)를 통해 연결된 담당기관 서버(30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여, 재난 신호를 발생시켜 건물간 재난 안내 신호를 전파시키는 시스템은 실시간으로 네트워크(10, 20)를 통해 담당기관의 서버 및 인접 지역과 통신을 할 수 있다.
서버(200)는 센서를 이용하여 인접지역의 재난 상태를 감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여 서버(200)는 인접 지역에 설치된 센서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감지할 수 있다. 또는, 일 실시예에 의하여 서버(200)는 미리 결정된 주기에 따라 센서를 체크함으로써 재난 상황을 파악할 수 있다.
서버(200)는 네트워크(20)를 통해 재난 상황을 담당기관 서버(300)로 알릴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여, 재난 상황에 따라 복수개의 담당기관 서버(300)에 재난 상황을 알릴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여, 복수개의 담당기관은 각 인접지역을 관할하는 담당기관으로 매핑될 수 있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의한 재난 신호를 발생시켜 건물간 재난 안내 신호를 전파시키는 방법을 설명하는 플로우 차트이다.
일 실시예에 의하여 본원발명은 재난 신호를 발생시켜 건물간 재난 안내신호를 전파시키는 방법을 제시할 수 있으며, 본 방법은 화재, 정전, 지진 등의 재난 이벤트의 발생을 감지하는 재난 이벤트 감지 단계(S101)를 포함할 수 있다. 감지된 재난 이벤트에 기초하여 재난 이벤트의 종류, 발생 지역, 피해지역의 범위 및 재난 상태를 진단하는 재난 상태 진단 단계(S102)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재난 상태를 진단한 결과에 따라, 재난 상태의 심각도를 결정하고, 재난 상태의 심각도에 따라 재난 신호 발생 범위를 1차 및 2차로 이원화하여 제 1 재난 상태를 결정하는 재난 상태 결정 단계(S103)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 1 재난 상태 결정에 기초하여 제 1-1 재난 신호 및 제 1-2 재난 신호를 생성하는 재난 신호 생성 단계(S104)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2재난 신호 및 제 1-2재난 신호는 제 1 재난신호에 포함될 수 있다.
제 1-1 재난 신호 및 제 1-2 재난 신호를 서버로 전송하는 전송 단계(S105)를 포함할 수 있다.
서버에서 제 1-1 재난 신호를 1차 인접 지역으로 전송하는 단계(S106)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1 재난 신호에 따라 1차 인접 지역에 속한 건물 내에 재난 알림을 출력시키는 단계(S107)를 포함할 수 있다.
1차 인접 지역을 담당하는 1차 담당기관으로 제 1-1 재난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S108)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여 담당기관은 각 재난의 종류에 따라서 재난을 관리하는 기관이 될 수 있다. 또는, 인접 지역을 관할하는 관할 구역내의 공공기관이 될 수 있다. 재난을 관리하는 담당기관의 종류는 제한되지 않는다.
제 1-1 재난 신호가 전송되고 소정의 시간이 경과한 이후, 서버에서 제 1-2 재난 신호를 2차 인접 지역으로 전송하는 단계(S109)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2 재난 신호에 따라 2차 인접 지역에 속한 건물 내에 재난 알림을 출력시키는 단계(S110)를 포함할 수 있다.
2차 인접 지역을 담당하는 2차 담당기관으로 1-2 재난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S111)를 포함할 수 있다.
서버에서 1차 인접 지역 및 2차 인접 지역으로부터 재난 상태에 대한 실시간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S112)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2 재난 신호가 전송되고 소정의 시간이 경과한 이후, 재난 이벤트를 재감지하는 단계(S113)를 포함할 수 있다.
1차 인접 지역 및 2차 인접 지역으로부터 수신한 재난 상태에 대한 실시간 정보 및 재감지한 재난 이벤트에 기초하여 제 2 재난 상태를 진단하는 단계(S114)를 포함할 수 있다.
제 2 재난 상태에 기초하여, 제 1 재난 상태로부터 재난 상황이 확대 또는 축소되었는지 판단하여 제 2 재난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S115)를 포함할 수 있다.
제 2 재난 신호를 서버로 전송하는 전송 단계(S116)를 포함할 수 있다.
제 2 재난 신호는 제 1 재난 신호가 전송된 범위보다 넓은 범위로 전송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재난이 확대 되는 경우, 재난 신호가 건물에서 건물로 확대 전송되는 효과를 누릴 수 있다.
서버에서 제 2 재난 신호를 전송할 인접 지역을 선택하는 단계(S117)를 포함할 수 있다.
선택된 인접 지역 및 인접 지역을 담당하는 담당 기관으로 제 2 재난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S118)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 2 재난 신호에 따라 인접 지역에 속한 건물 내에 재난 알림을 출력시키는 단계(S119)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에에 의하여, 재난 알림을 출력시키는 단계는 발생된 재난 상태의 심각성에 따라, 경광등, 사이렌 동작, 내부 또는 외부 음성 장비로의 음원 출력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재난 알림을 출력시키는 단계는 재난 상태가 발생한 인접 지역내의 주민들에게 긴급 재난 문자를 보내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여, 긴급 재난 문자는 재난 상태, 재난의 종류, 대피 방법, 재난의 확대 여부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내용은 제한되지 않는다.
일 실시예에 의하여, 재난 알림은, 재난 이벤트의 종류에 따라 각각 설정되며, 재난 상태의 심각도에 따라 알림의 강도 및 알림 횟수가 각각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여, 재난 알림은 청각적 알림, 시각적 알림 및 진동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재난 상태의 심각도는 미리 결정된 심각도의 지표에 의하여 결정되며, 기상청 서버로부터 복수의 재난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복수의 재난 데이터를 종류별로 분류하는 단계, 분류된 재난 데이터를 분석하여 재난상태에 따른 피해범위를 결정하는 단계 및 피해범위에 기초하여 재난 상태의 심각도의 지표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여, 제 1 재난 상태 결정에 기초하여 제 1-1 재난 신호 및 제 1-2 재난 신호를 생성하는 재난 신호 생성 단계는, 제 1 재난 상태를 분석하여 제 1-1 재난 범위를 확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 1-1 재난 범위에 해당하는 1차 인접 지역에 발송할 제 1-1 재난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재난 상태가 확대될 가능성을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재난 상태가 확대될 가능성이 50%가 넘는 경우, 제 1-1 재난 범위보다 확장된 범위의 제 1-2 재난 범위를 확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 1-2 재난 범위에 해당하는 2차 인접 지역에 발송할 제 1-2 재난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의하여, 재난 상태를 재진단하여 제 2 재난 신호를 생성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플로우 차트이다.
일 실시예에 의하여, 제 2 재난 상태를 진단하는 단계는, 재감지한 재난 이벤트의 상태와 초기에 감지한 재난 이벤트의 상태를 비교하여 재난 상태를 재진단 하는 단계(S301)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여, 서버는 자체적으로 재난이 발생한 구역의 재난 상황을 재감지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여 서버는 실시간 또는 주기적으로 재난 상황을 재감지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여 서버는 각종 재난을 감지하는 센서를 이용하여 재난 이벤트를 재감지 할 수 있다.
또한, 1차 인접 지역 및 2차 인접 지역으로부터 수신한 재난 상태와 초기에 감지한 재난 이벤트의 상태를 비교하여 재난 상태를 재진단 하는 단계(S302)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여, 서버는 재난 지역으로부터 직접 재난 상태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여, 서버는 재난 지역과 연결된 통신망을 이용하여 실시간 또는 주기적으로 재난 상황을 감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여, 서버는 재난 상황의 변동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여, 화재가 발생한 경우, 화재의 피해범위 및 규모가 커지고 있다면, 서버는 재난 상태의 심각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재난 상태의 심각도가 증가한다는 것은 재난 상황이 악화되었음을 의미한다.
또한, 재진단한 결과에 기초하여, 제 2 재난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S303)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여, 제 2 재난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는, 제 2 재난 상태가 제 1 재난 상태보다 심각도가 확대되었다고 판단하는 경우, 제 1-2 재난 범위보다 확장된 범위의 제 2 재난 범위를 확정하는 단계 및 제 2 재난 범위에 해당하는 인접 지역에 발송한 제 2 재난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재난 상태가 악화 된 경우, 재난 알림을 받아야 하는 지역이 확대되었다는 것을 의미하는 바, 알림 지역, 즉, 알림이 울리는 건물의 수를 증가시킬 수 있다.
여기서, 제 2 재난 신호는 제 1-2 재난 신호보다 알림의 세기, 알림의 횟수, 알림의 종류가 증가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서버에서 제 1-1 재난 신호, 제 1-2 재난 신호 및 제 2 재난 신호를 전송하는 동시에, 신호가 전송되는 지역 내에 등록된 사용자에게 재난 문자를 발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는 예시의 목적으로 개시된 것이고, 본 발명에 대해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및 부가는 상기의 특허청구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상술한 예시적인 시스템에서, 방법들은 일련의 단계 또는 블록으로써 순서도를 기초로 설명되고 있지만, 본 발명은 단계들의 순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어떤 단계는 상술한 바와 다른 단계와 다른 순서로 또는 동시에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당업자라면 순서도에 나타낸 단계들이 배타적이지 않고, 다른 단계가 포함되거나 순서도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단계가 본 발명의 범위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 삭제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7)

  1. 화재, 정전, 지진 등의 재난 이벤트의 발생을 감지하는 재난 이벤트 감지 단계;
    상기 감지된 재난 이벤트에 기초하여 재난 이벤트의 종류, 발생 지역, 피해지역의 범위 및 재난 상태를 진단하는 재난 상태 진단 단계;
    상기 재난 상태를 진단한 결과에 따라, 상기 재난 상태의 심각도를 결정하고, 상기 재난 상태의 심각도에 따라 재난 신호 발생 범위를 1차 및 2차로 이원화하여 제 1 재난 상태를 결정하는 재난 상태 결정 단계;
    상기 제 1 재난 상태 결정에 기초하여 제 1-1 재난 신호 및 제 1-2 재난 신호를 생성하는 재난 신호 생성 단계;
    상기 제 1-1 재난 신호 및 제 1-2 재난 신호를 서버로 전송하는 전송 단계;
    상기 서버에서 상기 제 1-1 재난 신호를 1차 인접 지역으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제 1-1 재난 신호에 따라 상기 1차 인접 지역에 속한 건물 내에 재난 알림을 출력시키는 단계;
    상기 1차 인접 지역을 담당하는 1차 담당기관으로 상기 제 1-1 재난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제 1-1 재난 신호가 전송되고 소정의 시간이 경과한 이후, 상기 서버에서 상기 제 1-2 재난 신호를 2차 인접 지역으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제 1-2 재난 신호에 따라 상기 2차 인접 지역에 속한 건물 내에 재난 알림을 출력시키는 단계;
    상기 2차 인접 지역을 담당하는 2차 담당기관으로 상기 1-2 재난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서버에서 상기 1차 인접 지역 및 2차 인접 지역으로부터 재난 상태에 대한 실시간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 1-2 재난 신호가 전송되고 소정의 시간이 경과한 이후, 재난 이벤트를 재감지하는 단계;
    상기 1차 인접 지역 및 2차 인접 지역으로부터 수신한 재난 상태에 대한 실시간 정보 및 재감지한 재난 이벤트에 기초하여 제 2 재난 상태를 진단하는 단계;
    상기 제 2 재난 상태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재난 상태로부터 재난 상황이 확대 또는 축소되었는지 판단하여 제 2 재난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 2 재난 신호를 서버로 전송하는 전송 단계;
    상기 서버에서 상기 제 2 재난 신호를 전송할 인접 지역을 선택하는 단계;
    상기 선택된 인접 지역 및 상기 인접 지역을 담당하는 담당 기관으로 상기 제 2 재난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및
    상기 제 2 재난 신호에 따라 상기 인접 지역에 속한 건물 내에 재난 알림을 출력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재난 신호를 발생시켜 건물간 재난 안내 신호를 전파시키는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재난 알림은,
    상기 재난 이벤트의 종류에 따라 각각 설정되며,
    상기 재난 상태의 심각도에 따라 알림의 강도 및 알림 횟수가 각각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난 신호를 발생시켜 건물간 재난 안내 신호를 전파시키는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재난 상태의 심각도는 미리 결정된 심각도의 지표에 의하여 결정되며,
    기상청 서버로부터 복수의 재난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재난 데이터를 종류별로 분류하는 단계;
    상기 분류된 재난 데이터를 분석하여 재난상태에 따른 피해범위를 결정하는 단계;및
    상기 피해범위에 기초하여 상기 재난 상태의 심각도의 지표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난 신호를 발생시켜 건물간 재난 안내 신호를 전파시키는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재난 상태 결정에 기초하여 제 1-1 재난 신호 및 제 1-2 재난 신호를 생성하는 재난 신호 생성 단계는,
    상기 제 1 재난 상태를 분석하여 제 1-1 재난 범위를 확정하는 단계;
    상기 제 1-1 재난 범위에 해당하는 상기 1차 인접 지역에 발송할 제 1-1 재난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 1 재난 상태가 확대될 가능성을 판단하는 단계;
    상기 제 1 재난 상태가 확대될 가능성이 50%가 넘는 경우, 상기 제 1-1 재난 범위보다 확장된 범위의 제 1-2 재난 범위를 확정하는 단계;및
    상기 제 1-2 재난 범위에 해당하는 상기 2차 인접 지역에 발송할 제 1-2 재난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난 신호를 발생시켜 건물간 재난 안내 신호를 전파시키는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재난 상태를 진단하는 단계는,
    상기 재감지한 재난 이벤트의 상태와 초기에 감지한 재난 이벤트의 상태를 비교하여 재난 상태를 재진단 하는 단계;
    상기 1차 인접 지역 및 2차 인접 지역으로부터 수신한 재난 상태와 초기에 감지한 재난 이벤트의 상태를 비교하여 재난 상태를 재진단 하는 단계;및
    재진단한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제 2 재난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재난 신호를 발생시켜 건물간 재난 안내 신호를 전파시키는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재난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제 2 재난 상태가 상기 제 1 재난 상태보다 심각도가 확대되었다고 판단하는 경우, 상기 제 1-2 재난 범위보다 확장된 범위의 제 2 재난 범위를 확정하는 단계;및
    상기 제 2 재난 범위에 해당하는 인접 지역에 발송한 제 2 재난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 2 재난 신호는 상기 제 1-2 재난 신호보다 알림의 세기, 알림의 횟수, 알림의 종류가 증가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난 신호를 발생시켜 건물간 재난 안내 신호를 전파시키는 방법.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에서 상기 제 1-1 재난 신호, 제 1-2 재난 신호 및 제 2 재난 신호를 전송하는 동시에, 상기 신호가 전송되는 지역 내에 등록된 사용자에게 재난 문자를 발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난 신호를 발생시켜 건물간 재난 안내 신호를 전파시키는 방법.
KR1020170034045A 2017-03-17 2017-03-17 재난 신호를 발생시켜 건물간 재난 안내 신호를 전파시키는 방법 KR1018408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4045A KR101840855B1 (ko) 2017-03-17 2017-03-17 재난 신호를 발생시켜 건물간 재난 안내 신호를 전파시키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4045A KR101840855B1 (ko) 2017-03-17 2017-03-17 재난 신호를 발생시켜 건물간 재난 안내 신호를 전파시키는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40855B1 true KR101840855B1 (ko) 2018-03-21

Family

ID=619005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34045A KR101840855B1 (ko) 2017-03-17 2017-03-17 재난 신호를 발생시켜 건물간 재난 안내 신호를 전파시키는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4085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90273A (ko) * 2019-01-18 2020-07-29 최민수 Bas, bems, fms, si, 전력제어, 조명제어를 재난 대비 상황에 맞춰 제어하는 빌딩자동제어 시스템
KR102414929B1 (ko) * 2021-12-30 2022-07-05 재단법인 부산테크노파크 위성 영상을 이용한 부유 조류에 따른 피해 규모 예측 방법 및 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3138B1 (ko) 2013-03-19 2013-10-02 (주)한울테크 종합 재난 정보 경보 및 자동 방재 시스템
JP2016066276A (ja) 2014-09-25 2016-04-28 日本電気株式会社 避難誘導制御装置、避難誘導制御方法、避難誘導制御プログラム、及び避難誘導システム
KR101692926B1 (ko) 2014-12-29 2017-01-04 이투엠쓰리(주) 유해화학물질 누출 감지 및 대응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3138B1 (ko) 2013-03-19 2013-10-02 (주)한울테크 종합 재난 정보 경보 및 자동 방재 시스템
JP2016066276A (ja) 2014-09-25 2016-04-28 日本電気株式会社 避難誘導制御装置、避難誘導制御方法、避難誘導制御プログラム、及び避難誘導システム
KR101692926B1 (ko) 2014-12-29 2017-01-04 이투엠쓰리(주) 유해화학물질 누출 감지 및 대응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90273A (ko) * 2019-01-18 2020-07-29 최민수 Bas, bems, fms, si, 전력제어, 조명제어를 재난 대비 상황에 맞춰 제어하는 빌딩자동제어 시스템
KR102177639B1 (ko) * 2019-01-18 2020-11-12 최민수 Bas, bems, fms, si, 전력제어, 조명제어를 재난 대비 상황에 맞춰 제어하는 빌딩자동제어 시스템
KR102414929B1 (ko) * 2021-12-30 2022-07-05 재단법인 부산테크노파크 위성 영상을 이용한 부유 조류에 따른 피해 규모 예측 방법 및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646462B2 (ja) 津波警報システム及び津波警報提供方法
US9171446B2 (en) Shelter evacuation response system
JP3890366B2 (ja) 地震警報システム
MX2013000970A (es) Metodos y sistemas para enviar mensajes respecto a una emergencia que ocurrio en una instalacion.
KR20150078964A (ko) 공동주택 층간 소음 알림 장치
KR20120070926A (ko) 스마트폰을 이용한 재난정보 관리 방법
KR101840855B1 (ko) 재난 신호를 발생시켜 건물간 재난 안내 신호를 전파시키는 방법
KR101957763B1 (ko) 실시간 지진경보를 위한 다중 지진정보 처리 장치 및 그 방법
KR20150061102A (ko) 관제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관제 방법
KR102000628B1 (ko) 비가청 음파를 이용하는 소방용 경보 시스템 및 장치
JP6505168B2 (ja) 通報システム
KR101767444B1 (ko) 단독 경보형 감지기 연계된 화재 알림 시스템
JP4881366B2 (ja) 緊急情報を他の住宅に送信する方法、及びそのシステム
KR102473778B1 (ko) 인공지능 기반의 스마트 화재감지장치, 이를 포함하는 비화재보 분석 시스템
JP2006319590A (ja) 地域警戒システム
KR101091638B1 (ko) 사용 환경 변화에 대한 적응성이 강화된 인 하우스 방식의 재난재해 경보방송 서비스 제공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
JP2007148798A (ja) 地震管理装置および地震管理方法
JP3890304B2 (ja) ガス漏れ情報の通知システム
KR101604129B1 (ko) 옥내용 경보 방송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18049497A (ja) 地域防災情報システム
JP2018049326A (ja) 地域防災情報システム
KR20100000583A (ko) 비상 경보 시스템 및 방법
JP7336718B2 (ja) 制御システム、プログラム及び制御方法
KR20090036809A (ko) 포커싱 된 긴급 알림 서비스 시스템 및 그 서비스 제공방법
JP6742940B2 (ja) 他の端末情報を利用してエリア情報を推定可能な端末、システム、プログラム及び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