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71606B1 - 가상 현실을 기반으로 하는 간호 중 오류상황 인지 여부 평가 시스템 - Google Patents
가상 현실을 기반으로 하는 간호 중 오류상황 인지 여부 평가 시스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071606B1 KR102071606B1 KR1020190041624A KR20190041624A KR102071606B1 KR 102071606 B1 KR102071606 B1 KR 102071606B1 KR 1020190041624 A KR1020190041624 A KR 1020190041624A KR 20190041624 A KR20190041624 A KR 20190041624A KR 102071606 B1 KR102071606 B1 KR 10207160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error
- image
- nursing
- scenario
- virtual
- Prior art date
Links
- 230000000474 nursing effect Effect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9
- 238000011156 evalu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92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6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5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6
- 238000012549 training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11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0
- 238000007726 management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9
- 230000001149 cogni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8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29940079593 drug Drugs 0.000 description 7
- 239000003814 drug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
- 230000019771 cogni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8280 bloo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10000004369 blood Anatomy 0.000 description 3
- 238000004590 computer pro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1521 gl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2452 intercep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08000036647 Medication errors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36772 blood pressur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422 calculation algorith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364 calcul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1 fall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088 simu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41000169170 Boreogadus said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125000002066 L-histidyl group Chemical group [H]N1C([H])=NC(C([H])([H])[C@](C(=O)[*])([H])N([H])[H])=C1[H]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458 analytic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3484 anatomy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529 body temperature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086 color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461 desig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6541 health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774 longterm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295 mobile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544 monito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312 nursing techniqu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939 shock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356 surgical procedure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4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2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e.g. managing hospital staff or surgery room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3/00—Animation
- G06T13/20—3D [Three Dimensional] animation
- G06T13/40—3D [Three Dimensional] animation of characters, e.g. humans, animals or virtual beings
-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4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4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management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e.g. scheduling maintenance or upgrad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pidemi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Economic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arket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상 현실을 기반으로 하는 간호 중 오류상황 인지 여부 평가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상 현실을 기반으로 하는 간호 중 오류상황 인지 여부 평가 시스템은, 오류 영상이 포함되는 시나리오 영상을 저장하는 저장부, 및 저장한 시나리오 영상의 감상 중 오류 영상의 화면이 표시될 때 오류 영상의 화면에 대한 피평가자의 인지 여부를 판단해 피평가자에 대한 VR 기반의 간호 중 오류상황 인지 여부를 평가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간호대 학생이나 간호사에 대한 교육 콘텐츠의 이용이 가능함으로써 사고 발생률 저하 및 안전의식을 제고할 수 있으며, 또한, 가상 실습환경을 구현하여 공간적 제약을 받지 않고 실감형 디바이스만으로도 효율적 교육훈련 및 평가가 가능하고, 가상 교육훈련과 동시에 오류 상황 인지 여부에 대한 교육평가 후 평가 결과가 즉시 도출 가능한 멀티 교육훈련 평가 시스템 개발이 가능할 수 있으며, 시청각을 활용하여 교육훈련을 진행하는 각 산업별 전분야에 걸쳐 교육훈련의 주교재 및 오류 인지 교육평가 시스템으로 대체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간호대 학생이나 간호사에 대한 교육 콘텐츠의 이용이 가능함으로써 사고 발생률 저하 및 안전의식을 제고할 수 있으며, 또한, 가상 실습환경을 구현하여 공간적 제약을 받지 않고 실감형 디바이스만으로도 효율적 교육훈련 및 평가가 가능하고, 가상 교육훈련과 동시에 오류 상황 인지 여부에 대한 교육평가 후 평가 결과가 즉시 도출 가능한 멀티 교육훈련 평가 시스템 개발이 가능할 수 있으며, 시청각을 활용하여 교육훈련을 진행하는 각 산업별 전분야에 걸쳐 교육훈련의 주교재 및 오류 인지 교육평가 시스템으로 대체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가상 현실을 기반으로 하는 간호 중 오류상황 인지 여부 평가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VR(Virtual Reality)을 활용해 가령 간호 중 오류 상황의 인지 여부를 평가할 수 있는 가상 현실을 기반으로 하는 간호 중 오류상황 인지 여부 평가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가상현실(VR)은 그래픽 등을 통해 현실이 아닌 환경을 마치 현실과 흡사하게 만들어내는 기술이다. 가상현실은 시간 및 장소에 상관없이 모든 사람에게 인터랙티브(대화형 또는 쌍방향) 몰입 콘텐츠를 제공하여 학습 등의 방법에 큰 변화를 가져올 잠재력이 있는 것으로 평가된 바 있다. 이에 기초하여 최근 몇 년간 VR 기술은 의료분야, 군사분야, 엔터테인먼트 분야, 스포츠 분야 등 산업 전반에 걸쳐 급속도로 발전해 왔고, 지금도 여전히 진행 중에 있다.
무엇보다 의료분야의 VR 기술은 해부학 실습을 위한 3차원 해부도, 시뮬레이션, 가상 내시경, 모의수술 등에 사용되고 있다. 가상 내시경은 인체 내부를 가상 공간에서 가상적으로 탐험하면서 해당 부위를 살펴보는 것이다.
그런데, 최근 들어 4차산업혁명 시대를 맞이하여 신기술 기반의 교육훈련 확대 기조에 맞춘 가상현실 교육훈련 시스템의 도입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특히, 타인의 생명과 안전, 또 보건을 책임지는 의료인들의 경우 실제 실습에 들어가기 전 충분한 교육훈련이 필요하고, 이를 통해 사고 발생률을 저하시키고 안전의식을 제고할 필요성이 거듭 제기되고 있으므로 특허문헌 1, 2와 같은 의료 관련 교육시스템들이 다양하게 개발되고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VR을 활용해 가령 간호 중 오류 상황의 인지 여부를 평가할 수 있는 가상 현실을 기반으로 하는 간호 중 오류상황 인지 여부 평가 시스템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상 현실을 기반으로 하는 간호 중 오류상황 인지 여부 평가 시스템은, 오류 영상이 포함되는 시나리오 영상을 저장하는 저장부, 및 상기 저장한 시나리오 영상의 감상 중 상기 오류 영상의 화면이 표시될 때 상기 오류 영상의 화면에 대한 피평가자의 인지 여부를 판단해 상기 피평가자에 대한 VR 기반의 간호 중 오류상황 인지 여부를 평가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오류 영상의 오류 개수와 상기 피평가자의 인지 횟수를 근거로 평가결과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저장부는, 상기 시나리오 영상에 대한 정답 영상을 더 저장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피평가자의 요청에 따라 상기 저장한 정답 영상을 실행시킬 수 있다.
상기 간호 중 오류상황 인지 여부 평가 시스템은, 상기 피평가자의 인지 여부에 대한 사용자 명령을 수신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사용자 명령으로서 상기 피평가자의 터치를 인식하는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사용자 명령으로서 상기 피평가자의 음성어를 수신하는 음성 수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상 현실을 기반으로 하는 간호 중 오류상황 인지 여부 평가 시스템을 이용한 구동방법은, 저장부와 제어부를 포함하며 가상 현실을 기반으로 하는 간호 중 오류상황 인지 여부 평가 시스템을 이용한 구동방법으로서, 오류 영상이 포함되는 시나리오 영상을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부가, 상기 저장한 시나리오 영상의 감상 중 상기 오류 영상의 화면이 표시될 때 상기 오류 영상의 화면에 대한 피평가자의 인지 여부를 판단해 상기 피평가자에 대한 VR 기반의 간호 중 오류상황 인지 여부를 평가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구동방법은, 상기 오류 영상의 오류 개수와 상기 피평가자의 인지 횟수를 근거로 평가결과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저장하는 단계는, 상기 시나리오 영상에 대한 정답 영상을 더 저장하며, 상기 구동방법은, 상기 피평가자의 요청에 따라 상기 저장한 정답 영상을 실행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동방법은,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상기 피평가자의 인지 여부에 대한 사용자 명령을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명령을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명령으로서 센서를 통해 상기 피평가자의 터치를 인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명령을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명령으로서 음성수신부를 통해 상기 피평가자의 음성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간호대 학생이나 간호사에 대한 교육 콘텐츠의 이용이 가능함으로써 사고 발생률 저하 및 안전의식을 제고할 수 있다.
또한, 가상 실습환경을 구현하여 공간적 제약을 받지 않고 실감형 디바이스만으로도 효율적 교육훈련 및 평가가 가능하고, 가상 교육훈련과 동시에 오류 상황 인지 여부에 대한 교육평가 후 평가 결과가 즉시 도출 가능한 멀티 교육훈련 평가 시스템 개발이 가능할 수 있으며, 시청각을 활용하여 교육훈련을 진행하는 각 산업별 전분야에 걸쳐 교육훈련의 주교재 및 오류 인지 교육평가 시스템으로 대체가 가능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상 간호 중 오류상황 인지 여부 평가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도 1의 각 장치의 전반적인 동작 흐름을 보여주는 개략도,
도 3은 도 1의 VR 장치의 세부 구조를 예시한 블록다이어그램,
도 4는 도 1의 가상 간호 중 오류상황 인지 여부 평가 시스템의 세부 구조를 예시한 블록다이어그램,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상 간호 중 오류상황 인지 여부 평가 시스템의 구동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6은 도 1의 VR 장치의 구동 과정을 예시하여 나타낸 흐름도,
도 7a 내지 도 7g는 도 1의 VR 장치에 구현되는 화면의 예시도, 그리고
도 8a 내지 도 8h는 투약 사례에 대한 VR 영상으로서 오류 영상이 삽입된 시나리오 영상의 일부와 그에 대응되는 정답 영상을 서로 비교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각 장치의 전반적인 동작 흐름을 보여주는 개략도,
도 3은 도 1의 VR 장치의 세부 구조를 예시한 블록다이어그램,
도 4는 도 1의 가상 간호 중 오류상황 인지 여부 평가 시스템의 세부 구조를 예시한 블록다이어그램,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상 간호 중 오류상황 인지 여부 평가 시스템의 구동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6은 도 1의 VR 장치의 구동 과정을 예시하여 나타낸 흐름도,
도 7a 내지 도 7g는 도 1의 VR 장치에 구현되는 화면의 예시도, 그리고
도 8a 내지 도 8h는 투약 사례에 대한 VR 영상으로서 오류 영상이 삽입된 시나리오 영상의 일부와 그에 대응되는 정답 영상을 서로 비교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며, 첨부한 도면들에 있어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병기한다. 한편, 도면의 도시 및 상세한 설명에 있어서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과 직접적으로 연관되지 않는 요소의 구체적인 기술적 구성 및 작용에 대한 상세한 설명 및 도시는 생략하고, 본 발명과 관련되는 기술적 구성만을 간략하게 도시하거나 설명하였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상 간호 중 오류상황 인지 여부 평가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2는 도 1의 각 장치의 전반적인 동작 흐름을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상 간호 중 오류상황 인지 여부 평가 시스템(90)은 VR 장치(100), 영상표시장치(110), 통신망(120) 및 가상 현실 기반의 간호 중 오류상황 인지 여부 평가 시스템(이하, 가상 간호 상황 인지 평가 시스템)(130)의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한다"는 것은 통신망(120)과 같은 일부 구성요소가 생략되어 VR 장치(100)나 영상표시장치(110)가 가상 간호 상황 인지 평가 시스템(130)과 다이렉트 통신(예: P2P 통신)을 수행하거나, 가상 간호 상황 인지 평가 시스템(130)의 일부 또는 전부가 통신망(120) 내의 네트워크장치(예: 무선교환장치 등)에 통합되어 구성될 수 있는 것 등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발명의 충분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전부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한다.
VR 장치(100)는 가령, 간호대 학생이나 간호사들이 가상의 간호 중 오류상황 인지 여부를 평가하기 위해 착용하는 웨어러블장치로서 헤드 마운팅 방식의 HMD를 포함한다. VR 장치(100)의 내부에는 가령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상 간호 중 오류상황 인지 여부를 평가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 있고, 해당 프로그램은 어플리케이션(이하, 앱)일 수 있다. 해당 앱은 VR 장치(100)의 제품 출고시에 내부에 탑재되어 출시되거나, 가령 가상 간호 상황 인지 평가 시스템(130)으로부터 다운로드받아 저장한 후 이를 실행시킬 수 있다.
또는 주변의 스마트TV, 스마트폰, 랩탑컴퓨터, 태블릿PC 등과 같은 영상표시장치(110)로부터 근거리 통신(예: 블루투스 등)을 통해 관련 영상을 제공받아 화면에 표시해 줄 수도 있다. 물론, 주변에 서버로서 가상 간호 상황 인지 평가 시스템(130)을 구비하는 경우에는 블루투스나 지그비와 같은 근거리 통신을 통해 다이렉트 통신으로 관련 앱이나 영상을 제공받아 화면에 구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VR 장치(100)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현하기 위하여 내부에 관련 프로그램 가령 앱을 저장하여 실행하거나, 또는 주변 장치로부터 영상을 전송받아 화면에 구현하는 등의 다양한 형태로 가령 간호 중 오류상황 인지 여부 평가를 나타내는 상황별 복수의 시나리오 영상을 구현할 수 있다. 여기서, 간호 중 오류상황 인지 여부 평가 (혹은 간호 처치)는 투약, 낙상, 수혈, 환자사정 및 보고, 특수상황 인수인계, 심폐소생술(CPR) 등을 포함하며, 복수의 시나리오 영상을 이러한 상황과 관련되는 시나리오 영상을 포함한다. 물론 시나리오 영상이란 특정 상황을 가상으로 구현한 영상이며, 내부에 피평가자의 인지 여부를 평가하기 위한 오류 영상을 포함할 수 있다. 오류 영상은 각각의 시나리오 영상마다 복수의 오류 영상이 삽입될 수 있다.
VR 장치(100)를 착용한 피평가자, 가령 간호대 학생이나 간호사들은 도 2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복수의 시나리오 영상 중에서 특정 상황에 관련되는 시나리오 영상을 선택하게 된다. 그리고 선택된 시나리오 영상이 구현되면서 만들어 내는 가상 현실에서 특정 상황에서 오류 영상이 표시될 때 오류의 인지 여부를 판단하게 된다. 즉 오류 영상이라는 것을 인지하게 되면 피평가자는 즉시 이의 사실을 의사표시하는 것이다. 여기서, 의사표시한다는 것은 VR 장치(100)를 터치하거나 음성명령어를 발화하는 등의 동작을 통해 현재의 VR 화면에 오류 영상이 포함되어 있다는 것을 평가에 반영하도록 명령하는 것이다. VR 영상은 즉 시나리오 영상은 복수의 단위 프레임 영상들이 연속적으로 화면에 구현됨으로써 동영상이 재생된다. 따라서, 그 단위 프레임 영상으로서 오류 영상이 삽입되어 있을 것이고, 피평가자는 VR 영상의 감상 중 이를 발견하면 의사표시를 하여 술기(skill) 즉 간호 처치의 오류를 인지하는 것이다.
VR 장치(100)는 외부 케이스에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가령, 충격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모션 센서와 같은 움직임 센서를 포함할 수도 있다. 따라서, 피평가자가 VR 장치(100)의 바디(body)를 터치할 때, 센서를 통해 감지되는 감시 신호를 근거로 피평가자가 오류 즉 오류 영상의 위치를 인지하였는지를 알 수 있게 된다. 가령, 전체 N개의 단위 프레임 영상 중 오류 영상이 있는 (N-5)번째 영상이 화면에 표시될 때, 피평가자의 터치 신호가 감지되면, 피평가자가 오류를 제대로 인지했다고 판단하고, 반면 오류 영상이 없는 (N-1)번째에 터치 신호가 감지되면, 오류를 제대로 인지하지 못하고 있는 것이라 판단하는 것이다. 물론 평가시 오차도 반영되어야 할 것이다. 이러한 평가는 시간을 기준으로 평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시 말해, 시나리오 영상의 총 재생 시간이 4분이라고 가정할 때, 오류 영상의 삽입 구간이 가령 27초에서 38초 구간에 있을 때 해당 구간에서 피평가자의 터치 신호가 감지되면 오류 인지가 있는 것으로 판단하되, 39초에 터치 신호가 감지되는 경우에도 오류 인지를 한 것으로 보아야 할지가 오차에 해당될 수 있는데, 이는 실험결과나 시스템 설계자의 의도에 따라 다양하게 설계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은 오류의 인지 상황은 모니터링되어 점수화되며, 평가결과는 이미지 등의 형태로 별도로 저장되어 피평가자에게 제시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평가결과의 생성이나 피평가자에게 그 생성된 평가결과를 제시하는 방법은 다양할 수 있지만, VR 장치(100)의 영상으로 구현되는 것도 얼마든지 가능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VR 장치(100)는 특정 시나리오에 대한 감상이 끝나 피평가자의 평가가 완료된 경우, 피평가자가 정답보기를 선택하는 경우, 해당 정답과 관련되는 시나리오 영상을 또다시 표시할 수 있다. 피평가자는 이를 통해 자신이 선택한 위치에서의 오류 여부를 정답 영상과의 비교를 통해 오류를 바로 잡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예를 들어, VR 장치(100)를 통해 피평가자는 각각의 시나리오 영상을 통해 투약, 낙상, 수혈, 사정, 특수상황인계, 응급상황 등에 대한 술기 즉 간호 동작을 감상하고, 이때 이루어지는 오류를 가상 현실 속에서 인식하게 되며, 정답보기를 통해 자신의 오류를 수정한다고 볼 수 있다.
영상표시장치(110)는 데스크탑컴퓨터, 랩탑컴퓨터, 태블릿PC, 스마트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앞서 언급한 대로, 영상표시장치(110)는 VR 장치(100)로 복수의 시나리오 영상을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물론 영상표시장치(110)는 가령 피평가자가 VR 장치(100)를 통해 3차원(3D) 360°VR 영상을 통해 간호 처치를 수행하는 것이 아니라, 영상표시장치(110)의 경우에도 3차원으로 영상을 구현하는 것이 얼마든지 가능하므로, 이를 통해 가상 현실 속에서 간호 처치를 수행할 수도 있을 것이다. 물론, 3차원 영상을 구현하는 방식은 안경을 착용하는 안경 방식과 안경을 착용하지 않고 영상표시장치(110)의 패널에서 자체적으로 3차원 영상을 구현하는 무안경 방식이 가능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110)는 자체적으로도 가상 간호 중 오류상황 인지 여부 평가를 위해 사용될 수 있지만, VR 장치(100)와 연동하여 가상 간호 처치를 수행할 수 있도록 동작하는 것도 얼마든지 가능할 수 있다.
도 2에서 볼 때, 흐름도(Flow-Chart)는 VR 장치(100)의 다양한 동작을 보여주고 있다. 이의 동작에 따라 VR 장치(100)에는 화면구성 부분에서와 같은 다양한 화면들이 표시된다. 또한, 피평가자는 시나리오 영상의 감상 중에 VR 장치(100)의 터치 동작을 통해 자신의 오류 인지 여부를 알리게 된다. 물론 터치 동작은 센서를 통해 인식되겠지만, 이외에도 음성어를 발화하거나 별도의 리모트컨트롤러를 사용하는 방식 등 인지 여부를 알리기 위한 방식은 다양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어느 하나의 방식에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을 것이다.
통신망(120)은 유무선 통신망을 모두 포함한다. 가령 통신망(120)으로서 유무선 인터넷망이 이용되거나 연동될 수 있다. 여기서 유선망은 케이블망이나 공중 전화망(PSTN)과 같은 인터넷망을 포함하는 것이고, 무선 통신망은 CDMA, WCDMA, GSM, EPC(Evolved Packet Core), LTE(Long Term Evolution), 와이브로(Wibro) 망 등을 포함하는 의미이다. 물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망(120)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향후 구현될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의 접속망으로서 가령 클라우드 컴퓨팅 환경하의 클라우드 컴퓨팅망, 5G망 등에 사용될 수 있다. 가령, 통신망(120)이 유선 통신망인 경우 통신망(120) 내의 액세스포인트는 전화국의 교환국 등에 접속할 수 있지만, 무선 통신망인 경우에는 통신사에서 운용하는 SGSN 또는 GGSN(Gateway GPRS Support Node)에 접속하여 데이터를 처리하거나, BTS(Base Station Transmission), NodeB, e-NodeB 등의 다양한 중계기에 접속하여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다.
통신망(120)은 액세스포인트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의 액세스포인트는 건물 내에 많이 설치되는 펨토(femto) 또는 피코(pico) 기지국과 같은 소형 기지국을 포함한다. 여기서, 펨토 또는 피코 기지국은 소형 기지국의 분류상 VR 장치(100)나 영상표시장치(110)를 최대 몇 대까지 접속할 수 있느냐에 따라 구분된다. 물론 액세스포인트는 VR 장치(100)나 영상표시장치(110)와 지그비 및 와이파이 등의 근거리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근거리 통신모듈을 포함한다. 액세스포인트는 무선통신을 위하여 TCP/IP 혹은 RTSP(Real-Time Streaming Protocol)를 이용할 수 있다. 여기서, 근거리 통신은 와이파이 이외에 블루투스, 지그비, 적외선, UHF(Ultra High Frequency) 및 VHF(Very High Frequency)와 같은 RF(Radio Frequency) 및 초광대역 통신(UWB) 등의 다양한 규격으로 수행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액세스포인트는 데이터 패킷의 위치를 추출하고, 추출된 위치에 대한 최상의 통신 경로를 지정하며, 지정된 통신 경로를 따라 데이터 패킷을 다음 장치, 예컨대 가상 간호 상황 인지 평가 시스템(130)으로 전달할 수 있다. 액세스포인트는 일반적인 네트워크 환경에서 여러 회선을 공유할 수 있으며, 예컨대 라우터(router), 리피터(repeater) 및 중계기 등이 포함된다.
가상 간호 상황 인지 평가 시스템(130)은 VR 장치(100)와 통신을 수행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상 간호 중 오류상황 인지 여부 평가를 시나리오 영상을 스트리밍으로 전송하거나, VR 장치(100)의 요청이 있는 경우 가상 간호 중 오류상황 인지 여부 평가를 위한 프로그램 가령 앱을 제공할 수 있다. 물론, 가상 간호 상황 인지 평가 시스템(130)은 가령 VR 장치(100)의 경우 개인 소유가 아닐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각 사용자에 대한 평가결과를 제공받아, 또는 평가결과를 직접 생성하여 DB(130a)에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피평가자가 소지하는 스마트폰 등의 영상표시장치(110)에서 평가결과를 요청하는 경우 영상표시장치(110)로 평가결과를 전송해 줄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가상 간호 상황 인지 평가 시스템(13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상 간호 중 오류상황 인지 여부 평가 , 특히 간호대 학생이나 간호사들의 인지 평가를 위한 전반적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VR 장치(100)를 개인이 소유하는 경우에는 회원가입을 요청하여 회원으로서 서비스를 제공할 수도 있을 것이다.
나아가, 가상 간호 상황 인지 평가 시스템(130)을 통해 가상 간호 중 오류상황 인지 여부 평가 이 이루어지는 경우, 가상 간호 상황 인지 평가 시스템(130)은 VR 장치(100)로 전송되는 시나리오 영상에 대한 설정값, 다시 말해 시나리오 영상에서 오류 영상의 삽입 구간에 대한 시간 정보를 기저장하고 있으므로, 그 오류 영상이 화면에 표시될 때 피평가자가 제시한 VR 장치(100)로부터 제공되는 인지 정보를 근거로 피평가자가 오류를 제대로 인지하고 있는지를 평가할 수 있다. 물론 이는 다른 시나리오 영상에서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예를 들어, 시나리오 영상에 삽입된 오류 영상이 총 8개이지만, 인지횟수가 총 12개가 입력되었다면 해당 피평가자의 평가결과는 -3점으로 평가될 수 있는 것이다.
도 3은 도 1의 VR 장치의 세부 구조를 예시한 블록다이어그램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VR 장치(100)는 통신 인터페이스부(300), 제어부(310), 간호 중 오류상황 인지 여부 평가 처리부(320), 디스플레이부(330)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부(340)의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하며, 저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한다"는 것은 통신 인터페이스부(300)와 같은 일부 구성요소가 생략되어 구성되거나, 간호 중 오류상황 인지 여부 평가 처리부(320)와 같은 일부 구성요소가 제어부(310)와 같은 다른 구성요소에 통합되어 구성될 수 있는 것 등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발명의 충분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전부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한다.
통신 인터페이스부(300)는 외부 장치, 가령 영상표시장치(110)나 통신망(120)을 경유하여 가상 간호 상황 인지 평가 시스템(130)과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또는 제품 출고시에 앱을 탑재하기 위한 컴퓨터 등의 외부 장치와 통신할 수 있다. 나아가, 통신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통신 인터페이스부(300)는 변조/복조, 인코딩/디코딩, 먹싱/디먹싱, 스케일링, 암호화/복호화 등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이는 당업자에게 자명하므로 더 이상의 설명은 생략한다.
통신 인터페이스부(300)는 시스템 설계자의 의도에 따라 다양하게 동작하겠지만, 통신망(120)을 경유하여 도 1의 가상 간호 상황 인지 평가 시스템(130)과 통신을 수행하도록 설계된 경우, 스트리밍(streaming)으로 각 상황에 따른 시나리오 영상을 수신하고, 또 수신한 시나리오 영상을 통해 이루어지는 평가 관련 데이터를 다시 가상 간호 상황 인지 평가 시스템(130)으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평가 관련 데이터로서 피평가자의 인지 정보를 제공하여 평가를 수행하도록 하거나, 자체적으로 인지 정보를 이용해 평가를 한 다음, 데이터 저장만 수행하도록 요청하는 것을 포함한다.
제어부(310)는 VR 장치(100)를 구성하는 통신 인터페이스부(300), 간호 중 오류상황 인지 여부 평가 처리부(320), 디스플레이부(330)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부(340)의 전반적인 제어 동작을 담당한다. VR 장치(100)의 경우 제어부(310)는 출고시에 간호 중 오류상황 인지 여부 평가 처리부(320)에 앱이 저장되어 있는 경우 이를 실행시킬 수 있다. 또한, 실행에 따른 시나리오 영상을 디스플레이부(330)에 표시한다. 물론 이러한 앱의 실행이나 특정 시나리오 영상의 선택은 사용자 인터페이스부(340)의 사용자 명령에 따라 수행된다.
또한, 제어부(310)는 특정 상황(예: 투약, 낙상, 수혈 등)의 시나리오 영상이 화면에 표시되는 중에 피평가자로부터 오류 인지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더 정확히 말해, 해당 피평가자는 VR로 해당 시나리오 영상을 감상하게 되고 그 감상하던 중 오류가 발견되면 즉시 오류를 인지하였다는 신호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때, 제어부(310)는 해당 신호를 가령 간호 중 오류상황 인지 여부 평가 처리부(320)로 제공하여 현재 감상 중인 시나리오 영상의 설정값과 비교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도 3의 제어부(310)는 CPU와 메모리를 포함하며, CPU와 메모리는 원칩화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어부(310)는 제어회로, 연산부(ALU), 명령어해석부, 레지스트리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메모리는 램(RAM)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회로는 제어 동작을, 연산부는 2진 비트정보의 연산처리를, 그리고 명령어해석부는 입력된 2진 비트정보가 어떠한 동작의 수행에 관련되는지를 해석할 수 있다. 여기서, 해석은 룩업테이블(LUT)상의 좌측과 우측에 데이터를 매칭한 후 제어회로가 좌측 데이터를 근거로 우측의 데이터를 찾아 동작을 수행하는 것일 수 있다. 레지스트리는 소프트웨어적인 데이터 저장에 관여한다. 상기의 구성에 따라 CPU는 VR 장치(100)의 초기 구동시 간호 중 오류상황 인지 여부 평가 처리부(320)의 프로그램을 복사하여 메모리에 로딩한 후 이를 실행시켜 데이터 처리 속도를 빠르게 증가시킬 수 있게 된다.
간호 중 오류상황 인지 여부 평가 처리부(320)는 프로그램 가령 앱을 저장한 후 제어부(310)의 제어에 따라 앱을 실행시켜 디스플레이부(330)상에 화면이 구현되도록 한다. 상황별로 구성된 복수의 시나리오 영상을 실행시킬 수 있다. 각각의 시나리오는 간호 중 오류상황 인지 여부 평가를 가상의 현실로 구현하기 위한 영상을 의미한다. 또한, 각각의 시나리오 영상은 적절한 위치에 오류 영상이 삽입되어 형성된다. 따라서, 디스플레이부(330)상의 메인화면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부(340)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 즉 피평가자의 명령에 따라 선택되는 특정 시나리오 영상을 실행시켜 디스플레이부(330)에 구현되도록 한다. 물론, VR 영상은 360°회전하여 영상 시청이 가능한 영상을 의미한다.
가상 현실에서 피평가자가 술기, 가령 투약오류, 낙상오류, 수혈오류, 사정오류, 특수상황인계오류, 응급상황 오류 등과 같이 오류 동작을 감지하게 되면 이때 간호 중 오류상황 인지 여부 평가 처리부(320)는 발생되는 오류, 시간 등을 확인하고, 매뉴얼의 형태로 정답을 확인하도록 하여 피평가자가 본인의 오류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즉 각각의 시나리오 영상에는 오류 동작이 포함되도록 피평가자는 가상 현실에서 해당 오류 동작을 인지하여 찾아내는 과정이라 볼 수 있다.
물론 오류 동작은 사용자 인터페이스부(340)를 통해 입력되는 피평가자의 사용자 명령을 통해 인식되며, VR 장치(100)의 바디에 설치되는 센서를 통해 바디에 충격이 가해질 때, 피평가자의 인지 동작이 있었다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물론 움직임 센서를 장착하는 경우에도 바디가 움직일 때 신호가 발생하므로 이를 통해 판단할 수도 있다. 나아가, 음성명령어를 피평가자가 발화하여, 가령 "여기"라는 명령어가 발화되는 시점을 인지 시점으로 판단할 수도 있다. 뿐만 아니라, 별도의 리모트컨트롤러를 사용하여 피평가자의 인지 시점을 판단할 수도 있는 것이므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어느 하나의 형태에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을 것이다.
또한, 간호 중 오류상황 인지 여부 평가 처리부(320)는 시나리오마다 또는 복수의 시나리오를 종합하여 피평가자의 평가결과를 생성할 수 있다. 평가결과는 이미지 파일(예: PNG 등) 형태로 저장될 수 있고, 피평가자의 스마트폰으로 전송해 줄 수도 있다. 평가결과를 산정할 때 간호 중 오류상황 인지 여부 평가 처리부(320)는 일반 구간과 오류 구간을 구분하여 다르게 산정하여 평가할 수 있다. 여기서, 오류 구간의 매칭점수를 산정하는 방법에 있어서는 각 영상의 구간별 시간, 오류수, 인지횟수, 인지지점을 종합적으로 판단하여 인지횟수와 오류수의 비교 결과에 따라 산정된다. 가령, 인지횟수가 오류수보다 같거나 적을 경우, 매칭점수는 인지횟수와 같다. 반면, 인지횟수가 오류수보다 많을 경우 매칭점수는 오류수-(인지횟수-오류수)의 방법으로 산정하게 된다. 반면, 일반 구간에서 인지횟수가 있으면 그만큼 감점이 이루어진다고 볼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330)는 제어부(310)의 제어하에 간호 중 오류상황 인지 여부 평가 처리부(320)에서 실행되는 시나리오 영상을 표시하며, 이외에도 사용자 인터페이스부(340)의 사용자 명령에 따라 평가결과 이미지 등 다양한 부가 영상이나 이미지를 더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부(340)는 VR 장치(100)의 전원 온/오프 버튼을 포함하여, 메뉴 화면에서 특정 시나리오 영상을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을 수신한다. 물론 사용자 인터페이스부(340)는 음성명령어를 수신하기 위한 마이크로폰, 그리고 수신된 음성명령어를 인식하기 음성어인식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부(340)는 센서를 포함할 수도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부(340)를 통해 수신되는 사용자 명령을 근거로 제어부(310)는 간호 중 오류상황 인지 여부 평가 처리부(320) 및 디스플레이부(330)를 제어할 수 있다.
도 4는 도 1의 가상 간호 중 오류상황 인지 여부 평가 시스템의 세부 구조를 나타내는 블록다이어그램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상 간호 상황 인지 평가 시스템(130)은 통신 인터페이스부(400), 제어부(410), 간호 중 오류상황 인지 여부 평가 관리부(420) 및 저장부(430)의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하며, 여기서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한다는 것은 앞서서의 의미와 동일하다.
통신 인터페이스부(400)는 통신망(120)을 경유하여 VR 장치(100)나 영상표시장치(110)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가령, VR 장치(100)나 영상표시장치(110)에서 서비스에 접속하거나 앱의 다운로드를 요청하는 경우, 관련 서비스를 제공하거나 앱을 제공할 수 있다. 물론 통신 인터페이스부(400)는 VR 장치(100)에서 스트리밍 서비스를 요청하는 경우 스트리밍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제어부(410)는 통신 인터페이스부(400), 간호 중 오류상황 인지 여부 평가 관리부(420) 및 저장부(430)의 전반적인 제어 동작을 담당한다. 통신 인터페이스부(400)를 통해 VR 장치(100)나 영상표시장치(110)에서 서비스 요청이 있는 경우, 간호 중 오류상황 인지 여부 평가 관리부(420)를 제어하여 메뉴화면을 제공하고, 제공한 메뉴화면에서 선택되는 시나리오 영상을 제공할 수 있다. 이의 과정에서, 가령 간호 술기(혹은 간호 처치)의 오류를 감지하면 오류 감지 신호를 수신할 수도 있다. 여기서, 오류 감지 신호는 인지 정보가 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410)는 VR 장치(100)로부터 제공되는 술기와 관련한 데이터를 간호 중 오류상황 인지 여부 평가 관리부(420)로 제공하여 평가를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410)는 평가결과를 제공받아 저장부(430)에 저장하거나, 도 1의 DB(130a)에 사용자 즉 피평가자의 사용자정보와 매칭시켜 저장하여 관리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간호 중 오류상황 인지 여부 평가 관리부(42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상 간호 중 오류상황 인지 여부 평가와 관련한 서비스를 제공한다. 스트리밍으로 VR 장치(100)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으며, 앱의 다운로드를 요청하는 경우, 앱을 전송하도록 제어부(410)에 요청할 수 있으며, 또한 VR 장치(100)에서 구현되는 가상 시나리오 영상을 근거로 이루어지는 피평가자의 술기, 더 정확하게는 오류 인식 여부에 대한 평가를 진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간호 중 오류상황 인지 여부 평가 관리부(420)는 VR 장치(100)로 제공하는 시나리오 영상에 대한 구간별(일반 및 오류 구간) 시간, 해당 구간의 오류수에 대한 설정값을 저장한 후, VR 장치(100)로부터 제공되는 인지 정보(예: 인지횟수, 인지지점 등)를 매칭점수 산정하며, 이를 통해 피평가자의 평가결과를 생성하게 된다.
간호 중 오류상황 인지 여부 평가 관리부(420)는 가령 VR 장치(100)를 통해 이루어지는 피평가자들의 데이터를 수신하여 이를 평가하고, 평가결과를 도출하여 지정 포맷으로 데이터를 생성하여 도 1의 DB(130a)에 저장시킬 수 있다. 평가결과나 산정 알고리즘 즉 방법과 관련해서는 앞서 설명한 바 있으므로 더 이상의 설명은 생략한다.
저장부(430)는 제어부(410)의 제어하에 처리되는 다양한 정보 및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정보라 함은 제어명령이나 응답명령과 같은 명령어를 의미한다면, 데이터는 간단한 제어신호를 제외한 실질 데이터, 가령 화소 데이터를 의미할 수 있지만, 그러한 용어의 개념에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을 것이다.
한편, 도 4의 제어부(410)는 도 3의 제어부(310)와 마찬가지로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CPU와 메모리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이와 관련한 자세한 내용은 도 3에서의 내용과 크게 다르지 않으므로 그 내용들로 대신하고자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상 간호 중 오류상황 인지 여부 평가 시스템의 구동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설명의 편의상 도 5를 도 1의 가상 간호 상황 인지 평가 시스템(130)은 오류 영상이 포함되는 시나리오 영상을 저장한다(S500). 여기서, 시나리오 영상은 도 1의 VR 장치(100)에 표시되는 복수의 시나리오 영상 중 선택된 시나리오 영상을 의미할 수도 있다. 시나리오 영상에는 많을 오류수의 오류 영상이 포함되어 생성된다고 볼 수 있다.
또한, 가상 간호 상황 인지 평가 시스템(130)은 저장한 시나리오 영상의 감상 중 오류 영상의 화면이 표시될 때 오류 영상의 화면에 대한 피평가자의 인지 여부를 판단해 피평가자에 대한 VR 기반의 간호 중 오류상황 인지 여부 평가를 평가한다(S510).
다시 말해, 도 1의 VR 장치(100)에서 시나리오 영상이 구현될 때, 특정 화면에는 술기 가령 간호 오류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하나의 화면에서는 복수의 오류가 포함될 수도 있다. 따라서, 피평가자는 가상 현실 속에서 해당 오류를 찾아내야 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간호 중 오류상황 인지 여부 평가에 대한 인지 평가가 이루어질 수 있다.
도 6은 도 1의 VR 장치의 구동 과정을 예시하여 나타낸 흐름도이다.
설명의 편의상 도 6을 도 1과 함께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VR 장치(100)는 메인화면을 표시하고(S600), 피평가자가 메인화면에서 특정 시나리오를 선택하면(S610), 해당 시나리오의 영상을 화면에 구현한다. 시나리오 영상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360°VR 영상이다.
시나리오 영상이 화면에 구현되던 중에 VR 장치(100)는 오류 시나리오 영상을 함께 화면에 표시할 수 있는데, 이때 피평가자는 오류를 인지하고 인지하였다는 인지 신호 즉 인지 정보를 통지한다(S620, S630). 도 6에서는 VR 장치(100)를 터치하여 인지 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예시하고 있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시나리오 영상에 대한 평가가 완료되면, VR 장치(100)는 평가에 대한 평가결과를 생성하여 저장하거나, 나아가서는 생성된 평가결과를 화면에 표시해 줄 수 있다. 또는 피평가자의 스마트폰 등으로 전송해 줄 수도 있을 것이다.(S640)
또한, VR 장치(100)는 피평가자의 요청에 따라 감상했던 시나리오 영상과 관련한 정답 시나리오 영상을 다시 감상할 수 있다(S660). 이를 위하여 피평가자는 화면상의 정답보기 버튼을 선택할 수 있다(S650).
나아가, 상기의 과정을 진행하는 과정에서, 가령 피평가자가 S620 단계나 S660 단계에서 360°VR 영상을 감상하던 중에 VR 장치(100)의 "뒤로가기" 버튼을 클릭하게 되면 메인화면으로 이동하게 된다.
도 7a 내지 도 7g는 도 1의 VR 장치에 구현되는 화면의 예시도이다.
설명의 편의상 도 7a 내지 도 7g를 도 1과 함께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VR 장치(100)는 피평가자가 앱을 실행함으로써 도 7a에서와 같은 오류 상황 인지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도 7a의 화면은 일종의 로딩화면이며, 입체적인 텍스트 효과를 부여하여 다양한 형태로 제작될 수 있을 것이다.
이어, VR 장치(100)의 메인화면으로서 도 7b에서와 같은 화면이 표시될 수 있다. 상황별로 복수의 시나리오 영상을 선택할 수 있는 메뉴가 표시된다.
도 7b의 화면에서 피평가자가 "투약"에 대한 시나리오 영상을 터치하게 되면, 체크 표시(예: 녹색)가 나타났다가 1초 후 사라지게 된다.
그리고, 해당 시나리오 영상을 감사하던 중에 오류가 발견되면, 피평가자는 VR 장치(100)를 터치하는 등의 방식으로 오류를 인지하였다는 신호를 제공할 수 있고, 이의 경우 도 7c에서와 같이 오류 인지 신호가 있었다는 것을 화면에 체크 표시로서 알려줄 수 있다. 다시 말해 오류 시나리오를 360° VR 영상으로 감상하면서 오류 상황 인지시 VR 장치(100)를 터치한다. 이와 같이 피평가자가 VR 장치(100)를 터치하면 도 7c에서와 같이 녹색 체크 표시가 나타났다가 1초 후에 사라지게 된다. 이의 과정을 통해 VR 장치(100)는 평가를 위한 정보를 획득한다고 볼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상기 체크 표시를 녹색 체크 표시로 한정한 예를 나타내었으나 체크 표시는 상기에서 한정한 녹색 이외의 다른 다양한 색상으로 나타낼 수도 있다.
또한, VR 장치(100)는 선택한 시나리오 영상의 감상이 완료되었을 때, 감상 중에 피평가자가 수행한 터치 동작에 의한 인지 신호를 근거로 평가결과를 생성하고, 가령 피평가자의 요청이 있거나 자동으로 화면에 제시할 수 있다. 이는 도 7d에서와 같은 평가결과 화면의 형태로 표시될 수 있다. 그 하단에는 이미 감상한 시나리오 영상의 정답 영상을 확인할 수 있는 버튼이 생성될 수 있다. 평가결과는 피평가자의 스마트폰 화면에 제시될 수도 있지만, VR 장치(100)에 표시될 수 있다. 또한 평가결과는 스마트폰에 이미지 파일(예: PNG)로 저장될 수도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평가결과의 알고리즘은 도 7d에서 볼 때, 일반 구간([R00])과 오류 구간([E00])으로 구분하여 평가한다. 가령 [R01]의 브리핑 구간은 인지횟수와 매칭점수가 모두 0점으로 계산될 수 있다. 일반 구간([R00])의 매칭점수 산정 방식은 <수학식 1>과 같이 표현될 수 있다.
즉 오류가 없는 일반 구간에서 인지횟수가 있으면 감점이 된다.
반면, 오류 구간에서의 매칭점수 산정 방법은 인지횟수가 오류수와 같거나 적을 경우(인지횟수 ≤ 오류수)와 인지횟수가 오류수보다 많을 경우(인지횟수 〉오류수)로 구분해 볼 수 있으며, 인지횟수가 오류수와 같거나 적을 경우의 매칭점수는 <수학식 2>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인지횟수가 오류수보다 많을 경우의 매칭점수는 <수학식 3>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수학식 2> 및 <수학식 3>을 도 7d와 함께 참조해 보면, 오류 구간에는 오류수가 한 개일 수 있지만, 복수개의 오류가 포함될 수도 있다. 따라서, 오류 구간에서 오류를 감지하지 못하면 당연히 감점 요인이 되겠지만, 복수의 오류를 초과하여 인지한 것으로 판단될 때에는 설계 의도에 따라 다소 상이하게 평가될 수 있다. 도 7d에서는 동일 구간에 2개의 오류(예: E03-E04)가 있을 때와 하나의 오류(예: E06)가 있을 때, 오류수를 초과해서 인지가 있다 하더라도 점수는 다르게 부여되는 것을 잘 보여주고 있다.
도 7d의 화면에서, 가령 도 7e에서와 같이, 하단의 정답보기 버튼을 클릭함으로써 도 7f와 같은 화면이 재생될 수 있다. 물론 도 7e에서와 같은 정답 시나리오 영상도 360° VR 영상의 감상이 이루어지게 된다.
그리고, 특정 시나리오 영상의 정답보기가 완료되면 다시 메인화면이 표시되며, 도 7g에서와 같이 다른 상황, 가령 "낙상"의 시나리오 영상을 선택하여 또 다시 평가를 진행할 수 있다. 물론 타 시나리오 선택시에서 VR 장치(100)를 터치할 수 있다. 이의 경우에도 VR 장치(100)의 터치시 녹색 체크 표시가 나타났다가 1초 후에 사라지고, 앞서의 도 7b에서 도 7f의 동작을 반복할 수 있을 것이다.
도 8a 내지 도 8h는 투약 사례에 대한 VR 영상으로서 오류 영상이 삽입된 시나리오 영상의 일부와 그에 대응되는 정답 영상을 서로 비교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설명의 편의상 도 8a 내지 도 8h를 도 1과 함께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VR 장치(100)는 가령 가상의 간호 중 오류상황 인지 여부 평가 에서 피평가자들의 오류 인지 여부를 평가하기 위하여 도 8a 내지 도 8h의 (a)측에서와 같이 시나리오 영상의 지정 위치에 오류 영상과 같은 평가 영상을 삽입하여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영상을 순차적으로 표시하고, VR 장치(100)를 착용한 피평가자들은 해당 영상을 볼 수 있다.
오류 영상 등의 인지 평가 영상이 삽입되는 시나리오 영상은 정답 영상 즉 정상 처치 동영상보다 러닝시간에 있어 다소 차이가 있을 수 있는데, 이는 정답 영상에서 자막과 같은 설명 화면을 추가하는 것에 의해 발생하는 것이라 볼 수 있다.
도 8a 내지 도 8h의 VR 영상은 투약 사례에 해당하는 영상으로서, 입원실에서 환자의 혈압, 체온 측정 및 투약 처치 업무를 평가하기 위한 것을 보여준다.
도 8a에서는 피평가자가 이름을 확인하였는지 확인하지 않았는지에 대한 평가 영상, 가령 오류 영상과 정답 영상을 대비하여 나타내었다. 예를 들어, 도 8a의 (a) 영상이 화면에 표시될 때, 이름을 확인하지 않은 것으로 인지되면 피평가자는 앞서 언급한 대로 VR 장치(100)를 터치하여 오류 상황을 인지하였음을 알린다.
또한, 도 8b의 (a) 화면은 혈압 측정시 청진기를 사용하였는지 사용하지 않았는지 인지 평가를 하기 위한 화면이며, 동영상의 재생 중에 일정 시간(예: 수 초)이 경과하면 도 8c의 (a) 화면이 표시된다. 피평가자는 실제 간호 현장에 있는 경우 이 단계에서 투약을 하기 전에 투약의 오류를 줄이기 위하여 수액 백(bag)의 환자 정보와 팔찌를 한번 더 확인해야 한다. 따라서, 도 8c의 (a) 화면에서 오류 영상이 표시되면 피평가자는 이를 인지하고 오류를 알릴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방식으로, 피평가자는 도 8a 내지 도 8h의 (a)측 영상을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감상하면서 간호 처치 상황에 있어, 오류가 있다고 판단되는 부분에서는 인지 여부를 알려 이를 도 1의 가상 간호 중 오류상황 인지 여부 평가 시스템(130)을 통해 평가받게 되며, 또 정답보기를 선택하여 도 8a 내지 도 8h의 (b)측에 해당하는 영상을 감상함으로써 자신이 어느 부분을 제대로 인지하지 못하였는지를 인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답 영상을 피평가자에게 제시할 때에는 전체 영상을 다시 보여주면서 평가 결과를 근거로 오류를 인지하지 못한 부분에 대해서만 자막 등을 통해 알릴 수 있겠지만, 도 8a 내지 도 8h의 (b)측에서와 같이 피평가자가 오류를 제대로 인지하지 못한 부분만을 평가 결과를 근거로 취득하여 화면을 제시하는 것도 가능하며, 이는 어디까지나 시스템 설계자의 의도에 따라 달라질 수 있는 것이므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어느 하나의 방식에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을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그 모든 구성요소들이 각각 하나의 독립적인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들의 그 일부 또는 전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하나 또는 복수 개의 하드웨어에서 조합된 일부 또는 전부의 기능을 수행하는 프로그램 모듈을 갖는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그 컴퓨터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코드들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비일시적 저장매체(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a)에 저장되어 컴퓨터에 의하여 읽혀지고 실행됨으로써, 본 발명의 실시 예를 구현할 수 있다.
여기서 비일시적 판독 가능 기록매체란, 레지스터, 캐시(cache), 메모리 등과 같이 짧은 순간 동안 데이터를 저장하는 매체가 아니라, 반영구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며, 기기에 의해 판독(reading)이 가능한 매체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상술한 프로그램들은 CD, DVD, 하드 디스크, 블루레이 디스크, USB, 메모리 카드, ROM 등과 같은 비일시적 판독가능 기록매체에 저장되어 제공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100: VR 장치 110: 영상표시장치
120: 통신망
130: 가상 간호 중 오류상황 인지 여부 평가 시스템
300, 400: 통신 인터페이스부 310, 410: 제어부
320: 간호 중 오류상황 인지 여부 평가 처리부
330: 디스플레이부 340: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420: 간호 중 오류상황 인지 여부 평가 관리부
430: 저장부
120: 통신망
130: 가상 간호 중 오류상황 인지 여부 평가 시스템
300, 400: 통신 인터페이스부 310, 410: 제어부
320: 간호 중 오류상황 인지 여부 평가 처리부
330: 디스플레이부 340: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420: 간호 중 오류상황 인지 여부 평가 관리부
430: 저장부
Claims (7)
- VR 장치(100), 영상표시장치(110), 통신망(120) 및 가상 간호 중 오류상황 인지 여부 평가 시스템(130)으로 이루어지는 가상 현실을 기반으로 하는 간호 중 오류상황 인지 여부 평가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VR 장치(100)는,
영상표시장치(110)나 통신망(120)을 경유하여 가상 간호 상황 인지 평가 시스템(130)과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 인터페이스부(300);
특정 상황의 시나리오 영상이 화면에 표시되는 중에 피평가자는 VR로 해당 시나리오 영상을 감상하던 중 오류가 발견되면 즉시 오류를 인지하였다는 신호를 간호 중 오류상황 인지 여부 평가 처리부(320)로 제공하여 현재 감상 중인 시나리오 영상의 설정값과 비교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제어부(310);
가상 현실에서 피평가자가 오류 동작을 감지하게 되면 이때 간호 중 발생되는 오류, 시간 등을 확인하고, 매뉴얼의 형태로 정답을 확인하도록 하여 피평가자가 본인의 오류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오류상황 인지 여부 평가 처리부(320);
VR 장치(100)의 전원 온/오프 버튼을 포함하여, 메뉴 화면에서 특정 시나리오 영상을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을 수신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340); 및
제어부(310)의 제어하에 간호 중 오류상황 인지 여부 평가 처리부(320)에서 실행되는 시나리오 영상을 표시하며, 이외에도 사용자 인터페이스부(340)의 사용자 명령에 따라 평가결과 이미지의 부가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330);를 포함하고,
상기 가상 간호 중 오류상황 인지 여부 평가 시스템(130)은,
통신망(120)을 경유하여 VR 장치(100)나 영상표시장치(110)와 통신을 수행하여 상기 피평가자의 인지 여부에 대한 사용자 명령을 수신하는 사용자 통신 인터페이스부(400);
저장한 시나리오 영상의 감상 중 오류 영상의 화면이 표시될 때 오류 영상의 화면에 대한 피평가자의 인지 여부를 판단해 상기 피평가자에 대한 VR(Virtual Reality) 기반의 간호 중 오류상황 인지 여부를 평가하는 제어부(410);
VR 장치(100)로 제공하는 시나리오 영상에 대한 구간별 시간, 해당 구간의 오류수에 대한 설정값을 저장한 후, VR 장치(100)로부터 제공되는 인지 정보를 매칭점수 산정하며, 이를 통해 피평가자의 평가결과를 생성하는 간호 중 오류상황 인지 여부 평가 관리부(420); 및
오류 영상이 포함되는 시나리오 영상과 상기 시나리오 영상에 대한 정답 영상을 저장하는 저장부(430); 를 포함하는 가상 현실을 기반으로 하는 간호 중 오류상황 인지 여부 평가 시스템. - 삭제
- 삭제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340)는, 상기 사용자 명령으로서 상기 피평가자의 터치를 인식하는 센서를 포함하는 가상 현실을 기반으로 하는 간호 중 오류상황 인지 여부 평가 시스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340)는, 상기 사용자 명령으로서 상기 피평가자의 음성어를 수신하는 음성 수신부를 포함하는 가상 현실을 기반으로 하는 간호 중 오류상황 인지 여부 평가 시스템.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41624A KR102071606B1 (ko) | 2019-04-09 | 2019-04-09 | 가상 현실을 기반으로 하는 간호 중 오류상황 인지 여부 평가 시스템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41624A KR102071606B1 (ko) | 2019-04-09 | 2019-04-09 | 가상 현실을 기반으로 하는 간호 중 오류상황 인지 여부 평가 시스템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071606B1 true KR102071606B1 (ko) | 2020-01-30 |
Family
ID=693213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041624A KR102071606B1 (ko) | 2019-04-09 | 2019-04-09 | 가상 현실을 기반으로 하는 간호 중 오류상황 인지 여부 평가 시스템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071606B1 (ko)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10100987A (ko) | 2020-02-07 | 2021-08-18 | 설원진 | 보육교사 및 유아교사 양성을 위한 실감형 실습서비스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
KR20220103213A (ko) | 2021-01-14 | 2022-07-22 |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 가상현실 기반의 투약간호 자율실습 장치 |
KR20220111747A (ko) | 2021-01-31 | 2022-08-10 | 그리다텍 주식회사 | 가상현실 기반의 투약간호 자율실습 장치 |
KR20240067173A (ko) | 2022-11-07 | 2024-05-16 | 그리다텍 주식회사 | 멀티플랫폼 실습환경 공유 시스템 |
KR20240068307A (ko) | 2022-11-10 | 2024-05-17 | 그리다텍 주식회사 | 가상현실 기반의 투약간호 자율실습 장치 |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00045829A (ko) * | 2008-10-24 | 2010-05-04 | 명지대학교 산학협력단 | 교육 및 엔터테인먼트 분야에서 반응 전달 매개체를 이용하여 자극에 대한 반응 시간을 분석하는 자극 테스트 장치 및 방법 |
KR101290118B1 (ko) | 2012-01-12 | 2013-07-26 |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 약물용량계산 학습용 어플리케이션 제공 방법 |
KR20160020924A (ko) * | 2014-08-14 | 2016-02-24 | (주)씨제이포유 | 멀티미디어 학습 평가 시스템 |
KR20160062359A (ko) * | 2014-11-25 | 2016-06-02 | 권일 | 온라인을 이용한 플랫폼 기반의 스마트 안전교육 시스템 |
KR20160136833A (ko) * | 2015-05-21 | 2016-11-30 | 쓰리디메디비젼 주식회사 | 영상콘텐츠를 활용한 의료교육 시스템 |
KR101894455B1 (ko) | 2017-04-05 | 2018-09-04 | 부산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 영상의학용 일반촬영 검사 가상현실 컨텐츠 제작-운용방법 |
-
2019
- 2019-04-09 KR KR1020190041624A patent/KR102071606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00045829A (ko) * | 2008-10-24 | 2010-05-04 | 명지대학교 산학협력단 | 교육 및 엔터테인먼트 분야에서 반응 전달 매개체를 이용하여 자극에 대한 반응 시간을 분석하는 자극 테스트 장치 및 방법 |
KR101290118B1 (ko) | 2012-01-12 | 2013-07-26 |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 약물용량계산 학습용 어플리케이션 제공 방법 |
KR20160020924A (ko) * | 2014-08-14 | 2016-02-24 | (주)씨제이포유 | 멀티미디어 학습 평가 시스템 |
KR20160062359A (ko) * | 2014-11-25 | 2016-06-02 | 권일 | 온라인을 이용한 플랫폼 기반의 스마트 안전교육 시스템 |
KR20160136833A (ko) * | 2015-05-21 | 2016-11-30 | 쓰리디메디비젼 주식회사 | 영상콘텐츠를 활용한 의료교육 시스템 |
KR101894455B1 (ko) | 2017-04-05 | 2018-09-04 | 부산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 영상의학용 일반촬영 검사 가상현실 컨텐츠 제작-운용방법 |
Cited By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10100987A (ko) | 2020-02-07 | 2021-08-18 | 설원진 | 보육교사 및 유아교사 양성을 위한 실감형 실습서비스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
KR20220103213A (ko) | 2021-01-14 | 2022-07-22 |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 가상현실 기반의 투약간호 자율실습 장치 |
KR102434159B1 (ko) | 2021-01-14 | 2022-08-19 |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 가상현실 기반의 투약간호 자율실습 장치 |
KR20220111747A (ko) | 2021-01-31 | 2022-08-10 | 그리다텍 주식회사 | 가상현실 기반의 투약간호 자율실습 장치 |
KR102464419B1 (ko) * | 2021-01-31 | 2022-11-09 | 그리다텍 주식회사 | 가상현실 기반의 투약간호 자율실습 장치 |
KR20240067173A (ko) | 2022-11-07 | 2024-05-16 | 그리다텍 주식회사 | 멀티플랫폼 실습환경 공유 시스템 |
KR20240068307A (ko) | 2022-11-10 | 2024-05-17 | 그리다텍 주식회사 | 가상현실 기반의 투약간호 자율실습 장치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071606B1 (ko) | 가상 현실을 기반으로 하는 간호 중 오류상황 인지 여부 평가 시스템 | |
Ochoa et al. | The RAP system: Automatic feedback of oral presentation skills using multimodal analysis and low-cost sensors | |
Cooper et al. | The effects of substitute multisensory feedback on task performance and the sense of presence in a virtual reality environment | |
US11698674B2 (en) | Multimodal inputs for computer-generated reality | |
US10431116B2 (en) | Orator effectiveness through real-time feedback system with automatic detection of human behavioral and emotional states of orator and audience | |
WO2017084308A1 (zh) | 视频播放方法及装置 | |
KR20170048137A (ko) | 미디어 컨텐츠 송신 방법, 미디어 컨텐츠 송신 장치, 미디어 컨텐츠 수신 방법, 및 미디어 컨텐츠 수신 장치 | |
AU2019203786B2 (en) | Systems and methods for displaying objects on a screen at a desired visual angle | |
US20170156585A1 (en) | Eye condition determination system | |
US20210203955A1 (en) | Systems and methods for emotion and perception based video compression and video perception enhancement | |
JP2013201623A (ja) | 通信制御装置、通信システム、通信制御装置を制御するための方法、通信制御装置を制御するための方法をコンピュータに実行させるプログラム、および、通信装置 | |
TWI384383B (zh) | 視線察覺裝置及其方法 | |
US20170351820A1 (en) | Scheduling interaction with a subject | |
US10602976B2 (en) | Personalized posture correction | |
US20170042416A1 (en) | Systems and methods for displaying objects on a screen at a desired visual angle | |
US20150082244A1 (en) | Character input device using event-related potenti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 |
Sokan et al. | A tangible experiment support system with presentation ambiguity for safe and independent chemistry experiments | |
CN109257546A (zh) | 一种视频显示方法、装置、电子设备及介质 | |
Kassutto et al. | Google Glass video capture of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events: a pilot simulation study | |
TW201937461A (zh) | 互動式訓練及檢測裝置 | |
Nadal et al. | Using smartphones to learn exercise physiology. | |
CN114341944A (zh) | 计算机生成的现实记录器 | |
KR20210100987A (ko) | 보육교사 및 유아교사 양성을 위한 실감형 실습서비스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 |
US9786195B2 (en) | System and method for evaluating reading fluency using underlining | |
AU2021107210A4 (en) | System, method and virtual reality device for assessing compliance of body movement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