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34159B1 - 가상현실 기반의 투약간호 자율실습 장치 - Google Patents

가상현실 기반의 투약간호 자율실습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34159B1
KR102434159B1 KR1020210004972A KR20210004972A KR102434159B1 KR 102434159 B1 KR102434159 B1 KR 102434159B1 KR 1020210004972 A KR1020210004972 A KR 1020210004972A KR 20210004972 A KR20210004972 A KR 20210004972A KR 102434159 B1 KR102434159 B1 KR 1024341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en
user
dosing
virtual reality
nur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049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03213A (ko
Inventor
옥지원
옥수열
Original Assignee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100049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34159B1/ko
Publication of KR202201032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032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41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41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3/00Models for scientific, medical, or mathematical purposes,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 G09B23/28Models for scientific, medical, or mathematical purposes,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for medicine
    • G09B23/30Anatomical mode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02Specific input/output arrangements not covered by G06F3/01 - G06F3/16
    • G06F3/005Input arrangements through a video camer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00Arrangements for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70Arrangements for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using pattern recognition or machine learning
    • G06V10/74Image or video pattern matching; Proximity measures in feature spaces
    • G06V10/75Organisation of the matching processes, e.g. simultaneous or sequential comparisons of image or video features; Coarse-fine approaches, e.g. multi-scale approaches; using context analysis; Selection of dictionari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3/00Models for scientific, medical, or mathematical purposes,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 G09B23/28Models for scientific, medical, or mathematical purposes,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for medicine
    • G09B23/285Models for scientific, medical, or mathematical purposes,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for medicine for injections, endoscopy, bronchoscopy, sigmoidscopy, insertion of contraceptive devices or enema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5/00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 G09B5/02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with visual presentation of the material to be studied, e.g. using film strip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7/00Electrically-operated teaching apparatus or devices working with questions and answers
    • G09B7/02Electrically-operated teaching apparatus or devices working with questions and answers of the type wherein the student is expected to construct an answer to the question which is presented or wherein the machine gives an answer to the question presented by a student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9/00Simulators for teaching or training purpos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0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 H04Q2209/4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using a wireless architecture
    • H04Q2209/43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using a wireless architecture using 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s [WPAN], e.g. 802.15, 802.15.1, 802.15.4, Bluetooth or ZigBe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ultimedia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Algebra (AREA)
  • Computational Mathemat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Pure & Applied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Mathematical Optimization (AREA)
  • Mathematical Analysi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Pulmonology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Accommodation For Nursing Or Treatment Tables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가상현실 기반의 투약간호 자율실습 장치(100)는 메인 서버(200) 및 다수의 가상현실 장치(300)로 구성되고, 상기 가상현실 장치(300)는 상기 가상현실 장치(300) 및 메인 서버(200)가 서로 통신하기 위한 통신 모듈(310), 상기 메인 서버(200)로부터 전송받은 초기 화면(400), 각각의 처방 정보에 대한 투약간호 실습화면(500)들 및 정답지들이 저장되는 메모리부(320), 상기 초기 화면(400), 상기 초기 화면(400)에서 선택된 처방 정보에 맞는 투약간호 실습화면(500)을 출력부(350)를 통해 순서대로 표시하는 제어 모듈(330), 상기 초기 화면(400)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처방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초기 화면(400)에 해당하는 투약간호 실습화면(500)에 상기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사용자 입력 데이터를 수신하는 사용자 입력부(340) 및 상기 초기 화면(400), 상기 초기 화면(400)에서 선택된 처방 정보에 해당하는 투약간호 실습화면(500)을 출력하는 출력부(3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가상현실 기반의 투약간호 자율실습 장치{virtual reality-based self-directed practice program for medication education on nursing}
본 발명은 가상현실 기반의 투약간호 자율실습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가상 현실을 통해 투약간호 과정을 단계별로 실습할 수 있는 가상현실 기반의 투약간호 자율실습 장치에 관한 것이다.
기본간호학은 이론과 실습으로 구성되어 있는 학문으로 간호학에 입문하는 학생들에게 기본적인 간호의 의미와 개념을 익히도록 하고, 이를 임상실무에 적용할 수 있도록 교육하는 교과목이다. 학생들은 기본간호실습을 통해 의료현장에서 환자의 건강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요구되는 핵심적이고, 기본적인 간호실무 능력을 함양할 수 있도록 교육받게 된다. 그리고, 간호사가 된 이후에는 이를 기반으로 환자의 건강문제를 해결하게 된다. 기본간호실무능력은 시행착오를 통한 문제해결과 술기의 반복훈련을 통하여 학생들이 의식적인 노력 없이도 자동적으로 간호술이 숙달될 수 있도록 올바른 태도와 습관형성을 학습의 중요한 결과로 간주하고 있다.
그동안 기본간호학실습에서는 교과목의 특성상 교수자가 학습자의 술기행위를 일대일로 관찰하는 교육이 이루어져 왔다. 그리고, 기본간호학실습은 실습실에서 모형을 대상으로 하거나, 단편적인 간호기술을 반복, 훈련하는 수동적 형태의 실습과정으로 구성되어 왔다. 또한, 대부분 대학에서는 실습지의 부족, 환자에 대한 제한적인 접근, 교수요원의 부족, 실습 학점 및 시간 부족으로 인해 학생들에게 주어지는 간호술기 실습 기회가 제한적일 수밖에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상황은 학생들로 하여금 간호학을 제대로 이해하지 못한다고 생각하게 만들고, 부족한 간호 지식 및 기술로 인해 학생들은 자신감 상실, 심한 긴장감 및 스트레스를 경험하고, 임상 환경에 제대로 적응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병원의 환자 및 보호자들은 의료 정보에 대한 지식수준의 향상으로 양질의 간호서비스에 대한 요구가 높아져, 숙련되지 않은 학생에 대한 실습을 거부하고 있다. 따라서, 대학에서 정확한 기본간호술기 능력을 배양하지 않을 경우, 신규 간호사가 되었을 때, 임상 부적응에도 영향을 미치게 된다.
KR 10-1915621 B1 KR 10-2071606 B1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가상현실을 통해 투약간호 과정을 사용자가 병실에 입실하기 전에, 투약간호를 준비하는 제 1단계, 상기 사용자가 상기 병실에 입실한 후, 환자에게 투약간호하는 제 2단계 및 상기 사용자가 상기 병실에서 퇴실한 이후, 사후 처리하는 제 3단계로 실습할 수 있는 가상현실 기반의 투약간호 자율실습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인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가상현실 기반의 투약간호 자율실습 장치(100)는 메인 서버(200) 및 다수의 가상현실 장치(300)로 구성되고, 상기 가상현실 장치(300)는 상기 가상현실 장치(300) 및 메인 서버(200)가 서로 통신하기 위한 통신 모듈(310), 상기 메인 서버(200)로부터 전송받은 초기 화면(400), 각각의 처방 정보에 대한 투약간호 실습화면(500)들 및 정답지들이 저장되는 메모리부(320), 상기 초기 화면(400), 상기 초기 화면(400)에서 선택된 처방 정보에 맞는 투약간호 실습화면(500)을 출력부(350)를 통해 순서대로 표시하는 제어 모듈(330), 상기 초기 화면(400)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처방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초기 화면(400)에 해당하는 투약간호 실습화면(500)에 상기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사용자 입력 데이터를 수신하는 사용자 입력부(340) 및 상기 초기 화면(400), 상기 초기 화면(400)에서 선택된 처방 정보에 해당하는 투약간호 실습화면(500)을 출력하는 출력부(3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초기 화면(400)은 다수의 처방 정보를 표시하여, 상기 사용자가 상기 다수의 처방 정보 중에서 1개의 처방 정보를 선택하도록 하는 화면이고, 상기 투약간호 실습화면(500)은 상기 사용자가 병실에 입실하기 전에, 투약간호를 준비하는 과정에 대한 화면인 제1 화면(510), 상기 사용자가 상기 병실에 입실한 후, 환자에게 투약간호하는 과정에 대한 화면이인 제2 화면(520) 및 상기 사용자가 상기 병실에서 퇴실한 이후, 사후 처리하는 과정에 대한 화면인 제3 화면(530)을 포함하고, 상기 정답지들은 사전 행동 요령, 손소독 과정, 처방 정보에 필요한 물품들, 입실후 행동 요령, 투약 과정 및 사후 처리 요령 각각에 대한 정확한 순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화면(510)은 사전 행동 요령들을 랜덤으로 배열하여, 상기 사용자가 사전 행동 요령을 순서에 맞게 체크하도록 하는 사전 행동 인터페이스(511), 상기 사전 행동 요령을 순서대로 표시하는 사전 행동 화면(512), 손소독 과정에 대한 다수의 이미지를 랜덤으로 배열하여, 상기 사용자가 상기 손소독 과정을 순서에 맞게 체크하도록 하는 손소독 인터페이스(513) 및 다수의 물품 이미지를 랜덤으로 배열하여, 상기 사용자가 자신이 선택한 처방 정보에 필요한 다수의 물품을 선택하도록 하는 물품 인터페이스(51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 화면(520)은 입실후 행동 요령들을 랜덤으로 배열하여, 상기 사용자가 입실후 행동 요령을 순서에 맞게 체크하도록 하는 병실 행동 인터페이스(521), 상기 입실후 행동 요령을 순서대로 표시하는 병실 행동 화면(522), 투약 과정에 대한 다수의 항목을 랜덤으로 배열하여, 사용자가 상기 투약 과정을 순서에 맞게 체크하도록 하는 투약 인터페이스(523) 및 상기 투약 과정을 순서대로 표시하는 투약 화면(52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3 화면(530)은 사후 처리 요령들을 랜덤으로 배열하여, 상기 사용자가 사후 처리 요령을 순서에 맞게 체크하도록 하는 사후 처리 인터페이스(531) 및 상기 병실에서 퇴실한 이후, 상기 사후 처리 요령을 순서대로 표시하는 사후 처리 화면(53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 모듈(330)은 상기 사용자 입력부(340)를 통해 입력된 상기 사용자 입력 데이터를 해당 정답지와 각각 비교하여, 상기 사용자의 점수를 산출하고, 상기 사용자의 점수가 속한 점수 구간에 따라 사용자의 레벨을 설정하고, 상기 출력부(350)는 상기 제어 모듈(330)에 의해 생성된 사용자의 점수 및 레벨 데이터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점수 구간은 80점 초과~100점 이하, 60점 초과~80점 이하, 40점 초과~60점 이하, 20점 초과~40점 이하, 0점 이상~20점 이하로 각각 설정되고, 각각의 점수 구간에 해당되는 사용자의 레벨은 각각 A, B, C, D, F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가상현실 기반의 투약간호 자율실습 장치(100)는 인체의 팔을 실제로 형상화한 실습 모형(600), 상기 실습 모형(600)의 외측에 설치되어, 상기 실습 모형(600)에 접촉하는 물체를 감지하여 감지 신호를 생성하는 모션 감지부(610), 상기 모션 감지부(610)에 의해 생성된 감지 신호를 카메라부(630)로 전송하는 블루투스 모듈(620) 및, 상기 실습 모형(600)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블루투스 모듈(620)에 의해 전송된 감지 신호에 따라 실습 모형(600)을 촬영하여, 상기 실습 모형(600)에 주사 또는 카테터(601)가 실제로 삽입되는 실제 삽입 이미지를 생성하는 카메라부(63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실제 삽입 이미지는 가상현실 장치(300)의 통신 모듈(310)을 통해 제어 모듈(330)로 전송되고, 상기 제어 모듈(330)은 상기 카메라부(630)에 의해 촬영된 상기 실제 삽입 이미지와 기준 삽입 이미지를 비교하여, 상기 실제 삽입 이미지의 삽입 지점이 상기 기준 삽입 이미지의 삽입 허용 영역(602) 내에 속하는 경우, 사용자의 점수를 사전에 설정된 점수로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가상현실 기반의 투약간호 자율실습 장치는 투약간호 실습에 가상현실 기술을 적용하여, 간호학의 중요 요소인 실습교육의 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어, 전문성이 확보된 양질의 간호사를 양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가상현실 기반의 투약간호 자율실습 장치는 유휴 간호사의 재교육에 활용될 수 있어, 간호간병 통합서비스의 도입으로 더욱 부족해진 간호 인력난을 일정 부분 해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가상현실 기반의 투약간호 자율실습 장치는 전통적인 도제식 교육방식을 지양하고, 고가의 실습기자재의 비효율적인 측면을 보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현시대 학습자들의 요구를 충분히 반영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가상현실 기반의 투약간호 자율실습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메인 서버의 구성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가상현실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4는 가상현실 기반의 투약간호 자율실습 장치의 구동 방법에 대한 순서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S300 단계에 대한 순서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S310 단계에 대한 순서도이다.
도 7은 도 5에 도시된 S320 단계에 대한 순서도이다.
도 8은 도 5에 도시된 S330 단계에 대한 순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가상현실 기반의 투약간호 자율실습 장치에서 실습 모형의 평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 예에 불과한 것으로 이에 의해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축소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가상현실 기반의 투약간호 자율실습 장치(100)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가상현실 기반의 투약간호 자율실습 장치(100)는 메인 서버(200) 및 사용자의 안면에 착용되는 다수의 가상현실 장치(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메인 서버(200)의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먼저, 메인 서버(200)는 입력부(210), 저장부(220), 제어부(230) 및 통신부(2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입력부(210)에서는 다수의 처방 정보, 각각의 처방 정보에 대한 사전 행동 요령들, 손소독 과정에 대한 이미지들, 물품 이미지들, 입실후 행동 요령들, 투약 과정에 대한 항목들, 사후 처리 요령들, 동영상들 및 각각의 처방 정보에 대한 정답지들 등이 입력된다. 이때, 처방 정보는 정맥 주사, 근육 주사, 피하 주사 및 피내 주사로 분류된다.
그리고, 정답지들은 각각의 처방 정보에 대한 사전 행동 요령, 손소독 과정, 처방 정보에 필요한 물품들, 입실후 행동 요령, 투약 과정, 사후 처리 요령 각각에 대한 정확한 순서를 의미한다.
그리고, 저장부(220)에는 입력부(210)로부터 입력된 다수의 데이터가 저장된다. 한편, 저장부(220)에는 다수의 가상현실 장치(300)로부터 전송받은 사용자 입력 데이터가 저장된다.
그리고, 제어부(230)는 저장부(220)에 저장된 다수의 데이터를 이용하여, 초기 화면(400), 각각의 처방 정보에 대한 투약간호 실습화면(500)들을 생성한다. 그리고, 제어부(230)는 초기 화면(400), 각각의 처방 정보에 맞는 투약간호 실습화면(500) 및 정답지들을 통신부(240)를 통해 가상현실 장치(300)로 전송한다.
이때, 초기 화면(400)은 다수의 처방 정보를 표시하여, 사용자가 다수의 처방 정보 중에서 1개의 처방 정보를 선택하도록 하는 화면을 의미한다.
그리고, 통신부(240)는 메인 서버(200) 및 가상현실 장치(300)가 서로 통신하기 위한 역할을 한다.
그리고, 투약간호 실습화면(500)은 제1 화면(510), 제2 화면(520) 및 제3 화면(5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제1 화면(510)은 사용자가 병실에 입실하기 전에, 투약간호를 준비하는 과정에 대한 화면이다. 제1 화면(510)은 사전 행동 인터페이스(511), 사전 행동 화면(512), 손소독 인터페이스(513) 및 물품 인터페이스(51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사전 행동 인터페이스(511)는 사전 행동 요령들을 랜덤으로 배열하여, 사용자가 사전 행동 요령을 순서에 맞게 체크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사전 행동 인터페이스(511)는 투약 처방 및 투약 원칙 확인, 처방 및 수액 확인, 수액 물품 준비, 수액백 라벨 부착, 수액 세트 연결 및 점적통 채우기, 수액 세트 공기 빼기 등 사전 행동 요령들을 랜덤으로 배열한다.
그리고, 사전 행동 화면(512)은 병실에 입실하기 전, 사전 행동 요령을 순서대로 표시한다.
그리고, 손소독 인터페이스(513)는 손소독 과정에 대한 다수의 이미지를 랜덤으로 배열하여, 사용자가 손소독 과정을 순서에 맞게 체크하도록 한다.
그리고, 물품 인터페이스(514)는 다수의 물품 이미지를 랜덤으로 배열하여, 사용자가 자신이 선택한 처방 정보에 필요한 다수의 물품을 선택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선택한 처방 정보가 정맥 주사인 경우, 필요한 물품은 수액백 부착 라벨, 5% 포도당 용액 500mL, 수액 세트, 24g 혈관 카테터 2개, 지혈대, 투명 필름 드레싱(tefaderm), 곡반 및 수액 걸대이다. 한편, 사용자가 선택한 처방 정보가 근육 주사, 피내 주사 또는 피하 주사인 경우에는 각각의 처방 정보에 대해 필요한 물품이 달라질 수 있다.
그리고, 제2 화면(520)은 사용자가 병실에 입실한 후, 환자에게 투약간호하는 과정에 대한 화면이다. 제2 화면(520)은 병실 행동 인터페이스(521), 병실 행동 화면(522), 투약 인터페이스(523) 및 투약 화면(524)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병실 행동 인터페이스(521)는 입실후 행동 요령들을 랜덤으로 배열하여, 사용자가 입실후 행동 요령을 순서에 맞게 체크하도록 한다.
예를 들어, 병실 행동 인터페이스(521)는 간호사 소개, 환자 확인, 환자에게 투약 목적 설명, 수액백 걸대에 걸기, 환자에게 세부 내용 설명 등 입실후 행동 요령들을 랜덤으로 배열한다.
그리고, 병실 행동 화면(522)은 입실후 행동 요령을 순서대로 표시한다.
그리고, 투약 인터페이스(523)는 투약 과정에 대한 다수의 항목을 랜덤으로 배열하여, 사용자가 투약 과정을 순서에 맞게 체크하도록 한다. 예를 들어, 투약 인터페이스(523)는 지혈대 묶기, 손위생, 천자부위 선정 및 소독, 카테터 삽입, 지혈대 풀기, 카테터 탐침 제거, 카테터 중심부에 수액 세트 연결, 수액 주입 및 부작용 확인, 투명 드레싱으로 카테터 고정, 정확한 수액 속도 조절 등 투약 과정에 대한 다수의 항목을 랜덤으로 배열한다.
그리고, 투약 화면(524)은 투약 과정을 순서대로 표시한다.
그리고, 제3 화면(530)은 사용자가 병실에서 퇴실한 이후, 사후 처리하는 과정에 대한 화면이다. 제3 화면(530)은 사후 처리 인터페이스(531) 및 사후 처리 화면(53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사후 처리 인터페이스(531)는 사후 처리 요령들을 랜덤으로 배열하여, 사용자가 사후 처리 요령을 순서에 맞게 체크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사후 처리 인터페이스(531)는 손상성 폐기물 처리, 일반 의료용 폐기물 처리, 손소독, 노트북 등 사후 처리 요령들을 랜덤으로 배열한다.
그리고, 사후 처리 화면(532)은 병실에서 퇴실한 이후, 사후 처리 요령을 순서대로 표시한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가상현실 장치(300)의 구성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가상현실 장치(300)는 통신 모듈(310), 메모리부(320), 제어 모듈(330), 사용자 입력부(340) 및 출력부(3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통신 모듈(310)은 가상현실 장치(300) 및 메인 서버(200)가 서로 통신하기 위한 역할을 한다. 메인 서버(200)로부터 전송받은 초기 화면(400), 각각의 처방 정보에 맞는 투약간호 실습화면(500) 및 정답지들은 메모리부(320)로 저장된다.
그리고, 메모리부(320)에는 메인 서버(200)로부터 전송받은 초기 화면(400), 각각의 처방 정보에 맞는 투약간호 실습화면(500)들 및 정답지들이 저장된다.
그리고, 제어 모듈(330)은 메모리부(320)에 저장된 초기 화면(400), 초기 화면(400)에서 선택된 처방 정보에 맞는 투약간호 실습화면(500)을 출력부(350)를 통해 순서대로 표시한다.
그리고, 사용자 입력부(340)는 초기 화면(400)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처방 정보를 수신하고, 초기 화면(400)에 해당하는 투약간호 실습화면(500)에서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터치 또는 문자 형태의 사용자 입력 데이터를 수신한다. 한편, 사용자 입력부(340)에 의해 입력된 처방 정보 및 사용자 입력 데이터는 메모리부(320)로 저장된다.
한편, 제어 모듈(330)은 사용자 입력부(340)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 입력 데이터를 해당 정답지와 각각 비교하여, 사용자의 점수를 산출한다. 그리고, 제어 모듈(330)은 사용자의 점수가 속한 점수 구간에 따라 사용자의 레벨을 설정한다. 이때, 점수 구간은 80점 초과~100점 이하, 60점 초과~80점 이하, 40점 초과~60점 이하, 20점 초과~40점 이하, 0점 이상~20점 이하의 5개로 설정되고, 각각의 점수 구간에 대한 해당 레벨은 각각 A, B, C, D, F로 설정된다.
한편, 제어 모듈(330)에 의해 생성된 사용자의 점수 및 레벨 데이터는 메모리부(320)에 저장되는 것과 동시에 메인 서버(200)로 전송된다. 그리고, 메인 서버(200)의 제어부(230)는 다수의 가상 실습 장치로부터 전송받은 사용자의 점수 및 레벨 데이터를 집계하여, 저장부(220)에 저장한다.
그리고, 출력부(350)는 메모리부(320)에 저장된 초기 화면(400), 초기 화면(400)에서 선택된 처방 정보에 맞는 투약간호 실습화면(500)을 영상, 음성 및 문자의 형태로 출력한다. 또한, 출력부(350)는 제어 모듈(330)에 의해 생성된 사용자의 점수 및 레벨 데이터를 출력한다.
다음으로, 가상현실 기반의 투약간호 자율실습 장치(100) 구동 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가상현실 기반의 투약간호 자율실습 장치(100)의 구동 방법에 대한 순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통신 모듈(310)은 메인 서버(200)로부터 초기 화면(400), 각각의 처방 정보에 대한 투약간호 실습화면(500) 및 정답지를 수신한다.(S100)
그 이후, 제어 모듈(330)은 출력부(350)를 통해 다수의 처방 정보를 표시하여, 사용자가 다수의 처방 정보 중에서 1개의 처방 정보를 선택하도록 하는 초기 화면(400)을 표시한다.(S200)
그 이후, 제어 모듈(330)은 초기 화면(400)에서 선택된 처방 정보에 맞는 투약간호 실습화면(500)을 가상현실로 표시한다.(S300)
그 이후, 제어 모듈(330)은 S200 단계에서 입력된 다수의 사용자 입력 데이터를 해당 정답지와 각각 비교하여, 사용자의 점수 및 레벨을 산출한다.(S400)
그 이후, 제어 모듈(330)은 사용자의 점수 및 레벨을 출력부(350)를 통해 표시한다.(S500)
도 5는 도 4에 도시된 S300 단계에 대한 순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먼저, 제어 모듈(330)은 사용자가 병실에 입실하기 전에, 투약간호를 준비하는 과정에 대한 화면인 제1 화면(510)을 표시한다.(S310)
그 이후, 제어 모듈(330)은 사용자가 병실에 입실한 후, 환자에게 투약간호하는 과정에 대한 화면인 제2 화면(520)을 표시한다.(S320)
그 이후, 제어 모듈(330)은 사용자가 병실에서 퇴실한 이후, 사후 처리하는 과정에 대한 화면인 제3 화면(530)을 표시한다.(S330)
도 6은 도 5에 도시된 S310 단계에 대한 순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제어 모듈(330)은 사전 행동 요령들을 랜덤으로 배열하여, 사용자가 사전 행동 요령을 순서에 맞게 체크하도록 하는 사전 행동 인터페이스(511)를 표시한다.(S311) 사용자에 의해 체크된 사전 행동 요령에 대한 사용자 입력 데이터는 사용자 입력부(340)를 통해 메모리부(320)에 저장된다.
그 이후, 제어 모듈(330)은 병실에 입실하기 전, 사전 행동 요령을 순서대로 나타낸 사전 행동 화면(512)을 표시한다.(S312)
그 이후, 제어 모듈(330)은 손소독 과정에 대한 다수의 이미지를 랜덤으로 배열하여, 사용자가 손소독 과정을 순서에 맞게 체크하도록 하는 손소독 인터페이스(513)를 표시한다.(S313) 사용자에 의해 체크된 손소독 과정에 대한 사용자 입력 데이터는 사용자 입력부(340)를 통해 메모리부(320)에 저장된다.
그 이후, 제어 모듈(330)은 다수의 물품 이미지를 랜덤으로 배열하여, 사용자가 자신이 선택한 처방 정보에 필요한 다수의 물품을 선택하도록 하는 물품 인터페이스(514)를 표시한다.(S314)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물품에 대한 사용자 입력 데이터는 사용자 입력부(340)를 통해 메모리부(320)에 저장된다.
도 7은 도 5에 도시된 S320 단계에 대한 순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제어 모듈(330)은 입실후 행동 요령들을 랜덤으로 배열하여, 사용자가 입실후 행동 요령을 순서에 맞게 체크하도록 하는 병실 행동 인터페이스(521)를 표시한다.(S321) 사용자에 의해 체크된 입실후 행동 요령에 대한 사용자 입력 데이터는 사용자 입력부(340)를 통해 메모리부(320)에 저장된다.
그 이후, 제어 모듈(330)은 입실후 행동 요령을 순서대로 나타내는 병실 행동 화면(522)을 표시한다.(S322)
그 이후, 제어 모듈(330)은 투약 과정에 대한 다수의 항목을 랜덤으로 배열하여, 사용자가 투약 과정을 순서에 맞게 체크하도록 하는 투약 인터페이스(523)를 표시한다.(S323) 사용자에 의해 체크된 투약 과정에 대한 사용자 입력 데이터는 사용자 입력부(340)를 통해 메모리부(320)에 저장된다.
그 이후, 제어 모듈(330)은 투약 과정을 순서대로 나타내는 투약 화면(524)을 표시한다.(S324)
도 8은 도 5에 도시된 S330 단계에 대한 순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제어 모듈(330)은 사후 처리 요령들을 랜덤으로 배열하여, 사용자가 사후 처리 요령을 순서에 맞게 체크하도록 하는 사후 처리 인터페이스(531)를 표시한다.(S331) 사용자에 의해 체크된 사후 처리 요령에 대한 사용자 입력 데이터는 사용자 입력부(340)를 통해 메모리부(320)에 저장된다.
그 이후, 제어 모듈(330)은 병실에서 퇴실한 이후, 사후 처리 요령을 순서대로 나타내는 사후 처리 화면(532)을 표시한다.(S332)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가상현실 기반의 투약간호 자율실습 장치에서 인체 모형의 평면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가상현실 기반의 투약간호 자율실습 장치는 실습 모형(600), 모션 감지부(610), 블루투스 모듈(620) 및 카메라부(630)(미도시)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먼저, 실습 모형(600)은 인체의 팔을 실제로 형상화한 모형이다.
그리고, 모션 감지부(610)는 실습 모형(600)의 외측에 설치되어, 실습 모형(600)에 접촉하는 물체를 감지하여 감지 신호를 생성한다.
제어 모듈(330)에 의한 투약 화면(524)의 표시가 완료되면, 사용자는 실습 모형(600)에 직접 주사 또는 카테터(601)를 삽입할 수 있다. 이때, 모션 감지부(610)는 실습 모형(600)에 접촉하는 주사 또는 카테터(601)를 감지하여 감지 신호를 생성한다.
그리고, 블루투스 모듈(620)은 모션 감지부(610)에 의해 생성된 감지 신호를 카메라부(630)로 전송한다.
그리고, 카메라부(630)는 실습 모형(600)의 상부에 구비되어, 블루투스 모듈(620)에 의해 전송된 감지 신호에 따라 실습 모형(600)을 촬영한다. 카메라부(630)에 의해 촬영된 실제 삽입 이미지는 가상현실장치의 통신 모듈(310)을 통해 제어 모듈(330)로 전송된다.
제어 모듈(330)은 카메라부(630)에 의해 촬영된 실제 삽입 이미지와 기준 삽입 이미지를 비교하여, 실제 삽입 이미지의 삽입 지점이 기준 삽입 이미지의 삽입 허용 영역(602) 내에 속하는 경우, 사용자의 점수를 사전에 설정된 점수로 산출한다.
본 발명에 의한 가상현실 기반의 투약간호 자율실습 장치(100)는 투약간호 실습에 가상현실 기술을 적용하여, 간호학의 중요 요소인 실습교육의 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어, 전문성이 확보된 양질의 간호사를 양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가상현실 기반의 투약간호 자율실습 장치(100)는 유휴 간호사의 재교육에 활용될 수 있어, 간호간병 통합서비스의 도입으로 더욱 부족해진 간호 인력난을 일정 부분 해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가상현실 기반의 투약간호 자율실습 장치(100)는 전통적인 도제식 교육방식을 지양하고, 고가의 실습기자재의 비효율적인 측면을 보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현시대 학습자들의 요구를 충분히 반영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가상현실 기반의 투약간호 자율실습 장치(100)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을 주요한 기술적 사상으로 하고 있으며, 도면을 참고하여 상술한 실시예는 단지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고, 본 발명의 진정한 권리 범위는 특허 청구범위를 기준으로 하되, 다양하게 존재할 수 있는 균등한 실시예에도 미친다 할 것이다.
100: 가상현실 기반의 투약간호 자율실습 장치
200: 메인 서버 210: 입력부
220: 저장부 230: 제어부
240: 통신부 300: 가상현실 장치
310: 통신 모듈 320: 메모리부
330: 제어 모듈 340: 사용자 입력부
350: 출력부 400: 초기 화면
500: 투약간호 실습화면 510: 제1 화면
511: 사전 행동 인터페이스 512: 사전 행동 화면
513: 손소독 인터페이스 514: 물품 인터페이스
520: 제2 화면 521: 병실 행동 인터페이스
522: 병실 행동 화면 523: 투약 인터페이스
524: 투약 화면 530: 제3 화면
531: 사후 처리 인터페이스 532: 사후 처리 화면
600: 실습 모형 601: 카테터 또는 주사
602: 삽입 허용 영역 610: 모션 감지부
620: 블루투스 모듈 630: 카메라부

Claims (9)

  1. 메인 서버(200) 및 다수의 가상현실 장치(300)로 구성된 가상현실 기반의 투약간호 자율실습 장치(100)에 있어서,
    상기 가상현실 장치(300)는
    상기 가상현실 장치(300) 및 메인 서버(200)가 서로 통신하기 위한 통신 모듈(310);
    상기 메인 서버(200)로부터 전송받은 초기 화면(400), 각각의 처방 정보에 대한 투약간호 실습화면(500)들 및 정답지들이 저장되는 메모리부(320);
    상기 초기 화면(400), 상기 초기 화면(400)에서 선택된 처방 정보에 맞는 투약간호 실습화면(500)을 출력부(350)를 통해 순서대로 표시하는 제어 모듈(330);
    상기 초기 화면(400)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처방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초기 화면(400)에 해당하는 투약간호 실습화면(500)에 상기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사용자 입력 데이터를 수신하는 사용자 입력부(340); 및
    상기 초기 화면(400), 상기 초기 화면(400)에서 선택된 처방 정보에 해당하는 투약간호 실습화면(500)을 출력하는 출력부(350);를 포함하고,
    상기 초기 화면(400)은
    다수의 처방 정보를 표시하여, 상기 사용자가 상기 다수의 처방 정보 중에서 1개의 처방 정보를 선택하도록 하는 화면이고,
    상기 투약간호 실습화면(500)은
    상기 사용자가 병실에 입실하기 전에, 투약간호를 준비하는 과정에 대한 화면인 제1 화면(510);
    상기 사용자가 상기 병실에 입실한 후, 환자에게 투약간호하는 과정에 대한 화면이인 제2 화면(520); 및
    상기 사용자가 상기 병실에서 퇴실한 이후, 사후 처리하는 과정에 대한 화면인 제3 화면(530);을 포함하고,
    상기 정답지들은
    사전 행동 요령, 손소독 과정, 처방 정보에 필요한 물품들, 입실후 행동 요령, 투약 과정 및 사후 처리 요령 각각에 대한 정확한 순서이고,
    상기 가상현실 장치(300)는
    인체의 팔을 실제로 형상화한 실습 모형(600);
    상기 실습 모형(600)의 외측에 설치되어, 상기 실습 모형(600)에 접촉하는 물체를 감지하여 감지 신호를 생성하는 모션 감지부(610);
    상기 모션 감지부(610)에 의해 생성된 감지 신호를 카메라부(630)로 전송하는 블루투스 모듈(620); 및
    상기 실습 모형(600)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블루투스 모듈(620)에 의해 전송된 감지 신호에 따라 실습 모형(600)을 촬영하여, 상기 실습 모형(600)에 주사 또는 카테터가 실제로 삽입되는 실제 삽입 이미지를 생성하는 카메라부(63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현실 기반의 투약간호 자율실습 장치.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화면(510)은
    사전 행동 요령들을 랜덤으로 배열하여, 상기 사용자가 사전 행동 요령을 순서에 맞게 체크하도록 하는 사전 행동 인터페이스(511);
    상기 사전 행동 요령을 순서대로 표시하는 사전 행동 화면(512);
    손소독 과정에 대한 다수의 이미지를 랜덤으로 배열하여, 상기 사용자가 상기 손소독 과정을 순서에 맞게 체크하도록 하는 손소독 인터페이스(513); 및
    다수의 물품 이미지를 랜덤으로 배열하여, 상기 사용자가 자신이 선택한 처방 정보에 필요한 다수의 물품을 선택하도록 하는 물품 인터페이스(51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현실 기반의 투약간호 자율실습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화면(520)은
    입실후 행동 요령들을 랜덤으로 배열하여, 상기 사용자가 입실후 행동 요령을 순서에 맞게 체크하도록 하는 병실 행동 인터페이스(521);
    상기 입실후 행동 요령을 순서대로 표시하는 병실 행동 화면(522);
    투약 과정에 대한 다수의 항목을 랜덤으로 배열하여, 사용자가 상기 투약 과정을 순서에 맞게 체크하도록 하는 투약 인터페이스(523); 및
    상기 투약 과정을 순서대로 표시하는 투약 화면(52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현실 기반의 투약간호 자율실습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3 화면(530)은
    사후 처리 요령들을 랜덤으로 배열하여, 상기 사용자가 사후 처리 요령을 순서에 맞게 체크하도록 하는 사후 처리 인터페이스(531); 및
    상기 병실에서 퇴실한 이후, 상기 사후 처리 요령을 순서대로 표시하는 사후 처리 화면(53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현실 기반의 투약간호 자율실습 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모듈(330)은
    상기 사용자 입력부(340)를 통해 입력된 상기 사용자 입력 데이터를 해당 정답지와 각각 비교하여, 상기 사용자의 점수를 산출하고,
    상기 사용자의 점수가 속한 점수 구간에 따라 사용자의 레벨을 설정하고,
    상기 출력부(350)는
    상기 제어 모듈(330)에 의해 생성된 사용자의 점수 및 레벨 데이터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현실 기반의 투약간호 자율실습 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점수 구간은
    80점 초과~100점 이하, 60점 초과~80점 이하, 40점 초과~60점 이하, 20점 초과~40점 이하, 0점 이상~20점 이하로 각각 설정되고,
    각각의 점수 구간에 해당되는 사용자의 레벨은
    각각 A, B, C, D, F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현실 기반의 투약간호 자율실습 장치.
  8. 삭제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실제 삽입 이미지는
    가상현실 장치(300)의 통신 모듈(310)을 통해 제어 모듈(330)로 전송되고,
    상기 제어 모듈(330)은
    상기 카메라부(630)에 의해 촬영된 상기 실제 삽입 이미지와 기준 삽입 이미지를 비교하여, 상기 실제 삽입 이미지의 삽입 지점이 상기 기준 삽입 이미지의 삽입 허용 영역(602) 내에 속하는 경우, 사용자의 점수를 사전에 설정된 점수로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현실 기반의 투약간호 자율실습 장치.
KR1020210004972A 2021-01-14 2021-01-14 가상현실 기반의 투약간호 자율실습 장치 KR1024341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4972A KR102434159B1 (ko) 2021-01-14 2021-01-14 가상현실 기반의 투약간호 자율실습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4972A KR102434159B1 (ko) 2021-01-14 2021-01-14 가상현실 기반의 투약간호 자율실습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3213A KR20220103213A (ko) 2022-07-22
KR102434159B1 true KR102434159B1 (ko) 2022-08-19

Family

ID=826058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04972A KR102434159B1 (ko) 2021-01-14 2021-01-14 가상현실 기반의 투약간호 자율실습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34159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224697A (ja) 2009-03-19 2010-10-07 Fujitsu Ltd 看護手順判定装置および看護手順判定プログラム
JP2018036351A (ja) 2016-08-30 2018-03-08 学校法人早稲田大学 医療手技訓練システム
KR102071606B1 (ko) 2019-04-09 2020-01-30 동서대학교 산학협력단 가상 현실을 기반으로 하는 간호 중 오류상황 인지 여부 평가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811550B2 (ja) * 2011-03-01 2015-11-11 株式会社モリタ製作所 歯科医療用実習装置及び歯科医療用実習模型
KR101915621B1 (ko) 2017-08-31 2018-11-06 지영아 멀티 학습 및 증강 현실 기반의 어린이 덴탈 학습 시스템, 그리고 그 방법
KR20200046958A (ko) * 2018-10-26 2020-05-07 차은석 지능정보기술과 가상현실을 이용한 간호사 교육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224697A (ja) 2009-03-19 2010-10-07 Fujitsu Ltd 看護手順判定装置および看護手順判定プログラム
JP2018036351A (ja) 2016-08-30 2018-03-08 学校法人早稲田大学 医療手技訓練システム
KR102071606B1 (ko) 2019-04-09 2020-01-30 동서대학교 산학협력단 가상 현실을 기반으로 하는 간호 중 오류상황 인지 여부 평가 시스템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공개특허공보 제10-2020-0046958호(2020.5.7. 공개) 1부.*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2012-181363호(2012.9.20. 공개) 1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3213A (ko) 2022-07-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Berman et al. Kozier and Erb's fundamentals of nursing
Corelli et al. Statewide evaluation of a tobacco cessation curriculum for pharmacy students
Burton et al. Fundamentals of nursing care: Concepts, connections & skills
US20140180416A1 (en)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simulating insertive procedures of the spinal region
Raines An innovation to facilitate student engagement and learning: Crossword puzzles in the classroom
Yu et al. Development of virtual reality simulation program for high-risk neonatal infection control education
Guenter et al. Standardized competencies for parenteral nutrition administration: the ASPEN model
CN107563115A (zh) 注意偏向图像训练装置及方法
Miller et al. Speech-language pathology and dysphagia: a brief historical perspective
Işık et al. The effect of simulation software on learning of psychomotor skills and anxiety level in nursing education
Birkan et al. Teaching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to cooperate with injections
KR102434159B1 (ko) 가상현실 기반의 투약간호 자율실습 장치
Hunt et al. Using technology to provide diabetes education for rural communities
JP2016194681A (ja) フィジカルアセスメント教育サービス提供システム及びフィジカルアセスメント教育サービス提供方法
CN116230159A (zh) 膝关节运动损伤康复方法及系统
Grams et al. Age-related changes in older adults: learning about sensory impairment through a simulated experience
Schneider Crossing the quality chasm: building a safe nutrition system
AU2019270911A1 (en) Methods and applications for providing educational guidance for peripheral IV therapy
KR102464419B1 (ko) 가상현실 기반의 투약간호 자율실습 장치
CN215868242U (zh) 药物代谢仿真系统
Sawang et al. Assessing the effectiveness of a digital, case-based learning platform for cancer pain management in residency training
KR102408237B1 (ko) 혈관주사 투과 감지용 디지털 혈관모형 장치
US20230346488A1 (en) Methods and Applications for Providing Educational Guidance for Peripheral IV Therapy
Khrushkov et al. Clinical thinking simulator
JP2792505B2 (ja) 患者シミュレー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